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6033B1 - 수직 지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 - Google Patents

수직 지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6033B1
KR101486033B1 KR20130080740A KR20130080740A KR101486033B1 KR 101486033 B1 KR101486033 B1 KR 101486033B1 KR 20130080740 A KR20130080740 A KR 20130080740A KR 20130080740 A KR20130080740 A KR 20130080740A KR 101486033 B1 KR101486033 B1 KR 101486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vertical
support frame
supporting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0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7381A (ko
Inventor
임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룩스
Priority to KR20130080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6033B1/ko
Publication of KR20150007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7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6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6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or finishing work for buildings, e.g. roofs, gutters, stairs or floors; Garden equipment; Sunshades or paras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수직 지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지지 장치는, 제1 지지면 및 제1 지지면과 평행한 제2 지지면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부, 지지부에 형성되고, 지지부가 제1 지지면 및 제2 지지면과 수직하게 설치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수직 확인 수단, 및 지지부의 양단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고, 지지부에서 인출 또는 인입되면서 길이가 조절되는 고정 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직 지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APPARATUS FOR SUPPORTING VERTICAL AND BUILDING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건축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 지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레이트 형상의 벽체를 조립하여 건축 구조물을 만드는 데는 전문적인 기술자가 구조물의 수직 설치 여부를 확인하고, 각종 부품들을 조립하여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일반적인 사용자들이 벽체 형상의 건축 구조물을 조립하는 것은 상당히 어렵고 오랜 시간이 걸리게 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622018(2006.09.18)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일반적인 사용자들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수직 지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지지 장치는, 제1 지지면 및 상기 제1 지지면과 평행한 제2 지지면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제1 지지면 및 상기 제2 지지면과 수직하게 설치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수직 확인 수단; 및 상기 지지부의 양단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에서 인출 또는 인입되면서 길이가 조절되는 고정 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 확인 수단은, 상기 지지부의 일측면에 마주보고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수직 기준홀; 상기 지지부의 다른 측면에 마주보고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수직 기준홀; 및 일단이 상기 지지부 내에 고정 연결되고, 타단에 중심추가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제1 수직 기준홀 및 상기 한 쌍의 제2 수직 기준홀을 통해 상기 지지부의 수직 설치 여부를 확인하는 연결줄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제1 수직 기준홀 및 상기 한 쌍의 제2 수직 기준홀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꼭지점을 갖는 한 쌍의 도형이 상기 꼭지점을 마주하며 형성되고, 상기 마주하는 꼭지점은 동일 선상에 위치한다.
상기 수직 확인 수단은, 상기 지지부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제1 수직 기준선이 표시되는 제1 윈도우; 상기 지지부의 다른 측면에 형성되고 제2 수직 기준선이 표시되는 제2 윈도우; 및 일단이 상기 지지부 내에 고정 연결되고, 타단에 중심추가 연결되며, 상기 제1 윈도우 및 상기 제2 윈도우를 통해 상기 지지부의 수직 설치 여부를 확인하는 연결줄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 조절부는, 상기 지지부의 말단에 결합되는 결합 수단; 및 상기 결합 수단과 결합되고 상기 결합 수단에서 인출 또는 인입되어 길이가 조절되는 길이 조절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지지부의 말단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와 결합되는 일측 내부에 형성되는 고정 너트 수납부 및 타측 내부에 상기 고정 너트 수납부와 연통하여 형성되는 제1 관통 나사홀을 포함하는 결합 본체; 및 상기 고정 너트 수납부에 수납되어 고정되고, 내부에 제2 관통 나사홀이 형성되는 고정 너트를 포함한다.
상기 길이 조절 수단은,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관통 나사홀 및 상기 제2 관통 나사홀과 나사 결합하며, 상기 지지부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결합 수단에서 인출 또는 인입되는 길이 조절 볼트; 상기 베이스부의 타면에 형성되는 완충 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의 타면에서 상기 완충 부재 내에 형성되고, 상기 길이 조절 볼트가 인출됨에 따라 상기 완충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제1 지지면 또는 상기 제2 지지면에 고정되는 고정 스파이크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조절부는,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1 고정 조절부; 및 상기 지지부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2 고정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 조절부의 길이 조절 볼트의 나사산의 방향과 상기 제2 고정 조절부의 길이 조절 볼트의 나사산의 방향은 반대로 형성된다.
상기 수직 지지 장치는,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지 프레임을 상기 지지부와 수직하게 결합시키는 지지 프레임 결합 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 프레임 결합 수단은, 상기 지지부의 측면에 상기 지지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위치 조절 슬릿; 상기 지지부의 측면 내측에서 상기 위치 조절 슬릿을 따라 형성되는 고정 플레이트 수납부;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 수납부 내에 수납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 수납부 내에서 이동하며 결합 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을 상기 지지부에 밀착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 구조물은, 제1 지지면 및 상기 제1 지지면과 평행한 제2 지지면 사이에 설치되고 상호 이격된 복수 개의 수직 지지 장치; 상기 복수 개의 수직 지지 장치와 수직하게 각각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지 프레임;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의 양측에 결합되는 파티션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 지지 장치는, 상기 수직 지지 장치가 상기 제1 지지면 및 상기 제2 지지면과 수직하게 설치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수직 확인 수단;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지 프레임을 상기 수직 지지 장치와 수직하게 결합시키는 지지 프레임 결합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은,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 프레임과 결합되는 결합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의 돌출된 중앙 부위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결합홈을 포함한다.
상기 건축 구조물은,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의 전방에서 상기 제2 지지 프레임과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획 패널을 더 포함한다.
상기 구획 패널은, 상기 구획 패널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 프레임과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돌기 부재는, 상기 구획 패널의 일측에서 하부로 절곡되며,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건축 구조물은, 상기 수직 지지 장치의 상단 및 하단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마감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마감 패널에는, 상기 마감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조명 레일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수직 지지 장치가 수직 확인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수직 지지 장치를 천정과 바닥 사이에 설치할 때 수직 지지 장치가 천정 및 바닥과 수직을 이루며 설치되는지 여부를 별도의 장비 또는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수직 지지 장치가 고정 조절부를 구비함으로써, 천정과 바닥 사이의 길이에 맞춰 수직 지지 장치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직 지지 장치에 제1 지지 프레임, 제2 지지 프레임, 및 파티션을 순차로 결합하여 벽체 구조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벽체 구조 상에 다양한 모양의 선반 또는 가구들을 결합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구조물을 설치하는 순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직 지지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직 지지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고정 조절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고정 조절부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지지 장치를 천정과 바닥 사이에 설치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지지 장치에 제1 지지 프레임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지지 장치에 제1 지지 프레임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지지 프레임을 제1 지지 프레임에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획 패널이 제2 지지 프레임에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수직 지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구조물을 설치하는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건축 구조물을 설치할 실내의 천정(제1 지지면)과 바닥(제2 지지면) 사이에 수직 지지 장치(102)를 소정 간격 이격하여 복수 개를 설치한다(도 1). 수직 지지 장치(102)들 간의 간격은 일정하게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간격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수직 지지 장치(102)의 양단은 천정 및 바닥에 각각 고정되게 된다. 건축 구조물을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설치하기 위해서는, 수직 지지 장치(102)가 천정 및 바닥과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이에, 수직 지지 장치(102)에는 수직 지지 장치(102)가 천정 및 바닥과 수직을 이루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된다. 그리고, 수직 지지 장치(102)에는 수직 지지 장치(10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수직 지지 장치(102)를 천정과 바닥 사이에 설치할 때, 수직 지지 장치(102)가 천정 및 바닥과 수직을 이루며 설치되는지 여부를 별도의 장비 또는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천정과 바닥 사이의 길이에 맞춰 수직 지지 장치(102)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각 수직 지지 장치(102)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지 프레임(104)을 결합시킨다(도 2). 제1 지지 프레임(104)은 수직 지지 장치(102)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를 결합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지지 프레임(104)들 간의 간격은 서로 다르게 설치할 수도 있다. 제1 지지 프레임(104)은 수직 지지 장치(102)와 직교하여 결합될 수 있다. 수직 지지 장치(102)에는 제1 지지 프레임(104)이 결합되는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된다. 제1 지지 프레임(104)이 수직 지지 장치(102)에 결합되는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수직 지지 장치(102)의 상단과 하단에 마감 패널(106)을 결합시킨다(도 3). 마감 패널(106)은 수직 지지 장치(102)의 상단과 하단을 가려서 건축 구조물의 외관을 단정히 하는 역할을 한다. 마감 패널(106)에는 조명 레일(미도시)이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는, 마감 패널(106)이 수직 지지 장치(102)의 상단과 하단에 모두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수직 지지 장치(102)의 상단 및 하단 중 어느 하나에만 설치될 수도 있고, 마감 패널(106) 자체가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1 지지 프레임(104)에 적어도 하나의 제2 지지 프레임(108)을 결합시키고, 제2 지지 프레임(108)에 파티션(110)을 결합시킨다(도 4). 제2 지지 프레임(108)은 제1 지지 프레임(104)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를 결합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지지 프레임(108)들 간의 간격은 서로 다르게 설치할 수도 있다. 제2 지지 프레임(108)은 제1 지지 프레임(104)과 직교하여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 지지 프레임(108)은 수직 지지 장치(102)와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파티션(110)은 제2 지지 프레임(108)들 사이에서 양측에 위치한 제2 지지 프레임(108)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파티션(110)의 폭에 따라 제2 지지 프레임(108) 간의 간격이 결정되게 된다. 그리고, 건축 구조물의 양단 또는 일단에 위치한 파티션(110)의 일측에는 별도의 마감 부재(미도시)가 결합되어 마무리될 수 있다. 제2 지지 프레임(108)에 파티션(110)을 결합함으로써, 실내에 벽(Wall)이 형성되게 된다.
다음으로, 제2 지지 프레임(108)에 구획 패널(112)을 결합시킨다(도 5). 이때, 구획 패널(112)은 제2 지지 프레임(108)의 전방에서 제2 지지 프레임(108)과 결합된다. 이 경우, 구획 패널(112)은 제2 지지 프레임(108)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결합되기 때문에, 파티션(110)을 비롯한 건축 구조물이 전방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구획 패널(112)은 건축 구조물 내의 공간을 구분하는 역할을 할 뿐만아니라, 건축 구조물의 전방을 지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구획 패널(112)에는 구획 패널 커버(194)가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파티션(100)에 선반(114)을 결합하거나 구획 패널(112)들 사이에 선반(114)을 연결하여 인테리어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도 6).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구조물은 그 이외의 다양한 형태 및 종류의 가구 또는 구조물을 결합하여 다양한 형태의 인테리어 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직 지지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수직 지지 장치(102)는 지지부(121), 수직 확인 수단(123), 제1 고정 조절부(125), 및 제2 고정 조절부(127)를 포함한다.
지지부(121)는 소정 길이를 갖는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지지부(121)의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수직 확인 수단(123)은 지지부(121)에 형성될 수 있다. 수직 확인 수단(123)은 수직 지지 장치(102)가 천정과 바닥 사이에 설치될 때, 천정 및 바닥과 수직을 이루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수직 확인 수단(123)은 한 쌍의 제1 수직 기준홀(131-1, 131-2), 한 쌍의 제2 수직 기준홀(134-1, 134-2), 연결줄(137), 및 중심추(139)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1 수직 기준홀(131-1, 131-2)은 지지부(121)의 일측면에 형성된다. 제1-1 수직 기준홀(131-1)과 제1-2 수직 기준홀(131-2)은 각각 이등변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1 수직 기준홀(131-1)과 제1-2 수직 기준홀(131-2)은 마주보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1 수직 기준홀(131-1)의 꼭지점과 제1-2 수직 기준홀(131-2)의 꼭지점은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꼭지점은 이등변 삼각형의 두 등변의 교점을 말한다. 여기서는 제1-1 수직 기준홀(131-1)과 제1-2 수직 기준홀(131-2)이 상호 이격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1 수직 기준홀(131-1)의 꼭지점과 제1-2 수직 기준홀(131-2)의 꼭지점이 맞닿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수직 기준홀(134-1, 134-2)은 지지부(121)의 타측면에 형성된다. 이때, 한 쌍의 제2 수직 기준홀(134-1, 134-2)은 한 쌍의 제1 수직 기준홀(131-1, 131-2)이 형성된 지지부(121)의 측면과 이웃한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1 수직 기준홀(134-1)과 제2-2 수직 기준홀(134-2)은 이등변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1 수직 기준홀(134-1)과 제2-2 수직 기준홀(134-2)은 마주보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1 수직 기준홀(134-1)의 꼭지점과 제2-2 수직 기준홀(134-2)의 꼭지점은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제2-1 수직 기준홀(134-1)과 제2-2 수직 기준홀(134-2)이 상호 이격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1 수직 기준홀(134-1)의 꼭지점과 제2-2 수직 기준홀(134-2)의 꼭지점이 맞닿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한 쌍의 제1 수직 기준홀(131-1, 131-2) 및 한 쌍의 제2 수직 기준홀(134-1, 134-2)이 이등변 삼각형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한 쌍의 제1 수직 기준홀(131-1, 131-2) 및 한 쌍의 제2 수직 기준홀(134-1, 134-2)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꼭지점을 갖는 한 쌍의 도형(예를 들어,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으로 이루어지고, 각 도형의 꼭지점이 마주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도형에서 마주하는 꼭지점은 동일 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줄(137)의 일단은 지지부(121) 내에서 지지부(121)의 일측에 고정 연결되고, 연결줄(137)의 타단에는 중심추(139)가 연결된다. 연결줄(137)은 중심추(139)의 무게에 의해 직선으로 내리워지게 된다. 이때, 연결줄(137)은 지지부(121) 내에서 한 쌍의 제1 수직 기준홀(131-1, 131-2) 및 한 쌍의 제2 수직 기준홀(134-1, 134-2)을 지나도록 그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연결줄(137)이 한 쌍의 제1 수직 기준홀(131-1, 131-2) 및 한 쌍의 제2 수직 기준홀(134-1, 134-2)의 각 꼭지점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통해 수직 지지 장치(102)가 천정 및 바닥과 수직하게 설치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는 지지부(121)를 일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연결줄(137)이 한 쌍의 제1 수직 기준홀(131-1, 131-2)의 각 꼭지점들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지지부(121)를 타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연결줄(137)이 한 쌍의 제2 수직 기준홀(134-1, 134-2)의 각 꼭지점들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수직 지지 장치(102)가 천정 및 바닥과 수직하게 설치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직 지지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수직 확인 수단(123)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었다. 도 8을 참조하면, 수직 확인 수단(123)은 제1 윈도우(141), 제2 윈도우(143), 연결줄(137), 및 중심추(139)를 포함한다. 여기서, 연결줄(137) 및 중심추(139)는 도 7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윈도우(141)는 지지부(121)의 일측면에 형성된다. 제1 윈도우(141)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윈도우(141)에는 제1 수직 기준선(145)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제1 수직 기준선(145)은 제1 윈도우(141)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일직선으로 표시될 수 있다.
제2 윈도우(143)는 지지부(121)의 타측면에 형성된다. 제2 윈도우(143)는 제1 윈도우(141)가 형성된 지지부(121)의 일측면과 이웃한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윈도우(143)에는 제2 수직 기준선(147)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제2 수직 기준선(147)은 제2 윈도우(143)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일직선으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연결줄(137)이 제1 윈도우(141)의 제1 수직 기준선(145) 및 제2 윈도우(143)의 제2 수직 기준선(147)과 평행(또는 일치)한지 여부를 통해 수직 지지 장치(102)가 천정 및 바닥과 수직하게 설치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는 지지부(121)를 일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연결줄(137)이 제1 윈도우(141)의 제1 수직 기준선(145)과 평행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지지부(121)를 타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연결줄(137)이 제2 윈도우(143)의 제2 수직 기준선(147)과 평행한지 여부를 확인하여 수직 지지 장치(102)가 천정 및 바닥과 수직하게 설치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수직 지지 장치(102)는 수직 확인 수단(123)을 구비함으로써, 천정과 바닥 사이에 수직 지지 장치(102)를 설치할 때 수직 지지 장치(102)가 천정 및 바닥과 수직을 이루는지 여부를 별도의 장비 또는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도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수직 지지 장치(102)를 천정 및 바닥과 수직하게 설치함으로써, 건축 구조물을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제1 고정 조절부(125)는 지지부(121)의 일단에 형성된다. 제1 고정 조절부(125)는 지지부(121)의 일단을 천정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고정 조절부(125)는 지지부(121)의 회전에 따라 그 길이가 조절되어 지지부(121)의 일단을 천정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고정 조절부(127)는 지지부(121)의 타단에 형성된다. 제2 고정 조절부(127)는 지지부(121)의 타단을 바닥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고정 조절부(127)는 지지부(121)의 회전에 따라 그 길이가 조절되어 지지부(121)의 타단을 바닥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고정 조절부(125) 및 제2 고정 조절부(127)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고정 조절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고정 조절부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다. 여기서는, 제1 고정 조절부(125)만 나타내었으나 제2 고정 조절부(127)도 제1 고정 조절부(125)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1 고정 조절부(125)는 결합 수단(150) 및 길이 조절 수단(160)을 포함한다.
결합 수단(150)은 지지부(121)의 일단에 결합된다. 결합 수단(150)은 결합 본체(151) 및 고정 너트(155)를 포함한다. 결합 본체(151)의 일측은 지지부(121)의 일단에 삽입되어 지지부(121)와 결합될 수 있다. 결합 본체(151)의 외주면에는 지지부(121)의 일단이 안착되는 걸림턱(152)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본체(151)의 일측 내부에는 고정 너트 수납부(153)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본체(151)의 타측 내부에는 제1 관통 나사홀(154)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관통 나사홀(154)은 고정 너트 수납부(153)와 연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너트(155)는 고정 너트 수납부(153)에 수납되어 고정된다. 고정 너트(155)에는 제2 관통 나사홀(157)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관통 나사홀(157)은 결합 본체(151)의 내부에서 제1 관통 나사홀(154)과 연결될 수 있다.
길이 조절 수단(160)은 결합 수단(150)과 결합되며, 지지부(121)의 회전 방향에 따라 결합 수단(150)에서 인출 또는 인입되어 수직 지지 장치(102)의 전체 길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길이 조절 수단(160)은 베이스부(161), 길이 조절 볼트(163), 고정 스파이크(165), 및 완충 부재(167)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61)의 일면에는 길이 조절 볼트(163)가 형성되고, 베이스부(161)의 타면에는 고정 스파이크(165)가 형성될 수 있다. 길이 조절 볼트(163)는 소정 길이를 가지고 형성된다. 길이 조절 볼트(163)의 외주면에는 길이 조절 볼트(163)의 길이를 따라 나사산(163a)이 형성된다. 길이 조절 볼트(163)는 제1 관통 나사홀(154) 및 제2 관통 나사홀(157)과 결합될 수 있다. 즉, 길이 조절 수단(160)은 길이 조절 볼트(163), 제1 관통 나사홀(154), 및 제2 관통 나사홀(157)을 통해 결합 수단(150)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고정 스파이크(165)는 베이스부(161)의 타면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스파이크(165)는 종단이 뾰족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스파이크(165)는 길이 조절 볼트(163)가 결합 수단(150)에서 인출됨에 따라 완충 부재(167)를 관통하여 천정에 박혀 수직 지지 장치(102)의 일단을 천정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완충 부재(167)는 베이스부(161)의 타면에서 고정 스파이크(165)를 감싸며 형성될 수 있다. 완충 부재(167)는 고정 스파이크(165)의 높이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완충 부재(167)는 예를 들어,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121)를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길이 조절 볼트(163)가 제1 관통 나사홀(154) 및 제2 관통 나사홀(157)을 따라 이동하면서 결합 수단(150) 밖으로 인출되게 된다. 그리고, 지지부(121)를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길이 조절 볼트(163)가 제1 관통 나사홀(154) 및 제2 관통 나사홀(157)을 따라 이동하면서 결합 수단(150) 내부로 인입되게 된다. 이때, 지지부(121)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1 고정 조절부(125)의 길이 조절 볼트(163)의 나사산과 지지부(121)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2 고정 조절부(127)의 길이 조절 볼트(163)의 나사산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121)를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제1 고정 조절부(125)의 길이 조절 볼트(163) 및 제2 고정 조절부(127)의 길이 조절 볼트(163)가 각각 결합 수단(150) 밖으로 인출되게 된다. 그리고, 지지부(121)를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제1 고정 조절부(125)의 길이 조절 볼트(163) 및 제2 고정 조절부(127)의 길이 조절 볼트(163)가 각각 결합 수단(150) 내부로 인입되어 수직 지지 장치(102)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지지 장치를 천정과 바닥 사이에 설치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지지부(121)의 일단에 제1 고정 조절부(125)가 형성되고, 지지부(121)의 타단에 제2 고정 조절부(127)가 형성된다. 여기서, 수직 지지 장치(102)를 바닥(A)에 놓고, 지지부(121)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제2 고정 조절부(127)의 길이 조절 볼트(163)가 제2 고정 조절부(127)의 제1 관통 나사홀(154) 및 제2 관통 나사홀(157)을 따라 이동하면서 결합 수단(150) 밖으로 인출되어 수직 지지 장치(102)의 전체 길이가 늘어나게 된다. 이때, 제1 고정 조절부(125)는 허공에 놓여 있으므로 지지부(121)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 후, 제1 고정 조절부(125)가 천정(B)에 닿게 되면, 지지부(121)가 회전할 때 제1 고정 조절부(125)의 길이 조절 볼트(163)가 제1 고정 조절부(125)의 제1 관통 나사홀(154) 및 제2 관통 나사홀(157)을 따라 이동하면서 결합 수단(150) 밖으로 인출하게 된다. 여기서, 제1 고정 조절부(125)의 길이 조절 볼트(163)가 인출됨에 따라 제1 고정 조절부(125)의 완충 부재(167)가 천정(B)에 압박되어 수축하게 되고 고정 스파이크(165)가 완충 부재(167)를 뚫고 나와 천정(B)에 박히게 된다. 이 경우, 천정과 바닥 사이의 길이에 맞춰 수직 지지 장치(102)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수직 지지 장치(102)에 형성된 수직 확인 수단(123)을 통해 수직 여부를 확인하면서 수직 지지 장치(102)를 설치할 수 있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지지 장치에 제1 지지 프레임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지지 장치에 제1 지지 프레임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제1 지지 프레임(104)은 수직 지지 장치(102)의 일 측면에 결합된다. 이때, 제1 지지 프레임(104)은 수직 지지 장치(102)와 수직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지지 프레임(104)은 예를 들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 프레임(104)의 상호 대향하는 변 중 한변(104-a)은 다른 변보다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 프레임(104)의 길게 연장된 변(104-a)이 수직 지지 장치(102)의 일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지지 프레임(104)은 "ㄷ"자 형상의 개방부가 상부를 향하여 수직 지지 장치(102)에 결합될 수 있다.
수직 지지 장치(102)에는 지지 프레임 결합 수단(170)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 결합 수단(170)은 제1 지지 프레임(104)을 수직 지지 장치(102)와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지지 프레임 결합 수단(170)을 통해 수직 지지 장치(102)에서의 제1 지지 프레임(104)의 결합 위치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지지 프레임 결합 수단(170)은 위치 조절 슬릿(171), 고정 플레이트 수납부(173), 고정 플레이트(175), 및 결합 부재(177)를 포함한다.
위치 조절 슬릿(171)은 지지부(121)의 일 측면에 지지부(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위치 조절 슬릿(171)은 지지부(121)의 측면 중 수직 확인 수단(123)이 형성되지 않은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 수납부(173)는 위치 조절 슬릿(171)이 형성된 지지부(121)의 측면 내측에서 위치 조절 슬릿(171)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 수납부(173)는 내부에 수납 공간(S)을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175)는 고정 플레이트 수납부(173) 내에 수납된다. 고정 플레이트(175)는 고정 플레이트 수납부(173) 내에 적어도 하나가 수납될 수 있다. 각 고정 플레이트(175)에는 제1 관통홀(175-1)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175)는 결합 부재(177)와 결합되어 제1 지지 프레임(104)을 수직 지지 장치(102)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 지지 프레임(104)이 수직 지지 장치(102)와 결합하기 전, 고정 플레이트(175)의 제1 관통홀(175-1)에 결합 부재(177)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고정 플레이트(175)는 고정 플레이트 수납부(173) 내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고정 플레이트(175)의 폭은 위치 조절 슬릿(171)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다. 결합 부재(177)를 고정 플레이트(175)에 결합시켜 놓으면 결합 부재(177)가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1 지지 프레임(104)을 수직 지지 장치(102)에 결합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고정 플레이트(175)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고정시킨 후 결합 부재(177)를 고정 플레이트(175)에서 분리시킨다. 다음으로, 제1 지지 프레임(104)을 수직 지지 장치(102)의 해당 위치에 접촉시킨 후, 결합 부재(177)를 제1 지지 프레임(104)의 길게 연장된 변(104-a)에 형성된 제2 관통홀(179) 및 제1 관통홀(175-1)에 결합시킨다. 결합 부재(177)로는 볼트가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관통홀(179) 및 제1 관통홀(175-1)의 내측에는 볼트에 대응되는 나사홈이 형성되게 된다. 다음으로, 결합 부재(177)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지지 프레임(104)의 길게 연장된 변(104-a)이 지지부(121)의 외면에 밀착되고, 고정 플레이트(175)가 지지부(121)의 내면에 밀착되면서 제1 지지 프레임(104)과 수직 지지 장치(102)가 견고히 결합되게 된다. 이때, 수직 지지 장치(102)에 다른 제1 지지 프레임(104)을 결합시키는 경우, 고정 플레이트 수납부(173)에 수납된 다른 고정 플레이트(175)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상기 다른 제1 지지 프레임(104)을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지지 프레임을 제1 지지 프레임에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수직 지지 장치(102)에 제1 지지 프레임(104)이 수직하게 결합되고, 수직 지지 장치(102)의 상단에 마감 패널(106)이 결합될 수 있다. 마감 패널(106)에는 마감 패널(106)의 길이 방향을 따라 조명 레일(118)이 형성될 수 있다. 조명 레일(118)에는 조명 수단(미도시)(예를 들어, LED, OLED, 형광 램프, 조명 모듈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제2 지지 프레임(108)은 제1 지지 프레임(104)과 수직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지지 프레임(108)은 제1 지지 프레임(104)의 상호 대향하는 변 중 짧은 변(104-b)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지지 프레임(108)의 양측에는 결합 플레이트(18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 프레임(108)의 중앙 부분은 결합 플레이트(181)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 프레임(108)의 돌출된 중앙 부위에는 복수 개의 결합홈(184)이 상호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 프레임(108)은 제1 지지 프레임(104)의 짧은 변(104-b) 및 결합 플레이트(181)에 각각 형성된 관통홀에 볼트와 같은 결합 부재를 삽입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지지 프레임(104)과 제2 지지 프레임(108)은 그 이외의 다양한 결합 방식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결합 플레이트(181)에는 파티션(110)이 결합될 수 있다. 파티션(110)은 결합 플레이트(181)에 끼움 결합될 수 있으나, 결합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획 패널이 제2 지지 프레임에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2 지지 프레임(108)의 각 결합 플레이트(181)에는 파티션(110)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지지 프레임(108)의 전면에서 구획 패널(112)이 제2 지지 프레임(108)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구획 패널(112)의 일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 부재(191)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돌기 부재(191)에는 하부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191-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구획 패널(112)의 결합 돌기(191-1)가 제2 지지 프레임(108)의 결합홈(184)에 삽입되어 구획 패널(112)과 제2 지지 프레임(108)이 결합될 수 있다. 구획 패널(112)은 예를 들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구획 패널(112)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획 패널(112)의 전방에는 구획 패널 커버(194)가 구획 패널(112)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구획 패널(112)은 구획 패널 커버(194)의 내측으로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는, 구획 패널(112)이 구획 패널 커버(194)와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획 패널(112)과 구획 패널 커버(194)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구획 패널(112)의 내부에는 수납 선반(197)이 형성될 수 있다. 수납 선반(197)은 조명 기기, 어댑터 등과 같은 기기 또는 도구들을 수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2 : 수직 지지 장치 104 : 제1 지지 프레임
106 : 마감 패널 108 : 제2 지지 프레임
110 : 파티션 112 : 구획 패널
114 : 선반
118 : 조명 레일
121 : 지지부 123 : 수직 확인 수단
125 : 제1 고정 조절부 127 : 제2 고정 조절부
131-1, 131-2 : 한 쌍의 제1 수직 기준홀
134-1, 134-2 : 한 쌍의 제2 수직 기준홀
137 : 연결줄 139 : 중심추
141 : 제1 윈도우 143 : 제2 윈도우
145 : 제1 수직 기준선 147 : 제2 수직 기준선
150 : 결합 수단 151 : 결합 본체
152 : 걸림턱 153 : 고정 너트 수납부
154 : 제1 관통 나사홀 155 : 고정 너트
157 : 제2 관통 나사홀
160 : 길이 조절 수단 161 : 베이스부
163 : 길이 조절 볼트 163a : 나사산
165 : 고정 스파이크
167 : 완충 부재
170 : 지지 프레임 결합 수단 171 : 위치 조절 슬릿
173 : 고정 플레이트 수납부 175 : 고정 플레이트
175-1 : 제1 관통홀 177 : 결합 부재
179 : 제2 관통홀
181 : 결합 플레이트 184 : 결합홈
191 : 결합 돌기 부재 191-1 : 결합 돌기
194 : 구획 패널 커버 197 : 수납 선반

Claims (17)

  1. 제1 지지면 및 상기 제1 지지면과 평행한 제2 지지면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제1 지지면 및 상기 제2 지지면과 수직하게 설치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수직 확인 수단; 및
    상기 지지부의 양단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에서 인출 또는 인입되면서 길이가 조절되는 고정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 확인 수단은,
    지지부의 일측면에 마주보고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수직 기준홀;
    상기 지지부의 다른 측면에 마주보고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수직 기준홀; 및
    일단이 상기 지지부 내에 고정 연결되고, 타단에 중심추가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제1 수직 기준홀 및 상기 한 쌍의 제2 수직 기준홀을 통해 상기 지지부의 수직 설치 여부를 확인하는 연결줄을 포함하는, 수직 지지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수직 기준홀 및 상기 한 쌍의 제2 수직 기준홀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꼭지점을 갖는 한 쌍의 도형이 상기 꼭지점을 마주하며 형성되고, 상기 마주하는 꼭지점은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수직 지지 장치.
  4. 제1 지지면 및 상기 제1 지지면과 평행한 제2 지지면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제1 지지면 및 상기 제2 지지면과 수직하게 설치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수직 확인 수단; 및
    상기 지지부의 양단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에서 인출 또는 인입되면서 길이가 조절되는 고정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확인 수단은,
    상기 지지부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제1 수직 기준선이 표시되는 제1 윈도우;
    상기 지지부의 다른 측면에 형성되고 제2 수직 기준선이 표시되는 제2 윈도우; 및
    일단이 상기 지지부 내에 고정 연결되고, 타단에 중심추가 연결되며, 상기 제1 윈도우 및 상기 제2 윈도우를 통해 상기 지지부의 수직 설치 여부를 확인하는 연결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직 기준선은 상기 제1 윈도우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일직선으로 표시되고, 상기 제2 수직 기준선은 상기 제2 윈도우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일직선으로 표시되는, 수직 지지 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조절부는,
    상기 지지부의 말단에 결합되는 결합 수단; 및
    상기 결합 수단과 결합되고 상기 결합 수단에서 인출 또는 인입되어 길이가 조절되는 길이 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수직 지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지지부의 말단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와 결합되는 일측 내부에 형성되는 고정 너트 수납부 및 타측 내부에 상기 고정 너트 수납부와 연통하여 형성되는 제1 관통 나사홀을 포함하는 결합 본체; 및
    상기 고정 너트 수납부에 수납되어 고정되고, 내부에 제2 관통 나사홀이 형성되는 고정 너트를 포함하는, 수직 지지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조절 수단은,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관통 나사홀 및 상기 제2 관통 나사홀과 나사 결합하며, 상기 지지부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결합 수단에서 인출 또는 인입되는 길이 조절 볼트;
    상기 베이스부의 타면에 형성되는 완충 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의 타면에서 상기 완충 부재 내에 형성되고, 상기 길이 조절 볼트가 인출됨에 따라 상기 완충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제1 지지면 또는 상기 제2 지지면에 고정되는 고정 스파이크를 포함하는, 수직 지지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조절부는,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1 고정 조절부; 및
    상기 지지부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2 고정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 조절부의 길이 조절 볼트의 나사산의 방향과 상기 제2 고정 조절부의 길이 조절 볼트의 나사산의 방향은 반대로 형성되는, 수직 지지 장치.
  9.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지지 장치는,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지 프레임을 상기 지지부와 수직하게 결합시키는 지지 프레임 결합 수단을 더 포함하는, 수직 지지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 결합 수단은,
    상기 지지부의 측면에 상기 지지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위치 조절 슬릿;
    상기 지지부의 측면 내측에서 상기 위치 조절 슬릿을 따라 형성되는 고정 플레이트 수납부;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 수납부 내에 수납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 수납부 내에서 이동하며 결합 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을 상기 지지부에 밀착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수직 지지 장치.
  11. 제1 지지면 및 상기 제1 지지면과 평행한 제2 지지면 사이에 설치되고 상호 이격된 복수 개의 수직 지지 장치;
    상기 복수 개의 수직 지지 장치와 수직하게 각각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지 프레임;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의 양측에 결합되는 파티션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 지지 장치는, 상기 수직 지지 장치가 상기 제1 지지면 및 상기 제2 지지면과 수직하게 설치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수직 확인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 확인 수단은,
    상기 지지부의 일측면에 마주보고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수직 기준홀;
    상기 지지부의 다른 측면에 마주보고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수직 기준홀; 및
    일단이 상기 지지부 내에 고정 연결되고, 타단에 중심추가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제1 수직 기준홀 및 상기 한 쌍의 제2 수직 기준홀을 통해 상기 지지부의 수직 설치 여부를 확인하는 연결줄을 포함하는, 건축 구조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지지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지 프레임을 상기 수직 지지 장치와 수직하게 결합시키는 지지 프레임 결합 수단을 포함하는, 건축 구조물.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은,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 프레임과 결합되는 결합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의 돌출된 중앙 부위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결합홈을 포함하는, 건축 구조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 구조물은,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의 전방에서 상기 제2 지지 프레임과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획 패널을 더 포함하는, 건축 구조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 패널은,
    상기 구획 패널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 프레임과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돌기 부재는, 상기 구획 패널의 일측에서 하부로 절곡되며,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를 포함하는, 건축 구조물.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 구조물은,
    상기 수직 지지 장치의 상단 및 하단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마감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마감 패널에는, 상기 마감 패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조명 레일이 형성되는, 건축 구조물.
  17. 제1 지지면 및 상기 제1 지지면과 평행한 제2 지지면 사이에 설치되고 상호 이격된 복수 개의 수직 지지 장치;
    상기 복수 개의 수직 지지 장치와 수직하게 각각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지 프레임;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의 양측에 결합되는 파티션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지지 장치는, 상기 수직지지 장치가 상기 제1 지지면 및 상기 제2 지지면과 수직하게 설치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수직 확인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 확인 수단은,
    지지부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제1 수직 기준선이 표시되는 제1 윈도우;
    상기 지지부의 다른 측면에 형성되고 제2 수직 기준선이 표시되는 제2 윈도우; 및
    일단이 상기 지지부 내에 고정 연결되고, 타단에 중심추가 연결되며, 상기 제1 윈도우 및 상기 제2 윈도우를 통해 상기 지지부의 수직 설치 여부를 확인하는 연결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직 기준선은 상기 제1 윈도우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일직선으로 표시되고, 상기 제2 수직 기준선은 상기 제2 윈도우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일직선으로 표시되는, 건축 구조물.

KR20130080740A 2013-07-10 2013-07-10 수직 지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 KR101486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0740A KR101486033B1 (ko) 2013-07-10 2013-07-10 수직 지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0740A KR101486033B1 (ko) 2013-07-10 2013-07-10 수직 지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381A KR20150007381A (ko) 2015-01-21
KR101486033B1 true KR101486033B1 (ko) 2015-01-29

Family

ID=52570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0740A KR101486033B1 (ko) 2013-07-10 2013-07-10 수직 지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603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292B1 (ko) 2006-02-02 2006-09-22 (주)진우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포스트 기울기 교정장치
JP4981884B2 (ja) 2009-12-18 2012-07-25 株式会社サンキューハウスシステム 組立て式展示ブース、及びその構築方法
KR20130004002U (ko) * 2011-12-23 2013-07-03 김희선 소품 수납용 거치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292B1 (ko) 2006-02-02 2006-09-22 (주)진우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포스트 기울기 교정장치
JP4981884B2 (ja) 2009-12-18 2012-07-25 株式会社サンキューハウスシステム 組立て式展示ブース、及びその構築方法
KR20130004002U (ko) * 2011-12-23 2013-07-03 김희선 소품 수납용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381A (ko) 2015-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6523B2 (en) Noise redu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10407905B2 (en) Integrated perimeter pocket
JP2014056845A (ja) Led照明装置
KR20160063631A (ko) 벽체의 프레임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486033B1 (ko) 수직 지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
JP5552444B2 (ja) 手摺り
JP6749178B2 (ja) 垂壁パネル及び防煙垂壁
US9752320B2 (en) Trim assembly for a flexible panel in a false ceiling
US10260736B2 (en) Furniture structure with light sources
JP2021143560A (ja) 間仕切壁装置及び間仕切壁施工方法
JPH03100245A (ja) 間仕切り用パネル
JP2020026639A (ja) 内装壁構造
JP2008121327A (ja) 現地製作型壁面収納家具及びその製作方法
WO2021182112A1 (ja) 間仕切壁装置及び間仕切壁施工方法
KR101911829B1 (ko) 전시장 부스용 바닥 구조물
JP2019148077A (ja) 床構造体
EP3470726A1 (en) A fastening device for fastening lighting devices to a false ceiling
JP6629631B2 (ja) 面発光装置と建具
JP2009243047A (ja) 枠体の取付方法及び枠体ユニット
JP2021143562A (ja) 間仕切壁構造
KR20100114445A (ko)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
JP2015021316A (ja) 室内空間間仕切用フレーム
JP2007077744A (ja) 自立構造手術室
JP2005105616A (ja) 露出式等の内装用柱の取付け構造、真壁式間仕切り壁の構造及び内装構造
JP2003184210A (ja) 住宅の間仕切り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