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1790B1 - 전력감지차단 콘센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력감지차단 콘센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1790B1
KR101491790B1 KR20140185735A KR20140185735A KR101491790B1 KR 101491790 B1 KR101491790 B1 KR 101491790B1 KR 20140185735 A KR20140185735 A KR 20140185735A KR 20140185735 A KR20140185735 A KR 20140185735A KR 101491790 B1 KR101491790 B1 KR 101491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sb port
control unit
sensing
operation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85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임식
Original Assignee
금호이앤지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이앤지 (주) filed Critical 금호이앤지 (주)
Priority to KR20140185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17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1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1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ctuated by an accessory, e.g. cover, locking member

Landscapes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감지차단 콘센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전력원(1)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제 1 기기(10)로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콘센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기(10)의 전력선이 연결되는 콘센트(111)와, 상기 콘센트(111)로 공급되는 전력을 감지하는 전력 감지부(112)와, 상기 전력원(1)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콘센트(111)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전원 제어부(113)와, 유에스비포트(1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전력감지차단 콘센트 모듈(100); 과, 상기 각각의 전력감지차단 콘센트 모듈(100)의 상기 전력 감지부(112), 전원 제어부(113) 및 상기 유에스비포트(114)가 각각 연결되는 주제어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 1 기기(10)는 자체적으로 운영체계(OS:Operating System)를 가지며 가지며 각종 프로세스(Process)를 수행하는 장치로, 제 1 기기 유에스비 포트((USB Port)(11)를 통하여 상기 유에스비 포트(USB Port)(114)와 신호 및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유휴 상태 및 절전모드 전력 이하의 전력을 소비하는 상태인 경우 안전하게 현재의 프로세스 및 데이터를 저장하고 기기가 종료한 이후에 젖력 공급을 차단하는 전력감지차단 콘센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력감지차단 콘센트 시스템{Cut-off Concent System}
본 발명은 전력감지차단 콘센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전력원(1)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제 1 기기(10)로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콘센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기(10)의 전력선이 연결되는 콘센트(111)와, 상기 콘센트(111)로 공급되는 전력을 감지하는 전력 감지부(112)와, 상기 전력원(1)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콘센트(111)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전원 제어부(113)와, 유에스비포트(1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전력감지차단 콘센트 모듈(100); 과,
상기 각각의 전력감지차단 콘센트 모듈(100)의 상기 전력 감지부(112), 전원 제어부(113) 및 상기 유에스비포트(114)가 각각 연결되는 주제어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 1 기기(10)는 자체적으로 운영체계(OS:Operating System)를 가지며 가지며 각종 프로세스(Process)를 수행하는 장치로, 제 1 기기 유에스비 포트((USB Port)(11)를 통하여 상기 유에스비 포트(USB Port)(114)와 신호 및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주제어부(120)는, 소정 수준의 전력을 절전모드 전력으로 설정하는 절전모드 전력설정단계(S1)를 수행하고,
상기 전력 감지부(112)는 상기 제 1 기기(10)로 공급되어 소모되는 소모전력을 감지하는 소모전력 감지단계(S2)를 수행하며,
상기 제 1 기기(10)는 조작입력의 유무를 감지하는 조작입력 감지단계(S3a) 및 프로세스의 수행 여부를 감지하는 프로세스 감지단계(S3b)를 수행한 후, 조작입력 및 프로세스 상태를 상기 제 1 기기 유에스비 포트((USB Port)(11)를 통하여 상기 유에스비포트(114)로 전송하는 조작입력 및 프로세스 상태 전송단계(S4a)를 수행하고,
상기 유에스비포트(114)는 상기 조작입력 및 프로세스 상태를 수신하여 상기 주제어부(120)로 전달하는 조작입력 및 프로세스 상태 수신단계(S4b)를 수행하고,
상기 주제어부(120)는,
상기 조작입력 및 프로세스 상태가 유휴(Idle)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유휴 판단 단계(S5);
상기 소모전력이 상기 절전모드 전력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절전모드 전력 해당 판단 단계(S6); 를 수행하며,
상기 유휴 판단 단계(S5) 및 상기 절전모드 전력 해당 판단 단계(S6)를 통하여 상기 조작입력 및 프로세스 상태가 모두 유휴(Idle) 상태 및 상기 절전모드 전력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유에스비포트(114)를 통하여 상기 제 1 기기 유에스비 포트((USB Port)(11)로 차단 신호를 전송하는 차단 신호 전송단계(S8)를 수행하고,
상기 제 1 기기(10)는 상기 차단 신호에 따라 현재의 프로세스 및 데이터를 자동으로 저장하는 자동저장 실행단계(S9)를 수행하고, 시스템을 종료하는 시스템 종료 단계(S10b)를 수행하며,
상기 주제어부(120)는 상기 전원 제어부(113)을 제어하여 상기 전력원(1)으로부터 상기 콘센트(111)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전력차단 단계(S12)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감지차단 콘센트 시스템(100)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가전 기기 등의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콘센트를 구비하는 콘센트 시스템(통상적으로 '멀티탭' 이러고도 불린다.)에서, 대기 전력의 차단을 구현하기 위하여, 하기 특허문헌 1의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2637호)에는, 멀티탭에 형성된 복수의 콘센트와 연결되어 있는 플러그를 통해 가전기기의 전원을 연결하는 접점의 탈착 상태를 감지하여 접점의 상태에 따른 접점 탈착 신호를 생성하는 접점 연결 감지부; 멀티탭의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고, 접점 연결 감지부에서 생성된 접점 탈착신호에 기초하여 전원 차단 신호를 발생하는 마이콤; 및 마이콤의 전원 차단 신호에 기초하여 가전기기의 플러그로 전송되는 전원을 차단 또는 연결하는 계전기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 발명의 경우 콘센트에 [0007] 연결된 전기기기가 가변 되어 이에 따라 소비하는 대기전력이 가변됨에도 불구하고 대기전력 차단 기준 값이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기기의 수에 따라 가변 되지 않게 되지 않고 고정되어 있으므로 대기전력이 효과적으로 차단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 특허문헌 2의 "대기전력 자동 차단시스템 및 이를 통한 절전 제어방법(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58834호)"에는 1차적으로 대기전력이 차단된 후 입력신호에 따른 2차적으로 대기전력의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되는 제1전기기기가 연결된 제1차단부 및 상기 제1전기기기에 종속되어 동작하는 제2전기기기가 연결된 제2차단부가 포함된 멀티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전기기기의 소비전력이 미리 설정된 보정값 이하일 때 대기전력으로 판단되어 제1차단부에서 전원 공급이 차단되면 제2차단부에서도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또는 제1전기기기의 소비전력이 상기 보정 값보다 크더라도 제1전기기기로부터 입력 수단의 입력신호가 없다는 인터럽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2차단부에서 전원공급이 차단되도록 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 발명들은 모두 소정의 전력 차단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연결된 기기의 작동 상태와 관계없이 전원 공급 자체를 차단해 버리는 구성들에 불과한 바, 이는 자체적으로 컴퓨터와 같이 운영체계(OS:Operating System)를 가지며 가지며 각종 프로세스(Process)를 수행하는 장치의 경우, 유휴 상태에서 대기중인 프로세스 및 데이터의 상태는 물론, 시스템의 종료 여부와 관계없이 전원을 차단해 버리므로(간단히 표현하면, 유휴 상태에서 작동중인 컴퓨터의 전원을 플러그로부터 강제로 탈거하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프로세스와 데이터가 손실되는 것은 물론, 시스템의 하드웨어에도 종료 전 전원 차단에 의하여 대단히 큰 문제를 가져오게 된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2637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58834호
본 발명은 상기한 기존 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콘센트 시스템에 연결된 기기가 유휴상태이면서 기 설정된 절전모드 전력 이하인 경우, 기기에서 수행 중인 프로세스 및 데이터를 저장하고 나서야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도록 하여, 기기에서 작동 중인 프로세스 및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하고 기기에 가해지는 전기적 충격을 방지하면서도 유휴 대기 전력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가능한 전력감지차단 콘센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또한, 자체적인 저장부를 구비하고 현재의 프로세스 및 데이터를 전달받아 저장하여 두도록 하여, 시스템 종료 단계에서 혹시라도 이상 종료가 되는 경우라도 현재의 프로세스 및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조적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력원(1)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제 1 기기(10)로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콘센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기(10)의 전력선이 연결되는 콘센트(111)와, 상기 콘센트(111)로 공급되는 전력을 감지하는 전력 감지부(112)와, 상기 전력원(1)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콘센트(111)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전원 제어부(113)와, 유에스비포트(1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전력감지차단 콘센트 모듈(100); 과,
상기 각각의 전력감지차단 콘센트 모듈(100)의 상기 전력 감지부(112), 전원 제어부(113) 및 상기 유에스비포트(114)가 각각 연결되는 주제어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 1 기기(10)는 자체적으로 운영체계(OS:Operating System)를 가지며 가지며 각종 프로세스(Process)를 수행하는 장치로, 제 1 기기 유에스비 포트((USB Port)(11)를 통하여 상기 유에스비 포트(USB Port)(114)와 신호 및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주제어부(120)는, 소정 수준의 전력을 절전모드 전력으로 설정하는 절전모드 전력설정단계(S1)를 수행하고,
상기 전력 감지부(112)는 상기 제 1 기기(10)로 공급되어 소모되는 소모전력을 감지하는 소모전력 감지단계(S2)를 수행하며,
상기 제 1 기기(10)는 조작입력의 유무를 감지하는 조작입력 감지단계(S3a) 및 프로세스의 수행 여부를 감지하는 프로세스 감지단계(S3b)를 수행한 후, 조작입력 및 프로세스 상태를 상기 제 1 기기 유에스비 포트((USB Port)(11)를 통하여 상기 유에스비포트(114)로 전송하는 조작입력 및 프로세스 상태 전송단계(S4a)를 수행하고,
상기 유에스비포트(114)는 상기 조작입력 및 프로세스 상태를 수신하여 상기 주제어부(120)로 전달하는 조작입력 및 프로세스 상태 수신단계(S4b)를 수행하고,
상기 주제어부(120)는,
상기 조작입력 및 프로세스 상태가 유휴(Idle)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유휴 판단 단계(S5);
상기 소모전력이 상기 절전모드 전력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절전모드 전력 해당 판단 단계(S6); 를 수행하며,
상기 유휴 판단 단계(S5) 및 상기 절전모드 전력 해당 판단 단계(S6)를 통하여 상기 조작입력 및 프로세스 상태가 모두 유휴(Idle) 상태 및 상기 절전모드 전력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유에스비포트(114)를 통하여 상기 제 1 기기 유에스비 포트((USB Port)(11)로 차단 신호를 전송하는 차단 신호 전송단계(S8)를 수행하고,
상기 제 1 기기(10)는 상기 차단 신호에 따라 현재의 프로세스 및 데이터를 자동으로 저장하는 자동저장 실행단계(S9)를 수행하고, 시스템을 종료하는 시스템 종료 단계(S10b)를 수행하며,
상기 주제어부(120)는 상기 전원 제어부(113)을 제어하여 상기 전력원(1)으로부터 상기 콘센트(111)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전력차단 단계(S12)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전모드 전력설정단계(S1)는 소정의 차단 대기 시간을 함께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절전모드 전력 해당 판단 단계(S6) 이후에 상기 소모전력이 상기 절전모드 전력 이하인 상태가 상기 차단 대기 시간을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차단 대기 시간 경과 판단 단계(S7)를 더 수행하고,
상기 차단 대기 시간 경과 판단 단계(S7)에서 아직 상기 차단 대기 시간을 경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소모 전력 감지 단계(S2)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기기(10)는 상기 자동저장 실행단계(S9)가 완료되면 종료 신호를 상기 유에스비포트(114)로 전달하는 종료 신호 전송 단계(S10a)를 더 수행한 후 시스템을 종료하는 시스템 종료 단계(S10b)를 수행하며,
상기 주제어부(120)는 상기 종료 신호를 전달받는 종료 신호 수신 단계(S11)를 더 수행한 후 상기 종료 신호를 전달받는 후에 상기 전원 제어부(113)을 제어하여 상기 전력원(1)으로부터 상기 콘센트(111)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전력차단 단계(S12)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제어부(120)에 연결되는 조작 입력부(14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제어부(120)에 연결되며,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3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제어부(120)에 연결되는 저장부(15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자동저장 실행단계(S9)는,
현재의 프로세스 및 데이터를 상기 제 1 기기 유에스비 포트(USB Port)(11)를 통하여 상기 유에스비포트(114)로 전송 한 후 상기 저장부(150)에 자동으로 저장되도록 하는 작동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작입력 감지단계(S3a),조작입력 및 프로세스 상태 전송단계(S4a),자동저장 실행단계(S9) 및 상기 시스템 종료 단계(S10b)는 상기 제 1 기기 상에 설치되는 펌웨어(firm-ware) 또는 소프트 웨어(software)의 형식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콘센트 시스템에 연결된 기기가 유휴상태이면서 기 설정된 절전모드 전력 이하인 경우, 기기에서 수행 중인 프로세스 및 데이터를 저장하고 나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도록 하여, 기기에서 작동 중인 프로세스 및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하고 기기에 가해지는 전기적 충격을 방지하면서도 유휴 대기 전력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자동저장 실행단계(S9)는 현재의 프로세스 및 데이터를 제 1 기기 유에스비 포트(USB Port)(11)를 통하여 유에스비포트(114)로 전송한 후 저장부(150)에 자동으로 저장되도록 하는 작동을 더 수행하여, 시스템 종료 단계(S10b)에서 혹시라도 이상 종료가 되는 경우라도 현재의 프로세스 및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조적으로 저장할 수 있어서, 저장부(150)에 저장된 현재의 프로세스 및 데이터를 추후 유에스비포트(114)에서 제 1 기기 유에스비 포트(USB Port)(11)를 통하여 제 1 기기(10)로 다시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력감지차단 콘센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
도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력감지차단 콘센트 시스템의 작동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감지차단 콘센트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은, 전력원(1)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제 1 기기(10)로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콘센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크게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하나 이상의 전력감지차단 콘센트 모듈(100)과, 주제어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 1 기기(10)는 자체적으로 운영체계(OS:Operating System)를 가지며 가지며 각종 프로세스(Process)를 수행하는 장치로, 제 1 기기 유에스비 포트((USB Port)(11)를 통하여 상기 유에스비 포트(USB Port)(114)와 신호 및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통상적으로 내부의 전려원 없이 외부로부터의 전원 공급에 의하여 작동하는 피씨(PC) 등이 이에 해당하며, 넓게는 프린터 복합기, 스캐너 등 자체적으로 운영체계(OS:Operating System)를 가지며 가지며 각종 프로세스(Process)를 수행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전력감지차단 콘센트 모듈(10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전력감지차단 콘센트 모듈(100)은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 1 기기(10)의 전력선이 연결되는 콘센트(111)와, 상기 콘센트(111)로 공급되는 전력을 감지하는 전력 감지부(112)와, 상기 전력원(1)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콘센트(111)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전원 제어부(113)와, 유에스비포트(1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전력감지차단 콘센트 모듈(100)은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통상적으로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콘센트(111)로 공급되는 전력을 감지하는 전력 감지부(112)는 통상적으로 정전압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 전류 측정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제어부(113)는 상기 주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작동하는 릴레이나 에프이티(FET) 같은 전력 제어 소자를 이용하여 구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에스비포트(114)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 1 기기(10)의 상기 제 1 기기 유에스비 포트((USB Port)(11)와 각종 신호 및 데이터를 주고 받는 기능을 가진다. 이 경우, 상기 유에스비포트(114)에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유에스비 동글(USB Donggle)(115)이 장착되도록 하여 상기 제 1 기기 유에스비 포트((USB Port)(11)에 장착되는 제 1 기기 유에스비 동글(USB Donggle)과 무선으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주제어부(12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주제어부(120)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각각의 전력감지차단 콘센트 모듈(100)의 상기 전력 감지부(112), 전원 제어부(113) 및 상기 유에스비포트(114)가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본 발명의 전력감지차단 콘센트 시스템의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주제어부(120)의 상세한 기능에 관하여는 아래에서 본 발명의 작동 설명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의한 전력감지차단 콘센트 시스템의 작동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주제어부(120)는, 소정 수준의 전력을 절전모드 전력으로 설정하는 절전모드 전력설정단계(S1)를 수행한다. 이 경우 소정 수준의 절전모드 전력은 통상적으로 상기 제 1 기기(10)의 유휴 작동시 전력을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 후, 상기 전력 감지부(112)는 상기 제 1 기기(10)로 공급되어 소모되는 소모전력을 감지하는 소모전력 감지단계(S2)를 수행한다.
그 후, 상기 제 1 기기(10)는 조작입력의 유무를 감지하는 조작입력 감지단계(S3a) 및 프로세스의 수행 여부를 감지하는 프로세스 감지단계(S3b)를 수행한 후, 조작입력 및 프로세스 상태를 상기 제 1 기기 유에스비 포트((USB Port)(11)를 통하여 상기 유에스비포트(114)로 전송하는 조작입력 및 프로세스 상태 전송단계(S4a)를 수행한다.
그 후, 상기 유에스비포트(114)는 상기 조작입력 및 프로세스 상태를 수신하여 상기 주제어부(120)로 전달하는 조작입력 및 프로세스 상태 수신단계(S4b)를 수행하고, 상기 주제어부(120)는,
상기 조작입력 및 프로세스 상태가 유휴(Idle)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유휴 판단 단계(S5) 및 상기 소모전력이 상기 절전모드 전력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절전모드 전력 해당 판단 단계(S6)를 수행한다.
만약, 상기 유휴 판단 단계(S5) 및 상기 절전모드 전력 해당 판단 단계(S6)를 통하여 상기 조작입력 및 프로세스 상태가 모두 유휴(Idle) 상태 및 상기 절전모드 전력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유에스비포트(114)를 통하여 상기 제 1 기기 유에스비 포트((USB Port)(11)로 차단 신호를 전송하는 차단 신호 전송단계(S8)를 수행한다.
그 후, 상기 제 1 기기(10)는 상기 차단 신호에 따라 현재의 프로세스 및 데이터를 자동으로 저장하는 자동저장 실행단계(S9)를 수행하고, 시스템을 종료하는 시스템 종료 단계(S10b)를 수행하며, 상기 주제어부(120)는 이와 같이 현재의 프로세스 및 데이터가 자동으로 저장되고 상기 제 1 기기(10)의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종료된 이후에 상기 전원 제어부(113)을 제어하여 상기 전력원(1)으로부터 상기 콘센트(111)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전력차단 단계(S12)를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절전모드 전력설정단계(S1)는 소정의 차단 대기 시간( 이 경우의 차단대기 시간은 상기 제 1 기기(10)의 사용 형태를 고려하여 10분~1시간 등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을 함께 설정하도록 하고, 상기 절전모드 전력 해당 판단 단계(S6) 이후에 상기 소모전력이 상기 절전모드 전력 이하인 상태가 상기 차단 대기 시간을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차단 대기 시간 경과 판단 단계(S7)를 더 수행한 후, 상기 차단 대기 시간 경과 판단 단계(S7)에서 아직 상기 차단 대기 시간을 경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소모 전력 감지 단계(S2)로 복귀하도록 하여, 상기 조작입력 및 프로세스 상태가 모두 유휴(Idle) 상태 및 상기 절전모드 전력 이하인 상태가 상기 차단 대기 시간을 경과한 경우에만 차단 신호 전송단계(S8) 이하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기기(10)의 현재의 프로세스 및 데이터가 자동으로 저장된 이후에야 전력을 차단하는 작동을 좀 더 확실하게 수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기기(10)는 상기 자동저장 실행단계(S9)가 완료되면 종료 신호를 상기 유에스비포트(114)로 전달하는 종료 신호 전송 단계(S10a)를 더 수행한 후 시스템을 종료하는 시스템 종료 단계(S10b)를 수행하며, 상기 주제어부(120)는 상기 종료 신호를 전달받는 종료 신호 수신 단계(S11)를 더 수행한 후 상기 종료 신호를 전달받는 후에 상기 전원 제어부(113)을 제어하여 상기 전력원(1)으로부터 상기 콘센트(111)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전력차단 단계(S12)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주제어부(120)에 연결되는 조작 입력부(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하여, 절전모드 전력설정단계(S1)에서의 상기 소정 수준의 전력을 절전모드 전력으로 설정하는 등의 조작 입력이 필요한 경우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조작 입력부(140)는 간단한 딥 스위치(DIP Swith)에서부터 버튼의 배열이나 키 패드 등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전력감지차단 콘센트 시스템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3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표시부(130) 역시 간단한 표시등에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 등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전력감지차단 콘센트 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주제어부(120)에 연결되는 저장부(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하고, 상기 자동저장 실행단계(S9)는, 현재의 프로세스 및 데이터를 상기 제 1 기기 유에스비 포트(USB Port)(11)를 통하여 상기 유에스비포트(114)로 전송 한 후 상기 저장부(150)에 자동으로 저장되도록 하는 작동을 더 수행하도록 하여, 상기 시스템 종료 단계(S10b)에서 혹시라도 이상 종료가 되는 경우라도 상기 현재의 프로세스 및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조적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된 상기 현재의 프로세스 및 데이터는, 추후 상기 유에스비포트(114)에서 상기 제 1 기기 유에스비 포트(USB Port)(11)를 통하여 상기 제 1 기기(10)로 다시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조작입력 감지단계(S3a),조작입력 및 프로세스 상태 전송단계(S4a),자동저장 실행단계(S9) 및 상기 시스템 종료 단계(S10b)는 상기 제 1 기기 상에 설치되는 펌웨어(firm-ware) 또는 소프트 웨어(software)의 형식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전력원
10: 제 1 기기
11: 제 1 기기 유에스비 포트(USB Port)
20: 제 2 기기
100: 전력감지차단 콘센트 시스템
110: 전력감지차단 콘센트 모듈
111: 콘센트 112: 전력 감지부
113: 전원 제어부
114: 유에스비포트 115: 유에스비 동글(USB Donggle)
120: 주제어부
130: 표시부
140: 조작입력부
150: 저장부

Claims (7)

  1. 전력원(1)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제 1 기기(10)로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콘센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기(10)의 전력선이 연결되는 콘센트(111)와, 상기 콘센트(111)로 공급되는 전력을 감지하는 전력 감지부(112)와, 상기 전력원(1)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콘센트(111)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전원 제어부(113)와, 유에스비포트(1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전력감지차단 콘센트 모듈(100);
    상기 각각의 전력감지차단 콘센트 모듈(100)의 상기 전력 감지부(112), 전원 제어부(113) 및 상기 유에스비포트(114)가 각각 연결되는 주제어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 1 기기(10)는 자체적으로 운영체계(OS:Operating System)를 가지며 가지며 각종 프로세스(Process)를 수행하는 장치로, 제 1 기기 유에스비 포트((USB Port)(11)를 통하여 상기 유에스비 포트(USB Port)(114)와 신호 및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주제어부(120)는, 소정 수준의 전력을 절전모드 전력으로 설정하는 절전모드 전력설정단계(S1)를 수행하고,
    상기 전력 감지부(112)는 상기 제 1 기기(10)로 공급되어 소모되는 소모전력을 감지하는 소모전력 감지단계(S2)를 수행하며,
    상기 제 1 기기(10)는 조작입력의 유무를 감지하는 조작입력 감지단계(S3a) 및 프로세스의 수행 여부를 감지하는 프로세스 감지단계(S3b)를 수행한 후, 조작입력 및 프로세스 상태를 상기 제 1 기기 유에스비 포트((USB Port)(11)를 통하여 상기 유에스비포트(114)로 전송하는 조작입력 및 프로세스 상태 전송단계(S4a)를 수행하고,
    상기 유에스비포트(114)는 상기 조작입력 및 프로세스 상태를 수신하여 상기 주제어부(120)로 전달하는 조작입력 및 프로세스 상태 수신단계(S4b)를 수행하고,
    상기 주제어부(120)는,
    상기 조작입력 및 프로세스 상태가 유휴(Idle)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유휴 판단 단계(S5);
    상기 소모전력이 상기 절전모드 전력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절전모드 전력 해당 판단 단계(S6); 를 수행하며,
    상기 유휴 판단 단계(S5) 및 상기 절전모드 전력 해당 판단 단계(S6)를 통하여 상기 조작입력 및 프로세스 상태가 모두 유휴(Idle) 상태 및 상기 절전모드 전력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유에스비포트(114)를 통하여 상기 제 1 기기 유에스비 포트((USB Port)(11)로 차단 신호를 전송하는 차단 신호 전송단계(S8)를 수행하고,
    상기 제 1 기기(10)는 상기 차단 신호에 따라 현재의 프로세스 및 데이터를 자동으로 저장하는 자동저장 실행단계(S9)를 수행하고, 시스템을 종료하는 시스템 종료 단계(S10b)를 수행하며,
    상기 주제어부(120)는 상기 전원 제어부(113)을 제어하여 상기 전력원(1)으로부터 상기 콘센트(111)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전력차단 단계(S12)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주제어부(120)에 연결되는 저장부(15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자동저장 실행단계(S9)는,
    현재의 프로세스 및 데이터를 상기 제 1 기기 유에스비 포트(USB Port)(11)를 통하여 상기 유에스비포트(114)로 전송한 후 상기 저장부(150)에 자동으로 저장되도록 하는 작동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감지차단 콘센트 시스템(100).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모드 전력설정단계(S1)는 소정의 차단 대기 시간을 함께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절전모드 전력 해당 판단 단계(S6) 이후에 상기 소모전력이 상기 절전모드 전력 이하인 상태가 상기 차단 대기 시간을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차단 대기 시간 경과 판단 단계(S7)를 더 수행하고,
    상기 차단 대기 시간 경과 판단 단계(S7)에서 아직 상기 차단 대기 시간을 경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소모 전력 감지 단계(S2)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감지차단 콘센트 시스템(100).
  3.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기(10)는 상기 자동저장 실행단계(S9)가 완료되면 종료 신호를 상기 유에스비포트(114)로 전달하는 종료 신호 전송 단계(S10a)를 더 수행한 후 시스템을 종료하는 시스템 종료 단계(S10b)를 수행하며,
    상기 주제어부(120)는 상기 종료 신호를 전달받는 종료 신호 수신 단계(S11)를 더 수행한 후 상기 종료 신호를 전달받는 후에 상기 전원 제어부(113)을 제어하여 상기 전력원(1)으로부터 상기 콘센트(111)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전력차단 단계(S12)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감지차단 콘센트 시스템(100).
  4. 청구항 제1항 내지 청구항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부(120)에 연결되는 조작 입력부(14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감지차단 콘센트 시스템(100).
  5.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부(120)에 연결되며,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3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감지차단 콘센트 시스템(100).
  6. 삭제
  7. 청구항 제1항 내지 청구항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입력 감지단계(S3a),조작입력 및 프로세스 상태 전송단계(S4a),자동저장 실행단계(S9) 및 상기 시스템 종료 단계(S10b)는 상기 제 1 기기 상에 설치되는 펌웨어(firm-ware) 또는 소프트 웨어(software)의 형식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감지차단 콘센트 시스템(100).
KR20140185735A 2014-12-22 2014-12-22 전력감지차단 콘센트 시스템 KR101491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85735A KR101491790B1 (ko) 2014-12-22 2014-12-22 전력감지차단 콘센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85735A KR101491790B1 (ko) 2014-12-22 2014-12-22 전력감지차단 콘센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1790B1 true KR101491790B1 (ko) 2015-02-11

Family

ID=52591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85735A KR101491790B1 (ko) 2014-12-22 2014-12-22 전력감지차단 콘센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17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3638B1 (ko) 2015-05-26 2015-10-30 김정헌 컴퓨터 주변기기 대기전력 차단 및 전기안전사고 예방장치
KR101633297B1 (ko) * 2016-01-12 2016-06-24 주식회사 한미마이크로닉스 전자 디바이스의 대기전력 감소를 위한 전원공급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9211A (ko) * 2003-11-21 2005-05-25 주식회사 디지털트랜드 컴퓨터용 멀티탭과 그 제어시스템
KR20050119929A (ko) * 2004-06-17 2005-12-22 김철호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멀티탭 콘센트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98082B1 (ko) 2013-05-16 2013-08-20 세계전자 주식회사 대기전력 차단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9211A (ko) * 2003-11-21 2005-05-25 주식회사 디지털트랜드 컴퓨터용 멀티탭과 그 제어시스템
KR20050119929A (ko) * 2004-06-17 2005-12-22 김철호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멀티탭 콘센트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98082B1 (ko) 2013-05-16 2013-08-20 세계전자 주식회사 대기전력 차단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3638B1 (ko) 2015-05-26 2015-10-30 김정헌 컴퓨터 주변기기 대기전력 차단 및 전기안전사고 예방장치
KR101633297B1 (ko) * 2016-01-12 2016-06-24 주식회사 한미마이크로닉스 전자 디바이스의 대기전력 감소를 위한 전원공급장치 및 방법
WO2017122852A1 (ko) * 2016-01-12 2017-07-20 주식회사 한미마이크로닉스 전자 디바이스의 대기전력 감소를 위한 전원공급장치 및 방법
CN108700927A (zh) * 2016-01-12 2018-10-23 韩美麦克罗尼克斯有限公司 用于降低电子设备的待机电力的电源供给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276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interrupting power to a secondary device upon the extinguishing of power to a primary device
US8862916B2 (en) Wireless control of power sockets based on host and signal quality
US9317104B2 (en) Server cluster and control mechanism thereof
US915922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remote control of an electric appliance
US8935556B2 (en) Apparatus for blocking standby power of computer peripheral devices during an absence of horizontal/vertical sync signals to a monitor
KR20150137429A (ko) 멀티 콘센트 및 그 제어 방법
KR101491790B1 (ko) 전력감지차단 콘센트 시스템
KR20110111050A (ko) 대기전력 개별 제어 시스템
KR102502019B1 (ko) 분배 제어 장치
JP2007215367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式コンセント
KR101763903B1 (ko) 대기전력 자동 설정이 가능한 자동 절전 제어 장치
KR101820476B1 (ko)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
KR101037757B1 (ko) 대기 전력 차단용 콘센트
KR200486844Y1 (ko) 사물 인터넷 기반의 컴퓨터 전원 제어 장치
CN112310753B (zh) 一种智能插座、智能插座的控制方法及控制装置
KR101856418B1 (ko) 대기전력 절감시스템
KR101485025B1 (ko) 멀티 탭의 전원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215679095U (zh) 智能家电的电路装置、智能冰箱和智能橱柜
KR20180003964A (ko) 스마트 전원 단자함
KR101850912B1 (ko) 콘센트의 전원 접속 장치
KR101529249B1 (ko) 대기전력 차단기능을 구비한 충전장치 및 이를 적용한 대기전력 차단스위치
EP4068049A1 (en)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KR101110960B1 (ko) 개별적으로 원거리에서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주는 자동절전시스템 및 대기전력 차단장치.
KR101000319B1 (ko) 절전형 멀티탭을 이용한 절전시스템
KR20120128497A (ko) 외부신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