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6214B1 -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6214B1
KR102206214B1 KR1020200113696A KR20200113696A KR102206214B1 KR 102206214 B1 KR102206214 B1 KR 102206214B1 KR 1020200113696 A KR1020200113696 A KR 1020200113696A KR 20200113696 A KR20200113696 A KR 20200113696A KR 102206214 B1 KR102206214 B1 KR 102206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mmer
rotating plate
scum
connection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3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성덕
Original Assignee
현성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성덕 filed Critical 현성덕
Priority to KR1020200113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62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33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 B01D21/2438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provided with scrapers on the liquid surface for removing floating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4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 B01D21/06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with rotat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0Driving mechanis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구동유닛과 상기 구동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플레이트 및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형성된 연결공에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로드로 구성된 스키머 조작기구 및 외주면의 한쪽에 연결 암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로드의 하단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외주면의 다른 한쪽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부가 형성된 스키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Scum removal device for water treatment}
본 발명은 수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스컴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스컴이 유입되도록 스키머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유닛의 구조 개선을 통해 스컴 제거장치의 제작성 및 유지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정확한 스키머의 조작에 따라 스컴의 제거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공장 등에서 버려지는 하수는 하수처리장으로 보내진 후 처리되고 있다.
하수 처리 과정은 정수 과정과 슬러지 처리 과정을 포함하는데, 정수 과정에서는 하수가 하천의 자정작용이 발동될 수 있는 범위까지 정화된 후 하천과 같은 공공수역으로 방류되고, 슬러지 처리 과정에서는 정수 과정에서 발생하는 슬러지가 농축, 탈수와 같은 과정을 통해 처리된다.
또한, 강물이나 저수지물의 원수를 공급받아 정수하는 상수정수장에서는 침전지를 두어 원수를 유입하여 정치시켜 이물질을 침전시킨 후 모래층을 통과하면서 여과지에서 여과 후 냄새 제거 및 약품 처리하여 살균 후 정수하여 공급한다.
하수처리시설의 정수 과정은 일반적으로 고형 부유물질(나뭇가지, 플라스틱병, 스티로폼 등) 및 고형 침전물질(모래, 자갈, 금속 등)을 제거하는 물리적 정수 과정과, 유기물 등과 같은 용존성 물질을 제거하는 화학/생물학적 정수 과정을 포함한다.
그리고 화학/생물학적 정수 과정에는 이전 단계를 거친 원수에 약품을 투여하여 스컴(scum)을 형성한 다음 스컴 제거장치를 통해 이러한 스컴을 원수로부터 제거하는 과정이 포함된다.
여기서, 스컴이란 하수처리의 마지막 공정에 해당하는 최종침전지 또는 정수장의 침전지에서 슬러지가 가라앉고 부패할 경우, 가스가 발생하면서 물 위로 떠오르는 것이며, 스컴 발생시 빨리 제거하지 않으면 악취가 많이 발생한다.
하수종말처리장 등에 구비된 침전조는 슬러지의 침전을 통한 처리수의 정화가 요구되고, 또한 침전된 슬러지의 수집, 제거, 그리고, 침전조 내 처리수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성 오염물인 스컴의 제거가 요구된다.
부언하며, 침전조는 원수에 포함된 현탁물질(물 속에 분산되어 있는 고형 입자)을 비중차를 이용하여 침강시켜 고체와 액체를 분리하기 위한 조이다.
이때, 현탁물질이라 함은 원수에 포함된 슬러지 또는 오니 등으로 설명할 수 있다.
한편, 스컴 제거장치는 구체적으로 직선형 관의 구조를 가지는 파이프 형태의 스키머와 이러한 스키머를 회전시킬 수 있는 스키머 조작기구를 포함하며, 스키머는 원수가 수용되는 수처리조의 내부에 눕혀진 상태로 원수의 수면 높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이때 스키머의 횡단면은 중심 상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원수에 잠기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스키머의 양측 끝단은 수처리조의 양측 내벽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스키머의 양측 끝단 중심부를 회전중심으로 회전되며, 스키머의 외측둘레에서 수면 위로 노출된 상부에는 수면 위의 스컴을 내부로 유입하기 위한 개구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된다.
한편, 도 1 에서와 같이 종래 스키머(20)를 회전시켜 개구부(22)의 위치를 변경시켜주기 위한 스키머 조작기구는 크게 구동유닛(11)과 로드(12)와 링크(13)로 구성된다.
여기서, 로드(12)는 스키머(2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수처리조의 외부에 장착된 구동유닛(11)과 한쪽이 연결됨에 따라 이러한 구동유닛(11)의 조작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승강되고, 암(21)은 스키머(20)의 외측둘레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링크(13)는 이러한 암(21)과 로드(12)의 다른 한쪽에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구동유닛(11)의 구동에 따라 로드(12)가 직선운동을 하게 되면 링크(13)의 회전운동으로 변환되어 스키머(20)가 회전된다.
스키머(20)는 개구부(22)가 원수에 잠기지 않은 상태에서는 스컴이 개구부(22)로 이동되지 못하며, 도 2 와 같이 구동유닛(11)의 구동에 따라 스키머(20)가 회전되면서 개구부(22)의 일부가 원수에 잠기게 되면 스컴이 개구부(22)를 통해 유입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스키머 조작기구는 로드(12)의 직선운동이 링크(13)와 암(21)을 통해 스키머(20)의 회전운동으로 변환될 때 링크(13)와 암(21) 또는 링크(13)와 로드(12)와의 연결부위에 문제가 발생될 경우, 로드(12)가 변형될 수 있고, 로드(12)가 변형되면 로드(12)의 정확한 직선운동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어 결국 스키머(20)의 회전에 따른 개구부(22)의 개도량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아울러, 구동유닛은 모터와 스프로킷과 체인을 통해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스프로킷과 체인 등의 부품이 비금속 재질로 사용됨에 따라 온도 등에 외부 조건에 의해 쉽게 변형되면서 설계의 어려움 및 작동불량의 원인이 되어 빈번한 수처리 공정의 지연을 초래하게 되며, 전체적으로 유지 관리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하여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습득한 기술을 설명한 것이므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 일반 공중에 공개된 기술이라 할 수 없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30860호(2013.03.28.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스키머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유닛의 구조 개선을 통해 제작성을 향상시키고, 스키머의 조작 효율성을 높여 스컴의 제거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스컴 제거장치의 유지나 관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위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는,
구동유닛과 상기 구동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플레이트 및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형성된 연결공에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로드로 구성된 스키머 조작기구 및
외주면의 한쪽에 연결 암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로드의 하단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외주면의 다른 한쪽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부가 형성된 스키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공은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어느 한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공은 다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중심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이격된 복수의 지점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공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되, 서로 다른 길이로 이격되면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하나의 연결공 유닛이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공 유닛은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중심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이격된 복수의 지점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 로드는 제1연결 로드와 제2연결 로드로 이분되고, 이분된 부위가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연결 로드의 하단과 상기 제2연결 로드의 상단에는 서로 겹쳐져 일치되는 제1체결공 및 제2체결공이 복수개로 형성되고, 서로 일치되는 상기 제1체결공과 제2체결공은 복수의 체결부재로 결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본 발명은 스키머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키머 조작기구의 구성 부품을 단순화시켜 스키머 조작기구의 부품 제작성 및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스키머 조작기구의 유지나 관리를 저렴하면서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스키머의 정확한 조작을 통해 스컴의 제거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이와 같이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의 인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은 종래 스컴 제거장치의 구동유닛과 스키머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 2 는 종래 스컴 제거장치의 구동유닛 구동에 따라 스키머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 3 의 (a),(b)(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스컴 제거장치의 회전 플레이트와 스키머의 다양한 연결상태를 나타낸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스키머에 스컴이 유입되지 않도록 스컴 제거장치의 구동유닛이 작동되어 스키머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스키머에 스컴이 유입되도록 스컴 제거장치의 구동유닛이 작동되어 스키머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스키머에 스컴와 원수가 유입되도록 스컴 제거장치의 구동유닛이 작동되어 스키머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은 도 6 과 같이 스키머가 회전된 상태에서 스키머로 스컴이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스키머 조작기구의 연결 로드가 이분되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내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하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판단되어야 한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는 크게 스컴을 제거해주는 스키머와 이러한 스키머를 조작시키기 위한 스키머 조작기구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구분되는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예시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키머 조작기구(100)는,
후술되는 스키머(200)를 조작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구동유닛(110)과 회전 플레이트(120)와 연결 로드(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 에서와 같이 스키머 조작기구(100)의 구동유닛(110)은 수처리조의 상측 외부에 위치하게 되며, 전원의 공급에 의해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가 될 수 있고, 구동모터의 구동축은 회전 플레이트(120)의 중심과 연결되어 회전 플레이트(1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스키머 조작기구(100)의 회전 플레이트(120)는 구동유닛(110)에 중심이 연결되어 구동유닛(110)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며, 일 예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원판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회전 플레이트(120)의 표면에는 연결 로드(130)와의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공(121a)이 형성된다.
회전 플레이트(120)의 표면에 형성되는 연결공(121a)은 회전 플레이트(120)의 전후면을 관통하는 구멍의 형태가 될 수 있으며, 탭가공을 통해 체결홈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연결공(121a)은 구동유닛(110)의 축과 연결되는 회전 플레이트(120)의 중심에서 외측둘레를 향하여 어느 한 지점에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 로드(130)의 상측이 이러한 연결공(121a)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공(121a)은 다른 실시 예로 회전 플레이트(120)의 표면에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 플레이트(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을 이루면서 회전 플레이트(120)의 중심에서 동일한 길이의 복수 지점에 형성됨에 따라 연결공(121a)에 연결 로드(130)를 설치하는 과정 또는 연결공(121a)에 연결 로드(130)가 설치된 후 작동되는 과정에서 연결공(121a)이 손상될 경우, 손상된 연결공(121a)을 피해 다른 연결공을 이용하여 다시 연결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연결공은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3 에서와 같이 회전 플레이트(120)의 중심에서 서로 다른 거리를 가지는 복수개의 연결공(121a)(121b)(121ac)이 인접하여 하나의 연결공 유닛(121)을 이루어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회전 플레이트(120)의 중심에서 연결공 유닛(121)을 이루고 있는 각각의 연결공(121a)(121b)(121c) 간의 거리가 서로 다르게 구성됨에 따라 연결 로드(130)가 연결되는 연결공(121a)(121b)(121c)의 위치에 따라 스키머(200)의 개구부(220) 상태가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3 의 (a)와 같이 연결공 유닛(121) 중 회전 플레이트(120)의 중심에서 가장 거리가 먼 연결공(121a)에 연결 로드(130)가 고정될 경우, 연결 로드(130)를 통해 연결되는 스키머(200)의 개구부(220) 위치는 수면에서 가장 멀리 이격되고, 도 3 의 (c)와 같이 연결공 유닛(121) 중 회전 플레이트(120)의 중심에서 가장 거리가 가까운 연결공(121c)에 연결 로드(130)가 고정될 경우, 연결 로드(130)를 통해 연결되는 스키머(200)의 개구부(220) 위치는 수면에 가장 가까워지며, 도 3 의 (b)와 같이 연결공 유닛(121) 중 회전 플레이트(120)의 중심에서 가장 거리가 먼 연결공(121a)과 회전 플레이트(120)의 중심에서 가장 거리가 가까운 연결공(121c)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거리의 연결공(121b)에 연결 로드(130)가 고정될 경우, 연결 로드(130)를 통해 연결되는 스키머(200)의 개구부(220) 위치는 수면에서 가장 멀리 이격되는 상태와 수면에서 가장 가깝게 이격되는 상태의 중간 정도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스키머 조작기구(100)와 스키머(200)가 다양한 형태의 수처리조에 설치될 때, 해당 수처리조의 수위를 감안하여 연결 로드(130)를 회전 플레이트(120)의 연결공 유닛(121)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연결시킴으로써, 상황에 따라 스키머(200)의 개구부(220)와 수위의 간격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어 스키머(200)의 설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회전 플레이트(120)에 형성되는 연결공 유닛(121)은 회전 플레이트(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을 이루면서 복수개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연결공 유닛(121)을 복수로 구성하게 되면 한쪽에 위치한 연결공 유닛(121)이 손상되거나 사용이 불가능해질 경우, 회전 플레이트(120)를 교체할 필요 없이 다른 한쪽에 위치한 연결공 유닛을 사용할 수 있어 회전 플레이트(120)의 유지 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는 것이다.
연결 로드(130)는,
도 4 와 같이 직선형 바의 형태를 가지면서 회전 플레이트(120)와 스키머(200)를 연결시켜주며, 회전 플레이트(120)의 회전력을 스키머(200)에 전달하여 스키머(20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해준다.
연결 로드(130)는 상측이 회전 플레이트(120)의 연결공(121a)에 연결되는데, 연결 로드(130)의 상측 중심공과 연결공(121a)을 핀으로 관통시켜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으며, 연결 로드(130)의 상측 중심공에 베어링을 설치한 상태에서 베어링의 중심과 연결공(121a)을 핀으로 관통시켜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킬 수도 있다.
연결 로드(130)는 하측이 스키머(200)의 외측둘레에 돌출되어 형성된 연결 암(210)과 연결되며, 연결 로드(130)의 하측 중심공과 연결 암(210)의 단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핀으로 관통시켜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으며, 연결 로드(130)의 하측 중심공과 연결 암(210)의 관통공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베어링이 설치되고, 이러한 베어링을 통해 핀으로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연결 로드(130)는 다른 실시 예로 도 8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중간 부분을 이분하여 서로 분리되는 제1연결 로드(130a)와 제2연결 로드(130b)로 구성하고, 이분된 제1연결 로드(130a)와 제2연결 로드(130b)는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제1연결 로드(130a)의 하단에는 제1체결공(131a)이 적어도 4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되고, 제2연결 로드(130b)의 상단에는 적어도 2개의 제2체결공(131b)이 형성됨으로써, 제1연결 로드(130a)와 제2연결 로드(130b)를 연결시킬 때, 제1연결 로드(130a)의 하단에 제2연결 로드(130b)의 상단이 겹쳐지도록 한 상태에서 연결 로드(13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하고, 조절된 상태에서 일치되는 제1체결공(131a)과 제2체결공(131b)에 볼트와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체결하면 연결 로드(130)를 다양한 길이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제1연결 로드(130a)에 고정된 제2연결 로드(130b)가 회전되지 않도록 체결부재는 복수개로 구비하여 복수의 지점에 체결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스키머(200)는,
전술한 스키머 조작기구(100)의 조작을 통해 회전 작동을 하면서 스컴을 유입시켜 제거하는 장치이다.
스키머(200)는 양측 끝단이 수처리조의 양측 내벽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스키머(200)의 외측둘레에서 수면 위로 노출된 상부에는 수면 위의 스컴을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개구부(220)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스키머(200)는 외측둘레에는 스키머(200)의 축중심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면서 돌출되는 연결 암(210)이 형성되며, 이러한 연결 암(210)의 단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 로드(130)의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도면으로 예시하지는 않았지만, 연결 암(210)의 다른 실시 예로 연결 암(210)의 단부는 스키머(200)의 외측둘레를 향하는 동일 선상 내지 서로 다른 선상에 복수개의 관통공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하고 연결 로드(130) 하측이 연결 암(210)의 단부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관통공에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연결되는 형태에 따라 연결 로드(130)의 승강에 따른 스키머(200)의 회전 각도를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의 사용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스키머 조작기구(100)의 구동유닛(110)과 연결된 회전 플레이트(120)와 스키머(200)의 연결 암(210)이 연결 로드(130)의 양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도 4 와 같이 스키머(200)가 대기 상태일 경우, 회전 플레이트(120)의 연결공(121a)에 연결된 연결 로드(130)의 상단이 회전 플레이트(120)의 하사점에 위치됨에 따라 스키머(200)의 개구부(220)는 수면으로부터 충분히 멀어지는 상태가 되어 개구부(220)로 원수 및 스컴은 유입되지 않는다.
그리고 스컴이 발생되어 이를 제거할 경우에는 도 6 과 같이 구동유닛(110)을 구동시켜 회전 플레이트(120)의 연결공(121a)에 연결된 연결 로드(130)의 상단을 회전 플레이트(120)의 상사점에 위치되도록 하면 연결 로드(130)의 하단에 연결된 연결 암(210)이 상측으로 회전되면서 스키머(200)가 함께 회전되고, 스키머(200)의 개구부(220)는 수면속으로 일부분이 잠기게 되며, 도 7 과 같이 스컴 이동부재의 이동에 따라 스컴이 개구부(220)로 이동되어 제거될 수 있으며, 이때 원수의 일부도 개구부(220)를 통해 이동된다.
한편, 스키머(200)의 개구부(220)를 통해 스컴을 유입시키는 과정에서 원수의 유입을 최소화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도 5 와 같이 구동유닛(110)을 구동시켜 회전 플레이트(120)의 연결공(121a)에 연결된 연결 로드(130)의 상단을 회전 플레이트(120)의 상사점과 하사점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면 스키머(200)의 개구부(220)가 수면에 잠기지 않는 상태가 됨에 따라 스컴은 유입되면서 원수의 유입은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은 스키머 조작기구(100)의 구성을 단순화시켜 스컴 제거장치의 제작은 물론 유지 및 관리를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고, 스키머(200)에 형성된 개구부(220)의 개폐각도를 다양한 형태로 간편하게 조절할 수도 있어 스컴의 제거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을 하였으나, 기재된 내용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기재된 내용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질 필요는 없으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스키머 조작기구 110 : 구동유닛
120 : 회전 플레이트 120 : 연결공 유닛
121a,121b,121c : 연결공 130 : 연결 로드
130a : 제1연결 로드 130b : 제2연결 로드
131a : 제1체결공 131b : 제2체결공
200 : 스키머 210 : 연결 암
220 : 개구부

Claims (7)

  1. 구동유닛(110)과 상기 구동유닛(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플레이트(120) 및 상기 회전 플레이트(120)에 형성된 연결공(121a)(121b)(121c)에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로드(130)로 구성된 스키머 조작기구(100); 및
    외주면의 한쪽에 연결 암(210)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연결 로드(130)의 하단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외주면의 다른 한쪽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부(220)가 형성된 스키머(20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공(121a)(121b)(121c)은 상기 회전 플레이트(120)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어느 한 지점에 형성되되, 서로 다른 길이로 이격되면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하나의 연결공 유닛(121)으로 형성된 것인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공(121a)(121b)(121c)은,
    다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 플레이트(12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이격된 복수의 지점에 각각 형성된 것인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공 유닛(121)은 상기 회전 플레이트(12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이격된 복수의 지점에 각각 형성된 것인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로드(130)는,
    제1연결 로드(130a)와 제2연결 로드(130b)로 이분되고, 이분된 부위가 서로 결합되는 것인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 로드(130a)의 하단과 상기 제2연결 로드(130b)의 상단에는 서로 겹쳐져 일치되는 제1체결공(131a) 및 제2체결공(131b)이 복수개로 형성되고, 서로 일치되는 상기 제1체결공과 제2체결공은 복수의 체결부재로 결합되는 것인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
KR1020200113696A 2020-09-07 2020-09-07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 KR102206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696A KR102206214B1 (ko) 2020-09-07 2020-09-07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696A KR102206214B1 (ko) 2020-09-07 2020-09-07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6214B1 true KR102206214B1 (ko) 2021-01-21

Family

ID=74237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3696A KR102206214B1 (ko) 2020-09-07 2020-09-07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62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80164A (zh) * 2021-11-08 2022-01-04 安徽昌硕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化工无机废水零排放处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6819A (ja) * 2000-03-31 2001-10-09 Mitsuhiro Fujiwara スカム除去装置
KR200420116Y1 (ko) * 2006-04-03 2006-06-28 보성환경산업(주) 협잡물 종합 처리장치
KR20110103638A (ko) * 2010-03-15 2011-09-21 박명화 트랙터용 체크체인
KR20130030860A (ko) 2011-09-20 2013-03-28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스컴 제거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6819A (ja) * 2000-03-31 2001-10-09 Mitsuhiro Fujiwara スカム除去装置
KR200420116Y1 (ko) * 2006-04-03 2006-06-28 보성환경산업(주) 협잡물 종합 처리장치
KR20110103638A (ko) * 2010-03-15 2011-09-21 박명화 트랙터용 체크체인
KR20130030860A (ko) 2011-09-20 2013-03-28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스컴 제거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80164A (zh) * 2021-11-08 2022-01-04 安徽昌硕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化工无机废水零排放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0946B1 (ko) 고도처리형 원형 침전지
SE467923B (sv) Anlaeggning och foerfarande foer rening av avlppsvatten
KR100860290B1 (ko) 침전지의 원형 슬러지 제거설비
KR102206214B1 (ko)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
KR100685319B1 (ko) 연속회분식 수처리 설비용 처리수 배출장치 및 이를 통한 하수처리방법
CN102743903A (zh) 一种用于污泥浓缩池的刮泥机
KR100850162B1 (ko) 하수처리조의 부유물 처리장치
CN208440458U (zh) 一种自动清理的膜生物反应器
KR100533523B1 (ko) 스컴 제거용 버퍼를 구비한 침전조
KR101028035B1 (ko) 하수종말처리시스템
CN110723794A (zh) 一种城市污水深度处理系统
KR101783292B1 (ko) 하수 처리 장치
KR100676085B1 (ko) 스컴 스키머 제어수단이 구비된 비금속 체인 구동방식 슬러지 수집기
KR101552506B1 (ko) 미생물 슬러지 농축장치
KR200427383Y1 (ko) 침전지의 이끼발생억제장치
CN207980530U (zh) 一种污水处理淤泥清理装置
JP2007152287A (ja) スカムスキマー及び沈殿槽
KR100684964B1 (ko) 하수처리용 침전지의 정류벽
KR20090003855A (ko) 폐수 처리용 전기 반응조
KR200350419Y1 (ko) 슬러지수집기의 부유물 배출장치
KR100472600B1 (ko) 임펠러형 표면세척장치를 구비한 원통형 여과시스템
CN110104746A (zh) 一种用于污水处理的高效型竖流式沉淀池
KR102363866B1 (ko) 응집침전조
CN214360846U (zh) 一种生物质气化洗焦废水处理装置
KR100959583B1 (ko) 회전세척이 가능한 침전판 및 침전관으로 구성된 침전모듈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