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4901B1 - 분지쇄 말토덱스트린을 포함하는 장용 소염 및/또는 진통제조성물 - Google Patents

분지쇄 말토덱스트린을 포함하는 장용 소염 및/또는 진통제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4901B1
KR101494901B1 KR1020077026781A KR20077026781A KR101494901B1 KR 101494901 B1 KR101494901 B1 KR 101494901B1 KR 1020077026781 A KR1020077026781 A KR 1020077026781A KR 20077026781 A KR20077026781 A KR 20077026781A KR 101494901 B1 KR101494901 B1 KR 101494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branched
maltodextrin
weight
anim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6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0655A (ko
Inventor
다니엘 윌
래띠샤 드레모
마리-엘렌느 샤니에
Original Assignee
로께뜨프레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께뜨프레르 filed Critical 로께뜨프레르
Publication of KR20080000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4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49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16Glucans
    • A61K31/718Starch or degraded starch, e.g. amylose, amylo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 Dairy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6 글루코시드 결합을 15% 내지 35% 가지고, 환원당 함량이 20% 미만이며, 다분자성 지수가 5 미만이고, 수평균 분자량 Mn이 4500 g/mol 이하인 분지쇄 말토덱스트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질-풍부 장용 소염 및/또는 진통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말토덱스트린, 소염제, 크론병, 장 염증, 궤양성 대장염, 결장 염증

Description

분지쇄 말토덱스트린을 포함하는 장용 소염 및/또는 진통제 조성물{ANTI-INFLAMMATORY AND/OR ANALGESIC COMPOSITION FOR THE INTESTINE COMPRISING BRANCHED MALTODEXTRINS}
본 발명은 분지쇄 말토덱스트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질-풍부 장용 소염 및/또는 진통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만성 염증성 장 질환 (IBD)은 특히 두 가지 상이한 질병, 즉, 궤양성 대장염 (UC) 및 크론병을 포함한다. 상이하면서도 관련이 있는 이들 두 질환은 어느 정도의 광범위 장 염증 병변, 특히,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장 면역계의 과다활성화 상태에 기인한 광범위 장 염증 병변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은 본질적으로 소화계에서, 설사, 복부 통증, 체중 감소 및 조직 염증과 함께 발현된다.
IBD의 발생빈도는 과거 수십년간 증가하였다. 이는 이러한 질병이 더 쉽게 진단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진보에 의해 부분적으로 설명되지만, 본질적으로는 이러한 질병의 진화에 음식 알레르기, 비만 및 기타 "문명화 질환"과 마찬가지로 식습관의 변화가 관여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동안, 통상적인 치료적 처치와 적절한 식생활을 조합하는 것에 많은 관심 이 집중되었다.
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 및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는 이러한 병증의 영향을 받은 대상의 당뇨병의 일부이기 때문에 특히 더 연구되었고, 이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이러한 장애의 예방적 측면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적절한 섬유질을 음식에 첨가하면 건강에 유익한 효과가 있고, 이러한 섬유질이 결장 염증의 예방 효과를 발휘한다는 것이 인식되었다.
이러한 섬유질은 일반적으로 두 부류, 즉, 가용성 섬유질과 불용성 섬유질로 나뉜다.
인간에서 효소에 의해 소화될 수 없는 가용성 섬유질, 예컨대, 펙틴 및 이눌린(inulin)은 장내 박테리아 균무리에 의해 발효된다. 이러한 발효는 결장 내에 단쇄 지방산을 방출시키고, 이로써 결장 내 pH가 낮아져 결과적으로 병원성 박테리아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불용성 섬유질, 예컨대, 셀룰로스, 난소화성 전분(resistant starch), 옥수수 섬유질 (주정박 (spent grain)) 또는 콩 섬유질은 위장관에서 본질적으로 기계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불용성 섬유질은 장내 균무리에 의해 매우 소량만 발효되며, 밸러스트(ballast) 효과를 통해 장 통과 시간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한다.
결장 염증의 예방에 있어 식생활의 중요성을 예증한 수많은 연구들로부터, 복합당 (다당류, 전분)과 양호한 결장 생리학 간에 관계가 존재한다는 것이 알려졌다.
특히, 결장 건강에 크게 기여하는 것은 소장에서 소화되지 않는 난소화성 전분이다.
그러나, 감각적 특성을 변화시키지 않은 식품의 난소화성 전분 조성물을 개질하기 위해서는 달성되어야 할 과제가 많이 남아있다.
1997년부터, 가나우찌(Kanauchi) 등은 실험용 동물에서 유도된 대장염 또는 설사에 대한, 발아 보리 기재 식품의 효과를 기술하였다 (Biosci . Biotech . Biochem. 1997, 61, 449-454 and J. Gasteroenterol . 1998, 33, 179-188).
그러나, 최근 수년간, 이러한 병증에 대한 전문가들은 "결장성 식품", 특히 프리바이오틱스에 집중하고 있다.
이들 프리바이오틱스는 결장에서 군집을 이루는 건강에 유익한 박테리아를 위한 영양제로 정의된다.
프리바이오틱스는 많은 식용 식물 및 많은 식품에 존재하는 기능성 성분이다.
프리바이오틱스로 통상적으로 분류되는 화합물은 프룩토올리고당 및 트랜스갈락토올리고당과, 락툴로스, 이소말토올리고당, 콩 추출 올리고당, 자일로올리고당 등이 있다.
이들의 기능적 효과의 표적은, 이들을 발효시키고, 이들이 그에 대한 특이적이고 선택적인 기질로 작용하는 결장 균무리, 위장관 생리학, 특히, 대장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 면역계, 미네랄의 생체이용률 및 지질 대사이다.
프리바이오틱스에 의해 성장이 촉진되는 유익한 결장 균무리 중에, 특히 언 급할 수 있는 것은 비피도박테리아와 락토바실리이다.
락토바실리는 락트산의 생산에 의해 매질의 pH의 감소를 일으키는 장점을 가지는데, 이러한 pH 감소는 크론병 또는 특정 형태의 궤양성 대장염과 같은 병증의 흔한 원인인 프로테오박테리아 또는 장 박테리아와 같은 병원성 균무리의 성장을 방지한다.
비피도박테리아는 특히, 항-돌연변이생성 및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플라보노이드의 방출을 촉진하는 글루코시다제 유형의 효소적 활성의 생성에 관해 기술되어 있다.
염증성 질환 및 그의 개별적인 치료는 활발한 연구 주제이다. 실험용 래트 또는 마우스에 에탄올 중 알레르겐 (트리니트로벤젠 술포네이트; TNBS)을 함유하는 용액의 투여를 통해 대장염을 유도하는 것과 같은, 대장염 유도의 실험적 모델이 개발되었다.
에탄올은 장 점막에 의해 형성된 장벽을 파괴하여 TNBS가 장 벽 내로 침투하는 것을 촉진하고, TNBS는 산화적 손상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급성, 종종 전층 (transmural) 괴사를 일으킨다.
이 모델은 결장의 편재된 과민성의 연구를 위해 계획되었고, 이 모델에 의해 유발된 염증이 IBD에 대해 투여되는 의약에 민감하기 때문에 특히 적합하다.
몇몇 장용 소염 조성물이 제안되었고, 상기 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시험되었다.
프룩토올리고당 (FOS)은 인간의 소장에서 가수분해되지 않지만 결장에 상주 하는 균무리에 의해 분해되는 단쇄 과당 유닛이다.
FOS는 주로 인간 및 동물에서, 장의 내인성 락토바실리 및 비피도박테리아의 성장을 유도한다.
또한, FOS 발효는 결장 pH의 감소를 유도하고, 휘발성 지방산 및 락테이트의 생산을 유도하며, 부차적으로 부티레이트의 생산을 증가시킨다.
2003년에 출판된 그에 대한 리뷰인 문헌[American Society for Nutritional Sciences, vol 133, 21-27]에서, 셔부트(C. Cherbut) 등은 실험용 래트에서 TNBS에 의해 유도된 장 염증에 대한 FOS의 예방적 효과를 기술하였다.
FOS의 보호 효과는 결장 손상 (TNBS에 의해 유발된 괴사 및 궤양에 대한 시각적 탐색)에 대한 거시적 점수, 및 미옐로퍼옥시다제 활성 (다핵형 중성구 과립의 특정 효소; 장 염증의 표지)의 측정치를 관찰함으로써 측정하였다.
이로써 상기 논문에서는 FOS가 장 염증을 현저하게 감소시킴으로써, 장에서의 손상 (괴사 및 궤양)을 억제하고, 미옐로퍼옥시다제 활성을 감소시키고, TNBS에 의해 유도되는 체중 감소를 저하시킬 수 있음을 보였다.
게다가, 셔부트 등은 또한, 결장 pH의 감소를 일으키는 락트산 박테리아 및 부티르산 박테리아의 경우에서, FOS가 프리바이오틱 효과를 가진다는 것, 즉, 결장 내 유익한 박테리아의 장내 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는 것을 예증하였다.
FOS의 보호 기작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미국 특허 출원 2004/0219157은 FOS가 비특이적 면역학적 파라미터의 항상성을 촉진하고, 백혈구 아집단의 성장을 촉진한다고 제안하였다.
또한, FOS에 의해 성장이 촉진되는 락트산 박테리아는 항미생물 물질을 생산하고 결장 pH를 감소시킴으로써 병원성 박테리아의 발생을 막는, 병원성 박테리아의 길항제일 것으로 생각된다.
락트산 박테리아는 또한 장 벽에 부착됨으로써, 이들 동일한 병원성 박테리아에 의한 군집화를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FOS는 또한 락트산 및 부티르산의 유도된 생산을 통해 결장의 pH를 감소시키도록 작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장 산성화 효과가 장점만 가지는 것은 아니다.
국제 공개 공보 WO 04/026316에는 이러한 산성화, 특히, 락트산 박테리아의 성장에 의해 촉진되는 산성화가 궁극적으로는 결장 점막의 부식을 일으켜 궤양성 대장염의 발생률을 높인다고 기술되어 있다.
게다가, 락트산의 결장내 축적은 혈액에서 과량의 방출을 일으킴으로써, 대사적 산성화를 야기할 수 있다.
이눌린 및 FOS는 결장에서 너무 빨리 발효되는 단점을 가지므로, 이들의 결장에 대한 보호 효과에 불리한 미생물 집단의 불균형이 초래될 수 있다.
이러한 유해 효과를 상쇄하기 위해서, 상기 국제 공개 공보 WO 04/026316는 폴리덱스트로스의 경우에서, 결장에서의 느린 발효를 특징으로 하는 다당류를 FOS와 혼합할 것을 제안하였다.
폴리덱스트로스는 고온에서 소르비톨 및 적절한 산성 촉매 (예컨대, 시트르산)의 존재하에 글루코스의 랜덤 중합에 의해 합성된다.
폴리덱스트로스는 벌크화제(bulking agent) 및 저열량 성분으로써 식품에서 널리 이용된다. 폴리덱스트로스는 소화되거나 소장에 흡수되지 않고, 대부분 대변에서 발견된다.
국제 공개 공보 WO 04/026316는 특히, 결장의 미생물 집단에서 일어나는 불균형, 특히, 이눌린 및 FOS와 같은 프리바이오틱 제제에 의해 유도되는 불균형에 의해 유도되는 산성화 효과를 예방하는 폴리덱스트로스의 용도를 교시한다.
따라서, 폴리덱스트로스는 특정 균무리에 의한 락트산 소비를 촉진하여, FOS에 의해 유도되는 그의 과다 생산을 상쇄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상기 기재로부터, 본원 출원인의 지식 한도 내에서는, 효과적인 장 보호 조성물에 대한 모든 요구조건을 만족시키는 다당류 조성물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치유하는 것이다.
이에 본 출원인은 수많은 연구를 통해, 상기 언급한 모든 조건, 즉, 결장 점막 보호 효과, 결장 pH의 온건한 감소, 프로피온 및 부티르산 박테리아의 우세한 생성과 그보다 덜 한 락트산 박테리아 생성을 만족시키는 신규한 섬유질-풍부 결장용 소염 및/또는 진통제 조성물을 착안해내고 개발함으로써, 분지쇄 말토덱스트린의 첨가에 의해 현재까지 양립할 수 없는 것으로 알려졌던 모든 목적을 유리하게 만족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대상은 1→6 글루코시드 결합을 15% 내지 35% 가지고, 환원당 함량이 20% 미만이며, 다분자성 지수 (polymolecularity index)가 5 미만이고, 수평균 분자량 Mn이 4500 g/mol 이하인, 인간 또는 동물 신체의 치료적 처치 방법에 사용되는 분지쇄 말토덱스트린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용어 "분지쇄 말토덱스트린"은 본원 출원인이 소유한 EP 1,006,128에 기술된 말토덱스트린을 의미한다.
EP 1,006,128에 기술된 모든 분지쇄 말토덱스트린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른 장용 소염 및/또는 진통제 조성물의 제조에 적합하다.
바람직한 변이체에 따르면, 상기 분지쇄 말토덱스트린의 환원당 함량은 2% 내지 5%이고, 수평균 분자량 Mn은 2000 내지 3000 g/mol이다.
분지쇄 말토덱스트린은 AOAC법 제2001.03번 (2001)에 따라 측정한 총 섬유질 함량이 건조물 기준으로 50% 이상이다.
본 발명의 대상은 분지쇄 말토덱스트린을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 또는 동물 신체의 치료적 처치를 위한 섬유질-풍부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질-풍부 장용 소염 및/또는 진통제 조성물은 상기 분지쇄 말토덱스트린을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포함하여, 충분한 섬유질 공급 및 결장 보호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질-풍부 장용 소염 및/또는 진통제 조성물 중 분지쇄 말토덱스트린이 0.5 중량% 미만이면, 탐지가능한 효과를 나타내기에 섬유질 공급이 충분하지 않다.
이러한 분지쇄 말토덱스트린은 소장에서의 동화를 방지하는 난소화 (indigestibility) 특성을 가진다.
이들은 대사 및 장 평형에 유익한 난소화성 섬유질의 공급원을 제공한다.
실제로, 분지쇄 말토덱스트린 중 1-6 글루코시드 결합의 높은 함량 때문에 완전히 특이적인 프리바이오틱 특성을 가지며, 부티로제닉 박테리아, 락트산 또는 프로피온산 박테리아가 이들 고도 분지쇄 화합물을 대사시킨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들 분지쇄 말토덱스트린은 또한, 바람직하지 않은 박테리아에게 불리한 비피도제닉 박테리아의 발생을 촉진하고, 따라서, α- 및 β-글루코시다제 활성의 발현도 촉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용 소염 및/또는 진통제 조성물은 이하 예시되는 바와 같이, 2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의 계수로 맹장 내용물 및 대변의 α- 및 β-글루코시다제 효소적 활성을 촉진할 수 있다.
이로써, 소비자의 건강에 매우 유익한 특성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염 및/또는 진통제 조성물의 분지쇄 말토덱스트린이 결장의 미생물에 의해 소비되면 맹장 내용물, 장 및 대변의 pH를 0.5 내지 1 단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미생물의 균형잡힌 성장을 반영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염 및/또는 진통제 조성물을 사용하면 맹장 내에서 아세트산, 부티르산 및 프로피온산, 바람직하게는 프로피온산 및 부티르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휘발성 유기산의 생산을 증가시킬 수 있다.
결장 점막에 대한 보호 효과는 특히 TNBS 투여 후 동물에서 예증되고, 이는 하기 예시하는 바와 같은 현저한 결과에 반영된다.
동물은 계속 정상적으로 먹이를 공급받으며, 장 상피에서 검정한 미옐로퍼옥시다제 (MPO) 활성의 감소에 의해 예증되는 바와 같이, TNBS에 의해 유도된 괴사성 염증에 대해 현저하게 보호된다.
실제로, 이러한 MPO 활성은 중성구가 포식소체 (phagosome) 및 세포외부 공간으로 침윤하는 것을 반영하여, 직접 연관된 염증 과정을 정량화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용 소염 및/또는 진통제 조성물은 장 상피의 미옐로퍼옥시다제 활성을 5%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7% 내지 35%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상기 조성물의 장 염증에 대한 보호 효과를 현저히 반영하고, 인간 및 동물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장용 소염 및/또는 진통제 조성물의 제조를 계획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지쇄 말토덱스트린은 고용량에서도 삼투성 설사를 일으키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삼투성 설사 현상은 예를 들어, 락툴로스 및 프룩토올리고당과 같은 발효될 수 있는 저분자량 탄수화물을 섭취하였을 때 관찰된다.
이 현상은 대변 내용물의 삼투질농도 (osmolarity)의 증가에 따른 대변의 수분 함량의 증가로 반영되고, 이러한 수분 함량의 증가가 설사 발생으로 이어질 수 있다. 놀랍게도, 본 발명에 따른 분지쇄 말토덱스트린은 발효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예상치 못하게 이러한 현상을 유발하지 않는다.
식품에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장용 소염 및/또는 진통제 조성물은 즉시 사용가능한 (ready-to-use) 형태, 과일 주스, 스프와 같은 음료 형태 또는 요거트 형태이거나, 아침식사용 시리얼에 첨가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조성물은 동물, 특히 고양이, 개, 돼지, 토끼 또는 장 염증에 민감한 다른 가축, 및 면역성이 감소한 동물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 조성물은 또한 IBD를 앓는 대상의 음식에 보충하는데에도 사용할 수 있지만, 과민성 대장 증후군을 앓는 대상, 여행자 설사를 앓는 대상 및 종종 병인이 알려지지 않는 복부 통증에 대해서도 사용할 수 있다.
약제의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용 소염 및 진통제 조성물은 분지쇄 말토덱스트린 및 하나 이상의 다른 활성 성분을, 활성 성분의 특성에 따라 고려된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활성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장용 소염제이다.
IBD의 치료에서는 예를 들어, 두 가지 유형의 치료법을 제안할 수 있다:
- 살리실화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의약, 예를 들어, 술파살라진 또는 그의 유도체, 예컨대, 5-아미노살리실레이트 (5-ASA)를 이용한 치료법; 및
- 코르티코이드 일족의 의약, 예컨대, 코르티손 또는 프레드니솔론을 기재로 하는 치료법.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은 술파살라진 및 그의 유도체 및 코르티코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활성 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술한 분지쇄 말토덱스트린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정 실시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은 술파살라진 및 그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활성 성분을 더 포함하고, 분지쇄 말토덱스트린 대 술파살라진 또는 그의 유도체 중 하나의 중량비가 2 내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술한 분지쇄 말토덱스트린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태양은 코르티코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활성 성분을 더 포함하고, 분지쇄 말토덱스트린 대 코르티코이드의 중량비가 2 내지 2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술한 분지쇄 말토덱스트린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액체, 분말, 시럽, 좌약, 정제 또는 로젠지정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은
a) 상술한 분지쇄 말토덱스트린을 포함하는 제1 조성물; 및
b) 장용 소염제를 포함하는 제2 조성물
을 포함하는, 인간 또는 동물 신체의 치료적 처치를 위한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은 분지쇄 말토덱스트린의 충분한 치료학적 양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장 염증을 치료 또는 예방하고/하거나 장 통증을 완화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태양은 상술한 분지쇄 말토덱스트린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대상 또는 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장 염증을 치료 또는 예방하고/하거나 장 통증을 완화하는 방법이다.
상술한 분지쇄 말토덱스트린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장용 소염제를 포함하는 제2 조성물과 함께 대상 또는 동물에 투여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치료 중, 두 조성물은 동시적으로 또는 시간을 두고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제2 조성물의 투여 방법은 사용된 장용 소염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태양은 상술한 키트에 기술된 두 조성물을 동시적으로 또는 시간을 두고 순차적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장 염증을 치료 또는 예방하고/하거나 장 통증을 완화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은 장 염증을 치료 또는 예방하고/하거나 장 통증을 완화하기 위한 조성물 또는 키트의 제조를 위한 분지쇄 말토덱스트린의 용도이다.
치료 또는 예방될 수 있는 질환 및 통증 중에 언급할 수 있는 것은 만성 염증성 장 질환, 과민성 대장 증후군, 여행자 설사 또는 복부 통증이다. 만성 염증성 장 질환 중에 언급할 수 있는 것은 궤양성 대장염 및 크론병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진통 기능과 연관하여, PPARγ 및 MOR 수용체의 발현이 추측된다.
PPARγ (퍼옥시좀 증식체 활성화 수용체 γ)는 핵 수용체 일족의 일원이다. 이들은 특히 지방산에 의해 활성화되며, 전사적 반응에 있어 대사 및 영양 신호의 전달에 관여한다. 이들은 장 점막의 일체성 (integrity)을 유지하는데 주요한 역할을 한다.
PPARγ가 결장 염증의 조절에 깊히 관여하고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또한, PPARγ는 결장암에서도 발현되며, 이들의 활성화는 세포 성장 및 세포 분화를 억제한다.
MOR (오피오이드 수용체)는 중추 및 말초 신경계에서 발견되며, 특히 결장에 존재할 수 있다. MOR의 주요 기능은 진통 작용이다. 제2 기능은 장 운동성의 억제이다. MOR은 장 염증의 조절에도 관여한다.
하기에서 예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이 퍼옥시좀 증식체 활성화 수용체 γ (PPARγ)의 활성을 1.2 내지 3배, 바람직하게는 1.6 내지 2배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은 주목할 만하다.
유사하게, 본 발명의 조성물은 μ 오피오이드 수용체 (MOR) 수를 1.2 내지 10배,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7.5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4 내지 5배 증가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조성물은 장 수준에서 자발적으로 발생한 스트레스를 받은 대상에게 특히 적합하다.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하기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 1
실험용 래트를 이용하여 이들의 먹이에 본 발명의 분지쇄 말토덱스트린 (MDB) 또는 글루코스 (대조군)와 불용성 섬유질 (옥수수 주정박 또는 셀룰로스)을 함께 포함하는 조성물의, TNBS 투여 후 결장 점막에 대한 보호 효과를 연구하였다.
불용성 섬유질 (옥수수 주정박의 경우) 및 본 발명의 MDB를 혼합하여 보건 당국의 추천에 따른 식단 중 시리얼 제품으로부터의 섬유질 섭취와 유사하게 되도 록 하였다.
또한, 옥수수 주정박은 카로티노이드 및 폴리페놀 (특히, 페놀산 및 페룰산 (ferulic acid))이 풍부하기 때문에 선택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선택한 본 발명의 분지쇄 말토덱스트린은 1→6 글루코시드 결합을 15% 내지 35% 가지고, 환원당 함량이 2% 내지 5%이며, 다분자성 지수가 5 미만이고, 수평균 분자량 Mn이 2000 내지 3000 g/mol이었다:
Figure 112007082484838-pct00001
또한, AOAC법 (제2001.03번)에 따라 측정한 이들의 총 섬유질 함량은 건조물 기준으로 90%였다.
Sprague Dawley 혈통의 OFA 래트 64마리를 8개의 군으로 나눠, 이들의 먹이 및 음료를 하기 표 I에 나타낸 조성을 가지는 특별식으로 제공하였다.
글루코스 및 분지쇄 말토덱스트린은 영양소 섭취를 위한 음료에 5% 중량/중량의 비율로 존재한다. 셀룰로스 및 주정박은 영양소 섭취를 위한 먹이에 5% 중량/중량의 비율로 존재한다.
Figure 112007082484838-pct00002
동물들에게 표준 먹이 및 식수를 제공한 1주일 간의 격리 기간 후, 래트에게 표 1에 기술된 식단에 따른 먹이 및 음료를 20일간 섭취시켰다.
그 후, 이들을 24시간 동안 굶겼다.
21일째에, 동물들에게 표 1에 기재한 물질을 직장내 주사 처리하였다.
1번 내지 4번 군에게는 9 ‰ NaCl 500 ㎕을 직장내 주사한 반면, 5번 내지 8번 군의 동물들에게는 에탄올 중에 희석한 TNBS 500 ㎕를 40% 게이 루삭(Gay Lussac)으로 직장내 주사하였다.
TNBS는 체중 kg 당 일일 10 mg의 용량으로 주사하였다.
상기 용량은 중증이지만 가역적인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주사 후 동물들의 체중 변화를 3일간 관찰하였다.
24일째에, CO2 질식에 의해 동물들을 희생시켰다.
동물들의 체중을 측정한 뒤, 부검 후 결장을 분리하고, 비운 뒤, 중량 측정하였다.
그후 육안으로 관찰하고, 월래스 (Wallace) 점수를 매겼다.
장 상피에서 미옐로퍼옥시다제 (MPO) 활성도 검정하였다.
상기 활성은 중성구가 포식소체 및 세포외부 공간으로 침윤하는 것을 반영하여, 직접 연관된 염증 과정을 정량화할 수 있도록 한다.
월래스 점수는 하기 표 2에 나타낸 월래스 척도를 이용하여 확립하였다.
Figure 112007082484838-pct00003
MPO 활성 검정을 위해서는, 하기 프로토콜에 따라 결장을 준비하여야 한다.
결장 단편을 헥사데실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 완충액 (50 mM 포스페이트 완충액 중 HTAB 0.5%, pH 7.0) 6 ml 중에 현탁하였다. 이렇게 처리한 단편을 폴리트론 (Polytron)을 이용하여 10초간 분쇄하고 균질화하였다. 각 샘플을 비브라 셀 (Vibra Cell) 500 와트 장치 (Sonics and Materials Inc., Danbury, Connecticut, USA; 변환 전력 500 W, 탐침에서 분산되는 전력 30% - 즉, 150 W/㎠, 위치 2의 펄서 - 즉, 1초의 66%)를 이용하여 초음파 처리하였다.
그후, 초음파 처리물에 3주기의 냉동-해동을 실시한 뒤, 동일한 조건 하에서 다시 초음파 처리하였다. 그후 샘플들을 4℃, 10,000 g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MPO를 검정하기 위하여 상등액을 회수하였다. MPO 활성의 측정은 산화된 형태에서 오렌지색이 되는, 과산화수소-의존 인공적 수소 제공자 (guaiacol)의 산화를 기재로 하였다.
30℃, 470 nm에서의 광학 밀도를 관찰하여 활성치 (흡수 유닛/분/결장 g으로 나타냄)를 얻었다. 수득한 모든 결과를 하기 표 III 및 IV에 나타냈다 (수치들은 각 군의 8마리에 대해 수행한 측정 결과의 평균 ± 표준 편차로 나타냄).
Figure 112007082484838-pct00004
체중 변화로는, 20일째에 모든 동물들이 동일한 체중을 나타냈다. 모든 동물들을 직장내 주사 전에 굶겼기 때문에 21일째에는 체중이 감소하였다.
22일째에, 9 ‰ NaCl을 직장내 주사 처리한 모든 동물들이 상당량의 체중을 회복하였다.
8번 군은 TNBS의 염증-유발 투여를 받은 유일한 군이며, 22일째부터 체중 변화가 증가하였다.
5번, 6번 및 7번 군의 동물들의 체중 변화는 23일째 및 24일째로부터 온건하게 증가하였다.
8번 군의 동물에 대한 체중 곡선은 TNBS를 투여하지 않은 다른 동물들에 대한 곡선과 동일하므로, 이들 동물들에게 21일째부터 다시 먹이를 주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들 동물들은 TNBS에 의해 유도되는 괴사성 염증에 대하여 보호되었다.
Figure 112007082484838-pct00005
이러한 결과는 월래스 점수의 측정으로 확인되었다. 실제로, TNBS만 제공받은 다른 군들이 평균 5.8, 5.9 및 6.5의 월래스 점수를 받은 것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과 주정박 및 TNBS를 함께 제공받은 동물들은 3.9의 월래스 점수를 받았다.
상기 평균 점수 3.9는 8번 군의 동물에 대한 현저하게 낮은 수준의 염증을 나타낸다.
결장 중량 측정 결과는 먼저, TNBS를 주사한 동물들이 TNBS로 처리하지 않은 동물들보다 무거운 결장을 갖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염증이 생긴 결장의 점막을 침범하는 부종에 기인한다.
8번 군의 동물들의 결장의 평균 중량은 TNBS를 투여하지 않은 군들의 동물들의 결장의 평균 중량과 비교하여 높은 수준이지만, TNBS로 처리한 동물들의 모든 군들 중에서는 가장 낮은 중량을 나타냈다.
TNBS로 처리하지 않은 군들의 동물들에서 명백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난 MPO 활성의 측정과 관련해서도, 8번 군은 TNBS로 처리한 동물들의 다른 군들과 비교하여 가장 낮은 MPO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8번 군의 동물들은 TNBS에 의해 유도된 괴사성 염증에 대하여 현저하게 보호되었다.
실시예 2
실험용 래트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분지쇄 말토덱스트린 (실시예 1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 및 덱스트로스 (대조군)의, 수컷 Wistar 래트에서 TNBS 투여에 의해 유도된 결장 자극에 대한 효과, 및 이들의 회피성 광 자극 혐오 조건화 시험에서의 인지 반응에 대한 효과를 연구하였다.
이 시험은 래트가 밝게 조명된 환경을 싫어하는 점을 이용한다. 앓고 있는 동물이 혐오 조건화 시험에서 더 느리게 학습하는 동물이라는 원리이다.
먼저, 래트는 실험 조건화의 경우에서 그의 혐오적 광 환경을 조절하는 것을 배운다: 상기 동물은 양성 보상으로써 30초간의 어두운 기간을 얻기 위해 활성 레버 (LA)를 누르는 것을 배운다.
상기 장치는 작동되는 경우 광을 얻을 수 없는 다른 레버, 즉, 불활성 레버 (LI)도 포함한다.
활성 및 불활성 레버가 눌리는 총 횟수에 의해 래트의 조작 활동 수준을 평가할 수 있다.
학습 (두 레버 간의 구별)의 습득은 "광" 주기에서 두 레버 각각이 눌린 횟수를 비교하여 평가한다 (LA 대 LI).
48마리의 수컷 Wistar/AF SPF 래트를 4개 군으로 나누고, 하기 표 V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된 그들의 영양 섭취물인 먹이를 제공하였다.
Figure 112007082484838-pct00006
동물들에게 표준 먹이 및 식수를 제공한 1주일 간의 격리 기간 후, 동물들에게 본 발명의 분지쇄 말토덱스트린 5% 또는 덱스트로스 5%가 보충된 먹이를 15일간 섭취시켰다.
15일째에, 동물들을 48시간 동안 굶겼다.
17일째에, 래트들을 마취하고, 4개 중 2개 군 (2번 및 4번 군)에게 TNBS-에탄올 500 ㎕을 20%의 게이 루삭으로, 체중 kg 당 3 mg의 비율 (즉, 래트 당 1 mg - 이 용량은 약한 장 자극과 연관된 통증을 유도하는 것으로 인식된다)로 결장내 투여하였다.
17일 내지 23일째까지, 동물들에게 MDB 또는 덱스트로스가 보충된 먹이를 계속 제공하였다.
22일째에, 인지 시험, 즉, 혐오성 광 자극 회피 시험 (ALSAT)을 수행하였다.
하기 표 VI 및 VII는 다양한 군의 동물에 적용한 ALSAT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표 VII은 시험 과정에 걸쳐 눌린 총 횟수를 나타낸다.
Figure 112007082484838-pct00007
표 VII은 LA 및 LI가 눌린 횟수를 나타낸다.
결과가 현저하게 상이하지는 않지만, 표 VI은 본 발명의 MDB를 먹이에 제공한 래트들이 레버를 더 자주 눌렀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2번 군에 비하여 4번 군이 더 자주 누른 것을 보여준다.
Figure 112007082484838-pct00008
표 VII에 따르면, TNBS와 함께 또는 TNBS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MDB를 제공받은 동물들만이 LA를 훨씬 현저하게 누름으로써 LA와 LI를 구별할 수 있었고, 따라서, TNBS에 의해 유도된 통증에 대한 본 발명의 MDB의 긍정적 효과를 예증하였다.
23일째에 동물들을 희생시키고, 결장을 분리하여 하기 표 VIII에 제시된 점수 척도에 따라 조사하였다.
Figure 112007082484838-pct00009
4개 군에서 분리한 결장을 카르슨(Carson) 고정액으로 고정시키고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하기 표 IX는 상기 여러 군들의 결장에 대한 점수를 나타낸다.
Figure 112007082484838-pct00010
통계적 분석 (ANOVA)은 3번 군에 대한 결장 점수가 1번 군의 래트에 대한 점수보다 현저하게 낮으며, 2번 군에 대한 점수보다 현저하게 낮은 경향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4번 군의 래트에 대한 결장 점수도 1번 군에 대한 점수보다 현저하게 낮았고, 2번 군에 대한 점수보다 현저하게 낮은 경향이 있었다.
하기 표 X는 카르슨 고정액으로 고정된 결장에 대해 실시한, 장병증 (염증 및 괴사/궤양화)의 평균 수준으로 나타낸 현미경에 의한 조사 결과이다 (거시적 점수).
Figure 112007082484838-pct00011
표 X의 거시적 점수는 동물들이 덱스트로스를 제공받았을 경우 (대조군 동물)에 비하여, 동물들이 본 발명의 MDB를 제공받았을 경우에 더 낮았다.
2번 군에 2.8의 점수가 매겨진 반면 4번 군에 1.9의 점수가 매겨졌으므로, 이러한 관찰은 거시적 관찰과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따라서, 모든 동물은 염증을 나타냈지만, 중경도가 상이했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장병증은 동물들이 본 발명에 따른 MDB를 제공받았을 경우 덜 심각하였으므로, 전술한 거시적 결과를 확인시켜 준다.
이러한 결과는 더 우수한 학습을 나타낸 동물들이 TNBS에 의해 유도되는 통증에 대해 보호되었다는 것을 예증한 학습 시험 결과와 관련이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진통 특성을 예증한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분지쇄 말토덱스트린 (실시예 1에서 사용된 것)의 피글렛에서의 장 염증에 대한 보호 효과를 혈액 햅토글로빈 (haptoglobin) 검정에 의해 연구하였다.
햅토글로빈은 간에 의해 합성되고, 헤모글로빈에 결합할 수 있는 혈장 당단백질 (α2-글로불린)이다. 햅토글로빈 함량은 당업자가 입수할 수 있는 진단용 키트를 이용한 면역학적 방법에 의해 측정한다.
혈중 햅토글로빈 함량은 원인에 관계 없이, 염증 증상에서 증가한다. 햅토글로빈의 운동학은 느리므로, 그의 농도가 높다면 이는 염증이 일정 기간 동안 존재했다는 사실을 반영한다.
반면, 혈중 햅토글로빈 농도의 감소는 염증에 대한 보호 효과를 반영한다.
연구 개시시의 체중 7.2 ± 1.04 kg의 새끼 피글렛 128마리의 1개 군에 대하여 실험을 실시하였고, 상기 군을 동일한 체중 및 성별에 따라 32마리씩 4개 집단으로 나누었다 (거세된 수컷 16마리 및 암컷 16마리).
실험적 처리는 다음과 같다 (총 77일 기간):
1번 집단: 통상적인 먹이를 먹인 대조군 동물.
2번 집단: 본 발명에 따른 MDB를 먹이 중량의 2% 비율로 공급한 동물.
3번 집단: 실험 기간 (14일) 동안 2종의 항생제 (클로로테트라사이클린 및 스피라마이신)를 각각 1000 및 400 mg/kg의 비율로 함유하는 먹이를 먹여 의학적으로 처리한 뒤, 실험의 나머지 기간 (15-77일) 동안에는 다시 통상적인 먹이를 먹인 동물.
4번 집단: 실험 기간 (14일) 동안 2종의 항생제 (클로로테트라사이클린 및 스피라마이신)를 각각 1000 및 400 mg/kg의 비율로 함유하는 먹이를 먹여 의학적으로 처리한 뒤, 실험의 나머지 기간 (15-77일) 동안에는 본 발명에 따른 MDB를 먹이 중량의 2% 비율로 공급한 동물.
실험 종료시, 하위군 당 6마리의 피글렛의 혈액 샘플을 채취하여, 그로부터 햅토글로빈 함량을 측정하였다 (혈액 ml 당 mg으로 나타냄).
하기 표 XI은 얻은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112007082484838-pct00012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섬유질-풍부 장용 소염 및 진통제 조성물을 먹인 동물 (2번 집단)의 혈중 햅토글로빈 함량이, 통상적인 먹이를 제공한 동물의 함량에 비해 현저하게 낮다는 것을 보여주므로, 대조군에 비해 낮은 혈액, 즉, 전신적 염증 수준을 반영한다.
4번 집단에서, 현저하지는 않았지만 결과는 대조군의 결과보다 낮았다. 그러나, 이러한 감소는 원하는 효과, 즉, 낮은 항-염증 상태를 뒷받침한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분지쇄 말토덱스트린 (실시예 1에서 사용된 것)의 장내 발효에 대한 효과를 실험용 래트에서 연구하였다.
Sprague Dawley 혈통의 OFA 래트 40마리를 4개 군으로 나누고, 하기 표 XII에 제시된 세부 사항과 같이 그들의 먹이를 제공하여 섭취시켰다.
4번 군에는 프룩토올리고당 (Orafti 사에서 판매하는 라프틸로스(Raftilose)® P95)이 보충된 먹이를 제공하였다.
Figure 112007082484838-pct00013
동물들에게 표준 먹이 및 식수를 제공한 1주일 간의 격리 기간 후, 래트에게 먹이를 36일간 섭취시켰다.
0일째에, 동물들을 24시간 동안 굶겼다. 음료는 임의로 제공하였다. 1일째에, 대변을 수집하였다.
표 XII에 기술된 먹이를 동물들에게 제공하였다.
28일째에, 동물들을 24시간 동안 굶겼다. 마실 것은 임의로 제공하였다.
29일째에, 대변을 수집하였다.
36일째에, 동물들을 희생시켰다.
장기에 대해 일반적인 거시적 관찰을 실시하였다. 맹장을 묶고 분리하였다. 맹장 전체, 맹장 내용물 및 빈 맹장의 중량을 측정하였다.
대변 및 맹장 내용물의 pH 및 고형물을 측정하였다.
대변의 효소적 활성도 평가하였다 (α-글루코시다제 및 β-글루코시다제).
맹장 내용물의 휘발성 지방산의 분포를 연구하였다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하기 표 XIII은 맹장 전체의 중량, 빈 맹장의 중량 및 맹장 내용물의 pH에 관한 데이터를 나타낸다 (집단 당 10마리 이상의 평균값 ± 표준 편차로 나타냄).
Figure 112007082484838-pct00014
표 XIII은 표준 먹이 또는 덱스트로스 10%를 함유하는 먹이를 제공한 동물들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MDB 10% 또는 라프틸로스® P95 10%를 제공한 동물들의 맹장 전체 및 빈 맹장의 중량이 현저하게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대조군 집단과 비교하여, MDB 10%를 공급한 동물들의 맹장 전체 중량은 46% 증가하였고, 라프틸로스® P95 10%를 공급한 동물들에서는 53% 증가하였다.
빈 맹장의 중량은 MDB를 공급한 집단에서는 30%, 라프틸로스® P95를 공급한 집단에서는 50% 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MDB 및 라프틸로스® P95가 맹장의 중량을 증가시켜 맹장 박테리아 질량 및 맹장 점막의 중량을 증가시키고, 이로써 염증 면에 대한 물리적 보호가 일어났음을 보여준다.
상기 표는 또한 MDB를 공급한 집단의 맹장 내용물 pH의 현저한 감소를 보여주므로, 상당한 맹장 발효 활성을 반영한다.
이러한 pH 감소는 자연에서는 더욱 강하게 나타날, 염기성 분자의 감소에 따른 산성 분자의 증가를 반영한다.
라프틸로스® P95의 경우 맹장 내용물의 pH가 현저하게 감소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특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하기 표 XIV는 맹장 내용물의 휘발성 지방산 분포에 관한 데이터를 나타낸다.
Figure 112007082484838-pct00015
상기 표는 MBD 10%가 보충된 먹이를 섭취하면 맹장 내용물 중 프로피온산의 현저한 증가가 일어나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라프틸로스® P95를 제공한 집단에서도 나타났으나, 덜 강하게 나타났다.
맹장 내용물 중 아세트산의 양에 대해서는 현저한 차이가 명백하지 않다.
하기 표 XV는 대변 pH에 관한 데이터를 나타낸다.
Figure 112007082484838-pct00016
상기 결과에서 대변 pH의 감소가 관찰되기는 했지만, MDB를 제공한 동물에서 대변 pH의 현저한 감소가 관찰되지 않았다.
한편, 라프틸로스® P95를 제공한 동물에서 대변 pH가 감소하였다.
하기 표 XVI 및 XVII은 각각 0일째 및 29일째에 측정한 대변의 효소적 활성을 나타낸다.
Figure 112007082484838-pct00017
0일째에, 집단 간에 관찰되는 현저한 변화는 당연히 없다.
Figure 112007082484838-pct00018
29일째에, MDB 10% 투여에 의해 글루코시다제 활성이 크게 증가하였다. 이는 라프틸로스® P95를 제공한 동물에서도 마찬가지였으나, 덜 강하게 증가하였다.
실제로, 대조군 집단과 비교하여, 라프틸로스® P95 집단에 대해서는 α-글루코시다제 및 β-글루코시다제의 증가는 각각 172% 및 63%에 불과했던 반면, MDB를 제공한 집단에서는 α-글루코시다제 및 β-글루코시다제에 대하여 각각 310% 및 298%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대변의 글루코시다제 활성 증가는 존재하는 다당류 잔기의 결장내 소화를 일으킨다.
따라서, 이러한 높은 글루코시다제 활성은 특정 폴리페놀 (결장 염증의 회복에 참여하는 중요한 인자)의 생체이용률의 감소, 및 산화적 스트레스의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실시예 5
본 발명의 분지쇄 말토덱스트린 (실시예 1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의 부티르산 생성에 대한 효과를 실험용 래트에서 연구하였다.
피셔 실험용 래트 18마리를 3개 군으로 나누고, 하기 표 XVIII에 제시된 바와 같이 이들의 먹이를 제공하여 섭취시켰다.
3번 군에는 프룩토올리고당 (Beghin-Meiji사가 판매하는 악틸라이트 (Actilight)®)이 보충된 먹이를 제공하였다.
Figure 112007082484838-pct00019
동물들에게 표준 먹이 및 식수를 제공한 1주일 간의 격리 기간 후, 래트에게 상기 표 XVIII에 기재된 먹이를 14일간 섭취시켰다.
14일째에 동물들을 희생시켰다. 기관에 대한 일반적인 거시적 관찰을 실시하였다. 맹장을 묶고 분리하였다.
맹장 내용물 중 휘발성 지방산의 분포를 연구하였다.
하기 표 XIX는 부티르산에 대해 얻은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112007082484838-pct00020
맹장내 부티르산량은 MDB를 제공한 동물들에게서 증가하였으므로, 이를 동물에서 부티로제닉 글루시딕 기질로 분류할 수 있다.
부티르산은 세포 성장 및 분화에 중요한 요소이므로, 결장 염증에 대한 MDB의 보호 효과를 정당화한다.
실시예 6
본 발명의 분지쇄 말토덱스트린 (실시예 1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 및 덱스트로스 (대조군)의, 장 염증 및 진통에 관여하는 다양한 세포 수용체의 생성에 대한 효과를 실험용 마우스에서 연구하였다.
7주령 Balb/c 마우스 20마리를 2개 군으로 나눴다.
1개 군에는 식수 중 10% 덱스트로스의 용액으로 이루어진 음료를 제공하였고, 다른 군에는 식수 중 10% MDB의 용액을 제공하였다.
동물들에게 상기 음료와 표준 마우스 먹이를 29일간 무제한적으로 공급하였다.
29일째에, 마우스를 희생시키고, 결장을 분리하여 다음 표지들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 퍼옥시좀 증식체-활성화 수용체 (PPARγ)
- μ 오피오이드 수용체 (MOR)
본 발명의 분지쇄 말토덱스트린의, 염증의 생리학적 조절에서의 역할을 평가하기 위해, 뉴클레오스핀(NucleoSpin)® RNA II 키트 (Clontech Laboratories Inc.사 판매)를 이용하여 분리한 결장의 전체 RNA를 단리하였다. 역전사효소를 이용하여 전체 RNA를 cDNA로 역전사시켰다.
PPARγ 및 MOR에 대한 프라미어를 이용한 실시간 PCR (Applied Biosystems)에 의해 역전사 반응물을 증폭시키고 정량화하였다. 결과는 내부 β-악틴 대조군 mRNA 분자 당 mRNA 분자수로 나타냈다.
하기 표 XX는 래트의 결장 점막에서 PPARγ 및 MOR을 검정한 뒤 얻은 결과의 평균을 나타낸다.
Figure 112007082484838-pct00021
29일간 본 발명의 MDB 10%를 먹이에 도입함으로써 이들 2개 요소에 상당한 증가가 관찰되었다:
- PPARγ의 1.72배 증가
- MOR의 4.43배 증가
MDB 10%로 처리한 집단의 결과는 덱스트로스 10%로 처리한 대조군 집단에서 수득된 결과보다 현저하게 높은 값을 나타냈다 (PPARγ에 대해서 p<0.03; MOR에 대해서 p<0.04).
따라서, 본 발명의 MDB는 특히 장 점막의 일체성을 유지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염증의 조절을 도울 수 있다.
실제로, PPARγ 분자 수의 증가는 동물들이 MDB를 섭취했을 때 결장이 더 우수한 항-염증 상태를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MOR 통증 수용체 수의 증가는 통증에 대한 내장 민감성의 감소와 같은 의미이다. 이러한 결과는 동물의 인지 거동에 대한 영향에 의해 MDB의 진통 작용을 예증한 실시예 2의 결과와 완전히 일치한다.

Claims (17)

1→6 글루코시드 결합을 15% 내지 35% 가지고, 환원당 함량이 20 중량% 미만이며, 다분자성 지수 (polymolecularity index)가 5 미만이고, 수평균 분자량 Mn이 4500 g/mol 이하인 분지쇄 말토덱스트린을 포함하는, 장 염증을 치료 또는 예방하거나 장 통증을 완화하기 위한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지쇄 말토덱스트린의 환원당 함량이 2 중량% 내지 5 중량%이고, 수평균 분자량 Mn이 2000 내지 3000 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AOAC법 제2001.03번에 따라 측정한 상기 분지쇄 말토덱스트린의 총 섬유질 함량이 건조물을 기준으로 50 중량% 초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제2항에 있어서, AOAC법 제2001.03번에 따라 측정한 상기 분지쇄 말토덱스트린의 총 섬유질 함량이 건조물을 기준으로 50 중량% 초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분지쇄 말토덱스트린을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 염증을 치료 또는 예방하거나 장 통증을 완화하기 위한 섬유질-풍부 조성물.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지쇄 말토덱스트린을 건조 중량으로 0.5% 내지 20%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질-풍부 조성물.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지쇄 말토덱스트린을 건조 중량으로 5% 내지 10%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질-풍부 조성물.
제5항에 있어서, 음료, 스프 또는 요거트의 형태이거나, 아침식사용 시리얼에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질-풍부 조성물.
제5항에 있어서, 술파살라진 및 그의 유도체 및 코르티코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활성 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질-풍부 조성물.
제5항에 있어서, 술파살라진 및 그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활성 성분을 더 포함하고, 분지쇄 말토덱스트린 대 술파살라진 또는 그의 유도체 중 하나의 중량비가 2:1 내지 3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질-풍부 조성물.
제5항에 있어서, 코르티코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활성 성분을 더 포함하고, 분지쇄 말토덱스트린 대 코르티코이드의 중량비가 2:1 내지 25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질-풍부 조성물.
제9항에 있어서, 액체, 분말, 시럽, 좌약, 정제 또는 로젠지정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질-풍부 조성물.
a) 제5항에 따른 제1 조성물; 및
b) 장용 소염제를 포함하는 제2 조성물
을 포함하는, 장 염증을 치료 또는 예방하거나 장 통증을 완화하기 위한 키트.
제1항에 있어서, 만성 염증성 장 질환, 과민성 대장 증후군, 여행자 설사 또는 복부 통증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조성물.
제13항에 있어서, 만성 염증성 장 질환, 과민성 대장 증후군, 여행자 설사 또는 복부 통증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키트.
제14항에 있어서, 만성 염증성 장 질환이 궤양성 대장염 및 크론병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제15항에 있어서, 만성 염증성 장 질환이 궤양성 대장염 및 크론병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KR1020077026781A 2005-04-18 2006-04-04 분지쇄 말토덱스트린을 포함하는 장용 소염 및/또는 진통제조성물 KR1014949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503852A FR2884422B1 (fr) 2005-04-18 2005-04-18 Composition anti-inflammatoire de l'intestin comprenant des maltodextrines branchees
FR0503852 2005-04-18
PCT/FR2006/000736 WO2006111624A2 (fr) 2005-04-18 2006-04-04 Composition anti-inflammatoire et/ou analgesique de l’intestin comprenant des maltodextrines branche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655A KR20080000655A (ko) 2008-01-02
KR101494901B1 true KR101494901B1 (ko) 2015-02-24

Family

ID=35510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6781A KR101494901B1 (ko) 2005-04-18 2006-04-04 분지쇄 말토덱스트린을 포함하는 장용 소염 및/또는 진통제조성물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7932238B2 (ko)
EP (1) EP1871394B1 (ko)
JP (1) JP5289044B2 (ko)
KR (1) KR101494901B1 (ko)
CN (1) CN101163488B (ko)
AT (1) ATE488242T1 (ko)
AU (1) AU2006237417B2 (ko)
BR (1) BRPI0609959A2 (ko)
CA (1) CA2604778C (ko)
DE (1) DE602006018275D1 (ko)
ES (1) ES2356484T3 (ko)
FR (1) FR2884422B1 (ko)
MX (1) MX2007012915A (ko)
RU (1) RU2404780C2 (ko)
WO (1) WO200611162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525504D0 (en) 2005-12-14 2006-01-25 Bristol Myers Squibb Co Antimicrobial composition
EP3574914B1 (en) 2007-11-13 2021-12-29 ViroPharma Biologics LLC Corticosteroid compositions
FR2933848B1 (fr) * 2008-07-18 2019-08-09 Roquette Freres Composition de fibres indigestibles solubles et d'organismes eucaryotes dotes d'une paroi polysaccharidique utilisees dans le domaine du bien etre
ES2425762T3 (es) 2008-10-27 2013-10-17 Roquette Freres Polímero insoluble en agua: revestimientos de película a base de derivados de almidón modificado para la liberación dirigida al colon
GB0823265D0 (en) 2008-12-20 2009-01-28 Convatec Technologies Inc Antimicrobial Composition
FR2935228B1 (fr) * 2009-09-30 2013-02-08 Roquette Freres Composition de maltodextrines branchees et d'organismes eucaryotes dotes d'une paroi polysaccharidique utilisees dans le domaine du bien etre
FR2954700B1 (fr) * 2009-12-24 2012-02-03 Roquette Freres Utilisation de polysaccharides dans le traitement du stress et de l'anxiete
EP2386297A1 (en) * 2010-04-28 2011-11-16 Roquette Frères Indigestible polymer: starch acetate -based film coatings for colon targeting
EP2422629A1 (en) * 2010-08-23 2012-02-29 Abbott Laboratories Methods for enhancing cognition and/or memory using maltodextrins
GB201020236D0 (en) 2010-11-30 2011-01-12 Convatec Technologies Inc A composition for detecting biofilms on viable tissues
US11179430B2 (en) 2012-06-08 2021-11-23 Finzelberg Gmbh & Co. Kg Extracts from mother-of-thyme and the use i'hereof
WO2014007606A1 (en) * 2012-07-05 2014-01-09 N.V. Nutricia Product for use in the prophylactic or therapeutic treatment of a negative emotion or introvert behaviour
FR2997819B1 (fr) * 2012-11-14 2015-06-26 Roquette Freres Utilisation de polysaccharides dans le bien etre intestinal du nourisson et/ou du jeune enfant
EP2935688A2 (en) 2012-12-20 2015-10-28 ConvaTec Technologies Inc. Processing of chemically modified cellulosic fibres
WO2019099532A1 (en) * 2017-11-14 2019-05-23 Northwestern University Treatment of sleep-wake disorders and neurodegenerative disease comprising modified resistant maltodextrin
FR3075001B1 (fr) * 2017-12-14 2021-09-10 Tereos Starch & Sweeteners Belgium Utilisation des maltodextrines pour ameliorer la cognition et/ou stimuler le developpement du cerveau
FR3077959B1 (fr) 2018-02-22 2021-09-24 Roquette Freres Procede de fabrication de dextrine de pois resistante
WO2020161522A1 (en) * 2019-02-06 2020-08-13 Thd S.P.A. Fiber-based composition
FR3133994A1 (fr) * 2022-03-30 2023-10-06 Roquette Freres Utilisation non thérapeutique de dextrines hyperbranchées comme agent apaisant.
FR3134004A1 (fr) * 2022-03-30 2023-10-06 Roquette Freres Dextrines hyperbranchées pour leur utilisation topique pour la prévention ou le traitement d’au moins un symptôme de l’inflammation cutané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39740A1 (en) * 2001-03-30 2003-02-27 Marie-Helene Saniez Composition for enteral nutrition comprising fibres
WO2004082715A1 (ja) * 2003-03-20 2004-09-30 Eisai Co., Ltd. 炎症性腸疾患治療剤としての併用医薬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86775B1 (fr) * 1998-12-04 2001-02-16 Roquette Freres Maltodextrines branchees et leur procede de preparation
GB2363713A (en) 2000-06-21 2002-01-09 Ml Lab Plc Dextrin compositions
FR2822641B1 (fr) 2001-03-30 2005-03-04 Roquette Freres Procede de fabrication de compositions a base de fruits enrichies en fibres et compositions ainsi obtenues
FR2822647B1 (fr) 2001-03-30 2005-03-04 Roquette Freres Boissons enrichies en fibres
FR2822643B1 (fr) * 2001-03-30 2005-03-04 Roquette Freres Procede de preparation d'un aliment hypocalorique
JP2002308780A (ja) * 2001-04-12 2002-10-23 Sanwa Kagaku Kenkyusho Co Ltd 排便回数改善剤又は排便回数改善食品
US20030008844A1 (en) * 2001-05-17 2003-01-09 Keryx Biopharmaceuticals, Inc. Use of sulodexide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EP1505987A2 (en) 2002-05-13 2005-02-16 Pharmacia Corporation Stable amorphous celecoxib composite and process therefor
FR2842992B1 (fr) * 2002-08-05 2006-02-10 Roquette Freres Procede de fabrication de snacks alleges en matieres grasses et enrichis en fibres et snacks ainsi obten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39740A1 (en) * 2001-03-30 2003-02-27 Marie-Helene Saniez Composition for enteral nutrition comprising fibres
WO2004082715A1 (ja) * 2003-03-20 2004-09-30 Eisai Co., Ltd. 炎症性腸疾患治療剤としての併用医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356484T3 (es) 2011-04-08
EP1871394A2 (fr) 2008-01-02
KR20080000655A (ko) 2008-01-02
CA2604778C (fr) 2013-09-10
DE602006018275D1 (de) 2010-12-30
JP5289044B2 (ja) 2013-09-11
CN101163488B (zh) 2011-06-15
MX2007012915A (es) 2008-03-14
EP1871394B1 (fr) 2010-11-17
BRPI0609959A2 (pt) 2010-05-11
AU2006237417A1 (en) 2006-10-26
US20080182821A1 (en) 2008-07-31
WO2006111624A3 (fr) 2007-03-08
AU2006237417B2 (en) 2011-10-13
CA2604778A1 (fr) 2006-10-26
RU2007142443A (ru) 2009-05-27
US7932238B2 (en) 2011-04-26
RU2404780C2 (ru) 2010-11-27
JP2008536997A (ja) 2008-09-11
WO2006111624A2 (fr) 2006-10-26
FR2884422A1 (fr) 2006-10-20
ATE488242T1 (de) 2010-12-15
FR2884422B1 (fr) 2008-04-11
CN101163488A (zh) 2008-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4901B1 (ko) 분지쇄 말토덱스트린을 포함하는 장용 소염 및/또는 진통제조성물
Qin et al. RS5 produced more butyric acid through regulating the microbial community of human gut microbiota
Rose et al. Influence of dietary fiber on inflammatory bowel disease and colon cancer: importance of fermentation pattern
EFSA Panel on Dietetic Products, Nutrition, and Allergies (NDA) Scientific opinion on dietary reference values for carbohydrates and dietary fibre
Nugent Health properties of resistant starch
US20170101484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king alpha-(1,2)-branched alpha-(1,6) oligodextrans
JP5932662B2 (ja) 穀物ベースフラクション及びプロバイオティックを含む非発酵組成物、並びにそれらの使用
Song et al. Effects of three different mannans on obesity and gut microbiota in high-fat diet-fed C57BL/6J mice
Mitmesser et al. Prebiotics: Inulin and other oligosaccharides
AU2007309226B2 (en) Uses of water-soluble cellulose derivatives for preventing or treating metabolic syndrome
Faber et al. In vitro digestion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temulose molasses, a coproduct of fiberboard production, and select temulose fractions using canine fecal inoculum
Konkol et al. Galactoglucomannan-rich hemicellulose extract from Norway spruce (Picea abies) exerts beneficial effects on chronic prostatic inflammation and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in vivo
GB2492559A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reducing the risk of developing metabolic syndrome
Johnson Dietary fiber
AU742777B2 (en) Use of D-tagatose as a prebiotic food component
JP2023518058A (ja) ヒト対象でウロリチンの産生を増強するための組成物
Pandey et al. Therapeutic applications of probiotic and prebiotic in metabolic syndrome and chronic kidney diseases
Knapp Select novel carbohydrates affect glycemic and insulinemic response, energy value, and indices of gut health as measured using canine, avian, rodent, and in vitro model systems
Hesta et al. Effects of prebiotics in dog and cat nutrition: a review
Raksasiri Enhancing the efficiency to utilise of inulin from plants as a prebiotics in goat kid diets
Gavin Influence of nutrient intake on colonic function and stool composition in enterally fed cystic fibrosis pati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