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0131B1 - 교정기의 상부 롤 유지 장치 - Google Patents

교정기의 상부 롤 유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0131B1
KR101490131B1 KR20130056345A KR20130056345A KR101490131B1 KR 101490131 B1 KR101490131 B1 KR 101490131B1 KR 20130056345 A KR20130056345 A KR 20130056345A KR 20130056345 A KR20130056345 A KR 20130056345A KR 101490131 B1 KR101490131 B1 KR 101490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calibrator
upper roll
roll
hydrau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6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6175A (ko
Inventor
김영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30056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0131B1/ko
Publication of KR20140136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6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0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0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02Rolling stand frames or housings; Roll mountings ; Roll ch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8/00Maintaining rolls or rolling equipment in effective condition
    • B21B28/02Maintaining rolls in effective condition, e.g. recond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16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3/00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mbination with rolling mills or rolling methods
    • B21B2203/18Rolls or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aightening Metal Sheet-Like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정기의 상부 롤을 리프팅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교정기의 각 모서리 측면에 배치되며, 교정기를 향하여 수평 홈이 형성된 복수 개의 수직 보; 수직 보의 수평 홈에 각각 삽입되어, 교정기의 상부 롤을 안착시키는 복수 개의 수평 핀; 및 수직 보의 수평 홈에 각각 삽입되어, 수평 핀을 전후 이동시키는 실린더부를 포함하되, 실린더부가 인장되어 수평 핀을 밀어내는 경우에는 수직 보의 수평 홈으로부터 일측이 외부로 돌출되어 교정기의 상부 롤을 안착시키며, 실린더부가 수축되어 수평 핀이 수직 보의 수평 홈 내부로 함몰되어 교정기의 상부 롤을 지지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정기의 상부 롤 유지 장치{APPARATUS FOR HOLDING UPPER ROLL OF LEVELLER}
본 발명은 교정기의 상부 롤을 유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작업자가 교정기 롤에 발생하는 스크레치를 점검하기 위해, 교정기의 상부 롤을 리프팅하고 고정하도록 하는 교정기의 상부 롤 유지 장치에 관한 기술 분야이다.
제철소에는 압연 공정이 수반되는데, 압연 가공으로 생산된 강판 압연 제품의 형상을 평탄하게 하기 위하여 교정기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교정기는 상부 및 하부 롤의 표면에 스크레치가 발생하면, 압연 제품의 형상의 평탄도가 떨어지며 이에 최종 생산 제품의 품질을 떨어트리는 문제를 발생시키게 된다.
교정기의 상부 및 하부 롤의 표면에 발생하는 스크레치는 보수가 필요하게 되는데, 롤의 스크레치 보수는 통상적으로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도 1은 교정기의 상부 롤을 유지하기 위한 종래의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교정기의 상부 롤을 리프팅하여 유지한 후, 교정기의 하부 롤의 표면에 발생한 스크레치를 작업자가 점검하는 것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정기의 하부 롤(2)에 발생한 스크레치(7)는 작업자(6)가 상부 롤과 하부 롤 사이에 들어가서 작업하기 위해서는, 상부 롤을 리프팅한 후에 리프팅한 상부 롤을 떠받힌 후에 작업자의 작업이 진행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롤을 리프팅한 후에 상부 롤과 하부 롤 사이에는 소정의 받침대(지지대)를 끼워서 상부 롤을 유지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받침대를 끼우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바 작업 현장에서의 많은 애로 사항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애로 사항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로는 "압연 제품 교정기의 교정롤 교체 장치(출원 번호 제10-2007-0065361호, 이하 종래기술1)"가 있는데, 종래기술1은 압연 제품 교정기의 일측에 설치되어 교정기의 교정롤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는 교정롤 교체장치로서, 교정기의 상하로 이동되는 상하이동수단; 상하이동수단과 연계되되, 그 상부에 교정롤과 연결되는 샤프트가 안착되는 안착수단이 형성된 받침부를 구성으로 하여, 교정기의 교정롤 교체작업시 교정롤의 커플링의 중심과 샤프트의 유니버셜 조인트의 중심을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확하고 빠르게 교정롤의 교체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종래기술1의 경우, 하부 롤의 측부에 위치되는 수직실린더(31)를 현실적으로 하부 롤의 측부에 설치하기 힘든 문제점이 존재하였으며, 안내 돌기(23) 설치시 그 내구성에 따라 안정성이 우려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단순하면서도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간단히 교정기의 상부 롤을 유지 및 지탱할 수 있는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교정기의 상부 롤 유지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가진다.
첫째, 간단하면서도 안전하게 상부 롤을 유지 및 지탱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작업자의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지탱되고 있는 상부 롤을 고정하도록 하는 안전 장치가 구비된 발명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정기의 상부 롤 유지 장치는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교정기의 상부 롤 유지 장치는 교정기의 상부 롤을 형성하는, 상부 블럭을 리프팅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상부 블럭의 각 모서리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블럭을 향하여 수평 홈이 형성된 복수 개의 수직 보; 상기 수직 보의 수평 홈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상부 블럭을 안착시키는 복수 개의 수평 핀; 및 상기 수직 보의 수평 홈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수평 핀을 전후 이동시키는 실린더부를 포함하되, 상기 실린더부가 인장되어 상기 수평 핀을 밀어내는 경우에는 상기 수직 보의 수평 홈으로부터 일측이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 블럭을 안착시키며, 상기 실린더부가 수축되어 상기 수평 핀이 상기 수직 보의 수평 홈 내부로 함몰되어 상기 상부 블럭을 지지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정기의 상부 롤 유지 장치는 상기 실린더부에 연결되는 유압 파이프; 상기 유압 파이프에 유압을 인가하는 유압 펌프; 및 상기 유압 펌프를 제어하여, 상기 실린더부를 수축 또는 인장시키도록 하는 유압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정기의 상부 롤 유지 장치는 상기 수직 보의 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교정기의 상부 롤의 하부에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유압 제어부는, 상기 동작 감지 센서로부터 동작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교정기의 상부 롤의 하부에서 작업자의 동작이 있는 것이 감지하면, 상기 실린더부를 인장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교정기의 상부 롤 유지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수평 핀의 체결로 상부 롤을 간단히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둘째, 동작 감지 센서를 통해 수평 핀을 돌출된 상태로 고정된 상태로 유지시키는바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교정기의 상부 롤을 유지하기 위한 종래의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교정기의 상부 롤을 리프팅하여 유지한 후, 교정기의 하부 롤의 표면에 발생한 스크레치를 작업자가 점검하는 것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정기의 상부 롤 유지 장치를 설치한 후, 작업자가 롤의 스크레치를 보수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정기의 상부 롤 유지 장치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정기의 상부 롤 유지 장치가 설치된 후 대차가 인입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정기의 상부 롤 유지 장치가 설치되며, 대차가 인입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교정기 상부 롤이 대차를 통해 인출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정기의 상부 롤 유지 장치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정기의 상부 롤 유지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정기의 상부 롤 유지 장치를 설치한 후, 작업자가 롤의 스크레치를 보수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정기의 상부 롤 유지 장치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정기의 상부 롤 유지 장치가 설치된 후 대차가 인입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정기의 상부 롤 유지 장치가 설치되며, 대차가 인입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교정기 상부 롤이 대차를 통해 인출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정기의 상부 롤 유지 장치는 수직 보(9); 수평 핀(107); 및 실린더부(114)를 포함한다.
먼저, 수직 보(9)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lifting)하고자 하는 교정기의 상부 롤(3)의 각 모서리의 측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상부 롤(3)들은 상부 블럭(112)에 형성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바, 상부 롤(3)을 리프팅하는 것은 상부 블럭(112)을 리프팅함으로써 수행된다.
수직 보(9)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 즉, 네 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평 홈(108)에 수평 핀(107)을 삽입하여, 수평 핀(107)이 상부 롤(3)을 지탱하는 지재 보 역할을 한다.
수직 보(9)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단면이 사각형인 사각 기둥의 형상일 수 있으며, 종래기술1(출원 번호 제10-2007-0065361호)의 도 2 등에 도시된 안내부재(60)과 같이 형상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수직 보(9)의 재질과 소재에는 제한이 없으나, 복수 개의 상부 롤(3)을 지탱해야하는바 견고한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5와 같이, 수직 보(9)에는 수평 홈(108)이 형성되며, 수평 홈(108)은 교정기의 상부 블럭(112)을 향하고 있으며, 각 수직 보(9)에는 하나씩 수평 홈(108)이 형성될 수 있다.
수평 핀(107)은 상술한 수평 홈(108)에 각각 삽입되며, 수평 핀(107)이 수평 홈(108)으로부터 돌출되는 경우에는 상부 블럭(112)을 안착시키게 되는바(도 4 참조) 이에 따라 상부 롤(3)은 하부 롤(11)로부터 리프팅된 거리 이상으로 이격될 수 있다.
수평 핀(107)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막대 형상일 수 있으며, 그 소재의 제한은 없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수편 핀(107)은 상부 롤(3)을 포함하는 상부 블럭(112)의 하중을 버틸 수 있어야 한다.
수평 핀(107)은 각 수평 홈(108)마다 하나씩 배치되며, 후술할 실린더부(114)에 의해 전후 이동하면서 수평 홈(108)으로부터 돌출되거나 함몰될 수도 있다.
실린더부(114)는 수직 보(9)의 각 수평 홈(108)에 삽입되며, 실린더부(114)의 후면은 도 4 및 5와 같이 커버(104)로 밀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104)는 볼트(111)등에 의해 실린더부(114)의 후면을 밀봉하되, 실린더부(114)에 동력을 제공할 유압 파이프(105)가 관통할 개구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린더부(114)는 수평 핀(108)을 전후 이동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린더부(114)가 인장되는 경우, 수평 핀(108)을 밀어내게 되어, 수평 핀(108)이 수평 홈(108)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돌출된 수평 핀(108) 상에 상부 블럭(112)가 안착(도 4 참조)하게 된다.
반면, 실린더부(114)가 수축되는 경우, 수평 핀(108)이 수직 보(9)의 수평 홈(108) 내부로 함몰되어, 상부 블럭(112)을 지지하지 않게 된다.
이후, 상부 블럭(112)은 도 6의 대차(4)와 같은 구성을 이용하여, 교정기로부터 철수(도 7 참조)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정기의 상부 롤 유지 장치는 유압 파이프(105); 유압 펌프(102); 및 유압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압 파이프(10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부(114)에 연결되어, 실린더부(114)의 구동력 즉, 실린더부(114)가 인장 또는 수축되도록 한다.
유압 펌프(102)는 유압 파이프(105)와 연결되어 유압 파이프(105)에 유압을 인가한다. 즉, 유압 파이프(105)로 고압의 오일을 송출하는 구성이다.
유압 파이프(105)와 유압 펌프(102)는 통상의 유압 파이프 및 유압 펌프이면 족하나, 유압 펌프(102)의 경우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데이터 통신을 통하여 제어가 가능한 전자식 펌프임이 바람직하다.
유압 제어부는 유압 펌프(102)를 제어하여, 실린더부(114)를 수축 또는 인장시키도록 하게 된다. 즉, 유압 제어부는 유압 펌프를 조절하여, 유압 펌프(102)가 고압의 오일을 송출할지 또는 반대로 작동할지 여부를 제어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교정기의 상부 롤 유지 장치는 동작 감지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동작 감지 센서는 수직 보(9)의 측면에 부착되어, 교정기의 상부 롤과 하부 롤 사이의 동작 즉, 작업자의 동작 유무를 감지하게 된다.
이후, 유압 제어부는 동작 감지 센서로부터 동작 감지 정보를 수신하여, 교정기의 상부 롤의 하부에서 작업자의 동작이 감지되면, 실린더부(114)가 인장된 상태를 유지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열간 교정기 본체
2: 교정 롤
3: 상부 롤
4: 대차
5: 지지대
6: 작업자
7: 스크레치
8: 상부 실린더
9: 수직 보
10: 상부 스탠드
11: 하부 롤
12: 커플링
101: 유압 탱크
102: 유압 펌프
103: 모터
104: 커버
105: 유압 파이프
106: 제어 밸브
107: 수평 핀
108: 수평 홈
109: 커버 홈
110: 조립 홈
111: 볼트
112: 상부 블럭
113: 블록 홈
114: 실린더부
115: 실린더 홈

Claims (3)

  1. 삭제
  2. 교정기의 상부 롤을 형성하는, 상부 블럭을 리프팅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블럭의 각 모서리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블럭을 향하여 수평 홈이 형성된 복수 개의 수직 보;
    상기 수직 보의 수평 홈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상부 블럭을 안착시키는 복수 개의 수평 핀; 및
    상기 수직 보의 수평 홈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수평 핀을 전후 이동시키는 실린더부를 포함하되,
    상기 실린더부가 인장되어 상기 수평 핀을 밀어내는 경우에는 상기 수직 보의 수평 홈으로부터 일측이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 블럭을 안착시키고,
    상기 실린더부가 수축되어 상기 수평 핀이 상기 수직 보의 수평 홈 내부로 함몰되는 경우에는 상기 상부 블럭을 지지하지 않으며,
    상기 장치는,
    상기 실린더부에 연결되는 유압 파이프;
    상기 유압 파이프에 유압을 인가하는 유압 펌프; 및
    상기 유압 펌프를 제어하여, 상기 실린더부를 수축 또는 인장시키도록 하는 유압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기의 상부 롤 유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수직 보의 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교정기의 상부 롤의 하부에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유압 제어부는,
    상기 동작 감지 센서로부터 동작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교정기의 상부 롤의 하부에서 작업자의 동작이 있는 것이 감지하면, 상기 실린더부를 인장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기의 상부 롤 유지 장치.
KR20130056345A 2013-05-20 2013-05-20 교정기의 상부 롤 유지 장치 KR101490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6345A KR101490131B1 (ko) 2013-05-20 2013-05-20 교정기의 상부 롤 유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6345A KR101490131B1 (ko) 2013-05-20 2013-05-20 교정기의 상부 롤 유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175A KR20140136175A (ko) 2014-11-28
KR101490131B1 true KR101490131B1 (ko) 2015-02-05

Family

ID=52456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6345A KR101490131B1 (ko) 2013-05-20 2013-05-20 교정기의 상부 롤 유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013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505U (ko) * 1999-06-11 2001-01-05 이구택 조질압연 롤의 자동 정비장치
KR100502828B1 (ko) * 2000-12-28 2005-07-25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표면코팅용 링거롤의 교환장치
KR200447177Y1 (ko) 2007-11-23 2009-12-31 현대제철 주식회사 롤러스탠드 감시장치
KR20110097523A (ko) * 2010-02-25 2011-08-31 현대제철 주식회사 자기력을 이용한 강판 압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505U (ko) * 1999-06-11 2001-01-05 이구택 조질압연 롤의 자동 정비장치
KR100502828B1 (ko) * 2000-12-28 2005-07-25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표면코팅용 링거롤의 교환장치
KR200447177Y1 (ko) 2007-11-23 2009-12-31 현대제철 주식회사 롤러스탠드 감시장치
KR20110097523A (ko) * 2010-02-25 2011-08-31 현대제철 주식회사 자기력을 이용한 강판 압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175A (ko) 2014-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34290B (zh) 压弯机
CN203918307U (zh) 定位压紧焊接设备及组焊工作台
US2559250A (en) Automotive body and frame straightening apparatus
KR20110129368A (ko) H형 빌트업 형강재 취부장치
CN201744811U (zh) 纵梁组装工装
CN106536129A (zh) 用于摩擦搅拌焊接的浮动夹具
CN103394932B (zh) H型、箱型构件及十字柱端铣固定夹具
CN104458314A (zh) 一种地铁屏蔽门加载试验装置
KR101490131B1 (ko) 교정기의 상부 롤 유지 장치
WO2023124330A1 (zh) 设备维护装置及方法
EP3088127A1 (en) Welding structure of vacuum valve with an internal weld seam and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CN108458165A (zh) 主管道安装调整装置
JP2013180339A (ja) プレスブレーキおよびワークの曲げ加工方法
US9561553B2 (en) Transportable horizontal bandsaw assembly
CN105643171B (zh) 基于储罐夹具的拼装方法
JP4461051B2 (ja) 圧延機の下水平ロールの零点調整方法
CN106345859A (zh) 一种板材滚动式送料折弯工作台
CN106540995A (zh) 一种铁路货车棚车车门调修装置
CN202542092U (zh) 一种辊子码放架
CN102672670B (zh) 一种供机械检修用的拉马
CN202936884U (zh) 一种可滑动的工业通廊支撑结构
KR200470262Y1 (ko) 하중인가 시험 장치
CN206382363U (zh) 一种铁路货车棚车车门调修装置
JP2007083935A (ja) 大型コンクリート型枠移動用台車
KR101014386B1 (ko) 탱크 제작용 자동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