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6757B1 - 접속체 구조물 및 이를 갖는 기판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접속체 구조물 및 이를 갖는 기판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6757B1
KR101486757B1 KR20080104054A KR20080104054A KR101486757B1 KR 101486757 B1 KR101486757 B1 KR 101486757B1 KR 20080104054 A KR20080104054 A KR 20080104054A KR 20080104054 A KR20080104054 A KR 20080104054A KR 101486757 B1 KR101486757 B1 KR 101486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body portion
contact portion
substrat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104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5034A (ko
Inventor
홍성민
이소형
홍석주
이백훈
Original Assignee
(주) 미코에스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미코에스앤피 filed Critical (주) 미코에스앤피
Priority to KR20080104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6757B1/ko
Publication of KR20100045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5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6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6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92Apparatus for mechanical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21Apparatus for making assembl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package constru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기판 어셈블리의 접속체 구조물은 접속체 및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접속체는 몸체부, 몸체부와 연결되는 제1 접촉부 및 제1 접촉부와 반대 방향으로 몸체부와 연결되는 제2 접촉부를 갖는다. 고정 부재는 접속체가 삽입되는 개구를 가지며, 몸체부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접속체 구조물 및 이를 갖는 기판 어셈블리{Connector structure and substrate assembly including the connector structure}
본 발명은 접속체 구조물 및 이를 갖는 기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두 대상물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체 구조물 및 이를 갖는 기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는 반도체 기판으로 사용되는 실리콘웨이퍼 상에 전기 소자들을 포함하는 전기적인 회로를 형성하는 팹(Fab) 공정과, 상기 팹 공정에서 형성된 반도체 소자들의 전기적인 특성을 검사하기 위한 EDS(electrical die sorting) 공정과, 상기 반도체 소자들을 각각 에폭시 수지로 봉지하고 개별화시키기 위한 패키지 공정을 통해 제조된다.
상기 EDS 공정은 상기 반도체 소자들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반도체 소자들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획득하여 상기 반도체 소자들의 불량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EDS 공정은 상기 칩의 패드들과 직접 접촉하는 탐침들을 갖는 기판 검사 장치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기판 검사 장치는 이격된 두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 결하는 접속체를 포함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상기 접속체를 상기 두 기판 사이에 구비하기 위해 상기 접속체는 상기 두 기판 중 적어도 하나에 본딩되거나, 상기 두 기판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접속체의 배치를 위해 본딩 공정이나 관통홀 형성 공정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접속체들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접속체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접속체 구조물을 갖는 기판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속체 구조물은 몸체부,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는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1 접촉부와 반대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는 제2 접촉부를 갖는 접속체 및 상기 접속체가 삽입되는 개구를 가지며, 상기 몸체부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 부재는 단차진 제1 개구를 갖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에 고정되며 단차진 제2 개구를 갖는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에 수용되어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에 걸리는 걸림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속체 구조물은 상기 몸체부와 상기 고정 부재를 본딩하기 위한 본딩 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부의 본딩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상기 몸체부는 상기 고정 부재에 걸리는 걸림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부의 외측면과 상기 개구의 내측면은 각각 나사산을 가지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고정 부재와 나사 결합한다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부의 체결 한계를 설정하기 위해 상기 몸체부는 상기 고정 부재에 걸리는 걸림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속체의 용이한 삽입을 위해 상기 개구의 폭은 상기 제1 접촉부의 폭 또는 상기 제2 접촉부의 폭보다 크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는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는 탄성 부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는 각각 Z자 형상, 호 형상 및 링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접촉부는 상기 몸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제1 단부에 일부가 수용되며, 상기 제2 접촉부는 상기 몸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제2 단부에 일부가 수용되고, 상기 접속체 구조물은 상기 몸체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접촉부 및 제2 접촉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어셈블리는 제1 접촉 패드를 갖는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마주보며, 제2 접촉 패드를 갖는 제2 기판과, 몸체부,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접촉 패드와 접촉하는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1 접촉부와 반대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접촉 패드와 접촉하는 제2 접촉부를 갖는 접속체 및 상기 접속체가 삽입되는 개구를 가지며, 상기 몸체부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기판은 다층 세라믹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기판은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접촉부의 단부는 라운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접촉부의 단부는 요철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체 구조물은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체를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특히, 두 개의 고정 부재로 별도의 본딩 공정이나 가공 공정 없이 접속체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접속체의 제1 접촉부 및 제2 접촉부가 모두 탄성을 가지므로, 상기 접속체의 수축 또는 팽창 폭이 크다. 상기 접속체의 신축성을 이용하여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평탄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이 평행하지 않더라도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는 각각 상기 제1 기판의 접촉 패드 및 상기 제2 기판의 접촉 패드와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체 구조물 및 이를 갖는 기판 어셈블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 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체 구조물(100)을 설명하기 위한 단 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접속체 구조물(100)은 접속체(110) 및 고정 부재(120)를 포함한다.
접속체(110)는 몸체부(112), 제1 접촉부(114) 및 제2 접촉부(116)를 포함한다.
몸체부(112)는 바(bar) 형상 또는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몸체부(112)는 일정한 폭(t1)을 갖는다. 몸체부(112)는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도전성 물질의 예로는 니켈(Ni), 니켈-코발트(Ni-Co) 합금, 베릴륨-구리 합금(Be-Cu) 합금, 스테인레스강(stainless steel) 등을 들 수 있다.
몸체부(112)는 측면을 따라 걸림턱(113)을 갖는다. 걸림턱(113)은 접속체(110)와 고정 부재(120)의 고정에 이용된다.
제1 접촉부(114)는 몸체부(112)의 상단부(112a)에 연결된다. 제1 접촉부(114)는 제1 소자(미도시)와 접촉한다. 상기 제1 소자의 예로는 인쇄회로기판, 다층세라믹기판, 공간 변형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공간 변형기는 피치 감소를 수행하며 기판 상에 탄성 접점 요소가 위치된 기판이다
제1 접촉부(114)의 상단부(115)는 라운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제1 접촉부(114)는 상기 제1 소자와 스크럽(scrub) 없이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제1 접촉부(114)는 몸체부(11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접촉부(114)는 몸체부(11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접촉부(114)는 상대적으로 높은 탄성계수를 갖는 물질, 예를 들면, 니켈(Ni), 니켈 -코발트(Ni-Co) 합금, 베릴륨-구리 합금(Be-Cu) 합금 또는 스테인레스강(stainless steel)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촉부(114)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과 같이 제1 접촉부(114)는 2단의 마름모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접촉부(114)는 오링(o-ring) 형상, 호(arc) 형상 등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접촉부(114)는 S 자 형상, Z자 형상 등을 가질 수 있다.
제1 접촉부(114)의 최대 폭(t2)은 몸체부(112)의 폭(t1)보다 작다.
제1 접촉부(114)는 상기와 같은 형상을 가지며, 탄성 재질을 포함하므로, 제1 접촉부(114)는 일정한 크기의 탄성을 갖는다. 따라서, 제1 접촉부(114)는 수축 및 팽창할 수 있다.
제2 접촉부(116)는 몸체부(112)의 하단부(114a)에 연결된다. 제2 접촉부(116)는 제2 소자(미도시)와 접촉한다. 상기 제2 소자의 예로는 인쇄회로기판, 다층세라믹기판, 공간 변형기 등을 들 수 있다.
제2 접촉부(116)의 하단부(117)는 요철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제2 접촉부(116)는 상기 제2 소자와 스크럽(scrub)을 형성하면서 접촉할 수 있다.
제2 접촉부(116)는 몸체부(11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접촉부(116)는 몸체부(11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접촉부(116)는 상대적으로 높은 탄성계수를 갖는 물질, 예를 들면, 니켈(Ni), 니켈-코발트(Ni-Co) 합금, 베릴륨-구리 합금(Be-Cu) 합금 또는 스테인레스강(stainless steel)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접촉부(116)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과 같이 제2 접촉부(116)는 2단의 마름모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접촉부(116)는 오링(o-ring) 형상, 호(arc) 형상, S 자 형상, Z자 형상 등을 가질 수 있다.
제2 접촉부(116)의 최대 폭(t3)은 몸체부(112)의 폭(t1)보다 작다.
제2 접촉부(116)는 상기와 같은 형상을 가지며 탄성 재질을 포함하므로, 제2 접촉부(116)는 일정한 크기의 탄성을 갖는다. 따라서, 제2 접촉부(116)는 수축 및 팽창할 수 있다.
고정 부재(120)는 제1 부재(122), 제2 부재(124) 및 체결 나사(126)를 포함한다.
제1 부재(122)는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다. 제1 부재(122)는 제1 개구(123)를 갖는다. 제1 개구(123)는 단차를 가지며,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커진다. 제1 개구(123)의 최소폭은 몸체부(112)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제1 개구(123)의 최소 폭은 제1 접촉부(114)의 최대 폭(t2)보다 크다. 그러므로, 접속체(110)는 제1 부재(112)의 하방에서 제1 접촉부(114)와 몸체부(112)가 제1 개구(123)에 삽입될 수 있고, 걸림턱(113)의 상단부가 제1 부재(112)에 걸린다.
제2 부재(124)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제1 부재(122)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제2 부재(124)는 제2 개구(125)를 갖는다. 제2 개구(125)는 단차를 가지며, 상방으로 갈수록 폭이 커진다. 제2 개구(125)의 최소폭은 몸체부(112)의 폭(t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제2 개구(123)의 최소폭은 제2 접촉부(116)의 최대 폭(t3)보다 크다. 그러므로, 접속체(110)는 제2 부재(114)의 상방에서 제2 접촉부(116)와 몸체부(112)가 제2 개구(125)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고, 걸림턱(113)의 하단부가 제2 부재(114)에 걸린다.
체결 나사(126)는 제1 부재(122)와 제2 부재(124)를 체결하여 제1 부재(122)와 제2 부재(124)를 밀착한다. 따라서, 제1 부재(122)와 제2 부재(124)가 접속체(110)의 몸체부(112)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몸체부(112)가 상하 좌우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 부재(120)와 몸체부(112)는 서로 밀착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몸체부(112)가 상하 좌우로 움직이도록 고정 부재(120)와 몸체부(1212)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 부재(120)와 몸체부(112)의 상하 간격은 제1 접속부(114)와 제2 접속부(116)의 최대 돌출 길이들의 합의 절반과 같거나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접속부(114)와 제2 접속부(116)의 최대 돌출 길이가 동일한 경우, 고정 부재(120)와 몸체부(112)의 상하 간격은 제1 접속부(114)와 제2 접속부(116)의 최대 돌출 길이들 중 어느 하나와 같거나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부재(120)와 몸체부(112)의 상하 간격이 제1 접속부(114)와 제2 접속부(116)의 최대 돌출 길이들의 합의 절반보다 큰 경우, 제1 접속부(114)와 제2 접속부(116)의 돌출 길이가 작아 제1 접속부(114)와 제2 접속부(116)가 상기 제1 소자와 제2 소자의 단자와 접촉하지 못할 수 있다.
고정 부재(120)와 몸체부(112)의 좌우 간격은 상기 제1 소자의 단자 사이즈와 제1 접속부(114)의 상단부(115) 폭의 합 또는 제2 소자의 단자 사이즈와 제2 접 속부(116)의 하단부(117) 폭의 합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부재(120)와 몸체부(112)의 좌우 간격이 상기 제1 소자의 단자 사이즈와 제1 접속부(114)의 상단부(115) 폭의 합 또는 제2 소자의 단자 사이즈와 제2 접속부(116)의 하단부(117) 폭의 합과 같거나 큰 경우, 접속체(110)가 기울어져 상기 제1 소자 및 제2 소자의 단자와 접촉하지 못할 수 있다.
접속체(110)가 상하 좌우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고온의 환경에서 접속체(110)가 열팽창하더라도 열팽창 공간이 부족이나 몸체부(112)와 고정부재(120)의 열팽창률 차이로 인한 몸체부(11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접속체 구조물(100)은 별도의 본딩 공정이나 가공 공정 없이 제1 부재(122) 및 제2 부재(124)를 포함하는 고정 부재(120)를 이용하여 접속체(110)를 고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체 구조물(200)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접속체 구조물(200)은 접속체(210) 및 고정 부재(220)를 포함한다.
접속체(210)는 몸체부(212), 제1 접촉부(214), 제2 접촉부(216) 및 탄성부(218)를 포함한다.
몸체부(212)는 상하가 개방된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몸체부(212)는 절연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절연선 물질의 예로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와 같은 플라스틱을 들 수 있다.
제1 접촉부(214)는 몸체부(212)의 상단부에 삽입된다. 제1 접촉부(214)는 제1 소자(미도시)와 접촉한다. 상기 제1 소자의 예로는 인쇄회로기판, 다층세라믹기판, 공간 변형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공간 변형기는 피치 감소를 수행하며 기판 상에 탄성 접점 요소가 위치된 기판이다
제1 접촉부(214)의 상단부(214a)는 라운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제1 접촉부(214)는 상기 제1 소자와 스크럽(scrub) 없이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제1 접촉부(214)는 하단부에 제1 걸림턱(215)을 갖는다. 제1 걸림턱(215)은 몸체부(212)에 걸려 제1 접촉부(214)가 몸체부(212)의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접촉부(214)는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제1 접촉부(214)는 니켈(Ni), 니켈-코발트(Ni-Co) 합금, 베릴륨-구리 합금(Be-Cu) 합금 또는 스테인레스강(stainless steel)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접촉부(214)는 금으로 도금될 수 있다.
제2 접촉부(216)는 몸체부(212)의 하단부에 삽입된다. 제2 접촉부(216)는 제2 소자(미도시)와 접촉한다. 상기 제2 소자의 예로는 인쇄회로기판, 다층세라믹기판, 공간 변형기 등을 들 수 있다.
제2 접촉부(216)의 하단부(216a)는 요철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제2 접촉부(216)는 상기 제2 소자와 스크럽(scrub)을 형성하면서 접촉할 수 있다.
제2 접촉부(216)는 상단부에 제2 걸림턱(217)을 갖는다. 제2 걸림턱(217)은 몸체부(212)에 걸려 제2 접촉부(216)가 몸체부(212)의 하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접촉부(216)는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제1 접촉부(214)는 니켈(Ni), 니켈-코발트(Ni-Co) 합금, 베릴륨-구리 합금(Be-Cu) 합금 또는 스테인레스강(stainless steel)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접촉부(216)는 도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금으로 도금될 수 있다.
탄성부(218)는 몸체부(212)의 내부에 구비되며, 제1 접촉부(212) 및 제2 접촉부(214)를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탄성부(218)는 니켈(Ni), 니켈-코발트(Ni-Co) 합금, 베릴륨-구리 합금(Be-Cu) 합금 또는 스테인레스강(stainless steel)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218)는 도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금으로 도금될 수 있다. 탄성부(218)의 예로는 코일 스프링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제1 접촉부(214) 및 제2 접촉부(216)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고정 부재(220)는 제1 부재(222), 제2 부재(224) 및 체결 나사(226)를 포함한다.
제1 부재(222)는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다. 제1 부재(222)는 제1 개구(223)를 갖는다. 제1 개구(223)는 단차를 가지며,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커진다. 제1 개구(223)의 최소폭은 제1 접촉부(214)의 폭보다 크다. 그러므로, 접속체(210)는 제1 부재(222)의 하방에서 제1 접촉부(214)와 몸체부(212)가 제1 개구(223)에 삽입될 수 있고, 몸체부(212)의 상단부가 제1 부재(222)에 걸린다.
제2 부재(224)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제1 부재(222)와 마주보도록 배치 된다. 제2 부재(224)는 제2 개구(225)를 갖는다. 제2 개구(225)는 단차를 가지며, 상방으로 갈수록 폭이 커진다. 제2 개구(225)의 최소폭은 제2 접촉부(216)의 폭보다 크다. 그러므로, 접속체(210)는 제2 부재(224)의 상방에서 제2 접촉부(216)와 몸체부(212)가 제2 개구(225)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고, 몸체부(212)의 하단부가 제2 부재(224)에 걸린다.
체결 나사(226)는 제1 부재(222)와 제2 부재(224)를 체결하여 제1 부재(222)와 제2 부재(224)를 밀착한다. 따라서, 제1 부재(222)와 제2 부재(224)가 접속체(210)의 몸체부(212)를 고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몸체부(212)가 상하 좌우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 부재(220)와 몸체부(212)는 서로 밀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몸체부(212)가 상하 좌우로 움직이도록 고정 부재(220)와 몸체부(212)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고정 부재(220)와 몸체부(212)의 상하 간격은 제1 접속부(214)와 제2 접속부(216)의 최대 돌출 길이들의 합의 절반과 같거나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접속부(214)와 제2 접속부(216)의 최대 돌출 길이가 동일한 경우, 고정 부재(220)와 몸체부(212)의 상하 간격은 제1 접속부(214)와 제2 접속부(216)의 최대 돌출 길이들 중 어느 하나와 같거나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부재(220)와 몸체부(212)의 상하 간격이 제1 접속부(214)와 제2 접속부(216)의 최대 돌출 길이들의 합의 절반보다 큰 경우, 제1 접속부(214)와 제2 접속부(216)의 돌출 길이가 작아 제1 접속부(214)와 제2 접속부(216)가 상기 제1 소 자와 제2 소자의 단자와 접촉하지 못할 수 있다.
접속체(210)가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므로, 접속체(210)에 가공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제1 접속부(214)와 제2 접속부(216) 중 어느 하나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접속체(210)가 균일한 힘으로 상기 제1 소자 및 제2 소자의 단자와 접촉할 수 있다.
고정 부재(220)와 몸체부(212)의 좌우 간격은 상기 제1 소자의 단자 사이즈와 제1 접속부(214)의 폭의 합 또는 제2 소자의 단자 사이즈와 제2 접속부(216)의 폭의 합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부재(220)와 몸체부(212)의 좌우 간격이 상기 제1 소자의 단자 사이즈와 제1 접속부(214)의 폭의 합 또는 제2 소자의 단자 사이즈와 제2 접속부(216)의 폭의 합과 같거나 큰 경우, 접속체(210)가 기울어져 상기 제1 소자 및 제2 소자의 단자와 접촉하지 못할 수 있다.
접속체(210)가 좌우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고온의 환경에서 접속체(210)가 열팽창하더라도 열팽창 공간이 부족으로 인한 몸체부(212)의 손상 및 탄성부(218)의 탄성력이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고정 부재(220)의 상면과 하면에 관통홀을 갖는 가이드 부재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제1 접촉부(214)와 제2 접촉부(216)는 상기 관통홀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상기 관통홀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 부재(220)는 제1 접촉부(214)와 제2 접촉부(216)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며 좌우 이동을 제한하여 접속체(21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접속체 구조물(200)은 별도의 본딩 공정이나 가공 공정 없이 제1 부재(222) 및 제2 부재(224)를 포함하는 고정 부재(220)를 이용하여 접속체(210)를 고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체 구조물(300)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접속체 구조물(300)은 접속체(310), 고정 부재(320) 및 본딩 부재(330)를 포함한다.
접속체(310)는 몸체부(312), 제1 접촉부(314) 및 제2 접촉부(316)를 포함한다.
몸체부(312)는 바(bar) 형상 또는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몸체부(312)는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도전성 물질의 예로는 니켈(Ni), 니켈-코발트(Ni-Co) 합금, 베릴륨-구리 합금(Be-Cu) 합금, 스테인레스강(stainless steel) 등을 들 수 있다.
몸체부(312)는 측면 상단부를 따라 걸림턱(313)을 갖는다. 걸림턱(313)은 접속체(310)와 고정 부재(320)의 고정에 이용된다.
제1 접촉부(314)는 몸체부(312)의 상단부(312a)에 연결된다. 제1 접촉부(314)는 제1 소자(미도시)와 접촉한다. 상기 제1 소자의 예로는 인쇄회로기판, 다층세라믹기판, 공간 변형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공간 변형기는 피치 감소를 수행하며 기판 상에 탄성 접점 요소가 위치된 기판이다
제1 접촉부(314)의 상단부(315)는 라운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제1 접촉 부(314)는 상기 제1 소자와 스크럽(scrub) 없이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제1 접촉부(314)는 몸체부(31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접촉부(314)는 몸체부(31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접촉부(314)는 상대적으로 높은 탄성계수를 갖는 물질, 예를 들면, 니켈(Ni), 니켈-코발트(Ni-Co) 합금, 베릴륨-구리 합금(Be-Cu) 합금 또는 스테인레스강(stainless steel)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촉부(314)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과 같이 제1 접촉부(314)는 2단의 마름모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접촉부(314)는 오링(o-ring) 형상, 호(arc) 형상 등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접촉부(314)는 S 자 형상, Z자 형상 등을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형상을 갖는 제1 접촉부(314)의 최대 폭은 몸체부(312)의 폭보다 작다.
제1 접촉부(314)는 상기와 같은 형상을 가지며, 탄성 재질을 포함하므로, 제1 접촉부(314)는 일정한 크기의 탄성을 갖는다. 따라서, 제1 접촉부(314)는 수축 및 팽창할 수 있다.
제2 접촉부(316)는 몸체부(312)의 하단부(314a)에 연결된다. 제2 접촉부(316)는 제2 소자(미도시)와 접촉한다. 상기 제2 소자의 예로는 인쇄회로기판, 다층세라믹기판, 공간 변형기 등을 들 수 있다.
제2 접촉부(316)의 하단부(317)는 요철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제2 접촉부(316)는 상기 제2 소자와 스크럽(scrub)을 형성하면서 접촉할 수 있다.
제2 접촉부(316)는 몸체부(31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접촉부(316)는 몸체부(31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접촉부(316)는 상대적으로 높은 탄성계수를 갖는 물질, 예를 들면, 니켈(Ni), 니켈-코발트(Ni-Co) 합금, 베릴륨-구리 합금(Be-Cu) 합금 또는 스테인레스강(stainless steel)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접촉부(316)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과 같이 제2 접촉부(316)는 2단의 마름모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접촉부(316)는 오링(o-ring) 형상, 호(arc) 형상, S 자 형상, Z자 형상 등을 가질 수 있다.
제2 접촉부(316)의 최대 폭은 몸체부(312)의 폭보다 작다.
제2 접촉부(316)는 상기와 같은 형상을 가지며 탄성 재질을 포함하므로, 제2 접촉부(316)는 일정한 크기의 탄성을 갖는다. 따라서, 제2 접촉부(316)는 수축 및 팽창할 수 있다.
고정 부재(320)는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다. 고정 부재(320)는 개구(322)를 갖는다. 개구(322)의 폭은 몸체부(112)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므로, 접속체(310)는 고정 부재(310)의 상방에서 제2 접촉부(316)와 몸체부(312)가 개구(322)에 삽입될 수 있고, 걸림턱(313)이 고정 부재(120)의 상면에 걸린다. 따라서, 접속체(310)는 고정 부재(120)에 고정되어 하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본딩 부재(330)는 접속체(310)와 고정 부재(320)를 본딩한다. 본딩 부재(330)의 예로는 에폭시 수지, 땜납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접속체(310)는 고 정 부재(320)에 단단하게 고정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체 구조물(400)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접속체 구조물(400)은 접속체(410) 및 고정 부재(420)를 포함한다.
접속체(410)는 몸체부(412), 제1 접촉부(414) 및 제2 접촉부(416)를 포함한다.
몸체부(412)의 외측면에 제1 나사산이 형성된다는 점을 제외하면 몸체부(412), 제1 접촉부(414) 및 제2 접촉부(416)를 포함하는 접속체(41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을 참조한 몸체부(312), 제1 접촉부(314) 및 제2 접촉부(316)를 포함하는 접속체(310)에 대한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고정 부재(420)는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다. 고정 부재(420)는 개구(422)를 갖는다. 개구(422)의 내측면에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된다. 제2 나사산의 피치는 제1 나사산의 피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개구(422)의 폭은 몸체부(112)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므로, 접속체(410)는 고정 부재(410)의 상방에서 제2 접촉부(416)와 몸체부(412)가 개구(422)에 삽입되면서 몸체부(412)와 고정 부재(410)가 나사 체결된다. 따라서, 접속체(410)와 고정 부재(420)가 단단하게 고정된다.
한편, 몸체부(412)의 걸림턱(413)은 고정 부재(420)의 상면에 걸려 몸체부(412)와 고정 부재(420)의 체결 한계를 설정한다.
접속체 구조물(400)은 별도의 본딩 공정이나 가공 공정 없이 고정 부재(420) 를 이용하여 접속체(410)를 고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 어셈블리(500)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기판 어셈블리(500)는 제1 기판(510), 제2 기판(520) 및 접속체 구조물(530)을 포함한다.
제1 기판(510)은 하부면에 다수의 제1 접촉 패드(512)들을 갖는다. 제1 기판(510)은 상부면에 다수의 프로브(514)들을 갖는다. 프로브(514)들은 검사 대상물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제1 접촉 패드(512)들과 프로브(514)들은 제1 기판(510) 내부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기판(510)의 예로는 다층세라믹기판, 공간 변형기 등을 들 수 있다.
제2 기판(520)은 제1 기판(510)의 하부에 제1 기판(510)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제2 기판(520)은 상부면에 다수의 제2 접촉 패드(522)들을 갖는다.
제2 기판(520)의 예로는 인쇄회로기판 등을 들 수 있다.
접속체 구조물(530)은 제1 기판(510)과 제2 기판(520)의 사이에 배치되며, 접속체 및 고정 부재를 갖는다.
상기 접속체 및 고정 부재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을 참조한 접속체(110) 및 고정 부재(120)에 대한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접속체는 제1 접촉 패드(512) 및 제2 접촉 패드(522)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접속체의 제1 접촉부의 상단부는 라운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제1 접촉부가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는 제1 접촉 패드(512)를 손상시키지 않고 상기 제1 접촉 패드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접속체의 제2 접촉부의 하단부는 요철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제2 접촉부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갖는 제2 접촉 패드(522)와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제1 기판(510)과 제2 기판(520)이 평행하지 않더라도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는 제1 접촉 패드(512) 및 제2 접촉 패드(522)와 각각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가 모두 탄성을 가지므로, 상기 접속체의 수축 또는 팽창 폭이 크다. 상기와 같은 접속체의 신축성을 이용하여 제1 기판(510)과 제2 기판(520)의 평탄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는 제1 기판(510) 또는 제2 기판(52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 부재는 별도의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접속체 구조물(530)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한 접속체 구조물이 채용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체 구조물은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체를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특히, 두 개의 고정 부재로 별도의 본딩 공정이나 가공 공정 없이 접속체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접속체의 제1 접촉부 및 제2 접촉부가 모두 탄성을 가지므로, 상기 접 속체의 수축 또는 팽창 폭이 크다. 상기 접속체의 신축성을 이용하여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평탄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이 평행하지 않더라도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는 각각 상기 제1 기판의 접촉 패드 및 상기 제2 기판의 접촉 패드와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체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속체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접속체 구조물 110 : 접속체
112 ; 몸체부 114 : 제1 접촉부
116 : 제2 접촉부 120 : 고정 부재
122 : 제1 부재 124 : 제2 부재

Claims (13)

  1. 몸체부,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는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1 접촉부와 반대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는 제2 접촉부를 갖는 접속체; 및
    상기 접속체가 삽입되는 개구를 가지며, 상기 몸체부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의 외측면과 상기 개구의 내측면은 각각 나사산을 가지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고정 부재와 나사 결합하는 접속체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단차진 제1 개구를 갖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에 고정되며 단차진 제2 개구를 갖는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에 수용되어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에 걸리는 걸림턱을 갖는 접속체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상기 고정 부재를 본딩하기 위한 본딩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접속체 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본딩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상기 몸체부는 상기 고정 부재에 걸리는 걸림턱을 갖는 접속체 구조물.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체결 한계를 설정하기 위해 상기 몸체부는 상기 고정 부재에 걸리는 걸림턱을 갖는 접속체 구조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체의 용이한 삽입을 위해 상기 개구의 폭은 상기 제1 접촉부의 폭 또는 상기 제2 접촉부의 폭보다 큰 접속체 구조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는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는 탄성 부재인 접속체 구조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는 각각 Z자 형상, 호 형상 및 링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접속체 구조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부는 상기 몸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제1 단부에 일부가 수용되며, 상기 제2 접촉부는 상기 몸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제2 단부에 일부가 수용되고,
    상기 몸체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접촉부 및 제2 접촉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접속체 구조물.
  11. 제1 접촉 패드를 갖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마주보며, 제2 접촉 패드를 갖는 제2 기판;
    몸체부,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접촉 패드와 접촉하는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1 접촉부와 반대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접촉 패드와 접촉하는 제2 접촉부를 갖는 접속체; 및
    상기 접속체가 삽입되는 개구를 가지며, 상기 몸체부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의 외측면과 상기 개구의 내측면은 각각 나사산을 가지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고정 부재와 나사 결합하는 기판 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은 다층 세라믹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기판은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기판 어셈블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부의 단부는 라운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접촉부의 단부는 요철 형상을 갖는 기판 어셈블리.
KR20080104054A 2008-10-23 2008-10-23 접속체 구조물 및 이를 갖는 기판 어셈블리 KR101486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04054A KR101486757B1 (ko) 2008-10-23 2008-10-23 접속체 구조물 및 이를 갖는 기판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04054A KR101486757B1 (ko) 2008-10-23 2008-10-23 접속체 구조물 및 이를 갖는 기판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5034A KR20100045034A (ko) 2010-05-03
KR101486757B1 true KR101486757B1 (ko) 2015-01-29

Family

ID=42272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104054A KR101486757B1 (ko) 2008-10-23 2008-10-23 접속체 구조물 및 이를 갖는 기판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67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012B1 (ko) * 2017-10-12 2018-09-05 심민섭 삽입형 고주파수 신호 전송커넥터 및 상기 삽입형 고주파수 신호 전송커넥터를 사용하는 프로브카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0960Y1 (ko) 2001-10-18 2002-01-17 리노공업주식회사 칩 검사용 탐침장치
JP2006153723A (ja) 2004-11-30 2006-06-15 Japan Electronic Materials Corp 垂直型コイルスプリングプローブとこれを用いたプローブユニット
KR20060100815A (ko) * 2005-03-18 2006-09-21 박인재 테스트용 프로브 유닛
KR20070111847A (ko) * 2006-05-19 2007-11-22 (주)이노아토 최종시험공정에서의 반도체 특성 시험용 소켓 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0960Y1 (ko) 2001-10-18 2002-01-17 리노공업주식회사 칩 검사용 탐침장치
JP2006153723A (ja) 2004-11-30 2006-06-15 Japan Electronic Materials Corp 垂直型コイルスプリングプローブとこれを用いたプローブユニット
KR20060100815A (ko) * 2005-03-18 2006-09-21 박인재 테스트용 프로브 유닛
KR20070111847A (ko) * 2006-05-19 2007-11-22 (주)이노아토 최종시험공정에서의 반도체 특성 시험용 소켓 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5034A (ko) 2010-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29988A (en) Socket assembly for integrated circuit chip carrier package
KR101674135B1 (ko) 프로브 카드
EP2871483A1 (en) Inspection jig
TWI408373B (zh) 適用於細間距垂直探測應用之模組化空間轉換器
JP2007017234A (ja) 検査装置用ソケット
KR101912949B1 (ko) 볼 그리드 어레이 패키지용 테스트 소켓
KR101328136B1 (ko) 프로브 카드
KR102444643B1 (ko) 도전성 입자 및 이를 갖는 신호 전송 커넥터
KR101369406B1 (ko) 탐침 구조물 및 이를 갖는 전기적 검사 장치
KR101486757B1 (ko) 접속체 구조물 및 이를 갖는 기판 어셈블리
KR101506623B1 (ko) 프로브 카드
KR101446146B1 (ko) 검사장치
KR101071743B1 (ko) 전기 커넥터
KR101970695B1 (ko) 탄소 섬유를 이용한 양방향 도전성 핀 및 양방향 도전성 패턴 모듈
JP2002270320A (ja) 半導体パッケージ用ソケット
KR101081901B1 (ko) 프로브 카드
KR100787087B1 (ko) 최종시험공정에서의 반도체 특성 시험용 소켓 핀
KR200313240Y1 (ko) 볼 그리드 어레이(bga) 패키지용 테스트 소켓
KR101183612B1 (ko) 프로브 카드의 탐침 구조물
JP2021028602A (ja) 電気的接触子及び電気的接続装置
KR101183614B1 (ko) 프로브 카드
JP2020165773A (ja) 電気的接触子及びプローブカード
KR101455175B1 (ko) 소켓 구조체
KR101199704B1 (ko) 반도체 소자 테스트용 접속 장치
KR200389879Y1 (ko) 프로브 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