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6448B1 - 음향 변환기 - Google Patents

음향 변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6448B1
KR101486448B1 KR20097024234A KR20097024234A KR101486448B1 KR 101486448 B1 KR101486448 B1 KR 101486448B1 KR 20097024234 A KR20097024234 A KR 20097024234A KR 20097024234 A KR20097024234 A KR 20097024234A KR 101486448 B1 KR101486448 B1 KR 101486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utral body
acoustically neutral
sound
acoustically
micro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7024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7195A (ko
Inventor
루벤 마톤
Original Assignee
스윙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윙 에스.알.엘. filed Critical 스윙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100017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7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6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6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7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microphones, e.g. in dummy he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6Arranging circuit leads; Relieving strain on circuit le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26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f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5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mbining the signals of two or more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Stereophonic Arrangement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Audible Band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음향 변환기는,
외이(auricles)(10a 및 10b)를 형성하도록 대략 양식화된 깔때기와 같은 형상으로 대략 형성된 두 개의 소리 전달 소자(9a 및 9b)와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적으로 중립인 본체(neutral body)(2)를 포함하며, 상기 외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본체(2) 외부로 돌출하고 3극 마이크로폰 카트리지(25a 및 25b)가 결합되는 덕트(duct)(19a 및 19b)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3극 마이크로폰 카트리지는 소리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단부(front end)가 상기 덕트의 입구(inlut)에 가깝도록 배치된다. 상기 3극 마이크로폰 카트리지들의 두 개의 냉극(cold pole)(29a, 29b)이 상호 전도되어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 카트리지들 중 하나의 냉극 및 상기 마이크로폰 카트리지들 중 다른 하나의 열극(hot pole)(28a, 28b) 및 그라운드(30a, 30b)가 적절한 증폭 및/또는 레코딩 및/또는 처리 디바이스와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는 동일한 커넥터 또는 소켓(31a, 31b)에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음향 변환기{SOUND TRANSDUCER}
본 발명은 음향 변환기에 관한 것이다.
소리를 레코딩하고 재생하는 시스템은 "입체음향 시스템(stereophonic system)"이라는 용어로 알려져 있으며, 두 개 이상의 마이크로폰으로 소리를 획득하고 음원과 관련해서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고, 소리를 복수의 전기 신호로 변환한 후, 적절한 증폭 및/또는 레코딩 디바이스에 보내며, 이 디바이스는 신호를 적절하게 증폭 및/또는 레코딩 및/또는 처리하도록 되어 있고, 이에 따라 두 개의 부가적인 별개의 신호를 생성하여 각각 두 개의 별개의 스피커로 보낼 수 있으며, 스피커를 적절하게 위치시킴으로써, 입체적인 배경음을 부분적으로 생성하는 소리의 감동을 느낄 수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공지된 유형의 레코딩 시스템에는 단점이 있는데, 사실, 재생된 소리를 완전히 입체적 방식으로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기껏해야 소리의 좌우 변위의 감동을 느낄 수 있을 뿐이며, 실제 소리와의 조화는 스피커와 청취자의 상호위치에 좌우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공지된 유형의 사운드 레코딩 및 재생 시스템은 예를 들어 청취자 주위 및/또는 위를 이동하는 음원의 효과를 실감나게 재생하는 데는 부적절 하다.
DOLBY SURROUND™로 언급되는 사운드 레코딩 및 재생 시스템도 알려져 있는데, 음향 공학자의 부분에서, 프리레코딩된(prerecorded) 오디오 신호의 편집을 제공하고 그런 다음 이 오디오 신호는, 예를 들어, 믹서 및/또는 컴퓨터와 같은 적절하게 제공된 전자 기기에 의해 복수의 다중 채널(통상적으로 5 또는 7개, 게다가 저주파수용의 추가의 채널)로 분할되며, 이 오디오 신호는 적절하게 배치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의 모서리 근처에서 청취자의 앞에 배치된 별개의 스피커로 전송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공지된 유형의 사운드 레코딩 및 재생 시스템은 또한 사용자의 주위를 이동하는 음원의 효과를 재생할 수 있는데, 이 이동은 항상 수평면 상에서 발생한다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공지된 유형의 사운드 레코딩 및 재생 시스템도 단점이 있는데, 청취자 위를 이동하는 음원의 감동을 청취자에게 전달하지 못한다는 점 외에, 청취자 주위로 음원이 이동하는 감동을 얻기 위해서는, 적어도 5개의 스피커가 필요하며, 이에 따라 헤드폰 또는 이어폰을 사용하는 포터블 타입의 청취 디바이스로는 이러한 감동을 얻을 수 없다.
또한, 소리 재생 동안 양호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스피커들이 배치되어 있는 방이 장방형 또는 직사각형 평면도 형상을 가져야 하고, 이것은 이러한 공지된 유형의 시스템의 가능한 응용을 제한한다.
이러한 공지된 유형의 레코딩 및 재생 시스템의 다른 단점은, 오디오 트랙을 편집하는 단계 및 사운드 재생 단계로 인한 고비용을 수반한다는 점인데, 오디오 트랙을 재생하는 것은 사실 특별한 개인적인 작업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종종 매우 고가의 적절한 전자 디바이스 및/또는 소프트웨어 디바이스의 사용을 필요로 하고, 그리고 사운드 재생은 적절한 출력부 및 복수의 스피커를 구비한, 적절하게 제공된 재생 시스템의 사용을 필요로 하며, 이것은 비용을 높일 수 있다.
소리의 레코딩을 최적화하도록 하기 위해, 특히 이어폰으로 소리를 듣고 음원이 위치해 있는 방안에 있는 청취자의 지각을 가능한 충실하게 재생하기 위해, 입체 음향(binaural)으로 알려져 있는 레코딩 기술이 사용되는데, 이것은 양식화된 사람 머리의 형상 및 치수를 가지는 지지체를 사용하고, 실제의 사람 머리의 소리 흡수를 가능한 많이 재생하도록 되어 있는 재료로 만들어져 있다.
이 지지체는 특히 외이(auricles) 및 이도(auditory canals)의 형상을 충실하게 재생하는데, 두 개의 하이파이(high-fidelity) 마이크로폰 카트리지가 이도의 내부 끝 부분에 각각 고정되어 있으므로, 청취자의 머리가 지지체처럼 배치되어 있는 청취자의 고막이 소리를 인지하는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소리를 포착한다.
이러한 공지된 유형의 레코딩 기술도 또한 단점이 있는데, 그렇지만, 무엇보다도 먼저, 재생 중에 양호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매우 고품질의 헤드폰을 사용할 필요가 있으며, 이것은 매우 고가이다.
또한, 이러한 공지된 유형의 기술은 청취자 앞에 배치된 음원에 의해 발생되는 소리의 재생에 부적절하며, 소리의 입체적 인지는 더욱 제한된다.
또한, 재생 중에 청취자가 인지하는 소리는 레코딩 중에 마이크로폰 카트리 지에 도달하는 소리에 다시 트레이스될 수 없는데, 왜냐하면, 이러한 카트리지는 소리가 고막에 도달할 때 소리를 레코딩하기 때문이며, 반면에, 청취자를 위한 음원은 이어폰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이어폰은 이도의 출구와 접촉하여 청취자의 외이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여, 종래 기술의 단점을 제거하고, 소리를 획득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소리를 재생하여 청취자에게 진정한 입체적 감동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목적 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하는 음원에서도 방출되는 소리를 획득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그 소리를 다시 재생하여 청취자에게 이러한 음원의 실제 이동의 감동을 전달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소리를 획득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비교적 품질이 낮은 단순한 입체음향 이어폰을 사용할 때조차도, 소리를 다시 재생하여 청취자에게 입체적인 실제 소리를 전달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제조 비용이 낮은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뿐만 아니라 이하에서 분명하게 될 다른 목적도 음향 변환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음향 변환기는, 외이를 형성하도록 양식화된 깔때기와 같은 형상으로 대략 형성된 두 개의 소리 전달 소자와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적으로 중립인 본체(neutral body)를 포함하며, 상기 외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본체 외부로 돌출하고 3극 마이크로폰 카트리지가 결합되는 덕트(duct)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3극 마이크로폰 카트리지는 소리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단부(front end)가 상기 덕트의 입구(inlet)에 가깝도록 배치되고, 상기 3극 마이크로폰 카트리지들의 두 개의 냉극이 상호 전도(顚倒)되어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 카트리지 중 하나의 마이크로폰의 냉극(cold pole) 및 상기 마이크로폰 카트리지들 중 다른 하나의 열극(hot pole) 및 그라운드는 적절한 증폭 및/또는 레코딩 및/또는 처리 디바이스와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는 동일한 커넥터 또는 소켓에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에서의 비제한적 예에 의해 도해된, 특별하되 독점적이지 않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전개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바이스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디바이스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라인 Ⅳ-Ⅳ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라인 Ⅴ-Ⅴ를 따라 절취한, 지지 소자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두 개의 마이크로폰 카트리지 사이의 접속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7은 이전 도면들에 따라 디바이스의 소리 전달 소자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라인 Ⅷ-Ⅷ을 따라 절취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라인 Ⅸ-Ⅸ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라인 Ⅹ-Ⅹ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이하의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특정의 예와 관련해서 주어진 개별적인 특징물은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존재하는 다른 상이한 특징물과 교환될 수 있다.
또한, 특허 프로세스 중에 이미 공지되어 발견되는 어떤 것도 청구되지 않으며 포기의 요지로 되는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는 것에 유의하라.
도면과 관련해서, 도면부호 1은 적어도 하나의 음향적으로 중립인 본체(2)를 포함하는 음향 변환기를 나타내며, 예를 들어 개방셀(open-cell) 폴리우레탄 스폰지 고무와 같은 음향적 중립 물질로 만들어진다.
이롭기는 하지만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닌, 음향적으로 중립인 본체(2)는 모서리가 적절하게 비스듬히 깎여 있는 대략 평행육면체의 다면체 형상으로 되어 있고, 편리하게도 그 폭은 귀 부분에 가까운 사람 머리의 평균 폭과 거의 동일하다.
음향적으로 중립인 본체(2)는 두 개의 미러 대칭 절반부(mirror-symmetrical halves)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닌 두 개의 대략적 원통형 좌부(seat)(4a 및 4b)는 바람직하게 동일한 종축을 따라 음향적으로 중립인 본체(2)의 양측에 제공되는데, 그러므로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예에서는, 도면 부호 3a 및 3b로 표시되어 있는, 음향적으로 중립인 본체(2)의 두 개의 제1 상호 평행 측면으로부터 시작한다.
이롭지만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닌,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서와 같이, 두 개의 좌부(4a 및 4b)는 상호 연결되어 있고, 음향적으로 중립인 본체(2)를 축을 따라 관통하는 단일의 제1 채널(5)로 형성된다.
이롭게도, 음향적으로 중립인 본체(2)는 하나 이상의 부가의 관통 채널(6a, 6b)에 의해 교차되는데, 이 부가의 관통 채널은 바람직하게는 제1 채널의 중앙의 영역 가까이에서, 제1 채널(5)에 수직인 축을 따라 -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닌 - 형성되어 제1 채널(5)로 진입한다.
음향적으로 중립인 본체(2)는 정면으로 입사하는 소리를 그 측부 영역 쪽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단을 가지며, 이롭게도, 이러한 수단은 두 개의 제3 채널(7a 및 7b)로 구성되며, 이 제3 채널은 음향적으로 중립인 본체(2)의 제2 전면(8)으로부터 시작하여 음향적으로 중립인 본체(2) 내에 형성되고, 음향적으로 중립인 본체(2)를 가로질러 놓여 제1 표면(3a 및 3b) 상에 각각 도출된다.
이롭게도, 음향적으로 중립인 본체(2)의 양측에 제공된 두 개의 좌부(4a 및 4b)와, 도면 부호 9a 및 9b로 표시되고 상호 미러 대칭 방식으로 편리하게 배치되어 있는 두 개의 소리 전달 소자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편리하게, 두 개의 소리 전달 소자(9a 및 9b)는 대략 양식화된 깔때기와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사용 중에 음향적으로 중립인 본체(2) 외부에서 돌출하는 외이(10a, 10b)를 형성한다.
이롭지만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은, 두 개의 소리 전달 소자(9a 및 9b)는 2개의 부품으로 된 실리콘으로 만들어져 있는데, 예를 들어 하나는 50%에서, RTV4028 A+B 타입의 ROHDORSIL™으로 공지되어 있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소리 전달 소자(9a 및 9b)는 이롭게도 대략 양식화된 외부 귀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러므로 외이(4)는, 이롭지만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은, 사람 외부 귀의 외이 형상으로부터 시작하여 치수가 적절하게 선택적으로 증가하는데, 예를 들어 귓불(lobe)(11)의 길이가 증가하고 이륜(helix)(12) 및 대이륜(antihelix)(13)의 영역 쪽으로 뻗어서 대략 얻어질 수 형상을 가진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외이(10a 및 10b)의 귓불(11)은 바람직하게 각각의 외이(10a 및 10b)의 세로 방향 길이의 대략 1/3 길이이고, 이륜(12) 및 대이륜(13)은 눈물 방울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롭게도, 특히 도 8, 도 9 및 도 1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 중에 음향적으로 중립인 본체(2)로부터 멀어지게 되어 있는 외이(10a, 10b)의 내벽(14)은 복수의 연속적인 오목면 및 볼록면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오목면 및 볼록면은 소리를 외이(10a 및 10b)의 주변 영역으로부터 그 하부(bottom)로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외이(10a 및 10b)의 내벽(14)의 형상은 또한, 상기 오목면 및 볼록면의 울림에 의해 소리의 일련의 반사 및 회절에 따라, 배음(harmonics) 및 공명 극소반사(resonance microreflection)로 소리를 풍부하게 하는 데 기여하며, 상기 배음 및 공명 극소반사는 공간 참조(spacial references)가 완전히 갖추어진 소리를 획득할 수 있게 하므로, 청취할 때, 청취자의 두뇌는 부지불식간에 소리의 진정한 입 체적 감동을 재현할 수 있다.
외이(10a 및 10b)의 길어진 형상은 또한 사람의 귀로는 들을 수 없는 고주파 및 초음파를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기반부(footing)(16)는 사용 중에 음향적으로 중립인 본체(2) 쪽으로 향하는 외이(10a 및 10b)의 외벽(15)으로부터 돌출하며; 상기 기반부는 사용 중에 음향적으로 중립인 본체(2) 쪽으로 향하는 제3 평평한 표면(17)을 가지며, 이 제3 평평한 표면(17)으로부터 관형 소자(tubular element)(18)가 횡단면에, 좌부(4a 및 4b)와 관련해서, 거의 직각으로 돌출하여 대략 서로 보완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좌부 중 하나에 밀어 넣음으로써 삽입 고정될 수 있으며,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는, 관형 소자(18)가 편리하게 원통형으로 되어 있다.
이롭게도, 외이(10a 및 10b)의 하부에서 시작하는 두 개의 관통 덕트(19a 및 19b)가 존재하는 데, 이 관통 덕트는 바람직하게 원통형이며 기반부(16) 및 각각의 소리 전달 소자(9a, 9b)의 관형 소자(18)를 축을 따라 관통한다.
소리 전달 소자(9a 및 9b)의 형상과 사람 외부 귀의 유사함에서, 덕트(9a 및 9b)는 대략 이도(acoustic meatus)에 대응한다.
이롭지만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닌, 두 개의 소리 전달 소자(9a 및 9b)는 적절한 연결 수단에 의해 상호접속되며, 이 연결 수단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AVIONAL™ 또는 ANTICORODAL™로 알려져 있는 알루미늄 합금과 같이 소리를 흡수하지 않는 재료로 만들어진 링(20)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롭게도, 링(20)은 음향적으로 중립인 본체(2)의 제2 전면(8)의 측면 및 제 4 배면(21)의 제1 측면(3a 및 3b)의 부분을 에워싸도록 배열될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롭게도, 링(20)에는 두 개의 제1 홀(22a 및 22b)이 있으며, 이 제1 홀들은, 사용 중에, 음향적으로 중립인 본체(2)에 제공된 좌부(4a 및 4b)와 대향하는 위치에 제공되며, 소리 전달 소자(9a, 9b)의 관형 소자(18)의 연속적인 좌부(4a 및 4b)에 액세스될 수 있는 치수 및 형상을 가진다.
이롭게도, 링(20)에는, 사용 중에, 음향적으로 중립인 본체(2)의 제1 표면(3a 및 3b) 상에 제공된 제2 채널(7a 및 7b)의 출구와 대향하는 위치에 두 개의 제2 홀(23a, 23b)이 제공되며, 이 제2 홀은 이롭게 출구의 치수와 동일하거나 큰 치수를 가진다.
이롭게도, 링(20)은 사용 중에, 소리 전달 소자(9a 및 9b)의 기반부(16)의 제3 표면(17)과 음향적으로 중립인 본체(2)의 제1 측면(3a, 3b) 사이에 개재한다.
이롭게도, 두 개의 마이크로폰 카트리지(25a 및 25b)는 소리 전달 소자(9a 및 9b)의 덕트(19a 및 19b) 내에 각각 배치되는데, 도면 부호 26a 및 26b로 표시된 전단부와 함께 배치되며, 대략 외이(10a 및 10b)의 하부에 제공된 각각의 덕트(19a 및 19b)의 입구에서 소리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전단부(26a 및 26b)는 덕트(19a, 19b)의 입구에 인접해서 위치하거나 외이(10a, 10b)의 안쪽으로 부분적으로 이동되어 있다.
이롭게도, 마이크로폰 카트리지(25a 및 25b)는 카디오이드 타입(cardioid type)의 폴라 패턴(polar pattern)을 가진다.
마이크로폰 카트리지(25a 및 25b)는 3극형으로 되어 있고, "팬텀(phantom)"으로 알려진 타입의 파워 서플라이를 구비하며, 따라서, 3극 케이블(27a, 27b)이 마이크로폰 카트리지(25a 및 25b)의 각각으로부터 나오며, 이 3극 케이블 각각은 또한 "열극"으로도 알려진 제1 와이어(28a, 28b), "냉극"으로도 알려진 제2 와이어(29a, 29b), 및 "그라운드"로도 알려진 제3 접지 와이어(30a, 30b)를 포함한다.
이롭게도, 3극 케이블(27a 및 27b)은 제2 채널(6a, 6b)을 통해 음향적으로 중립인 본체(2)로부터 나와,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마이크로폰 카트리지(25a 및 25b)용의 적절한 파워 서플라이 수단을 가지는, 예를 들면 증폭기, 믹서, 레코딩 디바이스 또는 컴퓨터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롭게도, 도 6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에서는, 두 개의 마이크로폰 카트리지(25a 및 25b)의 두 개의 냉극(29a 및 29b)이 상호 전도되어 있다.
환언하면, 마이크로폰 카트리지(25a)의 냉극(29a)은 도 6에 도면 부호 31b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동일한 커넥터 또는 소켓에 연결되며, 이 소켓은, 마이크로폰 카트리지(25b)의 열극(28b) 및 그라운드(30b)에 연결되어 있으나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적절한 획득 및/또는 레코딩 및/또는 증폭 및/또는 처리 디바이스에 연결될 수 있으며, 반대로, 마이크로폰 카트리지(25b)의 냉극(29b)은 마이크로폰 카트리지(25a)의 열극(28a) 및 그라운드(30a)가 연결되어 있는 커넥터 또는 소켓(31a)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사용은 이하와 같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3극 케 이블(27a 및 27b)은 전술한 방식으로 커넥터 또는 소켓(31a 및 31b)에 연결되며, 이 커넥터 또는 소켓은 예를 들어 레코더, 컴퓨터 믹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예를 들어 획득 및/또는 레코딩 및/또는 증폭 및/또는 처리 디바이스에 연결된다.
디바이스(1)를 음원과 관련해서 선택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음원 역시 이동 가능하다), 음원에 의해 생성된 소리는 두 개의 외이(10a 및 10b)에 부딪히고 이에 따라 이 외이에 의해 마이크로폰 카트리지(25a 및 25b)에 전달된다.
음향적으로 중립인 본체(2)의 제2 전면(8)에 부딪히는 소리는 제3 채널(7a 및 7b)로 진입하고 그런 다음 이 채널로부터 음향적으로 중립인 본체(2)의 제1 측면(3a, 3b)에서 나온 다음, 외이(10a 및 10b)에 의해 수집되어 마이크로폰 카트리지(25a 및 25b)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므로 마이크로폰 카트리지(25a 및 25b)는 외이(10a 및 10b)에 의해 전달된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3극 케이블(27a 및 27b)을 통해, 이 전기 신호를 획득 및/또는 레코딩 및/또는 증폭 및/또는 처리 디바이스로 전송하며, 이 디바이스는 이러한 신호를 적절하게 레코딩 및/또는 재생 및/또는 처리할 수 있으므로, 두 개의 간단한 입체음향 이어폰으로도 재생될 수 있다.
디바이스(1)의 특정한 구조에 의해, 획득 및/또는 레코딩 및/또는 증폭 및/또는 처리 디바이스로 획득되어 전송된 신호는, 청취자에게서, 특히 사람이 입체음향 이어폰을 사용하는 경우 실제의 음원에 의해 생성되는 것과 같은 정확한 감동을 생성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그 의도된 목적을 달성하였고, 소리를 획득하고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그 신호를 재생하여, 청취자에게 그 실제 입체적 감동을 줄 수 있는 음향 변환기가 고안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에 의하면, 음원에서 생성된 소리를 획득하고 그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 다음 재생하여, 두 개의 간단한 스피커로 소리의 실제 모션의 감동을 청취자에게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에 의하면, 소리를 획득하고 전기 신호로 변환한 다음 재생하여, 저품질의 단순한 입체음향 이어폰을 사용하더라도, 그 실제의 입체적 감동을 청취자에게 줄 수 있다.
또한, 제조 및/또는 조립하기에 용이한 구성부품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조 비용은 낮다.
본 발명은 물론 다양한 변형 및 수정에 민감하며, 그 모든 것은 첨부된 청구의 범위 내에 있다.
사용된 재료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개별적 구성성분을 구성하는 치수도 물론 특정한 요건에 따라 더욱 적절하게 될 수 있다.
소정의 다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은 설명된 실시예에만 공존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되지 않은 실시예를 포함하는 많은 실시예에 존재할 수 있다.
이롭게, 편리하게 표시된 특징들은 또한 삭제될 수 있거나 등가물로 대체될 수 있다.
본 출원이 우선권을 주장하는 이탈리아 특허출원 No. TV2007A000070의 개시 내용이 원용된다.
청구의 범위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이 도면 부호를 따르는 경우, 이러한 도면 부호는 청구의 범위의 명백성을 높일 목적으로 포함된 것이며, 따라서 이러한 도면 부호는 예에 의해 인식된 각각의 소자의 해석상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

Claims (30)

  1. 음향 변환기에 있어서,
    외이(auricles)를 형성하도록 깔때기와 같은 형상으로 된 두 개의 소리 전달 소자와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적으로 중립인 본체(acoustically neutral body)를 포함하며,
    상기 외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본체 외부로 돌출하고, 또 3극 마이크로폰 카트리지가 결합되는 덕트(duct)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3극 마이크로폰 카트리지는 소리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단부(front end)가 상기 덕트의 입구(inlet)에 가깝도록 배치되며,
    상기 3극 마이크로폰 카트리지들의 두 개의 냉극(cold pole)이 상호 전도(顚倒)되어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 카트리지들 중 하나의 냉극 및 상기 마이크로폰 카트리지들 중 다른 하나의 열극(hot pole) 및 그라운드가, 증폭기, 레코딩 디바이스 및 처리 디바이스 중 하나 이상과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는 동일한 커넥터 또는 소켓에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는, 음향 변환기.
  2. 음향 변환기에 있어서,
    외이(auricles)와 같은 형상으로 된 영역을 형성하도록 외부 귀와 같은 형상으로 된 두 개의 소리 전달 소자와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적으로 중립인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외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본체 외부로 돌출하고, 이도 영역(acoustic meatus region)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3극 마이크로폰 카트리지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3극 마이크로폰 카트리지는 소리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단부가 상기 이도의 입구에 가깝도록 배치되고,
    상기 3극 마이크로폰 카트리지들의 두 개의 냉극(cold pole)이 상호 전도되어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 카트리지들 중 하나의 냉극 및 상기 마이크로폰 카트리지들 중 다른 하나의 열극(hot pole) 및 그라운드가, 증폭기, 레코딩 디바이스 및 처리 디바이스 중 하나 이상과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는 동일한 커넥터 또는 소켓에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는, 음향 변환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적으로 중립인 본체는 다면체 형상을 가지며, 귀 영역에 가까운 사람 머리의 평균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는, 음향 변환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적으로 중립인 본체는 두 개의 상호 미러-대칭 절반부(mirror-symmetrical halves)에 의해 구성되는 음향 변환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적으로 중립인 본체의 동일한 세로 축을 따라, 상기 음향적으로 중립인 본체의 서로 반대 측의 측면 상에 두 개의 좌부(seat)가 형성되는, 음향 변환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적으로 중립인 본체는 가장자리가 비스듬히 깎여 있는 평행육면체의 다면체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두 개의 좌부는 상기 음향적으로 중립인 본체의 두 개의 제1 상호 평행 측면으로부터 시작하여 형성되는, 음향 변환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좌부는, 상기 음향적으로 중립인 본체를 축을 따라 관통하는 단일의 제1 채널을 형성하도록 연결되는, 음향 변환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적으로 중립인 본체에는 하나 이상의 추가의 제2 관통 채널이 가로지르며,
    상기 추가의 제2 관통 채널은 그 중심 영역 근처에서 상기 제1 채널에 연결되는, 음향 변환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적으로 중립인 본체는, 정면으로 입사하는 소리를 그 측면 영역 쪽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된 수단을 포함하는, 음향 변환기.
  10. 제9항에 있어서,
    정면으로 입사하는 소리를 상기 음향적으로 중립인 본체의 측면 영역 쪽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된 상기 수단은 두 개의 제3 채널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 채널은 상기 음향적으로 중립인 본체의 제2 정면 표면에서 시작하여 상기 음향적으로 중립인 본체 내에 형성되고 상기 음향적으로 중립인 본체를 가로질러 놓이며, 상기 두 개의 좌부 가까이에서 상기 음향적으로 중립인 본체의 제1 표면에까지 각각 이어지는, 음향 변환기.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적으로 중립인 본체는 개방셀(open-cell) 폴리우레탄 스폰지 고무로 만들어지는, 음향 변환기.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전달 소자는 상기 두 개의 좌부에서 각각 상기 음향적으로 중립인 본체와 결합될 수 있는, 음향 변환기.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전달 소자는 2개의 부품으로 된 실리콘으로 만들어지는, 음향 변환기.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전달 소자는 사람 외부 귀의 형상을 가지는, 음향 변환기.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이는, 사람 외부 귀의 외이를 확대시킨 윤곽으로부터 시작해서 얻어질 수 있는 형상을 가지는, 음향 변환기.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이는, 귓불(lobe)의 길이를 증가시키고 이륜(helix) 및 대이륜(antihelix)의 영역 쪽으로 뻗음으로써 사람 외부 귀의 윤곽으로부터 시작해서 얻어질 수 있는 형상을 가지는, 음향 변환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외이의 상기 귓불은 각각의 외이의 세로 방향 길이의 1/3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이륜 및 상기 대이륜은 눈물 방울 모양의 구조를 가지는, 음향 변환기.
  1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사용 중에 상기 음향적으로 중립인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는 상기 외이의 내벽은 복수의 오목면 및 볼록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오목면 및 상기 볼록면은 소리를 상기 외이의 주변 영역으로부터 상기 외이의 하부로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음향 변환기.
  19. 제10항에 있어서,
    사용 중에 음향적으로 중립인 본체 쪽으로 향하는 외이의 외벽으로부터 기반부(footing)가 돌출하며,
    상기 기반부는 사용 중에 음향적으로 중립인 본체 쪽으로 향하는 제3 평평한 표면을 가지며,
    상기 제3 평평한 표면으로부터 관형 소자(tubular element)가 직각으로 돌출하며,
    상기 관형 소자는, 횡단면에서, 상기 두 개의 좌부에 대해서 서로 보완적으로 형성되어 좌부 중 하나에 삽입 고정될 수 있는, 음향 변환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좌부 및 상기 관형 소자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음향 변환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외이의 하부에서 시작해서 원통형의 덕트가 구비되고, 상기 덕트는 상기 기반부를 관통하고 상기 관형 소자를 축을 따라 관통하는, 음향 변환기.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전달 소자는 연결 수단에 의해 서로 상호작용하는, 음향 변환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소리를 흡수하지 않는 재료로 만들어진 링(ring)으로 구성되는, 음향 변환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링은 상기 음향적으로 중립인 본체의 제2 전면의 제1 측면 및 제4 배면의 제1 측면의 부분을 에워싸도록 배치될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음향 변환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링에는 두 개의 제1 홀이 형성되고,
    상기 두 개의 제1 홀은, 사용 중에, 상기 음향적으로 중립인 본체(2)의 상기 두 개의 좌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제공되며, 상기 관형 소자가 상기 두 개의 좌부에 삽입될 수 있는 치수 및 형상을 가지는, 음향 변환기.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링에는, 사용 중에, 상기 음향적으로 중립인 본체의 제1 표면 상에 제공된 제2 채널의 출구와 대향하는 위치에 두 개의 제2 홀이 제공되며, 상기 제2 홀은 상기 제2 채널의 출구의 치수와 동일하거나 큰 치수를 가지는, 음향 변환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링에는, 사용 중에, 상기 음향적으로 중립인 본체의 제2 표면 상에 제공된 상기 제2 채널의 입구와 대향하는 위치에 두 개의 제3 홀이 제공되며, 상기 제2 홀은 상기 제2 채널의 출구의 치수와 동일하거나 큰 치수를 가지는, 음향 변환기.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링은, 사용 중에, 상기 소리 전달 소자의 상기 기반부의 상기 제3 평평한 표면과 상기 음향적으로 중립인 본체의 제1 측면 사이에 개재하는, 음향 변환기.
  2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극 마이크로폰 카트리지의 상기 전단부는 상기 덕트의 입구에 인접해서 배치되거나 상기 외이의 안쪽으로 부분적으로 이동되어 있는, 음향 변환기.
  3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3극 마이크로폰 카트리지는 카디오이드 타입(cardioid type)의 폴라 패턴(polar pattern)을 가지며, "팬텀(phantom)"으로 알려진 타입의 파워 서플라이를 구비하고,
    상기 3극 마이크로폰 카트리지의 각각으로부터 3극 케이블이 나오고,
    상기 3극 케이블은, 상기 "열극"을 구성하는 제1 와이어, 상기 "냉극"을 구성하는 제2 와이어, 및 상기 "그라운드"를 구성하는 제3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3극 케이블은 상기 제2 관통 채널을 통해 상기 음향적으로 중립인 본체로부터 나오는, 음향 변환기.
KR20097024234A 2007-04-20 2008-04-17 음향 변환기 KR1014864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TV2007A000070 2007-04-20
IT000070A ITTV20070070A1 (it) 2007-04-20 2007-04-20 Dispositivo trasduttore del suono.
PCT/EP2008/054674 WO2008128966A1 (en) 2007-04-20 2008-04-17 Sound transduc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7195A KR20100017195A (ko) 2010-02-16
KR101486448B1 true KR101486448B1 (ko) 2015-01-26

Family

ID=39539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7024234A KR101486448B1 (ko) 2007-04-20 2008-04-17 음향 변환기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8204246B2 (ko)
EP (1) EP2149278B1 (ko)
JP (1) JP5291087B2 (ko)
KR (1) KR101486448B1 (ko)
CN (1) CN101772963B (ko)
AT (1) ATE496497T1 (ko)
BR (1) BRPI0810235A2 (ko)
CA (1) CA2684662C (ko)
DE (1) DE602008004648D1 (ko)
ES (1) ES2360195T3 (ko)
IL (1) IL201647A (ko)
IT (1) ITTV20070070A1 (ko)
RU (1) RU2455788C2 (ko)
WO (1) WO20081289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54207B2 (en) * 2015-04-30 2017-01-24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Offset cartridge microphones
US9565493B2 (en) 2015-04-30 2017-02-07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Array microphone system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CN109691126B (zh) * 2016-08-18 2021-09-14 声音六维公司 结合扩音器的头部支撑件和用于播放多维声效果的系统
US10367948B2 (en) 2017-01-13 2019-07-30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Post-mixing acoustic echo cancellation systems and methods
WO2019183112A1 (en) * 2018-03-20 2019-09-26 3Dio, Llc Binaural recording device with directional enhancement
WO2019231632A1 (en) 2018-06-01 2019-12-05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Pattern-forming microphone array
US11297423B2 (en) 2018-06-15 2022-04-05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Endfire linear array microphone
WO2020061353A1 (en) 2018-09-20 2020-03-26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Adjustable lobe shape for array microphones
KR102574477B1 (ko) * 2018-12-26 2023-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운드 데이터를 변환하는 방법,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단말기 케이스
CN113841419A (zh) 2019-03-21 2021-12-24 舒尔获得控股公司 天花板阵列麦克风的外壳及相关联设计特征
US11558693B2 (en) 2019-03-21 2023-01-17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Auto focus, auto focus within regions, and auto placement of beamformed microphone lobes with inhibition and voice activity detection functionality
WO2020191380A1 (en) 2019-03-21 2020-09-24 Shure Acquisition Holdings,Inc. Auto focus, auto focus within regions, and auto placement of beamformed microphone lobes with inhibition functionality
TW202101422A (zh) 2019-05-23 2021-01-01 美商舒爾獲得控股公司 可操縱揚聲器陣列、系統及其方法
EP3977449A1 (en) 2019-05-31 2022-04-06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Low latency automixer integrated with voice and noise activity detection
JP2022545113A (ja) 2019-08-23 2022-10-25 シュアー アクイジッション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指向性が改善された一次元アレイマイクロホン
RU204492U1 (ru) * 2019-12-06 2021-05-2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ладимир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Александра Григорьевича и Николая Григорьевича Столетовых" (ВлГУ) Измерительный стенд для исследования средств индивидуальной защиты слуха
US11552611B2 (en) 2020-02-07 2023-01-10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adjustment of reference gain
US11706562B2 (en) 2020-05-29 2023-07-18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Transducer steering and configuration systems and methods using a local positioning system
CN116918351A (zh) 2021-01-28 2023-10-20 舒尔获得控股公司 混合音频波束成形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50518A (ko) * 1974-10-29 1976-05-04 Sony Corp
JPH01117599A (ja) * 1986-10-06 1989-05-10 Akg Akust & Kino Geraete Gmbh 収音装置
EP0637188A1 (en) * 1993-07-27 1995-02-01 Central Research Laboratories Limited A sound recording system
JPH09505702A (ja) * 1993-11-25 1997-06-03 セントラル リサーチ ラボラトリーズ リミティド バイノーラル信号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0121B2 (ko) * 1972-08-23 1977-06-01
SU562953A1 (ru) * 1975-08-25 1977-06-25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В-2203 Стереофоническое трансл 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S6016159Y2 (ja) * 1977-01-13 1985-05-20 ソニー株式会社 収音装置
JPS5813670Y2 (ja) * 1978-06-21 1983-03-16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パイノ−ラル信号収音用の擬似耳介
DE3840766C2 (de) * 1987-12-10 1993-11-18 Goerike Rudolf Stereophone Aufnahmevorrichtung
GB9419832D0 (en) * 1994-10-01 1994-11-16 Central Research Lab Ltd A camera and an accessory for a camera
RU2239288C2 (ru) * 2001-07-09 2004-10-27 Карташевский Игорь Ильич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стереофонического вещания
US8180067B2 (en) * 2006-04-28 2012-05-15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System for selectively extracting components of an audio input signa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50518A (ko) * 1974-10-29 1976-05-04 Sony Corp
JPH01117599A (ja) * 1986-10-06 1989-05-10 Akg Akust & Kino Geraete Gmbh 収音装置
EP0637188A1 (en) * 1993-07-27 1995-02-01 Central Research Laboratories Limited A sound recording system
JPH09505702A (ja) * 1993-11-25 1997-06-03 セントラル リサーチ ラボラトリーズ リミティド バイノーラル信号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291087B2 (ja) 2013-09-18
CN101772963A (zh) 2010-07-07
DE602008004648D1 (de) 2011-03-03
EP2149278B1 (en) 2011-01-19
ES2360195T3 (es) 2011-06-01
IL201647A (en) 2015-06-30
ITTV20070070A1 (it) 2008-10-21
EP2149278A1 (en) 2010-02-03
RU2455788C2 (ru) 2012-07-10
CN101772963B (zh) 2012-05-23
IL201647A0 (en) 2010-05-31
CA2684662C (en) 2016-06-14
ATE496497T1 (de) 2011-02-15
US20100111323A1 (en) 2010-05-06
JP2010525645A (ja) 2010-07-22
WO2008128966A1 (en) 2008-10-30
KR20100017195A (ko) 2010-02-16
CA2684662A1 (en) 2008-10-30
RU2009142849A (ru) 2011-05-27
BRPI0810235A2 (pt) 2014-10-29
US8204246B2 (en) 2012-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6448B1 (ko) 음향 변환기
RU2698778C2 (ru) Систем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енерирования звуковой передаточной функции головы
TWI543632B (zh) Headset device
JP3057731B2 (ja) 電気音響変換器及び音響再生システム
JP4913256B1 (ja) カナル型受話器用イヤーピース及びそれを利用したカナル型受話器、並びにカナル型受話器を利用した聴診器及び補聴器
JP3435141B2 (ja) 音像定位装置、並びに音像定位装置を用いた会議装置、携帯電話機、音声再生装置、音声記録装置、情報端末装置、ゲーム機、通信および放送システム
US8442244B1 (en) Surround sound system
JP2012178748A (ja) ヘッドホン装置およびヘッドホン装置の音声再生方法
JP4221746B2 (ja) ヘッドホン装置
JP5281695B2 (ja) 音響変換装置
KR200253605Y1 (ko) 서라운드 기능을 갖는 헤드폰
CN112153552B (zh) 一种基于音频分析的自适应立体声系统
JP2001346298A (ja) バイノーラル再生装置及び音源評価支援方法
US6983054B2 (en) Means for compensating rear sound effect
JP3374731B2 (ja) バイノーラル再生装置、バイノーラル再生用ヘッドホンおよび音源評価方法
KR200342183Y1 (ko) 개인 머리전달함수 대응 바이노럴 입체 음향 녹음용 이어폰 시스템
JPS6031350Y2 (ja) 収音再生機器システム
KR200208364Y1 (ko) 3d 입체 음향 청취 시스템
JP2023153700A (ja) 音響システム、及びイヤホン
JP2002095085A (ja) ステレオヘッドホン及びステレオヘッドホン再生システム
KR20200017618A (ko) 3차원 입체오디오를 실시간으로 녹음 및 재생가능한 스마트 이어셋
TW201311018A (zh) 雙耳錄音耳機
JPH06217389A (ja) パーソナル電気音響変換装置
KR20030091177A (ko) 청음장치
JPS6378699A (ja) ヘツドフオン方式による前方音場再生用音波遅延用音道管及び応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