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3959B1 - 용지 홀딩유닛 및 이를 구비한 프린터 - Google Patents

용지 홀딩유닛 및 이를 구비한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3959B1
KR101493959B1 KR20130146515A KR20130146515A KR101493959B1 KR 101493959 B1 KR101493959 B1 KR 101493959B1 KR 20130146515 A KR20130146515 A KR 20130146515A KR 20130146515 A KR20130146515 A KR 20130146515A KR 101493959 B1 KR101493959 B1 KR 101493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ortion
printing paper
supporting
pap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46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명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우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우테크
Priority to KR20130146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39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3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3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2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on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3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feeding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10Cassettes, holders, bins, decks, trays, supports or magazines for sheets stack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65H2405/11Parts and details thereof
    • B65H2405/114Side, i.e. portion parallel to the feeding / delivering direction
    • B65H2405/1144Side, i.e. portion parallel to the feeding / delivering direction extend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30Other features of supports f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지 홀딩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길게 형성되고 일부가 폴딩되어 전후방향 적층형태로 배치된 인쇄용지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용지 홀딩유닛에 있어서, 상기 인쇄용지의 적층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상기 인쇄용지의 상측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와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인쇄용지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 길게 형성되어 상기 인쇄용지의 일면과 접촉하며 양측이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와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가 서로의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도록 지지하는 후방지지부 및 상기 제1지지부상에서 상기 제2지지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인쇄용지가 하중 또는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용지 홀딩유닛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용지 홀딩유닛 및 이를 구비한 프린터{Paper Holding Apparatus and Print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프린터 내부에서 인쇄용지의 간섭을 일으키기 않고 안정적으로 인쇄용지를 지지할 수 있는 용지 홀딩유닛 및 이를 구비한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에 많은 부분에서 프린터를 이용하여 인쇄를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프린터는 도트프린터, 레이저프린터 및 감열지를 이용하는 서멀프린터로 분리된다.
특히, 서멀프린터의 경우 인자 품질이 도트프린터나 레이저프린터보다 떨어지고 무엇보다도 일반지가 아닌 감열지를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지만, 그 구조가 간단하고 크기가 작아질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현재에도 저가형 팩시팩스, 각종 계측기의 결과 출력기, 금융기관의 입출금기, 카드결제기 및 대기표 발행기 등에 이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프린터의 일례로서 일본특허 JP3355703호를 도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에 개발된 서멀프린터에서 프린터커버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서멀프린터에서 프린터커버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종래에 개발된 서멀프린터의 구성은 크게 케이스(10), 서멀헤드부(20), 플래튼롤러(30)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는 전체를 감싸며 일측에 회전을 통해서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프린터커버(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린터커버(11)는 일측끝단이 상기 케이스(1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측면에 장착되어 소정크기를 가지며 내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보조커버(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서멀헤드부(20)는 지지프레임(22), 서멀헤드(21) 및 탄성부재(23)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22)은 상기 케이스(10) 내부에서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된 샤프트(22a), 일측이 상기 샤프트(22a)를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 측면에 상기 서멀헤드(21)가 결합된다.
상기 서멀헤드(21)는 상기 지지프레임(22)의 일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서멀헤드(21)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이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탄성부재(23)는 상기 서멀헤드(21)와 상기 지지프레임(22)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서멀헤드(21)가 상기 플래튼롤러(30)를 가압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플래튼롤러(30)는 상기 서멀헤드(21)의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회전을 통해서 내부에 수용된 인쇄용지를 이송시켜 상기 서멀헤드(21)에 의해 인쇄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서멀프린터는 내부에 롤 형태의 인쇄용지를 사용하여 플래튼롤러(30)에 의해 이송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프린터의 경우 인쇄용지가 롤 형태로 구성되어 서멀프린터 내부에 수용 시 많은 공간을 차지하며, 인쇄용지를 감고 있는 롤러도 추가적으로 필요하여 서멀프린터의 전체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서멀프린터는 내부의 구성이 복잡해 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프린터와 달리 폴팅형태의 인쇄용지 상부 및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부 및 지지부상에 구비되어 인쇄용지를 가압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안정적으로 폴딩형태의 인쇄용지를 수용할 수 있는 용지 홀딩유닛 및 이를 구비한 프린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용지 홀딩유닛은, 길게 형성되고 일부가 폴딩되어 전후방향 적층형태로 배치된 인쇄용지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용지 홀딩유닛에 있어서, 상기 인쇄용지의 적층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상기 인쇄용지의 상측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와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인쇄용지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 길게 형성되어 상기 인쇄용지의 일면과 접촉하며 양측이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와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가 서로의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도록 지지하는 후방지지부 및 상기 제1지지부상에서 상기 제2지지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인쇄용지가 하중 또는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제1지지부재와 틸팅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후방지지부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제1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후면지지부와 상부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는 하부방향으로 탄성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지지부는 선택적으로 상기 제1지지부의 틸팅을 방지하는 별도의 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 또는 상기 제2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면에 상기 인쇄용지와 접촉하여 적층방향에 따른 움직임을 제한하는 슬립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 또는 상기 제2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후방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 사이의 이격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지지부는 길이방향에 따른 일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지지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인쇄용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상기 제2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인쇄용지의 폭 방향에 각각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인쇄용지의 폭에 대응하여 각각의 이격거리가 선택적으로 조절되는 보조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프린터는 상술한 용지 홀딩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프린터 내부에서 폴딩형태로 적층된 인쇄용지를 사용함으로써 용지를 감는 롤러를 사용하지 않고 내부공간을 활용하여 프린터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용지 홀싱유닛이 인쇄용지의 상하부 및 후면을 지지하며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하부의 길이가 선택적으로 조절되어 수용공간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사양한 크기의 인쇄용지를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용지 홀딩유닛이 별도의 이탈방지부재를 구비하여 수용공간을 분할함으로써 인쇄용지의 잔여량에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인쇄용지를 홀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에 개발된 서멀프린터의 프린터커버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프린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프린터에서 용지 홀딩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용지 홀딩유닛의 구성에서 인쇄용지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도 2의 용지 홀닝유닛에서 제1지지부가 틸팅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2의 용지 홀딩유닛에서 제1지지부가 후면지지부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2의 용지 홀딩유닛에서 별도의 이탈방지부재가 더 포함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2의 용지 홀딩유닛에서 보조지지부의 이격거리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용지 홀딩유닛 및 이를 구비한 프린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본 실시예를 통해서 좀더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함이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지 홀딩유닛 및 이를 구비한 프린터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프린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프린터에서 용지 홀딩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용지 홀딩유닛의 구성에서 인쇄용지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용지 홀딩유닛이 구비된 프린터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지 홀딩유닛(200)이 구비된 프린터는 크게 케이스(100), 인쇄용지(P)를 이송시키는 이송롤러(미도시), 이송되는 인쇄용지(P)에 인쇄를 하는 인쇄유닛(미도시) 및 케이스(100) 내부에서 용지를 지지하는 용지 홀딩유닛(20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0)는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용지 홀딩유닛(20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선택적으로 개폐를 조절할 수 있는 프린터커버가 구비된다.
용지 홀딩유닛(200)은 케이스(100) 내부의 공간에 구비되며 인쇄용지(P)를 안정적으로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인쇄용지(P)는 롤러형태가 아닌 폴딩형 인쇄용지(P)가 사용된다.
인쇄용지(P)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게 형성되고 일부가 폴딩되어 전후방방향 적층형태로 구성된다.
구체적인 용지 홀딩유닛(200)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이송롤러는 케이스(100) 내부에서 인쇄용지(P)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며 용지 홀딩유닛(200)에 수용된 인쇄용지(P)를 이송시켜 상기 인쇄유닛을 경유하여 외부로 이동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인쇄유닛은 케이스(100) 내부에서 상기 이송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인쇄용지(P)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되어 외부로 배출되기 전에 인쇄용지(P)에 인쇄를 한다.
본 발명에서 인쇄용지는 열전사용지 및 용지에 RFID, NFC CHIP과 같은 특정 전자 칩을 가진 용지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본실시예에서는 열전사용지가 사용되고 이에 대응하여 인쇄유닛도 열전사용지를 인쇄하기 위한 구성이 적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용지 홀딩유닛(200)이 구비된 프린터는 용지 홀딩유닛(200)에 의해 적층되어 수용된 폴딩형태의 인쇄용지(P)를 이송시키며 인쇄한다. 즉, 용지 홀딩유닛(200)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은 일반적인 프린터의 구성과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용지 홀딩유닛(200)의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용지 홀딩유닛(200)은 크게 제1지지부(210) 제2지지부(230), 후면지지부(220) 및 걸림부재(240)를 포함한다.
제1지지부(210)는 인쇄용지(P)의 적층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상기 인쇄용지(P)의 상측을 지지한다. 여기서, 인쇄용지(P)의 적층방향이라 함은 길게 형성된 인쇄용지(P) 일부가 폴딩되어 적층된 방향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지지부(210)는 인쇄용지(P)의 상부방향에 배치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으로 적층된 인쇄용지(P)의 상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제2지지부(230)는 제1지지부(210)와 마주보며 대항하도록 배치되어 인쇄용지(P)의 하측을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제2지지부(230)는 상술한 제1지지부(210)와 마찬가지로 인쇄용지(P)의 적층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인쇄용지(P)의 하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2지지부(230)는 상술한 제1지지부(210)와 서로 마주보며 평행하게 배치되어 인쇄용지(P)의 상부 및 하부를 각각 지지한다.
여기서, 상술한 제1지지부(210) 및 제2지지부(230)는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어 그 길이가 조절될 수도 있다.
후면지지부(220)는 길게 형성되어 인쇄용지(P)의 일면과 접촉하며 양측이 제1지지부(210) 및 제2지지부(230)와 각각 결합되어 제1지지부(210) 및 제2지지부(230)가 서로의 간격을 유지시하며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후면지지부(220)는 적층된 인쇄용지(P)의 후면을 지지함과 동시에 제1지지부(210) 및 제2지지부(230)와 결합된다.
이에 따라 후면지지부(220)는 제1지지부(210) 및 제2지지부(230)와 함께 `ㄷ` 형태로 배치되어 인쇄용지(P)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300)을 형성하여 수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후면지지부(220)가 구비됨에 따라 제1지지부(210) 및 제2지지부(230)는 후면지지부(220)에 의해 평행하게 배치되어 지지되며 안정적으로 인쇄용지(P)의 상부 및 하부에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후면지지부(220)는 적층된 인쇄용지(P)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며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양단부에 각각 제1지지부(210)와 제2지지부(230)가 결합된다.
한편, 후면지지부(220)의 구성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후면지지부(220)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하측이 제2지지부(230)와 결합되고 상측이 제1지지부(210)와 결합되며, 선택적으로 제1지지부(210) 및 제2지지부(230)의 이격거리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제1지지부(210) 또는 제2지지부(2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후면지지부(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제1지지부(210)와 제2지지부(230) 사이의 이격간격이 조절된다.
본 발명에 따른 후면지지부(220)는 제1지지부(210)가 후면지지부(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위치가 조절되며 제2지지부(230)와의 이격거리가 조절된다. 하지만 이와 달리 제2지지부(230)가 후면지지부(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위치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후면지지부(220)는 상하?향으로 길게 배치된 후면프레임(222) 및 후면프레임(2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지지부(210)와 결합되는 슬라이딩부재(224)를 포함한다.
제2지지부(230)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후면프레임(222)의 하부에 제2지지부(230)가 고정 결합되고, 제1지지부(210)는 슬라이딩부재(224) 상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부재(224)가 후면프레임(2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이동을 하는 경우 제1지지부(210)가 후면프레임(222)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께 이동하며 제2지지부(230)와의 이격거리가 조절된다.
이와 같이 후면프레임(222)이 구성됨에 따라 적층된 인쇄용지(P)의 상하방향 길이에 대응하여 제1지지부(210) 및 제2지지부(230)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인쇄용지(P)의 상부 및 하부와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인 동작상태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걸림부재(240)는 제1지지부(210)상에서 제2지지부(23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인쇄용지(P)가 하중 또는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다른 걸림부재(240)는 제1지지부(210)의 일측 끝단부에 구비되며 하부로 돌출 형성되어 제1지지부(210), 제2지지부(230) 및 후면지지부(220)에 의해서 지지되는 인쇄용지(P)가 임의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걸림부재(24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제1지지부(210)의 길이방향에 따른 끝단부에 구비되어 제2지지부(23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일부가 절곡되어 L자 형태로 절곡형성된다.
이에 따라, 절곡된 걸림부재(240)의 끝단부는 적층된 인쇄용지(P)의 일면에 접촉하며 후면지지부(220)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여기서, 걸림부재(240)는 제1지지부(210)재와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며 후면지지부(220)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인쇄용지(P)가 배출되는 경우 걸림부재(240)는 인쇄용지(P)의 배출방향으로 회전하며, 인쇄용지(P)가 배출된 후에는 다시 인쇄용지(P)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되돌아 온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용지가 배출되는 경우 걸림부재(24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후 다시 사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적층된 폴딩형태의 인쇄용지(P)를 가압한다.
즉, 걸림부재(240)는 인쇄용지(P)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이와 함께 수용공간(300)에 수용된 인쇄용지(P)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가압한다.
한편, 걸림부재(240)는 상술한 바와 달리 제1지지부(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걸림부재(240)는 각각이 틸팅 또는 고정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지지부(210)와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후면지지부(220)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걸림부재(240)가 복수 개로 구성됨에 따라, 인쇄용지(P)가 수용되는 수용공간(300)을 분할하여 개별적으로 인쇄용지(P)를 가압하여, 인쇄용지(P)가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수용공간(300) 내부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용지 홀딩유닛(200)이 구성됨에 따라 적층된 인쇄용지(P)가 제1지지부(210), 제2지지부(230) 및 후면지지부(220)와 각각 접촉하며, 걸림부재(240)에 의해 가압되어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지 홀딩유닛(200)에서 제1지지부(210) 또는 제2지지부(2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면에 인쇄용지(P)와 접촉하여 적층방향에 따른 움직임을 제한하는 슬립방지부(250)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슬립방지부(250)는 톱니 형태로 형성되어 폴딩되어 적층된 인쇄용지(P)가 적층방향으로 슬립이 발생하여 인쇄용지(P)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슬립방지부(2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부(210) 및 제2지지부(230) 각각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인쇄용지(P)의 상부 및 하부와 접촉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는 케이스(100), 상기 이송롤러, 상기 인쇄유닛 및 용지 홀딩유닛(200)을 포함하며, 적층된 폴딩형태의 인쇄용지(P)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인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용지 홀딩유닛(200)의 구성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2의 용지 홀닝유닛에서 제1지지부(210)가 틸팅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용지 홀딩유닛(2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지지부(210), 제2지지부(230), 후면지지부(220) 및 걸림부재(240)를 포함하고 있으며, 제1지지부(210) 및 제2지지부(230)는 후면지지부(220)와 틸팅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지지부(210)와 제2지지부(230)는 후면지지부(220)에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며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팅팅되며, 서로 평팽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설정된 간격 이상 이격거리가 좁혀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지지부(210)는 슬라이딩부재(224)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제1지지부(210)의 회전상태가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재(224)와 제1지지부(210)는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나, 제1지지부(210)가 상부방향으로만 틸팅되고 하부방향으로는 틸팅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는 제1지지부(210)가 하부방향으로 틸팅하면 수용공간(300) 내에서 적층형태로 폴딩된 인쇄용지(P)를 상부에서 가압하게 되므로 인쇄용지(P)의 안정적인 지지가 어렵게 된다.
이에 따라, 제1지지부(210)는 슬라이딩부재(224)와 틸팅 시 후면지지부(220)와의 결합각도가 직각 또는 둔각이 되는 상태로만 틸팅되고 예각상대가 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별도의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제1지지부(210)가 하부방향으로 탄성 가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후면지지부(220)와 제1지지부(210)의 결합각도가 줄어드는 방향으로 복원렬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제1지지부(210)가 슬라이딩부재(224)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됨에 따라 제1지지부(210)는 후면지지부(220)와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됨과 동시에 제1지지부(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제2지지부(230)는 후면프레임(222)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지만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후면프레임(222)과 제2지지부(230)의 결합각도가 직각 또는 둔각상태로만 틸팅되고 결합각도가 예각으로 틸팅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2지지부(230)와 후면프레임(222)도 결합각도가 줄어드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제1지지부(210) 및 제2지지부(230)가 후면지지부(220)와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300) 내부로 용지를 삽입할 때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의 (a)와 같이 제1지지부(210)와 후면지지부(220) 및 제2지지부(230)의 결합각도 각각이 모두 둔각이 되도록 상부방향으로 틸팅시킨다. 그리고 제1지지부(210)와 후면지지부(220)가 틸팅된 상태에서 제2지지부(230)의 상부에 적층된 폴딩형태의 인쇄용지(P)를 안착시킨다.
이때, 선택적으로 제1지지부(210)와 후면지지부(220) 틸팅을 방지하며 고정하는 별도의 고정수단(미도시)을 구비하여 인쇄용지(P)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물론 제2지지부(230)와 후면지지부(220)의 결합영역에도 마찬가지로 상기 고정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지지부(210)와 후면지지부(220)가 시계방향으로 틸팅된 상태에서 인쇄용지(P)를 수용공간(300) 내부에 안착시킨 후 도 5의 (b)와 같이 제1지지부(210)와 후면지지부(220)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인쇄용지(P)의 상부 및 하부는 각각 제1지지부(210) 및 제2지지부(230)에 의해 지지되며 인쇄용지(P)는 걸림부재(240)에 의해 가압되여 안정적으로 수용공간(300) 내부에 수용된다. 이때, 제1지지부(210)와 제2지지부(230)는 서로 마주보면 평행한 상태가 되어 인쇄용지(P)를 지지한다.
이와 같이 제1지지부(210) 및 제2지지부(230)가 후면지지부(220)와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수용공간(300) 내부에 인쇄용지(P)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인쇄용지(P)의 상하방향 길이에 따라 제1지지부(210)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상태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도 2의 용지 홀딩유닛(200)에서 제1지지부(210)가 후면지지부(220)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상술한 바와 같이 후면지지부(220)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후면프레임(222) 및 후면프레임(2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슬라이딩부재(224)를 포함하며, 제1지지부(210)는 슬라이딩부재(224)와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1지지부(210)와 제2지지부(2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다양한 길이의 인쇄용지(P)를 수용공간(300)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도 6의 (a)를 살펴보면, 제1지지부(210)가 상부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인쇄용지(P)가 수용공간(300)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써, 적층된 폴딩형태의 인쇄용지(P)가 L1의 상하방향 길이를 가지며 제1지지부(210)와 제2지지부(230) 사이의 이격거리가 이에 대응하여 L1으로 조절된다.
이때, 제1지지부(210)는 후면지지부(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여 L1의 길이에 대응하여 제1지지부(210)와 제2지지부(230)의 이격거리가 조절된다.
그리고 도 6의 (b)를 살펴보면 수용공간(300) 내부에 수용된 인쇄용지(P)의 상하방향 길이가 L1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L2이다.
여기서, 제1지지부(210)는 슬라이딩부재(224)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하여 함께 이동하며, 이에 따라 제1지지부(210)와 제2지지부(230)의 이격거리가 좁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제1지지부(210)와 제2지지부(230)의 이격거리는 L2길이에 대응하여 조절되며 안정적으로 인쇄용지(P)를 홀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지지부(210)가 슬라이딩부재(224)와 결합되며, 슬라이딩부재(224)가 후면프레임(2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지지부(210)와 제2지지부(230)의 이격거리를 인쇄용지(P)의 상하방향 길이에 대응하여 조절한다.
즉,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지 홀딩유닛(200)이 제1지지부(210)와 제2지지부(230)의 이걱거리가 조절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다양한 상하길이를 가지는 인쇄용지(P)를 수용공간(300)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제2지지부(230)상에 구비되어 수용공간(300) 내부에 수용된 인쇄용지(P)를 지지하는 이탈방지부재(260)가 더 포함된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도 2의 용지 홀딩유닛(200)에서 별도의 이탈방지부재(260)가 더 포함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지 홀딩유닛(200)은 제2지지부(230)상에 별도의 이탈방지부재(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부재(260)는 제2지지부(230)의 길이방향에 따른 일부에 구비되며 제1지지부(210) 방향으로 돌출되어 인쇄용지(P)가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부재(260)가 제2지지부(230)상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수용공간(300)을 분할하도록 구성되며 적층된 인쇄용지(P)를 분할하여 지지한다.
만약, 이탈방지부재(260)가 구비되지 않고 수용공간(300) 내부에 인쇄용지(P)가 얼마 남지 않은 경우 인쇄용지(P)는 수용공간(300) 내부에서 임의로 이동하여 외부로 이탈될 수 있다.
하지만, 이탈방지부재(260)가 수용공간(300) 내부를 분할하여 인쇄용지(P)를 지지함으로써 인쇄용지(P)가 얼마남지 않더라도 인쇄용지(P)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탈방지부재(260)가 제2지지부(230)상에서 수용공간(30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됨에 따라 수용공간(300) 내부에 남아있는 인쇄용지(P)가 적어지는 경우 인쇄용지(P)가 넘어지며 임의로 수용공간(300) 내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탈방지부재(260)는 제2지지부(2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구성되어 수용공간(300)을 더욱 많은 개수로 분할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용지 홀딩유닛(200)이 별도의 보조지지부(270)를 더 포함하는 상태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도 2의 용지 홀딩유닛(200)에서 보조지지부(270)의 이격거리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홀딩유닛은 상술한 제1지지부(210), 제2지지부(230), 후면지지부(220) 및 걸림부재(240) 뿐만 아니라 별도의 보조지지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지지부(270)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인쇄용지(P)의 폭 방향에 각각 배치되어 인쇄용지(P)를 지지한다, 즉 제1지지부(210), 제2지지부(230) 및 후면지지부(220)가 각각 수용공간(300)의 상면, 하면 및 후면을 지지한다면 보조지지부(270)는 수용공간(300)의 측면을 지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수용공간(300) 내부에 수용된 인쇄용지(P)는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임의로 이탈되지 않는다.
한편, 보조지지부(270)는 한 쌍 각각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서로의 이격거리가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용공간(300) 내부에 수용되는 인쇄용지(P)의 폭에 대응하여 서로간의 이격거리가 조절되며 이에 따라 수용공간(300) 내부의 크기가 능동적으로 조절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지 홀딩유닛(200)은 별도의 보조지지부(270)를 더 포함함으로써 수용공간(300) 내부에 수용되는 인쇄용지(P)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수용할 뿐만 아니라, 인쇄용지(P)의 폭에 대응하여 능동적으로 그 크기가 조절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인쇄용지(P)를 수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는 특정형태로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케이스 200: 용지 홀딩유닛
210: 제1지지부 220: 후면지지부
230: 제2지지부 240: 걸림부재
250: 슬립방지부 260: 이탈방지부재
270: 보조지지부 300: 수용공간

Claims (12)

  1. 길게 형성되고 일부가 폴딩되어 전후방향 적층형태로 배치된 인쇄용지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용지 홀딩유닛에 있어서,
    상기 인쇄용지의 적층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상기 인쇄용지의 상측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와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인쇄용지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
    길게 형성되어 상기 인쇄용지의 일면과 접촉하며 양측이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와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가 서로의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도록 지지하는 후방지지부; 및
    상기 제1지지부상에서 상기 제2지지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인쇄용지가 하중 또는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부재;
    를 포함하는 용지 홀딩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제1지지부재와 틸팅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후방지지부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홀딩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제1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 개가 구비되는 용지 홀딩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후면지지부와 상부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홀딩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는,
    하부방향으로 탄성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홀딩유닛.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지지부는,
    선택적으로 상기 제1지지부의 틸팅을 방지하는 별도의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용지 홀딩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 또는 상기 제2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면에 상기 인쇄용지와 접촉하여 적층방향에 따른 움직임을 제한하는 슬립방지부가 형성되는 용지 홀딩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 또는 상기 제2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후방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 사이의 이격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홀딩유닛.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는,
    길이방향에 따른 일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지지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인쇄용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용지 홀딩유닛.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상기 제2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홀딩유닛.
  11.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인쇄용지의 폭 방향에 각각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인쇄용지의 폭에 대응하여 각각의 이격거리가 선택적으로 조절되는 보조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용지 홀딩유닛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용지 홀딩유닛이 구비된 프린터.
KR20130146515A 2013-11-28 2013-11-28 용지 홀딩유닛 및 이를 구비한 프린터 KR101493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6515A KR101493959B1 (ko) 2013-11-28 2013-11-28 용지 홀딩유닛 및 이를 구비한 프린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6515A KR101493959B1 (ko) 2013-11-28 2013-11-28 용지 홀딩유닛 및 이를 구비한 프린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3959B1 true KR101493959B1 (ko) 2015-02-17

Family

ID=52593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46515A KR101493959B1 (ko) 2013-11-28 2013-11-28 용지 홀딩유닛 및 이를 구비한 프린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39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601B1 (ko) * 2017-11-23 2019-04-29 씨제이프레시웨이 주식회사 라벨 접이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9453A (ko) * 1989-11-30 1991-06-28 미쓰다 가쓰시게 급지장치부 프린터 및 급지장치
JP3355703B2 (ja) * 1993-06-23 2002-12-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9453A (ko) * 1989-11-30 1991-06-28 미쓰다 가쓰시게 급지장치부 프린터 및 급지장치
JP3355703B2 (ja) * 1993-06-23 2002-12-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601B1 (ko) * 2017-11-23 2019-04-29 씨제이프레시웨이 주식회사 라벨 접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32097B2 (en) Peripheral with independent flatbed and sheet-fed scanning devices
JP6135579B2 (ja) 給紙装置
JP4329484B2 (ja) 画像読取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事務機器
US10146166B2 (en) Sheet storage cassett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therewith
US9567171B2 (en) Sheet stackable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608308B2 (en) Image recording device
JP6037139B2 (ja) 記録材積載トレイ及び画像形成装置
US10435257B2 (en) Sheet placement apparatus and printing apparatus
KR101493959B1 (ko) 용지 홀딩유닛 및 이를 구비한 프린터
US8474812B1 (en) Manually translatable pick mechanism for feeding sheets of media of different widths
JP7130970B2 (ja) シート収納カセ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シート給送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KR101523981B1 (ko) 제본유닛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장치
JP4995932B2 (ja) 印刷装置
KR100485700B1 (ko) 용지 가이드 조절 장치를 갖는 급지 카세트
JP6478299B1 (ja) 取り忘れレシート回収構造、プリンタおよび自動取引装置
JP4826955B2 (ja) 記録紙スタッカ
JP2012229112A (ja) 画像形成装置
JP2017128425A (ja) シート給送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シート収納装置
JP5040494B2 (ja) シート収納装置および媒体処理装置
KR200192691Y1 (ko) 급지 카세트의 용지폭 조절 가이드장치
KR20070031538A (ko)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카세트
JP5949058B2 (ja) 携帯用印字装置
JP2015070479A (ja) 画像読取装置
JP2007084173A (ja) 給紙トレイ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100855119B1 (ko) 시트 급송 장치,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판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