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2605B1 - 밑실공급장치의 하우징 장착 구조 - Google Patents

밑실공급장치의 하우징 장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2605B1
KR101492605B1 KR20130036950A KR20130036950A KR101492605B1 KR 101492605 B1 KR101492605 B1 KR 101492605B1 KR 20130036950 A KR20130036950 A KR 20130036950A KR 20130036950 A KR20130036950 A KR 20130036950A KR 101492605 B1 KR101492605 B1 KR 101492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upling piece
hook
sewing machin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36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0719A (ko
Inventor
강소대
Original Assignee
강소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소대 filed Critical 강소대
Priority to KR20130036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2605B1/ko
Publication of KR20140120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0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2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2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26Bobbin holders or casings; Bobbin holder or case guards; Bobbin discharge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08Loop takers, e.g. loopers for lock-stitch sewing machines
    • D05B57/10Shuttles
    • D05B57/14Shuttles with rotary hook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08Loop takers, e.g. loopers for lock-stitch sewing machines
    • D05B57/10Shuttles
    • D05B57/18Shuttles with bobbin casings held by removable cap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30Driving-gear for loop takers
    • D05B57/36Driving-gear for loop takers in lock-stitch sewing machines
    • D05B57/38Shuttle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봉기기의 본체에 고정되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동력축(1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재봉기기의 바늘을 따라 내려온 윗실이 형성하는 고리를 통과하여 윗실을 끌고가는 후크(44)가 구비된 후크바디(33), 및 후크바디(33)의 내부에 장착되며 밑실이 감겨진 실패 형상의 보빈(55)으로 구성되는 밑실공급장치의 하우징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후크바디(33)를 수용하며 후크바디(33)의 회전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100); 및, 재봉기기의 본체에 결합되는 본체결합편(210) 및 하우징(100)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하우징결합편(220)으로 이루어진 하우징장착브라켓(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결합편(220)에는 수평방향으로 상기 하우징(100)의 이동을 안내하는 하우징가이드돌기(230)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결합편(220)과 맞닿는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면에는 상기 하우징가이드돌기(230)를 수용하는 가이드돌기홈(11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밑실공급장치의 하우징 장착 구조{Sewing Machine Housing Install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재봉기기의 본체에 고정되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후크(44)가 구비된 후크바디(33)가 장착되어 회전하는 구조의 밑실공급장치의 하우징 장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재봉기기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밑실공급장치(10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밑실공급장치(100)는 재봉틀의 동력장치(동력전달기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축(10)에 장착되는데, 겉가마라고도 칭해지는 후크바디(Hook Body)(20), 후크바디(20)에 수납되는 보빈케이스(Bobbin Case: BC), 밑실이 권취되는 보빈(Bobbin)(40)으로 구성되고 후크바디(20)가 밑실공급장치의 외형을 구성하면서 구동축(10)에 연결되어 회전을 하는 구조이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밑실공급장치는 공개특허10-2011-0133265, 공개특허10-2012-0019355, 또는 공개특허10-2012-0019352와 같이 재봉기기의 본체에 고정되는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동력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재봉기기의 바늘을 따라 내려온 윗실이 형성하는 고리를 통과하여 윗실을 끌고 가는 후크가 구비된 후크바디, 및 후크바디의 내부에 장착되며 밑실이 감겨진 실패 형상의 보빈으로 구성된다.
윗실이 형성하는 고리를 후크가 정확하게 걸어서 끌고 가야만 스티치(땀)가 제대로 형성되며, 이를 위해서는 바늘과 후크 끝단의 상대적 위치(거리)를 오차 범위 내에서 정확하게 셋팅해야 하며, 초기 셋팅이 제대로 이루어졌다고 하여도, 장기간 재봉기기를 사용하게 되면 후크의 끝단이 마모되어 바늘과 후크 끝단의 상대적 위치가 달라지게 되어 스티치(땀)가 제대로 형성되지 않고 헛바느질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초기 셋팅과 함께 주기적으로 재셋팅이 이루어져야만 하는데, 기존 제품의 경우 재봉기기 관련 관리자나 숙련자, 서비스센터 요원들의 기술적인 감각에 의존한 셋팅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어 셋팅 작업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정확도를 담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바늘의 규격에 따라 바늘과 후크 끝단의 거리가 달라지게 되는데, 기존 제품의 경우 이러한 규격 변동에 따른 셋팅을 신속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수단이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점도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하우징의 위치를 정교하게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둘째, 바늘과 후크 끝단의 상대적 위치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셋팅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셋째, 바늘의 규격에 따라 셋팅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재봉기기의 본체에 고정되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동력축(1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재봉기기의 바늘을 따라 내려온 윗실이 형성하는 고리를 통과하여 윗실을 끌고가는 후크(44)가 구비된 후크바디(33), 및 후크바디(33)의 내부에 장착되며 밑실이 감겨진 실패 형상의 보빈(55)으로 구성되는 밑실공급장치의 하우징 장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후크바디(33)를 수용하며 후크바디(33)의 회전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100); 및, 재봉기기의 본체에 결합되는 본체결합편(210) 및 하우징(100)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하우징결합편(220)으로 이루어진 하우징장착브라켓(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결합편(220)에는 수평방향으로 상기 하우징(100)의 이동을 안내하는 하우징가이드돌기(230)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결합편(220)과 맞닿는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면에는 상기 하우징가이드돌기(230)를 수용하는 가이드돌기홈(110)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우징(100)의 위치를 정교하게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결합볼트(260)를 느슨하게 체결한 상태에서 조절볼트(250)를 돌려주면 하우징(100)이 하우징가이드돌기(230)를 따라 이동하게 되어 하우징(100)의 위치를 정밀하게 셋팅할 수 있는데, 하우징(100)의 위치가 셋팅되면 결합볼트(260)를 단단히 조여주면 된다.
둘째, 바늘과 후크 끝단의 상대적 위치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셋팅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초기 셋팅시 후크바디(33)와 맞물려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부(22)에 결합되는 동력축(11)을 고정하는 볼트를 느슨하게 풀어준 후 바늘의 위치를 먼저 설정한 후 하우징(100) 내부의 후크바디(33)를 회전시켜 하우징(100)에 새겨진 기준점표시(120)에 후크(44)의 끝단이 위치하도록 셋팅하고 동력축(11)을 고정하는 볼트를 다시 단단히 조여주면 된다. 아울러 재봉기기를 장기간 사용하여 후크(44)가 마모되면 이에 따라 바늘과 후크(44) 끝단의 상대적 위치(전후 방향의 거리)가 달라지게 되는데, 이를 보정하는 경우에는 동력축(11)을 고정하는 볼트를 풀어줄 필요가 없으며 단지 결합볼트(260)를 느슨하게 풀어준 다음 조절볼트(250)를 돌려주면 하우징(100)이 하우징가이드돌기(230)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바늘과 후크 끝단의 최적의 상대적 위치를 정밀하게 셋팅할 수 있는데, 하우징(100)의 위치가 셋팅되면 결합볼트(260)를 단단히 조여주면 된다.
셋째, 바늘의 규격에 따라 셋팅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만약 바늘의 규격이 달라지면 그에 따라 새로운 기준점표시로 후크(44)의 끝단이 옮겨지도록 다시 셋팅(좌우 방향 상대적 거리 조절)을 하게 되는데, 결합볼트(260)를 느슨하게 풀어준 다음 조절볼트(250)를 돌려 바늘과 후크(44)의 끝단의 전후 방향 거리가 최적의 상태가 되도록 셋팅 위치를 변경하여 윗실이 끼어 있는 바늘이 최저점을 지나면서 형성한 고리의 중앙에 후크(44)의 끝단이 통과하도록 하면 된다.
넷째, 하우징(100)을 수직방향 위치 조절도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하우징(100)과 하우징장착브라켓(200) 사이에 하우징상하조정판(150)이 구비되는 경우 하우징(100)의 수직방향 이동이 가능하여 하우징(100)의 수직방향 위치를 정확하게 셋팅할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밑실공급장치를 도시한다.
도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밑실공급장치의 구체적 실시예인데, 밑실공급장치의 구체적인 형상은 도2에 도시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재봉기기에 고정결합되는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후크바디(33)가 구비된 밑실공급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하나로 이해하면 된다.
도3은 하우징(100) 및 하우징장착브라켓(200)을 도시한다.
도4는 조절볼트(250)의 단면 구조를 도시한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7은 도6의 실시예에 제3하우징가이드돌기(156)와 제3가이드홈(116)이 추가된 경우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재봉기기의 본체에 고정되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동력축(1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재봉기기의 바늘을 따라 내려온 윗실이 형성하는 고리를 통과하여 윗실을 끌고가는 후크(44)가 구비된 후크바디(33), 및 후크바디(33)의 내부에 장착되며 밑실이 감겨진 실패 형상의 보빈(55)으로 구성되는 밑실공급장치의 하우징 장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우징 구조는 후크바디(33)를 수용하며 후크바디(33)의 회전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100); 및, 재봉기기의 본체에 결합되는 본체결합편(210) 및 하우징(100)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하우징결합편(220)으로 이루어진 하우징장착브라켓(200)으로 구성된다.
하우징장착브라켓(200)의 본체결합편(210)은 재봉기기의 본체에 부착되는 부분으로서 볼트 등의 방법으로 본체결합편(210)을 재봉기기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본체결합편(210)에서 연장된 부분이 하우징결합편(220)이 된다.
하우징장착브라켓(200)의 하우징결합편(220)은 하우징(100)의 외측면에 맞닿도록 하우징(100)의 외측면 형태와 대응하는 형태를 구비하고 있는데, 하우징결합편(220)에는 수평방향으로 하우징(100)의 이동을 안내하는 하우징가이드돌기(230)가 구비된다.
이러한 하우징결합편(220)과 맞닿는 하우징(100)의 외측면에는 하우징가이드돌기(230)를 수용하는 가이드돌기홈(110)이 구비되어 하우징가이드돌기(230)는 가이드돌기홈(110)에 수용된 상태에서 하우징(100)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결합볼트(260)는 하우징결합편(220)을 통과하여 하우징(100)에 체결되며 하우징(100)을 하우징장착브라켓(20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하우징결합편(220)에는 결합볼트(260)가 통과하는 구멍이 여유 있게 형성되어 하우징(100)의 위치가 변동되더라도 체결에 문제가 없도록 한다.
조절볼트(250)는 하우징(100)의 외측면과 맞닿는 하우징결합편(220)의 볼트수용홈(240)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제자리에서 회전하는데, 이러한 조절볼트(250)의 나사부(251) 일부가 볼트수용홈(240) 외부로 노출되어 하우징결합편(220)의 원호면 표면에서 일정 높이 돌출된다.
아울러 하우징결합편(220)과 맞닿는 하우징(100)의 외측면에는 조절볼트(250)의 돌출된 나사부(251)와 맞물리는 암나사부(130)가 구비된다. 따라서 결합볼트(260)를 느슨하게 체결한 상태에서 조절볼트(250)를 돌려주면 하우징(100)이 하우징가이드돌기(230)를 따라 이동하게 되어 하우징(100)의 위치를 정밀하게 셋팅할 수 있다. 하우징(100)의 위치가 셋팅되면 결합볼트(260)를 단단히 조여주면 된다.
또한 하우징(100)의 일측에는 후크(44)의 끝단 위치를 셋팅하는 기준이 되는 기준점표시(120)가 구비된다.
이러한 기준점표시(120)는 윗실을 물고 내려오는 바늘과 후크(44) 끝단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는 기준 역할을 하여 보다 편리하게 후크(44) 끝단 위치를 셋팅할 수 있다.
이러한 기준점표시(120)는 사용되는 바늘의 규격에 따라 바늘과 후크(44) 끝단의 상대적 위치가 달라짐을 고려하여 정밀하게 가공된 눈금이 음각 또는 양각으로 새겨진 형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준점표시(120)가 구비되면 초기 셋팅시 후크바디(33)와 맞물려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부(22)에 결합되는 동력축(11)을 고정하는 볼트를 느슨하게 풀어준 후 바늘의 위치를 먼저 설정한 후 하우징(100) 내부의 후크바디(33)를 회전시켜 하우징(100)에 새겨진 기준점표시(120)에 후크(44)의 끝단이 위치하도록 셋팅하고 동력축(11)을 고정하는 볼트를 다시 단단히 조여주면 된다.
아울러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결합편(220)에 결합되는 하우징(100)의 전후 방향 셋팅 위치를 확인하는 전후방향기준점표시(140)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하우징결합편(220)에 새겨진 인덱스(index)를 기준점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하우징결합편(220)의 전단면 또는 후단면을 기준점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도5의 경우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하우징결합편(220)의 양측 단면 자체가 하우징(100)의 수평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제1하우징가이드(235)가 되며, 별도의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하우징결합편(220)과 맞닿는 하우징(100)의 외측면에는 제1하우징가이드(235)를 수용하는 제1가이드홈(115)이 하우징결합편(220)의 크기 및 형태에 대응하도록 구비된다.
첨부도면에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5와 같은 제1하우징가이드(235)와 제1가이드홈(115)이 구비되는 경우에도 도3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필요에 따라 조절볼트(250), 기준점표시(120) 및 전후방향기준점표시(140)가 구비될 수 있다.
도6의 경우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하우징(100)과 하우징장착브라켓(200) 사이에 하우징상하조정판(150)이 구비되는 경우이다.
하우징상하조정판(150)에는 수직방향으로 길게 늘어진 슬로트홀(151)이 구비되어 하우징(100)의 수직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하우징상하조정판(150)은 슬로트홀(151)을 통과하여 하우징(100)에 체결되는 장착볼트(270)에 의하여 하우징(100)의 일측에 결합된다.
이러한 하우징상하조정판(150)의 상기 하우징(100)과 맞닿는 면에는 도7에 별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을 향하여 돌출된 제3하우징가이드돌기(156)가 구비되고, 하우징(100)의 하우징상하조정판(150)과 맞닿는 면에는 제3하우징가이드돌기(156)를 수용하는 제3가이드홈(116)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제3하우징가이드돌기(156)가 제3가이드홈(116)에 삽입되어 하우징(100)의 수직방향 이동을 보다 확실하게 가이드하게 된다.
하우징장착브라켓(200)은 재봉기기의 본체에 결합되는 본체결합편(210) 및 하우징상하조정판(150)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하우징결합편(220)으로 이루어지고, 결합볼트(260)는 하우징결합편(220) 및 하우징상하조정판(150)을 통과하여 하우징(100)에 체결되는데, 하우징결합편(220)과 하우징상하조정판(150)에는 결합볼트(260)가 통과하는 구멍이 여유있게 형성되어 하우징(100)의 위치가 변동되더라도 체결에 영향이 없도록 한다.
이 경우에도 하우징결합편(220)의 양측 단면 자체가 하우징(100)의 수평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제2하우징가이드(236)가 되며, 별도의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지 않는다.
이러한 하우징결합편(220)과 맞닿는 하우징상하조정판(150)의 외측면에는 제2하우징가이드(236)를 수용하는 제2가이드홈(155)이 구비되어 하우징(100)의 수평방향 이동시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된다.
상하방향기준점표시(160)는 하우징(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하우징상하조정판(150)에 결합되는 하우징(100)의 위치를 셋팅하는 기준으로 사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100:하우징
110:가이드돌기홈
115:제1가이드홈
116:제3가이드홈
120:기준점표시
130:암나사부
140:전후방향기준점표시
150:하우징상하조정판
151:슬로트홀
155:제2가이드홈
156:제3하우징가이드돌기
160:상하방향기준점표시
200:하우징장착브라켓
210:본체결합편
220:하우징결합편
230:하우징가이드돌기
235:제1하우징가이드
236:제2하우징가이드
240:볼트수용홈
250:조절볼트
251:나사부
260:결합볼트
270:장착볼트
11:동력축
22:회전부
33:후크바디
44:후크
55:보빈

Claims (8)

  1. 재봉기기의 본체에 고정되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동력축(1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재봉기기의 바늘을 따라 내려온 윗실이 형성하는 고리를 통과하여 윗실을 끌고가는 후크(44)가 구비된 후크바디(33), 및 후크바디(33)의 내부에 장착되며 밑실이 감겨진 실패 형상의 보빈(55)으로 구성되는 밑실공급장치의 하우징 장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후크바디(33)를 수용하며 후크바디(33)의 회전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100);
    재봉기기의 본체에 결합되는 본체결합편(210) 및 하우징(100)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하우징결합편(220)으로 이루어진 하우징장착브라켓(200); 및,
    상기 하우징결합편(220)을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100)에 체결되는 결합볼트(260);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결합편(220)에는 수평방향으로 상기 하우징(100)의 이동을 안내하는 하우징가이드돌기(230)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결합편(220)과 맞닿는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면에는 상기 하우징가이드돌기(230)를 수용하는 가이드돌기홈(11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실공급장치의 하우징 장착 구조.
  2. 재봉기기의 본체에 고정되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동력축(1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재봉기기의 바늘을 따라 내려온 윗실이 형성하는 고리를 통과하여 윗실을 끌고가는 후크(44)가 구비된 후크바디(33), 및 후크바디(33)의 내부에 장착되며 밑실이 감겨진 실패 형상의 보빈(55)으로 구성되는 밑실공급장치의 하우징 장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후크바디(33)를 수용하며 후크바디(33)의 회전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100);
    재봉기기의 본체에 결합되는 본체결합편(210) 및 하우징(100)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하우징결합편(220)으로 이루어진 하우징장착브라켓(200); 및,
    상기 하우징결합편(220)을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100)에 체결되는 결합볼트(26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결합편(220)의 양측 단면은 수평방향으로 상기 하우징(100)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하우징가이드(235)를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결합편(220)과 맞닿는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하우징가이드(235)를 수용하는 제1가이드홈(115)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실공급장치의 하우징 장착 구조.
  3. 재봉기기의 본체에 고정되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동력축(1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재봉기기의 바늘을 따라 내려온 윗실이 형성하는 고리를 통과하여 윗실을 끌고가는 후크(44)가 구비된 후크바디(33), 및 후크바디(33)의 내부에 장착되며 밑실이 감겨진 실패 형상의 보빈(55)으로 구성되는 밑실공급장치의 하우징 장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후크바디(33)를 수용하며 후크바디(33)의 회전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100);
    수직방향으로 길게 늘어진 슬로트홀(151)이 구비되고, 상기 슬로트홀(151)을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100)에 체결되는 장착볼트(270)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 결합되는 하우징상하조정판(150);
    재봉기기의 본체에 결합되는 본체결합편(210) 및 하우징상하조정판(150)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하우징결합편(220)으로 이루어진 하우징장착브라켓(200); 및,
    상기 하우징결합편(220) 및 상기 하우징상하조정판(150)을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100)에 체결되는 결합볼트(26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결합편(220)의 양측 단면은 수평방향으로 상기 하우징(100)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하우징가이드(236)를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결합편(220)과 맞닿는 상기 하우징상하조정판(150)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2하우징가이드(236)를 수용하는 제2가이드홈(155)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실공급장치의 하우징 장착 구조.
  4. 제1항에서,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면과 맞닿는 상기 하우징결합편(220)의 볼트수용홈(240)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조절볼트(250);
    가 구비되되,
    상기 조절볼트(250)의 나사부(251) 일부가 하우징결합편(220)의 표면에서 일정 높이 돌출되고,
    상기 하우징결합편(220)과 맞닿는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면에는 상기 조절볼트(250)의 돌출된 나사부(251)와 맞물리는 암나사부(130)가 구비되어 상기 결합볼트(260)를 느슨하게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조절볼트(250)를 돌려주면 상기 하우징(100)이 상기 하우징가이드돌기(230)를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실공급장치의 하우징 장착 구조.
  5.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는 후크(44)의 끝단 위치를 셋팅하는 기준이 되는 기준점표시(120);
    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실공급장치의 하우징 장착 구조.
  6.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는 상기 하우징결합편(220)에 결합되는 하우징(100)의 위치를 셋팅하는 기준이 되는 전후방향기준점표시(140);
    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실공급장치의 하우징 장착 구조.
  7. 제3항에서,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는 상기 하우징상하조정판(150)에 결합되는 하우징(100)의 위치를 셋팅하는 기준이 되는 상하방향기준점표시(160);
    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실공급장치의 하우징 장착 구조.
  8. 제3항에서,
    상기 하우징상하조정판(150)의 상기 하우징(100)과 맞닿는 면에는 상기 하우징(100)을 향하여 돌출된 제3하우징가이드돌기(156);
    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상기 하우징상하조정판(150)과 맞닿는 면에는 상기 제3하우징가이드돌기(156)를 수용하는 제3가이드홈(116);
    이 구비되어 상기 제3하우징가이드돌기(156)가 상기 제3가이드홈(116)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수직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실공급장치의 하우징 장착 구조.
KR20130036950A 2013-04-04 2013-04-04 밑실공급장치의 하우징 장착 구조 KR101492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6950A KR101492605B1 (ko) 2013-04-04 2013-04-04 밑실공급장치의 하우징 장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6950A KR101492605B1 (ko) 2013-04-04 2013-04-04 밑실공급장치의 하우징 장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719A KR20140120719A (ko) 2014-10-14
KR101492605B1 true KR101492605B1 (ko) 2015-02-11

Family

ID=51992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36950A KR101492605B1 (ko) 2013-04-04 2013-04-04 밑실공급장치의 하우징 장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26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5451B1 (ko) * 2017-06-19 2019-03-08 주식회사 마이크로코어 히치 스티치용 회전북통에 구비된 훅몸체의 회전축선과 동력전달회전부의 회전축선을 일치시키는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0481A (ja) * 1991-09-12 1993-03-23 Hitachi Chem Co Ltd ペプチドおよびその塩
JPH08280971A (ja) * 1995-04-20 1996-10-29 Juki Corp ボビン交換装置
JP2000176191A (ja) * 1998-12-17 2000-06-27 Juki Corp ミシンの釜体
JP2008017916A (ja) 2006-07-11 2008-01-31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ミシンのボビン交換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0481A (ja) * 1991-09-12 1993-03-23 Hitachi Chem Co Ltd ペプチドおよびその塩
JPH08280971A (ja) * 1995-04-20 1996-10-29 Juki Corp ボビン交換装置
JP2000176191A (ja) * 1998-12-17 2000-06-27 Juki Corp ミシンの釜体
JP2008017916A (ja) 2006-07-11 2008-01-31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ミシンのボビン交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719A (ko) 2014-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02094A1 (ja) ネジ供給器のネジ切出機構
US9217213B2 (en) Lower thread supply device for sewing machine
CN205394212U (zh) 自动纠偏装置
KR101492605B1 (ko) 밑실공급장치의 하우징 장착 구조
US10202716B2 (en) Sewing machine
JP2016146888A (ja) コードガイド機構および該コードガイド機構を備えたミシン
JP2009285464A (ja) シークイン供給部の移送装置
JP2008264065A (ja) 糸調子装置
US3793969A (en) Presser bar pressure control modules
CN104659957B (zh) 缝纫机直驱马达与磁性编码器同步化的装置
CN207984117U (zh) 模切机纠偏装置
JP2012521788A (ja) 糸巻き刺繍機用の給糸装置
US20070277716A1 (en) Thread tension mechanism and sewing machine
US4249428A (en) Cam follower with pivotally movable cam engagable shoe
TWM473407U (zh) 縫紉機直驅馬達與磁性編碼器同步化的裝置
US3721205A (en) Tension device for a sewing machine
JP2008132006A (ja) ミシン
JPH07284251A (ja) モータの回転角度検出用センサの位置調整装置
KR20040075880A (ko) 양말류 등의 편직기, 특히 환편기에 대해 스티치조임정도를 변경하는 장치
CN203645456U (zh) 缝纫机直驱马达与磁性编码器同步化的装置
JP2005000401A (ja) ミシンのかがり幅調整装置
CN203768622U (zh) 缝纫机穿线时的移开机构
CN220119011U (zh) 一种视觉传感器装置
KR101547772B1 (ko) 용접용 와이어 송급 장치
TWI611064B (zh) 縫紉機直驅馬達與磁性編碼器同步化的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