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5738B1 - 가구 배치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가구 배치 서비스 이용 방법 - Google Patents

가구 배치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가구 배치 서비스 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5738B1
KR101485738B1 KR20140082697A KR20140082697A KR101485738B1 KR 101485738 B1 KR101485738 B1 KR 101485738B1 KR 20140082697 A KR20140082697 A KR 20140082697A KR 20140082697 A KR20140082697 A KR 20140082697A KR 101485738 B1 KR101485738 B1 KR 101485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space
setting
siz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82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요섭
최상민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40082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57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가구 배치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가구 배치 서비스 이용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가 가구 배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a) 가상의 주거 공간에 대한 설정과 상기 주거 공간에서 가구가 배치되는 가구 배치 영역에 대한 설정을 입력받는 단계, (b) 제 1 가구에 대한 선택과 상기 가구 배치 영역 중 상기 제 1 가구를 배치할 특정 위치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c) 상기 가구 배치 영역 중 상기 제 1 가구를 배치한 후 존재하는 잔여 공간의 사이즈를 산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산출된 잔여 공간에 배치할 수 있는 사이즈를 가지는 제 2 가구를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구 배치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가구 배치 서비스 이용 방법{METHOD, SERVER,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FURNITURE ARRANGEMENT SEVICE AND METHOD FOR USING FURNITURE ARRANGEMENT SEVICE}
본 발명은 가상의 공간에 가구를 배치해볼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그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를 구입할 때, 가구를 배치할 공간의 사이즈를 기억하고 그 사이즈를 기반으로 가구를 구입한 후 배치하며, 때때로 배치 위치가 변경되기도 하는데, 이때도 역시 가구를 재배치하려는 공간의 사이즈를 측정하고 이를 기억해야만 한다.
이러한 대표적인 예로서, 이사를 하거나 새로운 가구를 구입하는 경우 또는 기존에 배치되었던 가구의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가 그러하다.
이에, 가상의 공간에 사용자가 선택한 3차원 이미지의 가구를 배치해볼 수 있는 시뮬레이션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지만, 사용자가 선택한 가구만을 단순히 배치해볼 수 있을 뿐, 가구 배치 후 존재하는 잔여 공간의 활용에 대해서는 어떠한 기능도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상의 공간에서 가구 배치 후 존재하는 잔여 공간에 대한 활용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가 가구 배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a) 가상의 주거 공간에 대한 설정과 상기 주거 공간에서 가구가 배치되는 가구 배치 영역에 대한 설정을 입력 받는 단계, (b) 제 1 가구에 대한 선택과 상기 가구 배치 영역 중 상기 제 1 가구를 배치할 특정 위치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는 단계, (c) 상기 가구 배치 영역 중 상기 제 1 가구를 배치한 후 존재하는 잔여 공간의 사이즈를 산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산출된 잔여 공간에 배치할 수 있는 사이즈를 가지는 제 2 가구를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설정된 주거 공간의 사용 용도와 타인의 가구 배치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근거하여 상기 제 2 가구를 추천하되, 상기 제 2 가구는 상기 제 1 가구와 중복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a)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주거 공간의 모양과 사이즈 중 하나 이상을 직접 입력 받거나, 미리 설정된 공간의 모양과 사이즈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 1 가구에 대한 정보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가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가구에 대한 정보 요청은 상기 제 1 가구의 종류 및 사이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설정된 주거 공간을 메쉬 형태의 복수의 단위 영역으로 분할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단위 영역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선택을 상기 가구 배치 영역에 대한 설정으로 입력 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가구 배치 서비스 제공 방법은 (e) 상기 가구 배치 영역에 배치된 제 1 가구 또는 제 2 가구에 대한 선택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가구에 대한 구매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구매 정보는, 상기 선택된 가구를 구매할 수 있는 웹 사이트의 링크 주소, 상기 선택된 가구의 가격 및 색상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가 가구 배치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은 (a) 가상의 주거 공간에 대한 설정과 상기 주거 공간에서 가구가 배치되는 가구 배치 영역에 대한 설정을 입력 받는 단계, (b) 제 1 가구에 대한 선택과 상기 가구 배치 영역 중 상기 제 1 가구를 배치할 특정 위치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는 단계, (c) 상기 가구 배치 영역 중 상기 제 1 가구를 배치한 후 존재하는 잔여 공간의 사이즈를 산출하여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산출된 잔여 공간에 배치할 수 있는 사이즈를 가지는 제 2 가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설정된 주거 공간의 사용 용도와 타인의 가구 배치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근거하여 추천하되, 상기 제 2 가구는 상기 제 1 가구와 중복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설정된 주거 공간을 메쉬 형태의 복수의 단위 영역으로 분할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단위 영역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선택을 상기 가구 배치 영역에 대한 설정으로 입력 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기 방법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 배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는, 가상의 주거 공간에서 가구가 배치되는 가구 배치 영역을 설정하는 가구 배치 영역 설정부, 상기 가구 배치 영역 중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화면에 표시된 제 1 가구를 배치하는 가구 배치부, 상기 가구 배치 영역 중 상기 제 1 가구를 배치한 후 존재하는 잔여 공간의 사이즈를 산출하는 잔여 공간 산출부 및 상기 산출된 잔여 공간에 배치할 수 있는 사이즈를 가지는 제 2 가구를 추천하는 가구 추천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구 배치 영역 설정부는 상기 가상의 주거 공간을 메쉬 형태의 복수의 단위 영역으로 분할하여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단위 영역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선택을 상기 가구 배치 영역에 대한 설정으로 입력 받으며, 상기 가구 추천부는 상기 가상의 주거 공간의 사용 용도와 타인의 가구 배치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근거하여 상기 제 2 가구를 추천하되, 상기 제 2 가구는 상기 제 1 가구와 중복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구 배치 후 존재하는 잔여 공간에 적합한 다른 가구를 추천하되,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와 다른 사용자들의 가구 배치 정보에 근거함으로써, 사용자가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가구를 배치해볼 수 있다.
또한, 가구 추천이 가구 구매로 연결될 수 있어 가구 소비 촉진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 배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 배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 배치 서비스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구 배치 서비스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구 배치 서비스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구 배치 서비스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 배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 배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110) 및 서비스 서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가구’는 침대, 옷장, 책상, 책장, 화장대 등과 같은 사물뿐만 아니라, 공간의 사용 용도(손님 방, 부모님 방, 아이 방, 사무실 등)에 따라서 TV,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정수기, 복사기 등과 같은 가전 제품이나, 아동용 미끄럼틀과 같은 놀이 기구 등 공간에 배치될 수 있는 모든 사물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가구’라는 용어를 사용한다고 하여, 가상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는 대상이 침대, 옷장, 책상, 책장, 화장대 등과 같은 사물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구성 요소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사용자 단말기(110)는 서비스 서버(120)가 제공하는 가구 배치 서비스를 위한 웹 사이트(이하, ‘웹 사이트’라 칭함)에 접속하여, 가상의 주거 공간(이하, ‘주거 공간’이라 칭함)과 해당 주거 공간 내에 가구를 배치할 영역(이하, ‘가구 배치 영역’이라 칭함)을 설정하고, 설정된 가구 배치 영역에 다양한 가구를 배치해볼 수 있다.
그리고, 가구 배치 영역에서 가구가 배치된 후 존재하는 나머지 공간(이하, ‘잔여 공간’이라 칭함)에 적합한 가구를 추천 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데, 추천된 가구는 해당 공간의 사용 용도(예를 들어, 아이 방, 사무실 등)와 타인의 가구 배치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근거하여 추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10)는 주거 공간에 배치된 가구들에 대한 구매 정보(해당 사이즈의 가구를 판매하는 웹 사이트의 링크 주소, 가격, 색상 등)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가구 배치 정보, 즉, 해당 주거 공간의 사용 용도, 해당 주거 공간의 모양과 사이즈, 해당 주거 공간에 배치된 가구의 식별자 및 배치된 각 가구들의 사이즈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서비스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서버(120)는 상기 웹 사이트를 제공하고, 웹 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110)로 주거 공간을 설정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120)는 주거 공간 중 가구 배치 영역에 배치 가능한 가구를 검색하고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기(11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120)는 가구가 배치된 후 존재하는 잔여 공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잔여 공간에 적합한 가구를 추천할 수 있다.
여기서, 잔여 공간에 적합한 가구의 추천은 사용자가 설정한 해당 주거 공간의 용도 및 타인의 가구 배치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근거하여 추천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사용자의 가구 배치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가구 배치 정보 DB(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120)는 배치된 가구들에 대한 구매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1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12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120)는 공간 설정 인터페이스 제공부(121), 가구 배치 영역 설정부(122), 가구 리스트 제공부(123), 가구 배치부(124), 잔여 공간 산출부(125), 가구 추천부(126) 및 가구 배치 정보 저장부(127)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 요소를 설명하면, 공간 설정 인터페이스 제공부(121)는 방, 거실, 사무실 등과 같은 주거 공간을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주거 공간의 설정’은, 주거 공간의 모양과 사이즈에 대한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간 설정 인터페이스 제공부(121)는 사용자가 주거 공간의 모양 및 사이즈를 직접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가 주거 공간의 모양을 입력하기 용이하도록 직선, 곡선, 원, 사각형, 삼각형, 사다리꼴 등의 도형이 인터페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직선이나 곡선, 사각형, 삼각형, 사다리꼴 등의 도형을 이용하여 주거 공간의 모양을 직접 입력한 후 주거 공간의 모양에 따라 사이즈를 입력함으로써 주거 공간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의 경우는 주거 공간의 모양이 일반적(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 등)이지 않은 경우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또한, 공간 설정 인터페이스 제공부(121)는 미리 설정된 주거 공간의 모양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하고, 선택된 주거 공간의 모양에 따라 사용자가 사이즈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공간 설정 인터페이스 제공부(121)는 주거 공간의 모양과 사이즈가 미리 설정된 리스트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이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브랜드 아파트의 특정 평형의 경우, 각 주거 공간의 모양과 사이즈가 미리 정해져 있으므로, 사용자는 공간 설정 인터페이스 제공부(121)가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특정 브랜드 아파트 및 해당 아파트의 특정 평형을 선택함으로서 주거 공간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한편, 가구 배치 영역 설정부(122)는 공간 설정 인터페이스 제공부(121)를 통해 주거 공간이 설정되면, 설정된 주거 공간을 ‘메쉬(mesh) 형태의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여기서, ‘메쉬 형태로 분할되는 각 영역’은 가구가 배치되는데 필요한 단위 영역이 될 수 있으며, 단위 영역의 사이즈(예를 들어, 50cm×50cm)는 공간 설정 인터페이스 제공부(121)를 통해 설정된 주거 공간의 모양과 사이즈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분할되는 단위 영역의 수는 설정된 주거 공간의 모양과 사이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후, 가구 배치 영역 설정부(122)는 메쉬 형태로 분할된 복수의 단위 영역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역을 가구 배치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가구 배치 영역 설정부(122)의 가구 배치 영역을 설정하는 내용은 도 x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가구 리스트 제공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가구 요청 정보에 근거하여 가구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가구 요청 정보’는 가구 종류(예를 들어, 침대, 화장대 등)와 가구 사이즈(예를 들어, 퀸 사이즈 또는 90cm×60cm 등)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가구 업체명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가구 리스트 제공부(123)는 상기 가구 요청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가구 요청 정보에 따라서 화면에 표시되는 가구 리스트는 해당 가구에 대응하는 이미지나 아이콘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참고로, 가구 리스트 제공부(123)는 가구 요청 정보에 입력된 가구의 종류에 따라서, 하나 또는 복수의 가구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침대/더블 사이즈’가 가구 요청 정보에 포함된 경우, 가구 리스트 제공부(123)는 더블 사이즈의 침대만을 제공할 수 있으며, ‘침대/더블 사이즈, 장롱/12자’가 가구 요청 정보에 포함된 경우, 더블 사이즈의 침대와 12자 장롱을 리스트로 제공할 수 잇따.
한편, 가구 배치부(124)는 가구 리스트 제공부(123)에 의해 리스트로 표시된 가구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가구를 가구 배치 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
참고로, 사용자 단말기(110)에 보여지는 화면은 주거 공간과 주거 공간에 포함된 가구 배치 영역이 표시되는 영역 및 가구 리스트가 표시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가구 배치부(124)는 가구 리스트가 표시되는 영역에서 특정 가구가 선택되어 가구 배치 영역의 특정 위치로 드래그되거나, 가구 리스트에서 특정 가구가 선택된 후 가구 배치 영역의 특정 위치가 선택되면 해당 가구를 해당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가구 배치부(124)는 주거 공간의 사이즈에 가구 사이즈의 비율을 맞춰 가구 배치 영역에 가구를 배치할 수 있다.
한편, 잔여 공간 산출부(125)는 가구 배치부(124)에 의해 가구 배치 영역의 특정 위치에 가구가 배치되면, 가구 배치 영역에서 가구가 배치된 후 존재하는 잔여 공간의 사이즈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잔여 공간 산출부(125)는 상기 사이즈를 산출하는 잔여 공간의 모양이 전체적으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이 되도록, 메쉬 형태로 분할된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가구 추천부(126)는 잔여 공간 산출부(125)에 의해 산출된 잔여 공간의 사이즈에 적합한 가구를 추천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주거 공간의 용도를 입력(선택)하고 잔여 공간에 배치할 수 있는 가구를 추천 받기 위한 버튼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가구 추천부(126)는 가구 배치 영역에 이미 배치된 가구의 종류와 중복되지 않는 종류의 가구를 추천할 수 있으며(예를 들어, 이미 화장대가 배치되어 있다면 화장대는 추천 대상에서 제외됨), 사용자 가구 배치 정보 DB(미도시)에 저장된 타인의 가구 배치 정보(빅-데이터 형태일 수 있음)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주거 공간의 사용 용도에 근거하여 하나 이상의 가구를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거 공간의 사용 용도가 ‘할머니/할아어지 방’이고, 현재 화장대, 장롱, 침대가 배치 완료되었으며, 잔여 공간의 사이즈가 A×B cm로 산출된 경우, 가구 추천부(126)는 주거 공간의 사용 용도와 타인의 가구 배치 정보를 참고하여 A×B cm 사이즈의 공간에 ‘안마 의자’를 배치한 경우가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싱글 쇼파’를 배치한 경우가 많았다면, 가구 추천부(126)는 안마 의자를 1순위로, 싱글 쇼파를 2순위로 추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마 의자나 싱글 쇼파의 사이즈는 반드시 A×B cm와 일치할 필요는 없으며, A×B cm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의 내의 사이즈이면 추천 대상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가구 추천부(126)는 특정 지역 또는 특정 브랜드의 아파트 그리고 특정 평형의 사람들이 부모님 방의 A×B cm 사이즈의 공간에 가장 많이 배치한 가구를 1순위로 추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에는 주거 공간의 용도를 입력(선택)하는 항목 외에도, 특정 지역 또는 특정 브랜드의 아파트, 그리고 특정 평형을 입력(선택)하는 항목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사용자 가구 배치 정보 DB(미도시)에 저장되는 정보에 따라서 다양한 추천 조건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거 공간의 가구 배치 영역에 가구를 배치 시, 추천 조건에 따라서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다양한 가구를 추천 받음으로써 잔여 공간의 활용은 물론, 추천된 가구에 대한 관심과 가구의 매출 증대로 이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참고로, 가구 요청 정보에 따라서 가구 리스트로 제공되는 가구가 복수이고, 잔여 공간 산출부(125)에 의해 잔여 공간의 사이즈가 산출되면, 가구 추천부(126)는 가구 리스트 중 해당 잔여 공간에 배치 가능한 가구들을 하이라이트와 같이 활성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가구 배치 정보 저장부(127)는 가구 배치 영역에 모든 가구가 배치 완료되면 주거 공간의 사용 용도, 주거 공간의 모양, 사이즈 및 배치된 가구의 종류, 사이즈 중 하나 이상을 사용자 가구 배치 정보 DB(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참고로, 사용자 가구 배치 정보 DB(미도시)에 저장된 가구 배치 정보가 누적될수록, 가구 추천부(126)는 잔여 공간에 적합한 더욱 다양한 가구를 추천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 배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a 및 도 3b의 과정은 서비스 서버(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서비스 서버(120)는 가구 배치를 위한 주거 공간을 설정하는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기(110)로 제공한다(S301).
S301 후,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주거 공간의 모양과 사이즈에 대한 설정 정보가 수신되면, 서비스 서버(120)는 수신된 주거 공간의 모양과 사이즈에 대응하는 가상의 공간을 생성하고, 생성된 주거 공간을 메쉬 형태의 복수의 단위 영역으로 분할한다(S302).
S302 후, 서비스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가구 배치 영역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주거 공간에 가구 배치 영역을 설정한다(S303).
S303 후, 서비스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가구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가구 요청 정보에 근거하여 가구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기(110)로 제공한다(S304).
S304 후, 서비스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가구에 대한 선택 정보 및 선택된 가구의 가구 배치 영역 상 배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선택된 가구를 가구 배치 영역의 특정 위치에 배치시킨다(S305).
S305 후, 서비스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잔여 공간 활용 요청이 수신되면, 가구 배치 영역에서 가구가 배치된 후 존재하는 잔여 공간의 사이즈를 산출한다(S306).
S306 후, 서비스 서버(120)는 잔여 공간 활용 요청에 포함된 주거 공간의 용도와 타인의 가구 배치 정보에 근거하여, S306에서 산출된 잔여 공간의 사이즈에 적합한 가구를 추천한다(S307).
S307 후, S304 내지 S306 과정을 통해 모든 가구의 배치가 완료되면, 서비스 서버(120)는 해당 주거 공간의 모양, 사이즈, 배치된 가구의 종류, 사이즈 및 해당 공간의 사용 용도 등을 사용자 가구 배치 정보 DB(미도시)에 저장한다(S308).
참고로, 도 3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10)가 웹 사이트에 접속하고, 서비스 서버(120)가 전술한 과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도 3의 과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사용자 단말기(110)에 설치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110)에서 잔여 공간의 사이즈에 적합한 가구를 추천하는 도 3의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기(110)는 일부의 과정(예를 들어, S307 또는 S308 등)을 서비스 서버(120)와 연동하여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 배치 서비스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가구 배치를 위한 가상의 주거 공간을 설정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주거 공간의 모양과 사이즈가 설정되었으며, 설정된 주거 공간이 메쉬 형태의 복수의 단위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복수의 단위 영역을 선택하여, 가구를 배치할 가구 배치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가구 배치 영역으로 설정된 단위 영역들이 특정 색상으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화면의 우측에는 사용자의 가구 요청 정보에 따른 가구 리스트가 표시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가구 리스트의 가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후 가구 배치 영역으로 드래그하여 원하는 위치에 해당 가구를 배치할 수 있다.
참고로, 가구 배치 영역 설정 시 사용자가 직접 단위 영역들을 선택하여 설정할 수도 있고, 복수의 예시 설정 형태가 제공되고 사용자가 그 중 하나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때, 가구 배치 영역에 대한 조절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 커서나 터치를 이용하여 드래그함으로써 가구 배치 영역을 조절하여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구 배치 서비스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사용자가 가구 배치를 위해 선택한 가구와 동일한 카테고리에 속한 다른 제품을 추천하는 화면으로서, 동일 카테고리 내의 다른 크기의 가구들을 추천하는 경우이다.
싱글 침대가 가구 배치 영역의 특정 위치에 배치된 후, 서비스 서버(120)는 잔여 공간을 고려하여 더블 사이즈와 퀸 사이즈의 침대를 추천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잔여 공간 활용 요청에 따라서 잔여 공간에 적합한 다른 가구를 추천할 수도 있지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여 공간의 사이즈를 고려하여 현재 배치된 가구(싱글 침대)와 동일한 카테고리(침대)에 속한 다른 사이즈(더블/퀸)의 가구를 추천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구 배치 서비스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거 공간의 사용 용도는 ‘할머니/할아버지 방’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가구 배치 영역에 가구가 배치된 후 존재하는 잔여 공간이 존재한다.
이후, “가구 배치 영역에 잔여 공간이 존재합니다. 해당 잔여 공간에 배치할 수 있는 다른 가구를 추천 받아 보시겠습니까?”라는 메시지가 출력되고, 사용자는 ‘예’ 버튼을 선택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잔여 공간 활용 요청 버튼이 선택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서버(120)는 해당 잔여 공간에 적합한 사이즈를 가지는 가구를 추천하되, 주거 공간의 사용 용도와 타인의 가구 배치 정보에 기반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잔여 공간에 ‘안마 의자’를 추천할 수 있다.
참고로, 잔여 공간이 하나가 아닌 복수인 경우, 서비스 서버(120)는 각각의 잔여 공간에 적합한 가구를 추천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복수의 잔여 공간 중 어느 하나를 먼저 선택하도록 한 후, 선택된 잔여 공간에 적합한 가구를 추천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구 배치 서비스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주거 공간 내의 가구 배치 영역에 가구 배치가 완료된 상태이며, 각 가구에 마우스 커서를 위치시키면(또는 터치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가구를 구매할 수 있는 구매 정보가 툴팁(tool-tip)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툴팁 형태로 표시되는 해당 가구에 대한 구매 정보는 해당 가구를 판매하는 웹 사이트의 링크 주소를 포함할 수도 있고, 서비스 서버(120)에서 관리하는 가구 정보(예를 들어, 가격과 색상 등)가 표시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가구 배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110 : 사용자 단말기
120 : 서비스 서버
121 : 공간 설정 인터페이스 제공부
122 : 가구 배치 영역 설정부
123 : 가구 리스트 제공부
124 : 가구 배치부
125 : 잔여 공간 산출부
126 : 가구 추천부
127 : 가구 배치 정보 저장부

Claims (11)

  1. 서비스 서버가 가구 배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가상의 주거 공간에 대한 설정과 상기 주거 공간에서 가구가 배치되는 가구 배치 영역에 대한 설정을 입력받는 단계;
    (b) 제 1 가구에 대한 선택과 상기 가구 배치 영역 중 상기 제 1 가구를 배치할 특정 위치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c) 상기 가구 배치 영역 중 상기 제 1 가구를 배치한 후 존재하는 잔여 공간의 사이즈를 산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산출된 잔여 공간에 배치할 수 있는 사이즈를 가지는 제 2 가구를 추천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a) 단계는,
    상기 가상의 주거 공간에 대한 설정 시 사용 용도에 대한 설정을 입력받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설정된 주거 공간의 사용 용도와 상기 사용 용도에 따른 타인의 가구 배치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근거하여 상기 제 2 가구를 추천하며, 상기 제 2 가구는 상기 제 1 가구와 중복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배치 서비스 제공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주거 공간의 모양과 사이즈 중 하나 이상을 직접 입력받거나, 미리 설정된 공간의 모양과 사이즈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배치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 1 가구에 대한 정보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가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가구에 대한 정보 요청은 상기 제 1 가구의 종류 및 사이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배치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설정된 주거 공간을 메쉬 형태의 복수의 단위 영역으로 분할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단위 영역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선택을 상기 가구 배치 영역에 대한 설정으로 입력 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배치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e) 상기 가구 배치 영역에 배치된 제 1 가구 또는 제 2 가구에 대한 선택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가구에 대한 구매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되,
    상기 구매 정보는, 상기 선택된 가구를 구매할 수 있는 웹 사이트의 링크 주소, 상기 선택된 가구의 가격 및 색상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배치 서비스 제공 방법.
  7. 사용자 단말기가 가구 배치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a) 가상의 주거 공간에 대한 설정과 상기 주거 공간에서 가구가 배치되는 가구 배치 영역에 대한 설정을 입력받는 단계;
    (b) 제 1 가구에 대한 선택과 상기 가구 배치 영역 중 상기 제 1 가구를 배치할 특정 위치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c) 상기 가구 배치 영역 중 상기 제 1 가구를 배치한 후 존재하는 잔여 공간의 사이즈를 산출하여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산출된 잔여 공간에 배치할 수 있는 사이즈를 가지는 제 2 가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a) 단계는,
    상기 가상의 주거 공간에 대한 설정 시 사용 용도에 대한 설정을 입력받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설정된 주거 공간의 사용 용도와 상기 사용 용도에 따른 타인의 가구 배치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근거하여 상기 제 2 가구를 추천하며, 상기 제 2 가구는 상기 제 1 가구와 중복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배치 서비스 이용 방법.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설정된 주거 공간을 메쉬 형태의 복수의 단위 영역으로 분할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단위 영역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선택을 상기 가구 배치 영역에 대한 설정으로 입력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배치 서비스 이용 방법.
  10. 제 7 항 및 제 9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1. 가구 배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에 있어서,
    가상의 주거 공간에서 가구가 배치되는 가구 배치 영역을 설정하는 가구 배치 영역 설정부;
    상기 가구 배치 영역 중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화면에 표시된 제 1 가구를 배치하는 가구 배치부;
    상기 가구 배치 영역 중 상기 제 1 가구를 배치한 후 존재하는 잔여 공간의 사이즈를 산출하는 잔여 공간 산출부; 및
    상기 산출된 잔여 공간에 배치할 수 있는 사이즈를 가지는 제 2 가구를 추천하는 가구 추천부
    를 포함하되,
    상기 가구 배치 영역 설정부는,
    상기 가상의 주거 공간을 메쉬 형태의 복수의 단위 영역으로 분할하여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단위 영역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선택을 상기 가구 배치 영역에 대한 설정으로 입력 받으며,
    상기 가구 추천부는,
    상기 가상의 주거 공간의 사용 용도와 상기 사용 용도에 따른 타인의 가구 배치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근거하여 상기 제 2 가구를 추천하되, 상기 제 2 가구는 상기 제 1 가구와 중복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서버.
KR20140082697A 2014-07-02 2014-07-02 가구 배치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가구 배치 서비스 이용 방법 KR101485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2697A KR101485738B1 (ko) 2014-07-02 2014-07-02 가구 배치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가구 배치 서비스 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2697A KR101485738B1 (ko) 2014-07-02 2014-07-02 가구 배치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가구 배치 서비스 이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5738B1 true KR101485738B1 (ko) 2015-01-23

Family

ID=52592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82697A KR101485738B1 (ko) 2014-07-02 2014-07-02 가구 배치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가구 배치 서비스 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5738B1 (ko)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9931B1 (ko) * 2016-07-13 2017-11-21 (주) 인하우스 3d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1829019B1 (ko) * 2017-11-24 2018-02-13 디비손해보험 주식회사 Html 기반 드래그 앤 드롭을 이용한 자동축척 기구 배치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80040865A (ko) * 2016-10-13 2018-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강 현실을 이용한 가전 기기 배치 방법, 그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서버
KR20180055681A (ko) * 2016-11-16 2018-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간 내에 오브젝트를 배치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80098868A (ko) 2017-02-27 2018-09-05 김보균 온라인에서의 가구선택 및 가구배치 시뮬레이션 방법
WO2019035536A1 (ko) * 2017-08-16 2019-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90037763A (ko) * 2017-09-29 2019-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장치 정보 또는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설정 값을 결정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8829B1 (ko) * 2018-06-28 2019-11-04 (주)인아웃에스씨 인테리어 견적 산출 방법
KR20200095664A (ko) * 2019-02-01 2020-08-11 (주)씨소 셀프 인테리어 서비스 방법
KR102144102B1 (ko) 2020-01-15 2020-08-12 이아영 가구 배치 방법 및 장치
KR102155106B1 (ko) * 2019-08-08 2020-09-11 이병관 확장현실을 이용한 커스터 마이징 가구 제작 서비스 시스템
KR102191289B1 (ko) 2019-06-19 2020-12-15 동양미래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가구의 배치 및 형태 변경이 가능한 스마트 홈 시스템
KR102266564B1 (ko) 2021-02-01 2021-06-18 주식회사 바른지음살다 아파트 인테리어 추천 방법
KR20220011033A (ko) * 2020-07-20 2022-01-27 김석진 잔여 공간에 배치가 가능한 가구 추천 방법
KR20220011034A (ko) * 2020-07-20 2022-01-27 김석진 기존 가구를 통한 추가 가구 추천 방법
KR20220011035A (ko) * 2020-07-20 2022-01-27 김석진 기존 가구의 위치 변경 추천 방법
KR20220072385A (ko) * 2020-11-25 2022-06-02 주식회사 어반베이스 인테리어 서비스의 빅데이터로부터 구축된 간선 연결 데이터 구조 기반의 회귀 간선 사물 추천 장치 및 방법
KR20230000223A (ko) * 2021-06-24 2023-01-02 백난휘 사무실 인테리어 설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설계 방법
KR102523515B1 (ko) * 2022-07-21 2023-04-20 주식회사 심시스글로벌 단위공간 개념을 도입한 사용자 선택형 메타버스 공간 조합 디자인 시스템
WO2023140403A1 (ko) * 2022-01-21 2023-07-27 주식회사 어반베이스 인테리어 서비스의 빅데이터로부터 구축된 간선 연결 데이터 구조 기반의 회귀 간선 사물 추천 장치 및 방법
KR102659585B1 (ko) 2024-01-12 2024-04-23 주식회사 커넥트코리아 실내 공간 내 맞춤형 난간 벽 추천 방법
KR102664237B1 (ko) * 2024-01-05 2024-05-08 주식회사 커넥트코리아 가상 공간을 활용한 가구 배치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15032A (ja) * 2005-10-20 2007-05-10 D Arch:Kk オーダー家具の注文支援装置及び注文支援方法
JP2007317097A (ja) * 2006-05-29 2007-12-06 Dainippon Ink & Chem Inc 設計装置および設計方法ならびにそのプログラムと記録媒体
KR20110017733A (ko) * 2009-08-14 2011-02-22 (주)엔스토어 실시간 맞춤형 가구 견적서비스 제공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맞춤형 가구 견적서비스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15032A (ja) * 2005-10-20 2007-05-10 D Arch:Kk オーダー家具の注文支援装置及び注文支援方法
JP2007317097A (ja) * 2006-05-29 2007-12-06 Dainippon Ink & Chem Inc 設計装置および設計方法ならびにそのプログラムと記録媒体
KR20110017733A (ko) * 2009-08-14 2011-02-22 (주)엔스토어 실시간 맞춤형 가구 견적서비스 제공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맞춤형 가구 견적서비스 제공방법

Cited B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9931B1 (ko) * 2016-07-13 2017-11-21 (주) 인하우스 3d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2634797B1 (ko) * 2016-10-13 2024-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강 현실을 이용한 가전 기기 배치 방법, 그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서버
KR20180040865A (ko) * 2016-10-13 2018-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강 현실을 이용한 가전 기기 배치 방법, 그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서버
KR20180055681A (ko) * 2016-11-16 2018-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간 내에 오브젝트를 배치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424354B1 (ko) * 2016-11-16 2022-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간 내에 오브젝트를 배치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80098868A (ko) 2017-02-27 2018-09-05 김보균 온라인에서의 가구선택 및 가구배치 시뮬레이션 방법
KR20190018845A (ko) * 2017-08-16 2019-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19035536A1 (ko) * 2017-08-16 2019-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473478B1 (ko) * 2017-08-16 2022-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11182968B2 (en) 2017-08-16 2021-1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90037763A (ko) * 2017-09-29 2019-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장치 정보 또는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설정 값을 결정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89505B1 (ko) * 2017-09-29 2023-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장치 정보 또는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설정 값을 결정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29019B1 (ko) * 2017-11-24 2018-02-13 디비손해보험 주식회사 Html 기반 드래그 앤 드롭을 이용한 자동축척 기구 배치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8829B1 (ko) * 2018-06-28 2019-11-04 (주)인아웃에스씨 인테리어 견적 산출 방법
KR102252135B1 (ko) * 2019-02-01 2021-05-14 (주)씨소 셀프 인테리어 서비스 방법
KR20200095664A (ko) * 2019-02-01 2020-08-11 (주)씨소 셀프 인테리어 서비스 방법
KR102191289B1 (ko) 2019-06-19 2020-12-15 동양미래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가구의 배치 및 형태 변경이 가능한 스마트 홈 시스템
KR102155106B1 (ko) * 2019-08-08 2020-09-11 이병관 확장현실을 이용한 커스터 마이징 가구 제작 서비스 시스템
KR102144102B1 (ko) 2020-01-15 2020-08-12 이아영 가구 배치 방법 및 장치
KR20220011033A (ko) * 2020-07-20 2022-01-27 김석진 잔여 공간에 배치가 가능한 가구 추천 방법
KR102472743B1 (ko) * 2020-07-20 2022-11-30 김석진 잔여 공간에 배치가 가능한 가구 추천 방법
KR102472746B1 (ko) * 2020-07-20 2022-11-30 김석진 기존 가구를 통한 추가 가구 추천 방법
KR20220011035A (ko) * 2020-07-20 2022-01-27 김석진 기존 가구의 위치 변경 추천 방법
KR102409031B1 (ko) * 2020-07-20 2022-06-14 김석진 기존 가구의 위치 변경 추천 방법
KR20220011034A (ko) * 2020-07-20 2022-01-27 김석진 기존 가구를 통한 추가 가구 추천 방법
KR20220072385A (ko) * 2020-11-25 2022-06-02 주식회사 어반베이스 인테리어 서비스의 빅데이터로부터 구축된 간선 연결 데이터 구조 기반의 회귀 간선 사물 추천 장치 및 방법
KR102443166B1 (ko) 2020-11-25 2022-09-14 주식회사 어반베이스 인테리어 서비스의 빅데이터로부터 구축된 간선 연결 데이터 구조 기반의 회귀 간선 사물 추천 장치 및 방법
KR102266564B1 (ko) 2021-02-01 2021-06-18 주식회사 바른지음살다 아파트 인테리어 추천 방법
KR20230000223A (ko) * 2021-06-24 2023-01-02 백난휘 사무실 인테리어 설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설계 방법
KR102606589B1 (ko) * 2021-06-24 2023-11-29 백난휘 사무실 인테리어 설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설계 방법
WO2023140403A1 (ko) * 2022-01-21 2023-07-27 주식회사 어반베이스 인테리어 서비스의 빅데이터로부터 구축된 간선 연결 데이터 구조 기반의 회귀 간선 사물 추천 장치 및 방법
KR102523515B1 (ko) * 2022-07-21 2023-04-20 주식회사 심시스글로벌 단위공간 개념을 도입한 사용자 선택형 메타버스 공간 조합 디자인 시스템
KR102664237B1 (ko) * 2024-01-05 2024-05-08 주식회사 커넥트코리아 가상 공간을 활용한 가구 배치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59585B1 (ko) 2024-01-12 2024-04-23 주식회사 커넥트코리아 실내 공간 내 맞춤형 난간 벽 추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5738B1 (ko) 가구 배치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가구 배치 서비스 이용 방법
US11544418B2 (en) Method for replacing 3D objects in 2D environment
de Vries et al. Shopping for products in a virtual world: Why haptics and visuals are equally important in shaping consumer perceptions and attitudes
JP5827370B2 (ja) インタフェース表示装置および自動小売システム
JP5244237B2 (ja) 表面デザインツール
US20160063600A1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 of simultaneously displaying a plurality of interchangeable items for purchase
CN104050278B (zh) 消息推送方法及装置
KR101334540B1 (ko) 가상 셀프인테리어 서비스 시스템
WO2008081378A2 (en) Virtual reality system including personalized virtual environments
US201901146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t design, simulation and ordering
KR102442042B1 (ko) 실측기반의 메타버스 가상주거공간에서의 상품 서비스 제공 장치
US20220383600A1 (en) Method for interactive catalog for 3d objects within the 2d environment
KR20180098868A (ko) 온라인에서의 가구선택 및 가구배치 시뮬레이션 방법
CN106157068A (zh) 家居选择方法和家居选择装置
JP2007115032A (ja) オーダー家具の注文支援装置及び注文支援方法
JP6005249B1 (ja) ゲームプログラム
JP7287509B2 (ja) 現在空間及び媒体内の品目情報を表示する方法及び装置
CN107944906A (zh) 一种构建虚拟现实展厅的方法和系统
CN116911961B (zh) 一种用于电商直播的商品展示方法、用户终端及存储介质
CN114463083A (zh) 家居用品推荐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JP5918824B2 (ja) 商品販売システム
CN112308642A (zh) 房源搜索方法、终端和服务器
WO2018020739A1 (ja) 表示システム、発注システム及び発注方法
KR20180103290A (ko) 온라인에서의 제품 상세정보 제공 방법
JP2023043025A (ja) 支援システム及び支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