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9514B1 - 실리카에 담지된 백금-몰리브덴 복합 산화물 촉매를 이용한2-부텐으로부터 1-부텐의 선택적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실리카에 담지된 백금-몰리브덴 복합 산화물 촉매를 이용한2-부텐으로부터 1-부텐의 선택적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9514B1
KR101489514B1 KR20090003444A KR20090003444A KR101489514B1 KR 101489514 B1 KR101489514 B1 KR 101489514B1 KR 20090003444 A KR20090003444 A KR 20090003444A KR 20090003444 A KR20090003444 A KR 20090003444A KR 101489514 B1 KR101489514 B1 KR 101489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ene
catalyst
platinum
reaction
isomer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03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4044A (ko
Inventor
이재호
고민수
이성준
김용승
전종기
유난숙
김소정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에스케이종합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에스케이종합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90003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9514B1/ko
Publication of KR20100084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4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9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95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38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 B01J23/54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combined with metals, oxides or hydroxides provided for in groups B01J23/02 - B01J23/36
    • B01J23/56Platinum group metals
    • B01J23/64Platinum group metals with arsenic, antimony, bismuth, vanadium, niobium, tantalum, polonium, chromium, molybdenum, tungsten, manganese, technetium or rhenium
    • B01J23/652Chromium, molybdenum or tungsten
    • B01J23/6525Molybden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1/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xides, or hydroxides of magnesium, boron, aluminium, carbon, 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B01J21/06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B01J21/08Silic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38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 B01J23/4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of the platinum group metals
    • B01J23/42Platin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 Catalyst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부텐으로부터 1-부텐의 선택적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실리카에 담지된 백금-몰리브덴 복합 산화물 존재 하에서 2-부텐을 위치이성화하여 고수율로 1-부텐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2-부텐으로부터 1-부텐의 선택적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2-부텐을 촉매를 이용하여 1-부텐으로 위치이성화하는데 있어서, 실리카에 담지된 백금-몰리브덴 복합 산화물을 촉매로 사용할 경우 1-부텐의 수율이 종래 촉매에 비하여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2-부텐, 1-부텐, 몰리브덴, 백금, 실리카, 촉매

Description

실리카에 담지된 백금-몰리브덴 복합 산화물 촉매를 이용한 2-부텐으로부터 1-부텐의 선택적 제조방법 {Process for the selective production of 1-butene from 2-butene using silica supported Pt-Mo oxide catalyst}
본 발명은 실리카에 담지된 백금-몰리브덴 복합 산화물 촉매를 이용한 2-부텐으로부터 1-부텐의 선택적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실리카에 백금산화물을 담지하고 몰리브덴 산화물을 특정 조성만큼 담지하여 제조한 백금-몰리브덴 복합 산화물/실리카 촉매 존재 하에서 2-부텐을 위치이성화하여 고수율로 1-부텐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1-부텐의 선택적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4 잔사유(부타디엔, 이소부텐, 1-부텐, 2-부텐 혼합물)는 납사 분해공장으로부터 나오는 C4 유분 중에서 부타디엔을 분리해낸 다음, 이소부텐을 메탄올과 반응시켜 MTBE(methyl tertiary buthyl ether)를 제조하고 난 후에 남는 C4 잔사유 II (1-부텐, 2-부텐 혼합물), 또는 여기에서 1-부텐을 추출하고 남는 C4 잔사유 III(2-부텐)의 상태로 다량 발생한다. 현재까지 이들 대부분이 연료로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저가의 연료로서 사용되고 있는 이들 C4 잔사유 II 또는 잔사유 III에 포함된 2-부텐을 이성화시키면 화학품의 원료로 사용 가능한 1- 부텐을 제조할 수 있게 되어 그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다.
특히, 1-부텐은 선형 저밀도 폴리올레핀을 제조할 때 공중합 단량체로 다량 사용된다. 저온에서는 2-부텐이 1-부텐보다 열역학적으로 안정하기 때문에 2-부텐의 이성화 공정은 아직까지 널리 상업화되지 않고 있다. 2-부텐 이성화 공정에서 부딪히는 가장 큰 문제점은 2-부텐이 무거운 성분 또는 가벼운 성분으로 전환되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원하는 생성물로 전환시켜야 한다는 점이다. 즉, 2-부텐의 위치이성화 반응 중에 부반응으로 골격이성화 반응에 의한 이소부텐의 생성, 소중합 반응에 의한 옥텐 및 도데센 류의 생성, 또는 분해반응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1-부텐으로의 선택적 반응이 필요하다.
이러한 2-부텐 위치이성화에 의한 1-부텐 제조기술은 많이 알려져 있으며 특히 고체촉매를 이용한 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미국특허 제4,289,919호에는 산화 망간을 알루미나에 담지시킨 촉매를 사용하여 고정층 반응기에서 순수한 2-부텐을 위치이성화 반응시켜서 1-부텐을 제조하는 방법을 기술하였다. 반응온도는 370 ~ 510℃이고, 압력은 상압이었으며 공간속도는 2h-1의 LHSV이었다. 망간을 포함하지 않은 알루미나 촉매를 사용한 경우는 1-부텐의 수율이 21.3 ~ 23.1% 정도인 반면에 이소부텐이 16.0% 이상 생성되어 이중결합의 위치가 바뀌는 위치 이성화 반응과 동시에 골격 이성화 반응이 많이 진행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산화 망간이 포함된 알루미나 촉매를 사용한 경우는, 이소부텐으로의 골격이성화 반응이 거의 일어나지 않고, 1-부텐의 선택도가 매우 높았 으며 따라서 수율이 최대 28%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반응온도가 510℃로 높고, 공간속도가 LHSV로 약 2h-1정도로 낮아서 생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온도가 높을수록 1-부텐 수율이 높았다.
미국특허 제4,409,418호에는 지르코늄 포스페이트를 필수 성분으로 하고 크롬 또는 토륨을 첨가한 산화물 촉매를 사용하여 고정층 반응기에서 2-부텐을 위치이성화 반응시켜 1-부텐을 제조하는 방법이 기술되어있다. 반응온도는 316 ~ 368℃이고 압력은 상압이었으며 공간속도는 2h-1LHSV 이었다. 2-부텐 이성화 반응에서 지르코늄 포스페이트에 크롬 또는 토륨을 첨가한 촉매를 사용하였을 경우는 지르코늄 포스페이트 촉매를 사용한 반응 결과보다 부산물인 프로필렌과 부탄이 적게 생성되었으며 결과적으로 1-부텐의 선택도가 더 높았으나 1-부텐의 수율은 15.5~19.0%로 낮게 나타났다.
미국특허 제5,955,640호에는 부타디엔 수소화, 1-부텐 회수, 부탄 분리 공정을 거친 C4 유분중의 2-부텐을 실리케이트화 알루미나를 산화나트륨으로 변형시킨 촉매를 사용하여 위치이성화 반응시켜서 1-부텐의 수율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기술되어있는데, 1-부텐의 수율 및 선택도가 낮은 편이다. 한편, 미국특허 제6,242,662호에는 2-부텐의 이성화반응의 열역학적 제한을 극복하여 1-부텐의 수율을 높이기 위하여 팔라듐 촉매를 사용하는 하이드로-이성화(hydro-isomerization) 공정과 증류 공정으로 구성된 공정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는데, 저온에서 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에 1-부텐의 수율이 매우 낮은 문제가 있었다.
이에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실리카에 담지된 백금-몰리브덴 복합 산화물을 촉매로 사용하여 2-부텐을 위치이성화 반응시키면, 이소부텐의 생성, 옥텐 및 도데센 류의 생성, 분해반응 생성물의 생성을 억제하면서 2-부텐의 반응 활성을 높여서 고수율로 1-부텐을 제조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음을 발견하였고, 본 발명은 이를 기초로 완성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반응에 사용되는 적합한 백금/몰리브덴 실리카 촉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연료로 사용 중인 C4 잔사유분에 포함되어있는 2-부텐을 위치이성화하여 선형 저밀도 폴리올레핀을 제조할 때 공중합 단량체로 다량 사용되는 1-부텐을 고수율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위치이성화반응용 촉매는 백금과 몰리브덴이 산화물 형태로 실리카에 담지된 촉매로서, 몰리브덴 산화물 함량이 1 wt% ~ 14 wt%인 백금/몰리브덴 실리카 촉매가 제공된다.
상기의 또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2-부텐으로부터 선택적으로 1-부텐을 제조하는 방법은 실리카에 담지된 백금-몰리브덴 복합 산화물 촉매 존재 하에서, 2-부텐이 13 wt% 이상 포함된 C4 잔사유 II 또는 순수한 2-부텐을 반응물로 하여 2-부텐을 위치이성화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에 사용된 촉매에 비하여 1-부텐에 대한 수율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C4 잔사유 중의 2-부텐을 선택적으로 위치이성화하여 1-부텐을 제조하는데 우수한 성능을 보이므로 산업적으로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리카에 담지된 백금-몰리브덴 복합 산화물 촉매 존재 하에서 2-부텐을 선택적으로 위치이성화 반응을 수행하여 종래 촉매에 비해 1-부텐의 수율을 향상시킨 1-부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실리카에 담지된 백금-몰리브덴 복합 산화물 촉매는 표면에 약한 산점을 갖는 반면 강한 산점은 거의 없다. 상기 실리카에 담지된 백금-몰리브덴 복합 산화물 사용하게 되면, 산점이 약하기 때문에 2-부텐의 위치이성화 반응 중에 부반응인 골격 이성화 반응에 의한 이소부텐의 생성, 소중합 반응에 의한 옥텐 및 도데센 류의 생성 및 분해반응이 일어날 가능성이 낮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실리카에 담지된 백금-몰리브덴 복합 산화물 촉매는 PtO-MoO3/SiO2로 구성되며 표면적이 182 m2/g ~ 210 m2/g 이며 표면에 약한 산점을 포함하는 촉매이다.
본 발명의 실리카에 담지된 백금-몰리브덴 복합 산화물 촉매는 당 분야에서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을 통해 제조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실리카에 담지된 백금 촉매에 암모늄 몰리브데이트 테트라하이드레이트 (Ammonium Molybdate Tetrahydrate)와 같은 몰리브덴 전구체를 몰리브덴 산화물 함량이 1 wt% ~ 14 wt%,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2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 중량%가 되도록 함침법으로 담지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몰리브덴 산화물 함량이 1 wt% 미만으로 함유되는 경우, 2-부텐의 전환율이 증가하는 효과가 발현되지 않는 문제가 있고, 14 wt%을 초과하여 함유되면 촉매의 표면적이 감소하여 반응 활성이 낮아 질 수 있다. 상기 백금 함량은 0.5 내지 2 중량%가 바람직한데, 0.5 중량%미만으로 함유되는 경우 2-부텐의 전환율이 증가하는 효과가 발현되지 않는 문제가 있고, 2 중량%을 초과하여 함유되면 2-부텐의 전환율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알루미나 전구체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된 것과 같이, 암모늄 몰리브데이트 테트라하이드레이트 이외에도, 몰리브데늄 클로라이드 (Molybdenum Chloride)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리카에 담지된 백금-몰리브덴 복합 산화물 촉매를 이용한 본 발명에서 2-부텐의 위치이성화 반응은 반응물로는 2-부텐이 13 중량% 또는 그 이상 포함된 C4 잔사유 II, C4 잔사유 III를 사용하거나, 또는 순수한 2-부텐이 사용된다.
상기 2-부텐에 대한 위치이성화 반응은 350℃~550℃, 바람직하게는 450℃~500℃의 반응온도에서 수행되는데, 상기 반응온도가 350℃ 미만이면 반응활성이 낮아지고, 550℃를 초과하면 촉매 구조에 변화가 와서 반응 활성이 낮아 질 수 있 다. 또한, 2-부텐의 유량과 촉매의 비는 WHSV(weigh hour space velocity)로 10hr-1~100hr-1, 더욱 바람직하게는 WHSV 18hr-1~70hr-1이며, 10hr-1 미만에서는 부반응으로 인하여 선택도가 감소할 수 있고, 100hr-1 를 초과하면 접촉시간이 너무 짧아서 활성이 낮아질 수 있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이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2-부텐 위치이성화 반응에 사용하는 반응기는 내경 3/4인치(inch), 길이 10㎝의 VCR 핏팅을 구입,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2-부텐 저장탱크와 반응기 사이에 질량 유량 조절기를 설치하여 유량을 조절하였다. 반응기의 온도는 주문 제작한 관상로를 사용하여 조절하였으며, 생성물은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직접 연결하여 분석하였다. 하기의 수학식 1 내지 3에 의해 전환율, 선택도 및 수율을 계산하였다.
전환율(%) = (소비된 2-부텐의 중량/공급한 2-부텐의 중량) × 100
1-부텐 선택도(%) = (생성된 1-부텐 중량/소비된 2-부텐 중량) × 100
1-부텐 수율(%) = (전환율 × 1-부텐 선택도) × 100
실시예 1
2차 증류수 8.01g에 클로로플래티닉애시드 헥사하이드레이트 (Chloroplatinic Acid Hexahydrate) 0.98g을 섞어 만든 용액을 SiO2 3g에 천천히 떨어뜨려 섞어준다. 시료가 다 젖으면 110℃ 오븐에서 6시간 동안 건조 하여 남아있는 물을 제거하고 500℃에서 10시간 동안 소성하여 실리카에 담지된 백금 산화물[PtO(1%)/SiO2]를 수득하였다. 2차 증류수 8.01g에 암모늄 몰리브데이트 테트라하이드레이트 (Ammonium Molybdate Tetrahydrate)를 몰리브덴 산화물의 함량이 4 wt%가 되도록 섞어 만든 용액을 앞에서 완성된 실리카에 담지된 백금 산화물에 천천히 떨어뜨려 섞어준다. 110℃ 오븐에서 6시간 동안 건조 하여 남아있는 물을 제거하고 500℃에서 10시간 동안 소성하여 실리카에 담지된 백금-몰리브덴 복합 산화물 촉매를 수득하였다.
고정층 연속식 반응기에 0.5 g의 상기 촉매를 충진하고 반응물로 순수한 2-부텐을 공급하여 2-부텐 위치이성화 반응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때 반응기의 온도는 450℃, 반응 압력이 상압이며 2-부텐의 WHSV는 18.2 hr-1이었다. 반응 시작 2시간 후에 가스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생성물을 분석한 결과 2-부텐 전환율은 30.2 %, 1-부텐의 수율은 24.1 %이었다.
실시예 2
몰리브덴 산화물의 함량이 8 wt%가 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촉매를 제조한 후, 상기 제조된 촉매를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2-부텐 위치이성화 반응 실험을 실시하고 생성물을 분석한 결과, 2-부텐 전환율은 27.9 %, 1-부텐의 수율은 23.1 %이었다.
실시예 3
몰리브덴 산화물의 함량이 12 wt%가 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촉매를 제조한 후, 상기 제조된 촉매를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2-부텐 위치이성화 반응 실험을 실시하고 생성물을 분석한 결과, 2-부텐 전환율은 25.4 %, 1-부텐의 수율은 20.7 %이었다.
비교예 1
몰리브덴을 담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 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촉매를 제조한 후, 상기 제조된 촉매를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2-부텐 위치이성화 반응 실험을 실시하고 생성물을 분석한 결과 2-부텐 전환율은 19.0 %, 1-부텐의 수율은 18.6 %이었다.
비교예 2
실리카를 촉매로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2-부텐 위치이성화 반응 실험을 실시하고 생성물을 분석한 결과 2-부텐 전환율은 3.3 %, 1-부텐의 수율은 3.0 %이었다.
비교예 3
Al2O3 20g을 테트라에틸올쏘실리케이트(tetraethylorthosilicate) 1.07g과 에탄올 용액 50cc를 섞은 용액에 넣는다. 50℃에서 4시간 동안 저어 준 후에, 회전 증발기를 이용해서 진공에서 서서히 건조시킨다. 200℃에서 2시간 동안 질소를 흘려 준 후에, 500℃에서 4시간 동안 소성시킨다. 여기에 증류수 6cc에 질산 란타늄 5.14g녹인 용액을 한 방울씩 넣어주며 저어준다. 그 후 100℃ 오븐에서 12시간 동안 건조시키고 500℃에서 4시간 동안 소성시킨다.
상기 제조된 촉매를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2-부텐 위치이성화 반응 실험을 실시하고 생성물을 분석한 결과 2-부텐 전환율은 14.5 %, 1-부텐의 수율은 13.3 %이었다.
비교예 4
몰리브덴 산화물의 함량이 20 wt%가 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촉매를 제조한 후, 상기 제조된 촉매를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2-부텐 위치이성화 반응 실험을 실시하고 생성물을 분석한 결과, 2-부텐 전환율은 16.1 %, 1-부텐의 수율은 15.6 %이었다.
비교예 5
반응기의 온도가 250 ℃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한 조건으로 2-부텐 위치이성화 반응 실험을 실시하고 생성물을 분석한 결과, 2-부텐 전환율은 10.3 %, 1-부텐의 수율은 10.0 %이었다.
비교예 6
반응기의 온도가 600 ℃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 예 2와 동일한 조건으로 2-부텐 위치이성화 반응 실험을 실시하고 생성물을 분석한 결과, 2-부텐 전환율은 33.0 %, 1-부텐의 수율은 16.3 %이었다.
비교예 7
2-부텐의 WHSV가 140 hr-1 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한 조건으로 2-부텐 위치이성화 반응 실험을 실시하고 생성물을 분석한 결과, 2-부텐 전환율은 9.2%, 1-부텐의 수율은 8.9 %이었다.
촉매 표면적
(m2/g)
반응온도
(℃)
WHSV
(hr-1)
2-부텐
전환율
(%)
1-부텐
수율
(%)
실시예 1 PtO(1 wt%)-MoO3(4 wt%)/SiO2 210 450 18.2 30.2 24.1
실시예 2 PtO(1 wt%)-MoO3(8 wt%)/SiO2 186 450 18.2 27.9 23.1
실시예 3 PtO(1 wt%)-MoO3(12 wt%)/SiO2 182 450 18.2 25.4 20.7
비교예 1 PtO(1 wt%)/SiO2 256 450 18.2 19.0 18.6
비교예 2 SiO2 294 450 18.2 3.3 3.0
비교예 3 La2O3/실리케이티드알루미나 189 450 18.2 14.5 13.3
비교예 4 PtO(1 wt%)-MoO3(20 wt%)/SiO2 143 450 18.2 16.1 15.6
비교예 5 PtO(1 wt%)-MoO3(8 wt%)/SiO2 186 250 18.2 10.3 10.0
비교예 6 PtO(1 wt%)-MoO3(8 wt%)/SiO2 186 600 18.2 33.0 16.3
비교예 7 PtO(1 wt%)-MoO3(8 wt%)/SiO2 186 450 140 9.2 8.9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 2-부텐의 위치이성화반응에 사용되었던 촉매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촉매를 사용할 경우, 2-부텐의 전환율이 향상되어 1-부텐의 수율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6)

  1. 백금 및 몰리브덴이 산화물 형태로 실리카에 담지된 촉매로서, 몰리브덴 산화물의 함량이 촉매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wt% 내지 14 wt%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2-부텐 위치이성화반응용 백금-몰리브덴 복합 산화물/실리카 촉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금 산화물의 함량은 촉매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wt% 내지 2 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부텐 위치이성화반응용 백금-몰리브덴 복합 산화물/실리카 촉매.
  3. 제1항 또는 제2항의 촉매 존재 하에서, 2-부텐이 13 wt% 이상 포함된 C4 잔사유 또는 순수한 2-부텐을 반응물로 하여 2-부텐을 위치이성화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부텐으로부터 1-부텐의 선택적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이성화 반응은 350℃ 내지 550℃의 반응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부텐의 선택적 제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이성화 반응의 WHSV(weight hour space velocity)는 10hr-1 내지 100hr-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부텐의 선택적 제조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이성화 반응의 WHSV(weight hour space velocity)는 18hr-1 내지 70hr-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부텐의 선택적 제조방법.
KR20090003444A 2009-01-15 2009-01-15 실리카에 담지된 백금-몰리브덴 복합 산화물 촉매를 이용한2-부텐으로부터 1-부텐의 선택적 제조방법 KR101489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3444A KR101489514B1 (ko) 2009-01-15 2009-01-15 실리카에 담지된 백금-몰리브덴 복합 산화물 촉매를 이용한2-부텐으로부터 1-부텐의 선택적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3444A KR101489514B1 (ko) 2009-01-15 2009-01-15 실리카에 담지된 백금-몰리브덴 복합 산화물 촉매를 이용한2-부텐으로부터 1-부텐의 선택적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044A KR20100084044A (ko) 2010-07-23
KR101489514B1 true KR101489514B1 (ko) 2015-02-06

Family

ID=42643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03444A KR101489514B1 (ko) 2009-01-15 2009-01-15 실리카에 담지된 백금-몰리브덴 복합 산화물 촉매를 이용한2-부텐으로부터 1-부텐의 선택적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951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2484A (en) 1989-11-29 1992-07-21 Uop Butene isomerization process
JPH07118176A (ja) * 1993-08-30 1995-05-09 Nippon Oil Co Ltd ブテン−2をブテン−1に異性化する方法
KR20050084122A (ko) * 2002-12-06 2005-08-26 에이비이비이 러머스 글로벌 인코포레이티드 활성 금속을 가지는 메조다공성 물질
KR20070109489A (ko) * 2006-05-11 2007-11-15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2-부텐으로부터 1-부텐의 선택적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2484A (en) 1989-11-29 1992-07-21 Uop Butene isomerization process
JPH07118176A (ja) * 1993-08-30 1995-05-09 Nippon Oil Co Ltd ブテン−2をブテン−1に異性化する方法
KR20050084122A (ko) * 2002-12-06 2005-08-26 에이비이비이 러머스 글로벌 인코포레이티드 활성 금속을 가지는 메조다공성 물질
KR20070109489A (ko) * 2006-05-11 2007-11-15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2-부텐으로부터 1-부텐의 선택적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044A (ko) 2010-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11098A (en) Conversion of methane to olefins and hydrogen
KR101904163B1 (ko) 단일 공정으로 뷰타다이엔을 생산하는 방법
JP5784647B2 (ja) 酸触媒上でイソブタノールを同時脱水・骨格異性化し、次いでメタセシス段階を行ってプロピレンを製造する方法
US20180002250A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dienes
CN102553632B (zh) 一种低碳烷烃脱氢催化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US5399793A (en) Hydrogenation catalyst for oxo alcohol process
KR101331553B1 (ko) 글리콜에테르를 이용한 고순도 이소부텐의 제조 방법
KR101445241B1 (ko) 아이소부틸렌의 제조 방법
KR101266637B1 (ko) 2-부텐으로부터 1-부텐의 선택적 제조방법
KR101489514B1 (ko) 실리카에 담지된 백금-몰리브덴 복합 산화물 촉매를 이용한2-부텐으로부터 1-부텐의 선택적 제조방법
KR101040969B1 (ko) 고온 수소화 반응 촉매 및 엔도-테트라하이드로디(사이클로펜타디엔)의 제조 공정을 개선하기 위한 그 용도
US11174207B2 (en) Process for the isomerization of olefins
CN112441866B (zh) 一种由异丁烯生产正丁烯的方法
EP1052280B1 (en) Method for isomerization of hydrocarbon, and solid acid catalyst and isomerization system for use therein
CN108698960A (zh) 由来自催化裂化的烯烃生产高辛烷值组分的方法
KR101478398B1 (ko) 1,3-부타디엔 중의 아세틸렌류 화합물의 선택적 수소화용 촉매 및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사용방법
JPH05271136A (ja) フッ化水素で改質されたモンモリロナイト粘土を用いるアルキル第三級アルキルエーテルの合成方法
KR102155613B1 (ko) 중간기공의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촉매를 이용한 부텐으로부터 고급 알켄 제조방법
KR100835072B1 (ko) 에타알루미나 촉매를 이용한 2-부텐으로부터 1-부텐의선택적 제조방법
CN112441865B (zh) 一种由异丁烯制备丁烯-2的方法
EP3317261A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1,4-butanediol and tetrahydrofuran from furan
US20230038706A1 (en) Process for preparing alkylene glycol mixture from a carbohydrate source with increased selectivity for glycerol
KR101456900B1 (ko)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탄화수소 탈수소화 촉매 제조방법
JPH0656726A (ja) リン酸で改質された粘土触媒を使用するアルキル第三級アルキルエーテルの合成
KR20170035615A (ko) 고순도 이소프렌의 연속 회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