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2049B1 - 전선 대 기판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선 대 기판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2049B1
KR101492049B1 KR20130038908A KR20130038908A KR101492049B1 KR 101492049 B1 KR101492049 B1 KR 101492049B1 KR 20130038908 A KR20130038908 A KR 20130038908A KR 20130038908 A KR20130038908 A KR 20130038908A KR 101492049 B1 KR101492049 B1 KR 101492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receptacle
housing
fitting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38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9863A (ko
Inventor
테츠 우라노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19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9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2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2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전선 대 기판 커넥터의 불확실한 끼워맞춤을 회피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플러그 하우징(8)에는,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로크편(17)이 형성되어 있다. 각 로크편(17)은,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부(20)와, 아암부(20)의 끼워맞춤 방향의 선단부(20a)에 형성된 클로부(21)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4)는, 플러그 커넥터(4)의 한 쌍의 로크편(17)이 리셉터클 커넥터(6)를 감싸안음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6)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6)는, 리셉터클 하우징(10)을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5)에 고정시키기 위한 보조 금구(11)를 갖는다. 리셉터클 하우징(10)의 측벽(32)에는, 보조 금구(11)를 리셉터클 하우징(10)에 부착하기 위한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5)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틈(g)이 형성되어 있다. 보조 금구(11)는, 틈(g)을 메우는 틈 메움부(65)를 갖고 있다.

Description

전선 대 기판 커넥터{WIRE-TO-BOARD CONNECTOR}
본 발명은, 전선 대 기판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기술로서, 특허문헌 1(일본공개특허공보 2010-267411호)은, 플렉시블 케이블(500)의 단부(端部)에 형성된 단자부(501)를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502)의 케이블 삽입구(503)에 삽입하면, 케이블 삽입구(503)의 상측에 병설된 복수의 커넥터 핀(504)이 단자부(501)에 접속되도록 구성된 플렉시블 케이블 접속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502)의 좌우 측면의 체결홈(505)에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502)를 프린트 기판에 체결하기 위한 금속제의 L자 형상 브래킷(506)이 압입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10-267411호
그런데, 본원 발명의 발명자는, 케이블측의 플러그 커넥터가 기판측의 리셉터클(receptacle) 커넥터를 좌우로부터 감싸안는 형식의 전기 커넥터를 개발하고 있다. 이 전기 커넥터에서는, 선단에 클로(claw)가 형성된 아암을 플러그 커넥터에 설치하고 있다.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춤시킬 때, 클로가 리셉터클 커넥터의 좌우 측면에 접촉함으로써 아암이 휘고, 클로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좌우 측면 상을 슬라이드한다. 그리고, 클로가 리셉터클 커넥터의 좌우 측면을 타고 넘으면, 아암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클로가 리셉터클 커넥터의 배면측으로 탄성 변위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502)를 유용(流用)하고자 하면,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502)의 좌우 측면에 형성된 체결홈(505)의 존재에 의해, 클로가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502)의 좌우 측면을 타고 넘기 전에, 아암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클로가 체결홈(505) 내로 탄성 변위한다. 따라서, 작업자에게 있어서는, 아암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클로가 체결홈(505) 내로 탄성 변위했을 때에, 클로가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502)의 배면측으로 탄성 변위한 것으로 오해해 버린다. 그리고, 이 오해는, 전기 커넥터의 불확실한 끼워맞춤을 초래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선 대 기판 커넥터의 불확실한 끼워맞춤을 회피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의하면, 전선을 지지(holding)하는 플러그 하우징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전선에 대응하는 리셉터클 콘택트와,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를 지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을 갖고, 기판의 커넥터 탑재면에 탑재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끼워맞춤시킴으로써, 상기 전선이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와 도통하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로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끼워맞춤시키는 방향으로서의 끼워맞춤 방향은,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대하여 평행이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는, 상기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로크편이 형성되어 있고, 각 로크편은, 상기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부와, 상기 아암부의 상기 끼워맞춤 방향의 선단부에 형성된 클로부(claw portion)를 갖고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상기 한 쌍의 로크편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를 감싸안음으로써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을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보조 금구를 갖고,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측벽에는, 상기 보조 금구를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에 부착하기 위한,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 금구는, 상기 틈을 메우는 틈 메움부를 갖고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금구는, 상기 틈 메움부와,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상기 측벽 내에 지지되는 하우징 피(被)지지부와,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고정되는 기판 피고정부와, 상기 하우징 피지지부와 상기 기판 피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고,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상기 측벽의 상기 틈은, 상기 보조 금구를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상기 측벽에 부착할 때에, 상기 연결부가 통과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금구는, 상기 하우징 피지지부의 상기 끼워맞춤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서의 반(反)끼워맞춤 방향측의 단부에 접속함과 함께 되접혀 형성되는 제1 되접힘부를 갖고, 상기 틈 매움부는, 상기 제1 되접힘부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 피지지부에 지지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되접힘부는,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상기 측벽보다도 상기 반끼워맞춤 방향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금구는, 상기 제1 되접힘부에 접속함과 함께, 상기 틈을 걸치도록 상기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교 가이드부를 추가로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금구는, 상기 가교 가이드부의 상기 끼워맞춤 방향측의 단부에 접속함과 함께, 되접혀 형성되는 제2 되접힘부와, 상기 제2 되접힘부에 접속함과 함께, 상기 반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부를 갖고,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상기 측벽에는, 상기 보조 금구의 상기 걸림부가 삽입되는 걸림부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틈 메움부는, 상기 가교 가이드부에 접속되어 있다.
본원 발명의 제2 관점에 의하면, 전선을 지지하는 플러그 하우징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전선에 대응하는 리셉터클 콘택트와,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를 지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을 갖고, 기판의 커넥터 탑재면에 탑재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끼워맞춤시킴으로써, 상기 전선이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와 도통하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로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끼워맞춤시키는 방향으로서의 끼워맞춤 방향은,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대하여 평행이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는, 상기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로크편이 형성되어 있고, 각 로크편은, 상기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부와, 상기 아암부의 상기 끼워맞춤 방향의 선단부에 형성된 클로부를 갖고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상기 한 쌍의 로크편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를 감싸안음으로써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을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보조 금구를 갖고,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측벽에는, 상기 보조 금구를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에 부착하기 위한,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 금구는, 상기 틈을 걸치도록 연장되는 가교부를 추가로 갖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금구는, 상기 가교부와,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상기 측벽 내에 지지되는 하우징 피지지부와,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고정되는 기판 피고정부와, 상기 하우징 피지지부와 상기 기판 피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고,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상기 측벽의 상기 틈은, 상기 보조 금구를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상기 측벽에 부착할 때에, 상기 연결부가 통과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의 제3 관점에 의하면, 전선을 지지하는 플러그 하우징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전선에 대응하는 리셉터클 콘택트와,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를 지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을 갖고, 기판의 커넥터 탑재면에 탑재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끼워맞춤시킴으로써, 상기 전선이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와 도통하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로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끼워맞춤시키는 방향으로서의 끼워맞춤 방향은,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대하여 평행이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는, 상기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로크편이 형성되어 있고, 각 로크편은, 상기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부와, 상기 아암부의 상기 끼워맞춤 방향의 선단부에 형성된 클로부를 갖고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상기 한 쌍의 로크편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를 감싸안음으로써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을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보조 금구를 갖고,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측벽에는, 상기 보조 금구를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에 부착하기 위한,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 금구는, 상기 틈을 덮어 감추는 틈 커버부를 추가로 갖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금구는, 상기 틈 커버부와,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상기 측벽 내에 지지되는 하우징 피지지부와,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고정되는 기판 피고정부와, 상기 하우징 피지지부와 상기 기판 피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고,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상기 측벽의 상기 틈은, 상기 보조 금구를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상기 측벽에 부착할 때에, 상기 연결부가 통과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상기 틈이 메워져 있기 때문에, 각 로크편의 상기 클로부가 상기 끼워맞춤 방향으로 매끄럽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각 로크편의 상기 클로부가 상기 끼워맞춤 방향으로 진행할 때에 있어서 특별한 위화감이 없기 때문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의 불확실한 끼워맞춤이 회피된다.
도 1은 기판에 탑재된 리셉터클 커넥터에, 전선이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를 대향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2는 기판에 탑재된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전선이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의 끼워맞춤의 도중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3은 기판에 탑재된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전선이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의 끼워맞춤의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4는 플러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5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6은 리셉터클 하우징의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7은 리셉터클 하우징의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8은 도 6의 A부 확대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9는 도 8의 일부 단면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0은 도 7의 B부 확대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1은 보조 금구의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2는 보조 금구의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3은 보조 금구의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4는 리셉터클 콘택트의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5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6은 리셉터클 커넥터의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7은 도 15의 C부 확대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8은 도 16의 D부 확대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9는 도 3의 E부 확대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20은 리셉터클 커넥터의 평면도이다(제2 실시 형태).
도 21은 도 20의 F부 확대도이다(제2 실시 형태).
도 22는 리셉터클 하우징의 사시도이다(제3 실시 형태).
도 23은 리셉터클 하우징의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제3 실시 형태).
도 24는 리셉터클 하우징의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제3 실시 형태).
도 25는 도 22의 G부 확대도이다(제3 실시 형태).
도 26은 도 23의 H부 확대도이다(제3 실시 형태).
도 27은 도 24의 J부 확대도이다(제3 실시 형태).
도 28은 보조 금구의 사시도이다(제3 실시 형태).
도 29는 보조 금구의 평면도이다(제3 실시 형태).
도 30은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시도이다(제3 실시 형태).
도 31은 도 30의 K부 확대도이다(제3 실시 형태).
도 32는 리셉터클 하우징의 사시도이다(제4 실시 형태).
도 33은 리셉터클 하우징의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제4 실시 형태).
도 34는 도 32의 L부 확대도이다(제4 실시 형태).
도 35는 도 33의 M부 확대도이다(제4 실시 형태).
도 36은 보조 금구의 사시도이다(제4 실시 형태).
도 37은 보조 금구의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제4 실시 형태).
도 38은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시도이다(제4 실시 형태).
도 39는 도 38의 N부 확대도이다(제4 실시 형태).
도 40은 특허문헌 1의 도 1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제1 실시 형태)
이하, 도 1∼도 19를 참조하여, 본원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도 3에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1)를 이용하여 복수의 전선(2)을 기판(3)에 접속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선 대 기판 커넥터(1)는, 복수의 전선(2)을 지지하는 플러그 커넥터(4)와,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5)에 탑재되는 리셉터클 커넥터(6)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4)는,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7)와, 플러그 하우징(8)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7)는, 복수의 전선(2)의 단부에 각각 부착되는 것이다. 플러그 하우징(8)은,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7)를 지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플러그 하우징(8)은, 복수의 전선(2)을 지지하고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6)는, 복수의 리셉터클 콘택트(9)와, 리셉터클 하우징(10)과, 한 쌍의 보조 금구(11)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리셉터클 콘택트(9)는, 복수의 전선(2)에 대응하고 있다. 리셉터클 하우징(10)은, 복수의 리셉터클 콘택트(9)를 지지하는 것이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전선(2)은, 서로 묶여 있지 않은 단선(單線) 또는 연선이다. 이를 대신하여, 복수의 전선(2)은, 플랫 케이블로서 묶여 있어도 좋다. 플랫 케이블이란, 피복된 전선(2)을 동일 피치로 복수개 나열하여 서로 융착한 것이다. 혹은, 복수의 전선(2)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로서 묶여 있어도 좋다.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이란, 평판형의 도체를 복수개 나열하여 피복한 리본 형상의 선재이다. 이 외에, 복수의 전선(2)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으로서 묶여 있어도 좋다.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이란, 유연성이 있어 크게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한 프린트 기판이다.
기판(3)은, 종이 에폭시 기판이나 유리 에폭시 기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5)에는, 예를 들면 표면 실장형 LED칩(12)이 탑재되어 있다. 그리고, 표면 실장형 LED칩(12)으로부터 방사된 LED광이 차단되는 일이 없도록, 전선 대 기판 커넥터(1)에는 저배화(低背化;reduction in height)가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4)를 리셉터클 커넥터(6)로 끼워맞춤시킴으로써, 각 전선(2)이 플러그 콘택트(7)를 통하여 리셉터클 콘택트(9)와 도통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커넥터 탈착 방향」 및 「기판 직교 방향」, 「커넥터 폭 방향」을 정의한다. 커넥터 탈착 방향은,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4)를 리셉터클 커넥터(6)에 끼워맞춤시키거나, 플러그 커넥터(4)를 리셉터클 커넥터(6)로부터 빼내는 방향이다. 커넥터 탈착 방향 중 플러그 커넥터(4)를 리셉터클 커넥터(6)에 끼워맞춤시키는 방향을 끼워맞춤 방향이라고 하고, 플러그 커넥터(4)를 리셉터클 커넥터(6)로부터 빼내는 방향을 빠짐 방향(반(反)끼워맞춤 방향)이라고 한다. 끼워맞춤 방향은, 빠짐 방향과 반대의 방향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커넥터 탈착 방향은,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5)에 대하여 평행이다. 기판 직교 방향은,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5)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이다. 기판 직교 방향 중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5)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기판 근접 방향이라고 하고,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5)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기판 이간(離間) 방향이라고 한다. 기판 직교 방향은, 커넥터 탈착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관계에 있다. 커넥터 폭 방향은, 커넥터 탈착 방향 및 기판 직교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이다. 커넥터 폭 방향 중 전선 대 기판 커넥터(1)의 중앙으로 향하는 방향을 커넥터 폭 중앙 방향이라고 하고, 전선 대 기판 커넥터(1)의 중앙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커넥터 폭 반(反)중앙 방향이라고 한다.
(플러그 커넥터(4))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4)는, 전술한 대로,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7)와, 플러그 하우징(8)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플러그 하우징(8)은, 플러그 콘택트 수용부(15)와, 리셉터클 하우징 피(被)삽입부(16)와, 한 쌍의 로크편(lock piece;17)과, 한 쌍의 로크편 연결부(1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플러그 콘택트 수용부(15)에는,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 수용실(19)이 형성되어 있다. 각 플러그 콘택트 수용실(19)은, 각 플러그 콘택트가 각각 압입되는 것이다.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 수용실(19)은, 커넥터 폭 방향으로 일정한 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하우징 피삽입부(16)는, 플러그 콘택트 수용부(15)의 끼워맞춤 방향의 단부에 접속하여, 끼워맞춤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로크편(17)은, 플러그 콘택트 수용부(15) 및 리셉터클 하우징 피삽입부(16)를 커넥터 폭 방향으로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 로크편(17)은,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길고 가늘게 형성되어 있다. 각 로크편(17)은, 아암부(20)와, 클로부(21)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아암부(20)는,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가늘고 길게 형성되어 있다. 클로부(21)는, 아암부(20)의 끼워맞춤 방향의 선단부(20a)에 형성되어 있다. 클로부(21)는, 아암부(20)의 선단부(20a)에 접속하여, 커넥터 폭 중앙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클로부(21)는, 경사 가이드면(22)과, 로크면(23)을 갖고 있다. 경사 가이드면(22)은, 클로부(21)의 끼워맞춤 방향측의 면으로, 끼워맞춤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 향하도록 경사지는 평면이다. 로크면(23)은, 클로부(21)의 빠짐 방향측의 면으로, 커넥터 탈착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면이다. 각 로크편(17)은, 아암부(20)의 길이 방향의 중도부(20b)에서, 각 로크편 연결부(18)를 통하여, 플러그 콘택트 수용부(15)의 끼워맞춤 방향의 단부이며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각 로크편(17)은, 각 로크편 연결부(18)를 기판 직교 방향에 대하여 대략 평행이 되는 회전축으로서, 요동 가능하게 플러그 콘택트 수용부(15)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즉, 각 로크편(17)의 요동의 회전축은, 기판 직교 방향에 대하여 대략 평행이다.
각 전선(2)의 단부에 부착된 플러그 콘택트(7)는, 플러그 하우징(8)의 플러그 콘택트 수용부(15)의 플러그 콘택트 수용실(19)에 삽입되면, 그의 일부가 리셉터클 하우징의 피삽입부(16)에 형성된 간극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된다.
(리셉터클 커넥터(6))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술한 대로, 리셉터클 커넥터(6)는, 복수의 리셉터클 콘택트(9)와, 리셉터클 하우징(10)과, 한 쌍의 보조 금구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10)은, 빠짐 방향으로 개구되는 상자형 형상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즉, 리셉터클 하우징(10)은, 천판(top plate;30)과, 저판(bottom plate;31), 측벽(32), 배판(33)을 가지며 중공(hollow)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리셉터클 하우징(10)에는, 빠짐 방향으로 개구되는 플러그 삽입구멍(34)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판(30)은, 기 판 이간 방향을 향하는 상면(30a)을 갖고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판(31)은, 기판 근접 방향을 향하는 하면(31a)을 갖고 있다.
다음으로, 도 6∼도 10을 참조하여, 측벽(32)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벽(32)은, 측벽 본체(35)와, 금구 지지부(3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측벽 본체(35)는,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판체이다. 측벽 본체(35)는, 반중앙 방향을 향하는 측면(35a)을 갖고 있다. 금구 지지부(36)는, 보조 금구(11)를 지지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측벽 본체(35)의 빠짐 방향 근처의 부분으로부터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 8∼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구 지지부(36)는, 후방 L자부(37)와, 전방 L자부(38)와, 어깨부(39)(도 9 참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후방 L자부(37)는, 전방 L자부(38)보다도 끼워맞춤 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전방 L자부(38)는, 후방 L자부(37)보다도 빠짐 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후방 L자부(37)의 기판 직교 방향의 높이는, 측벽 본체(35)의 기판 직교 방향의 높이와 대략 동일하다. 전방 L자부(38)의 기판 직교 방향의 높이는, 측벽 본체(35)의 기판 직교 방향의 높이의 대략 절반이다.
후방 L자부(37)는, 후방 L자 기부(base portion;40)와, 후방 L자 선단부(4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후방 L자 기부(40)는, 측면(35a)에 접속하여,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 돌출되는 평판이다. 후방 L자 기부(40)는, 커넥터 탈착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후방 L자 선단부(41)는, 후방 L자 기부(40)의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의 단부에 접속하여, 빠짐 방향으로 돌출되는 평판이다. 후방 L자 선단부(41)는,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후방 L자 선단부(41)에는, 패임(42)이 형성되어 있다. 패임(42)은, 기판 이간 방향 및 빠짐 방향,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측으로 개구된다. 패임(42)은, 후방 L자 선단부(41)의 기판 이간 방향측 및 빠짐 방향측,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측에 형성되어 있다. 후방 L자 선단부(41)는, 후방 틈 형성면(43), 가교 가이드 수취면(44), 가교 가이드 누름면(45)을 갖고 있다. 후방 틈 형성면(43)은, 후방 L자 선단부(41)의 빠짐 방향측의 선단의 평면이다. 후방 틈 형성면(43)은, 커넥터 탈착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가교 가이드 수취면(44)은, 패임(42)의 기판 근접 방향측을 구획(define)하는 평면이다. 가교 가이드 수취면(44)은, 기판 직교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가교 가이드 누름면(45)은, 패임(42)의 커넥터 폭 중앙 방향측을 구획하는 평면이다. 가교 가이드 누름면(45)은,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전방 L자부(38)는, 전방 L자 기부(50)와, 전방 L자 선단부(5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전방 L자 기부(50)는, 측면(35a)의 빠짐 방향측의 단부이며 기판 근접 방향 근처의 부분에 접속하여,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 돌출되는 각주체(角柱體)이다. 전방 L자 기부(50)는, 기판 이간 방향을 향하는 상면(52)을 갖고 있다. 전방 L자 선단부(51)는, 전방 L자 기부(50)의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의 단부에 접속하여, 끼워맞춤 방향으로 돌출되는 각주체이다. 전방 L자 선단부(51)는, 기판 이간 방향을 향하는 상면(53)과, 끼워맞춤 방향을 향하는 전방 틈 형성면(54)을 갖고 있다. 전방 L자부(38)는, 가이드 경사면(55)을 갖고 있다. 가이드 경사면(55)은, 전방 L자 기부(50)와 전방 L자 선단부(51)의 접속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경사면(55)은, 끼워맞춤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 향하도록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방 L자부(37)의 후방 L자 선단부(41)의 후방 틈 형성면(43)과, 전방 L자부(38)의 전방 L자 선단부(51)의 전방 틈 형성면(54)과의 사이에는 틈(g)이 형성되어 있다. 틈(g)은, 보조 금구(11)를 리셉터클 하우징(10)에 부착하기 위한, 기판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간이다. 후방 틈 형성면(43)은, 틈(g)의 끼워맞춤 방향측을 구획한다. 전방 틈 형성면(54)은, 틈(g)의 빠짐 방향측을 구획한다.
어깨부(39)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 L자 기부(40)의 기판 근접 방향 근처의 부분에 접속하여, 빠짐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이다. 어깨부(39)는, 커넥터 폭 방향에 있어서 측벽 본체(35)와 후방 L자 선단부(41)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어깨부(39)는, 기판 이간 방향을 향하는 상면(56)을 갖고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구 지지부(36)의 기판 근접 방향측에는, 기판 이간 방향으로 패이는 땜납 회피 패임(57)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1∼도 13을 참조하여, 한 쌍의 보조 금구(11)에 대해서 설명한다. 한 쌍의 보조 금구(11)는, 리셉터클 커넥터(6)의 커넥터 폭 방향의 중앙을 사이에 두고 대칭의 형상이기 때문에, 한쪽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다른 한쪽의 설명은 생략한다.
보조 금구(11)는, 리셉터클 하우징(10)을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5)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품이다. 보조 금구(11)는, 하우징 피지지부(60)와 기판 피고정부(61), 연결부(62), 제1 되접힘부(63), 가교 가이드부(64), 틈 메움부(6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 피지지부(60)는, 리셉터클 하우징(10)의 측벽(32)의 금구 지지부(36)에 지지되는 부분이다. 하우징 피지지부(60)는,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판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피지지부(60)는, 피압입부(66), 전방 어깨부(67), 후방 어깨부(6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전방 어깨부(67)는, 피압입부(66)의 기판 이간 방향측의 단부이며 빠짐 방향측의 단부에 접속하여, 빠짐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전방 어깨부(67)는, 기판 근접 방향을 향하는 좌면(座面;67a)을 갖는다. 후방 어깨부(68)는, 피압입부(66)의 기판 이간 방향측의 단부이며 끼워맞춤 방향측의 단부에 접속하여, 끼워맞춤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후방 어깨부(68)는, 기판 근접 방향을 향하는 좌면(68a)을 갖는다.
기판 피고정부(61)는,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5)에 납땜으로 고정되는 부분이다. 기판 피고정부(61)는, 기판 직교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판이다. 기판 피고정부(61)는, 기판 근접 방향으로 보아, 하우징 피지지부(60)보다도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연결부(62)는, 하우징 피지지부(60)와 기판 피고정부(61)를 연결하는 부분이다. 연결부(62)는, 하우징 피지지부(60)의 기판 근접 방향측의 단부와, 기판 피고정부(61)의 커넥터 폭 중앙 방향측의 단부에 접속하고 있다. 연결부(62)는, 매끄럽게 만곡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1 되접힘부(63)는, 하우징 피지지부(60)의 빠짐 방향측의 단부에 접속함과 함께,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측으로 180도, 되접혀 형성되는 부분이다. 상세하게는, 제1 되접힘부(63)는, 하우징 피지지부(60)의 전방 어깨부(67)의 빠짐 방향측의 단부에 접속하고 있다. 제1 되접힘부(63)는, 만곡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되접힘부(63)는, 기판 근접 방향을 향하는 하면(63a)을 갖고 있다.
가교 가이드부(64)는, 제1 되접힘부(63)의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측의 단부에 접속함과 함께, 틈(g)(도 8을 아울러 참조)을 걸치도록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교 가이드부(64)는, 기판 근접 방향을 향하는 전방 하면(64a)과, 기판 근접 방향을 향하는 후방 하면(64b)을 갖고 있다. 전방 하면(64a)은, 틈 메움부(65)보다도 빠짐 방향측에 위치하고 있다. 후방 하면(64b)은, 틈 메움부(65)보다도 끼워맞춤 방향측에 위치하고 있다.
틈 메움부(65)는, 틈(g)(도 8을 아울러 참조)를 메우기 위한 부분이다. 틈 메움부(65)는, 가교 가이드부(64)의 길이 방향 중도부에 접속하여, 기판 근접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틈 메움부(65)는, 가교 가이드부(64)와 제1 되접힘(63)를 통하여 하우징 피지지부(60)에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틈 메움부(65)는, 제1 되접힘부(63)를 통하여 하우징 피지지부(60)에 지지되어 있다고 언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를 참조하여, 각 리셉터클 콘택트(9)를 설명한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리셉터클 콘택트(9)는, 빠짐 방향측으로 개구되는 U자부(70)와, 기판 접속 각부(脚部; 7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기판 접속 각부(71)는, U자부(70)의 끼워맞춤 방향측의 단부에 접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6)의 조립 방법)
다음으로, 리셉터클 커넥터(6)의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도 15∼도 18에는, 리셉터클 커넥터(6)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적절히 참조했으면 한다.
우선, 도 6에 나타내는 리셉터클 하우징(10)의 배판(33)의 복수의 콘택트 삽입구멍에 복수의 리셉터클 콘택트(9)를 압입한다. 다음으로, 도 6에 나타내는 리셉터클 하우징(10)의 측벽(32)의 금구 지지부(36)에 보조 금구(11)를 기판 근접 방향에서 부착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1에 나타내는 보조 금구(11)를, 도 8에 나타내는 금구 지지부(36)의 기판 이간 방향측에 위치 결정한 후에, 보조 금구(11)를 금구 지지부(36)를 향하여 기판 근접 방향으로 강하시킨다. 그러면, 도 13에 나타내는 보조 금구(11)의 연결부(62)가 도 8에 나타내는 틈(g) 내에 진입함과 함께, 도 13에 나타내는 하우징 피지지부(60)의 피압입부(66)가 도 9에 나타내는 전방 L자부(38)의 전방 L자 기부(50)와 어깨부(39)와의 사이에 압입된다.
보조 금구(11)를 금구 지지부(36)로 향하여 기판 근접 방향으로 계속해서 강하시키면, 머지 않아, (a) 도 13에 나타내는 하우징 피지지부(60)의 전방 어깨부(67)의 좌면(67a)이 도 8에 나타내는 전방 L자부(38)의 전방 L자 기부(50)의 상면(52)에 착좌한다. (b) 동시에, 도 13에 나타내는 하우징 피지지부(60)의 후방 어깨부(68)의 좌면(68a)이 도 9에 나타내는 어깨부(39)의 상면(56)에 착좌한다. (c) 동시에, 도 12에 나타내는 제1 되접힘부(63)의 하면(63a)이 도 8에 나타내는 전방 L자부(38)의 전방 L자 기부(50)의 상면(52)에 착좌한다. (d) 동시에, 도 12에 나타내는 가교 가이드부(64)의 전방 하면(64a)이, 도 8에 나타내는 전방 L자부(38)의 전방 L자 선단부(51)의 상면(53)에 착좌한다. (e) 동시에, 도 12에 나타내는 가교 가이드부(64)의 후방 하면(64b)이, 도 8에 나타내는 후방 L자부(37)의 후방 L자 선단부(41)의 가교 가이드 수취면(44)에 착좌한다. 이상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6)의 조립 작업이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도 11에 나타내는 가교 가이드부(64)는, 도 8에 나타내는 후방 L자부(37)의 후방 L자 선단부(41)의 가교 가이드 누름면(45)에 대향하고 있다. 이 가교 가이드 누름면(45)의 존재에 의해, 도 11에 나타내는 가교 가이드부(64)의 커넥터 폭 중앙 방향으로의 탄성 변형은 금지되게 된다.
(리셉터클 커넥터(6)의 탑재 방법)
다음으로, 리셉터클 커넥터(6)를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5) 상에 탑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리셉터클 커넥터(6)를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5) 상에 탑재하려면, 도 17에 나타내는 보조 금구(11)의 기판 피고정부(61)를,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5) 상에 형성된 도시를 생략한 패드에 납땜한다. 이때,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벽(32)의 금구 지지부(36)에는 땜납 회피 패임(57)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조 금구(11)의 기판 피고정부(61)를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5) 상에 납땜할 때에 땜납이 만일 과도하게 부풀어 올라도, 그 부품이 리셉터클 하우징(10) 자체를 기판 이간 방향으로 들뜨게 하는 경우는 없다. 한편, 도 14에 나타내는 각 리셉터클 콘택트(9)의 기판 접속 각부(71)를,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5) 상에 형성된 도시를 생략한 전극 패드에 납땜한다. 이상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6)를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5) 상에 탑재하는 작업을 완료된다. 상기 (a)∼(e)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조 금구(11)는 리셉터클 하우징(10)을 기판 근접 방향을 향하여 누르는 위치 관계로 되어 있기 때문에, 리셉터클 하우징(10)을 기판 이간 방향으로 들어 올리고자 하는 힘이 리셉터클 하우징(10)에 작용해도, 리셉터클 하우징(10)은, 보조 금구(11)에 의해 효과적으로 기판 근접 방향측으로 눌리게 된다.
(전선 대 기판 커넥터(1)의 끼워맞춤 작업)
다음으로, 플러그 커넥터(4)를 리셉터클 커넥터(6)에 끼워맞춤시키는 작업에 대해서 설명한다. 플러그 커넥터(4)를 리셉터클 커넥터(6)에 끼워맞춤시키려면, 우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4)를 리셉터클 커넥터(6)의 빠짐 방향측에 위치 결정한 후에, 플러그 커넥터(4)를 리셉터클 커넥터(6)로 향하여 전진시킨다. 그러면,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4)의 한 쌍의 로크편(17)이 리셉터클 커넥터(6)를 커넥터 폭 방향에서 감싸안음으로써, 플러그 커넥터(4)는 리셉터클 커넥터(6)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는, 플러그 커넥터(4)를 리셉터클 커넥터(6)로 향하여 전진시키면, 도 4에 나타내는 로크편(17)의 클로부(21)의 경사 가이드면(22)이 도 17에 나타내는 전방 L자부(38)의 가이드 경사면(55)에 접촉한다. 이 접촉에 의해 경사 가이드면(22)은, 가이드 경사면(55)으로부터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의 힘을 받아, 로크편(17)의 회전을 수반하면서,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 탄성 변위한다. 플러그 커넥터(4)를 리셉터클 커넥터(6)로 향하여 더욱 전진시키면, 도 4에 나타내는 로크편(17)의 클로부(21)는, 로크편(1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측벽(32)의 금구 지지부(36)로 향하여 커넥터 폭 중앙 방향으로 눌리면서 끼워맞춤 방향으로 나아가게 된다. 이때, 금구 지지부(36)를 구성하는 후방 L자부(37)와 전방 L자부(38)와의 사이의 틈(g)(도 8 참조)이, 보조 금구(11)의 틈 메움부(65)에 의해 메워져 소실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의 문제가 해결된다. 즉, 금구 지지부(36)를 구성하는 후방 L자부(37)와 전방 L자부(38)와의 사이의 틈(g)이 잔존하고 있으면, 로크편(17)의 클로부(21)가, 로크편(1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틈(g) 내로 끼어버리고, 이와 같이 꼈을 때의 감촉으로, 작업자는, 플러그 커넥터(4)가 리셉터클 커넥터(6)에 끼워맞춘 것으로 착각하여, 플러그 커넥터(4)와 리셉터클 커넥터(6)와의 불확실한 끼워맞춤을 초래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금구 지지부(36)를 구성하는 후방 L자부(37)와 전방 L자부(38)와의 사이의 틈(g)이 틈 메움부(65)에 의해 메워져 있기 때문에, 각 로크편(17)의 클로부(21)가 끼워맞춤 방향으로 매끄럽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각 로크편(17)의 클로부(21)가 끼워맞춤 방향으로 진행할 때에 있어서 특별한 위화감이 없기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4)와 리셉터클 커넥터(6)와의 불확실한 끼워맞춤이 회피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조 금구(11)는, 틈(g)(도 8 참조)을 걸치도록 연장되는 가교 가이드부(64)를 추가로 갖고 있다. 따라서, 로크편(17)의 클로부(21)는, 틈(g)을 걸칠 때에, 가교 가이드부(64) 상을 슬라이드하여 끼워맞춤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 결과, 플러그 커넥터(4)와 리셉터클 커넥터(6)와의 불확실한 끼워맞춤이 한층 회피되게 된다.
도 19에는, 로크편(17)의 클로부(21)의 로크면(23)이, 금구 지지부(36)의 후방 L자부(37)의 후방 L자 기부(40)의 배면(40a)에 걸려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전선 대 기판 커넥터(1)의 빼냄 작업)
다음으로, 플러그 커넥터(4)를 리셉터클 커넥터(6)로부터 빼내는 작업을 설명한다. 플러그 커넥터(4)를 리셉터클 커넥터(6)로부터 빼내려면, 도 19의 상태에서, 클로부(21)가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 탄성 변위하도록 로크편(17)을 회전시켜, 클로부(21)가 후방 L자부(37)에 걸려 있는 상태를 해소시킨 후에, 플러그 커넥터(4)를 빠짐 방향으로 빼면 좋다.
이상에 본원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특징은 이하와 같다.
(1) 전선 대 기판 커넥터(1)는, 전선(2)을 지지하는 플러그 하우징(8)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4)와, 전선(2)에 대응하는 리셉터클 콘택트(9)와, 리셉터클 콘택트(9)를 지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10)을 갖고,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5)에 탑재되는 리셉터클 커넥터(6)를 구비한다. 플러그 커넥터(4)를 리셉터클 커넥터(6)로 끼워맞춤시킴으로써, 전선(2)이 리셉터클 콘택트(9)와 도통한다. 플러그 커넥터(4)를 리셉터클 커넥터(6)로 끼워맞춤시키는 방향으로서의 끼워맞춤 방향은,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5)에 대하여 평행이다. 플러그 하우징(8)에는,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로크편(17)이 형성되어 있다. 각 로크편(17)은,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부(20)와, 아암부(20)의 끼워맞춤 방향의 선단부(20a)에 형성된 클로부(21)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4)는, 플러그 커넥터(4)의 한 쌍의 로크편(17)이 리셉터클 커넥터(6)를 감싸안음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6)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6)는, 리셉터클 하우징(10)을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5)에 고정시키기 위한 보조 금구(11)를 갖는다. 리셉터클 하우징(10)의 측벽(32)에는, 보조 금구(11)를 리셉터클 하우징(10)에 부착하기 위한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5)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틈(g)이 형성되어 있다. 보조 금구(11)는, 틈(g)을 메우는 틈 메움부(65)를 갖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틈(g)이 메워져 있기 때문에, 각 로크편(17)의 클로부(21)가 끼워맞춤 방향으로 매끄럽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각 로크편(17)의 클로부(21)가 끼워맞춤 방향으로 진행할 때에 있어서 특별한 위화감이 없기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4)와 리셉터클 커넥터(6)와의 불확실한 끼워맞춤이 회피된다.
(2, 9, 11) 보조 금구(11)는, 틈 메움부(65)와, 리셉터클 하우징(10)의 측벽(32) 내에 지지되는 하우징 피지지부(60)와,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5)에 고정되는 기판 피고정부(61)와, 하우징 피지지부(60)와 기판 피고정부(61)를 연결하는 연결부(62)를 갖는다. 리셉터클 하우징(10)의 측벽(32)의 틈(g)은, 보조 금구(11)를 리셉터클 하우징(10)의 측벽(32)에 부착할 때에, 연결부(62)가 통과하는 것이다.
(3) 보조 금구(11)는, 하우징 피지지부(60)의 빠짐 방향(끼워맞춤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서의 반(反)끼워맞춤 방향)측의 단부에 접속함과 함께 되접혀 형성되는 제1 되접힘부(63)를 갖는다. 틈 메움부(65)는, 제1 되접힘부(63)를 통하여 하우징 피지지부(60)에 지지되어 있다.
(5, 8) 보조 금구(11)는, 제1 되접힘부(63)에 접속함과 함께, 틈(g)을 걸치도록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교 가이드부(64)를 추가로 갖는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각 로크편(17)의 클로부(21)가 끼워맞춤 방향으로 한층 매끄럽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7) 틈 메움부(65)는, 가교 가이드부(64)에 접속하고 있다.
이상에 제1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상기의 제1 실시 형태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변경할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틈 메움부(65)는, 하우징 피지지부(60)에 의해 지지되는 것으로 했지만, 이를 대신하여, 기판 피고정부(61)에 의해 지지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로크편(17)의 클로부(21)는, 리셉터클 하우징(10)의 측벽(32)의 금구 지지부(36)에 걸리는 것으로 했지만, 이를 대신하여, 로크편(17)의 클로부(21)는, 보조 금구(11)에 걸리도록 해도 좋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서, 본원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본 실시 형태가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각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원칙으로서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한다.
측벽(32)은, 전면(前面; 32a)을 갖고 있다. 전면(32a)은, 빠짐 방향을 향하고, 커넥터 탈착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조 금구(11)의 제1 되접힘부(63)가 리셉터클 하우징(10)의 측벽(32)의 전면(32a)보다도 빠짐 방향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제1 되접힘부(63)가, 플러그 커넥터(4)를 리셉터클 커넥터(6)에 끼워맞출 때에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클로부(21)를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 밀어 제치는 가이드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상에 본원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제2 실시 형태는, 이하의 특징을 갖고 있다.
(4) 제1 되접힘부(63)는, 리셉터클 하우징(10)의 측벽(32)보다도 빠짐 방향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제1 되접힘부(63)가, 플러그 커넥터(4)를 리셉터클 커넥터(6)에 끼워맞출 때에 클로부(21)를 외측으로 밀어 제치는 가이드로서 기능하게 된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으로, 도 22∼도 31을 참조하면서, 본원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본 실시 형태가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각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원칙으로서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한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 L자 선단부(41)에, 기판 이간 방향 및 빠짐 방향,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 개구되는 패임(42)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를 대신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5 및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 L자 선단부(41)에는, 기판 이간 방향 및 커넥터 탈착 방향,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 개구되는 패임(80)이 형성되어 있다. 패임(80)은, 후방 L자 선단부(41)의 기판 이간 방향측 및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측에 형성되어 있다. 후방 L자 선단부(41)는, 후방 틈 형성면(43), 가교 가이드 수취면(81), 가교 가이드 누름면(82)을 갖고 있다. 후방 틈 형성면(43)은, 커넥터 탈착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가교 가이드 수취면(81)은, 패임(80)의 기판 근접 방향측을 구획하는 평면이다. 가교 가이드 수취면(81)은, 기판 직교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가교 가이드 누름면(82)은, 패임(80)의 커넥터 폭 중앙 방향측을 구획하는 평면이다. 가교 가이드 누름면(82)은,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 L자 기부(40)에, 기판 이간 방향 및 끼워맞춤 방향으로 개구되는 걸림부 삽입홈(83)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 삽입홈(83)은, 후방 L자 기부(40)의 기판 이간 방향측 및 끼워맞춤 방향측, 커넥터 폭 중앙 방향측에 형성되어 있다. 후방 L자 기부(40)는, 걸림부 수취면(84)을 갖고 있다. 걸림부 수취면(84)은, 걸림부 삽입홈(83)의 기판 근접 방향측을 구획하는 평면이다. 걸림부 수취면(84)은, 기판 직교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측벽 본체(35)의 측면(35a)은, 걸림부 삽입홈(83)의 커넥터 폭 중앙 방향측을 구획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여, 보조 금구(11)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보조 금구(11)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하우징 피지지부(60) 및 기판 피고정부(61), 연결부(62), 제1 되접힘부(63), 가교 가이드부(64)를 구비하고 있다. 보조 금구(11)는, 또한, 제2 되접힘부(85)와 걸림부(86)를 갖고 있다.
제2 되접힘부(85)는, 가교 가이드부(64)의 끼워맞춤 방향측의 단부에 접속함과 함께, 커넥터 폭 중앙 방향측으로 180도, 되접혀 형성되는 부분이다. 제2 되접힘부(85)는, 만곡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2 되접힘부(85)는, 기판 근접 방향을 향하는 하면(85a)을 갖고 있다.
걸림부(86)는, 제2 되접힘부(85)의 커넥터 폭 중앙 방향측의 단부에 접속함과 함께, 빠짐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걸림부(86)는, 기판 근접 방향을 향하는 하면(86a)을 갖고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6)의 조립 방법)
다음으로, 리셉터클 커넥터(6)의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도 30 및 도 31에는, 리셉터클 커넥터(6)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적절히 참조했으면 한다.
도 28에 나타내는 보조 금구(11)를, 도 25에 나타내는 금구 지지부(36)의 기판 이간 방향측에 위치 결정한 후에, 보조 금구(11)를 금구 지지부(36)를 향하여 기판 근접 방향으로 강하시킨다. 그러면, 도 28에 나타내는 보조 금구(11)의 연결부(62)가 도 25에 나타내는 틈(g) 내로 진입함과 함께, 도 28에 나타내는 하우징 피지지부(60)의 피압입부(66)가 도 25에 나타내는 전방 L자부(38)의 전방 L자 기부(50)와 도 26에 나타내는 어깨부(39)와의 사이에 압입된다.
보조 금구(11)를 금구 지지부(36)를 향하여 기판 근접 방향으로 계속해서 강하시키면, 머지 않아, 전술한 (a)∼(d)에 더하여, (f) 동시에, 도 28에 나타내는 가교 가이드부(64)의 후방 하면(64b)이 도 25에 나타내는 후방 L자부(37)의 후방 L자 선단부(41)의 가교 가이드 수취면(81)에 착좌한다. (g) 동시에, 도 28에 나타내는 걸림부(86)의 하면(86a)이, 도 27에 나타내는 걸림부 삽입홈(83)의 걸림부 수취면(84)에 착좌한다. 이때, 도 28에 나타내는 걸림부(86)는, 도 27에 나타내는 걸림부 삽입홈(83) 내에 수용되게 된다. 이상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6)의 조립 작업이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도 28에 나타내는 가교 가이드부(64)는, 도 27에 나타내는 후방 L자부(37)의 후방 L자 선단부(41)의 가교 가이드 누름면(82)에 대향하고 있다. 이 가교 가이드 누름면(82)의 존재에 의해, 도 28에 나타내는 가교 가이드부(64)의 커넥터 폭 중앙 방향으로의 탄성 변형은 금지되게 된다. 또한, 도 28에 나타내는 걸림부(86)가 도 27에 나타내는 걸림부 삽입홈(83) 내에 수용됨으로써, 도 28에 나타내는 가교 가이드부(64)의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의 탄성 변형이 금지되게 된다.
(전선 대 기판 커넥터(1)의 빼냄 작업)
다음으로, 플러그 커넥터(4)를 리셉터클 커넥터(6)로부터 빼내는 작업을 설명한다. 플러그 커넥터(4)를 리셉터클 커넥터(6)로부터 빼내려면, 클로부(21)가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 탄성 변위하도록 로크편(17)을 회전시킨 후에(도 19를 아울러 참조), 플러그 커넥터(4)를 빠짐 방향으로 빼내면 좋다. 이때, 가교 가이드부(64)의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의 탄성 변형이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의 문제가 해결된다. 즉, 가교 가이드부(64)의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의 탄성 변형이 금지되어 있지 않으면, 클로부(21)를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 탄성 변위시킬 때에, 클로부(21)가 제2 되접힘부(85)를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 동시에 당겨버려, 클로부(21)의 제2 되접힘부(85)에 대한 걸림이 좀처럼 해제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대해, 가교 가이드부(64)의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의 탄성 변형이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클로부(21)가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 탄성 변위하면, 클로부(21)의 제2 되접힘부(85)에 대한 걸림이 신속하게 해제되게 된다.
이상에 본원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제3 실시 형태는, 이하의 특징을 갖고 있다.
(6) 보조 금구(11)는, 가교 가이드부(64)의 끼워맞춤 방향측의 단부에 접속함과 함께, 되접혀 형성되는 제2 되접힘부(85)와, 제2 되접힘부(85)에 접속함과 함께, 빠짐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부(86)를 갖는다. 리셉터클 하우징(10)의 측벽(32)에는, 보조 금구(11)의 걸림부(86)가 삽입되는 걸림부 삽입홈(83)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가교 가이드부(64)의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의 탄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 본원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상기 제3 실시 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실시 형태와 같이, 제1 되접힘부(63)를 리셉터클 하우징(10)보다도 빠짐 방향으로 돌출시키는 것으로 해도 좋다.
(제4 실시 형태)
다음으로, 도 32∼도 39를 참조하면서, 본원 발명의 제4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본 실시 형태가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각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원칙으로서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한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 L자 기부(50)는, 측면(35a)의 빠짐 방향측의 단부이며 기판 근접 방향 근처의 부분에 접속하여,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 돌출되는 각주체라고 했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방 L자 기부(50)는, 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면(35a)의 빠짐 방향측의 단부보다도 약간 끼워맞춤 방향 근처의 부분이며, 기판 근접 방향 근처의 부분에 접속하여,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 돌출되는 각주체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방 L자 기부(50)의 돌출 길이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전방 L자 기부(50)의 돌출 길이의 대략 절반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방 L자 선단부(51)는,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을 향하는 틈 커버 누름면(90)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후방 L자부(37)의 후방 L자 선단부(41)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 이간 방향 및 빠짐 방향,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 개구되는 패임(42)이 형성되어 있다고 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후방 L자부(37)의 후방 L자 선단부(41)에는, 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 직교 방향 및 빠짐 방향,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 개구되는 패임(91)이 형성되어 있다. 즉, 패임(91)은, 후방 L자 선단부(41)의 빠짐 방향측 및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측에 형성되어 있다. 후방 L자 선단부(41)는, 후방 틈 형성면(43), 틈 커버 누름면(92)을 갖고 있다. 틈 커버 누름면(92)은, 패임(91)의 커넥터 폭 중앙 방향측을 구획하는 평면이다. 틈 커버 누름면(92)은,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 36 및 도 37을 참조하여, 보조 금구(11)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보조 금구(11)는, 하우징 피지지부(60)와 기판 피고정부(61), 연결부(62), 제1 되접힘부(93), 틈 커버부(94)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보조 금구(11)는, 도 11에 나타내는 틈 메움부(65)를 갖고 있지 않다.
제1 되접힘부(93)는, 하우징 피지지부(60)의 빠짐 방향측의 단부에 접속함과 함께,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측으로 180도, 되접혀 형성되는 부분이다. 상세하게는, 제1 되접힘부(93)는, 하우징 피지지부(60)의 전방 어깨부(67)의 빠짐 방향측의 단부에 접속하고 있다. 제1 되접힘부(93)는, 만곡하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제1 되접힘부(93)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제1 되접힘부(63)(도 11을 아울러 참조)와 비교하여, 기판 직교 방향의 사이즈가 크다.
틈 커버부(94)는, 제1 되접힘부(93)의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측의 단부에 접속함과 함께, 틈(g)(도 8을 아울러 참조)을 덮어 감추도록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리셉터클 커넥터(6)의 조립 방법)
다음으로, 리셉터클 커넥터(6)의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도 38 및 도 39에는, 리셉터클 커넥터(6)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적절히 참조했으면 한다.
도 36에 나타내는 보조 금구(11)를, 도 34에 나타내는 금구 지지부(36)의 기판 이간 방향측에 위치 결정한 후에, 보조 금구(11)를 금구 지지부(36)를 향하여 기판 근접 방향으로 강하시킨다. 그러면, 도 36에 나타내는 보조 금구(11)의 연결부(62)가 도 34에 나타내는 틈(g) 내로 진입함과 함께, 도 36에 나타내는 하우징 피지지부(60)의 피압입부(66)가 도 34에 나타내는 전방 L자부(38)의 전방 L자 기부(50)와 도 35에 나타내는 어깨부(39)와의 사이에 압입된다.
보조 금구(11)를 금구 지지부(36)를 향하여 기판 근접 방향으로 계속해서 강하시키면, 머지 않아, 전술한 (a) 및 (b)의 착좌가 행해진다. 이때, 도 39에 나타내는 틈 커버부(94)는, 틈(g)을 완전하게 덮어 감추고 있다. 이상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6)의 조립 작업이 완료된다. 이 틈 커버부(94)의 존재에 의해, 이하의 문제가 해결된다. 즉, 금구 지지부(36)를 구성하는 후방 L자부(37)와 전방 L자부(38)와의 사이의 틈(g)이 잔존하고 있으면, 로크편(17)의 클로부(21)가, 로크편(1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틈(g) 내에 끼어버려, 이와 같이 꼈을 때의 감촉으로, 작업자는, 플러그 커넥터(4)가 리셉터클 커넥터(6)에 끼워맞춘 것으로 착각하여, 플러그 커넥터(4)와 리셉터클 커넥터(6)와의 불확실한 끼워맞춤을 초래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금구 지지부(36)를 구성하는 후방 L자부(37)와 전방 L자부(38)와의 사이의 틈(g)이 틈 커버부(94)에 의해 덮어 감춰져 있기 때문에, 각 로크편(17)의 클로부(21)가 끼워맞춤 방향으로 매끄럽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각 로크편(17)의 클로부(21)가 끼워맞춤 방향으로 진행할 때에 있어서 특별한 위화감이 없기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4)와 리셉터클 커넥터(6)와의 불확실한 끼워맞춤이 회피된다.
(10) 전선 대 기판 커넥터(1)는, 전선(2)을 지지하는 플러그 하우징(8)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4)와, 전선(2)에 대응하는 리셉터클 콘택트(9)와, 리셉터클 콘택트(9)를 지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10)을 갖고,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5)에 탑재되는 리셉터클 커넥터(6)를 구비한다. 플러그 커넥터(4)를 리셉터클 커넥터(6)로 끼워맞춤시킴으로써, 전선(2)이 리셉터클 콘택트(9)와 도통한다. 플러그 커넥터(4)를 리셉터클 커넥터(6)로 끼워맞춤시키는 방향으로서의 끼워맞춤 방향은,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5)에 대하여 평행이다. 플러그 하우징(8)에는,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로크편(17)이 형성되어 있다. 각 로크편(17)은,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부(20)와, 아암부(20)의 끼워맞춤 방향의 선단부(20a)에 형성된 클로부(21)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4)는, 플러그 커넥터(4)의 한 쌍의 로크편(17)이 리셉터클 커넥터(6)를 감싸안음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6)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6)는, 리셉터클 하우징(10)을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5)에 고정시키기 위한 보조 금구(11)를 갖는다. 리셉터클 하우징(10)의 측벽(32)에는, 보조 금구(11)를 리셉터클 하우징(10)에 부착하기 위한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5)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틈(g)이 형성되어 있다. 보조 금구(11)는, 틈(g)을 덮어 감추는 틈 커버부(94)를 추가로 갖는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각 로크편(17)의 클로부(21)가 끼워맞춤 방향으로 매끄럽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각 로크편(17)의 클로부(21)가 끼워맞춤 방향으로 진행할 때에 있어서 특별한 위화감이 억제되기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4)와 리셉터클 커넥터(6)와의 불확실한 끼워맞춤이 회피된다.
이상에 본원 발명의 제4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상기 제4 실시 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실시 형태와 같이, 제1 되접힘부(93)를 리셉터클 하우징(10)보다도 빠짐 방향으로 돌출시키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제3 실시 형태의 제2 되접힘부(85)와 걸림부(86)는, 합리적인 범위 내에서, 본 실시 형태의 보조 금구(11)에 적용해도 좋다.
또한, 도 39에 있어서, 보조 금구(11)의 틈 커버부(94)와 후방 L자부(37)와의 사이의 커넥터 탈착 방향에 있어서의 간극의 연장되는 방향은, 기판 직교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각 로크편(17)의 클로부(21)가 끼워맞춤 방향으로 한층 매끄럽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1)

  1. 전선을 지지(holding)하는 플러그 하우징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전선에 대응하는 리셉터클 콘택트와,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를 지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을 갖고, 기판의 커넥터 탑재면에 탑재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끼워맞춤시킴으로써, 상기 전선이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와 도통하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로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끼워맞춤시키는 방향으로서의 끼워맞춤 방향은,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대하여 평행이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는, 상기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로크편이 형성되어 있고,
    각 로크편은, 상기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부와, 상기 아암부의 상기 끼워맞춤 방향의 선단부에 형성된 클로부를 갖고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상기 한 쌍의 로크편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를 커넥터 폭 방향에서 감싸안음으로써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을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보조 금구를 갖고,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측벽에는, 상기 보조 금구를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에 부착하기 위한,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 금구는, 상기 틈을 메우는 틈 메움부를 갖고 있고,
    상기 커넥터 폭 방향은, 상기 끼워맞춤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그리고,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인 전선 대 기판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금구는,
    상기 틈 메움부와,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상기 측벽 내에 지지되는 하우징 피(被)지지부와,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고정되는 기판 피고정부와,
    상기 하우징 피지지부와 상기 기판 피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고,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상기 측벽의 상기 틈은, 상기 보조 금구를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상기 측벽에 부착할 때에, 상기 연결부가 통과하는 것인 전선 대 기판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금구는, 상기 하우징 피지지부의 상기 끼워맞춤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서의 반(反)끼워맞춤 방향측의 단부(端部)에 접속함과 함께 되접혀 형성되는 제1 되접힘부를 갖고,
    상기 틈 메움부는, 상기 제1 되접힘부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 피지지부에 지지되어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되접힘부는,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상기 측벽보다도 상기 반끼워맞춤 방향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금구는, 상기 제1 되접힘부에 접속함과 함께, 상기 틈을 걸치도록 상기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교 가이드부를 추가로 갖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금구는,
    상기 가교 가이드부의 상기 끼워맞춤 방향측의 단부에 접속함과 함께, 되접혀 형성되는 제2 되접힘부와,
    상기 제2 되접힘부에 접속함과 함께, 상기 반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부를 갖고,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상기 측벽에는, 상기 보조 금구의 상기 걸림부가 삽입되는 걸림부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틈 메움부는, 상기 가교 가이드부에 접속되어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8. 전선을 지지하는 플러그 하우징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전선에 대응하는 리셉터클 콘택트와,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를 지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을 갖고, 기판의 커넥터 탑재면에 탑재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끼워맞춤시킴으로써, 상기 전선이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와 도통하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로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끼워맞춤시키는 방향으로서의 끼워맞춤 방향은,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대하여 평행이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는, 상기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로크편이 형성되어 있고,
    각 로크편은, 상기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부와, 상기 아암부의 상기 끼워맞춤 방향의 선단부에 형성된 클로부를 갖고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상기 한 쌍의 로크편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를 커넥터 폭 방향에서 감싸안음으로써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을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보조 금구를 갖고,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측벽에는, 상기 보조 금구를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에 부착하기 위한,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 금구는, 상기 틈을 걸치도록 연장되는 가교부를 추가로 갖고,
    상기 커넥터 폭 방향은, 상기 끼워맞춤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그리고,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인 전선 대 기판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금구는,
    상기 가교부와,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상기 측벽 내에 지지되는 하우징 피지지부와,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고정되는 기판 피고정부와,
    상기 하우징 피지지부와 상기 기판 피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고,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상기 측벽의 상기 틈은, 상기 보조 금구를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상기 측벽에 부착할 때에, 상기 연결부가 통과하는 것인 전선 대 기판 커넥터.
  10. 전선을 지지하는 플러그 하우징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전선에 대응하는 리셉터클 콘택트와,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를 지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을 갖고, 기판의 커넥터 탑재면에 탑재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끼워맞춤시킴으로써, 상기 전선이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와 도통하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로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끼워맞춤시키는 방향으로서의 끼워맞춤 방향은,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대하여 평행이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는, 상기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로크편이 형성되어 있고,
    각 로크편은, 상기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부와, 상기 아암부의 상기 끼워맞춤 방향의 선단부에 형성된 클로부를 갖고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상기 한 쌍의 로크편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를 커넥터 폭 방향에서 감싸안음으로써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을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보조 금구를 갖고,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측벽에는, 상기 보조 금구를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에 부착하기 위한,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 금구는, 상기 틈을 덮어 감추는 틈 커버부를 추가로 갖고 있고,
    상기 커넥터 폭 방향은, 상기 끼워맞춤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그리고,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인 전선 대 기판 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금구는,
    상기 틈 커버부와,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상기 측벽 내에 지지되는 하우징 피지지부와,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고정되는 기판 피고정부와,
    상기 하우징 피지지부와 상기 기판 피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고,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상기 측벽의 상기 틈은, 상기 보조 금구를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상기 측벽에 부착할 때에, 상기 연결부가 통과하는 것인 전선 대 기판 커넥터.
KR20130038908A 2012-04-24 2013-04-10 전선 대 기판 커넥터 KR1014920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98801 2012-04-24
JP2012098801A JP5943692B2 (ja) 2012-04-24 2012-04-24 電線対基板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863A KR20130119863A (ko) 2013-11-01
KR101492049B1 true KR101492049B1 (ko) 2015-02-10

Family

ID=49463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38908A KR101492049B1 (ko) 2012-04-24 2013-04-10 전선 대 기판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943692B2 (ko)
KR (1) KR101492049B1 (ko)
CN (1) CN103378460B (ko)
TW (1) TWI4663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22499B2 (ja) * 2019-05-15 2023-08-08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7411A (ja) 2009-05-12 2010-11-25 Fujitsu Component Ltd 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接続構造及び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用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61631U (en) * 2000-10-09 2001-10-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4009111B2 (ja) * 2002-01-21 2007-11-1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のロック装置
JP4225236B2 (ja) * 2004-04-21 2009-02-1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電線接続用のコネクタ
CN201044306Y (zh) * 2007-03-20 2008-04-02 达昌电子科技(苏州)有限公司 电连接器装置
JP5165630B2 (ja) * 2009-04-09 2013-03-21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コネクタ
CN201490385U (zh) * 2009-07-31 2010-05-26 富港电子(东莞)有限公司 板对板连接器
JP4963130B2 (ja) * 2010-01-12 2012-06-2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202004174U (zh) * 2010-11-01 2011-10-05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7411A (ja) 2009-05-12 2010-11-25 Fujitsu Component Ltd 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接続構造及び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用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78460A (zh) 2013-10-30
CN103378460B (zh) 2015-10-21
TWI466386B (zh) 2014-12-21
TW201345053A (zh) 2013-11-01
JP2013229124A (ja) 2013-11-07
JP5943692B2 (ja) 2016-07-05
KR20130119863A (ko) 2013-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82941B2 (ja) 同軸コネクタ組立体
CN108346934B (zh) 连接器
US6095873A (en) Female terminal
JPH0227674A (ja) 電気コネクタ
KR102233071B1 (ko) 인쇄 회로 기판을 가지는 일회용 전기 커넥터
JP2005332749A (ja) 電気コネクタ
JP2008305598A (ja) 基板接続コネクタ
JP2011243581A (ja) コネクタ端子及び該コネクタ端子を備えたコネクタ
KR20180072533A (ko) 커넥터 장치
KR20030044875A (ko) 결속 부분을 구비한 차폐 외피를 가지는 커넥터
JP2018129150A (ja) 電気コネクタ
CN110676620B (zh) 连接器以及连接器组件
JP6069008B2 (ja) コネクタ装置
TWI751738B (zh) 連接器組合件
KR101492049B1 (ko) 전선 대 기판 커넥터
JP2019133824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2010157367A (ja) 電気コネクタ
TWI244811B (en) A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CN109792122B (zh) 连接器组件
JP2015125855A (ja) 電気コネクタ
TW201924150A (zh) 端子以及連接器
CN114600321B (zh) 连接器
KR20010007384A (ko) 전기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
US7470127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3172721B2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それに使用する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