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3882B1 - 신규한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rage 수용체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신규한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rage 수용체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3882B1
KR101493882B1 KR20130022077A KR20130022077A KR101493882B1 KR 101493882 B1 KR101493882 B1 KR 101493882B1 KR 20130022077 A KR20130022077 A KR 20130022077A KR 20130022077 A KR20130022077 A KR 20130022077A KR 101493882 B1 KR101493882 B1 KR 101493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thylamino
phenyl
carboxamide
propoxy
butox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22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7897A (ko
Inventor
서영거
이지우
한영택
김희
하희진
이상우
전혜은
홍현석
김영호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주) 메디프론디비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주) 메디프론디비티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022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3882B1/ko
Publication of KR20140107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7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3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3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 C07D23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1/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61K31/167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having the nitrogen of a carboxamide group directly attached to the aromatic ring, e.g. lidocaine, paracetam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51,2-Diaz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RAGE 수용체 또는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화합물은 RAGE 수용체에 길항작용을 함으로써, 신경세포를 손실하는 베타아밀로이드가 RAGE 수용체와 결합하여 뇌 내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며, 이로 인한 베타아밀로이드의 과다축적으로 형성되는 플라크 생성을 억제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기억 기능에 있어서 중요한 화학물질인 아세틸콜린을 분해하는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를 저해하는 효과가 뛰어나므로, RAGE 수용체 또는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활성 관련 질환인 알츠하이머 질환, 뇌혈관성 치매증, 두부 손상에 의한 치매, 다경색 치매, 알츠하이머 질환과 다경색 치매의 혼합형 또는 알코올성 치매 등을 포함하는 치매, 픽(pick)병, 크루츠-야콥(Creutzfeldt-jakob)병, 저갑상선증, 두부손상에 의한 파킨슨(Parkinson)병, 헌팅턴(Huntington)병 등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신규한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RAGE 수용체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Novel heteroarylcarboxamide derivative or pharmac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RAGE receptor related diseases contain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신규한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RAGE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알츠하이머 질환(AD)은 노인성 치매로 진행되는 진행성 질환이다(특허문헌 1 및 비특허문헌 1 내지 비특허문헌 4). 이러한 질환은 고령(65세 이상)에서 발생하는 후기 발병 및 노인기 이전, 즉 35세에서 60세 사이에 발생하기 쉬운 초기 발병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2 가지 유형의 질환에 있어서, 병리학적인 면에서는 동일하나, 이상 정도가 초년기에 발생하는 경우에는 더욱 심각하고 또한 더 널리 퍼지는 경향이 있다.
다국적 시장조사 기관인 디시전 리소시스社(Decision Resources)는 미국 등 주요 7 개국 치매 치료제 시장규모가 2007년 기준 30억 달러에서 2017년에는 90억 달러 수준까지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하였다.
더욱이 현재까지 개발되고 있는 약재들을 포함해서 지금까지 나온 모든 약재들은 알츠하이머병의 진행을 약간 늦출 수 있거나 알츠하이머병에 의해 나타나는 증상에 대한 치료를 위해 개발된 약물이 대부분이다. 최근 20년 동안 인지능력 특히 병의 초기와 중기에 해당하는 환자들에서 나타나는 인지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약재들이 개발되었고, 이러한 약재들이 현재 알츠하이머병에 걸려 있는 환자들의 일차적 치료 약물로 사용되고 있는 중이다.
한편, 최근의 알츠하이머성 질환 연구는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amyloid protein)에 의한 뇌세포 파괴, 그리고 이들 단백질의 구조, 생리작용, 뇌 안에서의 축적에 의한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ACh;neurotransmitter)의 레벨(level) 감소 등이 중심이 되고 있다. 알츠하이머성 질환의 치료는 주로 환자의 증세를 가볍게 하고, 병의 진행 속도를 지연시키는데 주안을 두고 있다.
현재까지 보고된 항 알츠하이머성 질환 활성화 성분은 주로 식물기원성 저분자이다. 특히, 노인성 치매 환자들에게 인지적 증상을 호전시키는 약물로서 콜린 에스테라제 저해제(choline esterase inhibitors; ChEIs)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먼저, 제1세대 콜린 에스테라제 저해제(ChEIs)로는 최초로 항치매 작용에 있어 적용 승인을 받은 타크린(tacrine)이 있다. 상기 타크린은 뇌에서 생성되는 아세틸콜린이 분해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약 30 %정도의 초기 및 중기에 알츠하이머병 환자들의 인지기능의 소실을 늦출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타크린은 아세틸콜린의 분해를 억제함으로써 인지기능의 감소를 늦출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작용지속 기간이 짧아 하루 4번 투여해야 하며, 알츠하이머병의 근본적 문제인 뇌 세포의 퇴행성 변화 자체를 막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간과 관련된 부작용을 많이 일으키기 때문에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요즈음 주목받고 있는 제2세대 콜린 에스테라제 저해제(ChEIs)들로는 일본 에자이사에서 개발되어 1996년말 미국 FDA 승인을 받고 1997년부터 세계 30여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도네페질(donepezil) 있다. 도네페질(donepezil)은 하루 한번 복용할 수 있고, 선택적인 저해로 말초 부작용을 줄였다. 리바스티그민(Rivastingmine)은 미국 노바티스사에서 개발한 약물로, 스위스에서 1997년 12월 승인받아 EU와 남아메리카 국가들에서 사용되고 있고, 미국, 캐나다에서도 승인 준비 중이며, 우리나라에서는 1997년 9월 도입되었다. 리비스티그민(Rivastingmine)은 하루 2번 복용이 가능하고 중추신경계에 특이성이 높아 말초 부작용을 크게 감소시켰고, 신장에서 대사되므로 간 독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메트리포네이트(Metrifonate)가 치매환자에 3상 임상실험이 진행 중이며, 비가역적인 AChEIs로서 작용기간이 긴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약물들은 일시적으로 증상만 완화시킬 뿐이므로 병을 근원적으로 치료하거나 병의 진행 자체를 억제하는 약물 개발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또한,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의 생성과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유도된 세포독성(cytotoxicity)을 저해 또는 차단(blocking) 시켜주는 연구가 계속되고 있으나 이를 실현시켜 주는 신소재나 약은 현재 전무한 실정이다.
한편, 알츠하이머병의 병리학적 특징으로는 베타아밀로이드(amyloid-beta peptide, Aβ)가 침착되어 나타나는 아밀로이드 플라크(amyloid plaque)와, 미세소관(microtubule)을 안정화시키는 기능을 하는 타우(tau) 단백질이 과인산화(hyper-phosphorylation) 되어 서로 엉키어 형성되는 신경섬유 매듭(Neurofibrillary tangle)을 들 수 있다.
베타아밀로이드는 베타아밀로이드 전구단백질(amyloid-β precursor protein, APP)가 베타시크리테아제와 감마시크리테아제에 의해 잘려 생성되며, 정상인의 뇌에서는 그 수준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하지만 알츠하이머병 환자에서는 과다 생성 또는 대사이상에 인한 베타아밀로이드의 과다축적으로 플라크가 생성된다. 베타아밀로이드 및 플라그의 독성으로 인해 신경세포의 소실이 나타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인지기능 장애 및 기억 장애를 유발하게 된다.
혈액-뇌 관문(blood-brain barrier, BBB)에는 베타아밀로이드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조절 시스템이 존재하는데, 이 시스템은 RAGE(Receptor for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비특허문헌 5)와 LRP-1(Low density lipoprotein receptor-related protein-1; 비특허문헌 6 및 비특허문헌 7)을 매개로 하여 그 평형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진행성 당화 최종 생성물의 수용체(RAGE)는 면역 글로불린 상과에 속하는, 다중 리간드 세포 표면 구성원이다. RAGE는 세포 외 도메인, 단일 막-확장 도메인(membrane-spanning domain) 및 시토졸 미부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수용체의 세포 외 도메인은 하나의 V형 면역 글로불린 도메인을 포함하고, 이 도메인에 이어서는 2개의 C형 면역 글로불린 도메인이 존재한다. RAGE는 또한 수용성 형태로서도 존재한다(sRAGE). RAGE는 다수의 상이한 조직 예를 들어, 폐, 심장, 신장, 골격근 및 뇌를 구성하는 다수의 세포 유형 예를 들어, 내피 세포 및 평활근 세포, 대식 세포 및 림프구에 의해 발현된다. 발현량은 만성 염증 상태 예를 들어, 류머티즘성 관절염과 당뇨병성 신증에서 증가한다. 비록 RAGE의 정상적 생리 기능에 관하여는 별로 알려진 바가 없지만, 이는 염증 반응에 관여하며, 다양한 발생 과정 예를 들어, 근아세포 분화 과정 및 신경 발생 과정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RAGE에 대한 연구는 초기에는 당뇨병에서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진행되었다. 그러나, 알츠하이머병의 가장 중요한 원인 단백질인 베타아밀로이드가 RAGE의 리간드라는 연구결과가 발표되면서 알츠하이머병과의 연관성을 밝히고자 연구가 시작되었고, RAGE는 정상 조건 하에서는 뇌에 낮은 농도로 존재하지만 진행성 당화 최종 생성물(AGE) 또는 베타아밀로이드와 같은 단백질이 당화(glycation)나 산화작용에 의해 변형되어 혈관 내에 축적되면(예를 들면, AD) 뇌혈관, 신경세포, 미세아교세포(microglia) 등에 RAGE 발현이 몇 배 증가하게 됨으로써, 베타아밀로이드와 결합하여 산화손상, 미세아교세포 활성 및 신경염증 등의 기전으로 신경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경우, 베타아밀로이드의 유입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RAGE의 발현 정도가 증가되어 있다는 것이 보고되었고(비특허문헌 8), 이를 통한 베타아밀로이드의 뇌 내로의 과다한 유입은 베타아밀로이드의 축적 정도를 가속화시켜서 결국 뇌 내 아밀로이드 플라크 형성을 촉진하게 된다. 또한 RAGE는 베타아밀로이드의 유입뿐만 아니라 베타아밀로이드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여러 신호전달과정을 일으키게 되는데, 특히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발생과 염증 등을 유발하여 세포자살을 일으킨다고 보고되었다(비특허문헌 6). 그러므로, 만일 RAGE와 베타아밀로이드의 상호작용을 막을 수 있다면, 베타아밀로이드의 축적과 이로 인한 세포 내 신호전달(downstream signaling)을 막을 수 있으며, 결국에는 알츠하이머병의 진행속도를 늦추는 데에도 큰 영향을 줄 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비특허문헌 9).
현재까지 RAGE와 베타아밀로이드의 상호작용을 막고자 하는 노력은 화합물을 이용하는 분야와 대체 스플라이싱(alternative splicing)에 의해 만들어지는 RAGE의 아형(isoform)인 용해성 RAGE(soluble RAGE, sRAGE)를 이용하는 분야로 진행되고 있다. 용해성 RAGE는 리간드와의 결합에 있어 RAGE와 경쟁적인 관계로서 세포막에 존재하는 RAGE(full-length RAGE)에 베타아밀로이드가 상호작용하기 전에 용해성 RAGE-베타아밀로이드 복합체를 형성함으로써 RAGE의 활성화에 의한 베타아밀로이드의 중추신경계 내로의 유입이나 신호전달과정이 일어나지 못하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하여 베타아밀로이드의 신호전달을 중화시키는 시약으로서 용해성 RAGE가 적용 가능한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와 비슷한 기능을 할 것으로 생각되는 RAGE에 대한 항체를 이용한 신약 개발 또한 진행되고 있다.
지금까지 RAGE 억제제로는 화이자 사(社)(Pfizer, Inc.)에서 개발된 PF-04494700(TTP488)가 경증 내지 중등증 AD 환자를 대상으로 제2상 임상연구를 마친 상태로 확인되며, 당뇨병성 신장증(diabetic nephropathy)을 앓고 있는 환자에 대해서도 임상 2상 연구가 진행되고 있고, 식용가능한 소분자 물질로 베타아밀로이드 양을 줄인다고 보고된 바 있다.
이외에도 RAGE 길항용 조성물이 개시된 바 있으나(특허문헌 2 내지 특허문헌 4), 아직까지 RAGE-베타아밀로이드 상호작용을 저해하는 물질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강력하게 RAGE에 대한 강력한 길항작용을 나타내는 조성물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RAGE 수용체에 대하여 길항 효과를 나타내는 화합물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하던 중, 본 발명의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가 RAGE 수용체에 대해서 강력한 길항제로 작용함으로써 RAGE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 즉, 알츠하이머 질환 등의 인지기능장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로서 개발 가능성이 우수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국제 공개특허 92/13069; 미국 공개특허 2007/021386; 미국 공개특허 2007/213347 A1; 미국 공개특허 2009/035302 A1.
Selkoe., TINS 16, 403-409(1993); Selkoe., J. Neuropathol. Exp. Neurol. 53, 438-447(1994); Duff et al., Nature 373, 476-477(1995); Games et al., Nature 373, 523(1995); Deane R & Zlokovic BV et al., Nat. Med., 2009, vol 9, 907; Zlokovic BV et al., Neuron, 2004, vol 43, 333; Deane R & Zlokovic BV et al., Stroke, 2004, vol 35, 2628; Donahue JE & Stopa EG et al. Acta Neuropathol., 2006, vol 112, 405; Zlokovic BV, Neurotherapeutics, 2008, Vol 5, 409.
본 발명의 목적은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RAGE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18250846-pat00001
(상기 반응식 1에서, R1, R2, R3, R4, X, Y, Z 및 n은 본 명세서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RAGE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화합물은 RAGE 수용체에 길항작용을 함으로써, 신경세포를 손실하는 베타아밀로이드가 RAGE 수용체와 결합하여 뇌 내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며, 이로 인한 베타아밀로이드의 과다축적으로 형성되는 플라크 생성을 억제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기억 기능에 있어서 중요한 화학물질인 아세틸콜린을 분해하는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를 저해하는 효과가 뛰어나므로, RAGE 수용체 또는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활성 관련 질환인 알츠하이머 질환, 뇌혈관성 치매증, 두부 손상에 의한 치매, 다경색 치매, 알츠하이머 질환과 다경색 치매의 혼합형 또는 알코올성 치매 등을 포함하는 치매, 픽(pick)병, 크루츠-야콥(Creutzfeldt-jakob)병, 저갑상선증, 두부손상에 의한 파킨슨(Parkinson)병, 헌팅턴(Huntington)병 등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4의 화합물이 투여된 시험군 및 대조군의 Y자 미로 시험에 따른 자발적 교차 행동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4의 화합물을 투여한 군 및 대조군의 새로운 사물 인지 시험에 따른 선호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4의 화합물을 투여한 군 및 대조군의 맥락공포조건화 시험에 따른 동결 반응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4의 화합물을 투여한 군 및 대조군의 모리스 수중미로 시험에 따른 플랫폼까지의 도달시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Figure 112013018250846-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 비치환된 C6 내지 C10의 아릴, 할로겐으로 치환된 C6 내지 C10의 아릴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된 C6 내지 C10의 아릴알킬옥시로 치환된 C6 내지 C10의 아릴; 또는 N, O 및 S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헤테로 원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5 내지 7원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고, 여기서,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할로겐으로 치환된 C6 내지 C10의 아릴옥시로 치환될 수 있고;
R2는 수소 또는
Figure 112013018250846-pat00003
이고;
상기 R5는 수소; C1 내지 C6 직쇄 또는 측쇄 알킬옥시; C5 내지 C10 사이클로알킬옥시; 비치환 또는 할로겐, C1 내지 C6 직쇄 또는 측쇄 알킬, C1 내지 C6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옥시 또는 할로알킬로 치환된 C6 내지 C10의 아릴옥시; 할로겐으로 치환된 C6 내지 C10의 아릴알킬옥시; 또는 N, O 및 S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헤테로 원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5 내지 7원자의 헤테로아릴옥시이고;
R3은 비존재; C1 내지 C6 직쇄 또는 측쇄 알킬;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된 C6 내지 C10의 아릴이고;
R4는 하나 이상의 수소; C1 내지 C6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옥시; 또는 하이드록시 또는 아미노로 치환된 C1 내지 C6 직쇄 또는 측쇄 알킬옥시이고, 이때, 상기 알킬옥시에 치환된 하이드록시 또는 아미노는 C1 내지 C6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로 치환될 수 있고;
X 및 Z는 결합; 또는 비치환 또는 C1 내지 C6 직쇄 또는 측쇄 알킬로 치환된 아민이고;
Y는 결합; 비치환 또는 C1 내지 C6 직쇄 또는 측쇄 알킬로 치환된 아민; 또는 산소(O)이고;
n은 0 내지 4의 정수이고, 여기서, n이 0인 경우 R1은 존재하지 않고; 및
Figure 112013018250846-pat00004
은 단일결합 또는 이중결합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R1은 수소; 비치환된 페닐, 할로겐으로 치환된 페닐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된 페닐알킬옥시로 치환된 페닐; 또는 N, O 및 S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헤테로 원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5 내지 7원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고, 여기서,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할로겐으로 치환된 페닐옥시로 치환될 수 있고;
R2는 수소 또는
Figure 112013018250846-pat00005
이고;
R5는 수소; C1 내지 C4 직쇄 또는 측쇄 알킬옥시; C5 내지 C8 사이클로알킬옥시; 비치환 또는 할로겐, C1 내지 C6 직쇄 또는 측쇄 알킬, C1 내지 C6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옥시 또는 할로알킬로 치환된 페닐옥시; 할로겐으로 치환된 페닐알킬옥시; 또는 N, O 및 S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헤테로 원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5 내지 7원자의 헤테로아릴옥시이고;
R3은 비존재, C1 내지 C4 직쇄 또는 측쇄 알킬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된 페닐이고;
R4는 하나 이상의 수소; C1 내지 C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옥시; 또는 하이드록시 또는 아미노로 치환된 C1 내지 C4 직쇄 또는 측쇄 알킬옥시이고, 이때, 상기 알킬옥시에 치환된 하이드록시 또는 아미노는 C1 내지 C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로 치환될 수 있고;
X 및 Z는 결합; 또는 비치환된 아민이고;
Y는 결합; 비치환 또는 C1 내지 C4 직쇄 또는 측쇄 알킬로 치환된 아민; 또는 산소(O)이고;
n은 0 내지 4의 정수이고, 여기서, n이 0인 경우 R1은 존재하지 않고; 및
Figure 112013018250846-pat00006
은 단일결합 또는 이중결합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R1은 수소; 비치환 또는 플루오로, 클로로 또는 플루오로 또는 클로로로 치환된 페닐알킬옥시로 치환된 페닐; 또는 피롤리딘 또는 피페리딘이고, 여기서, 상기 피롤리딘 또는 피페리딘은 플루오로 또는 클로로로 치환된 페닐옥시로 치환될 수 있고;
R2는 수소 또는
Figure 112013018250846-pat00007
이고;
R5는 수소; 메톡시; 사이클로헥실옥시; 비치환 또는 하나 이상의 플루오로, 클로로, t-부톡시, 메톡시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로 치환된 페닐옥시; 또는 클로로로 치환된 페닐알킬옥시; 또는 피리딜옥시이고;
R3은 비존재; 메틸; 또는 플루오로 또는 클로로로 치환된 페닐이고;
R4는 하나 이상의 수소; 메톡시; 부톡시; 또는 하이드록시 또는 아미노로 치환된 에톡시 또는 프로폭시이고, 이때, 상기 에톡시 또는 프로폭시에 치환된 하이드록시 또는 아미노는 에틸로 치환될 수 있고;
X 및 Z는 결합; 또는 비치환된 아민이고;
Y는 결합; 비치환 또는 메틸, 에틸, 프로필, 또는 n-부틸로 치환된 아민; 또는 산소(O)이고;
n은 0 내지 2의 정수이고, 여기서, n이 0인 경우 R1은 존재하지 않고; 및
Figure 112013018250846-pat00008
은 단일결합 또는 이중결합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R1
Figure 112013018250846-pat00009
,
Figure 112013018250846-pat00010
,
Figure 112013018250846-pat00011
,
Figure 112013018250846-pat00012
,
Figure 112013018250846-pat00013
,
Figure 112013018250846-pat00014
또는
Figure 112013018250846-pat00015
이고;
R2는 수소 또는
Figure 112013018250846-pat00016
이고;
R5는 수소; 메톡시;
Figure 112013018250846-pat00017
,
Figure 112013018250846-pat00018
,
Figure 112013018250846-pat00019
,
Figure 112013018250846-pat00020
,
Figure 112013018250846-pat00021
,
Figure 112013018250846-pat00022
,
Figure 112013018250846-pat00023
,
Figure 112013018250846-pat00024
,
Figure 112013018250846-pat00025
,
Figure 112013018250846-pat00026
,
Figure 112013018250846-pat00027
,
Figure 112013018250846-pat00028
,
Figure 112013018250846-pat00029
,
Figure 112013018250846-pat00030
또는
Figure 112013018250846-pat00031
이고;
R3은 비존재, 메틸,
Figure 112013018250846-pat00032
또는
Figure 112013018250846-pat00033
이고;
R4는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수소, 메톡시, 부톡시,
Figure 112013018250846-pat00034
,
Figure 112013018250846-pat00035
또는
Figure 112013018250846-pat00036
이고;
X 및 Z는 결합; 또는 비치환된 아민이고;
Y는 결합; 비치환 또는 메틸, 에틸, 프로필, 또는 n-부틸로 치환된 아민; 또는 산소(O)이고;
n은 0 내지 1의 정수이고, 여기서, n이 0인 경우 R1은 존재하지 않고; 및
Figure 112013018250846-pat00037
은 단일결합 또는 이중결합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는 하기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이다.
(1) N-(2-부톡시-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페닐)-3-(4-메톡시페닐)-1H-피라졸-5-카르복스아마이드;
(2) N-(2-부톡시-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페닐)-3-(4-(4-클로로페녹시)페닐)-1H-피라졸-5-카르복스아마이드;
(3) N-(2-부톡시-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페닐)-3-(4-(4-클로로페녹시)페닐)-1-메틸-1H-피라졸-5-카르복스아마이드;
(4) N-(2-부톡시-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페닐)-1-부틸-3-(4-(4-클로로페녹시)페닐)-1H-피라졸-5-카르복스아마이드;
(5) 3-(4-(4-클로로페녹시)페닐)-N-(4-(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페닐)-1-메틸-1H-피라졸-5-카르복스아마이드;
(6) 1-부틸-3-(4-(4-클로로페녹시)페닐)-N-(4-(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페닐-1H-피라졸-5-카르복스아마이드;
(7) N-(2-부톡시-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페닐)-1-메틸-3-(4-(피리딘-2-일옥시)페닐)-1H-피라졸-5-카르복스아마이드;
(8) 3-(4-(4-클로로페녹시)페닐)-N-(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페닐)-1-메틸-1H-피라졸-5-카르복스아마이드;
(9) N-(2-부톡시-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페닐)-1-메틸-3-(4-페녹시페닐)-1H-피라졸-5-카르복스아마이드;
(10) N-(2-부톡시-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페닐)-3-(4-(사이클로헥실옥시)페닐)-1-메틸-1H-피라졸-5-카르복스아마이드;
(11) 1-부틸-3-(4-(4-클로로페녹시)페닐)-N-(4-(3-(다이에틸아미노)페녹시)페닐)-1H-피라졸-5-카르복스아마이드;
(12) N-(2-부톡시-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페닐-3-(4-(3-플루오로-4-메톡시페녹시)페닐)-1-메틸-1H-피라졸-5-카르복스아마이드;
(13) N-(2-부톡시-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페닐)-3-(4-(4-클로로페녹시)페닐)이소옥사졸-5-카르복스아마이드;
(14) N-(2-부톡시-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페닐)-3-(4-(4-플루오로페녹시)페닐)-1-메틸-1H-피라졸-5-카르복스아마이드;
(15) N-(2-부톡시-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페닐)-3-(4-(4-메톡시페녹시)페닐)-1-메틸-1H-피라졸-5-카르복스아마이드;
(16) N-(2-부톡시-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페닐)-3-(4-(3-클로로-4-메톡시페녹시)페닐)-1-메틸-1H-피라졸-5-카르복스아마이드;
(17) N-(2-부톡시-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페닐)-1-메틸-3-(4-(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페닐)-1H-피라졸-5-카르복스아마이드;
(18) N-(4-(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페닐)-3-(4-메톡시페닐)-1-메틸-1H-피라졸-5-카르복스아마이드;
(19) N-(2-부톡시-4-(2-(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페닐)-3-(4-메톡시페닐)-1-메틸-1H-피라졸-5-카르복스아마이드;
(20) N-(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페닐)-3-(4-메톡시페닐)-1-메틸-1H-피라졸-5-카르복스아마이드;
(21) N-(2-부톡시-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페닐)-3-(4-(4-(tert-부틸)페녹시)페닐)-1-메틸-1H-피라졸-5-카르복스아마이드;
(22) N-(2-부톡시-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페닐)-3-(4-(2-플루오로페녹시)페닐)-1-메틸-1H-피라졸-5-카르복스아마이드;
(23) N-(2-부톡시-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페닐)-3-(4-(3-플루오로페녹시)페닐)-1-메틸-1H-피라졸-5-카르복스아마이드;
(24) 3-(4-(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페닐)-N-(2-부톡시-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페닐)-1-메틸-1H-피라졸-5-카르복스아마이드;
(25) N-(2-부톡시-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페닐)-3-(4-(3,4-다이플루오로페녹시)페닐)-1-메틸-1H-피라졸-5-카르복스아마이드;
(26) N-(2-부톡시-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페닐)-3-(4-(4-클로로페녹시)페닐)-1-에틸-1H-피라졸-5-카르복스아마이드;
(27) N-(2-부톡시-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페닐)-3-(4-(4-클로로페녹시)페닐)-1-프로필-1H-피라졸-5-카르복스아마이드;
(28) 6-(4-(4-클로로펜에톡시)페닐)-N-(4-(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페닐)니코틴아마이드;
(29) 6-(4-(4-클로로펜에톡시)페닐)-N-(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페닐)니코틴아마이드;
(30) 6-(4-(4-클로로페녹시)페닐)-N-(4-(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페닐)니코틴아마이드;
(31) N-(4-(3-(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페닐)-6-(4-메톡시페닐)니코틴아마이드;
(32) 4-(4-(4-클로로펜에톡시)페닐)-N-(4-(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페닐)-6-메틸피리미딘-2-카르복스아마이드;
(33) 4,6-비스(4-클로로페닐)-N-(4-(2-에톡시에톡시)페닐)피리미딘-2-카르복스아마이드;
(34) 4-(4-클로로페닐)-N-(4-(2-에톡시에톡시)페닐)-6-메틸피리미딘-2-카르복스아마이드;
(35) N-(4-(2-에톡시에톡시)페닐)-4-(3-(4-플루오로페녹시)피페리딘-1-일)-6-메틸피리미딘-2-카르복스아마이드;
(36) N-(4-(2-에톡시에톡시)페닐-4-(3-(4-플루오로페녹시)피롤리딘-1-일)-6-메틸피리미딘-2-카르복스아마이드;
(37) N-(4-(2-에톡시에톡시)페닐)-4-(4-(4-플루오로페녹시)피페리딘-1-일)-6-메틸피리미딘-2-카르복스아마이드;
(38) 4,6-비스(4-클로로페닐)-N-(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페닐)피리미딘-2-카르복스아마이드;
(39) 4-(4-(4-클로로페녹시)피페리딘-1-일)-N-(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페닐)-6-메틸피리미딘-2-카르복스아마이드;
(40) 4,6-비스(4-클로로페닐)-N-(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2-메톡시페닐)피리미딘-2-카르복스아마이드;
(41) N-(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2-메톡시페닐)-4,6-비스(4-플루오로페닐)피리미딘-2-카르복스아마이드;
(42) N-(4-3-(다이메틸아미노)프로폭시)-2-메톡시페닐)-4,6-비스(4-플루오로페닐)피리미딘-2-카르복스아마이드;
(43) N-(4-(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페닐)-4,6-비스(4-플루오로페닐)피리미딘-2-카르복스아마이드;
(44) N-(3-(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페닐)-4,6-비스(4-플루오로페닐)피리미딘-2-카르복스아마이드;
(45) N-(2-(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페닐)-4,6-비스(4-플루오로페닐)피리미딘-2-카르복스아마이드;
(46) N-(2-(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6-메톡시페닐)-4,6-비스(4-플루오로페닐)피리미딘-2-카르복스아마이드;
(47) N-(2-(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3-메톡시페닐)-4,6-비스(4-플루오로페닐)피리미딘-2-카르복스아마이드;
(48) N-(2-(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5-메톡시페닐)-4,6-비스(4-플루오로페닐)피리미딘-2-카르복스아마이드;
(49) N-(2-(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4-메톡시페닐)-4,6-비스(4-플루오로페닐)피리미딘-2-카르복스아마이드;
(50) N-(5-(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2-메톡시페닐)-4,6-비스(4-플루오로페닐)피리미딘-2-카르복스아마이드;
(51) N-(3-(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4-메톡시페닐)-4,6-비스(4-플루오로페닐)피리미딘-2-카르복스아마이드;
(52) N-(3-(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5-메톡시페닐)-4,6-비스(4-플루오로페닐)피리미딘-2-카르복스아마이드;
(53) N-(3-(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2-메톡시페닐)-4,6-비스(4-플루오로페닐)피리미딘-2-카르복스아마이드;
(54) N-(4-(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2-메톡시페닐)-4,6-비스(4-플루오로페닐)피리미딘-2-카르복스아마이드; 및
(55) N-(4-(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3-메톡시페닐)-4,6-비스(4-플루오로페닐)피리미딘-2-카르복스아마이드.
상기 구체적으로 예시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의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의 구조식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조식 구조식
실시예 1
Figure 112013018250846-pat00038
실시예 29
Figure 112013018250846-pat00039
실시예 2
Figure 112013018250846-pat00040
실시예 30
Figure 112013018250846-pat00041
실시예 3
Figure 112013018250846-pat00042
실시예 31
Figure 112013018250846-pat00043
실시예 4
Figure 112013018250846-pat00044
실시예 32
Figure 112013018250846-pat00045
실시예 5
Figure 112013018250846-pat00046
실시예 33
Figure 112013018250846-pat00047
실시예 6
Figure 112013018250846-pat00048
실시예 34
Figure 112013018250846-pat00049
실시예 7
Figure 112013018250846-pat00050
실시예 35
Figure 112013018250846-pat00051
실시예 8
Figure 112013018250846-pat00052
실시예 36
Figure 112013018250846-pat00053
실시예 9
Figure 112013018250846-pat00054
실시예 37
Figure 112013018250846-pat00055
실시예 10
Figure 112013018250846-pat00056
실시예 38
Figure 112013018250846-pat00057
실시예 11
Figure 112013018250846-pat00058
실시예 39
Figure 112013018250846-pat00059
실시예 12
Figure 112013018250846-pat00060
실시예 40
Figure 112013018250846-pat00061
실시예 13
Figure 112013018250846-pat00062
실시예 41
Figure 112013018250846-pat00063
실시예 14
Figure 112013018250846-pat00064
실시예 42
Figure 112013018250846-pat00065
실시예 15
Figure 112013018250846-pat00066
실시예 43
Figure 112013018250846-pat00067
실시예 16
Figure 112013018250846-pat00068
실시예 44
Figure 112013018250846-pat00069
실시예 17
Figure 112013018250846-pat00070
실시예 45
Figure 112013018250846-pat00071
실시예 18
Figure 112013018250846-pat00072
실시예 46
Figure 112013018250846-pat00073
실시예 19
Figure 112013018250846-pat00074
실시예 47
Figure 112013018250846-pat00075
실시예 20
Figure 112013018250846-pat00076
실시예 48
Figure 112013018250846-pat00077
실시예 21
Figure 112013018250846-pat00078
실시예 49
Figure 112013018250846-pat00079
실시예 22
Figure 112013018250846-pat00080
실시예 50
Figure 112013018250846-pat00081
실시예 23
Figure 112013018250846-pat00082
실시예 51
Figure 112013018250846-pat00083
실시예 24
Figure 112013018250846-pat00084
실시예 52
Figure 112013018250846-pat00085
실시예 25
Figure 112013018250846-pat00086
실시예 53
Figure 112013018250846-pat00087
실시예 26
Figure 112013018250846-pat00088
실시예 54
Figure 112013018250846-pat00089
실시예 27
Figure 112013018250846-pat00090
실시예 55
Figure 112013018250846-pat00091
실시예 28
Figure 112013018250846-pat00092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이 유용하다. 산 부가염은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브롬화수소산, 요오드화수소산, 아질산 또는 아인산과 같은 무기산류와 지방족 모노 및 디카르복실레이트, 페닐-치환된 알카노에이트, 하이드록시 알카노에이트 및 알칸디오에이트, 방향족 산류, 지방족 및 방향족 술폰산류와 같은 무독성 유기산, 아세트산, 안식향산, 구연산, 젖산, 말레인산, 글루콘산, 메탄설폰산, 4-톨루엔술폰산, 주석산, 푸마르산과 같은 유기산으로부터 얻는다. 이러한 약학적으로 무독한 염류로는 설페이트, 피로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설파이트, 바이설파이트, 니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모노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플루오라이드,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데카노에이트, 카프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포메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카프레이트, 헵타노에이트, 프로피올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석시네이트, 수베레이트, 세바케이트, 푸마레이트, 말리에이트, 부틴-1,4-디오에이트, 헥산-1,6-디오에이트, 벤조에이트, 클로로벤조에이트, 메틸벤조에이트, 디니트로 벤조에이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메톡시벤조에이트, 프탈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벤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클로로벤젠설포네이트, 크실렌설포네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페닐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β-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글리콜레이트, 말레이트, 타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프로판설포네이트, 나프탈렌-1-설포네이트, 나프탈렌-2-설포네이트 또는 만델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화학식 1의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를 유기용매,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메틸렌클로라이드, 아세토니트릴 등에 녹이고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가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 건조하여 제조되거나, 용매와 과량의 산을 감압 증류한 후 건조하거나 유기용매 하에서 결정화시켜셔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는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다.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 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은 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뿐만 아니라, 이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가능한 용매화물, 수화물, 이성질체 등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제법 1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아마이드화제 존재 하에서 반응을 수행하여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112013018250846-pat00093
(상기 반응식 1에서, R1, R2, R3, R4, X, Y, Z 및 n은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조방법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아민 유도체를 반응시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카르복실산과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아민기를 아마이드화제 존재 하에서, 아마이드화 반응을 수행하여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아마이드화 반응에 사용되는 아마이드화제(amide reagent)는 다이이소프로필에틸아민(DIPEA), 트라이에틸아민(TEA) 또는 다이메틸아미노피리딘(DMAP)과 함께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다이메틸아미노)-포스포니움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Py-BOP), O-벤조트리아졸-N,N,N,N-테트라메틸-유로니움-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BTU), 2-(7-아자-1H-벤조트리아졸-1-일)-1,1,3,3-테트라메틸유로니움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ATU), 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HOBt), 다이사이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DCC), 1-에틸-3-(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다이이미드(EDC), 또는 카르보닐다이이미다졸(CDI)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7-아자-1H-벤조트리아졸-1-일)-1,1,3,3-테트라메틸유로니움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ATU)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 가능한 유기용매로는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메탄올, 테트라하이들로퓨란(THF),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다이클로로메탄, 톨루엔 등을 사용하여 반응을 수행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를 사용할 수 있다.
제법 2
하기 반응식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염소화제 존재 하에서 커플링 반응을 수행하여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2]
Figure 112013018250846-pat00094
(상기 반응식 2에서, R1, R2, R3, R4, X, Y, Z 및 n은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조방법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아민 유도체를 반응시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카르복실산기를 염소화제 존재 하에서 아실클로라이드기(acyl chloride)로 전환한 다음, 전환된 아실클로라이드기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아민기와 반응시켜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염소화 반응에 사용가능한 염소화제는 포스포러스트라이클로라이드(PCl3), 포스포러스옥시클로라이드(POCl3), 티오닐클로라이드(SOCl2), 설퍼닐클로라이드(SO2Cl2) 및 포스겐(COCl2)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어 1종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티오닐클로라이드(SOCl2)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사용가능한 유기용매로는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다이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다이에틸에테르, 톨루엔, 자이렌, 크실렌, 벤젠, 클로로벤젠 또는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다이클로로메탄을 이용할 수 있다.
화학식 2의 화합물 제조방법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중간체 화합물인 화학식 2의 화합물을 하기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제법 1
하기 반응식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아세토페논 유도체와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화학식 6의 화합물과 화학식 7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고리화 반응을 수행하여 화학식 8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화학식 8의 화합물의 탈보호화 반응을 수행하여 화학식 9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3);
상기 단계 3에서 제조된 화학식 9의 화합물의 하이드록시기를 커플링 반응시켜 화학식 1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4); 및
상기 단계 4에서 제조된 화학식 10의 화합물을 환원 반응을 시켜 화학식 2a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5)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3]
Figure 112013018250846-pat00095
(상기 반응식 3에서, Y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R6은 C1 내지 C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고; OR7은 상기 화학식 1의 R2와 같고; TBS는 tert-부틸다이메틸실릴기이고; 및 화학식 2a의 화합물은 화학식 2에 포함된다.)
이하, 상기 제조방법을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단계 1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아세토페논 유도체와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염기 존재 하에서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와 화학식 5로 표시되는 옥살레이트의 축합 반응에 의해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상기 단계 2는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화학식 6의 화합물과 화학식 7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고리화 반응을 수행하여 화학식 8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학식 6의 화합물과 화학식 7로 표시되는 하이드라진 또는 하이드록시아민의 고리화 반응을 수행하여 화학식 8로 표시되는 피라졸 또는 이소옥사졸 유도체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단계 2는 화학식 8의 Y에 알킬화 반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Y가 비치환 아민인 경우, 화학식 8의 비치환 아민에 알킬화반응을 수행하여 C1 내지 C10 직쇄 또는 측쇄 알킬로 치환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단계 3은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화학식 8의 화합물의 탈보호화 반응을 수행하여 화학식 9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학식 8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하이드록시기를 보호화하는 tert-부틸다이메틸실릴기(TBS기)를 탈보호화하여 화학식 9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상기 단계 4는 상기 단계 3에서 제조된 화학식 9의 화합물의 하이드록시기를 커플링 반응시켜 화학식 1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학식 9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하이드록시기와 R7을 포함하는 보론산 또는 R7을 포함하는 알코올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 1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화학식 9의 화합물과 R7을 포함하는 보론산과 반응시킬 경우, 팔라듐(Pd(0)) 촉매화 교차 커플링(Pd(0) catalyzed cross coupling) 반응을 수행하며, 이때, 사용가능한 팔라듐(Pd)(0)가 촉매는 Pd(PPh3)4, PdCl2(PPh3)2, PdCl2, Pd(OCOCH3)2 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Pd(PPh3)4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화학식 9의 화합물과 R7을 포함하는 알코올 화합물과 반응시킬 경우, 커플링 반응을 수행할 경우, 미츠노브 반응(Mitsunobe reaction)을 수행하며, 이때, 사용가능한 아조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은 다이에틸아조다이카르복실레이트(diethyl azodicarboxylate, DEAD) 또는 다이이소프로필아조다이카르복실레이트(diisopropylazodicarboxylate, DIAD)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단계 5는 상기 단계 4에서 제조된 화학식 10의 화합물을 환원 반응을 시켜 화학식 2a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학식 1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R6을 포함하는 에스테르기를 카르복실산기로 환원하여 화학식 2a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화학식 2a는 화학식 2에 포함된다.
제법 2
하기 반응식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12로 표시되는 보론산 유도체를 커플링 반응시켜 화학식 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화학식 13의 화합물의 하이드록시기와 화학식 14로 표시되는 알코올 화합물의 커플링 반응을 수행하여 화학식 1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화학식 15의 화합물을 환원 반응시켜 화학식 2b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4]
Figure 112013018250846-pat00096
(상기 반응식 4에 있어서, R5는 C1 내지 C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고; OR6는 상기 화학식 1의 R2와 같고; Hal는 할로겐 원소이고; 및 화학식 2b의 화합물은 화학식 2에 포함된다).
이하 상기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단계 1은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12로 표시되는 보론산 유도체를 커플링 반응시켜 화학식 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12로 표시되는 보론산 유도체를 팔라듐(Pd(0)) 촉매화 교차 커플링 반응(Pd(0) catalyzed cross coupling)을 수행하여 화학식 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되는 단계이다.
이때, 커플링 반응 조건은 제법 1의 단계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단계 2는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화학식 13의 화합물의 하이드록시기와 화학식 14로 표시되는 알코올 화합물의 커플링 반응을 수행하여 화학식 1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화학식 13의 화합물과 화학식 14로 표시되는 R6을 포함하는 알코올 화합물을 아조다이카르복실레이트(azodicarboxylate) 및 포스핀 화합물 존재하에 미츠노부 반응(Mitsunobu reaction)을 수행하여 화학식 1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때, 커플링 반응 조건은 제법 1의 단계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단계 3은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화학식 15의 화합물을 환원 반응시켜 화학식 2b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학식 1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R5을 포함하는 에스테르기를 카르복실산기로 환원하여 화학식 2b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화학식 2b는 화학식 2에 포함된다.
제법 3
하기 반응식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학식 1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17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커플링 반응시켜 화학식 18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화학식 18의 화합물과 화학식 19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 2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화학식 20의 화합물을 소듐시아나이드와 반응시켜 화학식 2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3); 및
상기 단계 3에서 제조된 화학식 21의 화합물을 가수분해시켜 화학식 2c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4)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5]
Figure 112013018250846-pat00097
(상기 반응식 5에 있어서, A는 결합 또는 질소(N) 원자이고; R8은 할로겐으로 치환된 페닐옥시 또는 페닐알킬옥시이고; m은 0 내지 1의 정수이고; B는 수소(H) 또는 보론산기(-B(OH)2)이고;
Figure 112013018250846-pat00098
은 사이클로알킬 또는 페닐이고; 및 화학식 2c의 화합물은 화학식 2에 포함된다).
이하, 상기 제조방법을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단계 1은 화학식 1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17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커플링 반응시켜 화학식 18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화학식 1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클로라이드기와 화학식 17로 표시되는 보론산 또는 아민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 18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화학식 16의 화합물과 화학식 17로 표시되는 보론산을 반응시키는 경우, 팔라듐(Pd(0)) 촉매화 교차 커플링(Pd(0) catalyzed cross coupling) 반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 커플링 반응 조건은 제법 1의 단계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화학식 16의 화합물과 화학식 17로 표시되는 아민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경우, 방향족 치환(aromatic substitution) 반응을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단계 2는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화학식 18의 화합물과 화학식 19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 2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화학식 18의 화합물과 화학식 19로 표시되는 R8을 포함하는 알코올 화합물을 아조다이카르복실레이트(azodicarboxylate) 및 포스핀 화합물 존재하에 미츠노브 반응(Mitsunobe reaction)을 수행하여 화학식 2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때, 커플링 반응 조건은 제법 1의 단계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단계 3은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화학식 20의 화합물을 소듐시아나이드와 반응시켜 화학식 2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화학식 2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클로라이드기와 소듐시아나이드의 방향족 치환(aromatic substitution) 반응을 수행하여 나이트릴기가 도입된 화학식 21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상기 단계 4는 상기 단계 3에서 제조된 화학식 21의 화합물을 가수분해시켜 화학식 2c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화학식 2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나이트릴기를 염기 존재 하에서 가수분해하여 카르복실산기를 포함하는 화학식 2c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화학식 2c는 화학식 2에 포함된다.
제법 4
하기 반응식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학식 2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23으로 표시되는 보론산 유도체를 커플링 반응시켜 화학식 2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화학식 24의 화합물과 소듐시아나이드를 반응시켜 화학식 2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화학식 25의 화합물을 가수분해하여 화학식 2d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6]
Figure 112013018250846-pat00099
(상기 반응식 6에 있어서, R7은 할로겐기이고; 및 화학식 2d의 화합물은 화학식 2에 포함된다).
이하, 상기 제조방법을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단계 1은 화학식 2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23으로 표시되는 보론산 유도체를 커플링 반응시켜 화학식 2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화학식 2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23으로 표시되는 보론산 유도체를 팔라듐(Pd(0)) 촉매화 교차 커플링 반응(Pd(0) catalyzed cross coupling)을 수행하여 화학식 2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되는 단계이다.
이때, 커플링 반응 조건은 제법 1의 단계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단계 2는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화학식 24의 화합물을 소듐시아나이드와 반응시켜 화학식 2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화학식 2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클로라이드기와 소듐시아나이드의 방향족 치환(aromatic substitution) 반응을 수행하여 나이트릴기가 도입된 화학식 25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상기 단계 3은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화학식 25의 화합물을 가수분해시켜 화학식 2d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화학식 25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나이트릴기를 염기 존재 하에서 가수분해하여 카르복실산기를 포함하는 화학식 2d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화학식 2d는 화학식 2에 포함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의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RAGE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18250846-pat00100
(상기 반응식 1에서, R1, R2, R3, R4, X, Y, Z 및 n은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뇌 내에는 베타아밀로이드(Aβ)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조절 시스템이 존재하는데, 이 시스템은 RAGE(Receptor for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와 LRP-1(Low density lipoprotein receptor-related protein-1)를 매개로 하여 그 평형을 유지하게 된다. 이때, RAGE는 베타아밀로이드와 직접 상호작용하여 말초혈관에서 중추신경계로의 베타아밀로이드의 유입(influx)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비특허문헌 5 내지 비특허문헌 7).
한편, 베타아밀로이드의 뇌 내로의 과다한 유입은 베타아밀로이드의 축적 정도를 가속화시켜서 결국, 뇌 내의 베타아밀로이드 플라크 형성을 촉진하게 된다. 또한, RAGE는 베타아밀로이드의 유입뿐만 아니라 베타아밀로이드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여러 신호전달과정을 일으키게 되는데, 특히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발생과 염증 등을 유발하여 세포자살 일으킨다고 보고되었다(비특허문헌 6).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와 RAGE 수용체의 길항작용 및 이로 인한 베타아밀로이드의 뇌 내로의 이동 억제를 확인하기 위하여, 신경세포의 손상을 유발시키는 베타아밀로이드(Aβ)와의 결합 억제 활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의 RAGE 수용체에 대한 길항작용으로 인하여 RAGE 수용체와 베타아밀로이드의 결합 억제률이 높게 나타났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는 RAGE 수용체 길항작용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베타아밀로이드가 RAGE 수용체와 결합이 억제되어 뇌 내로의 이동이 억제되는 것을 알 수 있다(실험예 1 참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RAGE 수용체와 길항작용을 함으로써, RAGE 수용체와 결합하여 뇌 내로 이동하는 베타아밀로이드의 결합률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뛰어나므로, RAGE의 활성 증가로 기인한 질병인 알츠하이머 질환, 뇌혈관성 치매증, 두부 손상에 의한 치매, 다경색 치매, 알츠하이머 질환과 다경색 치매의 혼합형 또는 알코올성 치매 등을 포함하는 치매, 픽(pick)병, 크루츠-야콥(Creutzfeldt-jakob)병, 저갑상선증, 두부손상에 의한 파킨슨(Parkinson)병, 헌팅턴(Huntington)병 등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세틸콜리에스테라제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의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의 저해효과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의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의 저해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 8, 9, 11, 12, 15-17, 23, 26, 27, 38, 41, 42 및 47에서 제조된 화합물의 경우, 80 % 이상의 저해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의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효과가 상당히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실험예 2 참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와 길항작용을 함으로써, 뇌 내에서 기억에 영향을 미치는 아세틸콜린의 분해를 억제하여 인지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므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의 활성 증가로 기인한 질병인 알츠하이머 질환, 뇌혈관성 치매증, 두부 손상에 의한 치매, 다경색 치매, 알츠하이머 질환과 다경색 치매의 혼합형 또는 알코올성 치매 등을 포함하는 치매, 픽(pick)병, 크루츠-야콥(Creutzfeldt-jakob)병, 저갑상선증, 두부손상에 의한 파킨슨(Parkinson)병, 헌팅턴(Huntington)병 등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의약품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화학식 1의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임상투여 시에 다양한 하기의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형태로 제제화되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과립제, 엘릭시르제, 트로키제 등이 있는데, 이들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즈 및/ 또는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함유하고 있다. 정제는 또한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메틸셀룰로즈,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또는 비등 혼합물 및/또는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는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 내 주사 또는 흉부 내 주사를 주입하는 방법에 의한다.
이때, 비경구 투여용 제형으로 제제화하기 위하여 상기 화학식 1의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안정제 또는 완충제와 함께 물에 혼합하여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앰플 또는 바이알 단위 투여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멸균되고/되거나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따라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인체에 대한 투여량은 환자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여형태, 건강상태 및 질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00 ㎎/㎏/일의 양으로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시간 간격을 1일 수회, 바람직하게는 1일 1회 내지 3회로 분할하여 경구 또는 비경구적 경로를 통해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RAGE 수용체 또는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활성 관련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RAGE 수용체 및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에 대한 길항제로 작용함으로써 RAGE 수용체에 베타아밀로이드가 결합함으로써 유발되는 RAGE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 또는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의 활성으로 인한 아세틸콜린 분해 촉진으로 발생되는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상기 피리미딘계 유도체를 식품, 음료 등의 건강보조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드링크제, 육류, 소시지, 빵, 비스킷, 떡,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유제품 및 유가공 제품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는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식품 중의 상기 화합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1 내지 90 중량부로 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는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는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를 100 중량부 당 0.1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제조예,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제조예,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내용이 제조예,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 준비 및 기기
1. 분석기기
본 발명에서 제조된 생성물의 구조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된 기기는 하기와 같다.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1H NMR)은 JEOL LNM-LA 300, JEOL LNM-GCX 400a 및 Bruker AMX-500 spectrometer를 사용하였으며, NMR용매로는 CDCl3, MeOH-d4, DMSO-d6를 사용하였다.
2. TLC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TLC(Thin layer chromatography)는 E. Merck사 제품인 실리카겔(Merck F254)을 사용하였으며, 컬럼 크로마토그래피(column chromatography)를 위하여 사용된 실리카겔은 Merck Em9385, 230-400 mesh를 사용하였다. 또한, TLC 상에서 분리된 물질을 확인하기 위해서 UV 램프(= 254 nm)를 이용하거나 p-아니스알데하이드(p-anisaldehyde) 또는 과망간산칼륨(KMnO4) 발색시약에 담근 후, 플레이트를 가열하여 확인하였다.
3. 사용시약
본 실험에서 사용된 시약은 시그마-알드리치(Sigma-Aldrich), 란캐스터(Lancaster), 플루카(Fluka), 및 티시아이(TCI)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반응에 사용된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는 아르곤 기류에서 Na 금속과 벤조페논(Benzophenone)을 넣고 가열환류하여 청색으로 되었을 때 사용하였다. 또한, 다이클로로메탄(CH2Cl2)은 아르곤 기류에서 칼슘하이드라이드(CaH2)를 넣고 가열환류하여 사용하였다. 이외의 반응에 사용된 용매는 시그마-알드리치(Sigma-Aldrich) 제품의 1급 시약을 별도의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와 n-헥산은 아르곤 기류에서 가열환류하여 정제하여 사용하였다.
< 제조예 1> 2- 부톡시 -4-(3-( 다이에틸아미노 ) 프로폭시 )아닐린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01
단계 1: 2- 부톡시 -4- 플루오로 -1- 나이트로벤젠의 제조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64 ml)에 5-플루오로-2-나이트로페놀(1.0 g, 6.37 mmol) 및 트라이페닐포스핀(2.17 g, 8.28 mmol)을 용해시킨 다음, n-부탄올(614 mg, 8.28 mmol)과 다이이소프로필아조다이카르복실레이트(DIAD, 1.67 g, 8.28 mmol)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EA, ethylacetate)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층을 소금물을 이용하여 세척하고,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한 다음, 감압농축하였다. 그 후, 농축된 혼합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에틸아세테이트:헥산=1:20)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1.3 g, 96 %)을 얻었다.
단계 2: 3-(3- 부톡시 -4- 나이트로페녹시 )-N,N- 다이에틸프로판 -1- 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2-부톡시-4-플루오로-1-나이트로벤젠(1.0 g, 1.41 mmol)과 3-(다이에틸아미노)프로판올(0.77 ml, 5.16 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10 ml)에 용해시키고, 60 % 소듐하이드라이드(NaH, 281 mg, 2.12 mmol)를 첨가한 다음,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환류교반시켰다. 그 후, 상기 반응물을 감압농축하고, 에틸아세티이트(EA)에 다시 용해시킨 다음, 물과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세척된 유기층을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다시 감압농축한 후, 농축된 혼합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메탄올:다이클로로메탄:트라이에틸아민=1:20:0.1)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880 mg, 58 %)을 얻었다.
단계 3: 2- 부톡시 -4-(3-( 다이에틸아미노 ) 프로폭시 )아닐린의 제조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3-(3-부톡시-4-나이트로페녹시)-N,N-다이에틸프로판-1-아민(880 mg, 2.71 mmol)을 에탄올(27 ml)에 용해시킨 다음, 염화(Ⅱ)주석 수화물(3.07 g, 13.6 mmol)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3시간 동안 환류교반시킨 다음, 감압농축하고 에틸아세테이트(EA)에 다시 용해시켰다. 용해된 반응물에 포화 소듐바이카보네이트(NaHCO3) 수용액을 첨가한 후, 이를 셀라이트(Celite) 여과하였다. 여과된 유기층을 물과 소금물로 세척하고,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킨 다음, 감압농축하였다. 상기 농축된 반응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메탄올:다이클로로메탄:트라이에틸아민=1:10:0.1)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710 mg, 89 %)을 얻었다.
< 제조예 2> 4-(2-( 다이에틸아미노 ) 에톡시아닐린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02
단계 1: N,N- 다이에틸 -2-(4- 나이트로페녹시 ) 에탄아민의 제조
5-플루오로-2-나이트로페놀을 사용하는 대신에 4-나이트로페놀을 사용하고, n-부탄올을 사용하는 대신에 2-(다이에틸아미노)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의 단계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3.9 g, 89 %)을 얻었다.
단계 2: 4-(2-( 다이에틸아미노 ) 에톡시 )아닐린의 제조
3-(3-부톡시-4-나이트로페녹시)-N,N-다이에틸프로판-1-아민을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N,N-다이에틸-2-(4-나이트로페녹시)에탄아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의 단계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410 mg, 94 %)을 얻었다.
< 제조예 3> 4-(3-( 다이에틸아미노 ) 프로폭시 )아닐린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03
단계 1: N,N- 다이에틸 -3-(4- 나이트로페녹시 )프로판-1- 아민의 제조
5-플루오로-2-나이트로페놀을 사용하는 대신에 4-나이트로페놀을 사용하고, n-부탄올을 사용하는 대신에 3-(다이에틸아미노)프로판올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의 단계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4.0 g, 89 %)을 얻었다.
단계 2: 4-(3-( 다이에틸아미노 ) 프로폭시 )아닐린의 제조
3-(3-부톡시-4-나이트로페녹시)-N,N-다이에틸프로판-1-아민을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N,N-다이에틸-3-(4-나이트로페녹시)프로판-1-아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의 단계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1.6 g, 91 %)을 얻었다.
< 제조예 4> 4-(2- 에톡시에톡시 )아닐린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04
단계 1: 1-(2- 에톡시에톡시 )-4- 나이트로벤젠의 제조
5-플루오로-2-나이트로페놀을 사용하는 대신에 4-나이트로페놀을 사용하고, n-부탄올을 사용하는 대신에 2-에톡시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의 단계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745 mg, 94 %)을 얻었다.
단계 2: 4-(2- 에톡시에톡시 )아닐린의 제조
3-(3-부톡시-4-나이트로페녹시)-N,N-다이에틸프로판-1-아민을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1-(2-에톡시에톡시)-4-나이트로벤젠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의 단계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249 mg, 39 %)을 얻었다.
< 제조예 5> 4-(3-( 다이에틸아미노 ) 프로폭시 )-2- 메톡시페닐 )피리미딘-2-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05
상기 제조예 1의 단계 1에서 n-부탄올을 사용하는 대신에 메탄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182 mg, 29 %)을 얻었다.
< 제조예 6> 4-(3-( 다이메틸아미노 ) 프로폭시 )-2- 메톡시아닐린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06
상기 제조예 1의 단계 1에서 n-부탄올을 사용하는 대신에 메탄올을 사용하고, 제조예 1의 단계 2에서 3-(다이에틸아미노)프로판올을 사용하는 대신에 3-(다이메틸아미노)프로판올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133 mg, 40 %)을 얻었다.
< 제조예 7> 3-(2-( 다이에틸아미노 ) 에톡시 )아닐린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07
단계 1: N,N- 다이에틸 -2-(3- 나이트로페녹시 ) 에탄아민의 제조
5-플루오로-2-나이트로페놀을 사용하는 대신에 3-나이트로페놀을 사용하고, n-부탄올을 사용하는 대신에 2-(다이에틸아미노)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의 단계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285 mg, 83 %)을 얻었다.
단계 2: 3-(2-( 다이에틸아미노 ) 에톡시 )아닐린의 제조
3-(3-부톡시-4-나이트로페녹시)-N,N-다이에틸프로판-1-아민을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N,N-다이에틸-2-(3-나이트로페녹시)에탄아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의 단계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1.3 g, 81 %)을 얻었다.
< 제조예 8> 2-(2-( 다이에틸아미노 ) 에톡시 )아닐린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08
단계 1: N,N- 다이에틸 -2-(2- 나이트로페녹시 ) 에탄아민의 제조
5-플루오로-2-나이트로페놀을 사용하는 대신에 2-나이트로페놀을 사용하고, n-부탄올을 사용하는 대신에 2-(다이에틸아미노)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의 단계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719 mg, 95 %)을 얻었다.
단계 2: 2-(2-( 다이에틸아미노 ) 에톡시 )아닐린의 제조
3-(3-부톡시-4-나이트로페녹시)-N,N-다이에틸프로판-1-아민을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N,N-다이에틸-2-(2-나이트로페녹시)에탄아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의 단계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386 mg, 63 %)을 얻었다.
< 제조예 9> 2-(2-( 다이에틸아미노 ) 에톡시 )-6- 메톡시아닐린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09
단계 1: N,N- 다이에틸 -2-(3- 메톡시 -2- 나이트로페녹시 ) 에탄아민의 제조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15 ml)에 3-메톡시-2-나이트로페놀(254 mg, 1.50 mmol) 및 트라이페닐포스핀(512 mg, 1.95 mmol)을 용해시킨 다음, 2-(다이에틸아미노)에탄올(0.26 ml, 1.95 mmol)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EA)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층을 소금물을 이용하여 세척하고,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한 다음, 감압농축하였다. 그 후, 농축된 혼합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메탄올:다이클로로메탄=1:25)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262 mg, 65 %)을 얻었다.
단계 2: 2-(2-( 다이에틸아미노 ) 에톡시 )-6- 메톡시아닐린의 제조
3-(3-부톡시-4-나이트로페녹시)-N,N-다이에틸프로판-1-아민을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N,N-다이에틸-2-(3-메톡시-2-나이트로페녹시)에탄아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의 단계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189 mg, 87 %)을 얻었다.
< 제조예 10> 2-(2-( 다이에틸아미노 ) 에톡시 )-3- 메톡시아닐린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10
단계 1: N,N- 다이에틸 -2-(2- 메톡시 -6- 나이트로페녹시 ) 에탄아민의 제조
3-메톡시-2-나이트로페놀을 사용하는 대신에 2-메톡시-6-나이트로페놀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9의 단계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282 mg, 70 %)을 얻었다.
단계 2: 2-(2-( 다이에틸아미노 ) 에톡시 )-6- 메톡시아닐린의 제조
3-(3-부톡시-4-나이트로페녹시)-N,N-다이에틸프로판-1-아민을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N,N-다이에틸-2-(2-메톡시-6-나이트로페녹시)에탄아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의 단계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225 mg, 90 %)을 얻었다.
< 제조예 11> 2-(2-( 다이에틸아미노 ) 에톡시 )-5- 메톡시벤즈아민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11
단계 1: N,N- 다이에틸 -2-(4- 메톡시 -2- 나이트로페녹시 ) 에탄아민의 제조
3-메톡시-2-나이트로페놀을 사용하는 대신에 4-메톡시-2-나이트로페놀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9의 단계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298 mg, 74 %)을 얻었다.
단계 2: 2-(2-( 다이에틸아미노 ) 에톡시 )-5- 메톡시벤즈아민의 제조
3-(3-부톡시-4-나이트로페녹시)-N,N-다이에틸프로판-1-아민을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N,N-다이에틸-2-(4-메톡시-2-나이트로페녹시)에탄아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의 단계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172 mg, 65 %)을 얻었다.
< 제조예 12> 2-(2-( 다이에틸아미노 ) 에톡시 )-4- 메톡시벤즈아민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12
단계 1: N,N- 다이에틸 -2-(5- 메톡시 -2- 나이트로페녹시 ) 에탄아민의 제조
3-메톡시-2-나이트로페놀을 사용하는 대신에 5-메톡시-2-나이트로페놀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9의 단계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310 mg, 77 %)을 얻었다.
단계 2: 2-(2-( 다이에틸아미노 ) 에톡시 )-4- 메톡시벤즈아민의 제조
3-(3-부톡시-4-나이트로페녹시)-N,N-다이에틸프로판-1-아민을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N,N-다이에틸-2-(5-메톡시-2-나이트로페녹시)에탄아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의 단계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171 mg, 62 %)을 얻었다.
< 제조예 13> 5-(2-( 다이에틸아미노 ) 에톡시 )-2- 메톡시벤즈아민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13
단계 1: N,N- 다이에틸 -2-(4- 메톡시 -3- 나이트로페녹시 ) 에탄아민의 제조
3-메톡시-2-나이트로페놀을 사용하는 대신에 4-메톡시-3-나이트로페놀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9의 단계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314 mg, 77 %)을 얻었다.
단계 2: 5-(2-( 다이에틸아미노 ) 에톡시 )-2- 메톡시벤즈아민의 제조
3-(3-부톡시-4-나이트로페녹시)-N,N-다이에틸프로판-1-아민을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N,N-다이에틸-2-(4-메톡시-3-나이트로페녹시)에탄아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의 단계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184 mg, 66 %)을 얻었다.
< 제조예 14> 3-(2-( 다이에틸아미노 ) 에톡시 )-4- 메톡시벤즈아민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14
단계 1: N,N- 다이에틸 -2-(2- 메톡시 -5- 나이트로페녹시 ) 에탄아민의 제조
3-메톡시-2-나이트로페놀을 사용하는 대신에 2-메톡시-5-나이트로페놀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9의 단계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362 mg, 89 %)을 얻었다.
단계 2: 3-(2-( 다이에틸아미노 ) 에톡시 )-4- 메톡시벤즈아민의 제조
3-(3-부톡시-4-나이트로페녹시)-N,N-다이에틸프로판-1-아민을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N,N-다이에틸-2-(2-메톡시-5-나이트로페녹시)에탄아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의 단계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122 mg, 38 %)을 얻었다.
< 제조예 15> 3-(2-( 다이에틸아미노 ) 에톡시 )-5- 메톡시벤즈아민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15
단계 1: N,N- 다이에틸 -2-(3- 메톡시 -5- 나이트로페녹시 ) 에탄아민의 제조
2-부톡시-4-플루오로-1-나이트로벤젠을 사용하는 대신에 1-플루오로-3-메톡시-5-나이트로벤젠을 사용하고, 3-(다이에틸아미노)프로판올을 사용하는 대신에 2-(다이에틸아미노)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의 단계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106 mg, 26 %)을 얻었다.
단계 2: 3-(2-( 다이에틸아미노 ) 에톡시 )-5- 메톡시벤즈아민의 제조
3-(3-부톡시-4-나이트로페녹시)-N,N-다이에틸프로판-1-아민을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N,N-다이에틸-2-(3-메톡시-5-나이트로페녹시)에탄아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의 단계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73 mg, 78 %)을 얻었다.
< 제조예 16> 3-(2-( 다이에틸아미노 ) 에톡시 )-2- 메톡시벤즈아민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16
단계 1: N,N- 다이에틸 -2-(2- 메톡시 -3- 나이트로페녹시 ) 에탄아민의 제조
2-부톡시-4-플루오로-1-나이트로벤젠을 사용하는 대신에 1-플루오로-2-메톡시-3-나이트로벤젠을 사용하고, 3-(다이에틸아미노)프로판올을 사용하는 대신에 2-(다이에틸아미노)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의 단계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77 mg, 19 %)을 얻었다.
단계 2: 3-(2-( 다이에틸아미노 ) 에톡시 )-2- 메톡시벤즈아민의 제조
3-(3-부톡시-4-나이트로페녹시)-N,N-다이에틸프로판-1-아민을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N,N-다이에틸-2-(2-메톡시-3-나이트로페녹시)에탄아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의 단계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18 mg, 26 %)을 얻었다.
< 제조예 17> 4-(2-( 다이에틸아미노 ) 에톡시 )-2- 메톡시벤즈아민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17
단계 1: N,N- 다이에틸 -2-(3- 메톡시 -4- 나이트로페녹시 ) 에탄아민의 제조
3-메톡시-2-나이트로페놀을 사용하는 대신에 3-메톡시-4-나이트로페놀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9의 단계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330 mg, 81 %)을 얻었다.
단계 2: 4-(2-( 다이에틸아미노 ) 에톡시 )-2- 메톡시벤즈아민의 제조
3-(3-부톡시-4-나이트로페녹시)-N,N-다이에틸프로판-1-아민을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N,N-다이에틸-2-(3-메톡시-4-나이트로페녹시)에탄아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의 단계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140 mg, 48 %)을 얻었다.
< 제조예 18> 4-(2-( 다이에틸아미노 ) 에톡시 )-3- 메톡시벤즈아민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18
단계 1: N,N- 다이에틸 -2-(2- 메톡시 -4- 나이트로페녹시 ) 에탄아민의 제조
3-메톡시-2-나이트로페놀을 사용하는 대신에 2-메톡시-4-나이트로페놀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9의 단계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285 mg, 70 %)을 얻었다.
단계 2: 4-(2-( 다이에틸아미노 ) 에톡시 )-3- 메톡시벤즈아민의 제조
3-(3-부톡시-4-나이트로페녹시)-N,N-다이에틸프로판-1-아민을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N,N-다이에틸-2-(2-메톡시-4-나이트로페녹시)에탄아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의 단계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83 mg, 33 %)을 얻었다.
< 실시예 1> N-(2- 부톡시 -4-(3-( 다이에틸아미노 ) 프로폭시 ) 페닐 )-3-(4- 메톡 시페닐)-1H- 피라졸 -5-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19
단계 1: 에틸-4-(4- 메톡시페닐 )-2,4- 다이옥소부타노에이트의 제조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30 ml)에 4-메톡시아세토페논(1.0 g, 6.66 mmol)을 용해시키고 0℃로 냉각시킨 다음, 1M LHMDS(THF 용액, 7.33 mmol)을 천천히 적가하면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상기 반응물에 다이에틸옥살레이트(1.14ml, 7.89 mmol)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이 끝난 다음, 반응물을 감압농축하고 에틸아세테이트(EA)에 용해시켰다. 용해된 반응물을 물과 소금물로 세척한 후,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다시 감압농축하였다. 농축된 반응물을 다이에틸에테르와 n-헥산으로 재결정하여 목적화합물(1.4 g, 84 %)을 얻었다.
단계 2: 에틸 3-(4- 메톡시페닐 )-1H- 피라졸 -5- 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에틸-4-(4-메톡시페닐)-2,4-다이옥소부타노에이트(1.12 g, 4.48 mmol)를 아세트산(8 ml)에 용해시키고, 상온에서 하이드라진 하이드레이트(0.28 ml, 8.96 mmol)를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3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물에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시키고, 반응물을 여과하여 침전물을 회수하였다. 회수된 침전물을 다이에틸에테르와 n-헥산으로 재결정하여 목적화합물(1.0 g, 91 %)을 얻었다.
단계 3: 3-(4- 메톡시페닐 )-1H- 피라졸 -5- 카르복실산의 제조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에틸 3-(4-메톡시페닐)-1H-피라졸-5-카르복실레이트(100 mg, 0.41 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메탄올:증류수=5:1:1 혼합용액(105 ml)에 용해시키고, 리튬하이드록사이드 모노하이드레이트(LiOH H2O, 4.1 mmol)를 첨가한 후, 얇은 막 크로마토그래피(TLC)로 3-(4-메톡시페닐)-1H-피라졸-5-카르복실레이트가 사라질 때까지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료된 다음, 감압농축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에 다시 용해시켰다. 용해된 반응물을 1N 염산으로 산성화하고, 상기 유기층을 물과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그 후,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킨 다음, 다시 감압농축하여 별도의 정제없이 목적화합물(82 mg, 92 %)을 얻었다.
단계 4: N-(2- 부톡시 -4-(3-( 다이에틸아미노 ) 프로폭시페닐 )-3-(4- 메톡시페닐 )-1H- 피라졸 -5-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단계 3에서 제조된 3-(4-메톡시페닐)-1H-피라졸-5-카르복실산(20 mg, 0.092 mmol)을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1 ml)에 용해시키고, 제조예 1에서 제조된 2-부톡시-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아닐린(38 mg, 0.1 mmol)을, 2-(7-아자-1H-벤조트리아졸-1-일)-1,1,3,3-테트라메틸유로니움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ATU, 38 mg, 0.1 mmol) 및 다이이소프로필에틸아민(1 방울)과 함께 첨가하여, 밤샘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물에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층을 물과 소금물로 세척한 다음,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된 반응물은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메탄올:다이클로로메탄=1:15)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17 mg, 37 %)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Cl3): δ 9.14 (s, 1H), 8.35 (d, 1H, J = 8.1 Hz), 7.57 (d, 2H, J = 8.8 Hz), 7.02 (s, 1H), 6.92 (d, 2H, J = 8.8 Hz), 6.46-6.43 (m, 2H), 4.00-3.92 (m, 4H), 3.80 (s, 3H), 2.84-2.70 (m, 6H), 2.11-2.01 (m, 2H), 1.81-1.76 (m, 2H), 1.50 (q, 2H, J = 7.5 Hz), 1.14 (t, 6H, J = 7.2 Hz), 0.96 (t, 3H, J = 7.4 Hz).
< 실시예 2> N-(2- 부톡시 -4-(3-( 다이에틸아미노 ) 프로폭시 ) 페닐 )-3-(4-(4- 로로페녹시) 페닐 )-1H- 피라졸 -5-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20
단계 1: 1-(4-(4- 클로로페녹시 ) 페닐 ) 에타논의 제조
4-플루오로아세토페논(2.0 g, 14.48 mmol)과 포타슘카보네이트(K2CO3, 6.0 g, 43.44 mmol)을 무수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30 ml)에 용해시킨 다음, 상온에서 4-클로로페놀(2.8 g, 21.7 mmol)을 첨가하면서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물에 4-클로로페놀이 모두 들어간 후, 120℃까지 등온하고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료된 다음, 상기 반응물을 에틸아세테이트에 묽히고 물과 소금물로 세척한 다음,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켰다. 건조된 반응물은 감압건조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에틸아세테이트:n-헥산=1:20)으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2.8 g, 80 %)얻었다.
단계 2: 에틸 4-(4-(4- 클로로페녹시 ) 페닐 )-2,4- 다이옥소부타노에이트의 제조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40 ml)에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1-(4-(4-클로로페녹시)페닐)에타논(1.0 g, 4.05 mmol)을 용해시키고 0℃로 냉각시킨 다음, 1M LHMDS(THF 용액, 4.46 mmol)을 천천히 적가하면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상기 반응물에 다이에틸옥살레이트(0.7ml, 4.86 mmol)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이 끝난 다음, 반응물을 감압농축하고 에틸아세테이트(EA)에 용해시켰다. 용해된 반응물을 물과 소금물로 세척한 후,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다시 감압농축하였다. 농축된 반응물을 다이에틸에테르와 n-헥산으로 재결정하여 목적화합물(1.25 g, 89 %)을 얻었다.
단계 3: 에틸 3-(4-(4- 클로로페녹시 ) 페닐 )-1H- 피라졸 -5- 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에틸 4-(4-(4-클로로페녹시)페닐)-2,4-다이옥소부타노에이트(1.25 g, 3.60 mmol)를 아세트산(6 ml)에 용해시키고, 상온에서 하이드라진 하이드레이트(0.22 ml, 7.20 mmol)를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3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물에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시키고, 반응물을 여과하여 침전물을 회수하였다. 회수된 침전물을 다이에틸에테르와 n-헥산으로 재결정하여 목적화합물(1.23 g, 94 %)을 얻었다.
단계 4: 3-(4-(4- 클로로페녹시 ) 페닐 )-1H- 피라족 -5- 카르복실산의 제조
상기 단계 3에서 제조된 에틸 3-(4-(4-클로로페녹시)페닐)-1H-피라졸-5-카르복실레이트(100 mg, 0.29 mmol)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메탄올:증류수=5:1:1 혼합용액(105 ml)에 용해시키고, 리튬하이드록사이드 모노하이드레이트(LiOH H2O, 2.9 mmol)를 첨가한 후, 얇은 막 크로마토그래피(TLC)로 3-(4-(4-클로로페녹시)페닐)-1H-피라졸-5-카르복실레이트가 사라질 때까지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료된 다음, 감압농축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에 다시 용해시켰다. 용해된 반응물을 1N 염산으로 산성화하고, 상기 유기층을 물과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그 후,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킨 다음, 다시 감압농축하여 별도의 정제없이 목적화합물(86 mg, 94 %)을 얻었다.
단계 5: N-(2- 부톡시 -4-(3- 다이에틸아미노 ) 프로폭시페닐 )-3-(4-(4- 클로로페녹시 ) 페닐 )-1H- 피라졸 -5-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단계 4에서 제조된 3-(4-(4-클로로페녹시)페닐)-1H-피라족-5-카르복실산(30 mg, 0.095 mmol)을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1 ml)에 용해시키고, 제조예 1에서 제조된 2-부톡시-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아닐린(38 mg, 0.1 mmol)을, 2-(7-아자-1H-벤조트리아졸-1-일)-1,1,3,3-테트라메틸유로니움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ATU, 38 mg, 0.1 mmol) 및 다이이소프로필에틸아민(1 방울)과 함께 첨가하여, 밤샘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물에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층을 물과 소금물로 세척한 다음,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된 반응물은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메탄올:다이클로로메탄=1:20)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25 mg, 46 %)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3OD): δ 8.15 (d, 1H, J = 8.1 Hz), 7.72 (d, 2H, J = 8.8 Hz), 7.37 (d, 2H, J = 9.0 Hz), 7.10-7.01 (m, 5H), 6.64-6.53 (m, 2H), 4.11-4.06 (m, 4H), 3.01-2.86 (m, 6H), 2.03-2.00 (m, 2H), 1.86-1.83 (m, 2H), 1.64-1.60 (m, 2H), 1.19 (t, 6H, J = 6.5 Hz), 1.02 (t, 3H, J = 7.3 Hz).
< 실시예 3> N-(2- 부톡시 -4-(3-( 다이에틸아미노 ) 프로폭시 ) 페닐 )-3-(4-(4- 클로로페녹시 ) 페닐 )-1- 메틸 -1H- 피라졸 -5-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21
단계 1: 에틸 3-(4-(4- 클로로페녹시 ) 페닐 )-1- 메틸 -1H- 피라졸 -5- 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의 단계 3에서 제조된 에틸 3-(4-(4-클로로페녹시)페닐)-1H-피라졸-5-카르복실레이트(0.1 g, 0.29 mmol) 및 포타슘카보네이트(K2CO3, 60 mg, 0.435 mmol)를 무수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3 ml)에 용해시키고, 아이오도메탄(0.027 ml, 0.435 mmol)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얇은 막 크로마토그래피(TLC)로 3-(4-(4-클로로페녹시)페닐)-1H-피라졸-5-카르복실레이트가 사라질 때까지 교반하였다. 그 후, 상기 반응물을 에틸아세테이트에 묽히고, 물과 소금물로 세척한 다음,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감압농축하였다. 농축된 반응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30 mg, 96 %)을 얻었다.
단계 2: 3-(4-(4- 클로로페녹시 ) 페닐 )-1- 메틸 -1H- 피라졸 -5- 카르복실산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에틸 3-(4-(4-클로로페녹시)페닐)-1-메틸-1H-피라족-5-카르복실레이트(34 mg, 0.095 mmol)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메탄올:증류수=5:1:1 혼합용액(42 ml)에 용해시키고, 리튬하이드록사이드 모노하이드레이트(LiOH H2O, 2.9 mmol)를 첨가한 후, 얇은 막 크로마토그래피(TLC)로 3-(4-(4-클로로페녹시)페닐)-1-메틸-1H-피라족-5-카르복실레이트가 사라질 때까지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료된 다음, 감압농축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에 다시 용해시켰다. 용해된 반응물을 1N 염산으로 산성화하고, 상기 유기층을 물과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그 후,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킨 다음, 다시 감압농축하여 별도의 정제없이 목적화합물(30 mg, 96 %)을 얻었다.
단계 3: N-(2- 부톡시 -4-(3-( 다이에틸아미노 ) 프로폭시 ) 페닐 )-3-(4-(4- 클로로페녹시 ) 페닐 )-1- 메틸 -1H- 피라졸 -5-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3-(4-(4-클로로페녹시)페닐)-1-메틸-1H-피라졸-5-카르복실산(30 mg, 0.095 mmol)을 다이클로로메탄(2 ml)에 용해시키고, 0℃ 냉각시킨 다음, 옥살일클로라이드(41 μl, 0.475 mmol)을 첨가하여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이 끝난 후, 상기 반응물을 감압증류하여 옥살일클로라이드를 제거하고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2 ml)에 다시 용해시킨다. 상기 반응물에 제조예 1에서 제조된 2-부톡시-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아닐린(38 mg, 0.1 mmol)을, 트라이에틸아민(66 ml, 0.475 mmol)과 함께 첨가하여, 1시간 동안 상온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물에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층을 물과 소금물로 세척한 다음,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된 반응물은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메탄올:다이클로로메탄=1:20)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28 mg, 52 %)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3OD): δ 7.81 (d, 2H, J = 8.4 Hz), 7.61 (d, 2H, J = 9.0 Hz), 7.35 (d, 2H, J = 8.8 Hz), 7.15 (s, 1H), 7.06-6.99 (m, 4H), 6.63-6.53 (m, 3H), 4.17 (s, 3H), 4.05 (q, 4H, J = 5.4 Hz), 2.96-2.82 (m, 6H), 2.06-2.01 (m, 2H), 1.82-1.75 (m, 2H), 1.56-1.48 (m, 2H), 1.18 (t, 6H, J = 7.1 Hz), 0.96 (t, 3H, J = 7.4 Hz).
< 실시예 4> N-(2- 부톡시 -4-(3-( 다이에틸아미노 ) 프로폭시 ) 페닐 )-1-부틸-3-(4-(4-클 로로페녹 시) 페닐 )-1H- 피라졸 -5-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22
단계 1: 에틸 1-부틸-3-(4-(4- 클로로페녹시 ) 페닐 )-1H- 피라졸 -5- 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실시예 3의 단계 1에서 아이오도메탄을 사용하는 대신에 브로모부탄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102 mg, 88 %)을 얻었다.
단계 2: 1-부틸-3-(4-(4- 클로로페녹시 ) 페닐 )-1H- 피라졸 -5- 카르복실산의 제조
상기 실시예 3의 단계 2에서 에틸 3-(4-(4-클로로페녹시)페닐)-1-메틸-1H-피라족-5-카르복실레이트를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1-부틸-3-(4-(4-클로로페녹시)페닐)-1H-피라졸-5-카르복실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의 단계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30 mg, 98 %)을 얻었다.
단계 3: N-(2- 부톡시 -4-(3-( 다이에틸아미노 ) 프로폭시 ) 페닐 )-1-부틸-3-(4-(4-클 로로페녹 시) 페닐 )-1H- 피라졸 -5-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실시예 3의 단계 3에서 3-(4-(4-클로로페녹시)페닐)-1-메틸-1H-피라졸-5-카르복실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1-부틸-3-(4-(4-클로로페녹시)페닐)-1H-피라졸-5-카르복실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의 단계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25 mg, 0.081 %)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3OD): δ 7.82 (d, 2H, J = 8.6 Hz), 7.56 (d, 1H, J = 8.6 Hz), 7.37-7.32 (m, 2H), 7.13 (bs, 1H), 7.06-6.98 (m, 4H), 6.63 (d, 1H, J = 2.6 Hz), 6.53 (dd, 1H, J = 2.6, 8.8 Hz), 4.57 (t, 2H, J = 7.2 Hz), 4.06-4.01 (m, 4H), 2.76-2.62 (m, 6H), 1.95-1.74 (m, 6H), 1.55-1.45 (m, 2H), 1.40-1.32 (m, 2H), 1.12-1.06 (m, 6H), 0.98-0.92 (m, 6H).
< 실시예 5> 3-(4-(4- 클로로페녹시 ) 페닐 )-N-(4-(2-( 다이에틸아미노 ) 에톡시 )페닐)-1- 메틸 -1H- 피라졸 -5-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23
상기 실시예 3의 단계 3에서 2-부톡시-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아닐린을 사용하는 대신에 제조예 2에서 제조된 4-(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아닐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의 단계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학물(25 mg, 52 %)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3OD): δ 7.82 (d, 2H, J = 8.8 Hz), 7.58 (d, 2H, J = 9.0 Hz), 7.35 (d, 2H, J = 9.0 Hz), 7.23 (s, 1H), 7.07-6.94 (m, 6H), 4.18 (s, 3H), 4.13-4.09 (m, 2H), 2.95-2.94 (m, 2H), 2.72 (q, 4H, J = 7.2 Hz), 1.11 (t, 6H, J = 7.2 Hz).
< 실시예 6> 1-부틸-3-(4-(4- 클로로페녹시 ) 페닐 )-N-(4-(2-( 다이에틸아미노 )에톡시) 페닐 -1H- 피라졸 -5-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24
상기 실시예 3의 단계 3에서 2-부톡시-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아닐린을 사용하는 대신에 제조예 2에서 제조된 4-(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아닐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의 단계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학물(33 mg, 38 %)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3OD): δ 7.83 (d, 2H, J = 8.8 Hz), 7.57 (d, 2H, J = 9.0 Hz), 7.36 (d, 2H, J = 9.2 Hz), 7.21 (s, 1H), 7.07-6.94 (m, 6H), 4.58 (t, 2H, J = 7.1 Hz), 4.12 (t, 2H, J = 5.8 Hz), 2.95-2.94 (m, 2H), 2.73-2.71 (m, 4H), 1.86 (t 2H, J = 7.7 Hz), 1.40-1.33 (m, 2H), 1.12 (t, 6H, J = 7.2 Hz), 0.95 (t, 3H, J = 7.4 Hz).
< 실시예 7> N-(2- 부톡시 -4-(3-( 다이에틸아미노 ) 프로폭시 ) 페닐 )-1- 메틸 -3-(4-(피리딘-2- 일옥시 ) 페닐 )-1H- 피라졸 -5-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25
단계 1: 1-(4-피리딘-2- 일옥시 ) 페닐 ) 에타논의 제조
4-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0.5 g, 3.67 mmol) 및 포타슘카보네이트(K2CO3, 1.5 g, 11.01 mmol)를 무수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10 ml)에 용해시킨 다음, 2-브로모피리딘(0.54 ml, 3.67 mmol)을 상온에서 첨가하였다. 첨가가 완료되면, 150 ℃까지 등온하여 밤샘 교반하였다. 교반이 끝난 후, 물에 반응물을 묽히고 에틸아세테이트(EA)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층을 물과 소금물로 세척하고,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킨 다음, 감압농축하였다. 농축된 반응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에틸아세테이트/n-헥산=1:5)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618 mg, 79 %)을 얻었다.
단계 2: 에틸 2,4- 다이옥소 -4-(4-(파라단-2- 일옥시 ) 페닐 ) 부타노에이트의 제조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10 ml)에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1-(4-피리딘-2-일옥시)페닐)에타논(200 mg, 0.94 mmol)을 용해시키고 0℃로 냉각시킨 다음, 1M LHMDS(THF 용액, 1.034 mmol)을 천천히 적가하면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상기 반응물에 다이에틸옥살레이트(0.152 ml, 1.128 mmol)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이 끝난 다음, 반응물을 감압농축하고 에틸아세테이트(EA)에 용해시켰다. 용해된 반응물을 물과 소금물로 세척한 후,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다시 감압농축하였다. 농축된 반응물을 다이에틸에테르와 n-헥산으로 재결정하여 목적화합물(294 mg, 91 %)을 얻었다.
단계 3: 에틸 3-(4-(피리딘-2- 일옥시 ) 페닐 )-1H- 피라졸 -5- 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에틸 2,4-다이옥소-4-(4-(파라단-2-일옥시)페닐)부타노에이트(294 mg, 0.96 mmol)를 아세트산(1.5 ml)에 용해시키고, 상온에서 하이드라진 하이드레이트(0.09 ml, 1.92 mmol)를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3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물에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시키고, 반응물을 여과하여 침전물을 회수하였다. 회수된 침전물을 다이에틸에테르와 n-헥산으로 재결정하여 목적화합물(190 mg, 71 %)을 얻었다.
단계 4: 에틸-1- 메틸 -3-(4-(피리딘-2- 일옥시 ) 페닐 )1H- 피라졸 -5- 카르복실레 이트의 제조
상기 단계 3에서 제조된 에틸 3-(4-(피리딘-2-일옥시)페닐)-1H-피라졸-5-카르복실레이트(0.17 g, 0.55 mmol) 및 포타슘카보네이트(K2CO3, 114 mg, 0.825 mmol)를 무수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5 ml)에 용해시키고, 아이오도메탄(0.077 ml, 1.24 mmol)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얇은 막 크로마토그래피(TLC)로 3-(4-(피리딘-2-일옥시)페닐)-1H-피라졸-5-카르복실레이트가 사라질 때까지 교반하였다. 그 후, 상기 반응물을 에틸아세테이트에 묽히고, 물과 소금물로 세척한 다음,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감압농축하였다. 농축된 반응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0.175 mg, 95 %)을 얻었다.
단계 5: 1- 메틸 -3-(4-피리딘-2- 일옥시 ) 페닐 )-1H- 피라졸 -5- 카르복실산의 제조
상기 단계 4에서 제조된 에틸-1-메틸-3-(4-(피리딘-2-일옥시)페닐)1H-피라졸-5-카르복실레이트(30 mg, 0.093 mmol)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메탄올:증류수=5:1:1 혼합용액(35 ml)에 용해시키고, 리튬하이드록사이드 모노하이드레이트(LiOH H2O, 0.93 mmol)를 첨가한 후, 얇은 막 크로마토그래피(TLC)로 에틸-1-메틸-3-(4-(피리딘-2-일옥시)페닐)1H-피라졸-5-카르복실레이트가 사라질 때까지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료된 다음, 감압농축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에 다시 용해시켰다. 용해된 반응물을 1N 염산으로 산성화하고, 상기 유기층을 물과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그 후,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킨 다음, 다시 감압농축하여 별도의 정제없이 목적화합물(27 mg, 97 %)을 얻었다.
단계 6: N-(2- 부톡시 -4-(3-( 다이에틸아미노 ) 프로폭시 ) 페닐 )-1- 메틸 -3-(4-피리딘-2- 일옥시 )-1H- 피라졸 -5-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단계 5에서 제조된 1-메틸-3-(4-피리딘-2-일옥시)페닐)-1H-피라졸-5-카르복실산(27 mg, 0.09 mmol)을 다이클로로메탄(3 ml)에 용해시키고, 0℃ 냉각시킨 다음, 옥살일클로라이드(39 μl, 0.45 mmol)를 첨가하여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이 끝난 후, 상기 반응물을 감압증류하여 옥살일클로라이드를 제거하고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3 ml)에 다시 용해시킨다. 상기 반응물에 제조예 1에서 제조된 2-부톡시-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아닐린(26 mg, 0.09 mmol)을, 트라이에틸아민(63 μl, 0.45 mmol)과 함께 첨가하여, 1시간 동안 상온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물에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층을 물과 소금물로 세척한 다음,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된 반응물은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메탄올:다이클로로메탄=1:15)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22 mg, 43 %)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3OD): δ 8.15-8.13 (m, 1H), 7.87-7.78 (m, 3H), 7.62 (d, 1H, J = 8.8 Hz), 7.16-6.09 (m, 4H), 6.97 (d, 1H, J = 8.3 Hz), 6.62 (d, 1H, J = 2.6 Hz), 6.53 (dd, 1H, J = 2.4, 8.6 Hz), 4.17 (s, 3H), .4.12-4.01 (m, 4H), 3.02-2.88 (m, 6H), 2.10-2.02 (m, 2H), 1.84-1.74 (m, 2H), 1.58-1.45 (m, 2H), 1.20 (t, 6H, J = 7.2 Hz), 0.96 (t, 3H, J = 7.4 Hz).
< 실시예 8> 3-(4-(4- 클로로페녹시 ) 페닐 )-N-(4-(3-( 다이에틸아미노 ) 프로폭 시) 페닐 )-1- 메틸 -1H- 피라졸 -5-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26
상기 실시예 3의 단계 3에서 2-부톡시-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아닐린을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제조예 3에서 제조된 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아닐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14 mg, 67 %)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3OD): δ 7.80 (d, 2H, J = 8.8 Hz), 7.56 (d, 2H, J = 9.0 Hz), 7.34 (d, 2H, J = 8.8 Hz), 7.21 (s, 1H), 7.04-6.90 (m, 6H), 4.15 (s, 3H), 4.02 (t, 2H, J = 5.9 Hz), 2.91-2.77 (m, 6H), 2.10-.1.98 (m, 2H), 1.15 (t, 6H, J = 7.2 Hz).
< 실시예 9> N-(2- 부톡시 -4-(3-( 다이에틸아미노 ) 프로폭시 ) 페닐 )-1- 메틸 -3-(4-페 녹시페 닐)-1H- 피라졸 -5-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27
단계 1: 에틸 4-(4-(( tert - 부틸다이메틸실릴 ) 옥시 ) 페닐 )-2,4- 다이옥소부타노에이트의 제조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100 ml)에 1-(4-피리딘-2-일옥시)페닐)에타논(2.8 g, 11.19 mmol)을 용해시키고 0℃로 냉각시킨 다음, 1M LHMDS(THF 용액, 11.31 mmol)을 천천히 적가하면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상기 반응물에 다이에틸옥살레이트(1.82 ml, 13.43 mmol)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이 끝난 다음, 반응물을 감압농축하고 에틸아세테이트(EA)에 용해시켰다. 용해된 반응물을 물과 소금물로 세척한 후,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다시 감압농축하였다. 농축된 반응물을 다이에틸에테르와 n-헥산으로 재결정하여 목적화합물(3.9 g, 99 %)을 얻었다.
단계 2: 에틸 3-(4-(( tert - 부틸다이메틸실릴 ) 옥시 ) 페닐 )-1- 메틸 -1H- 피라졸 -5-카 르복실레이트 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에틸 4-(4-((tert-부틸다이메틸실릴)옥시)페닐)-2,4-다이옥소부타노에이트(3.9 g, 11.08 mmol)를 아세트산(10 ml)에 용해시키고, 상온에서 하이드라진 하이드레이트(0.69 ml, 22.16 mmol)를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3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물에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시키고, 반응물을 여과하여 침전물을 회수하였다. 회수된 침전물을 다이에틸에테르와 n-헥산으로 재결정하여 목적화합물(3.0 g, 78 %)을 얻었다.
단계 3: 에틸 3-(4-(( tert - 부틸다이메틸실릴 ) 옥시 ) 페닐 )-1- 메틸 -1H- 피라졸 -5-카 르복실레이트 의 제조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에틸 3-(4-((tert-부틸다이메틸실릴)옥시)페닐)-1-메틸-1H-피라졸-5-카르복실레이트(103 g, 0.3 mmol) 및 포타슘카보네이트(K2CO3, 62.2 mg, 0.45 mmol)를 무수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4 ml)에 용해시키고, 아이오도메탄(0.028 ml, 0.45 mmol)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얇은 막 크로마토그래피(TLC)로 3-(4-((tert-부틸다이메틸실릴)옥시)페닐)-1-메틸-1H-피라졸-5-카르복실레이트가 사라질 때까지 교반하였다. 그 후, 상기 반응물을 에틸아세테이트에 묽히고, 물과 소금물로 세척한 다음,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감압농축하였다. 농축된 반응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81 mg, 76 %)을 얻었다.
단계 4: 에틸 3-(4- 하이드록시페닐 )-1- 메틸 -1H- 피라졸 -5- 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2 ml)에 상기 단계 3에서 제조된 에틸 3-(4-((tert-부틸다이메틸실릴)옥시)페닐)-1-메틸-1H-피라졸-5-카르복실레이트(74 mg, 0.21 mmol)을 용해시키고, 테트라하이드로퓨란(2 ml)에 용해된 1M의 테트라부틸암모니움플루라이드을 상온에서 적가하면서 교반하였다. 얇은 막 크로마토그래피(TLC)로 3-(4-((tert-부틸다이메틸실릴)옥시)페닐)-1-메틸-1H-피라졸-5-카르복실레이트가 사라질 때까지 교반한 다음, 반응물을 물에 묽히고 에틸아세테이트(EA)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층을 물과 소금물로 세척하고,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킨 후, 감압농축하였다. 농축된 반응물을 다이에틸에테르(3 ml)로 재결정하여 목적화합물(47 mg, 92 %)을 얻었다.
단계 5: 에틸-1- 메틸 -3-(4- 페녹시페닐 )-1H- 피라졸 -5- 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다이클로로메탄(1 ml)에 상기 단계 4에서 제조된 에틸 3-(4-하이드록시페닐)-1-메틸-1H-피라졸-5-카르복실레이트(26 mg, 0.11 mmol) , 페닐보론산(40 mg, 0.33 mmol), 카퍼아세테이트(Cu(OAc)2, 20 mg, 0.11 mmol) 및 4Å 분자체를 용해시킨 다음, 트라이에틸아민(TEA, 0.077 ml, 0.55 mmol)을 적가하면서 교반하였다. 적가가 끝난 후,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고 셀라이트(Celite) 여과하였다. 여과된 여과액을 감압농축한 다음, 에틸아세테이트에 다시 묽히고, 포화 암모니윰클로라이드 수용액과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세척된 반응물을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다시 감압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에틸아세테이트:n-헥산=1:10)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18 mg, 53 %)을 얻었다.
단계 6: 1- 메틸 -3-(4- 페녹시페닐 )-1H- 피라졸 -5- 카르복실산의 제조
상기 단계 5에서 제조된 에틸-1-메틸-3-(4-페녹시페닐)-1H-피라졸-5-카르복실레이트(18 mg, 0.058 mmol)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메탄올:증류수=5:1:1 혼합용액(21 ml)에 용해시키고, 리튬하이드록사이드 모노하이드레이트(LiOH H2O, 0.58 mmol)를 첨가한 후, 얇은 막 크로마토그래피(TLC)로 에틸-1-메틸-3-(4-페녹시페닐)-1H-피라졸-5-카르복실레이트가 사라질 때까지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료된 다음, 감압농축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에 다시 용해시켰다. 용해된 반응물을 1N 염산으로 산성화하고, 상기 유기층을 물과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그 후,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킨 다음, 다시 감압농축하여 별도의 정제없이 목적화합물(17 mg, 98 %)을 얻었다.
단계 7: N-(2- 부톡시 -4-(3-( 다이에틸아미노 ) 프로폭시페닐 )-3-(4-(4- 클로로페녹시 ) 페닐 )-1H- 피라졸 -5-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단계 6에서 제조된 1-메틸-3-(4-페녹시페닐)-1H-피라졸-5-카르복실산(17 mg, 0.057 mmol)을 다이클로로메탄(3 ml)에 용해시키고, 0℃ 냉각시킨 다음, 옥살일클로라이드(25 μl, 0.285 mmol)을 첨가하여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이 끝난 후, 상기 반응물을 감압증류하여 옥살일클로라이드를 제거하고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3 ml)에 다시 용해시킨다. 상기 반응물에 제조예 1에서 제조된 2-부톡시-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아닐린(16 mg, 0.057 mmol)을, 트라이에틸아민(00.04 ml, 0.285 mmol)과 함께 첨가하여, 1시간 동안 상온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물에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층을 물과 소금물로 세척한 다음,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된 반응물은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메탄올:다이클로로메탄=1:20)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20 mg, 64 %)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3OD): δ 7.77 (d, 2H, J = 8.6 Hz), 7.62 (d, 1H, J = 8.8 Hz), 7.38-7.33 (m, 2H), 7.14-7.10 (m, 2H), 7.03-6.99 (m, 4H), 6.61 (d, 1H, J = 2.6 Hz), 6.52 (dd, 1H, J = 2.6, 8.6 Hz), 4.15 (s, 3H), 4.05-4.00 (m, 4H), 2.96-2.82 (m, 6H), 2.07-2.00 (m, 2H), 1.83-1.73 (m, 2H), 1.56-1.44 (m, 2H), 1.17 (t, 6H, J = 7.2 Hz), 0.95 (t, 3H, J = 7.4 Hz).
< 실시예 10> N-(2- 부톡시 -4-(3-( 다이에틸아미노 ) 프로폭시 ) 페닐 )-3-(4-( 사이 클로헥실옥시) 페닐 )-1- 메틸 -1H- 피라졸 -5-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28
단계 1: 에틸 3-(4-( 사이클로헥실옥시 ) 페닐 )-1- 메틸 -1H- 피라졸 -5- 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테트라하이드로퓨란(1 ml)에 상기 실시예 9의 단계 4에서 제조된 3-(4-하이드록시페닐)-1-메틸-1H-피라졸-5-카르복실레이트(24 mg, 0.08 mmol) 및 트라이페닐포스핀(PPh3, 63 mg, 0.24mmol)을 용해시킨 다음, 사이클로헥실알코올(10.4 mg, 0.104 mmol) 및 다이이소프로필아조다이카르복실레이트(DIAD, 0.02 ml, 0.104 mmol)을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상온에서 얇은 막 크로마토그래피(TLC)로 3-(4-하이드록시페닐)-1-메틸-1H-피라졸-5-카르복실레이트가 사라질 때까지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물을 물에 묽히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 다음, 추출된 유기층을 소금물로 세척하고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켰다. 상기 건조된 유기층을 감압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에틸아세테이트:n-헥산=1:10)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17 mg, 65 %)을 얻었다.
단계 2: N-(2- 부톡시 -4-(3-( 다이에틸아미노 ) 프로폭시 ) 페닐 )-3-(4-( 사이클로헥실옥시 ) 페닐 )-1- 메틸 -1H- 피라졸 -5-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실시예 9의 단계 6에서 에틸 1-메틸-3-(4-페녹시페닐)-1H-피라졸-5-카르복실레이트를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에틸 3-(4-(사이클로헥실옥시)페닐)-1-메틸-1H-피라졸-5-카르복실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9의 단계 6 내지 단계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23 mg, 65 %)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3OD): δ 7.69-7.62 (m, 3H), 7.04 (s, 1H), 6.93 (d, 2H, J = 8.8 Hz), 6.60 (d, 1H, J = 2.3 Hz), 6.52 (dd, 1H, J = 2.4, 8.6 Hz), 4.35-4.32 (m, 1H), 4.13 (s, 3H), 4.02 (t, 4H, J = 6.0 Hz), 2.91-2.78 (m, 6H), 2.10-1.99 (m, 4H), 1.86-1.78 (m, 4H), 1.55-1.39 (m, 8H), 1.16 (t, 6H, J = 7.1 Hz), 0.97 (t, 3H, J = 7.3 Hz).
< 실시예 11> 1-부틸-3-(4-(4- 클로로페녹시 ) 페닐 )-N-(4-(3-( 다이에틸아미노 )페녹시) 페닐 )-1H- 피라졸 -5-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29
1-메틸-3-(4-페녹시페닐)-1H-피라졸-5-카르복실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실시예 4의 단계 2에서 제조된 1-부틸-3-(4-(4-클로로페녹시)페닐)-1H-피라졸-5-카르복실산을 사용하고, 2-부톡시-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아닐린을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제조예 3에서 제조된 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아닐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9의 단계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21 mg, 45 %)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3OD): δ 7.82 (d, 2H, J = 8.8 Hz), 7.58 (d, 2H, J = 9.0 Hz), 7.35 (d, 2H, J = 9.0 Hz), 7.21 (s, 1H), 7.06-6.93 (m, 6H), 4.57 (t, 2H, J = 7.1 Hz), 4.07 (t, 2H, J = 5.8 Hz), 3.11-2.92 (m, 6H), 2.14-2.05 (m, 2H), 1.90-1.80 (m, 2H), 1.42-1.20 (m, 8H), 0.95 (t, 3H, J = 7.3 Hz).
< 실시예 12> N-(2- 부톡시 -4-(3-( 다이에틸아미노 ) 프로폭시 ) 페닐 -3-(4-(3- 루오로-4- 메톡시페녹시 ) 페닐 )-1- 메틸 -1H- 피라졸 -5-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30
상기 실시예 9의 단계 5에서 페닐보론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3-플루오로-4-메톡시페닐보론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9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6 mg, 52 %)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3OD): δ 7.77 (d, 2H, J = 8.8 Hz), 7.62 (d, 1H, J = 8.6 Hz), 7.12-7.05 (m, 2H), 7.00 (d, 2H, J = 8.8 Hz), 6.87-6.77 (m, 2H), 6.63 (d, 1H, J = 2.4 Hz), 6.54 (dd, 1H, J = 2.6, 8.8 Hz), 4.16 (s, 3H), 4.08-4.02 (m, 4H), 3.86 (s, 3H), 3.05-2.91 (m, 6H), 2.11-2.00 (m, 2H), 1.83-1.74 (m, 2H), 1.58-1.45 (m, 2H), 1.21 (t, 6H, J = 7.2 Hz), 0.96 (t, 3H, J = 7.4 Hz).
< 실시예 13> N-(2- 부톡시 -4-(3-( 다이에틸아미노 ) 프로폭시 ) 페닐 )-3-(4-(4- 클로로페녹시 ) 페닐 ) 이소옥사졸 -5-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31
단계 1: 에틸-3-(4-(4- 클로로페녹시 ) 페닐 ) 이소옥사졸 -5- 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제조된 에틸 4-(4-(4-클로로페녹시)페닐)-2,4-다이옥소부타노에이트(50 mg, 0.14 mmol)를 에탄올(5 ml)에 용해시킨 다음, 하이드록시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20 mg, 0.29 mmol)을 첨가하고 2일 동안 환류교반하였다. 그 후, 상기 반응물을 감압증류하고, 물을 첨가하여 결정화하였다. 상기 결정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에틸아세테이트:n-헥산:다이클로로메탄=1:20:1)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44 mg, 92 %)을 얻었다.
단계 2: 3-(4-(4- 클로로페녹시 ) 페닐 ) 이소옥사졸 -5- 카르복실산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에틸 3-(4-(4-클로로페녹시)페닐)이소옥사졸-5-카르복실레이트(25 mg, 0.072 mmol)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메탄올:증류수=5:1:1 혼합용액(28 ml)에 용해시키고, 리튬하이드록사이드 모노하이드레이트(LiOH H2O, 0.72 mmol)를 첨가한 후, 얇은 막 크로마토그래피(TLC)로 에틸-3-(4-(4-클로로페녹시)페닐)이소옥사졸-5-카르복실레이트가 사라질 때까지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료된 다음, 감압농축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에 다시 용해시켰다. 용해된 반응물을 1N 염산으로 산성화하고, 상기 유기층을 물과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그 후,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킨 다음, 다시 감압농축하여 별도의 정제없이 목적화합물(22 mg, 97 %)을 얻었다.
단계 3: N-(2- 부톡시 -4-(3-( 다이에틸아미노 ) 프로폭시페닐 )-3-(4-(4- 클로로페녹시 ) 페닐 )-1H- 피라졸 -5-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3-(4-(4-클로로페녹시)페닐)이소옥사졸-5-카르복실산(22 mg, 0.070 mmol)을 다이클로로메탄(3 ml)에 용해시키고, 0℃ 냉각시킨 다음, 옥살일클로라이드(30 μㅣ, 0.35 mmol)를 첨가하여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이 끝난 후, 상기 반응물을 감압증류하여 옥살일클로라이드를 제거하고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3 ml)에 다시 용해시킨다. 상기 반응물에 제조예 1에서 제조된 2-부톡시-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아닐린(20 mg, 0.070 mmol)을, 트라이에틸아민(0.05 ml, 0.35 mmol)과 함께 첨가하여, 1시간 동안 상온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물에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층을 물과 소금물로 세척한 다음,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된 반응물은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메탄올:다이클로로메탄=1:20)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17 mg, 42 %)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3OD): δ 8.01 (d, 1H, J = 8.8 Hz), 7.81 (d, 2H, J = 9.0 Hz), 7.31 (d, 2H, J = 9.0 Hz), 7.04-6.95 (m, 5H), 6.57 (d, 1H, J = 2.6 Hz), 6.47 (dd, 1H, J = 2.6, 8.8 Hz), 4.02-3.98 (m, 4H), 3.13-2.99 (m, 6H), 2.09-2.02 (m, 2H), 1.81-1.71 (m, 2H), 1.55-1.42 (m, 2H), 1.19 (t, 6H, J = 7.3 Hz), 0.93 (t, 3H, J = 7.4 Hz).
< 실시예 14> N-(2- 부톡시 -4-(3- 다이에틸아미노 ) 프로폭시 ) 페닐 )-3-(4-(4- 루오로페녹시) 페닐 )-1- 메틸 -1H- 피라졸 -5-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32
상기 실시예 9의 단계 5에서 페닐보론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4-플루오로페닐보론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9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33 mg, 68 %)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3OD): δ 7.67 (d, 2H, J = 8.6 Hz), 7.53 (d, 1H, J = 8.6 Hz), 7.03-6.80 (m, 7H), 6.52 (d, 1H, J = 2.4 Hz), 6.43 (dd, 1H, J = 2.6, 8.8 Hz), 4.15 (s, 3H), 3.97-3.91 (m, 4H), 2.88-2.74 (m, 6H), 1.99-1.91 (m, 2H), 1.73-1.64 (m, 2H), 1.47-1.35 (m, 2H), 1.09 (t, 6H, J = 7.2 Hz), 0.86 (t, 3H, J = 7.4 Hz).
< 실시예 15> N-(2- 부톡시 -4-(3-( 다이에틸아미노 ) 프로폭시 ) 페닐 )-3-(4-(4- 톡시페녹시) 페닐 )-1- 메틸 -1H- 피라졸 -5-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33
상기 실시예 9의 단계 5에서 페닐보론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4-메톡시페닐보론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9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22 mg, 76 %)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3OD): δ 7.71 (d, 2H, J = 8.6 Hz), 7.64 (d, 1H, J = 8.8 Hz), 7.07 (s, 1H), 6.99-6.90 (m, 6H), 6.60 (d, 1H, J = 2.4 Hz), 6.51 (dd, 1H, J = 2.6, 8.8 Hz), 4.14 (s, 3H), 4.05-4.00 (m, 4H), 3.78 (s, 3H), 2.96-2.82 (m, 6H), 2.07-1.98 (m, 2H), 1.83-1.73 (m, 2H), 1.57-1.44 (m, 2H), 1.17 (t, 6H, J = 7.2 Hz), 0.95 (t, 3H, J = 7.4 Hz).
< 실시예 16> N-(2- 부톡시 -4-(3-( 다이에틸아미노 ) 프로폭시 ) 페닐 )-3-(4-(3- 로로-4- 메톡시페녹시 ) 페닐 )-1- 메틸 -1H- 피라졸 -5-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34
상기 실시예 9의 단계 5에서 페닐보론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3-클로로-4-메톡시페닐보론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9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6 mg, 53 %)을 얻었다.
1H-NMR (500 MHz, CD3OD): δ 7.77 (d, 2H, J = 8.5 Hz), 7.62 (d, 1H, J = 8.7 Hz), 7.12 (s, 1H), 7.08-7.06 (m, 2H), 6.99-6.95 (m, 3H), 6.63 (d, 1H, J = 2.4 Hz), 6.54 (dd, 1H, J = 2.2, 8.7 Hz), 4.16 (s, 3H), 4.08 (t, 2H, J = 5.8 Hz), 4.03 (t, 2H, J = 7.5 Hz), 3.87 (s, 3H), 3.09 (t, 2H, J = 7.9 Hz), 3.01 (q, 4H, J = 4.8 Hz), 2.12-2.07 (m, 2H), 1.82-1.76 (m, 2H), 1.55-1.48 (m, 2H), 1.24 (t, 6H, J = 7.3 Hz), 0.96 (t, 3H, J = 7.4 Hz).
< 실시예 17> N-(2- 부톡시 -4-(3-( 다이에틸아미노 ) 프로폭시 _ 페닐 )-1- 메틸 -3-(4-(4-(트 리플루오 로메틸) 페녹시 ) 페닐 )-1H- 피라졸 -5-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35
상기 실시예 9의 단계 5에서 페닐보론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4-트라이플루오로메틸페닐보론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9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12 mg, 67 %)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3OD): δ 7.86 (d, 2H, J = 8.6 Hz), 7.67-7.60 (m, 3H), 7.18-7.11 (m, 5H), 7.64 (d, 1H, J = 2.4 Hz), 6.55 (dd, 1H, J = 2.6, 8.8 Hz), 4.18 (s, 3H), 4.09-4.03 (m, 4H), 3.05-2.91 (m, 6H), 2.11-2.00 (m, 2H), 1.80-1.76 (m, 2H), 1.54-1.50 (m, 2H), 1.21 (t, 6H, J = 7.2 Hz), 0.97 (t, 3H, J = 7.4 Hz); LRMS (FAB) m/z 639 (M+H+).
< 실시예 18> N-(4-(2-( 다이에틸아미노 ) 에톡시 ) 페닐 )-3-(4- 메톡시페닐 )-1- 틸-1H- 피라졸 -5-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36
단계 1: 에틸 3-(4- 메톡시페닐 )-1- 메틸 -1H- 피라졸 -5- 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에서 제조된 에틸 3-(4-메톡시페닐)-1H-피라졸-5-카르복실레이트(455 mg, 1.85 mmol) 및 포타슘카보네이트(K2CO3, 384 mg, 2.78 mmol)를 무수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18 ml)에 용해시키고, 아이오도메탄(0.173 ml, 2.78 mmol)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얇은 막 크로마토그래피(TLC)로 에틸 3-(4-(4-클로로페녹시)페닐)-1H-피라졸-5-카르복실레이트가 사라질 때까지 교반하였다. 그 후, 상기 반응물을 에틸아세테이트에 묽히고, 물과 소금물로 세척한 다음,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감압농축하였다. 농축된 반응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448 mg, 93 %)을 얻었다.
단계 2: 3-(4- 메톡시페닐 )-1- 메틸 -1H- 피라졸 -5- 카르복실산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에틸 3-(4-메톡시페닐)-1-메틸-1H-피라졸-5-카르복실레이트(100 mg, 0.38 mmol)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메탄올:증류수=5:1:1 혼합용액(105 ml)에 용해시키고, 리튬하이드록사이드 모노하이드레이트(LiOH H2O, 3.8 mmol)를 첨가한 후, 얇은 막 크로마토그래피(TLC)로 에틸 3-(4-메톡시페닐)-1-메틸-1H-피라졸-5-카르복실레이트가 사라질 때까지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료된 다음, 감압농축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에 다시 용해시켰다. 용해된 반응물을 1N 염산으로 산성화하고, 상기 유기층을 물과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그 후,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킨 다음, 다시 감압농축하여 별도의 정제없이 목적화합물(84 mg, 95 %)을 얻었다.
단계 3: N-(4-(2-( 다이에틸아미노 ) 에톡시 ) 페닐 )-3-(4- 메톡시페닐 )-1- 메틸 -1H-피라졸-5-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3-(4-메톡시페닐)-1-메틸-1H-피라졸-5-카르복실산(10 mg, 0.044 mmol)을 다이클로로메탄(3 ml)에 용해시키고, 0℃ 냉각시킨 다음, 옥살일클로라이드(12 μㅣ, 0.14 mmol)를 첨가하여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이 끝난 후, 상기 반응물을 감압증류하여 옥살일클로라이드를 제거하고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3 ml)에 다시 용해시킨다. 상기 반응물에 제조예 2에서 제조된 4-(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아닐린(8 mg, 0.028 mmol)을 트라이에틸아민(0.02 ml, 0.14 mmol)과 함께 첨가하여, 1시간 동안 상온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물에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층을 물과 소금물로 세척한 다음,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된 반응물은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메탄올:다이클로로메탄=1:20)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13 mg, 70 %)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3OD): δ 7.72 (d, 2H, J = 8.8 Hz), 7.57 (d, 2H, J = 9.0 Hz), 7.17 (s, 1H), 6.97-6.93 (m, 4H), 4.16 (s, 3H), 4.12 (t, 2H, J = 5.6 Hz), 3.82 (s, 3H), 3.00 (t, 2H, J = 5.6 Hz), 2.76 (q, 4H, J = 7.2 Hz), 1.13 (t, 6H, J = 7.1 Hz).
< 실시예 19> N-(2- 부톡시 -4-(2-( 다이에틸아미노 ) 프로폭시 ) 페닐 )-3-(4- 메톡 시페닐)-1- 메틸 -1H- 피라졸 -5-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37
상기 실시예 18의 단계 3에서 4-(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아닐린을 사용하는 대신에 제조예 1에서 제조된 2-부톡시-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아닐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8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25 mg, 65 %)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Cl3): δ 8.26-8.23 (m, 2H), 7.67 (d, 2H, J = 8.8 Hz), 6.92 (d, 2H, J = 8.8 Hz), 6.72 (s, 1H), 6.47-6.43 (m, 2H), 4.21 (s, 3H), 4.07-3.99 (m, 4H), 3.81 (d, 3H), 3.57-3.43 (m, 4H), 2.99-2.87 (m, 2H), 2.31-2.14 (m, 2H), 1.88-1.78 (m, 2H), 1.60-1.47 (m, 2H), 1.35-1.12 (m, 6H), 1.00 (t, 3H, J = 7.3 Hz).
< 실시예 20> N-(4-(3-( 다이에틸아미노 ) 프로폭시 ) 페닐 )-3-(4- 메톡시페닐 )-1-메틸-1H- 피라졸 -5-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38
상기 실시예 18의 단계 3에서 4-(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아닐린을 사용하는 대신에 제조예 3에서 제조된 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아닐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8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18 mg, 69 %)을 얻었다.
< 실시예 21> N-(2- 부톡시 -4-(3-( 다이에틸아미노 ) 프로폭시 ) 페닐 )-3-(4-(4-(tert-부틸) 페녹시 ) 페닐 )-1- 메틸 -1H- 피라졸 -5-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39
상기 실시예 9의 단계 5에서 페닐보론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4-(tert-부틸)페닐보론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9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12 mg, 67 %)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3OD): δ 7.75 (d, 2H, J = 8.6 Hz), 7.63 (d, 1H, J = 8.8 Hz), 7.40 (d, 2H, J = 8.6 Hz), 7.12 (s, 1H), 7.00-6.93 (m, 4H), 6.64 (d, 1H, J = 2.4 Hz), 6.54 (dd, 1H, J = 2.8, 8.8 Hz), 4.15 (s, 3H), 4.13-4.02 (m, 4H), 3.41-3.10 (m, 6H), 2.18-2.10 (m, 2H), 1.84-1.74 (m, 2H), 1.55-1.45 (m, 2H), 1.32-1.26 (m, 15H), 0.96 (t, 3H, J = 7.3 Hz).
< 실시예 22> N-(2- 부톡시 -4-(3-( 다이에틸아미노 ) 프로폭시 ) 페닐 )-3-(4-(2- 플루오로페녹시 ) 페닐 )-1- 메틸 -1H- 피라졸 -5-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40
상기 실시예 9의 단계 5에서 페닐보론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2-플루오로페닐보론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9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24 mg, 85 %)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3OD): δ 7.76 (d, 2H, J = 8.8 Hz), 7.63 (d, 1H, J = 8.8 Hz), 7.27-7.09 (m, 5H), 6.97 (d, 2H, J = 8.8 Hz), 6.61 (d, 1H, J = 2.4 Hz), 6.52 (dd, 1H, J = 2.6, 8.6 Hz), 4.14 (s, 3H), 4.06-4.00 (m, 4H), 3.04-2.09 (m, 6H), 2.05-2.00 (m, 2H), 1.80-1.73 (m, 2H), 1.54-1.46 (m, 2H), 1.20 (t, 6H, J = 7.2 Hz), 0.95 (t, 3H, J = 7.3 Hz)
< 실시예 23> N-(2- 부톡시 -4-(3-( 다이에틸아미노 ) 프로폭시 ) 페닐 )-3-(4-(3- 플루오로페녹시 ) 페닐 )-1- 메틸 -1H- 피라졸 -5-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41
상기 실시예 9의 단계 5에서 페닐보론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3-플루오로페닐보론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9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24 mg, 59 %)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3OD): δ 7.81 (d, 2H, J = 8.6 Hz), 7.65 (d, 1H, J = 8.6 Hz), 7.37-7.30 (m, 1H), 7.12 (s, 1H), 7.06 (d, 2H, J = 8.8 Hz), 6.87-6.72 (m, 3H), 6.61 (d, 1H, J = 2.4 Hz), 6.52 (dd, 1H, J = 2.6, 8.6 Hz), 4.15 (s, 3H), 4.02 (t, 4H, J = 6.0 Hz), 2.90-2.76 (m, 6H), 2.10-1.99 (m, 2H), 1.80-1.75 (m, 2H), 1.50 (q, 2H, J = 7.5 Hz), 1.15 (t, 6H, J = 7.2 Hz), 0.96 (t, 3H, J = 7.4 Hz).
< 실시예 24> 3-(4-(3,5-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 ) 페닐 )-N-(2- 부톡시 -4-(3-(다 이에틸 아미노) 프로폭시 ) 페닐 )-1- 메틸 -1H- 피라졸 -5-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42
상기 실시예 9의 단계 5에서 페닐보론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3,5-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틸)페닐보론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9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6 mg, 58 %)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3OD): δ 7.92 (d, 2H, J = 8.4 Hz), 7.69 (s, 1H), 7.63 (d, 1H, J = 9.0 Hz), 7.52 (s, 2H), 7.21-7.18 (m, 3H), 6.66 (d, 1H, J = 2.6 Hz), 6.56 (dd, 1H, J = 2.6, 8.8 Hz), 4.19 (s, 3H), 4.13 (t, 2H, J = 5.6 Hz), 4.06 (t, 2H, J = 6.3 Hz), 3.59-3.51 (m, 2H), 3.45 (q, 4H, J = 7.2 Hz), 2.26-2.25 (m, 2H), 1.83-1.78 (m, 2H), 1.59-1.49 (m, 2H), 1.36 (t, 6H, J = 7.1 Hz), 0.97 (t, 3H, J = 7.3 Hz).
< 실시예 25> N-(2- 부톡시 -4-(3-( 다이에틸아미노 ) 프로폭시 ) 페닐 )-3-(4-(3,4-다이플루오로페녹시) 페닐 )-1- 메틸 -1H- 피라졸 -5-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43
상기 실시예 9의 단계 5에서 페닐보론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3,4-다이플루오로페닐보론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9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11 mg, 41 %)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3OD): δ 7.81 (d, 2H, J = 8.6 Hz), 7.63 (d, 1H, J = 8.8 Hz), 7.26 (q, 1H, J = 9.7 Hz), 7.15 (s, 1H), 7.05 (d, 2H, J = 8.3 Hz), 6.99-6.93 (m, 1H), 6.83-6.80 (m, 1H), 6.65-6.56 (m, 2H), 4.16 (s, 3H), 4.11-4.03 (m, 4H), 3.38-3.18 (m, 6H), 2.21-2.19 (m, 2H), 1.80-1.79 (m, 2H), 1.52 (q, 2H, J = 7.5 Hz), 1.33-1.28 (m, 6H), 0.96 (t, 3H, J = 7.4 Hz).
< 실시예 26> N-(2- 부톡시 -4-(3-( 다이에틸아미노 ) 프로폭시 ) 페닐 )-3-(4-(4- 로로페녹시) 페닐 )-1-에틸-1H- 피라졸 -5-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44
상기 실시예 3의 단계 1에서 아이오도메탄을 사용하는 대신에 아이오도에탄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21 mg, 67 %)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3OD): δ 7.81 (d, 2H, J = 8.6 Hz), 7.59 (d, 1H, J = 8.6 Hz), 7.35-7.32 (m, 2H), 7.12 (s, 1H), 7.05-6.98 (m, 4H), 6.63 (d, 1H, J = 2.4 Hz), 6.54 (dd, 1H, J = 2.6, 8.8 Hz), 4.60-4.56 (m, 2H), 4.08-4.01 (m, 4H), 3.08-2.94 (m, 6H), 2.12-2.03 (m, 2H), 1.80-1.75 (m, 2H), 1.54-1.41 (m, 5H), 1.22 (t, 6H, J = 7.2 Hz), 0.95 (t, 3H, J = 7.3 Hz).
< 실시예 27> N-(2- 부톡시 -4-(3-( 다이에틸아미노 ) 프로폭시 ) 페닐 )-3-(4-(4- 로로페녹시) 페닐 )-1-프로필-1H- 피라졸 -5-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45
상기 실시예 3의 단계 1에서 아이오도메탄을 사용하는 대신에 아이오도프로판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21 mg, 47 %)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3OD): δ 7.82 (d, 2H, J = 8.8 Hz), 7.57 (d, 1H, J = 8.6 Hz), 7.36-7.32 (m, 2H), 7.14 (s, 1H), 7.06-6.99 (m, 4H), 6.62 (d, 1H, J = 2.6 Hz), 6.53 (dd, 1H, J = 2.6, 8.6 Hz), 4.53 (t, 2H, J = 7.1 Hz), 4.06-4.01 (m, 4H), 2.88-2.83 (m, 2H), 2.78 (q, 4H, J = 7.1 Hz), 2.03-1.96 (m, 2H), 1.93-1.86 (m, 2H), 1.80-1.73 (m, 2H), 1.54-1.47 (m, 2H), 1.14 (t, 6H, J = 7.1 Hz), 0.94 (q, 6H, J = 7.5 Hz).
< 실시예 28> 6-(4-(4- 클로로펜에톡시 ) 페닐 )-N-(4-(2-( 다이에틸아미노 ) 에톡 시) 페닐 ) 니코틴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46
단계 1: 메틸 6-(4- 하이드록시페닐 ) 니코틴에이트의 제조
테트라하이드로퓨란:H2O=1:1의 혼합 용매(30 ml)에 메틸-6-클로로니코틴에이트(0.5 g, 2.91 mmol) 및 4-하이드록시페닐보론산(0.711 g, 4.37 mmol)을 용해시킨 다음, 소듐카보네이트(Na2CO3, 0.964 g, 6.98 mmol) 및 테트라키스(트라이페닐포스핀)팔라듐(Pd(PPh3)4, 66 mg, 0.15 mmol)을 첨가하였다. 얇은 막 크로마토그래피(TLC)로 메틸-6-클로로니코틴에이트가 사라질 때까지 환류교반한 후, 반응물을 상온으로 냉각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묽혔다. 상기 유기층을 물과 소금물로 세척하고,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킨 다음, 감압농축하였다. 농축된 반응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에틸아세테이트:n-헥산:다이클로로메탄=1:3:1)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0.3 g, 47 %)을 얻었다.
단계 2: 메틸 6-(4-(4- 클로로펜에톡시 ) 페닐 ) 니코틴에이트의 제조
테트라하이드로퓨란(2 ml)에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메틸 6-(4-하이드록시페닐)니코틴에이트(36 mg, 0.16 mmol) 및 트라이페닐포스핀(PPh3, 55 mg, 0.21 mmol)을 용해시키고, 2-(4-클로로페닐)에탄올(0.028 ml, 0.21 mmol) 및 다이이소프로필아조다이카르복실레이트(DIAD, 0.041 ml, 0.21 mmol)를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상온에서 얇은 막 크로마토그래피(TLC)로 메틸 6-(4-하이드록시페닐)니코틴에이트가 사라질 때까지 교반한 후, 물에 묽혔다. 물에 묽혀진 반응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추출된 유기층을 소금물로 세척한 다음,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켰다. 건조된 유기층을 감압농축하고, 농축된 반응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에틸아세테이트:n-헥산=1:6)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42 mg, 71 %)을 얻었다.
단계 3: 6-(4-(4- 클로로펜에톡시 ) 페닐 )니코틴산의 제조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메틸 6-(4-(4-클로로펜에톡시)페닐)니코틴에이트(42 mg, 0.114 mmol)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메탄올:증류수=5:1:1 혼합용액(42 ml)에 용해시키고, 리튬하이드록사이드 모노하이드레이트(LiOH H2O, 1.14 mmol)를 첨가한 후, 얇은 막 크로마토그래피(TLC)로 메틸 6-(4-(4-클로로펜에톡시)페닐)니코틴에이트가 사라질 때까지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료된 다음, 감압농축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에 다시 용해시켰다. 용해된 반응물을 1N 염산으로 산성화하고, 상기 유기층을 물과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그 후,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킨 다음, 다시 감압농축하여 별도의 정제없이 목적화합물을 얻었다.
단계 4: 6-(4-(4- 클로로펜에톡시 ) 페닐 )-N-(4-(2-( 다이에틸아미노 ) 에톡시 ) 닐) 니코틴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단계 3에서 제조된 6-(4-(4-클로로펜에톡시)페닐)니코틴산(32 mg, 0.091 mmol)을 다이클로로메탄(4 ml)에 용해시키고, 0℃ 냉각시킨 다음, 옥살일클로라이드(39.7 μl, 0.455 mmol)를 첨가하여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이 끝난 후, 상기 반응물을 감압증류하여 옥살일클로라이드를 제거하고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4 ml)에 다시 용해시킨다. 상기 반응물에 제조예 2에서 제조된 4-(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아닐린(19 mg, 0.091 mmol)을, 트라이에틸아민(0.063 ml, 0.455 mmol)과 함께 첨가하여, 1시간 동안 상온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물에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층을 물과 소금물로 세척한 다음,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된 반응물은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메탄올:다이클로로메탄=1:20)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19 mg, 39 %)을 얻었다.
1H-NMR (300 MHz, Acetone-d6): δ 9.60 (s, 1H), 9.17 (d, 1H, J = 1.8 Hz), 8.33 (dd, 1H, J = 2.2, 8.2 Hz), 8.15 (d, 2H, J = 8.8 Hz), 7.99 (d, 1H, J = 8.4 Hz), 7.77 (d, 2H, J = 9.2 Hz), 7.42-7.33 (m, 4H), 7.06 (d, 2H, J = 8.8 Hz), 6.98 (d, 2H, J = 9.0 Hz), 4.42 (t, 2H, J = 5.2 Hz), 4.31 (t, 2H, J = 6.6 Hz), 3.65 (t, 2H, J = 5.1 Hz), 3.40 (q, 4H, J = 7.1 Hz), 3.13 (t, 2H, J = 6.7 Hz), 1.38 (t, 6H, J = 7.1 Hz).
< 실시예 29> 6-(4-(4- 클로로펜에톡시 ) 페닐 )-N-(4-(3-( 다이에틸아미노 ) 프로 폭시) 페닐 ) 니코틴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47
상기 실시예 28의 단계 4에서 4-(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아닐린을 사용하는 대신에 제조예 3에서 제조된 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아닐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8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21 mg, 35 %)을 얻었다.
1H-NMR (400 MHz, Acetone-d6): δ 9.52 (s, 1H), 9.13 (d, 1H, J = 1.7 Hz), 8.28 (dd, 1H, J = 2.1, 8.3 Hz), 8.11 (d, 2H, J = 8.7 Hz), 7.94 (d, 1H, J = 8.4 Hz), 7.71 (d, 2H, J = 9.0 Hz), 7.37-7.29 (m, 4H), 7.03 (d, 2H, J = 8.8 Hz), 6.91 (d, 2H, J = 9.0 Hz), 4.27 (t, 2H, J = 6.7 Hz), 4.15 (t, 2H, J = 5.8 Hz), 3.48 (t, 2H, J = 7.5 Hz), 3.45-3.37 (m, 4H), 3.09 (t, 2H, J = 6.6 Hz), 2.31-2.24 (m, 2H), 1.36 (t, 6H, J = 7.2 Hz).
< 실시예 30> 6-(4-(4- 클로로페녹시 ) 페닐 )-N-(4-(2-( 다이에틸아미노 ) 에톡시 )페닐) 니코틴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48
단계 1: 메틸 6-(4-(4- 클로로페녹시 ) 페닐 ) 니코틴에이트의 제조
다이클로로메탄(4.1 ml)에 상기 실시예 28의 단계 2에서 제조된 메틸 6-(4-하이드록시페닐)니코틴에이트(90 mg, 0.41 mmol), 4-클로로페닐보론산(192 mg, 1.23 mmol), 카퍼아세테이트(Cu(OAc)2, 74 mg, 0.41 mmol) 및 4Å 분자체를 용해시킨 다음, 트라이에틸아민(TEA, 0.29 ml, 2.05 mmol)을 적가하면서 교반하였다. 적가가 끝난 후,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고 셀라이트(Celite) 여과하였다. 여과된 여과액을 감압농축한 다음, 에틸아세테이트에 다시 묽히고, 포화 암모니윰클로라이드 수용액과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세척된 반응물을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다시 감압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에틸아세테이트:n-헥산=1:6)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33 mg, 24 %)을 얻었다.
단계 2: 6-(4-(4- 클로로페녹시 ) 페닐 )니코틴산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메틸 6-(4-(4-클로로펜에톡시)페닐)니코틴에이트(30 mg, 0.088 mmol)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메탄올:증류수=5:1:1 혼합용액(35 ml)에 용해시키고, 리튬하이드록사이드 모노하이드레이트(LiOH H2O, 0.88 mmol)를 첨가한 후, 얇은 막 크로마토그래피(TLC)로 메틸 6-(4-(4-클로로페녹시)페닐)니코틴에이트가 사라질 때까지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료된 다음, 감압농축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에 다시 용해시켰다. 용해된 반응물을 1N 염산으로 산성화하고, 상기 유기층을 물과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그 후,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킨 다음, 다시 감압농축하여 별도의 정제없이 목적화합물(23 mg, 80 %)을 얻었다.
단계 3: 6-(4-(4- 클로로페녹시 ) 페닐 )-N-(4-(2-( 다이에틸아미노 ) 에톡시 ) 페닐 ) 니코틴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6-(4-(4-클로로페녹시)페닐)니코틴산(10 mg, 0.046 mmol)을 다이클로로메탄(2 ml)에 용해시키고, 0℃ 냉각시킨 다음, 옥살일클로라이드(20 μㅣ, 0.23 mmol)를 첨가하여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이 끝난 후, 상기 반응물을 감압증류하여 옥살일클로라이드를 제거하고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2 ml)에 다시 용해시킨다. 상기 반응물에 제조예 1에서 제조된 2-부톡시-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아닐린(10 mg, 0.046 mmol)을, 트라이에틸아민(0.03 ml, 0.23 mmol)과 함께 첨가하여, 1시간 동안 상온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물에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층을 물과 소금물로 세척한 다음,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된 반응물은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메탄올:다이클로로메탄=1:20)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10 mg, 41 %)을 얻었다.
1H-NMR (500 MHz, Acetone-d6): δ 9.57 (s, 1H), 9.17 (d, 1H, J = 1.7 Hz), 8.33 (dd, 1H, J = 2.2, 8.3 Hz), 8.20 (d, 2H, J = 8.8 Hz), 8.01 (d, 1H, J = 8.3 Hz), 7.73 (d, 2H, J = 9.0 Hz), 7.41-7.39 (m, 2H), 7.12-7.07 (m, 4H), 6.95 (d, 2H, J = 9.0 Hz), 4.03 (t, 2H, J = 5.3 Hz), 3.51-3.50 (m, 2H), 3.26-3.25 (m, 4H), 1.30 (t, 6H, J = 7.2 Hz).
< 실시예 31> N-(4-(3-( 다이에틸아미노 ) 에톡시 ) 페닐 )-6-(4- 메톡시페닐 ) 니코 틴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49
단계 1: 메틸 6-(4- 메톡시페닐 ) 니코틴에이트의 제조
상기 실시예 28의 단계 1에서 4-하이드록시페닐보론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4-메톡시페닐보론산을 사용하는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28의 단계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70 mg, 50 %)을 얻었다.
단계 2: 6-(4- 메톡시페닐 )니코틴산의 제조
상기 실시예 28의 단계 3에서 메틸 6-(4-(4-클로로펜에톡시)페닐)니코틴에이트를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메틸 6-(4-메톡시페닐)니코틴에이트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28의 단계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48 mg, 92 %)을 얻었다.
단계 3: N-(4-(3-( 다이에틸아미노 ) 에톡시 ) 페닐 )-6-(4- 메톡시페닐 ) 니코틴아 마이드의 제조
상기 실시예 28의 단계 4에서 6-(4-(4-클로로펜에톡시)페닐)니코틴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6-(4-메톡시페닐)니코틴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28의 단계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18 mg, 51 %)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3OD): δ 8.93-8.92 (m, 1H), 8.21-8.20 (m, 2H), 7.74 (d, 2H, J = 9.0 Hz), 7.70 (d, 2H, J = 9.0 Hz), 7.08 (d, 2H, J = 9.0 Hz), 7.02 (d, 2H, J = 9.0 Hz), 4.25 (t, 2H, J = 5.1 Hz), 3.86 (s, 3H), 3.08-3.05 (m, 4H), 1.26 (t, 6H, J = 7.2 Hz).
< 실시예 32> 4-(4-(4- 클로로펜에톡시 ) 페닐 )-N-(4-(2-( 다이에틸아미노 ) 에톡시 ) 페닐 )-6- 메틸피리미딘 -2-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50
단계 1: 4-(2- 클로로 -6- 메틸피리미딘 -4-일)페놀의 제조
테트라하이드로퓨란:물=1:1 혼합용액(26 ml)에 2,4-다이클로로-6-메틸피리미딘(0.4 g, 2.46 mmol) 및 4-하이드록시페닐보론산(0.411 g, 2.98 mmoL)을 용해시킨 다음, 소듐카보네이트(Na2CO3, 496 mg, 5.9 mmol) 및 테트라키스(트라이페닐포스핀)팔라듐(Pd(PPh3)4, g, 0.123 mmol)을 첨가하였다. 그 후, 얇은 막 크로마토그래피(TLC)로 2,4,-다이클로로-6-메틸피리미딘이 사라질 때까지 환류교반하였다. 반응이 종료되면, 상기 반응물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에 묽혔다. 묽혀진 반응물을 물과 소금물로 세척하고,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킨 후, 감압농축하였다. 농축된 상기 반응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에틸아세테이트:n-헥산=1:2)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0.48 g, 88 %)을 얻었다.
단계 2: 2- 클로로 -4-(4- 클로로펜에톡시 ) 페닐 )-6- 메틸피리미딘의 제조
테트라하이드로퓨란(2 ml)에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4-(2-클로로-6-메틸피리미딘-4-일)페놀(30 mg, 0.14 mmol) 및 트라이페닐포스핀(PPh3, 47.7 mg, 0.182 mmol)을 용해시키고, 4-클로로페닐에탄올(0.02 ml, 0.16 mmol) 및 다이이소프로필아조다이카르복실레이트(DIAD, 0.04 ml, 0.182 mmol)를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상온에서 얇은 막 크로마토그래피(TLC)로 4-(2-클로로-6-메틸피리미딘-4-일)페놀이 사라질 때까지 교반한 후, 물에 묽혔다. 물에 묽혀진 반응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추출된 유기층을 소금물로 세척한 다음,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켰다. 건조된 유기층을 감압농축하고, 농축된 반응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에틸아세테이트:n-헥산=1:4)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32 mg, 64 %)을 얻었다.
단계 3: 4-(4-(4- 클로로펜에톡시 ) 페닐 )-6- 메틸피리미딘 -2- 카르보니트릴의 제조
다이메틸설폭사이드(1 ml)에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2-클로로-4-(4-클로로펜에톡시)페닐)-6-메틸피리미딘(30 g, 0.084 mmol)을 용해시킨 다음, 상온에서 소듐시아나이드(6.2 mg, 0.13 mmol) 및 DABCO(14.6 mg, 0.13 mmol)을 첨가하였다. 그 후, 상기 반응물을 50 내지 100℃로 등온하고, 얇은 막 크로마토그래피(TLC)로 2-클로로-4-(4-클로로펜에톡시)페닐)-6-메틸피리미딘이 사라질 때까지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료된 후, 상기 물에 반응물을 묽히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 다음, 추출된 유기층을 물과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세척된 유기층을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킨 후, 감압농축하였다. 농축된 반응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에틸아세테이트:n-헥산=1:3)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25 mg, 85 %)을 얻었다.
단계 4: 4-(4-(4- 클로로펜에톡시 ) 페닐 )-6- 메틸피리미딘 -2- 카르복실산의 제조
50 % 에탄올 수용액(4 ml)에 상기 단계 3에서 제조된 4-(4-(4-클로로펜에톡시)페닐)-6-메틸피리미딘-2-카르보니트릴(15 mg, 0.043 mmol)을 용해시키고, 상온에서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KOH, 7.3 mg, 0.13 mmol)를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150℃까지 등온하여 교반하면서, 30분 동안 극초단파를 조사하였다. 조사가 종료된 다음, 상기 반응물을 감압증류시켜 용매를 제거하고 다시 에틸아세테이트에 용해시켰다. 용해된 반응물에 1N 염산으로 산성화하고, 물과 소금물로 세척한 후,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켰다. 그 후, 건조된 반응물을 감압증류하고 별도의 정제없이 목적화합물(16 mg, 100 %)을 얻었다.
단계 5: 4-(4-(4- 클로로펜에톡시 ) 페닐 )-N-(4-(2-( 다이에틸아미노 ) 에톡시 ) 닐)-6- 메틸피리미딘 -2-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단계 4에서 제조된 4-(4-(4-클로로펜에톡시)페닐)-6-메틸피리미딘-2-카르복실산(15 mg, 0.041 mmol)을 다이클로로메탄(3 ml)에 용해시키고, 0℃ 냉각시킨 다음, 옥살일클로라이드(18 μl, 0.205 mmol)를 첨가하여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이 끝난 후, 상기 반응물을 감압증류하여 옥살일클로라이드를 제거하고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3 ml)에 다시 용해시킨다. 상기 반응물에 제조예 2에서 제조된 4-(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아닐린(9 mg, 0.041 mmol)을 트라이에틸아민(0.03 ml, 0.205 mmol)과 함께 첨가하여, 1시간 동안 상온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물에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층을 물과 소금물로 세척한 다음,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된 반응물은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메탄올:다이클로로메탄=1:20)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10 mg, 44%)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3OD): δ 8.15 (d, 2H, J = 8.7 Hz), 7.74 (s, 1H), 7.69 (d, 2H, J = 9.3 Hz), 7.26 (s, 4H), 6.96-6.90 (m, 4H), 4.16 (t, 2H, J = 6.8 Hz), 4.07 (t, 2H, J = 5.7 Hz), 3.02 (t, 2H, J = 6.9 Hz), 2.91 (t, 2H, J = 5.7 Hz), 2.69 (q, 4H, J = 7.2 Hz), 2.57 (s, 3H), 1.09 (t, 6H, J = 7.1 Hz).
< 실시예 33> 4,6- 비스 (4- 클로로페닐 )-N-(4-(2- 에톡시에톡시 ) 페닐 )피리미딘-2-카 르복스아마이드 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51
단계 1: 2- 클로로 -4,6- 비스(4-클로로페닐)피리미딘의 제조
테트라하이드로퓨란:물=1:1 혼합용액(16 ml)에 2,4,6-트라이클로로피리미딘(0.3 g, 1.64 mmol) 및 4-클로로페닐보론산(642 mg, 4.10 mmoL)을 용해시킨 다음, 소듐카보네이트(Na2CO3, 675 mg, 8.04 mmol) 및 테트라키스(트라이페닐포스핀)팔라듐(Pd(PPh3)4, 94.8 mg, 0.082 mmol)을 첨가하였다. 그 후, 얇은 막 크로마토그래피(TLC)로 2,4,6-트라이클로로피리미딘이 사라질 때까지 환류교반하였다. 반응이 종료되면, 상기 반응물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에 묽혔다. 묽혀진 반응물을 물과 소금물로 세척하고,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킨 후, 감압농축하였다. 농축된 상기 반응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에틸아세테이트:n-헥산:다이클로로메탄=1:40:5)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0.3 g, 55 %)을 얻었다.
단계 2: 4,6- 비스(4-클로로페닐)피리미딘 -2- 카르보니트릴의 제조
상기 실시예 32의 단계 3에서 2-클로로-4-(4-클로로펜에톡시)페닐)-6-메틸피리미딘을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2-클로로-4,6-비스(4-클로로페닐)피리미딘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32의 단계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32 mg, 76 %)을 얻었다.
단계 3: 4,6- 비스(4-클로로페닐)피리미딘 -2- 카르복실산의 제조
상기 실시예 32의 단계 4에서 4-(4-(4-클로로펜에톡시)페닐)-6-메틸피리미딘-2-카르보니트릴을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4,6-비스(4-클로로페닐)피리미딘-2-카르보니트릴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32의 단계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31 mg, 91 %)을 얻었다.
단계 4: 4,6- 비스 (4- 클로로페닐 )-N-(4-(2- 에톡시에톡시 ) 페닐 )피리미딘-2- 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실시예 32의 단계 5에서 4-(4-(4-클로로펜에톡시)페닐)-6-메틸피리미딘-2-카르복실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단계 3에서 제조된 4,6-비스(4-클로로페닐)피리미딘-2-카르복실산을 사용하고, 4-(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아닐린을 사용하는 대신에 제조예 4에서 제조된 4-(2-에톡시에톡시)아닐린을 사용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에틸아세테이트:n-헥산=1:3)로 정제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32의 단계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18 mg, 51 %)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Cl3): δ 9.90 (s, 1H), 8.15 (d, 4H, J = 8.6 Hz), 8.09 (s, 1H), 7.72 (d, 2H, J = 9.0 Hz), 7.51 (d, 4H, J = 8.6 Hz), 6.94 (d, 2H, J = 9.0 Hz), 4.12 (t, 2H, J = 4.8 Hz), 3.79 (t, 2H, J = 4.8 Hz), 3.60 (q, 2H, J = 7.0 Hz), 1.24 (t, 3H, J = 7.0 Hz).
< 실시예 34> 4-(4- 클로로페닐 )-N-(4-(2- 에톡시에톡시 ) 페닐 )-6- 메틸피리미딘 -2-카 르복스아마이드 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52
단계 1: 2- 클로로 -4-(4- 클로로페닐 )-6- 메틸피리미딘의 제조
상기 실시예 32의 단계 1에서 4-하이드록시페닐보론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4-클로로페닐보론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32의 단계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210 mg, 71 %)을 얻었다.
단계 2: 4-(4- 클로로페닐 )-6- 메틸피리미딘 - 2카르보니트릴의 제조
상기 실시예 32의 단계 3에서 2-클로로-4-(4-클로로펜에톡시)페닐)-6-메틸피리미딘을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2-클로로-4-(4-클로로페닐)-6-메틸피리미딘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32의 단계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37 mg, 92 %)을 얻었다.
단계 3: 4-(4- 클로로페닐 )-6- 메틸피리미딘 -2- 카르복실산의 제조
상기 실시예 32의 단계 4에서 4-(4-(4-클로로펜에톡시)페닐)-6-메틸피리미딘-2-카르보니트릴을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4-(4-클로로페닐)-6-메틸피리미딘-2카르보니트릴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32의 단계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12 mg, 46 %)을 얻었다.
단계 4: 4-(4- 클로로페닐 )-N-(4-(2- 에톡시에톡시 ) 페닐 )-6- 메틸피리미딘 -2-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실시예 32의 단계 5에서 4-(4-(4-클로로펜에톡시)페닐)-6-메틸피리미딘-2-카르복실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단계 3에서 제조된 4-(4-클로로페닐)-6-메틸피리미딘-2-카르복실산을 사용하고, 4-(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아닐린을 사용하는 대신에 제조예 4에서 제조된 4-(2-에톡시에톡시)아닐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32의 단계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15 mg, 75 %)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Cl3): δ 9.92 (s, 1H), 8.10 (d, 2H, J = 8.6 Hz), 7.72 (d, 2H, J = 9.2 Hz), 7.65 (s, 1H), 7.51 (d, 2H, J = 8.6 Hz), 6.96 (d, 2H, J = 9.0 Hz), 4.13 (t, 2H, J = 4.8 Hz), 3.79 (t, 2H, J = 4.8 Hz), 3.60 (q, 2H, J = 7.0 Hz), 2.72 (s, 3H), 1.24 (t, 3H, J = 7.0 Hz).
< 실시예 35> N-(4-(2- 에톡시에톡시 ) 페닐 )-4-(3-(4- 플루오로페녹시 )피페리딘-1-일)-6- 메틸피리미딘 -2-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53
단계 1: 1-(2- 클로로 -6- 메틸피리미딘 -4-일)피페리딘-3-올의 제조
에탄올에 2,4-다이클로로-6-메틸피리미딘(0.55 g, 3.37 mmol)을 용해시킨 다음, 상온에서 3-하이드록시피페리딘 염산염(0.6 g, 4.39 mmol)을 첨가하였다. 그 후, 상온에서 얇은 막 크로마토그래피(TLC)로 2,4,-다이클로로-6-메틸피리미딘이 사라질 때까지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료되면, 상기 반응물을 감압농축시킨 다음, 다시 에틸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키고 물과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세척된 반응물을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킨 후,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된 반응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에틸아세테이트:n-헥산=1:3)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0.2 g, 26 %)을 얻었다.
단계 2: 2- 클로로 -4-(3-(4- 플루오로페녹시 )피페리딘-1-일)-6- 메틸피리미딘 의 제조
테트라하이드록퓨란(2 ml)에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1-(2-클로로-6-메틸피리미딘-4-일)피페리딘-3-올(30 mg, 0.13 mmol) 및 트라이페닐포스핀(44.6 mg, 0.17 mmol)을 용해시키고, 4-플루오로페놀(20 mg, 0.17 mmol) 및 다이이소프로필아조다이카르복실레이트(DIAD, 0.03 ml, 0.17 mmol)를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상온에서 얇은 막 크로마토그래피(TLC)로 1-(2-클로로-6-메틸피리미딘-4-일)피페리딘-3-올이 사라질 때까지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료되면 반응물을 물에 묽힌 다음,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층을 소금물로 세척하고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킨 후, 감압농축하였다. 농축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에텔아세테이트:n-헥산=1:20)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20 mg, 48 %)을 얻었다.
단계 3: 4-(3-(4- 플루오로페녹시 )피페리딘-1-일)-6- 메틸피리미딘 -2- 카르보 니트릴의 제조
다이메틸설폭사이드(1.2 ml)에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2-클로로-4-(3-(4-플루오로페녹시)피페리딘-1-일)-6-메틸피리미딘(38 mg, 0.12 mmol)을 용해시킨 다음, 상온에서 소듐시아나이드(8.6 mg, 0.18 mmol) 및 DABCO(20 mg, 0.18 mmol)을 첨가하였다. 그 후, 상기 반응물을 50 내지 100℃로 등온하고, 얇은 막 크로마토그래피(TLC)로 2-클로로-4-(3-(4-플루오로페녹시)피페리딘-1-일)-6-메틸피리미딘이 사라질 때까지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료된 후, 상기 물에 반응물을 묽히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 다음, 추출된 유기층을 물과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세척된 유기층을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킨 후, 감압농축하였다. 농축된 반응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에틸아세테이트:n-헥산=1:10)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22 mg, 59 %)을 얻었다.
단계 4: 4-(3-(4-플루오로페녹시)피페리딘-1-일)-6-메틸피리미딘-2-카르복실산의 제조
50 % 에탄올 수용액(3 ml)에 상기 단계 3에서 제조된 4-(3-(4-플루오로페녹시)피페리딘-1-일)-6-메틸피리미딘-2-카르보니트릴(12 mg, 0.038 mmol)을 용해시키고, 상온에서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KOH, 21 mg, 0.38mmol)를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150℃까지 등온하여 교반하면서, 30분 동안 극초단파를 조사하였다. 조사가 종료된 다음, 상기 반응물을 감압증류시켜 용매를 제거하고 다시 에틸아세테이트에 용해시켰다. 용해된 반응물에 1N 염산으로 산성화하고, 물과 소금물로 세척한 후,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켰다. 그 후, 건조된 반응물을 감압증류하고 별도의 정제없이 목적화합물(12 mg, 94 %)을 얻었다.
단계 5: N-(4-(2-에톡시에톡시)페닐-4-(3-(4-플루오로페녹시)피페리딘-1-일)-6- 메틸피리미딘 -2-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단계 4에서 제조된 4-(3-(4-플루오로페녹시)피페리딘-1-일)-6-메틸피리미딘-2-카르복실산(16 mg, 0.048 mmol)을 다이클로로메탄(3 ml)에 용해시키고, 0℃ 냉각시킨 다음, 옥살일클로라이드(21 μl, 0.24 mmol)을 첨가하여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이 끝난 후, 상기 반응물을 감압증류하여 옥살일클로라이드를 제거하고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3 ml)에 다시 용해시킨다. 상기 반응물에 제조예 4에서 제조된 4-(2-에톡시에톡시)아닐린(9 mg, 0.048 mmol)을 트라이에틸아민(0.03 ml, 0.24 mmol)과 함께 첨가하여, 1시간 동안 상온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물에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층을 물과 소금물로 세척한 다음,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된 반응물은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에틸아세테이트:n-헥산=1:3)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17 mg, 71%)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Cl3): δ 9.42 (s, 1H), 7.52 (d, 2H, J = 8.8 Hz), 7.22 (s, 1H), 6.93-6.90 (m, 6H), 4.54-4.50 (m, 1H), 4.29-4.24 (m, 2H), 4.12 (t, 2H, J = 4.9 Hz), 3.78 (t, 2H, J = 4.8 Hz), 3.59 (q, 2H, J = 7.0 Hz), 3.54-3.47 (m, 2H), 2.41 (s, 3H), 2.13-1.83 (m, 2H), 1.60-1.59 (m, 1H), 1.24 (t, 3H, J = 7.0 Hz).
< 실시예 36> N-(4-(2- 에톡시에톡시 ) 페닐 -4-(3-(4- 플루오로페녹시 ) 피롤리딘 -1-일)-6- 메틸피리미딘 -2-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54
상기 실시예 35에서 3-하이드록시피페리딘 염산염을 사용하는 대신에 피롤리딘-3-올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35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21 mg, 73 %)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Cl3): δ 7.63 (d, 2H, J = 8.7 Hz), 7.16 (s, 1H), 7.05-6.92 (m, 6H), 5.10-5.09 (m, 1H), 4.11 (t, 2H, J = 4.7 Hz), 3.94-3.92 (m, 3H), 3.80-3.76 (m, 3H), 3.59 (q, 2H, J = 7.1 Hz), 2.44 (s, 3H), 2.30-2.29 (m, 2H), 1.21 (t, 3H, J = 7.1 Hz).
< 실시예 37> N-(4-(2- 에톡시에톡시 ) 페닐 )-4-(4-(4- 플루오로페녹시 )피페리딘-1-일)-6- 메틸피리미딘 -2-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55
상기 실시예 35의 단계 1에서 3-하이드록시피페리딘 염산염을 사용하는 대신에 4-하이드록시피페리딘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35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57 mg, 72 %)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3OD): δ 7.64 (d, 2H, J = 9.0 Hz), 7.14 (s, 1H), 7.01-6.94 (m, 6H), 4.60-4.59 (m, 1H), 4.35-4.32 (m, 2H), 4.13-4.10 (m, 2H), 3.80-3.78 (m, 4H), 3.59 (q, 2H, J = 7.0 Hz), 2.43 (s, 3H), 2.13-2.00 (m, 2H), 1.78-1.77 (m, 2H), 1.21 (t, 3H, J = 7.1 Hz).
< 실시예 38> 4,6- 비스 (4- 클로로페닐 )-N-(4-(3-( 다이에틸아미노 ) 프로폭시 ) 페닐 )피리미딘-2-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56
상기 실시예 33의 단계 4에서 4-(2-에톡시에톡시)아닐린을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제조예 3에서 제조된 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아닐린을 사용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메탄올:다이클로로메탄=1:10)로 정제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33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24 mg, 76 %)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3OD): δ 8.60 (s, 1H), 8.46 (d, 4H, J = 8.8 Hz), 7.80 (d, 2H, J = 9.2 Hz), 7.60 (d, 4H, J = 8.6 Hz), 7.02 (d, 2H, J = 9.0 Hz), 4.16-4.11 (t, 2H, J = 5.8 Hz), 3.23-3.08 (m, 6H), 2.15-2.14 (m, 2H), 1.28 (t, 6H, J = 7.3 Hz).
< 실시예 39> 4-(4-(4- 클로로페녹시 )피페리딘-1-일)-N-(4-(3-( 다이에틸아미 노) 프로폭시 ) 페닐 )-6- 메틸피리미딘 -2-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57
상기 실시예 35의 단계 1에서 3-하이드록시피페리딘 염산염을 사용하는 대신에 4-하이드록시피페리딘을 사용하고, 단계 5에서 4-(2-에톡시에톡시)아닐린을 사용하는 대신에 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아닐린을 사용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메탄올:다이클로로메탄=1:15)로 정제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35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16 mg, 67 %)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3OD): δ 7.66 (d, 2H, J = 9.0 Hz), 7.26 (d, 2H, J = 9.0 Hz), 7.13 (s, 1H), 6.99-6.93 (m, 4H), 4.65-4.66 (m, 1H), 4.36-4.28 (m, 2H), 4.11 (t, 2H, J = 5.7 Hz), 3.82-3.73 (m, 2H), 3.29-3.17 (m, 6H), 2.42 (s, 3H), 2.22-2.13 (m, 2H), 2.07-2.00 (m, 2H), 1.80-1.70 (m, 2H), 1.31 (t, 6H, J = 7.2 Hz).
< 실시예 40> 4,6- 비스 (4- 클로로페닐 )-N-(4-(3-( 다이에틸아미노 ) 프로폭시 )-2-메 톡시페 닐)피리미딘-2-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58
상기 실시예 33의 단계 4에서 4-(2-에톡시에톡시)아닐린을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제조예 5에서 제조된 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2-메톡시아닐린을 사용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메탄올:다이클로로메탄=1:15)로 정제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33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9 mg, 34 %)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Cl3): δ 8.57-8.54 (m, 1H), 8.20 (d, 4H, J = 8.6 Hz), 8.11 (s, 1H), 7.51 (d, 4H, J = 8.6 Hz), 6.54-6.53 (m, 2H), 4.02 (t, 2H, J = 6.2 Hz), 3.96 (s, 3H), 2.71-2.58 (m, 6H), 2.02-1.95 (m, 2H), 1.07 (t, 6H, J = 7.1 Hz).
< 실시예 41> N-(4-(3-( 다이에틸아미노 ) 프로폭시 )-2- 메톡시페닐 )-4,6-비스(4- 플루오로페닐)피리미딘 -2-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59

단계 1: 2- 클로로 -4,6- 비스(4-클로로페닐)피리미딘의 제조
테트라하이드로퓨란:물=1:1 혼합용액(110 ml)에 2,4,6-트라이클로로피리미딘(2.09 g, 11.4 mmol) 및 4-플루오로페닐보론산(3.82 g, 27.3 mmoL)을 용해시킨 다음, 소듐카보네이트(Na2CO3, 4.79 g, 57 mmol) 및 테트라키스(트라이페닐포스핀)팔라듐(Pd(PPh3)4, 667 mg, 0.57 mmol)을 첨가하였다. 그 후, 얇은 막 크로마토그래피(TLC)로 2,4,6-트라이클로로피리미딘이 사라질 때까지 환류교반하였다. 반응이 종료되면, 상기 반응물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에 묽혔다. 묽혀진 반응물을 물과 소금물로 세척하고,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킨 후, 감압농축하였다. 농축된 상기 반응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에틸아세테이트:n-헥산:다이클로로메탄=1:40:5)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을 얻었다.
단계 2: 4,6- 비스(4-플루오로페닐)피리미딘 -2- 카르보니트릴의 제조
다이메틸설폭사이드(45 ml)에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2-클로로-4,6-비스(4-클로로페닐)피리미딘(1.95 g, 6.45 mmol)을 용해시킨 다음, 상온에서 소듐시아나이드(464 mg, 9.68 mmol) 및 DABCO(698 mg, 9.68 mmol)를 첨가하였다. 그 후, 상기 반응물을 50 내지 100℃로 등온하고, 얇은 막 크로마토그래피(TLC)로 2-클로로-4,6-비스(4-클로로페닐)피리미딘이 사라질 때까지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료된 후, 상기 물에 반응물을 묽히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 다음, 추출된 유기층을 물과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세척된 유기층을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킨 후, 감압농축하였다. 농축된 반응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에틸아세테이트:n-헥산=1:3)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을 얻었다.
단계 3: 4,6- 비스(4-플루오로페닐)피리미딘 -2- 카르복실산의 제조
50 % 에탄올 수용액(80 ml)에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4,6-비스(4-플루오로페닐)피리미딘-2-카르보니트릴(1.67 g, 5.69 mmol)을 용해시키고, 상온에서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KOH, 3.19 g, 56.9 mmol)를 첨가하였다. 그 후, 상기 반응물을 8시간 동안 환류교반하였다. 반응이 종료되면, 상기 반응물을 감압증류시켜 용매를 제거하고 다시 에틸아세테이트에 용해시켰다. 용해된 반응물에 1N 염산으로 산성화하고, 물과 소금물로 세척한 후,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켰다. 그 후, 건조된 반응물을 감압증류하고 별도의 정제없이 목적화합물을 얻었다.
단계 4: N-(4-(3- 다이에틸아미노 ) 프로폭시 )-2- 메톡시페닐 )-4,6-비스(4- 플루오로페닐 )피리미딘-2-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단계 3에서 제조된 4,6-비스(4-플루오로페닐)피리미딘-2-카르복실산(8 mg, 0.026 mmol)을 다이클로로메탄(2 ml)에 용해시키고, 0℃ 냉각시킨 다음, 옥살일클로라이드(11 μl, 0.13 mmol)를 첨가하여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이 끝난 후, 상기 반응물을 감압증류하여 옥살일클로라이드를 제거하고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2 ml)에 다시 용해시킨다. 상기 반응물에 제조예 2에서 제조된 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2-메톡시아닐린(6.2 mg, 0.026 mmol)을, 트라이에틸아민(0.02 ml, 0.13 mmol)과 함께 첨가하여, 1시간 동안 상온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물에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층을 물과 소금물로 세척한 다음,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된 반응물은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메탄올:다이클로로메탄=1:20)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7 mg, 47%)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3OD): δ 8.29-8.18 (m, 6H), 7.19-7.13 (m, 4H), 6.44 (d, 1H, J = 2.6 Hz), 6.35 (dd, 1H, J = 2.6, 8.8 Hz), 3.90 (t, 2H, J = 6.0 Hz), 3.85 (s, 3H), 2.81-2.70 (m, 6H), 2.00-1.89 (m, 2H), 1.13 (t, 6H, J = 7.3 Hz).
< 실시예 42> N-(4-3-( 다이메틸아미노 ) 프로폭시 )-2- 메톡시페닐 )-4,6-비스(4-플루오로페닐)피리미딘-2-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60
상기 실시예 41의 단계 4에서 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2-메톡시아닐린을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제조예 6에서 제조된 4-(3-(다이메틸아미노)프로폭시)-2-메톡시아닐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8 mg, 45 %)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3OD): δ 8.32-8.28 (m, 5H), 8.22 (d, 1H, J = 8.8 Hz), 7.19 (t, 4H, J = 8.8 Hz), 6.48 (d, 1H, J = 2.6 Hz), 6.39 (dd, 1H, J = 2.7, 9.0 Hz), 3.92 (t, 2H, J = 6.1 Hz), 3.88 (s, 3H), 2.61 (t, 2H, J = 7.7 Hz), 2.38 (s, 6H), 1.99-1.94 (m, 2H).
< 실시예 43> N-(4-(2-( 다이에틸아미노 ) 에톡시 ) 페닐 )-4,6-비스(4- 플루오로페 닐)피리미딘-2-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61
상기 실시예 41의 단계 4에서 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2-메톡시아닐린을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4-(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아닐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12 mg, 50 %)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3OD): δ 8.43-8.37 (m, 5H), 7.72 (d, 2H, J = 9.2 Hz), 7.26-7.20 (m, 4H), 6.93 (d, 2H, J = 9.2 Hz), 4.09 (t, 2H, J = 5.7 Hz), 2.94 (t, 2H, J = 5.7 Hz), 2.72 (q, 4H, J = 7.1 Hz), 1.12 (t, 6H, J =7.1 Hz).
< 실시예 44> N-(3-(2-( 다이에틸아미노 ) 에톡시 ) 페닐 )-4,6-비스(4- 플루오로페 닐)피리미딘-2-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62
상기 실시예 41의 단계 4에서 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2-메톡시아닐린을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제조예 7에서 제조된 3-(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아닐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12 mg, 50 %)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3OD): δ 8.37-8.31 (m, 5H), 7.53 (t, 1H, J = 2.1 Hz), 7.33-7.30 (m, 1H), 7.26-7.16 (m, 5H), 6.74-6.70 (m, 1H), 4.09 (t, 2H, J = 5.7 Hz), 2.92 (t, 2H, J = 5.7 Hz), 2.70 (q, 4H, J = 7.2 Hz), 1.11 (t, 6H, J = 7.1 Hz).
< 실시예 45> N-(2-(2-( 다이에틸아미노 ) 에톡시 ) 페닐 )-4,6-비스(4- 플루오로페 닐)피리미딘-2-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63
상기 실시예 41의 단계 4에서 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2-메톡시아닐린을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제조예 8에서 제조된 2-(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아닐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7 mg, 26 %)을 얻었다.
1H-NMR (400 MHz, CD3OD): δ 8.45 (d, 1H, J = 7.8 Hz), 8.38-8.35 (m, 5H), 7.25 (t, 4H, J = 8.6 Hz), 7.10 (t, 1H, J = 7.7 Hz), 7.02 (d, 1H, J = 8.0 Hz), 6.96 (t, 1H, J = 7.6 Hz), 4.19 (t, 2H, J = 6.3 Hz), 2.98 (t, 2H, J = 6.3 Hz), 2.58 (q, 4H, J = 7.1 Hz), 0.95 (t, 6H, J = 7.1 Hz).
< 실시예 46> N-(2-(2-( 다이에틸아미노 ) 에톡시 )-6- 메톡시페닐 )-4,6-비스(4-플루오로페닐)피리미딘-2-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64
상기 실시예 41의 단계 4에서 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2-메톡시아닐린을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제조예 9에서 제조된 2-(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6-메톡시아닐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16 mg, 66 %)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3OD): δ 8.78 (s, 1H), 8.54-8.50 (m, 4H), 7.36-7.28 (m, 5H), 6.82-6.78 (m, 2H), 4.27 (t, 2H, J = 4.9 Hz), 3.89 (s, 3H), 3.12-3.11 (m, 2H), 2.81 (q, 4H, J = 7.1 Hz), 1.01 (t, 6H, J = 7.1 Hz)
< 실시예 47> N-(2-(2-( 다이에틸아미노 ) 에톡시 )-3- 메톡시페닐 )-4,6-비스(4-플루오로페닐)피리미딘-2-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65
상기 실시예 41의 단계 4에서 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2-메톡시아닐린을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제조예 10에서 제조된 2-(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3-메톡시아닐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12 mg, 47 %)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3OD): δ 8.42-8.36 (m, 5H), 7.59 (d, 1H, J = 2.4 Hz), 7.31 (dd, 1H, J = 2.4, 8.6 Hz), 7.23 (t, 4H, J = 8.8 Hz), 6.93 (d, 1H, J = 8.8 Hz), 4.11 (t, 2H, J = 5.9 Hz), 3.85 (s, 3H), 2.99 (t, 2H, J = 5.9 Hz), 2.77 (q, 4H, J = 7.2 Hz), 1.13 (t, 6H, J = 7.2 Hz).
< 실시예 48> N-(2-(2-( 다이에틸아미노 ) 에톡시 )-5- 메톡시페닐 )-4,6-비스(4-플루오로페닐)피리미딘-2-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66
상기 실시예 41의 단계 4에서 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2-메톡시아닐린을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제조예 11에서 제조된 2-(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5-메톡시아닐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13 mg, 58 %)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3OD): δ 8.52 (s, 1H), 8.48-8.43 (m, 4H), 8.21 (d, 1H, J = 2.9 Hz), 7.33 (t, 4H, J = 8.8 Hz), 7.02 (d, 1H, J = 9.2 Hz), 6.69 (dd, 1H, J = 2.9, 9.0 Hz), 4.20 (t, 2H, J = 6.2 Hz), 3.79 (s, 3H), 2.99 (t, 2H, J = 6.3 Hz), 2.58 (q, 4H, J = 7.2 Hz), 0.94 (t, 6H, J = 7.2 Hz).
< 실시예 49> N-(2-(2-( 다이에틸아미노 ) 에톡시 )-4- 메톡시페닐 )-4,6-비스(4-플루오로페닐)피리미딘-2-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67
상기 실시예 41의 단계 4에서 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2-메톡시아닐린을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제조예 12에서 제조된 2-(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4-메톡시아닐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6 mg, 28 %)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3OD): δ 8.41-8.33 (m, 6H), 7.27 (t, 4H, J = 8.7 Hz), 6.58 (d, 1H, J = 2.6 Hz), 6.52 (dd, 1H, J = 2.6, 8.8 Hz), 4.18 (t, 2H, J = 6.2 Hz), 3.78 (s, 3H), 3.01 (t, 2H, J = 6.2 Hz), 2.61 (q, 4H, J = 7.1 Hz), 0.97 (t, 6H, J = 7.1 Hz).
< 실시예 50> N-(5-(2-( 다이에틸아미노 ) 에톡시 )-2- 메톡시페닐 )-4,6-비스(4-플루오로페닐)피리미딘-2-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68
상기 실시예 41의 단계 4에서 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2-메톡시아닐린을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제조예 13에서 제조된 5-(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2-메톡시아닐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16 mg, 62 %)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3OD): δ 8.12-8.08 (m, 4H), 8.03 (s, 1H), 7.85 (d, 1H, J = 2.9 Hz), 7.04 (t, 4H, J = 8.7 Hz), 6.67 (d, 1H, J = 9.0 Hz), 6.45 (dd, 1H, J = 2.9, 8.8 Hz), 3.91 (t, 2H, J = 5.7 Hz), 3.73 (s, 3H), 2.91 (t, 2H, J = 5.6 Hz), 2.75 (q, 4H, J = 7.1 Hz), 1.13 (t, 6H, J = 7.1 Hz).
< 실시예 51> N-(3-(2-( 다이에틸아미노 ) 에톡시 )-4- 메톡시페닐 )-4,6-비스(4-플루오로페닐)피리미딘-2-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69
상기 실시예 41의 단계 4에서 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2-메톡시아닐린을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제조예 14에서 제조된 3-(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4-메톡시아닐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17 mg, 79 %)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Cl3): δ 9.91 (s, 1H), 8.25-8.19 (m, 4H), 8.08 (s, 1H), 7.65-7.64 (m, 1H), 7.25-7.19 (m, 5H), 6.85 (d, 2H, J = 8.6 Hz), 4.15 (t, 2H, J = 6.7 Hz), 3.84 (s, 3H), 2.97 (t, 2H, J = 6.6 Hz), 2.66 (q, 4H, J = 7.1 Hz), 1.08 (t, 6H, J = 7.1 Hz).
< 실시예 52> N-(3-(2-( 다이에틸아미노 ) 에톡시 )-5- 메톡시페닐 )-4,6-비스(4-플루오로페닐)피리미딘-2-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70
상기 실시예 41의 단계 4에서 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2-메톡시아닐린을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제조예 15에서 제조된 3-(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5-메톡시아닐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18 mg, 80 %)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Cl3): δ 9.96 (s, 1H), 8.25-8.20 (m, 4H), 8.09 (s, 1H), 7.26-7.20 (m, 4H), 7.12-7.11 (m, 1H), 7.02 (s, 1H), 6.30-6.29 (m, 1H), 4.08 (t, 2H, J = 6.2 Hz), 3.80 (s, 3H), 2.89 (t, 2H, J = 6.1 Hz), 2.66 (q, 4H, J = 7.1 Hz), 1.08 (t, 6H, J = 7.1 Hz).
< 실시예 53> N-(3-(2-( 다이에틸아미노 ) 에톡시 )-2- 메톡시페닐 )-4,6-비스(4-플루오로페닐)피리미딘-2-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71
상기 실시예 41의 단계 4에서 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2-메톡시아닐린을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제조예 16에서 제조된 3-(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2-메톡시아닐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15 mg, 76 %)을 얻었다.
1H-NMR (400 MHz, CDCl3): δ 10.87 (s, 1H), 8.31-8.25 (m, 5H), 8.10 (s, 1H), 7.25-7.21 (m, 4H), 7.11 (t, 1H, J = 8.3 Hz), 6.73 (d, 1H, J = 8.0 Hz), 4.19 (t, 2H, J = 6.7 Hz), 3.89 (s, 3H), 2.84 (t, 2H, J = 6.6 Hz), 2.45-2.42 (m, 4H), 0.82 (t, 6H, J = 7.1 Hz).
< 실시예 54> N-(4-(2-( 다이에틸아미노 ) 에톡시 )-2- 메톡시페닐 )-4,6-비스(4-플루오로페닐)피리미딘-2-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72
상기 실시예 41의 단계 4에서 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2-메톡시아닐린을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제조예 17에서 제조된 4-(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2-메톡시아닐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18 mg, 75 %)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Cl3): δ 8.56 (d, 1H, J = 6.0 Hz), 8.28-8.24 (m, 4H), 8.08 (s, 1H), 7.24-7.19 (m, 4H), 6.56-6.53 (m, 2H), 4.07 (t, 2H, J = 6.1 Hz), 3.95 (s, 3H), 2.89 (t, 2H, J = 6.1 Hz), 2.66 (q, 4H, J = 7.1 Hz), 1.08 (t, 6H, J = 7.1 Hz).
< 실시예 55> N-(4-(2-( 다이에틸아미노 ) 에톡시 )-3- 메톡시페닐 )-4,6-비스(4-플루오로페닐)피리미딘-2- 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3018250846-pat00173
상기 실시예 41의 단계 4에서 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2-메톡시아닐린을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제조예 18에서 제조된 4-(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3-메톡시아닐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10 mg, 46 %)을 얻었다.
1H-NMR (300 MHz, CDCl3): δ 9.94 (s, 1H), 8.26-8.21 (m, 4H), 8.09 (s, 1H), 7.82 (d, 1H, J = 2.4 Hz), 7.26-7.21 (m, 4H), 7.05 (dd, 1H, J = 2.4, 8.6 Hz), 6.90 (d, 1H, J = 8.6 Hz), 4.09 (t, 2H, J = 6.9 Hz), 3.91 (s, 3H), 2.92 (t, 2H, J = 6.8 Hz), 2.64 (q, 4H, J = 7.1 Hz), 1.06 (t, 6H, J = 7.1 Hz).
< 실험예 1> RAGE 와 아밀로이드-베타의 결합 억제 효과 평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RAGE와 베타아밀로이드의 결합 억제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유전자 조작을 통해 대장균에서 바이오틴과 6x his가 테깅된 인간 RAGE(bacterial expressed biotinylated human RAGE with 6xHis tag; hRAGE)을 발현시키고 니켈-컬럼을 이용하여 분리/정제하는 기술을 확립하였다. 분리 정제된 hRAGE를 96 웰 플레이트에 고정시킨 후, 베타아밀로이드(Aβ)가 들어있는 용액과 반응시켜 결합을 유도하였다. 결합된 베타아밀로이드는 베타아밀로이드에 특이적 항체인 4G8-HRP(Covance)를 이용해 검출하였다. 본 발명에 명기된 화합물들을 베타아밀로이드가 들어있는 용액에 첨가하고 상기 조건 하에서 베타아밀로이드의 결합 정도를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이용해 화합물의 활성을 평가하였다. 상세한 프로토콜은 하기와 같다.
단계 1: RAGE 와 베타아밀로이드의 결합 및 화합물 반응 유도
시험 시작 하루 전에 다이메틸설폭사이드(DMSO)에 1 mM 농도로 베타아밀로이드 1-42를 준비하고, 이를 차가운 인산염 완충용액(PBS)에 10 μM 농도가 되도록 희석한 후, 4℃에서 밤샘 반응시켰다.(overnight, 5 % BSA TBS 완충용액에 2 μg/ml의 농도가 되도록 RAGE-바이오틴 단백질을 희석시켰다. 스트렙타비딘 플레이트(Streptavidin plate)에 희석한 RAGE 단백질을 웰 당 50 μl씩 넣고, 무처리군으로 5 % BSA TBS 완충용액만을 넣은 군(group)을 제조하였다. 상기 TBS 완충용액에 각 농도로 희석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0에서 제조된 화합물을 웰 당 20 μl씩 첨가하였다. 준비해 두었던 10 μM 농도의 베타아밀로이드 1-42를 TBS 완충용액을 이용해 30배 희석시킨 후 웰 당 30 μl씩 첨가하였다. 무처리군으로 TBS 완충용액만을 첨가한 군(group)을 만든 후, 상기 플레이트를 상온에서 1시간 동안 진탕 배양하였다.
단계 2: RAGE 와 베타아밀로이드의 결합 정도 평가
와셔(Washer(TECAN))를 이용해 TBST(Tween 0.05 %)으로 5회 세척하였다. 2.5 % BSA TBS 완충용액에 4G8-HRP 항체를 1000배 희석해서 웰 당 100 μl씩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배양기에서 흔들면서 배양하였다. 반응이 끝난 후 와셔를 이용해 TBST(Tween 0.05 %)로 5회 세척하였다. 테트라메틸벤지딘(Tetramethylbenzidine, TMB)용액 A와 B를 1:1로 혼합한 후 웰 당 100μl씩 첨가한 후, 냉암소에서 10분간 발색반응을 수행하였다. 반응이 충분히 완료되면 100 μl의 과산화수소(H2O2) 정지 완충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Sunrise, TECAN)를 이용해 450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결합 저해률(%, 20 μM)
실시예 1 NA
실시예 2 NA
실시예 3 25.4
실시예 4 NA
실시예 5 NA
실시예 6 NA
실시예 7 23.2
실시예 8 13.9
실시예 9 34.9
실시예 10 39.9
실시예 11 22.6
실시예 12 24.1
실시예 13 10.3
실시예 14 27.2
실시예 15 37.6
실시예 16 36.5
실시예 17 51.1
실시예 18 NA
실시예 19 9.9
실시예 20 4.8
실시예 21 9.1
실시예 22 29.5
실시예 23 37.0
실시예 24 10.0
실시예 25 19.9
실시예 26 44.7
실시예 27 44.6
실시예 28 17.3
실시예 29 34.2
실시예 30 15.1
실시예 31 15.2
실시예 32 14.2
실시예 33 NA
실시예 34 NA
실시예 35 NA
실시예 36 4.0
실시예 37 87.3
실시예 38 74.5
실시예 39 83.5
실시예 40 38.3
실시예 41 32.1
실시예 42 7.9
실시예 43 NA
실시예 44 8.1
실시예 45 NA
실시예 46 NA
실시예 47 NA
실시예 48 43.0
실시예 49 5.9
실시예 50 48.0
실시예 51 18.4
실시예 52 5.5
실시예 53 21.8
실시예 54 43.3
실시예 55 3.2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RAGE와 베타아밀로이드펩타이드의 결합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 9, 10, 12, 14-17, 22, 23, 26, 27, 29, 37-41, 48, 50, 52 및 54에서 제조된 화합물은 RAGE와 베타아밀로이드펩타이드의 결합을 25 % 이상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실시예 37 내지 실시예 39에서 제조된 화합물의 경우, RAGE와 베타아밀로이드펩타이드의 결합을 억제하는 저해률이 70 % 이상으로 그 효과가 상당히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는 RAGE 수용체에 길항작용을 함으로써 신경세포를 손실하는 베타아밀로이드와 RAGE의 결합을 억제하여 베타아밀로이드의 뇌 내로의 이용을 억제하는 효과가 상당히 우수하므로, RAGE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인 알츠하이머 질환, 뇌혈관성 치매증, 두부 손상에 의한 치매, 다경색 치매, 알츠하이머 질환과 다경색 치매의 혼합형 또는 알코올성 치매 등을 포함하는 치매, 픽(pick)병, 크루츠-야콥(Creutzfelt-jakob)병, 저갑상선증, 두부손상에 의한 파킨슨(Parkinson)병, 헌팅턴(Huntington)병 등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실험예 2>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효과 평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의 저해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단계 1: 시액 조제
1. 20 mM 앰플렉스 레드 시약(Amplex red reagent): 실온에서 따뜻하게 데운 후에 1 mg에 다이메틸설폭사이드(DMSO, 200 ul)를 첨가하여 약 20 mM의 농도로 조절한 다음, 사용하였다.
2. 200 U/ml 겨자무 과산화효소(HRP, Horseradish peroxidase): 1X 반응 완충용액(1 ml)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100 ul씩 나누어 얼려서 보관하고 실험 전 꺼내 녹여서 사용하였다.
3. 20 U/ml 콜린 산화효소(Choline oxidase): 1X 반응 완충용액(600 ul)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100 ul씩 나누어 얼려서 보관하고 실험 전 꺼내 녹여서 사용하였다.
4. 100 mM 염화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chloride): 사용 전에 염화 아세틸콜린(5 mg)에 멸균 증류수(275 ul)를 넣어 용해시켜 사용하였다.
5. 100 U/ml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acetylcholinesterase): 1X 반응 완충용액(600 ul)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100 ul씩 나누어 얼려서 보관하고 실험 전 꺼내 녹여서 사용하였다.
6. 표준용액(working solution)의 제조 : 96-웰 플레이트 1개를 실험하는 기준으로 20 mM 앰플렉스 레드 시약을 200 ul 및 200 U/ml 겨자무 과산화효소를 100 ul 첨가하였다. 여기에 20 U/ml 콜린 산화효소(100 ul) 및 100 mM 염화 아세틸콜린(10 ul)을 첨가한 후, 1X 반응 완충용액(9.59 ml)을 첨가하여 총 10 ml의 표준용액을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단계 2: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억제 효능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억제 효능 측정은 앨플렉스 레드 아세틸콜린/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분석 키트(A12217, Invtrogen)를 이용하여 화합물의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 효능을 확인하였다.
96-웰 블랙 플레이트에 1X 반응 완충용액으로 실시예에서 제조된 화합물을 10 uM의 농도로 희석하여 웰당 50 ul씩 주입하였다. 그런 다음, 1X 반응 완충용액으로 아세틸콜리에스테라아제를 0.2 U/ml로 희석하여 웰당 50 ul씩 주입하였다. ㅅ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표준용액(working solution)을 웰당 100 ul씩 주입하고 실온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그 후, 형광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SAFIRE, TECAN)를 이용해 560 nm/600 nm에서 형광을 측정하여,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의 억제효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효소 저해률(%, 30 분)
실시예 1 27.6
실시예 2 59.6
실시예 3 89.8
실시예 4 78.5
실시예 5 69.2
실시예 6 51.0
실시예 7 44.7
실시예 8 91.5
실시예 9 90.0
실시예 10 71.4
실시예 11 90.2
실시예 12 88.4
실시예 13 NA
실시예 14 77.7
실시예 15 91.2
실시예 16 88.5
실시예 17 87.4
실시예 18 16.7
실시예 19 11.0
실시예 20 13.8
실시예 21 58.0
실시예 22 74.6
실시예 23 85.2
실시예 24 NA
실시예 25 39.1
실시예 26 98.8
실시예 27 89.0
실시예 28 76.3
실시예 29 77.7
실시예 30 20.2
실시예 31 37.7
실시예 32 18.1
실시예 33 19.9
실시예 34 NA
실시예 35 NA
실시예 36 NA
실시예 37 NA
실시예 38 81.9
실시예 39 76.3
실시예 40 71.1
실시예 41 85.3
실시예 42 87.6
실시예 43 79.0
실시예 44 52.5
실시예 45 7.7
실시예 46 5.3
실시예 47 81.5
실시예 48 3.0
실시예 49 0.2
실시예 50 45.0
실시예 51 34.8
실시예 52 34.0
실시예 53 4.4
실시예 54 85.7
실시예 55 82.5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를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 4, 8, 9, 11, 12, 14-17, 23, 26-29, 38, 39, 41-43, 47, 54 및 55에서 제조된 화합물은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를 억제시키는 효과가 75 % 이상으로 상당히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를 억제시켜 뇌 내에서 인지 능력에 필요한 요소인 아세틸콜린의 분해를 저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는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를 억제시킴으로써, 인지 능력의 필수요소인 아세틸콜린의 분해를 저해하는 효과가 우수하므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활성 관련 질환인 알츠하이머 질환, 뇌혈관성 치매증, 두부 손상에 의한 치매, 다경색 치매, 알츠하이머 질환과 다경색 치매의 혼합형 또는 알코올성 치매 등을 포함하는 치매, 픽(pick)병, 크루츠-야콥(Creutzfelt-jakob)병, 저갑상선증, 두부손상에 의한 파킨슨(Parkinson)병, 헌팅턴(Huntington)병 등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실험예 3>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in vitro 세포독성 평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in vitro 세포독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생쥐의 신경세포주인 HT22를 DMEM(Dulbecco's Modefied Eagle's Medium, Gibco-BRL)배지에 10 % FBS(Fetal Bovine Serum, Hyclone))와 1 %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sigma 사)이 첨가된 배지를 사용하여 37℃, 5 % CO2 조건의 배양기(Forma)에서 배양하였다. 실험에 들어가기 전 HT22 세포를 96 웰 플레이트에 5×103 세포/웰의 밀도로 평판 배양한 후 시료를 처리하기 전 혈청이 제거된 DMEM 배지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10 μM 농도로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0의 화합물을 첨가하여 1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18시간 동안 배양한 후 5 mg/ml MTT(3-(4,5-다이메틸-2-티아졸릴)-2,5-다이페닐-2H-테트라졸륨 브로마이드) 용액을 웰 당 15 μl씩 넣고, 4시간 배양 후 용해화 완충액 100 % 다이메틸설폭사이드(DMSO)을 150 μl씩 첨가하였다.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sunrise, TECAN)를 이용하여 570 nm/63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세포독성률(%, MTT 10 μM)
실시예 1 6.4
실시예 2 90.8
실시예 3 21.3
실시예 4 0
실시예 5 96.1
실시예 6 91.9
실시예 7 58.8
실시예 8 94.9
실시예 9 87.0
실시예 10 84.8
실시예 11 86.2
실시예 12 65.4
실시예 13 NA
실시예 14 89.7
실시예 15 73.8
실시예 16 57.6
실시예 17 33.5
실시예 18 0
실시예 19 0
실시예 20 0
실시예 21 0
실시예 22 76.4
실시예 23 75.6
실시예 24 0
실시예 25 49.2
실시예 26 48.5
실시예 27 79.2
실시예 28 0
실시예 29 36.4
실시예 30 65.6
실시예 31 0
실시예 32 96.3
실시예 33 6.3
실시예 34 0
실시예 35 0
실시예 36 1.2
실시예 37 22.6
실시예 38 89.2
실시예 39 94.8
실시예 40 79.1
실시예 41 91.8
실시예 42 90.8
실시예 43 24.3
실시예 44 50.9
실시예 45 31.5
실시예 46 27.6
실시예 47 51.7
실시예 48 0
실시예 49 25.5
실시예 50 95.5
실시예 51 94.9
실시예 52 94.6
실시예 53 0
실시예 54 94.7
실시예 55 71.2
무처리군 0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3, 4, 13, 17-21, 24-26, 28, 29, 31, 33-37, 43, 45, 46, 48, 49 및 53의 화합물은 세포 독성이 50 % 이하로 나타났으며, 특히, 이들 중 실시예 4, 13, 18-21, 24, 28, 31, 34, 35, 48 및 53의 화합물은 무처리군의 세포독성 0 %와 동일한 값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무처리군에 가까운 낮은 세포독성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는 신경세포를 손실하는 베타아밀로이드와 RAGE의 결합을 억제하여 베타아밀로이드의 뇌 내로의 이용을 억제하는 효과가 상당히 우수하고, 아세틸콜린의 분해를 억제하는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를 저해할 뿐만 아니라, 세포에 대한 독성이 낮아 인체 내에 흡수되어도 세포 독성으로 인한 부작용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RAGE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인 알츠하이머 질환, 뇌혈관성 치매증, 두부 손상에 의한 치매, 다경색 치매, 알츠하이머 질환과 다경색 치매의 혼합형 또는 알코올성 치매 등을 포함하는 치매, 픽(pick)병, 크루츠-야콥(Creutzfelt-jakob)병, 저갑상선증, 두부손상에 의한 파킨슨(Parkinson)병, 헌팅턴(Huntington)병 등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실험예 4> 생체 내( in vivo )의 RAGE 와 베타아밀로이드의 결합 억제 정도 측정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생체 내(in vivo)에서의 RAGE와 베타아밀로이드와의 결합 억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3, 14 및 16에서 제조된 화합물들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단계 1: 베타아밀로이드1 -42 용액의 준비
베타아밀로이드 1-42(American peptide, 1 mg)에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HFIP, 2 ml)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3일 동안 충분히 용해시킨 다음, 100 μl씩 실리콘이 처리된 1.5 ml 마이크로 튜브(fisher 02-681-320)에 분주하였다. 그 후, 고속 진공기(speed vacuum)를 이용하여 10분 동안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HFIP)을 증발시키고, 밀봉하여 사용하기 전까지 -80℃ 초저온냉동고(deep freezer)에 보관하였다. 실험하기 전, 초저온냉동고에 보관 중인 튜브를 꺼내어 무수 다이메틸설폭사이드(DMSO, Sigma, Cat no.276855, 10 μl)에 충분히 용해시키고, PBS(390 ml)를 추가로 첨가하여 25 μM 농도의 베타아밀로이드 1-42 용액(400 μl)을 준비하고 RAGE 급성 모델에 사용하였다.
단계 2: RAGE 급성 모델 마우스의 제조
모든 실험에는 수컷 ICR 마우스(25 g, 샘타코)를 사용하였다. 준비된 ICR 마우스에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 14 및 16에서 제조된 화합물(25 mg/kg)을 복강으로 투여하고 20분간 방치 후, 준비된 베타아밀로이드 1-42 용액(400 μl)을 꼬리정맥으로 투여하였다. 정맥투여 10분 후, 안와정맥류(orbital venous plexus)에서 모세관(sodium-heparinized capillary tube., MARIENFELD,1303451)을 이용하여 채혈하고 13,000 rpm에서 원심분리를 통해 플라즈마(plasma)를 확보하였다. 채혈 후 즉시 오른쪽 뇌를 적출하여 액체 질소에서 급속 냉동시켰다.
단계 3: 뇌 내의 베타아밀로이드1 -42 측정
얼렸던 뇌 조직은 RIPA 완충용액에 넣고, 초음파 파쇄기(sonicator)로 균질화(homogenize)한 다음, 400 μg 단백질을 준비하였다. 준비된 플라즈마 샘플과 뇌조직 샘플의 베타아밀로이드 농도는 베타아밀로이드1-42 측정 키트(IBL., code no.27711)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진행은 키트에서 제공되는 프로토콜을 따랐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저해율 (%)
실시예 3의 화합물 13.6
실시예 14의 화합물 36.69
실시예 16의 화합물 14.28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급성 동물모델에서 뇌 조직으로의 베타아밀로이드 유입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 14 및 16에서 제조된 화합물은 생체 내에 유입된 베타아밀로이드의 유입을 13.6 % 내지 36.69 %의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생체 내에 존재하는 혈액-뇌 관문(blood-brain barrier, BBB)의 조절 시스템인 RAGE와 베타아밀로이드의 결합을 억제하여 베타아밀로이드의 뇌 내로의 유입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는 생체 내(in vivo)에서 RAGE 수용체에 길항작용을 함으로써 신경세포를 손실하는 베타아밀로이드와 RAGE의 결합을 억제하여 베타아밀로이드의 뇌 내로의 이용을 억제하는 효과가 상당히 우수하므로, RAGE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인 알츠하이머 질환, 뇌혈관성 치매증, 두부 손상에 의한 치매, 다경색 치매, 알츠하이머 질환과 다경색 치매의 혼합형 또는 알코올성 치매 등을 포함하는 치매, 픽(pick)병, 크루츠-야콥(Creutzfelt-jakob)병, 저갑상선증, 두부손상에 의한 파킨슨(Parkinson)병, 헌팅턴(Huntington)병 등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실험예 5> 동물 모델을 이용한 인지 능력 향상 실험
유전자 조작을 통해 인간의 알츠하이머병을 유발시킨 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인지 능력 향상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은 스위디쉬 뮤테이션(Swedish mutation)이 있는 베타아밀로이드 전구 단백질 APP(APPsw)의 인간 유래 유전자와 감마시크리테아제인 PS1 유전자의 엑손-9 결손 형태의 인간 유래 유전자가 뇌 속에 과량 발현하도록 만든 유전자 조작 쥐인 이중 형질전환 마우스(Double Transgenic mouse, Jax. Laboratory, stock no. 4462)를 이용하였다. 약 6개월령 이후에 화합물의 주입을 통해 기억 학습 능력이 회복되는지 확인하였고 뇌 속에 존재하는 베타아밀로이드의 양적인 변화를 최종 산물(final outcome)로 확인하였다.
1. 준비
먼저, 실험동물은 실험동물 시험 가이드 라인에 따라 입수 후 동물실에서 순화(habituation) 시키고 승인된 동물 실험 계획서에 따라 진행하였다. 모든 실험은 알츠하이머병 유발 모델인 이종 형질전환 마우스(이하, DTg 마우스)를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실험적 환경은 온도 21±2℃, 습도 50±5 %로 유지되었으며, 명암주기는 12시간으로(오전 7:00-오후 7:00) 하였다.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동물은 물과 사료를 자유 섭취하였다. DTg 마우스는 생후 6개월 전후로 뇌 속에 아밀로이드 플라그(amyloid plaqeues)가 발견되므로 화합물의 투여 시기는 6개월 이후부터 수행하였다. 또한, 실험예 4에서 우수한 RAGE와 베타아밀로이드의 결합 억제 효과를 보인 실시예 14의 화합물을 50 mg/kg의 농도로 하루에 한번 주 5회로 최종 3개월 동안 투여하였으며, 화합물을 투여하고 2개월이 경과한 다음부터는 행동실험과 병행하여 진행하였다. 그룹당 동물수는 8-9마리로 진행하였으며, 대조군으로서 부형제 처리군을 사용하였다.
2. 기억 학습 시험
상기 DTg 마우스를 이용하여 기억 학습 회복 효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Y자 미로 시험(Y maze test), 새로운 사물 인지 시험(Novel object recognition test), 맥락공포조건화 시험(Context fear conditioning test) 및 모리스 수중미로 시험(Morris water maze test)을 수행하였다.
모든 결과는 평균(mean)±SEM으로 표현하였다. 분석은 SPSS소프트웨어를 이용하였으며, t-테스트 혹은 일원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이용하여 분석 후, 피셔 LSD 테스트(Fisher's LSD test)를 이용하여 부형제 처리군 대비 시험물질 투여군에 대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였으며, 유의성 인정은 p<0.05로 하였다.
(1) Y자 미로 시험(Y maze test)
Y자 미로 시험은 동물의 새로운 환경에 대한 자발적인 탐색 경향을 단기기억 능력으로 관찰하는 실험이다. 실험에 사용된 Y자 미로는 검은색 아크릴로 제작하였으며, 각각의 통로는 길이 40 cm, 높이 10 cm, 너비 5 cm로 동일한 각도로 제작하였다. 실험은 동물을 미로의 가장 가운데 위치시킨 후(시작위치), 8분 동안 자유롭게 미로 내에서 움직이도록 한 후, 동물이 각각의 통로에 들어가는 순서를 시각적으로 관찰하였다. 동물이 통로 안에 들어가는 것에 대한 정의는 동물의 네발이 모두 통로 안으로 들어갔을 때로 정의하였으며, 실제 교차횟수는 동물 모델이 세 방향의 통로를 연속적으로 들어갔을 때를 한 번으로 정의하였다. 실험에 대한 결과분석은 자발적인 교차 행동량으로 비교하였으며, 이는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되었다. 그 결과를 도 1 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3018250846-pat00174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종 형질전환 마우스를 이용하여 RAGE 길항작용에 의한 기억 학습 회복 효과를 Y자 미로 시험을 이용하여 평가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4의 화합물이 투여된 그룹의 자발적인 교차 행동량(% Spontaneous alternation) 값은 64.41±4.29 %로, 대조군의 58.76±4.66 %에 대비하여 사물 인지 능력이 약 5.65±0.37 %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기억 학습 회복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2) 새로운 사물 인지 시험(Novel object recognition test)
새로운 사물 인지 시험을 위하여 먼저 시험 챔버(Test chamber)로서, 48 cm × 48 cm × 29 cm 크기의 흰색 사각 오픈 상자로 제조하였다. 시험 첫째 날(적응기간, habituation)에 동물을 아무것도 놓이지 않은 챔버 내에서 20분 동안 자유롭게 탐색하도록 하였다. 시험 둘째 날(training trial)은 동일한 두 물체를 챔버 내에 위치시킨 후 각각의 물체를 탐색(exploring)하는 시간을 10분 동안 측정하였다. 탐색(exploring)은 물체를 향하여 반경 3 cm 안에 머리를 두고 냄새를 맡고 접촉하는 행동으로 정의하였다. 마지막 시험 셋째 날(retention trial)은 전날에 제시하였던 물체와 새로운 물체를 챔버 내에 위치시킨 후, 각각의 물체를 탐색하는 시간을 10분 동안 측정하였다. 실험에 대한 결과분석은 선호도(preference index)로 비교하였으며, 이는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계산되었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3018250846-pat00175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기억 학습 회복 효과를 새로운 사물 인지 시험을 이용하여 평가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4의 화합물이 투여된 그룹의 선호도(preference index) 값은 0.67±0.06로, 부형제가 투여된 대조군 그룹의 0.55±0.07에 대비하여 사물 인지 능력이 약 0.12±0.01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기억 학습 회복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3) 맥락공포조건화(Context fear conditioning test)
본 실험을 위하여 양 벽면은 투명하고 나머지 두 벽면은 금속물질로 이루어진 20 cm × 20 cm × 32 cm 크기의 마우스 테스트 챔버(Mouse test chamber)를 사용하였다. 금속물질로 만들어진 두 벽면에 스피커와 전등(light)이 설치하였으며, 천장에는 동물의 움직임을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는 카메라가 설치하였다. 시험 챔버 바닥은 쇼크 격자무늬 바닥(shock grid floor)으로 구성하였으며, 제거가 가능하여 실험 진행 후 80 % 알코올로 깨끗이 닦은 후 다시 사용하였다.
시험 첫째 날(Training trial)에는 동물이 시험 챔버에 들어간 후 챔버 맥락(chamber context)에 대한 인식, 적응을 위해서 240초 동안 자유롭게 탐색하도록 하였다. 그 후 동물에게 30초 동안 4 kHz의 소리자극(CS, conditioned stimulus) 및 2초 동안 1 mA의 전기쇼크(US, unconditioned stimulus)를 1 세트로, 20초 간격으로 5회 반복 시행하였다. 5번의 CS-US 자극이 끝난 후, 동물은 챔버 내에서 20초 동안 머물게 한 후 꺼내어 각각의 주거 케이지로 옮겼다. 리텐션 시도(Retention trial)는 트레이닝 시도 24시간이 경과 후, 진행하였다. 동물을 트레이닝 시도 때와 동일한 챔버에 넣은 후 소리자극을 제시하지 않은 상태에서 동물이 환경에 접했을 때의 동결반응(freezing response)을 5분 동안 측정하였다. 이러한 동결 반응은 동결프레임(freezeframe) 자동시스템(Coulbourn)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값은 동결 반응률(% of freezing)로 환산하였다. 그 결과를 도 3 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기억 학습 회복 효과를 맥락 공포 조건화 시험을 이용하여 평가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4의 화합물이 투여된 그룹의 동결 반응률은 77.19±6.21 %로, 부형제가 투여된 대조군 그룹의 66.39±10.32 %에 대비하여 자극에 대한 기억이 약 10.8±4.11 %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기억 학습 회복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4) 모리스 수중미로 시험(Morris water maze test)
본 시험은 직경 120 cm의 원형수조에서 진행하였다. 수조는 사분면으로 나누고 사분면 중 한곳에 수면 아래로 약 1 cm 정도 숨겨진 플랫폼(직경 9 cm)을 위치하였다. 물의 온도는 25℃로 맞추고, 수조 내 실험용 흰색 페인트를 물에 풀어서 물을 불투명하게 함으로써 플랫폼이 보이지 않게 하였다. 원형 수조 밖에는 동물이 플랫폼의 위치를 배우게 하는 4개의 공간적 단서를 제공하였다.
훈련이 시작되면 동물을 사분면 중 한쪽에서 동물의 머리가 벽면으로 향하도록 하여 살며시 물 안으로 놓아준 후 동물이 플랫폼을 찾아 올라갈 때까지의 시간(latency)을 측정하고, 만약 60초 내에 플랫폼의 위치를 찾아내지 못하면 실험자가 플랫폼으로 인도하였다. 동물이 플랫폼에 올라가면 일단 30초간 머무르게 하였다. 이렇게 하루에 4회 시도/1 세션으로 총 10 세션이 되도록 진행하였으며, ITI(inter trial interval)은 10분으로 진행하였다. 각 시도가 끝나면 동물은 조심스럽게 꺼내서 마른 수건으로 물기를 충분히 닦아주었다. 이렇게 마지막 훈련이 끝나고 6시간 경과 후 증명 실험을 시행하였으며, 증명 실험은 플랫폼을 두지 않고 30초가 자유 수영을 하게 하여, 이전에 플랫폼이 위치했던 영역에서 머무는 시간, 횟수 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기억 학습 회복 효과를 모리스 수중미로 시험을 이용하여 평가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4의 화합물이 투여된 그룹은 부형제가 투여된 대조군 그룹에 비하여 숨겨진 플랫폼을 찾는데 걸리는 시간(초)이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기억 학습 회복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는 생체 내(in vivo)에서 RAGE 수용체에 길항작용을 함으로써 신경세포를 손실하는 베타아밀로이드와 RAGE의 결합을 억제하여 베타아밀로이드의 뇌 내로의 이용을 억제하는 효과가 상당히 우수하고 이로 인하여 인지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뛰어나므로, RAGE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인 알츠하이머 질환, 뇌혈관성 치매증, 두부 손상에 의한 치매, 다경색 치매, 알츠하이머 질환과 다경색 치매의 혼합형 또는 알코올성 치매 등을 포함하는 치매, 픽(pick)병, 크루츠-야콥(Creutzfelt-jakob)병, 저갑상선증, 두부손상에 의한 파킨슨(Parkinson)병, 헌팅턴(Huntington)병 등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실험예 6> 생체 내( in vivo ) 급성독성 시험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생체 내(in vivo) 세포독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실험동물은 실험동물 시험 가이드 라인에 따라 입수 후 동물실에서 순화(habituation)시키고 승인된 동물 실험 계획서에 따라 진행하였다. 본 실험은 생후 6개월령의 ICR 마우스(암/수)를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실험적 환경은 온도 21±2℃, 습도 50±5 %로 유지되었으며, 명암주기는 12시간으로(오전 7:00-오후 7:00) 하였다.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동물은 물과 사료를 자유 섭취하였다. 이때, 실시예 14에서 제조된 화합물을 2000 mg/kg의 농도로 부형제에 희석하여 하루에 한번 경구투여하였으며, 시험기간 중에 동물의 일반 상태, 중독증상 및 사망 유무에 대하여 관찰하였다.
그 결과, 급성독성 시험이 수행된 ICR 마우스(암/수)로부터, 투여가능 용량인 2 g/kg에서 사망하는 예를 전혀 관찰할 수 없었으며, 체중 증가, 사료 섭취량 등에서 전혀 유의한 이상이 발견되지 않았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세포독성이 상당히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는 생체 내(in vivo)에서 RAGE 수용체에 길항작용을 함으로써 신경세포를 손실하는 베타아밀로이드와 RAGE의 결합을 억제하여 베타아밀로이드의 뇌 내로의 이용을 억제하는 효과가 상당히 우수하고 이로 인하여 인지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세포독성이 낮아 생체에 대한 안정도가 상당히 높으므로, RAGE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인 알츠하이머 질환, 뇌혈관성 치매증, 두부 손상에 의한 치매, 다경색 치매, 알츠하이머 질환과 다경색 치매의 혼합형 또는 알코올성 치매 등을 포함하는 치매, 픽(pick)병, 크루츠-야콥(Creutzfelt-jakob)병, 저갑상선증, 두부손상에 의한 파킨슨(Parkinson)병, 헌팅턴(Huntington)병 등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는 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로 제제화가 가능하다. 하기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시킨 몇몇 제제화 방법을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 2 g
유당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 제제예 3> 캡슐제의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 100 ㎎
만니톨 180 ㎎
Na2HPO4ㆍ2H2O 26 ㎎
증류수 2974 ㎎
통상적인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 성분들을 제시된 함량으로 함유시켜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 제제예 5> 건강식품의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 제제예 6> 건강 음료의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 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건강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하였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 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 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 제제예 7> 기타 건강식품의 제조
7-1. 음료의 제조
꿀 522 ㎎
치옥토산아미드 5 ㎎
니코틴산아미드 10 ㎎
염산리보플라빈나트륨 3 ㎎
염산피리독신 2 ㎎
이노시톨 30 ㎎
오르트산 50 ㎎
화학식 1의 화합물 0.48~1.28 ㎎
물 200 ㎖
상기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음료를 제조하였다.
7-2. 츄잉껌의 제조
껌베이스 20 %
설탕 76.36~76.76 %
화학식 1의 화합물 0.24~0.64 %
후르츠향 1 %
물 2 %
상기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츄잉껌을 제조하였다.
7-3. 캔디의 제조
설탕 50-60 %
물엿 39.26-49.66 %
화학식 1의 화합물 0.24-0.64 %
오렌지향 0.1 %
상기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캔디를 제조하였다.
7-4. 밀가루 식품의 제조
화학식 1의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를 0.5 내지 5 중량부를 밀가루 100 중량부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7-5. 유제품( dairy products )의 제조
화학식 1의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를 5 내지 10 중량부를 우유 100 중량부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7-6. 선식의 제조
현미 30 %
율무 15 %
보리 20 %
들깨 7 %
검정콩 7 %
검은깨 7 %
화학식 1의 화합물 3 %
영지 0.5 %
지황 0.5 %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 시켜서 건조한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시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은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한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시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분말로 분쇄된 곡물류 및 종실류와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를 상기와 같은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하기 화합물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1) N-(2-부톡시-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페닐)-3-(4-메톡시페닐)-1H-피라졸-5-카르복스아마이드;
    (2) N-(2-부톡시-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페닐)-3-(4-(4-클로로페녹시)페닐)-1H-피라졸-5-카르복스아마이드;
    (3) N-(2-부톡시-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페닐)-3-(4-(4-클로로페녹시)페닐)-1-메틸-1H-피라졸-5-카르복스아마이드;
    (4) N-(2-부톡시-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페닐)-1-부틸-3-(4-(4-클로로페녹시)페닐)-1H-피라졸-5-카르복스아마이드;
    (5) 3-(4-(4-클로로페녹시)페닐)-N-(4-(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페닐)-1-메틸-1H-피라졸-5-카르복스아마이드;
    (6) 1-부틸-3-(4-(4-클로로페녹시)페닐)-N-(4-(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페닐-1H-피라졸-5-카르복스아마이드;
    (7) N-(2-부톡시-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페닐)-1-메틸-3-(4-(피리딘-2-일옥시)페닐)-1H-피라졸-5-카르복스아마이드;
    (8) 3-(4-(4-클로로페녹시)페닐)-N-(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페닐)-1-메틸-1H-피라졸-5-카르복스아마이드;
    (9) N-(2-부톡시-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페닐)-1-메틸-3-(4-페녹시페닐)-1H-피라졸-5-카르복스아마이드;
    (10) N-(2-부톡시-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페닐)-3-(4-(사이클로헥실옥시)페닐)-1-메틸-1H-피라졸-5-카르복스아마이드;
    (11) 1-부틸-3-(4-(4-클로로페녹시)페닐)-N-(4-(3-(다이에틸아미노)페녹시)페닐)-1H-피라졸-5-카르복스아마이드;
    (12) N-(2-부톡시-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페닐-3-(4-(3-플루오로-4-메톡시페녹시)페닐)-1-메틸-1H-피라졸-5-카르복스아마이드;
    (13) N-(2-부톡시-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페닐)-3-(4-(4-클로로페녹시)페닐)이소옥사졸-5-카르복스아마이드;
    (14) N-(2-부톡시-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페닐)-3-(4-(4-플루오로페녹시)페닐)-1-메틸-1H-피라졸-5-카르복스아마이드;
    (15) N-(2-부톡시-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페닐)-3-(4-(4-메톡시페녹시)페닐)-1-메틸-1H-피라졸-5-카르복스아마이드;
    (16) N-(2-부톡시-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페닐)-3-(4-(3-클로로-4-메톡시페녹시)페닐)-1-메틸-1H-피라졸-5-카르복스아마이드;
    (17) N-(2-부톡시-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_페닐)-1-메틸-3-(4-(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페닐)-1H-피라졸-5-카르복스아마이드;
    (18) N-(4-(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페닐)-3-(4-메톡시페닐)-1-메틸-1H-피라졸-5-카르복스아마이드;
    (19) N-(2-부톡시-4-(2-(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페닐)-3-(4-메톡시페닐)-1-메틸-1H-피라졸-5-카르복스아마이드;
    (20) N-(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페닐)-3-(4-메톡시페닐)-1-메틸-1H-피라졸-5-카르복스아마이드;
    (21) N-(2-부톡시-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페닐)-3-(4-(4-(tert-부틸)페녹시)페닐)-1-메틸-1H-피라졸-5-카르복스아마이드;
    (22) N-(2-부톡시-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페닐)-3-(4-(2-플루오로페녹시)페닐)-1-메틸-1H-피라졸-5-카르복스아마이드;
    (23) N-(2-부톡시-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페닐)-3-(4-(3-플루오로페녹시)페닐)-1-메틸-1H-피라졸-5-카르복스아마이드;
    (24) 3-(4-(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페닐)-N-(2-부톡시-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페닐)-1-메틸-1H-피라졸-5-카르복스아마이드;
    (25) N-(2-부톡시-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페닐)-3-(4-(3,4-다이플루오로페녹시)페닐)-1-메틸-1H-피라졸-5-카르복스아마이드;
    (26) N-(2-부톡시-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페닐)-3-(4-(4-클로로페녹시)페닐)-1-에틸-1H-피라졸-5-카르복스아마이드;
    (27) N-(2-부톡시-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페닐)-3-(4-(4-클로로페녹시)페닐)-1-프로필-1H-피라졸-5-카르복스아마이드;
    (28) 6-(4-(4-클로로펜에톡시)페닐)-N-(4-(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페닐)니코틴아마이드;
    (29) 6-(4-(4-클로로펜에톡시)페닐)-N-(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페닐)니코틴아마이드;
    (30) 6-(4-(4-클로로페녹시)페닐)-N-(4-(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페닐)니코틴아마이드;
    (31) N-(4-(3-(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페닐)-6-(4-메톡시페닐)니코틴아마이드;
    (32) 4-(4-(4-클로로펜에톡시)페닐)-N-(4-(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페닐)-6-메틸피리미딘-2-카르복스아마이드;
    (33) 4,6-비스(4-클로로페닐)-N-(4-(2-에톡시에톡시)페닐)피리미딘-2-카르복스아마이드;
    (36) N-(4-(2-에톡시에톡시)페닐-4-(3-(4-플루오로페녹시)피롤리딘-1-일)-6-메틸피리미딘-2-카르복스아마이드;
    (37) N-(4-(2-에톡시에톡시)페닐)-4-(4-(4-플루오로페녹시)피페리딘-1-일)-6-메틸피리미딘-2-카르복스아마이드;
    (38) 4,6-비스(4-클로로페닐)-N-(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페닐)피리미딘-2-카르복스아마이드;
    (39) 4-(4-(4-클로로페녹시)피페리딘-1-일)-N-(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페닐)-6-메틸피리미딘-2-카르복스아마이드;
    (40) 4,6-비스(4-클로로페닐)-N-(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2-메톡시페닐)피리미딘-2-카르복스아마이드;
    (41) N-(4-(3-(다이에틸아미노)프로폭시)-2-메톡시페닐)-4,6-비스(4-플루오로페닐)피리미딘-2-카르복스아마이드;
    (42) N-(4-3-(다이메틸아미노)프로폭시)-2-메톡시페닐)-4,6-비스(4-플루오로페닐)피리미딘-2-카르복스아마이드;
    (43) N-(4-(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페닐)-4,6-비스(4-플루오로페닐)피리미딘-2-카르복스아마이드;
    (44) N-(3-(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페닐)-4,6-비스(4-플루오로페닐)피리미딘-2-카르복스아마이드;
    (45) N-(2-(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페닐)-4,6-비스(4-플루오로페닐)피리미딘-2-카르복스아마이드;
    (46) N-(2-(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6-메톡시페닐)-4,6-비스(4-플루오로페닐)피리미딘-2-카르복스아마이드;
    (47) N-(2-(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3-메톡시페닐)-4,6-비스(4-플루오로페닐)피리미딘-2-카르복스아마이드;
    (48) N-(2-(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5-메톡시페닐)-4,6-비스(4-플루오로페닐)피리미딘-2-카르복스아마이드;
    (49) N-(2-(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4-메톡시페닐)-4,6-비스(4-플루오로페닐)피리미딘-2-카르복스아마이드;
    (50) N-(5-(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2-메톡시페닐)-4,6-비스(4-플루오로페닐)피리미딘-2-카르복스아마이드;
    (51) N-(3-(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4-메톡시페닐)-4,6-비스(4-플루오로페닐)피리미딘-2-카르복스아마이드;
    (52) N-(3-(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5-메톡시페닐)-4,6-비스(4-플루오로페닐)피리미딘-2-카르복스아마이드;
    (53) N-(3-(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2-메톡시페닐)-4,6-비스(4-플루오로페닐)피리미딘-2-카르복스아마이드;
    (54) N-(4-(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2-메톡시페닐)-4,6-비스(4-플루오로페닐)피리미딘-2-카르복스아마이드; 및
    (55) N-(4-(2-(다이에틸아미노)에톡시)-3-메톡시페닐)-4,6-비스(4-플루오로페닐)피리미딘-2-카르복스아마이드.
  6.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아마이드화제 존재 하에서 반응을 수행하여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5항의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반응식 1]
    Figure 112014092443168-pat00212

    (상기 반응식 1에서,
    R1
    Figure 112014092443168-pat00218
    ,
    Figure 112014092443168-pat00219
    ,
    Figure 112014092443168-pat00220
    ,
    Figure 112014092443168-pat00221
    ,
    Figure 112014092443168-pat00222
    ,
    Figure 112014092443168-pat00223
    또는
    Figure 112014092443168-pat00224
    이고;
    R2는 수소 또는
    Figure 112014092443168-pat00225
    이고;
    R5는 수소; 메톡시;
    Figure 112014092443168-pat00226
    ,
    Figure 112014092443168-pat00227
    ,
    Figure 112014092443168-pat00228
    ,
    Figure 112014092443168-pat00229
    ,
    Figure 112014092443168-pat00230
    ,
    Figure 112014092443168-pat00231
    ,
    Figure 112014092443168-pat00232
    ,
    Figure 112014092443168-pat00233
    ,
    Figure 112014092443168-pat00234
    ,
    Figure 112014092443168-pat00235
    ,
    Figure 112014092443168-pat00236
    ,
    Figure 112014092443168-pat00237
    ,
    Figure 112014092443168-pat00238
    ,
    Figure 112014092443168-pat00239
    또는
    Figure 112014092443168-pat00240
    이고;
    R3은 비존재, 메틸,
    Figure 112014092443168-pat00241
    또는
    Figure 112014092443168-pat00242
    이고;
    R4는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수소, 메톡시, 부톡시,
    Figure 112014092443168-pat00243
    ,
    Figure 112014092443168-pat00244
    또는
    Figure 112014092443168-pat00245
    이고;
    X 및 Z는 독립적으로 탄소 또는 비치환된 아민이고;
    Y는 탄소; 비치환 또는 메틸, 에틸, 프로필, 또는 n-부틸로 치환된 아민; 또는 산소(O)이고;
    n은 0 내지 1의 정수이고, 여기서, n이 0인 경우 R1은 존재하지 않고; 및
    Figure 112014092443168-pat00246
    은 단일결합 또는 이중결합이다).
  7. 하기 반응식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염소화제 존재 하에서 커플링 반응을 수행하여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5항의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반응식 2]
    Figure 112014092443168-pat00213

    (상기 반응식 2에서, R1, R2, R3, R4, X, Y, Z 및 n은 상기 제6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8. 제5항의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매, 픽(pick)병, 크루츠-야콥(Creutzfeldt-jakob) 병, 저갑상선증, 두부손상에 의한 파킨슨(Parkinson) 병 및 헌팅턴(Huntington) 병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는 RAGE 수용체와 길항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치매는 알츠하이머 질환, 뇌혈관성 치매증, 두부 손상에 의한 치매, 다경색 치매, 알츠하이머 질환과 다경색 치매의 혼합형 또는 알코올성 치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2. 삭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는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와 길항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4. 삭제
  15. 제5항의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매, 픽(pick)병, 크루츠-야콥(Creutzfeldt-jakob) 병, 저갑상선증, 두부손상에 의한 파킨슨(Parkinson) 병 및 헌팅턴(Huntington) 병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치매는 알츠하이머 질환, 뇌혈관성 치매증, 두부 손상에 의한 치매, 다경색 치매, 알츠하이머 질환과 다경색 치매의 혼합형 또는 알코올성 치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KR20130022077A 2013-02-28 2013-02-28 신규한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rage 수용체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493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2077A KR101493882B1 (ko) 2013-02-28 2013-02-28 신규한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rage 수용체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2077A KR101493882B1 (ko) 2013-02-28 2013-02-28 신규한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rage 수용체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7897A KR20140107897A (ko) 2014-09-05
KR101493882B1 true KR101493882B1 (ko) 2015-02-17

Family

ID=51755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22077A KR101493882B1 (ko) 2013-02-28 2013-02-28 신규한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rage 수용체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38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68307A4 (en) * 2013-03-15 2017-01-04 Purdue Pharma LP Carboxamide derivatives and use thereof
CN110818636A (zh) * 2019-11-29 2020-02-21 河北科技大学 一种化合物或其盐及其应用和合成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82191A2 (en) * 2002-03-28 2003-10-09 Merck & Co., Inc. Substituted 2,3-diphenyl pyridines
WO2004056774A2 (en) * 2002-12-19 2004-07-08 Neurogen Corporation Substituted biphenyl-4-carboxylic acid arylamide analogues as capsaicin receptor modulators
WO2009011850A2 (en) * 2007-07-16 2009-01-22 Abbott Laboratories Novel therapeutic compound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82191A2 (en) * 2002-03-28 2003-10-09 Merck & Co., Inc. Substituted 2,3-diphenyl pyridines
WO2004056774A2 (en) * 2002-12-19 2004-07-08 Neurogen Corporation Substituted biphenyl-4-carboxylic acid arylamide analogues as capsaicin receptor modulators
WO2009011850A2 (en) * 2007-07-16 2009-01-22 Abbott Laboratories Novel therapeutic compou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7897A (ko) 2014-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79451B (zh) 作为NIK抑制剂的新型1‑(4‑嘧啶基)‑1H‑吡咯并[3,2‑c]吡啶衍生物
UA118280C2 (uk) Анелована гетероциклічна сполука
EA017114B1 (ru) Производные n-(пиразол-3-ил)бензамида в качестве активаторов глюкокиназы
KR20170012449A (ko) 결정질 베타-d-니코틴아미드 리보시드의 제조 및 용도
KR20080036041A (ko) 아세틸 조효소 카복실라제(acc) 억제제로서의스피로크로마논 유도체
CN108699084A (zh) 取代全氢吡咯并[3,4-c]吡咯衍生物及其用途
JP2009051828A (ja) 医薬組成物
EP1914234A1 (en) Pyrido[2,3-d]pyrimidines and their use as kinase inhibitors
JP6581193B2 (ja) 置換2−チオキソ−イミダゾリジン−4−オン及びそのスピロ類似体、抗癌有効成分、医薬組成物、医薬製剤、並びに前立腺癌の治療法
CN107454898B (zh) 生长素释放肽o-酰基转移酶抑制剂
CN107406390A (zh) 单羧酸转运蛋白调节剂及其用途
KR101452235B1 (ko) 신규한 피리미딘계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rage 수용체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2016507538A (ja) 置換キノキサリン誘導体およびmGluR4の正のアロステリックモジュレーターとしてのそれらの使用
JP2024050645A (ja) ヘテロアリールで置換されたピラゾール化合物及びその医薬用途
CN106061974A (zh) 作为wnt途径的调节剂的顺丁烯二酰亚胺衍生物
CN110035745B (zh) 小分子ampk活化剂
CN102762554A (zh) 5-ht4受体的部分激动剂(r)-4-((4-((4-(四氢呋喃-3-基氧基)苯并[d]异*唑-3-基氧基)甲基)哌啶-1-基)甲基)四氢-2h-吡喃-4-醇
KR101493882B1 (ko) 신규한 헤테로아릴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rage 수용체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11170884B (zh) 一类水杨酰胺类化合物、其制备方法和用途
KR20170012152A (ko) Blt 저해 활성을 갖는 신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6507537A (ja) 置換アセチレン誘導体およびmGluR4の正のアロステリックモジュレーターとしてのそれらの使用
CN114805263B (zh) 3-(羟基苄基)苯酞类化合物、其制备方法和用途
KR20240055035A (ko) 6-아미노피라졸로피리미딘 화합물 및 그 의약 용도
KR102233120B1 (ko) 신규한 파에오놀-트립타민 화합물 및 그의 용도
CN110698411B (zh) 一类4-(胺烷基)酞嗪-1-酮类化合物、其制备方法和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