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345A - 마을 방송 시스템의 무선 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마을 방송 시스템의 무선 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345A
KR20090004345A KR1020070117589A KR20070117589A KR20090004345A KR 20090004345 A KR20090004345 A KR 20090004345A KR 1020070117589 A KR1020070117589 A KR 1020070117589A KR 20070117589 A KR20070117589 A KR 20070117589A KR 20090004345 A KR20090004345 A KR 20090004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ower
voltage
receiver
out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7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0532B1 (ko
Inventor
김길용
김종헌
Original Assignee
(유)해양전자장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해양전자장비 filed Critical (유)해양전자장비
Publication of KR20090004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0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053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마을 방송 시스템의 무선 수신 장치는 소정 주파수의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 송신 장치; 및 상기 소정 주파수의 신호를 입력받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무선 수신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각각의 무선 수신 장치는 상기 소정 주파수의 신호를 입력받는 RF 수신부; 상기 RF 수신부의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신호 증폭부; 상기 증폭된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표시부; 및 상기 RF 수신부, 상기 신호 증폭부, 그리고 상기 표시부에 전원을 제공하고, 이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및 전원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시스템은 무선 수신 장치를 구비함으로, 마을 단위에서 각각의 집까지 유선으로 연결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을 방송 시스템의 무선 수신 장치{WIRELESS RECEIVER OF BROADCAST SYSTEM}
본 발명은 무선 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을 단위의 방송 시스템의 무선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마을 단위의 방송 시스템은 유선 송신 장치 및 유선 수신 장치로 되어 있다. 유선 송신 장치는 마을 회관 등에 설치되며, 스피커 등과 같은 유선 수신 장치는 마을의 중앙에 설치된다. 아파트 등과 같은 경우에는 유선 수신 장치는 각각의 가정에 개별적으로 설치된다.
종래의 마을 단위 방송 시스템은 대형 스피커를 통해 방송을 하기 때문에, 소음 등이 심할 수 있다. 또한, 아파트 등과 같은 곳에서 유선 수신 장치를 각 가정에 개별적으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유선 송신 장치로부터 각 가정의 유선 수신 장치까지 개별적으로 유선으로 연결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송신 장치로부터 각 가정의 수신 장치까지 유선으로 연결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마을 방송 시스템의 무선 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을 방송 시스템의 무선 수신 장치는 136MHz~172MHz 또는 216MHz~230MHz 대역의 주파수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 송신 장치; 및 개별 가정에 설치되고, 상기 136MHz~172MHz 대역의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주파수 신호를 이용하여 개별 가정에서 들을 수 있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무선 수신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각각의 무선 수신 장치는 상기 136MHz~172MHz 또는 216MHz~230MHz 대역 주파수의 신호를 입력받고, 제 1 출력 신호를 발생하는 RF 수신부; 상기 RF 수신부의 제 1 출력 신호를 증폭하여, 제 2 출력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신호 증폭부; 상기 제 2 출력 신호를 입력받고, 제 3 출력 신호를 상기 음성 신호로서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신호 출력부; 및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제 1 또는 제 2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 1 직류 전원을 상기 RF 수신부로 제공하고, 상기 제 2 직류 전원을 상기 신호 증폭부로 제공하며, 상기 무선 수신 장치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및 전원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 및 전원부는 상기 교류 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 단 자; 상기 입력 단자로부터의 제 1 차 교류 전원을 제 2 차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변압기; 상기 변압기의 양단에 연결되는 제너 다이오드; 상기 변압기의 양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차 교류 전원을 상기 제 2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브리지 회로; 및 상기 제 2 직류 전원을 입력받고 상기 제 1 직류 전원을 발생하기 위한 전압 발생 회로를 포함한다.
실시 예로서, 상기 신호 증폭부는 상기 제 1 출력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 단자; 상기 제 1 출력 신호를 가변하기 위한 가변 저항 회로; 및 상기 가변 저항 회로의 출력값 및 상기 제 2 직류 전원을 입력받고, 상기 제 2 출력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증폭 회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을 방송 시스템의 무선 수신 장치는 무선 송신 장치로부터 각 가정의 무선 수신 장치까지 유선으로 연결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을 방송 시스템의 무선 수신 장치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마을 방송 시스템은 무선 송신 장치(100) 및 복수의 무선 수신 장치(200~300)를 포함한다.
무선 송신 장치(100)는 소정 주파수의 신호를 복수의 무선 수신 장 치(200~300)로 전송한다. 무선 송신 장치(100)는 음악이나 목소리와 같은 음성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음성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 무선 송신 장치(100)는 일정 대역 (예를 들면, 136MHz~172MHz, 216MHz~230MHz, 400MHz~472MHz)의 주파수를 전송한다. 무선 송신 장치(100)는 음성 신호뿐 아니라, 영상 신호도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송신 장치(100)는 어느 한 곳에 고정되어 사용될 수도 있고, 장소를 이동하면서 음성 또는 영상 신호(이하 음성 신호 등이라 한다.)를 전송할 수도 있다.
복수의 무선 수신 장치(200~300)는 무선 송신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음성 신호 등을 입력받는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무선 수신 장치는 동일한 구성 및 동작 원리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하나의 무선 수신 장치(2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무선 수신 장치(200)는 마을 단위의 개별 가정에 설치된다. 무선 수신 장치(200)는 일정 대역 (예를 들면, 136MHz~172MHz, 216MHz~230MHz, 400MHz~472MHz)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주파수 신호를 이용하여 개별 가정에서 보거나 들을 수 있는 음성 신호 등을 출력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수신 장치(200)는 안테나(201)를 통해 음성 신호 등을 수신한다. 무선 수신 장치(200)는 RF 수신부(210), 신호 증폭부(220), 신호 출력부(230), 그리고 제어 및 전원부(240)를 포함한다.
입력된 음성 신호 등은 안테나(201)를 통해 RF 수신부(210)로 입력된다. RF 수신부(210)는 제어 및 전원부(240)의 제어에 응답하여, 입력된 음성 신호 등을 신호 증폭부(220)로 보낸다. RF 수신부(210)는 제어 및 전원부(240)로부터 직류 전 압(예를 들면, 6V)을 입력받아 동작한다. RF 수신부(210)는 일정 대역 (예를 들면, 136MHz~172MHz, 216MHz~230MHz, 400MHz~472MHz)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고, 약 1W의 제 1 출력 신호를 발생한다.
신호 증폭부(220)는 RF 수신부(210)로부터 입력된 제 1 출력 신호를 증폭하여, 제 2 출력 신호를 발생한다. 예를 들면, 신호 증폭부(220)는 약 1W의 제 1 출력 신호를 증폭하여, 약 22W의 제 2 출력 신호를 발생한다. 신호 증폭부(220)는 제어 및 전원부(240)로부터 직류 전압(예를 들면, 12V)을 입력받아 동작한다. 신호 증폭부(220)의 내부 구성 및 동작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신호 출력부(230)는 증폭된 음성 신호 등을 외부로 출력한다. 신호 출력부(230)는 무선 수신 장치(200)로 입력된 신호에 따라 음성 표시 장치일 수도 있고, 영상 표시 장치일 수도 있다. 입력 신호가 음성 신호인 경우에는 스피커 등과 같은 음성 표시 장치이고, 영상 신호인 경우에는 디스플레이(display)와 같은 영상 표시 장치이다. 예를 들면, 신호 출력부(230)는 약 22W의 제 2 출력 신호를 입력받고, 약 50W의 제 3 출력 신호를 음성 신호로서 외부로 출력한다.
제어 및 전원부(240)는 교류 전압(예를 들면, 220V)을 입력받고, 직류 전압으로 변환한다. 제어 및 전원부(240)는 변환된 직류 전압을 RF 수신부(210), 신호 증폭부(220), 그리고 신호 출력부(230)로 제공하며, 이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 및 전원부(240)는 약 220V의 교류 전압을 입력받고, 약 6V의 제 1 직류 전압과 약 12V의 제 2 직류 전압으로 변환한다. 제 1 직류 전압은 RF 수신부(210)로 제공되고, 제 2 직류 전압은 신호 증폭부(220)로 제공된다. 제어 및 전원 부(240)의 전압 변환 및 발생은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 및 전원부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 및 전원부(240)는 입력 단자, 변압기(241), 제너 다이오드(ZNR), 브리지 회로(243), 커패시터(C), 그리고 전압 발생 회로(245)를 포함한다.
입력 단자는 약 220V의 교류 전압(AC)을 입력받는다. 변압기(241)는 입력 단자의 양단에 연결된다. 변압기(241)는 입력 단자로부터의 제 1 차 교류 전압을 입력받고, 제 2 차 교류 전압으로 변환한다. 변압기(241)의 양단 사이에는 제너 다이오드(ZNR)이 연결되어 있다. 브리지 회로(243)는 변압기(241)의 양단에 연결되며, 제너 다이오드(ZNR)와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브리지 회로(243)는 제 2 차 교류 전압을 약 12V의 제 2 직류 전압으로 변환한다. 제 2 직류 전압은 신호 증폭부(220)로 제공된다.
브리지 회로(243)의 출력단과 접지 단자 사이에는 커패시터(C)가 연결되어 있다. 전압 발생 회로(245)는 브리지 회로(243)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약 12V의 제 2 직류 전압을 입력받고, 약 6V의 제 1 직류 전압을 발생한다. 제 1 직류 전압은 RF 수신부(210)로 제공된다.
도 2에 도시된 제어 및 전원부(240)는 약 220V의 교류 전압을 입력받고, 약 6V의 제 1 직류 전압과 약 12V의 제 2 직류 전압을 발생하는 것을 보여준다. 제 1 직류 전압은 RF 수신부(210)로 제공되고, 제 2 직류 전압은 신호 증폭부(220)로 제공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신호 증폭부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신호 증폭부(220)는 입력 단자(AMP_IN), 가변 저항 회로(221), 그리고 증폭 회로(223)를 포함한다.
입력 단자(AMP_IN)는 RF 수신부(210)로부터 약 1W의 제 1 출력 신호를 입력받는다. 가변 저항 회로(221)는 가변 저항(VR)과 저항(R)을 포함한다. 가변 저항 회로(221)는 제 1 출력 신호를 입력받고, 가변 저항(VR)과 저항(R)을 이용하여 전압 분배한다. 가변 저항 회로(221)의 분배 전압은 증폭 회로(223)로 제공된다. 증폭 회로(223)는 약 12V의 제 2 직류 전압을 입력받고 동작한다. 증폭 회로(223)는 분배 전압을 입력받고, 약 22W의 제 2 출력 신호를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시스템은 마을 단위에서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종래의 마을 단위의 방송 시스템은 각각의 가정마다 스피커 등을 부착하고, 마을 회관 등에서 유선으로 연결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방송 시스템은 각각의 집에 무선 수신 장치를 구비하고, 신호 증폭부(220)는 RF 수신부(210)로부터 입력된 제 1 출력 신호를 증폭하여, 제 2 출력 신호를 발생한다. 예를 들면, 신호 증폭부(220)는 약 1W의 제 1 출력 신호를 증폭하여, 약 22W의 제 2 출력 신호를 발생한다. 신호 증폭부(220)는 제어 및 전원부(240)로부터 직류 전압(예를 들면, 12V)을 입력받아 동작한다. 신호 증폭부(220)의 내부 구성 및 동작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신호 출력부(230)는 증폭된 음성 신호 등을 외부로 출력한다. 신호 출력부(230)는 무선 수신 장치(200)로 입력된 신호에 따라 음성 표시 장치일 수도 있 고, 영상 표시 장치일 수도 있다. 입력 신호가 음성 신호인 경우에는 스피커 등과 같은 음성 표시 장치이고, 영상 신호인 경우에는 디스플레이(display)와 같은 영상 표시 장치이다. 예를 들면, 신호 출력부(230)는 약 22W의 제 2 출력 신호를 입력받고, 약 50W의 제 3 출력 신호를 음성 신호로서 외부로 출력한다.
제어 및 전원부(240)는 교류 전압(예를 들면, 220V)을 입력받고, 직류 전압으로 변환한다. 제어 및 전원부(240)는 변환된 직류 전압을 RF 수신부(210), 신호 증폭부(220), 그리고 신호 출력부(230)로 제공하며, 이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 및 전원부(240)는 약 220V의 교류 전압을 입력받고, 약 6V의 제 1 직류 전압과 약 12V의 제 2 직류 전압으로 변환한다. 제 1 직류 전압은 RF 수신부(210)로 제공되고, 제 2 직류 전압은 신호 증폭부(220)로 제공된다. 제어 및 전원부(240)의 전압 변환 및 발생은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 및 전원부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 및 전원부(240)는 입력 단자, 변압기(241), 제너 다이오드(ZNR), 브리지 회로(243), 커패시터(C), 그리고 전압 발생 회로(245)를 포함한다.
입력 단자는 약 220V의 교류 전압(AC)을 입력받는다. 변압기(241)는 입력 단자의 양단에 연결된다. 변압기(241)는 입력 단자로부터의 제 1 차 교류 전압을 입력받고, 제 2 차 교류 전압으로 변환한다. 변압기(241)의 양단 사이에는 제너 다이오드(ZNR)이 연결되어 있다. 브리지 회로(243)는 변압기(241)의 양단에 연결되며, 제너 다이오드(ZNR)와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브리지 회로(243)는 제 2 차 교류 전 압을 약 12V의 제 2 직류 전압으로 변환한다. 제 2 직류 전압은 신호 증폭부(220)로 제공된다.
브리지 회로(243)의 출력단과 접지 단자 사이에는 커패시터(C)가 연결되어 있다. 전압 발생 회로(245)는 브리지 회로(243)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약 12V의 제 2 직류 전압을 입력받고, 약 6V의 제 1 직류 전압을 발생한다. 제 1 직류 전압은 RF 수신부(210)로 제공된다.
도 2에 도시된 제어 및 전원부(240)는 약 220V의 교류 전압을 입력받고, 약 6V의 제 1 직류 전압과 약 12V의 제 2 직류 전압을 발생하는 것을 보여준다. 제 1 직류 전압은 RF 수신부(210)로 제공되고, 제 2 직류 전압은 신호 증폭부(220)로 제공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신호 증폭부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신호 증폭부(220)는 입력 단자(AMP_IN), 가변 저항 회로(221), 그리고 증폭 회로(223)를 포함한다.
입력 단자(AMP_IN)는 RF 수신부(210)로부터 약 1W의 제 1 출력 신호를 입력받는다. 가변 저항 회로(221)는 가변 저항(VR)과 저항(R)을 포함한다. 가변 저항 회로(221)는 제 1 출력 신호를 입력받고, 가변 저항(VR)과 저항(R)을 이용하여 전압 분배한다. 가변 저항 회로(221)의 분배 전압은 증폭 회로(223)로 제공된다. 증폭 회로(223)는 약 12V의 제 2 직류 전압을 입력받고 동작한다. 증폭 회로(223)는 분배 전압을 입력받고, 약 22W의 제 2 출력 신호를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시스템은 마을 단위에서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종래의 마을 단위의 방송 시스템은 각각의 가정마다 스피커 등을 부착하고, 마을 회관 등에서 유선으로 연결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시스템은 각각의 집에 무선 수신 장치를 구비하고, 일정 대역 (예를 들면, 136MHz~172MHz, 216MHz~230MHz, 400MHz~472MHz)의 주파수를 사용함으로 각각의 집까지 유선으로 연결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정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함으로 각각의 집까지 유선으로 연결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을 단위의 방송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 및 전원부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신호 증폭부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무선 송신 장치
200, 300; 무선 수신 장치
201, 301; 안테나
210, 310; RF 수신부
220, 320; 신호 증폭부
230, 330; 표시부
240, 340; 제어 및 전원부

Claims (1)

  1. 무선 송신 장치로부터 136MHz~172MHz 또는 216MHz~230MHz 대역의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주파수 신호를 이용하여 마을 단위의 개별 가정에서 음성 신호를 듣기 위한 마을 방송 시스템의 무선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고 제 1 출력 신호를 발생하는 라디오 주파수 수신부;
    상기 라디오 주파수 수신부의 제 1 출력 신호를 증폭하고 제 2 출력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신호 증폭부;
    상기 제 2 출력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음성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신호 출력부; 및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제 1 또는 제 2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 1 직류 전원을 상기 라디오 주파수 수신부로 제공하고, 상기 제 2 직류 전원을 상기 신호 증폭부로 제공하며, 상기 무선 수신 장치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및 전원부를 포함하되,
    상기 신호 증폭부는 상기 제 1 출력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 단자; 상기 제 1 출력 신호를 가변하기 위한 가변 저항 회로; 및 상기 가변 저항 회로의 출력값 및 상기 제 2 직류 전원을 입력받고, 상기 제 2 출력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증폭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및 전원부는 상기 교류 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 단자; 상기 입 력 단자로부터의 제 1 차 교류 전원을 제 2 차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변압기; 상기 변압기의 양단에 연결되는 제너 다이오드; 상기 변압기의 양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차 교류 전원을 상기 제 2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브리지 회로; 및 상기 제 2 직류 전원을 입력받고 상기 제 1 직류 전원을 발생하기 위한 전압 발생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수신 장치.
KR20070117589A 2007-03-26 2007-11-17 마을 방송 시스템의 무선 수신 장치 KR1009105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299 2007-03-26
KR20070029299 2007-03-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345A true KR20090004345A (ko) 2009-01-12
KR100910532B1 KR100910532B1 (ko) 2009-07-31

Family

ID=40486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117589A KR100910532B1 (ko) 2007-03-26 2007-11-17 마을 방송 시스템의 무선 수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05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602B1 (ko) 2015-04-08 2016-03-10 (주)유진테크시스템 마을방송용 무선 디지털 수신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460B1 (ko) 2012-07-24 2013-03-11 송재익 다수의 rf 키가 장착된 수신 및 비상호출기를 구비한 마을방송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1563891B1 (ko) * 2015-01-28 2015-10-28 세기미래기술 주식회사 듀얼밴드 스캐닝 기능을 이용한 긴급호출 및 녹음방송 기능을 갖는 마을 공지사항 안내방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81247B1 (ko) * 2015-04-08 2015-12-31 (주)유진테크시스템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무선 마을방송 시스템
KR20180066700A (ko) 2016-12-09 2018-06-19 주식회사 알파이앤시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
KR102042489B1 (ko) 2019-05-23 2019-11-08 하창수 마을 방송 시스템
KR20230006137A (ko) 2021-07-02 2023-01-10 동양이앤아이 주식회사 데이터 통신기반 마을방송장치를 이용한 IoT 및 AI서비스 설계반영의 헬스 케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1330A (ko) * 2001-12-27 2002-05-01 (주)두리에스 원격 무선방송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602B1 (ko) 2015-04-08 2016-03-10 (주)유진테크시스템 마을방송용 무선 디지털 수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0532B1 (ko) 2009-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0532B1 (ko) 마을 방송 시스템의 무선 수신 장치
EP2884822B1 (en) Multi-functional wireless led device and multi-functional wireless loudspeaker box system
KR20180006176A (ko) 원거리 및 근거리 무선 충전을 위한 다중 주파수 기반의 무선 충전 시스템
US7742069B2 (en) Telephone ring activation of a wireless transmitter for remote control of a television
CN102831764A (zh) 遥控器及遥控装置
KR200436762Y1 (ko) 마을 방송 시스템
KR101104622B1 (ko) 자동으로 채널을 부여하는 무선마이크 시스템
KR100974524B1 (ko) 스피커 장치 및 시스템
US8165315B2 (en) Multichannel wireless system
CN103945316A (zh) 一种有源数字线阵列
KR100736128B1 (ko) 전력선을 이용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송수신 장치
CN201752132U (zh) 家用声音定向传播系统
CN106507243B (zh) 一种组合式音源系统
CN203243505U (zh) 电子设备及其内置音箱系统
CN106707062B (zh) 用于微波通信装置的测试设备及其测试信号生成电路
JP2008092499A (ja) 光加入者端末装置の遠隔制御装置、これに使用するセンター装置及び光加入者端末装置
KR100716578B1 (ko) 가정용 다채널 중계기
JP3192255U (ja) 放送信号変換伝送装置及び放送受信システム
US20040230332A1 (en) Blue tooth facility for transmitting stereophonic sounds
JP3229134B2 (ja) 2線式通信装置
WO2014141583A1 (ja) 通信装置、受信電力モニタ装置及び通信装置システム
KR20020063937A (ko) 무선 텔레비젼 방송 청취기
JP7062533B2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防災無線装置
US20090267779A1 (en) Miniature Night Lamp with Weathercast and Alarm Module
JP2008099128A (ja) 電源分離型ブース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