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3524B1 - 저소음 축소형 틸팅기능을 포함하는 자동차 디스플레이 모니터 - Google Patents

저소음 축소형 틸팅기능을 포함하는 자동차 디스플레이 모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3524B1
KR101543524B1 KR1020140013574A KR20140013574A KR101543524B1 KR 101543524 B1 KR101543524 B1 KR 101543524B1 KR 1020140013574 A KR1020140013574 A KR 1020140013574A KR 20140013574 A KR20140013574 A KR 20140013574A KR 101543524 B1 KR101543524 B1 KR 101543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display monitor
monitor
reduction gea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3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하성
Original Assignee
이하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하성 filed Critical 이하성
Priority to KR1020140013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35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3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3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어시트가 구비된 차량(승용차 또는 SUV 차량 등)이나 공간이 좁은 파노라마 썬루프 차량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특히 디스플레이 모니터가 저소음 감속형으로 동작되는 고효율 틸팅기능에 의해 펼치거나 접을 수 있음으로 사용의 편의성과 성능향상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차동차 디스플레이 모니터에 관한 것이다.
즉, 본체 하우징(10), 디스플레이 모니터(20), 감속타입형틸팅유닛(30), 임의유동방지유닛(80) 구비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감속타입형틸팅유닛(30)의 일측과 이와 인접하게 대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니터(20)의 일측단부 사이에는 감속된 회전동력을 디스플레이 모니터(20)로 출력· 전달될 수 있도록하는 감속동력출력전달부()가 설치되는 것과; 상기 감속타입형틸팅유닛(30)은, 틸팅동작의 동력원인 구동용 모터(310)가 구성되고, 상기 구동용 모터(310)의 회전축에서부터 상기 감속동력출력전달부() 사이에는 직경 및 기어모듈이 서로 다른(작은 것과 큰 것) 다수의 기어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치물림되어 이를 통해 회전동력을 전달하면 상당한 수준의 감속비가 제공되어 안정된 틸팅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어형감속장치(300')가 장치되고, 상기 구동용 모터(310) 및 기어형감속장치(300')의 둘레에는 기어보호용 케이스(390)가 구비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저소음 축소형 틸팅기능을 포함하는 자동차 디스플레이 모니터{Includes a low-noise miniature Automotive display monitor tilting function}
본 발명은 리어시트가 구비된 차량(승용차 또는 SUV 차량 등)이나 공간이 좁은 파노라마 썬루프 차량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특히 디스플레이 모니터가 저소음 감속형으로 동작되는 고효율 틸팅기능에 의해 펼치거나 접을 수 있음으로 사용의 편의성과 성능향상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차동차 디스플레이 모니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상 생활에서 자동차는 실생활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또한, 최근에는 단순한 운송수단의 개념에서 벗어나 하나의 개인 독립된 생활공간으로서 인식되기 시작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차량의 주행성능이나 승차감의 향상은 물론 차량 탑승자를 위한 각종 편의장치들의 설치가 날로 증가하고 있으나, 이는 지금까지 고급세단 차량에만 주로 해당되는 사항이었으나 최근에는 준중형 또는 중형차량까지 그 설치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특히, 차량 이용자의 증가로 차내에서 머무는 시간이 많아지고, 정보화시대를 맞아, 뒷좌석 탑승객도 차량 내의 내비게이션 또는 별도의 후방 모니터를 통해 TV, 영화 등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최근에는 모니터의 LED, LCD 판넬을 이용하여 단순히 시청만 하는 모니터라는 개념을 넘어 각종 동영상, 사진, TV 시청뿐 아니라 인터넷, 정보검색, 게임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까지 함께 탑재된 멀티미디어형으로 점차 변모하고 있다.
한편, 차량 내에 설치되는 모니터는 주로 대시보드(Dashboard) 또는 헤드레스트(Headrest)에 설치되거나 또는 운전석과 보조석 사이에 별도의 설치 브라켓을 고정한 후 여기에 모니터를 결합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도 1에서와 같이 차량 내의 천정에 모니터를 설치하기 위한 모니터 고정장치가 차량의 내부 천정의 임의 위치에 모니터(10)가 틸팅될 수 있는 본체하우징(20)을 천장 벽면에 고정되도록 설치한 후 틸팅동작으로 펼쳐서 시청하고 비사용시에는 역동작으로 모니터(10)를 접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차 실내용 모니터의 경우에는, 사용을 위해 펼치거나 비사용 시 접는 틸팅동작을 위한 구조가, 매우 복잡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뿐 아니라 동력전달의 유기적인 결합구조가 비효율적인 시스템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의 정밀성과 원활성이 크게 떨어질 뿐 아니라 사용 중 소음과 진동이 심하고 고장이 잦고, 게다가 체적을 많이 차지하여 모니터 구조물이 불필요하게 증대되었던 문제점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기존 모니터는 소형화되지 못하고 커서 실내 안정성을 저해하고 미관적으로도 극히 부자연스러울 뿐 아니라, 특히 승용차 또는 SUV 차량의 편의장치 중 하나인 파노라마 썬루프 방식의 협소한 천정 구조에서는 설치 자체가 어려워지는 폐단을 야기한다,
이에 본 발명은 자동차 디스플레이의 틸팅동작에 필요한 구조를 증·감속 및 속도조절이 용이할 뿐 아니라 소음이 적고 정밀한 고효율 동작까지 구현할 수 있고, 특히 최소한의 크기와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모니터의 축소형에도 크게 기여 함에 따라, 파노라마 썬루프가 적용된 차량의 협소한 공간에도 문제없이 적용이 가능한 기어식 감속타입으로 변형한 새로운 차량 디스플레이 모니터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 하우징(10), 디스플레이 모니터(20), 감속타입형틸팅유닛(30), 임의유동방지유닛(80) 구비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감속타입형틸팅유닛(30)의 일측과 이와 인접하게 대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니터(20)의 일측단부 사이에는 감속된 회전동력을 디스플레이 모니터(20)로 출력·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감속동력출력전달부(380)가 설치되는 것과; 상기 감속타입형틸팅유닛(30)은, 틸팅동작의 동력원인 구동용 모터(310)가 구성되고, 상기 구동용 모터(310)의 회전축에서부터 상기 감속동력출력전달부() 사이에는 직경 및 기어모듈이 서로 다른(작은 것과 큰 것) 다수의 기어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치물림되어 이를 통해 회전동력을 전달하면 상당한 수준의 감속비가 제공되어 안전된 틸팅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어형감속장치(300')가 장치되고, 상기 구동용 모터(310) 및 기어형감속장치(300')의 둘레에는 기어보호용 케이스(390)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기어형이면서 소형 감속타입으로 이루어지는 신개념 틸팅유닛에 의해 설치공간을 획기적으로 개선되어 그 크기를 기존대비 1/3수준으로 크게 줄여짐에 따라 자동차용 디스플레이의 소형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본체하우징을 고정할 공간(자동차의 실내 천정공간)이 비록 협소하더라도(특히 파노라마 썬루프가 적용되어 있어 설치할 공간이 매우 좁음) 무리 없이 설치가 가능할 뿐 아니라, 모터의 작동시 발생되는 소음까지 최소화할 수 있고, 동작의 원활성과 정밀성은 물론 증·감속의 효과적인 조절까지 가능함으로 성능향상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 모니터 설치작동관계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품 실시 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저면 작동 실시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측면 작동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감속타입형 틸팅유닛의 바람직한 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감속타입형 틸팅유닛의 평면 및 측 단면 작동실시 상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틸팅속도조절기어의 바람직한 실시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회전기어에 대한 작동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감속타입형 틸팅유닛의 분해 조립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임의유동방지유닛의 작동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의 저소음 감속 타입형 틸팅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모니터는 첨부된 각 도면에 의거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즉, 본 발명은 차량의 내부 천정에 장착되고 내부에는 일정한 공간부(110)를 갖는 동시에 일면의 중앙에는 모니터 안착부가 형성되고, 그 양측에는 안정된 모니터의 안착을 돕는 동시에 그 모니터 양측단의 지지에 필요한 요소를 제공하는 모니터 지지부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 하우징(10);
상기 본체 하우징(10)의 모니터 안착부에는 원하는 화상이 지원되는 디스플레이 모니터(20)가 설치되는 것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니터(20)의 양측에 구성하는 각각의 모니터 지지부 중 어느 하나에는 모니터의 틸팅동작에 필요한 구동수단인 감속타입형틸팅유닛(30)이 설치되는 반면,
다른 하나에는 틸팅동작 중 수반될 수 있는 불안정한 움직임을 탄력적으로 잡아주는 임의유동방지유닛(80)이 설치되는 것과;
상기 감속타입형틸팅유닛(30)의 일측과 이와 인접하게 대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니터(20)의 일측단부 사이에는 감속된 회전동력을 디스플레이 모니터(20)로 출력· 전달될 수 있도록하는 감속동력출력전달부(380)가 설치되는 것과;
상기 감속타입형틸팅유닛(30)은, 틸팅동작의 동력원인 구동용 모터(310)가 구성되고, 상기 구동용 모터(310)의 회전축에서부터 상기 감속동력출력전달부(380) 사이에는 직경 및 기어모듈이 서로 다른(작은 것과 큰 것) 다수의 기어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치물림되어 이를 통해 회전동력을 전달하면 상당한 수준의 감속비가 제공되어 안정된 틸팅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어형감속장치(300')가 장치되고, 상기 구동용 모터(310) 및 기어형감속장치(300')의 둘레에는 기어보호용 케이스(390)가 구비되는 것; 을 그 특징적 요지로 하였다.
이때 상기 임의유동방지유닛(80)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니터(20) 일측의 단부에는 이와 접설되는 모니터 지지부의 내부까지 관통된 회전축봉(822)이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봉(822)의 일단에는 모니터 지지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축지지하는 되는 고정브라켓(810)이 구성되며,
상기 고정브라켓(810)과 일정한 간격이 유지된 회전축봉(822)의 끝에는 걸림판(823)이 구성되고,
상기 걸림판(823)과 고정브라켓(810) 사이에는 상기 회전축봉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될 때 항시 일정한 탄성력을 부여해 틸팅과정의 모니터가 기어의 유효공차(유격)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흔들림 현상(까딱까딱)이 자동으로 방지될 수 있도록 일측과 타측에 각각 코걸림(831)(832)이 이루어진 걸림형 코일스프링(830)이 구비되어 있는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어형감속장치(300')는, 상기 감속타입형틸팅유닛(30)에 포함되어 있는 구동용 모터(310)의 회전축에서부터 상기 감속동력출력전달부(38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용 모터(310)의 회전축에는 상기 구동용 모터(310)의 회전동력을 원천으로 출력하는 원동 웜기어(302)가 구성되고,
상기 원동 웜기어(302)와 치물림된 일측에는, 하나의 피동축(320c)에 일정한 직경 크기의 출력용 대기어(320b) 및 상기 출력용 대기어(320b)보다 직경이 작은 감속용 소기어(320a)가 상,하 일체로 축삽되어 있는 제 1 감속 기어셋트(320)가 설치되고,
상기 제 1 감속 기어셋트(320)의 일측에는 하나의 피동축(330c)에 상기 감속용 소기어(320a)와 치물림된 출력용 대기어(330b) 및 출력용 대기어(330b) 보다 직경이 작은 감속용 소기어(330a)가 상,하로 축삽된 제 2 감속 기어셋트(330)가 설치되며,
상기 제 2 감속 기어셋트(330)의 일측에는 하나의 피동축(340c)에 상기 감속용 소기어(330a)와 치물림된 출력용 대기어(340b) 및 출력용 대기어(340b)보다 직경이 작은 감속용 소기어(340a)가 상,하로 축삽된 제 3 감속 기어셋트(340)가 설치되고,
상기 제 1 감속 기어셋트(340)의 일측에는 하나의 피동축(350c)에 상기 감속용 소기어(340a)와 치물림된 출력용 대기어(350b) 및 출력용 대기어(350b)보다 직경이 작은 감속용 소기어(350a)가 상,하로 축삽된 제 4 감속 기어셋트(350)가 설치되며,
상기 제 4 감속 기어셋트(350)의 일측에는 상기 감속용 소기어(350a)와 치물림된 출력용 대기어(360b)가 구비되고, 상기 출력용 대기어(360b)의 중심에는 감속 출력용 회전축봉(360c)이 구비된다.
이렇게 구성되면, 상기 구동용 모터(310)의 회전축에서 출력된 고속의 회전동력이 상기 기어형감속장치(300')를 거치는 동안 상당한 정도의 비율로 감속이 이루어짐으로 상기 감속 출력용 회전축봉(360c)을 통해 모니터로 전해지는 회전동력이 틸팅동작에 알맞는 정도로 인가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특히, 상기 구동용 모터(310)의 회전축에서 출력된 고속의 회전동력을 감속을 위해 최초로 출력시킬 때, 상기 구동용 모터(310) 및 회전축과 일직선상으로 출력시킨 상태에서 각도가 90도 차이로 서로 다른 상기 제 1 감속 기어셋트(320)의 출력용 대기어(320b)에 그 동력을 용이하게 전달이 가능한 원동 웜기어(302)를 사용함에 따라,
상기 구동용 모터(310)의 설치시 불필요하게 상기 기어형감속장치(300')와 90도로 꺽어져 그 체적과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구성할 필요없이 일직선이된 상태로 구성이 가능함으로 자동차 디스플레이 모니터 전체를 최소형으로 설계하는데 아주 크게 도움이 된다.
아울러, 상기 원동 웜기어(302)의 후단에는 외부 케이스(390)에 고정설치되는 밀림방지판(304)을 설치한 다음 그 사이에 구름운동볼(305)을 구성시킬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원동 웜기어(302)의 회전동작에는 장애를 주지 않으면서 상기 구동용 모터(310)의 회전축이 구동할 때 나타날 수 있는 미세한 전,후 방향 유격으로 인한 후방 밀림현상 및 이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구름운동볼(305)은 사용 조건에 따라서 금속제 또는 플라스틱제 등을 선택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감속동력출력전달부(380)는, 상기 감속타입형틸팅유닛(30)의 일측과 이와 인접하게 대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니터(20)의 일측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감속타입형틸팅유닛(30)에 의해 감속된 회전동력이 상기 감속 출력용 회전축봉(360c)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모니터(20)로 전달시킬 때 별무리없이 연결될 수 되도록 하기 위한 요소임에 따라,
단순히 상기 감속 출력용 회전축봉(360c)과 디스플레이 모니터(20)의 일측 단부를 연결 브라켓으로 연결만 시킬 수도 있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속 출력용 회전축봉(360c) 끝에 압입고정나사부(371)를 갖는 힌지샤프트(372)를 결함하고, 상기 압입고정나사부(371)에는 와셔와 같은 형상의 압입링(373) 다수 개가 후방의 압입용 너트(374)에 의해 압착된 상태로 구비되어 있고,
서로 압착된 상태로 밀착되어 있는 다수개의 압입링(373)들 사이에는 디스플레이 모니터(20)의 일단부와 결합된 연결 브라켓(375)의 힌지삽입부(376)가 끼워져 구성하는 구조로 설계될 수 있는 데,
이는 모니터에 정도 이상의 외부 충격이나 힘이 작용할 경우, 다수개의 압입링(373)들 사이에 압박된 상태로 끼워진 상기 연결 브라켓의 힌지삽입부가 미끌림작용하면서 그 충격을 소멸 내지 최소화 완화시킴에 따라,
충격이 감속타입형틸팅유닛(30)의 내부로 그대로 전달될 경우 발생될 수 있는 기어들 또는 모니터 케이스(390)의 손상 및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수단으로서의 역할이 가능하다.
10: 본체 하우징 20: 디스플레이 모니터
30: 감속타입형틸팅유닛 80: 임의유동방지유닛
110: 공간부 310: 구동용 모터
300': 기어형감속장치 380: 감속동력출력전달부
390: 케이스

Claims (5)

  1. 차량의 내부 천정에 장착되고 내부에는 일정한 공간부(110)를 갖는 동시에 일면의 중앙에는 모니터 안착부가 형성되고, 그 양측에는 안정된 모니터의 안착을 돕는 동시에 그 모니터 양측단의 지지에 필요한 요소를 제공하는 모니터 지지부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 하우징(10);
    상기 본체 하우징(10)의 모니터 안착부에는 원하는 화상이 지원되는 디스플레이 모니터(20)가 설치되는 것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니터(20)의 양측에 구성하는 각각의 모니터 지지부 중 어느 하나에는 모니터의 틸팅동작에 필요한 구동수단인 감속타입형틸팅유닛(30)이 설치되는 반면,
    다른 하나에는 틸팅동작 중 수반될 수 있는 불안정한 움직임을 탄력적으로 잡아주는 임의유동방지유닛(80)이 설치되는 것과;
    상기 감속타입형틸팅유닛(30)의 일측과 이와 인접하게 대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니터(20)의 일측단부 사이에는 감속된 회전동력을 디스플레이 모니터(20)로 출력· 전달될 수 있도록하는 감속동력출력전달부(380)가 설치되는 것과;
    상기 감속타입형틸팅유닛(30)은, 틸팅동작의 동력원인 구동용 모터(310)가 구성되고, 상기 구동용 모터(310)의 회전축에서부터 상기 감속동력출력전달부(380) 사이에는 직경 및 기어모듈이 서로 다른(작은 것과 큰 것) 다수의 기어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치물림되어 이를 통해 회전동력을 전달하면 감속비가 제공되어 안정된 틸팅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어형감속장치(300')가 장치되고, 상기 구동용 모터(310) 및 기어형감속장치(300')의 둘레에는 기어보호용 케이스(390)가 구비되는 것과

    상기 임의유동방지유닛(80)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니터(20) 일측의 단부에는 이와 접설되는 모니터 지지부의 내부까지 관통된 회전축봉(822)이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봉(822)의 일단에는 모니터 지지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축지지하는 고정브라켓(810)이 구성되며,
    상기 고정브라켓(810)과 일정한 간격이 유지된 회전축봉(822)의 끝에는 걸림판(823)이 구성되고,
    상기 걸림판(823)과 고정브라켓(810) 사이에는 상기 회전축봉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될 때 항시 일정한 탄성력을 부여해 틸팅과정의 모니터가 기어의 유효공차(유격)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흔들림 현상(까딱까딱)이 자동으로 방지될 수 있도록 일측과 타측에 각각 코걸림(831)(832)이 이루어진 걸림형 코일스프링(830)이 구비되는 것과;

    상기 기어형감속장치(300')는,
    상기 구동용 모터(310)의 회전축에는 상기 구동용 모터(310)의 회전동력을 원천으로 출력하는 원동 웜기어(302)가 구성되고,
    상기 원동 웜기어(302)와 치물림된 일측에는, 하나의 피동축(320c)에 일정한 직경 크기의 출력용 대기어(320b) 및 상기 출력용 대기어(320b) 보다 직경이 작은 감속용 소기어(320a)가 상,하 일체로 축삽되어 있는 제 1 감속 기어셋트(320)가 설치되며,
    상기 제 1 감속 기어셋트(320)의 일측에는 하나의 피동축(330c)에 상기 감속용 소기어(320a)와 치물림된 출력용 대기어(330b) 및 출력용 대기어(330b)보다 직경이 작은 감속용 소기어(330a)가 상,하로 축삽된 제 2 감속 기어셋트(330)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감속 기어셋트(330)의 일측에는 하나의 피동축(340c)에 상기 감속용 소기어(330a)와 치물림된 출력용 대기어(340b) 및 출력용 대기어(340b) 보다 직경이 작은 감속용 소기어(340a)가 상,하로 축삽된 제 3 감속 기어셋트(340)가 설치되며,
    상기 제 3 감속 기어셋트(340)의 일측에는 하나의 피동축(350c)에 상기 감속용 소기어(340a)와 치물림된 출력용 대기어(350b) 및 출력용 대기어(350b) 보다 직경이 작은 감속용 소기어(350a)가 상,하로 축삽된 제 4 감속 기어셋트(350)가 설치되며,
    상기 제 4 감속 기어셋트(350)의 일측에는 상기 감속용 소기어(350a)와 치물림 된 출력용 대기어(360b)가 구비되고, 상기 출력용 대기어(360b)의 중심에는 감속 출력용 회전축봉(360c)이 구비된 것과;

    상기 원동 웜기어(302)의 후단에는 외부 케이스(390)에 고정설치되는 밀림방지판(304)을 설치한 다음 그 사이에 구름운동볼(305)을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 저소음 축소형 틸팅기능을 포함하는 자동차 디스플레이 모니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40013574A 2014-02-06 2014-02-06 저소음 축소형 틸팅기능을 포함하는 자동차 디스플레이 모니터 KR101543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574A KR101543524B1 (ko) 2014-02-06 2014-02-06 저소음 축소형 틸팅기능을 포함하는 자동차 디스플레이 모니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574A KR101543524B1 (ko) 2014-02-06 2014-02-06 저소음 축소형 틸팅기능을 포함하는 자동차 디스플레이 모니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3524B1 true KR101543524B1 (ko) 2015-08-11

Family

ID=54060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3574A KR101543524B1 (ko) 2014-02-06 2014-02-06 저소음 축소형 틸팅기능을 포함하는 자동차 디스플레이 모니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352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1108B1 (ko) * 2017-03-14 2018-06-25 이하성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기반의 자동차 실내 설치용 접이식 전동 모니터의 화면 제어방법
KR102011893B1 (ko) * 2018-05-03 2019-08-21 덕양산업 주식회사 미러리스 타입 자동차의 필러 설치형 폴딩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1898B1 (ko) * 2018-05-03 2019-08-21 덕양산업 주식회사 미러리스 타입 자동차의 크래시 패드 설치형 폴딩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1890B1 (ko) * 2018-05-03 2019-08-21 덕양산업 주식회사 미러리스 타입 자동차의 도어 트림 설치형 폴딩식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0941A (ja) 2000-12-28 2002-07-16 Seiko Epson Corp 車載用av装置
KR200311149Y1 (ko) 2003-01-28 2003-04-21 홍순택 차량용 엘씨디모니터 구동장치
KR100846155B1 (ko) 2007-11-29 2008-07-14 박경수 언트위스팅 기능을 갖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0941A (ja) 2000-12-28 2002-07-16 Seiko Epson Corp 車載用av装置
KR200311149Y1 (ko) 2003-01-28 2003-04-21 홍순택 차량용 엘씨디모니터 구동장치
KR100846155B1 (ko) 2007-11-29 2008-07-14 박경수 언트위스팅 기능을 갖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1108B1 (ko) * 2017-03-14 2018-06-25 이하성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기반의 자동차 실내 설치용 접이식 전동 모니터의 화면 제어방법
KR102011893B1 (ko) * 2018-05-03 2019-08-21 덕양산업 주식회사 미러리스 타입 자동차의 필러 설치형 폴딩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1898B1 (ko) * 2018-05-03 2019-08-21 덕양산업 주식회사 미러리스 타입 자동차의 크래시 패드 설치형 폴딩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1890B1 (ko) * 2018-05-03 2019-08-21 덕양산업 주식회사 미러리스 타입 자동차의 도어 트림 설치형 폴딩식 디스플레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3524B1 (ko) 저소음 축소형 틸팅기능을 포함하는 자동차 디스플레이 모니터
US7556234B2 (en) Seat slide device
US8348326B2 (en) Seat slide apparatus for vehicle
KR101407256B1 (ko) 차량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CN107559382B (zh) 车辆减速器
US9902324B2 (en) Actuator mechanism for an adjustment device of a wing mirror and clutch assembly thereof
KR101684123B1 (ko) 폴딩 시트 액츄에이터
WO2019026959A1 (ja) 電動格納式車両用周辺視認装置
JPWO2006126623A1 (ja) 動力伝達装置、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及び表示パネル用台座
US20190092241A1 (en) Viewing device for vehicle
US11427135B2 (en) Rotating mechanism for display terminal and vehicle
WO2018099278A1 (zh) 车载显示屏装置及车辆
US8590412B2 (en) Driving apparatus with a vibration limiter for worm gear
US6745639B2 (en) Geared motor
KR101790775B1 (ko) 차량용 모니터 어셈블리
KR101482465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접이식 거치대
CN110395194B (zh) 用于调节车载显示终端的执行机构和车辆
KR102443234B1 (ko) 룸미러용 전자기기 거치대
JP2023000254A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における鏡面角度調整ユニット、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CN219134022U (zh) 一种显示装置及汽车
JP2007125961A (ja) 車載用表示装置
JP4251971B2 (ja) 車載用電子機器
WO2018061963A1 (ja) 車両用ルームミラー
JP2009193866A (ja) ランプ装置、及び車両用ランプ装置
KR100531473B1 (ko) 카멀티미디어기기의 디스플레이 유닛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