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4591B1 - 디지털 프린팅 머신 - Google Patents

디지털 프린팅 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4591B1
KR101484591B1 KR20130071876A KR20130071876A KR101484591B1 KR 101484591 B1 KR101484591 B1 KR 101484591B1 KR 20130071876 A KR20130071876 A KR 20130071876A KR 20130071876 A KR20130071876 A KR 20130071876A KR 101484591 B1 KR101484591 B1 KR 101484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n
fixing member
mesh
main body
printing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1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8215A (ko
Inventor
최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지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지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지아이
Priority to KR20130071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4591B1/ko
Publication of KR20140148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8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4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4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04Roller 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06Flat page-size platens or smaller flat platens having a greater size than line-size 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15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for treating before, during or after printing or for uniform coating or laminating the copy material before or after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85Using suction for maintaining printing material 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8Printing on text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041Digital printing on surfaces other than ordinary pap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프린팅 머신에 관한 것으로, 본체, 이송되는 인쇄지의 종류에 따라 본체에 교체 가능하게 구비되고 인쇄지를 지지하는 플래튼, 및 이 플래튼을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인쇄지의 종류에 따라 구비되는 면상플래튼 또는 메쉬플래튼을 본체에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플래튼에 인쇄지의 흡착 정도를 조절하기 위해 버큠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프린팅 머신{DIGITAL PRINTING MACHINE}
본 발명은 디지털 프린팅 머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쇄지의 종류에 따라 구비되는 면상플래튼 또는 메쉬플래튼을 본체에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플래튼에 인쇄지의 흡착 정도를 조절하기 위해 버큠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프린팅 머신은 컴퓨터에서 작도한 데이터를 인쇄지에 출력함으로써 도면의 정밀함과 선명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비로서, 특히 잉크젯 디지털 프린팅 머신은 헤드의 분사 잉크에 의해 저장된 데이터를 인쇄지에 출력하는 장비이다.
디지털 프린팅 머신은 필요한 동력을 발생·전달시키는 동력장치와, 이러한 동력장치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플래튼 롤러와, 플래튼 롤러에 동력장치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호 연결하는 타이밍 벨트와, 플래튼 롤러의 상부에서 플래튼 롤러와 일정거리 이격 되어 나란히 설치되어있는 한 쌍의 가이드바와 플래튼 롤러와 밀착 연동되는 압입 롤러, 가이드바에 설치되어 플래튼 롤러의 상부에서 횡으로 연동하면서 입력된 데이터를 인쇄지에 출력하는 헤드, 헤드에 잉크를 제공하는 잉크통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디지털 프린팅 머신에 대해서는 국내등록특허 제10-0454300호(발명의 명칭: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플래튼 구조)에 제안되어 있다.
기존 디지털 프린팅 머신은 인쇄술의 발달로 종이나 원단과 같은 면상 인쇄지를 사용할 때도 있고, 메쉬망과 같은 메쉬 인쇄지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 면상 인쇄지나 메쉬 인쇄지의 사용에 따라 다른 형상의 플래튼이 장착된 것이 사용되어야 함에 따라 최소한 2가지가 구비되어야 함으로써 설비비와 설치 공간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인쇄지의 종류에 따라 구비되는 면상플래튼 또는 메쉬플래튼을 본체에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인쇄지의 종류에 따라 디지털 프린팅 머신을 구비해야 함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고자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버큠팬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인쇄지가 플래튼에 너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은: 본체, 이송되는 인쇄지의 종류에 따라 상기 본체에 교체 가능하게 구비되고 인쇄지를 지지하는 플래튼, 및 상기 플래튼을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본체에 함몰 형성된 함몰홈부, 상기 함몰홈부의 마주하는 양쪽 내측면에 구비되는 지지턱, 상기 지지턱 각각에 유격되도록 구비되는 제 1고정부재, 및 상기 제 1고정부재 각각에 대응되도록 상기 플래튼 양측 가장자리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 1고정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 1고정부재와 상기 제 2고정부재는 서로 다른 극성의 자성체로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고정부재와 상기 제 2고정부재는 이웃한 상기 플래튼의 가장자리끼리 밀착되도록 일부만 겹쳐지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웃하여 접하는 상기 플래튼의 가장자리는 이송되는 인쇄지의 방향에 대해 대칭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래튼은 버큠홀이 형성된 편평한 면상플래튼 또는 메쉬홀을 갖는 메쉬플래튼을 구비하는 것으로, 인쇄지의 종류에 따라 상기 면상플래튼 또는 상기 메쉬플래튼이 상기 본체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플래튼에 접한 인쇄지가 흡착되도록 버큠팬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버큠팬은 회전 속도가 제어되도록 컨트롤러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은 종래 기술과 달리 인쇄지의 종류에 따라 구비되는 면상플래튼 또는 메쉬플래튼을 본체에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인쇄지의 종류에 따라 디지털 프린팅 머신을 구비해야 함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버큠팬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인쇄지가 플래튼에 너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플래튼 교체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플래튼 고정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플래튼을 밀착시키는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작업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플래튼 교체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플래튼 고정부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플래튼을 밀착시키는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은 본체(10), 플래튼(20), 및 고정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10)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서, 플래튼(20), 및 고정부(3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본체(10)에는 인쇄헤드(12)가 구비된다. 인쇄헤드(12)는 인쇄지(2)의 이송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송되며 잉크액을 분사하게 된다.
이때, 인쇄헤드(12)와 인쇄지(2)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해야, 인쇄불량이 방지된다.
아울러, 플래튼(20)은 인쇄 후 이송되는 인쇄지(2)를 지지하여 인쇄지(2)의 인쇄위치가 편평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플래튼(20)은 이송되는 인쇄지(2)의 종류에 따라 본체(10)에 교체 가능하게 구비된다.
인쇄지(2)는 종이나 텍스타일과 같은 면상인쇄지와 메쉬 타입의 메쉬인쇄지로 나뉘어진다.
아울러, 플래튼(20)은 편평한 면상플래튼(22)과 메쉬홀(25)을 갖는 메쉬플래튼(24)으로 나뉘어진다. 또한, 면상플래튼(22)은 작은 직경의 버큠홀(23)을 복수 개 통공한다.
따라서, 인쇄지(2) 중 면상인쇄지가 사용될 경우, 메쉬플래튼(24)이 사용된다.
그리고, 인쇄지(2) 중 메쉬인쇄지가 사용될 경우, 면상플래튼(22)이 사용된다.
편의상, 인쇄지(2)는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즉, 하나의 본체(10)가 면상플래튼(22)과 메쉬플래튼(24)을 사용되는 인쇄지(2)의 종류에 따라 교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면상플래튼(22)과 메쉬플래튼(24) 각각에 대응되는 본체(10)가 구비되어야 하는 기존에 비해, 설비비를 줄일 수 있다.
한편, 고정부(30)는 면상플래튼(22)과 메쉬플래튼(24)을 본체(10)에 용이하도록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고정부(30)는, 함몰홈부(32), 지지턱(34), 제 1고정부재(36), 및 제 2고정부재(3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함몰홈부(32)는 인쇄된 후 이송되는 인쇄지(2)를 지지하는 면상플래튼(22) 또는 메쉬플래튼(24)에 대응되도록 본체(10)에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턱(34)은 함몰홈부(32)의 마주하는 양쪽 내측면에 구비된다. 즉, 지지턱(34)은 이송되는 인쇄지(2)의 방향으로 함몰홈부(32)의 마주하는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다.
아울러, 제 1고정부재(36)는 지지턱(34) 각각에 일정 간격 유격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제 1고정부재(36)는 자성(磁性)을 갖는 영구자석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고정부재(36)는 지지턱(34)에 억지 삽입된 채 지지턱(34)의 표면과 동일 높이로 매립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제 1고정부재(36)의 개수 및 크기는 한정되지 않는다.
제 2고정부재(38)는 제 1고정부재(36) 각각에 대응되도록 면상플래튼(22)과 메쉬플래튼(24) 각각의 양측 가장자리 하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제 2고정부재(38)는 자성(磁性)을 갖는 영구자석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 1고정부재(36)와 제 2고정부재(38)는 서로 다른 극성의 자성체로 한다.
따라서, 제 2고정부재(38)가 제 1고정부재(36)에 쉽게 탈부착됨으로써, 면상플래튼(22) 또는 메쉬플래튼(24)은 용이하게 본체(10)에 교체 가능하게 된다.
이때, 본체(10) 표면에 면상플래튼(22) 또는 메쉬플래튼(24)을 부착할 경우 인쇄지(2)의 이송에 간섭을 발생함에 따라, 함몰홈부(32)가 형성된다. 즉, 면상플래튼(22) 또는 메쉬플래튼(24)은 본체(10)의 상측 표면과 동일 높이가 되도록 함몰홈부(32) 내측에 설치된다.
물론, 지지턱(34)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제 1고정부재(36)와 제 2고정부재(38)는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은 비교적 폭이 넓은 인쇄지(2)에 인쇄를 할 수 있도록 인쇄지(2)의 이송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면상플래튼(22)과 메쉬플래튼(24)은 본체(10)의 길이에 맞게 길게 형성되며, 제작상 및 교체상 편의를 위해 단위 길이로 이루어져 본체(10) 길이에 맞도록 복수 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 면상플래튼(22)끼리 또는 메쉬플래튼(24)끼리는 지지턱(34)에 놓여지게 된다.
이 경우, 이웃한 면상플래튼(22)끼리는 대향하는 테두리끼리 밀착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이웃한 메쉬플래튼(24)끼리는 대향하는 테두리끼리 밀착되어야 한다.
그래서, 제 1고정부재(36)와 제 2고정부재(38)는 이웃한 면상플래튼(22)의 가장자리끼리 및 이웃한 메쉬플래튼(24)의 가장자리끼리 밀착되도록 일부만 겹쳐지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제 1고정부재(36)가 지지턱(34)에 구비되고, 제 2고정부재(38)가 면상플래튼(22)에 구비되면서 메쉬플래튼(24)에 구비된 상태에서, 제 1고정부재(36)와 제 2고정부재(38)가 완전히 겹쳐지지 않고 일부만 겹쳐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대응되는 제 1고정부재(36)와 제 2고정부재(38)가 직선 상에 배치되지 않음에 따라, 제 1고정부재(36)와 제 2고정부재(38)는 상호 자력에 의해 완전히 포개지려는 힘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통해, 이웃한 면상플래튼(22)끼리는 밀착되려는 힘이 발생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이웃한 메쉬플래튼(24)끼리는 밀착되려는 힘이 발생하게 된다.
제 2고정부재(38)는 제 1고정부재(36)의 직상방에 대해 동일한 방향으로 소정 치우치도록 면상플래튼(22)과 메쉬플래튼(24)에 구비된다. 이는, 이웃한 면상플래튼(22)끼리 및 이웃한 메쉬플래튼(24)끼리가 밀착되려는 힘을 발생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웃한 면상플래튼(22)의 접하는 연결부위 및 이웃한 메쉬플래튼(24)의 접하는 연결부위가 인쇄지(2)의 이송 방향과 나란할 경우, 인쇄지(2)의 해당 부위에는 연결부위의 틈새로 인한 지속적인 인쇄불량이 초래될 수 있다.
그래서, 면상플래튼(22) 또는 메쉬플래튼(24)은 이송되는 인쇄지(2)의 방향에 대해 가장자리가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이웃한 면상플래튼(22)끼리 및 이웃한 메쉬플래튼(24)끼리는 대칭되게 경사지게 된다.
이는, 인쇄지(2)가 이송되면서 면상플래튼(22)끼리의 연결부위 또는 메쉬플래튼(24)끼리의 연결부위와 최소면적으로 접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인쇄지(2)가 인쇄 후 면상플래튼(22) 또는 메쉬플래튼(24)에 접하여 이송될 때, 인쇄지(2)는 면상플래튼(22) 또는 메쉬플래튼(24)에 흡착되어 편평하게 펴짐이 바람직하다. 이는, 인쇄지(2)가 흔들리거나 구겨짐에 따른 인쇄불량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본체(10)는 플래튼(20)에 접한 인쇄지(2)가 흡착되도록 버큠팬(40)을 구비한다. 특히, 버큠팬(40)은 함몰홈부(32) 내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면상플래튼(22)은 버큠팬(40)의 가동시 상부의 공기를 하부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버큠홀(23)을 복수 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버큠홀(23)은 최소의 직경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고,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버큠팬(40)이 가동되면, 인쇄지(2)는 면상플래튼(22)이나 메쉬플래튼(24)에 흡착되어 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물론, 버큠팬(40)의 개수 및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면상플래튼(22)과 메쉬플래튼(24) 중 어느 것이 적용되느냐에 따라, 버큠팬(40)의 회전 속도를 달라져야 한다. 이는, 버큠홀(23)과 메쉬홀(25)의 직경이 다름으로 인해, 버큠팬(40)이 동일 부하로 가동되더라도 송풍되는 송풍량이 달라짐에 따라, 인쇄지(2)가 면상플래튼(22)이나 메쉬플래튼(24)에 흡착되는 정도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즉, 인쇄지(2)가 면상플래튼(22)이나 메쉬플래튼(24)에 적당한 압력으로 흡착되어 정상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버큠팬(40)은 회전 속도가 제어되도록 컨트롤러(42)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컨트롤러(42)는 본체(10)에 구비되고, 버큠팬(40)의 회전 속도를 자동 제어 또는 수동 제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본체 12: 인쇄헤드
20: 플래튼 22: 면상플래튼
24: 메쉬플래튼 30: 고정부
32: 함몰홈부 34: 지지턱
36: 제 1고정부재 38: 제 2고정부재
40: 버큠팬 42: 컨트롤러

Claims (8)

  1. 본체;
    이송되는 인쇄지의 종류에 따라 상기 본체에 교체 가능하게 구비되고, 인쇄지를 지지하는 플래튼; 및
    상기 플래튼을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래튼은 버큠홀이 형성된 편평한 면상플래튼, 또는 메쉬홀을 갖는 메쉬플래튼을 구비하는 것으로,
    인쇄지의 종류에 따라 상기 면상플래튼 또는 상기 메쉬플래튼이 상기 본체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본체는 상기 면상플래튼 또는 상기 메쉬플래튼에 인쇄지가 흡착된 채 이송되도록 버큠팬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본체에 함몰 형성된 함몰홈부;
    상기 함몰홈부의 마주하는 양쪽 내측면에 구비되는 지지턱;
    상기 지지턱 각각에 유격되도록 구비되는 제 1고정부재; 및
    상기 제 1고정부재 각각에 대응되도록 상기 플래튼 양측 가장자리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 1고정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고정부재와 상기 제 2고정부재는 서로 다른 극성의 자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고정부재와 상기 제 2고정부재는 이웃한 상기 플래튼의 가장자리끼리 밀착되도록 일부만 겹쳐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
  5. 제 1항에 있어서,
    이웃하여 접하는 상기 플래튼의 가장자리는 이송되는 인쇄지의 방향에 대해 대칭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큠팬은 회전 속도가 제어되도록 컨트롤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
KR20130071876A 2013-06-21 2013-06-21 디지털 프린팅 머신 KR101484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1876A KR101484591B1 (ko) 2013-06-21 2013-06-21 디지털 프린팅 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1876A KR101484591B1 (ko) 2013-06-21 2013-06-21 디지털 프린팅 머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8215A KR20140148215A (ko) 2014-12-31
KR101484591B1 true KR101484591B1 (ko) 2015-01-22

Family

ID=52592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1876A KR101484591B1 (ko) 2013-06-21 2013-06-21 디지털 프린팅 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45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200011144A1 (it) * 2022-05-27 2023-11-27 Durst Group Ag Sistema di stampa con un primo e secondo mezzo di accogliment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6574A (ja) 1999-04-14 2000-11-28 Hewlett Packard Co <Hp> 大きさ可変の個別の印刷媒体シートを真空力を発生する真空手段を使用してプラテン表面に固定する方法
JP2006056097A (ja) 2004-08-19 2006-03-02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6574A (ja) 1999-04-14 2000-11-28 Hewlett Packard Co <Hp> 大きさ可変の個別の印刷媒体シートを真空力を発生する真空手段を使用してプラテン表面に固定する方法
JP2006056097A (ja) 2004-08-19 2006-03-02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8215A (ko) 2014-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70050B2 (ja) シート供給装置
JP6198313B2 (ja) 回転式打抜機
KR101484591B1 (ko) 디지털 프린팅 머신
CN106364160A (zh) 液体喷出装置
JP6573808B2 (ja) 補助パイルと主パイルとを1つに纏める装置
JP2017193136A (ja) インクジェット印刷装置および位置調整方法
JP2016060643A (ja) 補助パイルと主パイルとを1つに纏める方法および装置
JP2008279766A (ja) 版板を版胴に供給するための装置
JP4761511B2 (ja) 枚葉印刷機の位置決め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0155701A (ja) 排紙装置および両面印刷機
KR101800879B1 (ko)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인쇄지의 이송장치
CN107107368A (zh) 用于片材元件的横向定位装置
JP2013212919A (ja) 枚葉シート搬送装置及び印刷機
JP6216257B2 (ja) 印刷装置
JP2012091331A (ja) 円筒状側面を有する被印刷物に印刷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173145B1 (ko) 인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530220A (zh) 单张工件印刷部分的上料传送机装置
JP5598837B2 (ja) 刷版を自動的に供給する方法
JP2010052105A (ja) 半自動平盤打抜機
JP2014214001A (ja) 印刷機
JP6168969B2 (ja) サーマルプリンタ装置
KR101697619B1 (ko)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인쇄지의 이송장치
KR20160109069A (ko) 공기 가압식 이송장치
KR20090002778U (ko) 프레스금형 일체형 피치 이송장치
JP6167757B2 (ja) 孔版印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