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7729B1 - 건물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건물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7729B1
KR101087729B1 KR1020110024311A KR20110024311A KR101087729B1 KR 101087729 B1 KR101087729 B1 KR 101087729B1 KR 1020110024311 A KR1020110024311 A KR 1020110024311A KR 20110024311 A KR20110024311 A KR 20110024311A KR 101087729 B1 KR101087729 B1 KR 101087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by power
power
outlet
control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4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원진
Original Assignee
엠넥스텍 주식회사
권원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넥스텍 주식회사, 권원진 filed Critical 엠넥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4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77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7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7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02J3/1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by switching loads on to, or off from, network, e.g. progressively balanced loa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1607Supply circuits
    • H04B1/1615Switching on; Switching off, e.g. remote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에 전력을 공급하되 대기전력이 제어되도록 복수의 대기전력 콘센트가 구비된 건물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은, 상기 대기전력 콘센트에 연결되어 상기 대기전력 콘센트로부터 전력량을 감지하는 전력량 센서; 외부 장치들과 유무선 통신할 수 있도록 구비된 통신형 스위치; 및, 상기 전력량 센서에서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기전력 콘센트를 통해 공급되는 대기전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대기전력이 차단되도록 상기 대기전력 콘센트를 제어하고, 상기 통신형 스위치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대기전력 콘센트를 개별 또는 그룹 단위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대기전력 콘센트로의 접근성이 용이해질 수 있는 건물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물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SYSTEM FOR MANAGING STANDBY POWER IN BUILD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건물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기전력 제어를 목적으로 실내에 상용 전력을 공급하는 일반형 콘센트가 구비된 건물에서 일반형 콘센트와 별도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을 사용하여 대기전력을 감지하고, 상기 일반형 콘센트로의 전력 공급을 개별 또는 그룹 단위로 온(ON) 또는 오프(OFF) 제어할 수 있는 건물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실내에서 사용되는 전자기기의 사양이 높아지고 멀티미디어화됨에 따라 가정 또는 사무실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전자기기들이 함께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 전자기기들이 콘센트에 연결되어 있지만 미사용중일 때 발생하는 대기전력에 의해 소비되는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 또한 점차로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건물의 각 층별로 구별된 분전함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콘센트에 컴퓨터, 모니터, 스피커, 프린터, 스캐너, PC 카메라, 오디오, TV 등이 연결되어 사용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한편, 이들 전자기기들이 미사용중일 때 발생하는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에너지 절감을 목적으로 대기전력 자동 차단 기능이 구비된 대기전력 콘센트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통상적으로 대기전력 콘센트는 대기전력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기기들이 대기전력 상태로 진입했을 때 전력을 자동으로 차단하여 대기전력에 의해 불필요하게 소비되는 전력을 절감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제어기의 기능과 콘센트의 기능이 일체형으로 구현되어 설치는 간편하지만, 접근성이 용이하지 못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콘센트는 통상적으로 눈에 잘 띄지 않는 벽면 등에 설치되기 때문에 가구나 가전제품 등에 가려져 접근하기가 어려워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무용 건물의 경우, 콘센트가 바닥에 일체로 설치되거나 시스템 박스 형태의 기구장치 내에 설치되어 조작이 어렵고 불편해질 수 있으며, 특히 원격으로 제어하기가 곤란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접근성의 불편함으로 인하여 대기전력 콘센트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대기전력 차단기능을 아예 해제한 상태에서 다른 일반형 콘센트와 동일하게 사용하기 때문에 대기전력이 차단되지 못하여 비효율적으로 대기전력에 의해 에너지가 낭비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는 온(ON, 전력 투입) 혹은 오프(OFF, 전력 차단) 명령을 지시하기 위한 제어 도구(일반적으로 푸시 스위치를 사용하며 1회씩 누름에 따라 온/오프가 반복적으로 전환됨)와, 기능적으로는 크게 자동 및 수동 기능이 구비된다.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오프(OFF) 상태에서 온(ON)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제어 도구를 1회 작동시키면 즉시 온(ON) 상태로 전환되고, 이러한 동작은 자동 기능이나 수동기능 동일하다.
이어서, 온(ON) 상태에서 오프(OFF)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절차는 자동기능과 수동기능이 다르게 수행된다. 먼저, 수동기능에서는 오프(OFF)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제어도구를 1회 작동시키면 즉시 오프(OFF) 상태로 전환되고, 자동기능에서는 제어도구에 의한 명령은 무시하고 현재 대기전력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기기에서 소모되는 전력량에 따라 온(ON)상태를 유지할지, 아니면 오프(OFF)상태로 전환할지 자동으로 판단하여 결정한다. 즉, 자동기능에서 오프(OFF)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조건은 대기전력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기기의 전력 소모량이 정상적인 사용상태가 아닌 대기전력 상태 즉 미사용중으로 판단되었을 경우 대기전력 콘센트가 자동으로 전력을 차단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대기전력 콘센트의 사용 목적은 자동기능을 통하여 대기전력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기기가 대기전력 상태로 판단되었을 경우 전력을 차단하여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를 줄이고자 함이 목적이지만, 접근성이 용이하지 못함에 따라 때론 수동기능으로 전환하여 사용할 경우가 있으며, 이때 온(ON)에서 오프(OFF)로 전환할 때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수동기능을 사용중이고 온(ON)에서 오프(OFF)로 전환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좀더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대기전력 콘센트에 컴퓨터가 연결되어 있고, 컴퓨터가 온(ON)되어 사용중일 경우에,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강제적으로 오프(OFF)를 하게 되면 작업중이던 내용이 소실되어 큰 손실이나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원인은 접근성이 용이하지 못해 사용상 불편하여 통상적으로 수동 기능으로 전환하여 사용하기 때문이며, 본래 의도했던 대기전력 차단에 의한 에너지 절감 또한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목적은, 접근성이 용이하지 못해 사용하기에 불편했던 점을 개선하고, 수동 기능을 사용 중일 때에도 오프(OFF) 시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보완하여 사용 안정성이 대폭 향상된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치 위치 및 환경 때문에 접근성이 용이하지 못한 콘센트는 기존 방식과 동일하게 일반형 콘센트를 사용하여 기존 일반형 콘센트(한편, 대기전력 제어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일반형 콘센트는 대기전력 콘센트로 구분됨)와 동일한 설치 조건을 부여하고, 제어도구의 역할을 하는 별도의 통신형 스위치를 접근성이 용이한 장소에 설치하여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고, 수동 기능을 사용중일 경우에, 강제 오프(OFF) 명령을 시행했을 때 사용 혹은 미사용(대기전력 상태) 조건을 시스템 스스로 판단하여 사용중인 조건일 경우에는 강제 오프(OFF) 명령을 시행하지 않고 사용중인 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대기전력 상태일 경우에만 강제 오프(OFF) 명령을 즉시 시행하도록 함으로써 의도하지 않은 강제 오프(OFF)에 따른 손실이나 불편함을 제거하는, 건물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추가적으로 접근성이 용이한 장치들을 구비하여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건물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대기전력을 효율적으로 감지하여 자동으로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건물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대기전력 시스템의 활용도 및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고, 대기전력에 의해 비효율적으로 낭비되는 전력 소비량을 절감할 수 있는 건물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실내에 전력을 공급하되 대기전력이 제어되도록 단수 혹은 복수의 대기전력 콘센트가 구비된 건물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대기전력 콘센트에 연결되어 상기 대기전력 콘센트로부터 전력량을 감지하는 전력량 센서; 대기전력 제어 장치와 유무선 통신할 수 있도록 구비된 통신형 스위치; 및, 상기 전력량 센서에서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기전력 콘센트를 통해 공급되는 대기전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대기전력이 차단되도록 상기 대기전력 콘센트를 제어하고, 상기 통신형 스위치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대기전력 콘센트를 개별 또는 그룹 단위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고 원격 통신되는 리모콘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구비된 리모콘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모콘은 실내에서 상기 대기전력 콘센트에 연결되는 전자기기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장소에 설치하여 접근성을 최대한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고 실내에서 사람의 존재를 감지하도록 구비된 인체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유무선 통신방식을 이용하는 전화기와도 제어신호를 주고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실내에 전력을 공급하되 대기전력이 제어되도록 단수 혹은 복수의 대기전력 콘센트가 구비된 건물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기전력 콘센트에 연결된 전력량 센서가 상기 대기전력 콘센트로부터 전력량을 감지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전력량 센서에서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기전력 콘센트를 통해 공급되는 대기전력이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대기전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대기전력이 차단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대기전력 콘센트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의하여 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대기전력 콘센트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통신형 스위치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대기전력 콘센트를 개별 또는 그룹 단위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대기전력 콘센트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통신형 스위치가 작동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형 스위치가 작동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제어부가 판단하면 상기 제어부가 리모콘 수신부와 통신하여 리모콘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리모콘 수신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대기전력 콘센트를 개별 또는 그룹 단위로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대기전력 콘센트로의 접근성이 대폭적으로 용이해질 수 있고, 특히 수동기능으로 전환해서 사용중일 경우에도 사용자의 부주의한 조작에 의해 대기전력 콘센트에 연결된 기기들이 의도하지 않은 동작(특히 오프 동작)으로의 전환을 방지할 수 있는 건물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원격으로 편리하게 제어될 수 있는 건물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건물의 대기전력을 효율적으로 감지하여 자동으로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나아가, 대기전력 콘센트의 활용도를 높여 비효율적으로 낭비되는 전력 소비량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건물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방법을 나타낸 제어 흐름도,
도 3은 도 1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의 제어 블록도,
도 4는 통신형 스위치의 제어 흐름도,
도 5는 오프 수행 절차를 표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실내에 전력을 공급하되 대기전력이 제어되도록 단수 혹은 복수의 대기전력 콘센트(대기전력 제어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일반형 콘센트를 포함함)(30)가 구비된 건물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대기전력 콘센트(30)에 연결되어 대기전력 콘센트(30)로부터 소모되는 전력량을 감지하는 전력량 센서(110)와, 감지된 전력량으로부터 대기전력 여부를 판단하고 단수 혹은 복수의 대기전력 콘센트를 온(ON) 혹은 오프(OFF) 제어를 기본적으로 수행하는 제어부(130)와, 유무선 통신할 수 있도록 구비된 통신형 스위치(120)를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전력량 센서(110)는 트랜스포머(transformer)에 의해 구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반도체 부품등을 사용하여 구현 될 수 있다. 대기전력 콘센트(30)에 연결된 전자기기가 미사용 중일 경우에는 제로(zero)에 가까운 전류량이 검출된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전력량 센서(110)에서 검출되는 전력량에 따라 전자기기의 사용 혹은 미사용 여부를 판단하여 대기전력 상태, 즉 미사용중일 경우 전원을 오프하여 에너지를 절감 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와 대기전력 콘센트(30) 사이에는 전력를 온/오프 제어할 수 있는 릴레이를 포함한 스위칭 소자(116)가 구비되어 있고, 전력량 센서(110) 및 제어부(130) 사이에는 증폭기(115)가 구비되어, 전력량 센서(110)에서 감지되는 신호의 크기가 증폭되어 증폭된 신호를 제어부(130)에 전달함으로써 제어부(130)에 의한 제어가 좀더 정밀해지도록 할 수 있다.
통신형 스위치(120)는 접근성이 용이하지 못한 대기전력 콘센트(30)를 제어하기 위해 구비된 것으로, 이러한 제어명령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하나는 대기전력 콘센트(30)들을 개별적 혹은 그룹단위로 온/오프 명령, 자동/수동 전환 명령, 대기전력량의 기준값 설정 명령 등이 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통신형 스위치(120)의 제어동작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통신형 스위치(120)는 제어부로부터 통신 요청(T100)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 통신요청(T100)이 있으면 통신형 스위치(120)의 현재 제어 상태를 송신(T110)하고, 제어부로부터 처리 결과를 수신하여 표시(T120)한다. 제어부로부터 통신 요청(T100)이 없으면 세가지 동작을 차례로 판단하여 수행한다. 첫째로, 온/오프 전환(T200)여부를 판단하고, 둘째로, 자동/수동 전환(T300)여부를 판단하며, 마지막으로, 대기전력 기준값 설정(T400)여부를 판단하여 제어부로부터 통신 요청(T100)이 있게되면 판단 결과를 제어부(130)에 전달하여 제어부(130)의 동작 조건을 변경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1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상술한 내용과 같이, 자동 및 수동 기능을 구분하여 제어하되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자동 기능에서는 전력량 센서(110)에서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대기전력 콘센트(30)를 통해 공급되는 대기전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대기전력이 차단되도록 대기전력 콘센트(30)를 제어하고, 통신형 스위치(12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대기전력 콘센트(30)를 개별 또는 그룹 단위로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제어부(130)는 대기전력 콘센트(30)와는 별도로 분리되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대기전력을 감지 및 차단하여 비효율적으로 낭비되는 전력 소비량을 절감함으로써 에너지를 절감하고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제어부(130)가 대기전력 콘센트(30)와는 별도로 분리되어 설치됨으로써 대기전력 콘센트(30)로의 접근성이 용이해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은 건물의 층 단위 또는 일정 구역별로 분할되어 교류전원(AC)이 공급되는 전원 분배부(10)와 이 전원 분배부(10)에 연결된 제어부(130)가 설치된다. 이때, 전원 분배부(10)와 제어기(130)는 동일한 장소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130)는 대기전력 콘센트(30)로의 전력을 통전 및 차단시킬 수 있는 스위칭 소자(116)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어기(130)는 스위칭 소자(116)를 통해 대기전력 콘센트(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전체나 그룹단위 또는 개별적으로 온/오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100)은 접근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원격 통신되는 무선형 리모콘(40)과 제어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구비되고 제어부(130)에 연결된 리모콘 수신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더 구체적으로, 대기전력 콘센트(30)가 복수로 구비된 경우, 리모콘(40)은 각각의 대기전력 콘센트(30)에 대하여 각각 개별적으로 할당되도록 구비되고, 리모콘 수신부(140)는 복수의 리모콘(40)들을 관리하도록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리모콘 수신부(140)는 복수개의 리모콘(40)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30)에 전송한다. 이러한 리모콘 수신부(140)는 적외선형 또는 RF형 등과 같은 리모콘(40)의 발신 형태에 따라서 수신방식이 결정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모든 리모콘(40)의 전송 코드는 상호 중복되지 않도록 할당되어 다른 대기전력 콘센트(30)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며, 리모콘(40)은 실내에서 대기전력 콘센트(30)에 연결되는 가전제품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장소에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사무실의 개별 업무 공간일 경우 업무용 책상 위와 같은 접근성이 가장 양호한 장소에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리모콘 수신부(140)는 리모콘(4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받기 용이한 장소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대기전력 콘센트(30)로의 접근성이 더욱 용이해짐으로써 대기전력 콘센트(30)의 활용도를 높여 비효율적으로 낭비되는 전력 소비량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건물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에서 사람의 존재를 감지하도록 구비되고 제어부(130)에 연결된 인체감지센서(15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체감지센서(150)는 사무실과 같은 실내에서 퇴근 등에 의해 일정시간 동안 사람의 움직임 등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130)가 자동적으로 대기전력 콘센트(30)를 오프(OFF) 시킬 수 있도록 적외선 감지방식이나 레이더 감지 방식 등으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일정시간 동안 실내에서 사람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대기전력 콘센트(30)를 자동으로 오프 시킴으로써 좀더 편리하게 대기전력 콘센트(30)를 오프 제어할 수 있고, 대기전력뿐만 아니라 일반 전력 절감 효과를 더욱 높임으로써 에너지 절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유무선 통신방식의 전화망을 이용하는 전화기(160)(예컨대, 스마트폰 등을 포함하는)와도 제어신호를 주고받도록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화기(160)는 PBX(Private Branch Exchange) 시스템에 유무선 방식으로 제어신호를 전달하면 PBX는 에너지 감시 및 관리 PC(170)에 이를 전달하고 에너지 감시 및 관리 PC(170)는 이를 다시 제어부(130)에 전달하여 제어부(130)가 전화기(16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대기전력 콘센트(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전체나 그룹단위 또는 개별적으로 온/오프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전화기(160)를 이용하여 리모콘(40)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도록 대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물의 실내가 아닌 외부 또는 그 이상 벗어난 타도시와 같은 원격지에서도 대기전력이 차단되도록 대기전력 콘센트(30)를 제어할 수 있게 됨으로써 좀더 편리한 접근성을 확보할 수 있다.
에너지 감시 및 관리 PC(170)는 구역별로 설치된 제어부(130)를 통신선을 통하여 통합 관리하기 위해 구비된 컴퓨터로서, 개별 대기전력 콘센트(30)의 전력량 또는 대기전력 절감 여부 등의 관련 정보들을 통합 관리할 뿐만 아니라 원격 제어까지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정된 시간에 온 또는 오프를 자동적으로 실행하는 스케줄 제어 등을 통하여 건물 전체의 제어부(130)를 일괄 제어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대기전력 콘센트(30)를 통해 소모되고 있는 현재의 전기력량 및 상태값 등을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100)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어부(130)는 건물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100)이 자동으로 작동되고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100), 건물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100)이 자동으로 작동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대기전력 콘센트(30)에 연결된 전력량 센서(110)가 대기전력 콘센트(30)로부터 대기전력 콘센트(30)를 통해 공급되고 있는 대기전력량을 감지하고(S500), 제어부(130)는 전력량 센서(110)에서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대기전력 콘센트(30)를 통해 공급되는 대기전력이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며, 제어부(130)가 대기전력 콘센트(30)를 통해 공급되는 대기전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대기전력이 차단되도록 제어부(130)는 대기전력 콘센트(30)를 개별 또는 그룹 단위로 제어한다(S600).
한편, 제어부(130)가 대기전력 콘센트(30)를 제어하는 단계 이전에, 통신형 스위치(120)가 온(ON) 상태가 되었는지의 여부를 제어부(130)가 판단하는 단계(S200)와, 통신형 스위치(120)가 온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통신형 스위치(120)가 외부 장치들과 유무선 통신하는 단계와, 제어부(130)가 통신형 스위치(12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전력량 센서(110)를 통한 대기전력 감지(S500)와 함께 대기전력 콘센트(30)를 개별 또는 그룹 단위로 제어하는 단계(S600)를 포함한다.
또한, 단계 200에서 제어부(130)는 통신형 스위치(120)가 작동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통신형 스위치(120)가 오프(OFF)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30)는 리모콘(40)이 온(ON) 상태가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00).
단계 300에서 리모콘(40)이 켜진 것으로 제어부(130)가 판단하면 제어부(130)는 리모콘 수신부(140)와 통신하여 리모콘(40)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제어부(130)는 리모콘 수신부(14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전력량 센서(110)를 통한 대기전력 감지(S500)와 함께 대기전력 콘센트(30)를 개별 또는 그룹 단위로 제어한다(S600).
아울러, 단계 300에서 제어부(130)는 리모콘(40)이 작동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리모콘(40)이 오프(OFF)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30)는 전화기(160)에 의해 온(ON) 상태 요청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00).
단계 400에서 전화기(160)에 의해 온(ON) 상태 요청이 있는 것으로 제어부(130)가 판단하면 제어부(130)는 전력량 센서(110)를 통한 대기전력 감지(S500)와 함께 대기전력 콘센트(30)를 개별 또는 그룹 단위로 제어한다(S600).
한편, 제어부(130)는 인체감지센서(15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인체감지센서(15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있는 것으로 제어부(130)가 판단하면 제어부(130)는 인체감지센서(15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대기전력 콘센트(30)를 개별 또는 그룹 단위로 온/오프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수동 기능으로 전환하여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은 도 5를 통하여 살펴보면, 단계 U100에서 수동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수동 모드로 판단되면, 단계 U200에서 통신형 스위치(120) 혹은 리모콘(40)등의 제어 수단을 통해 오프(OFF) 명령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오프(OFF) 명령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U300에서 전력량 센서(110)으로부터 감지되는 전력량이 대기전력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대기전력 상태로 판단되면 즉시 오프(OFF)를 실시(U310)하고 대기전력 상태가 아니면 오프(OFF)를 실시하지 않음으로써 의도하지 않은 오프(OFF) 명령을 자동으로 차단함으로써 사용상의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대기전력 콘센트(30)로의 접근성이 용이해질 수 있는 건물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100)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고, 원격으로 편리하게 제어될 수 있는 건물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100)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으며, 건물의 대기전력을 효율적으로 감지하여 자동으로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게 됨으로써 대기전력 콘센트(30)의 활용도를 높여 비효율적으로 낭비되는 전력 소비량을 절감할 수 있다. 수동 기능에서 의도하지 않은 전력 차단에 의한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다.
100 :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110 : 전력량 센서
120 : 통신형 스위치 130 : 제어부
140 : 리모콘 수신부 150 : 인체감지센서
160 : 전화기 170 : 에너지 감시 및 관리 PC
10 : 전원 분배부 30 : 대기전력 콘센트
40 : 무선 리모콘 115 : 증폭기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실내에 전력을 공급하되 대기전력이 제어되도록 복수의 대기전력 콘센트가 구비된 건물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기전력 콘센트에 연결된 전력량 센서가 상기 대기전력 콘센트로부터 전력량을 감지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전력량 센서에서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기전력 콘센트를 통해 공급되는 대기전력이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대기전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대기전력이 차단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대기전력 콘센트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이 수동 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가 오프(OFF)명령이 발생했는지 판단하고, 상기 전력량 센서를 통해 감지된 전력량이 대기전력 상태라고 판단되었을 경우에만 오프(OFF)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대기전력 콘센트를 제어하는 단계는,
    통신형 스위치가 외부 장치들과 유무선 통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통신형 스위치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대기전력 콘센트를 개별 또는 그룹 단위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대기전력 콘센트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통신형 스위치가 작동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형 스위치가 작동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제어부가 판단하면 상기 제어부가 리모콘 수신부와 통신하여 리모콘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리모콘 수신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대기전력 콘센트를 개별 또는 그룹 단위로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의 제어방법.
  9. 삭제
KR1020110024311A 2011-03-18 2011-03-18 건물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087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311A KR101087729B1 (ko) 2011-03-18 2011-03-18 건물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311A KR101087729B1 (ko) 2011-03-18 2011-03-18 건물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7729B1 true KR101087729B1 (ko) 2011-11-30

Family

ID=45398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4311A KR101087729B1 (ko) 2011-03-18 2011-03-18 건물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77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313Y1 (ko) 2013-05-03 2013-10-04 주식회사 엠알엔지니어링 다기능 스위치장치
WO2016141412A1 (en) * 2015-03-11 2016-09-15 Embertec Pty Ltd Standby power controller communications and ver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770B1 (ko) * 2008-08-25 2009-04-24 주식회사 유코스텍 주거 멀티 편의기능을 제공하는 세대 설치기기들 및 그들을포함하는 세대편의 통합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770B1 (ko) * 2008-08-25 2009-04-24 주식회사 유코스텍 주거 멀티 편의기능을 제공하는 세대 설치기기들 및 그들을포함하는 세대편의 통합관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313Y1 (ko) 2013-05-03 2013-10-04 주식회사 엠알엔지니어링 다기능 스위치장치
WO2016141412A1 (en) * 2015-03-11 2016-09-15 Embertec Pty Ltd Standby power controller communications and ver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0968B1 (ko) 대기 전력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JP2012529257A (ja) 電力監視システム
KR100909790B1 (ko) 대기전력/상시전원 선택기능을 갖는 콘센트와 이 콘센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제어장치
KR20170113492A (ko) 대기전력 차단 스마트 플러그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21727B1 (ko) 절전형 대기전력 자동차단장치
TWM526148U (zh) 智慧型居家監測系統
KR101087729B1 (ko) 건물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CN105849789B (zh) 管理对通过红外控制信号可控的电子设备的控制
KR20160011129A (ko) 대기전력 낭비를 차단하는 다기능 멀티텝 콘센트와 그 멀티텝 콘센트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방법 및 그 멀티텝 콘센트와 앱프로그램을 이용한 리모트컨트롤 방법
KR20150122477A (ko)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의 대기전력 제어 방법
KR101479659B1 (ko)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멀티탭을 개별 제어 및 그룹 제어하는 방법 및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개별 제어 및 그룹 제어 되는 멀티탭
KR20140118250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기전력 및 전력 제어시스템
KR101525596B1 (ko) 저전력 무선 화재 감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09530A (ko) 소비전력 감지에 의한 대기전력 차단 절전형 멀티콘센트 및 그 제어방법
KR101846740B1 (ko) 휴대 단말기로 제어 가능한 콘센트 제어기
KR20160070455A (ko) 적외선 신호가 송신가능한 콘센트 허브
TW201413181A (zh) 無線溫度感知和遠端控制之空調控制系統
KR101063438B1 (ko) 대기전력 절감형 멀티콘센트
KR20120055749A (ko) 조명 및 콘센트 제어장치
KR101495159B1 (ko) 멀티 에어컨 시스템의 피크 전력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112214B1 (ko) 전기 콘센트에서의 대기 전력 절감 방법, 장치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KR20210081202A (ko) 콘센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 시스템
JPWO2009054023A1 (ja) 効果的電源消費制限装置
KR20180003964A (ko) 스마트 전원 단자함
KR101102580B1 (ko) 콘센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