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9631B1 - 티백차 판매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티백차 판매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9631B1
KR101489631B1 KR20080068201A KR20080068201A KR101489631B1 KR 101489631 B1 KR101489631 B1 KR 101489631B1 KR 20080068201 A KR20080068201 A KR 20080068201A KR 20080068201 A KR20080068201 A KR 20080068201A KR 101489631 B1 KR101489631 B1 KR 101489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water
tea
vending machine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68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7539A (ko
Inventor
김백비
Original Assignee
김백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백비 filed Critical 김백비
Priority to KR20080068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9631B1/ko
Publication of KR20100007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9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9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와 컵을 비치해 두고 조건에 따라 차와 컵 및 물을 제공하는 티백차 판매기에 관한 것으로서, 차 및 컵을 제조하는 과정 및 보관하는 과정 중에 먼지와 같은 오염원이 포함되더라도 오염원을 제거한 위생적인 상태로 차를 마실 수 있게 구성한 티백차 판매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티백차 판매기는, 일측에는 컵배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물공급원과, 차의 내용물이 담긴 다수 개의 컵들이 수납된 컵수납부와, 물공급원과 컵배출구를 연결하는 호스와, 호스를 개폐하는 밸브가 구비되어 있는 본체 케이스; 사용자가 차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케이스에 구비되는 차선택버튼; 물의 재공급을 위하여 상기 본체 케이스에 구비되는 재급수버튼; 상기 차선택버튼이 눌러지면 디스펜서를 제어하여 상기 컵배출구로 컵을 배출한 후 상기 밸브를 제어하여 물공급원의 물을 컵으로 공급하고, 상기 재급수버튼이 눌러지면 상기 밸브를 제어하여 물공급원의 물을 컵으로 재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티백차 판매기, 컵, 헹굼, 컵배출구, 집수조, 차, 내용물

Description

티백차 판매기 및 그 제어방법{Automatic Tea Bag Vending Machine and Its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차와 컵을 비치해 두고 조건에 따라 차와 컵 및 물을 제공하는 티백차 판매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 및 컵을 제조하는 과정 및 보관하는 과정 중에 먼지와 같은 오염원이 포함되더라도 오염원을 제거한 위생적인 상태로 차를 마실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무인판매기란 소비자가 소정 금액을 투입하고 상품을 선택하면 내부에 저장된 상품들 중에서 선택된 상품을 배출하여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장치를 일컫는다. 관리자가 무인판매기를 주기적으로 관리함에 따라, 소비자는 시간에 구애 없이 언제든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무인판매기의 편리한 장점 때문에 무인판매기를 이용하여 판매하는 상품들이 더욱 많아지고 있다.
본 발명은 차 및 컵을 제조하는 과정 또는 보관하는 과정 중에 먼지와 같은 오염원이 포함될 경우에, 오염원이 포함된 상태의 컵 내부로 물이 공급되면 소비자는 차와 함께 오염원을 마시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배출된 컵에 담긴 물은 일차적으로 컵을 헹궈 버리고 이후에 별도의 물을 공급하여 차를 우려내 마실 수 있게 구성한 티백차 판매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티백차 판매기는, 일측에는 컵배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물공급원과, 차의 내용물이 담긴 다수 개의 컵들이 수납된 컵수납부와, 물공급원과 컵배출구를 연결하는 호스와, 호스를 개폐하는 밸브가 구비되어 있는 본체 케이스; 사용자가 차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케이스에 구비되는 차선택버튼; 물의 재공급을 위하여 상기 본체 케이스에 구비되는 재급수버튼; 상기 차선택버튼이 눌러지면 디스펜서를 제어하여 상기 컵배출구로 컵을 배출한 후 상기 밸브를 제어하여 물공급원의 물을 컵으로 공급하고, 상기 재급수버튼이 눌러지면 상기 밸브를 제어하여 물공급원의 물을 컵으로 재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용물은 티백지에 감싸여 상기 컵의 바닥에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호스에는 상기 집수조에서 배수된 물을 가열하거나 냉각하는 온도조절부가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재급수버튼은 냉수버튼과 온수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냉수버튼에서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온도조절부는 배수된 물을 냉각하고, 상기 온수버튼에서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온도조절부는 배수된 물을 가열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재급수버튼은 얼음버튼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는 얼음저장부가 장착되고, 상기 얼음저장부에 저장된 얼음이 상기 컵배출구로 이송 가능한 관이 설치되며, 상기 얼음버튼에서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얼음은 상기 얼음저장부에서 상기 컵배출구로 이송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티백차 판매기 제어방법은 마시고자 하는 차의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와, 선택한 차의 내용물이 담긴 컵을 컵배출구로 배출하는 단계와, 상기 배출된 컵에 1차로 물을 공급하는 단계와, 1차 공급된 물로 컵을 헹궈 버린 후 컵을 배출구에 위치하는 단계와, 물의 재공급에 대한 정보의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와, 물의 재공급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컵으로 물을 재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에서는, 온수 또는 냉수를 공급받을 것인지는 선택한 후 해당하는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물의 재공급은 3회 이하로 한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물을 재공급하는 단계 이후에, 소비자가 얼음 공급의 신호를 입력하면 얼음을 컵배출구에 위치한 컵의 내부로 공 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티백차 판매기 및 제어방법에 따른 효과는, 컵에 담겨진 상태로 배출되는 물은 일차적으로 컵을 헹궈 버리고 이후에 별도의 물을 공급받아 차를 우려낼 수 있어 차 및 컵 내부에 존재할 수 있는 오염원을 헹궈 버릴 수 있어 위생적이다. 또한 일차 세척한 컵에 차를 우릴 수 있는 물을 다수 회 제공받아 마실 수 있어 컵의 재활용 및 원하는 만큼의 차를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티백차 판매기 및 그 제어방법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티백차 판매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티백차 판매기의 도어를 개방한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컵수납부에 수납된 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티백차 판매기의 개념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티백차 판매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티백차 판매기(100)에 있어서, 본체 케이스(110)의 도어(111) 정면에는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113)와, 입력부(113)의 아래에는 컵을 배출하는 컵배출구(120)가 형성된다. 그리고 티백차 판매기(100)의 용도에 따라 화폐투입구(123)가 형성되거나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화폐투입구(123)에 대해서는 차후에 간략하게 설명한다.
상기 입력부(113)는 다수 개의 버튼으로 이루어지는데, 소비자가 기호에 따라 차의 종류를 선택하는 차선택버튼(115)과, 물을 재공급하는 재급수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재급수버튼은 구체적으로 소비자가 따뜻한 차 또는 시원한 차를 원함에 따라 선택하는 냉수버튼(117)과 온수버튼(119)으로 구분된다.
한편, 본체 케이스(110)의 도어(111)를 개방하면 본체 케이스(110)의 내부가 노출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110)의 안쪽에는 상부에 집수조(130)가 위치하고, 집수조(130)에서 연장된 제1 호스(131)는 펠티에소자가 내장된 온도조절부(160)로 연장되고, 제1 호스(131)에는 솔레노이드 밸브(135)가 장착되어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한다. 또한 온도조절부(160)에서 연장된 제2 호스(132)는 컵배출구(120) 쪽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솔레노이드 밸브(135)가 개방되면 집수조(130)에 저장된 물이 제1 호스(131)를 통해 배출되며, 배출된 물은 온도조절부(160)에서 가열 또는 냉각된 상태로 제2 호스(132)를 통해 컵배출구(120)로 흘러간다.
여기에서 상기 집수조(130)는 위생적인 세라믹 소재로 제작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어(111)의 배면에는 다수 개의 컵수납부(140)가 원통형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원통형으로 배치된 다수 개의 컵수납부(140)의 하단에는 디스펜서(150)가 장착되어 다수 개의 컵수납부(140)에 수납된 여러 개의 컵 중에서 선택한 특정 컵 한 개를 디스펜서(150) 아래로 배출시킨다. 여기에서 디스펜서(150)는 컵배출 구(120)의 상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디스펜서(150)에서 아래로 배출된 컵은 컵배출구(120)의 상면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컵배출구(120) 안쪽으로 떨어진다. 컵배출구(120)로 떨어진 컵은 컵배출구(120)의 내부에 위치한 컵홀더(도면에 도시안됨)에 상단이 걸쳐진 상태로 위치하며, 이 상태에서 컵(101)의 상부에 제2 호스(132)가 위치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디스펜서(150)는 컵배출구(120)의 상면에 형성된 관통공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온도조절부(160)에서 연장된 제2 호스(132)는 컵배출구(120)의 양측면 중 어느 한 쪽 측면을 관통해 위치한다.
따라서 컵배출구(120)의 컵홀더에 컵(101)이 걸쳐진 상태에서 제2 호스(132)를 통해 유동한 물은 컵(101)의 내부로 쏟아진다.
한편, 원통형으로 배치된 다수 개의 컵수납부(140)에는 컵들이 포개져서 수납된다.
여기에서, 상기 티백차 판매기(100)의 컵수납부(140)에 수납된 컵(101) 각각에는 차의 내용물(103)이 장입된다. 특히, 한 컵수납부(140)에 수납된 다수 개의 컵(101) 각각에는 같은 종류의 차들이 장입된다.
아래에서는 차의 내용물(103)이 수용된 컵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녹차, 홍차, 원두커피, 구기자차, 유자차, 율무차, 대추차, 치커리차, 자스민차, 보리차, 생강차, 인삼차 등과 같이 다양한 차의 내용물을 각각 티백지(105)로 감싸 컵 바닥에 압착 고정된다. 그리고 도 3에 보이듯이, 같은 종류의 차가 수용된 컵(101)끼리 포갠 후에 컵수납부(140)에 장입한다.
한편, 티백차 판매기(100)는 소비자가 입력한 신호에 따라 프로그램된 순서 로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소비자가 입력부(113)를 통해 신호를 입력하였을 때에 티백차 판매기(100)의 작동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비자는 취향에 따라 마시고자 하는 차를 고른다. 그리고 선택한 차에 해당하는 차선택버튼(115)을 눌러 정보를 입력한다(S10). 그러면 차선택버튼(115)에서 전기적신호가 발생하고 그 전기적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된다. 제어부(170)는 디스펜서(150)를 작동시킨다. 디스펜서(150)는 입력된 정보에 해당하는 차가 담긴 컵 하나를 컵배출구(120) 쪽으로 떨어뜨리고, 컵배출구(120)로 떨어진 컵(101)은 컵홀더에 받쳐진 상태로 위치한다(S20).
다음으로 제어부(170)는 제1 호스(131)에 장착된 솔레노이드 밸브(135)를 작동시켜 밸브를 개방한다. 솔레노이드 밸브(135)가 개방되면 집수조(130)에 저장된 물이 온도조절부(160)로 유입되고, 온도조절부(160)에서는 냉수로 냉각시키거나 그냥 그대로 제2 호스(132)를 통해 컵배출구(120)에 위치한 컵(101)으로 물을 1차 배수한다(S30).
솔레노이드 밸브(135)가 개방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타이머가 장착된 제어부(170)는 솔레노이드 밸브(135)를 작동시켜 제1 호스(131)를 폐쇄하고 물의 공급을 차단한다.
이와 같이 1차적으로 물이 컵(101)에 배수되면 소비자는 컵배출구(120)에서 컵을 꺼내 담긴 물로 컵(101)을 헹군 후 버린다(S40). 이와 같이 컵의 내부를 헹군 물을 버림으로써, 차 및 컵 제조 및 보관 과정 중에 컵 내부에 위치할 수 있는 오 염원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소비자는 헹궈낸 컵(101)을 컵배출구(120)에 재배치한(S50) 후에 자신이 선택한 차를 차갑게 마실 것인지 뜨겁게 마실 것인지를 판단하고 냉수버튼(117) 또는 온수버튼(119)을 누른다.
냉수버튼(117) 및 온수버튼(119) 중 어느 한버튼을 누르면, 누른버튼에서 전기적신호가 제어부(170)로 입력되고(S60), 제어부(170)는 입력된 전기적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135)를 개방한다. 그러면 집수조(130)에 저장된 물은 온도조절부(160)로 제1 호스(131)를 통해 배수되고, 제어부(170)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배수된 물을 온도조절부(160)에서 가열하거나 또는 냉각한 후 제2 호스(132)를 통해 컵배출구(120)로 배수한다. 이와 같이 제2 호스(132)를 통해 배수된 물은 재배치된 컵(101)의 내부로 흘러들어간다(S70).
여기에서 온도조절부(160)에는 펠티에소자가 내장되어 공급된 전원에 의해 유입된 물을 가열하거나 냉각한다.
이와 같이 2차적으로 물이 컵(101)에 공급되면, 공급된 물로 차의 내용물(103)을 우려내어 차를 마신다.
만약, 사용자가 차를 재탕하여 마시고자 할 경우에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컵(101)을 컵배출구(120)에 재배치하고 온수버튼(119) 또는 냉수버튼(117)을 눌러 물을 3차 공급받아 차를 마실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티백차 판매기(100)는 화폐투입구(123)를 통해 투입된 금액에 따라 차 값을 제어부(170)에서 정산하면서 차를 제공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서는 물의 재공급 회수를 2회 또는 3회로 제한하도록 프로그램화 할 수 있다.
또한 티백차 판매기(100)의 내부에 얼음을 저장 또는 생산하는 냉동기를 설치하고 냉동기(180)에 얼음을 저장시킨 상태에서 컵에 얼음을 투입하여 더욱 시원한 차를 즐길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얼음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냉동기(180)에서 컵배출구(120)까지의 별도의 관(181)을 설치하고 관(181)에는 댐퍼(183)를 설치하여 관(181)을 개폐할 수 있게 구성하며, 입력부(113)에는 얼음버튼(118)을 설치하여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얼음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앞에서 설명한 티백차 판매기(100)에는 본체 케이스(110) 내부에 물공급원으로서 세라믹 재질의 집수조(130)가 설치되어 물을 공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집수조를 대신하여 수도관을 연결함으로써, 지속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으며, 정수필터를 설치하여 공급된 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1차 공급된 물의 양은 컵 용량의 1/3정도가 적당하다. 너무 많은 양을 공급하면 수자원의 낭비가 되고 작은 양을 공급하면 이물질을 잘 헹궈낼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티백차 판매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티백차 판매기의 도어를 개방한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컵수납부에 수납된 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티백차 판매기의 개념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티백차 판매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티백차 판매기 101 : 컵
103 : 내용물 110 : 본체 케이스
111 : 도어 113 : 입력부
115 : 차선택버튼 117 : 냉수버튼
119 : 온수버튼 120 : 컵배출구
123 : 화폐투입구 130 : 집수조
131, 132 : 호스 135 : 밸브
140 : 컵수납부 150 : 디스펜서
160 : 온도조절부 170 : 제어부

Claims (9)

  1. 일측에는 컵배출구(120)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물공급원과, 차의 내용물(103)이 담긴 다수 개의 컵(101)들이 수납된 컵수납부(140)와, 물공급원과 컵배출구(120)를 연결하는 호스(131)와, 호스(131)를 개폐하는 밸브(135)가 구비되어 있는 본체 케이스(110);
    사용자가 차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케이스(110)에 구비되는 차선택버튼(115);
    물의 재공급을 위하여 상기 본체 케이스(110)에 구비되는 재급수버튼;
    상기 차선택버튼(115)이 눌러지면 디스펜서를 제어하여 상기 컵배출구(120)로 컵을 배출한 후 상기 밸브(135)를 제어하여 물공급원의 물을 컵으로 공급하고, 상기 재급수버튼이 눌러지면 설정된 회수이내에서 상기 밸브(135)를 제어하여 물공급원의 물을 컵으로 재공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티백차 판매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급수버튼은 냉수버튼(117)과 온수버튼(119)을 포함하며, 상기 냉수버튼(117)에서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스(131)에 설치된 온도조절부(160)를 제어하여 물을 냉각하여 공급하고, 상기 온수버튼(119)에서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조절부(160)를 제어하여 물을 가열하여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백차판매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20080068201A 2008-07-14 2008-07-14 티백차 판매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89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68201A KR101489631B1 (ko) 2008-07-14 2008-07-14 티백차 판매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68201A KR101489631B1 (ko) 2008-07-14 2008-07-14 티백차 판매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539A KR20100007539A (ko) 2010-01-22
KR101489631B1 true KR101489631B1 (ko) 2015-02-09

Family

ID=41816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68201A KR101489631B1 (ko) 2008-07-14 2008-07-14 티백차 판매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96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63608B (zh) * 2021-02-04 2024-03-26 惠州碧海源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智能售水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8377A (ja) * 1992-11-27 1994-06-14 Sanyo Electric Co Ltd カップ式自動販売機
KR20020089140A (ko) * 2002-04-30 2002-11-29 주식회사 디마퓨어텍 정수 자동판매기
KR200433137Y1 (ko) 2006-09-29 2006-12-11 김백비 차의 내용물이 든 컵을 이용한 무인판매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8377A (ja) * 1992-11-27 1994-06-14 Sanyo Electric Co Ltd カップ式自動販売機
KR20020089140A (ko) * 2002-04-30 2002-11-29 주식회사 디마퓨어텍 정수 자동판매기
KR200433137Y1 (ko) 2006-09-29 2006-12-11 김백비 차의 내용물이 든 컵을 이용한 무인판매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539A (ko) 201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8800B1 (ko) 음료 공급장치
JP2019507643A (ja) 流体を泡立てるための組立品及び方法
US5901634A (en) Beverage brewing apparatus
US4444336A (en) Dispensing unit
KR101382254B1 (ko) 더치 커피 추출장치
KR20100090659A (ko)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장치
US20170135514A1 (en) Hot Beverage Brewer for Multiple Volumes
CN105321263A (zh) 杯内饮料调制方法
AU2020252476B2 (en) Refrigerator and brewing assembly for refrigerator
KR101489631B1 (ko) 티백차 판매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993597B1 (ko) 천연 차 제조장치
JP4529531B2 (ja) 給湯装置
KR200433137Y1 (ko) 차의 내용물이 든 컵을 이용한 무인판매기
JP2000076541A (ja) カップ式コーヒー自動販売機
JPH1118951A (ja) 飲料供給装置
JP5892812B2 (ja) 飲料供給装置
JP4463439B2 (ja) 飲料自動販売機
JP2022149700A (ja) 飲料供給装置および飲料供給方法
JP2009089791A (ja) 給茶機
JP2009251772A (ja) 飲料供給装置
KR20110008323U (ko) 액상 전환기가 구비된 자동 판매기
US2005025769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rewing and dispensing coffee
US3053167A (en) Coffee making device
KR200333578Y1 (ko) 자동판매기
JPH1156635A (ja) 飲料ディスペ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