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8250B1 - 선반 승하강 장치 - Google Patents

선반 승하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8250B1
KR101488250B1 KR20130082783A KR20130082783A KR101488250B1 KR 101488250 B1 KR101488250 B1 KR 101488250B1 KR 20130082783 A KR20130082783 A KR 20130082783A KR 20130082783 A KR20130082783 A KR 20130082783A KR 101488250 B1 KR101488250 B1 KR 101488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rotation support
housing
rotation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2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8617A (ko
Inventor
성낙웅
이인선
Original Assignee
이인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선 filed Critical 이인선
Priority to KR20130082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8250B1/ko
Publication of KR20150008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8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8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8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5Shelves with moving elements, e.g. movable extensions or link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47B96/07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adjustable in themselve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반 승하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용 박스 내부에 배치되는 선반을 손쉽게 하강 또는 상승시킴으로써, 선반에 있는 물건을 손쉽게 꺼내거나, 선반에 물건을 손쉽게 올려놓을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높은 위치에 있는 선반에 얹어 놓인 물건도 손쉽게 꺼낼 수 있고, 높은 위치에 있는 선반에도 물건을 손쉽게 얹어 놓을 수 있도록 하는 선반 승하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선반 승하강 장치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물건을 얹어 놓기 위하여 수용 박스 내부에 장착되는 선반을 승하강시키는 선반 승하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반의 일측 하부면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전 지지대, 상기 선반의 타측 하부면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전 지지대로 구성되는 회전 지지대; 상기 수용 박스의 일 내측면에 고정 결합되되, 상기 제1 회전 지지대의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제1 하우징, 상기 수용 박스의 타 내측면에 고정 결합되되, 상기 제2 회전 지지대의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제2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 지지대를 수평한 상태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선반을 하강시키고, 상기 회전 지지대를 세워진 상태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선반을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반 승하강 장치{apparatus for rising or droping of shelf}
본 발명은 선반 승하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용 박스 내부에 배치되는 선반을 손쉽게 하강 또는 상승시킴으로써, 선반에 있는 물건을 손쉽게 꺼내거나, 선반에 물건을 손쉽게 올려놓을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높은 위치에 있는 선반에 얹어 놓인 물건도 손쉽게 꺼낼 수 있고, 높은 위치에 있는 선반에도 물건을 손쉽게 얹어 놓을 수 있도록 하는 선반 승하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판매되고 있는 씽크대, 서랍장, 옷장, 각 종 가구들은 선반을 이용하여 다양한 물건들을 얹어 놓는다. 즉, 일반적인 다양한 가구들은 다양한 크기 및 형태를 가지는 수용 박스 내부에 선반을 배치함으로써, 다양한 물건들을 상기 선반에 얹어 놓을 수 있도록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선반을 내부에 배치하고 있는 가구들은 높은 곳에 배치될 수도 있고, 상기 가구들이 바닥에 배치되더라도, 상기 가구 내부에 배치되는 선반이 높은 곳에 장착된 경우가 존재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높은 곳에 위치한 선반에 물건을 얹어 놓거나, 상기 높은 곳에 위치한 선반에 얹어 놓은 물건을 빼내고 싶을 때, 까치발을 하여 상기 선반에 물건을 얹어 놓거나, 선반 위의 물건을 빼내거나, 의자 위에 올라가서 상기 선반에 물건을 얹어 놓거나, 선반 위의 물건을 빼내는 과정을 거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과정은, 선반 위의 물건이 떨어져서 사용자가 다칠 수 있는 위험을 수반하고,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수용 박스 내부에 배치되는 선반을 손쉽게 하강 또는 상승시킴으로써, 선반에 있는 물건을 손쉽게 꺼내거나, 선반에 물건을 손쉽게 올려놓을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높은 위치에 있는 선반에 얹어 놓인 물건도 손쉽게 꺼낼 수 있고, 높은 위치에 있는 선반에도 물건을 손쉽게 얹어 놓을 수 있도록 하는 선반 승하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인 선반 승하강 장치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물건을 얹어 놓기 위하여 수용 박스 내부에 장착되는 선반을 승하강시키는 선반 승하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반의 일측 하부면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전 지지대, 상기 선반의 타측 하부면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전 지지대로 구성되는 회전 지지대; 상기 수용 박스의 일 내측면에 고정 결합되되, 상기 제1 회전 지지대의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제1 하우징, 상기 수용 박스의 타 내측면에 고정 결합되되, 상기 제2 회전 지지대의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제2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 지지대를 수평한 상태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선반을 하강시키고, 상기 회전 지지대를 세워진 상태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선반을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회전 지지대는 상기 선반의 일측 하부면 전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회전 지지대는 상기 선반의 타측 하부면 후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양측면과 상기 양측면의 가장자리를 서로 연결하는 둘레면으로 구성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양측면 중, 하나의 측면 중앙 부분에는 상기 회전 지지대의 끝단에 형성된 회전 결합공에 끼워지는 회전 결합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둘레면에는 상기 회전 지지대의 회전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회전 지지대가 수평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제1 걸림턱과 상기 회전 지지대가 수직 상태를 넘어서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제2 걸림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회전 지지대의 일 측면에는 텐션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 중, 상기 회전 지지대의 일 측면과 마주보는 측면에는 상기 회전 지지대가 수평한 상태로 이동할 때, 상기 텐션 스토퍼가 미끄러지면 장착되도록 하는 제1 걸림부와 상기 회전 지지대가 세워진 상태로 이동할 때, 상기 텐션 스토퍼가 미끄러지면서 장착되도록 하는 제2 걸림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회전 지지대가 세워진 상태에서 수평한 상태로 이동할 때, 상기 선반의 급격한 하강을 방지할 수 있는 완충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완충 부재는 태엽 형태로 감겨져 있는 판 스프링 구조를 가지고, 상기 판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회전 지지대의 끝단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판 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하우징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 및 해결 수단을 가지는 본 발명인 선반 승하강 장치에 의하면, 수용 박스 내부에 배치되는 선반을 손쉽게 하강 또는 상승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선반에 있는 물건을 손쉽게 꺼내거나, 선반에 물건을 손쉽게 올려놓을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높은 위치에 있는 선반에 얹어 놓인 물건도 손쉽게 꺼낼 수 있고, 높은 위치에 있는 선반에도 물건을 손쉽게 얹어 놓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반 승하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반 승하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반 승하강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반 승하강 장치를 구성하는 하우징과 회전 지지대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반 승하강 장치를 구성하는 스토퍼와 걸림부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반 승하강 장치를 구성하는 완충 부재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수단 및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인 선반 승하강 장치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반 승하강 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반 승하강 장치는 씽크대, 찬장, 옷장, 서랍장 등 각 종 가구에 적용되어, 선반을 승하강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선반에 얹어 놓은 물건을 용이하게 꺼내거나, 사용자가 선반에 다양한 물건을 용이하게 얹어 놓을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해당하다.
일반적으로, 상기 선반은 다양한 크기와 높이 및 형상을 가지는 수용 박스 내부 공간에 장착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물건을 얹어 놓기 위하여 상기 수용 박스 내부에 장착되는 선반을 승하강시키는 선반 승하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반 승하강 장치는 상기 선반(S)의 양측 하부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 지지대(10)와, 상기 한 쌍의 회전 지지대(10)의 끝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수용 박스(1)의 양 내측면에 각각 고정 결합되는 한 쌍의 하우징(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용 박스(1)는 내부 공간을 형성시키는 구조로 구성된다. 즉, 상기 수용 박스(1)는 후면(1a), 양측면(즉, 일측면(1b), 타측면(1c)), 상부면 및 하부면으로 구성되고, 전면은 개방되어 있거나, 문이 연결되어 개폐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용 박스(1) 내부에는 상기 선반(S)이 장착되는데, 본 발명에서의 상기 선반(S)은 종래의 일반적인 설치 구조와 같이, 상기 수용 박스(1) 내부에 완전히 고정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까치발을 하거나 의자 위로 올라가지 않고서도 상기 선반에 놓여 있는 물건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거나, 상기 선반에 물건을 용이하게 올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회전 지지대(10)는 한 쌍의 회전 지지대, 즉 제1 회전 지지대와 제2 회전 지지대로 구성된다. 즉, 상기 회전 지지대(10)는 상기 수용 박스(1)의 일측면(1b)에 가깝게 설치되는 제1 회전 지지대와 상기 수용 박스(1)의 타측면(1c)에 가깝게 설치되는 제2 회전 지지대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회전 지지대는 상기 선반(S)의 일측 하부면(상기 수용 박스(1)의 일측면(1b)에 인접한 하부면)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회전 지지대의 타단은 상기 한 쌍의 하우징(30) 중, 하나의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 회전 지지대는 상기 선반의 타측 하부면(상기 수용 박스(1)의 타측면(1c)에 인접한 하부면)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회전 지지대의 타단은 상기 한 쌍의 하우징(30) 중, 나머지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 회전 지지대의 타단과 상기 제2 회전 지지대의 타단이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기 한 쌍의 하우징(30)은 상기 수용 박스(1)의 내측면에 하나씩 고정 결합된다. 즉, 상기 하우징(30)은 상기 제1 회전 지지대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회전 지지대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2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수용 박스(1)의 일 내측면(즉, 일측면(1b)의 내측면)에 고정 결합되되, 상기 제1 회전 지지대의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수용 박스(1)의 타 내측면(즉, 타측면(1c)의 내측면)에 고정 결합되되, 상기 제2 회전 지지대의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반 승하강 장치는 한 쌍의 하우징이 각각 상기 수용 박스(1)의 양 내측면에 하나씩 고정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회전 지지대가 각각 타단이 상기 대응하는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선반의 각 모서리 하부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선반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 박스(10) 내에서 상승 상태 또는 하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선반이 상승한 상태를 유지할 때는 상기 선반에 물건이 얹어 놓은 상태에서 상기 수용 박스(10) 내에 장착된 상태이고, 상기 선반이 하강한 상태를 유지할 때는 상기 선반에 물건을 얹어 놓기 위한 상태이거나, 상기 선반에 얹어 놓인 물건을 빼내기 위한 상태이다.
여기서, 상기 선반이 상승한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선반은 상기 회전 지지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선반이 기울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선반이 상승한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선반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선반 고정 부재가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예를 들어, 상기 수용 박스(1)의 후면(1a)에 상기 선반의 상면 및 하면의 후단 에지 부분을 잡아 줄 수 있는 고정 틀을 부착하거나, 또는 상기 선반의 후단 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틀을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선반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기 선반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선반 고정 부재를 설치하는 것은 비용, 시간 및 노력이 소요되기 때문에, 상기 선반 고정 부재를 설치하지 않고 상기 선반의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구조를 채택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반 승하강 장치는 상기 한 쌍의 회전 지지대의 결합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선반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반 승하강 장치는 상기 한 쌍의 회전 지지대(10)가 서로 상기 선반의 대각선 양 끝 부분에 하나씩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한 쌍의 회전 지지대(10) 중, 제1 회전 지지대는 상기 선반의 일측 하부면 전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회전 지지대는 상기 선반의 타측 하부면 후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물론, 제1 회전 지지대는 상기 선반의 일측 하부면 후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회전 지지대는 상기 선반의 타측 하부면 전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측(타측) 하부면 전단이란 일측(타측) 모서리의 1/2 지점을 기준으로, 앞쪽의 일측(타측) 하부면 영역을 의미하고, 상기 타측(일측) 하부면 후단이란 타측(일측) 모서리 1/2 지점을 기준으로, 뒤쪽의 타측(일측) 하부면 영역을 의미한다.
결국, 상기 한 쌍의 회전 지지대 중, 제1 회전 지지대는 상기 선반의 특정 꼭지점 부근의 모서리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회전 지지대는 상기 제1 회전 지지대가 결합되는 부분에 대하여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선반의 모서리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선반은 상기 한 쌍의 회전 지지대 상에서 기울어지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반 승하강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선반 승하강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구체적인 구조와 구성요소 사이의 연결 구조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반 승하강 장치는 선반(S)의 양측 하부면에 각각 회전 지지대(10)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회전 지지대(10)의 일단은 상기 선반의 양측 하부면에 각각 부착되는 연결바(2)를 매개체로 하여 상기 선반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반의 양측 하부면에는 각각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연결바(2)가 부착된다. 상기 연결바(2)의 중앙 부분에는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회동 연결부(2a)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회동 연결부(2a) 사이에 상기 회전 지지대 일단이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회전 지지대(10)의 일단에는 회동 연결홀(13)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 연결홀(13)이 형성된 상기 일단이 상기 한 쌍의 회동 연결부(2a)에 삽입된 상태로 힌지 결합 또는 피봇 결합을 통하여, 상기 회전 지지대의 일단과 상기 회동 연결부는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선반의 양측 하부면에 각각 부착되는 한 쌍의 연결바(2)에 형성된 회동 결합부(2a)는 서로 동일 선상(도 3에서 정면으로 보이는 선반의 모서리에 평행인 가상의 선)에 위치할 수도 있지만, 상기 선반이 상승한 상태(상기 회전 지지대가 세워진 상태)에서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서로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회전 지지대 중, 하나의 회전 지지대(제1 회전 지지대)는 상기 선반의 일측 하부면 전단에 부착된 연결바(2)에 형성된 회동 연결부(2a)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회전 지지대(제2 회전 지지대)는 상기 선반의 타측 하부면 후단에 부착된 연결바(2)에 형성된 회동 연결부(2a)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결합되는 상기 한 쌍의 회전 지지대(10) 각각의 소정 부분에는 상기 회전 지지대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지탱바(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탱바(11)는 상기 선반이 하강한 상태(상기 회전 지지대가 수평한 상태)에 있는 경우, 하단이 상기 선반의 하부면 또는 상기 선반 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다른 선반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회전 지지대(10) 및 선반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회전 지지대(10)의 타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상기 하우징(3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회전 지지대(10)의 끝단에는 상기 하우징(30) 내부 공간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회전 결합공(15)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30)은 상기 회전 지지대(10)의 타단에 형성되는 상기 회전 결합공(15)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필요가 있고, 상기 회전 지지대(10)의 타단이 회동함에 따라, 상기 회전 지지대의 몸체가 이동하는 경로에 간섭을 주지 않는 구조를 가질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면(31)과 상기 양측면(31)의 가장자리를 서로 연결하는 둘레면(33)으로 구성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다만, 상기 둘레면(33)은 상기 내부 공간을 완전히 밀폐시키는 것이 아니라, 상기 회전 지지대(10)가 회전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절개부(37)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30)의 양측면(31) 중, 하나의 측면 중앙 부분에는 상기 회전 지지대(10)의 끝단에 형성된 회전 결합공(15)에 끼워지는 회전 결합 돌기(35)가 내부 공간 내에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회전 지지대(10)의 회전 결합공(15)이 상기 회전 결합 돌기(35)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회전 지지대가 상기 회전 결합 돌기(35)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회전 지지대(10)는 상기 회전 결합 돌기(35)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하고, 그 몸체는 상기 하우징(30)의 둘레면(33)을 관통한 상태로 그 일단이 상기 선반 모서리 하부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30)의 둘레면(33)에는 상기 회전 지지대(10)가 상기 회전 결합 돌기를 회동축으로 하여 소정 각도로 회전 이동할 수 있는 공간에 해당하는 절개부(37)가 구비되어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30)의 둘레면(33)에는 상기 회전 지지대(10)의 회전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절개부(3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30)의 둘레면(33)에 형성된 절개부(37)는 상기 회전 지지대(10)가 수평한 상태와 세워진 상태 사이에서 왕복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절개부(37)는 상기 회전 지지대(10)가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고,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걸림턱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개부(37)는 상기 회전 지지대(10)가 수평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제1 걸림턱(37a)과 상기 회전 지지대(10)가 수직 상태를 넘어서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제2 걸림턱(37b)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선반에 물건을 얹어 놓거나, 상기 선반에 얹어 있는 물건을 꺼내기 위하여 상기 선반을 하강시켰을 때, 상기 회전 지지대(10)는 상기 제1 걸림턱(37a)에 걸린 상태로 지지되면서, 수평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상기 회전 지지대(10)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선에 일치한 상태가 된다.
반대로, 상기 선반에 물건을 얹어 놓은 후 상기 선반을 상기 수용 박스(1) 내부로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 선반을 상승시켰을 때, 상기 회전 지지대(10)는 상기 제2 걸림턱(37b)에 걸린 상태로 지지되면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한다.
그런데, 상기 회전 지지대(10)는 수직 상태(도 4의 (a)에서 표시된 수직선에 일치된 상태)에 있는 경우, 앞으로(제1 걸림턱 방향으로) 넘어가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물론, 상기 선반을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부재를 이용하여 앞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고정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회전 지지대가 앞으로 넘어가는 경우를 방지하는 구조를 채택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개부(37)에 구비되는 제2 걸림턱(37b)이 상기 회전 지지대(10)가 수직 상태를 넘어서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상기 절개부(37)는 도 4의 (a)에 도시된 수평선을 기준으로 하여, 직각이 되는 도 4의 (a)에 도시된 수직선을 넘어서는 각도까지 절개되어 형성된다(도 4의 (a)에 도시된 수평선을 기준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90도를 초과하는 각도까지 절개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절개부를 구성하는 제2 걸림턱(37b)은 상기 회전 지지대(10)가 세워질 때(선반이 수용 박스에 장착될 때), 상기 회전 지지대가 수직 상태를 넘어서 뒤로 더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 지지대(10)는 세워진 상태에서 외력을 가하지 않는 한, 다시 앞으로 넘어가는 가능성이 없이 안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회전 지지대가 양측 모서리 하부면에 대각선 방향의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우에는, 더욱더 앞으로 넘어가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도 4의 (b)는 상기 회전 지지대가 수직 각도를 넘어선 각도에서 세워진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회전 지지대가 수평한 상태 및 세워진 상태에서 좀더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가 더 추가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지지대(10)의 측면에 텐션 스토퍼(50)가 구비되고, 상기 텐션 스토퍼(50)를 고정하는 걸림부(39)가 상기 하우징(30)의 일 내측면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3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회전 지지대(10)의 몸체 부분에 해당하는 일 측면에는 텐션 스토퍼(50)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30)의 양 측면 중, 상기 텐션 스토퍼(50)가 구비되는 상기 회전 지지대(10) 일측면과 마주보는 측면에는 상기 회전 지지대(10)가 수평한 상태로 이동할 때, 상기 텐션 스토퍼(50)가 미끄러지면서 장착되도록 하는 제1 걸림부(39a)와 상기 회전 지지대가 세워진 상태로 이동할 때, 상기 텐션 스토퍼(50)가 미끄러지면서 장착되도록 하는 제2 걸림부(39b)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 지지대의 일 측면에 구비되는 상기 텐션 스토퍼(50)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하게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는 텐션 볼록부(51)와 상기 텐션 볼록부(51)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 이동부(53)로 구성된다.
상기 텐션 스토퍼(50)의 상기 텐션 볼록부(51)는 그 상부(볼록한 부분)에 누르는 힘이 가해지면, 양쪽으로 펼쳐진 후, 상기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다시 원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는 텐션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텐션 볼록부(51)의 양측단에 일체로 결합되는 상기 수평 이동부(53) 역시, 상기 누르는 힘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도 5의 (b)에 표시된 화살표 참조).
상기와 같이 상기 텐션 볼록부(51)의 볼록한 상부에 누르는 힘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수평 이동부(53)는 도 5의 (b)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텐션 스토퍼(50)는 상기 회전 지지대(10)의 측면에서 이탈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 지지대(10)에는 상기 텐션 스토퍼(5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이탈 방지부(17)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탈 방지부(17)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텐션 스토퍼(50)의 수평 이동부(53)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수평 이동부(53)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수평 이동부(53)의 상부면과 측면부(상기 텐션 볼록부와 연결되는 부분과 평행한 측면)와 유격을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텐션 스토퍼(50)가 상기 회전 지지대의 길이 방향으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한편, 상기 텐션 스토퍼(50)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30)의 양 측면 중, 하나의 측면에 부착 구비되는 상기 걸림부(39)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걸림턱(37a) 근처에 형성되는 제1 걸림부(39a)와 상기 제2 걸림턱(37b) 근처에 형성되는 제2 걸림부(39b)로 구성된다.
상기 제1 걸림부(39a)는 상기 회전 지지대(10)가 수평한 상태로 이동하여 상기 제1 걸림턱(37a)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텐션 스토퍼(50)를 고정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걸림부(39b)는 상기 회전 지지대(10)가 세워진 상태(수직 상태를 더 넘어서 약간 기울어진 상태)로 이동하여 상기 제2 걸림턱(37b)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텐션 스토퍼(50)를 고정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걸림부(39a)와 상기 제2 걸림부(39b) 사이의 각도는 상기 제1 걸림턱(37a)과 상기 제2 걸림턱(37b) 사이의 각도와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상기 각도는 90도를 초과하여 약 100도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부(39)는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 중, 하나의 측면에 부착되어 돌출된 형상을 가지되, 상부면의 가운데 부분이 낮고, 양쪽 부분이 높은 굴곡진 형상을 가진다. 즉, 상기 걸림부(39)의 상부면은 요홈 형상을 가지되, 부드러운 곡면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 지지대가 사용자에 의하여 수평 상태 또는 세워진 상태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텐션 스토퍼(50)의 텐션 볼록부(51)는 상기 걸림부(39)의 상부면 중, 높은 부분, 즉 요홈 형상 중, 볼록면에 접촉되어 미끄러지면서 누르는 힘을 받는다. 이 때, 상기 텐션 볼록부(51)는 양쪽으로 펼쳐진 상태로 변한다. 그 후, 상기 텐션 볼록부(51)가 상기 걸림부(39)의 볼록면을 지나 오목면으로 이동하면, 상기 텐션 볼록부(51)는 원래 위치로 복원된 상태가 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텐션 볼록부(51)는 상기 걸림부(39)의 오목면에 접촉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은 상기 텐션 스토퍼(50)와 상기 걸림부(39)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상기 회전 지지대는 수평한 상태 또는 세워진 상태에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워진 상태의 회전 지지대를 사용자가 당기면 빠르게 수평한 상태로 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 지지대가 너무 급격하게 수평한 상태로 이동됨에 따라, 구조적인 손상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선반에 얹어 놓여 있는 물건이 손상받거나, 바닥으로 떨어져서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30)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회전 지지대(10)가 세워진 상태에서 수평한 상태로 이동할 때, 상기 선반의 급격한 하강을 방지할 수 있는 완충 부재(도 6에서 70으로 표기됨)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 부재(70)는 상기 회전 지지대(10)를 천천히 수평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즉, 판 스프링 또는 토션 스프링 등 다양한 스프링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지지대(10)에 에어 실린더의 로드를 연결하여, 상기 회전 지지대(10)의 회전 이동에 따른 완충 효과를 상기 에어 실린더를 통해 달성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선반의 급격한 하강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을 상기 하우징(30)의 내부 공간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선반의 완충 작용을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완충 부재(70)는 판 스프링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 부재(70)는 태엽 형태로 감겨져 있는 판 스프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판 스프링(70)의 일단은 상기 회전 지지대의 끝단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판 스프링(70)의 타단은 상기 하우징(30)에 고정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 스프링(70)은 일단에서 시작하여 태엽 형태로 바깥쪽으로 감겨지고, 타단이 외 외곽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판 스프링(70)의 일단은 상기 회전 지지대(10)의 끝단에 형성되는 회전 결합공(15)의 외주연에서 하방향으로 연장 돌출된 한 쌍의 돌출판으로 구성되는 제1 고정부(19)에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 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하우징(30)의 둘레면(33)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2 고정부에 걸어져서 고정된다.
이와 같은 판 스프링의 결합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세워진 상태의 회전 지지대(10)를 당기면, 상기 회전 지지대는 상기 선반의 무게 및 물건의 무게가 더해지더라도, 상기 판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완충 부재(70)에 의하여 급격하게 하강되는 것이 방지된다.
더 나아가, 상기 회전 지지대의 수평한 상태에서 물건을 얹어 놓은 후, 상기 회전 지지대를 세워서 상기 수용 박스에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 지지대에 가해지는 힘은 판 스프링이 없는 경우에 비하여, 상기 판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완충 부재(70)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힘이 소요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S : 선반 1: 수용 박스
2 : 연결바 2a : 회동 연결부
1a : 수용 박스의 후면 1b : 수용 박스의 일측면
1c : 수용 박스의 타측면 10 : 회전 지지대
11 : 지탱바 13 : 회동 연결홀
15 : 회전 결합공 17 : 이탈 방지부
19 : 제1 고정부 30 : 하우징
31 : 하우징의 양측면 33 : 하우징의 둘레면
35 : 회전 결합 돌기 37 : 절개부
37a : 제1 걸림턱 37b : 제2 걸림턱
39 : 걸림부 39a : 제1 걸림부
39b : 제2 걸림부 40 : 제2 고정부
50 : 텐션스토퍼 51 : 텐션 볼록부
53 : 수평 이동부 70 : 완충 부재
71 : 판 스프링의 일단 73 : 판 스프링의 타단

Claims (7)

  1. 물건을 얹어 놓기 위하여 수용 박스 내부에 장착되는 선반을 승하강시키는 선반 승하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반의 일측 하부면 전단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전 지지대, 상기 선반의 타측 하부면 후단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전 지지대로 구성되는 회전 지지대;
    상기 수용 박스의 일 내측면에 고정 결합되되, 상기 제1 회전 지지대의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제1 하우징, 상기 수용 박스의 타 내측면에 고정 결합되되, 상기 제2 회전 지지대의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제2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 지지대를 수평한 상태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선반을 하강시키고, 상기 회전 지지대를 세워진 상태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선반을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승하강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양측면과 상기 양측면의 가장자리를 서로 연결하는 둘레면으로 구성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양측면 중, 하나의 측면 중앙 부분에는 상기 회전 지지대의 끝단에 형성된 회전 결합공에 끼워지는 회전 결합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둘레면에는 상기 회전 지지대의 회전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승하강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회전 지지대가 수평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제1 걸림턱과 상기 회전 지지대가 수직 상태를 넘어서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제2 걸림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승하강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회전 지지대의 일 측면에는 텐션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 중, 상기 회전 지지대의 일 측면과 마주보는 측면에는 상기 회전 지지대가 수평한 상태로 이동할 때, 상기 텐션 스토퍼가 미끄러지면서 장착되도록 하는 제1 걸림부와 상기 회전 지지대가 세워진 상태로 이동할 때, 상기 텐션 스토퍼가 미끄러지면서 장착되도록 하는 제2 걸림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승하강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회전 지지대가 세워진 상태에서 수평한 상태로 이동할 때, 상기 선반의 급격한 하강을 방지할 수 있는 완충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승하강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는 태엽 형태로 감겨져 있는 판 스프링이고, 상기 판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회전 지지대의 끝단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판 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하우징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승하강 장치.
KR20130082783A 2013-07-15 2013-07-15 선반 승하강 장치 KR101488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2783A KR101488250B1 (ko) 2013-07-15 2013-07-15 선반 승하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2783A KR101488250B1 (ko) 2013-07-15 2013-07-15 선반 승하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8617A KR20150008617A (ko) 2015-01-23
KR101488250B1 true KR101488250B1 (ko) 2015-01-30

Family

ID=52572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2783A KR101488250B1 (ko) 2013-07-15 2013-07-15 선반 승하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82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7008B1 (ko) * 2020-09-24 2021-04-08 (주)퍼맥스 책장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42792B (zh) * 2020-08-13 2022-02-11 芜湖鑫沃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把手用存放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2866B2 (ja) * 1998-03-26 2004-01-06 松下電工株式会社 ダンパー装置及びダンパー装置を備えた昇降収納装置
JP3667766B2 (ja) * 1996-01-17 2005-07-06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キーボード支持アセンブリ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67766B2 (ja) * 1996-01-17 2005-07-06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キーボード支持アセンブリ
JP3482866B2 (ja) * 1998-03-26 2004-01-06 松下電工株式会社 ダンパー装置及びダンパー装置を備えた昇降収納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7008B1 (ko) * 2020-09-24 2021-04-08 (주)퍼맥스 책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8617A (ko) 2015-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2765B2 (en) Collapsible lockable support frame assembly and locking mechanism used therein
US20090121600A1 (en) Refrigerating Appliance With Height-Adjustable Storage Device
KR200479333Y1 (ko) 학습용 멀티 거치대
JP2002236525A (ja) キーボード支持装置
US20130000525A1 (en) Wall-mounted folding table
KR101524151B1 (ko) 절첩 가능한 보조상판을 갖는 테이블
KR101488250B1 (ko) 선반 승하강 장치
US20150182022A1 (en) Table and Accessory Unit Assembly and Method of Docking Accessory Unit to Table
KR101207295B1 (ko) 독서대 받침대
US2572205A (en) Folding table with pivoted feet
KR200464735Y1 (ko) 접철 구조를 갖는 선반
JP2007175333A (ja) 昇降棚装置
US6354548B1 (en) Dropping side shelf assembly
KR101321016B1 (ko) 태블릿 pc의 거치고정장치
CN107427998B (zh) 工作和储存台
US11206955B2 (en) Upright standing travel soap dish
KR200439926Y1 (ko) 독서대
JP6635807B2 (ja) 収納ベッド
KR200473343Y1 (ko) 절첩식 옷걸이
KR20170047600A (ko) 코너 선반
KR20090095404A (ko) 간이 가로대를 구비하는 선반형 수납수단
KR101441417B1 (ko) 가구의 좁은 공간에 수납되는 건조대
JP2005312565A (ja) 家具
KR20210112605A (ko) Pc방 책상의 회전식 식탁테이블
KR200483236Y1 (ko) 캐비넷 도어 일체형 작업발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