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7315B1 - 관체 도장 장치 - Google Patents

관체 도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7315B1
KR101487315B1 KR20130100304A KR20130100304A KR101487315B1 KR 101487315 B1 KR101487315 B1 KR 101487315B1 KR 20130100304 A KR20130100304 A KR 20130100304A KR 20130100304 A KR20130100304 A KR 20130100304A KR 101487315 B1 KR101487315 B1 KR 101487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tube
painting
unit
tubula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0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승호
송세환
이종오
임범현
최윤서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00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73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14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oscillating elements; with intermittent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07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work being an elongated body, e.g. wire or pi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 B05B13/0228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the movement of the objects being rota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05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 B05B13/04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with spray heads reciprocating along a straight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36Installations or apparatus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elongated bodies, e.g. light poles,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42Installation or apparatus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eparate articles rotated during spraying operation

Landscapes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력 발전기의 타워와 같은 대형 관체의 외주면을 도장하는 관체 도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체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관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의 동선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관체의 외주면에 도료를 분사하여 도장하는 도장유닛 및 상기 관체의 길이방향을 축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관체의 양 단을 각각지지하며 상기 관체의 지면과 마주보는 모선이 상기 도장유닛이 관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선과 평행하도록 상기 관체를 지지하는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터닝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도장유닛이 상기 터닝롤러에 의해 회전되는 관체의 외주면을 도장하는 관체 도장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관체 도장 장치{Divece for Painting Tower Pipe Outer Surface}
본 발명은 도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풍력 발전기의 타워와 같은 대형 관체의 외주면을 도장하는 관체 도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풍력발전기는 바람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발전기로서, 최근에 환경문제가 중요시됨에 따라 그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풍력 발전기(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관체(P)들이 연결된 타워(55)에 지지되어 세워지는데, 이러한 하나의 관체(P)는 대략 그 길이가 20m, 직경이 3~4m를 이루는 대형의 관체이다.
이러한 풍력 발전기는 해상이나 해변가 및 산 등 바람이 강하게 부는 지역에 설치되는데, 특히 해수의 염분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고자 상기 타워를 이루는 관체(P)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도장이 필히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관체(P)는 그 크기가 일반 파이프 등의 관에 비하여 무척 크므로 그 도장작업 일반적으로 수작업에 의존해왔는데, 그 결과 도장 품질이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등 효율적이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관체의 도장 작업을 자동화 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10-1271742호 등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뉘어진 관체(P)의 양 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지지대(10)및 제2지지대(20)가 구비되고, 상기 뉘어진 관체의 양 측면에, 상기 관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40)이 구비되며, 상기 레일(40)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관체(P)를 도장하는 분사유닛(3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지지대(10) 및 제2지지대(20)는 상기 관체(P)를 회전시키면서 지지하도록 제1지지롤러(12) 및 제2지지롤러(22)가 구비되며, 상기 분사유닛(30)은 상기 레일(40)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대차(34)가 상기 관체(P)의 양 측에 구비된 레일(40)에 설치되고, 상기 양 단부가 상기 한 쌍의 이동대차(34)에 결합되며, 상기 관체(P)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프레임(32)이 상기 관체(P)의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32)의 관체(P)를 바라보는 내측 둘레에 분사노즐(36)이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지지롤러(12) 및 제2지지롤러(22)에 의해 상기 관체(P)가 회전되면서 상기 분사유닛(30)의 분사노즐(36)에서 도료를 분사하여 상기 관체(P)의 외주면에 도장을 실시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대차(34)가 레일(40)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관체(P)의 길이방향에 걸쳐 도장을 실시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관체 도장장치는, 상기 프레임(32)이 관체(P)의 외주면 둘레를 감싸는 직경으로 형성되어야 하는데, 상기 관체(P)가 매우 대형이므로 프레임(32)의 크기가 매우 커져야 하며, 그에 따라 분사유닛(30)의 무게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분사유닛(30)의 무게가 무거우므로 분사유닛(30)의 이동을 정밀하게 제어하기 어려워 도장품질의 향상에 한계가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32)의 직경은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프레임(32)보다 큰 직경의 관체(P)의 도장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타워는 하측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크며 상측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작아지는 것이 일반적이며 그에 따라 상기 관체(P)의 직경 또한 일정하지 않고 그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커지거나 작아지도록 원뿔대 형태를 이루는 경우도 많은데, 상기 프레임(32)의 직경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분사노즐(36)과 관체(P) 외주면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프레임(32)의 직경이 고정된 상태에서 분사노즐(36)과 관체(P)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분사노즐(36)이 관체(P)를 향하여 돌출되는 거리를 조절하는 간격조절장치가 필요하며, 이러한 간격조절장치가 복수개의 분사노즐(36)마다 구비되어야 하여 설비가 복잡해지며 제작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10-1271742호
본 출원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분사유닛의 무게가 비교적 가볍고 간단하여 정밀한 움직임의 제어가 가능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도장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관체 외주면 도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관체 직경의 대소에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는 관체 외주면 도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출원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체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관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의 동선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관체의 외주면에 도료를 분사하여 도장하는 도장유닛 및 상기 관체의 길이방향을 축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관체의 양 단을 각각지지하며 상기 관체의 지면과 마주보는 모선이 상기 도장유닛이 관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선과 평행하도록 상기 관체를 지지하는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터닝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도장유닛이 상기 터닝롤러에 의해 회전되는 관체의 외주면을 도장하는 관체 도장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도장유닛은 상기 관체의 하측에 구비되며, 지면을 따라 주행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면에는 상기 도장유닛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도장유닛은 상기 레일을 따라 왕복이동할 수 있다.
상기 터닝롤러는, 상기 관체의 양 단의 회전각도가 동일하도록 상기 관체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터닝롤러는, 상기 관체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는 롤러 구동부 및 상기 롤러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장유닛은, 휠 및 상기 휠을 구동하는 휠 구동부가 구비된 몸체, 상기 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관체의 외주면의 호를 따라 왕복 이동하면서 도료를 분사하는 도료분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료분사부는, 도료를 분사하는 도장건, 상기 도장건이 관체의 외주면 호를 따라 왕복 이동하는 경로를 안내하며 상기 관체 외주면과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호를 형성하는 곡면레일 및 상기 도장건이 상기 곡면레일을 따라 왕복되도록 상기 도장건을 이동시키는 도장건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체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도장건에 의해 관체에 형성되는 도장도막이 상기 관체의 길이방향 중심축과 수평하게 형성되도록, 상기 몸체가 상기 관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도장건이 상기 관체의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상기 곡면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장건은, 상기 관체 외주면의 법선 방향으로 도료를 분사할 수 있다.
본 출원의 관체 도장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도장유닛이 관체의 측면에 구비되므로 관체의 직경의 대소에 구애받지 않고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관체가 도장유닛이 이동하는 경로와 수평하게 놓여지므로, 도장유닛의 도장건의 분사거리를 조절할 필요가 없어 도장건의 구조가 간단해져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장비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출원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풍력발전기의 일반적인 형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관체 도장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체 도장 장치의 일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체 도장 장치에 관체가 누인 형태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상기 관체의 회전중심축이 지면과 수평하게 누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체 도장 장치에 관체가 누인 형태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관체의 모선이 도장유닛이 이동하는 경로와 수평하게 누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단면도;
도 7은 도 6의 곡면 레일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 그리고,
도 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체 도장 장치에 의해 관체에 도료가 도장되는 형태를 도시한 도면 이다.
이하 본 출원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체 도장 장치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장유닛(120)과 터닝롤러(1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도장유닛(120)은 관체(P) 외부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상기 관체(P)는 터닝롤러(110)에 의해 누인 상태로 거치될 수 있다.
상기 터닝롤러(110)는, 누인 관체(P)의 양 단부에 각각 각각 구비되어 상기 관체(P)를 그 길이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
한편, 상기 관체(P)의 상기 터닝롤러(110)와 접촉되는 부분은 도장이 불가능하며, 또한, 상기 터닝롤러(110)의 롤러(111)와 접촉하는 부분에 과도한 응력이 작용하여 변형 및 결함이 발생되거나 흙이나 그리스 등의 이물질이 묻어 오염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페인트 링(6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관체(P)의 단부에는 타워를 이루는 관체(P)간의 상호 결합을 위해서 일반적으로 플랜지(12)가 형성되는데, 상기 페인트 링(60)은 상기 플랜지(1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페인트 링(60)은 상기 관체(P)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관체(P)의 플랜지(12)에 결합되고, 그 외주면이 상기 터닝롤러(110)의 롤러(111)에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관체(P)는 상기 터닝롤러(110)와 접촉되는 부분 없이 모든 부분이 후술하는 도장유닛(120)에 노출되어 도장이 가능하며, 흙 등에 오염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페인트 링(60)은 플랜지(12)가 형성되지 않은 관체(P)에도 적용 가능하며 이 경우 관체(P)의 단부의 내주면 등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터닝롤러(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111), 롤러 구동부(112), 높이조절부(116) 및 어퍼 베이스(113)와 로워 베이스(1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111)는 상기 어퍼 베이스(113)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한 쌍이 구비되며, 상기 페인트 링(60) 및 관체(P)의 플랜지(12) 또는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롤러 구동부(112)는 상기 롤러(111)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며, 벨트 또는 체인이나 기어 등의 동력전달요소를 통해 상기 롤러 구동부(112)를 구동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워 베이스(114)는 지면 등의 설치면에 이동가능하게 휠(115)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면은 지면일 수 있으며, 상기 지면에는 상기 로워 베이스(114)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미도시)가 상기 관체(P)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부(116)는, 상기 어퍼 베이스(113)와 로워 베이스(114)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신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어퍼 베이스(113) 및 롤러(11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높이조절부(116)는 유압실린더 등의 신축 가능한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높이조절부(116)가 어퍼 베이스(113) 및 롤러(111)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관체(P)의 단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체(P)의 양 단의 회전각도 및 회전각속도가 동일하도록 상기 관체(P)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터닝롤러(110)와 상기 관체(P)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터닝롤러(110)의 회전속도는 다를 수 있다.
물론, 상기 관체(P)의 직경이 일정하다면 관체(P)의 일단과 타단의 회전각속도 및 회전속도가 동일하겠지만, 상기 관체(P)가 일단과 타단의 직경이 다른 원뿔대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면 상기 관체(P)의 일단과 타단이 동일한 시간에 동일한 회전각도를 갖기 위해서는 상기 관체(P)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터닝롤러(110)와 타단부를 지지하는 터닝롤러(110)의 회전속도가 다를 수 있으며, 더 큰 직경을 이루는 단부를 지지하는 터닝롤러(110)가 더 빠른 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도장유닛(1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체(P) 외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관체(P)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의 경로로 이동하면서 상기 관체(P)의 외주면에 도료를 분사하여 도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장유닛(120)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17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일(170)은 지면(200)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상기 레일(170)이 지면(200)에 설치되며, 상기 관체(P)의 직하부에 상기 관체(P)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런데,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레일(170)은 지면(200)과 이격되어 설치될 수도 있으며, 상기 관체(P)의 좌측 또는 우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체(P)가 상기 터닝롤러(110)에 거치되며, 상기 관체(P)의 회전중심축(RX)이 상기 도장유닛(120)이 이동하는 경로인 레일(170)에 수평하게 설치되며, 상기 관체(P)가 직경이 일정하지 않고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 수록 직경이 켜지는 경우, 상기 도장유닛(120)이 이동하는 레일(170)은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도장유닛(120)이 이동하면서 상기 도장유닛(120)과 관체(P)의 외주면과의 거리가 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장유닛(120)의 도장건(132)과 피도장되는 물체의 간격은 일정해야 하므로, 상기 도장유닛(120)에는 상기 도장건(132)과 관체(P) 외주면과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부(미도시)등의 가동부가 추가로 필요할 수 있다.
또한, 도장건(132)과 관체(P) 외주면과의 간격을 측정하는 센서(미도시)또한 필요하며, 이를 위한 제어부(미도시) 등이 추가로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체(P)의 모선(ge)이 상기 도장유닛(120)이 이동하는 경로인 레일(170)과 수평하도록 상기 관체(P)의 양 단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관체(P)의 양 단부의 높이는 상기 터닝롤러(110)의 높이조절부(116)를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선(ge:(generate)母線)이란, 상기 관체(P)의 일단의 둘레 중 임의의 한 점과, 타단의 둘레 중 임의의 한 점을 잇는 선분 중 그 길이가 가장 짧은 선분을 뜻할 수 있다.
상기 관체(P)의 모선(ge)이 상기 도장유닛(120)이 이동하는 경로인 레일(170)과 수평하도록 상기 관체(P)가 거치된다면, 상기 관체(P)가 회전되어도 상기 도장유닛(120)이 이동하면서 상기 도장유닛(120)과 상기 관체(P)의 외주면과의 간격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간격조절부 및 센서와 제어부 등의 구성이 생략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페인트 링(60)의 외경의 크기가 정확하지 않더라도, 상기 터닝롤러(110)를 이용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페인트 링(60)의 크기에서 보다 자유로울 수 있다.
상기 도장유닛(12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22)와 도료분사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122)는 상기 레일(170)을 따라 구름 가능한 휠(124) 및 상기 휠(124)을 구동하는 휠 구동부(126) 및 도료분사부(130)와 상기 휠 구동부(126)를 제어하는 제어부(12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몸체(122)에는 분사되는 도료를 저장하는 도료저장탱크(미도시)도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도료저장탱크(미도시)가 구비되는 대신 호스 등의 관(미도시)이 외부로부터 연결되어 도료를 공급받을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도료분사부(13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22)에 구비되며, 도장건(132), 곡면레일(134) 및 도장건 구동부(138)를 포함하여 상기 관체(P)의 외주면 호를 따라 왕복 이동하면서 도료를 분사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도장건(132)은 도료를 분사하는 노즐이 구비되며, 상기 관체(P)에 도료를 분사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곡면레일(134)은, 상기 도장건(132)이 상기 관체(P)의 외주면 호를 따라 왕복 이동하는 경로를 안내하며, 상기 관체(P)의 외주면과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호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곡면레일(134)에는 상기 도장건(132)이 결합된 슬라이딩 블록(136)이 상기 곡면레일(134)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장건 구동부(138)는 상기 도장건(132) 및 슬라이딩 블록(136)이 상기 곡면레일(134)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도장건 구동부(138)는 상기 곡면레일(134)과 접하는 슬라이딩 블록(136)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정역회전되는 모터(137) 및 상기 모터(137)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139)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곡면레일(134)의 상기 피니언(139)과 접하는 부분에는 상기 피니언(139)과 치합되는 기어치가 상기 곡면레일(134)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 랙(135)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137)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도장건(132) 및 슬라이딩 블록(136)이 상기 곡면레일(134) 상을 왕복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도장건(132)은 상기 관체(P) 외주면에 항상 수직하도록 법선 방향으로 도료를 분사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장유닛(120)에 의해 상기 관체(P)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도장도막(180)이 상기 관체(P)의 길이방향 중심축과 수평하게 형성되도록, 상기 도장유닛(120)은 상기 관체(P)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도장건(132)은 상기 관체(P)의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상기 곡면레일(134)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장건(132) 및 슬라이딩 블록(136)이 이동되는 속도는 상기 관체(P)의 해당지점의 직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사전에 상기 도장유닛(120)의 제어부(128)에 프로그래밍 되거나 또는 상기 도장유닛(120)에 상기 관체(P) 외주면의 회전속도를 측정하는 별도의 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센서에서 측정된 관체(P) 외주면의 회전속도를 바탕으로 상기 제어부(128)가 상기 도장건(132) 및 슬라이딩 블록(136)의 이송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장유닛(120)에 의해 관체(P)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도장도막(180)이 일직선으로 형성되면 같은 곳을 두번 도장하지 않도록 도료분사패턴을 제어하는데 매우 유리하며 그에 따라 도장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도료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출원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출원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P: 관체 Rx: 관체의 회전중심축
ge: 관체의 모선 60: 페인트 링
110: 터닝롤러 111: 롤러
112: 롤러 구동부 113: 어퍼 베이스
114: 로워 베이스 115: 휠
116: 높이조절부 120: 도장유닛
122: 몸체 124: 휠
126: 휠 구동부 128: 제어부
130: 도료분사부 132: 도장건
134: 곡면레일 135: 랙
136: 슬라이딩 블록 137: 모터
138: 도장건 구동부 139: 피니언
170: 레일 200: 지면

Claims (9)

  1. 휠 및 상기 휠을 구동하는 휠 구동부가 구비된 몸체, 상기 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관체의 외주면의 호를 따라 이동하면서 도료를 분사하는 도료분사부를 포함하고, 관체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관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관체의 외주면에 도료를 분사하여 도장하는 도장유닛;
    상기 관체의 길이방향을 축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관체의 양 단을 각각 지지하며, 상기 관체의 지면과 마주보는 모선이 상기 도장유닛이 관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선과 평행하도록 상기 관체를 지지하는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터닝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도장유닛이 상기 터닝롤러에 의해 회전되는 관체의 외주면을 도장하는 관체 도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장유닛은 상기 관체의 하측에 구비되며, 지면을 따라 주행하는 관체 도장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면에는 상기 도장유닛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도장유닛은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관체 도장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롤러는,
    상기 관체의 양 단의 회전각도가 동일하도록 상기 관체를 회전시키는 관체 도장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롤러는,
    상기 관체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는 롤러 구동부;
    상기 롤러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관체 도장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분사부는,
    도료를 분사하는 도장건;
    상기 도장건이 관체의 외주면 호를 따라 왕복 이동하는 경로를 안내하며, 상기 관체 외주면과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호를 형성하는 곡면레일;
    상기 도장건이 상기 곡면레일을 따라 왕복되도록 상기 도장건을 이동시키는 도장건 구동부를 포함하는 관체 도장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도장건에 의해 관체에 형성되는 도장도막이 상기 관체의 길이방향 중심축과 수평하게 형성되도록, 상기 몸체가 상기 관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도장건이 상기 관체의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상기 곡면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관체 도장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장건은,
    상기 관체 외주면의 법선 방향으로 도료를 분사하는 관체 도장 장치.
KR20130100304A 2013-08-23 2013-08-23 관체 도장 장치 KR101487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0304A KR101487315B1 (ko) 2013-08-23 2013-08-23 관체 도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0304A KR101487315B1 (ko) 2013-08-23 2013-08-23 관체 도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7315B1 true KR101487315B1 (ko) 2015-01-29

Family

ID=52592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0304A KR101487315B1 (ko) 2013-08-23 2013-08-23 관체 도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7315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04114A (zh) * 2016-11-29 2017-05-24 北京金风科创风电设备有限公司 塔筒作业用装置及设备
CN108906390A (zh) * 2018-10-09 2018-11-30 江苏泰华消防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桥架喷涂设备
CN108970858A (zh) * 2018-08-22 2018-12-11 新兴铸管股份有限公司 一种钢管喷漆防腐装置
CN109746145A (zh) * 2019-03-15 2019-05-14 无锡市福莱达石油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平面阀座的喷涂装置
KR102004152B1 (ko) 2019-06-24 2019-07-26 주식회사 아텍 풍력발전기용 부품의 표면처리방법
KR102186081B1 (ko) 2020-04-03 2020-12-03 이상원 용사코팅용 지그장치
KR102186079B1 (ko) 2020-04-03 2020-12-03 이상원 지그장치를 이용한 용사코팅방법
CN114054251A (zh) * 2021-10-27 2022-02-18 河北华丰能源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管道刷漆装置
CN116493164A (zh) * 2023-06-29 2023-07-28 四川能投建工集团水利水电工程有限公司 一种房屋建设用涂料喷涂设备
CN116550532A (zh) * 2023-06-16 2023-08-08 雄县瑞刚管道制造有限公司 一种环保型pe管生产用喷涂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810B1 (ko) * 2010-01-18 2010-07-08 (주)그린폴리머 강관의 코팅장치와 코팅층이 형성된 강관
KR20130035302A (ko) * 2011-09-30 2013-04-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풍력발전기의 타워 도장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810B1 (ko) * 2010-01-18 2010-07-08 (주)그린폴리머 강관의 코팅장치와 코팅층이 형성된 강관
KR20130035302A (ko) * 2011-09-30 2013-04-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풍력발전기의 타워 도장장치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04114A (zh) * 2016-11-29 2017-05-24 北京金风科创风电设备有限公司 塔筒作业用装置及设备
CN108970858B (zh) * 2018-08-22 2023-10-03 新兴铸管股份有限公司 一种钢管喷漆防腐装置
CN108970858A (zh) * 2018-08-22 2018-12-11 新兴铸管股份有限公司 一种钢管喷漆防腐装置
CN108906390A (zh) * 2018-10-09 2018-11-30 江苏泰华消防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桥架喷涂设备
CN109746145A (zh) * 2019-03-15 2019-05-14 无锡市福莱达石油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平面阀座的喷涂装置
CN109746145B (zh) * 2019-03-15 2024-03-22 无锡市福莱达石油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平面阀座的喷涂装置
KR102004152B1 (ko) 2019-06-24 2019-07-26 주식회사 아텍 풍력발전기용 부품의 표면처리방법
KR102186079B1 (ko) 2020-04-03 2020-12-03 이상원 지그장치를 이용한 용사코팅방법
KR102186081B1 (ko) 2020-04-03 2020-12-03 이상원 용사코팅용 지그장치
CN114054251A (zh) * 2021-10-27 2022-02-18 河北华丰能源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管道刷漆装置
CN116550532A (zh) * 2023-06-16 2023-08-08 雄县瑞刚管道制造有限公司 一种环保型pe管生产用喷涂设备
CN116550532B (zh) * 2023-06-16 2024-02-20 河北纳欣塑胶制品有限公司 一种环保型pe管生产用喷涂设备
CN116493164A (zh) * 2023-06-29 2023-07-28 四川能投建工集团水利水电工程有限公司 一种房屋建设用涂料喷涂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7315B1 (ko) 관체 도장 장치
US9687869B2 (en) Pipe-shape structure coating device and method
KR101271742B1 (ko) 관체 도장 장치 및 방법
EP3059484B1 (en) Autonomous robot for the inspection and maintenance of large-sized pipes and method of its exploitation
KR101401042B1 (ko) 도막 형성 장치 및 도막 형성 방법
KR101456847B1 (ko) 관체 외주면 도장 시스템
KR101524695B1 (ko) 레일부를 포함하는 관체 도장장치
GB2578876A (en) Apparatus for servicing a structure
KR101505580B1 (ko) 관체 도장장치
KR101456849B1 (ko) 도장장치
KR101466242B1 (ko) 타워 외주면 도장 시스템
KR101516252B1 (ko) 도장유닛 이송 장치 및 타워 외주면 도장 시스템
KR101580804B1 (ko) 타워 외주면 도장 시스템
CN116176724B (zh) 一种用于大型风电塔筒外壁作业的拉臂式爬升机器人
US6171398B1 (en) Apparatus for coating a conduit surface
CN202983968U (zh) 侧扣式组合环形喷涂装置
US2018007896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ainting three-dimensional objects
KR101524685B1 (ko) 수직형 타워 도장장치
CN115228664B (zh) 一种管道喷涂装置
KR102207096B1 (ko) 분체 도장 장치
KR101474991B1 (ko) 관체 내부 도장장치
KR101497483B1 (ko) 도장장치
KR101756505B1 (ko) 도장로봇용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도장로봇
CN219400737U (zh) 一种管道内防腐施工用小车
CN217190328U (zh) 一种镀锌管加工用喷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