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5579B1 - 권취 장치 - Google Patents

권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5579B1
KR101495579B1 KR20120088349A KR20120088349A KR101495579B1 KR 101495579 B1 KR101495579 B1 KR 101495579B1 KR 20120088349 A KR20120088349 A KR 20120088349A KR 20120088349 A KR20120088349 A KR 20120088349A KR 101495579 B1 KR101495579 B1 KR 101495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band
connecting member
shaped material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88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5243A (ko
Inventor
준키치 마베
Original Assignee
니치콘 가부시키가이샤
에프피캡 일렉트로닉스(스저우)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치콘 가부시키가이샤, 에프피캡 일렉트로닉스(스저우)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니치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05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5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4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 B65H35/06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from or with blade, e.g. shear-blade, cutters or perfo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3/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apacitors;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apaci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G4/00 - H01G11/00
    • H01G13/02Machines for winding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1Cutting handled material transversally to feed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3Details of cutting means
    • B65H2301/51532Blade cutter, e.g. single blade cutter
    • B65H2301/515326Multiple blade cut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 Nonmetal Cutting Devices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 Winding Of Webs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밴드형 재료가 비교적 미끄러지기 쉽고 유연성이 있는 경우라도, 재단(裁斷)에 지장이 없고, 소자(素子)의 제작이 가능하며, 연속 가동해도, 날끝끼리가 접촉되지 않아, 소자의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권취(卷取)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밴드형 재료의 권취 장치로서, 상기 권취 장치는, 상기 밴드형 재료를 권취함으로써 소자를 형성하는 권축(卷軸)과, 상기 권축보다 상기 밴드형 재료의 상류측에 있어서 상기 밴드형 재료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밴드형 재료를 사이에 두고 절단하기 위한 제1 날 및 제2 날과, 탄성을 가지고, 상기 제1 날을 지지하는 접속 부재와, 상기 제1 날 및 상기 제2 날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밴드형 재료의 두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날 및 상기 제2 날의 한쪽의 날은, 선단측에 경사면을 가지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경사면은, 날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고, 또한 상기 제1 날 및 상기 제2 날이 상기 밴드형 부재를 협지(挾持)하기 전에 상기 경사면이 다른 쪽의 날에 접촉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권취 장치{WINDING DEVICE}
본 발명은, 전해(電解) 컨덴서 소자(素子) 등의 권취(卷取) 소자를 제조하기 위한 밴드형 재료의 권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밴드형 재료의 권취 장치는, 슬릿을 가지는 권축(卷軸)을 구비하고 있다. 밴드형 재료의 권취 장치에서는, 슬릿에 밴드형 재료를 끼워넣어 권축을 회전시킴으로써, 권축에 밴드형 재료를 권취하고, 그 후에 밴드형 재료를 절단함으로써, 전해 컨덴서 소자 등의 소자를 형성한다.
종래의 권취 장치에서는, 권취 중에 장력이 걸린 밴드형 재료의 재단(裁斷)은, 2개의 날을 가지는 커터를 사용하여 행해지고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2 참조). 구체적으로는, 커터의 상부날과 하부날로 밴드형 재료를 협지(挾持)하고, 커터의 전단력(剪斷力)에 의해 밴드형 재료를 재단하고 있었다.
종래의 권취 장치에 있어서의 커터에 대하여, 도 6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도 6에 있어서, F는, 밴드형 재료(115)의 진행 방향을 나타내고, R은, 밴드형 재료(115)의 폭 방향을 나타내고, P는, 밴드형 재료(115)의 두께 방향을 나타낸다.
권취 장치(100)는, 커터로서, 제1 날(113)(상부날) 및 제2 날(114)(하부날)을 구비한다. 제1 날(113)은, 평면형의 날면(113c)과 직선형의 날끝(113d)를 구비한다. 제2 날(114)은, 평면형의 날면(114c)과 직선형의 날끝(114d)을 구비한다.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날(113)의 날끝(113d)과 제2 날(114)의 날끝(114d)은, 간극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 제1 날(113)의 날끝(113d)과 제2 날(114)의 날끝(114d)과의 사이에, 밴드형 재료(115)가 위치하고 있다. 제1 날(113)의 날끝(113d)은, 밴드형 재료(115)의 표면과 평행이다. 제2 날(114)의 날끝(114d)은, 밴드형 재료(115)의 표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또한, 제1 날(113)의 날면(113c)과 제2 날(114)의 날면(114c)은, 도 6의 (b), (d), (f)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행이다.
도 6의 (a), (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제1 날(113) 및 제2 날(114)은, 밴드형 재료(115)의 두께 방향 P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가까워지는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그리고, 제1 날(113) 및 제2 날(114)은, 도 6의 (c),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밴드형 재료(115)를 협지하고, 도 6의 (e), (f)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밴드형 재료(115)를 절단한다.
일본공개특허 1990―181415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제2006―69735호 공보
그런데, 밴드형 재료는 복수 개의 물질로 구성되는 것이 많다. 예를 들면, 일반적인 전해 컨덴서에서는, 밴드형 재료는, 밸브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양극박(陽極箔) 및 음극박(陰極箔), 및 세퍼레이터(separator)로 구성된다. 종래, 세퍼레이터로서는, 일반적으로 천연 종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사용되고 있었지만, 최근, 플라스틱제의 세퍼레이터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밴드형 재료로서 플라스틱 등의 수지와 같은 미끄러지기 쉽고 유연성이 있는 재료가 포함되는 경우, 커터의 전단력이 재료에 적절히 전해지지 않아, 밴드형 재료를 재단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커터의 전단력을 높이기 위해 날의 위치 맞댐을 실시해도, 재단 시에 밴드형 재료 상에서 미끄러져 재료로부터 날이 도피하여 버리는 경우가 있고, 그와 같은 경우에, 날끼리가 접촉되어, 날 등의 부품이 파손되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밴드형 재료가 비교적 미끄러지기 쉽고 유연성이 있는 경우라도, 재단에 지장이 없고, 소자의 제작이 가능하며, 연속 가동해도, 날끝끼리가 접촉되지 않아, 소자의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권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밴드형 재료의 권취 장치로서, 상기 권취 장치는, 상기 밴드형 재료를 권취함으로써 소자를 형성하는 권축과, 상기 권축보다 상류측에 있어서 상기 밴드형 재료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밴드형 재료를 사이에 두고 절단하기 위한 제1 날 및 제2 날과, 탄성을 가지고, 상기 제1 날을 지지하는 접속 부재와, 상기 제1 날 및 상기 제2 날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밴드형 재료의 두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날 및 상기 제2 날의 한쪽의 날은, 선단측에 경사면을 가지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경사면은, 날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고, 또한 상기 제1 날 및 상기 제2 날이 상기 밴드형 부재를 협지하기 전에 다른 쪽의 날에 접촉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접속 부재의 탄성과,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상기 밴드형 재료의 적정한 위치에, 적절한 전단력을 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밴드형 재료가 비교적 미끄러지기 쉽고 유연성이 있는 경우라도, 재단에 지장이 없어, 소자의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접속 부재의 탄성과,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재단을 행할 때마다 상기 제1 날 및 상기 제2 날의 위치 조정이 행해지므로, 권취 장치를 연속 가동해도, 상기 제1 날의 날끝과 상기 제2 날의 날끝이 접촉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1 날과 상기 제2 날의 내구성(耐久性)을 향상시킬 수 있어, 소자의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권취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의 (a)는 도 1에 나타낸 권취 장치의 부분 확대 측면도이며, (b)는 그 정면도이다.
도 3의 (a)는 도 1에 나타낸 권취 장치가 구비하는 제1 날의 정면도이며, (b)는 그 측면도이며, (c)는 (b)에서의 Z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의 (a)는 도 1에 나타낸 권취 장치가 구비하는 제2 날의 정면도이며, (b)는 그 단면도이다.
도 5의 (a)는 제1 날의 가이드부와 제2 날의 가이드부가 접촉되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b)는 그 측면도이며, (c)는 제1 날과 제2 날이 밴드형 재료를 협지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d)는 그 측면도이며, (e)는 제1 날과 제2 날이 밴드형 재료를 절단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f)는 그 측면도이다.
도 6의 (a)는, 종래의 권취 장치가 구비하는 커터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b)는 그 측면도이며, (c)는 (a)에 나타낸 커터가 밴드형 재료를 협지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d)는 그 측면도이며, (e)는 (a)에 나타낸 커터가 밴드형 재료를 절단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f)는 그 측면도이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권취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권취 장치(1)는, 전해 컨덴서 소자 등의 소자를 제조하기 위한 밴드형 재료(15)의 권취 장치이다. 권취 장치(1)는, 밴드형 재료(15)를 권취함으로써, 전해 컨덴서 소자 등의 소자를 제조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밴드형 재료(15)는, 릴형(reel type)으로 권취된 상태로 권취 장치(1)에 장착되어 있다. 밴드형 재료(15)는, 릴(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인출되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롤러(11)를 통과하고, 제1 날(13)(상부날) 및 제2 날(14)(하부날) 사이를 통과하고, 소자를 권취하기 위한 권축(12)에 공급되고, 권축(12)에 의해 권취된다. 권축(12)에는, 임의의 간격(슬릿)이 설정되어 있다. 간격 내에 밴드형 재료(15)가 삽입되고, 간격이 조정되는 것에 의해, 밴드형 재료(15)는, 권축(12)에 고정된다.
제1 날(13) 및 제2 날(14)에 의해 절단되는 밴드형 재료(15)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전극박(電極箔)(양극박 또는 음극박), 세퍼레이터, 또는 전극박과 세퍼레이터와의 조합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밴드형 재료(15)는, 양극박 및 음극박 및 세퍼레이터를 구비하고, 세퍼레이터와 양극박 또는 음극박으로서의 금속박이 교호적(交互的)으로 중첩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밴드형 재료(15)는, 양극박 및 음극박 및 2개의 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지고, 세퍼레이터, 양극박, 세퍼레이터 및 음극박이, 상기 순서로 중첩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의 밴드형 재료는,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밴드형 재료(15)가 복수 부재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부재가 각각의 릴로부터 공급되고, 제1 날(13) 및 제2 날(14)의 상류측으로 각각의 부재가 중첩되어, 밴드형 재료(15)로서 제1 날(13)과 제2 날(14)과의 사이에 공급되는 경우에는, 밴드형 재료(15)의 일부가 제1 날(13) 및 제2 날(14) 이외의 절단 장치에서 절단되어도 된다. 이 경우, 밴드형 재료(15)의 잔부(殘部)가 제1 날(13) 및 제2 날(14)에 의해 절단된다.
권취 장치(1)에서는, 권축(12)보다 상류측에, 밴드형 재료(15)를 재단하기 위한 제1 날(13) 및 제2 날(14)이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권축(12)과 가이드 롤러(11)와의 사이에서, 제1 날(13) 및 제2 날(14)은, 밴드형 재료(15)를 재단한다. 밴드형 재료(15)의 진행 방향 F에 있어서, 가이드 롤러(11) 측이, 상류측이며, 권축(12) 측이, 하류측이다. 제1 날(13) 및 제2 날(14)의 각각은, 도면 중에 나타낸 화살표 P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1 날(13) 및 제2 날(14)은 밴드형 재료(15)를 협지하고, 밴드형 재료(15)를 재단한다.
그리고, 화살표 P의 방향은, 밴드형 재료(15)의 두께 방향이다. 권취 장치(1)에 있어서, 제1 날(13) 및 제2 날(14)은, 밴드형 재료(15)의 두께 방향 P를 따라 직선 왕복이동을 행한다. 또한, 화살표 F는, 제1 날(13) 및 제2 날(14) 사이를 통과할 때의 밴드형 재료(15)의 진행 방향이다. 또한, 화살표 R은, 밴드형 재료(15)의 폭 방향이다. 밴드형 재료(15)는, 밴드형 재료(15)의 폭 방향 R을 따라 절단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밴드형 재료(15)의 진행 방향 F는, 밴드형 재료(15)의 두께 방향 P와 대략 직교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대략 직교는, 권취 장치(1)의 설계 오차나 밴드형 재료(15)의 휨 등에 의한 오차를 허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밴드형 재료(15)의 진행 방향 F는, 반드시, 밴드형 재료(15)의 두께 방향 P와 직교할 필요는 없다.
제1 날(13)은, 접속 부재(2)에 장착되어 있다. 접속 부재(2)는, 탄성을 가지고, 제1 날(13)을 지지한다. 접속 부재(2)는, 기대(基臺)(16)에 장착되어 있다. 기대(16)는, 구동부(3)에 장착되어 있다. 제2 날(14)은, 구동부(7)에 장착되어 있다. 이들의 구성에 대해서는,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권취 장치(1)에서는, 권축(12)이 회전함으로써, 소정 길이의 밴드형 재료(15)가 권축(12)에 권취되고, 그 후, 제1 날(13) 및 제2 날(14)이 밴드형 재료(15)의 두께 방향 P를 따라 상대적으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 날(13) 및 제2 날(14)이 밴드형 재료(15)를 사이에 두고 재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날(13) 및 제2 날(14)이 이동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날(13) 또는 제2 날(14) 중 어느 한쪽만이 이동해도 된다. 밴드형 재료(15)의 단부는, 재단된 후에 자유롭게 되어 있으므로, 권취 장치(1)가 구비하는 테이프 접착 기구(機構) 등(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밴드형 재료(15)의 단부를, 권축(12)에 권취하여 밴드형 재료(15)에 고정시킨다. 그 후, 권축(12)에 권취되어 밴드형 재료(15)를 권축(12)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전해 컨덴서 소자가 완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밴드형 재료(15)가 복수 개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밴드형 재료(15)가 단독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경우라도, 마찬가지로 절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날(13)이 위쪽에 배치되고, 제2 날(14)이 아래쪽에 배치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제1 날(13)이 아래쪽에 배치되고, 제2 날(14)이 위쪽에 배치되어도 된다.
도 2의 (a)는, 도 1에 나타낸 권취 장치의 부분 확대 측면도이며, (b)는 그 정면도이다.
접속 부재(2)는, 절취선(2d, 2e)이 형성된 중실체(中實體)이다. 접속 부재(2)는, 절취선(2d, 2e)이 형성되므로 탄성을 가지고 있다. 접속 부재(2)는, 금속제이며, 예를 들면, 강재(鋼材)로 이루어진다. 접속 부재(2)의 선단에 제1 날(13)이 고정되어 있고, 접속 부재(2)는, 기대(16)에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접속 부재(2)는, 제1 날(13)이 설치되는 선단부(2a)와, 기대(16)에 고정되는 지지부(2c)와, 선단부(2a)와 지지부(2c)를 연결하는 연결부(2b)로 이루어진다. 선단부(2a)와 지지부(2c)와 연결부(2b)와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강재로서는, 예를 들면, 스프링 강재를 들 수 있다.
선단부(2a)는, 직사각형을 가지고 있고, 선단부(2a)의 정면(2g)[밴드형 재료(15)의 진행 방향 F에서의 상류측의 면]에, 제1 날(13)의 그립부(grip portion)(13a)가 고정되어 있다.
지지부(2c)는, 밴드형 재료(15)의 두께 방향 P를 따라 연장되는 기둥형체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角)기둥형체이다. 지지부(2c)의 선단(하단)은, 연결부(2b)를 통하여, 선단부(2a)와 연결되어 있다. 지지부(2c)의 후단측(상단측)은, 기대(16)에 고정되어 있고, 지지부(2c)의 선단측(하단측)에는, 절취선(2d, 2f)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2c)는, 고정 부재(2f)(예를 들면, 나사)에 의해 기대(16)의 정면(16a)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접속 부재(2)는, 밴드형 재료(15)의 두께 방향 P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고, 접속 부재(2)의 선단측에는, 제1 날(13)이 고정되고, 접속 부재(2)의 후단측에는, 기대(16)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 부재(2)의 제1 날(13)이 고정된 부분과, 접속 부재(2)의 기대(16)가 고정된 부분은, 밴드형 재료(15)의 두께 방향 P에 있어서 중첩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권취 장치(1)에서는, 제1 날(13)이 고정된 부분과, 기대(16)가 고정된 부분과의 사이에, 절취선(2d, 2e)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접속 부재(2)가 가지는 탄성이 제1 날(13)에 작용하기 쉽도록 되어 있다.
절취선(2d)은, 측면에서 볼 때[도 2의 (a) 참조]에 있어서, 지지부(2c)의 정면(2h)으로부터 밴드형 재료(15)의 진행 방향 F와 평행한 방향을 따라 하류측을 향해 연장되고, 그리고, 밴드형 재료(15)의 두께 방향 P를 따라 선단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정면(2h)은, 지지부(2c)가 가지는 면 중, 밴드형 재료(15)의 진행 방향 F에서의 상류측의 면이다.
절취선(2e)은, 측면에서 볼 때, 지지부(2c)의 배면(2i)으로부터 밴드형 재료(15)의 진행 방향 F와 평행한 방향을 따라 상류측을 향해 연장되고, 그리고, 밴드형 재료(15)의 두께 방향 P를 따라 후단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배면(2i)은, 밴드형 재료(15)의 진행 방향 F에서의 하류측의 면이다.
이와 같이, 절취선(2d, 2e)은, 밴드형 재료(15)의 진행 방향 F와 평행한 방향을 따르는 부분과, 밴드형 재료(15)의 두께 방향 P를 따르는 부분을 가지고 있다.
절취선(2d)은, 지지부(2c)의 정면(2h)에 형성되어 있다. 절취선(2e)은, 지지부(2c)의 배면(2i)에 형성되어 있다. 절취선(2d)은, 정면에서 볼 때[도 2의 (b) 참조]에 있어서, 밴드형 재료(15)의 폭 방향 R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접속 부재(2)의 양 측면까지 도달하고 있다. 절취선(2e)도, 밴드형 재료(15)의 폭 방향 R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접속 부재(2)의 양 단면까지 도달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접속 부재(2)의 선단측에 제1 날(13)이 고정되고, 접속 부재(2)의 후단측이 기대(16)에 고정되고, 접속 부재(2)의 선단측과 후단측과의 사이에 절취선(2d, 2e)이 형성되어 있고, 이로써, 접속 부재(2)는, 밴드형 재료(15)의 두께 방향 P 및 밴드형 재료(15)의 진행 방향 F에 대한 탄성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취선(2d, 2e)의 형상을 따라 접속 부재(2)가 가지는 탄성이 조절되고 있다. 절취선(2d, 2e)은, 지지부(2c)[접속 부재(2)]의 정면(2h) 또는 배면(2i)에 형성되어 있고, 정면에서 볼 때 있어서 밴드형 재료(15)의 폭 방향 R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접속 부재(2)의 양 단면까지 도달하고 있다.
따라서, 제1 날(13)에 대하여, 밴드형 재료(15)의 진행 방향 F와 평행한 방향을 따른 힘이 가해졌을 때는, 절취선(2d, 2e) 중 어느 한쪽의 폭이 넓어지도록 접속 부재(2)가 변형되고, 이로써, 밴드형 재료(15)의 진행 방향 F에 대한 탄성이 생긴다.
또한, 제1 날(13)에 대하여, 밴드형 재료(15)의 두께 방향 P를 따르는 힘이 가해졌을 때는, 절취선(2d, 2e)이 폐쇄되도록 접속 부재(2)가 변형되고, 이로써, 밴드형 재료(15)의 두께 방향 P를 따르는 탄성이 생긴다.
그리고, 접속 부재(2)에는, 상류측의 표면[정면(2h)]으로부터 하류측의 표면[배면(2i)]까지 도달하는 절취선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밴드형 재료(15)의 폭 방향 R에서의 접속 부재(2)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밴드형 재료(15)에 적절하게 또한 효율적으로 힘을 전달할 수 있다.
기대(16)는, 기대(16)가 구동부(3)에 장착되는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부(16b)를 구비하고 있다. 조정부(16b)에 있어서, 기대(16)의 상하 방향[밴드형 재료(15)의 두께 방향 P]에서의 장착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제1 날(13)의 상하 방향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기대(16)는, 조정부(16b)에 의해, 구동부(3)에 고정되어 있다. 구동부(3)는, 밴드형 재료(15)의 두께 방향 P를 따른 직선 왕복이동을 행할 수 있고, 이로써, 제1 날(13)을 밴드형 재료(15)의 두께 방향 P를 따라 직선 왕복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부(3)는, 예를 들면, 강강재(鋼鋼材)로 이루어진다. 제2 날(14)은, 구동부(7)에 고정되어 있다. 구동부(7)는, 밴드형 재료(15)의 두께 방향 P를 따른 직선 왕복이동을 행할 수 있고, 이로써, 제2 날(14)을 밴드형 재료(15)의 두께 방향 P를 따라 직선 왕복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부(7)는, 예를 들면, 강강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구동부(3, 7)가 직선 왕복이동을 행하기 위한 기구로서는, 종래 공지의 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날(13) 및 제2 날(14)은, 예를 들면, 구동부(3, 7)와는 상이한 재질의 강강재로 이루어진다.
도 3의 (a)는, 도 1에 나타낸 권취 장치가 구비하는 제1 날(13)의 정면도이며, (b)는 그 측면도이며, (c)는 (b)에서의 Z 부분의 확대도이다.
제1 날(13)은, 접속 부재(2)(도 2 참조)에 고정되는 그립부(13a)와, 그립부(13a)의 선단측에 설치된 날의 보디부(13b)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1 날(13)에 있어서, 선단측이란, 제2 날(14) 및 밴드형 재료(15)에 가까운 단부를 말한다. 그립부(13a)와 날의 보디부(13b)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립부(13a)는, 판상체(板狀體)이며, 접속 부재(2)에 면접촉한다. 그립부(13a)는,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볼 때 있어서, 밴드형 재료(15)의 두께 방향 P를 따라 연장되는 직사각형을 가지고 있다.
날의 보디부(13b)는, 밴드형 재료(15)의 폭 방향 R을 따라 연장되는 판상체이며, 날의 보디부(13b)의 한쪽부[도 3의 (a)에서의 우측 부분]에 있어서, 그립부(13a)와 연속되어 있다. 또한, 날의 보디부(13b)의 다른쪽부[도 3의 (a)에서의 좌측 부분]에 있어서, 날의 보디부(13b)의 선단측에는, 가이드부(13e)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13e)는, 날끝(13d)보다 선단측[즉, 제2 날(14) 측]으로 돌출하고, 또한 날끝(13d)과 연속되지 않는다. 또한, 날의 보디부(13b)의 중앙 부분의 선단측에는, 직선형의 날끝(13d)이 형성되어 있고, 날끝(13d)보다 후단측의 면이, 날면(13c)이다. 즉, 날의 보디부(13b)는,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밴드형 재료(15)의 폭 방향 R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고, 밴드형 재료(15)의 폭 방향 R에서의 그립부(13a)와 연속하는 부분과 가이드부(13e)와의 사이에, 밴드형 재료(15)와 접촉하는 날끝(13d)을 가진다.
가이드부(13e)는, 제1 날(13)의 날끝(13d)과 제2 날(14)의 날끝(14d)(도 4 참조)과의 접촉을 막아, 제1 날(13)의 날끝(13d)과 제2 날(14)의 날끝(14d)과의 위치 조정의 기능을 완수하는 것이며, 경사면(13f)을 가지고 있다. 경사면(13f)은, 날의 보디부(13b)에서의 날면(13c)과 같은 쪽에 형성되어 있다. 제1 날(13)은, 제1 날(13) 및 제2 날(14)이 상대적으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경사면(13f)이 제2 날(14)과 접촉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경사면(13f)은, 날면(13c)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면(13f)은, 선단측으로부터 후단측에 가까워질수록 날면(13c)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다. 도 3의 (c)에 나타낸 경사면(13f)과 날면(13c)[즉, 날면(14c)]과의 이루는 각 α는, 제1 날(13)의 날끝(13d)의 각 및 제2 날(14)의 날끝(14d)의 각(도 4 참조)의 양쪽보다 작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9°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각 α의 각도는,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1 ~ 45 °인 것이 바람직하고, 5 ~ 3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 ~ 15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경사면(13f)은, 제1 날(13) 및 제2 날(14)이 밴드형 부재(15)를 협지하기 전에 제2 날(14)(도 4 참조)에 접촉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경사면(13f)은, 제2 날(14)이 구비하는 가이드부(14e)(도 4 참조)와 접촉한다. 또한, 경사면(13f)의 후단측의 끝둘레부(13g)는, 도 3의 (a),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날끝(13d)보다 선단측[제2 날(14) 측]에 위치하고 있다. 끝둘레부(13g)보다 후단측의 면은, 날면(13c)과 평행하며, 날면(13c)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한다. 그리고, 경사면(13f)은, 평면이지만, 곡면이라도 된다. 경사면(13f)이 곡면인 경우, 각 α는, 밴드형 재료(15)의 진행 방향 F로부터 본 경사면(13f)의 선단과 후단측의 끝둘레부(13g)를 연결하는 평면과 날면(13c)[즉, 날면(14c)]과의 이루는 각을 가리킨다.
도 4의 (a)는, 도 1에 나타낸 권취 장치가 구비하는 제2 날(14)의 정면도이며, (b)는 그 단면도이다.
제2 날(14)은, 평판형의 날의 보디부(14b)로 이루어지고, 날의 보디부(14b)에는, 관통공(14a)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14a)에 고정 부재(예를 들면, 나사)를 설치함으로써, 제2 날(14)은 구동부(7)(도 2 참조)에 고정된다. 제2 날(14)의 선단측에는, 가이드부(14e)와 날끝(14d)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날(14)에 있어서, 선단측이란, 제1 날(13) 및 밴드형 재료(15)에 가까운 단부를 말한다.
제2 날(14)의 가이드부(14e)는, 제1 날(13)의 가이드부(13e)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제2 날(14)의 날끝(14d)은, 제1 날(13)의 날끝(13d)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날끝(14d)의 후단측의 면이, 날면(14c)이다. 가이드부(14e)와 날면(14c)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있고, 가이드부(14e)는, 경사면을 가지고 있지 않다. 가이드부(14e)는, 날끝(14d)과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권취 장치(1)에 있어서는, 제1 날(13)이, 금속박과 접촉하고, 제2 날(14)이, 세퍼레이터와 접촉하는 경우,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와 접촉하는 제2 날(14)의 날끝(14d)의 각은, 금속박과 접촉하는 제1 날(13)의 날끝(13d)보다 작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날끝(13d, 14d)의 각도의 관계는,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에, 권취 장치(1)에서의 밴드형 재료(15)의 절단 동작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서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구성과 같은 구성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에 부여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소정 길이의 밴드형 재료(15)가 권축(12)(도 1 참조)에 권취되었을 때, 제1 날(13) 및 제2 날(14)이 밴드형 재료(15)의 두께 방향 P를 따라 상대적으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본 실시형태의 권취 장치(1)에서는, 도 5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날(13)의 날끝(13d)과 제2 날(14)의 날끝(14d)이 밴드형 재료(15)를 협지하기 전에, 제1 날(13)의 가이드부(13e)의 경사면(13f)과 제2 날(14)의 가이드부(14e)가 접촉된다.
제1 날(13)의 날면(13c)은, 밴드형 재료(15)의 진행 방향 F의 상류측을 향하고 있고, 제2 날(14)의 날면(14c)은, 밴드형 재료(15)의 진행 방향 F의 하류측을 향하고 있다. 즉, 제1 날(13)의 날면(13c)과 제2 날(14)의 날면(14c)은 반대 방향을 향하고 있다. 제1 날(13)의 날면(13c)과 제2 날(14)의 날면(14c)은, 평행하며, 밴드형 재료(15)의 두께 방향 P에 대하여 평행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날(13)의 날면(13c)과 제2 날(14)의 날면(14c)은, 밴드형 재료(15)의 폭 방향 R에 대하여 평행이다.
또한, 제1 날(13)의 날면(13c)은, 제2 날(14)의 날면(14c)에 대하여 밴드형 재료(15)의 진행 방향 F의 상류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1 날(13)의 날끝(13d)과 제2 날(14)의 날끝(14d)과의 간격은,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부(13e)에 가까울수록 좁고, 그립부(13b)와 연속되는 부분에 가까울수록 넓다. 또한, 밴드형 재료(15)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가이드부(13e)와 제2 날(14)과의 거리는, 제1 날(13)의 날끝(13d)과 제2 날(14)의 날끝(14d)과의 거리보다 작다.
제1 날(13)의 가이드부(13e)의 경사면(13f)과 제2 날(14)의 가이드부(14e)가 접촉되어 있고, 또한 제1 날(13)이, 탄성을 가지는 접속 부재(2)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제1 날(13) 및 제2 날(14)이 상대적으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도 5의 (a), (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도 5의 (c), (d)에 나타낸 상태로 변화될 때], 제1 날(13)은, 접속 부재(2)의 탄성에 저항하여, 경사면(13f)을 따라 밴드형 재료(15)의 진행 방향 F와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2 날(1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제1 날(13)에는, 접속 부재(2)의 탄성에 의해, 제2 날(14)을 향하는 힘이 가해져, 제1 날(13)은, 제2 날(14)에 접촉된다. 그리고, 접속 부재(2)의 탄성에 의해, 제1 날(13)과 제2 날(14)이 접촉하는 상태가 유지된다. 그 상태에서, 제1 날(13)과 제2 날(14)이 상대적으로 가까워짐으로써, 도 5의 (c),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날(13)의 날끝(13d)과 제2 날(14)의 날끝(14d)이 밴드형 재료(15)를 협지한다. 부가하자면, 경사면(13f)이 제2 날(14)에 접촉되고 나서 제1 날(13) 및 제2 날(14)이 밴드형 재료(15)를 협지할 때까지의 동안에, 제1 날(13) 및 제2 날(14)은, 접속 부재(2)의 탄성에 의해 계속 접촉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권취 장치(1)에서는, 제1 날(13)과 제2 날(14)이 접촉할 때는, 제1 날(13)의 날면(13c)은, 제2 날(14)의 날면(14c)에 대하여 밴드형 재료(15)의 진행 방향 F의 상류측에 위치한다. 그 후, 제1 날(13)은, 제2 날(1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밴드형 재료(15)의 진행 방향 F와 평행한 방향으로도 이동하므로, 제1 날(13)과 제2 날(14)이 밴드형 재료(15)를 협지할 때는, 제1 날(13c)의 날면(13c)은, 제2 날(14)의 날면(14c)에 대하여 밴드형 재료(15)의 진행 방향 F의 하류측에 위치한다. 즉, 제1 날(13)과 제2 날(14)이 접촉하고 나서 제1 날(13)과 제2 날(14)이 밴드형 재료(15)를 협지할 때까지의 동안에, 밴드형 재료(15)의 진행 방향 F와 평행한 방향에서의 제1 날(13)의 날면(13c)과 제2 날(14)의 날면(14c)과의 위치 관계가 바뀌어, 상류측에 위치하는 날면(13c)이 하류측으로 이동하여, 하류측에 위치하는 날면(14c)이 상류측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권취 장치(1)에서는, 제1 날(13)은, 제2 날(1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접속 부재(2)의 탄성에 의해 제2 날(14)에 접촉하면서, 경사면(13f)의 경사를 따라 밴드형 재료(15)의 진행 방향 F와 평행한 방향으로도 이동한다. 이로써, 밴드형 재료(15)의 진행 방향 F와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 제1 날(13)과 제2 날(14)과의 상대적인 위치의 조정이 행해진다. 그리고, 이 위치 조정이 행해진 상태에서, 제1 날(13) 및 제2 날(14)이 밴드형 재료(15)를 협지한다. 그 후, 제1 날(13) 및 제2 날(14)은, 도 5의 (e), (f)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밴드형 재료(15)의 두께 방향 P를 따라 상대적으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밴드형 재료(15)를 절단한다.
또한, 권취 장치(1)에서는, 경사면(13f)의 후단측의 끝둘레부(13g)가 날끝(13d)보다 선단측에 위치하고 있다(도 3의 (a) 참조). 그러므로, 제1 날(13)과 제2 날(14)과의 접촉 위치가 끝둘레부(13g)에 도달할 때까지, 제1 날(13)은, 경사면(13f)의 경사를 따라 밴드형 재료(15)의 진행 방향 F와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지만, 그 후, 제1 날(13)과 제2 날(14)과의 접촉 위치가 끝둘레부(13g)를 넘고 나서, 제1 날(13)은, 밴드형 재료(15)의 진행 방향 F와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밴드형 재료(15)의 두께 방향 P를 따라 이동한다. 따라서, 제1 날(13)과 제2 날(14)이 밴드형 재료(15)를 사이에 두고 절단할 때는, 제1 날(13)은, 밴드형 재료(15)의 진행 방향 F와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지 않고, 밴드형 재료(15)의 두께 방향 P를 따라 이동한다. 이로써, 밴드형 재료(15)에 효율적으로 전단력을 전할 수 있어, 밴드형 재료(15) 상에서 날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권취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권취 장치는, 전술(도 1 내지 도 5)의 기구·구성을 가지고 있다. 실시예에 관한 권취 장치가 구비하는 재단 기구에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날(13) 및 제2 날(14)이 이동한다. 기대(16)는, S45C(탄소강)으로 이루어진다. 접속 부재(2)는, SUP7(스프링 강재)으로 이루어진다. 제1 날(13)은, KA10(초경합금)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구동부(3, 7)는, SKD61(HRC50)로 이루어진다. 제2 날(14)은, SKH51(하이스 공구강 강재)로 이루어진다.
<비교예>
종래의 권취 장치로서 비교예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비교예에 관한 권취 장치는, 전술(도 6)의 기구·구성을 가지고 있다. 비교예에 관한 권취 장치가 구비하는 재단 기구에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날(113) 및 제2 날(114)이 이동한다. 제1 날(113) 및 제2 날(114)은,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제1 날(113)은, KA10(초경합금)으로 이루어진다. 제1 날(113)을 지지하는 기대(도시하지 않음)는, S45C(탄소강)로 이루어진다. 제1 날(113) 및 제2 날(114)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는, S45C(탄소강)로 이루어진다. 제2 날(114)은, SKH51(하이스 공구강 강재)로 이루어진다. 즉, 제1 날, 제2 날, 기대 및 구동부에 대하여, 실시예와 비교예는 같은 재료가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비교예에 관한 권취 장치는, 실시예에 관한 권취 장치와 상이하고, 접속 부재는 절취선을 가지고 있지 않다.
이상의 실시예와 비교예와의 권취 장치를 사용하여, 고체 전해 컨덴서 소자를 제작하여, 작업성과 내구성을 비교했다.
밴드형 재료로서 준비한 것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소정의 폭에 성형된 양극박 및 음극박, 및 폴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한 합성 섬유 세퍼레이터이다. 양극박은 폭 7mm로 성형되어 있고, 두께는 110㎛±10㎛이다. 음극박은 폭 7mm로 성형되어 있고, 두께는 50㎛±10㎛이다. 합성 섬유 세퍼레이터에 대해서는, 소자 제작의 작업성(재단부에 의한 밴드형 재료의 재단 여부 확인)을 확인하기 위해, 두께가 상이한 세퍼레이터(40㎛, 50㎛, 55㎛, 60㎛)를 준비하였다. 세퍼레이터의 폭은, 7.8mm였다.
이상의 재료를 사용하여, 실시예와 비교예의 권취 장치 각각에 있어서, 고체 전해 컨덴서 소자의 권취 작업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완성품이 된 경우의 컨덴서의 사이즈는 φ8mm×11.5mmL였다. 그 결과를 표 1,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12064594140-pat00001
표 1은, 세퍼레이터의 두께마다 소자의 재단이 가능했는지의 여부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를 나타낸다. 표 1에 있어서, ○은, 재단이 가능했던 것을 나타낸다. △는, 재단할 수 있었지만 불균일이 생긴 것을 나타낸다. ×는, 재단할 수 없었던 것을 나타낸다.
Figure 112012064594140-pat00002
표 2는, 연속 작업에 의한 날의 내구성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를 나타낸다. 그리고, 이 실험에서는, 두께 40㎛의 세퍼레이터를 사용하였다. 표 2에 있어서, pcs는 개수를 나타낸다. ○는, 날 망가짐 등의 문제가 생기지 않았던 것을 나타낸다. ×는, 날 망가짐이 생긴 것을 나타낸다. ―는, 날 망가짐이 생겼기 때문에 실험을 계속할 수 없었던 것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권취 장치(1)에서는, 접속 부재(2)의 탄성(스프링성)과 가이드부(13e, 14e)에 의해, 밴드형 재료(15)의 적정한 위치에, 최적의 전단력이 전해지기 때문에, 밴드형 재료(15)가 미끄러지기 쉽고 유연성이 있는 경우라도, 재단에 지장이 없어, 권취 소자의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제1 날(13) 및 제2 날(14)의 위치 조정 불량이 일어나지 않아, 권취 장치를 연속 가동해도, 제1 날(13)의 날끝(13d)과 제2 날(14)의 날끝(14d)이 접촉되지 않으므로, 제1 날(13) 및 제2 날(14)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권취 소자의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전술한 것은, 본 발명의 비교적 우수한 실시형태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비교적 우수한 실시형태에 의해 이상과 같이 개시되었지만, 이로써,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이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으면, 전술한 방법과 기술적 내용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다수의 변경 또는 개량이 가능하며, 또는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균등한 실시형태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내용으로부터 멀어지지 없는 한, 본 발명의 실질적인 기술에 기초하여 상기 실시예에 대하여 행해지는, 온갖 간단한 수정, 균등한 변경 및 개량은, 여전히 본 발명의 보호의 범위 내에 속한다.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1 날(13)이, 선단측에 경사면(13f)을 가지는 가이드부(13e)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제2 날이, 선단측에 경사면을 가지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날(13)이 하류측에 위치하고, 제2 날(14)이 상류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제1 날(13)이 상류측에 위치하고, 제2 날(14)이 하류측에 위치해도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밴드형 재료의 폭 방향은, 밴드형 재료의 진행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이면 되고, 반드시, 밴드형 재료의 진행 방향과 직교할 필요는 없다.
1: 권취 장치
2: 접속 부재
2a: 선단부
2b: 연결부
2c: 지지부
2d: 절취선
2e: 절취선
2f: 고정 부재
2g: [선단부(2a)의] 정면
2h: [지지부(2c)의] 정면
2i: [지지부(2c)의] 배면
3: 구동부
4: 가이드
5: 재단면
6: 재단부
7: 구동부
11: 가이드 롤러
12: 권축
13: 제1 날
13a: 그립부
13b: 날의 보디부
13c: 날면
13d: 날끝
13e: 가이드부
13f: 경사면
13g: [경사면(13f)의] 후단측의 끝둘레부
14: 제2 날
14a: 관통공
14b: 날의 보디부
14c: 날면
14d: 날끝
14e: 가이드부
15: 밴드형 재료
16: 기대
16a: [기대(16)의] 정면
16b: 조정부

Claims (27)

  1. 밴드형 재료의 권취(卷取) 장치로서,
    상기 권취 장치는,
    상기 밴드형 재료를 권취함으로써 소자를 형성하는 권축(卷軸);
    상기 권축보다 상기 밴드형 재료의 상류측에 있어서 상기 밴드형 재료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밴드형 재료를 사이에 두고 절단하기 위한 제1 날 및 제2 날;
    탄성을 가지고, 상기 제1 날을 지지하는 접속 부재;
    상기 제1 날 및 상기 제2 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밴드형 재료의 두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날 및 상기 제2 날 중 어느 하나의 날은, 상기 제1 날과 상기 제2 날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선단측에 경사면을 가지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경사면은, 날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고, 또한 상기 제1 날 및 상기 제2 날이 상기 밴드형 재료를 협지(挾持)하기 전에 상기 경사면이 상기 제1 날 및 상기 제2 날 중 다른 하나의 날에 접촉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날 및 상기 제2 날 중 상기 어느 하나의 날이 구비하는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경사면의 후단측의 끝둘레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날의 날끝보다 선단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날 및 상기 제2 날은, 상기 제1 날 및 상기 제2 날의 접촉 위치가 상기 끝둘레부를 지나서, 상기 제1 날 및 상기 제2 날이 상기 밴드형 재료를 사이에 두고 절단할 때에는, 상기 제1 날이, 상기 제2 날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밴드형 재료의 진행 방향과 평행인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상기 밴드형 재료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배치된,
    권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제1 날의 선단측으로부터, 상기 선단측의 반대측인 후단측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제1 날의 날면측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는, 권취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이 상기 다른 하나의 날에 접촉된 상태로 양쪽의 날끝이 가까와질 때, 상기 제1 날은, 상기 밴드형 재료의 진행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도 이동하는, 권취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이 상기 다른 하나의 날에 접촉된 상태로 양쪽의 날끝이 가까워질 때, 상기 접속 부재의 탄성에 의해, 상기 제1 날과 상기 제2 날이 접촉하는 상태가 유지되는, 권취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이 상기 다른 하나의 날에 접촉된 상태로 양쪽의 날끝이 가까워질 때, 상기 접속 부재의 탄성에 의해, 상기 제1 날에는, 상기 제2 날을 향하는 힘이 가해지는, 권취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이 상기 다른 하나의 날에 접촉하고 나서 양쪽의 날끝이 상기 밴드형 재료를 협지할 때까지의 동안에, 상기 접속 부재의 탄성에 의해, 상기 제1 날과 상기 제2 날은 계속 접촉하는, 권취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날 및 상기 제2 날이 접촉할 때, 상기 제1 날의 날면은, 상기 밴드형 재료의 진행 방향에서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의 한쪽에 위치하는 한편, 상기 제2 날의 날면은, 상기 밴드형 재료의 진행 방향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의 다른 쪽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날 및 상기 제2 날이 상기 밴드형 재료를 협지할 때, 상기 제1 날의 날면은, 상기 밴드형 재료의 진행 방향에서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의 상기 다른 쪽에 위치하는 한편, 상기 제2 날의 날면은, 상기 밴드형 재료의 진행 방향에서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의 상기 한쪽에 위치하는, 권취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날은, 상기 접속 부재에 고정되는 그립부(grip portion)와, 상기 그립부와 연속하는 날의 보디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날의 보디부는, 상기 밴드형 재료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밴드형 재료의 폭 방향에서의 상기 그립부와 연속하는 부분과 상기 가이드부와의 사이에, 상기 밴드형 재료와 접촉하는 날끝을 가지는, 권취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날의 날끝과 상기 제2 날의 날끝과의 간격은, 상기 가이드부에 가까울수록 좁고, 상기 그립부와 연속하는 부분에 가까울수록 넓은, 권취 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과 상기 제1 날의 날면과의 이루는 각은, 1 ~ 45 °인, 권취 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날의 날면 및 상기 제2 날의 날면은, 상기 날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평행인, 권취 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형 재료의 폭 방향으로부터 본 상기 제2 날의 날끝의 각은, 상기 접속 부재에 의해 지지된 상기 제1 날의 날끝의 각보다 작은, 권취 장치.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형 재료의 폭 방향으로부터 본 상기 경사면과 상기 제2 날의 날면과의 이루는 각은, 상기 제1 날의 날끝의 각 및 상기 제2 날의 날끝의 각보다 작은, 권취 장치.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날과 상기 제2 날과의 사이를 통과하는 상기 밴드형 재료는, 밸브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금속박과, 수지제의 세퍼레이터(separator)가 교호적(交互的)으로 중첩된 것이며,
    상기 제1 날 및 상기 제2 날 중, 상기 세퍼레이터와 접촉하는 날의 상기 밴드형 재료의 폭 방향으로부터 본 날끝의 각은, 상기 금속박과 접촉하는 날의 상기 밴드형 재료의 폭 방향으로부터 본 날끝의 각보다 작은, 권취 장치.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형 재료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날 및 상기 제2 날 중 상기 어느 하나의 날이 구비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다른 하나의 날과의 거리는, 상기 제1 날의 날끝과 상기 제2 날의 날끝과의 거리보다 작은, 권취 장치.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형 재료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날 및 상기 제2 날 중 상기 어느 하나의 날이 구비하는 가이드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날의 날끝보다, 상기 다른 하나의 날 쪽으로 돌출하고, 또한 상기 가이드부의 선단측의 단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날의 날끝과 연속되지 않는, 권취 장치.
  1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는, 절취선이 형성된 중실체(中實體)인, 권취 장치.
  18.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는, 절취선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 탄성을 가지고 있는, 권취 장치.
  1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밴드형 재료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접속 부재의 선단측에는, 상기 제1 날이 고정되고,
    상기 접속 부재의 후단측에는, 기대(基臺)가 고정되고,
    상기 밴드형 재료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의 상기 제1 날이 고정된 부분과, 상기 접속 부재의 상기 기대가 고정된 부분과의 사이에, 절취선이 형성되어 있는, 권취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의 상기 제1 날이 고정된 부분과, 상기 접속 부재의 상기 기대가 고정된 부분은, 상기 밴드형 재료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중첩되지 않는, 권취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형 재료의 진행 방향에서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 중 어느 한쪽에 위치하는 상기 접속 부재의 면에, 상기 제1 날이 고정되고, 다른 쪽에 위치하는 상기 접속 부재의 면에, 상기 기대가 고정되어 있는, 권취 장치.
  2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에는, 절취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취선은, 상기 밴드형 재료의 진행 방향에서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에 위치하는 상기 접속 부재의 면에 형성되고, 상기 밴드형 재료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기 밴드형 재료의 폭 방향에서의 상기 접속 부재의 양 측면까지 도달하고 있는, 권취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은, 상기 밴드형 재료의 폭 방향에서 볼 때, 상기 밴드형 재료의 진행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부분과, 상기 밴드형 재료의 두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권취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에는, 상류측의 표면으로부터 하류측의 표면까지 도달하는 절취선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권취 장치.
  2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날 및 상기 제2 날의 이동 방향은, 상기 제1 날과 상기 제2 날 사이에서의 상기 밴드형 재료의 진행 방향과 직교하는, 권취 장치.
  2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날은, 선단측에 상기 경사면을 가지는 상기 가이드부를 구비한, 권취 장치.
  27. 삭제
KR20120088349A 2012-03-15 2012-08-13 권취 장치 KR1014955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10068690.5A CN103310996B (zh) 2012-03-15 2012-03-15 卷绕装置
CN201210068690.5 2012-03-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5243A KR20130105243A (ko) 2013-09-25
KR101495579B1 true KR101495579B1 (ko) 2015-02-25

Family

ID=49136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88349A KR101495579B1 (ko) 2012-03-15 2012-08-13 권취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551744B2 (ko)
KR (1) KR101495579B1 (ko)
CN (1) CN103310996B (ko)
TW (1) TWI478855B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9681A (en) * 1978-09-14 1980-03-19 Ckd Corp Method of cutting electrode foil of like
JPH10217184A (ja) * 1997-02-07 1998-08-18 Mitsubishi Cable Ind Ltd 柔軟シ−トの切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00511A (ja) * 1975-03-03 1976-09-04 Tsubakimoto Chain Co Fukugokaitenkidosochi
US5584218A (en) * 1994-06-17 1996-12-17 Hecon Corporation Cutter having a pair of cooperating flexible blades providing a pair of moving point cutting edges
JP2004017169A (ja) * 2002-06-12 2004-01-22 F & F:Kk カッター装置およびプリンタ
JP2009023074A (ja) * 2007-07-24 2009-02-05 Toraiyaan:Kk 板状部材用カッター
JP5498802B2 (ja) * 2010-01-08 2014-05-21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カッター機構及びカッター付きプリンタ
CN202695158U (zh) * 2012-03-15 2013-01-23 尼吉康株式会社 卷绕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9681A (en) * 1978-09-14 1980-03-19 Ckd Corp Method of cutting electrode foil of like
JPH10217184A (ja) * 1997-02-07 1998-08-18 Mitsubishi Cable Ind Ltd 柔軟シ−トの切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51744B2 (ja) 2014-07-16
CN103310996A (zh) 2013-09-18
TW201336766A (zh) 2013-09-16
KR20130105243A (ko) 2013-09-25
CN103310996B (zh) 2016-12-14
TWI478855B (zh) 2015-04-01
JP2013193201A (ja) 2013-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4039B2 (en) Peeling apparatus and peeling method
CA2899407C (en) Thrust bearing
JP2009023074A (ja) 板状部材用カッター
CN1840300A (zh) 配有螺旋线的电动剃刀
JP5480437B1 (ja) 電極材料用スリッター設備および電極材製造設備
EP3556670B1 (en) Robot system
EP2535169A1 (en) Method for producing structural material, and structural material
KR101495579B1 (ko) 권취 장치
JP2018041625A (ja) 電極製造装置
JP2014170653A (ja) 電極シートの作成方法及び作成装置
CN202695158U (zh) 卷绕装置
JP6809139B2 (ja) 電極製造装置
KR200461410Y1 (ko) 고무시트의 절단장치
KR20170046664A (ko) 클램프 장치
US7752949B2 (en) Tissue paper cutting mechanism having upper knife arm with variable spiral curve angle and upper knife structure therefor
JP2017024875A (ja) 薄膜の製造方法および薄膜の製造装置
KR102456385B1 (ko) 웨브 권취 방법, 및 웨브 권취 장치
JP7125536B2 (ja) クロスカット装置及びスクイズカットの切り口を安定化させるための方法
JP2012020356A (ja) スリッタ装置
AU2007202431A1 (en) Tissue Paper Cutting Mechanism Having Upper Knife with Variable Spiral Curve Angle and Upper Knife Structure Therefor
JP2007111833A (ja) スリッター装置及び包装体の製造方法
JP2022041521A (ja) 帯状部材
JP6267914B2 (ja) スリッター装置
JP2015139813A (ja) ロータリーカッター
JP2004362810A (ja) 電池及びこの電池の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