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4148A - 카메라 지지장치 및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지지장치 및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4148A
KR20010104148A KR1020000025607A KR20000025607A KR20010104148A KR 20010104148 A KR20010104148 A KR 20010104148A KR 1020000025607 A KR1020000025607 A KR 1020000025607A KR 20000025607 A KR20000025607 A KR 20000025607A KR 20010104148 A KR20010104148 A KR 20010104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support
fixed
housing
balanc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5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환
Original Assignee
김병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환 filed Critical 김병환
Priority to KR1020000025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04148A/ko
Publication of KR20010104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414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6Applications of indicating, registering, or weig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8Mobile camera platfo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하는 물체를 다양한 위치에서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고, 카메라의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며 카메라로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카메라 지지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카메라 지지장치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고, 임의 고정물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기둥(21), 이 고정기둥(21)에 연이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고정기둥(21)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된 회전기둥(22)으로 이루어진 지지체(20)와; 속이 빈 기다란 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대략 중간부분이 상기 지지체(20)의 고정기둥(21)에 고정기둥(21)의 반경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자유롭게 설치된 평형봉(10)와; 상기 지지체(20)와 평행하게 설치되어 일끝단은 상기 평형봉(10)의 한쪽끝단에 평형봉(10)의 반경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자유롭게 설치되고, 다른 끝단에는 카메라(1)를 고정하기 위한 카메라고정부(30b)가 형성된 카메라고정체(30)와; 상기 평형봉(10)의 다른 한쪽끝단에 설치되어 지지체(20)를 중심으로 하여 평형봉(10)가 평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평형유지기구와; 상기 지지체(20)와 카메라고정체(30)가 항상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여 카메라앵글을 유지하는 앵글유지기구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카메라 지지장치 및 완충장치{CAMERA SUPPORT APPARATUS AND SHOCK-ABSORBER}
본 발명은 카메라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하는 물체를 근접거리에서 다양한 앵글로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고, 카메라에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을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카메라 지지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하는 물체의 촬영시 촬영자가 직접 카메라를 메고 촬영하는 경우, 카메라가 움직이므로 화면상에서도 물체(피사체)가 심하게 흔들리는 것으로 나타나 양질의 화면을 제공할 수 없었다. 예를 들면 자동차 또는 오토바이 주행장면 촬영시나, 마라톤 경주 또는 사이클 경주 촬영시 이동하는 물체를 따라가면서 촬영하기 위해서는 촬영자가 카메라를 어깨에 메거나 손으로 든 상태에서 자동차에 탑승하여 창문을 열고 촬영하거나, 오토바이의 뒷자석에 타고 촬영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러한 경우 촬영자의 자세가 불안정하여 장시간 촬영하는 것이 어려울 뿐만아니라, 카메라의 흔들림으로 양질의 화면을 제공할 수 없으며, 촬영자의 안전성면에서도 바람직하지 못하였다.
또한 드라마 또는 다큐멘터리의 차량신을 촬영할 경우 트레일러 위에 카메라와 승용차를 함께 설치하고 촬영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카메라가 차량 한부분에 고정되어 있어 앵글이 한정되므로 대상물을 다양한 각도 및 방향에서 촬영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승용차(차량)가 트레일러 위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실제 승용차가 운행하는 것을 촬영할 수도 없으므로 승용차의 화면이 어색함을 느끼게 된다. 이로써 촬영효과를 저감시켜 시청자에게 활동적이며 현장감 있는 화면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이동하는 물체를 효과적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를 지지하는 카메라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하는 물체를 흔들림 없이 근접위치에서 촬영할 수 있고, 자유자재로 촬영위치를 변화시켜 다양한 앵글의 촬영이 가능하게 하는 카메라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메라로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완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카메라 지지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평형봉 부분을 절결한 상태의 카메라 지지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및 B-B선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지지체를 나타낸 요부 확대단면도.
도 5는 도 1의 화살표 A에서 본 평형봉의 정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카메라의 상,하방향 위치이동을 나타낸 동작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카메라 지지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고정기구 및 완충기구의 단면구조도.
도 9는 도 8에서 완충기구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단면도.
도 10은 도 9에서 인장코일스프링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카메라 10 : 평형봉
11 : 평형조절봉 12 : 무게추
20 : 지지체 20a : 고정구멍
21 : 고정기둥 22 : 회전기둥
30 : 카메라고정체 30b : 카메라고정부
31,41 : 회전축 34 : 종동측벨트풀리
36 : 벨트 44 : 구동측벨트풀리
50 : 고정지주장치 51 : 조절봉
52a,52b : 신축봉 51c : 수나사부
53 : 나사봉 53a : 오른나사부
53d : 왼나사부 55a,55b : 이송부재
56a : 홈 56b : 돌기
60 : 완충기구 61 : 하우징
62 : 중간고정부재 63,64 : 상,하측멈춤부재
65 : 중심축 66,67 : 제 1 및 제 2 완충체
68 : 압축코일스프링 69 : 인장코일스프링
70,71 : 상,하측 마그네트 72 : 고정봉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촬영용 카메라를 지지하기 위한 카메라 지지장치에 있어서, 대체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체와, 그 한쪽에는 카메라가 설치될 수 있고, 카메라 설치시 평형을 유지하며, 상기 카메라의 상하방향이동이 가능하도록 기울일 수 있게 상기 지지체 상단에 장착되는 평형봉과, 상기 평형봉의 기울여진 각도에 관계 없이 상기 평형봉에 설치되는 상기 카메라의 앵글을 유지하기 위한 앵글 유지장치를 포함하는 카메라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진동 및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완충장치에 있어서, 진동 및 충격 발생원측에 고정되는 통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의 중간부분에 고정되는 중간고정부재 및 상,하측 끝단에 설치된 상,하측멈춤부재와, 진동 및 충격 차단 대상물측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상측멈춤부재와 중간고정부재 사이에 위치하여 일단은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다른 일단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며 상하이동이 가능한 제 1 완충제와 ,진동 및 충격 차단 대상물측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하측멈춤부재와 중간고정부재 사이에 위치하여 일단은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다른 일단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며 상하이동이 가능한 제 2 완충체와, 상기 제 1 완충체와 중간고정부재 사이에 설치된 제 1 탄성부재와, 상기 제 2 완충체와 중간고정부재 사이에 설치된 제 2 탄성부재와, 상기 제 1 완충체와 상측멈춤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서로 같은 극성끼리 마주보도록 배치한 복수개의 마그네트와, 상기 제 2 완충체와 하측멈춤부재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치되고 서로 같은 극성끼리 마주보도록 배치한 복수개의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완충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고정 지주장치에 상기 완충장치가 구비되며 그 위에 카메라가 연결될 수 있는 카메라 지지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카메라 지지장치는 속이 빈 기다란 통형상의 평형봉(10)와, 이 평형봉(10)를 대략 중간위치에서 받쳐 지지하는 지지체(20)와, 상기 평형봉(10)의 한쪽 끝단에 설치되어 카메라(1)를 부착하기 위한 카메라고정체(30)를 구비한다.
지지체(20)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연이어 설치된 고정기둥(21)과 회전기둥(22)으로 이루어진다. 고정기둥(21)은 하부에 고정부(23)가 형성된다. 이 고정부(23)는 임의 고정물에 지지체(20)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23)를 삼각대(2)에 고정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임의 고정물은 지지체(20)를 수직방향으로 세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해당한다.
회전기둥(22)은 고정기둥(21)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기둥(22)은 속이 빈 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 중앙에는 고정기둥(21)에서 돌출된 고정축(24)이 연장되어 있다. 고정축(24)의 하부에는 스러스트베어링(25)이 회전기둥(22)의 저면과 고정기둥(21)의 상면사이에 설치되어 회전기둥(22)이 고정기둥(21)에 대하여 고정축(24)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고정축(24)과 회전기둥(22) 사이에는 레이디얼베어링(26)이 설치되어 회전기둥(22)의 회전을 원활하게 한다. 고정축(24)의 상단에는 스톱퍼(27)가 고정되어 있고, 회전기둥(22)에는 상기 스톱퍼(27)와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되는 고정나사(28)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나사(28)를 회전조작하여 고정나사(28)의 끝단이 스톱퍼(27)에 눌려 고정되면 회전기둥(22)을 회전시킬 수 없게 되고, 고정나사(28)를 풀어 그 끝단이 스톱퍼(27)로부터 이격되어 고정해제되면, 회전기둥(22)을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중공 원통형의 외통을 구비하는 평형봉(10)는 그 중간부분이 상기 지지체(20)의 상단에 연결되고, 이 지지체(20) 상단을 중심으로 시소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20)의 회전기둥(22) 상단에는 대략 U자 형상의 회전지지부(22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회전지지부(22a)는 평형봉(10)의 외통을 관통하여 내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회전지지부(22a)의 끝쪽에는 회전축(41)이 평형봉(10)의 반경방향(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관통연장되어 있다. 회전축(41)은 그 양끝단이 평형봉(10)의 벽에 고정되어 있고, 평형봉(10)는회전축(41)을 중심으로 회전축(41)과 함께 회전하여 시소운동하게 된다.
회전지지부(22a)와 평형봉(10) 내측면 사이에는 스러스트베어링(42)이 각각 설치되어 회전지지부(22a)에 대하여 평형봉(10) 및 회전축(41)이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부호 43은 회전지지부(22a)와 스러스트베어링(42)이 밀착되도록 하는 스페이서이다.
또한 회전지지부(22a)의 내측에는 구동측벨트풀리(44)가 회전지지부(22a)에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고, 구동측벨트풀리(44)와 회전축(41) 사이에는 레이디얼베어링(45)이 설치되어 구동측벨트풀리(44)에 대하여 회전축(41)의 회전이 원활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평형봉(10)는 회전지지부(22a)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축(41)을 중심으로 시소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카메라고정체(30)는 평형봉(10)의 한 쪽 끝단에 지지체(20)와 평행하게 설치되고, 평형봉(10)에 대하여 회전자유롭게 설치된다. 즉 도 3(도3에서 괄호안의 참조부호 참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고정체(30)의 상단에는 대략 U자 형상의 회전지지부(30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회전지지부(30a)는 평형봉(10)를 관통하여 내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회전지지부(30a)의 상부에는 회전축(31)이 평형봉(10)의 직경방향으로 관통하며 회전축(31)은 그 양끝단이 평형봉(10)의 벽측에 고정되어 있고, 카메라고정체(30)는 회전축(31)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회전지지부(30a)와 평형봉(10) 내측면 사이에는 스러스트베어링(32)이 각각 설치되어 평형봉(10) 및 회전축(31)에 대하여 카메라고정체(30)가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부호 33은 회전지지부(30a)와 스러스트베어링(42)이 밀착되도록 하는 스페이서이다.
또한 회전지지부(30a)의 내측에는 종동측벨트풀리(34)가 설치되어 회전지지부(30a)에 고정설치 되어 있고, 종동측벨트풀리(34)와 회전축(31) 사이에는 레이디얼베어링(35)이 설치되어 회전축(31)에 대하여 종동측벨트풀리(34)의 회전이 원활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카메라고정체(30)는 회전축(31)을 중심으로 평형봉(10)에 대하여 회전자유롭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측벨트풀리(44)와 종동측벨트풀리(34)에는 벨트(36)가 연결되어 있고, 이 벨트(36)는 평형봉(10)의 시소운동에 의한 구동측벨트풀리(44)의 상대적인 정,역방향 회전을 종동측벨트풀리(34)에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카메라고정체(30)의 하단에는 카메라(1)를 설치하기 위한 카메라고정부(30b)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와 카메라고정체(30) 사이에는 카메라 앵글조정기구(3)를 설치하여 카메라(1)가 카메라고정체(30)에 대하여 수직축(3a)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방향으로 회전(예를 들면 좌우전체 355°범위 내에서의 회전)하거나, 수평축(3b)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방향(예를 들면 상하 전체 90°범위의 회전)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앵글조정기구는통상의 제어가능한 2축 회전 구동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평형봉(10)에는 평형유지기구가 부착되는데 이 기구는 평형봉(10)의 카메라고정체(30) 설치 반대쪽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형봉(10)외통(10a)내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된 평형조절봉(11)과, 이평형조절봉(11)의 끝단에 구비된 무게추(12)로 이루어진다.
평형조절봉(11)는 속이 빈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평형봉(10)에 나사맞춤으로 관통하도록 결합된 조절나사(13)에 의해 평형봉(10)에 대하여 고정 및 고정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무게추(12)의 무게는 카메라고정체(30)에 설치되는 카메라(1) 및 앵글조정기구(3)의 무게를 감안하여 평형봉(10)가 평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정되며,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평형조절봉(11)의 끝단에 카메라(1) 동작을 위한 밧데리(4)를 설치하는 경우, 무게추(12)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고, 평형조절봉(11)의 출몰길이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평형봉(10)의 평형을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5는 모니터로서, 평형봉(10)의 중간부분에 설치하여 평형봉(10)의 시소운동시 무게의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부호 6은 앵글조정기구(이 조정기구는 카메라의 상하,좌우 앵글을 조절함)(3)를 조작하기 위한 앵글스위치이고, 부호 7은 카메라(1)의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기능스위치이다. 부호 8은 카메라로부터 전달되는 비디오, 오디오 출력 신호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도록 마련된 출력단을 가리키며, 부호 8a는 출력단자를 가리킨다. 출력단(8)에는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는데, 케이블을 통하여, 소니(SONY)사의 바이오(VIO)컴퓨터로 IEE 1394 및 SDI 규격에 따라 신호를 전송하여 디지틀 신호로 이를 녹화, 컴퓨터 하드디스크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카메라(1), 앵글조정기구(3), 밧데리(4), 모니터(5), 앵글스위치(6) 및 기능스위치(7) 출력단(8)의 전원공급 및 상호 신호전달을 위한 각종케이블은 편의상 도시하지 않았지만, 속이 빈 평형봉(10)의 외통(10a)와 평형조절봉(11)의 내부와, 지지체(20)의 회전기둥(22)에 형성한 관통구멍(22b)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형봉(10)의 카메라고정체(30)측 끝단부를 캡(37)으로 막고 이 캡(37)에 형성한 관통구멍(37a)을 통해 연결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의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카메라(1)는 지지체(20)의 회전기둥(22)에 구비한 기능스위치(7)로 조작함으로써 촬영대상물을 촬영할 수 있고, 카메라(1)의 촬영앵글은 평형조절봉(11)에 구비된 앵글스위치(6)로 조작함으로써 조정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글스위치(6)를 조작하여 앵글조정기구(3)를 동작시키면, 앵글조정기구(3)의 수직축(3a)을 중심으로 카메라(1)가 좌우방향으로 회전하고, 또 수평축(3b)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촬영대상물의 촬영앵글을 원하는 구도와 앵글로 조정 촬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체(20)의 고정기둥(21)에 대하여 회전기둥(22)이 그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평형봉(10)를 필요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시킨 후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지지체(20)와 평형봉(10)의 연결부위에 설치된 회전축(41)을 중심으로 지지체(20)에 대하여 평형봉(10)가 평형을 유지하면서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평형봉(10)를 기울여 카메라(1)를 자유롭게 상하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1) 전체를 좌우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고, 이로써 촬영대상물에 대하여 카메라(1)의 촬영위치를 자유자재로 변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형봉(10)를 기울이기 위해 회전시키는 경우에, 풀리와 벨트로 이루어진 평행유지기구(앵글유지기구)에 의해 지지체(20)와 카메라고정체(30)가 서로 평행인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이로써 카메라(1)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카메라(1)의 앵글이 변화되는 일은 없다.
즉,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카메라(1)의 반대쪽을 하방으로 눌러 평형봉(10)를 소정각도(θ) 회전시키면, 평형봉(10)는 회전축(41)과 함께 이 회전축(4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측벨트풀리(44)는 회전지지부(22a)와 고정된 것이므로 평형봉(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소정각도(θ)만큼 역회전한 것으로 된다.
따라서 구동측벨트풀리(44)는 화살표 a방향으로 소정각도(θ) 회전한 상태가 되고, 이 회전력은 벨트(36)로 연결되어 연동하는 종동측벨트풀리(34)로 전달된다. 종동측벨트풀리(34)가 구동측벨트풀리(44)와 같은 화살표 a 방향으로 소정각도(θ)회전하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동측벨트풀리(34)와 회전지지부(30a)가 고정된 것이므로 카메라고정체(30)도 회전축(31)을 중심으로 소정각도(θ)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카메라(1)를 상방으로 이동시켜도 카메라고정체(30)와 지지체(20)의 평행상태는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또 이동 중에도 평행상태는 지속적으로 유지되므로 카메라(1) 이동시 촬영앵글을 별다른 구동이 필요없이 항시 평형이 유지된다.
또한, 카메라(1)의 하강시에도 마찬가지이다. 즉,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를 하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카메라(1)의 반대쪽을 상방으로 올려 평형봉(10)를 소정각도(θ) 회전시키면, 평형봉(10)는 회전축(41)과 함께 이 회전축(4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구동측벨트풀리(44)는 평형봉(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소정각도(θ)만큼 역회전한 것으로 된다.
따라서 구동측벨트풀리(44)는 화살표 b방향으로 소정각도(θ) 회전한 상태가 되고, 이 회전력은 벨트(36)로 연결되어 연동하는 종동측벨트풀리(34)로 전달된다. 종동측벨트풀리(34)가 구동측벨트풀리(44)와 같은 화살표 b 방향으로 소정각도(θ)회전하게 되면, 종동측벨트풀리(34)에 회전지지부(30a)가 고정된 카메라고정체(30)도 회전축(31)을 중심으로 소정각도(θ)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카메라고정체(30)와 지지체(20)의 평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앵글유지기구의 동력 전달 수단으로는 벨트가 사용되나, 로프나 체인등도 사용 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삼각대(2) 대신에 평형봉(1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지주(post)장치(50)와 카메라 완충기구(60)를 더 부가한 구성이다. 따라서,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고정지주장치(5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이 빈 길다란 통형상의 조절봉(51)을 구비한다. 상기 조절봉(51)의 양쪽에는 신축봉(52a,52b)이 조절봉(51)의 길이방향으로 출몰가능하게 각각 삽입되어 있고, 이 양쪽의 신축봉(52a,52b)은 출몰기구에 의해 조절봉(51)으로부터 돌출되거나 또는 삽입되어 고정지주장치(5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출몰기구는 조절봉(51) 내에 축방향으로 설치된 나사봉(53)을 구비하고, 이 나사봉(53)은 고정부재(54)에 의해 조절봉(51)의 대략 중간지점에 고정된다. 나사봉(53)은 고정부재(54)를 중심으로 한쪽은 오른나사부(53a), 다른 한쪽은 왼나사부(53b)로 형성되고, 이 오른나사부(53a)와 왼나사부(53b)에는 이송부재(55a,55b)가 각각 나사맞춤되며, 각 이송부재(55a,55b)는 양쪽의 신축봉(52a,52b) 내측면에 각각 고정된다. 신축봉(52a,52b)각각의 끝에는 마찰력이 큰 재료(예를 들면 고무)로 만든 말단부재(520a,520b)가 부착되어 있어 차량의 천장(58)과 바닥(59)에 미끌어지지 않게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조절봉(51)의 회전에 따라 나사봉(53)이 정,역회전하게 되면 이 나사봉(53)과 나사맞춤된 이송부재(55a,55b)에 의하여 신축봉(52a,52b)은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므로 고정지주장치(50)의 전체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조절봉(51)에는 의자(80)가 장착된다. 의자(80)는 연결아암(82)을 통하여 조절봉(51)에 연결되는데, 연결아암(82)의 한쪽 끝에 마련된 연결링(내부에 베어링이 있음)(82a)을 통하여 결합되므로 의자는 조절봉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의자(80)는 상하이동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 완충기구(60)는 진동 및 충격 발생원인 차량에 고정된 고정지주장치(50)와 진동 및 충격 차단 대상물인 카메라(1)측의 지지체(20)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으로부터 발생한 진동 및 충격이 카메라(1)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지주장치(50)와 연결아암(57)으로 고정되는 속이 빈 통형상의 하우징(바람직하기로는 비자성체 또는 상자성체재료)(61)을 구비한다. 연결아암(57)은 양단에 한쌍의 결합링이 마련되며 결합링 사이는 막대로 연결된다. 한쪽 링에는 조절봉(51)이 끼워지는데 베어링을 사이에 두고 결합되어 회전이 가능하다. 다른 한쪽 링에도 베어링을 사이에 두고 하우징(61)이 끼워져 고정된다. 연결아암(57)은 아래위 두 개가 마련된다. 도 9에서는 연결아암(51)이 있는 상하방향 높이가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고정 및 고정해제가 가능한 링을 도입하여 조절봉(51)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하여 고정하고 연결아암(57)의 한쪽 링이 그 위에 얹어지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연결막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연결막대의 한쪽 링과 조절봉 사이는 미끄럼 끼워 맞춤되어 회전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연결아암(57)과 고정지주장치(50) 사이에는 회전이 가능하며 결국 고정지주장치(50)를 중심으로 완충기구(60)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61) 내의 중간부분 및 상,하측 끝단에는 중간고정부재(62) 및 상,하측멈춤부재(63,64)가 설치되어 있고, 이 상,하측멈춤부재(63,64)와 중간고정부재(62)를 중심축(65)이 통과하여 연장되는데, 중심축(65)은 중간고정부재(62)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하부고정부재(63,64)와는 고정되어 있지는 않다. 하우징의 양끝단 내측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가 형성되고 상하부고정부재(63,64)의 외주에도 이에 맞물리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어 멈춤부재(63,64)와 중앙고정부재(62)사이의 거리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하측멈춤부재(64)는 장착되는 카메라의 무게에 따라 대응하여 조절한다. 예를 들면 보다 무거운 카메라를 장착할 경우에는 이 부재(64)를 회전시켜 위쪽으로 올린다. 가벼운 카메라를 장착할 경우에는 아래쪽으로 내린다.
한편 상측멈춤부재(63)는 노면의 상태에 대응하여 조절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면, 노면이 크게 울퉁불퉁할 때에는 상측멈춤부재(63)을 회전시켜 아래쪽으로 이동시킨다. 상측멈춤부재(63)와 중간고정부재(62) 사이, 하측멈춤부재(64)와 중간고정부재(62) 사이에는 중심축(65)에 제 1 및 제 2 완충체(66,67)의 일단이 끼워지되 중심축(65)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제 1 및 제 2 완충체(66,67)는 하우징(61)의 상하방향으로 길다랗게 형성된 장공을 통하여 연장되는 연결막대를 구비하되 막대는 하우징(61)을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완충체(66,67)의 돌출된 다른 끝단에는 고정봉(72)이 관통되어 고정되고, 그 고정봉(72) 상단은 지지체(20)에 형성된 고정구멍(20a)으로 삽입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카메라(1)가 장착된 평형봉(10)와 완충기구(60)가 연결설치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1 완충체(66)와 중간고정부재(62) 사이에는 압축코일스프링(68)이 설치되어 제 1 완충제(66)의 하방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하여 반발력을 가한다. 제 2 완충체(67)와 중간고정부재(62) 사이에는 인장코일스프링(69)이 설치되어 제 2 완충제(67)의 하방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하여 반발력을 가한다. 이때, 상기 인장코일스프링(69)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완충체(67)와 중간고정부재(62)에 자리홈(67a,62a)을 각각 형성하고, 이 각 자리홈(67a,62a)의 내측벽면에는 인장코일스프링(69)의 스프링반경과 동일한 나선홈(67b,62b)을 각각 형성하여 인장코일스프링(69)의 양끝단을 상기 반원형나선홈(67b,62b)에 나사맞춤식으로 끼워맞춤함으로써 고정한다.
제 1 완충체(66)와 상측멈춤부재(63) 사이에는 복수개(바람직하기로는 4개)의 마그네트(70)가 축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된다. 각 마그네트는 서로 같은 극성끼리 마주보도록 일정간격 유지되어 제 1 및 제 2 완충제(66,67)의 상방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하여 반발한다.
또한 제 2 완충체(67)와 하측멈춤부재(64) 사이에도 복수개(바람직하기로는 5개)의 마그네트(바람직하기로는 희토류 자석)(71)가 축을 따라 배치되며, 서로 같은 극성끼리 마주보도록 일정간격 유지되어 제 1 및 제 2 완충제(66,67)의 하방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하여 반발함으로써 진동을 완화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1 완충체(66) 및 제 2 완충제(67)의 하방으로 작용하는 충격에 대하여 압축코일스프링(68), 인장코일스프링(69) 및 하측의 마그네트(71)로서 완화시키고, 상방으로 작용하는 충격에 대하여 상측의 마그네트(70)로서 작게 완화시킨다. 완충장치는 지지체(20), 평형봉(10), 카메라(1) 등의 무게를 지탱함과 동시에, 이 무게에 의해 하방으로 작용하는 충격을 유효하게 완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완충장치가 마련된 구성의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고정지주장치(50)를 이용하여 예를 들면 카메라(1)를 부착한 평형봉(10)를 밴과 같이 천장이 있는 자동차 내에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지주장치(50)의 조절봉(51)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내부에 고정된 나사봉(53)이 회전하게 되고, 나사봉(53)의 양끝단은 서로 반대인 오른나사부(53a)와 왼나사부(53b)로 형성된 것이므로, 이와 상,하측 이송부재(55a,55b)로 나사맞춤된 상하측의 신축봉(52a,52b)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a) 또는 가까워지는 방향(b)으로 상대이동함으로써 고정지주장치(50)의 전체길이를 길게 또는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지주장치(50)를 자동차 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한 후, 전체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자동차 내의 바닥과 천장 사이에 고정지주장치(50)를 쉽게 고정하거나 고정해제할 수 있다.
또한 완충기구(60)에 의해서는, 카메라가 장착된 자동차(밴)를 주행하면서 이동하는 물체를 촬영할 때 자동차의 흔들림에 의한 진동 및 충격이 고정지주장치(50)에 전달되면 이를 흡수하여 지지체(20) 및 평형봉(10)를 통해 카메라(1)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즉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완충체(66,67)는, 카메라(1), 평형봉(10) 및 지지체(20)의 무게에 더한 상측 마그네트(70)의 하방으로 작용하는 반발력과, 압축코일스프링(68), 인장코일스프링(69) 및 하측 마그네트(71)의 상측으로 작용하는 반발력이 균형을 유지하여 일정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촬영중 자동차의 흔들림에 의해 발생한 진동 또는 충격이 고정지주장치(50)를 통해 완충기구(60)의 하우징(61)에 전달되면, 하우징(61)이 상하방향으로 요동하게 된다. 이때 하우징(61)의 상방으로 작용하는 힘은 하방으로 반발력을 작용하는 상측의 마그네트(70)에 의해 상쇄된다.
또한 하우징(61)의 하방으로 작용하는 힘은 상방으로 반발력을 작용하는 압축코일스프링(68), 인장코일스프링(69) 및 하측 마그네트(71)의 반발력에 의해 상쇄된다.
따라서 자동차 주행 중 흔들림에 의해 발생한 진동 및 충격이 완충기구(60)에 의해 흡수됨으로써 카메라(1)로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이 최소화되고, 이에 의해 화면의 흔들림이 방지되어 양질의 화면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설명에서는 도 8내지 도 10에서 도시한 구조의 완충장치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 고정지주장치(50)와 지지체(20) 사이에 설치된 완충기구(60)는 상기한 구성의 완충기구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카메라용 완충기구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좋다. 그 하나의 예가 스테디 캠이라는 상표로 알려진 시네마 프로덕트 코포레이션(미국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리스 소재)의 더 마스터 시리즈 이소-엘라스틱 아암(THE MASTER SERIES ISO-ELASTIC ARM)이다. 고정지주장치(50)에 적절한 결합 수단으로 상기 완충장치를 고정하고 그 위에 평형봉과 카메라를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11 및 도 12는 제 2 실시예의 사용예를 나타낸 것으로, 고정지주장치(50)의 조절봉(51) 하단부에 수나사부(51c)를 형성한다. 천장이 없는 자동차의 바닥이나, 자동차로 견인하도록 특별히 만들어진 촬영용 수레(이를 츄레라라고도 함, 피견인 차량을 가리킴)(90)의 바닥에는 나사구멍(51d)을 형성한다. 이 나사구멍(51d)에 하측 신축봉(52b)을 제거한 후, 조절봉(51)의 수나사부(51c)를 나사결합함으로써 지주장치(50)을 설치할 수 있다. 도 12에서는 상측 신축봉(52a)이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도 제거하고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평형봉의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 회전조작에 의해 카메라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완중창치가 더 구비되어 주행하는 자동차, 오토바이나 마라톤 경주, 사이클 경주 촬영 시 이동하는 촬영대상물을 따라가면서 여러 방향에서 다양한 각도로 촬영할 수 있다. 이로써 이동하는 물체의 촬영효과를 높여 수준높은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고정지주장치에 의해서는 카메라가 장착된 평형봉의 설치 및 분리가 매우 용이하다. 완충장치에 의해서는 카메라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감소시켜 이동중인 대상물의 촬영시 흔들림 없는 화면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의 지지장치와 완충장치를 이용하면 차량뿐만 아니라 운행중인 선박이나, 기차, 전철 내부를 촬영할 때에도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삼각지지대 위에 지지장치를 장착하여 실내와 사무실등에서 드라마 또는 다큐멘터리를 촬영하면, 다양한 각도와 구도로 양질의 방송프로그램을 제작하는 데에 기여한다.

Claims (19)

  1. 촬영용 카메라를 지지하기 위한 카메라 지지장치에 있어서,
    대체로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체와,
    그 한 쪽에는 카메라가 설치될 수 있고, 카메라 설치시 평형을 유지하며, 상기 카메라의 상하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기울일 수 있게 상기 지지체 상단에 장착되는 평형봉과,
    상기 평형봉의 기울여진 각도에 관계없이 상기 평형봉에 설치되는 상기 카메라의 앵글을 유지하기 위한 앵글유지장치를 포함하는 카메라 지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지주와
    상기 고정지주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체와 상기 고정지주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장치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지지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하부의 고정기둥(21), 이 고정기둥(21) 위에 연이어 설치되고 고정기둥(21)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된 회전기둥(22)으로 이루어지는 카메라 지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봉은 상기 지지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봉부재(10a)를 구비하며, 상기 제 1봉부재(10a)에 대하여 길이 방향 이동이 가능한 제 2봉부재(11)와 제 2봉부재(11)의 끝에 설치되는 무게추(1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지지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앵글유지기구는,
    상기 평형봉(10)에 고정되는 제 1회전축(41)과,
    상기 제 1회전축(41)에 회전자유롭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체 상단과는 일체로 고정되는 구동측풀리(44)와,
    상기 카메라 설치위치의 상기 평형봉에 고정되는 제 2회전축(31)과,
    상기 제 2회전축(31)에 회전자유롭게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1)가 연결되는 종동측풀리(34)와,
    상기 구동측풀리(44)와 종동측풀리(34) 사이의 회전운동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 로프, 체인 또는 벨트(36)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카메라 위치이동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봉(10)에는 설치되는 카메라의 상하 및 좌우 앵글을 조정하기 위한 앵글 조정기구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지지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주는 속이 빈 길다란 통형상의 조절봉(51),상기 조절봉(51)의 양쪽에 각각 설치되어 조절봉(51)의 길이방향으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된 상,하측 신축봉(52a,52b), 상기 조절봉(51)을 축선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하측 신축봉(52a,52b)이 조절봉(51)으로부터 출몰되게 하는 출몰기구를 구비하는 카메라 지지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출몰기구는, 조절봉(51) 내에 축방향으로 고정설치되고, 한쪽은 오른나사부(53a) 다른 한쪽은 왼나사부(53b)가 형성된 나사봉(53)과, 상기 나사봉(53)의 오른나사부(53a)와 왼나사부(53b)에 각각 나사맞춤되어 신축봉(52a,52b)에 각각 고정된 이송부재(55a,55b)를 구비하는 카메라 지지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봉(51)의 하단부에 수나사부(51c)가 형성된 카메라 지지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장치(60)는,
    고정지주장치(50)에 연결되는 속이 빈 통형상의 하우징(61)과,
    상기 하우징(61) 내의 중간부분에 고정되는 중간고정부재(62) 및 상,하측 끝단을 막는 상,하측멈춤부재(63,64)와,
    지지체(20)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상측멈춤부재(63)와 중간고정부재(62) 사이에 위치하여 일단은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다른 일단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하우징(61) 외부로 돌출되며 상하이동이 가능한 제 1 완충체(66)와,
    지지체(20)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하측멈춤부재(64)와 중간고정부재(62) 사이에 위치하여 일단은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다른 일단은 수평방향으로 하우징(61) 외부로 돌출되며 상하이동이 가능한 제 2 완충체(67)와,
    상기 제 1 및 제 2 완충제(66,67)의 하우징 외부로 돌출된 단부에 고정되는 고정봉(72)과,
    상기 제 1 완충체(66)와 중간고정부재(62) 사이에 설치된 제 1 탄성부재(68)와,
    상기 제 2 완충체(67)와 중간고정부재(62) 사이에 설치된 제 2 탄성부재(69)와,
    상기 제 1 완충체(66)와 상측멈춤부재(63) 사이에 배치되고 서로 같은 극성끼리 마주보도록 배치한 복수개의 마그네트(70)와,
    상기 제 2 완충체(67)와 하측멈춤부재(64) 사이에 배치되고 서로 같은 극성끼리 마주보도록 배치한 복수개의 마그네트(71)를 구비하는 카메라 지지장치.
  11. 진동 및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완충장치에 있어서,
    진동 및 충격 발생원측에 고정되는 통형상의 하우징(61)과,
    상기 하우징(61) 내의 중간부분에 고정되는 중간고정부재(62) 및 상,하측 끝단에 설치된 상,하측멈춤부재(63,64)와,
    진동 및 충격 차단 대상물측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상측멈춤부재(63)와 중간고정부재(62) 사이에 위치하여 일단은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다른 일단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하우징(61) 외부로 돌출되며 상하이동이 가능한 제 1 완충체(66)와,
    진동 및 충격 차단 대상물측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하측멈춤부재(64)와 중간고정부재(62) 사이에 위치하여 일단은 하우징내에 위치하고 다른 일단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하우징(61) 외부로 돌출되며 상하이동이 가능한 제 2 완충체(67)와,
    상기 제 1 완충체(66)와 중간고정부재(62) 사이에 설치된 제 1 탄성부재(68)와,
    상기 제 2 완충체(67)와 중간고정부재(62) 사이에 설치된 제 2 탄성부재(69)와,
    상기 제 1 완충체(66)와 상측멈춤부재(63) 사이에 배치되고 서로 같은 극성끼리 마주보도록 배치한 복수개의 마그네트(70)와,
    상기 제 2 완충체(67)와 하측멈춤부재(64)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치되고 서로 같은 극성끼리 마주보도록 배치한 복수개의 마그네트(71)를 포함하는 완충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탄성부재는 압축코일스프링이며, 제 2 탄성부재는 인장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완충제의 하우징 외부로 돌출된 단부에 고정되는 고정봉을 더 포함하는 완충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하단 부근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하부멈춤장치에는 각각 상기 나사와 결합되는 나사가 외주에 형성되어 상,하부멈춤장치의 이동이 가능한 완충장치.
  15. 차량에 카메라를 설치하기 위한 카메라 지지장치에 있어서,
    차량에 설치되는 고정지주와
    상기 고정지주와 상기 카메라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지주의 진동 또는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장치를 포함하는 카메라 지지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장치는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지지장치.
  1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봉의 후방에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출력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지지장치.
  18. 제 2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장치는 차량에 의해 견인되는 피견인 차량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지지장치.
  19. 제 2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장치에는 의자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지지장치.
KR1020000025607A 2000-05-13 2000-05-13 카메라 지지장치 및 완충장치 KR200101041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5607A KR20010104148A (ko) 2000-05-13 2000-05-13 카메라 지지장치 및 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5607A KR20010104148A (ko) 2000-05-13 2000-05-13 카메라 지지장치 및 완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4148A true KR20010104148A (ko) 2001-11-24

Family

ID=45811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5607A KR20010104148A (ko) 2000-05-13 2000-05-13 카메라 지지장치 및 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04148A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298B1 (ko) * 2007-01-15 2008-04-0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촬영용 다축 운동제어 카메라 크레인
KR101440361B1 (ko) * 2013-03-26 2014-09-17 (주)유일 선박용 감시카메라 수평유지장치
CN104049441B (zh) * 2014-06-27 2017-01-18 武汉固胜科技有限公司 摄像机稳定平衡装置及其控制系统
KR101700852B1 (ko) * 2016-09-20 2017-01-31 한국시설기술단(주) 고소구간 안전진단을 위한 핸드 크레인
EP3301069A1 (en) * 2016-09-30 2018-04-04 Chapman/Leonard Studio Equipment, Inc. Balanced camera slider
KR200487081Y1 (ko) * 2018-02-01 2018-08-01 심정택 배터리를 무게추로 이용한 삼각대
US10146108B2 (en) 2015-04-10 2018-12-04 Chapman/Leonard Studio Equipment, Inc. Balanced camera slider
US10151966B2 (en) 2015-04-10 2018-12-11 Chapman/Leonard Studio Equipment, Inc. Balanced camera slider
CN110307901A (zh) * 2019-07-10 2019-10-08 长春国科医工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桌面式显微成像光谱仪器调节杆机构
KR20200099422A (ko) * 2019-02-14 2020-08-24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이동 가능한 데이터 획득장치
KR102428480B1 (ko) * 2022-01-24 2022-08-02 박찬희 카메라 요동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9778A (en) * 1986-09-23 1989-07-18 Panavision, Inc. Camera support systems
US4943019A (en) * 1988-12-30 1990-07-24 Technovision Cameras Limited Levelling system for camera cranes
KR960010718U (ko) * 1994-09-02 1996-04-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촬영장치
US5940645A (en) * 1997-10-22 1999-08-17 Bonin; Steve G. Camera crane with pan/tilt hea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9778A (en) * 1986-09-23 1989-07-18 Panavision, Inc. Camera support systems
US4943019A (en) * 1988-12-30 1990-07-24 Technovision Cameras Limited Levelling system for camera cranes
KR960010718U (ko) * 1994-09-02 1996-04-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촬영장치
US5940645A (en) * 1997-10-22 1999-08-17 Bonin; Steve G. Camera crane with pan/tilt head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298B1 (ko) * 2007-01-15 2008-04-0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촬영용 다축 운동제어 카메라 크레인
KR101440361B1 (ko) * 2013-03-26 2014-09-17 (주)유일 선박용 감시카메라 수평유지장치
CN104049441B (zh) * 2014-06-27 2017-01-18 武汉固胜科技有限公司 摄像机稳定平衡装置及其控制系统
US10146108B2 (en) 2015-04-10 2018-12-04 Chapman/Leonard Studio Equipment, Inc. Balanced camera slider
US10151966B2 (en) 2015-04-10 2018-12-11 Chapman/Leonard Studio Equipment, Inc. Balanced camera slider
KR101700852B1 (ko) * 2016-09-20 2017-01-31 한국시설기술단(주) 고소구간 안전진단을 위한 핸드 크레인
EP3301069A1 (en) * 2016-09-30 2018-04-04 Chapman/Leonard Studio Equipment, Inc. Balanced camera slider
KR200487081Y1 (ko) * 2018-02-01 2018-08-01 심정택 배터리를 무게추로 이용한 삼각대
KR20200099422A (ko) * 2019-02-14 2020-08-24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이동 가능한 데이터 획득장치
CN110307901A (zh) * 2019-07-10 2019-10-08 长春国科医工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桌面式显微成像光谱仪器调节杆机构
KR102428480B1 (ko) * 2022-01-24 2022-08-02 박찬희 카메라 요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8534490A (ja) 搭載物を安定させる安定化装置
CN108583919B (zh) 一种适用于全景视频拍摄的无人机机载云台增稳系统
US20200169650A1 (en) Apparatus for mounting of a camera or other components
KR20010104148A (ko) 카메라 지지장치 및 완충장치
US20030147641A1 (en) Hand held counter balance and shock absorber camera mount
CN108779892B (zh) 云台的减震器、云台组件、及可移动拍摄设备
JP2004242128A (ja) 空中撮影用カメラ雲台
CN111609281B (zh) 纵向增稳式手持机架及手持摄影器材
CN112145941B (zh) 多功能手持摄影器材
WO2018053925A1 (zh) 云台减震装置及拍摄装置
CN209856738U (zh) 竖向定位设备、竖向减震装置及具有其的稳定器和拍摄设备
JP2009023379A (ja) 空中撮影装置
KR101547454B1 (ko) 파노라마 기능을 구비한 볼 헤드용 다기능 볼
JP2006020261A (ja) 撮影機器減揺装置
CN208393640U (zh) 一种适用于全景视频拍摄的无人机机载云台增稳系统
KR101957928B1 (ko) 복합기능이 구비된 소형 카메라용 홀더
CN214790335U (zh) 拍摄设备的减震支架和减震装置
WO2019173988A1 (zh) 一种旋转机构、无人机的起落架及机架、无人机
WO2022068069A1 (zh) 云台组件及其镜头支架
CN113048189B (zh) 减震头、车载减震臂和车载拍摄设备
JP2004297670A (ja) 移動体用全方位カメラ装置の防振機構
CN114056248A (zh) 一种车载监控装置
CN113060077B (zh) 拍摄设备的减震支架和减震装置
CN219802454U (zh) 一种防抖动车载摄像头
CN211766346U (zh) 一种用于航拍无人机的摄像机固定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