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6196B1 - 분말 흡입기 - Google Patents

분말 흡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6196B1
KR101496196B1 KR1020107001285A KR20107001285A KR101496196B1 KR 101496196 B1 KR101496196 B1 KR 101496196B1 KR 1020107001285 A KR1020107001285 A KR 1020107001285A KR 20107001285 A KR20107001285 A KR 20107001285A KR 101496196 B1 KR101496196 B1 KR 101496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inhaler
actuating member
quinazoline
ami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1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7612A (ko
Inventor
롤프 쿤
부르크하르트 페터 메츠거
토르슈텐 쿠엔
하인리히 클라데르스
죄른-에릭 슐츠
Original Assignee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날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79111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49619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07033861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07033861A1/de
Application filed by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날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날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00037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7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6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6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21Mouthpieces therefor
    • A61M15/0025Mouthpieces therefor with caps
    • A61M15/0026Hinged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capsules, e.g.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3Details of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 A61M15/0035Pier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capsules, e.g.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3Details of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 A61M15/0041Details of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with movable piercing or cut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6Solids
    • A61M2202/064Powd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전 흡입기에 배치된 캡슐 홀더에 삽입되는 캡슐로부터 분말 약제를 흡입하기 위한 개선된 작동성을 갖는 흡입기에 관한 것이다. 캡슐을 캡슐 홀더에 삽입한 후, 환자는 작동 부재를 누를 수 있고, 작동 부재는 정지 위치로부터 이동됨으로써 캡슐 홀더를 관통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바늘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바늘의 도움으로 캡슐이 관통되고 약제가 방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개선된 작동 부재(7, 10)를 갖는 흡입기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분말 흡입기{Powder inhaler}
본 발명은 사용전 흡입기에 배치된 캡슐 홀더에 삽입되는 캡슐로부터 분말 약제를 흡입하기 위한 개선된 작동성을 갖는 흡입기에 관한 것이다.
캡슐을 캡슐 홀더에 삽입한 후, 환자는 작동 부재(actuating member)를 누를 수 있고, 작동 부재는 정지 위치로부터 이동됨으로써 캡슐 홀더 안으로 밀어넣어지도록 된 하나 이상의 핀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최소 1개의 핀을 사용하여 캡슐을 관통시키고 약제가 방출된다.
이러한 종류의 흡입기는 예컨대 유럽 특허 EP 제0 703 800 B1호 또는 EP 제0 911 047 A1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 출원서로부터 공지된 흡입기는 접시 모양의 하부 파트와 이에 끼워 맞춰지는 동등한 접시 모양의 커버를 갖고, 이들 두 파트는 가장자리 부분에 제공된 연결부 주위에서 사용시에 분리될 수 있다. 하부 파트와 커버 사이에서는 역시 열릴 수 있는 마우스피스와 그 아래의 플레이트 및 플레이트 하부에 제공된 캡슐 홀더가 연결부 위에서 작동한다. 개개의 조립체가 열린 후, 환자는 약물이 채워진 캡슐을 캡슐 홀더에 삽입하고, 플레이트와 캡슐 홀더 및 마우스피스를 하부 파트 안에서 선회시키고, 하부 파트로부터 측면으로 돌출된 스프링 장착 작동 부재에 의해 캡슐을 관통시킬 수 있다. 그런 다음 치료받을 환자는 마우스피스를 흡입함으로써 약제학적 조성물을 환자의 기도로 흡수시킨다.
본 발명은 공지된 흡입기를 이의 취급성 측면에서 한층 더 개선시키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이 목적은, 작동 부재가 넓어지고 핀 홀더가 힘의 적용점 위 및 누름 버튼의 지지물(suspension) 아래에 놓이도록 작동 부재가 구성된 본 발명의 흡입기에 의해 달성된다.
이것은 사용자가 캡슐 벽을 통해 핀 또는 핀들을 누르는 데 필요한 힘을 실제로 감소시켜준다. 또한,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장치에 비해 누름 버튼의 넓어진 표면 때문에 사용자에 대한 힘의 주관적인 감소가 존재한다.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흡입기의 경우 사용자가 작동 부재를 사용하여 핀 또는 핀들으로 캡슐을 관통시키기 위해 약 35N의 힘을 가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흡입기의 경우 10 내지 25N,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0N이 필요하다.
커버는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는,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비드를 갖는다. 이 비드는 흡입기의 하부 파트 위에 위치한 버튼에서 커버를 닫는 역할을 한다.
커버를 하부 파트로부터 제거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작동 부재는, 이의 상측에, 닫음 부재(closure element)를 위한 활주 표면을 경사면의 형태로 형성하여 작동시 작동 부재가 전진할 때 하부 파트로부터 커버를 해제시키도록 기울어져 있는 만입부(recess)를 포함한다. 작동 부재 내의 만입부는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최소 크기는 커버가 하부 파트로부터 포켓 시계 방식으로 해제될 수 있기에 충분한 크기여야 한다. 최대 크기는 작동 부재의 상부에 따라 달라진다. 환자가 커버를 쥐고 그것을 완전히 엶으로써 전과 같이 커버의 실제적인 열림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분리가 가능한 마우스피스에는 마우스피스의 신속하고 확실한 열림을 보장하는 1 또는 2개의 그립핑(gripping) 보조부가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그립핑 보조부는 치료를 요하는 환자가 흡입을 위해 환자의 입 안에 넣어야 하는 영역 바깥쪽에서 마우스피스와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열림을 위한 접촉 표면과 흡입을 위한 접촉 표면은 마우스피스의 모양과 디자인에 의해 확실하게 서로 구분된다. 바람직하게, 그립핑 보조부는 버튼의 왼쪽과 오른쪽에 위치하고 2개의 그립핑 보조부는 버튼의 영역 안에서 수렴되지 않는다. 이것은 마우스피스가 사용자의 직관적인 취급을 가능케 하는 시각적 및 실제적으로 개선된 외양을 갖게 함과 동시에 최적의 위생 상태를 제공한다. 이것은 흡입기 사용시 마우스피스가 구강 안에 넣어지기 때문에 마우스피스 주위의 영역에서 특히 중요하다.
한 양태에서는, 열림 동작을 돕기 위해 플레이트와 하부 파트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스프링 부재가 배치될 수 있고, 이 스프링 부재는 커버 및/또는 마우스피스가 스냅 열림(snap open)이 되도록 하기에 적합한 치수를 갖는다. 달리, 스프링 부재를 갖지 않는 양태도 가능하다.
작동 부재는 천식 발작의 시작시에 특히 중요하다. 환자에게 요구되는 힘의 감소와 더불어 작동 부재의 효율적인 배치 덕에 당해 흡입기는 작동하기가 상당히 용이하다. 이것은 환자가 관절염 또는 이와 유사한 질환을 앓고 있거나 다른 이유로 손가락의 움직임이 제한된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작동 부재는 서로 스냅 피트(snap-fitted)된 내부 파트과 외부 파트를 갖는 투-파트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내부 파트는 2개의 평행한 가이드 암(guide arm)(아래 참조)을 갖는다. 작동 부재가 작동될 때, 외부 파트는 원의 일부를 따라 내부 파트 위로 눌린 후 이것이 일직선으로 이동하여 핀을 캡슐 안으로 밀어넣는다. 작동 부재는 하부 파트에 래칭(latching)될 수 있는 플레이트에 부착된다. 이것은 예컨대 스냅 피트 후크, 래칭 후크 또는 이와 유사한 기술적 수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작동 부재는 플레이트 또는 캡슐 홀더 위에 이동가능한 방식으로 탑재된다. 따라서 플레이트 및/또는 캡슐 홀더는 다기능 작동 부재를 위한 받침대를 형성하고 다기능 작동 부재는 정지 위치로부터 원하는 기능 위치로 이동할 때 이를 테면 가이드 레일에 의해 유도되듯 플레이트를 따라 활주한다.
유리한 한 양태에서 작동 부재에는 스프링이 장착된다. 정지 위치에서 이미 존재하는 복원력은 흡입기가 사용된 후 작동 부재가 정지 위치로 되돌아오게 함으로써 흡입 과정이 개시 또는 계속될 수 있게 해준다.
유리하게, 작동 부재는 본체와 이에 붙은 2개의 평행한 가이드 암을 포함한다. 가이드 암은 캡슐 홀더 바깥쪽에 배치된 가이드 슬리브(sleeve)와 같은 상응하는 내장 부품에 의해 하부 파트 안으로 돌출되고, 작동 부재가 정지 위치로부터 각각의 기능 위치로 이동 및 정지 위치로 후퇴하는 동안 작동 부재를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 암은 본체로부터 멀리 떨어진 이들의 말단에, 정지 위치에서 가이드 슬리브에 인접하는 말단 정지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작동 부재는 장력하에 놓인다.
가이드 암은 임의의 원하는 모양 및 배치(예: 수렴형 또는 분기형)를 가질 수 있다. 또한, 3개 이상의 가이드 암이 제공될 수 있다.
작동 부재는 총 2개의 받침 영역을 갖는데, 하나는 버튼의 내부를 위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버튼의 외부를 위한 것이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작동 부재의 본체는 홈이 파인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이 홈 표면은 상부 또는 측면에 존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홈 표면은 작동 부재에 제공된 그립핑 함몰부 안에 존재할 것이다. 그립핑 표면은 디자인 요소로서 및 작동 동안 최적의 그립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작용한다. 이것은 흡입기 영역 바깥쪽의 작동 부재의 본체 위에 위치하기 때문에 환자의 입과 접촉되지 않는다. 또한, 홈 표면은 작동 부재의 전체 표면보다 더 작은 면적을 가지면서도 여전히 흡입기의 안전하고 신속한 사용을 보장할 수 있다.
유리하게, 정지 위치에서 상부 홈 표면은 커버에 가까운 이의 영역 내에 커버의 닫음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만입부를 갖는다. 만입부 내에서는 측면 홈 표면 쪽을 향하는 측벽이 기울어져 있어서 본체가 눌릴 때 이 측벽이 닫음 부재를 위한 활주 표면을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닫음 부재가 커버와 함께 래칭된 위치 밖으로 들어올려진다.
유리하게, 하부 파트에 래칭된 플레이트는 하부 파트로부터 선회되어 분리될 수 있도록 플레이트가 하부 파트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이러한 선회 기능은 흡입기의 세척을 더 용이하게 만든다. 플레이트와 하부 파트 사이의 결합은 전술된 보유 플랩(flap)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모든 양태에 따르면, 캡슐 홀더를 관통할 수 있는 최소 1개의 핀을 갖는 작동 부재가 하부 파트에 래칭된 플레이트와 함께 선회되어 하부 파트로부터 해제될 수 있게 플레이트에 부착되도록 흡입기를 구성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작동 부재는 2개의 파트가 함께 선회가능한 유닛을 형성하도록 플레이트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도 1)을 참조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1은 작동 부재, 및 그립핑 보조부를 갖는 마우스피스의 분해 조립도이다.
도 1은 당해 흡입기의 분해 조립도를 보여준다. 본질적인 조립체는, 플레이트(3)를 수용하고 이에 의해 덮이는 하부 파트(6), 스크린 하우징(12)의 보유 돌기를 통해 하부 파트(6)에 래칭될 수 있는 마우스피스(2), 및 하부 파트(6)에 보완되도록 형성된 커버(1)이다.
닫힌 위치의 흡입기에서, 커버(1) 위의 닫음 부재(14)는 플레이트(3)에 결합하고 마찰 결합에 의해 거기에 고정된다. 닫음 부재(14) 위에 비드 모양의 구조물을 제공함으로써 연동 결합을 얻을 수도 있다. 커버(1) 위의 닫음 부재(14)를 플레이트(3)에 결합시키기 위해 외부 작동 부재(7)는 만입부를 포함하는데, 닫힘 동작 동안 닫음 부재(14)가 이 만입부 안으로 내려진다. 만입부는 기울어진 측벽을 가지며 커버에서 가장 가까운 영역에 위치된다.
작동 부재는 외부 작동 부재(7)와 내부 작동 부재(10)로 이루어진다. 커버(1)를 열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외부 작동 부재(7)를 흡입기의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누른다. 커버(1) 위의 닫음 부재(14)가 만입부의 기울어진 측벽에 충돌하고 이것은 닫음 부재(14)가 계속 전진할 때 활주 표면으로서 작용하여 커버(1)의 해제를 보장한다.
만입부(16)는 예컨대 스냅 피트 후크, 핀 또는 다른 지지 수단의 형태의 지지물에 의해서 외부 및 내부 작동 부재(7, 10)를 연결한다. 만입부(16)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모양을 가질 수 있다. 타원형은 수평 또는 수직 위치 또는 임의의 위치로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만입부(16)는 축 방향에서의 핀의 최적의 유도를 가능케 하여 캡슐의 정확한 관통을 보장하는 이른바 편장 구멍(oblong hole), 즉 연장된 구멍이다.
하부 파트(6)는 컵 모양이며, 플레이트(3)의 아래쪽에 배치된 캡슐 홀더(5)의 전체를 수용한다. 그러나, 약제가 채워진 캡슐(도시하지 않음)을 캡슐 홀더(5)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마우스피스(2)도 분리되어야 한다. 도 1에 따른 양태에서는 이것을 외부 작동 부재(7)를 실행시킴으로써 달성한다.
이러한 열린 위치의 커버(1) 및 마우스피스(2)에서 캡슐을 플래이트(3) 내의 개구부를 통해 캡슐 홀더(5)에 삽입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마우스피스(2)를 다시 뒤로 선회시키고 플레이트(3) 내의 스크린 하우징(12)의 보유 돌기에 래칭시킴으로써 다시 닫는다. 스크린 하우징(12)은 이의 중앙에 스크리닝 메쉬(13)를 함유한다. 스크리닝 메쉬(13)는 예컨대 금속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표준 시판 재료로 만들어진다. 후자의 경우, 스크린은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활성 물질을 방출하기 위해 외부 작동 부재(7)를 작동시킨다. 이것은 핀 홀더가 힘의 적용점 위 및 버튼의 지지물 아래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내부 작동 부재(10) 위에는 작동 부재(7, 10)가 캡슐(도시하지 않음) 쪽으로 밀어넣어질 때 연속적으로 이동하여 그것을 천공하는 하나 이상의 핀, 바람직하게는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띄운(offset) 2개의 평행한 핀(8, 11)이 존재한다. 천공 과정은 점검창(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관찰할 수 있다.
캡슐 홀더(5) 안에는 핀 또는 핀들(8, 11)의 이동 방향에 따라 축 방향으로 배열된 1개 또는 2개 이상의 관 모양의 핀 통로가 존재한다. 이들은 핀 또는 핀들(8, 11)이 정확하게 캡슐(도시하지 않음)을 향하도록 보장하는 한편 작동 부재(7, 10)의 추가적 유도를 제공한다. 그러나, 본질적 유도는 측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가이드 암(15)에 의해 달성된다. 가이드 암(15)은 또한 작동 부재(7, 10)를 스프링 바이어스 아래에 유지시키는 역할도 한다. 이 목적을 위해 가이드 암(15)은 본체로부터 멀리 떨어진 이들의 말단에, 작동 부재(7, 10)의 정지 위치에서 캡슐 홀더(5)의 가이드 슬리브에 인접하는 말단 정지부를 갖는다. 가이드 슬리브는 캡슐 홀더(5)의 바깥쪽에 위치한다. 가이드 암(15) 사이에는 핀 또는 핀들(8, 11)에 평행하게 이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나선형 스프링(9)이 배치되며, 나선형 스프링(9)은 작동 부개(7, 10)가 정지 위치에서도 장력하에 놓이도록 가이드 암(15)의 길이와 대등한 길이를 갖는다.
하부 파트(6), 플레이트(3), 마우스피스(2) 및 커버(1)로 구성되는 개개의 조립체들은 힌지 홈(hinge recess) 및 스핀들(spindle)(4)에 의해 합체되고 이 스핀들 주위에서 모두 서로에 대해 이동 또는 선회된다.
사용되는 핀은 숙련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핀일 수 있다. 이들은 속이 차거나(solid) 비어 있는 핀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속이 찬 핀이 사용된다. 특히, (마우스피스에 면하는) 상부 핀은 삼각형 첨단을 갖는 삼각형 핀일 수 있다. 하부 핀은 예컨대 독일 DIN 표준에 규정된 표준 첨단을 갖는 표준 핀일 수 있다. 달리, 상부 핀은 표준 첨단을 갖는 표준 핀이고 하부 핀은 삼각형 첨단을 갖는 삼각형 핀일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서 삼각형 첨단을 갖는 삼각형 핀 두 개를 사용하거나 표준 첨단을 갖는 표준 핀 두 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사용되는 캡슐은 분말 흡입기의 기술에 공지된 임의의 캡슐(예: (경질) 젤라틴, 플라스틱 또는 금속 캡슐)일 수 있다. 특히, 국제 공개 WO 제00/07572호, 유럽 특허 EP 제1 100 47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플라스틱 캡슐을 본 발명에 따른 흡입기에 사용할 수 있다.
흡입기는 점검창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흡입기가 의도된 방식으로 기능하는 데에 필수적이지 않다.
유사하게, 흡입기의 모든 부재들은 플라스틱 기술에서의 이용 가능성에 따라서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으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변형은 예컨대 벽 두께의 보강 또는 변화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들 가능성은 흡입기의 작동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다.
흡입기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이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피복될 수도 있다.
이것은 치료학적으로 흡입에 의한 투여가 권장되는 모든 종류의 분말 약제의 흡입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아래에 열거된 화합물들이 단독으로 또는 병용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아래에 언급된 화합물들에서, W는 약물학적 활성 성분으로 (예컨대) 베타미메틱, 항콜린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PDE4-억제제, LTD4-길항제, EGFR-억제제, 도파민 작용제, H1-항히스타민, PAF-길항제 및 PI3-키나제 억제제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2 또는 3종의 W의 병용물을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사용할 수 있다. W의 병용물은 예컨대,
- 베타미메틱과, 항콜린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PDE4-억제제, EGFR-억제제 또는 LTD4-길항제의 병용물,
- 항콜린제와, 베타미메틱, 코르티코스테로이드, PDE4-억제제, EGFR-억제제 또는 LTD4-길항제의 병용물,
- 코르티코스테로이드와, PDE4-억제제, EGFR-억제제 또는 LTD4-길항제의 병용물,
- PDE4-억제제와, EGFR-억제제 또는 LTD4-길항제의 병용물,
- EGFR-억제제와 LTD4-길항제의 병용물일 수 있다.
베타미메틱으로서 사용되는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알부테롤, 아포모테롤, 밤부테롤, 비톨테롤, 브록사테롤, 카부테롤, 클렌부테롤, 페노테롤, 포모테롤, 헥소프레날린, 이부테롤, 이소에타린, 이소프레날린, 레보살부타몰, 마부테롤, 멜루아드린, 메타프로테레놀, 오르시프레날린, 피르부테롤, 프로카테롤, 레프로테롤, 리미테롤, 리토드린, 살메파몰, 살메테롤, 소테레놀, 설폰테롤, 테르부탈린, 티아라미드, 톨루부테롤, 진테롤, CHF-1035, HOKU-81, KUL-1248 및
- 3-(4-{6-[2-하이드록시-2-(4-하이드록시-3-하이드록시메틸-페닐)-에틸아미노]-헥실옥시}-부틸)-벤질-설폰아미드,
- 5-[2-(5,6-디에틸-인단-2-일아미노)-1-하이드록시-에틸]-8-하이드록시-1H-퀴놀린-2-온,
- 4-하이드록시-7-[2-{[2-{[3-(2-페닐에톡시)프로필]설포닐}에틸]-아미노}에틸]-2(3H)-벤조티아졸론,
- 1-(2-플루오로-4-하이드록시페닐)-2-[4-(1-벤즈이미다졸릴)-2-메틸-2-부틸아미노]에탄올,
- 1-[3-(4-메톡시벤질-아미노)-4-하이드록시페닐]-2-[4-(1-벤즈이미다졸릴)-2-메틸-2-부틸아미노]에탄올,
- 1-[2H-5-하이드록시-3-옥소-4H-1,4-벤족사진-8-일]-2-[3-(4-N,N-디메틸아미노페닐)-2-메틸-2-프로필아미노]에탄올,
- 1-[2H-5-하이드록시-3-옥소-4H-1,4-벤족사진-8-일]-2-[3-(4-메톡시페닐)-2-메틸-2-프로필아미노]에탄올,
- 1-[2H-5-하이드록시-3-옥소-4H-1,4-벤족사진-8-일]-2-[3-(4-n-부틸옥시페닐)-2-메틸-2-프로필아미노]에탄올,
- 1-[2H-5-하이드록시-3-옥소-4H-1,4-벤족사진-8-일]-2-{4-[3-(4-메톡시페닐)-1,2,4-트리아졸-3-일]-2-메틸-2-부틸아미노}에탄올,
- 5-하이드록시-8-(1-하이드록시-2-이소프로필아미노부틸)-2H-1,4-벤족사진-3-(4H)-온,
- 1-(4-아미노-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3급-부틸아미노)에탄올,
- 6-하이드록시-8-{1-하이드록시-2-[2-(4-메톡시-페닐)-1,1-디메틸-에틸아미노]-에틸}-4H-벤조[1,4]옥사진-3-온,
- 6-하이드록시-8-{1-하이드록시-2-[2-(에틸-4-페녹시-아세테이트)-1,1-디메틸-에틸아미노]-에틸}-4H-벤조[1,4]옥사진-3-온,
- 6-하이드록시-8-{1-하이드록시-2-[2-(4-페녹시-아세트산)-1,1-디메틸-에틸아미노]-에틸}-4H-벤조[1,4]옥사진-3-온,
- 8-{2-[1,1-디메틸-2-(2,4,6-트리메틸페닐)-에틸아미노]-1-하이드록시-에틸}-6-하이드록시-4H-벤조[1,4]옥사진-3-온,
- 6-하이드록시-8-{1-하이드록시-2-[2-(4-하이드록시-페닐)-1,1-디메틸-에틸아미노]-에틸}-4H-벤조[1,4]옥사진-3-온,
- 6-하이드록시-8-{1-하이드록시-2-[2-(4-이소프로필-페닐)-1,1-디메틸-에틸아미노]-에틸}-4H-벤조[1,4]옥사진-3-온,
- 8-{2-[2-(4-에틸-페닐)-1,1-디메틸-에틸아미노]-1-하이드록시-에틸}-6-하이드록시-4H-벤조[1,4]옥사진-3-온,
- 8-{2-[2-(4-에톡시-페닐)-1,1-디메틸-에틸아미노]-1-하이드록시-에틸}-6-하이드록시-4H-벤조[1,4]옥사진-3-온,
- 4-(4-{2-[2-하이드록시-2-(6-하이드록시-3-옥소-3,4-디하이드로-2H-벤조[1,4]옥사진-8-일)-에틸아미노]-2-메틸-프로필}-페녹시)-부티르산,
- 8-{2-[2-(3,4-디플루오로-페닐)-1,1-디메틸-에틸아미노]-1-하이드록시-에틸}-6-하이드록시-4H-벤조[1,4]옥사진-3-온,
- 1-(4-에톡시-카보닐아미노-3-시아노-5-플루오로페닐)-2-(3급-부틸아미노)에탄올,
- 2-하이드록시-5-(1-하이드록시-2-{2-[4-(2-하이드록시-2-페닐-에틸아미노)-페닐]-에틸아미노}-에틸)-벤즈알데히드,
- N-[2-하이드록시-5-(1-하이드록시-2-{2-[4-(2-하이드록시-2-페닐-에틸아미노)-페닐]-에틸아미노}-에틸)-페닐]-포름아미드,
- 8-하이드록시-5-(1-하이드록시-2-{2-[4-(6-메톡시-비페닐-3-일아미노)-페닐]-에틸아미노}-에틸)-1H-퀴놀린-2-온,
- 8-하이드록시-5-[1-하이드록시-2-(6-페네틸아미노-헥실아미노)-에틸]-1H-퀴놀린-2-온,
- 5-[2-(2-{4-[4-(2-아미노-2-메틸-프로폭시)-페닐아미노]-페닐}-에틸아미노)-1-하이드록시-에틸]-8-하이드록시-1H-퀴놀린-2-온,
- [3-(4-{6-[2-하이드록시-2-(4-하이드록시-3-하이드록시메틸-페닐)-에틸아미노]-헥실옥시}-부틸)-5-메틸-페닐]-우레아,
- 4-(2-{6-[2-(2,6-디클로로-벤질옥시)-에톡시]-헥실아미노}-1-하이드록시-에틸)-2-하이드록시메틸-페놀,
- 3-(4-{6-[2-하이드록시-2-(4-하이드록시-3-하이드록시메틸-페닐)-에틸아미노]-헥실옥시}-부틸)-벤질설폰아미드,
- 3-(3-{7-[2-하이드록시-2-(4-하이드록시-3-하이드록시메틸-페닐)-에틸아미노]-헵틸옥시}-프로필)-벤질설폰아미드,
- 4-(2-{6-[4-(3-사이클로펜탄설포닐-페닐)-부톡시]-헥실아미노}-1-하이드록시-에틸)-2-하이드록시메틸-페놀,
- N-아다만탄-2-일-2-(3-{2-[2-하이드록시-2-(4-하이드록시-3-하이드록시메틸-페닐)-에틸아미노]-프로필}-페닐)-아세트아미드, 임의로 이들의 라세미체, 에난티오머, 디아스테레오머 형태 및 임의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들의 산 부가염, 용매화물 또는 수화물 형태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타미메틱의 산 부가염은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하이드로요오다이드, 하이드로설페이트, 하이드로포스페이트, 하이드로메탄설포네이트, 하이드로니트레이트, 하이드로말레에이트, 하이드로아세테이트, 하이드로시트레이트, 하이드로푸마레이트, 하이드로타르트레이트, 하이드로옥살레이트, 하이드로석시네이트, 하이드로벤조에이트 및 하이드로-p-톨루엔설포네이트로부터 선택된다.
사용되는 항콜린제는 바람직하게는 티오트로퓸 염, 바람직하게는 브로마이드 염, 옥시트로퓸 염, 바람직하게는 브로마이드 염, 플루트로퓸 염, 바람직하게는 브로마이드 염, 이프라트로퓸 염, 바람직하게는 브로마이드 염, 글리코피로늄 염, 바람직하게는 브로마이드 염, 트로스퓸 염, 바람직하게는 클로라이드 염, 톨테로딘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이다. 상기 언급된 염에서 양이온은 약리학적 활성 성분이다. 음이온으로서 상기 언급된 염은 바람직하게는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요오다이드, 설페이트, 포스페이트, 메탄설포네이트, 니트레이트, 말레에이트, 아세테이트, 시트레이트, 푸마레이트, 타르트레이트, 옥살레이트, 석시네이트, 벤조에이트 또는 p-톨루엔설포네이트를 함유할 수 있고,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요오다이드, 설페이트, 메탄설포네이트 또는 p-톨루엔설포네이트는 카운터이온으로서 바람직하다. 모든 염 중에서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요오다이드 및 메탄설포네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다른 바람직한 항콜린제는 화학식 AC-1의 염으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112010003706731-pct00001
(위 화학식에서, X-는 단일 음전하를 갖는 음이온, 바람직하게는 플루오라이드,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요오다이드, 설페이트, 포스페이트, 메탄설포네이트, 니트레이트, 말레에이트, 아세테이트, 시트레이트, 푸마레이트, 타르트레이트, 옥살레이트, 석시네이트, 벤조에이트 및 p-톨루엔설포네이트로부터 선택된 음이온, 특히 바람직하게는 플루오라이드,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메탄설포네이트 및 p-톨루엔설포네이트로부터 선택된 음이온, 특히 바람직하게는 브로마이드, 임의로 이들의 라세미체, 에난티오머 또는 수화물 형태인 음이온을 의미한다) 화학식 AC-1-엔의 에난티오머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병용물이 특히 중요하다.
Figure 112010003706731-pct00002
(위 화학식에서, X-는 앞서 언급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항콜린제는 화학식 AC-2의 염으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112010003706731-pct00003
(위 화학식에서, R은 메틸 또는 에틸이고, X-는 앞서 언급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화학식 AC-2의 화합물은 화학식 AC-2-염기의 유리 염기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Figure 112010003706731-pct00004
다른 특정한 화합물들은,
- 트로페놀 2,2-디페닐프로피오네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스코핀 2,2-디페닐프로피오네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스코핀 2-플루오로-2,2-디페닐아세테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트로페놀 2-플루오로-2,2-디페닐아세테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트로페놀 3,3',4,4'-테트라플루오로벤질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스코핀 3,3',4,4'-테트라플루오로벤질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트로페놀 4,4'-디플루오로벤질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스코핀 4,4'-디플루오로벤질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트로페놀 3,3'-디플루오로벤질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스코핀 3,3'-디플루오로벤질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트로페놀 9-하이드록시-플루오렌-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트로페놀 9-플루오로-플루오렌-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스코핀 9-하이드록시-플루오렌-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스코핀 9-플루오로-플루오렌-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트로페놀 9-메틸-플루오렌-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스코핀 9-메틸-플루오렌-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사이클로프로필트로핀 벤질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사이클로프로필트로핀 2,2-디페닐프로피오네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사이클로프로필트로핀 9-하이드록시-크산텐-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사이클로프로필트로핀 9-메틸-플루오렌-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사이클로프로필트로핀 9-메틸-크산텐-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사이클로프로필트로핀 9-하이드록시-플루오렌-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사이클로프로필트로핀 메틸 4,4'-디플루오로벤질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트로페놀 9-하이드록시-크산텐-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스코핀 9-하이드록시-크산텐-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트로페놀 9-메틸-크산텐-9-카복실레이트-메토브로마이드,
- 스코핀 9-메틸-크산텐-9-카복실레이트-메토브로마이드,
- 트로페놀 9-에틸-크산텐-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트로페놀 9-디플루오로메틸-크산텐-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 스코핀 9-하이드록시메틸-크산텐-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이다.
상기 화합물들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염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는데, 메토브로마이드 대신 메토-X 염(여기서, X는 상기 X-에 대해 언급된 정의를 가질 수 있다)이 사용된다.
코르티코스테로이드로는 베클로메타손, 베타메타손, 부데소나이드, 부틱소코르트, 시클레소나이드, 데플라자코르트, 덱사메타손, 에티프레드놀, 플루니솔라이드, 플루티카손, 로테프레드놀, 모메타손, 프레드니솔론, 프레드니손, 로플레포나이드, 트리암시놀론, RPR-106541, NS-126, ST-26 및
- (S)-플루오로메틸 6,9-디플루오로-17-[(2-푸라닐카보닐)옥시]-11-하이드록시-16-메틸-3-옥소-안드로스타-1,4-디엔-17-카보티오네이트,
- (S)-(2-옥소-테트라하이드로-푸란-3S-일) 6,9-디플루오로-11-하이드록시-16-메틸-3-옥소-17-프로피오닐옥시-안드로스타-1,4-디엔-17-카보티오네이트,
- 시아노메틸
Figure 112010003706731-pct00005
-디플루오로-11β-하이드록시-
Figure 112010003706731-pct00006
-메틸-3-옥소-
Figure 112010003706731-pct00007
-(2,2,3,3-테트라메틸사이클로프로필카보닐)옥시-안드로스타-1,4-디엔-17β-카복실레이트, 임의로 이들의 라세미체, 에난티오머 또는 디아스테레오머 형태 및 임의로 이들의 염 및 유도체, 및 이들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 형태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테로이드에 대한 모든 언급은 존재가능한 이들의 임의의 염 또는 유도체,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포함한다. 스테로이드의 가능한 염 및 유도체의 예로는 알칼리 금속 염, 예컨대 나트륨 또는 칼륨 염, 설포벤조에이트, 포스페이트, 이소니코티네이트, 아세테이트, 디클로로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팔미테이트, 피발레이트 또는 푸로에이트를 들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PDE4-억제제는 바람직하게는 엔프로필린, 테오필린, 로플루밀라스트, 아리플로(실로밀라스트), 토피밀라스트, 푸마펜트린, 리리밀라스트, 아로필린, 아티조람, D-4418, Bay-198004, BY343, CP-325.366, D-4396(Sch-351591), AWD-12-281(GW-842470), NCS-613, CDP-840, D-4418, PD-168787, T-440, T-2585, V-11294A, Cl-1018, CDC-801, CDC-3052, D-22888, YM-58997, Z-15370 및
- N-(3,5-디클로로-1-옥소-피리딘-4-일)-4-디플루오로메톡시-3-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벤즈아미드,
- (-)p-[(4aR*,10bS*)-9-에톡시-1,2,3,4,4a,10b-헥사하이드로-8-메톡시-2-메틸벤조[s][1,6]나프티리딘-6-일]-N,N-디이소프로필벤즈아미드,
- (R)-(+)-1-(4-브로모벤질)-4-[(3-사이클로펜틸옥시)-4-메톡시페닐]-2-피롤리돈,
- 3-(사이클로펜틸옥시-4-메톡시페닐)-1-(4-N'-[N-2-시아노-S-메틸-이소티오우레이도]벤질)-2-피롤리돈,
- 시스[4-시아노-4-(3-사이클로펜틸옥시-4-메톡시페닐)사이클로헥산-1-카복실산],
- 2-카보메톡시-4-시아노-4-(3-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사이클로헥산-1-온,
- 시스[4-시아노-4-(3-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사이클로헥산-1-올],
- (R)-(+)-에틸[4-(3-사이클로펜틸옥시-4-메톡시페닐)피롤리딘-2-일리덴]아세테이트,
- (S)-(-)-에틸[4-(3-사이클로펜틸옥시-4-메톡시페닐)피롤리딘-2-일리덴]아세테이트,
- 9-사이클로펜틸-5,6-디하이드로-7-에틸-3-(2-티에닐)-9H-피라졸로[3.4-c]-1,2,4-트리아졸로[4.3-a]피리딘,
- 9-사이클로펜틸-5,6-디하이드로-7-에틸-3-(3급-부틸)-9H-피라졸로[3.4-c]-1,2,4-트리아졸로[4.3-a]피리딘, 임의로 이들의 라세미체, 에난티오머 또는 디아스테레오머 형태 및 임의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들의 산 부가염, 이들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 형태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PDE4 억제제의 산 부가염은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하이드로요오다이드, 하이드로설페이트, 하이드로포스페이트, 하이드로메탄설포네이트, 하이드로니트레이트, 하이드로말레에이트, 하이드로아세테이트, 하이드로시트레이트, 하이드로푸마레이트, 하이드로타르트레이트, 하이드로옥살레이트, 하이드로석시네이트, 하이드로벤조에이트 및 하이드로-p-톨루엔설포네이트로부터 선택된다.
사용되는 LTD4-길항제는 바람직하게는 몬테루카스트, 프란루카스트, 자피르루카스트, MCC-847(ZD-3523), MN-001, MEN-91507(LM-1507), VUF-5078, VUF-K-8707, L-733321 및
- 1-(((R)-(3-(2-(6,7-디플루오로-2-퀴놀리닐)에테닐)페닐)-3-(2-(2-하이드록시-2-프로필)페닐)티오)-메틸사이클로프로판-아세트산,
- 1-(((1(R)-3(3-(2-(2,3-디클로로티에노[3,2-b]피리딘-5-일)-(E)-에테닐)페닐)-3-(2-(1-하이드록시-1-메틸에틸)페닐)-프로필)티오)메틸)사이클로프로판아세트산,
- [2-[[2-(4-3급-부틸-2-티아졸릴)-5-벤조푸라닐]옥시메틸]페닐]-아세트산, 임의로 이들의 라세미체, 에난티오머 또는 디아스테레오머 형태 및 임의로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이들의 산 부가염,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 형태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들 산 부가염은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하이드로요오다이드, 하이드로설페이트, 하이드로포스페이트, 하이드로메탄설포네이트, 하이드로니트레이트, 하이드로말레에이트, 하이드로아세테이트, 하이드로시트레이트, 하이드로푸마레이트, 하이드로타르트레이트, 하이드로옥살레이트, 하이드로석시네이트, 하이드로벤조에이트 및 하이드로-p-톨루엔설포네이트로부터 선택된다. LTD4-길항제가 임의로 형성할 수 있는 염 또는 유도체는 예를 들면 알칼리 금속 염, 예컨대 나트륨 또는 칼륨 염, 알칼리 토금속 염, 설포벤조에이트, 포스페이트, 이소니코티네이트,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팔미테이트, 피발레이트 또는 푸로에이트이다.
사용될 수 있는 EGFR-억제제는 바람직하게는 세툭시맙, 트라스투주맙, ABX-EGF, Mab ICR-62 및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모르폴린-4-일)-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N,N-디에틸아미노)-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N,N-디메틸아미노)-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퀴나졸린,
- 4-[(R)-(1-페닐-에틸)아미노]-6-{[4-(모르폴린-4-일)-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펜틸옥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R)-6-메틸-2-옥소-모르폴린-4-일)-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R)-6-메틸-2-옥소-모르폴린-4-일)-1-옥소-2-부텐-1-일]아미노}-7-[(S)-(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옥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R)-2-메톡시메틸-6-옥소-모르폴린-4-일)-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2-((S)-6-메틸-2-옥소-모르폴린-4-일)-에톡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N-(2-메톡시-에틸)-N-메틸-아미노]-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N,N-디메틸아미노)-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펜틸옥시-퀴나졸린,
- 4-[(R)-(1-페닐-에틸)아미노]-6-{[4-(N,N-비스-(2-메톡시-에틸)-아미노)-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퀴나졸린,
- 4-[(R)-(1-페닐-에틸)아미노]-6-({4-[N-(2-메톡시-에틸)-N-에틸-아미노]-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퀴나졸린,
- 4-[(R)-(1-페닐-에틸)아미노]-6-({4-[N-(2-메톡시-에틸)-N-메틸-아미노]-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퀴나졸린,
- 4-[(R)-(1-페닐-에틸)아미노]-6-({4-[N-(테트라하이드로피란-4-일)-N-메틸-아미노]-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N,N-디메틸아미노)-1-옥소-2-부텐-1-일]아미노}-7-((R)-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옥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N,N-디메틸아미노)-1-옥소-2-부텐-1-일]아미노}-7-((S)-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옥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N-(2-메톡시-에틸)-N-메틸-아미노]-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펜틸옥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N-사이클로프로필-N-메틸-아미노)-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펜틸옥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N,N-디메틸아미노)-1-옥소-2-부텐-1-일]아미노}-7-[(R)-(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N,N-디메틸아미노)-1-옥소-2-부텐-1-일]아미노}-7-[(S)-(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톡시]-퀴나졸린,
- 4-[(3-에티닐-페닐)아미노]-6,7-비스-(2-메톡시-에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7-[3-(모르폴린-4-일)-프로필옥시]-6-[(비닐-카보닐)아미노]-퀴나졸린,
- 4-[(R)-(1-페닐-에틸)아미노]-6-(4-하이드록시-페닐)-7H-피롤로[2,3-d]피리미딘,
- 3-시아노-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N,N-디메틸아미노)-1-옥소-2-부텐-1-일]아미노}-7-에톡시-퀴놀린,
- 4-{[3-클로로-4-(3-플루오로-벤질옥시)-페닐]아미노}-6-(5-{[(2-메탄설포닐에틸)아미노]메틸}-푸란-2-일)퀴나졸린,
- 4-[(R)-(1-페닐-에틸)아미노]-6-{[4-((R)-6-메틸-2-옥소-모르폴린-4-일)-1-옥소-2-부텐-1-일]아미노}-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모르폴린-4-일)-1-옥소-2-부텐-1-일]-아미노}-7-[(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N,N-비스-(2-메톡시-에틸)-아미노]-1-옥소-2-부텐-1-일}아미노)-7-[(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톡시]-퀴나졸린,
- 4-[(3-에티닐-페닐)아미노]-6-{[4-(5,5-디메틸-2-옥소-모르폴린-4-일)-1-옥소-2-부텐-1-일]아미노}-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2-(2,2-디메틸-6-옥소-모르폴린-4-일)-에톡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2-(2,2-디메틸-6-옥소-모르폴린-4-일)-에톡시]-7-[(R)-(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7-[2-(2,2-디메틸-6-옥소-모르폴린-4-일)-에톡시]-6-[(S)-(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2-[4-(2-옥소-모르폴린-4-일)-피페리딘-1-일]-에톡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3급-부틸옥시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트랜스-4-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트랜스-4-메탄설포닐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테트라하이드로피란-3-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메틸-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모르폴린-4-일)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메톡시메틸)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피페리딘-3-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2-아세틸아미노-에틸)-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테트라하이드로피란-4-일옥시)-7-에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S)-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옥시)-7-하이드록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테트라하이드로피란-4-일옥시)-7-(2-메톡시-에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트랜스-4-[(디메틸아미노)설포닐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트랜스-4-[(모르폴린-4-일)카보닐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트랜스-4-[(모르폴린-4-일)설포닐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테트라하이드로피란-4-일옥시)-7-(2-아세틸아미노-에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테트라하이드로피란-4-일옥시)-7-(2-메탄설포닐아미노-에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피페리딘-1-일)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아미노카보닐메틸-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시스-4-{N-[(테트라하이드로피란-4-일)카보닐]-N-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시스-4-{N-[(모르폴린-4-일)카보닐]-N-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시스-4-{N-[(모르폴린-4-일)설포닐]-N-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 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트랜스-4-에탄설포닐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메탄설포닐-피페리딘-4-일옥시)-7-에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메탄설포닐-피페리딘-4-일옥시)-7-(2-메톡시-에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2-메톡시-아세틸)-피페리딘-4-일옥시]-7-(2-메톡시-에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시스-4-아세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에티닐-페닐)아미노]-6-[1-(3급-부틸옥시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에티닐-페닐)아미노]-6-(테트라하이드로피란-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시스-4-{N-[(피페리딘-1-일)카보닐]-N-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시스-4-{N-[(4-메틸-피페라진-1-일)카보닐]-N-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시스-4-[(모르폴린-4-일)카보닐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2-(2-옥소피롤리딘-1-일)에틸]-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모르폴린-4-일)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2-메톡시-에톡시)-퀴나졸린,
- 4-[(3-에티닐-페닐)아미노]-6-(1-아세틸-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에티닐-페닐)아미노]-6-(1-메틸-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에티닐-페닐)아미노]-6-(1-메탄설포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메틸-피페리딘-4-일옥시)-7(2-메톡시-에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이소프로필옥시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시스-4-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시스-4-[N-(2-메톡시-아세틸)-N-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에티닐-페닐)아미노]-6-(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에티닐-페닐)아미노]-6-[1-(2-메톡시-아세틸)-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에티닐-페닐)아미노]-6-{1-[(모르폴린-4-일)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시스-2,6-디메틸-모르폴린-4-일)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2-메틸-모르폴린-4-일)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S,S)-(2-옥사-5-아자-비사이클로[2,2,1]헵트-5-일)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N-메틸-N-2-메톡시에틸-아미노)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에틸-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2-메톡시에틸)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3-메톡시프로필-아미노)-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시스-4-(N-메탄설포닐-N-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시스-4-(N-아세틸-N-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트랜스-4-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트랜스-4-(N-메탄설포닐-N-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트랜스-4-디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트랜스-4-{N-[(모르폴린-4-일)카보닐]-N-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2-(2,2-디메틸-6-옥소-모르폴린-4-일)-에톡시]-7-[(S)-(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메탄설포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시아노-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임의로 이들의 라세미체, 에난티오머, 디아스테레오머 형태 및 임의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들의 산 부가염, 용매화물 또는 수화물 형태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들 산 부가염은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하이드로요오다이드, 하이드로설페이트, 하이드로포스페이트, 하이드로메탄설포네이트, 하이드로니트레이트, 하이드로말레에이트, 하이드로아세테이트, 하이드로시트레이트, 하이드로푸마레이트, 하이드로타르트레이트, 하이드로옥살레이트, 하이드로석시네이트, 하이드로벤조에이트 및 하이드로-p-톨루엔설포네이트로부터 선택된다.
사용되는 도파민 작용제는 바람직하게는 브로모크립틴, 카베르골린, 알파-디하이드로에르고크립틴, 리수라이드, 퍼골라이드, 프라미펙솔, 록신돌, 로피니롤, 탈리펙솔, 테르구리드 및 비오잔, 임의로 이들의 라세미체, 에난티오머, 디아스테레오머 형태 및 임의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들의 산 부가염, 용매화물 또는 수화물 형태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들 산 부가염은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하이드로요오다이드, 하이드로설페이트, 하이드로포스페이트, 하이드로메탄설포네이트, 하이드로니트레이트, 하이드로말레에이트, 하이드로아세테이트, 하이드로시트레이트, 하이드로푸마레이트, 하이드로타르트레이트, 하이드로옥살레이트, 하이드로석시네이트, 하이드로벤조에이트 및 하이드로-p-톨루엔설포네이트로부터 선택된다.
사용될 수 있는 H1-항히스타민은 바람직하게는 에피나스틴, 세티리진, 아젤라스틴, 펙소페나딘, 레보카바스틴, 로라타딘, 미졸라스틴, 케토티펜, 에메다스틴, 디메틴덴, 클레마스틴, 바미핀, 섹스클로르페니라민, 페니라민, 독실아민, 클로로페녹사민, 디멘하이드리네이트, 디펜하이드라민, 프로메타진, 에바스틴, 데스로라티딘 및 메클로진, 임의로 이들의 라세미체, 에난티오머, 디아스테레오머 형태 및 임의로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이들의 산 부가염, 용매화물 또는 수화물 형태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들 산 부가염은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하이드로요오다이드, 하이드로설페이트, 하이드로포스페이트, 하이드로메탄설포네이트, 하이드로니트레이트, 하이드로말레에이트, 하이드로아세테이트, 하이드로시트레이트, 하이드로푸마레이트, 하이드로타르트레이트, 하이드로옥살레이트, 하이드로석시네이트, 하이드로벤조에이트 및 하이드로-p-톨루엔설포네이트로부터 선택된다.
사용되는 약제학적 활성 물질, 물질 조성물(formulation) 또는 물질 혼합물은 예컨대 유럽 특허 EP 제1 003 47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흡입가능한 거대분자를 포함하는 임의의 흡입가능한 화합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흡입에 의해 사용되는 물질, 물질 조성물 또는 물질 혼합물은 호흡기 질환을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화합물은 맥각 알칼로이드 유도체, 트립탄, CGRP-억제제, 포스포디에스테라제-V 억제제, 임의로 이들의 라세미체, 에난티오머 또는 디아스테레오머 형태 및 임의로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이들의 산 부가염,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 형태의 그룹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맥각 알칼로이드 유도체의 예는 디하이드로에르고타민 및 에르고타민이다.
1 커버
2 마우스피스
3 플레이트
4 스핀들
5 캡슐 홀더
6 하부 파트
7 외부 작동 부재
8 핀
9 나선형 스프링
10 내부 작동 부재
11 핀
12 스크린 하우징
13 스크리닝 메쉬
14 닫음 부재
15 가이드 암 또는 암들
16 만입부

Claims (14)

  1. - 하부 파트(6),
    - 하부 파트(6)에 래칭(latching)됨으로써 하부 파트(6)를 차단시킬 수 있는 플레이트(3), 및 하부 파트(6) 안으로 내려질 수 있는 캡슐 고정용 캡슐 홀더(5),
    - 플레이트(3)에 래칭될 수 있는 마우스피스(2), 및
    - 정지 위치로부터 움직일 수 있고, 캡슐 홀더(5) 안으로 밀어 넣어질 수 있는 핀 홀더 내의 하나 이상의 핀(8, 11)과 상호작용하는 작동 부재(actuating member)를 포함하고,
    외부 작동 부재(7)가 넓어지고, 핀 홀더가 힘의 적용점 위 및 누름 버튼의 지지물(suspension) 아래에 놓이도록 외부 작동 부재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로부터 분말 약제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기.
  2. 제1항에 있어서, 외부 작동 부재(7)를 이동시킴으로써 캡슐 홀더(5) 내의 캡슐을 천공하기 위하여 10 내지 25N의 힘을 가해야 함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3. 제1항에 있어서, 작동 부재(7, 10)가 캡슐 홀더(5) 위에 이동가능한 방식으로 탑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작동 부재(7, 10)에 스프링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5. 제1항에 있어서, 작동 부재가 환자에 의해 작동되는 외부 작동 부재(7)와, 외부 작동 부재(7)에 부착되고 가이드 암(guide arm)(15) 및 핀(8, 11)을 갖는 핀 홀더를 함유하는 내부 작동 부재(10)의 투 파트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6. 제5항에 있어서, 외부 작동 부재(7)가 홈이 파여 있고, 하나 이상의 측면 홈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기가, 닫힌 위치에서 마우스피스(2)를 덮고 닫음 부재(closure element: 14)에 의해 래칭되는 커버(1)를 갖고, 외부 작동 부재(7)는, 이의 상측에, 닫음 부재(14)를 위한 활주 표면을 경사면의 형태로 형성하도록 기울어져 있는 만입부(recess)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8. 제1항에 있어서, 외부 작동 부재(7)의 작동에 의해 이동하여 캡슐을 천공하는 1개 또는 2개 이상의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띄운(offset) 평행한 핀(8, 11)을 사용하여 캡슐의 관통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9. 제8항에 있어서, 캡슐 홀더 안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관 모양의 핀 통로가 존재하고, 작동시 핀 또는 핀들(8, 11)이 상기 관 모양의 핀 통로를 통해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10. 제5항에 있어서, 가이드 암(15)이 본체로부터 멀리 떨어진 말단에 말단 정지부를 갖고, 상기 말단 정지부는 작동 부재(7, 10)의 정지 위치에서 캡슐 홀더(5)의 가이드 슬리브에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캡슐이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12.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분말 약제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기.
  13.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작동 부재가 작동될 때, 외부 작동 부재(7)가 원의 일부를 따라 이동하여 내부 작동 부재(10) 위로 눌린 후, 이것이 일직선으로 이동하여 핀을 캡슐 안으로 밀어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14. 제1항에 있어서, 작동 부재(7, 10)가 플레이트(3) 위에 이동가능한 방식으로 탑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KR1020107001285A 2007-07-20 2008-07-17 분말 흡입기 KR1014961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33861.0 2007-07-20
DE102007033861A DE102007033861A1 (de) 2007-07-20 2007-07-20 Pulverinhalator
DE102007036411A DE102007036411A1 (de) 2007-07-20 2007-08-02 Pulverinhalator
DE102007036411.5 2007-08-02
PCT/EP2008/059388 WO2009013218A1 (de) 2007-07-20 2008-07-17 Pulverinhal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7612A KR20100037612A (ko) 2010-04-09
KR101496196B1 true KR101496196B1 (ko) 2015-02-26

Family

ID=39791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1285A KR101496196B1 (ko) 2007-07-20 2008-07-17 분말 흡입기

Country Status (25)

Country Link
US (1) US8539947B2 (ko)
EP (1) EP2178589B1 (ko)
JP (1) JP4995324B2 (ko)
KR (1) KR101496196B1 (ko)
CN (1) CN101754780B (ko)
AR (1) AR067618A1 (ko)
AU (1) AU2008280193B2 (ko)
BR (2) BRPI0814536B8 (ko)
CA (1) CA2699982C (ko)
CL (1) CL2008002137A1 (ko)
CO (1) CO6290711A2 (ko)
DE (1) DE102007036411A1 (ko)
DK (1) DK2178589T3 (ko)
EA (1) EA017563B1 (ko)
EC (1) ECSP099830A (ko)
EG (1) EG25932A (ko)
ES (1) ES2465674T3 (ko)
MA (1) MA31528B1 (ko)
NZ (1) NZ583349A (ko)
PE (1) PE20090752A1 (ko)
PL (1) PL2178589T3 (ko)
TN (1) TN2010000027A1 (ko)
TW (1) TW200922644A (ko)
UY (1) UY31234A1 (ko)
WO (1) WO20090132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R200803522A1 (tr) * 2008-05-16 2009-12-21 Bi̇lgi̇ç Mahmut Kolay kullanımlı inhalasyon cihazı.
US8746244B2 (en) 2009-10-02 2014-06-10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Powder inhaler
PT105065B (pt) 2010-04-26 2012-07-31 Hovione Farmaciencia S A Um inalador simples de cápsulas
GB201020638D0 (en) * 2010-12-06 2011-01-19 Liconsa Laboratorios Sa Inhalator
USD739522S1 (en) * 2013-06-06 2015-09-22 Lupin Atlantis Holdings Sa Inhaler
AU356644S (en) * 2014-01-28 2014-07-29 Lupin Ltd Inhaler
AU356657S (en) * 2014-01-28 2014-07-29 Lupin Ltd Inhaler
AU356658S (en) * 2014-01-28 2014-07-29 Lupin Ltd Inhaler
AU355712S (en) * 2014-02-20 2014-05-22 Lupin Ltd Part of inhaler
US20180344956A1 (en) * 2016-07-01 2018-12-06 Cai Gu Huang Inhaler Device for Administering Powere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via Inhalation
EP3481471B1 (en) 2016-07-07 2020-08-26 Philip Morris Products S.a.s. Nicotine inhaler system
PL3284499T3 (pl) * 2016-08-15 2019-11-29 Tiefenbacher Alfred E Gmbh & Co Kg Inhalator suchego proszku z odtwarzalnym oporem przepływu
USD831190S1 (en) * 2016-11-08 2018-10-16 Alfred Von Schuckmann Inhaler
PL234586B1 (pl) * 2017-08-31 2020-03-31 Pulinno Spolka Z Ograniczona Odpowiedzialnoscia Inhalator pojedynczej dawki suchego proszku
CN109758653A (zh) * 2019-02-27 2019-05-17 浙江百安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穿刺吸入粉雾剂胶囊的针及其给药装置
USD1010101S1 (en) 2020-09-18 2024-01-02 Trudell Medical International Holding chamber
CN112587786B (zh) * 2020-12-14 2022-07-05 梁瑶 呼吸皮囊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11025A (ja) * 1995-06-30 1998-10-27 アスタ メディカ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ブリスターパックから薬剤を投与するための吸入器
US20030070679A1 (en) 2001-06-01 2003-04-17 Boehringer Ingelheim Pharma Kg Capsules containing inhalable tiotropium
JP2006516135A (ja) 2002-12-20 2006-06-22 ベーリンガー インゲルハイム ファルマ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トゲゼルシャフト チオトロピウム塩とキシナホ酸サルメテロールとを含む吸入用粉末医薬品
JP2007509670A (ja) 2003-11-08 2007-04-19 ベーリンガー インゲルハイ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粉末吸入器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03679A (en) * 1964-12-11 1968-10-01 Secr Defence Brit Hypodermic injection apparatus with a secondary capsule-collapsing means
DE2346914C3 (de) * 1973-09-18 1980-10-16 Paul Ritzau Pari-Werk, Gmbh & Co, 8130 Starnberg Inhalator für pulverförmige Substanzen
DE4318455A1 (de) 1993-06-03 1994-12-08 Boehringer Ingelheim Kg Kapselhalterung
JP3372105B2 (ja) * 1994-05-26 2003-01-27 株式会社日立ユニシアオートモティブ 吸入式投薬器
US20060239930A1 (en) * 1997-08-04 2006-10-26 Herbert Lamche Process for nebulizing aqueous compositions containing highly concentrated insulin
DE19733651A1 (de) 1997-08-04 1999-02-18 Boehringer Ingelheim Pharma Wässrige Aerosolzubereitungen enthaltend biologisch aktive Markomoleküle und Verfahren zur Erzeugung entsprechender Aerosole
DE19835346A1 (de) * 1998-08-05 2000-02-10 Boehringer Ingelheim Pharma Zweiteilige Kapsel zur Aufnahme von pharmazeutischen Zubereitungen für Pulverinhalatoren
DE10126924A1 (de) 2001-06-01 2002-12-05 Boehringer Ingelheim Pharma Inhalationskapseln
US20040152720A1 (en) * 2002-12-20 2004-08-05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Powdered medicaments containing a tiotropium salt and salmeterol xinafoate
US7878193B2 (en) * 2003-01-14 2011-02-01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Capsule for taking an active substance which can be inhaled
DE10300984A1 (de) * 2003-01-14 2004-07-22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Kapsel zur Aufnahme eines inhalativ applizierbaren Wirkstoffs
GB0410712D0 (en) * 2004-05-13 2004-06-16 Novartis Ag Organic compounds
US7694676B2 (en) * 2005-04-22 2010-04-13 Boehringer Ingelheim Gmbh Dry powder inhaler
DE102006009637A1 (de) * 2005-10-28 2007-05-03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Inhalator mit Mundstück mit mikrobiologischer Schutzfunktion
DE102005054383B4 (de) * 2005-11-15 2013-10-31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Nadel zum Lochen von Pulverkapseln für die Inhalation
UY31233A1 (es) * 2007-07-21 2009-03-02 Unidades de envasado con un agente desecante
US8746244B2 (en) * 2009-10-02 2014-06-10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Powder inhal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11025A (ja) * 1995-06-30 1998-10-27 アスタ メディカ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ブリスターパックから薬剤を投与するための吸入器
US20030070679A1 (en) 2001-06-01 2003-04-17 Boehringer Ingelheim Pharma Kg Capsules containing inhalable tiotropium
JP2006516135A (ja) 2002-12-20 2006-06-22 ベーリンガー インゲルハイム ファルマ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トゲゼルシャフト チオトロピウム塩とキシナホ酸サルメテロールとを含む吸入用粉末医薬品
JP2007509670A (ja) 2003-11-08 2007-04-19 ベーリンガー インゲルハイ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粉末吸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814536B1 (pt) 2019-10-08
KR20100037612A (ko) 2010-04-09
UY31234A1 (es) 2009-03-02
ECSP099830A (es) 2010-01-29
PE20090752A1 (es) 2009-07-10
US20100275917A1 (en) 2010-11-04
CA2699982A1 (en) 2009-01-29
EP2178589A1 (de) 2010-04-28
TN2010000027A1 (fr) 2011-09-26
NZ583349A (en) 2012-09-28
MA31528B1 (fr) 2010-07-01
AU2008280193A1 (en) 2009-01-29
EP2178589B1 (de) 2014-02-26
TW200922644A (en) 2009-06-01
DK2178589T3 (da) 2014-04-14
AR067618A1 (es) 2009-10-14
PL2178589T3 (pl) 2014-08-29
BRPI0814536A2 (pt) 2015-01-27
CL2008002137A1 (es) 2009-09-11
EG25932A (en) 2012-10-24
CA2699982C (en) 2015-06-30
US8539947B2 (en) 2013-09-24
EA017563B1 (ru) 2013-01-30
JP4995324B2 (ja) 2012-08-08
CN101754780A (zh) 2010-06-23
EA201000126A1 (ru) 2010-08-30
AU2008280193B2 (en) 2014-07-31
CN101754780B (zh) 2013-03-13
BRPI0814536B8 (pt) 2021-06-22
CO6290711A2 (es) 2011-06-20
DE102007036411A1 (de) 2009-02-12
JP2010533527A (ja) 2010-10-28
ES2465674T3 (es) 2014-06-06
WO2009013218A1 (de) 2009-01-29
BRPI0814784A2 (pt) 2015-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6196B1 (ko) 분말 흡입기
KR101719137B1 (ko) 분말 흡입기
JP4954273B2 (ja) 吸入器
US20180344956A1 (en) Inhaler Device for Administering Powere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via Inhalation
JP5194324B2 (ja) 吸入器
US9604017B2 (en) Needle for piercing a powder capsule for inhalation
JP5976273B2 (ja) 吸入器
JP2009533097A (ja) 吸入器用薬剤マガジン及び多数回投与型粉末吸入器
JP2009533098A (ja) 薬剤送出装置、このための薬剤キャリヤ及び薬剤コンパートメントから薬剤を取り出す方法
JP2009533114A (ja) 吸入器
JP5233049B2 (ja) 吸入器用マウスピース
DE102007033861A1 (de) Pulverinhalator
JP2006305281A (ja) 粉末吸入器
KR20080110866A (ko) 방출 특성이 최적화된 다중-투약 분말 흡입기용 패키지 수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