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1881B1 - 기능성 수술용 지침기 - Google Patents

기능성 수술용 지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1881B1
KR101481881B1 KR20130003906A KR20130003906A KR101481881B1 KR 101481881 B1 KR101481881 B1 KR 101481881B1 KR 20130003906 A KR20130003906 A KR 20130003906A KR 20130003906 A KR20130003906 A KR 20130003906A KR 101481881 B1 KR101481881 B1 KR 101481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handle
plates
mov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03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1887A (ko
Inventor
김난열
김학용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003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1881B1/ko
Publication of KR20140091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1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1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1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2Needle manipul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기능성 수술용 지침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수술용 지침기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원형 막대 형상의 그립손잡이; 상기 그립손잡이의 선단에 대해 회전되지 않도록 설치되되, 수술용 봉합침을 잡거나 놓을 수 있도록 간격이 넓어지거나 좁아지는 외측 및 내측 그립플레이트; 상기 그립손잡이 상에 설치되되, 상기 내측그립플레이트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의 푸쉬조작에 의해, 상기 외측 및 내측 그립플레이트의 간격을 좁게하는 푸쉬핸들; 상기 그립손잡이의 선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수술용 봉합침을 잡거나 놓을 수 있도록 간격이 넓어지거나 좁아지는 외측 및 내측 무빙플레이트; 상기 그립손잡이 상에 설치되되, 상기 외측 및 내측 무빙 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외측 및 내측 무빙플레이트의 간격을 조절하는 무빙핸들; 및, 상기 그립손잡이 상에 설치되어, 상기 외측 및 내측 무빙 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술자의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외측 및 내측 무빙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무빙 손잡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능성 수술용 지침기 {FUNCTIONAL OPERATIVE NEEDLE HOLDER}
본 발명은 수술용 지침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과적 수술시 봉합침(바늘, needle)을 파지함과 동시에 봉합에 필요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 수술용 지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 장기, 혈관 등의 인체 조직의 외과적 수술시에는 봉합사가 연결된 수술용 봉합침(바늘, neddle)을 수술용 지침기를 이용해 꿰매는 방법으로 조직을 봉합하거나 혈관을 문합한다. 외과적 수술시 사용되는 수술용 봉합침의 형태로 곡침(curved needle)이 있으며, 곡침의 형태로는 3/8 circle, 1/2 circle, 5/8 circle 등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수술용 지침기에 대해 공개실용신안 20-2000-0019063호에 개시된다.
개시된 종래의 수술용 지침기는 가위형태의 모양으로 봉합침을 파지하는 기능만을 가지고 있으며, 봉합침이 파지된 지침기를 잡고 손목을 회전시킴으로써 수술 조직 내부로 봉합침을 진입시키게 된다. 봉합침이 조직을 관통한 후, 첨단부가 조직 바깥으로 나오게 되면 지침기를 잡지 않은 다른 손으로 봉합침의 첨단부를 포셉 등의 기구를 이용하여 고정한 다음, 봉합침을 파지하고 있는 지침기를 열어 봉합침을 놓고 봉합침의 첨단부를 다시 파지하여 조직 바깥으로 봉합침을 끌어 내게 된다. 상기 조작을 통해 수술 부위 봉합을 하게 되는 종래의 방법은 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 비효율적이며, 특히 미세한 조작을 요하는 경우는 동작 수행의 일관도도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간단한 동작을 통해 정확하고 신속하며 일정한 봉합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한 손만을 사용하여 봉합침을 조직으로 진입시키고 잡아 빼는 것이 가능한 수술용 지침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수술용 지침기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원형 막대 형상의 그립손잡이; 상기 그립손잡이의 선단에 대해 회전되지 않도록 설치되되, 수술용 봉합침을 잡거나 놓을 수 있도록 간격이 넓어지거나 좁아지는 외측 및 내측 그립플레이트; 상기 그립손잡이 상에 설치되되, 상기 내측그립플레이트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의 푸쉬조작에 의해, 상기 외측 및 내측 그립플레이트의 간격을 좁게하는 푸쉬핸들; 상기 그립손잡이의 선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수술용 봉합침을 잡거나 놓을 수 있도록 간격이 넓어지거나 좁아지는 외측 및 내측 무빙플레이트; 상기 그립손잡이 상에 설치되되, 상기 외측 및 내측 무빙 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외측 및 내측 무빙플레이트의 간격을 조절하는 무빙핸들; 및, 상기 그립손잡이 상에 설치되어, 상기 외측 및 내측 무빙 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술자의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외측 및 내측 무빙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무빙 손잡이;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제 1 그립 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제 2 그립 플레이트는 부채꼴 형상이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외측 그립플레이트는 상기 그립 손잡이의 선단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내측 그립플레이는 상기 외측 그립플레이트에 대해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도록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무빙핸들은 상기 그립손잡이 상에 설치되되, 상기 외측 및 내측 무빙플레이트와 연결되며, 나사방식으로 상기 무빙핸들을 일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외측 및 내측 무빙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고, 타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외측 및 내측 무빙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수술용 지침기를 이용하면 한손 만을 이용해 조직 내로 봉합침을 진입시키고, 봉합침의 선단부를 잡아 빼는 동작이 가능해 진다. 기존에 양손을 사용하여야 했던 지침기와는 달리 한손 만으로도 봉합침의 진입과 사출이 가능하므로 수술이 더욱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정확성도 향상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지침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지침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지침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수술용 지침기(10)를 설명한다.
수술용 지침기(10)는 그립 손잡이(18), 한 쌍의 그립플레이트(11,12), 푸쉬핸들(15), 한 쌍의 무빙플레이트(13,14), 무빙핸들(16), 무빙손잡이(17,19)를 포함한다.
그립 손잡이(18)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정 길이를 갖는 둥근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립 손잡이(18)의 전방부는 후방부보다 작은 직경을 갖으며, 전방부와 후방부의 경계는 단차지게 형성된다.
한 쌍의 그립플레이트(11,12)는 외측 그립플레이트(11)와 내측 그립플레이트(12)로 구성되며, 각각의 그립플레이트(11,12)는 동일하게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 쌍의 그립플레이트(11,12)는 그립손잡이(18)의 선단에 설치되며, 그립손잡이(18)에 대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외측 그립플레이트(11)는 그립 손잡이(18) 선단에 고정되고, 내측 그립플레이트(12)는 외측 그립플레이트(11)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외측 그립플레이트(11)와 내측 그립플레이트(12) 사이에는 스프링(미도시)이 설치되어, 외측 및 내측 그립플레이트(11,12)는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아울러 한 쌍의 그립플레이트(11,12)는 그립손잡이(18)에 직각되게 설치된다.
푸쉬핸들(15)은 그립손잡이(18) 상에 설치되며, 내측 그립플레이트(12)와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술자가 손가락으로 푸쉬핸들(15)을 밀면 내측 그립플레이트(12)가 전진하여, 외측 및 내측 그립플레이트(11,12)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수술용 봉합침(5)를 잡을 수 있다. 반면, 술자가 푸쉬핸들(15)에 가했던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스프링(미도시)의 탄성력에 의해, 내측 그립플레이트(12)가 후퇴하여 외측 그립플레이트(11)와 소정간격 이격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한 쌍의 무빙플레이트(13,14)는 외측 무빙플레이트(13)와 내측 무빙플레이트(14)로 구성되며, 각각의 무빙플레이트(13,14)는 한 쌍의 그립플레이트(11,12)와 동일한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 쌍의 무빙플레이트(13,14)는 그립손잡이(18)의 선단에 설치되되, 무빙핸들(16)의 회전 조작에 의해, 그 사이 간격이 좁아지고, 또한, 무빙손잡이(17,19)의 회전조작에 의해, 그립손잡이(18)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한 쌍의 무방플레이트(13,14)는 봉합침의 원호를 따라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무빙핸들(16)은 그립손잡이(18) 상에 설치되되, 외측 및 내측 무빙플레이트(13,14)와 연결되며, 나사방식과 같이, 무빙핸들(16)을 일방향으로 돌리면, 무빙 플레이트(13,14)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고, 타방향으로 돌리면, 무빙 플레이트(13,14)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구성된다.
무빙손잡이(17,19)는 무빙핸들(16)의 전방과 후방에 설치되되, 외측 및 내측 무빙플레이트(13,14)와 연결되어, 술자의 회전조작에 따라, 외측 및 내측 무빙플레이트(13,14)가 봉합침(5)의 원호를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수술용 지침기(10)는 다음과 같이 작동시킬 수 있다.
먼저 술자는 봉합침(5)을 한 쌍의 무빙플레이트(13,14) 사이에 끼우고 무빙핸들(16)를 일방향으로 돌리면, 한 쌍의 무빙플레이트(13,14) 사이 간격이 좁아져서 한 쌍의 무빙플레이트(13,14)가 봉합침(5)을 파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술자는 손바닥과 약지 및 소지를 이용해 그립손잡이(18)를 잡고, 봉합을 시행할 조직에 위치를 고정한 후, 검지와 엄지를 이용하여 무빙손잡이(17,19)를 돌려 한 쌍의 무빙플레이트(13,14)를 회전시킴으로써, 봉합침(5)이 조직 내부로 진입된 후, 봉합침(5)의 첨단부가 조직을 뚫고 나온다.
이렇게 봉합침(5)의 첨단부가 조직을 뚫고 나온 상태에서, 그 봉합침(5) 첨단부를 한 쌍의 그립플레이트(11,12) 사이에 놓고, 엄지손가락으로 푸쉬핸들(15)을 밀어, 한 쌍의 그립플레이트(11,12)가 봉합침(5)의 첨단부를 파지하게 하고, 무빙핸들(16)을 타 방향으로 회전시켜, 한 쌍의 무비플레이트(13,14)의 봉합침(5) 파지를 해지한 다음, 손목을 돌려 봉합침(5)을 조직에서 잡아 빼면 1회의 봉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수술용 지침기는, 기존의 지침과와는 달리 한손으로도 봉합침을 조직내로 진입시키고 선단부를 잡아 빼는 동작까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1...외측 그립플레이트
12...내측 그립플레이트
13...외측 무빙플레이트
14...내측 무빙플레이트
15...푸쉬핸들
16...무빙핸들
17...후방 무빙손잡이
18...그립손잡이
19...전방 무빙손잡이

Claims (4)

  1. 사용자가 파지하는 원형 막대 형상의 그립손잡이;
    상기 그립손잡이의 선단에 대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설치되는 외측그립플레이트;
    상기 외측그립플레이트에 대해 전후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전후이동에 따라 상기 외측그립플레이트와 간격이 좁아지거나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내측그립플레이트;
    상기 그립손잡이 상에 설치되되, 상기 내측그립플레이트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의 푸쉬조작에 의해, 상기 외측 및 내측 그립플레이트의 간격을 좁게하는 푸쉬핸들;
    상기 그립손잡이의 선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외측무빙플레이트;
    상기 그립손잡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외측무빙플레이트와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넓어지도록 설치되는 내측무빙플레이트;
    상기 그립손잡이 상에 설치되되, 상기 외측 및 내측무빙플레이트와 연결되며, 나사방식으로, 일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외측 및 내측 무빙플레이트의 사이 간격이 좁아지고 타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외측 및 내측 무빙플레이트의 사이 간격이 넓어지는 무빙핸들; 및,
    상기 그립손잡이 상에 설치되어, 상기 외측 및 내측 무빙 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술자의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외측 및 내측 무빙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무빙 손잡이;를 포함하여,
    봉합침을 상기 외측 및 내측 무빙플레이트의 사이에 끼우고 상기 무빙핸들을 돌리면, 상기 외측 및 내측 무빙플레이트의 사이간격이 좁아져 상기 봉합침을 파지하고, 상기 외측 및 내측 무빙플레이트가 상기 봉합침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외측 및 내측 무빙플레이트를 상기 그립 손잡이에 대해 회전시켜 상기 봉합침으로 조직을 관통시킨 후, 상기 조직을 뚫고 나온 상기 봉합침의 선단부를 상기 외측 및 내측 그립플레이트 사이에 놓고 상기 푸쉬핸들을 밀어 상기 외측 및 내측 그립플레이트가 상기 봉합침을 파지한 후, 상기 봉합침을 상기 조직에서 빼내 봉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지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및 내측 그립플레이트와 상기 외측 및 내측 무빙플레이트는 각각부채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지침기.

  3. 삭제
  4. 삭제
KR20130003906A 2013-01-14 2013-01-14 기능성 수술용 지침기 KR101481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3906A KR101481881B1 (ko) 2013-01-14 2013-01-14 기능성 수술용 지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3906A KR101481881B1 (ko) 2013-01-14 2013-01-14 기능성 수술용 지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887A KR20140091887A (ko) 2014-07-23
KR101481881B1 true KR101481881B1 (ko) 2015-01-14

Family

ID=51738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03906A KR101481881B1 (ko) 2013-01-14 2013-01-14 기능성 수술용 지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18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36904A (zh) * 2017-10-30 2018-02-27 上海创赋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跟腱缝合器
KR102447957B1 (ko) * 2020-09-08 2022-09-26 김태기 혈관 봉합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4799A (ja) * 1995-09-27 1997-03-31 Terumo Corp 持針器
KR100317165B1 (ko) 1992-08-28 2002-04-24 도날드엘머피 내시경용봉합장치
KR100944411B1 (ko) 2009-04-08 2010-02-25 주식회사 래보 복강경 수술용 봉합 기구, 이의 사용 방법 및 이를 사용하기 위한 캐비넷
KR20120115737A (ko) * 2011-04-11 2012-10-1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중격막 수술용 지침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7165B1 (ko) 1992-08-28 2002-04-24 도날드엘머피 내시경용봉합장치
JPH0984799A (ja) * 1995-09-27 1997-03-31 Terumo Corp 持針器
KR100944411B1 (ko) 2009-04-08 2010-02-25 주식회사 래보 복강경 수술용 봉합 기구, 이의 사용 방법 및 이를 사용하기 위한 캐비넷
KR20120115737A (ko) * 2011-04-11 2012-10-1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중격막 수술용 지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887A (ko) 2014-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37190B1 (en) Suturing instrument and method
US1025832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turing tissue
US5192287A (en) Suture knot tying device
CA2932247C (en) Suture manipulating and cutting implement
US3139089A (en) Needle manipulating device
EP2901942B1 (en) Apparatus for guiding a suture thread
US10085741B2 (en) Surgical suture apparatus
WO2008120191A2 (en) Surgical instrument particularly useful as tweezers for grasping and holding objects of different thicknesses
JP2018187388A (ja) 外科用縫合装置用針装填ユニット
KR101481881B1 (ko) 기능성 수술용 지침기
US6077278A (en) Suture needle holder
TWM471856U (zh) 皮膚穿刺之縫線夾持裝置
JP2011098160A (ja) 手術用持針器
JP7461299B2 (ja) 把持機構を備えた医療デバイス
KR101257630B1 (ko) 수술용 니들 홀더
RU213892U1 (ru) Хирургический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наложения швов лабораторным животным
WO2020101729A1 (en) Deep cavity suture device
CN203898395U (zh) 外科手术用缝合镊
RU225568U1 (ru) Хирургический инструмент в виде иглодержателя
WO2019009738A1 (en) SUTURE DEVICE
JP2017225515A (ja) 医療処置装置用操作部
CN115916067A (zh) 手术器械
EP2983594B1 (en) Surgical suture passer
JP2014117438A (ja) 外科手術用器具
WO1999013778A1 (en) Suture needle 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