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0840B1 - 도자기에 금속을 결합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도자기에 금속을 결합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0840B1
KR101490840B1 KR20140127596A KR20140127596A KR101490840B1 KR 101490840 B1 KR101490840 B1 KR 101490840B1 KR 20140127596 A KR20140127596 A KR 20140127596A KR 20140127596 A KR20140127596 A KR 20140127596A KR 101490840 B1 KR101490840 B1 KR 101490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ceramics
glaze
firing
bo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27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0840B9 (ko
Inventor
박종훈
엄윤정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40127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08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0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0840B1/ko
Publication of KR101490840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0840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2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attaching appendages, e.g. handles, spou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8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ceramics
    • C04B41/81Coating or impregnation
    • C04B41/85Coating or impregnation with inorganic materials
    • C04B41/86Glazes; Cold glaz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8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ceramics
    • C04B41/91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ceramics involving the removal of part of the materials of the treated articles, e.g. etch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자기에 금속을 결합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통해 도자기에 금속을 결합시키는 경우, 도자기류에서 원하는 부분 예를 들어, 도자기 주전자의 주구 등을 금속으로 대체하여 도자기와 금속 사이에 매용제로써 결합유약을 바르고 최적 소성 온도에서 결합시키는 새로운 공정을 통해서 내구성 또는 강도를 우수하게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새로운 장식기법의 개발로 인해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도자기에 금속을 결합시키는 방법{Method for combined the metal with ceramics}
본 발명은 도자기에 금속을 결합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금속을 도자기와 합체시키는 방법으로서 기존의 문헌에는 파라핀 등을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을 미리 제작한 다음 도자기류 등에 매몰시킨 다음 금속의 용융물을 충진하여 금속을 합체하는 방법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용융법은 원하는 형상을 파라핀 등으로 미리 만들어야 한다는 부담이 있으므로, 원하는 형상을 용이하게 실시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용융된 금속은 흘러내리기 때문에 세밀한 문양을 표현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한편, 도자기에서 원하는 부분을 금속으로 대체하여 결합시켜 도자기를 제조함으로써 내구성 또는 강도가 향상된 도자기의 제조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지만, 도자기와 금속은 성질이 서로 상이하므로 이를 기술적으로 잘 결합시키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단점을 보완하여 깨지기 쉬운 도자기류에서 원하는 부분 예를 들어, 도자기 주전자의 주구 등을 금속으로 대체하여 도자기와 금속을 결합시킴으로써 내구성 또는 강도가 향상되고 새로운 장식기법의 개발로 인해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자기에 금속을 결합시키는 방법을 발명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1945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99392호
본 발명의 목적은 도자기류에서 원하는 부분 예를 들어, 도자기 주전자의 깨지기 쉬운 부분인 주구 등을 금속으로 대체하여 도자기와 금속을 결합시킴으로써 내구성 또는 강도가 향상되고 새로운 장식기법의 개발로 인해 심미성을 향상시킨 도자기에 금속을 결합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ⅰ) 도자기를 성형 또는 정형하는 단계;
ii) 상기 단계 ⅰ)의 성형 또는 정형된 도자기를 초벌 소성하는 단계;
iii) 상기 단계 ii)의 초벌 소성을 거친 도자기를 재벌 소성하는 단계;
iv) 금속을 이용하여 주물을 뜨는 단계;
ⅴ) 상기 단계 iii)의 재벌 소성을 거친 도자기의 금속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부분에 결합유약을 바르고 단계 iv)의 주물을 뜬 금속을 도자기에 결합시킨 후 850 ~ 950℃의 온도에서 6 ~ 8 시간 동안 삼벌 소성하는 단계; 및
ⅵ) 상기 단계 ⅴ)의 삼벌 소성을 거친 도자기를 연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은 적동(red copper) 또는 은(silv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에 금속을 결합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은
ⅰ) 도자기를 성형 또는 정형하는 단계;
ii) 상기 단계 ⅰ)의 성형 또는 정형된 도자기를 초벌 소성하는 단계;
iii) 상기 단계 ii)의 초벌 소성을 거친 도자기를 재벌 소성하는 단계;
iv) 상기 단계 iii)의 재벌 소성을 거친 도자기에서 금속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부분을 절단하고, 절단된 부분 형상으로 금속을 이용하여 주물을 뜨는 단계;
ⅴ) 상기 단계 iv)를 거친 도자기의 절단된 부분에 결합유약을 바르고 단계 iv)의 주물을 뜬 금속을 도자기에 결합시킨 후 850 ~ 950℃의 온도에서 6 ~ 8 시간 동안 삼벌 소성하는 단계; 및
ⅵ) 상기 단계 ⅴ)의 삼벌 소성을 거친 도자기를 연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은 적동(red copper) 또는 은(silv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에 금속을 결합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통해 도자기에 금속을 결합시키는 경우, 도자기류에서 원하는 부분 또는 깨지기 쉬운 부분인 예를 들어, 도자기 주전자의 주구 등을 도자기 보다 강한 소재인 금속으로 대체하여 도자기와 금속 결합부에 매용제로써 결합유약을 바르고 최적 소성 온도에서 결합시키는 새로운 공정을 통해서 도자기의 내구성 또는 강도를 우수하게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새로운 장식기법의 개발로 인해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a) 내지 도 1(h)는 본원 명세서의 실시예의 순서에 따라 도자기에 금속을 결합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원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라 도자기에 적동을 결합시킨 도자기를 나타낸 도이다.
도 3는 본원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라 도자기에 은을 결합시킨 도자기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원 명세서의 비교예에 따라 도자기에 황동을 결합시킨 도자기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첫번째 방법으로,
ⅰ) 도자기를 성형 또는 정형하는 단계;
ii) 상기 도자기를 초벌 소성하는 단계;
iii) 상기 도자기를 재벌 소성하는 단계;
iv) 금속을 이용하여 주물을 뜨는 단계;
ⅴ) 상기 재벌된 도자기의 금속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부분에 결합유약을 바르고 단계 iv)의 주물을 뜬 금속을 도자기에 결합시킨 후 850 ~ 950℃의 온도에서 6 ~ 8 시간 동안 삼벌 소성하는 단계; 및
ⅵ) 상기 삼벌 소성된 도자기를 연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에 금속을 결합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1(a) 내지 도 1(h)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도자기에 금속을 결합시키는 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사진으로, (a)는 도자기 주전자를 성형 및 정형하고, (b)는 초벌 소성 단계를 거치고 (c)는 재벌 소성 단계를 거치고, (d)는 재벌된 도자기 주전자의 주구를 원하는 위치에 다이아몬드 커팅기로 절단 한 후 절단된 주구는 금속으로 주물을 뜨는 공정의 사진을 나타내었다. 또한, (e)는 절단된 부분에 용융점에 맞는 유약을 바른 후, (f)에서 절단된 금속 주구를 도자기 주전자에 맞춰 끼운 후 용융점에 맞게 소성하였고, (g)에서 900℃에서 소성한 후, (h)에서 소성되어 나온 주전자에 연마 작업하는 공정의 사진을 나타내었다.
제 ⅰ)단계에서 도자기는 당업계에 일반적으로 알려진 방법에 의해 성형 또는 정형할 수 있고, 그 후 ii)단계에서 상기 도자기를 초벌 소성하는 단계를 거친다.
상기 초벌 소성된 도자기는 자연 건조 후 초벌 소성된 도자기를 포함한다.
초벌 소성은 일반적으로 800℃ 내지 900℃ 내외에서 8시간 동안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iii) 단계의 재벌 소성은 당 업계에 일반적으로 알려진 방법에 의해 도자기가 두 번째로 구어지는 것을 말한다. 재벌 소성은 일반적으로 1180℃ 내지 1250℃ 내외에서 12시간 동안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iv)단계는 금속을 이용하여 주물을 뜨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금속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부분을 금속을 이용하여 직접 주물을 뜨는 것으로, 도자기 부분에서 대응되는 부분을 절단하고 절단된 부분 형상으로 금속을 이용하여 주물을 뜨는 단계와 비교할 때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단계 iv)의 주물을 뜬 금속은 도자기 내로 삽입 고정되는 결합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금속은 그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적동(red copper) 또는 은(silver) 일 수 있는데, 상기 결합 가능한 금속은 특유의 성질로 부식 등의 단점 없이 도자기와 열처리를 통해 결합이 가능하고 내구성 또는 강도를 향상시킨 도자기를 제조할 수 있다.
이 후, 단계 ⅴ)에서는 상기 재벌 된 도자기의 금속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부분에 결합유약을 바르고 단계 iv)의 주물을 뜬 금속을 도자기에 결합시킨 후 850 ~ 950℃의 온도에서 6 ~ 8 시간 동안 삼벌 소성하는 단계를 거친다. 상기 단계를 통해 당업자는 도자기류에서 원하는 부분 예를 들어, 도자기 주전자의 주구 등을 금속으로 대체하여 도자기와 금속 사이에 매용제로써 결합유약을 바르고 최적 소성 온도에서 결합시키는 새로운 공정을 통해서 내구성 또는 강도를 우수하게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새로운 장식기법의 개발로 인해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자기를 제작할 수 있다.
본원 명세서에 의미하는 삼벌 소성은 도자기가 세 번째로 구워지는 것을 말하며, 금속의 소성온도에 맞추어 6 ~ 8시간 동안 열을 가할 수 있다. 상기 금속과 도자기를 결합시키는 온도란 도자기와 금속의 결합부에서 금속이 타거나 녹지 않고 적절하게 안착되어 결합 될 수 있는 적정 온도를 말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쳐 물리적인 힘을 가하지 않고 오로지 열에 의하여 금속이 도자기에 결합되도록 하는 온도를 발견하게 되어 이를 결합 온도라고 이름하였다.
하기의 기재 내용은 재벌 소성 후에 금속과 도자를 결합시킬 때 필요한 매용제에 관한 내용으로, 매용제란 유약에 포함되는 성분으로 융제(장석, 도석)와 함께 사용하면 서로 잘 녹는 성질을 갖게 되는 원료를 의미한다. 매용제는 융제를 도와 유약을 녹게 만들어주고 염기성 원료로 주로 알칼리토류 금속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매용제로써는 결합유약이 사용될 수 있고, 결합유약은 금속 결합용으로 사용된다. 결합유약은 금속의 녹는점에 따라 저화도 유약, 중화도 유약 또는 고화도 유약일 수 있다. 결합유약은 결합유약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물과 결합유약의 혼합액을 사용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서 결합유약으로 유리가루를 사용할 수 있고, 유리 가루를 사용할 경우 분말 상태로 금속과 도자기의 결합부에 직접 분말을 바르거나 물에 용해하여 혼합액의 상태를 금속과 도자기의 결합부에 바를 수 있다.
결합유약을 바를 때 결합유약의 끓는점은 결합된 금속의 녹는점을 고려하여 제조 하여야 한다. 상기 결합유약의 끓는점은 바람직하게는 금속의 녹는점보다 높아야 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금속의 녹는점 보다 20℃ 높은 것이 좋다.
결합유약의 끓는점은 상기 금속이 적동일 경우 900℃ ~ 1150℃, 은인 경우 950℃ ~ 1000℃ 일 수 있다.
상기 결합유약의 끓는점은 일반적으로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유약에 알칼리 산화물을 첨가하거나 배제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조절 할 수 있다.
상기 ⅴ) 단계에서 소성 온도는 각 금속의 용융점보다 50℃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삼벌 소성이 각 금속의 용융점 보다 현저히 낮은 온도에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도자기에 금속이 결합되지 않을 우려가 있으며, 삼벌 소성이 각 금속의 용융점 보다 지나치게 높은 온도에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금속이 기화하여 원하는 형상이 만들어 지지 않거나, 색감이 좋지 않거나, 도자기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 후, 단계 ⅵ)에서는 상기 삼벌 소성된 도자기를 연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연마 작업은 끌, 사포 또는 드릴을 이용하여 다듬는 단계를 의미한다.
이 후, 단계 ⅶ)에서는 도자기에 결합된 금속 부분인 도자기와 금속의 마감 부분에 옻칠을 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옻칠은 생칠, 정제칠 및 주합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할 수 있고, 옻칠을 함으로써 금속과 도자의 결합부위가 더욱 단단하게 결합되고, 천연 코팅제로서의 역할을 수행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두번째 방법으로,
ⅰ) 도자기를 성형 또는 정형하는 단계;
ii) 상기 도자기를 초벌 소성하는 단계;
iii) 상기 도자기를 재벌 소성하는 단계;
iv) 상기 재벌된 도자기에서 금속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부분을 절단하고, 절단된 부분 형상으로 금속을 이용하여 주물을 뜨는 단계;
ⅴ) 도자기의 상기 절단된 부분에 결합유약을 바르고 단계 iv)의 주물을 뜬 금속을 도자기에 결합시킨 후 850 ~ 950℃의 온도에서6 ~ 8 시간 동안 삼벌 소성하는 단계; 및
ⅵ) 상기 삼벌 소성된 도자기를 연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에 금속을 결합시키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두번째 방법은 상기 첫번째 방법에서 iv)단계를 제외한 내용을 전부 원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두번째 방법은 iv)단계에서 재벌된 도자기에서 금속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부분을 절단하고, 절단된 부분 형상으로 금속을 이용하여 주물을 뜨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벌된 도자기에서 금속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도자기 부분, 예를 들어 도자기 주전자의 주구(주전자 입구)등을 절단하여 절단된 부분 형상으로 금속을 이용하여 주물을 뜬다. 절단을 할 경우 다이아몬드 커팅기를 이용할 수 있는데, 금속으로 교체할 재벌된 도자기를 다이아몬드 커팅기를 이용하여 절단할 경우, 흙의 수축률에 대한 부담을 확연히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등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백자토를 사용하여 주전자 형태의 도자기를 물레 성형하였다. 성형 후 1 내지 2 일간 그늘에서 건조한 후, 정형하여 완전 건조한 후 750~900℃ 내외로 6 ~ 8시간 동안 초벌 소성을 하였다. 초벌 되어 나온 주전자를 스폰지를 이용하여 깔끔히 다듬어 준 후 1180 ~ 1250℃로 12시간 동안 재벌 소성을 하였다. 상기 재벌된 도자기 중 적동으로 결합할 부분을 표시 한 후 다이아몬드 커팅기로 절단하였다. 절단된 부분을 적동을 이용하여 주물을 뜨고 재벌 되어 나온 상기 재벌된 도자기의 적동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부분에 저화도유약을 바르고 주물을 뜬 적동을 도자기에 결합시킨 후 900℃의 온도에서 8 시간 동안 삼벌 소성하였고, 그 후에 소성되어 나온 도자기 중 적동부분을 연마한 후 코팅제로써 도자기에 결합된 적동부분에 옻칠을 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결과를 도 2에 도시하였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깔끔하고 균일한 색깔과 모양으로 적동이 도자기 주전자의 주구 부분에 결합된 것을 볼 수 있다.
실시예 2
최초 도자기 주전자의 형태를 동일하게 하고, 금속을 은을 사용하여 주전자의 주구를 제작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도 3에 도시하였다.
비교예 1
최초 도자기 주전자의 형태를 동일하게 하고, 금속을 황동을 사용하여 주전자의 주구를 제작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도 4에 도시하였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황동으로 도자기 주구를 만들어 소성 했을 시 황동 특유의 성질로 인해 부식이 돼서 도자기에 결합이 되지 않고 들떠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Claims (10)

  1. ⅰ) 도자기를 성형 또는 정형하는 단계;
    ii) 상기 단계 ⅰ)의 성형 또는 정형된 도자기를 초벌 소성하는 단계;
    iii) 상기 단계 ii)의 초벌 소성을 거친 도자기를 재벌 소성하는 단계;
    iv) 금속을 이용하여 주물을 뜨는 단계;
    ⅴ) 상기 단계 iii)의 재벌 소성을 거친 도자기의 금속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부분에 결합유약을 바르고 단계 iv)의 주물을 뜬 금속을 도자기에 결합시킨 후 850 ~ 950℃의 온도에서 6 ~ 8 시간 동안 삼벌 소성하는 단계; 및
    ⅵ) 상기 단계 ⅴ)의 삼벌 소성을 거친 도자기를 연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은 적동(red copper) 또는 은(silv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에 금속을 결합시키는 방법.
  2. ⅰ) 도자기를 성형 또는 정형하는 단계;
    ii) 상기 단계 ⅰ)의 성형 또는 정형된 도자기를 초벌 소성하는 단계;
    iii) 상기 단계 ii)의 초벌 소성을 거친 도자기를 재벌 소성하는 단계;
    iv) 상기 단계 iii)의 재벌 소성을 거친 도자기에서 금속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부분을 절단하고, 절단된 부분 형상으로 금속을 이용하여 주물을 뜨는 단계;
    ⅴ) 상기 단계 iv)를 거친 도자기의 절단된 부분에 결합유약을 바르고 단계 iv)의 주물을 뜬 금속을 도자기에 결합시킨 후 850 ~ 950℃의 온도에서 6 ~ 8 시간 동안 삼벌 소성하는 단계; 및
    ⅵ) 상기 단계 ⅴ)의 삼벌 소성을 거친 도자기를 연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은 적동(red copper) 또는 은(silv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에 금속을 결합시키는 방법.
  3. 청구항 1항 또는 청구항 2항에 있어서, ⅶ) 단계 ⅵ)를 거친 도자기에 결합된 금속 부분에 옻칠을 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에 금속을 결합시키는 방법.
  4. 청구항 1항 또는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v)의 주물을 뜬 금속은 도자기 내로 삽입 고정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에 금속을 결합시키는 방법.
  5. 삭제
  6. 청구항 1항 또는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유약은 금속의 녹는점에 따라 저화도 유약, 중화도 유약 또는 고화도 유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에 금속을 결합시키는 방법.
  7. 청구항 1항 또는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유약은 결합유약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물과 결합유약의 혼합액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에 금속을 결합시키는 방법.
  8.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iv) 단계에서 절단은 다이아몬드 커팅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에 금속을 결합시키는 방법.
  9. 청구항 1항 또는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ⅴ) 단계에서 소성 온도는 각 금속의 용융점보다 50℃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에 금속을 결합시키는 방법.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ⅶ) 단계의 옻칠은 생칠, 정제칠 및 주합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에 금속을 결합시키는 방법.
KR20140127596A 2014-09-24 2014-09-24 도자기에 금속을 결합시키는 방법 KR101490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27596A KR101490840B1 (ko) 2014-09-24 2014-09-24 도자기에 금속을 결합시키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27596A KR101490840B1 (ko) 2014-09-24 2014-09-24 도자기에 금속을 결합시키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0840B1 true KR101490840B1 (ko) 2015-02-09
KR101490840B9 KR101490840B9 (ko) 2022-07-18

Family

ID=52591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27596A KR101490840B1 (ko) 2014-09-24 2014-09-24 도자기에 금속을 결합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08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5249A (ko) * 2016-03-09 2017-09-19 양택균 은주전자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7126B1 (ko) * 1995-10-26 1999-01-15 유호근 도자기와 금속의 접합방법
KR19990021746U (ko) * 1998-11-02 1999-06-25 정윤이 찻잔
KR20100099392A (ko) * 2009-03-03 2010-09-13 배명학 도자기 용기의 제조방법
KR101346182B1 (ko) 2013-07-10 2014-01-03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자기에 금속선을 입사시키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7126B1 (ko) * 1995-10-26 1999-01-15 유호근 도자기와 금속의 접합방법
KR19990021746U (ko) * 1998-11-02 1999-06-25 정윤이 찻잔
KR20100099392A (ko) * 2009-03-03 2010-09-13 배명학 도자기 용기의 제조방법
KR101346182B1 (ko) 2013-07-10 2014-01-03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자기에 금속선을 입사시키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5249A (ko) * 2016-03-09 2017-09-19 양택균 은주전자 제조방법
KR101868450B1 (ko) * 2016-03-09 2018-06-18 양택균 은주전자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0840B9 (ko) 2022-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624863B (zh) 用于掐丝金胎熔焊景泰蓝制品中的焊药及景泰蓝制品的制作方法
CN112759261B (zh) 景泰蓝掐丝珐琅彩瓷器及其制备工艺
KR101424594B1 (ko) 표피문양이 형성된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801172B1 (ko) 흑점을 형성하는 청자용 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893606B1 (ko) 적색과 함께 푸른색을 발현하는 진사유약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도자기 소성방법
KR101490840B1 (ko) 도자기에 금속을 결합시키는 방법
JP4707968B2 (ja) 宝飾石を取囲むように金属を鋳込む装身具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適した宝飾石
CN110747471B (zh) 一种应用于金属表面的变色珐琅加工方法
CN103044083A (zh) 一种透明釉及其制造方法
CN103373861B (zh) 一种镀金属抛釉陶瓷砖及其制备方法
CN107098677A (zh) 黑底红斑油滴天目釉陶瓷及其制备工艺
CN102633535B (zh) 一种宝石花釉的制作方法
CN103266325A (zh) 斑铜器具制作工艺
CN105217957B (zh) 一种龙泉青瓷无胎釉璧及其制作方法和应用
KR101754453B1 (ko) 도태칠기 상감 제조 방법
KR101346182B1 (ko) 도자기에 금속선을 입사시키는 방법
CN103997928A (zh) 多块式首饰件、 用于其的浆料和制作方法
KR101893607B1 (ko) 푸른색 결정을 갖는 도자기 제조방법
CN102417362B (zh) 银质、陶质结合体器皿制作工艺
CN101244946A (zh) 马赛克及其加工方法
CN107902903A (zh) 玉石装饰的陶瓷制品及其制备工艺
CN107382064B (zh) 金丝釉及用其制作艺术瓷的方法
CN105818603A (zh) 铜画烧结工艺
KR102634792B1 (ko) 스테인드 글라스를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도자기
CN109263392A (zh) 一种龙耳瓶造型的钧瓷工艺品的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