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8497A - 외부신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절전장치 - Google Patents

외부신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8497A
KR20120128497A KR1020110046498A KR20110046498A KR20120128497A KR 20120128497 A KR20120128497 A KR 20120128497A KR 1020110046498 A KR1020110046498 A KR 1020110046498A KR 20110046498 A KR20110046498 A KR 20110046498A KR 20120128497 A KR20120128497 A KR 20120128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ax
power
unit
extern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6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너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너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너테크
Priority to KR1020110046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8497A/ko
Publication of KR20120128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84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09Monitoring remote activity, e.g. over telephone lines or network conn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2Monitoring with visual or acoustical indication of the functioning of the machine
    • G06F11/324Display of status information
    • G06F11/325Display of status information by lamps or LE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037Automation of particular transmitter jobs, e.g. multi-address calling, auto-dia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팩스 등과 같이 외부신호를 수신받아 처리하는 전자기기의 외부신호를 감시하여 대기전력을 줄일 수 있는 외부신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상,하 케이스로 이루어져 내부에 PCB기판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 교류전원 입력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 PCB기판에 실장되어 상기 교류전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교류전원을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하기 위한 교류전원 스위칭 수단;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교류전원 스위칭 수단에 의해 제어된 교류전원을 팩스로 출력하기 위한 교류전원 출력부; 전화선을 통해 착신신호와 팩스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외부신호 입력부; 입력된 착신신호와 팩스신호를 상기 팩스로 전달하기 위한 외부신호 출력부; 상기 외부신호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착신신호와 팩스신호를 감시하기 위한 팩스신호 검출기; 및 상기 팩스신호 검출기에 의해 착신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교류전원 스위칭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교류전원 출력부를 통해 팩스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팩스신호 검출기에 의해 팩스신호 수신완료가 검출되면 소정시간 지연 후 상기 교류전원 스위칭 수단을 제어하여 팩스의 전원을 차단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외부신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절전장치{ STANDBY POWER SAVING APPARATUS USING EXTERNAL SIGNAL}
본 발명은 대기전력을 줄일 수 있는 대기전력 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팩스 등과 같이 외부신호를 수신받아 처리하는 전자기기의 외부신호를 감시하여 대기전력을 줄일 수 있는 외부신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기전력(待機電力, standby power)이란 전원을 끈 상태에서도 전기제품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말하며, 기기(器機)의 동작과 관계없이 사용자가 의식하지 않는 사이에 소모되는 전기 에너지로서, 전기를 잡아먹는다는 뜻으로 전기흡혈귀(power vampire)라고도 한다.
리모콘으로 작동되거나 작동상태를 알려주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장착된 전자제품의 증가와 함께 대기전력 소비도 계속 늘어나는 추세인데, 특히 컴퓨터?모니터?프린터?팩시밀리?세탁기?에어컨?텔레비전?DVD플레이어?전자레인지?휴대전화충전기 등이 대기전력을 많이 소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기전력을 감소하기 위한 손쉬운 방법은 사용하지 않는 전기제품의 플러그를 뽑거나 온/오프 스위치가 달린 멀티탭(multitap)을 사용하여 전기제품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멀티탭의 스위치를 끄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은 저비용이고 간단하나 번거롭기 때문에 실제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고, 따라서 전기제품의 동작상태를 감지하여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하여 대기전력을 절감하는 방식들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팩스밀리(이하 간단히 '팩스'라 한다)는 실제 사용시간은 적으나 언제 팩스신호가 수신될지 모르기 때문에 항시 대기상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종래와 같이 단순히 전기제품의 동작상태를 감시하여 전원을 차단하는 방식은 사용할 수 없다. 즉, 팩스밀리와 같이 외부신호의 수신을 대기하는 전기제품의 경우에는 종래방식으로는 대기전력을 절감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감시하여 외부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만 전기제품에 전원을 공급하여 대기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외부신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장치는 상,하 케이스로 이루어져 내부에 PCB기판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 교류전원 입력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 PCB기판에 실장되어 상기 교류전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교류전원을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하기 위한 교류전원 스위칭 수단;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교류전원 스위칭 수단에 의해 제어된 교류전원을 팩스로 출력하기 위한 교류전원 출력부; 전화선을 통해 착신신호와 팩스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외부신호 입력부; 입력된 착신신호와 팩스신호를 상기 팩스로 전달하기 위한 외부신호 출력부; 상기 외부신호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착신신호와 팩스신호를 감시하기 위한 팩스신호 검출기; 및 상기 팩스신호 검출기에 의해 착신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교류전원 스위칭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교류전원 출력부를 통해 팩스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팩스신호 검출기에 의해 팩스신호 수신완료가 검출되면 소정시간 지연 후 상기 교류전원 스위칭 수단을 제어하여 팩스의 전원을 차단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신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절전장치는 입력 교류전원의 써지를 방지하기 위한 써지 방지부나 자동/수동 모드선택 스위치를 더 구비하여 상기 자동/수동 모드선택 스위치가 '자동'이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팩스신호 검출기의 검출결과에 따라 상기 팩스의 전원을 제어하고, '수동'이면 상기 팩스에 항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신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절전장치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LED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상기 교류전원 스위칭 수단은 교류 전원 릴레이와,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릴레이를 여자시켜 릴레이 접점을 연결하거나 소자시켜 릴레이 접점을 차단하는 구동 트랜지스터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신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절전장치는 외부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는 해당 단말의 전원을 완전히 차단하여 대기전력의 소모를 방지하고 외부신호가 수신될 경우에는 해당 단말의 전원을 공급하여 대기전력으로 인한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팩스의 경우 통계적으로 실제 사용시간을 얼마되지 않으나 언제 팩스신호가 수신될지 알 수 없기 때문에 항시 대기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대기전력이 크게 낭비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팩스신호가 수신될 경우에만 팩스에 전원을 공급하여 대기전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신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절전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신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절전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신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절전장치의 구성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신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절전장치의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신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절전장치의 동작 순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신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절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신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절전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신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절전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02)와 하부 케이스(104)가 조립되어 모서리가 완만한 사각통 형상의 하우징을 형성하고, 하우징의 내부에 회로소자들이 실장된 PCB기판이 고정되어 있다. 하우징의 일측면에는 미도시된 외부 콘센트에 삽입되어 교류전원을 인입하기 위한 플러그(112)가 전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휴즈(108)와 자동/수동(AUTO/MAN)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110)가 위치하고 있다. 하우징의 타측면에는 국선측과 전화선을 연결하기 위한 RJ-11 입력포트(116)와, 전화선을 팩스측으로 연결하기 위한 RJ-11 출력포트(118), 자동모드의 경우에 외부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만 교류전원이 출력되는 전원소켓(114)이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대기전력 절전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12)가 외부 콘센트로 연결되고 전원포트(114)가 팩스(200)와 연결되어 제어된 교류전원을 팩스(200)측으로 전달하고, RJ-11 입력포트(116)가 선로측으로 연결되고, RJ-11 출력포트(118)가 팩스(200)로 연결되어 선로측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팩스측으로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대기전력 절전장치(1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RJ-11 입력포트(116)를 통해 수신되는 착신신호와 팩스신호를 감시하여 팩스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만 전원소켓(114)을 통해 팩스(200)로 교류전원을 인가하여 대기전력을 절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신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절전장치의 구성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신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절전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수동 스위치(110), 동작표시부(106), AC 입력 플러그(112), 휴즈(108), 써지 방지부(120), AC 스위치 릴레이(122), AC 출력소켓(114), 내부 전원부(130), 외부신호 입력부(116), 신호감지부(142), 신호지연부(144), 신호출력부(118)로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절전장치의 전기회로는 상,하 케이스(102,104)로 이루어진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된 PCB기판에 실장된 회로부품들로 구현되고, 하우징에는 입출력 단자와 소켓을 위한 홀이 형성되어 있다. AC 입력 플러그(112)를 통해 입력된 교류(AC)전원은 휴즈(108)와 써지 방지부(120)를 거쳐 AC 스위치 릴레이(122)로 전달되고, AC 스위치 릴레이(122)는 감지 및 시간지연 제어부(146)의 제어에 따라 팩스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만 AC 출력소켓(114)으로 교류전원을 연결한다.
내부 전원부(130)는 회로부품을 동작시키기 위한 DC 전원을 공급하고, 외부신호 입력부(116)는 RJ-11 잭을 통해 연결된 선로측으로부터 착신신호와 팩스신호를 수신받고, 신호감지부(142)는 선로(LINE) 측으로부터 수신되는 착신신호와 팩스신호를 검출하여 검출결과를 감지 및 시간지연 제어부(146)로 전달하며, 신호지연부(144)는 감지 및 시간지연 제어부(146)의 제어에 따라 신호를 지연시켜 외부신호 입력부(116)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신호출력부(118)로 전달한다. 동작 표시부는 감지 및 시간지연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상태를 표시하고, 자동/수동 스위치를 동작모드를 자동 혹은 수동으로 설정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신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절전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뉴트럴 라인의 교류입력(N_IN)은 뉴트럴 라인 교류출력(N_OUT)으로 바로 연결되고, 핫 라인의 교류입력(H_IN)은 휴즈(108)와 릴레이(122;K1)를 거쳐 핫라인 교류출력(H_OUT)으로 연결된다. 입력측의 뉴트럴 라인과 핫라인 사이에는 써지 방지소자(120)가 연결되어 회로를 써지로부터 보호하고, 교류입력은 전원부의 트랜스에 의해 저전압으로 강하된 후 정류 다이오드에 의해 정류되고 레귤레이터를 통해 안정된 직류전압(Vcc)을 회로소자에 공급한다.
한편, 입력측 RJ-11 잭(116)을 통해 전화선이 선로측으로 연결되고, 전화선을 통해 입력된 신호는 RJ-11 잭(118)을 통해 팩스측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팩스신호 검출기(142)는 전화선을 통해 착신신호나 팩스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검출하여 마이컴(146)으로 전달하고, 마이컴(146)은 자동/수동 모드설정 스위치(110)가 '자동' 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팩스신호 검출기(142)의 검출신호에 따라 팩스신호 검출기에 의해 착신신호가 검출되면 릴레이 구동 트랜지스터(Q1)를 제어하여 릴레이(122)를 여자시켜 핫 라인 입력을 핫라인 출력으로 연결하여 팩스에 전원을 공급하게 하고, 팩스신호 검출기(142)에 의해 팩스신호 수신완료가 검출되면 트랜지스터(Q1)를 제어하여 릴레이(122)를 소자시켜 팩스의 전원을 차단한다. 그리고 마이컴(146)은 팩스신호가 검출되면 LED 구동 트랜지스터(Q2)를 제어하여 LED(106)를 점/소등시켜 동작상태를 표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신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절전장치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외부신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절전장치(100)는 교류전원을 입력받고, 외부신호를 감시하여 외부신호가 수신되면 교류 스위치 릴레이(122)를 온시켜 팩스(200)에 교류전원을 공급하고, 수신신호 응답을 지연시킴과 아울러 LED(106)로 팩스 온 상태를 표시하며, 팩스동작 후 팩스수신을 완료하면 AC 스위치 릴레이(122)를 오프시켜 팩스 전원을 오프시킴으로써 외부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만 팩스(200)에 전원을 공급하여 동작시킴으로써 대기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S1~S9).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2: 상부 케이스 104: 하부 케이스
106: 동작표시 LED 108: 휴즈
110: 자동/수동 스위치 112: 교류입력 플러그
114: 교류 출력 소켓 116: 선로측 RJ-11잭
118: FAX측 RJ-11 잭 120: 써지 방지부
122: AC 스위치 릴레이 130: 내부 전원부
142: 신호감지부 144: 신호지연부
146: 감지 및 시간지연 제어부

Claims (5)

  1. 상,하 케이스로 이루어져 내부에 PCB기판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 교류전원 입력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 PCB기판에 실장되어 상기 교류전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교류전원을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하기 위한 교류전원 스위칭 수단;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교류전원 스위칭 수단에 의해 제어된 교류전원을 팩스로 출력하기 위한 교류전원 출력부;
    전화선을 통해 착신신호와 팩스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외부신호 입력부;
    입력된 착신신호와 팩스신호를 상기 팩스로 전달하기 위한 외부신호 출력부;
    상기 외부신호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착신신호와 팩스신호를 감시하기 위한 팩스신호 검출기; 및
    상기 팩스신호 검출기에 의해 착신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교류전원 스위칭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교류전원 출력부를 통해 팩스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팩스신호 검출기에 의해 팩스신호 수신완료가 검출되면 소정시간 지연 후 상기 교류전원 스위칭 수단을 제어하여 팩스의 전원을 차단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신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절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신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절전장치는
    입력 교류전원의 써지를 방지하기 위한 써지 방지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신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절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신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절전장치는
    자동/수동 모드선택 스위치와, 상기 자동/수동 모드선택 스위치가 '자동'이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팩스신호 검출기의 검출결과에 따라 상기 팩스의 전원을 제어하고, '수동'이면 상기 팩스에 항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신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절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신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절전장치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LED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신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절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전원 스위칭 수단은
    교류 전원 릴레이와,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릴레이를 여자시켜 릴레이 접점을 연결하거나 소자시켜 릴레이 접점을 차단하는 구동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신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절전장치.
KR1020110046498A 2011-05-17 2011-05-17 외부신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절전장치 KR201201284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6498A KR20120128497A (ko) 2011-05-17 2011-05-17 외부신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6498A KR20120128497A (ko) 2011-05-17 2011-05-17 외부신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8497A true KR20120128497A (ko) 2012-11-27

Family

ID=47513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6498A KR20120128497A (ko) 2011-05-17 2011-05-17 외부신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84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43530A (zh) * 2019-12-16 2020-03-31 重庆西南集成电路设计有限责任公司 一种应用于多电源供电的电源切换电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43530A (zh) * 2019-12-16 2020-03-31 重庆西南集成电路设计有限责任公司 一种应用于多电源供电的电源切换电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6818B1 (ko) 콘센트 대기 전력 감소장치
KR100801042B1 (ko) 자동전원차단콘센트
US20110006615A1 (en) Plug socket
US20150380183A1 (en) Current Control Device
KR20150137429A (ko) 멀티 콘센트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92948A (ko) 매립형 대기전력 차단용 콘센트
KR101302677B1 (ko) 셋톱박스의 전력 제어장치
KR20090045472A (ko) 절전형 전원멀티탭 및 그 제어방법
KR20120128497A (ko) 외부신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절전장치
KR101078778B1 (ko) 대기전력 자동 차단 스위치장치
KR200416937Y1 (ko) 무선 절전용 콘센트
KR20100044382A (ko) 지그비를 이용한 대기전력 저감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0996834B1 (ko) 대기전력/상시전원 선택기능을 갖는 콘센트
KR20110017949A (ko) 대기 전력 절감 장치 및 방법
KR101763903B1 (ko) 대기전력 자동 설정이 가능한 자동 절전 제어 장치
KR101116916B1 (ko) 대기전력 차단장치
KR101123735B1 (ko)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및 그의 구동방법
KR101367969B1 (ko) 콘센트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127641B1 (ko) 바닥에 설치된 콘센트에 대한 대기 전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28893A (ko) 마스터-슬레이브 관계 기반 대기전력 차단 멀티 콘센트 장치
KR20100067744A (ko) 절전용 콘센트 및 그의 동작방법
KR101767259B1 (ko) 리모컨 신호를 이용한 자동 절전 제어 장치
US11750022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standby power consumption
KR20110080618A (ko) 대기 전력 차단 콘센트
KR20120008069U (ko) 컴퓨터 주변장치의 대기전력 차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