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0151B1 - 재난방송용 fm/t-dmb 일체형 중계장치 - Google Patents

재난방송용 fm/t-dmb 일체형 중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0151B1
KR101770151B1 KR1020160033731A KR20160033731A KR101770151B1 KR 101770151 B1 KR101770151 B1 KR 101770151B1 KR 1020160033731 A KR1020160033731 A KR 1020160033731A KR 20160033731 A KR20160033731 A KR 20160033731A KR 101770151 B1 KR101770151 B1 KR 101770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mb
band
processing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3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정일
Original Assignee
베스트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스트원(주) filed Critical 베스트원(주)
Priority to KR1020160033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01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0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0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02Arrangements for relaying broadcas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04H40/2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 H04H40/3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tereophonic broadcast receiving
    • H04H40/4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tereophonic broadcast receiving for FM 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49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locations
    • H04H60/50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locations of broadcast or relay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난방송용 FM/T-DMB 일체형 중계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내부로 유입된 RF 신호를 낮은 값으로 변환한 후에 FM 대역과 T-DMB 대역의 신호로 처리하므로써 내부 회로의 부품으로 낮은 임피던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초소형 부품 및 저가 부품을 사용하여 중계장치를 소형화, 경량화할 수 있는 재난방송용 FM/T-DMB 일체형 중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의 동축 케이블에 연결되어 직류(또는 60Hz의 교류) 성분과 FM과 T-DMB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 성분을 제공받아 직류 성분과 RF 신호를 분리하고, RF 신호의 임피던스를 낮은 값으로 변환시키는 입력신호 처리부(100)와; 입력신호 처리부(100)에서 분리된 낮은 임피던스 값을 갖는 RF 신호를 FM 대역과 T-DMB 대역으로 분리하여 처리하는 내부 FM-DMB 신호 처리부(200)와; 내부 FM-DMB 신호 처리부(200)에서 처리된 FM 신호와 DMB 신호를 외부의 방송수신설비에 사용되는 75옴으로 변환시킨 후에 외부로 송신하는 출력신호 처리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재난방송용 FM/T-DMB 일체형 중계장치{FM/T-DMB INTEGRATED RELAYING APPARATUS FOR MERGENCY ALERT BROADCASTING}
본 발명은 재난방송용 FM/T-DMB 일체형 중계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내부로 유입된 RF 신호의 임피던스를 50옴으로 변환시킨 후에 FM 대역과 T-DMB 대역의 신호로 처리하므로써 내부 회로의 부품으로 낮은 임피던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초소형 부품 및 저가 부품을 사용하여 중계장치를 소형화, 경량화할 수 있는 재난방송용 FM/T-DMB 일체형 중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국가 차원에서 재해대응체계 고도화 기본 계획이 수립되는 등, 재해조기경보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재난 메시지의 전달이 방송망을 통하는 경우 단순 속보 형태로 제공되고 있을 뿐이고, 방송을 시청하지 않을 때는 재난 메시지를 제공할 수 없다. 지상파 디지털 미디어 방송(Terrestrial Digital Media Broadcasting, T-DMB) 시스템 등을 통해 재난 메시지를 전달하는 경우, 디지털 방송 채널에 포함된 긴급 정보 데이터 채널(Fast Information Data Channel)을 통해서 재난 메시지가 전달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도 디지털방송을 시청하고 있는 사람에게만 재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T-DMB 시스템 등을 활용한 재난 메시지는 송신국 단위로 전송되고, 디지털 방송의 지방 송신국은 중앙 송신국에서 전송된 신호를 단순히 재전송하고 있어서, 재난 지역과 같은 특정 지역에 대한 국지적 재난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송하지 못한다.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중계기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외부전원이 필요하기 때문에 별도의 전원선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복잡한 배선이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재난발생시 국민의 안정과 국민 누구나 신속한 정보 전달 및 대처요령 등의 전달을 위해 재난방송 매체로 지정된 FM 신호와 T-DMB 신호를 지하 대피 공간 및 공공주택, 일반 건물 지하, 터널 등의 공간 설치에 특화되어 방송 청취를 가능 하게 제공할 수 있는 재난방송용 FM/T-DMB 일체형 중계장치가 요구되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420188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재난방송용 중계장치의 장비의 입력과 출력부의 RF 신호의 임피던스를 75옴으로 유지시키고, 내부로 유입된 RF 신호의 임피턴스를 50옴 변환시킨 후에 FM 대역과 T-DMB 대역의 신호로 처리하므로써 내부 회로의 부품으로 낮은 임피던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초소형 부품 및 저가 부품을 사용하여 중계장치를 소형화, 경량화할 수 있는 재난방송용 FM/T-DMB 일체형 중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해결과제는 하나의 안테나만을 사용하여 FM과 T-DMB 신호를 한번에 전송할 수 있는 재난방송용 FM/T-DMB 일체형 중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여러개의 중계장치를 별도의 전원 공사가 필요 없도록 RF+DC 신호 전송을 위한 RF+DC 신호입력부와 출력부를 구비하여 상위 장비가 고장으로 제 기능을 못 할 경우에도 하위 장비의 다른 중계장치에 직접 제공할 수 있는 재난방송용 FM/T-DMB 일체형 중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재난방송용 FM/T-DMB 일체형 중계장치는, 외부의 동축 케이블에 연결되어 직류 성분과 FM과 T-DMB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 성분을 제공받아 직류 성분과 RF 신호를 분리하고, RF 신호의 임피던스를 50옴으로 변환시키는 입력신호 처리부(100)와; 입력신호 처리부(100)에서 분리된 50옴의 임피던스 값을 갖는 RF 신호를 FM 대역과 T-DMB 대역으로 분리하여 처리하는 내부 FM-DMB 신호 처리부(200)와; 내부 FM-DMB 신호 처리부(200)에서 처리된 FM 신호와 DMB 신호를 외부의 방송수신설비에 사용되는 75옴으로 변환시킨 후에 외부로 송신하는 출력신호 처리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입력신호 처리부(100)는 직류 성분과 FM과 T-DMB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 성분이 혼합되어 유입되는 RF+DC 입력단(110)과; RF+DC 입력단(110)으로 입력된 신호 중 DC 신호를 차단시키고 FM과 T-DMB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만 통과시키는 DC 차단부(120)와; DC 차단부(120)를 통과한 RF 신호의 임피던스를 50옴으로 변환시키는 입력 임피던스 변환부(130)와; RF+DC 입력단(110)으로부터 입력된 신호 중 RF 신호가 혼입되어있지 않은 DC 신호만 추출하는 RF 차단부(140)와; RF 차단부(140)를 통해서 DC만 남은 DC 신호를 정전압으로 유지시키는 정전압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입력신호 처리부(100)는 RF+DC 입력단(110)으로부터 수신된 직류 성분과 FM과 T-DMB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 성분을 제공받아 출력하는 RF+DC 출력단(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내부 FM-DMB 신호 처리부(200)는, 입력신호 처리부(100)의 입력 임피던스 변환부(130)에서 변환된 RF 신호를 제공받아 저잡음 증폭하는 LNA부(210)와; LNA부(210)에서 저잡음 증폭된 RF 신호를 FM 신호와 T-DMB 신호로 사용할 수 있도록 2개로 나누어 출력하는 신호분배기(220)와; 신호분배기(220)에서 분리된 RF 신호에서 FM 대역만을 분리되도록 필터링 처리하고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FM 대역 처리부(230)와; 신호분배기(220)에서 분리된 RF 신호에서 T-DMB 대역만을 분리되도록 필터링 처리하고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T-DMB 대역 처리부(240)와; FM 대역 처리부(230)를 통해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FM 대역의 신호와 T-DMB 대역 처리부(240)를 통해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T-DMB 대역의 신호를 하나의 RF 신호로 병합하는 신호 합성부(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FM 대역 처리부(230)는, 신호분배기(220)를 통해서 분배되어 수신된 RF 신호를 FM대역의 끝지점인 108MHz 이전 주파수(~108MHz)만 통과할 수 있도록 필터링하는 FM LPF(231;LOW PASS 필터)와; FM LPF(231)에서 필터링된 FM 대역의 신호를 증폭하는 FM 증폭부(232)와; FM 증폭부(232)에서 증폭된 FM 대역의 신호가 정해진 출력 레벨로 일정하게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FM AGC(233)와; FM AGC(233)를 통해서 출력되는 RF 신호를 FM대역의 시작 지점인 88MHz 이후 주파수(88MHz~)만 통과할 수 있도록 필터링하는 FM HPF(234;HIGH PASS 필터)와; FM HPF(234)를 거치면서 필터링된 FM 대역의 RF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FM DET(2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T-DMB 대역 처리부(240)는, 신호분배기(220)를 통해서 분배되어 수신된 RF 신호를 T-DMB 대역의 시작점인 174MHz 이후 주파수(174MHz~)만 통과할 수 있도록 필터링하는 T-DMB HPF(241;HIGH PASS 필터)와; T-DMB HPF(241)에서 필터링된 T-DMB 대역의 신호를 증폭하는 T-DMB 증폭부(242)와; 증폭부(232)에서 증폭된 T-DMB 대역의 신호가 정해진 출력 레벨로 일정하게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T-DMB AGC(243)와; T-DMB AGC(243)를 통해서 출력되는 RF 신호를 T-DMB 대역의 끝지점인 216MHz 이전 주파수(~216MHz)만 통과할 수 있도록 필터링하는 T-DMB LPF(244;LOW PASS 필터)와; T-DMB LPF(244)를 거치면서 필터링된 T-DMB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T-DMB DET(2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출력신호 처리부(300)는, 신호 합성부(250)에서 합성된 RF신호의 임피던스를 50옴에서 75옴으로 변환시키는 출력 임피던스 변환부(310)와, 출력 임피던스 변환부(310)에서 변환된 RF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RF 안테나 출력단(3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재난방송용 FM/T-DMB 일체형 중계장치에 의하면, 장비의 내부로 유입된 RF 신호를 50옴의 임피던스를 갖도록 변환한 후에 FM 대역과 T-DMB 대역의 신호로 처리하므로써 내부 회로의 부품으로 낮은 임피던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초소형 부품 및 저가 부품을 사용하여 중계장치를 소형화, 경량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여러개의 중계장치를 별도의 전원 공사가 필요 없도록 RF+DC 신호 함께 처리할 수 있으며, 상위 장비가 고장으로 제 기능을 못 할 경우에도 하위 장비의 다른 중계장치에 직접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 기술 및 장비에서는 FM 출력 PORT(단자)와 T-DMB 출력 PORT(단자) 구조의 두개 출력 PORT(단자)로 출력되어 안테나 또한 FM 안테나와 T-DMB용 안테나를 별도로 사용 하고 있는 반면 본 장비에서는 출력 port(단자)를 하나로 합쳐서 출력 하여 FM과 T-DMB 일체형 안테나 하나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난방송용 FM/T-DMB 일체형 중계장치에 대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FM 대역 처리부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T-DMB 대역 처리부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재난방송용 FM/T-DMB 일체형 중계장치에 대한 회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재난방송용 FM/T-DMB 일체형 중계장치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난방송용 FM/T-DMB 일체형 중계장치는 입력신호 처리부(100)와, 내부 FM-DMB 신호 처리부(200), 출력신호 처리부(300)를 포함한다.
입력신호 처리부(100)는 외부의 동축 케이블에 연결되어 직류(또는 60Hz의 교류) 성분과 FM과 T-DMB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 성분을 제공받아 직류 성분과 RF 신호를 분리하고, RF 신호의 임피던스를 낮은 값으로 변환시킨다. 이러한 입력신호 처리부(100)는 RF+DC 입력단(110), DC 차단부(120), 입력 임피던스 변환부(130), RF 차단부(140), 정전압부(150), RF+DC 출력단(160)을 포함한다.
RF+DC 입력단(110)은 직류(또는 60Hz의 교류) 성분과 FM과 T-DMB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 성분이 혼합되어 유입된다. 이때, 방송공동 수신설비들은 75옴의 임피던스인 동축 케이블과 장비의 RF+DC 입력단(110)도 75옴의 임피던스로 유지되게 된다.
DC 차단부(120)는 RF+DC 입력단(110)으로 입력된 신호 중 DC 신호를 차단시키고 FM과 T-DMB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만 통과시킨다. 이때 DC 신호의 차단 성능과 FM/T-DMB 신호를 통과시키기 위한 최적의 값으로 10,000pF과 1,000pF의 커패시터를 직/병렬 조합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력 임피던스 변환부(130)는 DC 차단부(120)를 통과한 RF 신호의 임피던스를 75옴에서 50옴으로 낮추도록 변환시킨다. 이러한 입력 임피던스 변환부(130)는 트랜스포머를 이용하여 임피던스의 변환에 대한 손실을 최소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입력 임피던스 변환부(130)에 의해서 RF 신호의 임피던스를 50옴으로 낮추면 후술하는 FM 대역과 DMB 대역의 신호 처리에 사용되는 회로에 사용되는 장비의 소형화, 경량화 및 낮은 가격대의 장비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RF 차단부(140)는 RF+DC 입력단(110)으로부터 입력된 신호 중 RF 신호가 혼입되어있지 않은 DC 신호만 추출한다. RF 차단부(140)는 FM과 T-DMB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 차단 효과가 우수한 1uH~0.8uH 인덕터를 직렬로 연결하고, 인덕터의 후단에 λ/4로 계산된 RF 초크 값의 길이만큼 Meander Line을 연결하여 RF 신호 차단용 인덕터를 통과한 DC신호에 남아 있는 맥류와 고주파 신호를 제거한다.
정전압부(150)는 RF 차단부(140)를 통해서 DC만 남은 DC 신호를 안정적으로 제품에 공급하도록 정전압으로 유지시킨다. 정전압부(150)를 사용하는 이유는 입력된 RF+DC 신호가 먼 거리를 동축 케이블을 통하여 공급되면서 동축 케이블의 내부 저항으로 인한 전압 DROP이 발생하더라도 제품 내부에 공급 되는 전압은 안정적으로 공급되어 안정된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동축 케이블을 통해 입력되는 DC전압은 7.5V ~ 9V로 사용을 권장하며, 동축 케이블에서 전압 변동이 있더라도 이 전압을 입력 받은 5V 레귤레이터 정전압부(150)를 통하여 항상 안정된 5V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RF+DC 출력단(160)은 RF+DC 입력단(110)으로부터 수신된 직류 성분과 FM과 T-DMB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 성분을 제공받아 출력한다. 이러한 RF+DC 출력단(160)에 의해서 다른 중계장치로 RF+DC 입력단(110)으로 수신된 정보를 직접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내부 FM-DMB 신호 처리부(200)는 입력신호 처리부(100)에서 분리된 50옴 임피던스를 갖는 RF 신호를 FM 대역과 T-DMB 대역으로 분리하여 처리한다. 이러한 내부 FM-DMB 신호 처리부(200)는 LNA부(210), 신호분배기(220), FM 대역 처리부(230), T-DMB 대역 처리부(240), 신호 합성부(250)를 포함한다.
LNA부(210)는 입력신호 처리부(100)의 입력 임피던스 변환부(130)에서 변환된 RF 신호를 제공받아 저잡음 증폭한다.
신호분배기(220)는 LNA부(210)에서 저잡음 증폭된 RF 신호를 FM 신호와 T-DMB 신호로 사용할 수 있도록 2개로 나누어 출력한다.
FM 대역 처리부(230)는 신호분배기(220)에서 분리된 RF 신호에서 FM 대역만을 분리되도록 필터링 처리한다. 이러한 FM 대역 처리부(230)는 FM LPF(231), FM 증폭부(232), FM AGC(233), FM HPF(234), FM DET(235)로 이루어진다.
FM LPF(231;LOW PASS 필터)는 신호분배기(220)를 통해서 분배되어 수신된 RF 신호를 FM대역의 끝지점인 108MHz 이전 주파수(~108MHz)만 통과할 수 있도록 필터링한다. 이때, FM LPF(231)는 인덕터와 콘덴서로 이루어진 low pass filte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FM LPF(231)는 입력된 RF 신호가 FM과 T-DMB 신호만 입력되므로 FM 대역에서는 필요 없는 T-DMB 신호를 억제하고 FM 대역 중 108MHz 이후 HIGH 대역의 불요파를 제거하게 된다.
FM 증폭부(232)는 FM LPF(231)에서 필터링된 FM 대역의 신호를 증폭한다. 이러한 FM 증폭부(232)는 초소형 또는 소형급의 "InGaP/GaAs" 계열의 RF 증폭기(amplifie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M AGC(233)는 FM 증폭부(232)에서 증폭된 FM 대역의 신호가 정해진 출력 레벨로 일정하게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FM AGC(233)는 RF DIGITAL ATTENUATOR를 통해서 FM 출력 신호를 모니터링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MCU에 의해서 제어된다.
FM HPF(234;HIGH PASS 필터)는 FM AGC(233)를 통해서 출력되는 RF 신호를 FM대역의 시작 지점인 88MHz 이후 주파수(88MHz~)만 통과할 수 있도록 필터링한다. 이때, FM HPF(234)는 인덕터와 콘덴서로 이루어진 high pass filte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입력된 RF 신호 중에서 FM 대역보다 LOW 대역의 불요파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FM HPF(234)는 전술한 FM LPF(231)와 함께 사용되어 FM BPF(BAND PASS FILTER)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는 저가의 칩 인덕터와 칩 콘덴서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기술을 적용하므로 장비 구현 단가가 떨어지는 효과도 있다.
FM DET(235)는 FM HPF(234)를 거치면서 필터링된 FM 대역의 RF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이때, FM DET(235)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Schottky barrier diode)를 통해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를 사용하면 작은 사이즈와 RF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특성이 핀다이오드에 비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한다.
T-DMB 대역 처리부(240)는 신호분배기(220)에서 분리된 RF 신호에서 T-DMB 대역만을 분리되도록 필터링 처리한다. 이러한 T-DMB 대역 처리부(240)는 T-DMB HPF(241), T-DMB 증폭부(242), T-DMB AGC(243), T-DMB LPF(244), T-DMB DET(245)로 이루어진다.
T-DMB HPF(241;HIGH PASS 필터)는 신호분배기(220)를 통해서 분배되어 수신된 RF 신호를 T-DMB 대역의 시작점인 174MHz 이후 주파수(174MHz~)만 통과할 수 있도록 필터링한다. 이때, T-DMB HPF(241)는 인덕터와 콘덴서로 이루어진 high pass filte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입력된 RF 신호 중에서 FM 대역보다 LOW 대역의 불요파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T-DMB 증폭부(242)는 T-DMB HPF(241)에서 필터링된 T-DMB 대역의 신호를 증폭한다.
T-DMB AGC(243)는 증폭부(232)에서 증폭된 T-DMB 대역의 신호가 정해진 출력 레벨로 일정하게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T-DMB AGC(243)는 RF DIGITAL ATTENUATOR를 통해서 T-DMB 출력 신호를 모니터링 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MCU에 의해서 제어된다.
T-DMB LPF(244;LOW PASS 필터)는 T-DMB AGC(243)를 통해서 출력되는 RF 신호를 T-DMB 대역의 끝지점인 216MHz 이전 주파수(~216MHz)만 통과할 수 있도록 필터링한다. 이때, T-DMB LPF(244)는 인덕터와 콘덴서로 이루어진 low pass filte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T-DMB AGC(243)를 통해서 출력되는 RF 신호 중 T-DMB 대역보다 HIGH 대역의 불요파를 제거하게 된다. T-DMB LPF(244)는 전술한 T-DMB HPF(241)와 함께 사용되어 T-DMB BPF(BAND PASS FILTER)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는 저가의 칩 인덕터와 칩 콘덴서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기술을 적용하므로 장비 구현 단가가 떨어지는 효과가 있다.
T-DMB DET(245)는 T-DMB LPF(244)를 거치면서 필터링된 T-DMB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이때, T-DMB DET(245)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Schottky barrier diode)를 통해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를 사용하면 작은 사이즈와 RF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특성이 핀다이오드에 비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한다.
신호 합성부(250)는 FM 대역 처리부(230)의 FM DET(235)를 통해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FM 대역의 신호와 T-DMB 대역 처리부(240)의 T-DMB DET(245)를 통해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T-DMB 대역의 신호를 하나의 RF 신호로 병합한다.
한편, 출력신호 처리부(300)는 내부 FM-DMB 신호 처리부(200)에서 처리된 FM 신호와 DMB 신호를 외부의 방송수신설비에 사용되는 75옴으로 변환시킨 후에 외부로 송신한다. 이러한, 출력신호 처리부(300)는 출력 임피던스 변환부(310), RF 안테나 출력단(320)을 포함한다.
출력 임피던스 변환부(310)는 신호 합성부(250)에서 합성된 RF신호의 임피던스를 50옴에서 75옴으로 변환시킨다. 이러한 출력 임피던스 변환부(310)에 의해서 RF 신호의 임피던스가 외부의 방송수신설비에 사용되는 75옴으로 일치되게 된다.
RF 안테나 출력단(320)은 출력 임피던스 변환부(310)에서 변환된 RF 신호를 외부의 방송수신설비에서 수신할 수 있도록 전송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입력신호 처리부 110 : RF+DC 입력단
120 : DC 차단부 130 : 입력 임피던스 변환부
140 : RF 차단부 150 : 정전압부
160 : RF+DC 출력단 200 : 내부 FM-DMB 신호 처리부
210 : LNA부 220 : 신호분배기
230 : FM 대역 처리부 231 : FM LPF
232 : FM 증폭부 233 : FM AGC
234 : FM HPF 235 : FM DET
240 : T-DMB 대역 처리부 241 : T-DMB HPF
242 : T-DMB 증폭부 243 : T-DMB AGC
244 : T-DMB LPF 245 : T-DMB DET
250 : 신호 합성부 300 : 출력신호 처리부
310 : 출력 임피던스 변환부 320 : RF 안테나 출력단

Claims (9)

  1. 외부의 동축 케이블에 연결되어 직류 성분과 FM과 T-DMB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 성분을 제공받아 직류 성분과 RF 신호를 분리하고, RF 신호의 임피던스를 50옴으로 변환시키는 입력신호 처리부(100)와;
    입력신호 처리부(100)에서 분리된 50옴의 임피던스 값을 갖는 RF 신호를 FM 대역과 T-DMB 대역으로 분리하여 처리하는 내부 FM-DMB 신호 처리부(200)와;
    내부 FM-DMB 신호 처리부(200)에서 처리된 FM 신호와 DMB 신호를 외부의 방송수신설비에 사용되는 75옴으로 변환시킨 후에 외부로 송신하는 출력신호 처리부(300);를 포함하되,
    입력신호 처리부(100)는,
    직류 성분과 FM과 T-DMB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 성분이 혼합되어 유입되는 RF+DC 입력단(110)과;
    RF+DC 입력단(110)으로 입력된 신호 중 DC 신호를 차단시키고 FM과 T-DMB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만 통과시키는 DC 차단부(120)와;
    DC 차단부(120)를 통과한 RF 신호의 임피던스를 75옴에서 50옴으로 변환시키는 입력 임피던스 변환부(130)와;
    RF+DC 입력단(110)으로부터 입력된 신호 중 RF 신호가 혼입되어있지 않은 DC 신호만 추출하는 RF 차단부(140)와;
    RF 차단부(140)를 통해서 DC만 남은 DC 신호를 정전압으로 유지시키는 정전압부(150);를 포함하고,
    RF 차단부(140)는,
    FM과 T-DMB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를 차단하는 1uH~0.8uH 인덕터를 직렬로 연결하고, 인덕터의 후단에 λ/4로 계산된 RF 초크 값의 길이만큼 Meander Line을 연결하여 RF 신호 차단용 인덕터를 통과한 DC신호에 남아 있는 맥류와 고주파 신호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방송용 FM/T-DMB 일체형 중계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입력신호 처리부(100)는,
    RF+DC 입력단(110)으로부터 수신된 직류 성분과 FM과 T-DMB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 성분을 제공받아 출력하는 RF+DC 출력단(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방송용 FM/T-DMB 일체형 중계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DC 차단부(120)는,
    10,000pF과 1,000pF의 커패시터를 직/병렬 조합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방송용 FM/T-DMB 일체형 중계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내부 FM-DMB 신호 처리부(200)는,
    입력신호 처리부(100)의 입력 임피던스 변환부(130)에서 변환된 RF 신호를 제공받아 저잡음 증폭하는 LNA부(210)와;
    LNA부(210)에서 저잡음 증폭된 RF 신호를 FM 신호와 T-DMB 신호로 사용할 수 있도록 2개로 나누어 출력하는 신호분배기(220)와;
    신호분배기(220)에서 분리된 RF 신호에서 FM 대역만을 분리되도록 필터링 처리하고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FM 대역 처리부(230)와;
    신호분배기(220)에서 분리된 RF 신호에서 T-DMB 대역만을 분리되도록 필터링 처리하고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T-DMB 대역 처리부(240)와;
    FM 대역 처리부(230)를 통해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FM 대역의 신호와 T-DMB 대역 처리부(240)를 통해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T-DMB 대역의 신호를 하나의 RF 신호로 병합하는 신호 합성부(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방송용 FM/T-DMB 일체형 중계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FM 대역 처리부(230)는,
    신호분배기(220)를 통해서 분배되어 수신된 RF 신호를 FM대역의 끝지점인 108MHz 이전 주파수만 통과할 수 있도록 필터링하는 FM LPF(231)와;
    FM LPF(231)에서 필터링된 FM 대역의 신호를 증폭하는 FM 증폭부(232)와;
    FM 증폭부(232)에서 증폭된 FM 대역의 신호가 정해진 출력 레벨로 일정하게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FM AGC(233)와;
    FM AGC(233)를 통해서 출력되는 RF 신호를 FM대역의 시작 지점인 88MHz 이후 주파수만 통과할 수 있도록 필터링하는 FM HPF(234)와;
    FM HPF(234)를 거치면서 필터링된 FM 대역의 RF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FM DET(2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방송용 FM/T-DMB 일체형 중계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T-DMB 대역 처리부(240)는,
    신호분배기(220)를 통해서 분배되어 수신된 RF 신호를 T-DMB 대역의 시작점인 174MHz 이후 주파수만 통과할 수 있도록 필터링하는 T-DMB HPF(241)와;
    T-DMB HPF(241)에서 필터링된 T-DMB 대역의 신호를 증폭하는 T-DMB 증폭부(242)와;
    증폭부(232)에서 증폭된 T-DMB 대역의 신호가 정해진 출력 레벨로 일정하게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T-DMB AGC(243)와;
    T-DMB AGC(243)를 통해서 출력되는 RF 신호를 T-DMB 대역의 끝지점인 216MHz 이전 주파수만 통과할 수 있도록 필터링하는 T-DMB LPF(244)와;
    T-DMB LPF(244)를 거치면서 필터링된 T-DMB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T-DMB DET(2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방송용 FM/T-DMB 일체형 중계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출력신호 처리부(300)는,
    신호 합성부(250)에서 합성된 RF신호의 임피던스를 50옴에서 75옴으로 변환시키는 출력 임피던스 변환부(310)와;
    출력 임피던스 변환부(310)에서 변환된 RF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RF 안테나 출력단(3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방송용 FM/T-DMB 일체형 중계장치.
KR1020160033731A 2016-03-22 2016-03-22 재난방송용 fm/t-dmb 일체형 중계장치 KR101770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731A KR101770151B1 (ko) 2016-03-22 2016-03-22 재난방송용 fm/t-dmb 일체형 중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731A KR101770151B1 (ko) 2016-03-22 2016-03-22 재난방송용 fm/t-dmb 일체형 중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0151B1 true KR101770151B1 (ko) 2017-08-22

Family

ID=59757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3731A KR101770151B1 (ko) 2016-03-22 2016-03-22 재난방송용 fm/t-dmb 일체형 중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01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8885B1 (ko) * 2017-12-11 2018-03-15 삼성넥스텍(주) 다중 임피던스 무선통신보조설비 중계 시스템
KR101908664B1 (ko) 2018-04-06 2018-10-16 윤성현 3채널 디엠비 리피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8885B1 (ko) * 2017-12-11 2018-03-15 삼성넥스텍(주) 다중 임피던스 무선통신보조설비 중계 시스템
KR101908664B1 (ko) 2018-04-06 2018-10-16 윤성현 3채널 디엠비 리피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4344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via existing CATV system
JP5535896B2 (ja) 6ポート線形ネットワークシングルワイヤマルチスイッチ送受信機
GB2299494A (en) Communications repeater
KR101770151B1 (ko) 재난방송용 fm/t-dmb 일체형 중계장치
SE9700169L (sv) Mottagaranordning för två frekvensband
US200401565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dio signals over conventional power lines
EP1187317A2 (en) Transmitter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2006196977A (ja) イヤホンアンテナの中継器
KR100347336B1 (ko) 종합 중계장치
KR100736128B1 (ko) 전력선을 이용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송수신 장치
JP4503771B2 (ja) 上り信号増幅器及び双方向catvシステム
US20160006555A1 (en) Integrated front module of set top box
KR940002981Y1 (ko) 지하방송중계기
JP2007228298A (ja) 中継器及びこれを含む配線システム
JP2004214939A (ja) Tv受信用増幅装置
KR0163259B1 (ko) Fm무선호출중계기능을 내장한 am/fm라디오 헤테로다인 다중방송신호 재중계장치
US5991606A (en) Apparatus for filtering signals of an antenna arrangement and a sender/receiver arrangement with two or more antennae
KR200340071Y1 (ko) 방송신호 채널별 분리 증폭방식 다채널 지하 fm방송중계기
KR20040094997A (ko) 고속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방송 수신 시스템
US8145122B2 (en) Power supply adapter and power supply system
KR101919659B1 (ko) 혼합 무선주파수 신호 및 직류 신호를 포함하는 중계신호 분배 장치
JPH10256992A (ja) 路車間通信装置
US1815833A (en) Subdivided service system of radio broadcast distribution
JP2008118444A (ja) テレビ受信用増幅装置
KR200405575Y1 (ko) 위성안테나용 엘엔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