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8261B1 -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 - Google Patents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8261B1
KR101488261B1 KR20130103723A KR20130103723A KR101488261B1 KR 101488261 B1 KR101488261 B1 KR 101488261B1 KR 20130103723 A KR20130103723 A KR 20130103723A KR 20130103723 A KR20130103723 A KR 20130103723A KR 101488261 B1 KR101488261 B1 KR 101488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mattress
user
thickness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3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덕호
Original Assignee
이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덕호 filed Critical 이덕호
Priority to KR20130103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82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8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8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1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everal cushions, mattresses or the like, to be put together in one cov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2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pring in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0Loose or removable furniture covers
    • A47C31/105Loose or removable furniture covers for 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3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beds or 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rsing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서, 취침시 사용자의 취침자세를 교정하여 사용자의 척추를 건강하게 하고, 사용자의 수면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로서, 평평한 상부면을 구비하는 하층 매트리스부와; 상기 하층 매트리스부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상층 매트리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층 매트리스부는, 상기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의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상체용 매트와, 상기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중간 매트와, 상기 사용자의 하체를 지지하는 하체용 매트를 포함하며, 상기 상체용 매트, 상기 중간 매트 및 상기 하체용 매트는 상기 하층 매트리스의 상부면에 계단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FUNCTIONAL MATTRESS}
본 발명은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서, 취침시 사용자의 취침자세를 교정하여 사용자의 척추를 건강하게 하고, 사용자의 수면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침대는 생활의 현대화, 주거문화의 공동 주택화 등으로 인해 사용인구가 점차적으로 증가되어 대부분의 가정에서 침구로 이용하고 있다. 침대는 침대 프레임과 상기 침대 프레임에 설치되는 매트리스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매트리스는 적용되는 소재나 쿠션방식에 따라 스프링 매트리스, 라텍스 매트리스, 돌 매트리스, 황토 매트리스 등으로 다양하게 구분된다.
특히, 다양한 종류의 매트리스 유형 중에서도 스프링형 매트리스가 가장 대중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매트리스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스프링형 매트리스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로 구성되고, 평평한 상부면에 사용자가 누워 사용자의 체중을 분산하여 사용자에게 안락한 수면환경을 제공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스프링형 매트리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면이 평평하게 구성되어 있어, 매트리스의 상부면에서 사용자의 둔부가 지지되는 부분에 사용자의 하중이 집중되는 형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둔부가 지지되는 매트리스 부분이 아래로 꺼지게 된다. 그 결과, 사용자의 머리와 다리의 높이가 둔부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하게 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척추가 전체적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구부러지게 되어 사용자의 척추에 하부방향으로 인장력이 가해져 사용자의 척추 건강을 손상하고 동시에 사용자의 흉부 및 복부가 서로 수축하는 형태가 되어 사용자의 내장기관이 스트레스를 받게되어 사용자의 수면의 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면시 사용자의 척추가 활 형상으로 하부방향으로 구부정하게 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면의 질이 개선된 수면환경을 제공하는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척추 건강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로서, 평평한 상부면을 구비하는 하층 매트리스부와; 상기 하층 매트리스부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상층 매트리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층 매트리스부는, 상기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의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상체용 매트와, 상기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중간 매트와, 상기 사용자의 하체를 지지하는 하체용 매트를 포함하며, 상기 상체용 매트, 상기 중간 매트 및 상기 하체용 매트는 상기 하층 매트리스의 상부면에 계단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체용 매트의 두께는 상기 중간 매트의 두께보다 크고, 상기 중간 매트의 두께는 상기 하체용 매트의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체용 매트의 두께와 상기 중간 매트의 두께 차이가 상기 중간 매트의 두께와 상기 하체용 매트의 두께 차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체용 매트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부터 상기 사용자의 허리까지 지지하는 전후방향 길이를 가지고, 상기 중간 매트는 상기 사용자의 허리 하부부분부터 상기 사용자의 둔부까지 지지하는 전후방향 길이를 가지며, 상기 하체용 매트는 상기 둔부의 하부부분부터 상기 사용자의 발꿈치까지 지지하는 전후방향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체용 매트는 상기 중간 매트 및 상기 하체용 매트보다 높은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소재 및 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체용 매트는 스프링형 매트리스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매트 및 상기 하체용 매트는 메모리폼 또는 라텍스를 내부에 구비하는 완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체용 매트는 상기 사용자의 허벅지 부분부터 발목 부분까지 지지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체용 매트는 상기 상체용 매트의 후방 단부의 후방측면에서 원통형의 보조 완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완충부의 하부 및 상기 중간 매트의 상부면 사이에는, 상기 보조 완충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층 매트리스부는 상기 하층 매트리스부의 상부면에 대해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층 매트리스부의 하부면에는 제1 벨크로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하층 매트리스부의 상부면에는 상기 제1 벨크로 부재에 부착되는 제2 벨크로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층 매트리스부의 하부 테두리부 및 상기 하층 매트리스부의 상부 테두리부는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지퍼 조립체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해결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수면시 사용자의 척추가 활 형상으로 하부방향으로 구부정하게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본 발명인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에 정자세로 누울 경우 사용자의 척추가 소정 범위 일자 방향으로 또는 상부 방향으로 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수면시 척추를 교정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척추가 구부정한 상태가 심해지는 경우 척추 측만증 또는 척추 디스크 등의 척추질환이 야기되는바, 본 발명은 수면시 척추를 자연스럽게 펴지게 할 수 있어 척추질환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척추의 소정 범위 펴지도록 함으로써 흉부와 복부가 서로 수축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내장기관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수면의 질이 개선된 수면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척추 건강을 위한 기능성을 제공하는 상층 매트리스부가 하층 매트리스부에 대해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척추 건강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층 매트리스부를 사용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은 사용자의 취향 및 컨디션에 따라 본 발명인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를 일반형 매트리스 및 기능성 매트리스로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에 대한 개략적인 외형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에 대한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에 대한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6a는 종래기술에 따른 침대 매트리스에 대한 개략적인 사용 상태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에 대한 개략적인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에 대한 개략적인 측단면도 및 부분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참고로, 이하에서는 침대를 기준으로 프레임의 헤드레스트를 향하는 방향 또는 헤드레스트 쪽의 부분을 전방방향 또는 전방부분이라 하고, 침대를 기준으로 프레임의 헤드레스트를 반대 쪽을 향하는 방향 또는 헤드레스트 반대쪽의 부분을 후방방향 또는 후방부분이라 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1000)에 대한 개략적인 외형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1000)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1000)에 대한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1000)는 하층 매트리스부(200)와, 상기 하층 매트리스부(2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층 매트리스부(300)와, 상기 하층 매트리스부(200)와 상기 상층 매트리스부(300) 전체를 둘러싸는 매트리스 커버(10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매트리스 커버(100)는 하층 매트리스부(200)와 상층 매트리스부(300) 전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매트리스 커버(100)의 양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손잡이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1000)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1000)를 침대 프레임에 배치하는 과정을 용이하게 한다.
삭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층 매트리스부(20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구비하고, 상부면에서 평평한 면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층 매트리스부(200)는 스프링형 매트리스 구조체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층 매트리스부(200)는, 상기 하층 매트리스부(200)의 외관을 형성하며 측면, 상부면 및 하부면을 둘러싸는 커버지와, 상기 커버지 내측면에 위치하며 상부 쿠션제, 하부 쿠션제 및 측면 쿠션제로 구성된 쿠션부와, 상기 쿠션부의 내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쿠션부의 내측면을 둘러싸는 보호막과, 상기 보호막의 상부의 하부면과 상기 보호막의 하부의 상부면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 지지부와, 상기 스프링 지지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부 쿠션부와 하부 쿠션부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쿠션감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복수 개의 스프링(210)(예를 들어, 포켓 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 스프링부를 포함한다.
물론, 다른 변형 실시예로서, 상기 매트리스 구조체(100)는 라텍스 매트리스 구조체일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층 매트리스부(300)는 실질적으로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1000)의 사용자가 누워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하층 매트리스부(200)의 상부면 위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층 매트리스부(300)는 상기 하층 매트리스부(200)의 상부면에 대해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상층 매트리스부(300)의 하부면에는 제1 벨크로(Velcro) 부재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하층 매트리스부(200)의 상부면에는 상기 제1 벨크로 부재에 부착되는 제2 벨크로(Velcro) 부재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벨크로 부재 및 상기 제2 벨크로 부재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부착 및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벨크로 부재 및 상기 제2 벨크로 부재 중 하나의 벨트로 부재는 수 벨크로 부재이고, 상기 제1 벨크로 부재 및 상기 제2 벨크로 부재 중 나머지 다른 하나의 벨트로 부재는 암 벨크로 부재이다.
이렇게, 상층 매트리스부(300)와 하층 매트리스부(200)를 벨크로 부재(통칭, 찍찍이)로 고정함으로써, 하층 매트리스부(200)에서 상층 매트리스부(300)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상층 매트리스부(300)의 하부 테두리부 및 상기 하층 매트리스부(200)의 상부 테두리부는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지퍼 조립체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퍼(zipper) 조립체는 하층 매트리스부(200)의 하부 테두리부 및 상층 매트리스부(300)의 상부 테두리부 각각에 봉제되는 지퍼 지지부와, 상기 지퍼 지지부에 연장된 지퍼 치(齒)와, 상기 지퍼 치를 슬라이딩하면서 지퍼 치를 분리 및 결합시키는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한다.
이렇게, 상층 매트리스부(300)와 하층 매트리스부(200)를 지퍼 조립체로 고정함으로써, 하층 매트리스부(200)에서 상층 매트리스부(300)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상층 매트리스부(300)는, 상기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1000)의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상체용 매트(310)와, 상기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중간 매트(330)와, 상기 사용자의 하체를 지지하는 하체용 매트(350)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체용 매트(310)와 상기 중간 매트(330)와 상기 하체용 매트(350)는 서로 상이한 높이 또는 서로 상이한 두께를 가지며, 이로 인해 상기 상체용 매트(310), 상기 중간 매트(330) 및 상기 하체용 매트(350)는 전체적으로 상기 하층 매트리스의 상부면에서 침대의 헤드레스트 쪽에서 후방 쪽으로 가면서 높이가 낮아지는 계단 형상으로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층 매트리스부(300)는, 상기 상체용 매트(310)의 두께가 상기 중간 매트(330)의 두께보다 크고, 상기 중간 매트(330)의 두께가 상기 하체용 매트(350)의 두께보다 크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상층 매트리스부(300)가 전체적으로 머리쪽에서 발쪽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계단형상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본 발명인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1000)에 정자세로 누울 경우 사용자의 허리부분이 상체용 매트(310)의 후방단부 모서리(310a)에 지지될 수 있어, 상기 사용자의 전체하중은 상체용 매트의 후방단부 모서리와 중간 매트의 상부면에서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어 둔부에 집중되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고, 동시에 상기 사용자의 허리부분을 중심으로 사용자의 허리의 하부부분부터 발끝까지의 신체가 상체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의 척추가 소정 범위 일자 방향으로 펴지도록 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척추가 둔부를 중심으로 더 구부정하게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수면시 척추를 교정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척추가 구부정한 상태가 심해지는 경우 척추 측만증 또는 척추 디스크 등의 척추질환이 야기되는바, 본 발명은 수면시 척추를 자연스럽게 펴지게 할 수 있어 척추질환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층 매트리스부(300)는, 상기 상체용 매트(310)의 두께와 상기 중간 매트(330)의 두께 차이가 상기 중간 매트(330)의 두께와 상기 하체용 매트(350)의 두께 차이보다 크게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상체용 매트(310)의 두께와 상기 중간 매트(330)의 두께 차이는 약 9 cm 내지 약 10 cm 정도이고, 상기 중간 매트(330)의 두께와 상기 하체용 매트(350)의 두께 차이는 약 4 cm 내지 약 5 cm 정도일 수 있다.
척추는 좋지 못한 자세로 인해 경추부터 요추까지의 구간에서 휘어짐이나 구부러짐이 심하게 발생할 수 있어 이 구간에서 척추 질환이 많이 발생하는바, 전술한 바와 같이 상체용 매트(310)의 상부면과 중간 매트(330)의 상부면 사이의 높이차를 어느 정도 확보함으로써 요추부분이 둔부와 같이 상부 방향으로 소정 범위 들어올려 질 수 있어 그 결과 척추가 전체적으로 상부 방향으로 펴질 수 있게 할 수 있고, 동시에 상기 중간 매트(330)의 상부면과 상기 하체용 매트(350)의 상부면 사이의 높이차를 완만하게 함으로써 하체(다리 및 발)의 높이가 낮아져 둔부를 통한 척추의 상부 방향으로의 과도한 들어올려짐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척추를 소정 범위 일자 형태로 펴서 척추 자세를 교정함과 동시에 척추의 과도한 펴짐으로 인해 안락한 수면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층 매트리스부(300)에 포함되는 매트들의 길이를 살펴보면, 상기 상체용 매트(310)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부터 상기 사용자의 허리까지 지지하는 전후방향 길이를 가지고, 상기 중간 매트(330)는 상기 사용자의 허리 하부부분부터 상기 사용자의 둔부까지 지지하는 전후방향 길이를 가지며, 상기 하체용 매트(350)는 상기 둔부의 하부부분부터 상기 사용자의 발꿈치까지 지지하는 전후방향 길이를 가진다.
상층 매트리스부(300)의 전후방향 길이를 전술한 바와 같이 한정함으로써, 요추부분 또는 요추부분 중 하부부분이 상체용 매트(310)의 후방단부 모서리(310a)에 의해 정확하게 지지되도록 할 수 있고, 그 결과 사용자의 척추가 상부 방향으로 펴지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보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체용 매트(310)는 상기 중간 매트(330) 및 상기 하체용 매트(350)보다 높은 탄성복원력 또는 탄력을 가지는 소재 및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체용 매트(310)는 스프링형 매트리스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매트(330) 및 상기 하체용 매트(350)는 메모리폼 또는 라텍스를 내부에 구비하는 완충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상체용 매트(310)는 상기 상체용 매트(310)의 외관을 형성하며 측면, 상부면 및 하부면을 둘러싸는 커버지와, 상기 커버지 내측면에 위치하며 상부 쿠션제, 하부 쿠션제 및 측면 쿠션제로 구성된 쿠션부와, 상기 쿠션부의 내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쿠션부의 내측면을 둘러싸는 보호막과, 상기 보호막의 상부의 하부면과 상기 보호막의 하부의 상부면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 지지부와, 상기 스프링 지지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부 쿠션부와 하부 쿠션부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쿠션감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복수 개의 스프링(311)(예를 들어, 포켓 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 스프링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중간 매트(330) 및 하체용 매트(350)는 메모리폼 또는 라텍스로 충진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간 매트(330) 및 상기 하체용 매트(350)는 일체형을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렇게, 상체용 매트(310)의 탄성복원력이 더 큰 구조 및 소재로 구성함으로써, 상체용 매트(310)의 후방단부 모서리(310a)에 사용자의 허리부분이 지지될 때 상기 후방단부 모서리(310a)가 뭉개져 지지부로서의 역할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머리 및 상체가 상체용 매트(310)의 내부 방향으로(즉, 상체용 매트(310)의 하부방향으로) 높이가 낮아지는 것을 소정 범위 저지하여 하체부의 높이 하강으로 인해서만 척추가 상부방향으로 펴지도록 할 수 있어, 사용자의 척추가 과도하게 상부 방향으로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의 척추교정을 실행하면서 동시에 사용자의 수면환경을 보다 안락하게 개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체용 매트(350)는 전체적으로 계단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체용 매트(350)는 상기 사용자의 허벅지 부분부터 발목 부분까지 지지하는 제1 지지부(351)와 상기 제1 지지부(351)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는 제2 지지부(35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 지지부(353)는 상기 사용자의 발뒤꿈치 부분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사용자의 발목부분은 상기 제1 지지부(351)의 후방단부의 모서리(351a)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1 지지부(351)(즉, 하체용 매트(350))는 탄성복원력이 상대적으로 적은 메모리폼 등으로 구성되므로, 사용자의 발목부분은 대부분 제1 지지부(351)의 후방단부의 모서리(351a)가 뭉개져 형성되는 부분에 의해 면접촉 방식으로 지지되어, 결과적으로 적절한 지압효과를 받게되어 사용자의 피로감을 해소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1000)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1000)에 대한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에에 따른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100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1000)의 기술적 특징 및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하고, 추가적인 기술적 특징 및 구성요소만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고 설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설명은 가급적 생략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1000)는, 보조 완충부(410) 및 지지부재(430)를 더 포함한다.
보조 완충부(410)는 전체적으로 좌우방향으로 긴 원통형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보조 완충부(410)는 상기 보조 완충부(410)의 원통형 형상의 측면이 상기 상체용 매트(310)의 후방 단부의 후방측면(310b)에 결합(또는 봉제)된다.
상기 보조 완충부(410)는 저 탄성복원력의 소재로 구성되고, 예를 들어 메모리폼 또는 라텍스와 같은 완충소재가 충진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완충부(410)는 최고점 부분은 상기 상체용 매트(310)의 상부면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상체용 매트(310)의 후방 단부의 후방측면(310b)에 보조 완충부(410)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요추 부분이 상체용 매트(310)의 후방 단부의 모서리(310a)에 지지될 때 사용자의 허리부분에 상기 모서리(310a)와의 접촉으로 인한 결림 또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어, 사용자의 수면 환경을 보다 쾌적하게 개선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완충부(410)의 하부 및 상기 중간 매트(330)의 상부면 사이에는, 상기 보조 완충부(41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430)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재(430)는 저 탄성복원력의 소재로 구성되고, 예를 들어 메모리폼 또는 라텍스와 같은 완충소재가 충진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430)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하중으로 인해 보조용 완충부가 중간 매트(330)의 상부면 방향으로 과도하게 쳐져 파손되거나 허리 지지부 및 완충부로서의 역할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a는 종래기술에 따른 침대 매트리스에 대한 개략적인 사용 상태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에 대한 개략적인 사용 상태도이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비해 본 발명은 수면시 사용자의 척추가 활 형상으로 하부방향으로 구부정하게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본 발명인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에 정자세로 누울 경우 사용자의 척추가 소정 범위 일자 방향으로 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수면시 척추를 교정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척추가 구부정한 상태가 심해지는 경우 척추 측만증 또는 척추 디스크 등의 척추질환이 야기되는바, 본 발명은 수면시 척추를 자연스럽게 펴지게 할 수 있어 척추질환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척추의 소정 범위 펴지도록 함으로써 흉부와 복부가 서로 수축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내장기관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수면의 질이 개선된 수면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척추 건강을 위한 기능성을 제공하는 상층 매트리스부가 하층 매트리스부에 대해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척추 건강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층 매트리스부를 사용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은 사용자의 취향 및 컨디션에 따라 본 발명인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를 일반형 매트리스 및 기능성 매트리스로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에 대한 개략적인 측단면도 및 부분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 및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의 구성요소 및 기술적 특징을 모두 포함하므로, 설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가급적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는, 단턱형 지지부(315)와, 베개용 완충부(450)와, 하체지지용 완충부(470)를 더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에에 따른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의 상체용 매트(310)는, 사용자의 등부분과 머리부분을 따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상체용 매트(310)는 사용자의 등부분을 지지하는 상체용 매트(310)의 상부면(313)과, 상기 상체용 매트의 상부면(313)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머리부분(즉, 뒷통수 부분)을 지지하는 단턱형 지지부(315)를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뒷통수가 등부분보다 약간 낮은 높이의 단턱형 지지부(315)에 지지됨으로써 사용자의 척추를 더 곧게 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베개용 완충부(450)는 상기 단턱형 지지부(315)의 상부면에 배치된다. 상기 베개용 완충부(450)는 사용자의 제1 경추 내지 제3 경추의 후방부분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수면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의 경추의 피로를 풀어줄 수 있다.
상기 하체지지용 완충부(470)는 하체용 매트(350)의 상부면(즉, 제1 지지부(351)의 상부면)에 고정적으로 또는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체지지용 완충부(470)는 허리에서 발끝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완만한 경사 기울기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체지지용 완충부를 구비함으로써, 전체적으로 계단형상으로 형성된 상층 매트리브부에서 사용자가 후방방향으로 미끌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사용자의 하체의 뒷부분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하체의 하중을 균일하게 분산시켜 사용자에게 안락한 수면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0 :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
100 : 매트리스 커버
110 : 손잡이부
200 : 하층 매트리스부
300 : 상층 매트리스부
310 : 상체용 매트
310a : 후방단부의 모서리
310b : 후방단부의 후방측면
330 : 중간 매트
350 : 하체용 매트
351 : 제1 지지부
351a : 후방단부의 모서리
353 : 제2 지지부
410 : 보조 완충부
430 : 지지부재

Claims (12)

  1.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로서,
    평평한 상부면을 구비하는 하층 매트리스부와;
    상기 하층 매트리스부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상층 매트리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층 매트리스부는, 상기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의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상체용 매트와, 상기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중간 매트와, 상기 사용자의 하체를 지지하는 하체용 매트를 포함하며,
    상기 상체용 매트, 상기 중간 매트 및 상기 하체용 매트는 상기 하층 매트리스의 상부면에서 상기 사용자의 머리쪽에서부터 발쪽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계단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상체용 매트는 상기 중간 매트 및 상기 하체용 매트보다 높은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소재 및 구조를 구비하며,
    상기 하체용 매트는, 상기 사용자의 허벅지 부분부터 발목 부분까지 지지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며 상기 사용자의 발뒤꿈치 부분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용 매트의 두께는 상기 중간 매트의 두께보다 크고, 상기 중간 매트의 두께는 상기 하체용 매트의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용 매트의 두께와 상기 중간 매트의 두께 차이가 상기 중간 매트의 두께와 상기 하체용 매트의 두께 차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용 매트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부터 상기 사용자의 허리까지 지지하는 전후방향 길이를 가지고,
    상기 중간 매트는 상기 사용자의 허리 하부부분부터 상기 사용자의 둔부까지 지지하는 전후방향 길이를 가지며,
    상기 하체용 매트는 상기 둔부의 하부부분부터 상기 사용자의 발꿈치까지 지지하는 전후방향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용 매트는 스프링형 매트리스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매트 및 상기 하체용 매트는 메모리폼 또는 라텍스를 내부에 구비하는 완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용 매트는 상기 상체용 매트의 후방 단부의 후방측면에서 원통형의 보조 완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완충부의 하부 및 상기 중간 매트의 상부면 사이에는, 상기 보조 완충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 매트리스부는 상기 하층 매트리스부의 상부면에 대해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 매트리스부의 하부면에는 제1 벨크로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하층 매트리스부의 상부면에는 상기 제1 벨크로 부재에 부착되는 제2 벨크로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 매트리스부의 하부 테두리부 및 상기 하층 매트리스부의 상부 테두리부는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지퍼 조립체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
KR20130103723A 2013-08-30 2013-08-30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 KR101488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3723A KR101488261B1 (ko) 2013-08-30 2013-08-30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3723A KR101488261B1 (ko) 2013-08-30 2013-08-30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8261B1 true KR101488261B1 (ko) 2015-01-30

Family

ID=52593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3723A KR101488261B1 (ko) 2013-08-30 2013-08-30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82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94998A (zh) * 2017-11-02 2018-01-19 严林香 一种骨科多功能床垫
CN109788856A (zh) * 2016-10-17 2019-05-21 德斯坎萨雷睡眠实验室公司 提高睡眠质量的方法和系统及包含该系统的床垫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9197U (ko) * 1990-04-10 1991-12-25
JP2005177246A (ja) * 2003-12-22 2005-07-07 Kiyoshi Kudo 寝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9197U (ko) * 1990-04-10 1991-12-25
JP2005177246A (ja) * 2003-12-22 2005-07-07 Kiyoshi Kudo 寝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88856A (zh) * 2016-10-17 2019-05-21 德斯坎萨雷睡眠实验室公司 提高睡眠质量的方法和系统及包含该系统的床垫
CN107594998A (zh) * 2017-11-02 2018-01-19 严林香 一种骨科多功能床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1423B1 (ko) 기능성 베개
JP2009508625A (ja) 踵支持用保護ブーツ
KR101577903B1 (ko) 교정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베개
CA2843185A1 (en) Method and device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pressure ulcers
JP2020525257A (ja) 首の痛みのためのヘッドレストクッションアセンブリ
JP6535229B2 (ja) 仰側臥位対応ベッド
KR101488261B1 (ko)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
JP6231865B2 (ja) マットレス
JP5592094B2 (ja) 腹臥位用敷き寝具
KR200483101Y1 (ko) 기능성 등받이 목베개
KR101737588B1 (ko) 자세 교정용 침구류 패키지
JP2000023795A (ja) 寝 具
KR20180000455A (ko) 다기능 허리베개
CN110114042B (zh) 颈椎牵引装置
JP2006095262A (ja) クッション
KR101828021B1 (ko) 위산 역류성 식도염 환자를 위한 목뼈와 어깨보호 기능을 지닌 등받이와 일체화된 베개
JP5569637B1 (ja)
JP2006304824A (ja) 下肢安定用具
US20160081481A1 (en) Foldable cushioned seat
KR200456599Y1 (ko) 척추 받침대
KR20180089181A (ko) 허리받침쿠션
KR101574902B1 (ko) 가슴받침 안면 베개 겸용 디스크 감압견인 장치
EP2946680A1 (en) Ergonomic pyjamas
KR100663835B1 (ko) 인체의 4대 만곡부위 지압용 매트리스
KR20130035000A (ko) 중량을 받쳐주는 모듈이 구비된 매트리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