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2663B1 -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부재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부재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2663B1
KR101492663B1 KR20100113159A KR20100113159A KR101492663B1 KR 101492663 B1 KR101492663 B1 KR 101492663B1 KR 20100113159 A KR20100113159 A KR 20100113159A KR 20100113159 A KR20100113159 A KR 20100113159A KR 101492663 B1 KR101492663 B1 KR 101492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artz glass
titania
sulfur
gas
doped quartz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113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3910A (ko
Inventor
시게루 마이다
히사또시 오쯔까
Original Assignee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53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3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2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2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1/00Originals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masks, photo-masks, reticles; Mask blanks or pellicles therefor;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eparation thereof
    • G03F1/22Masks or mask blanks for imaging by radiation of 100nm or shorter wavelength, e.g. X-ray masks, extreme ultraviolet [EUV] masks; Preparation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9/00Other methods of shaping glass
    • C03B19/14Other methods of shaping glass by gas- or vapour- phase reaction processes
    • C03B19/1415Reactant delivery systems
    • C03B19/1423Reactant deposition bur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more than 90% silica by weight, e.g. quartz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4/00Compositions for glass with special properties
    • C03C4/0085Compositions for glass with special properties for UV-transmitting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201/00Type of glass produced
    • C03B2201/06Doped silica-based glasses
    • C03B2201/20Doped silica-based glasses doped with non-metals other than boron or fluor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201/00Type of glass produced
    • C03B2201/06Doped silica-based glasses
    • C03B2201/30Doped silica-based glasses doped with metals, e.g. Ga, Sn, Sb, Pb or Bi
    • C03B2201/40Doped silica-based glasses doped with metals, e.g. Ga, Sn, Sb, Pb or Bi doped with transition metals other than rare earth metals, e.g. Zr, Nb, Ta or Zn
    • C03B2201/42Doped silica-based glasses doped with metals, e.g. Ga, Sn, Sb, Pb or Bi doped with transition metals other than rare earth metals, e.g. Zr, Nb, Ta or Zn doped with tita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01/00Glass compositions
    • C03C2201/06Doped silica-based glasses
    • C03C2201/20Doped silica-based glasses containing non-metals other than boron or hal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01/00Glass compositions
    • C03C2201/06Doped silica-based glasses
    • C03C2201/30Doped silica-based glasses containing metals
    • C03C2201/40Doped silica-based glasses containing metals containing transition metals other than rare earth metals, e.g. Zr, Nb, Ta or Zn
    • C03C2201/42Doped silica-based glasses containing metals containing transition metals other than rare earth metals, e.g. Zr, Nb, Ta or Zn containing titaniu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Exposure Of Semiconductors, Excluding Electron Or Ion Beam Exposure (AREA)
  • Preparing Plates And Mask In Photomechanical Process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 Glass Melting And Manufactu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을 도핑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EUV 리소그래피의 실용기에 적합한 제로 팽창이 되는 온도를 가지고, 넓은 저열팽창 온도 영역을 가지는,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부재, 그의 제조 방법 및 이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부재를 포함하는 EUV 리소그래피용 포토마스크 기판 등의 EUV 리소그래피용 광학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부재 및 그의 제조 방법{TITANIA AND SULFUR CO-DOPED QUARTZ GLASS MEMBER AND MAKING METHOD}
본 발명은 표면 정밀도가 높은 EUV 리소그래피용 포토마스크 기판(미러재) 등의 EUV 리소그래피용 부재로서 유용한,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부재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EUV 리소그래피용 부재에 관한 것이다.
주지한 바와 같이, 최근 반도체 집적 회로의 고집적화는 놀라울 정도이다. 이 경향에 따라, 반도체 소자 제조시 리소그래피 공정에서의 노광 광원의 단파장화가 진행되어, 현재에는 ArF 엑시머 레이저(193 nm)를 사용하는 리소그래피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향후, 한층 더 고집적화를 실현하기 위해서 액침화 기술, 더블 패터닝 등의 ArF 엑시머 레이저를 사용한 리소그래피의 연명이 도모된 후, 극단 자외광(EUV: Extreme Ultraviolet)을 사용한 리소그래피로의 이행이 유망시되고 있다.
EUV 리소그래피는 파장 70 nm 이하의 연 X선, 특히 13 nm 부근의 파장을 광원에 사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파장에서는, 높은 투과성을 가지는 물질이 없기 때문에, 반사형 광학계가 EUV 리소그래피에서는 채용된다. 이 때, 반사는 기판 상에 퇴적시킨 실리콘, 몰리브덴 등의 반사 다층막에 의해서 이루어지지만, 입사한 EUV 광 중 수십%는 반사되지 않고 기판에까지 도달하여 열로 전화된다. 지금까지의 리소그래피 기술과 비교하여 광원 파장이 극단적으로 짧은 EUV 리소그래피에서는, 기판 등의 리소그래피 광학계에서 이용되는 각 부재에 도달한 열에 의한 약간의 열팽창에 의해서도 리소그래피 정밀도에 악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반사 미러, 마스크, 스테이지 등의 각 부재에는 저팽창 재료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저팽창 재료로는, 티타니아를 도핑한 석영 유리가 공지이다. 티타니아를 일정량 첨가함으로써 석영 유리를 저열팽창화할 수 있다.
지금까지 EUV 입사광에 의한 기재의 온도 상승은 5 ℃ 이하로 예상되어 왔다. 이 때문에 EUV 리소그래피용 부재에는 실온 수준(19 내지 25 ℃ 부근)에서의 저열팽창화가 필요하다고 생각되어 왔다. 그러나, EUV 리소그래피의 실용기, 즉 작업 처리량이 높은 노광기에서는 50 내지 80 ℃ 정도까지 기재 온도가 상승하는 것이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기재의 제로 팽창이 되는 온도의 수정과 동시에, 보다 넓은 온도 영역(-50 내지 150 ℃ 정도)에서 저열팽창화하는 재료의 개발이 필요해지고 있다.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의 저열팽창화하는 온도 영역을 넓게 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04820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에 불소를 도핑하는 것 및 가상 온도를 낮추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의 가상 온도를 낮추는 것 및 불소를 도핑하는 방법에서는, 반드시 충분히 넓은 저열팽창 온도 영역을 가지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일반적으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에 불소를 도핑하는 방법으로는, 미리 티타니아 도핑 다공질 실리카 모재를 제작하고, 해당 모재를 예를 들면 SiF4와 같은 불소를 함유하는 분위기에 노출시킨 후, 가열 유리화하는 방법이 취해진다. 그러나, SiF4 등의 가스는 일반적으로 비싸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상승시키는 한가지 원인이 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04820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보다 EUV 리소그래피의 실용기에 적합한 제로 팽창이 되는 온도를 가지며, 넓은 저열팽창 온도 영역을 가지는,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부재, 이러한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부재를 포함하는 EUV 리소그래피용 포토마스크 기판, 미러재 등의 EUV 리소그래피용 광학 부재 및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부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EUV 리소그래피의 실용기에 보다 적합한 제로 팽창 온도를 가지고, 또한 넓은 저열팽창 온도 영역을 가지는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부재를 얻기 위해서는,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에 황을 공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부재, EUV 리소그래피용 부재 및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부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청구항 1:
황을 공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부재.
청구항 2:
제1항에 있어서, 황 농도가 10 pp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부재.
청구항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티타니아를 3 내지 10 질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부재.
청구항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50 내지 150 ℃에서의 열팽창 곡선의 기울기가 -2.0×10-9/℃2 이상 +2.0×10-9/℃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부재.
청구항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0 내지 100 ℃에서의 열팽창 곡선의 기울기가 -1.5×10-9/℃2 이상 +1.5×10-9/℃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부재.
청구항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50 내지 150 ℃에서의 열팽창계수가 -100×10-9/℃ 이상 +100×10-9/℃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부재.
청구항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0 내지 100 ℃에서의 열팽창계수가 -75×10-9/℃ 이상 +75×10-9/℃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부재.
청구항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0 내지 80 ℃에서의 열팽창계수가 -50×10-9/℃ 이상 +50×10-9/℃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부재.
청구항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0 내지 100 ℃의 온도 범위에서 열팽창계수가 제로가 되는 온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부재.
청구항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0 내지 80 ℃의 온도 범위에서 열팽창계수가 제로가 되는 온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부재.
청구항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부재로부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EUV 리소그래피용 부재.
청구항 12:
제11항에 있어서, EUV 리소그래피용 포토마스크 기판 또는 미러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EUV 리소그래피용 부재.
청구항 13:
규소원 원료 가스 및 티탄원 원료 가스를 가연성 가스 및 지연성(支燃性) 가스에 의해 화염 가수분해시켜 얻은 합성 실리카 미립자를 회전하는 타겟 상에 퇴적함과 동시에 용융 유리화하여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규소원 원료 가스 및 티탄원 원료 가스와 동시에 황원 원료 가스를 공급하여 황을 도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부재의 제조 방법.
청구항 14:
제13항에 있어서, 황원 원료가 황의 산화물 또는 염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부재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따르면, EUV 리소그래피의 실용기에 적합한 제로 팽창이 되는 온도를 가지고, 넓은 저열팽창 온도 영역을 가지는,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부재, 그의 제조 방법 및 이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부재를 포함하는 EUV 리소그래피용 포토마스크 기판, 미러재 등의 EUV 리소그래피용 광학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 제작한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잉곳의 중심부 및 외주부에서의 열팽창 곡선이다.
도 2는 실시예 2에서 제작한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잉곳의 중심부 및 외주부에서의 열팽창 곡선이다.
도 3은 실시예 3에서 제작한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잉곳의 중심부 및 외주부에서의 열팽창 곡선이다.
도 4는 비교예 1에서 제작한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잉곳의 중심부 및 외주부에서의 열팽창 곡선이다.
도 5는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에서 이용한 버너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잉곳 제조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b)는 이것에 이용하는 산수소 화염 버너의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부재는,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에 황을 공첨가함으로써 넓은 저열팽창 온도 영역을 가지는 특성을 구비하고 있고, 이러한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는, EUV 리소그래피의 실용기용 광학 부재에 바람직하다.
EUV 리소그래피는 32 nm, 22 nm 노드의 반도체 미세 가공 기술에의 적용이 기대되고 있다. EUV 리소그래피에서는 반사 광학계가 채용된다. 이 때, 반사는 기판 상에 퇴적시킨 실리콘, 몰리브덴 등의 반사 다층막에 의해서 이루어지지만, 입사한 EUV 광 중 수십%는 반사되지 않고 기판에까지 도달하여 열로 전화한다. 지금까지의 리소그래피 기술에 비하여 광원 파장이 극단적으로 짧은 EUV 리소그래피에서는, 기판 등의 리소그래피 광학계에서 이용되는 각 부재에 도달한 열에 의한 약간의 열팽창에 의해서도 리소그래피 정밀도에 악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반사 미러, 마스크, 스테이지 등의 각 부재에는 저팽창 재료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지금까지 EUV 입사광에 의한 기재의 온도 상승은 5 ℃ 이하로 예상되어 왔다. 이 때문에 EUV 리소그래피용 부재에는 실온 수준(19 내지 25 ℃ 부근)에서의 저열팽창화가 필요하다고 생각되어 왔다. 그러나, EUV 리소그래피의 실용기, 즉 작업 처리량이 높은 노광기에서는 50 내지 80 ℃ 정도까지 기재 온도가 상승하는 것이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기재의 제로 팽창이 되는 온도의 수정과 동시에, 보다 넓은 온도 영역에서 저열팽창화하는 재료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자들은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에 추가로 황을 공첨가함으로써, 보다 넓은 온도 영역(-50 내지 150 ℃)에서 저열팽창화시킬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의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부재는 황을 함유한다. 황을 공첨가함으로써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가 보다 넓은 온도 영역에서 저열팽창화하게 되고, EUV 리소그래피의 실용기에 탑재시키는 광학 부재로서 바람직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가 저열팽창화하는 온도 영역을 충분히 넓게 하는 것 및 높은 표면 정밀도가 요구되는 EUV 리소그래피용 광학 부재로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중에 내포물(inclusion)의 발생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공첨가하는 황은 10 ppm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ppm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 ppm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0 ppm보다 많은 경우이다. 공첨가하는 황의 상한은 50,000 ppm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00 pp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0 ppm 이하, 특히 2,000 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중 황의 함유량은 이온 크로마토그래프법에 의해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EUV 리소그래피의 노광 온도 영역에서 저열팽창화시키기 위해서, 본 발명의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부재는, 티타니아를 3 내지 10 질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6 내지 9 질량%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티타니아의 함유량은 전자선 마이크로애널라이저(EPMA)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부재는 -50 내지 150 ℃에서의 열팽창 곡선의 기울기가 -2.0×10-9/℃2 이상 +2.0×10-9/℃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0 ℃에서의 열팽창 곡선의 기울기가 -1.5×10-9/℃2 이상 +1.5×10-9/℃2 이하이다.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에 상기 농도의 황을 공첨가함으로써, EUV 리소그래피의 노광 온도 영역에서의 열팽창 곡선의 기울기를 작게 할 수 있고, 광학 부재의 온도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파면 수차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양호한 리소그래피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열팽창 곡선의 기울기란, 열팽창 곡선의 온도에 대한 미분값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부재는 -50 내지 150 ℃에서의 열팽창계수가 -100×10-9/℃ 이상 +100×10-9/℃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0 ℃에서의 열팽창계수가 -75×10-9/℃ 이상 +75×10-9/℃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 ℃에서의 열팽창계수가 -50×10-9/℃ 이상 +50×10-9/℃ 이하이다.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에 상기 농도의 황을 공첨가함으로써, EUV 리소그래피의 노광 온도 영역에서의 열팽창계수의 절대값을 작게 할 수 있고, 광학 부재의 온도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파면 수차의 발생을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보다 양호한 리소그래피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부재는 0 내지 100 ℃의 온도 범위에 열팽창계수가 제로가 되는 온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 ℃의 온도 범위에 열팽창계수가 제로가 되는 온도를 가진다. 황과 함께 석영 유리에 상기 농도의 티타니아를 첨가함으로써, EUV 리소그래피의 노광 온도 영역에 열팽창계수가 제로가 되는 온도를 가질 수 있고, 보다 효과적으로 EUV 리소그래피 노광시 파면 수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열팽창계수 및 열팽창 곡선은, 알박 리꼬(주) 제조, LIX-2에 의해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에는, 규소, 티탄, 황, 산소, 수소 및 염소 이외의 원소가 각각 1,000 ppm 이하이면 포함되어 있어도 문제는 없다. 예를 들면, 불소를 함유함으로써, 보다 넓은 온도 영역에서의 저열팽창화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부재는, EUV 리소그래피용 포토마스크 기판 등의 EUV 리소그래피용 부재의 소재로서 바람직하지만, 특히 웨이퍼 상에 고화질이고 미세한 패턴의 전사가 가능해지기 때문에, EUV 리소그래피용 포토마스크 기판으로서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미러재로서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부재는, 석영 유리 제조로 내에 설치한 버너에, 수소 가스를 포함하는 가연성 가스 및 산소 가스를 포함하는 지연성 가스를 공급하여 연소시킴으로써 버너 선단에 형성되는 산수소 염(炎) 중에, 규소원 원료 가스, 티탄원 원료 가스와 동시에 황원 원료 가스를 공급하여, 규소원 원료 가스 및 티탄원 원료 가스를 가수분해함으로써 생성된 황을 함유한 산화규소, 황을 함유한 산화티탄 및 이들의 복합체 미립자를, 버너 선단 전방에 배치한 타겟 상에 부착시킴과 동시에 용융 유리화시켜 성장시키는 직접법에 의해 잉곳을 제작하고, 얻어진 잉곳을 열간 성형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한 후, 성형 후의 잉곳을 어닐링 처리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부재는, 상기 가연성 가스, 지연성 가스, 규소원 원료 가스, 티탄원 원료 가스 및 황원 원료 가스의 각각의 공급 유량의 변동을 ±1 % 이내로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석영 유리 제조로 내를 유통시키는 가스로서 도입하는 공기, 석영 유리 제조로로부터의 배기 및 석영 유리 제조로 주위의 외기의 각각의 온도 변동을 ±2.5 ℃ 이내로 제어하여, 상기 타겟을 5 rpm 이상의 회전수로 회전시키고, 상기 미립자를 타겟 상에 부착시켜 제조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부재의 제조로는, 종형 및 횡형을 모두 사용할 수 있지만, 종재(種材) 등의 타겟의 회전수는 2 rpm 이상, 바람직하게는 5 rp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rp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rpm 이상이다. 이는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중 맥리, 변형 등의 구조적, 조성적으로 불균일한 영역은, 회전하는 타겟의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가 성장하는 부분의 온도의 불균일성에 크게 의존하여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타겟의 회전수를 늘리고,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가 성장하는 부분의 온도를 균일화함으로써,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의 구조적, 조성적으로 불균일한 영역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타겟의 회전수의 상한은 적절하게 선정되지만, 통상 200 rpm 이하이다.
또한, 타겟의 회전수는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의 OH기 농도 분포에도 영향을 미친다.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의 OH기 농도 분포는 열팽창계수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OH기 농도 분포가 200 ppm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 pp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OH기 농도 분포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잉곳 제작시의 성장면을 균열화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때문에 OH기 농도 분포를 억제하는 관점에서도 타겟의 회전수는 적어도 5 rpm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OH기 농도는 적외 분광 광도계로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푸리에 변환 적외 분광 광도계로 파수 4,522 cm-1의 흡광계수로부터 구할 수 있으며, 환산식으로서
OH기 농도(ppm)=(4,522 cm-1에서의 흡광계수)/T×4400
을 이용할 수 있다. 단, T는 측정 샘플의 두께(cm)이다.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의 구조적, 조성적으로 불균일한 영역의 발생은,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의 제조시에 사용하는 규소원 원료 가스, 티탄원 원료 가스, 황원 원료 가스, 가연성 가스 및 지연성 가스를 각각 안정 공급함으로써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규소원 원료 가스, 티탄원 원료 가스, 황원 원료 가스, 가연성 가스 및 지연성 가스의 각각의 공급 유량의 변동을 ±1 % 이내, 바람직하게는 ±0.5 % 이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0.25 % 이내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연성 가스, 지연성 가스, 규소원 원료 가스, 티탄원 원료 가스 및 황원 원료 가스의 각각의 공급 유량의 변동이 ±1 %보다 크고, 또한 석영 유리 제조로 내에 도입하는 공기, 석영 유리 제조로로부터의 배기 및 석영 유리 제조로 주위의 외기의 각각의 온도의 변동이 ±2.5 ℃보다 큰 환경에서 제작된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에는, 구조적, 조성적으로 불균일한 영역이 발생하여, EUV 리소그래피용 포토마스크 기판 등의 EUV 리소그래피용 부재에 요구되는 높은 표면 정밀도를 달성할 수 있는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부재를 얻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규소원 원료 가스는 공지된 유기 규소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사염화규소, 디메틸디클로로실란, 메틸트리클로로실란 등의 염소계 실란 화합물, 테트라메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알콕시실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티탄원 원료 가스도 공지된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사염화티탄, 사브롬화티탄 등의 티탄할로겐화물, 테트라에톡시티탄, 테트라이소프로폭시티탄, 테트라-n-프로폭시티탄, 테트라-n-부톡시티탄, 테트라-sec-부톡시티탄, 테트라-t-부톡시티탄 등의 티탄알콕시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황원 원료 가스도 공지된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사불화황, 육불화황, 이산화황, 염화티오닐, 염화황, 이염화황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환경면, 안전면, 비점 등을 고려하여 이산화황, 염화황, 이염화황을 황원 원료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가연성 가스로는 수소를 함유하는 것이 이용되고, 추가로 필요에 따라서 일산화탄소, 메탄, 프로판 등의 가스를 병용한 것이 이용된다. 한편, 지연성 가스로는 산소 가스를 포함하는 것이 이용된다.
본 발명의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부재는 미러, 스테이지, 포토마스크 기판 등 각각의 EUV 리소그래피용 부재에 적합한 소정의 형상으로 하기 위해, 1,500 내지 1,800 ℃에서 1 내지 10 시간 동안 열간 성형을 행하지만, 상기 제조로에서 제조한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의 성장축과 성형축이 평행해지도록 열간 성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부재는 1,000 mmφ 이하의 크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상의 크기에서는, 열간 성형시에 적절한 온도 구배의 유지, 로내의 온도 불균일을 억제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열간 성형한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는, 어닐링 처리를 행한다. 어닐링 처리는, 열간 성형에 의해 발생된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중 변형을 저하시키는 효과가 있다. 어닐링 처리 조건은 공지된 조건을 사용할 수 있고, 온도 700 내지 1,300 ℃, 대기중에서 1 내지 200 시간 동안 유지한 후, 해당 온도로부터 500 ℃의 온도까지의 냉각을 1 내지 20 ℃/시간의 속도로 실시할 수 있다. 어닐링 처리에 의해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의 가상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부재의 가상 온도는 1,2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50 ℃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0 ℃ 이하이다. 가상 온도의 분포는,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의 열팽창계수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본 발명의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부재의 가상 온도 분포(ΔFT)는 30 ℃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이다. 가상 온도 분포를 상기 온도 범위로 하기 위해서는, 상기 어닐링 처리를 행함과 동시에, OH기 농도 분포를 억제하는 것이 유효하다.
또한,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의 가상 온도는 문헌 [J. Non-Cryst. Solids 185(1995) 191.]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어닐링 처리한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를, 적절하게 연삭 가공이나 슬라이스 가공에 의해 소정의 크기로 가공한 후, 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 산화몰리브덴, 탄화규소, 다이아몬드, 산화세륨, 콜로이달 실리카 등의 연마제를 사용하여 양면 연마기에 의해 연마함으로써 EUV 리소그래피용 부재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로부터는, 연마 후 기판면 중앙부 142.4 mm×142.4 mm 변(角)의 영역 내의 가장 높은 위치와 가장 낮은 위치와의 차(PV 평탄도)가 200 nm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 nm 이하인 EUV 리소그래피용 포토마스크 기판을 형성할 수 있다. 평탄도를 상기 범위로 하기 위해서는 양면 연마기에 의한 연마와 함께, 이온빔, 플라즈마 에칭 등에 의한 국소적인 연마 기술을 병용하는 것이 유효하다. 평탄도가 지나치게 크면, EUV 리소그래피에서 양호한 결상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PV 평탄도는 피조(Fizeau)형 간섭계(자이고 마크(ZYGO MARK) IV)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로부터 미러재, 특히 직경 500 mm 이하 크기의 미러재를 유효하게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5에 나타내는 일본 특허 공개 (평)08-031723호 공보에 기재된 버너를 사용하였다. 여기서, 도 5에서 도 5(a) 중, (1)은 SiCl4 공급관, (2)는 TiCl4 공급관, (3)은 SCl2 공급관, (4)는 유량계, (5), (6), (7)은 수소 가스 공급관, (8), (9), (10), (11)은 산소 가스 공급관, (12)는 산수소 화염 버너, (13)은 산수소 염, (14)는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실리카 미립자, (15)는 지지체, (16)은 잉곳을 나타낸다. 또한, 도 5(b)는 상기 버너 (12)의 횡단면도이고, 이 버너 (12)는 노즐 (18) 내지 (22)를 포함하는 5중관 (17)의 외측에 외피관 (23)을 가지며, 이 외피관 (23) 내에 노즐 (24)를 가지는 구조가 되고, 중심 노즐(제1 노즐) (18)에는, 상기 SiCl4, TiCl4 및 SCl2 공급관 (1), (2), (3)으로부터 SiCl4, TiCl4, SCl2가 공급됨과 동시에, 산소 공급관 (11)로부터 산소 가스가 공급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아르곤 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를 공급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제2 노즐 (19), 제4 노즐 (21)에는 산소 가스가 산소 가스 공급관 (8), (9)로부터 공급되고, 제3 노즐 (20), 제5 노즐 (22)에는 수소 가스가 수소 가스 공급관 (5), (6)으로부터 공급된다. 또한, 외피관 (23)에는 수소 가스가 수소 가스 공급관 (7)로부터, 노즐 (24)에는 산소 가스가 산소 가스 공급관 (10)으로부터 공급된다.
하기 표 1에 기재된 가스를 각각의 노즐에 공급하여, 산수소 염 중에서 사염화규소, 사염화티탄, 이염화황의 가수분해 반응에 의해 생성된 SiO2, TiO2 및 SO2를, 석영제 버너의 앞쪽에 설치한 50 rpm으로 회전하면서 10 mm/시간으로 후퇴하는 타겟재에 부착시킴과 동시에 용융 유리화시킴으로써,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의 잉곳을 제조하였다. 이 때, 각종 가스의 유량 변동은 ±0.2 %였다. 또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제조로에 공급되는 공기, 배기되는 가스, 제조로의 외기온의 온도 변동은 ±1 ℃였다.
얻어진 120 mmφ×400 mmL의 잉곳을 1,700 ℃에서 6 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열간 성형하였다. 그 후, 대기중에서 1,100 ℃, 150 시간 동안 유지한 후, 500 ℃까지 5 ℃/시간의 속도로 서냉하였다. 어닐링 후 잉곳을 152.4 mm×152.4 mm 각기둥상으로 연삭하고,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잉곳 (I)을 얻었다. 이 잉곳 (I)로부터 슬라이스 기판을 잘라내고, 스웨이드 유형의 연마천, 산화세륨 연마재를 사용하고, 12B형 양면 연마기(후지코시 기까이 고교(주) 제조)에 의해 6 시간 동안 연마한 후, 연마재를 콜로이달 실리카로 변경하고 1 시간 동안 연마하여 두께 1 mm의 양면을 경면화한 연마 기판을 얻었다. 이 연마 기판의 대각선 상의 OH기 농도 분포, 가상 온도 분포, 티타니아 농도 및 황 농도를 측정하고, 각각의 최대값 및 최소값을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나머지 잉곳 (I)의 152.4 mm×152.4 mm 변(角) 내, 중심부 및 중심부로부터 152.4 mm×152.4 mm 변(角) 내의 대각선 상에 100 mm의 위치(외주부)로부터 열팽창 곡선 측정용 샘플을 취득하고, -50 내지 150 ℃까지의 열팽창 곡선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50 내지 150 ℃ 및 0 내지 100 ℃의 각 온도 영역에서의 열팽창 곡선의 기울기의 절대값 중, 가장 큰 값을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50 내지 150 ℃, 0 내지 100 ℃ 및 20 내지 80 ℃의 각 온도 영역에서의 열팽창계수의 절대값 중, 가장 큰 값을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50 내지 150 ℃까지의 열팽창 곡선에서 열팽창계수가 제로가 되는 온도(제로 팽창 온도)를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잉곳 (I)로부터 두께 6.7 mm의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기판을 잘라내고, 스웨이드 유형의 연마천, 산화세륨 연마재를 사용하여 12B형 양면 연마기(후지코시 기까이 고교(주) 제조)에 의해 6 시간 동안 연마한 후, 연마재를 콜로이달 실리카로 변경하고 1 시간 동안 연마하여 두께 6.35 mm의 연마 기판을 얻었다. 제작한 기판면 중앙부 142.4 mm×142.4 mm 변(角)의 영역 내에서의 가장 높은 위치와 가장 낮은 위치와의 차(노광 이용 영역의 PV 평탄도)를 레이저 간섭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얻어진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부재는, EUV 리소그래피의 실용기에 적합한 제로 팽창 온도를 가지고, 또한 넓은 저열팽창 온도 영역을 가지며, 연마 후 기판면 중앙부 142.4 mm×142.4 mm 변(角)의 영역 내에서의 PV 평탄도도 작아, EUV용 포토마스크 기판으로서 바람직한 것이 얻어졌다.
[실시예 2]
도 5에 기재된 버너를 사용하고, 표 1에 기재된 가스를 각각의 노즐에 공급하여 산수소 염 중에서 사염화규소, 사염화티탄, 이염화황의 가수분해 반응에 의해 생성된 SiO2, TiO2 및 SO2를, 석영제 버너의 앞쪽에 설치한 2 rpm으로 회전하면서 10 mm/시간으로 후퇴하는 타겟재에 부착시킴과 동시에 용융 유리화시킴으로써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의 잉곳을 제조하였다. 이 때, 각종 가스의 유량 변동은 ±0.2 %였다. 또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제조로에 공급되는 공기, 배기되는 가스, 제조로의 외기온의 온도 변동은 ±1 ℃였다.
얻어진 120 mmφ×400 mmL의 잉곳을 1,700 ℃에서 6 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열간 성형하였다. 그 후, 대기중에서 1,100 ℃, 150 시간 동안 유지한 후, 500 ℃까지 5 ℃/시간의 속도로 서냉하였다. 어닐링 후 잉곳을 152.4 mm×152.4 mm 각기둥상으로 연삭하고,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잉곳 (II)를 얻었다. 이 잉곳 (II)로부터 슬라이스 기판을 잘라내고, 스웨이드 유형의 연마천, 산화세륨 연마재를 사용하여 12B형 양면 연마기(후지코시 기까이 고교(주) 제조)에 의해 6 시간 동안 연마한 후, 연마재를 콜로이달 실리카로 변경하고 1 시간 동안 연마하여 두께 1 mm의 양면을 경면화한 연마 기판을 얻었다. 이 연마 기판의 대각선 상의 OH기 농도 분포, 가상 온도 분포, 티타니아 농도 및 황 농도를 측정하고, 각각의 최대값 및 최소값을 표 2에 나타낸다.
나머지 잉곳 (II)의 152.4 mm×152.4 mm 변(角) 내, 중심부 및 중심부로부터 152.4 mm×152.4 mm 변(角) 내의 대각선 상에 100 mm의 위치(외주부)로부터 열팽창 곡선 측정용 샘플을 취득하고, -50 내지 150 ℃까지의 열팽창 곡선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2에 나타낸다. -50 내지 150 ℃ 및 0 내지 100 ℃의 각 온도 영역에서의 열팽창 곡선의 기울기의 절대값 중, 가장 큰 값을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50 내지 150 ℃, 0 내지 100 ℃ 및 20 내지 80 ℃의 각 온도 영역에서의 열팽창계수의 절대값 중, 가장 큰 값을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50 내지 150 ℃까지의 열팽창 곡선에서 열팽창계수가 제로가 되는 온도(제로 팽창 온도)를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잉곳 (II)로부터 두께 6.7 mm의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기판을 잘라내고, 스웨이드 유형의 연마천, 산화세륨 연마재를 사용하여 12B형 양면 연마기(후지코시 기까이 고교(주) 제조)에 의해 6 시간 동안 연마한 후, 연마재를 콜로이달 실리카로 변경하고 1 시간 동안 연마하여 두께 6.35 mm의 연마 기판을 얻었다. 제작한 기판면 중앙부 142.4 mm×142.4 mm 변(角)의 영역 내에서의 가장 높은 위치와 가장 낮은 위치와의 차(노광 이용 영역의 PV 평탄도)를 레이저 간섭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얻어진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부재는, EUV 리소그래피의 실용기에 적합한 제로 팽창 온도를 가지고, 또한 넓은 저열팽창 온도 영역을 가지며, 연마 후 기판면 중앙부 142.4 mm×142.4 mm 변(角)의 영역 내에서의 PV 평탄도도 작아, EUV용 포토마스터 기판으로서 바람직한 것이 얻어졌지만, 기판 외주부에서는 중심부와는 상이한 열팽창 곡선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3]
도 5에 기재된 버너를 사용하고, 표 1에 기재된 가스를 각각의 노즐에 공급하여 산수소 염 중에서 사염화규소, 사염화티탄, 이염화황의 가수분해 반응에 의해 생성된 SiO2, TiO2 및 SO2를 석영제 버너의 앞쪽에 설치한 50 rpm으로 회전하면서 10 mm/시간으로 후퇴하는 타겟재에 부착시킴과 동시에 용융 유리화시킴으로써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의 잉곳을 제조하였다. 이 때, 각종 가스의 유량 변동은 ±0.2 %였다. 또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제조로에 공급되는 공기, 배기되는 가스, 제조로의 외기온의 온도 변동은 ±1 ℃였다.
얻어진 120 mmφ×400 mmL의 잉곳을 1,700 ℃에서 6 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열간 성형하였다. 그 후, 대기중에서 1,100 ℃, 150 시간 동안 유지한 후, 어닐링로의 전원을 끄고, 실온까지 급냉(약 600 ℃/시간)하였다. 어닐링 후 잉곳을 152.4 mm×152.4 mm 각기둥상으로 연삭하고,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잉곳 (III)을 얻었다. 이 잉곳 (III)으로부터 슬라이스 기판을 잘라내고, 스웨이드 유형의 연마천, 산화세륨 연마재를 사용하여 12B형 양면 연마기(후지코시 기까이 고교(주) 제조)에 의해 6 시간 동안 연마한 후, 연마재를 콜로이달 실리카로 변경하고 1 시간 동안 연마하여 두께 1 mm의 양면을 경면화한 연마 기판을 얻었다. 이 연마 기판의 대각선 상의 OH기 농도 분포, 가상 온도 분포, 티타니아 농도 및 황 농도를 측정하고, 각각의 최대값 및 최소값을 표 2에 나타낸다.
나머지 잉곳 (III)의 152.4 mm×152.4 mm 변(角) 내, 중심부 및 중심부로부터 152.4 mm×152.4 mm 변(角) 내의 대각선 상에 100 mm의 위치(외주부)로부터 열팽창 곡선 측정용 샘플을 취득하고, -50 내지 150 ℃까지의 열팽창 곡선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3에 나타낸다. -50 내지 150 ℃ 및 0 내지 100 ℃의 각 온도 영역에서의 열팽창 곡선의 기울기의 절대값 중, 가장 큰 값을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50 내지 150 ℃, 0 내지 100 ℃ 및 20 내지 80 ℃의 각 온도 영역에서의 열팽창계수의 절대값 중, 가장 큰 값을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50 내지 150 ℃까지의 열팽창 곡선에서 열팽창계수가 제로가 되는 온도(제로 팽창 온도)를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잉곳 (III)으로부터 두께 6.7 mm의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기판을 잘라내고, 스웨이드 유형의 연마천, 산화세륨 연마재를 사용하여 12B형 양면 연마기(후지코시 기까이 고교(주) 제조)에 의해 6 시간 동안 연마한 후, 연마재를 콜로이달 실리카로 변경하고 1 시간 동안 연마하여 두께 6.35 mm의 연마 기판을 얻었다. 제작한 기판면 중앙부 142.4 mm×142.4 mm 변(角)의 영역 내에서의 가장 높은 위치와 가장 낮은 위치와의 차(노광 이용 영역의 PV 평탄도)를 레이저 간섭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얻어진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부재는, EUV 리소그래피의 실용기에 적합한 제로 팽창 온도를 가지고, 또한 넓은 저열팽창 온도 영역을 가지며, 연마 후 기판면 중앙부 142.4 mm×142.4 mm 변(角)의 영역 내에서의 PV 평탄도도 작아, EUV용 포토마스크 기판으로서 바람직한 것이 얻어졌지만, 기판 외주부에서는 중심부와는 상이한 열팽창 곡선을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도 5에 기재된 버너를 사용하고, 표 1에 기재된 가스를 각각의 노즐에 공급하여 산수소 염 중에서 사염화규소, 사염화티탄의 가수분해 반응에 의해 생성된 SiO2 및 TiO2를 석영제 버너의 앞쪽에 설치한 50 rpm으로 회전하면서 10 mm/시간으로 후퇴하는 타겟재에 부착시킴과 동시에 용융 유리화시킴으로써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의 잉곳을 제조하였다. 이 때, 각종 가스의 유량 변동은 ±0.2 %였다. 또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제조로에 공급되는 공기, 배기되는 가스, 제조로의 외기온의 온도 변동은 ±1 ℃였다.
얻어진 120 mmφ×400 mmL의 잉곳을 1,700 ℃에서 6 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열간 성형하였다. 그 후, 대기중에서 1,100 ℃, 150 시간 동안 유지한 후, 500 ℃까지 5 ℃/시간의 속도로 서냉하였다. 어닐링 후 잉곳을 152.4 mm×152.4 mm 각기둥상으로 연삭하고,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잉곳 (IV)를 얻었다. 이 잉곳 (IV)로부터 슬라이스 기판을 잘라내고, 스웨이드 유형의 연마천, 산화세륨 연마재를 사용하여 12B형 양면 연마기(후지코시 기까이 고교(주) 제조)에 의해 6 시간 동안 연마한 후, 연마재를 콜로이달 실리카로 변경하고 1 시간 동안 연마하여 두께 1 mm의 양면을 경면화한 연마 기판을 얻었다. 이 연마 기판의 대각선 상의 OH기 농도 분포, 가상 온도 분포, 티타니아 농도 및 황 농도를 측정하고, 각각의 최대값 및 최소값을 표 3에 나타낸다.
나머지 잉곳 (IV)의 152.4 mm×152.4 mm 변(角) 내, 중심부 및 중심부로부터 152.4 mm×152.4 mm 변(角) 내의 대각선 상에 100 mm의 위치(외주부)로부터 열팽창 곡선 측정용 샘플을 취득하고, -50 내지 150 ℃까지의 열팽창 곡선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4에 나타낸다. -50 내지 150 ℃ 및 0 내지 100 ℃의 각 온도 영역에서의 열팽창 곡선의 기울기의 절대값 중, 가장 큰 값을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50 내지 150 ℃, 0 내지 100 ℃ 및 20 내지 80 ℃의 각 온도 영역에서의 열팽창계수의 절대값 중, 가장 큰 값을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50 내지 150 ℃까지의 열팽창 곡선에서 열팽창계수가 제로가 되는 온도(제로 팽창 온도)를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잉곳 (IV)로부터 두께 6.7 mm의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기판을 잘라내고, 스웨이드 유형의 연마천, 산화세륨 연마재를 사용하여 12B형 양면 연마기(후지코시 기까이 고교(주) 제조)에 의해 6 시간 동안 연마한 후, 연마재를 콜로이달 실리카로 변경하고 1 시간 동안 연마하여 두께 6.35 mm의 연마 기판을 얻었다. 제작한 기판면 중앙부 142.4 mm×142.4 mm 변(角)의 영역 내에서의 가장 높은 위치와 가장 낮은 위치와의 차(노광 이용 영역의 PV 평탄도)를 레이저 간섭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얻어진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부재는, EUV 리소그래피의 실용기의 동작 온도 영역에서, 열팽창 곡선의 기울기가 크고, 열팽창계수가 크게 변화하는 것이 되었다.
Figure 112010074234959-pat00001
Figure 112010074234959-pat00002
Figure 112010074234959-pat00003
1: SiCl4 공급관
2: TiCl4 공급관
3: SCl2 공급관
4: 유량계
5, 6, 7: 수소 가스 공급관
8, 9, 10, 11: 산소 가스 공급관
12: 산수소 화염 버너
13: 산수소 염
14: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실리카 미립자
15: 지지체
16: 잉곳
17: 5중관
18, 19, 20, 21, 22: 노즐
23: 외피관
24: 노즐

Claims (14)

  1. 규소원 원료 가스 및 티탄원 원료 가스를 가연성 가스 및 지연성 가스에 의해 화염 가수분해시켜 얻은 합성 실리카 미립자를 회전하는 타겟 상에 퇴적함과 동시에 용융 유리화하여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규소원 원료 가스 및 티탄원 원료 가스와 동시에 황원 원료 가스를 공급하여 황을 도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부재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황원 원료가 황의 산화물 또는 염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부재의 제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석영 유리 부재 중의 황 농도가 10 ppm 이상이고, 티타니아 도핑 양이 3 내지 10 질량%인,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부재의 제조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석영 유리 부재가 EUV 리소그래피용 부재용인,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부재의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EUV 리소그래피용 부재가 EUV 리소그래피용 포토마스크 기판 또는 미러재인,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부재의 제조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규소원 원료 가스, 티탄원 원료 가스, 황원 원료 가스, 가연성 가스 및 지연성 가스의 각각의 공급 유량의 변동을 ±1 % 이내로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석영 유리 제조로 내를 유통시키는 가스로서 도입하는 공기, 석영 유리 제조로로부터의 배기 및 석영 유리 제조로 주위의 외기의 각각의 온도 변동을 ±2.5 ℃ 이내로 제어하여, 상기 타겟을 5 rpm 이상의 회전수로 회전시키고, 상기 미립자를 타겟 상에 부착시키는 것인,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부재의 제조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20100113159A 2009-11-16 2010-11-15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부재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4926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60558 2009-11-16
JPJP-P-2009-260558 2009-1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910A KR20110053910A (ko) 2011-05-24
KR101492663B1 true KR101492663B1 (ko) 2015-02-12

Family

ID=43530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113159A KR101492663B1 (ko) 2009-11-16 2010-11-15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부재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539797B2 (ko)
EP (1) EP2322490B1 (ko)
JP (1) JP5549525B2 (ko)
KR (1) KR101492663B1 (ko)
CN (1) CN102060432B (ko)
TW (1) TWI47377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18030A4 (en) * 2009-12-01 2013-09-11 Asahi Glass Co Ltd TIO2-CONTAINING QUARTZ GLASS
JP2012031052A (ja) * 2010-06-28 2012-02-16 Asahi Glass Co Ltd ガラス体を製造する方法及びeuvリソグラフィ用の光学部材を製造する方法
JPWO2012105513A1 (ja) * 2011-01-31 2014-07-03 旭硝子株式会社 チタニアを含有するシリカガラス体の製造方法およびチタニアを含有するシリカガラス体
CN116081938A (zh) * 2023-02-17 2023-05-09 长飞光纤光缆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外部气相沉积法的喷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8636A (ja) * 1996-08-21 1998-08-18 Nikon Corp 光学用石英ガラス部材
JP2000044254A (ja) * 1998-07-29 2000-02-15 Shin Etsu Chem Co Ltd 合成石英ガラス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エキシマレーザ用光学部品
JP2008037743A (ja) * 2006-06-28 2008-02-21 Corning Inc 超低膨張ガラ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1362B2 (ja) 1994-07-15 2000-07-31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ArFエキシマレーザリソグラフィー用合成石英マスク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958809A (en) * 1996-08-21 1999-09-28 Nikon Corporation Fluorine-containing silica glass
RU2156485C1 (ru) * 1999-05-19 2000-09-20 Научный центр волоконной оптики при Институте общей физики РАН Фоточувствительный волоконный световод и фотоиндуцированная структура
US6713180B1 (en) * 1999-09-01 2004-03-30 Pilkington Plc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empered glazings and glass for use therein
US6800574B2 (en) * 2001-10-24 2004-10-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Glass beads and uses thereof
US20040025542A1 (en) * 2002-06-07 2004-02-12 Ball Laura J. Method of making extreme ultraviolet lithography glass substrates
JP4792706B2 (ja) 2003-04-03 2011-10-12 旭硝子株式会社 TiO2を含有するシリカガラ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2119680B1 (en) * 2007-06-18 2018-10-31 Nippon Sheet Glass Company Limited Glass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8636A (ja) * 1996-08-21 1998-08-18 Nikon Corp 光学用石英ガラス部材
JP2000044254A (ja) * 1998-07-29 2000-02-15 Shin Etsu Chem Co Ltd 合成石英ガラス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エキシマレーザ用光学部品
JP2008037743A (ja) * 2006-06-28 2008-02-21 Corning Inc 超低膨張ガラ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49637A1 (en) 2013-06-13
US20110117480A1 (en) 2011-05-19
KR20110053910A (ko) 2011-05-24
TWI473775B (zh) 2015-02-21
CN102060432A (zh) 2011-05-18
EP2322490A1 (en) 2011-05-18
EP2322490B1 (en) 2018-06-13
JP2011121857A (ja) 2011-06-23
US8629071B2 (en) 2014-01-14
TW201132609A (en) 2011-10-01
US8539797B2 (en) 2013-09-24
JP5549525B2 (ja) 2014-07-16
CN102060432B (zh)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3310B1 (ko)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부재 및 그의 제조 방법
JP5035516B2 (ja) フォトマスク用チタニアドープ石英ガラスの製造方法
KR101533125B1 (ko)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및 그의 제조 방법
JP4792706B2 (ja) TiO2を含有するシリカガラ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737070B2 (ja) チタニアドープ石英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5365247B2 (ja) TiO2を含有するシリカガラスおよびそれを用いたリソグラフィ用光学部材
JP5365248B2 (ja) TiO2を含有するシリカガラスおよびEUVリソグラフィ用光学部材
CN103941539B (zh) Euv光刻部件、制备方法和掺杂二氧化钛的石英玻璃
WO2011068064A1 (ja) TiO2を含有するシリカガラス
KR101492663B1 (ko) 황을 공첨가한 티타니아 도핑 석영 유리 부재 및 그의 제조 방법
JP5287574B2 (ja) 合成石英ガラスの熱処理方法
JP3796653B2 (ja) フッ素含有合成石英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020904A (ja) 合成石英ガラスブロックの熱処理方法
JP2011168489A (ja) TiO2を含有するシリカガラスおよびそ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