KR101497622B1 - 멀티시트 보강형 폴리우레탄 복합 방수층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멀티시트 보강형 폴리우레탄 복합 방수층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7622B1
KR101497622B1 KR1020120110544A KR20120110544A KR101497622B1 KR 101497622 B1 KR101497622 B1 KR 101497622B1 KR 1020120110544 A KR1020120110544 A KR 1020120110544A KR 20120110544 A KR20120110544 A KR 20120110544A KR 101497622 B1 KR101497622 B1 KR 101497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layer
weight
parts
polyureth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0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9809A (ko
Inventor
김기창
정혜화
남궁숙영
Original Assignee
(주) 유강이앤씨
정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유강이앤씨, 정혜화 filed Critical (주) 유강이앤씨
Publication of KR20130129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9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7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7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시트 보강형 폴리우레탄 복합 방수층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양측에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멀티시트를 주심재로 하여 조인트가 발생하지 않도록 시공이 가능하고, 고점도 우레탄을 1차적으로 도포하여 우레탄 사용량을 줄여줄 수 있도록 하며, 고무칩을 살포하여 미끄러지지 않고 방수층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하고, 우레탄 셀프레벨링을 통해 들뜸 현상 없이 바탕면과 일체화된 물 구배 확보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폴리우레탄을 멀티시트 상부에 부분적으로 도포하여 시공시 멀티시트가 유동되거나 날리는 것을 방지하고, 방수층의 파손으로 멀티시트 하부로 유입된 물이 폴리우레탄에 의해 형성되는 타원형 구획공간 내부에 가둘 수 있도록 하는 멀티시트 보강형 폴리우레탄 복합 방수층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이물질이 정리된 바탕면에 폴리우레탄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형성되는 프라이머층; 상기 프라이머층 상부에 설치되고, 상부시트와 하부시트가 접착제에 의해 서로 엇물려 접착되어 있는 멀티시트를 설치하되, 멀티시트의 양측이 겹쳐지도록 설치함으로써 형성되고 부분적으로 도포되는 폴리우레탄에 의해 프라이머층에 고정되는 방수시트층; 상기 방수시트층의 상부에 상기 폴리우레탄 보다 점도가 높은 고점도 우레탄을 도포하여 상부시트 까지 함침됨으로써 형성되는 1차 방수층; 상기 1차 방수층의 상부에 고점도 우레탄 보다 점도가 낮은 폴리우레탄을 도포하여 형성되는 2차 방수층; 상기 2차 방수층의 상부에 폴리우레탄을 도포하여 1,2차 방수층의 내후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탑코트층;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시트 보강형 폴리우레탄 복합 방수층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멀티시트 보강형 폴리우레탄 복합 방수층 및 그 시공방법{Complex waterproof structure using the multi-sheet polyurethan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eof}
본 발명은 멀티시트 보강형 폴리우레탄 복합 방수층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멀티시트를 주심재로 하여 조인트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바탕면의 거동에 대응성이 향상되도록 하며, 방수층의 파손방지 및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멀티시트 보강형 폴리우레탄 복합 방수층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 구조물의 옥상이나 주차장의 상부면 등에는 강우 등으로 인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방수 공사가 필수적이다. 이에는 여러 종류의 방수 공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주로 우레탄 방수, 몰탈 액체방수, 수용성 또는 유용성의 도막방수, 아스팔트 방수 및 시트 방수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중, 우레탄방수 공법은 시공할 옥상 바닥을 정리하고, 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바닥에 충분히 함침시켜 건조한 뒤, 바닥 면에 우레탄 방수제를 발라 건조하여 일정두께의 우레탄 도막을 형성하여 이를 통해 방수를 하는 방법으로, 이는 우레탄 도막의 우수한 신축성과 방수 기능으로 콘크리트의 미세한 균열까지 커버할 수 있는 특징이 있지만 조금만 습기가 있는 상태에서 작업을 하거나, 너무 낮고 높은 온도 또는 심한 온도 변화, 옥상 콘크리트 바닥의 균열 발생이 크게 일어나면 시공된 우레탄 도막이 손상되고, 연속적으로 들뜨게 되어 방수 능력을 상실하게 되고 더욱이 우레탄방수 공법이 차량이 많이 다니는 주차장에 시공될 경우, 반복되는 하중으로 우레탄 도막의 들뜸 현상이 빨리 일어나게 되어 누수가 빨리 발생하여, 방수 시공에 대한 수명이 더욱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시트 방수는 신축성이 우수한 합성 고무나 합성수지 또는 고무화 아스팔트 등을 주원료로 하여 일정 규격의 방수시트를 형성하고, 이러한 시트 형상의 방수재를 방수 공사를 하고자 하는 바닥면에 펼쳐 설치함으로써 방수층을 형성하는 방수공법으로서, 시공이 비교적 간편하고 공사기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우레탄 방수의 장점과 시트방수의 장점을 이용하기 위하여, 방수시트를 먼저 설치한 후, 설치된 방수시트 위에 우레탄을 도포하여 우레탄 방수층을 형성하는 복합방수공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복합방수공법은 방수시트의 연결부위에 대한 기밀이 유지되지 못하여, 방수시트 연결부위에 이상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우레탄 방수층에도 이상이 발생되어 전체 방수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한 10-0975534호의 멀티방수시트는 상부부직포에 형성된 제1,2연결부와 하부부직포에 형성되는 제3,4연결부를 통해 멀티방수시트간의 연결부위를 일체화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멀티방수시트의 상부에 우레탄을 도포할 경우 도포된 우레탄이 연질방수지를 통과하여 바닥면까지 흡수되지 못하여 멀티방수시트가 바닥면에 부착되지 않고 들뜸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우레탄이 건조되면서 주름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방수층의 파손등에 의해 방수시트 하부로 유입되고, 이렇게 유입된 물이 낮은 곳으로 흘러감에 따라 방수층 파손 부위 및 누수원인을 찾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낮은 곳으로 흘러간 물이 루프드레인 주변에 차게 되어 루프드레인 주변의 방수층이 물침대 형태로 들뜨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10-0975534 공개특허 10-2009-0119008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양측에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멀티시트를 주심재로 하여 조인트가 발생하지 않도록 시공이 가능하고, 고점도 우레탄을 1차적으로 도포하여 몰탈의 사용량을 줄여줄 수 있도록 하며, 고무칩을 살포하여 미끄러지지 않고 방수층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하고, 우레탄 셀프레벨링을 통해 들뜸 현상 없이 바탕면과 일체화된 물 구배 확보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폴리우레탄을 멀티시트 상부에 부분적으로 도포하여 시공시 멀티시트가 유동되거나 날리는 것을 방지하고, 방수층의 파손으로 멀티시트 하부로 유입된 물이 폴리우레탄에 의해 형성되는 타원형 구획공간 내부에 가둘 수 있도록 하는 멀티시트 보강형 폴리우레탄 복합 방수층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이물질이 정리된 바탕면에 폴리우레탄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형성되는 프라이머층; 상기 프라이머층 상부에 설치되고, 상부시트와 하부시트가 접착제에 의해 서로 엇물려 접착되어 있는 멀티시트를 설치하되, 멀티시트의 양측이 겹쳐지도록 설치함으로써 형성되고 부분적으로 도포되는 폴리우레탄에 의해 프라이머층에 고정되는 방수시트층; 상기 방수시트층의 상부에 상기 폴리우레탄 보다 점도가 높은 고점도 우레탄을 도포하여 상부시트 까지 함침됨으로써 형성되는 1차 방수층; 상기 1차 방수층의 상부에 고점도 우레탄 보다 점도가 낮은 폴리우레탄을 도포하여 형성되는 2차 방수층; 상기 2차 방수층의 상부에 폴리우레탄을 도포하여 1,2차 방수층의 내후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탑코트층;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차 우레탄 방수층을 형성하는 고점도 우레탄은, 폴리프로필렌글리콜(분자량 3000)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글리콜(분자량 2000) 77~87중량부, DOP 24~34중량부, TDI-80 49~59중량부, 인산 0.0004~0.0006중량부, 1,3부틸렌 글리콜 3~5중량부, 자일렌 10~15중량부, 소포제 0.2~0.3중량부로 이루어진 주제와,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글리콜(분자량 3000)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프로필렌글리콜(분자량 4000) 10~15중량부, DOP 10~15중량부, 소포제 5~8중량부, PB-24% 3~6중량부, 안료 8~13중량부, 탄산칼슘 230~260중량부, 자일렌16~22중량부, 분산제 3~5중량부, MOCA 6~10중량부, 탈크13~19중량부로 이루어진 경화제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제와 경화제는 1:3의 비율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점도 우레탄은 점도가 11000~13000(cps/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또한 상기 2차 방수층과 탑코트층 사이에 고무칩을 살포함으로써 형성되는 고무칩층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라이머층에 설치되어 습기를 유도해주는 습기유도 비닐과, 상기 습기유도 비닐에 설치되는 탈기관으로 이루어진 탈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기본 바탕면에 이물질을 제거하고 정리하는 바탕면 정리단계; 상기 기본 바탕면에 폴리우레탄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프라이머 도포단계; 상기 프라이머층 위에 상부시트와 하부시트가 접착제에 의해 서로 엇물려 접착되어 있는 멀티시트의 양측이 겹쳐지도록 연속 배열하여 방수시트층을 형성하는 멀티시트 배열단계; 상기 멀티시트의 상부에 폴리우레탄을 부분적으로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에 멀티시트가 부착되도록 하는 멀티시트 고정단계; 상기 방수시트층의 상부에 상부시트까지 함침되는 고점도 우레탄을 전면 도포하여 1차 방수층을 형성하는 고점도 폴리우레탄 도포단계; 상기 1차 방수층의 상부에 폴리우레탄을 도포하여 2차 방수층을 형성하는 폴리우레탄 도포단계; 상기 2차 방수층의 상부에 폴리우레탄을 도포하여 탑코트층을 형성하는 우레탄 탑코트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고점도 우레탄 도포단계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분자량 3000)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글리콜(분자량 2000) 77~87중량부, DOP 24~34중량부, TDI-80 49~59중량부, 인산 0.0004~0.0006중량부, 1,3부틸렌 글리콜 3~5중량부, 자일렌 10~15중량부, 소포제 0.2~0.3중량부로 이루어진 주제와,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글리콜(분자량 3000)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프로필렌글리콜(분자량 4000)10~15중량부, DOP 10~15중량부, 소포제 5~8중량부, PB-24% 3~6중량부, 안료 8~13중량부, 탄산칼슘 230~260중량부, 자일렌16~22중량부, 분산제 3~5중량부, MOCA 6~10중량부, 탈크13~19중량부로 이루어진 경화제로 이루어진 고점도 우레탄을 방수시트층의 상부에 도포하되, 주제와 경화제는 1:3의 비율로 혼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고점도 우레탄은 점도가 11000~13000(cps/2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폴리우레탄 도포단계 이후 2차 방수층의 상부에 논슬립과 방수층의 파손 방지를 위해 고무칩을 살포하여 고무칩층을 형성하는 고무칩 살포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라이머 도포단계 이후 프라이머층에 습기유도 비닐을 깔고 일정 간격으로 탈기관을 더 설치하는 탈기부 설치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멀티시트 고정단계는, 멀티시트의 상부에 S자형 라인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도록 폴리우레탄을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폴리우레탄은 이웃하는 다른 멀티시트에 도포되는 폴리우레탄과 서로 대칭되는 S자형 라인이 형성되도록 도포하되, S자형 라인이 겹쳐지도록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대칭되는 S자형 라인을 형성하여 겹쳐지도록 도포되는 폴리우레탄은 S자형 라인이 멀티시트의 겹침부위에서 서로 겹쳐지도록 도포되어 타원형 구획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멀티시트의 겹침부위에 멀티시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라인이 형성되도록 폴리우레탄을 더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멀티시트 배열단계는, 일측 멀티시트의 하부시트를 이웃하는 다른 멀티시트의 하부시트에 형성되는 하부연결부 상부에 위치시키면서, 일측 멀티시트의 상부시트에 형성되는 상부연결부를 이웃하는 다른 멀티시트의 상부시트 상부에 위치시켜 이웃하는 멀티시트간의 끝단이 서로 겹쳐지도록 순차적으로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우레탄 방수층의 하부에 멀티시트가 시공됨으로서 방수층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수명을 연장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옥상 바닥구조물의 거동균열에 대한 대응성을 갖는 절연의 멀티시트와 고점도 우레탄 및 일반의 폴리우레탄을 통해 에어포켓 및 핀홀 현상을 근원적으로 방지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멀티시트의 상부시트는 고점도 우레탄에 의해 함침되어 도막 방수층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하부시트는 바탕면과 부분 접착되어 탈기 및 완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바탕 습윤에 대한 탈기관 까지의 통로역할과 바탕면의 요철을 완화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무칩이 외부 충격에 대하여 방수층을 안전하게 보호해주고, 2차 방수층에서 쉽게 탈락되지 않아 방수층의 파손을 방지하며, 논슬립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멀티시트에 상부에 폴리우레탄을 부분적으로 도포하여 멀티시트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성이 향상되고, 부분적으로 도포되는 폴리우레탄을 S자형 라인이 형성되도록 도포하고 이 S자형 라인이 서로 겹쳐짐으로써 방수층에 형성되는 타원형 구획공간에 멀티시트 하부로 유입된 물을 가둘 수 있게 되어 방수층의 파손 유무를 쉽게 확인하고 보수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멀티시트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방수층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방수층에 고무칩층을 더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시트에 폴리우레탄을 S자 형태로 부분 도포하여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시트에 폴리우레탄을 S자 형태로 부분 도포하되 S자형 라인이 서로 겹쳐지도록 도포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멀티시트의 겹침부분에 직선라인이 형성되도록 폴리우레탄을 더 도포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방수층에 탈기부를 더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멀티시트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방수층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방수층에 고무칩층을 더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시트에 폴리우레탄을 S자 형태로 부분 도포하여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시트에 폴리우레탄을 S자 형태로 부분 도포하되 S자 라인이 서로 겹쳐지도록 도포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멀티시트의 겹침부분에 직선라인이 형성되도록 폴리우레탄을 더 도포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방수층에 탈기부를 더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복합 방수층은, 콘크리트 바탕면(800)에 폴리우레탄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형성되는 프라이머층(200)과, 상기 프라이머층(200) 상부에 상부시트(20)와 하부시트(30)가 접착제(40)에 의해 서로 엇물려 접착되어 있는 멀티시트(10)를 양단이 겹쳐지도록 설치하되, 폴리우레탄(50)을 멀티시트(10)에 부분적으로 도포하여 멀티시트(10)가 프라이머층(200)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형성되는 방수시트층(100)과, 상기 방수시트층(100)의 상부에 상기 폴리우레탄(50) 보다 고점도의 고점도 우레탄을 전체적으로 도포하여 상부시트까지 함침됨으로써 형성되는 1차 방수층(300)과, 상기 1차 방수층(300)의 상부에 고점도 우레탄보다 점도가 낮은 폴리우레탄을 도포하여 형성되는 2차 방수층(400)과, 상기 2차 방수층(400)의 상부에 폴리우레탄을 도포하여 1,2차 방수층(300)(400)의 내후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탑코트층(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멀티시트(10)는 상부시트(20)와 하부시트(30)가 서로 엇물린 상태에서 접착제(40)를 통해 접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부시트(20)의 일측단에는 하부시트(30)의 일측으로 외부로 돌출되는 상부연결부(21)가 형성되고, 하부시트(30)의 타측단에는 상부시트(20)의 타측단 외부로 돌출되는 하부연결부(31)가 형성된다.
즉 상부연결부(21)와 하부연결부(31)는 상부시트(20)와 하부시트(30)가 서로 엇물린 상태에서 접합됨으로써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상기 방수시트층(100)을 형성하는 멀티시트(10)는 상부시트(20)와 하부시트(30)가 부직포로 형성됨으로써 방수시트층(100)에 부분적으로 도포되는 폴리우레탄(50)이 상부시트(20)와 하부시트(30)를 통과하여 바탕면(800)에 도포된 프라이머층(200)에 흡수되면서 일체화되어 멀티시트(10)가 프라이머층(200)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렇게 방수시트층(100)을 형성하는 멀티시트(10)가 프라이머층(200)에 고정됨으로써 옥외 작업시 멀티시트(10)가 바람에 의해 날리지 않게 되어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1차 방수층(300) 형성을 위해 도포되는 고점도 우레탄은 상기 방수시트층(100) 및 2차 방수층의 형성시 도포되는 폴리우레탄 보다 고점도로서, 멀티시트(10)에 도포시에 상부시트(20)까지만 함침될 수 있는 점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방수시트층(100) 및 2차 방수층의 형성시 도포되는 폴리우레탄은 점도가 8000~10000(cps/25℃)이다.
이와 같이 상부시트(20)까지만 함침되는 고점도 우레탄을 도포함으로써 1차 방수층(300) 형성시 사용되는 우레탄의 량을 줄여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즉 고점도 우레탄이 상부시트(20) 및 하부시트(30)를 통과하여 프라이머층(200)까지 흡수되면 보다 많은 량의 우레탄을 사용할 수밖에 없게 되는데, 본 발명은 고점도 우레탄을 이용하여 상부시트(20)까지만 함침되는 1차 방수층(300)을 형성함으로써 우레탄 사용량을 줄여주면서 멀티시트(10)의 밀착성과 부분절연의 효과를 볼 수 있다.
상기 고점도 우레탄은 주제 및 경화제로 이루어진 이성분계 우레탄으로써, 폴리프로필렌글리콜(Poly propylene glycol, 분자량3000, 이하 GP-3000),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글리콜(Poly propylene oxide glycol, 분자량2000, 이하 PP-2000), DOP(디옥틸프탈레이트, di-octyl-phthalate), TDI-80(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Toluene Diisocyanate), 인산, 1,3부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자일렌, 소포제로 이루어진 주제와,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글리콜(Poly propylene oxide glycol, 분자량3000, 이하 PP-3000), 폴리프로필렌글리콜(Poly propylene glycol, 분자량4000, 이하 GP-4000), DOP(디옥틸프탈레이트, di-octyl-phthalate), 소포제, PB-24%, 안료, 탄산칼슘, 자일렌, 분산제, MOCA, 탈크로 이루어진 경화제로 이루어지며, 주제와 경화제의 비율은 1:3의 비율로 혼합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주제는 GP-3000 100중량부에 대하여, PP-2000 77~87중량부, DOP 24~34중량부, TDI-80 49~59중량부, 인산 0.0004~0.0006중량부, 1,3부틸렌 글리콜 3~5중량부, 자일렌 10~15중량부, 소포제 0.2~0.3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화제는, PP-3000 100중량부에 대하여, GP-4000 10~15중량부, DOP 10~15중량부, 소포제 5~8중량부, PB-24% 3~6중량부, 안료 8~13중량부, 탄산칼슘 230~260중량부, 자일렌16~22중량부, 분산제 3~5중량부, MOCA 6~10중량부, 탈크13~19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주제와 경화제를 1:3의 비율로 혼합하여 조성된다.
상기와 같이 조성되는 주제와 경화제를 1:3의 비율로 혼합하게 되고 이때의 점도는 11000~13000(cps/25℃)이며, 상기 폴리우레탄에 비해 고점도로 형성됨으로써 멀티시트(10)의 상부시트(20)까지만 함침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주제의 각각의 성분 수치를 위에서 열거한 바와 같이 제한한 이유는, 상기 GP-3000에 PP-2000을 한정한 이유는 이보다 적게 사용할 경우 분자량이 작아져 기본적으로 물성이 좋지 않고, 이보다 많이 사용했을 경우 고분자 사슬이 길어지고, 분자량이 높아지고 점도가 너무 높아져 상부시트(20)에 함침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TDI-80은 용매로 사용되었으며, DOP는 가소제로써 사용되었으며, 이보다 적게 사용하면 도막의 신장성능을 떨어뜨리게 되고, 이보다 많이 사용 하였을 때에는 인장강도, 인열강도 등의 물성을 떨어뜨리게 되며, 원가상승의 요인이 된다.
한편 경화제의 각각의 성분의 수치한정이유는 PP-3000, GP-4000의 수치를 한정한 이유는 일정한 분자량이상의 고분자 사슬을 얻기 위하여 한정하였으며, 이보다 적게 사용할 경우 분자량이 작아져 기본적으로 물성이 좋지 않고, 이보다 많이 사용했을 경우 고분자 사슬이 길어지고, 분자량이 높아져, 점도가 너무 높게 형성됨으로써 상부시트(20)에 함침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1,3부틸렌 글리콜 역시 위와 같은 이유에서 수치를 한정하였다.
MOCA는 경화성분으로써 TDI-80과 반응하여 경화를 일으키게 되며, 이보다 많이 사용될 경우 도막의 경도는 높아지고, 도막의 경화속도가 빨라져, 작업성능이 떨어지게 되고, 이보다 적게 사용할 경우 도막의 경도가 낮아져 원하는 경도를 얻을 수 없으며, 도막의 경화속도가 늦어져, 작업시간이 늘어나게 된다.
탈크는 충전제로서 적게 사용시에는 제품의 단가 상승의 요인이 되며, 많이 사용할 시에는 도막의 일반적인 인장강도, 인열강도, 신장성능 등을 떨어뜨릴 수 있다.
한편 2차 방수층(400)은 고점도 우레탄에 의해 형성되는 1차 방수층(300)의 표면 조정과 핀홀 방지를 위해 도포된다.
상기 탑코트층(500)은 1차 방수층(300)과 2차 방수층(400)의 내후성을 보강해 주는 것으로, 열선과 자외선을 어느 정도 반사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3 에서와 같이 상기 2차 방수층(400)과 탑코트층(500) 사이에 고무칩을 살포하여 고무칩층(600)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고무칩층(600)은 2차 방수층(400)의 상부에 일부분이 흡수되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외부 충격에 대하여 방수층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2차 방수층(400)에서 쉽게 탈락되지 않아 방수층의 파손을 방지하며, 논슬립 효과를 향상시켜 주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5 에서와 같이 상기 프라이머층(200) 상부에 탈기부(700)를 더 설치하여 방수시트층(100)의 하부에서 탈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바탕면(800)의 수축 팽창과 균열 및 습기 등에 의한 들뜸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탈기부(700)는 프라이머층(200) 상부에 부착되어 습기를 유도해주는 습기유도 비닐(710)과, 상기 습기유도 비닐(710)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복합 방수층의 외부로 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탈기관(7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복합 방수층 시공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방수층을 형성하고자 하는 바탕면(800)에 이물질을 제거하고 정리하는 바탕면 정리단계와, 상기 바탕면(800)에 폴리우레탄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200)을 형성하는 프라이머 도포단계와, 상기 프라이머층(200) 위에 상기 멀티시트(10)의 양측이 겹쳐지도록 연속 배열하여 방수시트층(100)을 형성하는 멀티시트 배열단계와, 상기 멀티시트(10)의 상부에 폴리우레탄(50)을 부분적으로 도포하여 프라이머층(200)에 멀티시트(10)가 부착되도록 하는 멀티시트 고정단계와, 상기 멀티시트(10)의 상부에 상부시트(20)까지 함침되는 고점도 우레탄을 전면 도포하여 1차 방수층(300)을 형성하는 고점도 우레탄 도포단계와, 상기 고점도 우레탄에 의해 형성되는 1차 방수층(300)의 상부에 폴리우레탄을 도포하여 2차 방수층(400)을 형성하는 폴리우레탄 도포단계와, 상기 2차 방수층(400)의 상부에 폴리우레탄을 도포하여 탑코트층(500)을 형성하는 우레탄 탑코트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탕면 정리단계는, 방수재의 밀착을 저해하는 불순물을 제거하고 바탕면(800)을 충분히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돌출물 등에 의해 바탕면(800)이 평탄하지 못할 경우에는 면고르기를 한 후 깨끗이 청소하고 먼지를 제거함으로써 프라이머의 접착 성능이 향상되도록 한다.
상기 프라이머 도포단계는, 폴리우레탄 프라이머를 바탕면(800)에 0.3kg/m2의 양으로 균일하게 도포한다.
상기 멀티시트 배열단계는, 일측 멀티시트(10)의 하부시트(30)를 이웃하는 다른 멀티시트(10)의 하부시트(30)에 형성되는 하부연결부(31) 상부에 위치시키면서, 일측 멀티시트(10)의 상부시트(20)에 형성되는 상부연결부(21)를 이웃하는 다른 멀티시트(10)의 상부시트(20) 상부에 위치시켜 이웃하는 멀티시트(10)간의 끝단이 서로 겹쳐지도록 순차적으로 배열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멀티시트(10)를 배열함으로써 멀티시트(10)의 겹쳐지는 연결부분이 2~3겹의 다중구조를 이루게 되어 이음부분의 방수 성능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멀티시트 고정단계는, 물조리개 등의 도구에 폴리우레탄(50)을 넣고 도 4 에서와 같이 멀티시트(10)의 상부에 S자 라인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도록 도포하여 멀티시트(10)를 고정하는 것으로, 0.9kg/m2 정도로 균일하게 도포한다.
상기 멀티시트(10)를 고정하기 위해 S자형 라인이 형성되도록 도포되는 폴리우레탄(50)은 멀티시트(10)의 상부시트(20)와 접착제 및 하부시트(30)를 통과하여 프라이머층(200)에 흡수됨으로써 멀티시트(10)를 프라이머층(200)에 부분 접합시켜 멀티시트(10)가 유동되거나 바람에 날려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폴리우레탄(50)은 도 5 에서와 같이 이웃하는 다른 멀티시트(10)에 도포되는 폴리우레탄(50)과 서로 대칭되는 S자형 라인(51)이 형성되도록 도포하되, S자형 라인(51)이 겹쳐지도록 도포하여 방수층에 폴리우레탄(50)에 의해 구획되는 타원형 구획공간(60)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도포되는 폴리우레탄(50)의 S자형 라인(51)의 변곡점(70) 부분이 서로 겹쳐지도록 도포됨으로써 방수층에 타원형 구획공간(60)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타원형 구획공간(60)이 형성되면 방수층의 파손에 의해 멀티시트(10)의 하부로 유입되는 물이 구배가 낮은 곳으로 흘러가지 않고 타원형 구획공간(60) 내부에 가둬지게 됨으로써 방수층의 파손부위를 쉽게 파악하고 보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유지보수시 타원형 구획공간(60)에 물이 차는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고 물이 채워진 타원형 구획공간(60)에 방수층이 파손되었기 때문에 파손부위를 쉽게 확인하여 유지 보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S자형 라인(51) 형태로 도포되는 폴리우레탄은 멀티시트(10)의 겹침부위(11)에서 이웃하는 다른 S자형 라인(51)과 겹쳐지도록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멀티시트(10)의 겹침부위(11)에서 S자형 라인(51)이 겹쳐지도록 함으로써 폴리우레탄(50)의 균형적인 도포가 이루어지고 멀티시트의 S자형 라인(51)이 서로 긴밀하게 연결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6 에서와 같이 보다 긴밀하게 타원형 구획공간(60)이 구획될 수 있도록 겹침부위(11)에 멀티시트(10)의 길이방향을 직선라인(52)이 형성되도록 폴리우레탄(50)을 더 도포할 수 있다.
이렇게 멀티시트(10)의 겹침부위(11)에 폴리우레탄(50)을 더 도포하여 직선라인(52)을 형성할 경우 타원형 구획공간(60)을 수직하게 반으로 나눠 보다 촘촘한 구획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고 멀티시트(10)의 하부로 물이 유입되더라도 물을 안정적으로 가둬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1차 방수층 형성단계는 고점도 우레탄을 형성한 후 방수시트층(100)의 상부에 도포하게 되는 것으로, 우레탄 제조과정을 실시예를 통해 나타내면, GP-3000 400kg과, PP-2000 328kg과, DOP 116.8kg과, TDI-80 218.6kg과, 인산 0.0002kg과, 1,3부틸렌 글리콜 17Kg와, 자일렌 48kg와, 소포제 1kg으로 이루어진 주제와,
PP-3000 61.6kg과, GP-4000 8kg과, DOP 7.6kg과, 소포제 4kg과, PB-24% 3kg과, 안료 7kg과, 탄산칼슘 150kg과, 자일렌 12kg과, 분산제 3kg과, MOCA 5kg과, 탈크 10kg으로 이루어진 경화제를, 1:3의 비율로 교반기를 통해 교반하여 형성한다.
이렇게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고점도 우레탄이 제조되면, 이 고점도 우레탄을 방수시트층(100)의 상부에 1.5kg/m2 ~ 2kg/m2 정도로 균일하게 도포하고, 멀티시트(10)의 상부시트(20)까지만 함침되어 1차 방수층(300)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부분적으로 도포되는 폴리우레탄(50)에 의해 멀티시트(10)가 프라이머층(200)에 고정되기 때문에 1차 방수층(300)을 형성하는 고점도 우레탄이 프라이머층(200) 까지 흡수될 필요가 없이, 상부시트(20) 까지만 함침되더라도 1차 방수층(300)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즉 멀티시트(10)의 하부시트(30)는 부분적으로 도포되는 폴리우레탄(50)에 의해 프라이머층(200)에 부분 접합되어 탈기 및 완충 시트층을 형성하여 바탕 습윤에 대한 탈기관까지의 통로 역할과 바탕면(800)의 요철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되고, 상부시트(20)까지 고점도 우레탄이 함침되어 1차 방수층(300)을 형성함으로써 방수시트층(100)의 성능을 향상시켜주게 된다.
또한 고점도 우레탄이 상부시트(20)에만 함침되어 1차 방수층(300)을 형성함으로써, 1차 방수층(300) 형성을 위해 도포되는 우레탄의 량을 줄여줄 수 있어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우레탄 도포단계는 1차 방수층(300)의 표면을 조정하고 핀홀 방지를 위해 도포되는 것으로 고무헤라 롤러 등을 이용하여 1kg/m2 ~ 1.5kg/m2 정도로 균일하게 도포한다.
상기 우레탄 탑코트 단계는, 2차 방수층의 상부에 유분, 수분, 먼지 등의 각종 이물질을 제거한 후 폴리우레탄을 도포하는 것으로, 1차 방수층과 2차 방수층의 내후성을 보강해 주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폴리우레탄 도포단계에 이후 2차 방수층의 상부에 고무칩을 살포하여 고무칩층을 형성하는 고무칩 살포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렇게 고무칩 살포단계를 통해 고무칩층을 더 형성함으로써, 방수층의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논슬립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프라이머 도포단계 이후 프라이머층(200)에 습기유도 비닐을 깔고 일정 간격으로 탈기관을 더 설치하는 탈기부 설치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탈기관은 50~80m2에 1개소씩 설치하여 원활한 습기유도 및 탈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멀티시트 (11) : 겹침부위
(20) : 상부시트
(21) : 상부연결부 (30) : 하부시트
(31) : 하부연결부 (40) : 접착제
(50) : 폴리우레탄 (51) : S자형 라인
(52) : 직선라인 (60) : 타원형 구획공간
(70) : 변곡점 (100) : 방수시트층
(200) : 프라이머층 (300) : 1차 방수층
(400) : 2차 방수층 (500) : 탑코트층
(600) : 고무칩층 (700) : 탈기부
(710) : 습기유도 비닐 (720) : 탈기관
(800) : 바탕면

Claims (15)

  1. 이물질이 정리된 바탕면에 폴리우레탄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형성되는 프라이머층;
    상기 프라이머층 상부에 설치되고, 상부시트와 하부시트가 접착제에 의해 서로 엇물려 접착되어 있는 멀티시트를 설치하되, 멀티시트의 양측이 겹쳐지도록 설치함으로써 형성되고 부분적으로 도포되는 폴리우레탄에 의해 프라이머층에 고정되는 방수시트층;
    상기 방수시트층의 상부에 상기 폴리우레탄 보다 점도가 높은 고점도 우레탄을 도포하여 상부시트 까지 함침됨으로써 형성되는 1차 방수층;
    상기 1차 방수층의 상부에 고점도 우레탄 보다 점도가 낮은 폴리우레탄을 도포하여 형성되는 2차 방수층;
    상기 2차 방수층의 상부에 폴리우레탄을 도포하여 1,2차 방수층의 내후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탑코트층;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고점도 우레탄은 점도가 11000~13000(cps/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시트 보강형 폴리우레탄 복합 방수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방수층을 형성하는 고점도 우레탄은,
    폴리프로필렌글리콜(분자량 3000)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글리콜(분자량 2000) 77~87중량부, DOP 24~34중량부, TDI-80 49~59중량부, 인산 0.0004~0.0006중량부, 1,3부틸렌 글리콜 3~5중량부, 자일렌 10~15중량부, 소포제 0.2~0.3중량부로 이루어진 주제와,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글리콜(분자량 3000)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프로필렌글리콜(분자량 4000) 10~15중량부, DOP 10~15중량부, 소포제 5~8중량부, PB-24% 3~6중량부, 안료 8~13중량부, 탄산칼슘 230~260중량부, 자일렌16~22중량부, 분산제 3~5중량부, MOCA 6~10중량부, 탈크13~19중량부로 이루어진 경화제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제와 경화제는 1:3의 비율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시트 보강형 폴리우레탄 복합 방수층.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방수층과 탑코트층 사이에 고무칩을 살포함으로써 형성되는 고무칩층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시트 보강형 폴리우레탄 복합 방수층.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에 설치되어 습기를 유도해주는 습기유도 비닐과, 상기 습기유도 비닐에 설치되는 탈기관으로 이루어진 탈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시트 보강형 폴리우레탄 복합 방수층.
  6. 기본 바탕면에 이물질을 제거하고 정리하는 바탕면 정리단계;
    상기 기본 바탕면에 폴리우레탄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프라이머 도포단계;
    상기 프라이머층 위에 상부시트와 하부시트가 접착제에 의해 서로 엇물려 접착되어 있는 멀티시트의 양측이 겹쳐지도록 연속 배열하여 방수시트층을 형성하는 멀티시트 배열단계;
    상기 멀티시트의 상부에 폴리우레탄을 부분적으로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에 멀티시트가 부착되도록 하는 멀티시트 고정단계;
    상기 방수시트층의 상부에 상부시트까지 함침되는 고점도 우레탄을 전면 도포하여 1차 방수층을 형성하는 고점도 폴리우레탄 도포단계;
    상기 1차 방수층의 상부에 폴리우레탄을 도포하여 2차 방수층을 형성하는 폴리우레탄 도포단계;
    상기 2차 방수층의 상부에 폴리우레탄을 도포하여 탑코트층을 형성하는 우레탄 탑코트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점도 우레탄은 점도가 11000~13000(cps/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시트 보강형 폴리우레탄 복합 방수층의 시공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고점도 우레탄 도포단계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분자량 3000)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글리콜(분자량 2000) 77~87중량부, DOP 24~34중량부, TDI-80 49~59중량부, 인산 0.0004~0.0006중량부, 1,3부틸렌 글리콜 3~5중량부, 자일렌 10~15중량부, 소포제 0.2~0.3중량부로 이루어진 주제와,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글리콜(분자량 3000)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프로필렌글리콜(분자량 4000)10~15중량부, DOP 10~15중량부, 소포제 5~8중량부, PB-24% 3~6중량부, 안료 8~13중량부, 탄산칼슘 230~260중량부, 자일렌16~22중량부, 분산제 3~5중량부, MOCA 6~10중량부, 탈크13~19중량부로 이루어진 경화제로 이루어진 고점도 우레탄을 방수시트층의 상부에 도포하되, 주제와 경화제는 1:3의 비율로 혼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시트 보강형 폴리우레탄 복합 방수층의 시공방법.
  8. 삭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도포단계 이후 2차 방수층의 상부에 논슬립과 방수층의 파손 방지를 위해 고무칩을 살포하여 고무칩층을 형성하는 고무칩 살포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멀티시트 보강형 폴리우레탄 복합 방수층의 시공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 도포단계 이후 프라이머층에 습기유도 비닐을 깔고 일정 간격으로 탈기관을 더 설치하는 탈기부 설치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시트 보강형 폴리우레탄 복합 방수층의 시공방법.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시트 고정단계에서, 부분적으로 도포되는 폴리우레탄은 멀티시트의 상부에 S자형 라인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도록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시트 보강형 폴리우레탄 복합 방수층의 시공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은 이웃하는 다른 멀티시트에 도포되는 폴리우레탄과 서로 대칭되는 S자형 라인이 형성되도록 도포하되, S자형 라인이 겹쳐지도록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시트 보강형 폴리우레탄 복합 방수층의 시공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대칭되는 S자형 라인을 형성하여 겹쳐지도록 도포되는 폴리우레탄은 S자형 라인이 멀티시트의 겹침부위에서 서로 겹쳐지도록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시트 보강형 폴리우레탄 복합 방수층의 시공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시트의 겹침부위에 멀티시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라인이 형성되도록 폴리우레탄을 더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시트 보강형 폴리우레탄 복합 방수층의 시공방법.
  15.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시트 배열단계는,
    일측 멀티시트의 하부시트를 이웃하는 다른 멀티시트의 하부시트에 형성되는 하부연결부 상부에 위치시키면서, 일측 멀티시트의 상부시트에 형성되는 상부연결부를 이웃하는 다른 멀티시트의 상부시트 상부에 위치시켜 이웃하는 멀티시트간의 끝단이 서로 겹쳐지도록 순차적으로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시트 보강형 폴리우레탄 복합 방수층의 시공방법.













KR1020120110544A 2012-05-21 2012-10-05 멀티시트 보강형 폴리우레탄 복합 방수층 및 그 시공방법 KR1014976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688 2012-05-21
KR20120053688 2012-05-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809A KR20130129809A (ko) 2013-11-29
KR101497622B1 true KR101497622B1 (ko) 2015-03-04

Family

ID=49856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0544A KR101497622B1 (ko) 2012-05-21 2012-10-05 멀티시트 보강형 폴리우레탄 복합 방수층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76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1190B1 (ko) 2017-09-08 2018-03-22 문정오 탈기로를 갖는 방수구조물 및 그 형성방법
KR20220017074A (ko) * 2020-08-04 2022-02-11 주식회사 지와이기술 태양광 모듈을 설치하는 옥상 방수 공법
KR20220017704A (ko) 2020-08-05 2022-02-14 고성민 우레탄계 옥상 방수제를 이용한 방수 방근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648B1 (ko) * 2016-06-20 2017-03-13 수형산업개발 유한회사 인열강도가 보강된 복합방수공법
KR102498468B1 (ko) * 2022-03-18 2023-02-10 이동철 단열 불연재를 폴리에스터시트와 결합하여 입체식 시트로 형상화한 논슬립 복합방수공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457B1 (ko) * 2009-04-17 2009-07-20 (주) 인택산업 저항형 단열재료와 반사형 보호 코팅재를 이용한 복합 도막 방수층 시공방법
KR100975534B1 (ko) * 2009-02-18 2010-08-12 (주) 유강이앤씨 멀티방수시트와 이를 이용한 우레탄 방수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534B1 (ko) * 2009-02-18 2010-08-12 (주) 유강이앤씨 멀티방수시트와 이를 이용한 우레탄 방수시공방법
KR100908457B1 (ko) * 2009-04-17 2009-07-20 (주) 인택산업 저항형 단열재료와 반사형 보호 코팅재를 이용한 복합 도막 방수층 시공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1190B1 (ko) 2017-09-08 2018-03-22 문정오 탈기로를 갖는 방수구조물 및 그 형성방법
KR20220017074A (ko) * 2020-08-04 2022-02-11 주식회사 지와이기술 태양광 모듈을 설치하는 옥상 방수 공법
KR102453691B1 (ko) * 2020-08-04 2022-10-12 주식회사 지와이기술 태양광 모듈을 설치하는 옥상 방수 공법
KR20220017704A (ko) 2020-08-05 2022-02-14 고성민 우레탄계 옥상 방수제를 이용한 방수 방근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809A (ko) 2013-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7622B1 (ko) 멀티시트 보강형 폴리우레탄 복합 방수층 및 그 시공방법
PT1028850E (pt) Estrutura vedante em folha para superfícies de construção e processos para produção e aplicação da mesma
KR101886041B1 (ko) 우레탄복합시트와 폴리우레아가 일체화된 복합방수공법
KR102443457B1 (ko) 건축물 내구성 강화를 위한 차열 폴리우레아 방수 공법
JP2014526623A (ja) 内部が空いている突起を有する防水用凹凸成形防水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防水工法
KR100938923B1 (ko) 방수 도막용 우레탄 조성물, 이를 이용한 건축물 보수용복합 방수 구조 및 복합 방수 공법
KR100977160B1 (ko) 무용제형 폴리우레탄 매스틱 방수재를 이용한 방수공법.
KR20090010907U (ko) 자착식 단열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법
US20080187671A1 (en) Method of waterproof and floor construction by using thixotropic urethane and fabric sheet
KR101884896B1 (ko) 단열시트의 2중 교차포설과 도막방수를 통한 단열성을 향상시키는 yps구조 및 그에 따른 yps공법
KR101710604B1 (ko) 우레탄수지를 이용한 건물 옥상 슬라브의 방수시공방법
KR101366160B1 (ko)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361910B1 (ko) 단열성능을 가진 고무화 아스팔트 시트와 고분자 복합시트의 일체화 방수 시트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복합단열시트 방수공법
KR102031977B1 (ko) 알루미늄층과 eva가 포함된 우레탄 다중복합시트와 이를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
KR101606433B1 (ko) 자착식 방수시트
KR20110109816A (ko) 다용도 방수테이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KR101321734B1 (ko) 단열성능을 가진 고분자 복합직물방수시트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복합단열 시트 방수공법
KR101569973B1 (ko)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607811B1 (ko) 3중 복합방수 공법
KR100956884B1 (ko) 방수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332646B1 (ko) 단열성능을 가진 이중복합직물방수시트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복합단열시트 방수공법
KR101455961B1 (ko) 탈기관을 구비한 지붕방수구조 및 그를 이용한 지붕방수 시공방법
JP2022130705A (ja) 脱気装置、防水構造および駐車場
KR101179122B1 (ko) 합성섬유를 이용한 복합직물일체형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트방수공법
KR100996660B1 (ko) 방수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및 그 방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