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6120B1 - 댐퍼 장치 - Google Patents

댐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6120B1
KR101496120B1 KR20130116981A KR20130116981A KR101496120B1 KR 101496120 B1 KR101496120 B1 KR 101496120B1 KR 20130116981 A KR20130116981 A KR 20130116981A KR 20130116981 A KR20130116981 A KR 20130116981A KR 101496120 B1 KR101496120 B1 KR 101496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rod
rotor
cylinder
delete delet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6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화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화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화신
Priority to KR20130116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61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6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6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52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 B60G17/0157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non-fluid unit, e.g.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9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the arrangement thereof
    • B60G17/01933Velocity, e.g. relative velocity-displacement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7Joi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댐퍼 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댐퍼 장치: 실린더; 실린더에 고정되는 고정자; 고정자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자; 회전자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로드; 이동 로드가 관통되고, 회전자와 함께 회전되도록 회전자에 결합되고, 회전됨에 의해 이동 로드를 이동시키는 회전부재; 및 실린더에 고정되고, 이동 로드가 이동 가능하게 관통되고, 이동 로드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댐퍼 장치{DAMPER APPARATUS}
본 발명은 댐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동 스트로크를 증가시키고, 모터 구동시 관성 모멘트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는 댐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는 댐퍼 장치가 설치된다. 댐퍼 장치는 차량이 주행할 때에 차축이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킨다. 댐퍼 장치는 실린더의 일측에 설치되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볼스크류와, 볼크스류가 회전됨에 의해 이동되는 실린더를 포함한다. 모터는 차체에 설치되고, 실린더는 차축에 결합되는 너클(knuckle)에 연결된다. 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댐퍼 장치의 구동 스트로크가 조절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64207호(2010. 06. 14 공개, 발명의 명칭: 현가장치의 액츄에이터 어셈블리)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에는 모터가 차체에 장착되고, 실린더가 차축에 설치되므로, 모터의 높이만큼 댐퍼 장치의 구동 스트로크가 상대적으로 감소된다. 따라서, 댐퍼 장치의 구동 스트로크가 감소됨에 따라 완충 능력 내지 완충 범위가 상대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모터가 구동될 때에 실린더과 볼스크류가 상대적으로 회전되므로, 모터의 관성 모멘트에 의해 댐퍼 장치가 편심되거나 떨림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볼스크류와 실린더의 직진 거리에 편차가 발생됨에 따라 완충 능력이 상대적으로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 스트로크가 상대적으로 증가될 수 있는 댐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터 구동시 관성 모멘트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시키고, 직진 거리의 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는 댐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댐퍼 장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에 고정되는 고정자; 상기 고정자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자; 상기 회전자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로드; 상기 이동 로드가 관통되고, 상기 회전자와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자에 결합되고, 회전됨에 의해 상기 이동 로드를 이동시키는 회전부재; 및 상기 실린더에 고정되고, 상기 이동 로드가 이동 가능하게 관통되고, 상기 이동 로드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린더, 상기 고정자, 상기 회전자 및 상기 이동 로드는 동심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로드의 외측면에는 나선 형태의 나선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내측면에는 상기 나선부에 결합되도록 나선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로드의 외측면에는 상기 이동 로드의 길이방향과 나란하도록 직선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측면에는 상기 직선부에 결합되도록 직선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회전자와 상기 가이드부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에는 상기 회전자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는 엔코더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의 외측면에는 배치되는 서포트 시트; 상기 이동 로드에 결합되는 체결 브라켓; 및 상기 서포트 시트와 상기 체결 브라켓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댐퍼 장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에 고정되고,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고정자; 상기 고정자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회전자; 상기 회전자의 내부에 상기 회전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로드; 상기 이동 로드가 관통되고, 상기 회전자와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자에 결합되고, 회전됨에 의해 상기 이동 로드를 이동시키는 회전부재; 및 상기 실린더에 고정되고, 상기 이동 로드가 상기 회전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관통되고, 상기 이동 로드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 로드의 외측면에는 나선 형태의 나선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내측면에는 상기 나선부에 결합되도록 나선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로드의 외측면에는 상기 이동 로드의 길이방향과 나란하도록 직선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측면에는 상기 직선부에 결합되도록 직선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회전자와 상기 가이드부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자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는 엔코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의 외측면에는 배치되는 서포트 시트; 상기 이동 로드에 결합되는 체결 브라켓; 및 상기 서포트 시트와 상기 체결 브라켓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부가 실린더의 내부에 배치되므로, 댐퍼 장치의 구동 스트로크가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로드가 직진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므로, 모터 구동시 관성 모멘트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시키고, 직진 거리의 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장치의 이동 로드, 회전부재 및 가이드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장치의 이동 로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장치에서 이동 로드가 실린더로부터 상승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장치에서 이동 로드가 실린더 측으로 하강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댐퍼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댐퍼 장치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장치의 이동 로드, 회전부재 및 가이드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장치의 이동 로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장치는 실린더(110), 고정자(120), 회전자(130), 이동 로드(140), 회전부재(150) 및 가이드부재(160)를 포함한다.
실린더(110)는 내부에 중공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실린더(1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110)의 일측에는 차량의 너클이 체결되도록 너클용 브라켓(115)이 설치된다. 너클용 브라켓(115)에는 체결부재가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홀이 형성된다.
실린더(110)에는 고정자(120) 등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전원 단자(117)가 설치된다. 전원 단자(117)는 너클용 브라켓(115)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댐퍼 장치는 모터부(120,130)를 포함한다. 모터부(120,130)는 고정자(120)와 회전자(130)를 포함한다. 모터부(120,130)는 실린더(110)의 내부에 배치된다. 고정자(120)와 회전자(130)가 실린더(110)의 내부에 배치되므로, 댐퍼 장치의 길이를 모터부의 높이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댐퍼 장치의 구동 스트로크를 증가시킬 수 있고, 댐퍼 장치의 완충 능력을 상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린더(110)에서 모터부(120,130)가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차체의 형상에 변경을 가하지 않더라 댐퍼 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모터부(120,130)가 외부 이물질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자(120)는 실린더(110)에 고정된다. 이때, 고정자(120)는 실린더(110)의 내측면에 배치된다. 고정자(120)는 양측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실린더(110)와 동심을 이룰 수 있다. 고정자(120)는 체결부재, 접착제 또는 체결 구조에 의해 실린더(110)에 회전되지 않게 고정된다.
고정자(120)는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자력을 발생하는 보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고정자(120)에 전원이 인가되면, 고정자(120)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N극과 S극이 번갈아 형성된다.
회전자(130)는 고정자(1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때, 회전자(130)의 외측면은 고정자(120)의 내측면과 약간 이격될 수 있다. 회전자(130)의 양측은 안정되게 회전될 수 있도록 베어링(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베어링은 회전자(130)의 외측면과 실린더(110)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된다.
회전자(130)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N극과 S극의 마그네트가 번갈아 배치될 수 있다. 회전자(130)의 원주방향을 따라 N극과 S극이 착자될 수도 있다. 이러한 회전자(13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자(130)는 일측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실린더(110) 및 고정자(120)와 함께 동심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회전자(130)의 일측에는 체결부(135)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135)는 회전자(130)의 몸체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 회전자(130)의 체결부(135)에는 회전부재(150)가 체결될 수 있다.
회전자(130)의 내부에는 공간부(132)가 형성된다. 공간부(132)는 회전자(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동 로드(140)는 회전자(130) 내부의 공간부(13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동 로드(140)는 실린더(110), 고정자(120), 회전자(130)와 함께 동심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이동 로드(140)는 전체적으로 원형 봉 형태로 형성된다.
이동 로드(140)의 외측면에는 나선 형태의 나선부(143)가 형성된다. 나선부(143)는 나선 형태의 나선홈 또는 나선돌기일 수 있다. 나선홈 또는 나선 돌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나선부(143)의 선형(이하, "나선부의 프로파일" 이라 함)은 이동 로드(140)의 이동 속도 및 이동 거리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계되어야 한다.
이동 로드(140)의 외측면에는 이동 로드(14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도록 직선부(145)가 형성된다. 직선부(145)는 직선홈 또는 직선돌기일 수 있다. 직선홈 또는 직선돌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재(150)에는 이동 로드(140)가 관통된다. 이때, 회전부재(150)의 중심부에는 이동 로드(140)가 관통되도록 관통홀(151)이 형성된다. 회전부재(150)는 전체적으로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재(150)는 회전자(130)와 함께 회전되도록 회전자(130)에 결합된다. 이때, 회전부재(150)는 회전자(130)의 체결부(135)에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회전부재(150)는 회전자(1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재(150)가 회전됨에 의해 이동 로드(140)를 실린더(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회전부재(150)의 내측면에는 이동 로드(140)의 나선부(143)에 결합되도록 나선결합부(153)가 형성된다. 나선결합부(153)는 나선홈 또는 나선돌기에 삽입되는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일 수 있다. 회전부재(150)가 회전되면, 회전부재(150)의 나선결합부(153)는 이동 로드(140)의 나선부(143)를 따라 상대적으로 위치 이동된다. 이때, 나선결합부(153)는 이동 로드(140)의 나선부(143)와 미끄럼 접촉되면서 이동 로드(140)가 실린더(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한다.
가이드부재(160)는 실린더(110)에 고정되어 회전자(130)와 함께 회전되지 않는다. 가이드부재(160)에는 이동 로드(140)가 이동 가능하게 관통되도록 관통홀(161)이 형성된다. 가이드부재(160)는 이동 로드(14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가이드부재(160)의 내측면에는 이동 로드(140)의 직선부(145)에 결합되도록 직선가이드부(165)가 형성된다. 직선가이드부(165)는 직선홈 또는 직선돌기에 삽입되는 가이드홈 또는 가이드돌기일 수 있다. 회전부재(150)가 회전되면, 회전부재(150)의 나선결합부(153)는 이동 로드(140)의 나선부(143)를 따라 상대적으로 위치 이동된다. 이때, 직선부(145)가 직선가이드부(165)에 결합됨에 따라 이동 로드(14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가이드부재(160)의 직선가이드부(165)가 이동 로드(140)가 회전되지 않도록 이동 로드(140)를 구속한 상태에서, 회전부재(150)의 나선결합부(153)가 이동 로드(140)의 나선부(143)와 미끄럼 접촉되므로, 회전부재(150)의 나선결합부(153)가 이동 로드(140)를 일측으로 이동시킨다.
가이드부재(160)와 회전부재(150)가 이동 로드(140)를 직선 이동시키므로, 모터 구동시 관성 모멘트가 이동 로드(140)에 거의 작용되지 않는다. 즉, 실린더(110)의 일측에서는 회전자(130)의 회전 모멘트가 작용하지만 실린더(110)의 타측에서는 가이드부재(160)가 이동 로드(140)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이동 로드(140)를 구속하므로, 모터부의 회전 모멘트 또는 실린더(110)의 뒤틀림 모멘트가 실린더(110) 자체에서 해소 내지 상쇄된다. 따라서, 이동 로드(140)가 실린더(110), 회전자(130) 등과 편심되거나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여 이동 로드(140)의 직진 거리의 편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회전부재(150)는 회전자(130)와 가이드부재(160)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회전자(130)와 회전부재(150) 사이의 회전 운동 구간과, 가이드부재(160)와 체결 브라켓(182) 사이의 직선 운동 구간이 가이드 부재에 의해 실질적으로 분리된다. 따라서, 회전부재(150)가 회전될 때에 이동 로드(140)가 가이드부재(160)에 의해 안정되게 지지되므로, 이동 로드(140)가 이동될 때에 흔들리거나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린더(110)의 일측에 결합되어 회전자(130)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는 엔코더(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엔코더(170)는 회전자(130)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여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하고, 제어부는 회전자(130)의 회전 속도와 나선부(143)의 프로파일을 연산하여 이동 로드(140)의 이동 거리를 제어한다.
체결 브라켓(182)은 이동 로드(140)의 상측에 결합된다. 체결 브라켓(182)은 체결부재에 의해 차체에 고정된다. 체결 브라켓(182)은 원형 패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 브라켓(182)은 상부 시트(184)를 포함한다. 상부 시트(184)는 탄성부재(188)를 지지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188)의 상단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동 로드(140)의 상측에는 서포트 시트(181)와 체결 브라켓(182)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토퍼부재(186)가 끼워질 수 있다. 스토퍼부재(186)는 폴리우레탄 재질 등의 내마모성 재질로 형성되어 충격을 흡수한다. 또한, 스토퍼부재(186)는 이동 로드(140)에 밀착되어 이동 로드(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 이동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탄성부재(188)는 서포트 시트(181)와 체결 브라켓(182)의 상부 시트(184)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탄성부재(188)는 차륜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차량의 승착감을 좋게 해준다. 이때, 탄성부재(188)는 차량에 반복적으로 하중이 작용될 때에 충격을 흡수할 정도의 탄성력을 갖는다. 또한, 이동 로드(140)가 이동됨에 따라 탄성부재(188)가 자유롭게 신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댐퍼 장치의 작용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장치에서 이동 로드가 실린더로부터 상승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량이 운행될 때에 차체에 전달되는 하중 또는 진동은 탄성부재(188)의 탄성력에 의해 흡수된다. 노면의 상태나 차량의 속도 등에 의해 이동 로드(140)의 이동이 제어된다. 차량에 작용하는 하중이 상대적으로 감소될 때에, 이동 로드(140)가 실린더(110)에서 인출되어 댐퍼 장치의 전체 길이가 상대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이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고정자(120)에 전원이 공급되면, 고정자(120)의 자기력에 의해 회전자(130)가 일측으로 회전된다. 이때, 엔코더(170)는 회전자(130)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고, 제어부에서는 엔코더(170)의 회전수와 시간을 연산하여 회전 속도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로드(140)이 이동 속도 및 이동 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
회전자(130)가 회전됨에 따라 회전부재(150)가 회전자(13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회전부재(150)가 회전됨에 따라 회전부재(150)의 나선결합부(153)가 이동 로드(140)의 나선부(143)와 구름 접촉된다. 이때, 가이드부재(160)의 직선가이드부(165)가 이동 로드(140)의 직선부(145)에 결합되어 이동 로드(14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회전부재(150)의 나선결합부(153)가 이동 로드(140)의 나선부(143)를 따라 이동됨에 따라 이동 로드(140)가 실린더(110)에서 인출된다. 따라서, 댐퍼 장치의 전체적인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지게 된다.
이동 로드(140)가 실린더(110)에서 인출됨에 따라 탄성부재(188)가 신장되므로, 탄성부재(188)의 탄성력이 상대적으로 감소된다. 따라서, 탄성부재(188)의 길이는 낮은 하중을 최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길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장치에서 이동 로드가 실린더 측으로 하강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차량에 작용하는 하중이 상대적으로 증가될 때에, 이동 로드(140)가 실린더(110)에서 인입되어 댐퍼 장치의 전체 길이가 상대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이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고정자(120)에 전원이 공급되면, 고정자(120)의 자기력에 의해 회전자(130)가 타측으로 회전된다. 이때, 엔코더(170)는 회전자(130)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고, 제어부에서는 엔코더(170)의 회전수와 시간을 연산하여 회전 속도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로드(140)이 이동 속도 및 이동 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
회전자(130)가 타측으로 회전됨에 따라 회전부재(150)가 회전자(13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회전부재(150)가 타측으로 회전됨에 따라 회전부재(150)의 나선결합부(153)가 이동 로드(140)의 나선부(143)와 구름 접촉된다. 이때, 가이드부재(160)의 직선가이드부(165)가 이동 로드(140)의 직선부(145)에 결합되어 이동 로드(14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회전부재(150)의 나선결합부(153)가 이동 로드(140)의 나선부(143)를 따라 이동됨에 따라 이동 로드(140)가 실린더(110)에 인입된다. 따라서, 댐퍼 장치의 전체적인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아지게 된다.
이동 로드(140)가 실린더(110)에 인입됨에 따라 탄성부재(188)가 축소되므로, 탄성부재(188)의 탄성력이 상대적으로 증가된다. 따라서, 탄성부재(188)의 길이는 높은 하중을 최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감소된다.
한편, 고정자(120)와 회전자(130)가 실린더(110)의 내부에 설치되므로, 차체와 차축 사이의 거리인 댐퍼 장치의 설치 구간을 실질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댐퍼 장치에서 이동 로드(140)가 이동될 수 있는 거리가 증가될 수 있으므로, 댐퍼 장치의 구동 스트로크가 상대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로드(140)가 회전자(130)에 삽입되므로, 댐퍼 장치의 설치 구간을 실질적으로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댐퍼 장치의 구동 스트로크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댐퍼 장치의 구동 스트로크가 증가됨에 따라 차량의 진동 흡수 범위를 더욱 세분화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로드(140)가 실린더(110)로부터 직선 운동되므로, 모터부의 구동시 관성 모멘트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이동 로드(140)의 이동시에 이동 로드(140)가 비틀리거나 편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이동 로드(140)의 직진 거리의 편차를 방지하고, 진동 흡수 능력을 최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0: 실린더 115: 너클용 브라켓
117: 전원 단자 120: 고정자
130: 회전자 132: 공간부
135: 체결부 140: 이동 로드
143: 나선부 145: 직선부
150: 회전부재 151: 관통홀
153: 나선결합부 160; 가이드부재
161: 관통홀 165: 직선가이드부
170: 엔코더 181: 서포트 시트
182: 체결부재 184: 상부 시트
186: 스토퍼부재 188: 탄성부재

Claims (13)

  1. 실린더;
    상기 실린더에 고정되는 고정자;
    상기 고정자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자;
    상기 회전자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로드;
    상기 이동 로드가 관통되고, 상기 회전자와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자에 결합되고, 회전됨에 의해 상기 이동 로드를 이동시키는 회전부재;
    상기 실린더에 고정되고, 상기 이동 로드가 이동 가능하게 관통되고, 상기 이동 로드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부재;
    상기 실린더의 외측면에는 배치되는 서포트 시트;
    상기 이동 로드에 결합되는 체결 브라켓;
    상기 이동 로드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서포트 시트와 상기 체결 브라켓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부재; 및
    상기 서포트 시트와 상기 체결 브라켓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상기 실린더의 일측과 상기 실린더에서 인출되는 상기 이동 로드 부분이 내부에 수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며,
    상기 실린더, 상기 고정자, 상기 회전자 및 상기 이동 로드는 동심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상기 이동 로드의 외측면에는 나선 형태의 나선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내측면에는 상기 나선부에 결합되도록 나선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 로드의 외측면에는 상기 이동 로드의 길이방향과 나란하도록 직선홈 또는 직선돌기로 형상의 직선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측면에는 상기 직선부에 결합되도록 직선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회전자와 상기 가이드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실린더에는 상기 회전자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는 엔코더가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자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자의 몸체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체결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체결부에는 상기 회전부재가 체결되어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회전자와 함께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20130116981A 2013-09-30 2013-09-30 댐퍼 장치 KR101496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6981A KR101496120B1 (ko) 2013-09-30 2013-09-30 댐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6981A KR101496120B1 (ko) 2013-09-30 2013-09-30 댐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6120B1 true KR101496120B1 (ko) 2015-02-26

Family

ID=52594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6981A KR101496120B1 (ko) 2013-09-30 2013-09-30 댐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612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95800A (ja) * 2006-10-11 2008-04-24 Kayaba Ind Co Ltd 緩衝器
KR20080056759A (ko) * 2005-10-07 2008-06-23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차량용 전자식 충격 흡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6759A (ko) * 2005-10-07 2008-06-23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차량용 전자식 충격 흡수기
JP2008095800A (ja) * 2006-10-11 2008-04-24 Kayaba Ind Co Ltd 緩衝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30450B1 (en) Damper
CN101434253B (zh) 汽车转向柱的缩进-倾斜装置
CN101282849B (zh) 车辆用电磁震动吸收器
KR100622465B1 (ko) 전자기 완충기
KR101477907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EP1510722B1 (en) Electromagnetic damper
JP4736844B2 (ja) ばね下ダイナミックダンパおよび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4886318B2 (ja) アクチュエータ
KR20200025243A (ko) 서스펜션용 차고조절장치
JP6199821B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1496120B1 (ko) 댐퍼 장치
CN104608871B (zh) 一种平衡车脚踏控制机构及其平衡车
KR20110088045A (ko) 단일의 수직 샤프트를 구비하는 이동 로봇의 구동휠 어셈블리
JP4142946B2 (ja) 車両用電磁緩衝器
WO2016035275A1 (ja) 送りねじ装置
CN114313043B (zh) 移动结构、底盘及机器人
KR20140135323A (ko) 자동차의 조향장치
JP2004011825A (ja) 電磁緩衝器
KR20120045625A (ko) 차량용 댐퍼
JP4383261B2 (ja) インホイールモータシステム
KR102383140B1 (ko) 차량용 완충 장치 및 방법
KR101713152B1 (ko) 전동식 조향장치
JP2009293772A (ja) 電磁緩衝器
JP4271411B2 (ja) 電磁緩衝器
CN117656734A (zh) 悬架总成及具有其的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