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5101B1 - 강관 트러스 구조물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강관 트러스 구조물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5101B1
KR101485101B1 KR20140073997A KR20140073997A KR101485101B1 KR 101485101 B1 KR101485101 B1 KR 101485101B1 KR 20140073997 A KR20140073997 A KR 20140073997A KR 20140073997 A KR20140073997 A KR 20140073997A KR 101485101 B1 KR101485101 B1 KR 101485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racket
steel pipe
jig
bracket
web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73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삼섭
Original Assignee
(주)해성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해성기공 filed Critical (주)해성기공
Priority to KR20140073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51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24Frame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현재와 하현재를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재 중 각각이 경사재(또는 수직재)인 웨브재, 제1,2강관 브라켓 3개의 부재로 구성되고, 제1,2강관 브라켓의 일단이 상기 상현재와 하현재의 외주면에 접합될 때 3개의 부재가 센터 상에 맞도록 가조립시켜, 추후 웨브재와 제1,2강관 브라켓의 맞대기 용접을 정확한 위치에서 행할 수 있게 한 가조립 지그 및 이를 이용한 강관 트러스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강관 트러스 구조물의 시공방법{method of constructing truss structure}
본 발명은 상현재와 하현재를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재 중 각각이 경사재(또는 수직재)인 웨브재, 제1,2강관 브라켓 3개의 부재로 구성되고, 제1,2강관 브라켓의 일단이 상기 상현재와 하현재의 외주면에 접합될 때 3개의 부재가 센터 상에 맞도록 가조립시켜, 추후 웨브재와 제1,2강관 브라켓의 맞대기 용접을 정확한 위치에서 행할 수 있게 한 가조립 지그 및 이를 이용한 강관 트러스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관 트러스 구조물은 상현재, 하현재, 상현재를 연결하는 연결재로 이루어진다.
연결재는 웨브재(경사재 또는 수직재), 상현재의 외주면과 웨브재의 상단 사이에 접합되는 제1강관 브라켓, 하현재의 외주면과 웨브재의 하단 사이에 접합되는 제2강관 브라켓인 3개의 강관으로 이루어진다.
제1강관 브라켓의 일단은 상현재의 외주면에 밀접된 상태로 용접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현재의 외주면(구면)과 밀접이 용이한 형태로 커팅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2강관 브라켓의 타단은 하현재의 외주면에 밀접된 상태로 용접(도 1 참조) 되어야 하기 때문에, 하현재의 외주면(구면)과 밀접이 용이한 형태로 커팅되게 된다.
맞대기 용접이 행해지는 부분은 커팅이 되지 않은 제1강관 브라켓의 타단과 웨브재의 일단, 커팅이 되지 않은 제2강관 브라켓의 일단과 웨브재의 타단 사이이다.
이러한 제1,2강관 브라켓의 일단과 타단이 원래의 단부가 아니라 구형의 외주면에 밀접되게 커팅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재가 웨브재, 제1,2강관 브라켓 3개로 분할되어 있다.
만약 연결재가 단일의 강관으로 이루어지면, 제1강관 브라켓의 일단과 제2강관 브라켓의 타단을 상하현재의 외주면에 끼워 밀접시킬 수 없어 용접이 불가능하여, 이런 경우에는 도 2와 같이 거셋 플레이트라는 판을 대고 볼팅하여 가용접을 하게 되는 복잡한 공정을 거치게 된다.
물론, 제1강관 브라켓과 제2강관 브라켓을 상현재와 하현재에 밀접시키고 가용접한 후 연결재를 클램핑 수단으로 서로 클램핑해서 맞대기 용접하여도 되지만, 가용접된 제1강관 브라켓의 센터와 제2강관 브라켓의 센터가 맞지 않는 경우 웨브재를 그 사이에 배치하여도 센터가 맞지 않아 맞대기 용접이 불가능한 경우가 빈번하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특허문헌(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01868호)에 공지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클램핑수단을 이용하여 가조립되는 트러스구조물(A)은, 하부 조인트유닛(20)이 구성되고, 상기 하부조인트유닛(20)의 수평연결구(22)에 클램핑수단(80)으로 연결되는 하현부재(30)가 구성되며, 상기 하부 조인트유닛(20)의 수직연결구(23)에 클램핑수단(80)으로 연결되는 수직부재(40)가 구성되고, 상기 하부 조인트유닛(20)의 사재연결구(24)에 클램핑수단(80)으로 연결되는 사부재(50)가 구성되며, 상기 수직부재(40)와 사부재(50) 상단부에 수직연결구(63)와 사재연결구(64)가 클램핑수단(80)으로 연결되는 상부 조인트유닛(60)이 구성되고, 상기 상부 조인트유닛(60)의 수평연결구(62)에 클램핑수단(80)으로 연결되는 상현부재(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ㆍ상부 조인트유닛(20)(60)은, 몸체부(21)(61)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21)(61) 양단부에 하현부재(30) 및 상현부재(70)가 연결되는 수평연결구(22)(62)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부(21)(61) 외경면에 수직부재(40)가 연결되는 수직연결구(23)(63)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21)(61) 외경면에 사부재(50)가 연결되는 사재연결구(24)(64)를 포함하며, 상기 각 연결구(22)(23)(24)(62)(63)(64)는 끝단이 절단되면서 단부 외경면에 용접이 용이하도록 접합부(25)(65)가 개선가공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램핑수단(80)은, 상기 하ㆍ상부 조인트유닛(20)(60)의 각 연결구(22)(23)(24)(62)(63)(64) 중 어느 하나의 연결구 외경면에 밀착되도록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몸체(81)(81')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구(22)(23)(24)(62)(63)(64)에 연결되는 어느 하나의 부재(30)(40)(50)(70) 외경면에 밀착되도록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몸체(83)(83')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구(22)(23)(24)(62)(63)(64)와 부재(30)(40)(50)(70) 사이의 루트간격 확인 및 정확하게 조절된 루트간격을 유지하면서 연결구(22)(23)(24)(62)(63)(64)와 부재(30)(40)(50)(70)의 접합부(25)(65)를 용접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쌍의 몸체(81)(81')(83)(83')를 하나 이상 연결하는 연결편(85)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편(85)으로 연결된 한 쌍의 몸체(81)(81')(83)(83')의 체결편(82)에 볼트/너트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고정부재(84)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와 같이 강관 브라켓에 해당되는 연결구를 미리 갖는 조인트 유닛을 이용함으로써, 도 3과 같이 클램핑수단(80)을 이용하여 전형적인 맞대기 용접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조인트 유닛(20)(60)을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고, 각 용접지점마다 조인트 유닛을 제작하여야 하며, 이 조인트 유닛의 개수만큼 전체적인 하중이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의 클램핑수단(80)은 강관의 강관을 맞대기 용접을 하기 위한 것이지, 센터가 맞지 않을 때 서로 틀어졌을 때 이를 맞추는 구성은 아니다(도 5 참조).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01868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제1강관 브라켓, 웨브재, 제2강관 브라켓의 센터 가조립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맞대기 용접도 가능하게 한 가조립 지그 및 이를 이용한 강관 트러스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가조립 지그는, 반원 형상의 밑면 받침편과,
상기 밑면 받침편의 상면 일부를 커버하는 원호 형상의 제1상면 커버와, 상기 밑면 받침편의 상면 나머지 부분을 커버하는 원호 형상의 제2상면 커버와, 상기 밑면 받침편과 상기 제1상면 커버의 일측 및 타측에 설치되는 제1힌지부 및 제1클램핑부와, 상기 밑면 받침편과 상기 제2상면 커버의 일측 및 타측에 설치되는 제2힌지부 및 제2클램핑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가조립 지그에 있어서, 마주하는 상기 제1상면 커버와 상기 제2상면 커버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이격 공간과 대응되는 상기 밑면 받침편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가조립 지그에 있어서, 상기 제1,2클램부는 상기 밑면 받침편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1,2밑면클램핑브라켓, 상기 제1,2밑면클램핑브라켓에 설치되는 제1,2클램핑힌지축, 상기 제1,2클램핑힌지축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2볼트, 상기 제1,2볼트에 체결되는 제1,2너트, 상기 제1,2상면 커버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2볼트가 출납되는 제1,2출납홈이 형성되는 제1,2클램핑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강관 트러스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일단이 상현재의 외주면에 접합될 형상으로 가공된 제1파이프 브라켓과, 타단이 하현재의 외주면에 접합될 형상으로 가공된 제2파이프 브라켓과, 상기 제1파이프 브라켓의 타단과 상기 제2파이프 브라켓의 일단과 맞대는 웨브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파이프 브라켓의 타단과 상기 웨브재의 일단을 제1지그로 클램핑하여 맞대어 지지하는 단계; 상기 웨브재의 타단만을 제2지그로 클램핑하는 단계; 상기 제1파이프 브라켓의 일단을 상기 상현재의 접합될 외주면에 맞추는 단계; 상기 제2파이프 브라켓의 일단을 상기 하현재의 접합될 외주면에 맞추는 단계; 상기 제2파이프 브라켓의 일단의 밑면을 상기 제2지그에 받쳐 놓는 단계; 상기 제1파이프 브라켓, 상기 웨브재 및 상기 제2파이프 브라켓의 길이방향으로 일직선인 센터링을 맞추는 단계; 상기 제2지그로 상기 제2파이프 브라켓의 일단을 클램핑하여 상기 웨브재의 타단과 맞대어 지지하는 단계; 상기 제1파이프 브라켓의 일단과 상기 상현재의 접합될 외주면을 용접하는 단계; 상기 제2파이프 브라켓의 타단과 상기 하현재의 접합될 외주면을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기재된 강관 트러스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파이프 브라켓의 타단과 상기 웨브재의 일단을 맞대기 가용접을 하는 단계; 상기 제2파이프 브라켓의 일단과 상기 웨브재의 타단을 맞대기 가용접을 하는 단계; 상기 제1지그와 상기 제2지그를 해체하는 단계; 상기 제1파이프 브라켓과 상기 웨브재의 맞대기 가용접 부위를 본 용접하는 단계; 상기 제2파이프 브라켓과 상기 웨브재의 맞대기 가용접 부위를 본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강관 브라켓의 밑면과 웨브재의 밑면을 동시에 받치는 밑면 받침편과, 강관 브라켓의 상면과 웨브재의 상면을 별도로 덮는 제1,2상면 커버로 구성됨으로써, 웨브재용 상면 커버를 클램핑한 후 용접될 상현재 또는 하현재의 외주면에 맞추면서 강관 브라켓을 밑면 받침편에 받치고 나서 센터가 맞으면 강관 브라켓용 상면 커버를 클램핑하여 외주면을 가용접을 하면 된다.
또한, 마주하는 상기 제1상면 커버와 상기 제2상면 커버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이격 공간과 대응되는 상기 밑면 받침편에는 관통공이 형성됨으로써, 강관 브라켓의 센터를 잡아주는 조립 지그로서 뿐만 아니라 이격 공간과 관통공을 통해 강관 브라켓의 단부와과 웨브재의 단부를 맞대기 가용접도 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그를 이용하여 강관 트러스 구조물을 시공함으로써, 하나의 지그로 가조립(센터링)과 맞대기 가용접에 즉시 적용 가능하여 공정 간소화와 이에 따른 공기단축으로 원가를 절감시키고, 도면 표준화에 따른 규격품생산 및 품질향상을 달성할 수 있다.
제1,2볼트가 제1,2출납홈에 출납되면서 클램핑되기 때문에, 클램핑 또는 해제가 대단히 편리하다.
도 1은 하현재의 외주면에 강관 브라켓이 용접된 상태도.
도 2는 하현재에 용접된 거셋 플레이트에 연결재가 연결된 상태도.
도 3은 종래 조인트유닛의 사시도.
도 4는 종래 클램핑수단의 사시도.
도 5는 도 3 및 도 4에 의한 가조립된 교량용 트러스 구조물의 측면구성도.
도 6은 종래의 설치 상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관 트러스 구조물용 센터링 가조립 지그를 도시한 사용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강관 트러스 구조물의 연결재인 제1,2강관 브라켓과 웨브재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연결재와 지그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1a 내지 도 11g는 강관 트러스 구조물의 시공순서를 나타낸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관 트러스 구조물용 센터링 가조립 지그를 도시한 사용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9는 강관 트러스 구조물의 연결재인 제1,2강관 브라켓과 웨브재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연결재와 지그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1a 내지 도 11g는 강관 트러스 구조물의 시공순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강관 트러스 구조물(1)은 도 11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현재(2), 하현재(3), 상현재(2)와 하현재(3)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재(4)로 이루어지되, 연결재(4)는 웨브재(5), 상현재(2)의 외주면과 웨브재(5)의 일단 사이를 연결하는 제1강관 브라켓(7), 하현재(3)의 외주면과 웨브재(5)의 타단 사이를 연결하는 제2강관 브라켓(9)으로 이루어진다.
웨브재(5)는 상현재(2)와 하현재(3) 사이를 수직하게 연결하는 수직재(5') 또는 경사지게 연결하는 경사재(5'')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웨브재(5)의 양단(5a)(5b)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관의 형태 그대로인 수직면을 갖는다.
제1강관 브라켓(7)의 일단(7a)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현재(2) 또는 하현재(3)의 외주면에 접합될 형상인 구형으로 커팅되어 있고, 제1강관 브라켓(7)의 타단(7b)은 강관의 형태 그대로인 수직면을 갖는다.
2강관 브라켓(9)의 타단(9b)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현재(2) 또는 하현재(3)의 외주면에 접합될 형상인 구형으로 커팅되어 있고, 제2강관 브라켓(9)의 일단(9a)은 강관의 형태 그대로인 수직면을 갖는다.
웨브재(5)는 제1강관 브라켓(7)과 제2강관 브라켓(9)보다 그 길이가 긴 메인 부재로 구성된다.
즉, 제1강관 브라켓(7)과 제2강관 브라켓(9)은 종래의 조인트 유닛의 연결가지에 해당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3개의 부재로 분할된 연결재(4)의 센터링 가조립을 가능하게 하는 지그(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그(100)는 밑면 받침편(110), 밑면 받침편(110)의 상부 일측 및 타측에 배치되는 원호 형상의 제1상면 커버(120) 및 제2상면 커버(130), 밑면 받침편(110)과 제1상면 커버(120)의 일측 및 타측에 설치되는 제1힌지부(140) 및 제1클램핑부(160), 밑면 받침편(110)과 제2상면 커버(130)의 일측 및 타측에 설치되는 제2힌지부(150) 및 제2클램핑부(170)로 구성되어 있다.
제1상면 커버(120) 및 제2상면 커버(130)도 밑면 받침편(110)과 같이 단면이 반원 형상으로 되어 있어, 밑면 받침편(110)의 상면을 커버했을 때 강관의 둘레를 감쌀 수 있는 형상이다.
제1힌지부(140)는 밑면 받침편(11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밑면힌지브라켓(141), 제1상면 커버(12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상면힌지브라켓(143), 제1밑면힌지브라켓(141)과 제1상면힌지브라켓(143)을 연결하는 제1힌지축(145)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힌지부(150)도 제1힌지부(140)와 마찬가지로 밑면 받침편(11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밑면힌지브라켓(151), 제2상면 커버(13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상면힌지브라켓(153), 제2밑면힌지브라켓(151)과 제2상면힌지브라켓(153)을 연결하는 제2힌지축(155)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클램핑부(160)는 밑면 받침편(110)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1밑면클램핑브라켓(161), 제1밑면클램핑브라켓(161)에 설치되는 제1클램핑힌지축(163), 제1클램핑힌지축(163)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볼트(165), 제1볼트(165)에 체결되는 제1너트(166), 제1상면 커버(120)의 타측에 설치되어 제1볼트(165)가 출납되는 제1출납홈(169)이 형성되는 제1클램핑편(167)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클램핑부(170)는 제1클램핑부(160)와 마찬가지로, 밑면 받침편(110)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밑면클램핑브라켓(171), 제2밑면클램핑브라켓(171)에 설치되는 제2클램핑힌지축(173), 제2클램핑힌지축(173)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볼트(175), 제2볼트(175)에 체결되는 제2너트(176), 제2상면 커버(130)의 타측에 설치되어 제2볼트(175)가 출납되는 제2출납홈(179)이 형성되는 제2클램핑편(177)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2클램핑부(160)(170)의 제1,2볼트(165)(175)가 선회되기 때문에, 옆으로 제1,2출납홈(169)(179)으로 출납시켜 제1,2너트(166)(176)를 조거나 풀면 제1,2클램핑편(167)(177)이 누르거나 이완되어 클램핑되거나 해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지그(100)는 1개의 밑면 받침편(110)에 대해 상부엔 2개의 상면 커버(120)(130)가 독립적으로 개폐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3개의 부재로 이루어진 연결재(4)를 센터 상에 맞춰 가조립이 가능하게 되었다.
한편, 마주하는 제1상면 커버(120)와 제2상면 커버(130) 사이에는 맞대기 가용접을 행하기 위한 이격 공간(18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격 공간(180)과 대응되는 밑면 받침편(110)에는 관통공(190)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지그(100) 2개를 각각 제1지그(100a)와 제2지그(100b)로 하여 강관 트러스 구조물(1)의 시공방법을 도 11a 내지 도 11g에 따라 설명한다.
먼저, 일단(7a)이 상현재(2)의 외주면에 접합될 형상으로 가공된 제1파이프 브라켓(7)과, 타단(9b)이 하현재(3)의 외주면에 접합될 형상으로 가공된 제2파이프 브라켓(9)과, 제1파이프 브라켓(7)의 타단(7b)과 제2파이프 브라켓(9)의 일단(9a)과 맞대는 웨브재(5)를 준비한다.
도 11a와 같이 준비된 제1파이프 브라켓(7)의 타단(7b)과 웨브재(5)의 일단(5a)을 제1지그(100a)로 클램핑하여 맞대어 지지한다.
즉, 웨브재(5)의 일단측 밑면에 제1지그(100a)의 제1밑면 받침편(110a)의 일단측을 대고 제1-1상면 커버(120a)를 웨브재(4)의 일단측 상면에 덮고 제1-1클램핑부(160a)로 클램핑을 행한다(도 10 참조).
제1강관 브라켓(7)의 타단측 밑면을 제1지그(100a)의 제1밑면 받침편(110a)의 타단측에 올려놓고 제1-2상면 커버(130a)를 연결재(4)의 타단측 상면에 덮고 제1-2클램핑부(170a)로 클램핑 또는 느슨한 클램핑을 행한다. 이 경우 제1강관 브라켓(7)과 웨브재(5)가 맞대어 지지됨으로써 센터링은 맞게 된다(도 10 및 도 11a 참조).
웨브재(5)의 타단만을 제2지그(100b)로 클램핑한다. 즉, 도 10 및 도 11a와 같이 웨브재(5)의 타단측 밑면에 제2지그(100b)의 제2밑면 받침편(110b)의 일단측을 대고 제2-1상면 커버(120b)를 연결재(4)의 타단측 상면에 덮고 제2-1클램핑부(160b)로 클램핑을 행한다. 제2지그(100b)의 제2-2상부 커버(130b)는 클램핑을 행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웨브재(5)를 크레인으로 들어올리고 제1강관 브라켓(7)의 일단(7a)을 상현재(2)의 접합 외주면에 맞추고, 클램핑이 느슨한 경우 다시 조여준다.
그런 다음, 제2강관 브라켓(9)의 타단(9b)을 들어올려(도 11b 참조) 하현재(3)의 접합 외주면에 맞춘 후), 제2강관 브라켓(9)의 일단측 밑면을 제2지그(100b)의 제2밑면 받침편(110b)의 타단측 밑면에 놓아, 제2강관 브라켓(9)의 양단(9a)(9b)을 웨브재(5)의 타단(5b)과 하현재(3)의 접합 외주면 사이에 센터링을 맞춘 상태로 배치시킨다(도 11c 참조).
다음에, 제2지그(100b)의 제2-2상부 커버(130b)를 덮고 클램핑을 행한다(도 11d 참조).
이와 같이 한쪽이 클램핑되지 않은 상태에서 끼움이 가능하기 때문에 3개의 부재의 센터를 맞춘 상태에서 제1강관 브라켓(7)의 일단과 상현재(2)의 접합 외주면 및 제2강관 브라켓(9)의 타단과 하현재(2)의 접합 외주면에 가용접 또는 용접을 행한다.
그러고 나서, 도 11e와 같이 제1지그(100a)와 제2지그(100b)를 해제한 후 웨브재(5)도 분리시켜 놓는다.
통상 여기까지는 공장에서 작업을 행한다(도 11a 내지 도 11e).
도 11e의 구조물을 시공 현장에 옮겨놓으면, 도 11f와 같이 웨브재(5)의 양단과 제1,2강관 브라켓(7)(9)을 제1,2지그(100a)(100b)를 체결하여 맞대기 가용접을 행할 준비를 마친다.
즉, 제1지그(100a)의 제1이격 공간(180a)과 제1관통공(190)을 통해 맞대기 가용접을 행한다.
마찬가지로, 제2지그(100b)의 제2이격 공간(180b)과 제2관통공(190b)을 통해 맞대기 가용접을 행한다.
여기서의 제1,2지그(100a)(100b)는 맞대기 가용접을 위한 용접 지그로서 기능을 한다.
가용접이 끝나면, 제1지그(100a)와 제2지그(100b)를 해체한 후, 본 용접을 행하여 완성한다(도 11g 참조).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지그(100)는 본질적으로 제1,2강관 브라켓(7)(9)과 웨브재(5)의 센터링되게 가조립시키는 센터링 가조립용 지그이며, 부수적으로 맞대기 용접을 하는 용접 지그로서의 기능을 행한다.
만약 도 11d의 작업이 시공 현장에서 바로 행해진다면 제1지그(100a) 및 제2지그(100b)를 해체하지 않고 바로 맞대기 클램핑 된 상태에서 맞대기 가용접이 행해지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강관 트러스 구조물 2 : 상현재
3 : 하현재 4 :연결재
5 : 웨브재 5a : 수직재
5b : 경사재 7 : 제1강관 브라켓
9 : 제2강관 브라켓 100 : 지그
110 : 밑면 받침편 120,130 : 제1,2상면 커버
140,150 : 제1,2힌지부 141,151 : 제1,2밑면힌지브라켓
143,153 : 제1,2상면힌지브라켓 145,155 : 제1,2힌지축
160,170 : 제1,2클램핑부 161,171 : 제1,2밑면클램핑브라켓
163,173 : 제1,2클램핑힌지축 165,175 : 제1,2볼트
166,176 : 제1,2너트 167,177 : 제1,2클램핑편
169,173 ; 제1,2출납홈 180 : 이격 공간
190 : 관통공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일단이 상현재의 외주면에 접합될 형상으로 가공된 제1파이프 브라켓과, 타단이 하현재의 외주면에 접합될 형상으로 가공된 제2파이프 브라켓과, 상기 제1파이프 브라켓의 타단과 상기 제2파이프 브라켓의 일단과 맞대는 웨브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파이프 브라켓의 타단과 상기 웨브재의 일단을 제1지그로 클램핑하여 맞대어 지지하는 단계;
    상기 웨브재의 타단만을 제2지그로 클램핑하는 단계;
    상기 제1파이프 브라켓의 일단을 상기 상현재의 접합될 외주면에 맞추는 단계;
    상기 제2파이프 브라켓의 일단을 상기 하현재의 접합될 외주면에 맞추는 단계;
    상기 제2파이프 브라켓의 일단의 밑면을 상기 제2지그에 받쳐 놓는 단계;
    상기 제1파이프 브라켓, 상기 웨브재 및 상기 제2파이프 브라켓의 길이방향으로 일직선인 센터링을 맞추는 단계;
    상기 제2지그로 상기 제2파이프 브라켓의 일단을 클램핑하여 상기 웨브재의 타단과 맞대어 지지하는 단계;
    상기 제1파이프 브라켓의 일단과 상기 상현재의 접합될 외주면을 용접하는 단계;
    상기 제2파이프 브라켓의 타단과 상기 하현재의 접합될 외주면을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강관 트러스 구조물의 시공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파이프 브라켓의 타단과 상기 웨브재의 일단을 맞대기 가용접을 하는 단계;
    상기 제2파이프 브라켓의 일단과 상기 웨브재의 타단을 맞대기 가용접을 하는 단계;
    상기 제1지그와 상기 제2지그를 해체하는 단계;
    상기 제1파이프 브라켓과 상기 웨브재의 맞대기 가용접 부위를 본 용접하는 단계;
    상기 제2파이프 브라켓과 상기 웨브재의 맞대기 가용접 부위를 본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강관 트러스 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140073997A 2014-06-18 2014-06-18 강관 트러스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485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3997A KR101485101B1 (ko) 2014-06-18 2014-06-18 강관 트러스 구조물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3997A KR101485101B1 (ko) 2014-06-18 2014-06-18 강관 트러스 구조물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5101B1 true KR101485101B1 (ko) 2015-01-22

Family

ID=52592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73997A KR101485101B1 (ko) 2014-06-18 2014-06-18 강관 트러스 구조물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510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76468A (zh) * 2019-06-05 2019-08-02 浙江中南建设集团钢结构有限公司 一种次桁架安装方法及其临时固定装置
KR102334957B1 (ko) 2021-09-10 2021-12-06 (주)해성기공 백링을 이용한 강관의 접합 방법
KR20230070729A (ko) 2021-11-15 2023-05-23 (주)해성기공 강관이음용 파이프 클램프 유닛 및 이를 이용한 강관의 이음접합 방법
KR20240127572A (ko) 2023-02-16 2024-08-23 주식회사 주원엔지니어링 파이프를 이용한 창고 구조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347B1 (ko) 2011-01-17 2011-08-08 (주)대우건설 모듈러 충전 강관 조립을 위한 용접용 가이드웨이
JP2011152566A (ja) 2010-01-27 2011-08-11 Sugatec Corp 配管部材端部仮固定装置
JP4750414B2 (ja) * 2004-12-28 2011-08-17 積水ハウス株式会社 仮付け溶接用固定治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50414B2 (ja) * 2004-12-28 2011-08-17 積水ハウス株式会社 仮付け溶接用固定治具
JP2011152566A (ja) 2010-01-27 2011-08-11 Sugatec Corp 配管部材端部仮固定装置
KR101055347B1 (ko) 2011-01-17 2011-08-08 (주)대우건설 모듈러 충전 강관 조립을 위한 용접용 가이드웨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76468A (zh) * 2019-06-05 2019-08-02 浙江中南建设集团钢结构有限公司 一种次桁架安装方法及其临时固定装置
CN110076468B (zh) * 2019-06-05 2023-06-02 浙江中南绿建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次桁架安装方法及其临时固定装置
KR102334957B1 (ko) 2021-09-10 2021-12-06 (주)해성기공 백링을 이용한 강관의 접합 방법
KR20230070729A (ko) 2021-11-15 2023-05-23 (주)해성기공 강관이음용 파이프 클램프 유닛 및 이를 이용한 강관의 이음접합 방법
KR20240127572A (ko) 2023-02-16 2024-08-23 주식회사 주원엔지니어링 파이프를 이용한 창고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5101B1 (ko) 강관 트러스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146341B1 (ko) 배관 용접용 클램핑 지그
KR101991542B1 (ko) 붐 암 및 콘크리트-분배 붐을 제작하기 위한 방법
JP5856683B2 (ja) 建設機械の油圧配管固定装置
JP2011152566A (ja) 配管部材端部仮固定装置
US20150071752A1 (en) Welded Component and Method of Fabrication
CN108555470A (zh) 一种u肋的嵌补段焊接结构
JP5738003B2 (ja) 溶接用治具
JP5334953B2 (ja) 電柱支持装置
JP2009072795A (ja) 溶接治具
JP2011106125A (ja) 足場用パネル連結具
KR20230040846A (ko) 관 용접용 지그장치
CN205857475U (zh) 幕墙夹具
CN203471187U (zh) 一种焊点强度试验辅助夹具
KR102514201B1 (ko) 관 용접용 지그장치
CN210435646U (zh) 一种管道架空焊接施工稳固器
CN219324954U (zh) 一种小管径管束对口器
JP3420344B2 (ja) クランプ継手
KR101986249B1 (ko) 정렬 지그 장치
KR102665865B1 (ko) 배관제작 용접용 지그
CN211174909U (zh) 管件连接结构
KR20190019228A (ko) 콘크리트파일용 연결유니트
KR102647863B1 (ko) 배관 엘보 용접용 지그 제작방법
JP2009121091A (ja) 柱継手構造
JPH08261214A (ja) 端口断面同形物品の端口芯合せ接合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