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3509B1 - 변위측정에 의한 강판 에지의 웨이브 측정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변위측정에 의한 강판 에지의 웨이브 측정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3509B1
KR101483509B1 KR20080072240A KR20080072240A KR101483509B1 KR 101483509 B1 KR101483509 B1 KR 101483509B1 KR 20080072240 A KR20080072240 A KR 20080072240A KR 20080072240 A KR20080072240 A KR 20080072240A KR 101483509 B1 KR101483509 B1 KR 101483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ge
displacement
steel plate
frequency signal
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72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1150A (ko
Inventor
이왕하
배효정
박덕배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20080072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3509B1/ko
Publication of KR20100011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3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3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2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21B38/04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for measuring thickness, width, diameter or other transverse dimensions of the produ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021/8909Scan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inspection of running sheets
    • G01N2021/891Edge discrimination, e.g. by signal filte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변위측정에 의한 강판 에지의 웨이브 측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간압연이나 열간압연에 사용되는 강판의 웨이브를 정확히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변위측정에 의한 강판 에지의 웨이브 측정시스템은, 강판이 상부 및 하부의 압연 롤 사이를 통과하는 경우에, 선형 동작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강판의 에지를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흑색과 백색의 경계부를 강판의 에지로 검출하는 에지 검출기; 상기 에지 검출기로부터 에지검출신호를 수신하여 변위량을 측정하는 위치로부터 강판의 폭 방향으로 강판의 에지에서 기 설정된 이격거리를 갖는 지점까지의 변위량을 측정하는 변위계; 선형 동작에 의해 상기 에지 검출기 및 변위계를 선형 이동시키는 리니어 가이더; 상기 변위계로부터 변위량을 나타내는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여, 변위량을 나타내는 주파수 신호에서 강판의 진동에 의한 저주파 신호를 필터링하는 필터링 수단; 및 상기 필터링 수단을 통과한 주파수 신호로부터 웨이브의 양을 계산하는 연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강판, 변위측정, 에지, 저주파 신호, 선형 동작

Description

변위측정에 의한 강판 에지의 웨이브 측정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wave of strip edge by displacement measurmen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변위측정에 의한 강판 에지의 웨이브 측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간압연이나 열간압연에 사용되는 강판의 웨이브를 정확히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철소에서는 열간압연공정을 통하여 코일을 제조하고, 제조된 코일을 냉간압연공장으로 이송한 후, 부가적인 처리과정을 거쳐 강판을 제조한다.
종래에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강판의 에지에 발생하는 웨이브를 측정하는 시스템이 있었다.
도 1은 종래의 강판의 웨이브 측정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판(1)의 하부에는 석정반(10)이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고, 이런 석정반(10)의 평면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강판(1)이 진행한다. 강판(1)의 진행방향에 대해 석정반(10)의 전방 및 후방에는 업 다운 롤(up-down roll)(5F, 5B)이 강판(1)의 하면을 지지하면서 회전한다.
따라서, 업 다운 롤(5F, 5B)이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강판(1)은 하부로 이동하여 석정반(10)의 평면과 접하게 된다.
또한, 레이저 거리 측정센서를 구비한 강판 웨이브 측정장치는 석정반(10)의 양측면에 각각 강판(1)의 진행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위치한 두 개의 레일(15), 두 개의 레일(15)에 각각 한 개씩 설치되어 레일(1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2개의 슬라이더(17), 두 개의 레일(15)에 각각 설치된 슬라이더(17)를 연결하는 래크(rack)(20), 이런 래크(20)에 체결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래크(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3개의 피니언 기어(도시되지 않음), 각각의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키는 제1 모터(35), 제1 모터(35)에 연결되어 래크(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3개의 레이저 거리 측정센서(31, 32, 33) 및 래크(20)를 강판(1)의 진행 방향을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이송하는 구동부(50)를 포함한다.
따라서, 래크(20)는 진행하는 강판(1)의 폭 방향으로 강판(1)의 상부에 위치하며, 래크(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 3개의 레이저 거리 측정센서(31, 32, 33)는 각각의 제1 모터(35)의 구동에 의해 이동한다. 이때, 각각의 레이저 거리 측정센서(31, 32, 33)는 석정반(10)으로부터 30cm 상부에 위치하며 래크(20)와 석정반(10)의 사이로 강판(1)이 진행한다.
한편, 래크(20)는 구동부(50)에 연결된다. 구동부(50)는 래크(20)의 길이 중간부를 연결하는 볼 스크루(51)와, 볼 스크루(51)에 체결되어 래크(20)에 고정되는 볼 너트(53)와, 볼 스크루(51)의 단부에 고정되는 기어 풀리와, 볼 스크루(51)를 회전시키는 제2 모터(55) 및, 제2 모터(55)의 로터와 기어 풀리를 연결하는 벨트(57)를 포함한다.
따라서, 벨트(57)에 의해 제2 모터(55)의 로터의 구동은 볼 스크루(51)에 전달되어 볼 스크루(51)를 회전시키고, 볼 스크루(51)의 회전에 의해 볼 너트(53)는 볼 스크루(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강판(1)의 진행 방향에 대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제2 모터(55)의 구동에 의해 볼 너트(53)가 이동함에 따라 볼 너트(53)에 고정된 래크(20) 또한 강판(1)의 진행 방향에 대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볼 스크루(51)의 길이는 석정반(10)의 길이와 동일하다. 따라서, 볼 너트(53)는 볼 스크루(51)의 전체 길이만큼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며, 볼 너트(53)에 고정된 래크(20) 또한 볼 스크루(51)의 전체 길이(즉, 석정반(10)의 길이)만큼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제1 모터(35)의 구동에 의해 이동하는 레이저 거리 측정센서(31, 32, 33)는 래크(20)의 길이 방향 즉 진행하는 강판(1)의 폭 방향으로 이동한다. 래크(20)에 설치된 3개의 레이저 거리 측정센서(31, 32, 33)의 위치는 래크(20)의 양단과 중간에 각각 위치하며, 양단부에 위치한 두 개의 레이저 거리 측정센서(31, 33)는 래크(20)의 중간부로 이동하며 거리를 측정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강판의 웨이브 측정장치는 웨이브의 양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압연라인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강판의 웨이브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불편함이 많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냉간압연이나 열간압연에 사용되는 강판의 웨이브를 강판 폭에 관계없이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압연작업 중에 강판의 진동에 의한 웨이브를 제거하고 실제로 강판에 생긴 웨이브만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압연라인을 정지시키지 않고도 강판의 웨이브를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강판이 상부 및 하부의 압연 롤 사이를 통과하는 경우에, 선형 동작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강판의 에지를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흑색과 백색의 경계부를 강판의 에지로 검출하는 에지 검출기; 상기 에지 검출기로부터 에지검출신호를 수신하여 변위량을 측정하는 위치로부터 강판의 폭 방향으로 강판의 에지에서 기 설정된 이격거리를 갖는 지점까지의 변위량을 측정하는 변위계; 선형 동작에 의해 상기 에지 검출기 및 변위계를 선형 이동시키는 리니어 가이더; 상기 변위계로부터 변위량을 나타내는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여, 변위량을 나타내는 주파수 신호에서 강판의 진동에 의한 저주파 신호를 필터링하는 필터링 수단; 및 상기 필터링 수단을 통과한 주파수 신호로부터 웨이브의 양을 계산하는 연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측정에 의한 강판 에지의 웨이브 측정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 설정된 이격거리는 8~1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측정에 의한 강판 에지의 웨이브 측정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강판의 진동에 의한 저주파 신호는 상기 필터링 수단에 기 설정된 차단 주파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측정에 의한 강판 에지의 웨이브 측정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강판 양측의 변위 측정을 위하여 상기 에지 검출기, 변위계 및 리니어 가이더는 2대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측정에 의한 강판 에지의 웨이브 측정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강판이 상부 및 하부의 압연 롤 사이를 통과하는 제1단계; 상기 강판의 에지를 검출하는 에지 검출기를 선형 이동시켜 상기 강판의 에지를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흑색과 백색의 경계부를 강판의 에지로 검출하는 제2단계; 변위량을 측정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강판의 폭 방향으로 상기 강판의 에지에서 기 설정된 이격거리를 갖는 지점까지의 변위량을 측정하는 제3단계; 상기 변위량을 나타내는 주파수 신호에서 상기 강판의 진동에 의한 저주파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저주파 신호가 필터링된 주파수 신호로부터 웨이브의 양을 계산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측정에 의한 강판 에지의 웨이브 측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냉간압연이나 열간압연에 사용되는 강판의 웨 이브를 강판 폭에 관계없이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압연작업 중에 강판의 진동에 의한 웨이브를 제거하고 실제로 강판에 생긴 웨이브만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압연라인을 정지시키지 않고도 강판의 웨이브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측정상의 편리함이 많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 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변위측정에 의한 강판 에지의 웨이브 측정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위측정에 의한 강판 에지의 웨이브 측정 시스템은, 스탠드(100), 레일(200a, 200b), 구동부(300a, 300b), 리니어 가이더(350a, 350b), 에지 검출기(400a, 400b), 변위계(500a, 500b), 조명(700), 신호처리장치 (800)를 포함할 수 있다.
강판(600)은 압연기(도시되지 않음)를 통과한 후에 다른 압연기를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강판(600) 에지의 웨이브를 측정하기 위해 압연기와 압연기 사이에 스탠드(100)를 설치하고, 스탠드(100) 양측에는 레일(200a, 200b), 구동부(300a, 300b), 에지 검출기(400a, 400b), 변위계(500a, 500b), 조명(700)을 각각 구비하고 있다. 조명(700)은 형광등, LED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스탠드(100) 양측 상부에는 레일(200a, 200b)이 고정되어 있고, 레일(200a, 200b)에는 리니어 가이더(350a, 350b)가 선형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리니어 가이더(350a, 350b)에는 에지 검출기(400a, 400b)와 변위계(500a, 500b)가 부착되어 있고, 리니어 가이더(350a, 350b)는 고정대(200a, 200b) 일측에 부착된 구동부(300a, 300b)에 의해 레일(200a, 200b) 상을 선형 이동할 수 있다. 구동부(300a, 300b)는 선형 모터로 구성된다.
에지 검출기(400a, 400b)는 강판(600)이 상부 및 하부의 압연 롤 사이를 통과하는 경우에, 선형 동작에 의해 이동하여 강판(600)의 에지를 검출한다. 에지 검출기(400a, 400b)는 카메라 기능을 갖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강판(600) 위에서 강판(600)의 에지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에서 흑색과 백색의 경계부를 에지로 검출한다.
변위계(500a, 500b)는 에지 검출기(400a, 400b)로부터 에지검출신호를 수신하여 변위량을 측정하는 위치로부터 강판(600)의 폭 방향으로 강판의 에지에서 기 설정된 이격거리를 갖는 지점까지의 변위량을 측정한다. 변위계(500a, 500b)는 레이저 발사 또는 초음파 발사를 이용하여 변위를 측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 설정된 이격거리는 8~12mm로 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10mm로 한다. 이와 같은 이격거리로 설정하는 이유는, 강판(600)의 웨이브를 측정하기에 가장 적합한 지점이기 때문이다.
리니어 가이더(350a, 350b)는 선형 동작에 의해 에지 검출기(400a, 400b) 및 변위계(500a, 500b)를 선형 이동시킨다. 에지 검출기(400a, 400b) 및 변위계(500a, 500b)는 리니어 가이더(350a, 350b)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리니어 가이더(350a, 350b)의 선형 동작에 의해 같이 선형 이동하게 된다.
신호처리장치(800)는 필터링 수단(810)과 연산수단(820)으로 구성된다. 필터링 수단(810)은 변위계(500a, 500b)로부터 변위량을 나타내는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여, 변위량을 나타내는 주파수 신호에서 강판(600)의 진동에 의한 저주파 신호를 필터링한다. 그리고, 연산수단(820)은 필터링 수단(820)을 통과한 주파수 신호로부터 웨이브의 양을 계산한다.
저주파 신호의 필터링과 관련하여, 필터링 수단(810)은 일정한 값 이상의 주파수 신호만을 통과시키게 한다. 예를 들어, 강판(600)의 진동에 의한 주파수는 10Hz 미만이므로 차단 주파수를 10Hz로 하여 10Hz 이상의 주파수 신호로부터 웨이브의 양만을 계산하면 강판(600)의 진동에 의한 주파수를 제거할 수 있다. 즉, 강판(600)의 진동에 의한 저주파 신호는 필터링 수단(820)에 기 설정된 차단 주파수보다 작다. 저주파 신호 필터링 후에는 강판(600)의 진동에 의한 주파수를 제거하여 강판(600)의 표면에 생긴 웨이브의 양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에지 검출기가 강판의 에지를 검출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700)을 구비한 상태에서 조명(700) 위로 강판(600)이 통과하게 한다. 그리고, 에지 검출기에는 카메라 기능을 갖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강판(600) 위에서 에지 검출기로 강판(600)의 에지를 촬영한다.
에지 검출기에 의해 촬영된 부위는 모두 흑색으로 보이지만, 조명(700)이 있는 부위는 백색으로 보인다. 이러한 점을 이용하여 흑색과 백색으로 이진화된 영상을 살펴보면, 에지 검출기로 촬영된 둥근 부위의 상하에는 흑색과 백색으로 나뉜 부위가 보이는데, 이 부위가 강판(600) 일측의 에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위측정에 의한 강판 에지의 웨이브 측정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을 도 4와 함께 살펴보면, 변위측정에 의한 강판 에지의 웨이브 측정방법은 아래와 같다.
먼저, 강판(600)이 상부 및 하부의 압연 롤 사이를 통과한다(S100).
이후에, 리니어 가이더(350a, 350b)가 강판(600)의 에지를 검출하는 에지 검출기(400a, 400b)를 선형 이동시켜 강판의 에지를 검출한다(S200). 에지 검출기 (400a, 400b)는 리니어 가이더(350a, 350b)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리니어 가이더 (350a, 350b)의 선형 동작에 의해 같이 선형 동작하게 된다. 그리고, 에지 검출기(400a, 400b)는 카메라 기능을 갖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강판(600) 위에서 강판(600)의 에지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에서 흑색과 백색의 경계부를 에지로 검출한다.
이후에, 변위계(500a, 500b)가 변위량을 측정하는 위치로부터 강판의 폭 방향으로 강판(600)의 에지에서 기 설정된 이격거리를 갖는 지점까지의 변위량을 측 정한다(S300). 변위계(500a, 500b)는 레이저 발사 또는 초음파 발사를 이용하여 변위를 측정할 수 있다.
이후에, 필터링 수단(810)이 변위량을 나타내는 신호에서 강판(600)의 진동에 의한 저주파 신호를 필터링한다(S400). 저주파 신호의 필터링과 관련하여, 필터링 수단(810)은 일정한 값 이상의 주파수 신호만을 통과시키게 한다. 예를 들어, 강판(600)의 진동에 의한 주파수는 10Hz 미만이므로 차단 주파수를 10Hz로 설정하여 10Hz 미만의 주파수를 제거하면, 강판(600)의 진동에 의한 주파수가 제거된 주파수의 웨이브의 양만을 계산할 수 있다.
이후에, 연산수단(820)이 저주파 신호가 필터링된 주파수 신호로부터 웨이브의 양을 계산한다(S500). 저주파 신호가 필터링된 후에는 강판(600)의 진동에 의한 주파수가 제거되어 강판(600)의 표면에 생긴 웨이브의 양만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강판의 웨이브 측정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변위측정에 의한 강판 에지의 웨이브 측정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에지 검출기가 강판의 에지를 검출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위측정에 의한 강판 에지의 웨이브 측정방법의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스탠드 200a, 200b : 레일
300a, 300b : 구동부 350a, 350b : 리니어 가이더
400a, 400b : 에지 검출기 500a, 500b : 변위계
600 : 강판 700 : 조명
800 : 신호처리장치 810 : 필터링 수단
820 : 연산수단

Claims (5)

  1. 강판이 상부 및 하부의 압연 롤 사이를 통과하는 경우에, 선형 동작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강판의 에지를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흑색과 백색의 경계부를 강판의 에지로 검출하는 에지 검출기;
    상기 에지 검출기로부터 에지검출신호를 수신하여 변위량을 측정하는 위치로부터 강판의 폭 방향으로 강판의 에지에서 기 설정된 이격거리를 갖는 지점까지의 변위량을 측정하는 변위계;
    선형 동작에 의해 상기 에지 검출기 및 변위계를 선형 이동시키는 리니어 가이더;
    상기 변위계로부터 변위량을 나타내는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여, 변위량을 나타내는 주파수 신호에서 강판의 진동에 의한 저주파 신호를 필터링하는 필터링 수단; 및
    상기 필터링 수단을 통과한 주파수 신호로부터 웨이브의 양을 계산하는 연산수단;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측정에 의한 강판 에지의 웨이브 측정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이격거리는 8~1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측정에 의한 강판 에지의 웨이브 측정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강판 양측의 변위 측정을 위하여 상기 에지 검출기, 변위계 및 리니어 가이더는 2대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측정에 의한 강판 에지의 웨이브 측정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진동에 의한 저주파 신호는 상기 필터링 수단에 기 설정된 차단 주파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측정에 의한 강판 에지의 웨이브 측정시스템.
  5. 강판이 상부 및 하부의 압연 롤 사이를 통과하는 제1단계;
    상기 강판의 에지를 검출하는 에지 검출기를 선형 이동시켜 상기 강판의 에지를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흑색과 백색의 경계부를 강판의 에지로 검출하는 제2단계;
    변위량을 측정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강판의 폭 방향으로 상기 강판의 에지에서 기 설정된 이격거리를 갖는 지점까지의 변위량을 측정하는 제3단계;
    상기 변위량을 나타내는 주파수 신호에서 상기 강판의 진동에 의한 저주파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저주파 신호가 필터링된 주파수 신호로부터 웨이브의 양을 계산하는 제5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측정에 의한 강판 에지의 웨이브 측정방법.
KR20080072240A 2008-07-24 2008-07-24 변위측정에 의한 강판 에지의 웨이브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483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72240A KR101483509B1 (ko) 2008-07-24 2008-07-24 변위측정에 의한 강판 에지의 웨이브 측정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72240A KR101483509B1 (ko) 2008-07-24 2008-07-24 변위측정에 의한 강판 에지의 웨이브 측정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150A KR20100011150A (ko) 2010-02-03
KR101483509B1 true KR101483509B1 (ko) 2015-01-19

Family

ID=42085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72240A KR101483509B1 (ko) 2008-07-24 2008-07-24 변위측정에 의한 강판 에지의 웨이브 측정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35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927B1 (ko) * 2013-02-14 2014-08-07 거산산업주식회사 피시비 두께 측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0664A (ja) * 1996-01-30 1997-08-12 Nisshin Steel Co Ltd コイル耳波測定方法及び装置
KR20000043812A (ko) * 1998-12-29 2000-07-15 이구택 스트립의 형상측정신호에서 진동 노이즈 제거 장치 및 방법
KR200290266Y1 (ko) 1998-06-27 2002-11-18 주식회사 포스코 냉연 강판의 폭방향 반곡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0664A (ja) * 1996-01-30 1997-08-12 Nisshin Steel Co Ltd コイル耳波測定方法及び装置
KR200290266Y1 (ko) 1998-06-27 2002-11-18 주식회사 포스코 냉연 강판의 폭방향 반곡 측정장치
KR20000043812A (ko) * 1998-12-29 2000-07-15 이구택 스트립의 형상측정신호에서 진동 노이즈 제거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150A (ko) 2010-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1592B1 (ko) 롤의 권취형상의 결함 검사방법 및 검사장치
RU2014109353A (ru) Прокатный стан, а такж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прокатного или направляющего калибра прокатных или направляющих клетей в многоклетевом прокатном стане
CN208021460U (zh) 用于跨座式单轨的检测车
CN209802322U (zh) 一种玻璃平面度检测机构
KR20150058078A (ko) 굽힘 기계 내에서 가공물의 굽힘 반경 및 전진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유닛
CN103817562A (zh) 一种刀具参数的检测方法及其检测装置
KR101483509B1 (ko) 변위측정에 의한 강판 에지의 웨이브 측정 시스템 및 방법
JPH10307015A (ja) 走行レールの検査方法および装置
EP2363716B1 (en) Device to analyze and determine the movement characteristics of products, in particular in a casting line, and related method
JP2015081857A (ja) ベルトコンベアのベルト検査方法
JP5186460B2 (ja) アキューム帯状体振動測定装置
CN209372045U (zh) 用于镀锡板表面粗糙度检测装置
JP5702634B2 (ja) カメラ解像度自動測定方法及び自動調節方法並びに画像検査方法及び装置
KR101928013B1 (ko) 압연롤 초크의 측정장치
JP2003227707A (ja) 厚さ計
KR101752801B1 (ko) 치수측정장치 및 방법
KR20160070397A (ko) 연속주조설비의 롤 변형 및 마모 측정 장치
JPH0460405A (ja) スタンド間多目的センサ
JP2006234540A (ja) H形鋼の形状測定方法
JP4160943B2 (ja) 鋼板の幅方向伸び率分布測定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180034880A (ko) 볼트 검사 장치
JP2001004362A (ja) 金属板の形状測定方法および装置
RU188304U1 (ru) Измеритель неплоскостности листового проката
KR101129880B1 (ko) 광학식 평탄도 측정 장치
CN210014866U (zh) 一种测量毛布运动状态带水量和张紧度的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