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8090B1 - 휴대용 휘도 측정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휘도 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8090B1
KR101488090B1 KR20130075271A KR20130075271A KR101488090B1 KR 101488090 B1 KR101488090 B1 KR 101488090B1 KR 20130075271 A KR20130075271 A KR 20130075271A KR 20130075271 A KR20130075271 A KR 20130075271A KR 101488090 B1 KR101488090 B1 KR 101488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inance
portable
measurement object
value
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5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2990A (ko
Inventor
김용태
Original Assignee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075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8090B1/ko
Publication of KR20150002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8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8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1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by comparison with reference light or electric value provisionally void
    • G01J1/1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by comparison with reference light or electric value provisionally void using wholly visual means
    • G01J1/14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by comparison with reference light or electric value provisionally void using wholly visual means using comparison with a surface of graded bright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219Electrical interface; User interfa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228Control of working procedures; Failure detection; Spectral bandwidth calcul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4Electric circ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4Electric circuits
    • G01J2001/4446Type of detector
    • G01J2001/446Photodio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휘도 측정 대상물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 상기 영상 촬영부에서 촬영한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영상 처리부의 영상 처리 결과를 기초로 휘도를 계산하는 휘도 계산부; 및 상기 휘도 계산부의 결과값을 표시하는 휘도 표시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휘도 측정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용 휘도 측정기{PORTABLE LUMINANCE METER}
본 발명은 휴대용 휘도 측정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빛 공해의 원인이 되고 있는 옥외 광고물, 간판, 또는 인공 조명들의 방사 휘도를 측정할 수 있으면서, 휴대가 가능하고, 측정과 동시에 바로 휘도 측정 결과를 나타내 주는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 휴대용 휘도 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광속(lm)은 광원으로부터 외부로 나오는 빛의 양을 의미하며, 광도(cd)는 광원이 한 방향으로만 비치는 경우의 빛의 세기로 정의된다. 휘도(cd/m2)는 광원, 발광면, 조명 대상물 등의 밝기를 말하며 단위 면적에 대한 광도(cd/m2)로 정의된다.
이와 같은 휘도를 측정하는 휘도계는 피측정물의 비교적 미세한 부분으로부터의 방사광 또는 반사광의 양을 휘도의 정의에 가까운 상태에서 측정하는 장치 또는 휘도를 측정하기 위한 계기로서, 광전지나 광전판, 광전자 증배관을 수광기로 하는 광전식이 일반적이며, 수광기의 앞에 있는 광학계를 통하여 피측정물에서 나오는 광을 측정한다.
현재 국내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휘도계는 가격이 고가인 독일이나 일본에서 수입된 제품으로, DSLR 카메라로 촬영하여 컴퓨터에 설치된 전용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카메라를 연결해서 데이터 분석을 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로 인해 현장에서 옥외 광고물(간판) 또는 인공 조명의 휘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장비를 활용하거나 촬영한 사진을 가지고 별도로 분석을 하기 때문에 많은 불편함을 가지고 있었다.
최근 빛 공해의 원인이 되고 있는 옥외 광고물(간판), 인공조명들의 방사 휘도를 측정할 수 있으면서, 휴대가 가능하고, 측정과 동시에 바로 휘도 측정 결과를 나타내 주는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 휘도 측정기에 대한 개발 요구가 많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12588호(2013년 2월 4일), 발명의 명칭 : 측정용 광학계 및 그것을 사용한 휘도계, 색채 휘도계 및 색채계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4517호(2013년 1월 10일), 발명의 명칭 : 측정용 광학계 및 그것을 사용한 색채 휘도계 및 색채계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빛 공해의 원인이 되고 있는 옥외 광고물(간판), 인공조명들의 방사 휘도를 측정할 수 있으면서, 휴대가 가능하고, 측정과 동시에 바로 휘도 측정 결과를 나타내 주는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 휴대용 휘도 측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휘도 측정기는, 휘도 측정 대상물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 상기 영상 촬영부에서 촬영한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영상 처리부의 영상 처리 결과를 기초로 휘도를 계산하는 휘도 계산부; 및 상기 휘도 계산부의 결과값을 표시하는 휘도 표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휘도 측정 대상물은 옥외 광고물, 간판, 인공 조명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휘도 계산부는,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노이즈를 제거한 정지화상의 RGB에서 XYZ로 변환하여 휘도를 추출하며, 아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계산하며, Y값을 스케일 보정한 값을 휘도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휘도 측정기.
(수학식 1)
Figure 112014102547503-pat00013
또한, 상기 휘도 계산부는, 상기 휴대용 휘도 측정기와 상기 휘도 측정 대상물 간의 거리, 상기 휴대용 휘도 측정기와 상기 휘도 측정 대상물 간의 수평 거리, 상기 휴대용 휘도 측정기와 상기 휘도 측정 대상물 간의 상대적 기울기, 및 상기 휴대용 휘도 측정기의 기울기 센서의 출력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휘도를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휘도 계산부는, 상기 휘도 측정 대상물을 포함하여 주변 광원의 배경 휘도가 있는 경우의 휘도에서, 상기 휘도 측정 대상물이 소등된 상태에서의 주변 광원의 배경 휘도를 차감하여, 상기 휘도 측정 대상물의 휘도를 계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휘도 계산부의 결과값을 저장하는 휘도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동일한 휘도 측정 대상물에 대한 상기 휘도 저장부에 저장된 결과값이 2건 이상이 되는 경우, 그 산술평균을 해당 휘도 측정 대상물의 평균 휘도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휘도 계산값의 결과값이나 상기 평균 휘도 또는 최대 휘도값이, 미리 설정한 임계값을 초과하거나 미리 설정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이를 상기 휘도 표시부에 별도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휘도 계산값의 결과값이나 상기 평균 휘도 또는 최대 휘도값이, 미리 설정한 임계값을 초과하거나 미리 설정한 임계값 이상인 경우, 경고를 발생시키거나 위치를 알리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휘도 표시부는 터치 패널를 이용하여 상기 휘도 측정 대상물을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터치 패널은 터치 LCD이며, 상기 터치 LCD를 이용하여 포인트를 지정하는 경우, 점 휘도계로서 기능하며, 또는 상기 터치 LCD를 이용하여 관심 영역을 지정하는 경우, 대면 휘도계로서 기능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휘도 측정기에 의하면,
첫째, 빛 공해의 원인이 되고 있는 옥외 광고물(간판), 인공조명들의 방사 휘도를 측정할 수 있으면서, 휴대가 가능하고, 측정과 동시에 바로 휘도 측정 결과를 나타내 주는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 휴대용 휘도 측정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기존의 [측정 → 데이터 수집 → 정리 → 분석 → 판단]의 과정을 [측정 → 판단] 과정으로 대폭 간소화 시킬 수 있도록 한다.
둘째, 휴대용 휘도 측정기를 활용할 경우, 국민 건강 및 생태계 보호 등을 위하여 조명이 필요한 곳에는 충분한 빛을 주되, 과도하거나 불필요한 빛은 최소화하는 인공조명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다시 말해, 건축물이나 상업광고 조명 등이 무분별하게 설치되어 필요 이상의 인공조명의 과도한 사용이 공해 수준에 이르고 있는데, 휴대용 휘도 측정기를 활용할 경우, 인공조명을 적절히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광고를 목적으로 그 옥외 광고물을 비추는 발광기구 및 부속장치의 휘도를 측정하여 빛 방사 허용기준에 초과여부를 간단히 알아보는 것이 가능하다.
셋째, 적절한 인공조명 관리는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줄여 경제, 산업적으로 심각한 전력난에 대응하는 방안으로 경제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휘도 측정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휘도 측정기의 휘도 측정을 위한 영상의 컬러 변환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휘도 측정기와 휘도 측정 대상물 간의 상대적 기울기와 수평거리를 이용하여 휘도 측정을 보정하는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휘도 보정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휘도 측정 대상물인 공인중개사 간판과 해당 공인중개사 간판 바로 앞(4m 지점)에 보안등이 설치된 모습의 사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휘도 측정 대상물인 공인중개사 간판 및 보안등을 포함한 배경 휘도의 휘도 측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휘도 측정 대상물인 공인중개사 간판을 소등한 상태에서 배경 휘도의 휘도 측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휘도 측정기의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휘도 측정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휘도 측정기의 알고리즘 실행 화면의 일례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휘도 측정기(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휘도 측정기의 휘도 측정을 위한 영상의 컬러 변환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휘도 측정기와 휘도 측정 대상물 간의 상대적 기울기와 수평거리를 이용하여 휘도 측정을 보정하는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휘도 보정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휘도 측정 대상물인 공인중개사 간판과 해당 공인중개사 간판 바로 앞(4m 지점)에 보안등이 설치된 모습의 사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휘도 측정 대상물인 공인중개사 간판 및 보안등을 포함한 배경 휘도의 휘도 측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휘도 측정 대상물인 공인중개사 간판을 소등한 상태에서 배경 휘도의 휘도 측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휘도 측정기의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휘도 측정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휘도 측정기(100)는, 영상 촬영부(10)와 영상 처리부(20)와, 휘도 계산부(30)와, 휘도 표시부(40)와 휘도 저장부(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영상 촬영부(10)는 옥외 광고물, 간판, 인공 조명 중 어느 하나 이상인 휘도 측정 대상물(200)을 촬영하는 구성으로서, CCD 카메라 및 CCD 렌즈 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영상 처리부(20)는 위에서 설명한 영상 촬영부(10)에서 촬영한 영상을 처리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는, 카메라로 휘도 측정 대상물(200)을 촬영하고, 프로그램 화면에 영상을 출력하고, 노이즈를 제거한 정지화상을 추출한다.
다음으로, 휘도 계산부(30)는 영상 처리부(20)의 영상 처리 결과를 기초로 휘도를 계산하는 구성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도 계산의 일례로서, 아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노이즈를 제거하여 추출한 정지화상의 RGB에서 XYZ로 변환하여 휘도를 추출하게 된다. 여기서, 삼자극치 XYZ에서 Y값의 스케일 보정한 값을 휘도로 볼 수 있다. (수학식 2 참조)
(수학식 1)
Figure 112014102547503-pat00014
(수학식 2)
Y = 0.213 R + 0.715 G + 0.072 B
이것은 출원인이 휘도를 나타내는 여러 컬러모델 중 XYZ 3자극치의 Y값이 사람의 눈에 가장 가까운 휘도 값을 나타낸다는 것으로 실험 결과를 통해서 알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획득한 Y채널은 1채널이기 때문에, 0 ~ 255의 값을 갖는다. 따라서 실제 휘도계와 비슷한 값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는 스케일(scale) 보정을 행하게 된다.
이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도 계산부(30)는 상기 휴대용 휘도 측정기(100)와 상기 휘도 측정 대상물(200) 간의 거리(D), 상기 휴대용 휘도 측정기(100)와 상기 휘도 측정 대상물(200) 간의 수평 거리(L), 상기 휴대용 휘도 측정기(100)와 상기 휘도 측정 대상물(200) 간의 상대적 기울기(α), 및 상기 휴대용 휘도 측정기(100)의 기울기 센서의 출력값(β)(즉, 휴대용 휘도 측정기(100) 자체의 기울기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휘도를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정확한 휘도값 계산을 위해서 영상 처리부(20)의 영상 처리 결과를 활용하되, 상기 휴대용 휘도 측정기(100)와 상기 휘도 측정 대상물(200) 간의 거리(D), 상기 휴대용 휘도 측정기(100)와 상기 휘도 측정 대상물(200) 간의 수평 거리(L), 상기 휴대용 휘도 측정기(100)와 상기 휘도 측정 대상물(200) 간의 상대적 기울기(α), 및 상기 휴대용 휘도 측정기(100)의 기울기 센서의 출력값(β)(즉, 휴대용 휘도 측정기(100) 자체의 기울기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휘도 계산의 오차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휘도 계산부는, 상기 휘도 측정 대상물을 포함하여 주변 광원의 배경 휘도가 있는 경우의 휘도에서, 상기 휘도 측정 대상물이 소등된 상태에서의 주변 광원의 배경 휘도를 차감하여, 상기 휘도 측정 대상물의 휘도를 계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도 측정 대상물인 공인 중개사 간판을 측정하려고 하지만, 공인 중개사 간판 바로 앞 4m 지점에 보안등이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안등의 휘도로 인해 공인 중개사 간판의 정확한 휘도 측정이 곤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공인 중개사 간판의 정확한 휘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보정하게 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에 도시된 휘도 측정 대상물인 공인중개사 간판과 보안등을 포함한 배경 휘도 전체의 휘도 측정을 하게 된다. 그 휘도 계산 결과값이 35.970이었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에 도시된 휘도 측정 대상물인 공인중개사 간판을 소등한 상태에서 배경 휘도만의 휘도 측정을 한다. 그 휘도 계산 결과값이 2.497이었다.
최종적으로 휘도 계산부(30)에서 배경 휘도를 보정한 공인 중개사 간판의 휘도값은 35.970 - 2.497 = 33.473이다.
다음으로, 휘도 표시부(40)는 휘도 계산부(30)의 결과값을 표시하는 구성으로 LCD 등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휘도 표시부(40)는 터치 패널를 이용하여 상기 휘도 측정 대상물을 휘도 측정기의 사용자로부터 지정을 받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터치 패널은 터치 LCD이며, 이 터치 LCD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휘도 측정을 원하는 포인트를 지정하는 경우, 점 휘도계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는 터치 패널은 터치 LCD이며, 이 터치 LCD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휘도 측정을 원하는 관심 영역(ROI : Region Of Interest)을 지정하는 경우, 대면 휘도계로서 기능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휘도 저장부(50)는 상기 휘도 계산부(30)의 결과값을 저장하는 구성으로, 동일한 휘도 측정 대상물(200)에 대한 상기 휘도 저장부(50)에 저장된 결과값이 2건 이상(바람직하게는 5건 이상)이 되는 경우, 그 산술 평균을 해당 휘도 측정 대상물(200)의 평균 휘도로 휘도 표시부(40)에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휘도 계산값(30)의 결과값이나 상기 휘도 저장부(50)의 평균 휘도 또는 휘도 저장부(50)의 최대 휘도값이, 미리 설정한 임계값을 초과하거나 미리 설정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이를 상기 휘도 표시부(40)에 별도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미리 설정한 임계값은 정부에서 정한 단속 기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휘도 계산값(30)의 결과값이나 상기 평균 휘도 또는 휘도 저장부(50)의 최대 휘도값이, 미리 설정한 임계값을 초과하거나 미리 설정한 임계값 이상인 경우, 경고를 발생시키거나 위치를 알리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미리 설정한 임계값은 정부에서 정한 단속 기준일 수 있다. 여기서도 미리 설정한 임계값은 정부에서 정한 단속 기준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휴대용 휘도 측정기의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도 7에 도시하였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휘도 측정기의 시스템 흐름의 일례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휘도 측정기의 알고리즘 실행 화면의 일례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휴대용 휘도 측정기를 이용할 경우, 빛 공해의 원인이 되고 있는 옥외 광고물(간판), 인공조명들의 방사 휘도를 측정할 수 있으면서, 측정과 동시에 바로 휘도 측정 결과를 나타내 주는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 휴대용 휘도 측정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종래에 [측정 → 데이터 수집 → 정리 → 분석 → 판단]의 과정을 [측정 → 판단] 과정으로 대폭 간소화 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국민 건강 및 생태계 보호 등을 위하여 조명이 필요한 곳에는 충분한 빛을 주되, 과도하거나 불필요한 빛은 최소화하는 인공조명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영상 촬영부
20...영상 처리부
30...휘도 계산부
40...휘도 표시부
50...휘도 저장부
100...휴대용 휘도 측정기
200...휘도 측정 대상물
α...휴대용 휘도 측정기와 휘도 측정 대상물 간의 상대적 기울기
β...휴대용 휘도 측정기의 자체 기울기(또는 기울기 센서의 출력값)
D...휴대용 휘도 측정기(100)와 휘도 측정 대상물(200) 간의 거리
L...휴대용 휘도 측정기(100)와 휘도 측정 대상물(200) 간의 수평 거리

Claims (10)

  1. 휘도 측정 대상물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
    상기 영상 촬영부에서 촬영한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영상 처리부의 영상 처리 결과를 기초로 휘도를 계산하는 휘도 계산부; 및
    상기 휘도 계산부의 결과값을 표시하는 휘도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휘도 계산부는, 휴대용 휘도 측정기와 상기 휘도 측정 대상물 간의 거리, 상기 휴대용 휘도 측정기와 상기 휘도 측정 대상물 간의 수평 거리, 상기 휴대용 휘도 측정기와 상기 휘도 측정 대상물 간의 상대적 기울기, 및 상기 휴대용 휘도 측정기의 기울기 센서의 출력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휘도를 보정하고,
    상기 휘도 계산부는, 상기 휘도 측정 대상물을 포함하여 주변 광원의 배경 휘도가 있는 경우의 휘도에서, 상기 휘도 측정 대상물이 소등된 상태에서의 주변 광원의 배경 휘도를 차감하여, 상기 휘도 측정 대상물의 휘도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휘도 측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측정 대상물은 옥외 광고물, 간판, 인공 조명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휘도 측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계산부는,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노이즈를 제거한 정지화상의 RGB에서 XYZ로 변환하여 휘도를 추출하며, 아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계산하며, Y값을 스케일(scale) 보정한 값을 휘도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휘도 측정기.
    (수학식 1)
    Figure 112014102547503-pat00015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계산부의 결과값을 저장하는 휘도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동일한 휘도 측정 대상물에 대한 상기 휘도 저장부에 저장된 결과값이 2건 이상이 되는 경우, 그 산술평균을 해당 휘도 측정 대상물의 평균 휘도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휘도 측정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계산값의 결과값이나 상기 평균 휘도 또는 최대 휘도값이, 미리 설정한 임계값을 초과하거나 미리 설정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이를 상기 휘도 표시부에 별도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휘도 측정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계산값의 결과값이나 상기 평균 휘도 또는 최대 휘도값이, 미리 설정한 임계값을 초과하거나 미리 설정한 임계값 이상인 경우, 경고를 발생시키거나 위치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휘도 측정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표시부는 터치 패널를 이용하여 상기 휘도 측정 대상물을 지정하는 것이 가능한, 휴대용 휘도 측정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은 터치 LCD이며,
    상기 터치 LCD를 이용하여 포인트를 지정하는 경우, 점 휘도계로서 기능하며, 또는 상기 터치 LCD를 이용하여 관심 영역을 지정하는 경우, 대면 휘도계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휘도 측정기.
KR20130075271A 2013-06-28 2013-06-28 휴대용 휘도 측정기 KR101488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5271A KR101488090B1 (ko) 2013-06-28 2013-06-28 휴대용 휘도 측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5271A KR101488090B1 (ko) 2013-06-28 2013-06-28 휴대용 휘도 측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990A KR20150002990A (ko) 2015-01-08
KR101488090B1 true KR101488090B1 (ko) 2015-02-06

Family

ID=52475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5271A KR101488090B1 (ko) 2013-06-28 2013-06-28 휴대용 휘도 측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809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2401A (ja) * 2009-06-22 2011-01-06 Yokogawa Electric Corp 輝度測定装置における補正係数算出方法および輝度測定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2401A (ja) * 2009-06-22 2011-01-06 Yokogawa Electric Corp 輝度測定装置における補正係数算出方法および輝度測定装置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IS의 전달특성과 SGL 함수를 이용한 적응적인 영상의 Colorimetry 분석기법".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발행장소: 멀티미디어학회. 2010.05.31, 제13권, 제5호. 641-650면 *
"CIS의 전달특성과 SGL 함수를 이용한 적응적인 영상의 Colorimetry 분석기법".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발행장소: 멀티미디어학회. 2010.05.31, 제13권, 제5호. 641-650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990A (ko) 2015-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8577B2 (en) Range-gated depth camera assembly
CN106416225B (zh) 远程视觉检查图像捕获系统和方法
EP2175231B1 (en) System aspects for a probe system that utilizes structured-light
CN101836180B (zh) 检测视觉系统中的环境光级别
US8294762B2 (en) Three-dimensional shape measurement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RU2013101791A (ru) Получение пространственных топографических изображений следов от инструмент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нелинейного фотометрического стереоспособа
WO2009088080A1 (ja) プロジェクタ
JP5432864B2 (ja) 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WO2019047985A1 (zh) 图像处理方法和装置、电子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7992187A (zh) 显示方法及其系统
JP5261952B2 (ja) 等価光幕輝度測定装置、トンネル照明システム及び情報表示システム
WO2019107060A1 (ja) 照明制御システムおよび照明制御方法
US8654103B2 (en) Interactive display
WO201708982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orming three-dimensional models of objects
JP2010060638A (ja)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方法
KR101488090B1 (ko) 휴대용 휘도 측정기
JP6897291B2 (ja) 画像評価装置及び画像評価方法
JP2005109535A (ja) フリッカ測定装置
JP2015126281A (ja) プロジェクタ、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9014494A (ja) 計測装置
JP2012149911A (ja) 照明環境評価装置
JP7117595B2 (ja) 画像処理装置 及び画像処理方法
JP4677924B2 (ja) 撮影システム、動画像処理方法および動画像処理装置
JP2000155049A (ja) Ugr計測装置
JP2024030668A (ja) 照明システムおよび撮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