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0696B1 - 콘 로드 가공 장치 - Google Patents

콘 로드 가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0696B1
KR101490696B1 KR20110142098A KR20110142098A KR101490696B1 KR 101490696 B1 KR101490696 B1 KR 101490696B1 KR 20110142098 A KR20110142098 A KR 20110142098A KR 20110142098 A KR20110142098 A KR 20110142098A KR 101490696 B1 KR101490696 B1 KR 101490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hine
worm wheel
guide plate
machining
w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142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4181A (ko
Inventor
이유범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10142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0696B1/ko
Publication of KR20130074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4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0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0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1/00Making machine elements
    • B21K1/76Making machine elements elements not mentioned in one of the preceding groups
    • B21K1/766Connecting r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Abstract

콘 로드 가공기 받침대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 로드 가공기 받침대는 콘 로드가 고정되고 스핀들을 가지며 안내판이 설치된 공작기계의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콘 로드의 가공을 위해 스핀들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가공기가 안착되며 상기 안내판의 높이와 동일 높이로 승, 하강 되도록 승, 하강 유닛을 가지는 가공기 받침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콘 로드 가공기 받침대{con rod machine support}
본 발명은 콘 로드를 가공하는 가공기의 이동을 보다 손쉽게 실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작기계가 위치한 곳까지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 콘 로드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콘 로드 가공기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 선박에 장착된 크랭크 샤프트는 엔진의 실린더 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메인 저널부와, 콘로드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크랭크 핀과, 상기 메인 저널부와 크랭크 핀 사이를 연결하는 크랭크 암으로 구성된다.
상기 크랭크 샤프트는 스틸 단조재를 사용하여 가공을 실시한 후에 상기 크랭크 샤프트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메인 저널부 및 콘 로드가 연결되는 크랭크 핀을 별도로 가공한다.
상기 메인 저널부와 크랭크 핀은 별도의 가공을 통해 제작되고, 상기 메인 저널부는 실린더 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고 크랭크 핀은 콘 로드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콘 로드는 구조적 특성상 U자 형상의 곡면부에 대한 가공을 위한 곡면 가공기와, 로드(Rod) 부분에 대한 가공을 위한 로드 가공기 및 보링을 위한 보링 가공기와 같은 다수개의 가공기를 사용하여 가공을 실시하므로 상기 콘 로드의 가공을 위해서는 다수개의 가공기를 공작기계가 위치한 곳까지 반드시 크레인을 이용하여 이동을 실시하는 방식으로 작업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으로 콘 로드에 대한 가공을 실시할 경우에 콘 로드의 곡면 가공을 위한 곡면 가공기를 크레인을 이용하여 이동시킨 상태에서 작업자가 일일이 가공을 위한 준비작업을 실시한 후에 상기 콘 로드에 대한 가공을 하고, 또 다시 크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곡면 가공기를 공작기계의 외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크레인을 이용하여 보링 가공기를 반족적으로 이동시켜야 하므로 작업자의 작업성 저하와,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유발되었다.
또한 크레인은 콘 로드를 가공하기 위한 전용 크레인이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콘 로드를 제외한 다른 가공물에 대한 이동을 위해 공용으로 사용되므로, 작업자가 크레인을 즉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일정 시간 대기해야되는 문제점이 유발되었다.
따라서 다수개의 콘 로드에 대한 가공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정해진 납기를 충족시키지 못하여 작업자의 신속한 작업을 유발하게 되어 잠재적인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유발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44057호 (공개일: 2004년05월27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크레인을 최소한으로 사용하면서도 콘 로드의 가공을 안정적으로 실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콘 로드가 고정되고 스핀들을 가지며 안내판이 설치된 공작기계의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콘 로드의 가공을 위해 스핀들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가공기가 안착되며 상기 안내판의 높이와 동일 높이로 승, 하강 되도록 승, 하강 유닛을 가지는 가공기 받침대를 포함한다.
상기 가공기 받침대는 상기 가공기가 안착되고 좌, 우 양측에 상측으로 연장된 가이드 부재와, 상기 안내판을 향해 외측으로 연장된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하측으로 이격되어 지면을 향해 연장된 연장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승, 하강 유닛은 상기 받침판의 하면에 설치된 모터; 상기 모터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받는 웜(worm)과, 상기 웜(worm)과 직교된 상태로 치합되고 상기 받침판의 하면에 고정된 웜 휠(worm wheel)을 가지는 기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웜 휠은 상기 받침판의 하면으로 각각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는 제1,2 웜 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웜 휠과 제2 웜 휠 사이에는 수평하게 연결된 연결축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판은 상기 가공기 받침대에서 콘 로드가 위치한 곳까지 연장되고, 상기 가공기는 안내판을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공기는 하측 단부에 다수개의 바퀴가 장착된 이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콘 로드의 가공을 위한 작업성이 향상되고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크레인을 최소한으로 사용하면서도 콘 로드에 대한 작업을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어서 정해진 납기 내에 주문 물량을 모두 처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 로드 가공기 받침대에 가공기가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 로드 가공기 받침대의 측면도.
도 3은 콘 로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 로드 가공기 받침대의 사용 상태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 로드 가공기 받침대의 구성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가공기 받침대(100)는 공작기계(미도시)의 일측에 위치되고, 콘 로드(2)(도 3 참조)의 가공을 위해 스핀들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가공기(20)가 안착되며 안내판(12)(도 4 참조)의 높이와 동일 높이로 승, 하강 되도록 승, 하강 유닛(110)을 포함한다.
가공기 받침대(100)는 가공기(20)가 안착되도록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고, 지면을 향해 연장된 연장 프레임(104)을 포함한다. 가공기 받침대(100)는 중량물인 가공기(20)의 무게에 따른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스틸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면에 받침판(102)이 설치된다.
받침판(102)은 좌측과 우측에 상측으로 연장된 제1 가이드 부재(102a)가 설치되고, 안내판(12)을 향해 연장된 연장길이(L)를 가지고 연장된다. 제1 가이드 부재(102a)는 가공기(20)가 받침판(102)에 위치된 상태에서 외측으로 이탈 또는 낙하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작업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받침판(102)은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판(12)과 동일 높이가 유지되고, 연장길이(L)를 가지고 상기 안내판(12)을 향해 연장됨으로써 상기 안내판(12)에 보다 밀착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연장 프레임(104)은 받침판(102)의 하측에 일단이 연결되어 하측을 향해 연장되고, 하단에는 가공기 받침대(100)의 이동을 위한 바퀴(100a)를 포함한다.
따라서 가공기 받침대(100)는 가공기(20)가 받침판(102)에 위치된 상태에서 작업자에 의해 원하는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승, 하강 유닛의 구성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승 하강 유닛(110)은 모터(112)와, 상기 모터(112)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하는 웜(114a)과, 상기 웜(114a)과 치합된 웜 휠(114b)을 포함한다.
모터(112)는 받침판(102)의 하면에 설치되고, 상기 웜(114a)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터(112)가 단일 설치된 구성으로 도시하였으나,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웜(104a)은 모터(112)에 설치된 모터축 또는 동력 전달 부재와 연결 설치되고, 상기 웜 휠(104b)과 치합되어 상기 모터(112)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한다.
웜(104a)과 웜 휠(104b)은 하우징(H)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H)은 웜(104a)과 웜 휠(104b)이 이물질 및 먼지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웜 휠(104b)은 도 2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된 모터(112)와 근접된 위치에 설치된 제1 웜 휠(114b')과, 좌측에 설치된 제2 웜 휠(114b'')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웜 휠(114b')과 제2 웜 휠(114b'') 사이에 수평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 웜(114a)에 양단이 연결되어 상기 모터(112)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동시에 제1,2 웜 휠(114b',114b'')에 전달하여 받침판(102)의 승강 또는 하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승, 하강 유닛은 통상의 실린더 및 피스톤의 조합을 이용하여 받침판(102)의 승강 또는 하강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 1 또는 도 3을 참조하면, 가공기(20)는 콘 로드(2)의 U자 형상의 곡면부(2a)에 대한 가공을 위한 곡면 가공기(21)와, 로드(Rod)(2b) 부분에 대한 가공을 위한 로드 가공기(22) 및 보링을 위한 보링 가공기(23)를 포함한다. 상기 가공기(20)는 콘 로드(2)의 가공을 위해 공작기계(10)에 설치된 스핀들에 장착되어 상기 콘 로드(2)의 외주면에 대한 가공이 이루어진다.
가공기(20)는 하측 단부에 다수개의 바퀴(22a)가 장착된 이동부(22)가 설치되고, 상기 이동부(22)는 가공기(20)의 하측에 고정부재(미도시)를 매개로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가공기(20)는 작업자가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어느 방향으로도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으며, 적은 힘으로도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안내판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4를 참조하면, 안내판(12)은 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가장자리를 따라 상측을 향해 연장된 제2 가이드 부재(12a)를 포함한다. 제2 가이드 부재(12a)는 수 센티 미터의 높이를 가지고 상측을 향해 연장되며 작업자가 가공기(20)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외측으로 이탈되거나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가공기(20)의 파손 및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한다.
안내판(12)은 콘 로드(2)를 향해 연장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가공기(20)의 무게를 고려하여 철판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공기 받침대의 사용 상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작업자는 콘 로드(2)에 대한 가공을 하기에 앞서 상기 콘 로드(2)를 가공하기 위한 가공기(20)를 받침판(102)의 상면으로 이동시킨다.
가공기(20)는 받침판(102)으로 이동을 위해 크레인을 이용하여 모두 동시에 이동이 이루어지고, 작업자는 공작기계(10)의 위치를 가공기 받침대(100)가 위치한 곳까지 이동시킨다.
작업자는 안내판(12)의 위치와 받침판(102)의 위치를 동일 위치로 위치시키기 위해 모터(112)를 작동시킨다.
웜(114a)은 모터(112)에서 전달된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1 웜 휠(114b')로 회전력을 전달하고, 상기 제1 웜 휠(114b')은 연결축(120)을 통해 제2 웜 휠(114b'')에 회전력이 전달되어 받침판(102) 전체는 화살표 방향을 따라 가공기(20)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측을 향해 안정적으로 이동된다.
받침판(102)은 안내판(12)과 동일 높이에 위치되고, 작업자는 상기 받침판(102)의 상부로 올라가서 곡면 가공기(21)를 실선의 위치에서 점선의 위치로 별다른 어려움 없이 이동시키면 된다.
상기 곡면 가공기(21)는 바퀴(22a)가 받침판(102)의 상면과 구름 접촉되면서 안내판(12)을 따라 콘 로드(2)가 위치한 곳까지 이동되고, 공작기계(10)의 스핀들에 상기 곡면 가공기(21)를 연결하여 상기 콘 로드(2)에 대한 가공을 실시하면 된다.
작업자는 콘 로드(2)의 곡면에 대한 작업이 종료된 후에는 공작기계(10)의 스핀들에서 곡면 가공기(21)의 고정 상태를 해제한 후에 받침판(102)으로 이송하고, 로드 가공기(22) 또는 보링 가공기(23)를 콘 로드(2)가 설치된 곳으로 이동시켜 나머지 후속 작업을 실시하면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2 : 콘 로드
12 : 안내판
20 : 가공기
100 : 가공기 받침대
102 : 받침판
104 : 연장 프레임
112 : 모터
114 : 가어부
114a, 114b : 웜, 웜 휠
120 : 연결축

Claims (6)

  1. 콘 로드가 고정되고 스핀들을 가지며 안내판이 설치된 공작기계의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콘 로드의 가공을 위해 스핀들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가공기가 안착되며 상기 안내판의 높이와 동일 높이로 승, 하강 되도록 승, 하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가공기가 안착되고 좌, 우 양측에 상측으로 연장된 가이드 부재와, 상기 안내판을 향해 외측으로 연장된 받침판을 가지는 가공기 받침대를 포함하며,
    상기 가공기 받침대는,
    상기 받침판의 하측으로 이격되어 지면을 향해 연장된 연장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 로드 가공 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승, 하강 유닛은,
    상기 받침판의 하면에 설치된 모터;
    상기 모터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받는 웜(worm)과, 상기 웜(worm)과 직교된 상태로 치합되고 상기 받침판의 하면에 고정된 웜 휠(worm wheel)을 가지는 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 로드 가공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웜 휠은,
    상기 받침판의 하면으로 각각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는 제1,2 웜 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웜 휠과 제2 웜 휠 사이에는 수평하게 연결된 연결축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 로드 가공 장치.
  5. 콘 로드가 고정되고 스핀들을 가지며 안내판이 설치된 공작기계의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콘 로드의 가공을 위해 스핀들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가공기가 안착되며 상기 안내판의 높이와 동일 높이로 승, 하강 되도록 승, 하강 유닛을 가지는 가공기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판은 상기 가공기 받침대가 위치한 곳에서부터 콘 로드가 위치한 곳까지 연장되고,
    상기 가공기는 상기 안내판을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 로드 가공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기는,
    하측 단부에 다수개의 바퀴가 장착된 이동부를 포함하는 콘 로드 가공 장치.
KR20110142098A 2011-12-26 2011-12-26 콘 로드 가공 장치 KR101490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42098A KR101490696B1 (ko) 2011-12-26 2011-12-26 콘 로드 가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42098A KR101490696B1 (ko) 2011-12-26 2011-12-26 콘 로드 가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4181A KR20130074181A (ko) 2013-07-04
KR101490696B1 true KR101490696B1 (ko) 2015-02-11

Family

ID=48988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142098A KR101490696B1 (ko) 2011-12-26 2011-12-26 콘 로드 가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069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6638A (ja) * 1996-11-29 1998-06-16 Honda Motor Co Ltd ピストンおよびコンロッドの位置決め方法とその機構
KR100682110B1 (ko) * 2003-12-26 2007-02-12 (주)성우기전 자동공구 교환장치의 공구수납대
KR20090057679A (ko) * 2007-12-03 2009-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팅 로드 디버링 복합 가공 장치
KR20100083518A (ko) * 2009-01-14 2010-07-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크랭크 핀 베어링 조립용 지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6638A (ja) * 1996-11-29 1998-06-16 Honda Motor Co Ltd ピストンおよびコンロッドの位置決め方法とその機構
KR100682110B1 (ko) * 2003-12-26 2007-02-12 (주)성우기전 자동공구 교환장치의 공구수납대
KR20090057679A (ko) * 2007-12-03 2009-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팅 로드 디버링 복합 가공 장치
KR20100083518A (ko) * 2009-01-14 2010-07-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크랭크 핀 베어링 조립용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4181A (ko) 201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237201U (zh) 一种电动型材切割机
US10940548B2 (en) Machine for machining workpieces
KR20110074090A (ko) 워크 테이블
CN105449562A (zh) 一种中置式开关底盘检修装置
KR101304010B1 (ko) 리어액슬의 서포터 조립장치
KR200317671Y1 (ko) 러그 절단기
KR200364425Y1 (ko) 수평형 이동식 절단기
CN101648327A (zh) 装载机铲斗焊接用三轴变位机
KR101490696B1 (ko) 콘 로드 가공 장치
KR101258520B1 (ko) 선반 방진구 쉘 교체장치
CN102581682A (zh) 一种回转支承齿轮倒角翻身装置
CN202592097U (zh) 一种回转支承齿轮倒角翻身装置
CN103056583B (zh) 小高度双钳同轴大型件180度翻转机
KR20120015828A (ko) 선미재 호닝용 에어드릴 지그
JP6408848B2 (ja) 曲げ加工装置
KR101704607B1 (ko) 회전익 항공기의 로터-허브 조립 자동화 장치
CN107030536B (zh) 一种锻造圆坯修磨机
KR20130028557A (ko) 공작기계용 중량물 승강장치
KR101753007B1 (ko) 밀링 가공용 셋업 장치
CN205342264U (zh) 焊接装置
JP6362571B2 (ja) エレベータ釣合重り搬出方法およびエレベータ釣合重り搬出用治具
JP6395945B2 (ja) エレベータのそらせ車交換方法及びそらせ車交換治具
JP2015047640A (ja) 工作機械及び搬送台車
CN219837450U (zh) 一种便于固定的工作台
KR20120003642A (ko) 중량물 턴오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