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7663B1 - 자착식 피혁재와 이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자착식 피혁재와 이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7663B1
KR101337663B1 KR1020130100811A KR20130100811A KR101337663B1 KR 101337663 B1 KR101337663 B1 KR 101337663B1 KR 1020130100811 A KR1020130100811 A KR 1020130100811A KR 20130100811 A KR20130100811 A KR 20130100811A KR 101337663 B1 KR101337663 B1 KR 101337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knitted fabric
adhesive layer
leather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0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애
Original Assignee
이영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애 filed Critical 이영애
Priority to KR1020130100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76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7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7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4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N3/06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with polyvinylchloride or its copolymerisation produc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02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spraying or projec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06C23/04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by shrinking, embossing, moiréing, or crêp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7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mechanical or physical treatments
    • D06N3/0077Embossing; Pressing of the surface; Tumbling and crumbling; Cracking; Cooling; Heating, e.g. mirror finish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1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gelatine proteins
    • D06N3/14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gelatine proteins with polyuretha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11/00Specially adapted uses
    • D06N2211/12Decorative or sun protection articles
    • D06N2211/28Artificial lea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ynthetic Leather, Interior Materials Or Flexible Sheet Materials (AREA)

Abstract

자착식 피혁재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이 자착식 피혁재 제조방법은, (a) 횡사와 경사가 교차하여 울툴불퉁한 하부 표면을 갖는 편직물(1)을 준비하는 단계와; (b) 상기 편직물(1)의 상면에 표피(2)를 형성하는 단계와; (c) 상기 편직물(1)의 울툴불퉁한 하부 표면과 박리지(4) 사이에 점착물질을 개재하여, 상기 편직물(1)의 울툴불퉁한 하부 표면에 점착층(3)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박리지(4)를 부착하는 단계와; (d) 상기 점착층(3)을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c) 단계는, 상기 울퉁불퉁한 하부 표면의 굴곡에 따라 상기 점착층(4)에 공기 갭(G)들이 형성되도록, 상기 점착물질이 가해진다.

Description

자착식 피혁재와 이를 제조하는 방법{SELF ADHESIVE LEATHER MATERIA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자체 구비된 점착층에 의해 대상 표면에 자체적으로 부착될 수 있고, 대상 표면에 강하게 그리고 신뢰성 있게 부착 가능하면서도, 초기 오부착시에는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며, 더 나아가, 대상 표면에 대한 접착 강도가 전체적으로 균일한 자착식 피혁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구 내외장채, 차량 내장재, 모바일 기기 등의 케이스, 사진 앨범 또는 책자의 커버, 실내 인테리어, 데코레이션 재료 등으로 인조가죽 또는 천연가죽을 포함하는 피혁재 제품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위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대상물의 외부면 보수 또는 데코레이션을 위해 피혁재 제품이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인조가죽 피혁재 제품은 낮은 가격으로도 값 비싼 천연가죽의 우수한 외관 특성을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다양한 분야 및 용도에서 많은 수요가 있다.
인조가죽 피혁재는 원단 상에 PVC(Poly Vinyl Chloride) 또는 폴리우레탄 등과 같은 합성수지 재료를 포함하는 표피를 형성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피혁재를 전술한 것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 대상 표면에 부착하려면, 표피 하부의 원단 표면에 접착제를 바르는 별도의 작업을 한 후, 접착제가 굳기 전에 대상 표면에 부착해야 한다.
위와 같은 기존의 인조가죽 피혁재는 접착제를 바르는 별도의 작업이 존재함으로 인하여 노동력이 많이 들고 비경제적이라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사용되는 접착제의 특성으로 인하여, 한번 대상 표면에 부착된 인조가죽 피혁재는, 예컨대 잘못된 오부착으로 인하여 재부착이 필요한 경우, 대상 표면으로부터 분리가 어렵고 분리가 되더라도 재사용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기존의 인조가죽 피혁재는 접착제의 유독한 냄새로 인한 문제점을 또한 갖고 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발명자는 표피 하층의 원단 하부 표면에 퍼즈를 마련하고, 그 퍼즈를 덮도록 점착층을 형성한 후, 점착층 상에 박리지(release paper)를 부착한 자착식 피혁재를 제안한 바 있다. 이 기술은 본 발명의 발명자에 의해 2013. 05. 09.자 출원되어, 2013. 06. 05.자 등록된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274401호에 잘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종래의 자착식 피혁재는 퍼즈로 인하여 점착층 표면에 공기 갭이 존재하며, 이 공기 갭은 점착층이 대상 표면과 초기 접착될 때에는 그대로 존재하여, 피혁재를 쉽게 분리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일정 압력을 가하면 대상 표면에 강하게 부착되는 장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274401호(등록일자. 2013. 06.05.)
그러나 종래 기술은 전술한 것과 같은 좋은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퍼즈가 불균일하게 형성될 경우, 대상 표면에 실제 부착되는 점착층 또한 불균일해지고 이로 인해 대상표면에 대한 부착 강도가 불균일해질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퍼즈 대신 편직물의 울퉁불퉁한 표면을 이용해 점착층에 공기 갭을 형성함으로써, 대상 표면에 대한 초기 접착 강도를 줄이는 기존 장점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대상 표면에 대해 균일한 접착 강도를 가질 수 있는 자착식 피혁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착식 피혁재 제조방법은, (a) 횡사와 경사가 교차하여 울툴불퉁한 하부 표면을 갖는 편직물(1)을 준비하는 단계와; (b) 상기 편직물(1)의 상면에 표피(2)를 형성하는 단계와; (c) 상기 편직물(1)의 울툴불퉁한 하부 표면과 박리지(4) 사이에 점착물질을 개재하여, 상기 편직물(1)의 울툴불퉁한 하부 표면에 점착층(3)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박리지(4)를 부착하는 단계와; (d) 상기 점착층(3)을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c) 단계는, 상기 울퉁불퉁한 하부 표면의 굴곡에 따라 상기 점착층(3)에 공기 갭(G)들이 형성되도록, 상기 점착물질이 가해진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c) 단계는 상기 표피(2)가 형성된 상기 편직물(1)과 상기 박리지(4)를 중간에서 서로 만나는 방향으로 공급하고, 상기 편직물(1)과 상기 박리지(4)가 만나는 점 이전에서, 노즐을 통해 상기 점착물질을 상기 편직물(1) 또는 상기 박리지(4)에 도포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b) 단계는 PVC 또는 폴리우레탄 수지를 편직물(1)의 상면에 도포 및 발포한 후, 무늬 성형 롤러 또는 무늬 성형 시트를 이용하여 상기 수지에 무늬를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d) 단계는 상기 (c) 단계를 거친 얻어진 피혁재를 두루마기 형태로 감아 30~65℃온도의 숙성실에서 24시간 내지 72시간 숙성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편직물은 횡사와 경사를 한 올씩 교차하여 제작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자착식 피혁재가 제공되며, 상기 자착식 피혁재는, 횡사와 경사가 교차하여 울툴불퉁한 하부 표면을 갖는 편직물(1)과; 상기 편직물(1)의 상면에 형성된 표피(2)와; 상기 편직물(1)의 울툴불퉁한 하부 표면에 형성된 점착층(3)과; 상기 점착층(3)을 보호하도록 상기 점착층(3)에 부착되는 박리지(4)를 포함하되, 상기 점착층(3)은 상기 울툴불퉁한 하부 표면의 굴곡에 따라 하면에 공기 갭들이 형성되되, 대상 표면에 대해 상기 자착식 피혁재를 누르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공기 갭들의 크기가 감소된다. 이때, 상기 표피(2)는 발포된 PVC 또는 폴리우레탄을 포함하고, 무늬 성형 롤러 또는 무늬 성형 시트에 의해 형성된 무늬를 표면에 구비하는 것이 좋다.
예컨대 피혁재일 수 있는 자착식 시트재는 횡사와 경사가 교차하여 울툴불퉁한 하부 표면을 갖는 편직물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편직물의 울툴불퉁한 하부 표면과 박리지 사이에 점착물질을 개재하여, 상기 편직물의 울툴불퉁한 하부 표면에 점착층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박리지를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점착층을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박리지를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울퉁불퉁한 하부 표면의 굴곡에 따라 상기 점착층에 공기 갭들이 형성되도록, 상기 점착물질이 가해진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자착식 피혁재는 자체 구비된 점착층을 이용한 초기 부착시 점착층에 존재하는 공기 갭들의 존재로 인하여, 초기 오부착시 대상 표면으로부터 분리가 쉽고, 공기 갭들이 균일하게 점착층 표면에 균일하게 존재함으로서, 대상 표면에 대해 균일한 부착 강도로 접착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착식 피혁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착식 피혁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7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자착식 피혁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며,
도 8의 (a) 및 (b)는 자착식 피혁재가 임의의 대상 표면에 부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착식 피혁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착식 피혁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착식 피혁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7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자착식 피혁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며, 도 8의 (a) 및 (b)는 자착식 피혁재가 임의의 대상 표면에 부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착식 피혁재(100)는 편직물(1)과, 상기 편직물(1)의 상면에 형성된 표피(2)와, 상기 편직물(1)의 하면에 형성된 점착층(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자착식 피혁재(100)는 상기 점착층(3)을 보호하도록 상기 점착층(3)의 하면에 임시로 부착되어 있는 박리지(release paper; 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표피(2) 및 상기 편직물(1)은 방염 또는 난연 처리되거나 또는 방염 또는 난연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편직물(1)은 횡사(11)와 경사(12)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횡사(11)와 경사(12)를 한 올씩 교차하여 제작된 평직 편직물이 이용된다. 횡사(11)와 경사(12)가 교차하는 것에 의해 상기 편직물(1)의 하면은 요부와 철부가 반복되는 울퉁불퉁한 표면으로 형성된다. 점착물질이 편직물(1)의 하면에 가해져 점착층(3)이 형성될 때, 균일하게 울퉁불퉁한 편질물(1)의 하면 형상에 의해, 상기 점착층(3)에는 공기 갭(G)이 형성된다.
편직물(1)의 횡사(11)와 경사(12)는 폴리에스테르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상기 편직물(1)의 횡사 또는 경사로, 다른 종류의 합성섬유사 예컨대, 나일론사, 폴리아크릴로니트릴사, 폴리올레핀사, 폴리비닐알콜사, 또는, 면, 마, 실크사 등이 채용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상기 표피(2)는, 가죽의 무늬를 가질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편직물(1)의 상면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피(2)는 편직물(1)의 상면에 넓게 도포된 발포 PVC 재료 상에 무늬 성형 롤러 또는 무늬 성형 시트를 가압하여 형성될 수 있다. PVC로 된 표피(2) 대신에 다른 종류의 합성수지, 예컨대, 폴리우레탄 수지가 적용된 표피도 고려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합성수지 표피 대신에 천연가죽 표피를 적용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천연가죽을 상기 편직물(1)의 상면에 부착하여 표피를 형성한다.
상기 점착층(3)은 상기 편직물(1)의 하면, 또는, 임시 부착물인 박리지(4), 또는 박리지(4)와 편직물(1) 사이에 점착물질, 바람직하게는, 리무버블 타입(removable type)의 용제형 아크릴 점착물질을 넓게 도포한 후 일정 온도 일정 시간 숙성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점착물질의 점도는 3000 ~ 13000 cps/25℃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 범위 내에서 대상물에 따라 다른 종류의 점착물질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박리지(4)는 점착층(3)에 부착되어 점착층(3)을 보호한다. 박리지(4)를 벗겨 낼 때 점착층(3)의 점착 특성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점착층(3)과 접하는 박리지(4)의 표면에 박리제를 코팅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박리지(4)를 벗겨 내고 자착식 피혁재(100)를 임의의 대상 표면에 부착하고자 할 때, 가압력이 없는 초기 접촉 상태에서는 점착층(3)의 부착력이 낮은 것이 좋으며, 대상 표면에 대해 자착식 피혁재(100)를 가압한 후에는 점착층(3)의 부착력이 극대화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자착식 피혁재(100)는 편직물(1)하부면에 상응하는 울퉁불퉁한 굴곡을 갖도록 점착층(3)이 형성되며, 이에 의해, 점착층(3)의 하부면에는 공기 갭(G) 전체적으로 거의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제작된다.
대상 표면에 대해 자착식 피혁재(100)를 작은 압력으로 초기 부착시, 공기 갭(G)의 존재로 인하여, 점착층(3)과 대상 표면의 접촉 면적이 최소화되므로, 자착식 피혁재(100)를 대상 표면으로부터 쉽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 대상 표면에 대해 자착식 피혁재(100)를 강하게 누르면, 편직물(1)의 유연성으로 인해 편직물(1)의 하부면은 거의 편평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점착층(3)에 존재하였던 공기 갭(G)들의 체적이 줄어들어, 자착식 피혁재(100)는 대상 표면에 강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이때, 편직물(1)의 하부면은 울툴불퉁한 표면이 전체 면적에 걸쳐 균일하게 존재하고, 따라서 공기 갭(G) 또한 접착층(3)의 전체 면적에 대해 거의 균일하게 분포한다. 또한, 자착식 피혁재(100)는, 대상 표면에 대한 가압력 증가에 따라 점착층(3)에 존재하는 공기 갭(G)이 점진적으로 그리고 균일하게 줄어들므로, 대상 표면에 대한 부착력은 가압력에 거의 비례하여 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착식 피혁재는 종래 기술에서 퍼즈 형성을 위해 이용되었던 내핑(napping) 가공 없이도 제작될 수 있으므로, 종래에 비해 보다 더 경제적으로 생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편직물(1)은, 자신의 하면에 있는 점착층(3)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된 공기 갭(G)을 포함할 수 있도록, 경사(12)와 횡사(11)가 한 올씩 교차하는 평직 편직물이 이용되지만, 일정 규칙을 가지고 요부와 철부가 반복되어 균일하게 울툴불퉁한 표면을 가질 수 있다면, 예컨대, 경사들 각각이 4개의 횡사 위를 지난 후 하나의 횡사 아래로 들어가는 주자직 편직물 또는 경사가 2개의 횡사 위와 아래로 지나가는 능직 편직물 등과 같이, 다른 구조를 갖는 편직물이 이용될 수도 있다.
이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착식 피혁재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편직물(1)을 준비한다. 편직물(1)의 구조는 횡사(11)와 경사(12)가 한 올씩 교차되는 평직 편직물 구조가 선호되고, 편직물(1)의 재료는 폴리에스테르가 선호된다. 그러나,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주자직 편직물 또는 능직 편직물 등과 같은 다른 구조의 편직물이 적용될 수 있고, 재료적으로는, 나일론,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올레핀, 폴리비닐알콜 등의 합성섬유 직물 또는 면, 마, 실크 등의 천연섬유 편직물이 채용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다음, 도 4를 참조하면, 편직물(1)의 상면에 PVC 또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표피층용 합성수지(2')를 도포하고 발포한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발포 합성수지(2') 상에 무늬 성형 시트(M)를 놓고 가압하면, 무늬 성형 시트(M)가 갖는 무늬가 합성수지(2') 상에 전사되어 일정 패턴의 무늬가 형성된 표피(2)를 얻을 수 있다.
다음 도 6을 참조하면, 표피(2)가 형성된 편직물(1'; 이하 '표피 일체 편직물'이라 함)과 박리지(4)를 일방향으로 동시에 공급하면서 박리지(4)와 표지 일체 편직물(1')가 만나기 직전 임의의 위치에서 점착물질 도포 노즐(N)을 이용하여 표피 일체 편직물(1')와 박리지(4) 사이, 편직물(1) 하부 표면 상으로 점착물질(3')을 도포한다. 점착물질(3')에 의해 박리지(4)는 표지 일체 편직물(1')의 편직물 하면에 부착되며, 박리지(4)가 편직물의 울퉁불퉁한 하면에 부착된 표지 일체 편직물(1')은 권취롤(R)에 감긴다. 이때, 점착물질(3')을 편직물 하부 표면에 도포하는 대신 박리지(4)의 상면에 도포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이대, 점착물질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리무버블 타입(removable type)의 용제형 아크릴 점착물질이 선호되며, 점착물질의 점도는 3000 ~ 13000 cps/25℃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물질(3')은 횡사(11)와 경사(12)가 교차하여 형성된 편직물의 울불불퉁한 표면들을 덮고 있으며, 이에 의해, 편직물(1)의 오목한 부분에는 다수의 공기 갭(G)들이 형성된다. 이 공기 갭(G)들의 존재에 의해, 대상 표면에 대한 자착식 피혁재의 초기 부착력은 약화될 수 있다. 또한 자착식 피혁재를 가압하면서 대상 표면에 부착할 때, 점착물질은 편직물(1)의 유연한 특성에 의해 상기 공기 갭(G)들을 메우게 되며, 따라서, 자착식 피혁재의 대상 표면에 대한 부착 표면적이 증가하여 부착력은 증가될 수 있다.
다음 도 7을 참조하면, 전술한 것과 같이 제조되어 권취롤(R)에 두루마기 형태로 감긴 자착식 피혁재(100)를 30~65℃온도의 숙성실 내에 24시간 내지 72시간 동안 유지시켜, 상기 자착식 피혁재(1000)의 점착층(3)을 숙성시킨다. 상기 숙성에 의해, 수분이 제거됨과 동시에 점착층(3)의 점착력의 크게 증가한다.
도 8의 (a) 및 도 8의 (b)는 자착식 피혁재가 임의의 대상 표면에 부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8의 (a)를 참조하면, 자착식 피혁재(100)의 점착층(3)이 대상 표면(T)에 초기 접촉됨을 볼 수 있다. 이때, 편직물(1)의 균일하게 울툴불퉁한 하부 표면으로 인하여, 상기 대상표면(T)과 점착층(3) 사이에는 많은 공기 갭(G)들이 균일하게 분포한다. 이 공기 갭들로 인하여 대상 표면(T)에 대한 자착식 피혁재(100)의 초기 부착력은 낮게 나타난다. 이는 자착식 피혁재(100)의 잘못된 위치로 대상 표면(T)에 부착되는 것을 바로잡는데 유리하고 자착식 피혁재(100)의 점착층(3)이 엉겨 붙는 현상을 최소화해줄 수 있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자착식 피혁재(100)를 대상 표면에 대하여 가압하여 주면, 편직물(1)의 변형과 수반하여, 점착층(3)에 존재하던 공기 갭들(G)이 뭉개져 줄어들면서, 자착식 피혁재(100)는 대상 표면(T)에 강한 부착력으로 부착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착식 피혁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착식 피혁재는 편직물(1) 상면에 형성된 방염 코팅층(C)를 포함한다. 상기 방염 코팅층(C)은 상기 편직물(1)의 유연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두께로 상기 편직물(1)의 상면에만 제한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방염 코팅층(2)은 상기 편직물(1) 두께의 1/10 ~ 1/1000 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방염 코팅층(C)은 나이프 코팅, 로울러 코팅, 스프레이 코팅, 캘린더 코팅, 전사 코팅 또는 스크린 날염과 같은 코팅 기술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표피(2)는 상기 방염 코팅층(C)이 형성된 편직물(1)의 상면에 형성된다. 방염 코팅층(C)을 형성하는 것을 제외하고, 앞선 실시예와 동일안 방법으로 자착식 피혁재는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방염 코팅층(C)은 인계 난연재로서 ADPP(anilinodiphenyl phosphate), RDPP (resorcinol -bis[diphenol phosphate)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방염 코팅층(C)은 탄소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이용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방염 코팅층(C)은 탄소 원료(즉, 탄소계 화합물), 촉매 및 불연성 기체 원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탄소계 화합물로는 펠타에리트리톨, 카제인 또는 전분과 같은 탄수화물, 단백질 또는 다가 알콜을 포함할 수 있다. 방염 코팅층(C)이 화염에 노출시 촉매는 탄소계 화합물을 발포시켜 화염의 진행을 차단하는 탄소 입자들을 만든다. 촉매로는 붕산, 인산 또는 황산과 같은 무기 산 또는 모노 또는 디암모늄 포스페이트, 멜라닌 및 요소와 같은 무기산의 분해 형태인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염 코팅층(C) 형성을 위한 방염 약재는 알루미나 삼수화물, 규산염, 카올린, 석고 및 수화점토와 같은 방염용 필러가 추가될 수 있다.
1: 편직물 2: 표피
3: 점착층 4: 박리지
11: 횡사 12: 경사
G: 공기 갭

Claims (8)

  1. (a) 횡사와 경사가 교차하여 울툴불퉁한 하부 표면을 갖는 편직물(1)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편직물(1)의 상면에 표피(2)를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편직물(1)의 울툴불퉁한 하부 표면과 박리지(4) 사이에 점착물질을 개재하여, 상기 편직물(1)의 울툴불퉁한 하부 표면에 점착층(3)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박리지(4)를 부착하는 단계; 및
    (d) 상기 점착층(3)을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c) 단계는, 상기 울퉁불퉁한 하부 표면의 굴곡에 따라 상기 점착층(3)에 공기 갭(G)들이 형성되도록, 상기 점착물질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착식 피혁재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표피(2)가 형성된 상기 편직물(1)과 상기 박리지(4)를 중간에서 서로 만나는 방향으로 공급하고, 상기 편직물(1)과 상기 박리지(4)가 만나는 점 이전에서, 노즐을 통해 상기 점착물질을 상기 편직물(1) 또는 상기 박리지(4)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착식 피혁재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PVC 또는 폴리우레탄 수지를 편직물(1)의 상면에 도포 및 발포한 후, 무늬 성형 롤러 또는 무늬 성형 시트를 이용하여 상기 수지에 무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착식 피혁재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c) 단계를 거친 얻어진 피혁재를 두루마기 형태로 감아 30~65℃온도의 숙성실에서 24시간 내지 72시간 숙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착식 피혁재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편직물은 횡사와 경사를 한 올씩 교차하여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착식 피혁재 제조방법.
  6. 자착식 피혁재에 있어서,
    횡사와 경사가 교차하여 울툴불퉁한 하부 표면을 갖는 편직물(1);
    상기 편직물(1)의 상면에 형성된 표피(2);
    상기 편직물(1)의 울툴불퉁한 하부 표면에 형성된 점착층(3); 및
    상기 점착층(3)을 보호하도록 상기 점착층(3)에 부착되는 박리지(4)를 포함하되,
    상기 점착층(3)은 상기 울툴불퉁한 하부 표면의 굴곡에 따라 하면에 공기 갭들이 형성되되, 대상 표면에 대해 상기 자착식 피혁재를 누르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공기 갭들의 크기가 감소되는 특징으로 하는 자착식 피혁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표피(2)는 발포된 PVC 또는 폴리우레탄을 포함하고, 무늬 성형 롤러 또는 무늬 성형 시트에 의해 형성된 무늬를 표면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착식 피혁재.
  8. 횡사와 경사가 교차하여 울툴불퉁한 하부 표면을 갖는 편직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편직물의 울툴불퉁한 하부 표면과 박리지 사이에 점착물질을 개재하여, 상기 편직물의 울툴불퉁한 하부 표면에 점착층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박리지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점착층을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박리지를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울퉁불퉁한 하부 표면의 굴곡에 따라 상기 점착층에 공기 갭들이 형성되도록, 상기 점착물질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착식 시트재의 제조방법.
KR1020130100811A 2013-08-26 2013-08-26 자착식 피혁재와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337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0811A KR101337663B1 (ko) 2013-08-26 2013-08-26 자착식 피혁재와 이를 제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0811A KR101337663B1 (ko) 2013-08-26 2013-08-26 자착식 피혁재와 이를 제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7663B1 true KR101337663B1 (ko) 2013-12-06

Family

ID=49987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0811A KR101337663B1 (ko) 2013-08-26 2013-08-26 자착식 피혁재와 이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766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3631A (ko) * 2002-08-07 2004-02-14 (주)대우인터내셔널 합성피혁원단제조방법및이에의해제조되는원단을이용한폴리우레탄합성피혁제조방법
JP2004091981A (ja) * 2002-08-30 2004-03-25 Seiren Co Ltd 皮革様構造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08925A (ko) * 2008-07-17 2010-01-27 주식회사 아이시피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입체감 있는 건식 합성피혁의제조방법 및 그 합성피혁
KR101274401B1 (ko) * 2013-05-09 2013-06-18 이영애 자착식 피혁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3631A (ko) * 2002-08-07 2004-02-14 (주)대우인터내셔널 합성피혁원단제조방법및이에의해제조되는원단을이용한폴리우레탄합성피혁제조방법
JP2004091981A (ja) * 2002-08-30 2004-03-25 Seiren Co Ltd 皮革様構造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08925A (ko) * 2008-07-17 2010-01-27 주식회사 아이시피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입체감 있는 건식 합성피혁의제조방법 및 그 합성피혁
KR101274401B1 (ko) * 2013-05-09 2013-06-18 이영애 자착식 피혁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0505B1 (en) Adhesive tape comprising a woven polyester support detachable by hand
US5162150A (en) Duct tape
US4233358A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waterproof and like fabrics
JP5883209B2 (ja) 面ファスナー用の複合材要素
ATE140373T1 (de) Gemusterter, getufteter, schmelzgebundener teppich und teppichfliess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JP2007277797A5 (ko)
KR101228351B1 (ko) 합성수지가 함침된 한지를 이용한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EP2817447B1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carbon fiber fabrics and fabric manufactured with this process
CN1644364B (zh) 皮革或类似皮革的复合材料
CN102413727B (zh) 钩环扣件的接合凹构件及其制备方法
CZ20003562A3 (cs) Ochranné opláštění protáhlých předmětů
JPH10510566A (ja) クニット型または多重クニット型のウエッブをベースにした裏側を被覆された接着テープ
KR101274401B1 (ko) 자착식 피혁재 및 그 제조방법
EP2737121B1 (en) Fabric finishing
CN108883568B (zh) 图案形成方法
KR101337663B1 (ko) 자착식 피혁재와 이를 제조하는 방법
JPH1085012A (ja) ループを有する層を含む積層組立体の製造方法
CN103402761A (zh) 地板覆盖物
KR101540774B1 (ko) 장식용 복합 원단시트
JP6476214B2 (ja) ドライウォール建築用分離ストリップ
KR101381027B1 (ko) 내염성 인조피혁재 및 그 제조방법
US6190482B1 (en) Method for laminating textiles
KR101399948B1 (ko) 합성피혁 및 합성피혁의 제조방법
JP7350393B1 (ja) 目地様模様形成用積層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目地様模様を有する塗工部材の作製方法
KR101488137B1 (ko) 부착 성능이 강화된 자착식 피혁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