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4445A -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 - Google Patents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4445A
KR20100114445A KR1020090087598A KR20090087598A KR20100114445A KR 20100114445 A KR20100114445 A KR 20100114445A KR 1020090087598 A KR1020090087598 A KR 1020090087598A KR 20090087598 A KR20090087598 A KR 20090087598A KR 20100114445 A KR20100114445 A KR 20100114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vertical
horizontal
frame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7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0012B1 (ko
Inventor
전병득
Original Assignee
(주) 에이에이치씨 시스템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이에이치씨 시스템창 filed Critical (주) 에이에이치씨 시스템창
Publication of KR20100114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4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0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0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8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Corner Units Of Frames 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몸체의 수평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공을 형성하여 상기 창호 프레임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몸체의 수직방향에는 상기 가이드 공과 어긋나게 다수개의 수직 체결공을 형성하면서 체결구를 결합하여 상기 창호 프레임에 고정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몸체의 수평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공을 형성하여 상기 수평, 수직프레임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다수의 공간부와 수평, 수직프레임의 지지대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중공부의 내측 중앙에는 상기 가이드 공과 어긋나게 다수개의 수직 체결공을 형성하고, 상기 몸체의 전후 수직면에는 끼움 결합 되는 수평, 수직프레임이 지지 되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보다 높게 형성되는 단턱부와, 상기 수평, 수직프레임의 나사체결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형성하여 구성되어, 체결구에 의해 상기 수평, 수직프레임의 정해진 위치마다 설치되어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을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른 창호 프레임의 연결과 위치조절이 용이하면서도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창호 프레임 연결구, 몸체, 가이드 공, 수직 체결공, 창호, 수평, 수직프레임.

Description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Joint for a window frame}
본 발명은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창호의 설치시 창호 프레임을 구성하는 수평, 수직프레임의 지정된 위치와 코너 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하여 손쉽고 간단하게 창호 프레임의 수평, 수직프레임을 연결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공건물, 작업장, 사무실, 공통주택 등을 포함한 각종 건축물에는 단수 또는 복수의 창문이 마련되는 창호가 보편적으로 설치되는데, 건축물에 설치되는 창호는 생활공간에 대한 미려한 경관의 확보와, 충분한 일조량의 확보, 단열과 방음기능 부여 및 외부 오염물질의 유입을 차단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할 목적으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창호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창틀의 형성을 필수적으로 요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창호를 도시된 도 1을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창호(200)는 상하의 수평프레임과 좌우의 수직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양 끝단은 소정의 각도(예를 들어, 45°)로 절단되어 있어 이 부분이 서로 접합 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창호(200)는 건물의 벽체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창호(200)의 설치 후 내측으로 창문(100)을 결합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창호는 창호 프레임의 일부가 파손 또는 손상되어도 창호 프레임 전체를 교체하여 폐기하여야 하므로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는 종래 복수의 창문이 마련되는 창호를 나타내는 정면도와 단면도이다.
이러한 복수 창문의 창호(200)는 상하로 배치되는 한쌍의 수평프레임(210)과 좌우로 배치되는 한쌍의 수직프레임(220)을 포함하며, 상기 상,하,좌,우 수평, 수직프레임(210,220)의 중간 중간에 창문(100)이 설치되도록 공간을 구획하는 다수의 수평, 수직프레임(210, 220)이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종래 복수 창문의 창호(200)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설치시 다수의 창문(100)을 마련하기 위해 창호(200)를 구획하는 수평, 수직프레임(210,220)의 고정을 위해서 위치를 지정한 후 수평프레임(210) 및 수직프레임(220)의 일단과 가이드레일(230)을 일부 절개한 다음 수평프레임(210)과 수직프레임(220)에 수직프레임(220) 및 수평프레임(210)의 일단을 삽입 결합한 후, 수평, 수직프레임(210,220)의 나사체결돌기(240)에 외부에서 상기 나사(300)로 체결하여 프레임을 설치해야 함으로써 나사를 정 위치에 체결하지 못하는 경우 프레임과 가이드 레일이 손상되는 문제점과, 설치작업이 번거로워 작업시간과 그에 따른 경비가 증가하 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창문의 설계변경이나 보수시 창호 프레임을 구성하는 수평, 수직프레임을 새로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과 교체나 보수시 창호 프레임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단수 또는 복수 창문을 마련하는 창호의 설치시 창호를 구성하는 수평, 수직프레임의 지정된 곳과 맞닿는 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하여 손쉽고 간단하게 수평, 수직프레임을 연결고정 및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창호 프레임 연결구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몸체의 수평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공을 형성하여 상기 창호 프레임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몸체의 수직방향에는 상기 가이드 공과 어긋나게 다수개의 수직 체결공을 형성하면서 체결구를 결합하여 상기 창호 프레임에 고정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몸체의 수평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공을 형성하여 상기 수평, 수직프레임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다수의 공간부와 수평, 수직프레임의 지지대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중공부의 내측 중앙에는 상기 가이드 공과 어긋나게 다수개의 수직 체결공을 형성하고, 상기 몸체의 전후 수직면에는 끼움 결합 되는 수평, 수직프레임이 지지 되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보다 높게 형성되는 단턱부와, 상기 수평, 수직프레임의 나사 체결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형성하여 구성되어, 체결구에 의해 상기 수평, 수직프레임의 정해진 위치마다 설치되어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을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수 또는 복수창을 마련하는 창호의 설치시 창호를 구성하는 수평, 수직프레임의 지정된 위치와 코너 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어 손쉽고 간단하게 수평, 수직프레임을 연결고정 및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창호를 구성하는 수평, 수직프레임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원하는 곳으로 이동 및 고정할 수 있으므로 창호 프레임의 설치변경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그에 따른 변경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의 제1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창호 프레임 연결구(30)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고 형성되는 몸체(31)와, 상기 몸체(31)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공(32)과, 상기 몸체(31)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 체결공(33)과, 상기 몸 체(31)의 전, 후면에 형성되는 단턱부(3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창호 프레임 연결구(30)는 직사각형 형상의 몸체(31)를 가지고 하부 수평방향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공(32)이 형성되고 수직방향에는 다수개의 수직 체결공(33)이 형성된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몸체(31)의 수평방향에 형성되는 가이드 공(32)은 벽면에 설치되는 창호 프레임(20)의 가이드 레일(21)의 형상과 개수에 맞추어 대응되게 형성되되,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드 공(32)은 몸체(31)의 단턱부(34)를 기준으로 하부 두 곳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31)의 수직방향에 형성되는 수직 체결공(33)은 상기 가이드 공(32)이 형성되는 위치와 어긋나는 위치에 형성되며, 본 발명에서 상기 수직 체결공(33)은 몸체(31)의 중앙 두 곳과 가장자리 네 곳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31)의 전, 후 수직면에 형성되는 단턱부(34)는 상기 창호 프레임(20)의 가이드 레일(21)보다 높게 형성되어, 끼움 결합되는 다른 창호 프레임(2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의 사용상태를 첨부도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몸체(31)의 하부 두 곳에 가이드 공(32)을 형성하고, 중앙 두 곳과 가장자리 네 곳에 수직 체결공(33)을 형성하며, 전, 후 수직면에 단턱부(34)를 형성한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30)를 다수개 준비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창호 프레임(20)의 가이드 레일(21)에 다수개의 창호 프레임 연결구(30)를 끼움 삽입한다. 이때, 상기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30)의 개수는 설치되는 창호 프레임(20)의 개수에 맞추어 삽입한다.
즉, 상기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30)의 가이드 공(32)을 상기 창호 프레임(20)의 가이드 레일(21)에 끼움 삽입한 후 상기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30)를 상기 가이드 레일(21)을 따라 이동시킨 다음 지정된 위치에서 상기 수직 체결공(33)에 체결구(60)를 체결결합하여 창호 프레임(20)에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30)를 고정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다수개의 창틀 프레임용 연결구(30)를 창호 프레임(20)에 고정설치한다.
다음으로 상기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30)에 창호 프레임(20)이나 창틀 프레임용 연결구(30)가 구비된 창틀 프레임(20)을 장착하면 창호(20)의 틀을 완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30)에 끼움 삽입되는 창호 프레임(20)은 상기 가이드 레일(21)보다 높게 형성되는 단턱부(34)에 지지됨으로써 창호 프레임(20)과 다른 창호 프레임(20) 가이드 레일(21)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첨부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첨부 도면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40)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고 형성되는 몸체(41)와, 상기 몸체(41)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공(42)과, 상기 몸체(41)의 상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공간부(45)와, 상기 중공부(45)의 내측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 체결공(43)과, 상기 몸체(41)의 전후면에 형성되는 단턱부(44)와, 상기 수평, 수직프레임(21,22)의 나사체결돌기(21c,22c)가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41)의 전후면에 요입형성되는 삽입홈(47)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40)는 직사각형 형상의 몸체(41)를 가지고 하부 수평방향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공(42)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41)의 상부에는 다수의 공간부(45)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45)의 내측 중앙에는 수직방향으로 다수개의 수직 체결공(4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45)의 상부 중앙에는 수평, 수직프레임(21,22)의 내부에 형성되는 지지대(21b,22b)가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홈(46)이 형성되고, 몸체(41)의 전후 수직면에는 상기 수평, 수직프레임(21,22)의 내부에 형성되는 나사체결돌기(21c,22c)가 삽입되는 삽입홈(47)과 단턱부(44)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한 끼움홈(46)과 삽입홈(47)은 상기 수평, 수직프레임(21,22)의 일단부가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40)의 상부에 삽입될 때 수평, 수직프레임(21,22)의 내부에 형성되는 지지대(21b,22b)와 나사체결돌기(21c,22c)가 타이트하게 삽입되도록 하여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연결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41)의 전, 후 수직면에 형성되는 단턱부(44)는 상기 수평, 수직프레임(21,22)의 가이드 레일(21a,22a)보다 높게 형성되어 끼움 결합되는 수평, 수직프레임(21,22)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몸체(41)의 수평방향에 형성되는 가이드 공(42)은 벽면에 설치되는 창호(20)의 수평, 수직프레임(21,22)의 가이드 레일(21a,22a)의 형상과 개수에 맞추어 대응되게 형성되며,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드 공(42)은 몸체(41)의 단턱부(44)를 기준으로 하부 두 곳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41)의 상부 공간부(45)의 내측 중앙의 수직방향에 형성되는 수직 체결공(43)은 상기 가이드 공(42)이 형성되는 위치와 어긋나는 위치에 형성되며, 본 발명에서 상기 수직 체결공(43)은 몸체(41)의 중앙에 형성되는 공간부(45) 두 곳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공간부(45)는 몸체(41)를 형성할 때 재료를 절감하고 무게를 줄이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40)의 사용상태를 첨부 도면 도 9,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몸체(41)의 하부 두 곳에 가이드 공(42)을 형성하고, 상부 중앙 두 곳에 수직 체결공(43)을 형성하며, 전, 후 수직면에 단턱부(44)와 수평, 수직프레임(21,22)의 나사체결돌기(21c,22c)가 삽입되는 삽입홈(47)을 형성한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40)를 다수개수 준비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복수의 창문(10)이 마련되는 창호(20)의 수평프레 임(21)과 수직프레임(22)의 가이드 레일(21a,22a)에 다수개의 창호 프레임 연결구(40)를 끼워 삽입한다. 이때, 상기 창호 프레임 연결구(40)의 개수는 설치되는 수평, 수직프레임(21,22)의 개수에 맞추어 삽입한다.
즉, 상기 창호 프레임 연결구(40)의 가이드 공(42)을 상기 수평, 수직프레임(21,22)의 가이드 레일(21a,22a)에 끼워 삽입한 후 상기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40)를 상기 가이드 레일(21a,22a)을 따라 이동시킨 다음 지정된 위치에서 상기 수직 체결공(43)에 체결구(60)를 체결결합하여 수평프레임(21) 및 수직프레임(22)에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40)를 고정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다수개의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40)를 수평, 수직프레임(21,22)에 고정설치한다.
다음으로 상기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40)의 상부에 준비된 수평, 수직프레임(21,22)의 단부를 끼워 넣어 장착하여 수평, 수직프레임(21,22)들을 순차적으로 조립하면 창호(20)의 틀을 완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40)의 상부에 형성되는 끼움홈(46)과 전후면에 형성되는 삽입홈(47)에 상기 수평, 수직프레임(21,22)의 내부에 형성되는 지지대(21b,22b)와 나사체결돌기(21c,22c)가 삽입되도록 수평프레임(21)이나 수직프레임(22)의 단부를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40)에 장착한다.
이렇게 하면 상기 수평, 수직프레임(21,22)이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연결 고정되도록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40)에 끼움 삽입되는 수평, 수직프레 임(21,22)의 일단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21a,22a)보다 높게 형성되는 단턱부(44)에 지지됨으로써 수평, 수직프레임(21,22)의 가이드 레일(21a,22a)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첨부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첨부 도면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50)는 수평, 수직 방향으로 다수의 가이드 공(52)과 수직 체결공(53)을 형성한 몸체(51)를 직각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몸체(50)는 상기 수평프레임(21)과 수직프레임(22)이 맞닿는 코너 부분에 장착하여 수평프레임(21)과 수직프레임(22)의 코너 부분을 직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5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달리 도시된 도 11과 같이 형성될 수 있는데 즉, 수평, 수직 방향으로 다수의 가이드 공(52)과 수직 체결공(53)을 형성한 몸체(51)를 직각 형상으로 형성하여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50)를 형성한 것이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가이드 공(52)과 수직 체결공(53)이 직각으로 형성된 몸체(51)를 수평프레임(21)과 수직프레임(22)이 맞닿는 모서리 부분 즉, 코너부에 장착하여 수평프레임(21)과 수직프레임(22)을 손쉽게 직각으로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첨부도면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평, 수직 방향으로 다수의 가이드 공(52)과 수직 체결공(53)을 형성한 몸체(51)를 직각 형상으로 형성한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50)를 다수개수 준비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창호 프레임 연결구(50)의 일측 가이드 공(52)을 상기 수평프레임(21)이나 수직프레임(22)의 코너 부분의 가이드 레일(21a,22a)에 끼워 삽입한 다음 준비된 수평프레임(21)이나 수직프레임(22)의 가이드 레일(21a,22a)을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50)의 타측 가이드 공(52)에 삽입한 후 체결구(60)를 체결결합하여 수평프레임(21)과 수직프레임(22)을 직각으로 고정한다.
이렇게 하면 상기 수평, 수직프레임(21,22)의 코너부를 손쉽게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는 단수 또는 복수의 창문을 마련하는 창호의 프레임 설치시 작업자가 간단하게 위치를 조절하면서 손쉽게 부착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증가하면서도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진보된 발명인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창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종래 복수의 창문이 마련되는 창호를 나타내는 정면도와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창호 프레임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의 제1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의 제2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의 제2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 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의 제3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창문 20 : 창호 틀
21 : 수평프레임 21a : 가이드 레일
22 : 수직프레임 22a : 가이드 레일
30,40,50 :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 31,41,51 : 몸체
32,42,52 : 가이드 공 33,43,53 : 체결 공
34,44,54 : 단턱부 60 : 체결구

Claims (5)

  1.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어 창문(10)이 마련되는 창호 프레임(20)에 장착되어 창호 프레임(20)을 연결 고정하는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30)에 있어서,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몸체(31)의 수평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공(32)을 형성하여 상기 창호 프레임(20)의 가이드 레일(2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몸체(31)의 수직방향에는 상기 가이드 공(32)과 어긋나게 다수개의 수직 체결공(33)을 형성하면서 체결구(60)를 결합하여 상기 창호 프레임(20)에 고정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31)를 구성하는 가이드 공(32)은 하부 두 곳에 형성하고 상기 수직 체결공(33)은 중앙 두 곳과 가장자리 네 곳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31)의 전, 후 수직면에 단턱부(34)를 형성하되, 상기 단턱부(34)는 상기 창호 프레임(20)의 가이드 레일(21)보다 높게 형성하여 끼움 결합되는 창 호 프레임(21)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
  4.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어 복수의 창문(10)이 마련되는 창호(20)를 구성하는 수평, 수직프레임(21,22)에 장착되어 수평, 수직프레임(21,22)을 연결 고정하는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40)에 있어서,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몸체(41)의 수평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공(42)을 형성하여 상기 수평, 수직프레임(21,22)의 가이드 레일(21a,22a)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몸체(41)의 상부에는 다수의 공간부(45)와 수평, 수직프레임(21,22)의 지지대(21b,22b)가 끼워지는 끼움홈(66)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41)의 상부에 형성된 중공부(45)의 내측 중앙에는 상기 가이드 공(42)과 어긋나게 다수개의 수직 체결공(43)을 형성하고,
    상기 몸체(41)의 전후 수직면에는 끼움 결합 되는 수평, 수직프레임(21,22)이 지지 되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21a,22a)보다 높게 형성되는 단턱부(44)와, 상기 수평, 수직프레임(21,22)의 나사체결돌기(21c,22c)가 삽입되는 삽입홈(47)을 각각 형성하여 구성되어,
    체결구(60)에 의해 상기 수평, 수직프레임(21,22)의 정해진 위치마다 설치되어 수평프레임(21)과 수직프레임(22)을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
  5.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어 창문(10)이 마련되는 창호 프레임(20)에 장착되어 창호 프레임(20)을 연결 고정하는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50)에 있어서,
    수평, 수직 방향으로 다수의 가이드 공(52)과 수직 체결공(53)을 형성한 몸체(51)를 직각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몸체(51)는 상기 수평프레임(21)과 수직프레임(22)이 맞닿는 코너 부분에 장착되어 체결구(60)로 체결하여 수평프레임(21)과 수직프레임(22)의 코너 부분을 직각으로 결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
KR1020090087598A 2009-04-15 2009-09-16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 KR1012000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32827 2009-04-15
KR1020090032827 2009-04-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445A true KR20100114445A (ko) 2010-10-25
KR101200012B1 KR101200012B1 (ko) 2012-11-12

Family

ID=43133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7598A KR101200012B1 (ko) 2009-04-15 2009-09-16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00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9770B1 (ko) * 2019-12-06 2020-03-16 금강창호기공 주식회사 원터치 조립방식의 레일 결합형 중중연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4152B1 (ko) * 2019-03-26 2020-10-12 문승근 창문 프레임의 위치를 조정해주는 브라켓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47761B1 (fr) 1996-04-18 1998-07-10 Alcan France Dispositif d'assemblage en equerre et de bridage entre deux profiles metalliques creux, disposes selon deux directions perpendiculaires
KR200144934Y1 (ko) * 1996-07-01 1999-06-15 이종학 창문의 프레임 고정장치
JP3831681B2 (ja) 2001-11-14 2006-10-11 郁雄 前島 サッシの組み立て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9770B1 (ko) * 2019-12-06 2020-03-16 금강창호기공 주식회사 원터치 조립방식의 레일 결합형 중중연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0012B1 (ko) 2012-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0012B1 (ko)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
KR20070093242A (ko) 창짝 프레임의 모서리 결합장치
JP2014095276A (ja) 増築構造物支持構造
KR101591091B1 (ko) 커튼 월
CN211229042U (zh) 隔墙侧边收口组件
KR100943239B1 (ko) 칸막이용 스터드
CN211774590U (zh) 一种快搭式户外建筑结构
CN213038635U (zh) 一种分装式墙体
JP2009221789A (ja) カーテンウォールおよび建物
KR101721223B1 (ko) 갤러리 창호
KR102240604B1 (ko) 커튼월 프레임의 접합 시스템 및 방법
JP2021143560A (ja) 間仕切壁装置及び間仕切壁施工方法
JP2020051182A (ja) 仮設建物の壁構造
KR20190018871A (ko) 설치가 용이하고 위치 조절이 가능한 창호 프레임 입면 분할 바 세트 및 이로부터 제조된 분할 창호
CN212802201U (zh) 一种用于吊顶安装的边角连接件及边角龙骨组件
CN211774830U (zh) 一种装配式墙体的连接结构
JP2019173432A (ja) 連窓構造の目地巾調整機構、及び目地巾調整方法
JP7193290B2 (ja) 壁つなぎ用治具及び外壁パネル部材
JP7057185B2 (ja) 室内建具
WO2021182112A1 (ja) 間仕切壁装置及び間仕切壁施工方法
CN109440977B (zh) 一种模块化阳光房墙体单元及其装配方法
KR101258539B1 (ko) 칸막이 시스템용 윈도우 구조
JP3129499U (ja) ドア枠ユニット構造
CN114277975A (zh) 一种模块化快装隔断墙面系统及其施工方法
KR20200067028A (ko) 건축물용 바닥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