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8137B1 - 부착 성능이 강화된 자착식 피혁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부착 성능이 강화된 자착식 피혁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8137B1
KR101488137B1 KR20140089395A KR20140089395A KR101488137B1 KR 101488137 B1 KR101488137 B1 KR 101488137B1 KR 20140089395 A KR20140089395 A KR 20140089395A KR 20140089395 A KR20140089395 A KR 20140089395A KR 101488137 B1 KR101488137 B1 KR 101488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fabric
fiber fabric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89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애
Original Assignee
이영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애 filed Critical 이영애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8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8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1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gelatine proteins
    • D06N3/14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gelatine proteins with polyuretha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0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 D06N3/0006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using 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4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N3/06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with polyvinylchloride or its copolymerisation products
    • D06N3/065PVC together with other resins except polyuretha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11/00Specially adapted uses
    • D06N2211/12Decorative or sun protection articles
    • D06N2211/28Artificial lea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04Artificial lea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ynthetic Leather, Interior Materials Or Flexible Sheet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자착식 피혁재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이 제조방법은, (a) 울퉁불퉁한 하부면을 갖는 섬유 원단(1)을 준비하는 단계와; (b) 상기 섬유 원단(1)의 상면 위로 표피(2)를 형성하는 단계와; (c) 상기 섬유 원단(1)의 울퉁불퉁한 하부면에 배리어층(3)을 형성하는 단계와; (d) 박리지와 상기 배리어층(3)의 사이에 점착물질로 점착층(4)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배리어층(3)은 상기 점착층(4)과 상기 섬유 원단(1) 사이에서 상기 점착 물질과 상기 섬유 원단(1) 사이의 화학적 또는 물리적 작용을 차단한다.

Description

부착 성능이 강화된 자착식 피혁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SELF ADHESIVE LEATHER MATERIAL WITH ITS STICKING ABILITY STRENGTHE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자체 구비된 점착층에 의해 대상 표면에 자체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자착식 피혁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부착 성능이 보다 더 강화되어 대상 표면에 강하게 그리고 신뢰성 있게 부착 가능한 자착식 피혁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재질에 관계없이 임의의 표피가 섬유층에 형성된 것을 "피혁재"라 하고, 이에 부가하여, 피혁재를 임의의 대상 표면에 부착하기 위한 점착층을 자체 구비한 피혁재를 "자착식 피혁재"라 한다.
가구 내외장채, 차량 내장재, 모바일 기기 등의 케이스, 사진 앨범 또는 책자의 커버, 실내 인테리어, 데코레이션 재료 등으로 인조 피혁재 제품이 이용되고 있다. 인조가죽 피혁재 제품은 낮은 가격으로도 값 비싼 천연가죽의 우수한 외관 특성을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다양한 분야 및 용도에서 많은 수요가 있다.
인조 피혁재(이하, "피혁재"라 함)는 원단 상에 PVC(Poly Vinyl Chloride) 또는 폴리우레탄 등과 같은 합성수지 재료를 코팅하여 형성된 표피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피혁재를 대상 표면에 부착하려면, 표피 하부의 원단 표면에 접착제를 바르는 별도의 작업을 한 후, 접착제가 굳기 전에 대상 표면에 부착해야 한다. 위와 같은 기존의 인조가죽 피혁재는 접착제를 바르는 별도의 작업이 존재함으로 인하여 노동력이 많이 들고 비경제적이라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일반적인 피혁재는, 사용되는 접착제의 특성으로 인하여, 한번 대상 표면에 부착되면, 예컨대 잘못된 오부착으로 인하여 재부착이 필요한 경우, 대상 표면으로부터 분리가 어렵고 분리가 되더라도 재사용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피혁재 사용시 사용되는 접착제의 유독한 냄새가 문제시되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발명자는 자체 구비된 점착층에 의해 대상 표면에 부착될 수 있고 오부착시 분리하여 재부착이 쉬운 다양한 종류의 자착식 피혁재 관련 기술들을 개발한 바 있으며, 이러한 기술들은 본 발명의 발명자겸 출원인에 의해 2013. 05. 09. 자 출원되어 2013. 06. 05. 자 등록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74401호와, 2013. 08. 26. 자 출원되어 2013. 11. 29. 자 등록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1337663호에 개시된다. 개시된 기술의 자착식 피혁재는 울퉁불퉁한 섬유 원단의 하부면에 그 울퉁불퉁함이 전이되는 정도로 점착층을 미리 형성한 자착식 피혁재를 포함하며, 또한, 이 자착식 피혁재는 점착층에 박리지(release paper)를 부착하여 점착층을 보호하도록 되어 있다. 섬유 원단은 자체의 울퉁불퉁함 또는 퍼즈로 인해 점착층 표면에 울퉁불퉁함이 전이되고, 이는 자착식 피혁재를 대상 표면에 부착할 때, 가압력을 가하기 전에는, 점착층과 대상 표면 사이에 다수의 공기 갭을 만든다. 이 다수의 공기 갭은 점착층이 대상 표면과 초기 접착될 때에는 그대로 존재하여, 피혁재를 쉽게 분리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일정 압력을 가하면 대상 표면에 강하게 부착되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점착층 형성을 위해 섬유 원단에 직접 적용된 점착물질은 섬유 원단의 섬유들과 화학적 및/또는 물리적으로 작용하여, 섬유 원단을 녹이거나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점착제 성분이 섬유 원단의 미세 기공을 통해 점착제 성분이 침투할 우려가 있다. 자착식 피혁재가 점착제에 대상 표면에 부착될 때 점착층을 구성하는 점착 물질이 불균일하게 섬유 원단으로 침투하면 점착 특성이 불균일해질 우려가 있다.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은, 제조 과정에서 현재 시행되는 엄격한 공정 관리를 통해 해결하고 있지만, 엄격한 공정 관리 없이도 위 문제점들을 해결함으로써 자착식 점착층의 부착 성능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274401호(등록일자. 2013. 06.0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하나의 과제는, 섬유 원단, 그 섬유 원단의 상부면에 형성된 표피, 섬유 원단의 하부면에 형성된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을 임시적으로 덮어 보호하는 박리지를 포함하는 자착식 피혁재에 있어서, 섬유 원단의 하부면과 점착층 사이에 섬유 원단 측으로 점착물질의 침투를 차단하는 배리어층(barrier layer)를 형성하여, 대상 표면에 대한 점착층의 부착 성능을 보다 강화하고, 이를 통해, 오랜 기간 대상 표면에 신뢰성 있게 부착되어 있을 수 있는 부착 성능이 강화된 자착식 피혁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섬유 원단의 하부면과 점착층 사이에 섬유 원단 측으로 점착물질의 침투를 차단하는 배리어층을 형성하여, 대상 표면에 대한 부착 성능을 보다 강화함과 동시에, 초기 오부착시 재분리가 가능한 종래기술의 장점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자착식 피혁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자착식 피혁재 제조방법은, (a) 울퉁불퉁한 하부면을 갖는 섬유 원단(1)을 준비하는 단계와; (b) 상기 섬유 원단(1)의 상면 위로 표피(2)를 형성하는 단계와; (c) 상기 섬유 원단(1)의 울퉁불퉁한 하부면에 배리어층(3)을 형성하는 단계와; (d) 박리지와 상기 배리어층(3)의 사이에 점착물질로 점착층(4)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배리어층(3)은 상기 점착층(4)과 상기 섬유 원단(1) 사이에서 상기 점착 물질과 상기 섬유 원단(1) 사이의 화학적 또는 물리적 작용을 차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배리어층(3)은 상기 섬유 원단(1)의 울퉁불퉁한 하부면에 기인한 울퉁불퉁한 하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4)은 상기 배리어층(3)의 울퉁불퉁한 하부면에 기이한 울퉁불퉁한 하부면을 포함하여, 상기 점착층(4)은, 대상 표면에 대한 초기 부착시, 상기 울퉁불퉁한 하부면으로 인해, 상기 대상 표면과의 사이에 공기 갭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자착식 피혁재 제조방법은 상기 섬유 원단(1)의 하부면에 다수의 퍼즈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자착식 피혁제 제조방법은 상기 (b) 단계 전에 상기 섬유 원단(1)의 상면에 방염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방염 코팅층을 덮는 본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b) 단계는 상기 본딩층의 상면에 폴리우레탄 또는 PVC를 코팅하여 상기 표피(2)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배리어층(3) 형성을 위한 합성수지 재료는 폴리우레탄, PVC, EVA, 실리콘, 에폭시, PE 및 PP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d) 단계는 상기 (a), (b) 및 (c) 단계를 거쳐 섬유 원단(1), 상기 표피(2) 및 상기 배리어층(3)을 포함하도록 제작된 피혁재 원단(100')을 일방향으로 공급되는 상기 박리지(5)와 중간에서 서로 만나는 방향으로 공급하고, 상기 피혁재 원단(100')과 상기 박리지(5)가 만나는 점 이전에서, 노즐을 통해 상기 점착물질을 상기 배리어층(3) 또는 상기 박리지(5)에 도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자착식 피혁재는, 울퉁불퉁한 하부 표면을 갖는 섬유 원단(1)과; 상기 섬유 원단(1)의 상면 위로 형성된 표피(2)와; 상기 섬유 원단(1)의 울퉁불퉁한 하부 표면에 형성된 배리어층(3)과; 상기 배리어층(3)의 하부 표면에 형성된 점착층(4)과; 상기 점착층(4)을 보호하도록 상기 점착층(4)의 하부면에 부착되는 박리지(5)를 포함하며, 상기 배리어층(3)은 상기 점착층(4)과 상기 섬유 원단(1) 사이에서 상기 점착층(4)에 포함된 점착 물질과 상기 섬유 원단(1) 사이의 화학적 또는 물리적 작용을 차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착식 피혁재는, 섬유 원단, 그 섬유 원단의 상부면에 형성된 표피, 섬유 원단의 하부면에 형성된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을 임시적으로 덮어 보호하는 박리지를 포함함과 동시에 섬유 원단 측으로 점착물질의 침투를 차단하는 배리어층을 더 포함하여, 점착층의 대상 표면에 대한 부착 성능이 보다 더 강화되고 이를 통해, 오랜 기간 대상 표면에 신뢰성 있게 부착되어 있을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착식 피혁재는 섬유 원단의 하부면과 점착층 사이에 섬유 원단 측으로 점착물질의 침투를 차단하는 배리어층을 형성하여, 대상 표면에 대한 부착 성능을 보다 강화함과 동시에, 초기 오부착시 재분리가 가능한 종래기술의 장점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착식 피혁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착식 피혁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자착식 피혁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자착식 피혁재가 임의의 대상 표면에 부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착식 피혁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착식 피혁재 제조방법의 일부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착식 피혁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착식 피혁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8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자착식 피혁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도 9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자착식 피혁재가 임의의 대상 표면에 부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착식 피혁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착식 피혁재(100)는 섬유 원단(1)과, 상기 섬유 원단(1)의 상면에 형성된 표피(2)와, 상기 섬유 원단(1)의 하면에 형성된 배리어층(3)과, 상기 배리어층(3)의 하면에 형성된 점착층(4)을 포함한다. 상기 배리어층(3)은 상기 섬유 원단(1)과, 상기 점착층(4) 사이에서 상기 점착층(4)을 구성하는 점착물질이 상기 섬유 원단(1)으로 유동하여 침투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자착식 피혁재(100)는 상기 점착층(4)을 보호하도록 상기 점착층(4)의 하면에 임시로 부착되어 있는 박리지(release paper; 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섬유 원단(1)으로는 횡사(11)와 경사(12)를 한 올씩 교차하여 제작된 평직 직물이 이용된다. 그러나, 직물 대신에 편물 또는 부직포와 같은 다른 섬유 원단이 이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섬유 원단(1)은 횡사(11)와 경사(12)가 교차하는 것에 의해 요부와 철부가 반복되는 울퉁불퉁한 표면을 가짐과 동시에 다수의 기공이 형성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서, 점착물질이 섬유 원단의 하면에 직접 가해졌던 것과 달리,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섬유 원단(1)의 하면에 배리어층(3)이 형성된 후, 그 배리어층(3)의 하면에 점착물질이 도포되어 점착층(4)이 형성된다. 횡사(11)와 경사(12)의 교차 또는 실들의 교차로 인한 울퉁불퉁한 하부 표면이 배리어층(3)에 전이되고, 배리어층(3)의 울퉁불투한 하부 표면은 점착층(4)에 전이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점착층(4)은 배리어층(3)의 하면에서 전이된 울퉁불퉁한 하면 형상에 의해 공기 갭(G)을 가질 수 있다.
섬유 원단(1)을 구성하는 실들, 본 실시예에서는, 횡사(11)와 경사(12)는 폴리에스테르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상기 섬유 원단(1)을 구성하는 실들로는, 다른 종류의 합성 섬유사 예컨대, 나일론사, 폴리아크릴로니트릴사, 폴리올레핀사, 폴리비닐알콜사, 또는, 면, 마, 실크사 등이 채용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상기 표피(2)는, 가죽의 무늬를 가질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섬유 원단(1)의 상면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피(2)는 섬유 원단(1)의 상면에 형성된 폴리우레탄 또는 PVC 코팅층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표피(2)는 무늬를 가질 수 있는데, 상기 표피(2)에 형성되는 무늬는 섬유 원단(1)의 상면에 무늬 성형 롤러 또는 무늬 성형 시트를 가압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리어층(3)은 상기 섬유 원단(1)의 하면에 합성수지를 코팅하여 형성되어, 상기 섬유 원단(1)과 상기 점착층(4) 사이에서 점착층(4)을 구성하는 점착물질이 상기 섬유 원단(1)에 침투하는 것 그리고 상기 섬유 원단(1)과 화학적, 물리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배리어층(3)의 형성을 위한 합성수지 재료는 폴리우레탄, PVC, EVA, 실리콘, 에폭시, PE 및 PP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배리어층(3)은, 상기 섬유 원단(1)의 하면에 매우 얇은 두께로 형성되므로, 상기 섬유 원단(1) 하면의 울퉁불퉁함이 전이되어, 자신도 울퉁불퉁한 하면을 갖는다.
상기 점착층(4)은 상기 배리어층(3)의 하면 또는 임시 부착물인 박리지(5)의 상면에 리무버블 타입(removable type)의 용제형 아크릴 점착물질을 넓게 도포한 후 일정 온도 일정 시간 숙성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점착층(4)은 배리어층(3)의 울퉁불퉁한 형상이 전이되어 대상 표면에 대한 초기 부착시 에어 갭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점착물질의 점도는 3000 ~ 13000 cps/25℃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 범위 내에서 대상물에 따라 다른 종류의 점착물질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박리지(5)는 점착층(4)에 부착되어 점착층(4)을 보호한다. 박리지(5)를 벗겨 낼 때 점착층(4)의 점착 특성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점착층(4)과 접하는 박리지(5)의 표면에 박리제를 코팅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박리지(5)를 벗겨 내고 자착식 피혁재(100)를 임의의 대상 표면에 부착하고자 할 때, 가압력이 없는 초기 접촉 상태에서는 점착층(4)의 부착력이 낮은 것이 좋으며, 대상 표면에 대해 자착식 피혁재(100)를 가압한 후에는 점착층(4)의 부착력이 극대화되는 것이 좋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자착식 피혁재(100)는 섬유 원단(1) 하부면의 울퉁불퉁한 형상이 배리어층(3) 및 점착층(4)에 차례로 전이되어, 울퉁불퉁한 굴곡을 하면에 갖는 점착층(4)이 형성된다. 점착층(4)의 하부면에는 공기 갭(G)이 전체적으로 거의 균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대상 표면에 대해 자착식 피혁재(100)를 작은 압력으로 초기 부착시, 공기 갭(G)의 존재로 인하여, 점착층(4)과 대상 표면의 접촉 면적이 최소화되므로, 자착식 피혁재(100)를 대상 표면으로부터 쉽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 대상 표면에 대해 자착식 피혁재(100)를 강하게 누르면, 섬유 원단(1)의 유연성으로 인해 섬유 원단(1)의 하부면은 거의 편평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점착층(4)에 존재하였던 공기 갭(G)들의 체적이 줄어들어, 자착식 피혁재(100)는 대상 표면에 강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섬유 원단(1)의 하부면 및 배리어층(3)의 하부면 각각은 울퉁불퉁한 표면이 전체 면적에 걸쳐 균일하게 존재하고, 따라서 공기 갭(G) 또한 점착층(4)의 전체 면적에 대해 거의 균일하게 분포한다. 또한, 자착식 피혁재(100)는, 대상 표면에 대한 가압력 증가에 따라 점착층(4)에 존재하는 공기 갭(G)이 점진적으로 그리고 균일하게 줄어들므로, 대상 표면에 대한 부착력은 가압력에 거의 비례하여 변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섬유 원단(1)은, 자신의 하면에 있는 점착층(4)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된 공기 갭(G)을 포함할 수 있도록, 경사(12)와 횡사(11)가 한 개씩 교차하는 평직 직물이 이용되지만, 일정 규칙을 가지고 요부와 철부가 반복되어 균일하게 울퉁불퉁한 표면을 가질 수 있다면, 예컨대, 경사들 각각이 4개의 횡사 위를 지난 후 하나의 횡사 아래로 들어가는 주자직 편직물 또는 경사가 2개의 횡사 위와 아래로 지나가는 능직 편직물 등과 같이, 다른 구조를 갖는 편직물이 이용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섬유 원단(1)으로 직물 대신에 부직포가 적용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이제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착식 피혁재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직물로 이루어진 섬유 원단(1)을 준비한다. 섬유 원단(1)은 횡사(11)와 경사(12)가 한 개씩 교차되는 평직 편직물 구조가 선호되고, 섬유 원단(1)의 재료는 폴리에스테르가 선호된다. 그러나,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주자직 편직물 또는 능직 편직물 등과 같은 다른 구조의 편직물이 적용되거나 더 나아가 부직포가 적용될 수도 있고, 재료적으로는, 나일론,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올레핀, 폴리비닐알콜 등의 합성섬유 직물 또는 면, 마, 실크 등의 천연섬유 편직물이 채용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다음, 도 4를 참조하면, 섬유 원단(1)의 상면에 PVC 또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표피층용 합성수지(2')를 도포하고 발포한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발포 합성수지(2') 상에 무늬 성형 시트(M)를 놓고 가압하면, 무늬 성형 시트(M)가 갖는 무늬가 합성수지(2') 상에 전사되어 일정 패턴의 무늬가 형성된 표피(2)를 얻을 수 있다.
다음, 도 6을 참조하면, 섬유 원단(1)의 하부면에 폴리우레탄, PVC, EVA, 실리콘, 에폭시, PE 및 PP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합성수지 재료를 겔상 또는 액상으로 도포, 코팅하여, 배리어층(3)을 형성한다. 배리어층(3)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울퉁불퉁한 하부 표면을 갖는 것이 좋으며, 그 다음에 형성되는 점착층의 침투 및 점착물질과 섬유 원단 사이의 화학적, 물리적 작용을 차단하는 역할을 주로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점착층이 형성되기 직전, 즉, 점착제 없는 피혁재를 피혁재 원단으로 규정한다.
다음 도 7을 참조하면, 섬유 원단(1)의 상하에 표피(2)와 배리어층(3)이 형성된 피혁재 원단(100')과 박리지(5)를 일방향으로 동시 공급하면서, 박리지(5)와 피혁재 원단(100')이 만나기 직전 임의의 위치에서, 점착물질 도포 노즐(N)을 이용하여 피혁재 원단(100')의 배리어층(3)과 박리지(5) 사이의 배리어층(3)의 표면 상으로 점착물질(4')을 도포한다. 상기 점착물질에 의해 박리지(5)는 배리어층(3)의 하부면에 부착되며, 박리지(5)가 배리어층(3)의 울퉁불퉁한 하면에 부착된 피혁재(100')는 권취롤(R)에 감긴다. 이때, 점착물질(4')을 배리어층(3)의 하부면에 도포하는 대신 박리지(5)의 상부면에 도포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이때, 점착물질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리무버블 타입(removable type)의 용제형 아크릴 점착물질이 선호되며, 점착물질의 점도는 3000 ~ 13000 cps/25℃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물질(4')은 배리어층(3)의 울불불퉁한 표면을 덮고 있으며, 이에 의해, 배리어층(3)의 오목한 부분에는 다수의 공기 갭(G)들이 형성된다. 이 공기 갭(G)들의 존재에 의해, 대상 표면에 대한 자착식 피혁재의 초기 부착력은 약화될 수 있다. 또한 자착식 피혁재를 가압하면서 대상 표면에 부착할 때, 점착물질은 섬유 원단(1)의 유연한 특성에 의해 상기 공기 갭(G)들을 메우게 되며, 따라서, 자착식 피혁재의 대상 표면에 대한 부착 표면적이 증가하여 부착력은 증가될 수 있다.
다음 도 8을 참조하면, 전술한 것과 같이 제조되어 권취롤(R)에 두루마기 형태로 감긴 자착식 피혁재(100)를 30~65℃온도의 숙성실 내에 24시간 내지 72시간 동안 유지시켜, 상기 자착식 피혁재(100)의 점착층(4)을 숙성시킨다. 상기 숙성에 의해, 수분이 제거됨과 동시에 점착층(4)의 점착력의 크게 증가한다. 무늬 성형 시트를 이용하여 표피에 무늬를 형성하는 경우, 무늬 성형 시트가 자착식 피혁재(100)와 함께 권취롤에 두루마기 형태로 감겨 숙성식에서 보관되는 것이 좋으며, 이 경우, 숙성 과정에서도 무늬 성형이 지속되므로 보다 더 질 좋은 무늬를 얻을 수 있다.
도 9의 (a) 및 도 9의 (b)는 자착식 피혁재가 임의의 대상 표면에 부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9의 (a)를 참조하면, 자착식 피혁재(100)의 점착층(4)이 대상 표면(T)에 초기 접촉됨을 볼 수 있다. 점착층(4)과 섬유 원단(1) 사이에는 배리어층(3)이 형성되어 있어서, 점착층(4)과 섬유 원단(1) 사이의 화학적, 물리적 작용을 차단하고, 더 나아가, 상기 배리어층(3)이 상기 점착층(4)의 점착 물질이 섬유 원단(1)의 기공으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한다. 이때, 섬유 원단(1)으로부터 전이된 배리어층(3)의 균일하게 울퉁불퉁한 하부 표면으로 인하여, 상기 대상표면(T)과 점착층(4) 사이에는 많은 공기 갭(G)들이 균일하게 분포한다. 이 공기 갭(G))들로 인하여 대상 표면(T)에 대한 자착식 피혁재(100)의 초기 부착력은 낮게 나타난다. 이는 자착식 피혁재(100)의 잘못된 위치로 대상 표면(T)에 부착되는 것을 바로잡는데 유리하고 자착식 피혁재(100)의 점착층(4)이 엉겨 붙는 현상을 최소화해줄 수 있다.
도 9의 (b)를 참조하면, 자착식 피혁재(100)를 대상 표면에 대하여 가압하여 주면, 섬유 원단(1)의 변형과 수반하여, 점착층(4)에 존재하던 공기 갭들(G)이 뭉개져 줄어들면서, 자착식 피혁재(100)는 대상 표면(T)에 강한 부착력으로 부착된다.
[제2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착식 피혁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착식 피혁재(100)는, 직물로 이루어진 섬유 원단(1)과 그 위에 위치하는 표피(2) 사이에 상기 섬유 원단(1) 상면에 직접 형성된 형성된 방염 코팅층(C)과, 상기 방염 코팅층(C)의 상면과 상기 표피(2)의 하면 사이에 형성된 본딩층(B)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방염 코팅층(C)은 상기 섬유 원단(1)의 유연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두께로 상기 섬유 원단(1)의 상면에만 제한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방염 코팅층(C)은 상기 섬유 원단(1) 두께의 1/10 ~ 1/1000 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방염 코팅층(C)은 나이프 코팅, 로울러 코팅, 스프레이 코팅, 캘린더 코팅, 전사 코팅 또는 스크린 날염과 같은 코팅 기술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딩층(D)이 상기 방염 코팅층(C)의 상면을 덮도록 형성되고, 상기 본딩층(B) 상에 표피(2)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방염 코팅층(C)이 분말 형태로 떨어져 나가거나 하는 현상을 막을 수 있고 그 방염 코팅층(C)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표피(2)를 원하는 대로 형성할 수 있다. 본딩층(B)과 방염 코팅층(C)이 표피(2)와 섬유 원단(1) 사이에 개재되는 개재된 것을 제외하면 앞선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자착식 피혁재는 제조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자착식 피혁재의 섬유 원단(1)의 하부면에 그 하부면을 더욱 거칠게 하면서 울퉁불퉁하게 만드는 다수의 퍼즈(13)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퍼즈(13)는 섬유 원단(1)의 하부면을 내핑(napping) 가공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리어층(3; 도 1, 2 및 도 10 참조)은 퍼즈(13)를 갖는 섬유 원단(1)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섬유 원단(1) 하면의 거칠고 울퉁불퉁한 특성이 전이된다. 또한, 상기 점착층(4; 도 1, 도 및 도 10 참조)은, 배리어층의 울퉁불퉁하고 거친 하부면에 점착물질을 도포하여 형성됨을으로써, 대상 표면에 대해 더 많은 공기 갭을 형성할 수 있다.
섬유 원단(1)은 단사 섬도 100 데니어 이하인 것이 선호되며, 배리어층이 적용된 하부면에만 상기 퍼즈(13)들이 형성된 것이 좋다. 퍼즈(13)의 길이는 1 ~ 10mm, 바람직하게는 2 ~ 8mm가 선호되며, 퍼즈 밀도는 50 ~ 1000개/cm2인 것이 좋다. 퍼즈(13)의 길이는, 횡사(11) 또는 경사(12)와 접하는 뿌리 부분에서 선단까지의 길이를 의미한다.
도 11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샌프페이퍼를 외주면에 구비한 내핑 롤러(r)를 상기 섬유 원단(1)의 하부면에 일정 압력으로 가압된 상태로 회전과 함께 직선 주행시켜, 이에 의해, 상기 섬유 원단(1)의 하면에 다수의 퍼즈(13)들을 형성한다. 상기 내핑 롤러(r)의 직선 주행은 1회 1방향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내핑 롤러(R)의 2회 이상 반복 주행하여 퍼즈들을 형성하는 경우, 퍼즈들(13)의 뿌리가 약해지고 섬유 원단(1)이 손상될 수 있다.
다음, 다수의 퍼즈(13)들이 형성된 섬유 원단(1)의 하면에 합성수지를 코팅하여 배리어층(3; 도 1, 도 2 및 도 10 참조)을 형성한다. 앞선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배리어층(3) 형성을 위한 합성수지 재료는 폴리우레탄, PVC, EVA, 실리콘, 에폭시, PE 및 PP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다음, 상기 배리어층(3)의 하면에 점착층(4; 도 1, 도 2 및 도 10 참조)을 형성하고, 점착층을(4)을 보호하는 박리지(5; 도 1, 도 2 및 도 10 참조)를 점착층(4)에 부착한다. 설명되지 않은 내용은 앞선 제1 실시예를 따른다.
1: 섬유 원단 2: 표피
3: 배리어층 4: 점착층
5: 박리지

Claims (7)

  1. (a) 울퉁불퉁한 하부면을 갖는 섬유 원단(1)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섬유 원단(1)의 상면 위로 표피(2)를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섬유 원단(1)의 울퉁불퉁한 하부면에 직접 배리어층(3)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박리지와 상기 배리어층(3)의 사이에 상기 박리지와 상기 배리어층(3)에 직접 접하도록 점착물질을 도포하여 점착층(4)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배리어층(3)은 상기 점착층(4)과 상기 섬유 원단(1) 사이에 상기 점착층(4)과 상기 섬유 원단(1)과 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점착물질과 상기 섬유 원단(1) 사이의 화학적 또는 물리적 작용을 차단하며,
    상기 (b) 단계 전에 상기 섬유 원단(1)의 상면에 방염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방염 코팅층을 덮는 본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b) 단계는 상기 본딩층의 상면에 폴리우레탄 또는 PVC를 코팅하여 상기 표피(2)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착식 피혁재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20140089395A 2013-08-26 2014-07-15 부착 성능이 강화된 자착식 피혁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4881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0814 2013-08-26
KR1020130100814 2013-08-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8137B1 true KR101488137B1 (ko) 2015-01-29

Family

ID=52593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89395A KR101488137B1 (ko) 2013-08-26 2014-07-15 부착 성능이 강화된 자착식 피혁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81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367Y1 (ko) 1999-12-17 2000-05-15 주식회사성산피혁 모피형 합성피혁
JP2007051449A (ja) * 2005-08-17 2007-03-01 Yasuhara Chemical Co Ltd タイルカーペット
KR101248140B1 (ko) 2012-09-27 2013-04-02 서영주 프린팅 또는 이형지를 사용한 양면가공 피혁 제조방법
KR101274401B1 (ko) * 2013-05-09 2013-06-18 이영애 자착식 피혁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367Y1 (ko) 1999-12-17 2000-05-15 주식회사성산피혁 모피형 합성피혁
JP2007051449A (ja) * 2005-08-17 2007-03-01 Yasuhara Chemical Co Ltd タイルカーペット
KR101248140B1 (ko) 2012-09-27 2013-04-02 서영주 프린팅 또는 이형지를 사용한 양면가공 피혁 제조방법
KR101274401B1 (ko) * 2013-05-09 2013-06-18 이영애 자착식 피혁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9285B2 (en) Breathable fabric lamination
KR100690943B1 (ko) 양면 접착 테이프 및 이를 구비한 가발
US7758712B2 (en) Tearable elastic composite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0060013989A1 (en) Synthetic turf and method for applying adhesive
GB2040822A (en) Decorative material and a process for producing it
JP2019052391A (ja) 複合布帛
KR101274401B1 (ko) 자착식 피혁재 및 그 제조방법
JP4818678B2 (ja) 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KR101488137B1 (ko) 부착 성능이 강화된 자착식 피혁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N109923186A (zh) 粘合片、橡皮膏及它们的制造方法
JP2003259906A (ja) 皮膚を装飾するための物品
KR101572523B1 (ko) 폴리우레탄 재질로 된 스팽글필름 제조방법
KR101510420B1 (ko) 패치형 해충 기피제
CA2176480A1 (en) Process for applying a foamed coating to a medical adhesive tape
CN106113709B (zh) 防滑垫的制法
US6190482B1 (en) Method for laminating textiles
JP2808225B2 (ja) 表装材
KR101496977B1 (ko) 자연 무늬를 가진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1370978A (zh) 形态变化纤维布帛
KR100848036B1 (ko) 통기, 신축성, 복원력 및 발수기능을 가진 스판 합포 시트및 그 제조방법
JP2008109989A (ja) 医療用貼付製品
KR20100079402A (ko)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코바늘 니트 합포 원단 및 그 제조방법
US20020086121A1 (en) Moisture-resistant, shape-retaining fabric, ribbon and bow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same
KR101337663B1 (ko) 자착식 피혁재와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891691B1 (ko) 자수가 형성된 원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