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2008B1 - 차량의 루프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루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2008B1
KR101492008B1 KR20130125679A KR20130125679A KR101492008B1 KR 101492008 B1 KR101492008 B1 KR 101492008B1 KR 20130125679 A KR20130125679 A KR 20130125679A KR 20130125679 A KR20130125679 A KR 20130125679A KR 101492008 B1 KR101492008 B1 KR 101492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illar
loop
trail
loop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5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훈 허
유제성
권준범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20130125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20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2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2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5Pillars; Roof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3Roll-over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루프를 지지하기 위해 루프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캔트레일; 상기 루프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캔트레일의 일단으로부터 연결되며, 차량의 전방부분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A 필라; 상기 캔트레일에 연결되며, 차량의 측면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B 필라;를 포함하여 형성되되, 상기 루프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캔트레일 사이에 크로스바 형태의 크로스바 보강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크로스바 보강부재와 캔트레일이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캔트레일과 A 필라가 연결되는 제1연결지점과 상기 캔트레일과 B 필라가 연결되는 제2연결지점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 구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차량의 루프 구조{ROOF STRUCTUR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루프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전복 안정성을 보다 강화하도록 한 차량의 루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루프 구조(roof structure)는 측면의 사이드 스트럭처(side structure)와 전방의 운전석부를 포함하는 프론트 바디(front body) 및 후방의 리어 바디(rear body)를 포함하는 구조물이다. 이와 같은 차량의 루프 구조는 주로 중공의 튜브형태의 부재가 차량의 길이, 폭방향으로 접합되어 구성되는 프레임과, 루프면을 형성하는 패널을 결합하여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차량의 루프 구조는 차량의 전체 골격을 유지하는 중요한 구성이라는 점에서, 차량의 전복 등에 있어서 승객의 안전에 가장 중요한 구성부분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048559호(차량 전복 방지 루프의 구조와 구조물)에는 차량의 전복을 방지하는 것과 동시에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도록 하기 위해, 평평한 루프 라인 상에 아치형 부재를 위한 추가적인 지지대를 형성하도록 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개시되어 있는 기술은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상당히 큰 반경을 갖는 추가적인 아치형 부재를 설치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차량의 전복 회전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개시되어 있는 기술은 사륜차 또는 RV차량의 전복 안전성을 향상하기 위한 기술이라는 점에서, 삼륜차의 경우에는 적절하게 적용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최근, 삼륜차는 사륜차에 비해 무게가 가볍고, 연비가 상당히 높다는 점에서, 미래 자동차의 한 트랜드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삼륜차는 기존의 사륜차에 비해 기저면이 작고 그 형상적인 특징에 있어서 상당한 차이를 지니고 있다. 한편, 삼륜차는 기존의 사륜차에 비해 그 형상적인 특징 등으로 인하여, 전복이 발생할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는 문제가 있으며, 따라서, 삼륜차에 있어서는 기존의 사륜차와는 다른 차체 구조가 요구되어 진다. 특히, 차량의 전복 안전성이 보다 강화된 차체 구조가 개발될 필요가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삼륜차와 사륜차의 전복시 충돌부위는 매우 상이하게 나타난다. 도 1에는 사륜차의 전복시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한 형상이 도시되어 있는 바, 상기 도면을 살펴보면, 사륜차는 차량의 전복시 차량의 루프의 앞쪽 부분이 상당히 찌그러지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사륜차의 경우, 차량의 무게중심이 앞쪽에 몰려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현상이 발생한다. 그러나, 삼륜차의 경우에는 사륜차와는 다른 충돌부위를 가지게 되는 바, 이에 대한 도면이 도 2에 도시된다. 여기서, 도 2a는 측면충돌에 의한 전복이 발생한 경우, 도 2b는 주행 중 장애물을 약하게 밟아서 전복이 발생한 경우, 도 2c는 주행 중 장애물을 강하게 밟아서 전복이 발생한 경우 및 도 2d는 주행 중 급격한 핸들링으로 인한 차량의 전복이 발생한 경우를 도시한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삼륜차의 경우, 대부분 전복이 발생할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를 검토한 결과, 차량의 전복시 차량 루프의 뒷부분이 지면과 충돌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삼륜차는 차량의 전복시 기존의 사륜차와는 다른 전복 현상을 갖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삼륜차의 경우 차량의 전복시 효과적으로 승객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사륜차와는 다른 구조의 차량의 루프 구조를 가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차량의 전복시 보다 안전성이 강화된 차량의 루프 구조를 발명하게 되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048559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차량의 전복시 승객을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차량의 루프 구조를 제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루프를 지지하기 위해 루프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캔트레일; 상기 루프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캔트레일의 일단으로부터 연결되며, 차량의 전방부분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A 필라; 상기 캔트레일에 연결되며, 차량의 측면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B 필라;를 포함하여 형성되되, 상기 루프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캔트레일 사이에 크로스바 형태의 크로스바 보강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크로스바 보강부재와 캔트레일이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캔트레일과 A 필라가 연결되는 제1연결지점과 상기 캔트레일과 B 필라가 연결되는 제2연결지점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로스바 보강부재는 상부 방향으로 곡률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차량의 전방부분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A 필라는 차량의 전방부분을 따라 설치되는 A 필라-F와 상기 A 필라-F에 연결되며, 상기 A 필라-F와 B 필라 사이에 설치되는 A 필라-R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A 필라-R는 제1연결지점으로부터, 상기 A 필라-F와 B 필라 사이에 연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B 필라는 차량의 전방부분으로 경사지도록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루프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캔트레일 사이에 차량의 윈도우를 지지하기 위한 윈도우 스크린 부재가 윈도우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윈도우 스크린 부재는 상부 방향으로 곡률을 갖도록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루프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캔트레일의 타단에 차량의 후방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C 필라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의 루프 구조는 차량의 전복시 차체 구조를 보다 효과적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승객의 안전을 최대한으로 보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매우 단순한 구조로 차량의 루프 구조를 형성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사륜차가 전복하는 경우, 차량의 루프에 발생하는 충격을 도시한다.
도 2a 내지 도 2d는 삼륜차에 다양한 방식으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전복한 경우를 도시한다.
도 3a 내지 도 3d는 차량 전복에 따라 차량에 발생하는 충격을 롤각과 피치각의 변화에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도 3의 상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도 3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루프 구조를 도시한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6에 따른 차량의 루프 구조의 실제 적용예를 도시한다.
도 8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루프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9a 내지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루프 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0a 내지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루프 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루프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삼륜차는 사륜차에 비해 기저면이 작고 그 형상적인 특징에 있어서 상당한 차이를 지니고 있어, 기존 사륜차에 적용되는 차량의 루프 구조를 삼륜차에 적용하는 경우, 차량의 전복시 승객의 안전성에 상당한 문제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삼륜차의 전복시 승객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루프 구조를 발명하게 되었다.
도 3a 내지 도 3d는 삼륜차가 전복되는 경우, 충격이 가해지는 부분을 시뮬레이션으로 도시하고 있는 바,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롤(roll) 각이 각각 0°, 10°, 20° 및 30° 인 경우, 및 피치(pitch) 각이 0°, -5°, -10° 및 -15° 인 경우,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도시하고 있다. 도 4a 내지 도 4d는 상기 도 3의 상면도를 도시하고, 도 5a 내지 도 5d는 측면도를 도시한다.
상기 도면을 살펴보면, 차량의 전복이 발생하는 경우, 차량의 루프 부분에서는 대부분 엑스(X)자 형태의 충격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되어 있는 차량의 상면도를 살펴보면, 다양한 롤각 및 피치각 하에서 차량의 전복이 발생하는 경우, 차량의 루프 부분에는 그 형상에 있어서는 다소 차이가 있으나, 전체적으로 X 자 형태의 충격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사륜차에 적용되는 차량의 루프 구조로는 상기 차량의 루프 부분에 발생하는 X자 형태의 충격에 적절히 대응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도 5a 내지 도 5d에는 차량의 전복시 차량의 측면에 가해지는 충격이 도시되어 있는 바, 롤각이 0°인 경우, 기존의 루프 구조와 같이 차량의 A 필라와 B 필라에 대응하는 부분에 충격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기존의 A 필라와 B 필라의 구조로 상기 충격을 적절히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롤각이 10°또는 20°인 경우, 피치각이 작은 경우에는 기존의 B 필라에 대응하는 부분이 차량의 전방부분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부분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피치각이 큰 경우에는 차량의 측면에 3방향의 충격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현상은 롤각이 30°인 경우에도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피치각이 큰 경우에는 상기 A 필라와 B 필라에 대응하는 부분 사이에 추가적인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차량의 루프 구조를 발명하게 되었는 바, 이에 대한 일 실시예가 도 6에 도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루프 구조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량의 루프를 지지하기 위해 루프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캔트레일(10)과, 상기 루프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캔트레일(10)의 일단으로부터 연결되며, 차량의 전방부분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A 필라(20)와 상기 캔트레일(10)에 연결되며, 차량의 측면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B 필라(3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차량의 루프 구조에 있어서, 상기 루프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캔트레일(10) 사이에 크로스바 형태의 크로스바 보강부재(50)를 설치하도록 한 기술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크로스바 보강부재(50)는 상기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보강부재(51)와 제2보강부재(52)가 크로스바 형상으로 상기 차량의 루프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캔트레일(10)에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루프 구조는 상기 차량의 루프 상에 크로스바 보강부재(50)를 설치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상기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차량의 전복시 루프 상에 가해지는 X자 형태의 충격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루프 구조는 상기 크로스바 보강부재(50)와 캔트레일(10)이 연결되는 지점을 상기 캔트레일(10)과 A 필라(20)가 연결되는 제1연결지점(61)과 상기 캔트레일(10)과 B 필라(30)가 연결되는 제2연결지점(62) 상에서 연결하도록 한 구성을 또한 특징으로 한다. 이는 상기 차량의 루프 상에 설치되는 크로스바 보강부재(50)에 차량의 전복 등으로 인하여 상당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이를 효율적으로 완충작용을 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추가적으로, 상기 크로스바 보강부재(50)는 상부 방향으로 곡률을 갖도록 형성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효율적인 완충작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루프 구조는 차량의 루프 상에 설치되는 양 단의 캔트레일(10) 상에 크로스바 보강부재(50)를 설치하되, 상기 크로스바 보강부재(50)의 양 단은 상기 캔트레일(10)과 A 필라(20) 및 B 필라(30)와 연결되는 지점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크로스바 보강부재(50)는 상부 방향으로 아치 형상의 곡률을 갖도록 설계하도록 하여, 상기 차량의 전복 등으로 인하여, 상기 차량의 루프 상에 X자 형태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이를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한 구조를 제공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루프 구조는 상기 차량의 전방부분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A 필라(20)를 차량의 전방부분을 따라 설치되는 A 필라-F(21)와 상기 A 필라-F(21)에 연결되며, 상기 A 필라-F(21)와 B 필라(30) 사이에 설치되는 A 필라-R(22)를 추가적으로 설치한 기술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 5b 내지 도 5d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량의 전복시 롤각과 피치각이 커지는 경우, 상기 A 필라-F(21)와 B 필라(30) 사이에 추가적인 충격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A 필라-F(21)의 후면에 A 필라-R(22)를 추가적으로 설치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A 필라-R(22)는 상술한 바와 같은 크로스바 보강부재(50)의 원활한 완충작용을 보조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연결지점(61) 상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루프 구조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바,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간단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루프 구조의 구체적인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바, 상기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루프 구조는 캔트레일(10) 상에 상방향으로 곡률을 갖는 크로스바 보강부재(50)를 설치하도록 하되, 상기 크로스바 보강부재(50)의 각 연결지점은 캔트레일(10)과 A 필라(20)가 연결되는 지점인 제1연결지점(61)과 B 필라(30)와 캔트레일(10)이 연결되는 지점인 제2연결지점(62)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상기 차량의 루프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차량의 루프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캔트레일(10) 사이에 차량의 윈도우를 지지하기 위한 윈도우 스크린 부재(40)가 윈도우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윈도우 스크린 부재(40)는 상부 방향으로 곡률을 갖도록 설치하여, 상기 차량의 루프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하는 기능을 추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루프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캔트레일(10)의 타단에는 차량의 후방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C 필라(70)가 추가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루프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바,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차량의 캔트레일(10)에 연결되는 B 필라(30')가 차량의 전방 부분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도록 한 기술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상기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롤각과 피치각이 상당히 큰 상태에서 차량의 전복이 발생하는 경우, 차량의 측면에 경사진 방향으로 상당한 충격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바, 이에 대한 대응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루프 구조는 상기 B 필라(30')를 차량의 전방 부분으로 경사지도록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그 외의 구성부분은 이미 설명한 내용과 유사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9a 내지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루프 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바,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차량의 전방부분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A 필라(20')에 있어서, A 필라-F(21)의 후면에 설치되는 A 필라-R(22')를 상기 A 필라-F(21)의 바로 후면에 설치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보다 효율적으로 상기 A 필라-F(21)를 보완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루프 구조를 제공하도록 한다. 한편, 그 외의 구성부분은 이미 설명한 내용과 유사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0a 내지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루프 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바,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차량의 전방부분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A 필라(20')에 있어서, A 필라-F(21)의 후면에 설치되는 A 필라-R(22')를 상기 A 필라-F(21)의 바로 후면에 설치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보다 효율적으로 상기 A 필라-F(21)를 보완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상기 차량의 캔트레일(10)에 연결되는 B 필라(30')가 차량의 전방 부분으로 경사지게 설치하도록 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의 측면 부분에 발생하는 충격에 보다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한편, 그 외의 구성부분은 이미 설명한 내용과 유사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루프 구조는 기존의 루프 구조와 달리, 차량의 전복시 롤각과 피치각의 변화에 따라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토한 후, 이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차량의 루프 구조를 제시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차량의 전복에 따른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키도록 한 구성을 그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경우, 삼륜차에 적용되는 차량의 루프 구조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도록 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루프 구조는 삼륜차에만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따른 차량의 루프 구조는 삼륜차 뿐만 아니라 사륜차 및 RV 차량 등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루프에 설치되는 크로스바 보강부재(50) 및 이의 설치 구성, 그 외 B 필라(30)의 형상적 특징, A 필라-R(22)의 추가적인 설치 등은 사륜차 또는 RV 차량 등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캔트레일 20 : A 필라
30 : B 필라 40 : 윈도우 스크린 부재
50 : 크로스바 보강부재 70 : C 필라

Claims (8)

  1. 차량의 루프를 지지하기 위해 루프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캔트레일(10);
    상기 루프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캔트레일(10)의 일단으로부터 연결되며, 차량의 전방부분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A 필라(20);
    상기 캔트레일(10)에 연결되며, 차량의 측면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B 필라(30);를 포함하여 형성되되,
    상기 루프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캔트레일(10) 사이에 크로스바 형태의 크로스바 보강부재(50)가 설치되며, 상기 크로스바 보강부재(50)와 캔트레일(10)이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캔트레일(10)과 A 필라(20)가 연결되는 제1연결지점(61)과 상기 캔트레일(10)과 B 필라(30)가 연결되는 제2연결지점(62)이며,
    상기 B 필라(30)는 차량의 전방부분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바 보강부재(50)는 상부 방향으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전방부분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A 필라(20)는 차량의 전방부분을 따라 설치되는 A 필라-F(21)와 상기 A 필라-F(21)에 연결되며, 상기 A 필라-F(21)와 B 필라(30) 사이에 설치되는 A 필라-R(2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A 필라-R(21)는 제1연결지점(61)으로부터, 상기 A 필라-F(21)와 B 필라(30) 사이에 연장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 구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캔트레일(10) 사이에 차량의 윈도우를 지지하기 위한 윈도우 스크린 부재(40)가 윈도우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스크린 부재(40)는 상부 방향으로 곡률을 갖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 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캔트레일(10)의 타단에 차량의 후방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C 필라(7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 구조.

KR20130125679A 2013-10-22 2013-10-22 차량의 루프 구조 KR101492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5679A KR101492008B1 (ko) 2013-10-22 2013-10-22 차량의 루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5679A KR101492008B1 (ko) 2013-10-22 2013-10-22 차량의 루프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2008B1 true KR101492008B1 (ko) 2015-02-10

Family

ID=52591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5679A KR101492008B1 (ko) 2013-10-22 2013-10-22 차량의 루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20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1286B1 (ko) * 2021-05-11 2022-01-14 이익모 자동차용 안전캡
KR20230107940A (ko) 2022-01-10 2023-07-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체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8073A (ja) * 2002-11-15 2004-06-17 Nissan Motor Co Ltd 車体上部構造
KR20110048559A (ko) * 2008-08-22 2011-05-11 세이프티 엔지니어링 인터내셔널, 엘.엘.씨. 차량 전복 방지 루프의 구조와 구조물
JP2013184659A (ja) * 2012-03-09 2013-09-19 Toyota Motor Corp 車両側部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8073A (ja) * 2002-11-15 2004-06-17 Nissan Motor Co Ltd 車体上部構造
KR20110048559A (ko) * 2008-08-22 2011-05-11 세이프티 엔지니어링 인터내셔널, 엘.엘.씨. 차량 전복 방지 루프의 구조와 구조물
JP2013184659A (ja) * 2012-03-09 2013-09-19 Toyota Motor Corp 車両側部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1286B1 (ko) * 2021-05-11 2022-01-14 이익모 자동차용 안전캡
KR20230107940A (ko) 2022-01-10 2023-07-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체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5950B2 (en) Connection structure of a vehicle
CN107042843B (zh) 汽车车身结构
US9090291B1 (en) Front pillar assemblies with front pillar lower reinforcement members having lower wrap reinforcement structures
JP4207904B2 (ja) 車両端部構造
CN107539370A (zh) 前车身增强结构
KR101371838B1 (ko) 차량 충돌 시 프론트 필러의 충돌 에너지 분산 구조
JP4875559B2 (ja) 車体フレーム構造
CN103802773A (zh) 具有前防撞梁侧向载荷传递构件的车辆
US9855972B2 (en) Vehicle roof with truss structure
KR20110048559A (ko) 차량 전복 방지 루프의 구조와 구조물
JP2017171102A (ja) 車体前部の構造
KR101492008B1 (ko) 차량의 루프 구조
US11772708B2 (en) Front vehicle body structure
JP6248959B2 (ja) 車両骨格構造
CN100579831C (zh) 机动车辆前车体的冲击力减轻结构
CN102476656A (zh) 车身后部构造
JP5509265B2 (ja) 車体前部構造
JP4905675B2 (ja) 車両前部の車体構造
KR101262003B1 (ko) 자동차의 트레일링 암 마운팅 장치
CN104903181A (zh) 车辆的车顶构造
JP2010000997A (ja) 自動車のリヤサスペンションタワー構造
CN204150117U (zh) 用于车辆的碰撞对抗装置及车辆的前端部
KR20110085565A (ko) 자동차용 리어 휠아치부의 차체구조
CN205971504U (zh) 车身后门槛梁组件及具有其的车辆
KR101997289B1 (ko) 자동차용 다중 골격 에이필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