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2465B1 - 디스플레이 패널의 접이식 거치대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패널의 접이식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2465B1
KR101482465B1 KR20130162843A KR20130162843A KR101482465B1 KR 101482465 B1 KR101482465 B1 KR 101482465B1 KR 20130162843 A KR20130162843 A KR 20130162843A KR 20130162843 A KR20130162843 A KR 20130162843A KR 101482465 B1 KR101482465 B1 KR 101482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oving plate
fixing
display panel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62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충연
Original Assignee
김충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충연 filed Critical 김충연
Priority to KR20130162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24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2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2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60R11/0235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of flat type, e.g. LC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8Ceiling, e.g. roof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9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motoriz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자동 접이식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천정에 장착 고정되는 고정판; 양측에 디스플레이 패널 삽입 고정용 수납편이 마련된 이동판; 상기 이동판의 하단과 상기 고정판의 후단 상부를 힌지 고정하여 상기 이동판이 고정판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된 회동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편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삽입고정될 때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부가 고정판을 바라보게 배치하여 이동판이 접혔을 때 상기 화면부는 항상 차량의 천정면을 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접이식 거치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이 장착될 수 있는 버스의 좁은 공간에서 운전자나 승객의 움직임에 제약이 없고, 사용자가 더욱 편안한 자세로 영상물을 시청할 수 있으며, 또한 버스의 이동시 디스플레이 장치의 흔들림이나 떨림에 의한 소음 없이 영상물을 시청할 수 있고, 나아가 디스플레이 패널이 접어질 때 화면이 천정면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화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간섭, 충돌에 의한 파손이나 깨짐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패널의 접이식 거치대{FOLDING TYPE APPARATUS FOR DISPLAY PANEL}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접이식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대형버스를 포함한 차량에 설치되는 LCD나 PDP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고정한 상태에서 접고 펴기 용이하고,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각도 조절이 용이하며, 패널을 접었을 때 패널의 화면이 천정면을 향하도록 하여 간섭이나 충돌에 의한 화면 파손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접이식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현대생활에 있어 버스, 승용차 등의 차량은 단순한 운송수단의 개념에서 벗어나 하나의 독립된 생활공간으로 인식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주행성이나 승차감과 같은 차량의 기술적인 사항 못지 않게 중요시되고 있는 것 중의 하나가 탑승자의 편의성과 안락성을 줄 수 있는 각종 편의장치의 제공이다.
정보화시대인 현대에 이르러 장거리 여행이나 교통정체로 인하여 차량 내에서 머무는 시간이 많아지므로 이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차량 내에 모니터를 설치하여 영화나 TV 프로그램 등을 시청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가 장착된 차량이 점차 늘고 있다.
기존 CRT를 대체하기에 이른 LCD나 PDP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급에 따라, 단순히 장식장 탁자에 세워지는 것을 넘어서 천정이나 벽면에 고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치대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한 선행기술로, 등록실용 제0227372호, 등록실용 제0224719호, 등록실용 제0362224호, 등록실용 제0286371호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버스나 소형 차량에서와 같은 좁은 공간에서 천정이나 벽면에 고정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운전자나 승객의 움직임에 많은 제약을 줄 수 있다.
이를 개선한 예로, 상기 등록실용 제0286371호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한 예가 있다.
하지만, 접을 수 있는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이 노출된 상태로 하방향을 향한 채 천정면으로 접어지기 때문에 간섭이나 혹은 충돌에 의해 화면이 깨지거나 파손될 수 있는 우려가 높다.
또한, 접을 수 있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차량의 전면 유리 반대방향으로 접어지기 때문에 공간활용 측면에서 매우 불리한 단점도 있다.
즉, 도 1에서와 같이, 종래 접을 수 있는 거치대는 디스플레이 패널(P)이 고정되는 접이대(10)의 후방에 이를 접었다 펼 수 있도록 하는 회전기구(2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결국, 디스플레이 패널(P)은 접혔을 때 화면이 하부를 향하면서 노출될 수 밖에 없는 구조이다.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P)의 화면이 무방비 상태로 노출된 상태이므로 간섭, 접촉, 충돌 등에 의해 화면이 쉽게 깨지거나 파손되는 단점이 발생하게 되며, 더 큰 문제로 화면이 깨졌을 때 유리조각 등이 고스란히 그대로 차량의 바닥에 떨어지면서 비산되므로 승객의 안전사고 위험이 매우 높다.
더구나, 회전기구(20)의 존재 때문에 접이대(10)의 후방공간이 불필요하게 많이 요구되어 공간 활용 측면에서도 매우 불리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디스플레이 장치가 장착될 수 있는 버스의 좁은 공간에서 운전자나 승객의 움직임에 제약이 없고, 사용자가 더욱 편안한 자세로 영상물을 시청할 수 있으며, 버스 이동시 디스플레이 장치의 흔들림이나 떨림에 의한 소음 없이 영상물을 시청할 수 있고, 나아가 디스플레이 패널이 접어질 때 화면이 천정면을 향하도록 하여 화면이 노출되지 않게 함으로써 간섭, 충돌에 의한 파손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면서 동시에 전면 유리쪽에 근접 설치되게 하여 접어지도록 함으로써 공간 활용을 효율화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접이식 거치대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차량의 천장에 부착되는 천장부착부, 디스플레이 패널이 천장부착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천장부착부의 일측면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수직이격부, 및 상기 천장부착부와 수평방향으로 상기 수직이격부와 수직으로 결합되는 이동판부착부로 구성되어, 내부에 회전축을 구비한 동력원을 수용할 수 있는 내측공간이 형성되고, 차량 천정에 돌출된 형태로 장착 고정되는 'ㄷ'자 형상의 고정판; 상기 고정판보다 길이가 길고, 양측에 디스플레이 패널 삽입 고정용 수납편이 마련된 이동판; 상기 이동판의 후면 하단과 상기 이동판부착부의 상부면을 힌지 고정하여 상기 이동판이 고정판에 대해 이동판부착부의 상부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된 회동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이격부의 높이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두께보다 크며, 상기 수납편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삽입고정될 때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부가 고정판을 바라보게 배치하여 이동판이 접혔을 때 상기 화면부는 항상 차량의 천정면을 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접이식 거치대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고정판의 양측에는 상기 고정판과 이동판을 고정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볼트를 더 구비하되; 상기 고정볼트는 상기 고정판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이동판과 나사결합하는 수나사부; 상기 수나사부가 돌출된 방향으로 개방되며 회전하는 제1머리부와, 상기 제1머리부의 개방된 부분에 결합하며 상기 수나사부가 관통하는 제2머리부로 이루어진 머리부; 및 상기 수나사부의 길이 방향으로 끼워져서 상기 제1머리부에 삽입되어 일단은 제1머리부와 접하고 타단은 제2머리부와 접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판과 이동판이 서로 대향하는 면 상에는 상호간에 링크되어 충격을 완충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스댐퍼가 더 설치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내측공간에 설치되는 동력원; 상기 동력원의 회전축과 결합한 회동고정부, 및 상기 회동고정부와 수직으로 결합하는 직각고정부를 포함하는 동력전달판; 상기 직각고정부의 일단에 결합하는 완충힌지; 상기 완충힌지의 타단이 결합하는 회전플레이트;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동력을 전달하고 일정거리 왕복운동 하는 슬라이드레일; 및 상기 슬라이드레일과 이동가능 하도록 결합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이 삽입되며, 이동판에 부착 고정되는 가이드레일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완충힌지는 중간에는 힌지스프링이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판의 하단면에는 상기 이동판이 세워졌을 때 동력원의 구동을 제한하는 제1리미트스위치가 더 설치되고; 상기 고정판의 후측 상면에는 상기 이동판이 접어졌을 때 동력원의 구동을 제한하는 제2리미트스위치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삭제
뿐만 아니라, 상기 동력원이 설치된 공간은 커버에 의해 보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의 배면에는 상기 동력원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제어할 수 있는 제어박스가 더 설치되며, 상기 제어박스에는 구동스위치가 구비되어 상기 동력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박스에는 외부로 연장되는 리드선에 의해 원거리에서 동력원을 조작할 수 있도록 리드선의 말단에 원격조작스위치를 더 설치하거나 혹은 리모컨을 통해 원격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회동힌지는 이동판에 고정되는 제1브라켓과, 고정판에 고정되는 제2브라켓과, 상기 제1,2브라켓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힌지축과, 상기 제1,2브라켓이 겹치는 사이에 조립된 판스프링와셔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판스프링와셔는 일단면이 볼록한 얇은 판을 여러겹 겹쳐서 조립하고 압축, 압입하는 형태로 조립되어 제1,2브라켓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서로 회전할 때 마찰마모를 방지하고 힌지축에 강력한 회전토크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납편의 외측면에는 돌출편이 더 고정되고, 상기 돌출편과 대응되는 개소의 천정면에는 상기 돌출편이 탄성 걸림되면서 탈착 가능한 결합부재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돌출편은 상부 양측에 홈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돌출편과 끼움 결합되는 볼 형상의 결합공; 상기 결합공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을 압박하여 결합공에 제공되는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는 조임나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이 장착될 수 있는 버스의 좁은 공간에서 운전자나 승객의 움직임에 제약이 없고, 사용자가 더욱 편안한 자세로 영상물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버스의 이동시 디스플레이 장치의 흔들림이나 떨림에 의한 소음 없이 영상물을 시청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패널이 접어질 때 화면이 천정면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화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간섭, 충돌에 의한 파손이나 깨짐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나아가, 거치대가 전면 유리에 근접한 상태로 설치되고, 그 반대방향으로 접어지게 구성함으로써 공간 활용을 효율화시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거치대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접었을 때 모습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고정을 위한 고정볼트의 예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고정을 위한 돌출편과 결합부재의 예시도이다.
도 4c는 도 4b에 예시된 돌출편과 결합부재의 적용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구성하는 가스댐퍼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배면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구성하는 동력원 및 동력전달부재의 결합관계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구성하는 동력전달부재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구성하는 동력전달부재의 조립 상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X-X'선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서 완충힌지의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회동힌지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실시예]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접이식 거치대는 고정판(100)을 포함한다.
본 발명 제1실시예는 수동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가장 기본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며, 디스플레이 패널은 일반적으로 LCD나 PDP TV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DVD, 위성 TV, 지상파 디지탈 TV, 모니터, 노래방기기, DMB와 위성방송 화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이동판(20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적인 내용은, 상기 이동판(200)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이 이동판(200)이 접어질 때 차량의 천정면을 향하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있으며,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접어졌을 때 화면이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에 주된 포인트가 있는데, 이를 구현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구성은 후술한다.
아울러, 상기 고정판(100)은 버스 등 차량의 탑승구 인접 상측 천정면, 특히 전면 유리 쪽에 근접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판(200)이 상기 고정판(100)에 대하여 회전하면서 폴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이동판(200)과 고정판(100)이 맞닿은 일단 부위에는 회동힌지(300)가 설치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가장 기본적인 구성은, 버스를 포함한 차량의 내부 천정면에 고정되는 고정판(100), 디스플레이 패널을 수납하면서 상기 고정판(100)과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이동판(200), 상기 고정판(100)과 이동판(200)을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동힌지(300)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판(100)과 이동판(200)이 회동힌지(300)를 중심으로 회전운동할 때 진동 및 충격 흡수는 물론 급속한 낙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13과 같이 특수한 판스프링와셔(340, 도 13 참고)를 삽입한 회동힌지(300)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자세한 구조 및 조립방법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기존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고정판(100)은 상부가 'ㄷ'자 형태로 절곡되어 개방된 일종의 박스 타입이며, 도 2를 기준으로 볼 때 저면이 버스 등 차량의 실내 천정면에 접지 고정되며, 접었을 때는 도 3과 같이 접히게 된다.
고정판(100)은 차량의 천장에 부착되는 천장부착부(101), 디스플레이 패널이 천장부착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천장부착부(101)의 일측면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수직이격부(102), 및 상기 천장부착부(101)와 수평방향으로 상기 수직이격부(102)와 수직으로 결합되는 이동판부착부(103)로 구성되며, 고정판(100)의 내부에 회전축을 구비한 동력원을 수용할 수 있는 내측공간이 형성되고, 차량 천정에 돌출된 형태로 장착 고정된다.
이동판(200)은 고정판(100)보다 길이가 길고, 양측에 디스플레이 패널 삽입 고정용 수납편(210)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이동판(200)의 후면 하단과 상기 이동판부착부(103)의 상부면을 힌지 고정하여 상기 이동판(200)이 고정판(100)에 대해 이동판부착부(103)의 상부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된 회동힌지(300)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이격부(102)의 높이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두께보다 크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100)에는 내부에 스프링(132)을 내장한 특수한 구조의고정볼트(130)가 한개 이상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고정볼트(130)는 도 2의 예시와 같이, 상기 고정판(100)의 양측에 대칭되게 다수개 조립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고정볼트(130)는 고정판(100)의 일부에 수나사부(134)의 직경보다 큰 구멍을 뚫고 그 곳에 조립 또는 설치한다. 설치하는 방법은 용접, 볼트체결, 리벳팅, 압착, 압입 등 다양한 방법으로 설치 할 수 있다. 고정볼트(130)의 설치 위치는 고정판(100)의 양측면에 설치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별도로 고정볼트(130) 설치용 브라켓을 추가하여 이동판(200)의 일부나 디스플레이 패널 일부에도 설치 할 수 있으며 고정볼트(130)와 체결홀(230)의 설치위치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바꿔서 설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볼트(130)의 역할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영상물 시청이 완료된 후 이동판(200)을 수동으로 완전히 접었을 때 상기 이동판(200)이 상기 고정판(100)에 고정볼트(130)와 체결홀(230)에 의해 나사결합 됨으로서 견고히 고정결합되게 하여 차량 이동에 따른 유동이나 충격을 받더라도 고정판(100)으로부터 이동판(200)이 쉽게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해 주고, 차량의 운행중 이동판(200)의 진동에 의한 잡음 및 소음을 방지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도 4a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볼트(130)는 머리부(136), 수나사부(134) 및 스프링(13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머리부(136)는 고정볼트(130)의 일단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판(100)에 설치된 고정볼트(130)의 수나사부(134)가 상기 이동판(200)의 체결홀(230, 도 2 참조)에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머리부(136)는 수나사부(134)와 일체형으로서 수나사부(134)가 돌출된 방향으로 개방되며 회전하는 제1머리부(136-1)와, 상기 제1머리부(136-1)의 개방된 부분에 결합하며 상기 수나사부(134)가 관통하는 제2머리부(136-2)로 구성된다. 또한, 제2머리부(136-2)는 제1머리부(136-1)와 서로 조립된 상태이며 일측면을 제1머리부(136-1)의 내부 공간에 삽입후 빠지지 않도록 제1머리부(136-1)의 끝부분을 접거나 막아서 밀패 조립 시키고 다른 일측면은 고정판(100) 일부에 설치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 한다. 따라서, 제2머리부(136-2)의 역할은 고정볼트(130)가 체결홀(230)과 분리되더라도 고정판(100)에서 이탈되거나 분실되지 않도록 고정볼트(130)를 튼튼하게 지탱해 주고 수나사부(134)가 원활히 회전할 수 있도록 안내해 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수나사부(134)는 상기 고정판(100)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판(200) 또는 수납편(210)의 일부에 암나사 형태로 뚫려 있는 체결홀(230)에 나사 결합된다. 이때, 수나사부(134)와 머리부(136)는 일체형이므로 머리부(136)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이동판(200)에 뚫려 있는 체결홀(230)과 나사 결합되며, 반대로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체결홀(230)과 서로 분리된다.
아울러, 상기 스프링(132)은 상기 수나사부(134)의 길이 방향으로 끼워져 상기 제1머리부(136-1)에 삽입되어 일단은 제1머리부(136-1)와 접하고, 타단은 제2머리부(136-2)와 접하여 제1머리부(136-1)와 제2머리부(136-2) 사이의 공간에 압축시켜서 조립함으로서 제1머리부(136-1)와 제2머리부(136-2)가 서로 밀게 되는 탄성 반발력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나사부(134)가 체결홀(230)에서 분리되었을 때 머리부(136)에 상기 고정판(100)의 반대방향으로 수직 항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스프링(132)의 역할은 수나사부(134)가 체결홀(230)에서 풀린 후 이동판(200)에 간섭을 하지 않도록 최대한 수나사부(134)를 체결홀(230)로부터 멀리 이격 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되며 제1머리부(136-1)와 제2머리부(136-2)를 서로 탄성 지지하게 되어 차량의 진동시 흔들림 잡음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때문에, 상기 고정볼트(130)는 이동판(200)이 고정판(100)으로부터 분리되더라도 상기 스프링(132)에 의해 탄성지지되므로 상기 고정볼트(130)의 수나사부(134)가 이동판(200)의 체결홀(230)로 부터 풀린 상태에서도 고정볼트(130)가 고정판(100)으로부터 이탈되거나 유동되거나 혹은 떨림 등을 일으키지 않아 소음 방지는 물론 분실의 우려도 일거에 제거할 수 있어 편의성이 증대된다.
한편, 상기 이동판(200)은 양측면에서 각각 바깥쪽으로 돌출된 후 절곡되어 '' 형상의 삽입홈(220)을 형성하는 수납편(210)이 이동판(200)과 일체형 또는 브라켓 형태로 분리되어 체결되거나 조립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면서 진동 및 충격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삽입홈(220)에 디스플레이 패널이 끼워지거나 조립되는 형태로도 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 전체를 감싸도록 박스 형태로도 할 수 있으며, 상기 수납편(210)을 착탈가능한 구조의 분리형으로 이동판(200)에 별도로 설치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상기 삽입홈(220)이 끼워진 후에는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수단이 반드시 필요하지만, 이러한 고정수단은 당연한 것임은 물론 공지된 다수의 형태가 있기 때문에 굳이 여기서는 한정하지 않으며, 도시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덧붙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천정면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고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 4b 및 도 4c와 같이 돌출편(140)과, 이에 결합되는 결합부재(1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편(140)은 수납편(210)의 외측면에 고정되며, 도 4b의 (a)와 같이, 탄성구조를 갖도록 절곡 형성되고, 돌출된 양측에는 홈 또는 돌기 형태로 형성되어 도 4b의 (b),(c)에 예시된 결합부재(170)와 맞물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결합부재(170)는 차량의 천정면에 고정되며, 내측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고, 결합공(172), 스프링(174) 및 조임나사(17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공(172)은 볼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돌출편(140)에 양측으로 돌출된 돌기에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174)은 상기 결합부재(170) 내측의 중공부에 위치하고, 상기 결합공(172)과 돌출편(140)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공(172)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조임나사(176)는 상기 결합부재(170) 내측에 형성된 중공부와 나사 결합할 수 있고, 상기 조임나사(176)가 상기 중공부 내측으로 더 많이 위치할수록 상기 스프링(174)을 더 강하게 압박하여 상기 결합공(172)에 더 큰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조임나사(176)를 신축성 있게 드라이버로 조절하여 모니터 무게나 크기에 따라 체결력이나 체결강도 및 이완강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결합부재(170)와 돌출편(140)의 형상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서로 맞물려서 결합할 수 있는 구조면 되므로, 여기에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데, 이를 테면, 돌출편의 단면형상이 다이아몬드 형상으로 되고, 결합부재가 이를 수용할 수 있는 형태로 된다든지, 돌출편과 결합부재가 자석에 의해 결합한다든지의 변형예도 적용될 수 있으며, 걸고리 구조 및 후크와 켓치구조를 결합하여 상호 결합 및 이완시키는 역할을 대체할 수 있는 기구적인 구조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힌지(300)는 도 3 및 도 13에서와 같이, 힌지축(310)을 중심으로 제1브라켓(320)과 제2브라켓(330)이 경첩 형태로 링크되어 구성되는데, 제1브라켓(320)은 고정판(100)의 배면에 접지 고정되고, 제2브라켓(330)은 이동판(200)의 배면 하단에 접지 고정된다.
이때, 상기 회동힌지(300)는 차량의 진동이나 흔들림에도 디스플레이 패널의 진동잡음 및 충격을 방지하기 위하여 특수 진동방지 구조로 설계된다.
즉, 상기 회동힌지(300)의 조립구조를 자세히 설명하면, 제1브라켓(320)과 제2브라켓(330)이 겹치는 사이에 특수 스프링 강판 소재로 만든 단면이 볼록한 얇은 판스프링와셔(340)를 여러겹 겹쳐서 조립하고 압축, 압입함으로써 판스프링와셔(340)의 압축, 압력으로 강력한 회전토크(Rotation Torque)를 발생하게 하여 제1,2브라켓(320,330)이 힌지축(310)을 중심으로 서로 회전할 때 마찰마모를 방지하고 힌지축(310)에 강력한 회전토크를 유지하게 함으로서 차량의 진동 및 급격한 흔들림에도 잡음이나 충격을 방지하며, 고정판(100)과 이동판(200)이 회동힌지(300)를 중심으로 접혀지고 펴질 때 판스프링와셔(340)의 압축 반발력 및 회전토크에 의해 이동판(200)의 급격한 낙하를 방지하고, 일정 각도이상 펴진상태에서 차량의 흔들림이나 진동에도 디스플레이 패널의 흔들림이나 진동잡음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판스프링와셔(340)의 재질 및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코일스프링, 특수베어링, 오일뎀퍼, 토션바, 압축스프링 등으로 설계변경하는 방법으로 판스프링와셔(340)를 대체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이동판(200)의 하단과 고정판(100)의 배면 사이는 상기 회동힌지(300)에 의해 약간의 갭(Gap)을 갖게 되며, 이로 인해 이동판(200)이 접히고 펴질 때 간섭없이 원활한 접힘과 펼침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가장 기본적인 구조의 거치대는 고정판(100), 이동판(200), 회동힌지(300)와 같은 3개의 구성만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을 수동으로 접고 펼 수 있게 된다.
이에 더하여, 이동판(200)을 접었을 때 고정판(100)에 설치하는 고정볼트(130)를 본 발명에 따른 특수한 구조를 갖도록 구성하면 접거나 펼쳤을 때 차량의 진동이나 충격에 대해서도 탄성저항하는 기능이 있어 소음이 발생되지 않아 쾌적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2 및 도 5의 예시와 같이, 상기 이동판(200)과 고정판(100)의 결속력을 더욱 더 강화시켜 흔들림이나 요동, 충격 등으로부터 소음발생을 방지하고, 본 발명 거치대가 더욱 더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안내하는 수단으로 가스댐퍼(18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스댐퍼(180)는 차량의 이동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동판(200)의 흔들림이나 떨림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데, 내측에 공기와 같은 가스가 내장되어 있어 가스에 의해 미는 힘을 발생시켜서 차량의 이동시 흔들림에 의한 진동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스댐퍼(180)는 실린더(182) 및 연결로드(184)를 포함하는데, 상기 실린더(182)는 일측이 고정판(100)에 부착되어 일정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고, 타측이 연결로드(184)와 연결되어 있으며, 일정 각도 회전할 수 있고, 내측에 에어(가스)가 내장된다.
또한, 상기 연결로드(184)는 일측이 상기 실린더(182)와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182) 내부에서 일정거리 직선 왕복운동 할 수 있도록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이동판(200)에 부착되어 일정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182)의 일측과 연결로드(184)의 타측은 각각 이동판(200)과 고정판(100)에 부착되어 일정 각도로 회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영상물을 시청한 후 고정판(100) 방향으로 접어 차량 내에서의 보행이나 이동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가스댐퍼(180)는 고정판(100)에서 고정볼트(130)를 돌려서 이동판(200)이 분리된 후, 디스플레이 패널의 무게에 의한 급속한 낙하를 방지하여, 고정판(100)의 천장 고정부분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디스플레이 패널에 가해지는 원치 않는 충격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이를 이용하여 가스댐퍼(180)의 압축 반발력에 의해 펼치는 각도도 조절할 수도 있다.
이때, 가스댐퍼(180)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는 변형예로, 오일댐퍼, 쇽업저버, 코일스프링댐퍼 등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가스댐퍼(180)의 설치위치는 도 2와 같이 연결로드(184)의 단부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감싸고 있는 수납편(210) 앞쪽 방향에 고정하고, 실린더(182)의 단부는 고정판(100) 바닥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대로 도 3과 같이 연결로드(184)의 단부를 디스플레이 패널 뒷쪽 방향의 이동판(200) 또는 수납편(210)에 고정하고, 실린더(182)의 단부는 고정판(100)의 절곡된 윗쪽 부분에 고정하여 이동판(200)이 펴졌을 때 시청자에게 보이지 않도록 설계변경할 수도 있다. 아울러, 가스댐퍼(180)를 설치할 때 연결로드(184)와 실린더(182)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위치를 바꿔서 설치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는, 도 2에서와 같이, 먼저 시청자 또는 승객(이하, 시청자)은 디스플레이 패널이 상기 고정판(100)에서 펼쳐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제공하는 영상물을 시청할 수 있다.
이후, 시청 완료 후 디스플레이 패널을 접고자 할 때는 상기 이동판(200)의 끝부분이나 디스플레이 패널의 끝부분에 수동으로 힘을 가하여 이동판(200)을 고정판(100) 방향(또는, 버스 등의 천장 방향)으로 힘을 가해 밀어준다.
그러면, 외력을 받은 이동판(200)은 회동힌지(30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고정판(100)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접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면, 즉 화면이 천정면, 즉 고정판(100)의 판면을 향해 접어지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은 접혔을 때 노출되지 않고 고정판(100)을 바라보는 상태로 접혀져 있기 때문에 간섭이나 충돌 등에 의해 파손되거나 깨지는 등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고 안전하게 수납 보호될 수 있다.
이때, 만약 고정볼트(130)를 더 구비한 경우라면 이동판(200)을 완전히 접은 상태에서 고정볼트(130)를 돌려 양자를 견고히 고정함으로서 차량의 흔들림에 의한 진동 잡음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펼칠 때는 상술한 조작방식을 반대되는 순서로 동작시키면 이동판(200)이 펴지게 된다.
[제2실시예]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보여 준다.
먼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는 상술한 제1실시예에 설명된 구성들을 그대로 모두 구비할 수도 있고, 혹은 일부만을 선택하여 구비할 수도 있으며, 반대로 제1실시예의 구성에도 상기 제2실시예의 구성 일부가 결합될 수도 있고, 전부가 결합될 수도 있으며, 이하 후술되는 다른 실시예의 경우에도 상호간의 구성 결합은 동일한 원리를 따른다.
도 6 및 도 7에 따르면,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는 전동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도 6 및 도 7에 예시된 거치대는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의 기본 구성, 즉 고정판(100), 이동판(200), 회동힌지(300)는 그대로 포함하면서 이동판(200)을 자동으로 접었다 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때문에, 제1실시예의 기본 구성에 이동판(200)을 고정판(100)에 대하여 자동으로 접거나 펴기 위한 추가적인 기능만 더 구현된 예가 제2실시예의 기본 구조이고, 여기에다 제1실시예들에서 설명된 부가 구성들이 더해질 수 있다.
본 발명 제2실시예에서는 자동으로 접었다 펼 수 있도록 동력발생장치(2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동력발생장치(27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100)과 이동판(200)이 회동힌지(300)로 힌지 결합된 사이 공간 즉, 고정판(100)의 'ㄷ'자로 절곡된 내측 공간에 설치된 동력원(272)과, 상기 동력원(272)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이동판(200)을 폴딩시키도록 동작하면서 회전운동하는 동력전달부재(275)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동력원(272)은 상기 이동판(200)이 일정 각도로 회전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 이를 테면 감속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감속모터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나 무게에 따라 회전력이나 회전수 및 감속모터의 크기를 증감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시된 예와 달리 2개의 모터를 사용하여 동기속도로 회전되도록 구성하여 작동효율을 높일 수도 있다.
이때, 2개의 모터는 서로 전기적으로 극성을 반대로 연결하여 동시에 정회전, 역회전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력원(272)의 회전축(272-1)은 하기에서 설명될 동력전달판(273)의 일측, 즉 회동고정부(RF)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동력원(272)의 동력은 상기 회전축(272-1)을 통하여 상기 동력전달판(273)에 전달된다.
여기에서, 상기 동력전달판(273)은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그 종단면이 'ㄷ' 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이며, 하단은 꺽여 대략 'ㄴ' 형상을 갖으며 회전축(272-1)에 결합하는 회동고정부(RF) 및 완충힌지(276)와 결합하여 회동고정부(RF)와 수직으로 접하는 직각고정부(LF)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100)의 배면에서 회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 회동고정부(RF)는 상기 동력원(272)과 결합되어 회동력을 전달받게 되며, 상기 회동고정부(RF)의 꺽인 형상 때문에 상기 동력전달판(272)은 도 7과 같이 이동판(200)에 대하여 경사배열될 수 있어 동력전달판(272)의 회동에 따라 그 상단부가 이동판(200)의 배면을 미는 힘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동판(200)을 눕힐 수 있으며, 그 반대로 동력원(270)이 역회전 할 때 동력전달판(272)이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 이동판(200)의 배면을 당기는 힘이 발생하기 때문에 결국 이동판(200)을 세울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동력전달판(272)은 이동판(200)이 고정판(100)에 대하여 회동힌지(300)를 중심으로 자동으로 접히거나 펴지도록 동력원(270)의 동력을 이동판(200)에 전달해 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100)의 배면에는 전원을 공급하고, 제어할 수 있는 제어박스(C)가 설치되며, 상기 제어박스(C)에는 구동스위치(S)가 구비되어 상기 동력원(272)의 온/오프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동력원(272)은 상기 회전축(272-1)과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272-1)은 축고정판(323)의 안착홈(323-1)에 안착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272-1)은 외주면 일부가 절삭되어 도시와 같은 평탄면(272-1a)이 형성되고, 상기 평탄면(272-1a)은 덮개(321)에 의해 커버링됨으로써 상기 회전축(272-1)이 상기 안착홈(323-1)에 안착되어 상기 동력원(272)의 회전 동력이 전달될 때, 상기 회전축(272-1)이 상기 안착홈(323-1) 내에서 공회전하지 않도록 하여 준다.
그리고, 상기 축고정판(323)의 하측, 즉 상기 안착홈(323-1)이 형성된 부분은 상기 덮개(321)에 의해 밀폐 고정되고, 상기 덮개(321) 및 축고정판(323)은 상기 동력전달판(273)의 하단에 절곡 형성된 회동고정부(RF)의 끝면하단에 조립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동력원(272)의 동력은 회전축(272-1)을 회전운동 시키고, 상기 회전축(272-1)의 회전운동은 상기 동력전달판(273)에 전달되어 동력전달판(273)은 일정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전운동을 할 수 있다.
본 발명 제2실시예에서는 동력원(272)의 회전축(272-1)이 상기 동력전달판(273)에 결합되도록 구성하였으나 그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력원(272)의 동력을 동력전달판(273)에 전달하기위한 역할만 충족 된다면 그 결합을 위한 구조 및 방법은 다양하게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동력원(272)으로 감속모터를 구비하여 일정 방향으로 상기 동력원(272)을 작동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이동판(200)에 고정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폴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나, 그 구성 방법 및 구조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추가적인 동력발생 구조를 사용 할 수도 있다 , 예를 들어, 상기 동력원(272)을 스텝모터로 구성하여 여러 각도의 범위로 상기 이동판(200)을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시청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동력원(272)은 감속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감속모터를 대신하여 일반 전동모터에 별도로 감속기를 추가 설치하여 감속모터를 대체할 수도 있다. 여기서, 감속기는 큰 기어와 작은 기어를 다단으로 연결하여 모터의 회전수를 적절하게 감속시키고 강력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특수한 감속구조를 설치 할 수도 있다. 이때, 기어의 종류로서는 평기어, 타이밍벨트 및 풀리, 웜휠 및 웜기어, 베벨기어, 렉크피니언기어 등 다양한 종류의 기어가 사용될 수 있으며 감속기에 사용되는 기어의 종류 및 형태, 크기 및 수량은 제한이 없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리미트스위치(288a, 288b)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제1,2리미트스위치(288a,288b)를 적절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브라켓을 고정판(100) 일부에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동력원(272) 전체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동력원(272)을 보호하고,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커버(CV, 도 2 참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CV)는 사각의 통 형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동력원(272) 및 동력전달을 위한 각종 전기적, 기구적인 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제1리미트스위치(288a, 도 6 참조) 및 제2리미트스위치(288b, 도 7 참조)는 동력원(272)의 구동을 기계적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제1리미트스위치(288a)는 이동판(200)의 하면에 설치되어 이동판(200)이 세워졌을 때 접촉됨으로써 동력원(272)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제1리미트스위치(288a)는 동력원(272)을 제어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한 거치대에 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켜고 끄는 스위치 역할도 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1리미트스위치(288a)가 눌러지면 이동판(200)이 세워진 상태이므로 디스플레이 패널에 전원을 온시켜 화면을 켜고, 제1리미트스위치(288a)가 눌러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원을 오프시켜 화면을 끌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는데, 이렇게 구성하게 되면, 운전자는 운전에만 집중할 수 있게 되어 안전성과 편리성의 증대된다.
즉, 상기 이동판(200)이 일정각도 이상 펼쳐졌을 때 제1리미트스위치(288a)가 작동하여 동력원(272)의 전원을 오프시킴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패널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기적, 기계적으로 제어하여 운전자가 별도로 디스플레이 패널에 전원을 인가하지 않아도 전원이 자동으로 켜지거나 꺼지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도 있다.
반면, 상기 제2리미트스위치(288b)는 고정판(100)의 후측 상면, 즉 'ㄷ'자 형태로 절곡된 내측 상면에 설치되어, 이동판(200)이 회동힌지(300)를 중심으로 회전운동하여 완전히 접혀졌을 때 동력전달부재(275), 더 정확하게는 동력전달판(273)과 접촉됨과 동시에 동력원(272)의 전원을 오프시켜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부재(275)는 상기 동력발생장치(270)의 회전 동력을 상기 이동판(200)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 하우징(274), 가이드레일(278), 슬라이드레일(277), 회전플레이트(279), 완충힌지(276), 및 동력전달판(27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레일 하우징(274)은 상기 이동판(200)의 뒷면 중앙에 설치되고 동력원(272)에서 발생한 회전력이 동력전달판(273)을 거쳐서 이동판(200)에 전달되어 이동판(200)이 회동힌지(300)를 중심으로 접히고 펴질 때, 슬라이드레일(277)이 슬라이드운동을 하면서 회전운동이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이동판(200)에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가이드레일 하우징(274)은 이동판(200)의 양측면에 대칭되게 위치하도록 설계변경 할 수도 있다. 또한 가이드레일 하우징(274)은 이동판(200)과 고정결합되어 있으며 그 고정방법은 제한이 없다. 상기 가이드레일 하우징(274)은 상기 가이드레일(278)이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레일 하우징(274)의 양 측면에는 하우징 홈(274-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홈(274-1)은 가이드레일(278)의 양 측면에 구비된 볼 베어링(278-2)이 안착될 수 있고, 상기 볼 베어링(278-2)이 상기 하우징 홈(274-1)을 따라 일정 거리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볼 베어링(278-2)의 이동에 의해 상기 볼 베어링(278-2)과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레일(278)은 상기 가이드레일 하우징(274) 내에서 일정거리 왕복운동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 하우징(274)은 상기 슬라이드레일(277)이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레일(277)이 하우징홈(274-1)을 따라서 일정거리 왕복운동을 유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278)은 상기 이동판(200)의 배면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레일 하우징(274) 내측에 삽입후 결합되어 일정거리 왕복운동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278) 양 측면에는 볼 베어링(278-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278)은 상기 슬라이드레일(277)이 이동할 수 있도록 단선(單線)의 레일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슬라이드레일(277)과 결합하여 상기 슬라이드레일(277)의 일정거리 왕복운동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278)은 삽입홀(278-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홀(278-1) 내측에는 다수의 볼 베어링(278-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볼 베어링(278-2)은 상기 가이드레일(278)의 삽입홀(278-1)에 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드레일(277)은 상기 가이드레일(278)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278)을 따라 일정거리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드레일(277)의 양단에는 볼 베어링(278-2)의 내면과 결합할 수 있도록 끼움돌기(277-1)이 형성되어 있다. 볼 베어링(278-2)의 내면은 가이드레일 하우징(274)에 형성된 하우징 홈(274-1)과 결합하고, 외면은 끼움돌기(277-1)와 결합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드레일(277)은 회전플레이트(279)의 하단면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플레이트(279)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의 고정 방법은 제한이 없으며, 용접 또는 볼트와 너트 체결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레일(277)은 상기 회전플레이트(279)의 직선 왕복운동을 상기 가이드레일(278) 및 가이드레일 하우징(274)에 전달해주고, 상기한 구성에 의해 전달된 슬라이드레일(277)의 직선 왕복운동은 상기 이동판(200)을 힌지(300)를 중심으로 일정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동력을 균형있게 전달해 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레일(277)은 끼움돌기(27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끼움돌기(277-1)는 상기 가이드레일(278)의 삽입홀(278-1)과 부합되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삽입홀(278-1)에 구비된 볼 베어링(278-2)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삽입홀(278-1) 내측에서 상기 슬라이드레일(277)이 직선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가이드레일(278)의 삽입홀(278-1)과 상기 슬라이드레일(277)의 끼움돌기(277-1)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데, 이를 테면 요부(凹部)와 철부(凸部)의 조합의 범위 내에서 상호 결합되게 변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상기 동력전달판(273)은 상기 동력원(272)의 회전력을 상기 슬라이드레일(277) 및 가이드레일(278)을 통해 상기 이동판(20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동력원(272)의 회전력이 상기 동력전달판(273)에 전달되는 과정은 상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판(273)의 타측은 상기 동력원(272)과 결합되는데, 상기 동력전달판(273)은 상기 동력원(27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일정 범위의 각도내에서 회전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판(273)의 일측은 상기 회전플레이트(279)의 일단면과 완충힌지(276)에 의해 서로 결합조립되고, 상기 동력원(272)의 회전 운동을 전달받아 상기 슬라이드레일(277)에 조립된 회전플레이트(279)가 직선 운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회전플레이트(279)와 동력전달판(273)이 결합되는 부분에는 완충힌지(276)가 구비될 수 있으며, 조립방식은 볼트, 너트, 용접 등으로 조립고정시킨다.
아울러, 상기 완충힌지(276)는 상기 회전플레이트(279)와 상기 동력전달판(273)의 결합을 위해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완충힌지(276)는 일측면이 상기 슬라이드레일(277)과 결합되어 직선운동을 하는 회전플레이트(279)와 결합되고, 타측면이 상기 회전운동을 하는 동력전달판(273)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완충힌지(276)의 역할은 동력원(272)에서 발생한 회전운동을 동력전달판(273)을 통해 회전플레이트(279)에 전달하고, 회전플레이트(279)에 조립된 슬라이드레일(277)이 직선운동으로 부드럽게 변환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힌지(276)는 도 12와 같이, 추가로 힌지스프링(276-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스프링(276-1)은 차량의 운전시 차량의 흔들림이나 떨림으로 인해 발생되는 완충힌지(276)의 진동 소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힌지스프링(276-1)은 상기 완충힌지(276)의 일측과 타측이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힌지스프링(276-1)은 일단이 상기 완충힌지(276)의 일측면을 누르는 수직 압력을 제공하고, 타단이 상기 완충힌지(276)의 타측면을 누르는 수직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덧붙여, 구동스위치(S)는 다단 제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를 테면 1단은 정회전, 2단은 정지, 3단은 역회전시키는 구조로 전기적인 회로를 각각 연결하여 동력원(구동모터)을 자동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손쉽게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박스(C)의 제어부에서 외부로 연장되는 리드선(미도시)에 의해 원거리에서 동력원(구동모터)을 조작할 수 있도록 리드선의 말단에 원격조작스위치를 설치하여 먼 거리에서도 손쉽게 제어박스(C)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나아가 리모컨을 통해 원격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시말해, 차량의 천장에 부착되는 천장부착부, 디스플레이 패널이 천장부착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천장부착부의 일측면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수직이격부, 및 상기 천장부착부와 수평방향으로 상기 수직이격부와 수직으로 결합되는 이동판부착부로 구성되어, 내부에 회전축을 구비한 동력원을 수용할 수 있는 내측공간이 형성되고, 차량 천정에 돌출된 형태로 장착 고정되는 'ㄷ'자 형상의 고정판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판보다 길이가 길고, 양측에 디스플레이 패널 삽입 고정용 'ㄷ'자 형상의 삽입홈을 형성하는 수납편이 마련된 이동판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판의 후면 하단과 상기 이동판부착부의 상부면을 힌지 고정하여 상기 이동판이 고정판에 대해 이동판부착부의 상부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된 회동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의 내측공간에 설치되되, 축고정판의 안착홈에 안착되어 고정되며 외주면이 절삭되어 평탄면이 형성된 회전축과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이동판을 일정각도로 회전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종단면이 ‘ㄷ’ 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이며 하단은 꺽여 'ㄴ‘자 형상을 갖고 상기 동력원의 회전축과 결합하는 회동고정부, 및 완충힌지와 결합하여 상기 회동고정부와 수직으로 결합하는 직각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의 배면에서 회동하는 동력전달판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직각고정부의 일단에 결합하는 완충힌지, 상기 완충힌지의 타단이 결합하는 회전플레이트,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동력을 전달하고 일정거리 왕복 운동하는 슬라이드레일, 상기 슬라이드레일과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에 삽입되며, 이동판에 부착 고정되는 가이드레일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축고정판의 하측에 형성되는 덮개에 의해 상기 안착홈이 밀폐 고정되고, 상기 덮개 및 축고정판은 상기 동력전달판의 하단에 절곡형성된 회동고정부의 끝면하단에 조립 고정되고, 상기 회동고정부가 상기 수직이격부를 관통하며, 상기 수직이격부의 높이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두께보다 크며, 상기 수납편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삽입 고정될 때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부가 고정판을 바라보게 배치하여 이동판이 접혔을 때 상기 화면부는 항상 차량의 천정면을 향하도할 수 있다.
100: 고정판 200: 이동판
300: 회동힌지

Claims (16)

  1. 차량의 천장에 부착되는 천장부착부, 디스플레이 패널이 천장부착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천장부착부의 일측면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수직이격부, 및 상기 천장부착부와 수평방향으로 상기 수직이격부와 수직으로 결합되는 이동판부착부로 구성되어, 내부에 회전축을 구비한 동력원을 수용할 수 있는 내측공간이 형성되고, 차량 천정에 돌출된 형태로 장착 고정되는 'ㄷ'자 형상의 고정판;
    상기 고정판보다 길이가 길고, 양측에 디스플레이 패널 삽입 고정용 'ㄷ'자 형상의 삽입홈을 형성하는 수납편이 마련된 이동판;
    상기 이동판의 후면 하단과 상기 이동판부착부의 상부면을 힌지 고정하여 상기 이동판이 고정판에 대해 이동판부착부의 상부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된 회동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의 내측공간에 설치되되, 축고정판의 안착홈에 안착되어 고정되며 외주면이 절삭되어 평탄면이 형성된 회전축과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이동판을 일정각도로 회전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원;
    종단면이 ‘ㄷ’ 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이며 하단은 꺽여 'ㄴ‘자 형상을 갖고 상기 동력원의 회전축과 결합하는 회동고정부, 및 완충힌지와 결합하여 상기 회동고정부와 수직으로 결합하는 직각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의 배면에서 회동하는 동력전달판;
    상기 직각고정부의 일단에 결합하는 완충힌지;
    상기 완충힌지의 타단이 결합하는 회전플레이트;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동력을 전달하고 일정거리 왕복 운동하는 슬라이드레일;
    상기 슬라이드레일과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에 삽입되며, 이동판에 부착 고정되는 가이드레일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축고정판의 하측에 형성되는 덮개에 의해 상기 안착홈이 밀폐 고정되고, 상기 덮개 및 축고정판은 상기 동력전달판의 하단에 절곡형성된 회동고정부의 끝면하단에 조립 고정되고,
    상기 회동고정부가 상기 수직이격부를 관통하며,
    상기 수직이격부의 높이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두께보다 크며,
    상기 수납편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삽입 고정될 때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부가 고정판을 바라보게 배치하여 이동판이 접혔을 때 상기 화면부는 항상 차량의 천정면을 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접이식 거치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의 양측에는 상기 고정판과 이동판을 고정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볼트를 더 구비하되; 상기 고정볼트는 상기 고정판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이동판과 나사결합하는 수나사부; 상기 수나사부가 돌출된 방향으로 개방되며 회전하는 제1머리부와, 상기 제1머리부의 개방된 부분에 결합하며 상기 수나사부가 관통하는 제2머리부로 이루어진 머리부; 및 상기 수나사부의 길이 방향으로 끼워져서 상기 제1머리부에 삽입되어 일단은 제1머리부와 접하고 타단은 제2머리부와 접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접이식 거치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과 이동판이 서로 대향하는 면 상에는 상호간에 링크되어 충격을 완충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스댐퍼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접이식 거치대.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완충힌지는 중간에 힌지스프링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접이식 거치대.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의 하단면에는 상기 이동판이 세워졌을 때 동력원의 구동을 제한하는 제1리미트스위치가 더 설치되고; 상기 고정판의 후측 상면에는 상기 이동판이 접어졌을 때 동력원의 구동을 제한하는 제2리미트스위치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접이식 거치대.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과 이동판이 서로 대향하는 면 상에는 상호간에 링크되어 충격을 완충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스댐퍼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접이식 거치대.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의 양측에는 상기 고정판과 이동판을 고정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볼트를 더 구비하되; 상기 고정볼트는 상기 고정판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이동판과 나사결합하는 수나사부; 상기 수나사부가 돌출된 방향으로 개방되며 회전하는 제1머리부와, 상기 제1머리부의 개방된 부분에 결합하며 상기 수나사부가 관통하는 제2머리부로 이루어진 머리부; 및 상기 수나사부의 길이 방향으로 끼워져서 상기 제1머리부에 삽입되어 일단은 제1머리부와 접하고 타단은 제2머리부와 접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접이식 거치대.
  10. 삭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력원이 설치된 공간은 커버에 의해 보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접이식 거치대.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의 배면에는 상기 동력원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제어할 수 있는 제어박스가 더 설치되며, 상기 제어박스에는 구동스위치가 구비되어 상기 동력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접이식 거치대.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어박스에는 외부로 연장되는 리드선에 의해 원거리에서 동력원을 조작할 수 있도록 리드선의 말단에 원격조작스위치를 더 설치하거나 혹은 리모컨을 통해 원격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접이식 거치대.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힌지는 이동판에 고정되는 제1브라켓과, 고정판에 고정되는 제2브라켓과, 상기 제1,2브라켓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힌지축과, 상기 제1,2브라켓이 겹치는 사이에 조립된 판스프링와셔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판스프링와셔는 일단면이 볼록한 판을 여러겹 겹쳐서 조립하고 압축, 압입하는 형태로 조립되어 제1,2브라켓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서로 회전할 때 마찰마모를 방지하고 힌지축에 회전토크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접이식 거치대.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편의 외측면에는 돌출편이 더 고정되고, 상기 돌출편과 대응되는 개소의 천정면에는 상기 돌출편이 탄성 걸림되면서 탈착 가능한 결합부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접이식 거치대.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은 상부 양측에 홈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돌출편과 끼움 결합되는 볼 형상의 결합공; 상기 결합공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을 압박하여 결합공에 제공되는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는 조임나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접이식 거치대.
KR20130162843A 2013-12-24 2013-12-24 디스플레이 패널의 접이식 거치대 KR101482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62843A KR101482465B1 (ko) 2013-12-24 2013-12-24 디스플레이 패널의 접이식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62843A KR101482465B1 (ko) 2013-12-24 2013-12-24 디스플레이 패널의 접이식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2465B1 true KR101482465B1 (ko) 2015-01-15

Family

ID=52588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62843A KR101482465B1 (ko) 2013-12-24 2013-12-24 디스플레이 패널의 접이식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24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6405B1 (ko) 2019-06-11 2020-10-15 황지선 디스플레이장치의 접이식 거치대
CN113715741A (zh) * 2021-09-01 2021-11-30 苏州宏正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led显示屏一体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2049A (ja) * 2002-12-02 2004-07-02 Fujimori Denki Seisakusho:Kk 車両用テレビモニタ収納装置
KR101267355B1 (ko) * 2012-10-12 2013-05-27 김충연 디스플레이 장치의 자동 접이식 거치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2049A (ja) * 2002-12-02 2004-07-02 Fujimori Denki Seisakusho:Kk 車両用テレビモニタ収納装置
KR101267355B1 (ko) * 2012-10-12 2013-05-27 김충연 디스플레이 장치의 자동 접이식 거치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6405B1 (ko) 2019-06-11 2020-10-15 황지선 디스플레이장치의 접이식 거치대
CN113715741A (zh) * 2021-09-01 2021-11-30 苏州宏正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led显示屏一体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7355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자동 접이식 거치대
JP6397486B2 (ja) ディスプレイ画面取付け
KR101482465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접이식 거치대
KR101291948B1 (ko) 버스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동 접이식 거치대
GB2432228A (en) Portable screen device with magnetic adjusting means
CN108779892B (zh) 云台的减震器、云台组件、及可移动拍摄设备
CN102686427B (zh) 遮阳装置
JP3968596B2 (ja) 車両搭載用モニタ格納装置
US20120038192A1 (en) Car seat head rest with built-in screen
US6445573B1 (en) Spring cam mechanism for stowing a monitor
KR101555748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접이식 거치대
KR101543524B1 (ko) 저소음 축소형 틸팅기능을 포함하는 자동차 디스플레이 모니터
KR101333928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이식 거치대
KR20010104148A (ko) 카메라 지지장치 및 완충장치
KR20120090685A (ko) 럼버서포트 어셈블리
CN214228333U (zh) 一种车载广角摄像头
CN101469807B (zh) 平板电视电动遥控壁挂架
CN101134448A (zh) 车辆搭载用监视器存放装置
KR100573362B1 (ko) 뒷자석 모니터의 개폐를 위한 링크기구
KR101790775B1 (ko) 차량용 모니터 어셈블리
CN218228861U (zh) 姿态调节组件、车载显示终端和车辆
CN105774490A (zh) 一种汽车车窗的卷帘驱动装置及其使用方法
JPH0524485A (ja) 車載用デイスプレイの取付構造
CN105774484A (zh) 一种太阳能供电的车窗卷帘驱动机构及其使用方法
CN217374354U (zh) 视听设备的姿态调节组件、车载视听设备和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