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7797B1 - 방송신호 증폭 중계기 - Google Patents

방송신호 증폭 중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7797B1
KR101487797B1 KR20130044065A KR20130044065A KR101487797B1 KR 101487797 B1 KR101487797 B1 KR 101487797B1 KR 20130044065 A KR20130044065 A KR 20130044065A KR 20130044065 A KR20130044065 A KR 20130044065A KR 101487797 B1 KR101487797 B1 KR 101487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utput
amplifying
unit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4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6049A (ko
Inventor
김일선
Original Assignee
웨이브사이언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웨이브사이언스(주) filed Critical 웨이브사이언스(주)
Priority to KR20130044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7797B1/ko
Publication of KR20140126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6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02Arrangements for relay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20/08Arrangements for relaying broadcast information among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6Wire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Amplifiers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공동수신설비의 세대단자함과 연결된 RF 입력단자로부터 FM(또는 디지털)라디오방송 대역신호 및 지상파 DMB(TDMB) 신호를 추출하여 증폭 중계함으로써 세대내 또는 지하 공간의 전파음영지역을 해소시키는 방송신호 증폭중계기에 관한 것으로, RF 증폭기 및 RF 증폭기에서 증폭된 각 주파수대의 신호를 다단 증폭한 후 직류성분을 피드백시켜 직류증폭부 및 핀다이오드에 의하여 자동이득조절시킴으로써 균일한 출력레벨신호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방송신호 증폭 중계기{relaying apparatus for broadcasting signal}
본 발명은 방송공동수신설비의 세대단자함과 연결된 RF 입력단자로부터 FM 라디오 또는 디지털라디오 방송대역 신호 및 지상파 DMB(TDMB) 신호를 추출하여 증폭 중계함으로써 세대내 또는 지하 공간의 전파음영지역을 해소시키는 방송신호 증폭중계기에 관한 것이다.
세대내의 전파음영지역을 해소하기 위하여 가정 내에 유입되는 유선 선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시키는 중계기가 본 출원인에 의하여 개발되어 특허 10-0716578(발명의 명칭: 가정용 다채널 중계기)(이하, 종래기술이라 함)로 등록되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중계기는 RF 출력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VHF Low, VHF High 신호, UHF 신호, TV 출력신호로 분배하여 무선중계신호를 출력시키는 무선 다채널 중계기이다.
제 1 방향성 결합기(1)는 가정의 벽체 또는 세대 단자함에 설치된 RF 출력단자에 연결된다. RF 출력단자는 공동주택 등의 방재실 등에 설치되는 헤드엔드(Head End) 장비의 FM AGC 증폭기, 지상파 또는 위성 DMB AGC 증폭기로부터는 전송되는 위성 DMB신호, 지상파 DMB신호, 아날로그 지상파 TV방송 신호, 디지털 지상파 TV방송 신호, 이동전화용 신호, PCS신호를 제 1 방향성 결합기(1)에 입력한다. 제 1 방향성 결합기(1)는 RF 출력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제 1 방향성 결합기(1)에 연결되는 외부 TV(미도시)에 전
송되는 TV out 신호와 분배증폭기(2)로 전송되는 분기신호로 분배한다. 이때 제 1 방향성 결합기(1)는 감쇄의 크기가 작아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인 통과 출력단자와 감쇄가 크게 일어나는 감쇄 출력단자를 갖게 되며, 통과 출력단자에서 TV out신호가 인출되며, 감쇄 출력단자에서 분기신호가 인출된다. 분배증폭기(2)는 제 1 방향성 결합기(1)에서 출력되는 분기신호의 감쇄된 신호 손실을 보상하기 위하여 증폭시키는 증폭기이고, 증폭된 신호는 신호분배수단(16) 에 입력된다.
신호분배수단(16)은 분배증폭기(2)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제 2 방향성 결합기(3)와 제 2 방향성 결합기(3)의 분배된 출력을 입력받는 정합트랜스(4), 정합트랜스(5), 정합트랜스(4)와 연결된 제3방향성 결합기(6)와, 정합트랜스(5)와 연결된 제 4 방향성 결합기(15)로 이루어진다.
정합트랜스(4)에는 제 2 방향성 결합기(3)에서 분배된 신호가 입력되어 제 3 방향성 결합기(6)로 출력되는 한편, 정합트랜스(5)에는 제 2 방향성 결합기(3)로부터 분배된 신호가 입력되어 제 4 방향성 결합기(15)로 출력된다. 제 3 방향성 결합기(6)의 분배신호 중 VHF Low 밴드 필터(7)를 통과한 VHF Low 신호는 안테나(8)에서 무선으로 방출되게 된다. 이때, 안테나(8)에서 방출되는 VHF Low 신호는 지상파 TV 방송의 주파수대인 54 ~ 108Mhz의 주파수를 방출하는 것으로 88 ~ 108Mhz의 라디오 방송신호가 포함되게 된다. 또한, 제 3 방향성 결합기(6)에서 분배신호중 VHF High 밴드 필터(9)를 통과한 VHF High 신호는 안테나(10)에서 무선으로 방출한다. 안테나(10)에서 방출되는 VHF High 신호는 지상파 TV 방송의 주파수대인 174 ~ 216Mhz의 주파수로 지상파의 DMB 방송의 신호를 포함한다. 또한, VHF Low 밴드 필터(7)의 입력단과 VHF High 밴드 필터(8)의 입력단 사이에는 상호 분배선간에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저항, 콘덴서, 인덕터가 직렬 연결되는 간섭방지회로(11)가 설치된다. 또한, 제 4 방향성 결합기(15)에서 분배된 신호는 UHF 밴드 필터(12)를 통과하여 안테나(13)로부터 UHF 신호를 방출한
다. 이때, UHF 신호는 470 ~ 864Mhz의 주파수대 신호로 UHF 대역의 지상파 디지털방송신호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구성에서는 가변적으로 변화하는 입력신호의 세기에 따라서 증폭회로가 포화되어 증폭된 출력신호에 다량의 노이즈가 포함되게 되어 실질적으로 중계기가 사용될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되게 된다.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중계기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외부전원이 필요하기 때문에 별도의 전원선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복잡한 배선이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분리된 방향성 결합기 및 정합회로들이 별도로 설치되어야 하며, 각각의 신호에 대하여 분리된 안테나가 사용되어 중계기 회로를 소형화시켜 IC화가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과다한 중계입력신호가 입력될 때 중계기의 출력레벨을 제한함으로써 중계기 증폭회로의 포화를 방지하도록 하여 노이즈발생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동축케이블의 신호입력선에 전원을 중첩하여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외부 전원선을 설치할 필요가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중계기 회로를 단순화시켜 RF IC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해결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세대 내에 설치되는 RF입력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시키는 RF 신호 증폭부; RF신호 증폭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로부터 제1 주파수 신호와 제2 주파수 신호를 분리 추출하는 선택분리기; 상기 선택분리기로부터 추출된 제1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는 제1 다단 증폭부; 상기 선택분리기로부터 추출된 제2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는 제2 다단증폭부; 상기 제1 다단증폭부와 상기 제2 다단증폭부의 출력신호를 혼합하여 안테나로 출력시키는 출력부; 상기 제1 다단증폭부의 출력과 상기 제2 다단증폭부의 출력을 입력받아 직류성분의 이득을 자동 조절하도록 하여 상기 제1 다단증폭부의 출력으로부터 제1 직류출력과 상기 제2 다단증폭부의 출력으로부터 제2 직류출력으로 증폭시키는 직류증폭부가 내장된 OP AMP; 상기 선택분리기와 상기 제1다단 증폭부 사이에 직렬로 설치되는 부저항성 제1 핀다이오드와 상기 선택분리기와 상기 제2다단 증폭부 사이에 직렬로 설치되는 부저항성 제2 핀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OP AMP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1 직류출력을 상기 제1 핀다이오드에 입력시키고, 상기 제2 직류출력을 상기 제2 핀다이오드에 각각 입력시켜 상기 제1 다단증폭부와 상기 제2 다단증폭부의 이득을 자동조절키키는 것이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신호는 FM라디오 또는 디지털라디오 신호이고, 상기 제2 주파수 신호는 지상파 DMB(TDMB) 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다단 증폭부는 트랜지스터를 중심소자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핀 다이오드의 출력을 입력받는 제1 증폭부와 트랜지스터를 중심소자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증폭부의 출력을 입력받아 증폭시키는 제2 증폭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다단 증폭부는 트랜지스터를 중심소자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핀 다이오드의 출력을 입력받는 제3 증폭부와 트랜지스터를 중심소자로 형성되며 상기 제3 증폭부의 출력을 입력받아 증폭시키는 제4 증폭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RF 입력단자의 출력신호로부터 직류전원을 추출하도록 초크코일로 이루어진 원방급전부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해결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출력레벨에 따라 복수개의 자동이득조절수단에 따라서 이득(gain)이 자동조절 됨으로써 균일한 레벨의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고, 노이즈가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고, 별도의 외부전원의 공급 없이 RF 입력단자에 신호와 전원이 중첩된 출력신호로부터 전원을 추출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중계기의 주요회로를 IC화함으로써 소형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회로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회로블록도이다.
실시 예는 정보통신 설비 및 방송공동수신 설비의 SMATV 분배기, CATV 분배기 등이 수용되는 세대단자함과 연결되는 RF 입력단자(RF IN)에서 출력되는 신호에서 RF신호와 TV신호를 분리하는 방향성 결합기(311)와, 분리된 RF 신호를 증폭하는 RF 증폭부(312)와, RF 증폭부(312)에서 증폭된 RF신호 에서 FM(또는 디지털)라디오 방송대역 신호와 TDMB신호를 선택하여 필터링하도록 분리기 등으로 구성되는 선택분리기(Separator)(313)와, 선택분리기(Separator)(313)를 통과한 FM 또는 디지털 라디오 방송대역 신호(이하 'FM 신호'라 함)를 증폭하는 제1 증폭부(314)와, 제2 증폭부(315)로 이루어진 다단증폭부와, 다단증폭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서 FM 신호를 필터링하는 FM 필터(318)와, 선택분리기(313)에서 선택한 TDMB 신호를 증폭하는 제3 증폭부(316)와, 제4 증폭부(317)로 이루어진 다단증폭부와, 다단증폭부로부터 출력된 신호에서 TDMB신호를 필터링하는 TDMB필터(319), FM필터(318)와 TDMB필터(319)의 출력을 하나의 출력으로 혼합하는 믹서(320)와, 믹서(320)에서 혼합된 신호를 정합시켜 출력시키는 안테나와, FM필터(318)와 TDMB필터(319)의 출력을 일부 입력받아 직류로 변환하고 직류성분의 크기에 상응하여 증폭하는 2개의 증폭회로가 내장된 직류증폭부(321)와, 직류증폭부(321)에서 증폭된 FM 신호의 출력레벨에 상응하는 직류신호를 최종출력하기 위해 증폭시키는 제5증폭부(322)와, 직류증폭부(321)에서 증폭된 또 하나의 TDMB신호의 출력레벨에 상응하는 직류신호를 충분한 크기의 레벨로 출력하기 위해 증폭시키는 제6증폭부(323)로 이루어진다.
또한 RF입력단자(RF IN)에는 직류(또는 60Hz의 교류)성분과 RF신호 성분이 혼합되어 유입되고, 원방급전부(310)에서 직류성분(또는 60Hz의 교류)이 필터링 되고, 필터링 된 직류(또는 60Hz의 교류)는 중계기의 구동전원으로 공급되며, 원방급전부(310)와 별도로 외부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외부전원공급부(324)가 설치된다.
RF 입력단자로부터 출력되는 RF신호와 TV신호는 커패시터(C1)를 통과한 후 방향성 결합기(311)에서 각각 RF신호와 TV신호로 분리되고, 분리된 TV신호는 TV출력단자(TV out)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되게 되고, 분리된 RF 신호는 RF 증폭부(312)로 입력된다.
RF 증폭부(312)는 원방급전부(310) 또는 원부전원공급부(324)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원이 분압저항(R5), (R6)에 의하여 바이어스 되는 트랜지스터(Q1)를 중심으로 구성된다. 또한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와 베이스 사이에는 부궤환을 이용한 중화용 RLC회로인 저항(R7), 인덕터(L1), 커패시터(C5)가 연결되고, 전원공급라인과 콜렉터 사이에는 저항(R2)과 인덕터(L2)가 연결되고, 에미터와 접지사이에는 에미터의 기준전압용 저항(R8)과 수시로 변동되는 에미터에 흐르는 신호전류를 교류적으로 접지시켜 에미터단자의 전압변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커패시터(C6)가 병렬연결 된다.
또한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는 교류신호 통과용 커패시터(C7)가 연결되고, 커패시터(C7)를 통과한 RF신호는 선택분리기로 구성되는 선택분리기(313)를 통과하고, 선택분리기(313)는 입력된 RF신호에서 FM(또는 디지털)라디오 방송대역신호를 단자1로 출력시키고, TDMB신호를 단자4로 출력시킨다.
선택분리기(313)의 단자1로부터 출력된 FM신호는 커패시터(C8)와 핀 다이오드(D3)를 통과하여 다단증폭부를 구성하는 제1증폭부(314)의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입력된다.
이때 핀 다이오드(D3)는 반도체의 부성저항특성을 이용한 다이오드로서 일반적으로 순방향 바이어스일 때에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가변저항과 같은 역할을 함으로서 전압의 상승에 비례하여 통과저항 값이 최소가 되어 전류가 잘 도통하게 되나 역방향일 경우에는 콘덴서와 같은 역할로 동작하게 되어 전압의 상승에 비례하여 저항 값이 무한대로 커져서 전단의 커패시터(C8)를 통하여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FM신호는 감쇄가 커져 결국 차단된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중계기의 출력레벨이 올라가면 핀 다이오드(D3) 양단에 걸리는 역 바이어스전압을 올려서 핀 다이오드(D3)의 고유저항 값을 높여 입력신호의 감쇄량을 높이고 반대로 중계기의 출력레벨이 내려가면 역 바이어스전압을 내려서 고유저항 값을 낮추어 입력신호의 감쇄량을 줄임으로서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신호의 레벨을 가감할 수 있다. 따라서 결국 중계기의 출력레벨이 자동으로 제어가 되며 출력레벨이 조절된다.
또한 제1 증폭부(314)는 저항(R9), (R10)에 의하여 바이어스 되는 트랜지스터(Q2)를 중심으로 구성되며,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와 베이스 사이에는 부궤환을 이용한 중화용 저항(R11), 인덕터(L3), 커패시터(C9)가 연결되며, 전원선과 콜렉터 사이에는 양극전압 공급용 저항(R3)과 인덕터(L4)가 연결되며, 에미터와 접지사이에는 에미터 기준전압용 저항(R12)과 신호전류 바이패스용 커패시터(C10)가 병렬연결 된다.
또한 제1 증폭부(314)의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와 제2 증폭부(315)의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 사이에는 신호 인출용 커패시터(C11)가 연결되어 제1 증폭부(314)에서 증폭된 FM 신호가 제2 증폭부(315)에서 재 증폭되게 된다.
제2 증폭부(315)는 분압저항(R13), (R14)에 의하여 바이어스 되는 트랜지스터(Q3)를 중심으로 구성되고,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와 베이스 사이에는 부궤환을 이용한 중화용 저항(R15)과, 인덕터(L5), 커패시터(C13)가 연결되고, 급전선과 콜렉터 사이에는 콜렉터 양극전압 공급용 저항(R4)과 인덕터(L6)가 연결되고, 에미터와 접지사이에는 에미터 기준전압용 저항(R16), 신호전류 바이패스용 커패시터(C14)가 병렬 연결된다.
또한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에는 신호인출용 커패시터(C18)와 리플제거용 커패시터(C19)가 설치되고, 커패시터(C18)를 통과한 FM(또는 디지털)라디오 방송대역 신호는 FM(또는 디지털)라디오 방송대역필터(318)를 통과하고, FM(또는 디지털)라디오 방송대역 필터(318)를 통과한 신호는 믹서(320)를 통과하여 안테나로 출력된다.
또한 FM필터(318)를 통과한 신호는 커패시터(C20)를 통하여 직류증폭부(321)에 입력된다.
직류증폭부(321)는 AGC용 직류증폭회로 2개가 내장된 OP AMP를 중심으로 구성되며, 커패시터(C20)를 통하여 입력된 FM(또는 디지털)라디오 방송대역 신호는 누설전류제거용 다이오드(D4), (D6)와 저항(R17)을 통과하여 입력단자3에 입력되어, 출력단자1로부터 자동이득조절용 직류신호가 출력되어 제5증폭부(322)의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 입력되어 증폭되며 결국 핀다이오드(D3)의 역 바이어스전압을 변화시켜 트랜지스터(Q4)의 FM(또는 디지털)라디오 방송대역 입력신호의 감쇄량을 조정함으로서 중계기의 최종출력 레벨을 일정하게 한다.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는 인덕터(L7)를 통하여 핀다이오드(D3)의 에노드에 연결됨으로써 1차적으로 직류증폭부(321)에서 FM신호에서 추출 검파한 직류성분의 신호가 증폭되고, 이에 상응하여 핀 다이오드(D3)에서 자동감쇄 조절됨으로써 중계기의 FM신호의 레벨이 안정적으로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OP AMP의 단자4, 8을 통하여 OP AMP에 전원이 입력되고, 반전단자2에 이득조정저항(R18), (19)이 연결되고, 비 반전단자6에는 이득조정저항(R34), (R35)가 설치되며, 단자3에는 FM신호의 직류성분이 입력되고, 단자5에는 TDMB신호의 직류성분이 입력되며, 단자1로부터는 FM(또는 디지털)라디오 방송대역의 직류성분이 증폭된 직류전압이 출력되고, 단자7로부터는 TDMB 대역의 직류성분이 증폭된 직류전압이 출력된다.
선택분리기(313)에서 필터링된 TDMB신호는 부저항 특성을 갖는 AGC용 핀 다이오드(D7)를 통과하여 제3증폭부(316)와 제4증폭부(317)로 구성되는 다단증폭부에 입력된다.
제3증폭부(316)는 분압저항(R23), (R24)에 의하여 바이어스 되는 트랜지스터(Q5)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와 베이스 사이에는 저항(R25), 리액터(L8), 커패시터(C25)의 RLC 필터가 부궤환에 의한 중화용으로 설치되고, 전원선과 콜렉터 사이에는 양극전압 공급용 저항(R27)과 리액터(L9)가 설치되고, 에미터와 접지 사이에는 에미터 기준전압용 저항(R26)과 신호 바이패스용 커패시터(C26)가 설치되고, 콜렉터에는 신호인출용 커패시터(C27)가 연결되고, 커패시터(C27)를 통하여 인출된 TDMB신호는 제4증폭부(317)의 트랜지스터(Q6)의 베이스에 입력된다.
제4증폭부(317)는 분압저항(R28), (R29)에 의하여 바이어스 되는 트랜지스터(Q6)를 중심으로 구성되며, 콜렉터와 베이스 사이에는 부궤환에 의한 중화용 저항(R30), 인덕터(L10), 커패시터(C29)로 구성되는 RLC 회로가 설치되고, 전원선과 콜렉터 사이에는 양극전압 공급용 저항(R32)과, 인덕터(L11)가 설치되고, 에미터와 접지사이에는 에미터 기준전압용 저항(R31)과 신호 바이패스용 커패시터(C30)가 설치되며, 콜렉터에는 커패시터(C34)가 설치되고, 커패시터(C34)를 통과하는 TDMB신호는 TDMB필터(319)를 통과한 후 커패시터(C39)를 통과하여 믹서(320)에서 혼합된 후 정합용 인덕터(L13)를 통과하여 안테나에서 출력된다.
또한 TDMB 필터(319)를 통과한 TDMB 신호는 커패시터(C36)를 통과하직류증폭부(321)의 검파용 다이오드(D5), 누설전류제거용 다이오드(D6)를 거친 후, OP AMP의 단자5에 입력된 후 직류성분이 증폭되어 단자7로 출력되어 제6증폭부(323)의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에 입력된다.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는 핀 다이오드(D7)의 에노드에 인덕터(L12)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어 결국 직류증폭부(321)에서 1차적으로 증폭된 TDMB 신호의 직류성분이 핀 다이오드(D7)의 역 바이어스전압을 조정함으로서 2차적으로 핀 다이오드(D7)에 통과되는 신호의 감쇄량을 자동감쇄조절 함으로써 중계기의 TDMB신호의 레벨이 안정적으로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실시 예에서 직류증폭부(321)는 하나의 OP AMP에 두 개의 입력신호 즉, FM(또는 디지털)라디오 방송대역 신호와 TDMB 신호의 직류성분이 입력되어 각각 증폭 조정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FM신호의 직류성분이 입력되는 OP AMP와 TDMB신호의 직류성분이 입력되는 OP AMP로 별개의 OP AMP를 설치하여 동일한 동작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당업자에게 변형 설치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며, 이와 같이 본 발명에는 다양하게 설계 변경될 수 있는 변형 례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정하여 져야 한다.
311: 방향성 결합기 312: RF 결합기
313: 선택분리기 314: 제1 증폭부
315: 제2 증폭부 316: 제3 증폭부
317: 제4 증폭부 318: FM(또는 디지털)라디오방송대역 필터
319: TDMB 필터 321: 직류증폭부
322: 제5 증폭부 323: 제6 증폭부

Claims (6)

  1. 세대 내에 설치되는 RF입력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시키는 RF 신호 증폭부;
    RF신호 증폭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로부터 제1 주파수 신호와 제2 주파수 신호를 분리 추출하는 선택분리기;
    상기 선택분리기로부터 추출된 제1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는 제1 다단 증폭부;
    상기 선택분리기로부터 추출된 제2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는 제2 다단증폭부;
    상기 제1 다단증폭부와 상기 제2 다단증폭부의 출력신호를 혼합하여 안테나로 출력시키는 출력부;
    상기 제1 다단증폭부의 출력과 상기 제2 다단증폭부의 출력을 입력받아 직류성분의 이득을 자동 조절하도록 하여 상기 제1 다단증폭부의 출력으로부터 제1 직류출력과 상기 제2 다단증폭부의 출력으로부터 제2 직류출력으로 증폭시키는 직류증폭부가 내장된 OP AMP;
    상기 선택분리기와 상기 제1다단 증폭부 사이에 직렬로 설치되는 부저항성 제1 핀다이오드; 상기 선택분리기와 상기 제2다단 증폭부 사이에 직렬로 설치되는 부저항성 제2 핀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OP AMP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1 직류출력을 상기 제1 핀다이오드에 입력시키고, 상기 제2 직류출력을 상기 제2 핀다이오드에 각각 입력시켜 상기 제1 다단증폭부와 상기 제2 다단증폭부의 이득을 자동조절키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 증폭 중계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신호는 FM 또는 디지털 라디오 방송대역 신호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 주파수 신호는 지상파 DMB (TDMB)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 증폭중계기.
  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제1 다단 증폭부는 트랜지스터를 중심소자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핀 다이오드의 출력을 입력받는 제1 증폭부와 트랜지스터를 중심소자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증폭부의 출력을 입력받아 증폭시키는 제2 증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 증폭중계기.
  5.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제2 다단 증폭부는 트랜지스터를 중심소자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핀 다이오드의 출력을 입력받는 제3 증폭부와 트랜지스터를 중심소자로 형성되며 상기 제3 증폭부의 출력을 입력받아 증폭시키는 제4 증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 증폭중계기.
  6.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RF 입력단자의 출력신호로부터 직류전원을 추출하도록 초크코일로 이루어진 원방급전부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 증폭중계기.
KR20130044065A 2013-04-22 2013-04-22 방송신호 증폭 중계기 KR101487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4065A KR101487797B1 (ko) 2013-04-22 2013-04-22 방송신호 증폭 중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4065A KR101487797B1 (ko) 2013-04-22 2013-04-22 방송신호 증폭 중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049A KR20140126049A (ko) 2014-10-30
KR101487797B1 true KR101487797B1 (ko) 2015-02-04

Family

ID=51995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4065A KR101487797B1 (ko) 2013-04-22 2013-04-22 방송신호 증폭 중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77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0479A (ko) 2017-01-04 2018-07-12 주식회사 에이트 신호 중계 시스템 및 방법
KR101919659B1 (ko) * 2016-10-14 2018-11-16 고정일 혼합 무선주파수 신호 및 직류 신호를 포함하는 중계신호 분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435B1 (ko) * 2016-02-22 2017-04-12 우주통신주식회사 지하 공간 내 fm/dmb 방송의 재전송 중계기 및 그 송출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8241A (ja) * 1992-08-28 1994-03-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動利得制御回路
KR0114190Y1 (ko) * 1994-09-24 1998-10-01 김광호 휴대용 음향기기의 자동음량보정회로
JP2005244938A (ja) 2004-01-28 2005-09-08 Ntt Docomo Inc 多周波帯用フィードフォワード増幅装置およびその調整方法
KR100716578B1 (ko) * 2005-08-08 2007-05-09 웨이브사이언스(주) 가정용 다채널 중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8241A (ja) * 1992-08-28 1994-03-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動利得制御回路
KR0114190Y1 (ko) * 1994-09-24 1998-10-01 김광호 휴대용 음향기기의 자동음량보정회로
JP2005244938A (ja) 2004-01-28 2005-09-08 Ntt Docomo Inc 多周波帯用フィードフォワード増幅装置およびその調整方法
KR100716578B1 (ko) * 2005-08-08 2007-05-09 웨이브사이언스(주) 가정용 다채널 중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9659B1 (ko) * 2016-10-14 2018-11-16 고정일 혼합 무선주파수 신호 및 직류 신호를 포함하는 중계신호 분배 장치
KR20180080479A (ko) 2017-01-04 2018-07-12 주식회사 에이트 신호 중계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049A (ko) 2014-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72870A (en) Power line communication system
US8232667B2 (en) System and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over a power line of a switch mode power supply by frequency modulating the switch frequency thereof
KR101487797B1 (ko) 방송신호 증폭 중계기
KR20090004345A (ko) 마을 방송 시스템의 무선 수신 장치
US200401565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dio signals over conventional power lines
KR101487796B1 (ko) 방송신호 증폭 중계기
US5198903A (en) Television frequency converter with automatic gain control and output terminal isolation
WO1998018232A1 (en) Cellular telephone jamming method and device
JP4589635B2 (ja) テレビ受信用増幅装置
KR101770151B1 (ko) 재난방송용 fm/t-dmb 일체형 중계장치
KR100716578B1 (ko) 가정용 다채널 중계기
EP1533863A1 (en) An Active Antenna
JP4609798B2 (ja) 電源分離型ブースタ
JP2000324467A (ja) 棟内共同受信システム及び分岐装置
KR940002981Y1 (ko) 지하방송중계기
JP2017108452A (ja) 高周波増幅器
JP3431070B2 (ja) 衛星通信用送信装置
JP4616189B2 (ja) 高周波増幅器
KR200436762Y1 (ko) 마을 방송 시스템
JP3201832U (ja) 高周波増幅器
KR100360117B1 (ko) 저잡음 주파수 변환기의 전원 안정화 회로
KR101919659B1 (ko) 혼합 무선주파수 신호 및 직류 신호를 포함하는 중계신호 분배 장치
JP3214238U (ja) ラジオ放送受信装置
JP4681310B2 (ja) 高周波増幅装置,共同受信用増幅装置,及び,共同受信システム
KR20170112742A (ko) Uhd tv 신호 증폭 중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