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6900B1 -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탄화수소 탈수소화 촉매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탄화수소 탈수소화 촉매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6900B1
KR101456900B1 KR1020130149678A KR20130149678A KR101456900B1 KR 101456900 B1 KR101456900 B1 KR 101456900B1 KR 1020130149678 A KR1020130149678 A KR 1020130149678A KR 20130149678 A KR20130149678 A KR 20130149678A KR 101456900 B1 KR101456900 B1 KR 101456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catalyst
surfactant
active metal
re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9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현식
유영산
박헌수
Original Assignee
희성촉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희성촉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희성촉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9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69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009Use of binding agents; Moulding; Pressing; Powdering; Granulating; Addition of materials ameliorat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roduct catalyst
    • B01J37/0018Addition of a binding agent or of material, later completely removed among others as result of heat treatment, leaching or washing,(e.g. forming of pores; protective layer, desintegrating by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02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alkali- or alkaline earth metals or beryll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38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 B01J23/4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of the platinum group metals
    • B01J23/42Platin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96Distribution of the active metal ingred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16Reduc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라핀계 탄화수소의 탈수소화 반응 촉매에 있어서, 통상적인 셀-코어 방식의 다중층 구조가 아닌 담체에 직접 활성금속을 담지시켜 구조적으로 안정할 뿐 아니라, 담체 내 활성금속의 분포 및 금속 층 두께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올레핀의 전환율 및 선택도를 크게 증가시키는 촉매와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단일 구형 담체 및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담체를 처리한 후 활성금속을 직접 담체에 담지하고, 소성을 통해 담체 내부공간에 충전된 계면활성제를 소성하여 담체 외면에만 활성금속층이 형성되는 탈수소화 반응용 촉매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탄화수소 탈수소화 촉매 제조방법{Preparation of dehydrogenation catalysts for hydrocarbons using surfatants}
본 발명은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탄화수소 탈수소화 촉매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파라핀계 탄화수소를 선택적으로 탈수소화하기 위한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알루미나 담체에 담지되는 활성물질의 분포를 조절하여 탈수소화 전환율 및 선택도를 향상시킨 탈수소화 반응용 촉매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탈수소화 탄소원자의 개수가 9 이상인 선형올레핀은 생분해성 세제 제조 중간체, 의약품, 플라스틱, 합성고무 등의 기초원료로서 폭넓게 사용되는 경제성 높은 화합물이다. 탄소원자의 개수가 9~13 또는 그 이상인 선형 파라핀을 탈수소화하여 선형 올레핀을 제조하는 방법은 공지되어 있으며, 포괄적으로는 수소 및 기체상태의 파라핀을 탈수소화 촉매와 접촉시키고, 대기압하에서 고온으로 반응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탈수소화 반응계에서 촉매는 주로 반응속도를 높여주고, 동시에 열분해, 코크생성, 이성질화 반응 등의 부반응을 억제하여 선형 올레핀 선택도를 높일 수 있는 조건으로 제조되어 왔다.
통상적으로 선형 파라핀에서 선형 올레핀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탈수소화 촉매는 주로 백금 등의 Ⅷ족 귀금속을 실리카, 알루미나, 실리카-알루미나 등에 담지시켜 제조하였는데, 이들 촉매는 반응 초기에 고온반응에 의해 금속입자들이 조기에 소결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촉매 수명이 단축되는 단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선형파라핀 탈수소화 반 촉매 활성 및 올레핀 선택성 및 촉매수명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백금 등의 Ⅷ족 귀금속 원소에 주석, 리튬, 칼륨, 나트륨 등 한가지 이상의 다른 금속 성분을 결합시킨 촉매가 사용되고 있다. 한편, 파라핀계 탄화수소의 탈수소화 반응에 있어서 반응기구를 살펴보면, 반응이 고온으로 진행됨에 따라 탈수소화 반응 외에 열분해 및 코크생성 반응 등의 부반응이 수반되어 촉매활성과 선택도를 저하시키게 된다. 특히 활성금속이 담체 내부로 깊이 들어가 있는 촉매의 경우 전체적인 분산도는 좋아져, 반응물이 물질전달 및 확산에 의해서 담체 내부로 들어갔을 때에도 금속 활성점과 접촉하게 되므로, 전체 활성은 좋아지나, 반응물 또는 생성물이 촉매에 과도한 시간 동안 체류하게 됨으로 인해 생성물이 촉매 내부에서 흡착, 생성물끼리의 재반응, 이성질체 및 코크생성 등의 바람직하지 못한 부반응이 발생되고 촉매 수명 저하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탈수소화 반응에서의 부반응을 억제하고, 생성 올레핀 선택도를 높이기 위해서 담체 내에서의 활성금속의 분포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특히 촉매 담체 외곽에 활성금속을 배치하여 물질전달 영향을 최소화하고, 반응물 및 촉매와의 접촉시간을 최소화하면서 선택도를 높이고 활성을 극대화 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예를들면, 미국특허 제4,077,912호 및 미국특허 제4,255,253호에서는 담체 상에 촉매 금속산화물을 코팅하여 촉매를 제조하여 담체 외부에 함침이 가능하다는 점을 개시하였고, 미국특허 제6,177,381호에서는 활성금속을 담체에 담지할 때 담체 내부로 금속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알파 알루미나 및 코디어라이트를 내부 코어로 사용하는 한편, 감마 알루미나 및 활성금속을 혼합하여 슬러리로 만든 후 외층을 제조하여 촉매의 탈수소화 및 선택도를 향상시켰다. 또한 상기 특허에서는 외층 제조용 슬러리에 활성금속을 동시에 섞어 내부코어에 코팅할 수도 있고, 슬러리를 코팅한 후 그 위에 활성금속을 담지할 수도 있다고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코어-쉘 개념의 다중층 촉매는 코어 및 쉘을 각각 제조하여야 하므로 제조공정이 복잡할 뿐 아니라 담체로서는 소성과정을 거친 알파 알루미나 또는 코디어라이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담체 밀도증가를 유발하며, 제조 비용이 많이 드는 한계가 있다. 또한 쉘 부분의 슬러리는 단일 구형담체 촉매에 비하여 촉매 사이의 마찰이 발생할 경우 층간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다중층 촉매 제조를 위하여 내부코어 및 외층 부착을 위한 유기 또는 무기결합제가 사용되나, 외층 박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입되는 유기 결합제는 탈수소화 반응의 발열에 의한 열 충격으로 외층 표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고, 무기 결합제는 외층의 반응 활성점을 감소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파라핀계 탄화수소의 탈수소화 반응 촉매에 있어서, 통상적인 셀-코어 방식의 다중층 구조가 아닌 담체에 직접 활성금속을 담지시켜 구조적으로 안정할 뿐 아니라, 담체 내 활성금속의 분포 및 금속 층 두께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올레핀의 전환율 및 선택도를 크게 증가시키는 촉매와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구형 담체에 직접 활성금속을 담지하면, 다공성 담체 내부로 활성금속이 확산되어 담체 외층 특성을 조절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점을 인지하고,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담체 기공들을 충전시켜 내부표면적을 일시적으로 제거한 뒤 활성금속을 담지시키되, 담체 외면에만 집중적으로 활성금속성분들이 구성되는 촉매구조를 완성시켰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일 구형 담체 및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담체를 처리한 후 활성금속을 직접 담체에 담지하고, 소성을 통해 담체 내부공간에 충전된 계면활성제를 소성하여 담체 외면에만 활성금속층이 형성되는 탈수소화 반응용 촉매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촉매의 활성금속들을 담체 외면에만 집중시키는 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촉매를 이용하면 탈수소화 부반응을 억제시키는 동시에 촉매 반응의 전환율 및 선택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촉매는 담체 자체에 활성금속이 담지되므로 활성물질 박리를 억제할 수 있고, 강도가 높아 종래 촉매와 대비하여 내구성이 월등히 향상되어 경제적인 면에서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개략적인 촉매 제조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사용된 알루미나 담체에 담지된 금속촉매의 비디오 현미경(Video Microscopy) 사진이다. (a)사진은 알루미나 담체에 담지된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분포(좌측) 및 이를 이용하여 금속을 담지시켜 제조된 촉매(우측)를 나타내며, (b) 사진은 비교예 1에서 사용된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고 제조된 촉매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 및 3에서 양이온 계면활성제 함량을 조절을 통해 담체 외면 활성금속층 두께를 조절하여 제조된 촉매의 비디오 현미경 사진이다. 좌측사진은 다량의 계면활성제이 적용된 촉매를 나타내며, 우측사진은 상대적으로 소량의 계면활성제가 적용된 촉매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제조된 촉매의 전자전극 미세분석 (EPMA) 사진이다.
본 발명은 탈수소화 활성금속들을 선택적으로 담체 외면에 집중시켜 촉매를 제조하여 반응 선택도를 향상시키면서, 촉매활성을 유지하며, 코크생성에 따른 비활성화가 억제되는 효과가 있고, 강도가 높아 외적 충격에 강하고, 열에 의한 활성물질의 특성변화가 없는 촉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종래 코어-쉘 타입 촉매 제조시 문제되었던 쉘 부분촉매 활성(금속)층의 강도 및 복잡한 제조공정을 개선하기 위해 양이온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담체 외면에 직접 활성금속을 함침시켜 효과적으로 담체 외면에 집중시켰고, 또한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함침량에 따라 담체 외부 활성금속의 층 두께를 변경시킬 수 있게 되었고, 탈수소화 반응에서 반응물 및 활성점 간 접촉시간을 조절하여 올레핀 선택도 및 전환율 등이 크게 향상시킨 탈수소 촉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담체 외곽에 형성되는 활성금속층은 종래 코어-쉘 타입 촉매의 활성(금속) 외층과 대비할 때 별도의 슬러리로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활성금속 성분들이 직접 담체 외곽에 담지된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촉매 제조방법은 다음 단계들로 구성된다.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담체에 첨가시켜 계면활성제/담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계면활성제/담체를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계면활성제/담체를 질소분위기에서 탄화하여 탄화 계면활성제/담체를 형성하는 단계;
탄화 계면활성제/담체 외면에 활성복합금속 전구체를 일정 두께로 담지하는 단계;
상기 활성복합금속이 담지된 결과물을 건조 후 500-1100℃로 2-10 시간 동안 소성하는 단계; 및
상기 소성 촉매를 수소 분위기에서 400-700℃로 환원하는 단계.
본 발명에서의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종류에 상관없이 물에 녹았을 때 이온화하는 계면활성제는 모두 사용할 수 있으나, 카르복실산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경우 알루미나 표면과의 상호작용으로 양이온 계면활성제와는 반대로 담체외곽에 주로 분포되어 활성물질이 담체내로 침투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담체에 첨가되는 양이온 계면활성제 함량은 담체 외면에 활성금속을 담지할 때의 목표 활성금속층 두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0~200 um 금속 층 두께를 위해 담체 기공 부피의 50~80% 범위로 담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담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탄화시키는 단계에서, 탄화공정에서 적용되는 온도는 450-1100℃가 적당하며 바람직하게는 800-1100℃가 적당하다. 일반적으로 알루미나 담체의 경우 표면에 존재하는 산점에 의해 크래킹,이성질화 등의 부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하지만 담체가 1000 ℃이상의 높은 온도에 노출될 경우 담체 표면의 산점이 제거되어 상기 반응을 현저히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고온 탄화과정을 수행할 경우, 담체 내 계면활성제 유래 탄소의 고정뿐 아니라 담체의 산점제거 효과도 동시에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탈수소화 촉매에서의 활성금속 성분들은 백금, 주석 외에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및 할로겐 성분일 수 있고, 촉매 총 중량 대비 백금 0.2-0.5중량%, 바람직하게는 0.2-.0.3중량%, 주석 0.2-1.0중량%, 바람직하게는 0.4-0.6중량%, 알칼리금속 또는 알칼리토금속 0.2-0.8중량%, 바람직하게는 0.4-0.5중량%를 담지하되, 백금성분에 대한 주석성분의 중량비는 2.0-2.5이고, 알칼리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중량비는 2-3범위 내에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백금 함량이 적을 경우 전환율이 낮아지고, 과도할 경우 부반응이 많아져 선택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촉매에서 백금은 주요금속으로 사용되며, 보조금속으로는 주석을 사용하고,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은 칼륨, 리튬, 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할로겐 성분으로는 염소, 인 및 불소로 이루어진 군에서부터 선택된 것을 사용한다. 이와 같이 각각의 성분들의 기능은 상이하나, 본원에서 이들 성분들은 '활성금속'또는 '활성복합금속'이라는 용어로 포괄한다. 본원에서 요소들 간 '/' 기호는, 예컨대 계면활성제/담체라는 표현에서 '/'는 계면활성제 및 담체가 물리적 또는 화학적 작용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의 적용되는 담체는 실리카, 알루미나, 실리카-알루미나가 사용될 수 있으나, 알루미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나의 결정상은 감마,세타, 알파상 등이 있는데, 그 중 계면활성제의 담지를 위해 적당한 비표면적 및 기공부피를 가지는 감마상이 바람직하다.
본원에서 적용되는 담체는 120-180m2/g의 비표면적, 0.3-0.7cm3/g의 총 기공부피, 또한 5-15nm의 기공크기를 갖는 담체가 바람직하다. 담체의 비표면적이 60 m2/g 이하이면 기공크기가 커지게 되어 계면활성제 담지 후 탄화과정에서 계면활성제를 담체에 고정시키기 힘들고, 200 m2/g 이상이면 탄화단계에서 급격한 부피감소가 일어나 담체가 안정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또한 담체로서 바람직한 형상은 1.0~2.0mm의 크기를 가진 구형입자이다.
상기 활성금속의 담지 방법은 해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구체적으로는 초기함침법(incipient wetness impregnation) 또는 과잉함침법(excess impregnation)을 통하여 담체에 담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활성금속 담지 담체의 열처리온도는 400-700℃, 바람직하게는 450-500℃가 적당하며 470℃가 가장 바람직하다. 400℃ 이하에서 열처리를 할 경우에, 담지금속이 금속 산화종으로 변하지 않을 수 있고, 700℃ 이상에서 열처리를 하게 되면 금속간 응집현상이 발생하여, 촉매의 양에 비해 촉매 활성이 높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 열처리 즉 소성된 촉매는 수소 분위기 하에서 환원시키는 공정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탈수소화 반응에서 활성종은 금속산화종이 아니라 환원된 금속종이므로 모든 촉매에서는 촉매 제조시 수소를 사용하여 환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환원과정에서의 온도는 400~700℃가 적당하며 450℃가 가장 바람직하다. 환원온도가 400℃ 보다 낮으면 금속산화종들이 완전히 환원되지 않을 수 있고, 2종 이상의 금속입자들이 합금형태가 아닌 개별금속으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환원온도가 700℃ 보다 높을 경우에는 2종 이상의 금속입자간 응집 및 소결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활성점 감소 및 촉매활성이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파라핀 탄화수소의 올레핀 전환방법은 본 발명에 의한 탈수소화 촉매를 이용하여 파라핀, 이소파라핀, 알킬방향족을 포함하는 탄소원자 개수 2~20, 바람직하게는 9~13의 탄소원자 개수를 가지는 탄화수소를 수소로 희석시켜 400~600℃, 바람직하게는 470℃, 0-2기압, 바람직하게는 1.6기압, 파라핀 탄화수소의 액체공간속도(LHSV: Liquid Hourly Space Velocity) 1-30h-1, 바람직하게는 20-30h-1 인 조건 하에서 기상반응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탈수소화 반응에 의해 올레핀을 생성시키는 반응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반응기 내에 촉매가 충전된 형태인 고정층 촉매 반응기 (Fixed-bed catalytic reactor)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탈수소화 반응은 흡열반응이므로 촉매반응기가 항상 등온(adiabatic)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탈수소화 반응 공정은 반응조건인 반응온도, 압력, 액체 공간속도를 적절한 범위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반응을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반응온도가 낮으면, 반응이 진행되지 않고, 반응온도가 너무 높으면 반응압력도 이에 비례하여 높아질 뿐 아니라 코크생성, 이성질화 반응 등의 부반응이 일어나는 문제가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쉽게 이해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만 할 것이다.
실시예 1: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촉매 제조
감마 알루미나 담체 (제조사: 독일 SASOL) 중량 대비 1 wt%의 양이온계면활성제 (제조사:일본 SANNOPCO)를 감마 알루미나 담체가 가지는 총 기공의 부피에 해당하는 탈이온수에 희석하여 초기습윤법으로 담체에 담지하였다. 이어서 180℃의 건조기에서 12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양이온계면활성제/알루미나를 질소분위기에서 1100℃에서 4시간 동안 탄화시켜 탄화 양이온계면활성제 /알루미나 담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탄화 양이온계면활성제 /알루미나 담체에 활성금속을 담지하기 위하여, 우선 백금전구체로서 염화백금산을 사용하여 촉매 전체 중량 대비 0.2 wt%에 해당하는 백금을 담체의 총 기공의 부피에 해당하는 탈이온수에 희석하여 초기습윤법으로 담체에 함침하였다. 백금 담지 담체를 공기분위기에서 470℃로 4시간 열처리 과정을 거쳐 백금을 고정시켰다. 이후 다시 주석 및 리튬을 각각 촉매 전체 중량 대비 0.5 wt% 및 0.45 wt%를 역시 초기습윤법으로 담체에 담지하였다. 최종적으로 활성금속성분들이 담지된 조성물을 공기분위기에서 470℃로 열처리 과정을 거쳐 활성금속층이 담체 외면에 형성된 본 발명의 촉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촉매 제조
탄화단계에서 양이온계면활성제/알루미나를 질소분위기에서 800℃에서 4시간 동안 탄화시켜 탄화 양이온계면활성제 /알루미나 담체를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활성금속층 형성 촉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다량의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촉매 제조
양이온 계면활성제 함량을 감마 알루미나 담체 중량 대비 2 wt%를 담체에 첨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활성금속층 형성 촉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소량의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촉매 제조
양이온 계면활성제 함량을 감마 알루미나 담체 중량 대비 0.5 wt%를 담체에 담지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활성금속층이 외면에 형성된 촉매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로 촉매 제조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감마 알루미나 담체에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금속 담지 촉매를 제조하고 촉매 활성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들 및 비교예에 따른 촉매 활성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 촉매의 성능 평가
촉매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탈수소화 반응을 실시하였으며, 반응기는 고정층 반응시스템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즉, 촉매는 관형 반응기에 1.16 g을 충진하고, 수소가스를 235 cc/분으로 일정하게 흘려주어 470℃에서 1시간 동안 촉매의 환원을 실시하였다. 이어서 반응기의 온도를 반응온도인 470℃로 일정하게 유지시킨 후, HPLC pump를 사용하여 원료인 탄소원자 개수 9~13 파라핀 탄화수소 피드를 0.7ml/분으로 일정하게 반응기로 연속적으로 공급하였으며, 액체공간속도는 21 h-1로 일정하게 고정하였다. 반응압력은 1.6기압으로 일정하게 압력조절기를 사용하여 유지하였다. 반응 후 생성되는 물질은 액체크로마토그래피(Liquid Chromatography)를 사용하여 정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올레핀 생성 전환율과 올레핀 선택도는 다음과 같은 기준에 의해 계산하였다.
수학식 1
파라핀의 전환율 = [반응 전 파라핀 몰수-반응 후 파라핀 몰수] / [반응전 파라핀 몰수] ×100
올레핀의 선택도 =[생성물 중 올레핀의 몰수] / [생성물의 몰수] ×100%
구분 담체 내 금속 분포 금속 층 두께 (μm) 파라핀 전환율 (%) 올레핀 선택도
(%)
올레핀 수율
(%)
실시예 1 외부 약 75 17.8 96.5 17.1
실시예 2 외부 약 70 17.6 95.2 16.8
실시예 3 외부 약 20 16.3 96.3 15.7
실시예 4 외부 약 100 18.1 91.7 16.6
비교예 1 균일 분포 ~1600 18.4 85.4 15.7

Claims (6)

  1. 파라핀계 탈수소화 반응용 촉매 제조방법에 있어서,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담체에 첨가시켜 계면활성제/담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계면활성제/담체를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계면활성제/담체를 질소분위기에서 탄화하여 탄화 계면활성제/담체를 형성하는 단계;
    탄화 계면활성제/담체 외부에 활성금속 전구체를 담지하는 단계;
    상기 활성금속이 담지된 결과물을 건조 후 500-900℃로 2-10 시간 동안 소성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파라핀계 탈수소화 반응용 촉매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소성단계 이후, 상기 소성 촉매를 수소 분위기에서 400-700℃로 환원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탈수소화 반응용 촉매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금속은 백금; 주석; 알칼리 또는 알칼리토금속;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소화 반응용 촉매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카르복실산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소화 반응용 촉매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해 제조되는 알루미나 담체 외면에 활성금속이 균일한 층을 이루며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핀계 탈수소화 반응용 촉매.
  6. 제5항에 의한 촉매를 이용하여 파라핀, 수소로 이루어진 혼합기체를 450-500℃의 반응온도, 0-2기압, 파라핀 탄화수소의 액체공간속도(LHSV: Liquid Hourly Space Velocity) 1-30h-1인 조건하에서 탈수소화 반응시켜 올레핀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130149678A 2013-12-04 2013-12-04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탄화수소 탈수소화 촉매 제조방법 KR101456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678A KR101456900B1 (ko) 2013-12-04 2013-12-04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탄화수소 탈수소화 촉매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678A KR101456900B1 (ko) 2013-12-04 2013-12-04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탄화수소 탈수소화 촉매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6900B1 true KR101456900B1 (ko) 2014-11-04

Family

ID=52289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9678A KR101456900B1 (ko) 2013-12-04 2013-12-04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탄화수소 탈수소화 촉매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69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07992A1 (ko) * 2017-05-11 2018-11-15 희성촉매 주식회사 높은 재생 효율의 직쇄형 경질탄화수소류 탈수소화 촉매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8729A (ko) * 1999-07-02 2001-02-05 손재익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고온 촉매연소용 고표면적 알루미나 촉매의 제조방법
KR100365687B1 (ko) * 1995-05-25 2003-04-21 주식회사 효성 파라핀계탄화수소탈수소반응용촉매조성물
KR101087260B1 (ko) * 2009-06-23 2011-11-29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중공형 메조다공성 실리카 캡슐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5687B1 (ko) * 1995-05-25 2003-04-21 주식회사 효성 파라핀계탄화수소탈수소반응용촉매조성물
KR20010008729A (ko) * 1999-07-02 2001-02-05 손재익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고온 촉매연소용 고표면적 알루미나 촉매의 제조방법
KR101087260B1 (ko) * 2009-06-23 2011-11-29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중공형 메조다공성 실리카 캡슐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07992A1 (ko) * 2017-05-11 2018-11-15 희성촉매 주식회사 높은 재생 효율의 직쇄형 경질탄화수소류 탈수소화 촉매 제조방법
KR20180124313A (ko) * 2017-05-11 2018-11-21 희성촉매 주식회사 높은 재생 효율의 직쇄형 경질탄화수소류 탈수소화 촉매 제조방법
KR101972121B1 (ko) 2017-05-11 2019-04-24 희성촉매 주식회사 높은 재생 효율의 직쇄형 경질탄화수소류 탈수소화 촉매 제조방법
CN110603096A (zh) * 2017-05-11 2019-12-20 喜星触媒株式会社 高再生效率的直链轻烃的脱氢催化剂的制备方法
CN110603096B (zh) * 2017-05-11 2023-11-07 喜星触媒株式会社 高再生效率的直链轻烃的脱氢催化剂的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7845B1 (ko) 스폰지형 담체를 이용한 탄화수소 탈수소화 촉매 제조방법
US20180133694A1 (en) Preparation method of platinum/tin/metal/alumina catalyst for direct dehydrogenation of n-butane and method for producing c4 olefins using said catalyst
KR101803051B1 (ko) 1,3-부타디엔의 제조방법
KR101814451B1 (ko) 안정화 활성금속 착체를 이용한 직쇄형 탄화수소류 탈수소화 촉매 제조방법
CN108290140B (zh) 使用稳定活性金属复合物制备用于直链轻质烃的脱氢催化剂的方法
US20110144400A1 (en) Highly porous foam ceramics as catalyst carriers for the dehydrogenation of alkanes
US20140309470A1 (en) PREPARATION METHOD OF PLATINUM/TIN/ALUMINA CATALYST FOR DIRECT DEHYDROGENATION OF n-BUTANE AND METHOD FOR PRODUCING C4 OLEFINS USING SAID CATALYST
KR101972121B1 (ko) 높은 재생 효율의 직쇄형 경질탄화수소류 탈수소화 촉매 제조방법
KR101921407B1 (ko) 탈수소 촉매 및 그의 제조방법
US20110301392A1 (en) Variation of tin impregnation of a catalyst for alkane dehydrogenation
CN112439443B (zh) 一种轻质烯烃骨架转化催化剂及其制备方法
KR101527841B1 (ko) 중공형 담체를 이용한 탄화수소 탈수소화 촉매 제조방법
KR102262896B1 (ko) 산화적 탈수소화 반응용 촉매 시스템, 이를 포함하는 부타디엔 제조용 반응기 및 1,3-부타디엔의 제조방법
KR101456900B1 (ko)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탄화수소 탈수소화 촉매 제조방법
JP2022502252A (ja) 高効率の分岐型硬質炭化水素類の脱水素化触媒の製造方法
JP2012512023A (ja) 高いアクセシビリティー・インデックスを有する層状球状体触媒
CN109569703B (zh) 由石脑油和甲醇生产汽油组分的催化剂及制备方法与应用
CN112469503A (zh) 用于轻烃脱氢的双层结构催化剂
KR102035471B1 (ko) 선택도가 우수한 탈수소 촉매의 제조방법
KR102113122B1 (ko) 탈수소 촉매의 제조방법
RU2517187C2 (ru) Способ применения слоистых сферических катализаторов с высоким коэффициентом доступности
KR101839568B1 (ko) 금속 담지 촉매,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탄소수 4의 올레핀 제조 방법
JP2020522380A (ja) 安定性、転換率、及び選択度が向上したオレフィン製造用触媒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223597B1 (ko) 아세틸렌의 선택적 수소화용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31146B1 (ko) 메틸사이클로펜탄으로부터 고순도의 벤젠 제조용 촉매 및 이를 이용한 벤젠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