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7598B1 - Led 형광등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Led 형광등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7598B1
KR101497598B1 KR20140089904A KR20140089904A KR101497598B1 KR 101497598 B1 KR101497598 B1 KR 101497598B1 KR 20140089904 A KR20140089904 A KR 20140089904A KR 20140089904 A KR20140089904 A KR 20140089904A KR 101497598 B1 KR101497598 B1 KR 101497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ed lighting
group
emergency
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89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봉종
Original Assignee
에스제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제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제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40089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75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7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7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Abstract

본 발명은 LED 형광등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LED 조명장치; 및 상기 다수의 LED 조명 장치중 일부를 그룹화하여, 그룹 내에 포함된 LED 조명 장치의 상태 점검 및 동작을 제어하는 그룹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그룹 제어 장치는 통신망을 통하여 그룹 내의 LED 조명 장치와 연결되며, 비상 상황 발생시 그룹 내의 일부 LED 조명 장치를 비상 조명 장치로 전환하여 사용하는 LED 형광등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LED 형광등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LED flourescent lamp light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LED 형광등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상 상황 발생시 건물 내에 설치된 LED 형광등 조명장치를 비상등으로 이용할 수 있는 LED 형광등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을 비롯한 다양한 장소에서는 조명장치로서 형광등 및 백열등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특히 형광등은 백열등에 비해 눈부심이 적으면서 발광 효율이 높으며 수명이 긴 장점이 있으므로 조명장치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형광등은 유리관 내부가 완전히 밀폐된 상태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그 제조 시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반복적이고 빈번한 스위칭 작동에 따라 많은 소비전력이 소요됨과 아울러 수명이 급격히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 발광 다이오드는 백색광의 구현이 가능해지고, 저전력 및 오랜 수명시간 등의 장점으로 인하여 조명 장치에 많이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기존의 형광등이나 백열등, 나트륨등, 수은등을 비롯한 다양한 전등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주로 사용되는 형광등을 대체하기 위하여 다양한 구조를 갖는 LED 형광등 조명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한편, 화재 발생시나 긴급 상황 발생시 건물 내부에 설치된 비상 유도등 만으로 건물 내부에 있는 사람들이 신속히 대피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며, 이러한 화재 발생시나 긴급 상황 발생시 사람들의 대피로를 가이드하기 위한 비상 조명 장치는 매우 필요한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건물 내부의 주조명장치 이외에 별도의 비상 조명 장치를 설치하여, 화재 발생시나 긴급 상황 발생시 주조명장치가 작동되지 않을 경우, 별도의 비상 조명 장치를 작동시켰다. 그러나 이와 같이 별도의 비상 조명 장치를 설치하면, 조명 설치 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이러한 비상 조명 장치의 지속적인 유지 관리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불편한 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3-0014952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LED 형광등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상 상황 발생시 건물 내에 설치된 LED 형광등 조명장치를 비상등으로 이용할 수 있는 LED 형광등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LED 조명장치; 및 상기 다수의 LED 조명 장치중 일부를 그룹화하여, 그룹 내에 포함된 LED 조명 장치의 상태 점검 및 동작을 제어하는 그룹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그룹 제어 장치는 통신망을 통하여 그룹 내의 LED 조명 장치와 연결되며, 비상 상황 발생시 그룹 내의 일부 LED 조명 장치를 비상 조명 장치로 전환하여 사용하는 LED 형광등 조명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그룹 제어 장치의 동작을 모니터링하는 중앙 모니터링 장치를 더 포함한다.
상기 LED 조명 장치는 상기 LED 조명 장치의 내부 공간에 실장되며, 소켓부를 통하여 인가되는 상용 전원을 입력받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되는 다수의 LED 패키지로 구성된 형광등 LED 조명부; 인쇄회로기판 상에 설치되며, 통신망을 통하여 그룹 제어 장치나 중앙 모니터링 장치와 제어신호 또는 데이터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전원 공급부, 형광등 LED 조명부 및 통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그룹 제어 장치는 그룹 내에 포함된 LED 조명 장치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조명장치 상태 진단부; 그룹 내에 포함된 LED 조명 장치의 조명 밝기를 제어하는 조명 밝기 제어부; 비상 상황 발생시 그룹 내의 일부 LED 조명 장치를 비상 조명 장치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비상 조명 장치로 이용될 LED 조명 장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및 비상 상황 발생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정보에 따라 비상 조명 장치로 이용될 LED 조명 장치를 동작시키는 그룹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형광등 LED 조명부의 인쇄회로기판 상에 설치되며, 형광등 LED 조명부가 설치된 공간에서의 화재 발생 여부나 가스 누출 발생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한다.
비상 상황 발생시 상용 전원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형광등 LED 조명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그룹 제어 장치는 그룹 내의 LED 조명 장치가 설치된 공간에 배치되며, 해당 공간에서의 화재 발생 여부나 가스 누출 발생여부를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를 그룹 제어부로 전송하는 그룹 센서부; 및 상기 그룹 센서부에서 화재 발생이나 가스 누출 발생을 감지한 경우, 일반 모드에서 비상 상황 모드로 전환시켜서 그룹 내의 LED 조명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모드 전환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그룹 제어 장치는 그룹 내에 포함된 다수의 LED 조명장치의 기본 정보, 설치 정보, 결함 발생 내역 및 수리 내역 정보에 기초하여, 그룹 내의 LED 조명장치들 중 결함 발생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군과 결함 발생 확률이 상대적은 낮은 군으로 분류하여 모니터링의 주기 및 순서를 다르게 결정하는 모니터링 순서 결정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LED 조명 장치의 동작 상태, 비상 상황 발생 여부, 비상 조명 장치로의 전환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운영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말기 통보 장치; 및 화재 발생이나 가스 누출 발생을 감지하거나 정전 발생으로 인하여 상용 전원의 공급이 중단된 경우에 전원을 생산하는 비상 발전 장치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비상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 비상상황이 발생하여 상용 전원의 공급이 중단된 경우에는 다수의 LED 조명 장치의 동작 모드를 비상 상황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미리 저장된 정보에 따라 비상 조명 장치로 이용될 LED 조명 장치에 비상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및 비상 전원이 공급된 LED 조명 장치를 비상 조명 장치로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LED 형광등 조명 시스템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상용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작동될 수 있도록 별도의 배터리나 발전 장치를 구비하며, LED 형광등 조명장치를 그룹 제어함으로써, 비상 상황 발생시 건물 내에 설치된 LED 형광등 조명장치를 비상 조명 장치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건물 내의 별도의 비상 조명 장치의 설치가 필요 없게 되므로, 조명 장치 설치 비용이 절감되며,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각 LED 형광등 조명장치의 상태 모니터링을 선택적으로 집중시켜서 수행함으로써 모니터링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형광등 조명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LED 조명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LED 조명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그룹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 LED 조명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센서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 그룹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형광등 조명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 LED 조명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 그룹 제어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형광등 조명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형광등 조명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LED 조명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3은 LED 조명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그룹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LED 형광등 조명 시스템은 다수의 LED 조명 장치(100), 그룹 제어 장치(200), 통신망(300) 및 중앙 모니터링 장치(400)를 포함한다.
각 LED 조명 장치(100)는 그룹 제어 장치(200)나 중앙 모니터링 장치(40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며, 이러한 통신부를 통하여 그룹 제어 장치(200)나 중앙 모니터링 장치(400)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된다. 각 LED 조명 장치(100)는 형광등 타입의 LED 조명 장치로서 바타입(bar type)의 PCB 기판 상에 다수의 LED 패키지가 실장되어 구성된다.
그룹 제어 장치(200)는 다수의 LED 조명 장치(100)중 일부를 그룹화하여, 그룹 내에 포함된 LED 조명 장치(100)의 온/오프(ON/OFF) 동작, LED 조명 장치(100)의 조명 밝기 조절, LED 조명 장치의 상태 점검 및 LED 조명 장치와 그룹 제어 장치 간의 통신 상태 점검의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그룹 제어 장치(200)는 비상 상황 발생시 그룹 내의 일부 LED 조명 장치를 비상 조명 장치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비상 조명 장치로 이용될 LED 조명 장치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비상 상황 발생시 저장된 정보에 따라 해당 LED 조명 장치를 비상 조명 장치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각 그룹 제어 장치(200)는 통신망(300)을 통하여 그룹 내의 LED 조명 장치와 연결된다. 또한, 각 그룹 제어 장치(200)는 통신망(300)을 통하여 그룹 제어 장치 간에 연결되고, 중앙 모니터링 장치(400)와 연결된다.
중앙 모니터링 장치(400)는 다수의 그룹 제어 장치(200)의 동작을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장치(100)는 전원 공급부(110), 형광등 LED 조명부(120), 통신부(130), 소켓부(140), 방열부(150), 커버부(16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전원 공급부(110)는 LED 조명 장치의 내부 공간에 실장되며, 소켓부(140)를 통하여 인가되는 상용 전원 즉,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형광등 LED 조명 조명부(120)의 LED 패키지를 동작시키는데 적합한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형광등 LED 조명부(120)는 바 형태(bar type)로 길게 연장되게 형성된 인쇄회로기판(121)과, 이러한 인쇄회로기판(121) 상에 실장되는 다수의 LED 패키지(123)로 구성된다. 각 LED 패키지(123)는 전원 공급부(110)로부터 인가된 직류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조사하는 LED 칩, 리드 프레임, 와이어, 몰딩부 및 기판으로 구성된다. 기판 상에 리드 프레임이 배치되며, LED 칩은 기판 상에 실장되며, 와이어를 통하여 리드 프레임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몰딩부는 기판 상에 실장된 LED 칩을 봉지하여, LED 칩을 보호하며, LED 칩에서 방사되는 광의 지향각을 조절한다.
통신부(130)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설치되며, 통신망을 통하여 그룹 제어 장치(200)나 중앙 모니터링 장치(400)와 제어신호 또는 데이터의 통신을 수행한다.
소켓부(140)는 형광등 LED 조명부(120)의 양 측단에 설치되어, 상용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전원 공급부(11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방열부(150)는 형광등 LED 조명부(120)에 접하도록 설치되며, 형광등 LED 조명부(120)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역할을 한다.
커버부(160)는 형광등 LED 조명부(120)를 보호하고, 형광등 LED 조명부(120)에서 출사되는 광을 균일하게 확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90)는 전원 공급부(110), 형광등 LED 조명부(120) 및 통신부(13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각 그룹 제어 장치(200)는 조명장치 상태 진단부(210), 통신상태 진단부(220), 조명 밝기 제어부(230), 데이터베이스부(240) 및 그룹 제어부(290)를 포함한다.
조명장치 상태 진단부(210)는 그룹 내에 포함된 LED 조명 장치(10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조명장치 상태 진단부(210)는 그룹 내에 포함된 LED 조명장치의 작동 여부, 인가 전압값, LED 패키지의 고장 여부 등을 모니터링한다.
조명 밝기 제어부(230)는 그룹 내에 포함된 LED 조명 장치(100)의 조명 밝기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조명 밝기 제어부(230)는 임의의 LED 조명 장치(100)의 조명 밝기를 선택적으로 제어하거나 또는 그룹내에 포함된 LED 조명장치(100)의 조명 밝기를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조명 밝기 제어부(230)는 통신망을 통하여 해당 LED 조명 장치에 조명 밝기 제어 신호를 전송하며, 해당 LED 조명 장치는 조명 밝기 제어 신호에 따라 전원 공급부(110)의 출력 전압을 조절하여 해당 LED 조명 장치의 조명 밝기를 조절한다.
데이터베이스부(240)는 비상 상황 발생시 그룹 내의 일부 LED 조명 장치를 비상 조명 장치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비상 조명 장치로 이용될 LED 조명 장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그룹 제어부(290)는 조명장치 상태 진단부(210), 통신상태 진단부(220), 조명 밝기 제어부(230) 및 데이터베이스부(24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그룹 제어부(290)는 비상 상황 발생시 데이터베이스부(240)에 저장된 정보에 따라 비상 조명 장치로 이용될 LED 조명 장치를 동작시켜서, 해당 LED 조명 장치를 비상 조명 장치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비상 조명 장치는 비상 상황 발생시 대피로를 유도하게 되며, 이에 해당되는 LED 조명장치는 점멸되거나, 조명 색상을 변환시키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 LED 조명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센서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100)는 전원 공급부(110), 형광등 LED 조명부(120), 통신부(130), 소켓부(140), 방열부(150), 커버부(160), 센서부(170), 배터리부(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위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센서부 및 배터리부를 추가로 구성한다는 점이 상이하며, 나머지 구성은 유사하다.
전원 공급부(110)는 LED 조명 장치의 내부 공간에 실장되며, 소켓부(140)를 통하여 인가되는 상용 전원 즉,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형광등 LED 조명 조명부(120)의 LED 패키지를 동작시키는데 적합한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형광등 LED 조명부(120)는 바 형태(bar type)로 길게 연장되게 형성된 인쇄회로기판과, 이러한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되는 다수의 LED 패키지로 구성된다. 통신부(130)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설치되며, 통신망을 통하여 그룹 제어 장치(200)나 중앙 모니터링 장치(400)와 제어신호 또는 데이터의 통신을 수행한다.
센서부(170)는 형광등 LED 조명부(120)의 인쇄회로기판 상에 설치되며, 형광등 LED 조명부(120)가 설치된 공간에서의 화재 발생 여부나 가스 누출 발생여부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센서부(170)는 온도 센서(170), 연기 감지 센서(173) 및 가스 감지 센서(175)로 구성된다. 온도 센서(170)는 형광등 LED 조명부(120)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를 제어부(190)로 전송한다.
연기 감지 센서(173)는 형광등 LED 조명부(120) 주변에서 화재로 인한 연기가 발생하는 경우 이러한 연기를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를 제어부(190)로 전송한다.
가스 감지 센서(175)는 형광등 LED 조명부(120) 주변에서 화재로 인한 가스가 발생하는 경우나 누출된 가스를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를 제어부(190)로 전송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3가지 센서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상술하고 있으나, 센서부(170)는 이러한 센서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부(180)는 비상 상황 발생시 상용 전원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제어부(19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형광등 LED 조명부(120)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90)는 센서부(170)로부터 수신한 결과를 그룹 제어 장치(200)로 전송하며, 그룹 제어 장치(200)로부터의 형광등 LED 조명부(120)의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배터리부(180)에 저장된 전원을 형광등 LED 조명부(120)에 공급하도록 지시한다. 그룹 제어 장치(200)는 제어부(190)로부터 전송된 결과를 바탕으로 미리 저장된 정보에 따라 비상 조명 장치로 이용될 LED 조명 장치의 제어부로 해당 LED 조명 장치를 동작시키는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 그룹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그룹 제어 장치는 조명장치 상태 진단부(210), 통신상태 진단부(220), 조명 밝기 제어부(230), 데이터베이스부(240), 그룹 센서부(250), 모드 전환부(260) 및 그룹 제어부(290)를 포함한다.
그룹 센서부(250)는 그룹내의 LED 조명 장치가 설치된 공간에 배치되며, 해당 공간에서의 화재 발생 여부나 가스 누출 발생여부를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를 그룹 제어부(290)로 전송한다.
모드 전환부(260)는 그룹 센서부(250)에서 화재 발생이나 가스 누출 발생을 감지한 경우, 일반 모드에서 비상 상황 모드로 전환시켜서 그룹 내의 LED 조명 장치의 작동을 제어한다. 비상 상황 모드시에는 데이터베이스부(240)에 저장된 정보에 따라 비상 조명 장치로 이용될 LED 조명 장치만 작동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형광등 조명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 LED 조명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LED 형광등 조명 시스템은 다수의 LED 조명 장치(100), 그룹 제어 장치(200), 통신망(300), 중앙 모니터링 장치(400), 단말기 통보 장치(500) 및 비상 발전 장치(6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위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단말기 통보 장치 및 비상 발전 장치를 추가로 구성하고 있으며, 나머지 구성은 유사한바 이하에서는 상이한 구성을 위주로 상술한다.
단말기 통보 장치(500)는 LED 조명 장치(100)의 동작 상태, 비상 상황 발생 여부, 비상 조명 장치로의 전환 여부 등에 대한 데이터를 운영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비상 발전 장치(600)는 화재 발생이나 가스 누출 발생을 감지하거나 정전 발생으로 인하여 상용 전원의 공급이 중단된 경우에 동작하며, 비상 발전 장치(600)에서 생산된 전원은 비상 조명 장치로 이용될 LED 조명 장치로 공급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100)는 전원 공급부(110), 형광등 LED 조명부(120), 통신부(130), 소켓부(140), 방열부(150), 커버부(160), 센서부(170), 스위칭부(175), 배터리부(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상용 전원의 공급이 중단된 경우에 동작하며, 비상 발전 장치(600)에서 생산된 전원은 비상 조명 장치로 이용될 LED 조명 장치로 공급된다.
상용 전원의 공급이 중단되고, 비상 발전 장치(600)에서 생산된 전원이 LED 조명 장치로 공급되기 까지의 공백 시간 동안에는 배터리부(180)에 저장된 전원이 LED 조명장치로 공급되고, 비상 발전 장치(600)에서 전원이 생산되어 LED 조명 장치로 공급되면 스위칭부(175)를 이용하여 전원 공급 수단을 배터리부(180)에서 비상 발전 장치(600)로 절환시킨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 그룹 제어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그룹 제어 장치는 조명장치 상태 진단부(210), 통신상태 진단부(220), 조명 밝기 제어부(230), 데이터베이스부(240), 모니터링 순서 결정부(270) 및 그룹 제어부(29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위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모니터링 순서 결정부를 추가로 구성한 것으로서, 나머지 구성은 유사한바 이하에서는 상이한 구성을 위주로 상술한다.
모니터링 순서 결정부(270)는 그룹 내에 포함된 다수의 LED 조명장치의 기본 정보, 설치 정보, 결함 발생 내역 및 수리 내역 정보에 기초하여, 그룹 내의 LED 조명장치들 중 결함 발생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군과 결함 발생 확률이 상대적은 낮은 군으로 분류하여 모니터링의 주기 및 순서를 다르게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결함 발생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군에 속하는 구성요소는 모니터링 주기를 상대적으로 짧게 하여 모니터링을 자주 수행하도록 하여, LED 조명 장치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보다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형광등 조명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우선 LED 조명 장치를 상용 전원을 이용하여 작동시킨다(S110).
비상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즉, 화재 발생이나 가스 누출 발생을 감지하거나 정전 발생으로 인하여 상용 전원의 공급이 중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120).
판단 결과, 비상 상황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S110과정으로 복귀하며, 비상상황이 발생하여 상용 전원의 공급이 중단된 경우에는 다수의 LED 조명 장치의 동작 모드를 비상 상황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130). 비상 상황 모드시에는 데이터베이스부(240)에 저장된 정보에 따라 비상 조명 장치로 이용될 LED 조명 장치만 작동된다.
비상 상황 모드로 전환되면, 미리 저장된 정보에 따라 비상 조명 장치로 이용될 LED 조명 장치에 비상 전원을 공급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140).
비상 전원이 공급된 LED 조명 장치를 비상 조명 장치로 동작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S150).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LED 형광등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LED 조명 장치 110 : 전원 공급부
120 : 형광등 LED 조명부 130 : 통신부
140 : 소켓부 150 : 방열부
160 : 커버부 170 : 센서부
180 : 배터리부 190 : 제어부
200 : 그룹 제어 장치 210 : 조명장치 상태 진단부
220 : 통신상태 진단부 230 : 조명밝기 제어부
240 : 데이터베이스부 250 : 그룹 센서부
260 : 모드 전환부 300 : 통신망
400 : 중앙 모니터링 장치 500 : 비상 발전 장치
600 : 단말기 통보 장치

Claims (10)

  1. LED 형광등 조명 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LED 조명장치; 및
    상기 다수의 LED 조명 장치중 일부를 그룹화하여, 그룹 내에 포함된 LED 조명 장치의 상태 점검 및 동작을 제어하는 그룹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그룹 제어 장치는 통신망을 통하여 그룹 내의 LED 조명 장치와 연결되며, 비상 상황 발생시 그룹 내의 일부 LED 조명 장치를 비상 조명 장치로 전환하여 사용하며,
    상기 그룹 제어 장치는,
    그룹 내에 포함된 LED 조명 장치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조명장치 상태 진단부; 그룹 내에 포함된 LED 조명 장치의 조명 밝기를 제어하는 조명 밝기 제어부; 비상 상황 발생시 그룹 내의 일부 LED 조명 장치를 비상 조명 장치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비상 조명 장치로 이용될 LED 조명 장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비상 상황 발생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정보에 따라 비상 조명 장치로 이용될 LED 조명 장치를 동작시키는 그룹 제어부; 및 그룹 내에 포함된 다수의 LED 조명장치의 기본 정보, 설치 정보, 결함 발생 내역 및 수리 내역 정보에 기초하여, 그룹 내의 LED 조명장치들 중 결함 발생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군과 결함 발생 확률이 상대적은 낮은 군으로 분류하여 모니터링의 주기 및 순서를 다르게 결정하는 모니터링 순서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형광등 조명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제어 장치의 동작을 모니터링하는 중앙 모니터링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형광등 조명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 조명 장치는,
    상기 LED 조명 장치의 내부 공간에 실장되며, 소켓부를 통하여 인가되는 상용 전원을 입력받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되는 다수의 LED 패키지로 구성된 형광등 LED 조명부;
    인쇄회로기판 상에 설치되며, 통신망을 통하여 그룹 제어 장치나 중앙 모니터링 장치와 제어신호 또는 데이터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전원 공급부, 형광등 LED 조명부 및 통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형광등 조명 시스템.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등 LED 조명부의 인쇄회로기판 상에 설치되며, 형광등 LED 조명부가 설치된 공간에서의 화재 발생 여부나 가스 누출 발생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형광등 조명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비상 상황 발생시 상용 전원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형광등 LED 조명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형광등 조명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제어 장치는,
    그룹내의 LED 조명 장치가 설치된 공간에 배치되며, 해당 공간에서의 화재 발생 여부나 가스 누출 발생여부를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를 그룹 제어부로 전송하는 그룹 센서부; 및
    상기 그룹 센서부에서 화재 발생이나 가스 누출 발생을 감지한 경우, 일반 모드에서 비상 상황 모드로 전환시켜서 그룹 내의 LED 조명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모드 전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형광등 조명 시스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LED 조명 장치의 동작 상태, 비상 상황 발생 여부, 비상 조명 장치로의 전환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운영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말기 통보 장치; 및
    화재 발생이나 가스 누출 발생을 감지하거나 정전 발생으로 인하여 상용 전원의 공급이 중단된 경우에 전원을 생산하는 비상 발전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형광등 조명 시스템.
  10. 제1항, 제2항, 제3항, 제5항, 제6항, 제7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LED 형광등 조명 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서,
    비상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 비상황성이 발생하여 상용 전원의 공급이 중단된 경우에는 다수의 LED 조명 장치의 동작 모드를 비상 상황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미리 저장된 정보에 따라 비상 조명 장치로 이용될 LED 조명 장치에 비상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및
    비상 전원이 공급된 LED 조명 장치를 비상 조명 장치로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형광등 조명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20140089904A 2014-07-16 2014-07-16 Led 형광등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497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9904A KR101497598B1 (ko) 2014-07-16 2014-07-16 Led 형광등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9904A KR101497598B1 (ko) 2014-07-16 2014-07-16 Led 형광등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7598B1 true KR101497598B1 (ko) 2015-03-05

Family

ID=53025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89904A KR101497598B1 (ko) 2014-07-16 2014-07-16 Led 형광등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759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970A (ko) * 2002-09-06 2004-03-11 (주)세아전기조명 센서 및 무선 비상점등 기능을 구비한 공용조명등제어시스템
JP2004185359A (ja) * 2002-12-04 2004-07-02 Global Com:Kk 非常灯及び非常灯無線データ伝送システム
JP2009176674A (ja) * 2008-01-28 2009-08-0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非常用照明装置
KR20140023901A (ko) * 2011-02-22 2014-02-27 가부시키가이샤 사이버코인 형광등형 led 조명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970A (ko) * 2002-09-06 2004-03-11 (주)세아전기조명 센서 및 무선 비상점등 기능을 구비한 공용조명등제어시스템
JP2004185359A (ja) * 2002-12-04 2004-07-02 Global Com:Kk 非常灯及び非常灯無線データ伝送システム
JP2009176674A (ja) * 2008-01-28 2009-08-0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非常用照明装置
KR20140023901A (ko) * 2011-02-22 2014-02-27 가부시키가이샤 사이버코인 형광등형 led 조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2485B2 (en) Dimming bridge module
JP7113812B2 (ja) 主電源及び補助電源から電力供給するための照明デバイス
JP5662067B2 (ja) 照明制御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制御ユニット
JP5842127B2 (ja) 照明装置、照明制御装置、照明器具及び照明制御システム
KR20180067474A (ko) 점검 표시램프가 구비된 엘이디 조명등
KR101294684B1 (ko)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가로등 원격 제어시스템
DK2482621T3 (en) Lamp and method of controlling this
KR102071109B1 (ko) 컨버터 표시램프가 구비된 엘이디 조명등
KR101280079B1 (ko) 발광다이오드 가로등, 발광다이오드 가로등 제어 시스템 및 발광다이오드 가로등 제어 방법
KR20190115869A (ko) 조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명 관제 시스템
JP6057220B2 (ja) 照明制御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制御ユニット
WO2019072114A1 (en) LED EMERGENCY LIGHTING BULB
KR20170066043A (ko) 고장진단 및 대처기능을 구비한 엘이디 조명 통합 제어시스템
JP2017511958A (ja) 出荷時新品状態への装置のリセット
KR101497598B1 (ko) Led 형광등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06142853A (ja) 照明機能低下検出装置
JP5870310B2 (ja) 照明制御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制御ユニット
JP5520137B2 (ja) 非常用照明装置および非常用照明器具
KR100629483B1 (ko) 복도용 조명장치
JP6572718B2 (ja) 照明器具
JP5186271B2 (ja) トンネル用照明システム
JP2017037785A (ja) 光源点灯システム
JP5647866B2 (ja) トンネル照明灯の保守管理システム
JP3175935U (ja) 無停電照明器具
WO2019192966A1 (en) Luminaire for indoor or outdoor ligh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