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0319B1 - 절전형 멀티탭을 이용한 절전시스템 - Google Patents

절전형 멀티탭을 이용한 절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0319B1
KR101000319B1 KR1020090111960A KR20090111960A KR101000319B1 KR 101000319 B1 KR101000319 B1 KR 101000319B1 KR 1020090111960 A KR1020090111960 A KR 1020090111960A KR 20090111960 A KR20090111960 A KR 20090111960A KR 101000319 B1 KR101000319 B1 KR 101000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aving
microcomputer
main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1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근
양장은
Original Assignee
양장은
아이리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장은, 아이리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장은
Priority to KR1020090111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03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0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0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43Power saving in microcontroller uni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09Monitoring remote activity, e.g. over telephone lines or networ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9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ignall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3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only to wire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전형 멀티탭을 이용한 절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메인 콘센트와, 상기 메인 콘센트에 종속되는 다수의 서브 콘센트와, 상기 메인 콘센트의 전류변화량을 측정하는 전류센서와, 상기 전류센서에서 측정되는 상기 메인 콘센트의 전류변화량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으며 상기 메인 콘센트의 전원이 차단되면 자동으로 다수의 서브 콘센트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계전기를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하는 절전형 멀티탭에 있어서,
컴퓨터의 온/오프 상태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을 통하여 전송하는 전원체크수단을 갖는 다수의 메인컴퓨터;와, 상기 다수의 메인컴퓨터에서 전송되는 컴퓨터의 온/오프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관리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영상으로 출력하는 영상표시부와, 불필요하게 사용되는 상기 메인컴퓨터는 전원종료수단을 통해서 상기 메인컴퓨터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통합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절전형 멀티탭은 외부전력과 연결하기 위해 상기 계전기를 제어하는 온 버튼과,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제어를 차단하여 자동절전 되지않는 일반적인 멀티탭 기능으로 사용을 위한 수동버튼과,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제어에 의해서 자동절전 되는 절전형 멀티탭 기능으로 사용을 위한 자동버튼으로 구성되는 기능선택버튼과, 상기 기능선택버튼에서 선택된 버튼에 대응하여 램프의 빛이 발산되는 것으로, 수동램프와 자동램프로 구성되는 인식램프와, 상기 통합서버에 제어되어 상기 메인컴퓨터가 종료가 실행되는 경우, 종료가 실행되어 상기 계전기에 의해서 외부전원이 차단되는 시간을 설정하는 시간조절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상기 통합서버에서 다수의 메인컴퓨터의 사용 유무를 관리하고, 전원체크수단을 통하여 불필요하게 켜져 있는 메인컴퓨터인 경우에는 통합서버에서 제어명령을 전송하고, 제어명령을 전송받은 전원종료수단은 메인컴퓨터를 안전하게 종료하고, 메인컴퓨터가 종료되면 절전형 멀티탭에서 메인컴퓨터 및 메인컴퓨터에 의존하여 동작하는 주변기기의 전원을 차단하여 불필요하게 전력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여 절전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절전형 멀티탭에 내장되는 마이크로컴퓨터에 설치되는 IR 또는 RF 모듈로 구성되는 무선수신부와, 무선수신부로 제어명령을 송신하는 무선송신부를 더 포함하여, 무선으로 제어명령을 발신하는 무선송신부를 리모컨과 같은 형태로 제작하여 소지가 용이하여 관리자가 통합서버에서 이탈하는 경우에도 무선송신부를 통하여 간편히 제어명령을 송신할 수 있어 관리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절전형 멀티탭, 메인컴퓨터, 통합서버, 무선수신부, 무선송신부, 절전시스템

Description

절전형 멀티탭을 이용한 절전시스템{An economy in power consumption system which multitap for saving power uses}
본 발명은 절전형 멀티탭을 이용한 절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합서버에서 다수의 메인컴퓨터의 사용 유무를 관리하고, 전원체크수단을 통하여 불필요하게 켜져 있는 메인컴퓨터인 경우에는 통합서버에서 제어명령을 전송하고, 제어명령을 전송받은 전원종료수단은 메인컴퓨터를 안전하게 종료하고, 메인컴퓨터가 종료되면 절전형 멀티탭에서 메인컴퓨터 및 메인컴퓨터에 의존하여 동작하는 주변기기의 전원을 차단하여 불필요하게 전력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여 절전효과를 높일 수 있는 절전형 멀티탭을 이용한 절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멀티탭은 다수의 콘센트를 내설한 것으로서 다수의 전자기기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공보 1996-38797(1996. 12. 18공개)에 개시되는 바와 같은 멀티탭은 모든 콘센트의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는 메인 스위치 및 각각 콘센트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보조 스위치들을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각 콘센트들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함으로써 절전 효과를 달성한다.
그러나, 멀티탭은 본체의 사용 유무 예를 들어, 컴퓨터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모니터, 프린터 등의 주변 장치의 전원을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의 컴퓨터는 전원 제어 기능을 구비하여 자신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지만, 이 컴퓨터에 연결된 모니터, 프린터 등의 전원은 온/오프시킬 수 없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별도로 주변 장치들을 위한 스위치를 조작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멀티탭 콘센트는 사용자의 작업이 매우 불편할 뿐아니라, 사용자가 주변 장치들의 온/오프 상태를 제대로 체크하지 못했을 경우 불필요한 전력이 낭비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콘센트(1)와, 상기 메인 콘센트(1)에 종속되는 다수의 서브 콘센트(2)와, 상기 메인 콘센트(1)의 전류변화량을 측정하는 전류센서(3)와, 상기 전류센서(3)에서 측정되는 상기 메인 콘센트(1)의 전류변화량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으며 상기 메인 콘센트(1)의 전원이 차단되면 자동으로 다수의 서브 콘센트(2)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계전기(4)를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5:microcomputer)가 내장되는 절전형 멀티탭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절전형 멀티탭은 컴퓨터가 메인 콘센트(1)에 연결되고, 컴퓨터에 의존하여 동작하는 주변기기(모니터, 프린터, 스캐너 등)는 서브 콘센트(2)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콘센트(1)에 연결된 컴퓨터의 사용의 유무에 따라서 주변기기의 전원이 온/오프 되도록 함으로, 컴퓨터의 사용이 중단되어 메인 콘센트(1)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면 자동으로 서브 콘센트(2)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함으로, 불필요한 전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하지만, 상기 절전형 멀티탭은 사용자가 메인 콘센트(1)에 연결된 컴퓨터의 사용은 완료하였지만 실수로 컴퓨터의 전원을 끄지 못한 경우, 상기 절전형 멀티탭은 이를 감지할 별도의 수단이 없으므로, 여전히 불필요한 전력이 낭비될 수 있는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었다.
또한, 하나의 건물이나 사무실에 다수의 컴퓨터가 사용되는 경우, 다수의 컴퓨터와 각각의 컴퓨터에 의존하여 동작하는 주변기기의 절전을 위해서 상기 절전형 멀티탭을 이용하여 다수의 컴퓨터를 제어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통합서버에서 다수의 메인컴퓨터의 사용 유무를 관리하고, 전원체크수단을 통하여 불필요하게 켜져 있는 메인컴퓨터인 경우에는 통합서버에서 제어명령을 전송하고, 제어명령을 전송받은 전원종료수단은 메인컴퓨터를 안전하게 종료하고, 메인컴퓨터가 종료되면 절전형 멀티탭에서 메인컴퓨터 및 메인컴퓨터에 의존하여 동작하는 주변기기의 전원을 차단하여 불필요하게 전력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여 절전효과를 높일 수 있는 절전형 멀티탭을 이용한 절전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절전형 멀티탭에 내장되는 마이크로컴퓨터에 무선수신부(IR 또는 RF 모듈)로 구성되는 무선수신부와, 무선수신부로 제어명령을 송신하는 무선송신부를 더 포함하여, 무선으로 제어명령을 발신하는 무선송신부를 리모컨과 같은 형태로 제작하여 소지가 용이하여 관리자는 통합서버에서 이탈하는 경우에도 무선송신부를 통하여 간편히 제어명령을 송신할 수 있어 관리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절전형 멀티탭을 이용한 절전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전형 멀티탭을 이용한 절전시스템은 메인 콘센트와, 상기 메인 콘센트에 종속되는 다수의 서브 콘센트와, 상기 메인 콘센트의 전류변화량을 측정하는 전류센서와, 상기 전류센서에서 측정되는 상기 메인 콘센트의 전류변화량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으며 상기 메 인 콘센트의 전원이 차단되면 자동으로 다수의 서브 콘센트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계전기를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하는 절전형 멀티탭에 있어서,
컴퓨터의 온/오프 상태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을 통하여 전송하는 전원체크수단을 갖는 다수의 메인컴퓨터;와, 상기 다수의 메인컴퓨터에서 전송되는 컴퓨터의 온/오프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관리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영상으로 출력하는 영상표시부와, 불필요하게 사용되는 상기 메인컴퓨터는 전원종료수단을 통해서 상기 메인컴퓨터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통합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절전형 멀티탭은 외부전력과 연결하기 위해 상기 계전기를 제어하는 온 버튼과,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제어를 차단하여 자동절전 되지않는 일반적인 멀티탭 기능으로 사용을 위한 수동버튼과,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제어에 의해서 절전형 멀티탭 기능으로 사용을 위한 자동버튼으로 구성되는 기능선택버튼과, 상기 기능선택버튼에서 선택된 버튼에 대응하여 램프의 빛이 발산되는 것으로, 수동램프와 자동램프로 구성되는 인식램프와, 상기 통합서버에 제어되어 상기 메인컴퓨터가 종료가 실행되는 경우, 종료가 실행되어 상기 계전기에 의해서 외부전원이 차단되는 시간을 설정하는 시간조절버튼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체크수단 및 전원종료수단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통해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인터넷 랜선이 상기 절전형 멀티탭의 마이크로컴퓨터를 경유하도록 하여, 상기 통합서버의 제어부는 상기 인터넷 랜선을 통하여 제어명령을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로 전송하여 상기 절전형 멀티탭의 전원을 강제종료할 수 있도록 함을 특 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전형 멀티탭을 이용한 절전시스템은 메인 콘센트와, 상기 메인 콘센트에 종속되는 다수의 서브 콘센트와, 상기 메인 콘센트의 전류변화량을 측정하는 전류센서와, 상기 전류센서에서 측정되는 상기 메인 콘센트의 전류변화량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으며 상기 메인 콘센트의 전원이 차단되면 자동으로 다수의 서브 콘센트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계전기를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하는 절전형 멀티탭에 있어서,
상기 절전형 멀티탭의 마이크로컴퓨터의 UART 포트를 이용하여,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것으로, IR 또는 RF 모듈로 구성되는 무선수신부;와, 상기 무선수신부로 제어명령정보를 발신하여, 상기 절전형 멀티탭의 전원을 제어하는 무선송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절전형 멀티탭은 외부전력과 연결하기 위해 상기 계전기를 제어하는 온 버튼과,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제어를 차단하여 자동절전 되지않는 일반적인 멀티탭 기능으로 사용을 위한 수동버튼과,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제어에 의해서 절전형 멀티탭 기능으로 사용을 위한 자동버튼으로 구성되는 기능선택버튼과, 상기 기능선택버튼에서 선택된 버튼에 대응하여 램프의 빛이 발산되는 것으로, 수동램프와 자동램프로 구성되는 인식램프와, 사용자에 의해서 메인 콘센트의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종료가 실행되어 계전기에 의해서 외부전원이 차단되는 시간을 설정하는 시간조절버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절전형 멀티탭을 이용한 절전시스템에 의하 면, 통합서버에서 다수의 메인컴퓨터의 사용 유무를 관리하고, 전원체크수단을 통하여 불필요하게 켜져 있는 메인컴퓨터인 경우에는 통합서버에서 제어명령을 전송하고, 제어명령을 전송받은 전원종료수단은 메인컴퓨터를 안전하게 종료하고, 메인컴퓨터가 종료되면 절전형 멀티탭에서 메인컴퓨터 및 메인컴퓨터에 의존하여 동작하는 주변기기의 전원을 차단하여 불필요하게 전력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여 절전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절전형 멀티탭에 내장되는 마이크로컴퓨터에 설치되는 IR 또는 RF 모듈로 구성되는 무선수신부와, 무선수신부로 제어명령을 송신하는 무선송신부를 더 포함하여, 무선으로 제어명령을 발신하는 무선송신부를 리모컨과 같은 형태로 제작하여 소지가 용이하여 관리자가 통합서버에서 이탈하는 경우에도 무선송신부를 통하여 간편히 제어명령을 송신할 수 있어 관리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전형 멀티탭을 이용한 절전시스템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전형 멀티탭을 이용한 절전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전형 멀티탭을 이용한 절전시스템의 개념도를,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절전형 멀티탭을 이용한 절전시스템에 사용되는 절전형 멀티탭의 구성도를,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전형 멀티탭을 이용한 절전시스템의 개념도를,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전형 멀티탭을 이용한 절전시스템의 개념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전형 멀티탭을 이용한 절전시스템(100)은 절전형 멀티탭(30)과, 메인컴퓨터(10)와, 통합서버(20)를 포함하고 있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전형 멀티탭(30)은 메인 콘센트(1)와, 상기 메인 콘센트(1)에 종속되는 다수의 서브 콘센트(2)와, 상기 메인 콘센트(1)의 전류변화량을 측정하는 전류센서(3)와, 상기 전류센서(3)에서 측정되는 상기 메인 콘센트(1)의 전류변화량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으며 상기 메인 콘센트(1)의 전원이 차단되면 자동으로 다수의 서브 콘센트(2)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계전기(4)를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5)에 있어서,
외부전력과 연결하기 위해 상기 계전기(4)를 제어하는 온(ON) 버튼(31)과, 상기 마이크로컴퓨터(5)의 제어를 차단하여 자동절전 되지않는 일반적인 멀티탭 기능으로 사용을 위한 수동버튼(32a)과, 상기 마이크로컴퓨터(5)의 제어에 의해서 자동절전 되는 절전형 멀티탭 기능으로 사용을 위한 자동버튼(32b)으로 구성되는 기능선택버튼(32)과, 상기 기능선택버튼(32)에서 선택된 버튼에 대응하여 램프의 빛이 발산되는 것으로, 수동램프(33a)와 자동램프(33b)로 구성되는 인식램프(33)와, 상기 통합서버(20)에 제어되어 상기 메인컴퓨터(10)가 종료가 실행되는 경우, 종료가 실행되어 계전기(4)에 의해서 외부전원이 차단되는 시간을 설정하는 시간조절버튼(3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전형 멀티탭을 이용한 절전시스템(100)에 사용되는 절전형 멀티탭(30)은 기능선택버튼(32)을 통해서 일반적인 기능을 갖는 멀티탭 또는 자동절전되는 절전형 기능을 갖는 멀티탭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지정하여 사 용할 수 있으며, 상기 기능선택버튼(32)에 의해서 선택된 기능이 상기 인식램프(33)를 통해서 사용자가 쉽게 인식가능 하도록 하여, 사용자는 상기 절전형 멀티탭(30)을 기능별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온 버튼(31)은 상기 절전형 멀티탭(30)의 전원이 완전 차단됐을 경우, 상기 온 버튼(31)을 눌러 상기 계전기(4)를 제어하여 상기 절전형 멀티탭(30)을 켜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상기 메인컴퓨터(10)를 사용하기 위해서 상기 절전형 멀티탭(30)을 간편하게 켜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시간조절버튼(34)은 상기 통합서버(20)에서 제어되어 상기 메인컴퓨터(10)가 종료되는 경우에 상기 통합서버(20)에서 제어명령이 전송되는 시점부터 상기 계전기(4)에서 외부전력을 차단하는 시점까지의 시간을 조절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컴퓨터는 종료하기까지 소정의 시간이 소요되며, 소요되는 시간 동안 소정의 전원이 소요되는데, 이때 컴퓨터가 완전히 종료되기 전에 전원공급이 차단되면 컴퓨터가 손상되는 문제가 초래됨으로, 사용자는 컴퓨터의 사양이나 성능에 맞게 종료에 소요되는 시간을 적합하게 조절하도록 하여, 컴퓨터가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컴퓨터(10)는 상기 메인컴퓨터(10)의 온/오프 상태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을 통하여 상기 통합서버(20)로 전송하는 전원체크수단(11)을 가지며, 상기 메인컴퓨터(10)는 상기 절전형 멀티탭(30)의 메인 콘센트(1)에 연결되도록 하며, 다수대가 설치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컴퓨터(10)의 의미는 컴퓨터의 주요부분에 해당하는 본체를 의미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합서버(20)는 상기 다수의 메인컴퓨터(10)에서 전송되는 상기 메인컴퓨터(10)의 온/오프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관리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영상으로 출력하는 영상표시부(21)와, 불필요하게 사용되는 상기 메인컴퓨터(10)는 전원종료수단(22a)을 통해서 상기 메인컴퓨터(10)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하도록 하는 제어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체크수단(11) 및 전원종료수단(22a)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통해서 수행되는 것으로, 상기 메인컴퓨터(10)가 사용자에 의해서 종료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상기 메인컴퓨터(10)와 함께 종료되면서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을 통해서 상기 통합서버(20)로 전송하는 신호(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다는 정보신호)가 차단되면, 상기 통합서버(20)의 영상표시부(21)에 차단정보가 영상으로 출력되어 관리자는 상기 영상표시부(21)를 보고 상기 메인컴퓨터(10)의 종료를 인지하게 되고, 사용자 없이 불필요하게 가동되는 상기 메인컴퓨터(10)인 경우에는 관리자가 상기 통합서버(20)의 제어부(22)를 통해서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상기 메인컴퓨터(10)에 대한 종료명령을 전송하고,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을 통해서 종료명령을 전송받은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상기 메인컴퓨터(10)가 종료되도록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전형 멀티탭을 이용한 절전시스템(100)을 [실시예]를 통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절전형 멀티탭을 이용한 절전시스템(100)이 소정의 규모를 갖는 회사에서 사용되는 경우를 살펴본다.
회사에는 다수의 메인컴퓨터(10)가 사용되고, 상기 메인컴퓨터(10) 각각은 절전형 멀티탭(30)의 메인 콘센트(1)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컴퓨터(10)에 의존하여 작동되는 주변기기들(7)은 상기 절전형 멀티탭(30)의 서브 콘센트(2)에 연결되도록 한다.
그러면, 다수의 메인컴퓨터(10)의 사용 유무는 상기 메인컴퓨터(10)에 설치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인터넷이나 인트라넷을 통해서 통합서버(20)로 상기 메인컴퓨터(10)의 사용 유무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전송된 정보는 상기 통합서버(20)의 영상표시부(21)를 통하여 관리자에게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컴퓨터(10)의 사용자가 외출이나 퇴근 등의 이유로 회사에서 이탈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상기 메인컴퓨터(10)를 종료하게 되고, 상기 메인컴퓨터(10)가 종료되면 상기 절전형 멀티탭(30)의 전류센서(3)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전류센서(3)에서 감지된 상기 메인컴퓨터(10)의 종료정보는 상기 절전형 멀티탭(30)에 내장된 마이크로컴퓨터(5)로 전송되고, 이를 수신한 마이크로컴퓨터(5)는 계전기(4)를 제어하여 외부전원을 차단함으로, 상기 메인컴퓨터(10)에 의존하는 주변기기들(7)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전기가 절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메인컴퓨터(10)가 사용자에 의해서 종료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상기 메인컴퓨터(10)와 함께 종료되면서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인 터넷 또는 인트라넷을 통해서 상기 통합서버(20)로 전송하는 신호(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다는 정보신호)가 차단되면, 상기 통합서버(20)의 영상표시부(21)에 차단정보가 영상으로 출력되어 관리자는 상기 영상표시부(21)를 보고 상기 메인컴퓨터(10)의 종료를 인지하게 된다.
하지만, 사용자가 외출이나 퇴근 등의 이유로 회사에서 이탈시에 사용자가 사용하는 메인컴퓨터(10)를 실수로 종료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을 통해서 상기 통합서버(20)로 전송하는 신호(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다는 정보신호)에 의해서 관리자는 상기 통합서버(20)의 영상표시부(21)를 보고 상기 메인컴퓨터(10)의 전원이 켜진 것을 인지하게 되고, 이를 인지한 관리자는 상기 통합서버(20)의 제어부(22)를 통해서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상기 메인컴퓨터(10)에 대한 종료명령을 전송하고,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을 통해서 종료명령을 전송받은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상기 메인컴퓨터(10)가 종료되도록 수행한다.
즉, 상기 통합서버(20)에서 다수의 메인컴퓨터(10)의 사용 유무를 관리하고, 전원체크수단(11)을 통하여 불필요하게 켜져 있는 메인컴퓨터(10)인 경우에는 상기 통합서버(20)에서 제어명령을 전송하고, 제어명령을 전송받은 전원종료수단(22a)은 상기 메인컴퓨터(10)를 안전하게 종료하고, 상기 메인컴퓨터(10)가 종료되면 상기 절전형 멀티탭(30)에서 상기 메인컴퓨터(10) 및 메인컴퓨터(10)에 의존하여 동작하는 주변기기들(7)의 전원을 차단하여 불필요하게 전력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여 절전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 랜선(6)이 상기 절전형 멀티탭(30)의 마이크로컴퓨터(5)를 경유하도록 하며, 상기 통합서버(20)의 제어부(22)는 상기 인터넷 랜선(6)을 통하여 제어명령을 상기 마이크로컴퓨터(5)로 전송하여 상기 절전형 멀티탭(30)의 전원을 강제종료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인터넷 랜선(6)을 통하여 상기 통합서버(20)의 제어부(22)에서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경우는, 상기 절전형 멀티탭(30)의 메인 콘센트(1)에 컴퓨터와 같이 종료과정이 필요없는 단순기기가 연결되는 경우에 상기 통합서버(20)의 제어부(22)에서 상기 절전형 멀티탭(30)에 내장된 마이크로컴퓨터(5)로 바로 제어명령을 전송하여 상기 계전기(4)를 통하여 외부전원을 차단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전형 멀티탭을 이용한 절전시스템(100)은 절전형 멀티탭(30')과, 무선수신부(40)와, 무선송신부(50)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절전형 멀티탭(30')은 상기에서 상술한 절전형 멀티탭(30)과 동일한 구성요소 및 기능을 가짐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상기 구성요소를 지시하는 부호는 상호 동일하게 사용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선수신부(40)는 상기 절전형 멀티탭(30')의 마이크로컴퓨터(5)의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포트를 이용하여,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마이크로컴퓨터(5)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것으로, IR 또는 RF 모듈로 구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선송신부(50)는 상기 무선수신부(40)로 제어명령정보를 발신하여, 상기 절전형 멀티탭(30')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한다.
즉, 상기 절전형 멀티탭(30)에 내장되는 마이크로컴퓨터(5)에 설치되는 IR 또는 RF 모듈로 구성되는 무선수신부(40)와, 상기 무선수신부(40)로 제어명령을 송신하는 무선송신부(50)를 더 포함하여, 무선으로 제어명령을 발신하는 무선송신부(50)를 리모컨과 같은 형태로 제작하여 소지가 용이하여 관리자가 상기 무선송신부(50)를 통하여 간편히 제어명령을 송신하여 상기 절전형 멀티탭(30')을 제어할 수 있어 관리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도 1은 종래에 사용되던 절전형 멀티탭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전형 멀티탭을 이용한 절전시스템의 개념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절전형 멀티탭을 이용한 절전시스템에 사용되는 절전형 멀티탭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전형 멀티탭을 이용한 절전시스템의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전형 멀티탭을 이용한 절전시스템의 개념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메인 콘센트 2. 서브 콘센트
3. 전류센서 4. 계전기
5. 마이크로컴퓨터 6. 인터넷 랜선
7. 주변기기들
10. 메인컴퓨터 11. 전원체크수단
20. 통합서버 21. 영상표시부
22. 제어부 22a. 전원종료수단
30, 30'. 절전형 멀티탭 31. 온 버튼
32. 기능선택버튼 32a. 수동버튼
32b. 자동버튼 33. 인식램프
33a. 수동램프 33b. 자동램프
34. 시간조절버튼 40. 무선수신부
50. 무선송신부 100. 절전형 멀티탭을 이용한 절전시스템

Claims (4)

  1. 메인 콘센트(1)와, 상기 메인 콘센트(1)에 종속되는 다수의 서브 콘센트(2)와, 상기 메인 콘센트(1)의 전류변화량을 측정하는 전류센서(3)와, 상기 전류센서(3)에서 측정되는 상기 메인 콘센트(1)의 전류변화량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으며 상기 메인 콘센트(1)의 전원이 차단되면 자동으로 다수의 서브 콘센트(2)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계전기(4)를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5:microcomputer)를 포함하는 절전형 멀티탭에 있어서,
    컴퓨터의 온/오프 상태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을 통하여 전송하는 전원체크수단(11)을 갖는 다수의 메인컴퓨터(10); 및
    상기 다수의 메인컴퓨터(10)에서 전송되는 컴퓨터의 온/오프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관리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영상으로 출력하는 영상표시부(21)와,
    불필요하게 사용되는 상기 메인컴퓨터(10)는 전원종료수단(22a)을 통해서 상기 메인컴퓨터(10)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하도록 하는 제어부(22)를 포함하는 통합서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절전형 멀티탭(30)은,
    외부전력과 연결하기 위해 상기 계전기(4)를 제어하는 온(ON) 버튼(31)과,
    상기 마이크로컴퓨터(5)의 제어를 차단하여 자동절전 되지않는 일반적인 멀티탭 기능으로 사용을 위한 수동버튼(32a)과, 상기 마이크로컴퓨터(5)의 제어에 의해서 자동절전 되는 절전형 멀티탭 기능으로 사용을 위한 자동버튼(32b)으로 구성되는 기능선택버튼(32)과,
    상기 기능선택버튼(32)에서 선택된 버튼에 대응하여 램프의 빛이 발산되는 것으로, 수동램프(33a)와 자동램프(33b)로 구성되는 인식램프(33)와,
    상기 통합서버(20)에 제어되어 상기 메인컴퓨터(10)가 종료가 실행되는 경우, 종료가 실행되어 계전기(4)에 의해서 외부전원이 차단되는 시간을 설정하는 시간조절버튼(3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멀티탭을 이용한 절전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체크수단(11) 및 전원종료수단(22a)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통해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멀티탭을 이용한 절전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인터넷 랜선(6)이 상기 절전형 멀티탭(30)의 마이크로컴퓨터(5)를 경유하도록 하며, 상기 통합서버(20)의 제어부(22)는 상기 인터넷 랜선(6)을 통하여 제어명령을 상기 마이크로컴퓨터(5)로 전송하여 상기 절전형 멀티탭(30)의 전원을 강제종료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멀티탭을 이용한 절전시스템.
  4. 메인 콘센트(1)와, 상기 메인 콘센트(1)에 종속되는 다수의 서브 콘센트(2)와, 상기 메인 콘센트(1)의 전류변화량을 측정하는 전류센서(3)와, 상기 전류센서(3)에서 측정되는 상기 메인 콘센트(1)의 전류변화량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으며 상기 메인 콘센트(1)의 전원이 차단되면 자동으로 다수의 서브 콘센트(2)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계전기(4)를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5:microcomputer)를 포함하는 절전형 멀티탭에 있어서,
    상기 절전형 멀티탭(30)의 마이크로컴퓨터(5)의 유에이알티(UART :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포트를 이용하여,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마이크로컴퓨터(5)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것으로, 아이알(IR) 또는 알에프(RF) 모듈로 구성되는 무선수신부(40);
    상기 무선수신부(40)로 제어명령정보를 발신하여, 절전형 멀티탭(30')의 전원을 제어하는 무선송신부(5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절전형 멀티탭(30')은,
    외부전력과 연결하기 위해 상기 계전기(4)를 제어하는 온(ON) 버튼(31)과,
    상기 마이크로컴퓨터(5)의 제어를 차단하여 자동절전 되지않는 일반적인 멀티탭 기능으로 사용을 위한 수동버튼(32a)과, 상기 마이크로컴퓨터(5)의 제어에 의해서 자동절전 되는 절전형 멀티탭 기능으로 사용을 위한 자동버튼(32b)으로 구성되는 기능선택버튼(32)과,
    상기 기능선택버튼(32)에서 선택된 버튼에 대응하여 램프의 빛이 발산되는 것으로, 수동램프(33a)와 자동램프(33b)로 구성되는 인식램프(33)와,
    사용자에 의해서 메인 콘센트(1)의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종료가 실행되어 계전기(4)에 의해서 외부전원이 차단되는 시간을 설정하는 시간조절버튼(3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멀티탭을 이용한 절전시스템.
KR1020090111960A 2009-11-19 2009-11-19 절전형 멀티탭을 이용한 절전시스템 KR101000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960A KR101000319B1 (ko) 2009-11-19 2009-11-19 절전형 멀티탭을 이용한 절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960A KR101000319B1 (ko) 2009-11-19 2009-11-19 절전형 멀티탭을 이용한 절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0319B1 true KR101000319B1 (ko) 2010-12-13

Family

ID=43512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1960A KR101000319B1 (ko) 2009-11-19 2009-11-19 절전형 멀티탭을 이용한 절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03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192B1 (ko) 2011-12-05 2012-11-13 홍승표 절전형 멀티탭 및 상기 멀티탭의 운용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192B1 (ko) 2011-12-05 2012-11-13 홍승표 절전형 멀티탭 및 상기 멀티탭의 운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6114B1 (ko) 자동제어가 가능한 절전형 콘센트 장치
JP6024337B2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428011Y1 (ko) 대기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멀티 콘센트 장치
CN101387843A (zh) 电源控制系统
TWI531131B (zh) Current detection and management device
KR101221727B1 (ko) 절전형 대기전력 자동차단장치
US11051372B2 (en) Wireless lamp-driving device with independent power source and lamp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1721412B1 (ko) 운영 상태에 따른 컴퓨터 본체 전원 제어장치
JP2012247169A (ja) 空気調和機
KR101000319B1 (ko) 절전형 멀티탭을 이용한 절전시스템
KR100919866B1 (ko) 거리정보를 이용한 절전방법 및 장치
KR20160126508A (ko) 운영 상태에 따른 컴퓨터 본체 전원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09530A (ko) 소비전력 감지에 의한 대기전력 차단 절전형 멀티콘센트 및 그 제어방법
KR101037757B1 (ko) 대기 전력 차단용 콘센트
US8199004B1 (en) RFID tag reader
KR101472887B1 (ko) 대기전력 자동 차단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433710B1 (ko) 절전 기능을 갖는 멀티 탭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56526A (ko) 절전형 양방향 전력선통신장치
KR20120054818A (ko)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위한 제어방법
KR101087729B1 (ko) 건물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10024764A (ko) 콘센트 및 그 운용 방법
JP2016057788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KR101133995B1 (ko) 전력량 계측 및 제어장치
KR20200005132A (ko) 디스플레이기의 절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499617B1 (ko) 사용자 의도 파악에 기반한 대기전력 자동 인가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