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1692B1 -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용 도어 - Google Patents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용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1692B1
KR101481692B1 KR20080040968A KR20080040968A KR101481692B1 KR 101481692 B1 KR101481692 B1 KR 101481692B1 KR 20080040968 A KR20080040968 A KR 20080040968A KR 20080040968 A KR20080040968 A KR 20080040968A KR 101481692 B1 KR101481692 B1 KR 101481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late
sealing member
air condition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40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5243A (ko
Inventor
김학규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040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1692B1/ko
Publication of KR20090115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5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1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1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1/00671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 B60H1/00678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the axis of rotation being in the door plane, e.g. butterfly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2001/00714Details of seals of damper do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플레이트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일정한 거리(L) 이격된 위치에 실링부재를 성형함으로써, 공조케이스의 유로의 개방 또는 폐쇄를 위해 공조케이스측 실링면과 접촉시, 플레이트에 의해 실링부재를 충분히 지지하게 되므로 실링 성능이 향상됨과 아울러, 실링부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어, 플레이트, 실링부재, 사출, 성형

Description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용 도어{A door for air conditioner in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용 도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플레이트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일정한 거리(L) 이격된 위치에 실링부재를 성형함으로써, 공조케이스의 유로의 개방 또는 폐쇄를 위해 공조케이스측 실링면과 접촉시, 플레이트에 의해 실링부재를 충분히 지지하게 되므로 실링 성능이 향상됨과 아울러, 실링부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용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는 하절기나 동절기에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우천시나 동절기에 윈드실드에 끼게 되는 성에 등을 제거하여 운전자의전후방 시야가 확보될 수 있게 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자동차의 내장품으로, 이러한
공기조화장치는 통상 난방장치와 냉방장치를 동시에 갖추고 있어서 외기나 내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한 후 이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켜 차량의 실내에 송풍함으로써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환기하게 된다.
이러한 공기조화장치는, 송풍기 유니트,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 의 독 립적인 구조에 따라, 상기 3개의 유니트들이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쓰리 피스 타입(Three Piece Type)과,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가 공조케이스에 내장되고 송풍기 유니트가 별도의 유니트로 구비되는 세미 센터 타입(Semi-Center type)과, 그리고 상기 3개의 유니트가 모두 공조케이스에 내장되는 센터마운팅 타입(Center Mounting Type)으로 대별할 수 있다.
도 1은 상기 세미 센터 타입 공기조화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써, 상기 공조장치(1) 는, 입구측에 공기유입구(11)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각각 모드도어(16)에 의하여개도가 조절되는 디프로스트 벤트(12a), 페이스 벤트(12b) 및 플로어 벤트(12c,12d)가 설치된 공조케이스(10)와; 상기 공조케이스(10)의 공기유입구(11)에연결되어 내기 또는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기(미도시)와; 상기 공조케이스(10)에 내장되는 증발기(2) 및 히터코어(3)와; 상기 증발기(2)와 히터코어(3)의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히터코어(3)를 바이패스하는 냉풍유로(P1)와 상기 히터코어(3)를통과하는 온풍유로(P2)의 개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플로어 벤트(12c,12d)는 앞좌석용 플로어 벤트(12c)와 뒷좌석용 플로어 벤트(12d)로 분리되어 있다.
상기 온도조절도어(15) 및 모드도어(16)는 상기 공조케이스(10)의 외 측면에 설치된 엑츄에이터(미도시)로 구동되는 캠(미도시)이나 레버(미도시) 등에 연결되어 회전 작동하게 되면서 상기 냉,온풍유로(P1)(P2)의 개도를 조절하거나 상기 각 벤트(12a~12d)로 향하는 유로의 개도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1)에 의하면, 최대냉방모드가 가 동될 경우, 상기 온도조절도어(15)는, 상기 냉풍유로(P1)를 개방함과 아울러 온풍유로(P2)를 폐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미도시된 송풍기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증발기(2)를 거치면서 증발기(2)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기로 바뀐 뒤, 상기 냉풍유로(P1)를 통해 믹싱챔버(Mixing Chamber, MC)쪽으로 유동하게 되고, 이후 소정의 공조모드에 따라 개방되는 벤트(12a~12d)를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차량 실내의 냉방이 수행된다.
또한, 최대난방모드가 가동될 경우, 상기 온도조절도어(15)는, 상기 냉풍유 로(P1)를 폐쇄함과 아울러 온풍유로(P2)를 개방하게 된다. 이에 따라 미도시된 송풍기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2)를 통과한 후 온풍유로(P2)를 통하여 히터코어(3)를 거치면서 히터코어(3)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온기로바뀐 뒤, 믹싱챔버(MC)쪽으로 유동하게 되고, 이후 소정의 공조모드에 따라 개방되는 벤트(12a~12d)를 통하여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차량 실내의 난방이 수행된다.
그리고, 최대냉방모드가 아닌 냉방모드, 즉 1/2냉방모드가 가동될 경우에는, 상기 온도조절도어(15)는 중립위치로 회전하여, 상기 믹싱챔버(MC)에 대하여 상기냉풍유로(P1) 및 상기 온풍유로(P2)를 모두 개방시킨다. 따라서, 증발기(2)를 거친냉기와 히터코어(3)를 거친 온기가 믹싱챔버(MC) 쪽으로 유동하여 혼합된 후, 소정의 공조모드에 따라 개방되는 벤트(12a~12d)를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된다.
한편, 상기 온도조절도어(15) 및 모드도어(16)는, 공조케이스(10)의 양측벽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15b)(16b)과, 상기 회전축(15b)(16b)의 일측에 형성되는 플레이트(15a)(16a)로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모드도어(16) 중에는 상기 회전축(16b)의 양측면에 플레이트(16a)를 형성한 센터 피봇 도어도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온도조절도어(15) 및 모드도어(16)에는 도 2와 같이, 플레이트(15a)(16a)의 가장자리에 스폰지와 같은 쿠션 및 탄성 기능을 갖는 실(SEAL)부재(15c)(16c)가 부착되어 각 도어(15)(16)들이 해당 유로를 폐쇄할 때 상기 실부재(15c)(16c)가 공조케이스(10)의 벽면측에 밀착되면서 실링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 온도조절도어(15) 및 모드도어(16)에는 실링성 향상을 위해 실부재(15c)(16c)가 양면테이프(미도시)를 매개로 부착되어 있는데, 이러한 상기 실부재(15c)(16c)에 곰팡이균이 서식하여 냄새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온도조절도어(15) 및 모드도어(16)에 부착되는 실부재(15c)(16c)의 가격이 비싸고, 부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도 많이 걸려 제조비가 상승하는 문제도 있었다.
그리고, 상기 온도조절도어(15) 및 모드도어(16)를 구성하는 플레이트(15a,16a)의 가장자리에 실부재(15c)(16c)를 부착하는데 사용되는 양면테이프 자체에서 화학적인 냄새가 유발되는 문제점도 있었고,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실부재(15c)(16c)를 부착하기 때문에 부착 불량이 발생될 경우에 실부재가 탈락될 우려도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공기조화장치용 도어,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조절도어(15) 및 모드도어(16)를 구성하는 플레이트(15a)(16a)의 테두리 단부 에 러버부재(15d)(16d)를 이중 사출 성형법을 통해 사출 형성 제작함으로써, 실부재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제작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였다.
이와 같이,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도어들은 러버부재(15d)(16d)의 탄성을 이용하여 공조케이스(10)와의 접촉에 의해 실링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러버부재(15d)(16d)가 채용된 온도조절도어(15) 및 모드도어(16)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부재(15c)(16c)를 부착하여 구성한 종래 기술에 비해 공조케이스와(10)와의 실링 성능이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그리고, 러버부재(15d)(16d)는 장기간 사용후에는 내구성과 열충격에 약한 구조를 가진다. 좀더 상세하게는 온도조절도어(15) 또는 모드도어(16)를 회전 구동시키는 캠, 아암, 액츄에이터등의 구동장치의 작동 오차로 인해 온도조절도어(15) 및 모드도어(16)의 가장자리 단부에 사출 성형된 러버부재(15d)(16d)가 탄성적으로 휘어지면서 도 3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케이스(10)의 내부에 형성된 실링부(10a)를 타고 넘어가게 되는 비정상적인 상태로 위치된 경우에 다시 도어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 작동시키게 되면 러버부재(15d)(16d)가 실링부(10a)를 타고 넘어가면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온도조절도어(15) 또는 모드도어(16)가 도 3의 A,B에 도시된 상태로 장시간 정지해 있게 되면, 러버부재(15d)(16d)의 내구성이 저하되며, 이로 인해 탄성 복귀력의 저하로 인해 온도조절도어(15) 또는 모드도어(16)의 재작동시 공조케이스(10)의 실링부(10a)와 실링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도어의 플레이트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일정한 거리(L) 이격된 위치에 실링부재를 성형함으로써, 공조케이스의 유로의 개방 또는 폐쇄를 위해 공조케이스측 실링면과 접촉시, 플레이트에 의해 실링부재를 충분히 지지하게 되므로 실링 성능이 향상됨과 아울러, 실링부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용 도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공조케이스내의 특정 유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용 도어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일정한 거리 이격된 위치에 상기 플레이트의 둘레를 따라 일체로 성형된 실링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용 도어에 따르면, 도어의 플레이트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일정한 거리(L) 이격된 위치에 실링부재를 성형함으로써, 공조케이스의 유로의 개방 또는 폐쇄를 위해 공조케이스측 실링면과 접촉시, 플레이트에 의해 실링부재를 충분히 지지하게 되므로 실링 성능이 향상됨과 아울러, 실링부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공조케이스(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10)과, 이 회전축(110)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공조케이스(10)내의 특정 유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플레이트(120)로 이루어진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용 도어(1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 8, 도 9, 도 10, 도 11,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120)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일정한 거리 이격된 위치에 플레이트(120)의 둘레를 따라 일체로 성형된 실링부재(200)를 구비함으로써, 공조케이스(10)의 유로의 개방 또는 폐쇄를 위해 공조케이스(10)측 실링면과 접촉시, 플레이트(120)에 의해 실링부재(200)를 충분히 지지하게 되므로 실링 성능이 향상됨과 아울러, 실링부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실링부재(200)의 바람직한 구성으로, 도어(100)의 플레이트(120)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일정한 거리 이격된 위치에 사출 성형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부(210)와, 이 고정부(210)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공조케이스(10)에 접촉되는 것으로 뾰족한 형상 또는 만곡되어 라운딩진 형상으로 된 선단부(22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실링부재(200)는 공조케이스(10)내의 유로의 개방 또는 폐쇄시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재질 일례로 러버(rubber) 재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 8에 도시된 도어(100)는 외관상으로만 보았을때 도 13에 도시된 디프로스트 벤트(12a), 페이스 벤트(12b), 플로어 벤트(12c), 냉/온풍유로(P1)(P2)의 개도를 조절하거나 개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도 9, 10에 도시된 도어(100)는 일례로 도 13에 도시된 냉/온풍유로(P1)(P2)의 개도를 조절하거나 개폐시키는 역할을 하는 도어의 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도어(100)는 일례로 도 13에 도시된 디프로스트 벤트(12a), 페이스 벤트(12b)의 개도 조절 및 개폐시키는 역할을 하는 도어의 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된 도어(100)는 일례로 도 13에 도시된 플로어 벤트(12c)의 개도 조절 및 개폐시키는 역할을 하는 도어의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실링부재(200)는 공조케이스(10)내의 유로 형상에 대응하여 이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도어(100)의 플레이트(120)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플레이트(120)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일정한 거리(L)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실링부재(200)는, 플레이트(120)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2mm~5mm 정도 이격된 거리(L)위치에 형성되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할 필요는 없다.
즉, 공조케이스(10)의 유로(12a,12b,12c,P1,P2) 크기 및 이 유로(12a,12b,12c,P1,P2) 주변의 공조케이스(10)측 접촉면, 즉 실링면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데, 실링부재(200)가 유로 주변의 공조케이스(10)에 탄성적으로 접촉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하면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실링부재(200)는, 도어(100)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프로스트 벤트(12a)와 페이스 벤트(12b) 및 플로어 벤트(12c,12d)의 개도를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경우에, 플레이트(120)의 일측면에 이중 사출에 의해 성형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실링부재(200)는 도어(100)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코어(3)를 바이패스하는 냉풍유로(P1)와 히터코어(3)를 통과하는 온풍유로(P2)의 개도를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경우에, 플레이트(120)의 양측면에 이중 사출에 의해 성형되도록 한다.
이때, 플레이트(120)의 양측면에 각각 사출 성형된 실링부재(200)는, 실링부재(200)의 사출시 함께 플레이트(120)를 통과하여 성형되는 연결부(230)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7은 실링부재(200)의 사출 성형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어(100)의 외관 사시도로서, 실링부재(200)가 형성될 영역(a)에 상기 연결부(230)가 형성될 수 있도록 플레이트(120)의 상하면을 관통시키는 관통공(121)이 형성되어 있다.
즉, 실링부재(200)의 사출 성형시 이 관통공(121)으로 액상의 사출물이 주입되어 플레이트(120)의 상하면에 형성되는 실링부재(200)를 서로 연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120)의 관통공(121)내로 주입되어 형성된 연결부(230)에 의해 플레이트(120)의 상하면에 형성된 실링부재(200)가 서로 공고히 결 합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연결부(2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120)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함으로써 플레이트(120)의 상하면에 각각 형성되는 실링부재(200)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제까지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실링부재(200)는 종래 기술로 예를 들은 도 3, 도 4,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플레이트의 단부에 사출 성형된 러버부재에 비해 공조케이스(10)와의 실링 성능이 향상된 효과를 발휘한다.
즉, 도어(100)의 플레이트(120)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일정한 거리(L) 이격된 위치에 실링부재(200)를 사출 성형하고, 일정한 크기의 면적을 가진 고정부(210)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유로의 개방 또는 폐쇄시 플레이트(120)의 지지를 받아 선단부(220)를 동일한 압축힘으로 공조케이스(10)측에 직접 접촉시킬 수 있어 실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부언하면, 도 3, 도 4, 도 5, 도 6에 도시된 종래 기술은 도어의 플레이트 단부에 사출 성형된 러버부재(15d)(16d) 자체만으로 공조케이스(10)에 접촉되어 실링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실링 성능이 저할될 뿐만 아니라 도어가 비정상적으로 과도하게 작동되는 경우 도 3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버부재(15d)(16d)가 공조케이스(10)의 정위치에서 실링되지 않게 되며, 원상복귀시에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는바, 본 발명은 도어(100)의 플레이트(120)가 유로의 개폐시 공조케이스(10)에 직접 접촉하는 구조에서 플레이트(120)와 공조케이스(10) 사이에 실링부재(200)에 의해 실링되도록 하고, 또한 플레이트(120)의 지지를 받아 실링부재(200)의 선단부(220)를 동일한 압축힘으로 공조케 이스(10)측에 직접 접촉시킴으로써 도 3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도어의 플레이트가 유로의 개폐시 공조케이스에 직접 접촉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서의 실링 구조와 유사하기는 하지만 실부재(15c)(16c)를 별도의 부착수단(일례로,양면테이프를 사용)을 이용하여 부착하지 않고 일체로 실링부재(200)를 사출 성형하기 때문에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실링부재(200)가 탈락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유로의 개방 또는 폐쇄시 실링부재(200)의 선단부(220)가 공조케이스(10)에 동일한 압축력으로 접촉되도록, 실링부재(200)에는 고정부(210)의 양측으로 지지부(211)가 일정폭 일체로 연장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고정부(210)와 지지부(211)는 플레이트(120)에 요입된 고정홈(122)에 사출 성형되어, 플레이트(120)에 요입되게 고정되도록 형성한다.
이제까지 설명한 본 발명한 도어(100)의 플레이트(120) 양측면에 형성되는 실링부재(200)중 플레이트(12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실링부재(200)는, 플레이트(120)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실링부재(200)와 상하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거나, 상하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부언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의한 도어(100)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코어(3)를 바이패스하는 냉풍유로(P1)와 히터코어(3)를 통과하는 온풍유로(P2)의 개도를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경우에, 냉풍유로(P1)와 온풍유로(P2)의 크기가 동일 할 때 도어(100)의 플레이트(120) 양측면에 형성된 실링부재(200)를 상하 동일한 위치에 형성할 수 있게 되며, 냉풍유로(P1)와 온풍유로(P2)의 크기가 다를 때 실링부재(200)를 상하 어긋난 위치가 되도록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본 발명한 도어(100)의 플레이트(120) 양측면에 형성되는 실링부재(200)중 플레이트(12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실링부재(200)는, 플레이트(120)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실링부재(200)와 상하 어긋난 위치에 형성하게 되면, 냉풍유로(P1)와 온풍유로(P2)의 통로 크기가 다른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증발기(2)측으로 내/외기를 송풍하는 송풍장치의 내/외기 전환도어에 적용하여, 내기와 외기의 유입 통로 크기가 다른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즉, 한개의 도어에 의해 서로 다른 두개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도를 조절하거나 개폐시키는 공조모드를 구현하되, 이 두개의 유로 통로 크기를 다르게 형성하는 경우에 탄력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프로스트 벤트(12a)와 페이스 벤트(12b)의 개도 조절을 위해 각각 별도의 도어를 사용하지 않고 한개의 공용도어를 사용하여 디프로스트 벤트(12a)와 페이스 벤트(12b)의 개도를 조절하여 공조모드를 구현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도어(100)를 도 14에 도시된 타입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도어(100)의 플레이트(120) 반대편의 회전축(110) 외주면에 돌출부(130)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 돌출부(130)는 실링부재(200)와 동일한 재질로서, 실링부재(200)의 사출시 함께 성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도 14에 도시된 타입의 도어(100)를 공조케이스에 적용하게 되면, 회전축(110)과 공조케이스(10) 사이를 통해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등 실링 성능을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코어(3)를 바이패스하는 냉풍유로(P1)와 히터코어(3)를 통과하는 온풍유로(P2)의 개도를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도어(100)로 적용한 경우에, 회전축(110)에 대응되는 공조케이스(10)의 대응면(10c)에 일정 간각 이격된 한쌍의 걸림턱(10d)(10e)을 형성하여, 회전축(110)의 회전에 의해 냉풍유로(P1)와 온풍유로(P2)중 어느 하나를 완전히 폐쇄시킬때 돌출부(130)가 한쌍의 걸림턱(10d)(10e)중 어느 하나에 밀착됨으로써, 실링 성능을 배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돌출부(130)가 구비된 본 발명의 도어(100)를 히터코어(3)를 바이패스하는 냉풍유로(P1)와 히터코어(3)를 통과하는 온풍유로(P2)의 개도를 조절하는 것 뿐만 아니라 도 15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디프로스트 벤트(12a)와 페이스 벤트(12b) 및 플로어 벤트(12c)의 개도를 조절하는 도어에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실부재가 부착된 종래 기술의 도어가 적용된 공기조화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도어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러버부재가 사출 성형된 종래 기술의 도어가 적용된 공기조화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도어중 플로어 벤트를 개폐하는 모드도어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도어의 단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도어중 디프로스트 벤트/페이스 벤트의 개도 또는 냉풍유로와 온풍유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도어의 외관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외관 사시도로서, 실링부재의 사출 성형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도어에 실링부재가 사출 성형된 상태를 도시한 도어의 외관 사시도.
도 9는 도어의 플레이트에 실링부재가 사출 성형된 후의 상태에서 절단한 단면도, 도 7에 도시된 지시선 "D-D"부를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10은 도어의 플레이트에 실링부재가 사출 성형된 후의 상태에서 절단한 단면도, 도 7에 도시된 지시선 "C-C"부를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도어가 적용된 공기조화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적용된 도어의 외관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도어가 적용된 공기조화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공조케이스
100 : 도어
110 : 회전축
120 : 플레이트
200 : 실링부재
210 : 고정부
220 : 선단부

Claims (6)

  1. 공조케이스(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10)과, 상기 회전축(110)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공조케이스(10)내의 특정 유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플레이트(120)로 이루어진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용 도어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120)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일정한 거리 이격된 위치에 상기 플레이트(120)의 둘레를 따라 일체로 성형된 실링부재(200)가 구비되고,
    상기 실링부재(200)는 상기 플레이트(120)에 고정되는 고정부(210)와, 상기 고정부(210)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공조케이스(10)에 접촉되는 선단부(220)와, 상기 실링부재(200)의 사출시 함께 상기 플레이트(120)를 통과하여 성형되는 연결부(230)로 구성되고;
    상기 유로의 개방 또는 폐쇄시 상기 실링부재(200)의 선단부(220)가 공조케이스(10)에 동일한 압축력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실링부재(200)에는 상기 고정부(210)의 양측으로 지지부(211)가 일정폭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120)의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12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21)의 주위에 고정홈(122)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230)가 관통공(121)에 주입되고 고정부(210)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부(211)가 고정홈(122)에 안착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용 도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200)는, 상기 플레이트(120)의 적어도 일측면에 사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용 도어.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12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실링부재(200)는, 상기 플레이트(120)의 타측면에 형성된 실링부재(200)와 상하 어긋난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용 도어.
  6. 삭제
KR20080040968A 2008-05-01 2008-05-01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용 도어 KR101481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40968A KR101481692B1 (ko) 2008-05-01 2008-05-01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용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40968A KR101481692B1 (ko) 2008-05-01 2008-05-01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용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5243A KR20090115243A (ko) 2009-11-05
KR101481692B1 true KR101481692B1 (ko) 2015-01-13

Family

ID=41556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40968A KR101481692B1 (ko) 2008-05-01 2008-05-01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용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16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8102B1 (ko) * 2009-12-09 2015-12-1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101997624B1 (ko) * 2013-03-13 2019-07-0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9786A (ja) * 1995-05-16 1996-11-26 Nippondenso Co Ltd 樹脂成形品とその製造方法
JPH1058946A (ja) * 1996-08-22 1998-03-03 Denso Corp 空気通路開閉装置
JP2001198955A (ja) * 2000-01-18 2001-07-24 Denso Corp 通風路切替用ドアの製造方法
JP2007137140A (ja) 2005-11-15 2007-06-07 Denso Corp 空気通路切替装置および車両用空調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9786A (ja) * 1995-05-16 1996-11-26 Nippondenso Co Ltd 樹脂成形品とその製造方法
JPH1058946A (ja) * 1996-08-22 1998-03-03 Denso Corp 空気通路開閉装置
JP2001198955A (ja) * 2000-01-18 2001-07-24 Denso Corp 通風路切替用ドアの製造方法
JP2007137140A (ja) 2005-11-15 2007-06-07 Denso Corp 空気通路切替装置および車両用空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5243A (ko) 200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08488B2 (en) Door for air conditioner of vehicles
KR10146726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177702B1 (ko)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KR101481692B1 (ko)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용 도어
KR101403431B1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KR10123847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50632B1 (ko)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KR101375115B1 (ko)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KR20080040492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90064821A (ko)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KR10152921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62601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375118B1 (ko)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KR101492150B1 (ko)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JP2008254488A (ja) 空気通路開閉装置
KR10122251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375117B1 (ko)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KR101997616B1 (ko)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KR101603594B1 (ko) 차량용 송풍장치
KR101298445B1 (ko) 차량 공조장치용 센터피봇도어의 조립구조
KR10122251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11513B1 (ko)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KR101014113B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케이스
KR101266050B1 (ko) 차량용 송풍장치
KR10197195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