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9246B1 - 회전식 도어의 도어 힌지 높이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식 도어의 도어 힌지 높이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9246B1
KR101489246B1 KR20130109993A KR20130109993A KR101489246B1 KR 101489246 B1 KR101489246 B1 KR 101489246B1 KR 20130109993 A KR20130109993 A KR 20130109993A KR 20130109993 A KR20130109993 A KR 20130109993A KR 101489246 B1 KR101489246 B1 KR 101489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upport
support bracket
height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9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로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로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로브
Priority to KR20130109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92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9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9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revolv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4Flat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4Adjustable with position retain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ri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식 도어를 구성하는 도어의 일측면을 문틀의 지지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도어 힌지로서, 문틀의 지지 프레임 측에 고정 연결된 제 1 지지 브라켓; 도어 측에 고정 연결된 제 2 지지 브라켓; 및 제 1 지지 브라켓과 제 2 지지 브라켓 사이에 상대적 회전을 위하여 제공되는 힌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어 힌지에서, 제 1 지지 브라켓에 대한 제 2 지지 브라켓의 상대적인 수직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도어 힌지의 높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회전식 도어의 도어 힌지 높이 조절 장치 {APPARATUS FOR FOR REGULATING THE RELATIVE HEIGHT OF A DOOR HINGE IN A ROTATING DOOR}
본 발명은 회전식 도어를 구성하는 도어와 문틀의 지지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도어 힌지에 있어서, 문틀의 지지 프레임 측에 고정 연결된 제 1 지지 브라켓과 도어 측에 고정 연결된 제 2 지지 브라켓 사이의 상대적인 수직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기로는 제 1 지지 브라켓과 제 2 지지 브라켓 사이에 힌지부가 제공되는 도어 힌지에 있어서, 도어 시공시에 발생하는 시공 오차나 도어의 하중에 의한 제 2 지지 브라켓의 하방 처짐 등의 요인에 의하여 힌지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수직 변위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정확한 여닫힘 성능을 확보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도어 힌지에서 발생하는 마찰에 의한 부품 손상이나 마찰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식 도어의 도어 힌지의 상대적 높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전식 도어는 도어가 설치되는 문틀의 지지 프레임 내에 도어의 일측면이 고정 설치되면서 이러한 고정 설치면 내에 회전축을 구비한 도어 힌지부가 설치되도록 하여서 도어의 수평 회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도어 힌지부는 다양한 형태와 구조를 가진 제품들이 개발되어서 사용되고 있는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핀 타입의 힌지봉을 사용한 일반적인 힌지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힌지봉을 지지하는 힌지 프레임에 변형이 발생하지 않고 힌지 프레임을 도어 또는 문틀의 지지 프레임에 고정 연결하는 고정 수단의 강성이 충분하다면 도어의 수직 하중에 의한 수직 변위가 발생하지는 않음이 일반적이나, 도어 상단과 하단 사이에 발생하는 수직면 상의 회전 모멘트에 저항하는 강성이 약하여 도어를 대형화하는 경우에 힌지 경첩부의 크기와 강성 및 그 고정 수단(앵커)의 크키와 강성도 함께 증가되어야 하기에 도어의 대형화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나아가 도어의 크기는 대형화하면서도 도어의 단면 규격(또는 도어를 구성하는 유리창을 지지하는 도어 프레임의 단면 규격)은 이를 최소화하여 슬림화하고자 하는 수요자층의 요청에 부응하는 것과 고정 수단(앵커)의 크기를 증가시켜야 하는 것은 서로 상충하는 문제가 되기 때문에 해결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핀 타입의 힌지봉을 사용한 일반적인 힌지부와 다른 구조로서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기어 힌지부(기어 경첩부)가 도어의 대형화 경향에 맞추어서 도어 수직면 상에서 도어 상단과 하단 사이에 발생하는 회전 모멘트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구조체로서 개발되어서 사용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러한 기어 힌지부의 세부적인 구성과 이를 사용한 회전식 도어의 사용예를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회전식 도어(100U)는 문틀의 도어 지지 프레임(10) 중에서 일측의 수직 프레임에 기어 힌지부(30)를 구성하는 제 1 지지 브라켓(31)이 스크류(30a)에 의해 고정 연결되고, 기어 힌지부(30)를 구성하는 제 2 지지 브라켓(32)은 도어(20)의 일측면에 스크류(30a)에 의해 고정 연결되며, 이러한 제 1 지지 브라켓(31)과 제 2 지지 브라켓(32)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종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기어부(31a, 32a)가 서로 맞물리도록 제공되며, 이러한 제 1 지지 브라켓(31)과 제 2 지지 브라켓(32)의 기어부(31a, 32a)가 상호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면서 그 맞물리는 기어 이빨 부분이 변화되면서 제 1 지지 브라켓(31)과 제 2 지지 브라켓(32)의 접철 회동이 가능하도록 제 1 지지 브라켓(31)과 제 2 지지 브라켓(32) 사이에서 기어부(31a, 32a)를 후방에서 지지하는 회동 지지 프레임(33)(도 3 참조)이 제공된다.
한편, 기어 힌지부(30)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활한 회동 작용과 회전 모멘트에 대한 높은 저항력을 제공하는 평면 회동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지지 브라켓(31)과 제 2 지지 브라켓(32)의 일단부에 제공되어 상호 맞물리는 기어부(31a, 32a)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회전축 지지 포켓(31b, 32b)에는 회동 지지 프레임(33)의 양단으로부터 절곡 형성되어 제공되는 힌지축 돌출부(33a)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지게 되고, 그리고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지지 브라켓(31)과 제 2 지지 브라켓(32) 각각은 회동 지지 프레임(33) 양단의 힌지축 돌출부(33a)를 중심으로 상호 연동되어서 축회전하게 되는데, 예컨데 제 1 지지 브라켓(31)이 문틀의 지지 프레임(10) 측에 고정되고 제 2 지지 브라켓(32)이 도어(20) 측에 고정되는 경우라면 도면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지지 브라켓(32)이 고정된 제 1 지지 브라켓(3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제 2 지지 브라켓(32)의 축회전의 한계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회동하는 제 1 지지 브라켓(31)과 제 2 지지 브라켓(32) 외측면에 형성된 회전축 지지 포켓(31b, 32b)에 회동 지지 프레임(33) 양단 절곡부의 외측 모서리부가 수용되면서 더 이상이 과도한 회전이 차단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4 내지 도 7의 도면에 나타난 구조의 경우 제 1 지지 브라켓(31)에 대하여 제 2 지지 브라켓(32)의 약 180도의 회전이 가능한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회동되어 접철되는 제 1 지지 브라켓(31)과 제 2 지지 브라켓(32) 양측에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기어부(31a, 32a)와, 이러한 기어부(31a, 32a)의 맞물림 회동을 지지하는 회동 지지 프레임(33)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면 상에서의 제 1 지지 브라켓(31)과 제 2 지지 브라켓(32) 사이의 원활한 회동을 제공하면서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기어의 이빨들이 상호 맞물려 있는 구조를 제공하기 때문에, 도어(20)가 대형화되어서 도어 수직면 상에서 도어 상단과 하단 사이에 발생하는 회전 모멘트가 증가하더라도 이에 충분히 대항할 수 있도록 하며, 따라서 도어의 설치 방향이나 위치에 있어서 뒤틀림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적인 안정성을 제공한다.
한편, 양측에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기어부(31a, 32a)에 의해 상호 맞물린 상태로 회전하는 제 1 지지 브라켓(31)과 제 2 지지 브라켓(32)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0) 측에 고정 연결된 제 2 지지 브라켓(32)이 문틀의 지지 프레임(10) 측에 고정 연결된 제 1 지지 브라켓(31)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단면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도록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지지 브라켓(31)과 제 2 지지 브라켓(32)에는 서로 대향하는 개구부(31c, 32c)를 형성하고, 그리고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향하는 개구부(31c, 32c)에 공통적으로 끼워지는 수직 걸림구(34)를 삽입하고, 이를 체결구(35)를 통하여 회동 지지 프레임(33)의 내측면에 고정하게 되는데, 이러한 걸림구(34)의 일단은 회동 지지 프레임(33)의 내측 공간부에 형상적으로 매칭되며 수용되어 일체화된 기어 힌지부(30)를 형성하게 된다.
제 1 지지 브라켓(31)과 제 2 지지 브라켓(32) 사이에서 방향하는 종방향 변위를 억제하고 수직 하중을 지지하도록 제공되는 이러한 수직 걸림구(34)의 상부면과 하부면은 도어 회동 개폐시에 제 1 지지 브라켓(31)과 제 2 지지 브라켓(32)의 기어부(31a, 32a)에서 개구부(31c, 32c)가 형성된 부분의 단면과 마찰하며 이들을 지지하게 되는데, 따라서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합금 소재 등의 금속 재료로 만들어지는 제 1 지지 브라켓(31)과 제 2 지지 브라켓(32)과는 달리 마찰 소음을 방지할 수 있으며 마찰 계수가 낮은 합성 수지 재료로 만들어진다.
하지만 대형화된 도어(20)가 지금까지 설명된 기어 힌지부(30)를 통하여 문틀의 지지 프레임(10)에 설치되고 사용되는 실제의 상황에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0)의 하중("W")에 의해 도어(20) 측에 고정 연결된 제 2 지지 브라켓(32)에 유도되는 하방 변위는 수직 걸림구(34)와의 접촉 단면에서의 마찰력이 증가하고, 따라서 도어 회동 개폐시에 마찰 소음이 과도하게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대형화된 도어에서 발생하는 마찰 소음은 앞서 설명한 재료적인 해결책만으로는 회피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물론, 유압 장치 등을 이용한 지금까지 공지된 여러가지 유형의 리프팅 장치로서 제 2 지지 브라켓(32)이 고정된 도어(20)를 들어 올림으로써 제 2 지지 브라켓()에 상방 변위를 인가하여 수직 걸림구(34)와의 접촉 단면에서의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도 있지만, 이러한 리프팅 장치로 0.1mm 내지는 0.5mm 정도의 미세한 정도의 높이 조정이 거의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과도하게 큰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지금까지 회전식 도어의 도어 힌지에 관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설명하면서 기어 힌지부를 사용한 예를 중점적으로 설명하였지만, 회전식 도어의 도어 힌지부를 구성하는 부품 사이의 수직 방향의 변위 또는 이격이 발생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것이라면 그 힌지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달리하여도 기어 힌지부가 가진 기술적인 문제점과 실질적으로 대등한 문제점을 가진 것으로 봄이 타당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회전식 도어를 구성하는 도어의 하중에 의해 도어 힌지부를 구성하는 부품 사이의 수직 방향의 변위 또는 이격이 발생하더라고 이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는 간단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회전식 도어의 기어 힌지부를 구성하도록 도어 측에 고정 연결된 제 2 지지 브라켓 측에 하방 변위가 발생하여 수직 걸림구와의 접촉 단면에서의 마찰 소음이 증가하는 경우에, 그 마찰 정도를 감축할 수 있도록 제 2 지지 브라켓 측에 미세한 크기의 수직 상방 변위를 단계적으로 도입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식 도어를 구성하는 도어의 일측면을 문틀의 지지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도어 힌지로서, 문틀의 지지 프레임 측에 고정 연결된 제 1 지지 브라켓; 도어 측에 고정 연결된 제 2 지지 브라켓; 및 제 1 지지 브라켓과 제 2 지지 브라켓 사이에 상대적 회전을 위하여 제공되는 힌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어 힌지에서, 제 1 지지 브라켓에 대한 제 2 지지 브라켓의 상대적인 수직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도어 힌지의 높이 조절 장치에 있어서,
도어의 저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블록과;
도어 힌지를 구성하는 제 1 지지 브라켓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되는 제 2 지지 브라켓과 이에 고정 연결된 도어의 회전 궤적을 따라서 평면적으로 분할된 회전 범위에 위치하는 상기 슬라이딩 블록을 그 하방에서 각각 지지하는 제 1 지지판 및 제 2 지지판과;
상기 제 1 지지판 및 상기 제 2 지지판이 평면상으로 인접하여 배치되도록 올려져 고정되는 것으로서 도어가 설치되는 바닥면 또는 문틀의 지지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도어 지지 블록 본체와; 그리고
상기 제 1 지지판 및 상기 제 2 지지판과 상기 도어 지지 블록 본체 사이에 적층 배치되는 다수개의 높이 조절 박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그리고
상기 제 1 지지판과 상기 도어 지지 블록 본체 사이에 적층 배치되는 제 1 높이 조절 박판의 갯수와 상기 제 2 지지판과 상기 도어 지지 블록 본체 사이에 적층 배치되는 제 2 높이 조절 박판의 갯수를 조절하여, 도어의 회전 궤적을 따라서 평면적으로 분할된 회전 범위에 위치하는 상기 슬라이딩 블록이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지지판 및 상기 제 2 지지판에 의해 지지되는 높이가 단계적으로 변경되도록 형성되는 회전식 도어의 도어 힌지 높이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높이 조절 박판은 스테인리스 스틸 강판을 포함하는 금속 박판 재료서 그 두께는 0.1 mm 내지는 0.2 mm 정도의 얇은 박판으로 가공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그 적층 갯수에 따라서 0.1 mm 내지는 1 mm 정도의 총 높이 범위를 0.1 mm 내지는 0.2 mm의 작은 높이 변화 단계로 나누어서 정밀한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지지판과 상기 제 2 지지판 사이의 높이 차이가 있는 경계부를 통과하는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지지판과 상기 제 2 지지판 사이의 경계부 모서리 또는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저면 모서리부는 라운딩 가공부가 제공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도어의 도어 힌지 높이 조절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구성에 따르면, 회전식 도어를 구성하는 도어의 하중에 의해 도어 힌지부를 구성하는 부품 중에서 제 1 지지 브라켓과 제 2 지지 브라켓 사이의 수직 방향의 변위 또는 이격이 발생하더라고 이를 간단한 장치를 통하여 적절하게 미세 조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이로써 제 1 지지 브라켓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제 2 지지 브라켓과 힌지부를 구성하는 다른 부품과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기어 힌지부의 경우에는 수직 걸림구에서 발생하는 마찰 소음을 도어 및 제 2 지지 브라켓의 상대적인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함으로써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서 도어의 대형화에 따른 소음 발생 문제를 완화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회전식 도어의 설치 상태 사시도로서, 상단 모서리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회전식 도어의 설치 상태 사시도로서, 하단 모서리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3는 도 1 및 도 2의 회전식 도어의 도어 힌지를 구성하는 기어 힌지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도 3에 도시된 기어 힌지부의 작동 상태 단면도로서, 도 4는 도어에 연결되는 제 2 지지 브라켓이 접힌 상태를 그리고 도 7은 도어가 완전 개방되도록 제 2 지지 브라켓이 회전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기어 힌지부의 제 1 지지 브라켓과 제 2 지지 브라켓 사이의 회동 각도 변화에 따른 기어부의 맞물림 상태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기어 힌지부의 제 1 지지 브라켓과 제 2 지지 브라켓 사이에 수직 방향(종방향) 상대 변위가 발생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기어 힌지부의 후방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주요부("K")에서 수직 걸림구를 조립 상태를 전면 방향에서 도시한 조립도이다.
도12는 도 10의 기어 힌지부에서 제 1 지지 브라켓과 제 2 지지 브라켓 사이의 회동 각도 변화에 따른 기어부의 맞물림 상태가 변화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도어의 도어 힌지 높이 조절 장치를 회전식 도어에 설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도어의 도어 힌지 높이 조절 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회전식 도어의 도어 힌지 높이 조절 장치의 일 실시예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도면에서 높이 조절 박판의 갯수를 1개 증가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은 회전식 도어의 설치 상태 평면도와 도어 개방 작동 상태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힌지 높이 조절 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회전식 도어의 작동 상태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주요부로 나타낸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1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힌지 높이 조절 장치를 사용하여 회전식 도어를 구성하는 도어의 높이가 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도어의 도어 힌지 높이 조절 장치를 회전식 도어에 설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도어의 도어 힌지 높이 조절 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그리고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회전식 도어의 도어 힌지 높이 조절 장치의 일 실시예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도면에서 높이 조절 박판의 갯수를 1개 증가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도어의 도어 힌지 높이 조절 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회전식 도어를 구성하는 도어(20)의 일측면을 문틀의 지지 프레임(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도어 힌지(30)로서, 문틀의 지지 프레임(10) 측에 고정 연결된 제 1 지지 브라켓(31); 도어(20) 측에 고정 연결된 제 2 지지 브라켓(32); 및 제 1 지지 브라켓(31)과 제 2 지지 브라켓(32) 사이에 상대적 회전을 위하여 제공되는 힌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어 힌지(30)에서, 제 1 지지 브라켓(31)에 대한 제 2 지지 브라켓(32)의 상대적인 수직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도어 힌지의 높이 조절 장치(300)가 제공된다.
이러한 도어 힌지의 높이 조절 장치(30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0)의 저면에 부착 설치되는 슬라이딩 블록(380)과;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힌지(30)를 구성하는 제 1 지지 브라켓(3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되는 제 2 지지 브라켓(32)과 이에 고정 연결된 도어(20)의 회전 궤적을 따라서 평면적으로 분할된 회전 범위에 위치하는 상기 슬라이딩 블록(380)을 그 하방에서 각각 지지하는 제 1 지지판(321) 및 제 2 지지판(322)과; 상기 제 1 지지판(321) 및 상기 제 2 지지판(322)이 평면상으로 인접하여 배치되도록 올려져 고정되는 것으로서 도어(20)가 설치되는 바닥면 또는 문틀의 지지 프레임(10)에 고정 설치되는 도어 지지 블록 본체(310)와; 그리고 상기 제 1 지지판(321) 및 상기 제 2 지지판(322)과 상기 도어 지지 블록 본체(310) 사이에 적층 배치되는 다수개의 높이 조절 박판(3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도어 지지 블록 본체(3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를 45°로 분할할 2개의 분할 평면 상에 제 1 지지판(321) 및 제 2 지지판(322)을 구비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15와 비교하여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지지판(321)과 상기 도어 지지 블록 본체(310) 사이에 적층 배치되는 제 1 높이 조절 박판(330)의 갯수(도 15에는 1개 : 도 16에는 2개)와 상기 제 2 지지판(321)과 상기 도어 지지 블록 본체(310) 사이에 적층 배치되는 제 2 높이 조절 박판(330)의 갯수를 조절하여, 도어(20)의 회전 궤적을 따라서 평면적으로 분할된 회전 범위에 위치하는 상기 슬라이딩 블록(380)이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지지판(321) 및 상기 제 2 지지판(322)에 의해 지지되는 높이가 단계적으로 변경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에서, 슬라이딩 블록(380)이 지지되는 높이가 도어 힌지의 높이 조절 장치(300)에 의해 단계적으로 변경되는 구체적인 작동 과정은 도 19 및 도 20과 그리고 도 21 내지 도 28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높이 조절 박판(330)은 두께 0.1 mm 내지 0.2 mm의 스테인리스 스틸 강판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정밀하고 미세한 높이 조절 측면에서 바람직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지지판(321)과 상기 제 2 지지판(322) 사이에 높이 차이가 있는 경계부가 형성될 때 이를 통과하는 상기 슬라이딩 블록(380)의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지지판(321)과 상기 제 2 지지판(322) 사이의 경계부 상부 모서리(321a, 322a)에는 라운딩 가공부가 제공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물론, 상기 제 1 지지판(321)과 상기 제 2 지지판(322) 사이의 높이 차이가 있는 경계부를 통과하는 상기 슬라이딩 블록(380)의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블록(380)의 저면 모서리에 라운딩 가공부가 제공될 수도 있다.
상술한 라운딩 가공부를 대신하여 단순한 경사면을 도입할 수도 있을 것이나, 이는 본 발명의 관점에서 상기 라운딩 가공부와 등가물로 해석됨이 타당할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 지지판(321) 및 상기 제 2 지지판(322)이 도어 지지 블록 본체(310)의 상부면에 고정되기 위하여, 상기 제 1 지지판(321) 및 상기 제 2 지지판(322)에는 고정용 체결공(321b, 322b)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높이 조절 박판(330)의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공(330b)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용 체결공(321b, 322b)과 상기 관통공(330)을 관통하여 체결나사(341, 342)가 도어 지지 블록 본체(310)의 상부 체결공(310b)에 체결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 나사(341, 342)가 상기 도어 지지 블록 본체(310)의 상부 체결공(310b)에 체결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 나사(341, 342)의 나사 머리는 상기 제 1 지지판(321) 및 상기 제 2 지지판(322)의 상부 평면 아래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도어 지지 블록 본체(310)의 고정된 위치를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 지지 블록 본체(310)의 일측으로는 문틀의 지지 프레임(10)을 구성하는 하단 프레임(10d)에 고정 설치되기 위한 고정 플랜지(311)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고정 플랜지(311)에 형성된 체결공(311a)을 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나사(315)가 문틀의 지지 프레임(10)을 구성하는 하단 프레임(10d)의 상부면에 고정되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도어 지지 블록 본체(310)의 중심부에는 횡방향으로 또 다른 체결공(314)이 제공하고, 이를 관통하는 체결나사(316)(도 22 등 참조)가 문틀의 지지 프레임(10)을 구성하는 하단 프레임(10d)의 측면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확실한 고정 위치 확보를 가능하도록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더욱 바림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어 지지 블록 본체(310)의 저면에는 도어가 설치되는 바닥면과 하단 프레임(10d)의 상대적인 높이 차이를 보정하기 위한 설치 높이 조정용 추가 블럭(312)이 제공될 수 있으며, 그리고 도어 하중에 따른 도어 지지 블록 본체(310)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어 지지 블록 본체(310)의 저면이 도어가 설치되는 바닥면의 골조에 매입 설치되는 앵커(318)(도 22 등 참조)에 용접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먼저 도 13 내지 도 16을 예시하면서 설명된 도어 힌지의 높이 조절 장치(300)가 사용되는 회전식 도어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 도면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7은 회전식 도어의 하나의 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에 따르면 회전식 도어를 구성하는 도어 손잡이(20h)를 구비한 도어(20)와, 그 일측면을 문틀의 지지 프레임(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도어 힌지(30)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도어 힌지(30)는 문틀의 지지 프레임(10) 측에 고정 연결된 제 1 지지 브라켓(31); 도어(20) 측에 고정 연결된 제 2 지지 브라켓(32); 및 제 1 지지 브라켓(31)과 제 2 지지 브라켓(32) 사이에 상대적 회전을 위하여 제공되는 힌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도 17에 도면 부호 (33)으로 도시된 부분은 제 1 지지 브라켓(31)과 제 2 지지 브라켓(32) 사이에 상대적 회전을 위하여 제공되는 힌지부에 해당하고, 본 발명이 적용되는 회전식 도어가 도어 힌지(30)로서 도 1 내지 도 12로 예시한 기어 힌지부를 구비한 경우에는 도면 부호 (33)이 회동 지지 프레임(33)과 그에 지지되는 기어부(31a, 32a)의 구성 등을 포함하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힌지부가 기어 힌지부로서 제공되는 경우에는, 제 1 지지 브라켓(31)과 제 2 지지 브라켓(32)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종방향으로 서로 맞물리도록 각각 형성되는 기어부(31a, 32a)와; 제 1 지지 브라켓(31)과 제 2 지지 브라켓(32)의 기어부(31a, 32a)가 상호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면서 그 맞물리는 기어 이빨 부분이 변화되면서 제 1 지지 브라켓(31)과 제 2 지지 브라켓(32)의 접철 회동이 가능하도록 제 1 지지 브라켓(31)과 제 2 지지 브라켓(32) 사이에서 기어부(31a, 32a)를 후방에서 지지하는 회동 지지 프레임(33)과; 그리고 상기 회동 지지 프레임(33)의 양단으로부터 절곡 형성되어 제공되는 힌지축 돌출부(33a)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제 1 지지 브라켓(31)과 제 2 지지 브라켓(32)의 상기 기어부(31a, 32a)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회전축 지지 포켓(31b, 32b)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는, 제 1 지지 브라켓(31)과 제 2 지지 브라켓(32) 각각은 회전축 지지 포켓(31b, 32b)에 수용된 회동 지지 프레임(33) 양단의 힌지축 돌출부(33a)를 중심으로 상호 연동되어서 축회전하도록 제공되며, 제 1 지지 브라켓(31)과 제 2 지지 브라켓(32) 외측면에 형성된 회전축 지지 포켓(31b, 32b)에 회동 지지 프레임(33) 양단 절곡부의 외측 모서리부가 수용되면서 더 이상의 회전이 차단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하 도면에서 간단하게 도면 부호 (33)으로 도시된 부분은 도어 힌지부를 구성하는 부품 사이의 수직 방향의 변위 또는 이격이 발생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것이라면 그 힌지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달리하여도 앞서 설명된 기어 힌지부와 균등한 것을 포함하여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첨부 도면 도 18에는 도어 힌지부(30)에서 발생하는 제 1 지지 브라켓(31)에 대한 제 2 지지 브라켓(32)의 회동 작동에 의해 도어(20)가 개폐되는 작동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어(20)가 닫힌 (A)상태와 달리 도어(20)가 일부 개방된 (B)상태에서는 문틀의 지지 프레임(10)의 하단 프레임(10d)도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회전식 도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 힌지의 높이 조절 장치(300)를 설치하게 되면,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0)의 저면에 부착 설치되는 슬라이딩 블록(380)이, 도어 힌지(30)를 구성하는 제 1 지지 브라켓(3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되는 제 2 지지 브라켓(32)을 따라 회전하는 도어(20)의 저면에서 도어(20)의 회전 궤적을 따라서 평면적으로 분할된 제 1 지지판(321) 및 제 2 지지판(322) 사이에서 지지되면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도 20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슬라이딩 블록(380)의 위치는 도어(20)가 닫힌 상태(도 18의 (A) 상태)를,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 슬라이딩 블록(380)의 위치는 도어(20)가 90°정도 개방된 상태(도 18의 (B) 상태)를, 그리고 실선으로 나타낸 슬라이딩 블록(380)의 위치는 도어(20)가 180°정도 완전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따르면, 도어(20)가 180°정도 완전 개방된 상태에서는 슬라이딩 블록(380)이 제 2 지지판(322)의 상부면 위에 올려지고,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는 슬라이딩 블록(380)이 제 1 지지판(321)의 상부면 위에 올려지게 되며, 그리고 그 사이의 도어(20)가 90°정도 개방된 상태에서는 제 1 지지판(321)과 제 2 지지판(322) 사이의 경계부에 위치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기 제 1 지지판(321) 및 상기 제 2 지지판(322)과 이들을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도어 지지 블록 본체(310) 사이에 적층 배치되는 높이 조절 박판(330)의 갯수에 차이가 있다면 그 상부의 제 1 지지판(321)과 제 2 지지판(322)의 높이 변화가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그 상부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 블록(380)이 지지되는 면의 높이도 높이 조절 박판(330)의 두께 만큼 변화하게 되며, 결국에는 도어(20)는 도어 힌지(30)를 중심으로한 회동 작용을 하면서 도어 힌지를 구성하는 부품들 사이의 수직 방향의 이동 변위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하여 미세한 간격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도 19 및 도 20은 평단면도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를 통하여 구체적인 높이 조절 작동 상태를 확인하기 어렵기에 도 20의 a-a선 단면에 따른 작동 상태 단면도를 도 21 내지 도 28에 나타내고 있다.
도 21은 도 20의 점선 상태로 도시한 도어(20)가 닫힌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22는 도 21의 "B1" 부분을 확대 도시하고 있다.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 1 지지판(321) 아래의 높이 조절 박판(330)은 도 22에서 도면부호 (330-1) 및 (330-2)로 도시한 2개가 있으며, 그리고 제 2 지지판(322) 아래의 제 2 높이 조절 박판(330)은 도 22에서 도면부호 (330-1), (330-2), 및 (330-3)으로 도시한 3개가 있는 상태로서, 그리하여 제 2 지지판(322)의 높이가 제 1 지지판(321)의 높이 보다 도면부호 (330-3)의 높이 조절 박판의 두께 만큼 높은 상태에 있으며, 현재 상태의 슬라이딩 블록(380)의 위치는 제 1 지지판(321) 상에 위치하고 있다. 이는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제 2 지지판(322)을 도어 지지 블록 본체(310)에 고정하는 체결 나사(342)를 풀어서 분리한 다음에, 제 2 지지판(322)과 도어 지지 블록 본체(310)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높이 조절 박판(330)의 갯수를 1개(도면에 1개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 추가함으로써 달성되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도어(20)를 도어 힌지부(33)를 통하여 180°회동시켜서 개방하게 되면 도 23 및 도 24(도 23의 "B2" 부분 확대도)에 도시된 상태에 도달하게 되는데, 이는 도 20의 실선으로 도시된 슬라이딩 블록(380)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이다.
도 23과 그리고 도 23의 "B2" 부분 확대도에 해당하는 도 2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슬라이딩 블록(380)이 그 전에 위치하던 제 1 지지판(321)의 높이 보다 도면부호 (330-3)의 높이 조절 박판의 두께 만큼 높은 상태에 있는 제 2 지지판(322) 상으로 상승하여 위치하게 되고, 따라서 도어(20)의 수직 높이와 그리고 회동 힌지부(30)를 구성하는 제 2 지지 브라켓(32)의 제 1 지지 브라켓(31)에 대한 상대적인 수직 높이 또한 도면부호 (330-3)의 높이 조절 박판의 두께(예컨대, 0.1mm) 만큼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 1 지지판(321)을 도어 지지 블록 본체(310)에 고정하는 체결 나사(341)를 풀어서 분리한 다음에, 제 1 지지판(321)과 도어 지지 블록 본체(310) 사이에 배치되는 높이 조절 박판(330)의 갯수를 1개(도면에 1개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 추가하여 제 2 지지판(322)의 높이와 동일하게 맞추어서, 도 25와 그리고 도 25의 "B3" 부분 확대도에 해당하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상적인 도어 설치 상태를 회복하도록 할 수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도어(20)를 닫게 되면, 도 27과 그리고 도 27의 "B4" 부분 확대도에 해당하는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블록(380)이 제 2 지지판(322)과 제 1 지지판(321)이 형성하는 수평면을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도 21 내지 도 28에서는 1 단계의 높이 조정 과정을 설명한 것으로서, 이를 여러 단계에 걸쳐서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적절한 크기의 높이 조정의 미세한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평면 상태로 전환하지 않고서, 제 1 지지판(321)과 도어 지지 블록 본체(310)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높이 조절 박판(330)의 갯수를 2개 추가함으로써 제 1 지지판(321)의 높이를 제 2 지지판(322)의 높이 보다 오히려 높게 맞추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도어(20)를 다시 닫는 경우에도 슬라이딩 블록(380)의 상승 이동 작용이 발생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작동 과정을 거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도어의 도어 힌지 높이 조절 장치(300)는 제 1 지지판(321)과 도어 지지 블록 본체(310) 사이에 적층 배치되는 제 1 높이 조절 박판(330)의 갯수와 제 2 지지판(321)과 도어 지지 블록 본체(310) 사이에 적층 배치되는 제 2 높이 조절 박판(330)의 갯수를 조절하여, 도어(20)의 회전 궤적을 따라서 평면적으로 분할된 회전 범위에 위치하는 상기 슬라이딩 블록(380)이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지지판(321) 및 상기 제 2 지지판(322)에 의해 지지되는 높이가 단계적으로 변경되도록 함으로써 도어 힌지부를 구성하는 부품들 사이에서 요청되는 상대적인 수직 변위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어(20) 하부에 부착 설치되는 슬라이딩 블록(380)은 도면에 예시된 바아 같이 별개의 부품으로 형성되어 저면에 부착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20) 저면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설치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구조 또한 포함하는 것이 당연함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문틀의 지지 프레임
20: 도어
30: 도어 힌지
31: 제 1 지지 브라켓
32: 제 2 지지 브라켓
300: 도어 힌지의 높이 조절 장치
380: 슬라이딩 블록
310: 도어 지지 블록 본체
321: 제 1 지지판
322: 제 2 지지판
330, 330-1, 330-2, 330-3: 높이 조절 박판 (제 1 높이 조절 박판, 제 2 높이 조절 박판)

Claims (9)

  1. 회전식 도어를 구성하는 도어(20)의 일측면을 문틀의 지지 프레임(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도어 힌지(30)로서, 문틀의 지지 프레임(10) 측에 고정 연결된 제 1 지지 브라켓(31); 도어(20) 측에 고정 연결된 제 2 지지 브라켓(32); 및 제 1 지지 브라켓(31)과 제 2 지지 브라켓(32) 사이에 상대적 회전을 위하여 제공되는 힌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어 힌지(30)에서, 제 1 지지 브라켓(31)에 대한 제 2 지지 브라켓(32)의 상대적인 수직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도어 힌지의 높이 조절 장치(300)에 있어서,
    도어(20)의 저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블록(380)과;
    도어 힌지(30)를 구성하는 제 1 지지 브라켓(3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되는 제 2 지지 브라켓(32)과 이에 고정 연결된 도어(20)의 회전 궤적을 따라서 평면적으로 분할된 회전 범위에 위치하는 상기 슬라이딩 블록(380)을 그 하방에서 각각 지지하는 제 1 지지판(321) 및 제 2 지지판(322)과;
    상기 제 1 지지판(321) 및 상기 제 2 지지판(322)이 평면상으로 인접하여 배치되도록 올려져 고정되는 것으로서 도어(20)가 설치되는 바닥면 또는 문틀의 지지 프레임(10)에 고정 설치되는 도어 지지 블록 본체(310)와; 그리고
    상기 제 1 지지판(321) 및 상기 제 2 지지판(322)과 상기 도어 지지 블록 본체(310) 사이에 적층 배치되는 다수개의 높이 조절 박판(3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그리고
    상기 제 1 지지판(321)과 상기 도어 지지 블록 본체(310) 사이에 적층 배치되는 제 1 높이 조절 박판(330)의 갯수와 상기 제 2 지지판(321)과 상기 도어 지지 블록 본체(310) 사이에 적층 배치되는 제 2 높이 조절 박판(330)의 갯수를 조절하여, 도어(20)의 회전 궤적을 따라서 평면적으로 분할된 회전 범위에 위치하는 상기 슬라이딩 블록(380)이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지지판(321) 및 상기 제 2 지지판(322)에 의해 지지되는 높이가 단계적으로 변경되도록 형성되는 회전식 도어의 도어 힌지 높이 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박판(330)은 스테인리스 스틸 강판을 포함하는 두께 0.1 mm 내지 0.2 mm의 금속 박판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도어의 도어 힌지 높이 조절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판(321)과 상기 제 2 지지판(322) 사이의 높이 차이가 있는 경계부를 통과하는 상기 슬라이딩 블록(380)의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지지판(321)과 상기 제 2 지지판(322) 사이의 경계부 상부 모서리(321a, 322a)에는 라운딩 가공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도어의 도어 힌지 높이 조절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판(321)과 상기 제 2 지지판(322) 사이의 높이 차이가 있는 경계부를 통과하는 상기 슬라이딩 블록(380)의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블록(380)의 저면 모서리에는 라운딩 가공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도어의 도어 힌지 높이 조절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판(321) 및 상기 제 2 지지판(322)이 도어 지지 블록 본체(310)의 상부면에 고정되기 위하여, 상기 제 1 지지판(321) 및 상기 제 2 지지판(322)에는 고정용 체결공(321b, 322b)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높이 조절 박판(330)의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공(330b)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용 체결공(321b, 322b)과 상기 관통공(330)을 관통하여 체결나사(341, 342)가 도어 지지 블록 본체(310)의 상부 체결공(310b)에 체결 고정되며, 그리고
    상기 체결 나사(341, 342)가 상기 도어 지지 블록 본체(310)의 상부 체결공(310b)에 체결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 나사(341, 342)의 나사 머리는 상기 제 1 지지판(321) 및 상기 제 2 지지판(322)의 상부 평면 아래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회전식 도어의 도어 힌지 높이 조절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지지 블록 본체(310)의 일측으로는 문틀의 지지 프레임(10)을 구성하는 하단 프레임(10d)에 고정 설치되기 위한 고정 플랜지(311)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도어의 도어 힌지 높이 조절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지지 블록 본체(310)의 저면에는 도어가 설치되는 바닥면과 하단 프레임(10d)의 상대적인 높이 차이를 보정하기 위한 설치 높이 조정용 추가 블럭(312)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도어의 도어 힌지 높이 조절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지지 블록 본체(310)의 저면은 도어가 설치되는 바닥면의 골조에 매입 설치되는 앵커(318)에 용접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도어의 도어 힌지 높이 조절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힌지(30)의 제 1 지지 브라켓(31)과 제 2 지지 브라켓(32) 사이에 상대적 회전을 위하여 제공되는 상기 힌지부는 기어 힌지부로서 제공되고,
    제 1 지지 브라켓(31)과 제 2 지지 브라켓(32)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종방향으로 서로 맞물리도록 각각 형성되는 기어부(31a, 32a)와;
    제 1 지지 브라켓(31)과 제 2 지지 브라켓(32)의 기어부(31a, 32a)가 상호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면서 그 맞물리는 기어 이빨 부분이 변화되면서 제 1 지지 브라켓(31)과 제 2 지지 브라켓(32)의 접철 회동이 가능하도록 제 1 지지 브라켓(31)과 제 2 지지 브라켓(32) 사이에서 기어부(31a, 32a)를 후방에서 지지하는 회동 지지 프레임(33)과; 그리고
    상기 회동 지지 프레임(33)의 양단으로부터 절곡 형성되어 제공되는 힌지축 돌출부(33a)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제 1 지지 브라켓(31)과 제 2 지지 브라켓(32)의 상기 기어부(31a, 32a)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회전축 지지 포켓(31b, 32b)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제 1 지지 브라켓(31)과 제 2 지지 브라켓(32) 각각은 회전축 지지 포켓(31b, 32b)에 수용된 회동 지지 프레임(33) 양단의 힌지축 돌출부(33a)를 중심으로 상호 연동되어서 축회전하도록 제공되며, 제 1 지지 브라켓(31)과 제 2 지지 브라켓(32) 외측면에 형성된 회전축 지지 포켓(31b, 32b)에 회동 지지 프레임(33) 양단 절곡부의 외측 모서리부가 수용되면서 회전이 차단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도어의 도어 힌지 높이 조절 장치.
KR20130109993A 2013-09-12 2013-09-12 회전식 도어의 도어 힌지 높이 조절 장치 KR101489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9993A KR101489246B1 (ko) 2013-09-12 2013-09-12 회전식 도어의 도어 힌지 높이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9993A KR101489246B1 (ko) 2013-09-12 2013-09-12 회전식 도어의 도어 힌지 높이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9246B1 true KR101489246B1 (ko) 2015-02-04

Family

ID=52590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9993A KR101489246B1 (ko) 2013-09-12 2013-09-12 회전식 도어의 도어 힌지 높이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92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3355A1 (ko) * 2014-09-15 2016-03-24 주식회사 필로브 회전식 도어의 도어 힌지 높이 조절 장치
KR102174419B1 (ko) * 2019-08-20 2020-11-04 주식회사 필로브 회전식 도어의 기어 힌지부의 회전 작동 가이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6167Y1 (ko) * 1995-12-23 1999-03-30 이동수 문설주용 경첩
JP2000145098A (ja) 1998-11-02 2000-05-26 Tatsuhiro Sugie 高さを調整できる段差スロープ
KR20030049418A (ko) * 2001-12-14 2003-06-25 이병노 여닫이문의 처짐방지구
JP3861827B2 (ja) * 2003-02-25 2006-12-27 松下電工株式会社 蝶番の台座高さ調整スペー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6167Y1 (ko) * 1995-12-23 1999-03-30 이동수 문설주용 경첩
JP2000145098A (ja) 1998-11-02 2000-05-26 Tatsuhiro Sugie 高さを調整できる段差スロープ
KR20030049418A (ko) * 2001-12-14 2003-06-25 이병노 여닫이문의 처짐방지구
JP3861827B2 (ja) * 2003-02-25 2006-12-27 松下電工株式会社 蝶番の台座高さ調整スペーサ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3355A1 (ko) * 2014-09-15 2016-03-24 주식회사 필로브 회전식 도어의 도어 힌지 높이 조절 장치
US10030422B2 (en) 2014-09-15 2018-07-24 Filobe Co., Ltd. Door hinge height adjusting device for rotating door
KR102174419B1 (ko) * 2019-08-20 2020-11-04 주식회사 필로브 회전식 도어의 기어 힌지부의 회전 작동 가이드 장치
WO2021034067A2 (ko) 2019-08-20 2021-02-25 주식회사 필로브 회전식 도어의 기어 힌지부의 회전 작동 가이드 장치
WO2021034067A3 (ko) * 2019-08-20 2021-04-22 주식회사 필로브 회전식 도어의 기어 힌지부의 회전 작동 가이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9080B2 (en)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sliding door
US10337229B2 (en) Hinge
CA2923653C (en) Hinge arrangement with sag compensation
RU2639971C1 (ru) Сервопривод для мебельных створок
US20170204645A1 (en) Actuator for movable furniture parts
US8819897B2 (en) Durable low-vibration long arm hinge apparatus
KR101489246B1 (ko) 회전식 도어의 도어 힌지 높이 조절 장치
JP2011504845A (ja) 工具を用いずにアセンブリの高さを調節できるデバイス
US7690154B2 (en) Channel-mounted 4-bar linkage assembly
WO2007075888A2 (en) Two-stage adjustable door hinge
RU2508437C2 (ru) Выдвижной ящик с регулировоч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RU2309234C2 (ru) Шарнирный механизм
GB2490343A (en) Adjustable hinge
JP6401385B2 (ja) 回転式ドア用ドアヒンジの高さ調節装置
KR100948435B1 (ko) 미닫이식 도어 하부 롤러장치
KR101845774B1 (ko) 방화문 힌지
JP6964513B2 (ja) 二重サッシ
KR20200106075A (ko) 가구 힌지, 가구 패널 및 가구 본체
JP2021022584A (ja) 回動扉の取付位置調整機構、回動扉付き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TWM530009U (zh) 顯示螢幕位移軌跡之樞軸器結構
JP2017193826A (ja) 支持金物変形防止部材
RU2729627C2 (ru) Направля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кользящего элемента, предмет мебели и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скользящего элемента
JP4512102B2 (ja) 調整戸車及びこれを備えた戸
CN220522378U (zh) 辅助装置及推拉门窗
JP7009148B2 (ja) 戸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