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7020B1 -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암 유닛 - Google Patents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암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7020B1
KR101487020B1 KR20080108226A KR20080108226A KR101487020B1 KR 101487020 B1 KR101487020 B1 KR 101487020B1 KR 20080108226 A KR20080108226 A KR 20080108226A KR 20080108226 A KR20080108226 A KR 20080108226A KR 101487020 B1 KR101487020 B1 KR 101487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lower arm
unit
electric discharge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108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9171A (ko
Inventor
사공영군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108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7020B1/ko
Publication of KR20100049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9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02Wire-cutting
    • B23H7/08Wire electrodes
    • B23H7/10Supporting, winding or electrical connection of wire-electrode
    • B23H7/104Wire tension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11/00Auxiliary apparatus or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02Wire-cutting
    • B23H7/08Wire electrodes
    • B23H7/10Supporting, winding or electrical connection of wire-electrode
    • B23H7/108Used wire dispos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암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암 유닛은, 한쪽 끝 부분에 제1 플랜지(211)가 형성되고 제1 플랜지(211)는 칼럼(12)에 설치되는 메인 파이프(210), 메인 파이프(210)의 외주면과 이격되게 외주에 끼워 설치되고 한쪽 끝 부분에 제2 플랜지(231)가 형성되며 제2 플랜지(231)는 제1 플랜지(211)에 고정되는 보호 파이프(230), 메인 파이프(210)의 타측의 제1 단부(212)에 설치되고, 하부 가이드 블록 유닛(22)이 장착되는 방수절연블록(220) 및 방수절연블록(220)의 외주면에 일측이 고정되는 제1 커버 고정구(242)를 구비하고 타측에 제2 커버 고정구(244)를 구비하며 보호 파이프(230)의 외주에 씌워져 신축되는 벨로즈 커버(240)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80108226
와이어 방전가공기, 와이어 컷 방전가공기, 하부 암, Arm

Description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암 유닛 {Lower part Arm Unit of Wire Electric Discharge Machine}
본 발명은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암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쪽 끝 부분은 칼럼(column)에 외팔보 형태로 고정되고 다른 쪽 끝 부분은 하부 가이드 블록 유닛이 설치되어 와이어를 팽팽하게 유지시킴과 아울러 사용된 와이어를 배출시키도록 하는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암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 방전가공기는 절연성이 있는 가공액에 주행하는 와이어 전극과 공작물을 넣고 지속적인 아크 방전에 의해 공작물의 일부를 제거하여 가공하는 방법으로서, 와이어와 가공물 사이에 방전(放電)을 일으켜 방전스파크를 마치 톱날처럼 사용하여 공작물을 가공하는 가공법으로 알려져 있다.
와이어 방전가공기에서 공작물은 상부 암(arm)에 부착된 상부 가이드 록(guide block)과 하부 암에 부착된 하부 가이드 블록 사이에 위치하며, 상부 가이드 블록과 하부 가이드 블록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보내지는 와이어에 의하여 관통된다.
공작물이 위치한 테이블(또는 워크 스탠드)은 x-y 평면상에서 움직이며, 공작물을 관통하는 와이어와의 방전에 의하여 가공된다.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구성은 첨부도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드(11)의 상측 후방에 칼럼(12)이 설치되고, 칼럼(12)의 전방 쪽에는 위크탱크(16)와 테이블(14)이 설치되고, 테이블(14)의 하측에는 테이블(14)을 X축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테이블 이송계(15)와 새들(13)이 설치되며, 테이블 이송계(15)와 새들(13)은 컴퓨터 제어에 의해 미세 조정되어 정밀하게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칼럼(12)의 전방에는 하부 암 유닛(Arm Unit: 17)이 외팔보 형태로 설치되고, 하부 암 유닛(17)의 전방은 위크탱크(16)의 내측에 위치된다.
또한, 상술한 칼럼(12)의 상측에는 V슬라이드(31)와 헤드 유닛 이송계(32) 및 U슬라이드(33)가 설치된다.
상술한 U슬라이드(33)의 전방에는 헤드(18)가 설치되고, 헤드(18)의 전방 한쪽에는 와이어 이송유닛(20)과 상부 암 유닛(19)이 설치된다.
상술한, 상부 암 유닛(19)의 하측에는 상부 가이드 블록 유닛(21)이 설치되고, 상술한 하부 유닛(17)의 전방에는 상술한 상부 가이드 블록 유닛(21)과 대응하는 위치에 하부 가이드 블록 유닛(22)이 설치된다.
상술한 헤드(18)는 상술한 U슬라이드(31)와 헤드 유닛 이송계(32) 및 U슬라이드(33)에 의해 상하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고 컴퓨터 제어에 의해 미세 조정되어 정밀하게 이동될 수 있다.
상술한 와이어 이송유닛(20)은 와이어(W)를 주행시키게 하여 계속 와이어(W)를 공급하는 것이고, 상부 암 유닛(19)과 하부 암 유닛(17)의 사이에서는 상술한 와이어(W)가 팽팽하게 유지되며, 상술한 상부 가이드 블록 유닛(21)과 상술한 하부 가이드블록 유닛(22)에는 와이어(W)에 직류전원을 인가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와이어(W)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가이드 블록 유닛(21)과 하부 가이드블록 유닛(22)을 통과하고 이후 하부 암 유닛(1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술한 칼럼(12)의 바깥쪽에는 와이어 배출 유닛(35)이 더 설치될 수 있고, 이러한 와이어 배출 유닛(35)은 와이어(W)를 끌어당길 수 있는 것으로 상술한 하부 가이드블록 유닛(22)을 통과하는 사용이 완료된 와이어(W)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며, 배출된 와이어(W)는 와이어 버킷(36)에 수거될 수 있다.
상술한 위크탱크(16)에는 가공액이 채워지는 것이고, 위크탱크(16)의 내부에 공작물이 장착되며, 이 공작물은 상술한 상부 가이드블록 유닛(21)과 하부 가이드블록 유닛(22)의 사이 높이에 배치되어 와이어의 방전에 의해 공작물은 가공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위크탱크(16)는 움직일 수 있고, 상술한 하부 암 유닛(17)은 고정된 상태이므로 이들 사이에는 누출을 방지하는 시일 유닛이 구비된다.
종래의 하부 암 유닛(100)은 첨부도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3은 종래의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암 유닛(100)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이고, (b)는 정면도이며, (c)는 우측면도이고, (d)는 좌측면도 이다.
또한, 첨부도면 도 4는 도 3의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암 유닛(10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예시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암 유닛(100)은 하부 암(110)의 겉에 보호 파이프(130)가 감싸는 형태로 씌워지고, 하부암(110)의 전방에 하부 가이드 블록 유닛(22)이 설치된다.
상술한 하부 암(110)의 후방은 메인 체결구(111)가 설치되며 이 메인 체결구(111)는 상술한 칼럼(12)의 한쪽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하부 암(110)은 절연과 강성을 가져야 하는 요구조건이 있으므로 그 재질은 세라믹(Ceramic)과 같은 특수한 재질로 구성되고, 내부가 채워진 실축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술한 보호 파이프(130)의 후방에는 파이프 고정체(135)가 설치되고, 이 파이프 고정체(135)는 보호 파이프(130)의 내주면과 상술한 하부 암(110)의 외표면 사이를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하부 암(110)의 전방에는 끝 부분의 외주 면에 방수절연블록(120)이 설치되고, 도 4의 상세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수절연블록(120)의 외주에는 상술한 보호 파이프(130)의 끝 부분이 체결되어 고정된다.
또한, 보호 파이프(130)의 외측에는 벨로즈 커버(142)가 씌워지는데, 이 벨 로즈 커버(142)의 한쪽의 제1 커버 고정구(140)는 위크탱크(16)의 한쪽에 마련된 수밀 유지수단에 고정되고, 벨로즈 커버(142)의 다른 한쪽의 제2 커버 고정구(144)는 상술한 방수절연블록(120)의 전방 끝 부분에 고정된다.
또한, 상술한 하부 가이드블록 유닛(22)에서 배출되는 와이어(W)는 상술한 방수절연블록(120)을 관통하고 보호 파이프(130)와 하부암(110)사이의 공간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하부 암 유닛(100)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 암(110)은 와이어 방전가공기 본체와의 절연을 위해 세라믹(Ceramic)과 같은 특수한 재질로 내부가 중실로 구성됨으로써 무게가 무겁고 특히 외팔보 형태로 설치됨으로써 외팔보의 끝단에 해당하는 하부 가이드 블록 유닛(22) 쪽에 처짐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세라믹 재질은 가공성이 낮아 정밀한 제작이 어려워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부 암(110)과 보호 파이프(130) 사이의 방수처리를 하기 위해 방수절연블록(120)을 사용함으로써 하부 암(110), 방수절연블록(120) 및 보호 파이프(130)가 하나의 부품처럼 작용하여 공작물이 측면방향으로 이동될 때에 하부 암의 끝단에 위크탱크 시일 유닛에 과도한 모우멘트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공작물이 Y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칼럼(12)에서 멀어진 쪽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벨로즈 커버(242)가 수축된 상태가 되고, 이러한 위치관계에서 공작물이 X축 방향으로 이동되면 시일 유닛은 하부 암 유닛(100) 에 외력이 가해지고, 이러한 외력은 대부분 소진되지만 일부의 외력이 보호 파이프(130)의 측방에서 전단 응력으로 가해지며 이러한 전단 응력은 방수절연블록(120)에 의해 전달되어 결국 하부 암(110)에 쉽게 전달된다.
따라서 하부 암(110)은 과도한 모우멘트를 간헐적으로 반복되어 받게 되므로 상당한 내구성이 요구되고 내구성을 강화시키기 위해서 더욱 강한 하부 암(110)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벨로즈 커버(142)를 방수절연블록(120)의 전방 끝 부분에 조립함으로써 조립이 어렵고 스트로크에 제약이 많이 생겨 필요 이상의 공간을 확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부 암(110)과 보호 파이프(130) 사이의 공간에는 와이어 배출 파이프, 가공액 분사 튜브 및 배관 자재 등이 설치되어야 하지만, 하부 암(110)과 보호 파이프(130)의 사이 공간이 무척 좁아 조립공정이 무척 번잡하고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A/S와 같은 사후 관리를 할 때에는 와이어 배출 파이프, 가공액 분사 튜브 및 배관 자재 등의 부속품을 교체/수리하는 작업은 더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술한 하부 암(110)의 단면적은 사각형 형상이고, 상술한 보호 파이프(130)는 원형이며, 하부 암(110)과 보호 파이프(130) 사이에 반달형상의 좁은 공간이 형성되고 이러한 공간에 상술한 배출 파이프, 가공액 분사 튜브 및 배관 자재 등이 설치되는 것으로 비좁은 것이며 이로써, 하부 암을 분해하거나 조립할 때에 불편하고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암 유닛의 끝 부분이 처지는 현상을 줄이고 외력에 견딜 수 있도록 내구성이 향상되며 배출 파이프, 가공액 분사 튜브 및 배관 자재 등이 설치가 쉽도록 내부에 공간이 확보되도록 하는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암 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 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암 유닛은, 한쪽 끝 부분에 제1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랜지는 칼럼에 설치되는 메인 파이프; 상기 메인 파이프의 외주면과 이격되게 외주에 끼워 설치되고 한쪽 끝 부분에 제2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플랜지는 상기 제1 플랜지에 고정되는 보호 파이프; 상기 메인 파이프의 타측의 제1 단부에 설치되고, 하부 가이드 블록 유닛이 장착되는 방수절연블록; 및 상기 방수절연블록의 외주면에 일측이 고정되는 제1 커버 고정구를 구비하고 타측에 제2 커버 고정구를 구비하며 상기 보호 파이프의 외주에 씌워져 신축되는 벨로즈 커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보호 파이프는, 상기 제2 플랜지가 상기 제1 플랜지에 삽입되어 상기 칼럼에 고정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 파이프는, 제2 끝 부분이 상기 하부 암의 제1 끝 부분과 상기 방수절연블록과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암 유닛은 하부 암을 일반 구조용 강재질의 파이프로 제작하여 내부 공간을 확보하고 외경을 기존의 공간 내에서 최대한도로 제작함으로써 2차 단면 모우멘트 수치를 향상시켜 굽힘 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모우멘트에 대항하는 내구성이 향상 되고 원가절감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칼럼에 하부 암을 보호하는 보호 파이프를 조립하고, 하부 암의 외주면과 보호 파이프의 내주면에 간격이 형성됨으로써 위크탱크의 시일 유닛을 좌우로 이송시킬 때에 위크탱크 시일 유닛과 상호 작용에 의한 전단 응력 등의 외력이 하부 암에 직접 영향을 주지 않아 하부 암이 보호되고 특히 하부 암의 처짐 현상을 극복할 수 있어 더욱 정밀한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방수 벨로즈 커버를 방수절연블록에 끼우는 구조로 벨로즈 커버의 신축성을 확보하여 스트로크에 대한 제약을 많이 줄일 수 있다.
또한, 하부 암의 내부 공간을 이용하여 와이어 배출 파이프, 가공액 분사 튜브 및 배관 자재 등의 부속품을 조립함으로써 조립공정이 수월해 지고 특히 서비스 등 문제 발생할 때에 분해 및 조립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암 유닛(200)에 대해서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암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고, 첨부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암 유닛이 와이어 방전가공기에 설치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및 평면의 단면예시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암 유닛(200)은, 후방에 제1 플랜지(211)가 형성되고 상술한 제1 플랜지(211)는 칼럼(12)에 고정 설치되며 금속관체로 형성되는 메인 파이프(210), 상술한 메인 파이프(210)의 외주에 끼워지고 후방에 제2 플랜지(231)가 형성되며 상술한 제2 플랜지(231)는 상술한 칼럼(12)에 고정 설치되고 내주면은 상술한 메인 파이프(210)의 외주면과 이격되게 설치되는 보호 파이프(230), 상술한 메인파이프(210)의 제1 단부(212)에 설치되고, 하부 가이드 블록 유닛(22)이 장착되는 방수절연블록(220) 및 상술한 방수절연블록(220)의 외주면에 제1 커버 고정구(242)가 고정되고, 상술한 보호 파이프(230)의 외주에 이격되게 씌워지며 제2 커버 고정구(244)가 시일 유닛에 고정되는 벨로즈 커버(240)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보호 파이프(230)는, 상술한 제2 플랜지(231)가 상술한 제1 플랜지(211)에 포개져 상술한 칼럼(12)에 고정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즉,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체결 고정할 때에 하나의 볼트가 상술한 제2 플랜지(231)와 제1 플랜지(211)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술한 칼럼(12)에 체결 고정되는 것이다.
이로써 메인 파이프(210)와 보호 파이프(230)를 칼럼(12)에 조립하거나 분해할 때에 더욱 신속하게 조립과 분해를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보호 파이프(230)는, 도 5의 상세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단부(232)가 상술한 메인 파이프(210)의 제1 단부(212)와 상술한 방수절연블록(220)과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이로써 보호 파이프(230)의 바깥쪽 끝 부분 쪽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이러한 외력은 메인 파이프(210)에 전달되지 않는 것이다.
상술한 시일 유닛은 첨부도면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위크 탱크(16)에는 공간부(16a)가 형성되고, 이 공간부(16a)를 관통하여 하 부 암 유닛(200)이 배치되는 것이고, 위크 탱크(16)에 채워진 가공액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시일 유닛이 설치된다.
상술한 시일 유닛은 플레이트 고정체(310), 방수 플레이트(320), 방수 부재(330) 및 플레이트 가이드(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호 파이프(230)의 외주연에는 상술한 플레이트 고정체(310)가 고정되고, 상술한 플레이트 고정체(310)의 외주에는 방수 플레이트(320)가 고정된다.
또한, 상술한 공간부(16a)의 외측에는 공간부(16a)의 가장자리를 따라 방수부재(330)가 설치되고 이때 방수 부재(330) 또는 공간부(16a)보다 상술한 방수 플레이트(320)가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고, 이로써 위크탱크(16)가 좌우 어느 한쪽으로 이동되더라도 공간부(16a)는 방수 부재(330)에 의해 항상 막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플레이트 가이드(340)는 상술한 위크탱크(16)가 좌우로 이동될 때에 방수 플레이트(320)의 외측에서 압착하여 방수 플레이트(320)와 방수 부재 (330)사이의 수밀을 유지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방수절연블록(220)의 한쪽에는 제1 가이드 파이프(410) 또는 제2 가이드 파이프(420)가 설치될 수 있고, 이러한 제1 가이드 파이프(410) 또는 제2 가이드 파이프(420)는 상술한 메인 파이프(210)를 통과하여 칼럼(12)의 외측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특히 상술한 제1 가이드 파이프(410) 또는 상술한 제2 가이드 파이프(420)는 와이어 배출 파이프, 가공액 분사 튜브 및 배관 자재 등일 수 있는 것으로, 제1 가 이드 파이프(410)가 와이어 배출 파이프의 용도로 사용되거나 제2 가이드 파이프(420)가 가공액 분사 튜브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암 유닛(200)은,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칼럼(12)은 고정체이므로 이 칼럼(12)에 고정 설치되는 메인 파이프(210)와 보호 파이프(230)는 원칙적으로 움직이지 않는 고정체일 수 있다.
와이어 방전가공기(10)가 구동되어 공작물을 가공할 때에 와이어(W)는 와이어 이송 유닛(20)에 의해 주행 되고, 상부 가이드블록 유닛(21)과 하부 가이드 블록 유닛(22)을 통해 전원이 인가되면 공작물과 와이어(W)의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하면서 공작물을 가공하게 된다.
특히 공작물은 테이블 이송계(15)와 새들(13)에 의해 X-Y 평면에서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공작물을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하게 된다.
특히 테이블(14)은 위크탱크(16)와 함께 이동되고, 이때 위크탱크(16)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위크탱크(16)가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때에는 방수부재(330)와 방수 플레이트(320)의 사이에서 슬립현상이 발생하지만, 수밀을 유지하여야 하는 만큼 강한 압력으로 방수 부재(330)와 방수 플레이트(320)가 밀착되어 있어서 저항력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저항력은 방수 플레이트(320)와 플레이트 고정체(310)를 통해 보호 파이프(230)에 전달된다.
이때 위크탱크(16)가 칼럼(12)의 가까운 쪽에 위치될 때에는 외팔보에서 고정체에 가까운 쪽에 전단 응력이 가해지는 것으로 견딜 수 있어서 그다지 문제되지 않지만, 위크탱크(16)가 칼럼(12)에서 먼 쪽에 위치될 때에는 외팔보에서 자유단 쪽에 전단 응력이 가해지는 것으로 보호 파이프(230)에는 큰 전단 응력이 가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 암 유닛(200)은 보호 파이프(230)의 제2 단부(212)가 도 5의 상세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수절연블록(220)과 제1 단부(212)에 이격되어 있으므로 상술한 전단 응력은 메인 파이프(210)에 전달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전단 응력은 무한정 발생하는 것이 아니므로 대부분 보호 파이프(230)에서 흡수되어 소진되는 것이고, 특히 보호 파이프(230)의 내주면은 상술한 메인 파이프(210)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있으므로 보호 파이프(230)에 가해지는 외력이 메인 파이프(210)에 전달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벨로즈 커버(240)는 위크탱크(16)가 칼럼(12) 쪽으로 이동될 때에 길이가 늘어나고, 위크탱크(16)가 칼럼(12)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될 때에 길이가 줄어들며, 이렇게 늘었다 줄어드는 변위량을 스트로크라고 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 암 유닛(200)의 벨로즈 커버(240)는 방수절연블록(220)에 끼워 고정하는 구조로서 신축성이 확보되고 이로써 스트로크에 대한 제약을 줄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 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암 유닛은 와이어 방전가공기에 설치되어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암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
도 4는 종래의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암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단면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암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암 유닛이 와이어 방전가공기에 설치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및 평면의 단면예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와이어 방전가공기 11: 베드(bed)
12: 칼럼(Column) 13: 새들(saddle)
14: 테이블(table) 15: 테이블 이송계
16: 탱크 17: 하부 암(Arm) 유닛(unit)
18: 헤드(Head) 19: 상부 암(Arm) 유닛(unit)
20: 와이어 이송 유닛 21: 상부 가이드블록 유닛
22: 하부 가이드블록 유닛 22a: 커넥터
31: V슬라이드 32: 헤드 유닛 이송계
33: U슬라이드 35: 와이어 배출 유닛
36: 와이어 버킷 W: 와이어
100: 하부 암 유닛 110: 하부 암
111: 메인 체결구 120: 방수절연블록
130: 보호 파이프 135: 파이프 고정체
140, 144: 제1, 제2 커버 고정구 142: 벨로즈(bellows) 커버
200: 하부 암 유닛 210: 메인 파이프
211: 제1 플랜지 212: 제1 단부
220: 방수절연블록
230: 보호 파이프 231: 제2 플랜지
232: 제2 단부 240: 벨로즈(bellows) 커버
242, 244: 제1, 제2 커버 고정구
310: 플레이트 고정체 320: 수밀 플레이트
330: 수밀 부재 340: 플레이트 가이드
410: 제1 가이드 파이프 420: 제2 가이드 파이프

Claims (3)

  1. 한쪽 끝 부분에 제1 플랜지(211)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랜지(211)는 칼럼(12)에 설치되는 메인 파이프(210);
    상기 메인 파이프(210)의 외주면과 이격되게 외주에 끼워 설치되고 한쪽 끝 부분에 제2 플랜지(231)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플랜지(231)는 상기 제1 플랜지(211)에 고정되는 보호 파이프(230);
    상기 메인 파이프(210)의 타측의 제1 단부(212)에 설치되고, 하부 가이드 블록 유닛(22)이 장착되는 방수절연블록(220); 및
    상기 방수절연블록(220)의 외주면에 일측이 고정되는 제1 커버 고정구(242)를 구비하고 타측에 제2 커버 고정구(244)를 구비하며 상기 보호 파이프(230)의 외주에 씌워져 신축되는 벨로즈 커버(240);
    를 포함하는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암 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파이프(230)는,
    상기 제2 플랜지(231)가 상기 제1 플랜지(211)에 포개져 상기 칼럼(12)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암 유닛.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파이프(230)는,
    제2 단부(232)가 상기 메인 파이프(210)의 제1 단부(212)와 상기 방수절연블록(220)과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암 유닛.
KR20080108226A 2008-11-03 2008-11-03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암 유닛 KR101487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08226A KR101487020B1 (ko) 2008-11-03 2008-11-03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암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08226A KR101487020B1 (ko) 2008-11-03 2008-11-03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암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9171A KR20100049171A (ko) 2010-05-12
KR101487020B1 true KR101487020B1 (ko) 2015-01-28

Family

ID=42275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108226A KR101487020B1 (ko) 2008-11-03 2008-11-03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암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70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43884B (zh) * 2014-07-14 2016-09-14 苏州三光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浸水式线切割机床下臂的密封结构
CN109822170A (zh) * 2019-03-11 2019-05-31 哈尔滨理工大学 电火花线切割机床的电极丝自动张紧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46025A (ja) * 1990-10-03 1992-05-20 Sodick Co Ltd ワイヤカット放電加工機のアームのシール装置
JPH09309026A (ja) * 1996-05-24 1997-12-02 Mitsubishi Electric Corp ワイヤ放電加工装置
JP2001300820A (ja) 2000-04-20 2001-10-30 Mitsubishi Electric Corp ワイヤ放電加工装置
JP2006130597A (ja) 2004-11-05 2006-05-25 Seibu Electric & Mach Co Ltd ワイヤ放電加工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46025A (ja) * 1990-10-03 1992-05-20 Sodick Co Ltd ワイヤカット放電加工機のアームのシール装置
JPH09309026A (ja) * 1996-05-24 1997-12-02 Mitsubishi Electric Corp ワイヤ放電加工装置
JP2001300820A (ja) 2000-04-20 2001-10-30 Mitsubishi Electric Corp ワイヤ放電加工装置
JP2006130597A (ja) 2004-11-05 2006-05-25 Seibu Electric & Mach Co Ltd ワイヤ放電加工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9171A (ko) 2010-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7900B1 (ko) 건설기계용 유압배관 고정장치
CN104676127B (zh) 工程机械的索状体保持件
US9393640B2 (en) Welded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and welding jig
CN201693307U (zh) 一种防焊渣装置
KR101487020B1 (ko)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 암 유닛
KR20160060070A (ko) 원추형 슬리브 잠금식 철근 연결 커넥터 및 그 설치도구
KR200488156Y1 (ko) 산업용 로봇의 작업헤드 연결용 어댑터
CN102494191A (zh) 弧形电缆桥架安装方法
CN109352241A (zh) 控制点火器焊接变形的方法和夹具
CN111605212A (zh) 一种管件扣压装置
JP5156433B2 (ja) セグメントの継手構造
CN208560911U (zh) 一种管片拼装机吸盘抗剪系统
CN216515787U (zh) 用于铲斗摇杆的电气保护装置及挖掘机
KR200209848Y1 (ko) 펀칭다이 결합구조
CN113172289A (zh) 一种复用电化学液接口与密封罩的电极装置和方法
CN208929570U (zh) 水槽焊接夹具
CN216515786U (zh) 用于铲斗摇杆的电气保护装置及挖掘机
CN219690882U (zh) 一种装配式钢结构横梁
CN214236853U (zh) 一种组装式c型机器人焊钳静臂的电极杆安装结构
CN220706127U (zh) 一种液压油缸的油管安装结构
CN214245701U (zh) 一种支撑性较强的钢筋混凝土钢承口管
KR101779023B1 (ko) 선체의 곡면 부위에 대한 블록의 조립 방법
CN218542575U (zh) 便捷拆卸的机封压盖
CN214498392U (zh) 一种套管预安装装置及混凝土套管
CN219683649U (zh) 弯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