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2178B1 - 접힘 가능한 형태의 용기를 충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접힘 가능한 형태의 용기를 충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2178B1
KR101492178B1 KR20107006763A KR20107006763A KR101492178B1 KR 101492178 B1 KR101492178 B1 KR 101492178B1 KR 20107006763 A KR20107006763 A KR 20107006763A KR 20107006763 A KR20107006763 A KR 20107006763A KR 101492178 B1 KR101492178 B1 KR 101492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s
container
filling
web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7006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7670A (ko
Inventor
페르 구스타프손
Original Assignee
에코린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린 에이비 filed Critical 에코린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00057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7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2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2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26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26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 B65B43/267Opening of bags interconnected in a we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06Packaging groups of articles, the groups being treated as single articles
    • B65B5/061Filled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05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removing material by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 B65B61/0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12Feeding flexible bags or carton blanks in flat or collapsed state; Feeding flat bags connected to form a series or chain
    • B65B43/123Feeding flat bags connected to form a series or ch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46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46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grippers
    • B65B43/465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grippers f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9/00Arrangements to enable machines to handle articles of different sizes, to produce packages of different sizes, to vary the contents of packages, to handle different types of packaging material, or to give access for cleaning or maintenance purposes
    • B65B59/04Machines constructed with readily-detachable units or assemblies, e.g. to facilitate mainten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 Filling Of Jars Or Cans And Processes For Cleaning And Sealing Jar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힘 가능한 형태의 용기(2)들을 충전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서로 연결된 상태의 상기 용기(2)들을 포함하는 웹(10)을 제공하는 단계와, 용기(2)들을 제1 방향(P1)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상기 웹(10)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방향(P1)으로의 상기 이송 중에 충전 통로를 개방하기 위하여 각 용기(2)에 제공된 단부 밀봉부를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방향(P1)으로의 상기 이송 중에 용기(2)들을 서로 분리하는 단계와, 그 후에 상기 제1 방향(P1)을 가로지르는 제2 방향(P2)으로 용기(2)들을 이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방향(P2)으로의 이송 중에 각 용기(2)를 액상 제품으로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접힘 가능한 형태의 용기를 충전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접힘 가능한 형태의 용기를 충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FILLING OF CONTAINERS OF COLLAPSIBLE TYPE}
본 발명은 접힘 가능한 형태의 용기를 충전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로 연결된 복수의 용기와 같은 웹(web) 형태로 제공된 유형의 용기를 충전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접힘 가능한 형태의 용기 내에 액상 제품, 특히 물, 우유, 주스 또는 포도주와 같은 액상 식료품을 포장하는 것이 더욱 일반화되고 있다.
접힘 가능한 형태의 용기는, 가요성 벽(flexible wall)들에 의해 구획되는 격실을 구비하고 그 용적이 벽들의 상대 위치에 의존하는 용기를 의미한다.
서로 연결된 전술한 형태의 용기들이 보빈(bobbin) 상에 권취되어 이루어진 웹을 제조하는 방법과 충전 기계(filling machine) 내에 그러한 권취체(roll)를 배치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유형의 충전 기계는, 예를 들면 국제공개특허공보 WO 99/41149호에 의해 공지되어 있다. 이 문헌에는, 인출된 용기 소재의 웹을 충전 기계를 통해 공급하여, 순차적으로, 충전 통로(filling duct)를 개방하도록 절단하기 위한 스테이션(station)과, 각 용기를 충전하기 위한 스테이션과, 충전된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 스테이션에 이르게 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유형의 충전 기계에는 일반적으로 비교적 상당한 비용이 투자되므로, 설계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충전 능력이 우수한 충전 기계, 즉 단위 시간당 비교적 많은 개수의 용기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 기계가 필요하다.
전술한 바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접힘 가능한 형태의 용기를 충전하기 위한 개선된 방법과 개선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힘 가능한 유형의 용기의 충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과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기타 목적들 중 적어도 하나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에 기재된 특징을 가진 방법과 청구항 6에 기재된 특징을 가진 장치가 제안된다. 방법의 여러 실시 형태는 청구항 1의 종속항인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5에 명시되어 있고, 장치의 여러 실시 형태는 청구항 6의 종속항인 청구항 7에 명시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접힘 가능한 형태의 용기들을 충전하기 위하여, 서로 연결된 상태의 상기 용기들을 포함하는 웹을 제공하는 단계와, 웹의 종방향(longitudinal direction)일 수 있는 제1 방향으로 상기 웹을 공급하여 용기들을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이송 중에, 각 용기에 제공된 단부 밀봉부(end seal)가 제거되어 충전 통로(filling duct)가 개방되고, 용기들은 서로 분리된다. 후속 단계에서, 웹의 종방향에 대하여 횡방향(transverse direction)일 수 있고 상기 제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 방향으로 용기들이 이송된다.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송 중에, 각 용기는 액상 제품으로 충전된다.
따라서, 접힘 가능한 형태의 용기의 충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된다. 제1 방향으로의 용기의 이송 중에 상기 단부 밀봉부를 제거함으로써, 충전이 가능해지도록 회전 방식으로 밀봉 용기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제1 방향으로의 이송 중에, 용기들은 서로 분리된다. 이송 방향은 그 후에 횡방향인 제2 방향으로 변경된다. 접힘 가능한 형태의 용기는 충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횡방향으로 매우 작은 치수(extent)를 가지므로, 여러 단계들 사이에서 용기를 이송함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으로는 작은 이동 범위만이 필요할 뿐이다. 상기 제2 방향으로 이송 중의 공정들 중 하나는 용기의 충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웹은 권취체의 형태로 제공된다. 이는 충전되지 않는 용기의 합리적인 유통과 취급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2 방향으로 이송 중의 제2 공정은 충전된 용기의 충전 통로의 밀봉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접힘 가능한 형태의 용기들을 충전하기 위하여, 서로 연결된 상태의 상기 용기들로 형성된 웹을 공급하여 제1 방향으로 용기들을 이송하기 위한 제1 이송 유닛과, 상기 제1 이송 유닛으로부터 용기들을 수용하고 제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 방향으로 용기들을 이송하도록 배치된 제2 이송 유닛을 포함하는 장치를 또한 제안한다. 제1 이송 유닛은, 각 용기의 단부 밀봉부를 절단함으로서 충전 통로를 개방하는 절단 스테이션(cutting station)과, 용기들을 서로 분리시키도록 배치된 분리 스테이션을 포함한다. 제2 이송 유닛은, 용기들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 스테이션과, 충전된 각 용기의 충전 통로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 스테이션을 포함한다.
따라서, 접힘 가능한 형태의 용기의 충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치가 달성된다. 절단 스테이션은, 제1 이송 유닛에 의하여 웹의 종방향일 수 있는 제1 방향으로 용기가 이송되는 동안에, 상기 단부 밀봉부의 제거를 가능하게 하고, 그에 따라 충전이 가능하게 되도록 밀봉 용기를 회전 방식으로 개방할 수 있다. 용기들은 제1 방향으로의 이송 중에 용기들을 서로 분리하기 위한 분리 스테이션을 또한 통과한다. 용기들은 그 후에 제2 이송 유닛에 의해 처리되고 횡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송되며, 제2 방향은 웹의 종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일 수 있다. 접힘 가능한 형태의 용기들은 충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횡방향으로 매우 작은 치수를 가지므로, 여러 스테이션들 사이에 용기를 이송함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으로는 작은 이동 범위만이 필요할 뿐이다. 제2 방향으로의 경로를 따라서, 스테이션들 중 하나는 용기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스테이션이고, 또 다른 하나는 충전된 용기의 충전 통로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 스테이션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장치는 권취 상태의 상기 용기들의 웹으로 이루어진 권취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힘 가능한 형태의 용기의 충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방향으로의 용기의 이송 중에 상기 단부 밀봉부를 제거함으로써, 충전이 가능해지도록 회전 방식으로 밀봉 용기를 개방할 수 있다. 제1 방향으로의 이송 중에 용기들은 서로 분리되고, 그 후, 이송 방향은 횡방향인 제2 방향으로 변경된다. 접힘 가능한 형태의 용기는 충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횡방향으로 매우 작은 치수를 가지므로, 여러 단계들 또는 스테이션들 사이에서 용기를 이송함에 있어 상기 제2 방향으로는 작은 이동 범위만이 필요할 뿐이다. 따라서, 용기는 시간이 절약되도록 스테이션들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접힘 가능한 형태의 용기를 충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의 실시 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접힘 가능한 형태의 용기(2)를 충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장치(1)는, 주요 구성요소로서, 제1 이송 유닛(3)과 제2 이송 유닛(4)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장치(1)는 추가 유닛을 또한 포함할 수 있고,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장치는 수용 유닛(5), 버퍼 유닛(6) 및 방출 유닛(7)을 더 포함한다.
예시된 장치(1)는, 상기 수용 유닛(5) 내에 용기(2)를 수용하고 수용 유닛으로부터 버퍼 유닛(6)을 통해 제1 이송 유닛(3)으로 용기(2)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용기(2)는 그 후에 제2 이송 유닛(4)으로 전송된 다음에 최종적으로 방출 유닛(7)에 제공되며, 포장 장치(8)가 방출 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충전된 용기(2)를 상자와 같은 분배 유닛 내에 배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용 유닛(5)은, 복수의 용기(2)가 서로 연결된 상태로 형성된 웹(10)을 포함하는 권취체(roll)(도시 생략)를 수용하도록 배치된다.
각 용기(2)는 접힘 가능한 형태이고 측벽들에 의해 구획된 격실을 포함하며, 그 용적은 벽들의 상대 위치에 의존한다. 이러한 용기 형태는 "직립형 파우치(stand-up pouch)"라고도 불린다. 권취 상태에서 용기(2)는 밀봉되어 있는데, 다시 말하자면, 용기의 격실은 주위와 연통하지 않는다. 그 결과, 용기 제조 중에 용기의 격실을 멸균하는 것이 가능하고, 용기(2)의 권취체를 그러한 멸균 상태로, 예를 들어 낙농 공장(dairy plant)에 분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수용 유닛(5)은 용기(2)의 권취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회전 디스크(11)를 포함한다.
버퍼 유닛(6)은 용기의 이송 방향으로 수용 유닛(5)의 하류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버퍼 유닛(6)은 필요에 따라 수용 유닛(5)으로부터 인출되는 용기(2)의 웹(10)을 수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목적으로, 버퍼 유닛은 웹을 이송시키는 복수의 전향 롤러(deflection roller)(12)들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향 롤러(12)들 중 하나는 이동 가능하며, 이동 가능한 전향 롤러의 이동에 의하여, 버퍼 유닛(6)을 통해 웹(10)이 이송되는 거리는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제1 이송 유닛(3)은 버퍼 유닛(6)의 하류에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이송 유닛(3)은 용기(2)의 웹(10)을 제1 방향(P1)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제1 이송 유닛(3)은 웹(10)의 종방향에 해당하는 상기 제1 방향(P1)으로의 웹(10)의 선형적 공급(linear feeding)을 위하여 배치된다.
상기 제1 이송 유닛(3)은 상기 웹(10)을 상기 제1 방향(P1)으로 연속적으로 또는 단속적으로 공급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이송 유닛(3)이 웹(10)을 단속적으로 공급하도록 배치된 경우에, 도시된 실시 형태의 경우와 같이, 이송 유닛(3)은 웹(10)을 파지하도록 구성된 파지 수단(gripping means)(13)을 포함할 수 있다. 파지 수단(13)은 열림 위치(open position)와 닫힘 위치(closed position) 사이에서 작동 가능하고 왕복 운동을 실시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파지 수단(13)은 웹(10)의 상측 부분을 파지하기 위한 닫힘 위치를 취하도록 작동된 후에 웹(10)의 공급을 위하여 상기 제1 방향(P1)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그 후에, 파지 수단(13)은 열림 위치를 취하도록 작동하고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되며, 그 후에 사이클이 반복된다.
제1 이송 유닛(3)은 용기를 절단 스테이션(14)으로 이송하도록 배치되고, 절단 스테이션은 각 용기(2)의 충전 통로의 단부 밀봉부를 제거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단부 밀봉의 제거에 의하여, 충전 통로를 통하여 용기(2)와 주위 사이의 연통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목적으로, 절단 스테이션(14)은 고정형 절단기 요소(도시 생략)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절단기 요소는 웹(10)의 공급 중에 웹(10)과 접촉하여 상측 스트립(top strip)을 절단하도록 구성된다. 상측 스트립은 여러 용기(2)의 충전 통로에 제공된 단부 밀봉부를 포함한다.
또한, 제1 이송 유닛(3)은 용기(2)의 웹을 분리 스테이션(15)으로 이송하도록 배치되며, 분리 스테이션은 용기(2)들을 서로 분리시키도록 배치된다. 분리 스테이션(15)은 절단기 요소(도시 생략)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요소는 분리 스테이션(15)에 도달한 용기의 웹(10)의 일부와 접촉하도록 이동하여 용기(2)들을 분리하도록 구성된다.
용기(2)의 웹이 단속적으로 공급되는 경우에, 절단기 요소는 웹(10)이 이동하지 않을 때에 웹(10)과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는데, 제1 이송 유닛(3)이 후퇴 운동(retracting motion)을 실행하기 위하여 웹(10)을 해방할 때에는 웹이 이동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제1 이송 유닛(3)은 서로 분리된 용기(2)를 픽업 위치(pick-up position)로 이송하도록 배치되며, 픽업 위치에서 용기(2)는 제2 이송 유닛(4)에 의해 처리된다.
따라서, 제2 이송 유닛(4)은 제1 이송 유닛(3)의 하류에 배치된다.
또한, 제2 유송 유닛(4)은 상기 제1 방향(P1)을 가로지르는 2 방향(P2)으로 용기(2)를 이송하도록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이송 유닛(4)은 상기 용기(2)를 충전 스테이션(16)과 밀봉 스테이션(17)으로 이송하도록 배치된다.
충전 스테이션(16)은 각 용기(2)의 해당 충전 통로를 통하여 용기를 충전하도록 배치된다. 밀봉 스테이션(17)은 충전이 완료된 후에 각 충전 통로를 밀봉하도록 배치된다.
제2 이송 유닛(4)은 용기(2)를 추가 스테이션에 이송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충전 스테이션의 상류에 개방 스테이션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개방 스테이션은 각 용기의 측벽 부분들을 분리하여 충전 통로를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후속 충전 스테이션(16)에서의 용기 충전 시에 충전 통로 내로 충전 튜브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한다. 또한, 각 용기의 손잡이 부분(handle portion)의 가스 충전을 위한 스테이션이 제공될 수도 있다.
제2 이송 유닛(4)은 상기 제2 방향(P2)으로 용기(2)의 단계적 공급(stepwise feeding)을 위하여 배치될 수도 있으며, 하나의 단계는 하나의 스테이션으로부터 다음 스테이션으로의 이동에 해당한다.
제2 이송 유닛(4)은 동일 단계에서 복수의 용기(2)를 처리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제2 이송 유닛(4)은 용기(2)를 세 개의 그룹으로 처리한다.
제2 이송 유닛(4)은, 각 용기(2)가 스테이션에 도달 시에 상측으로 향한 운동 성분(component of movement)을 가지도록, 곡선 이동 경로를 따라 스테이션들 사이에 용기(2)를 이송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용기(2)를 스테이션과 결합(docking)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제2 이송 유닛(4)은 회전형 장착부(rotatable mount)에 편심 지지된 지지 구조체(18)를 포함한다. 지지 구조체(18)는 복수의 핀칭 수단(pinching means)(19)을 구비한다. 상기 장착부의 회전에 의하여, 지지 구조체(18)와 그에 따라 각 핀칭 수단(19)에 원 운동이 부여된다. 각 핀칭 수단(19)은 용기(2)를 세 개의 그룹으로 처리하도록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핀칭 수단(19)은 반시계 방향의 원 운동이 부여되도록 배치되고, 용기(2)는 9시 방향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핀칭 수단(19)에 의해 파지되고 곡선 이동 경로를 따라 이송되고 3시 방향에 해당하는 위치의 해당 스테이션에 도달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용기의 단계적 공급 및 각 스테이션에 용기(2)의 도달 시의 수직 운동 성분이 얻어진다.
제2 이송 유닛(4)은, 충전과 밀봉이 이루어진 용기(2)를 최종적으로 전달 위치(delivery position)로 이동시키도록 배치되며, 전달 위치에서 방출 유닛(discharge unit)(7)이 용기(2)의 처리를 담당한다. 이 방출 유닛(7)은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는데,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는 수평형의 8각형 인덱싱 휠(indexing wheel)(20)로 이루어지며, 각 측부 가장자리는 전달 위치로 이송된 한 그룹의 용기(2)를 처리하도록 배치된다. 그러나, 방출 유닛(7)의 다른 설계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방출 유닛은 전술한 제1 이송 유닛(4)의 파지 수단(13)과 유사한 장치에 의하여 예를 들면 제1 방향(P1)과 평행한 방향으로 용기(2)를 공급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인덱싱 휠(20)은, 포장 장치(8)가 용기(2)를 파지하여 상자(9) 내에 배치하는 위치로, 여러 그룹의 용기(2)를 이송하도록 단계적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접힘 가능한 형태의 용기(2)를 충전하기 위한 장치(1)가 달성된다. 장치(1)는 용기(2)를 제1 방향(P1)으로 이송한 후에 제1 방향(P1)을 가로지르는 제2 방향(P2)으로 이송하도록 배치된다. 용기를 서로 다른 P1과 P2의 방향으로 이송함으로써, 용기(2)를 충전하는 데에 필요한 여러 공정들을 최적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서로 연결되고 밀봉된 용기(2)의 웹(10)은 권취체 형태로 제공되고, 장치(1)는 권취체로부터 인출된 웹(10)을 웹(10)의 종방향에 해당하는 제1 방향(P1)으로 이송하기 위한 제1 이송 유닛(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이송 중에, 용기(2)는 각 용기(2)의 충전 통로의 단부 밀봉부를 제거하도록 배치된 절단 스테이션(14)을 통과한다. 상기 제1 방향(P1)으로의 웹(10)의 선형적 공급을 이용함으로써, 절단 스테이션(14)은 상기 단부 밀봉부의 제거를 비교적 용이하게 실행하게 된다.
상기 제1 방향(P1)으로의 이송 중에, 용기(2)들은 분리 스테이션(15)을 또한 통과하여 서로 분리된다.
용기(20)들은 서로 분리되면 픽업 위치로 이동하고, 이 위치에서 제2 이송 유닛(4)이 용기(2)의 처리를 담당한다.
제2 이송 유닛(4)은 상기 제1 방향(P1)을 가로지르는 제2 방향(P2)으로 용기(2)를 이송하도록 배치된다. 용기(2)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 스테이션(16)과 하나의 밀봉 스테이션(17)으로 단계적으로 이송된다. 따라서, 제2 이송 유닛(4)은 용기(2)가 횡방향으로 이송되도록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용기(2)는 접힘 가능한 형태이고, 따라서 충전 전에 편평한 상태일 수 있다. 용기(2)의 횡방향 이동에 의하여, 즉 충전되지 않은 용기가 매우 작은 치수를 가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각 용기(2)가 스테이션들 중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이동하여야 하는 거리는 최소화된다. 그 이유는, 용기(2)의 그러한 이송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더 작은 거리는 존재할 수 없기 때문이다. 용기(2)를 스테이션들 중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이송시키는 데에 필요한 횡방향 이동 거리가 짧기 때문에, 용기(2)는 시간이 절약되는 방식으로 스테이션들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 형태로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여러 변형 형태 및 변경 형태가 가능하며,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7)

  1. 접힘 가능한 형태의 용기(2)들을 충전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서로 연결된 상태의 상기 용기(2)들을 포함하는 웹(10)(web)을 제공하는 단계와,
    용기(2)들을 제1 방향(P1)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웹(10)을 공급함으로써, 용기(2)들을 상기 제1 방향(P1)으로 향하게 한 상태로 상기 웹(10)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방향(P1)으로의 이송 중에, 각 용기(2)에 제공된 단부 밀봉부를 제거하여 충전 통로를 개방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방향(P1)으로의 이송 중에, 용기(2)들을 서로 분리하는 단계와,
    그 후에, 상기 제1 방향(P1)으로 용기(2)들의 방향을 유지하면서, 제1 방향(P1)을 가로지르는 제2 방향(P2)으로 용기(2)들을 이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방향(P2)으로의 이송 중에, 각 용기(2)를 액상 제품으로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충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10)은 권취체 형태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충전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P2)으로의 이송 중에, 각 용기(2)의 충전 통로를 밀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충전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P1)은 웹(10)의 종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충전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P2)은 상기 웹(10)의 종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충전 방법.
  6. 접힘 가능한 형태의 용기(2)들을 충전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용기(2)들을 제1 방향(P1)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서로 연결된 상태의 상기 용기(2)들로 형성된 웹(10)(web)을 공급하되, 용기(2)들이 상기 제1 방향(P1)으로 향하게 한 상태로 상기 웹(10)을 공급하도록 배치된 제1 이송 유닛(3)과,
    상기 제1 이송 유닛(3)으로부터 용기(2)들을 수용하고, 제1 방향(P1)을 가로지르는 제2 방향(P2)으로 용기(2)들을 이송하도록 배치된 제2 이송 유닛(4)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이송 유닛(3)은
    용기(2)들을 서로 분리하도록 배치된 분리 스테이션(15)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이송 유닛(4)은
    용기(2)들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 스테이션(16)과,
    충전된 각 용기(2)의 충전 통로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 스테이션(17)을 포함하는 용기 충전 장치에 있어서,
    제1 이송 유닛(3)은, 각 용기(2)의 단부 밀봉부를 제거함으로써 각 용기(2)의 충전 통로를 개방하도록 배치된 절단 스테이션(14)을 더 포함하고,
    제2 이송 유닛(4)은 상기 제1 방향(P1)으로 용기(2)들의 방향을 유지하면서 상기 제2 방향(P2)으로 용기(2)들을 이송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충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권취된 상태의 상기 용기(2)들의 웹(10)으로 형성된 권취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유닛(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충전 장치.
KR20107006763A 2007-09-28 2008-09-26 접힘 가능한 형태의 용기를 충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4921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0702169A SE0702169L (sv) 2007-09-28 2007-09-28 Metod och anordning för fyllning av förpackningar av kollapsande slag
SE0702169-4 2007-09-28
PCT/SE2008/051085 WO2009041908A1 (en) 2007-09-28 2008-09-26 Method and device for filling of containers of collapsible ty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7670A KR20100057670A (ko) 2010-05-31
KR101492178B1 true KR101492178B1 (ko) 2015-02-10

Family

ID=40404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7006763A KR101492178B1 (ko) 2007-09-28 2008-09-26 접힘 가능한 형태의 용기를 충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8726617B2 (ko)
EP (1) EP2193083B1 (ko)
JP (1) JP5199372B2 (ko)
KR (1) KR101492178B1 (ko)
CN (1) CN101808906B (ko)
AU (1) AU2008305798B2 (ko)
BR (1) BRPI0817251B1 (ko)
CA (1) CA2699130C (ko)
DK (1) DK2193083T3 (ko)
EA (1) EA016433B1 (ko)
ES (1) ES2576648T3 (ko)
HK (1) HK1144273A1 (ko)
HU (1) HUE029318T2 (ko)
MX (1) MX2010003386A (ko)
MY (1) MY153483A (ko)
NZ (1) NZ584242A (ko)
PL (1) PL2193083T3 (ko)
SE (1) SE0702169L (ko)
UA (1) UA97694C2 (ko)
WO (1) WO20090419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75865B2 (en) 2011-03-09 2014-11-04 Tension International, Inc. Linear dispensing system with universal escapement
ITBO20130390A1 (it) * 2013-07-23 2015-01-24 Azionaria Costruzioni Acma Spa Macchina e metodo per il confezionamento di capsule.
DE102013020895A1 (de) * 2013-12-11 2015-06-11 Giesecke & Devrient Gmbh Eingabemodul und Verfahren zum Zuführen von Wertdokumenten zu einer Wertdokumentbearbeitungsvorrichtung sowie System zur Bearbeitung von Wertdokumenten
KR102418304B1 (ko) * 2014-09-01 2022-07-06 아이.엠.에이. 인듀스트리아 마친 오토메티크 에스.피.에이. 캐로셀에 파우치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FR3059448B1 (fr) * 2016-11-29 2019-05-17 Wid Systeme de gestion, installation et procede de montage associes
WO2019034351A1 (en) * 2017-08-15 2019-02-21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FEEDING DEVICE
US11878826B2 (en) * 2019-11-28 2024-01-23 Norden Machinery Ab Tube filling machin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400A (ko) * 2002-01-30 2003-08-06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미세 분말체의 충전 방법 및 충전 장치
KR20050107744A (ko) * 2003-01-24 2005-11-15 크라프트 푸즈 알앤디, 인크. 음료의 조제를 위한 카트리지 및 방법
KR20070054202A (ko) * 2004-09-14 2007-05-28 도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컵형 용기의 살균 충전 방법, 그 장치, 그 장치에 의해제조된 컵형 용기에 포장된 음료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70549A (en) * 1966-12-01 1968-02-27 Bartelt Engineering Co Inc Transfer apparatus
US3789574A (en) * 1971-04-12 1974-02-05 Gen Films Inc Packaging machine
DE2147660A1 (de) * 1971-09-24 1973-03-29 Hesser Ag Maschf Beutelherstell- und fuellmaschine
CH566895A5 (ko) * 1973-03-30 1975-09-30 Indag Gmbh
DE2658294C2 (de) * 1976-12-22 1984-04-12 Windmöller & Hölscher, 4540 Lengerich Vorrichtung zum Vereinzeln und Zuführen von mit Haltebändern in einer Schuppenbandrolle gespeicherten flachen Gegenständen zu nachfolgenden Stationen
JPS5984701A (ja) * 1982-10-28 1984-05-16 株式会社 古川製作所 袋を使用する包装方法
JPS6023102A (ja) * 1983-07-15 1985-02-05 内田 卓也 袋への連続包装方法
US5058364A (en) * 1990-07-27 1991-10-22 Klockner-Bartelt, Inc. Packaging machine adapted to convert pouches from edgewise advance to broadwise advance
ES2098169B1 (es) * 1991-07-15 1999-04-01 Batalla Teruel Carlos Dispositivo de transferencia posicional multiple para maquinas envasadoras de sobres.
US5337539A (en) * 1992-08-25 1994-08-16 Drake & Dipello, Inc. Method of producing flexible suspendible pouches and pouch produced therefrom
US5768856A (en) * 1995-12-07 1998-06-23 Ostma Maschinenbau Gmbh Loading a plurality of packages into a box
SE513561C2 (sv) 1998-02-17 2000-10-02 Eco Lean Ab Behållare, sätt och anordning för att framställa en behållare samt sätt och anordning för att fylla en behållare
SE520351C2 (sv) * 1998-02-17 2003-07-01 Eco Lean Res & Dev As Fyllmetod och fyllanordning
DK174262B1 (da) * 1998-04-21 2002-10-21 Schur Packaging Systems As Fremgangsmåde og anlæg til pakning af emner i folieposer, apparat til udøvelse af fremgangsmåden samt emballageemne til anvendelse ved fremgangsmåden i apparatet
US6138439A (en) * 1999-05-21 2000-10-31 Illinois Tool Works Inc. Methods of making slide-zippered reclosable packages on horizontal form-fill-seal machines
ES2156748B1 (es) * 1999-08-10 2002-02-01 Volpak Sa Dispositivo de transferencia de bolsas para maquinas envasadoras automaticas.
ES2156563B1 (es) * 1999-08-10 2002-02-01 Volpak Sa Maquina envasadora automatica.
DE19952006A1 (de) * 1999-10-28 2001-05-10 Indag Gmbh Verfahren zum Handhaben von Standboden-Beuteln
US20030102200A1 (en) * 2001-12-04 2003-06-05 Chauhan Vijay Conveying machines
ES2226518B1 (es) * 2002-02-20 2006-06-01 Volpak, S.A. Maquina envasadora automatica.
JP2004244085A (ja) * 2003-02-17 2004-09-02 Toyo Jidoki Co Ltd 製袋包装機
US7469522B2 (en) * 2006-04-08 2008-12-30 Scholle Corporation Flexible container forming and filling apparatus
US7464804B2 (en) * 2006-07-20 2008-12-16 Baxter International Inc. Automatic pallet loader system and method
US20090056281A1 (en) * 2007-08-27 2009-03-05 Pouch Pac Innovations, Llc Shaped Flexible Pouch With Elongated Neck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0090241472A1 (en) * 2008-03-03 2009-10-01 Lindee Scott A Food Patty Combining and Loading System
US7856797B2 (en) * 2008-04-03 2010-12-28 Arm Automation, Inc. Automated collector device and methods
US7908829B2 (en) * 2008-07-02 2011-03-22 New Beginnings Contract Packaging Llc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squeezable flexible packag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400A (ko) * 2002-01-30 2003-08-06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미세 분말체의 충전 방법 및 충전 장치
KR20050107744A (ko) * 2003-01-24 2005-11-15 크라프트 푸즈 알앤디, 인크. 음료의 조제를 위한 카트리지 및 방법
KR20070054202A (ko) * 2004-09-14 2007-05-28 도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컵형 용기의 살균 충전 방법, 그 장치, 그 장치에 의해제조된 컵형 용기에 포장된 음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E531358C2 (sv) 2009-03-10
HUE029318T2 (en) 2017-02-28
CA2699130C (en) 2015-07-14
JP2010540367A (ja) 2010-12-24
MY153483A (en) 2015-02-13
MX2010003386A (es) 2010-05-17
BRPI0817251A2 (pt) 2015-06-16
US8726617B2 (en) 2014-05-20
EP2193083A4 (en) 2014-01-08
BRPI0817251B1 (pt) 2019-08-20
AU2008305798B2 (en) 2013-03-28
PL2193083T3 (pl) 2016-09-30
ES2576648T3 (es) 2016-07-08
CN101808906A (zh) 2010-08-18
DK2193083T3 (en) 2016-06-27
EA016433B1 (ru) 2012-04-30
JP5199372B2 (ja) 2013-05-15
CN101808906B (zh) 2013-08-07
KR20100057670A (ko) 2010-05-31
UA97694C2 (ru) 2012-03-12
AU2008305798A1 (en) 2009-04-02
WO2009041908A1 (en) 2009-04-02
CA2699130A1 (en) 2009-04-02
US20100199612A1 (en) 2010-08-12
EA201070406A1 (ru) 2010-08-30
HK1144273A1 (en) 2011-02-11
SE0702169L (sv) 2009-03-10
EP2193083A1 (en) 2010-06-09
NZ584242A (en) 2012-08-31
EP2193083B1 (en) 2016-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2178B1 (ko) 접힘 가능한 형태의 용기를 충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21185115A (ja) 搬送方法および搬送装置
AU2008305799B2 (en) Device and method for filling of a container
AU201623247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lling a pouch type package
JP2001171602A (ja) 外側コンテナ内にバッグを挿入する装置
EP3315425A1 (en) Film fitting head
EP267689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rod-shaped articles
US20130298500A1 (en) Device and method for overwrapping identical or similar products and boxing the overwrapped products
WO2007020401A1 (en) Packaging process and containers formed thereby
US20070044436A1 (en) Equipment and method for the packaging of packets of products in bags
JP2010505707A (ja) 包装品のグループを形成する装置
WO2023048175A1 (ja) 包装袋連続体を使用した給袋方法
WO2023048176A1 (ja) 給袋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給袋包装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