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0367B1 - 구동체인의 장력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구동체인의 장력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0367B1
KR101490367B1 KR20130076516A KR20130076516A KR101490367B1 KR 101490367 B1 KR101490367 B1 KR 101490367B1 KR 20130076516 A KR20130076516 A KR 20130076516A KR 20130076516 A KR20130076516 A KR 20130076516A KR 101490367 B1 KR101490367 B1 KR 101490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chain
torque arm
driving chain
rotary torq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6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3529A (ko
Inventor
오진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링콘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링콘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링콘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20130076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0367B1/ko
Publication of KR20150003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0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0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30Chain-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1Torsion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전지 내의 슬러지를 수집하는 다수의 플라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플라이트를 이동시키는 구동체인의 장력을 조절하는 구동체인의 장력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침전지의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대해 이격 배치되며, 해당 위치에서 회전 가능한 회전식 토크 아암; 상기 회전식 토크 아암의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일단부에 회전하게 결합되며, 상기 구동체인의 초기 긴장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체인과 연결되는 아이들 스프로켓;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식 토크 아암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체인의 장력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식 토크 아암을 회전시키는 아암 회전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구동체인의 장력 조절장치{Automatic tension-adjustable device for chain}
본 발명은, 구동체인의 장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동체인의 장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적은 힘으로도 장력 조절 길이를 배가시킬 수 있는 구동체인 플라이트 방식 슬러지 수집기에 관한 것이다.
침전지는 하폐수 처리 공정, 즉 수처리 공정에서 고액분리를 수행하는 매우 중요한 공정을 형성한다.
1차 침전지는 하폐수 내에 존재하는 고형물을 중력을 통하여 제거함으로써 후속되는 2차 처리공정인 미생물에 의한 처리공법의 생물반응조의 처리를 원활하게 하며, 생물반응조를 거친 처리수는 최종 침전지를 거치게 되는데, 최종 침전지는 생물반응조의 유출수를 처리수와 슬러지로 분리하여 최종적으로 처리수질을 확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1차 침전지 및 최종 침전지는 수처리 공정에서 가장 중요한 공정 중의 하나로 볼 수 있다.
이처럼 1차 및 최종 침전지는 고형물인 슬러지를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데, 슬러지는 자중에 의해 침전지의 바닥에 쌓이게 된다.
이때, 바닥에 쌓이는 슬러지를 신속하게 제거해야 하며, 그래야만 침전지를 지속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슬러지를 제거하지 않을 경우, 점차 슬러지의 두께가 증가하면서 물의 흐름에 따라 다시 재부상하여 처리 수질을 악화시킬 수도 있기 때문에 바닥에 쌓이는 침전 슬러지를 신속하게 제거해야 한다.
슬러지를 제거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구형 침전지(rectangular clarifier)의 경우, 일반적으로 구동체인 플라이트(chain flight) 방식 슬러지 수집기가 최근에 가장 많이 이용된다.
플라이트 방식 슬러지 수집기는 구동체인의 동작을 통해 플라이트를 이동시키면서 슬러지를 처리하는 장치이다.
한편, 이와 같은 슬러지 수집기를 침전지에 적용함에 있어, 예컨대 구동체인의 길이가 대략 20m 이상 길게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처럼 구동체인의 길이가 길어지면 구동체인의 초기 긴장 상태가 유지되지 못하고 이완될 우려가 높다.
만약, 구동체인이 초기 긴장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이완될 경우, 구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플라이트가 제대로 이동되지 못하는 등 장치가 원활하게 동작될 수 없다. 따라서 구동체인이 이완된 경우에는 이완된 만큼 구동체인의 장력을 조절하여 긴장시켜야 한다.
하지만, 종래기술의 경우, 구동체인을 긴장시키기 위한, 다시 말해 구동체인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가 구동부 인근 수상부에 존재하고 수평으로 긴장을 조절함에 따라 긴 체인의 긴장장치로는 그 기능을 원활히 수행할 수 없었다. 따라서 긴 구동체인에도 충분하게 구동체인을 긴장시킬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6-0000447호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체인의 장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적은 힘으로도 장력 조절 길이를 배가시킬 수 있는 구동체인 플라이트 방식 슬러지 수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침전지 내의 슬러지를 수집하는 다수의 플라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플라이트를 이동시키는 구동체인의 장력을 조절하는 구동체인의 장력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침전지의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대해 이격 배치되며, 해당 위치에서 회전 가능한 회전식 토크 아암; 상기 회전식 토크 아암의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일단부에 회전하게 결합되며, 상기 구동체인의 초기 긴장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체인과 연결되는 아이들 스프로켓;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식 토크 아암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체인의 장력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식 토크 아암을 회전시키는 아암 회전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체인의 장력 조절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아이들 스프로켓은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회전식 토크 아암의 양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아암 회전모듈은, 일단부가 상기 회전식 토크 아암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식 토크 아암의 회전 축심을 형성하는 아암 회전부재; 일단부가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링크 결합되는 링크부재; 및 양단부가 상기 아암 회전부재와 상기 링크부재에 각각 연결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부재의 일단부가 링크 결합되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단부는 절곡된 절곡 플랜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비틀림 코일 인장스프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체인의 장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적은 힘으로도 장력 조절 길이를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체인의 장력 조절장치가 적용된 침전지의 구조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동체인의 장력 조절장치 영역에 대한 확대도,
도 3은 도 2에서 구동체인의 장력 조절장치의 확대도,
도 4는 도 3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구동체인을 제거한 상태의 도면,
도 6 및 도 7은 각각 도 5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5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체인의 장력 조절장치가 적용된 다른 침전지의 구조도,
도 10은 도 9의 요부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체인의 장력 조절장치가 적용된 침전지의 구조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동체인의 장력 조절장치 영역에 대한 확대도, 도 3은 도 2에서 구동체인의 장력 조절장치의 확대도, 도 4는 도 3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구동체인을 제거한 상태의 도면, 도 6 및 도 7은 각각 도 5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8은 도 5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구동체인의 장력 조절장치(140)는 플라이트 방식의 슬러지 수집기가 설치되는 침전지(C)에 적용되어 구동체인(121)의 장력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구동체인의 장력 조절장치(140)의 설명에 앞서 플라이트 방식의 슬러지 수집기에 대해 먼저 간략하게 알아본다.
플라이트 방식의 슬러지 수집기는 침전지(C) 내의 슬러지를 수집하는 다수의 플라이트(111)와 연결되어 플라이트(111)를 이동시키는 구동체인(121)과, 침전지(C)의 외부에 배치되며, 구동체인(121)이 구동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드라이빙 유닛(131)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개시되어 있는 침전지(C)의 토목 구조물은 1층의 단층 구조를 형성한다.
플라이트(111)는 긴 막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플라이트(111)는 어태치먼트(111a)에 의해 플라이트 체인(113)에 각각 연결된다. 플라이트 체인(113)의 양단부에는 제1 및 제2 스프로켓(125,126)이 마련되며, 제1 스프로켓(125)은 구동체인(121)과 연결된다.
이에, 드라이빙 유닛(131)이 동작되어 구동체인(121)이 회전되면, 구동체인(121)에 의해 제1 스프로켓(125), 플라이트 체인(113) 및 제2 스프로켓(126)이 회전하게 되고, 이를 통해 플라이트(111)가 이동되면서 슬러지를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설비의 초기 설치 시 구동체인(121)의 장력은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구동체인(121)을 통한 플라이트(111)의 동작에 아무런 문제는 없다.
하지만, 장치를 반복해서 장기간 사용하다 보면 구동체인(121)이 느슨하게 이완될 수 있어 장치가 원활하게 동작되기 어렵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침전지(C) 상부에 경사판이 설치되는 2축 슬러지 수집기의 경우, 구동체인(121)이 불가피하게 길게 배치될 수 밖에 없는데, 이러한 구동체인(121)이 이완될 경우에는 구동체인(121)의 초기 긴장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구동체인(121)의 장력을 조절해야 하는데, 종래에는 침전지(C) 내의 하부를 완전히 배수한 후에 구동체인(121)의 장력을 조절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로울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구동체인(121)에 구동체인의 장력 조절장치(140)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종전처럼 침전지(C) 내의 하부를 배수하지 않더라도 구동체인(121)의 장력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겠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구동체인의 장력 조절장치(140)는 구동체인(121)의 장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적은 힘으로도 장력 조절 길이를 배가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구동체인의 장력 조절장치(140)는 단순하지만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일반 산업 분야에서 적용된 바 있는 한단이나 수평식 장력 조절장치에 비해 적은 힘으로도 장력 조절 길이를 배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구동체인의 장력 조절장치(140)는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플레이트(141)와, 고정 플레이트(141)에 대해 이격 배치되며, 해당 위치에서 회전 가능한 회전식 토크 아암(142)과, 회전식 토크 아암(142)의 양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구동체인(121)의 초기 긴장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구동체인(121)과 연결되는 한 쌍의 아이들 스프로켓(143)과, 고정 플레이트(141)와 회전식 토크 아암(142)에 연결되어 구동체인(121)의 장력 정도에 따라 회전식 토크 아암(142)을 회전시키는 아암 회전모듈(150)을 포함한다.
고정 플레이트(141)는 침전지(C)의 벽면에 고정되는 일종의 브래킷이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 플레이트(141)는 대략 삼각형 형상의 브래킷으로 적용되고 있는데, 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될 수 없다.
고정 플레이트(141)에는 볼트가 체결되기 위한 다수의 통공(H)이 형성된다. 고정 플레이트(141)의 일측에는 다른 면에 대해 교차되게 절곡되는 절곡 플랜지(141a)가 형성된다. 절곡 플랜지(141a)에 링크부재(152)의 단부가 링크 결합된다.
회전식 토크 아암(142)은 고정 플레이트(141)에 대해 이격 배치되는 일종의 막대형 부재로서, 한 쌍의 아이들 스프로켓(14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한 쌍의 아이들 스프로켓(143)은 회전식 토크 아암(142)의 양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해당 위치에서 구동체인(121)을 지지한다.
물론, 본 실시예처럼 한 쌍의 아이들 스프로켓(143)이 회전식 토크 아암(142)의 양단부에 각각 하나씩 마려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회전식 토크 아암(142)의 양단부 중 어느 한 쪽에만 하나의 아이들 스프로켓(143)이 적용될 수도 있다.
회전식 토크 아암(142)의 일측 단부에만 아이들 스프로켓(143)이 적용되면 아이들 스프로켓(143)의 이동 동작만큼 구동체인(121)이 당겨지게 되나 본 실시예처럼 한 쌍의 아이들 스프로켓(143)이 적용되면 한 쌍의 아이들 스프로켓(143)이 위치 이동될 때 구동체인(121)이 당겨진 거리가 2배가 되기 때문에 장력 조절 길이를 배가시킬 수 있다.
아암 회전모듈(150)은, 그 일단부가 회전식 토크 아암(142)에 연결되어 회전식 토크 아암(142)의 회전 축심을 형성하는 아암 회전부재(151)와, 일단부가 고정 플레이트(141)에 링크 결합되는 링크부재(152)와, 양단부가 아암 회전부재(151)와 링크부재(152)에 각각 연결되는 탄성부재(153)를 포함한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링크부재(152)의 일단부는 고정 플레이트(141)의 단부에서 절곡 형성된 절곡 플랜지(141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탄성부재(153)는 비틀림 코일 인장스프링(153)으로 적용된다. 탄성부재(153)가 적용되기 때문에 구동체인(121)이 이완될 때마다 자동으로 동작되어 구동체인(121)을 긴장시킬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이중 점선의 위치에서 회전되는 구동체인(121)의 장력이 느슨해져서 초기 긴장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 구동체인(121)의 장력이 느슨해지는 힘만큼 탄성부재(153)가 아암 회전부재(151)를 자동으로 당기게 되어 회전식 토크 아암(142)이 회전된다.
회전식 토크 아암(142)이 회전되면, 그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아이들 스프로켓(143) 역시 회전식 토크 아암(142)의 회전 방향에 맞게 회전되면서 구동체인(121)을 밀거나 당기면서 구동체인(121)의 장력을 조절한다.
예컨대, 한 쌍의 아이들 스프로켓(143)은 초기에 도 2의 P1과 P2에 위치될 수 있는데, 장치의 동작 중 구동체인(121)의 장력의 느슨해지면 탄성부재(153)에 의해 회전식 토크 아암(142)이 회전되면서 한 쌍의 아이들 스프로켓(143)이 도 2의 P3와 P4 위치로 옮겨질 수 있다.
그러면, 구동체인(121)과 연결된 한 쌍의 아이들 스프로켓(143)의 위치만큼 느슨해졌던 구동체인(121)이 당겨지는 효과를 얻기 때문에, 즉 도 2의 이중 점선에서 일점쇄선 방향으로 구동체인(121)이 늘어졌던 만큼이 팽팽하게 당겨지는 효과를 얻기 때문에 구동체인(121)은 초기 긴장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회전되면서 제1 플라이트(111)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이와 같은 구조는 구동체인(121)의 장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적은 힘으로도 아이들 스프로켓(143)을 회전시키면서 장력을 조절할 수 있어 장력 조절 길이를 배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2에서 한 쌍의 아이들 스프로켓(143)이 위치 이동될 때 구동체인(121)이 당겨진 거리가 2배가 되기 때문에 장력 조절 길이를 배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구동체인의 장력 조절장치(140)가 적용되면 침전지(C) 내의 하수를 완전히 배수하지 않더라도 구동체인(121)의 장력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적은 힘으로도 장력 조절 길이를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체인의 장력 조절장치가 적용된 다른 침전지의 구조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요부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구동체인의 장력 조절장치(140)는 도 9 및 도 10과 같은 형태의 침전지(C1)에 적용되어 제1 구동체인(221)의 장력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플라이트 방식의 슬러지 수집기는 침전지(C1) 내의 슬러지를 수집하는 다수의 제1 및 제2 플라이트(211,212)와 연결되어 제1 및 제2 플라이트(211,212)를 각각 이동시키는 제1 및 제2 구동체인(221,222)과, 침전지(C1)의 외부에 배치되며, 제1 및 제2 구동체인(221,222)이 구동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1 및 제2 드라이빙 유닛(231,232)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개시되어 있는 침전지(C1)의 토목 구조물은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2층의 복층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는 부지가 적은 대신에 수처리 용량이 많은 하수처리장에 적용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이처럼 침전지(C1)가 2층의 복층 구조를 이루는 경우, 하부의 1층 영역과 상부의 2층 영역 모두에서 슬러지 처리가 진행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다수의 제1 및 제2 플라이트(211,212)가 배치된다.
제1 플라이트(211)는 하부의 1층 영역에 배치되고, 제2 플라이트(212)는 상부의 2층 영역에 배치되며, 이들은 해당 위치에서 이동되면서 슬러지를 처리한다.
제1 및 제2 플라이트(211,212) 모두는 긴 막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플라이트(211,212) 모두는 제1 및 제2 구동체인(221,222)에 각각 연결되어 제1 및 제2 구동체인(221,222)의 동작 시 이동되면서 슬러지를 처리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구동체인(221,222)은 제1 및 제2 플라이트(211,212)를 이동시키기 위해 제1 및 제2 드라이빙 유닛(231,232)과 각각 연결되어 회전된다. 즉 제1 구동체인(221)은 침전지(C1)의 외부 일측에 배치되는 제1 드라이빙 유닛(231)과 연결되어 회전되면서 제1 플라이트(211)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제2 구동체인(222)은 침전지(C1)의 외부 타측에 배치되는 제2 드라이빙 유닛(232)과 연결되어 회전되면서 제2 플라이트(212)를 이동시킨다.
이때, 제2 플라이트(212)의 경우, 제2 드라이빙 유닛(232)과의 거리가 그리 멀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인 제2 구동체인(222)을 사용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제2 드라이빙 유닛(232)이 동작되면 이에 직결된 제2 구동체인(222)이 회전되면서 제2 플라이트(212)를 정해진 경로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하지만, 제1 플라이트(211)의 경우, 침전지(C1)의 하부 1층 영역에 배치되기 때문에, 이러한 제1 플라이트(211)와 침전지(C1)의 외부 일측에 배치되는 제1 드라이빙 유닛(231)을 제1 구동체인(221)으로 연결하려면 길이가 긴 제1 구동체인(221)을 사용해야 한다.
하지만, 무한정 긴 제1 구동체인(221)을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제1 드라이빙 유닛(231)과 제1 구동체인(221) 사이에 별도의 제1 종동 스프로켓(S1)을 더 배치하고 제1 드라이빙 유닛(231)과 제1 종동 스프로켓(S1)을 더미 구동체인(D/C)으로 연결한 후, 제1 플라이트(211) 측에 연결되는 제2 종동 스프로켓(S2)과 제1 종동 스프로켓(S1)을 전술한 제1 구동체인(221)으로 연결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에, 제1 드라이빙 유닛(231)이 동작되면 더미 구동체인(D/C)을 통해 제1 종동 스프로켓(S1)이 회전되고, 이어 제1 구동체인(221)이 회전되면서 제2 종동 스프로켓(S2)을 통해 제1 플라이트(211)를 정해진 경로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침전지(C1)의 하부 1층 영역에 배치되는 제1 플라이트(211)를 이동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제1 구동체인(221)은 더미 구동체인(D/C)과 연결되어 제1 드라이빙 유닛(231)에 의해 회전되는 형태를 취하기 때문에, 이의 길이는 대략 20m 이상 길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처럼 제1 구동체인(221)의 길이가 길어지면 그만큼 제1 구동체인(221)이 느슨하게 처질 수 있어 장치가 원활하게 동작되기 어렵다.
이처럼 불가피하게 길게 배치되는 제1 구동체인(221)이 이완될 경우에는 제1 구동체인(221)의 초기 긴장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제1 구동체인(221)의 장력을 조절해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구동체인의 장력 조절장치(140)가 적용되어 제1 구동체인(221)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구동체인의 장력 조절장치(140)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의 경우, 구동체인의 장력 조절장치(240)가 제1 구동체인(221)에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동체인의 장력 조절장치(240)는 제2 구동체인(222) 혹은 더미 구동체인(D/C)에 연결되어 해당 체인(212,D/C)의 장력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였지만 본 발명은 턴 버클(Turn-buckle)에 의한 수동의 장력 조절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탄성부재(153)를 적용하여 체인의 장력을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탄성부재(153)를 대신하여 턴 버클(Turn buckle) 장치(160)를 적용하여 수동으로 체인의 장력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즉 상기한 실시예들에 도시된 탄성부재(153)와 링크부재(152)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를 갖고 오른 나사산이 형성된 오른 나사부재(161)와 역시 고리를 갖고 왼 나사산이 형성된 왼 나사부재(162), 그리고 오른 나사부재(161)와 왼 나사부재(162)에 결합 배치되어 상호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부재(163)를 갖는 턴 버클 장치(160)로 변경 설치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체인의 장력이 늘어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오른 나사부재(161)와 왼 나사부재(162)의 간격이 더 이격되도록 하여 아암 회전부재(151)의 동작에 의해 아이들 스프로켓(143)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C : 침전지 111 : 플라이트
111a : 어태치먼트 121 : 구동체인
131 : 드라이빙 유닛 140 : 구동체인의 장력 조절장치
141 : 고정 플레이트 142 : 회전식 토크 아암
143 : 아이들 스프로켓 150 : 아암 회전모듈
151 : 아암 회전부재 152 : 링크부재
153 : 탄성부재

Claims (6)

  1. 침전지 내의 슬러지를 수집하는 다수의 플라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플라이트를 이동시키는 구동체인의 장력을 조절하는 구동체인의 장력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침전지의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대해 이격 배치되며, 해당 위치에서 회전 가능한 회전식 토크 아암;
    상기 회전식 토크 아암의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일단부에 회전하게 결합되며, 상기 구동체인의 초기 긴장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체인과 연결되는 아이들 스프로켓;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식 토크 아암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체인의 장력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식 토크 아암을 회전시키는 아암 회전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아암 회전모듈은,
    일단부가 상기 회전식 토크 아암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식 토크 아암의 회전 축심을 형성하는 아암 회전부재;
    일단부가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링크 결합되는 링크부재; 및
    양단부가 상기 아암 회전부재와 상기 링크부재에 각각 연결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체인의 장력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 스프로켓은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회전식 토크 아암의 양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체인의 장력 조절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의 일단부가 링크 결합되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단부는 절곡된 절곡 플랜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체인의 장력 조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비틀림 코일 인장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체인의 장력 조절장치.
  6. 삭제
KR20130076516A 2013-07-01 2013-07-01 구동체인의 장력 조절장치 KR101490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6516A KR101490367B1 (ko) 2013-07-01 2013-07-01 구동체인의 장력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6516A KR101490367B1 (ko) 2013-07-01 2013-07-01 구동체인의 장력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529A KR20150003529A (ko) 2015-01-09
KR101490367B1 true KR101490367B1 (ko) 2015-02-05

Family

ID=52476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6516A KR101490367B1 (ko) 2013-07-01 2013-07-01 구동체인의 장력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03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72012B (zh) * 2022-12-07 2023-11-07 广州市新之地环保产业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智能张紧调偏功能的非金属链条刮泥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0217U (ja) * 1991-12-10 1993-07-02 エヌティエヌ株式会社 ベルトの張力調整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0217U (ja) * 1991-12-10 1993-07-02 エヌティエヌ株式会社 ベルトの張力調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529A (ko) 2015-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3752B1 (ko) 수처리용 가변형 경사판 침전장치
KR101490367B1 (ko) 구동체인의 장력 조절장치
JP7023705B2 (ja) 汚泥掻寄機
JP6112904B2 (ja) 汚泥掻き寄せ機
CN101575142B (zh) 一种旋转式滗水器
JP2014128751A (ja) 汚泥掻き寄せ装置
KR100767769B1 (ko) 하수 처리조의 침사물 수집 배출 장치
JP6042716B2 (ja) 汚泥掻き寄せ装置
KR101631433B1 (ko) 슬러지 수집기용 장력 조절장치
JP2015174084A (ja) 汚泥掻寄装置
CN103331043A (zh) 可旋转式斜板沉淀装置的驱动装置
KR101582653B1 (ko) 슬러지 수집장치
JP2009297609A (ja) 回転分離装置
KR200474651Y1 (ko) 슬러지 수집기의 기어를 이용한 체인긴장용 테이크업장치
JP2021137781A (ja) 汚泥掻寄機
KR102206214B1 (ko)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
KR200315838Y1 (ko) 부하에 따라 운전이 제어되는 슬러지 수집기
JP2017024010A (ja) 汚泥掻き寄せ装置
KR102033128B1 (ko) 슬러지 수집 장치
KR20180125705A (ko) 구동체인의 장력 자동 조절장치를 구비하는 슬러지 수집기
JP2005224665A (ja) 汚泥掻寄せ機
JP6144637B2 (ja) 自動緊張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汚泥掻寄機
JP5842283B2 (ja) 汚泥かき寄せ装置
JP6349373B2 (ja) 汚泥掻き寄せ装置
SU131175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чистки отстойник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