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1498B1 - 시험지의 자동채점 및 오답데이터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시험지의 자동채점 및 오답데이터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1498B1
KR101481498B1 KR20140054091A KR20140054091A KR101481498B1 KR 101481498 B1 KR101481498 B1 KR 101481498B1 KR 20140054091 A KR20140054091 A KR 20140054091A KR 20140054091 A KR20140054091 A KR 20140054091A KR 101481498 B1 KR101481498 B1 KR 101481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st
test paper
answer
sc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54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종현
Original Assignee
오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종현 filed Critical 오종현
Priority to KR20140054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14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1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1498B1/ko
Priority to PCT/KR2015/002171 priority patent/WO201517082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a) 시험지 생성부, 식별코드 생성부, 및 시험지 저장부를 포함하는 시험지 생성용 단말기; (b-1) 시험지 풀이 및 채점용 단말기 또는 (b-2) 시험지 채점용 단말기; 및 (c) 문제정보가 저장된 문제 데이터베이스, 시험지 데이터베이스, 채점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오답정보가 저장된 오답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시험지 생성용 단말기, 시험지 풀이 및 채점용 단말기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시험지의 자동채점 및 오답데이터 관리 시스템으로서 시험지의 채점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오답을 발생한 문제 및 문제의 해설이 DB화되어 교육 및 학습에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시험지의 자동채점 및 오답데이터 관리 시스템{System for grading examination paper and managing wrong answer data}
본 발명은 시험지를 채점하여 관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험지를 자동으로 채점하고, 사용자의 오답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는 시험지의 자동채점 및 오답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중고등학교(일부 초등학교 포함)의 성적처리 및 대학입시, 강의 평가, 기타 학원의 성적처리, 수학능력평가, 각종 국가자격시험, 운전면허시험 등의 대부분의 평가방법으로 1980년대 이후에 OMR(Optical Mark Reader) 카드 또는 쉬트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OMR 카드 또는 쉬트를 사용할 경우, 이들을 판독하기 위해 고가의 OMR 카드 리더기 및 쉬트 리더기가 사용되어, OMR 카드 또는 쉬트 상에 표시된 타이밍 마크(timing mark)를 이용하여 순간적으로 빛이 통과하면서 센서를 통해 마크를 감지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감지를 위해 OMR 카드 또는 쉬트의 인쇄나 커팅(cutting)에서 상당한 정도 이상의 정교함을 요구하게 되어, 특수 재질의 용지(대부분이 수입 용지)와 특수 인쇄가 요구된다. 이러한 특수 용지 및 인쇄는 OMR 카드 또는 쉬트의 제작비용을 상승시킬 뿐만 아니라, 매년 학기 초 각 학교에서는 일정 물량을 확보하기 위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이러한 타이밍 마크의 사용으로 인하여 OMR 카드 또는 쉬트의 답 표시부(수험자가 답을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 표시)의 구성이 소정의 범위 내로 제한되어야 하므로, 비록 다양한 수험 방법이 요구되는 경우에도, 그 답안지를 OMR 카드 또는 쉬트 리더기가 요구하는 소정의 디자인 양식 내에 그 형식을 맞도록 제작하여야 한다.
또한, OMR 카드 또는 쉬트를 사용할 경우, OMR 카드 리더기 및 쉬트 리더기에 투입되는 방향이 타이밍 마크에 따라 일정하게 정해져 있기 때문에, 이 방향을 수정하는 작업도 상당한 시간과 노력을 요구하게 된다.
또한, OMR 카드 리더기 및 쉬트 리더기의 구조상 외부의 조건(순간적인 전류 공급 상태, 날씨 변동에 따른 센서의 변화 등)에 민감하여, 예상치 못한 채점 상의 오류가 발생할 소지가 다분하다.
또한, OMR 카드 또는 쉬트 리더기는 OMR 카드 또는 쉬트의 표면 상태에 상당히 민감하여서, 수험자가 소정의 수정액으로 수정한 답도 답이 표시된 것으로 오인하여 인식하는 문제점이 있어, 수험자가 답의 수정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이러한 OMR 카드 또는 쉬트는 일정 기간 보관하여야 하게 되는데, 그 분량이 상당할 경우 많은 관리 비용과 공간을 요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학습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전자기기가 출시되고 있지만 관리자 입장에서는 시험지와 답안지를 분리하여 관리하게 되고, 응시자는 시험지에 풀이를 한 후에 OMR 카드 등의 답안지에 옮겨 써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OMR 카드 등의 답안지에 서술형 답안 등을 작성할 경우에 문제 풀이의 집중도가 떨어져 답안 오기가 빈번하게 발생되며, 채점 결과와 풀이한 문제지를 별도로 보아야 함으로써 틀린 문제에 대한 즉각적인 첨삭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
한편 응시자의 경우 시험지에서 오답이 발생한 문제를 차후에 틀리지 않도록 틀린 문제에 대한 해설서 즉, 오답노트를 작성하여 학습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 종래 오답의 관리는 해당 틀린 문제와 이를 설명하는 것을 수기방식으로 정리하는 것으로서 오답노트 작성이 매우 번거로워 그 효율성에도 불구하고 많은 학습자들이 이를 사용하지 않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9595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4946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7594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7514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시험지의 채점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오답을 발생한 문제 및 문제의 해설이 DB화되어 교육 및 학습에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시험지의 자동채점 및 오답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시험지의 자동채점 및 오답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a) 시험지 생성부, 식별코드 생성부, 및 시험지 저장부를 포함하는 시험지 생성용 단말기; (b-1) 시험지 풀이 및 채점용 단말기 또는 (b-2) 시험지 채점용 단말기; 및 (c) 문제정보가 저장된 문제 데이터베이스, 시험지 데이터베이스, 정오(정답 또는 오답), 첨삭정보가 저장된 채점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오답정보가 저장된 오답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시험지 생성용 단말기, 시험지 풀이 및 채점용 단말기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시험지의 자동채점 및 오답데이터 관리 시스템이다.
상기 (a) 시험지 생성용 단말기의 시험지 생성부는 상기 관리서버의 문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불러온 문제를 배열하여 시험지를 생성하고, 상기 (a) 시험지 생성용 단말기의 식별코드 생성부는 상기 생성된 시험지에 ⅰ) 시험지정보, 응시자정보 및 답안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1식별코드, 객관식정보 및 답안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2식별코드 및 단답형정보 및 답안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3식별코드를 선택적으로 생성하고, ⅱ) 제2식별코드 생성 시 객관식정보 추출부 및 풀이기입란을 포함하는 답안위치를 선택적으로 생성하고, 제3식별코드 생성 시 단답형정보 추출부 및 풀이기입란을 포함하는 답안위치를 선택적으로 생성하며, 상기 (a) 시험지 생성용 단말기의 시험지 저장부는 상기 시험지 생성부 및 식별코드 생성부에 의해 문제, 식별코드, 답안위치가 생성된 시험지를 상기 관리서버의 시험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지의 자동채점 및 오답데이터 관리 시스템이다.
상기 (b-1) 시험지 풀이 및 채점용 단말기는 시험지 수신부, 시험지 입력부, 시험지 정보 추출부, 시험지 채점부, 채점정보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험지 수신부는 상기 관리서버의 시험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시험지를 선택하여 수신하고, 상기 시험지 입력부는 상기 수신한 시험지에 답안을 입력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시험지 정보 추출부는 시험지에 생성된 식별코드의 시험정보 및 답안위치에 기재된 답안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시험지 채점부는 추출된 답안정보와 문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답정보를 비교하여 채점한 후에 정오와 첨삭을 시험지에 생성하고, 상기 채점정보 저장부는 상기 정오와 첨삭이 생성된 시험지를 상기 관리서버의 채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지의 자동채점 및 오답데이터 관리 시스템이다.
상기 (b-2) 시험지 채점용 단말기는 시험지 인식부, 시험지 정보 추출부, 시험지 채점부, 채점정보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험지 인식부는 시험 응시자가 작성한 시험지를 인식하고, 상기 시험지 정보 추출부는 시험지에 생성된 식별코드의 시험정보, 답안위치정보 및 답안위치에 기재된 답안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시험지 채점부는 추출된 시험정보와 식별코드에 포함된 시험지정보를 비교하여 채점한 후에 정오와 첨삭을 시험지에 생성하고, 상기 채점정보 저장부는 상기 정오와 첨삭이 생성된 시험지를 상기 관리서버의 채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지의 자동채점 및 오답데이터 관리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 따르면 시험지 객관식은 물론 주관식 문제도 자동으로 채점되어 채점결과를 응시자가 즉각적으로 알 수 있게 해주고, 출제자의 채점 부담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시스템을 통해 시험 응시자가 답안을 시험지에 바로 표시할 수 있는 시험지를 제공함으로써 시험 응시자의 집중력을 향상시켜 답안의 오기 표시를 최소화할 수 있고, 식별코드가 생성된 시험지를 제공함으로써 시험지 정보 및 답안 정보를 추출하여 빠른 시간 내에 채점이 가능하다.
또한, 응시자가 틀린 문제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작성하여 교습자 및 학습자에 오답 및 이에 대한 해설 및 첨삭내용을 제공함으로써 학습능률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험지의 자동채점 및 오답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시험지의 자동채점 및 오답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험지의 자동채점 및 오답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험지 생성용 단말기(20)의 동작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험지 풀이 및 채점용 단말기(30)의 동작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시험지 생성용 단말기(20)의 동작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시험지 채점용 단말기(40)의 동작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시험지 채점용 단말기(40)의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기(50)의 모식도이다.
도 10은 시험지 생성용 단말기(20)를 통해 생성된 시험지(60) 이다.
도 11은 시험지(60)에 생성된 제2식별코드(62) 또는 제3식별코드(63)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은 기술적으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전반에 걸쳐,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포함(comprise, comprises, 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언급된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및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고, 임의의 어떤 다른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또는 일군의 단계를 배제하는 의미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시험지의 자동채점 및 오답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시험지 생성용 단말기(20), 시험지 풀이 및 채점용 단말기(30) 및 관리서버(10)로 구성된다.
관리서버(10)는 문제 데이터베이스(11), 시험지 데이터베이스(12), 채점정보 데이터베이스(13), 오답 데이터베이스(14)를 포함하고, 시험지 생성용 단말기(20), 시험지 풀이 및 채점용 단말기(3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문제 데이터베이스(11)는 문제 출제자가 출제하거나 문제은행으로부터 전달된 문제와 문제에 대한 정답, 첨삭정보 등의 문제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다. 즉, 출제된 문제는 학습 영역별, 학습 난이도별로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시험 응시자 및 출제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 및 배열이 가능하도록 문제를 제공할 수 있다.
시험지 데이터베이스(12)는 시험지 생성용 단말기(20)로부터 생성된 시험지를 시험지 저장부(23)를 통하여 전달된 시험지를 데이터베이스화한다. 시험 응시자별, 시험 출제자별로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시험 응시자 및 출제자에 따라 다양한 시험지를 제공할 수 있다.
채점정보 데이터베이스(13)는 시험지 풀이 및 채점용 단말기(30)의 채점정보 저장부(35)를 통하여 전달된 답안에 대한 정오(정답 또는 오답) 정보, 오답에 대한 첨삭 정보 등의 채점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다.
오답 데이터베이스(14)는 채점정보 데이터베이스(13)로부터 채점정보를 전달받아 오답률, 오답유형, 오답설명 등의 오답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다. 즉, 응시자별, 문제별, 오답유형별로 데이터가 구축되어 차후 시험문제 출제나 학습자에게 개인별 오답노트를 체계적으로 제공한다.
또한 관리서버(10)는 채점부를 더 포함하며, 시험지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코드의 개수가 일정 개수 이상인 경우, 시험지 풀이 및 채점용 단말기(30)에서 직접 채점하지 않고, 시험지 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관리서버의 채점부에서 채점 후에 정오 및 첨삭 결과를 시험지 풀이 및 채점용 단말기(30)로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정오 및 첨삭 결과가 표시된 시험지를 제공할 수 있다.
시험지 생성용 단말기(20)는 시험지 생성부(21), 식별코드 생성부(22), 시험지 저장부(23)을 포함한다. 시험지 생성용 단말기(20)는 출제자가 출제한 문제를 이용하여 시험지를 생성하고 식별코드를 생성시킨 후 이를 저장할 수 있는 장치로서 퍼스널컴퓨터(PC)나 스마트 단말기, PDA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시험지 생성부(21)는 관리서버(10)의 문제 데이터베이스(11)로부터 불러온 문제를 배열하여 시험지를 생성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관리서버에 출제자로부터 출제된 문제가 저장된 문제 데이터베이스에서 시험문제를 선택한 후 배열된 시험지를 완성한다. 이 때 출제자는 문제를 새로이 출제하여 생성하거나 이미 출제되어 저장된 문제를 선택하여 배열할 수 있을 것이다.
식별코드 생성부(22)는 시험문제가 배열된 시험지로부터 해당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식별코드가 삽입되도록 한다. 식별코드는 QR코드, 바코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QR코드로 구성된다.
식별코드 생성부(22)는 생성부(21)을 통해 생성된 시험지(60)에 ⅰ) 시험지정보, 응시자정보 및 답안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1식별코드(61), 객관식정보 및 답안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2식별코드(62) 및 단답형정보 및 답안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3식별코드(63)를 선택적으로 생성하고, ⅱ) 제2식별코드(62) 생성 시 객관식정보 추출부(64) 및 풀이기입란(66)을 포함하는 답안위치를 선택적으로 생성하고, 제3식별코드(63) 생성 시 단답형정보 추출부(65) 및 풀이기입란(66)을 포함하는 답안위치를 선택적으로 생성함으로써 시험 정보 및 답안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도 10에서 나타나는 것과 같이 제1식별코드(61)는 시험지 상부 일측에 구성되는 것으로 시험의 종류나 과목 등을 포함하는 시험지정보, 시험에 응시하는 응시자정보, 그리고 시험지의 해당하는 부분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답안 위치정보를 포함한다. 제2식별코드(62)는 해당 문항의 정답 및 해설 등의 정보와 더불어 다지선다형의 객관식정보 및 응시자가 문제를 푼 후에 선택하는 답안의 위치정보를 포함한다. 제3식별코드(63)는 단답을 요구하는 해당 문항의 단답형정보와 응시자가 문제를 푼 후에 기입하는 답안위치정보를 포함한다. 답안위치에 관한 정보는 시험지정보와 각 문제의 문항 이미지를 이용할 수 있다. 즉, 답안위치정보는 답안위치를 찾는데에 시험지정보와, 각 문제별로 상이한 문항 이미지를 이용하여 답안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문항 일측에 마커(67)를 표시하여 문제의 위치나 답안위치 등을 표시 및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1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제2식별코드(62)와 제3식별코드(63)는 좌측 상단 모서리에 마킹된 사각형(ⓐ)은 5지선다형의 답안의 위치를 찾는 기준이 되고, 내측의 점(ⓑ)들은 정답 및 문항 관련 정보가 표시된다.
시험지 저장부(23)는 상기 시험지 생성부(21) 및 식별코드 생성부(22)에 의해 문제, 식별코드 및 답안위치 정보가 생성된 시험지를 관리서버(10)의 시험지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한다.
시험지 풀이 및 채점용 단말기(30)는 시험지 수신부(31), 시험지 입력부(32), 시험지 정보 추출부(33), 시험지 채점부(34), 채점정보 저장부(35)을 포함한다. 시험지 풀이 및 채점용 단말기는 통신망을 통해 관리서버로부터 시험지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아 풀이 및 채점할 수 있는 것으로 퍼스널컴퓨터(PC), 스마트 단말기, PDA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에 나타난 것과 같이 시험지 수신부(31)는 관리서버(10)의 시험지 데이터베이스(12)로부터 시험지를 선택하여 수신하고, 시험지 입력부(32)는 수신한 시험지에 시험 응시자가 답안을 입력할 수 있게 하고, 시험지 정보 추출부(33)는 시험지에 생성된 식별코드로부터 시험정보(시험지정보, 응시자정보, 객관식정보, 단답형정보 및 답안위치정보) 및 답안정보를 추출하며, 시험지 채점부(34)는 추출된 답안정보와 문제 데이터베이스(11)의 정답정보를 비교하여 채점한 후에 정오(정답 및 오답)와 문제 데이터베이스(11)의 첨삭정보를 시험지에 생성하고, 채점정보 저장부(35)은 정오와 첨삭이 표시된 시험지를 관리서버(10)의 채점정보 데이터베이스(13)에 저장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측면인 자동채점 및 오답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시험지의 자동채점 및 오답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ⅰ) 관리서버의 문제 데이터베이스에 학습 영역별, 학습 난이도별로 데이터베이스화된 문제를 시험지 생성용 단말기의 시험지 생성부를 통해 전송받아 문제 배열 후 식별코드를 생성시킴으로서 시험지를 생성한다. ⅱ) 생성된 시험지는 시험지 생성용 단말기의 시험지 저장부를 통해 관리서버의 시험지 데이터베이스에 시험 응시자 및 시험 출제자에 따른 시험지가 저장된다. ⅲ) 시험 응시자는 시험지 풀이 및 채점용 단말기의 시험지 수신부를 통해 관리서버의 시험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시험지를 수신 받고, 시험지 입력부를 통해 답안을 입력하면, 시험지 정보 추출부에서 식별코드 및 답안정보를 추출하여 관리서버의 문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답안과 비교하여 채점 후 정오 및 첨삭 정보가 표시된 시험지를 채점정보 저장부를 통해 관리서버의 채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ⅳ) 저장된 채점정보는 오답 데이터베이스로 전달되어 오답률, 오답유형, 오답설명정보로 저장되고 시험 응시자 및 출제자에게 응시자별, 문제별, 오답 유형별로 오답노트를 체계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 따르면 객관식 문제는 물론 주관식 문제도 자동으로 채점되어 채점결과를 응시자가 즉각적으로 알 수 있게 해주고, 출제자의 채점 부담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시스템을 통해 시험 응시자가 답안을 시험지에 바로 표시할 수 있는 시험지를 제공함으로써 시험 응시자의 집중력을 향상시켜 답안의 오기 표시를 최소화할 수 있고, 식별코드가 생성된 시험지를 제공함으로써 시험지 정보 및 답안 정보를 추출하여 빠른 시간 내에 채점이 가능하다.
또한, 응시자가 틀린 문제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작성하여 교습자 및 학습자에 오답 및 이에 대한 해설 및 첨삭내용을 제공함으로써 학습능률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2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로서 시험지의 자동채점 및 오답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시험지 생성용 단말기(20), 시험지 채점용 단말기(40) 및 관리서버(10)로 구성된다.
관리서버(10)는 문제 데이터베이스(11), 시험지 데이터베이스(12), 채점정보 데이터베이스(13), 오답 데이터베이스(14)를 포함하고, 시험지 생성용 단말기(20), 시험지 채점용 단말기(4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문제 데이터베이스(11)는 문제 출제자가 출제하거나 문제은행으로부터 전달된 문제와 문제에 대한 정답, 첨삭정보 등의 문제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다. 즉, 출제된 문제는 학습 영역별, 학습 난이도별로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시험 응시자 및 출제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 및 배열이 가능하도록 문제를 제공할 수 있다.
시험지 데이터베이스(12)는 시험지 생성용 단말기(20)로부터 생성된 시험지를 시험지 저장부(23)를 통하여 전달된 시험지를 데이터베이스화한다. 시험 응시자별, 시험 출제자별로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시험 응시자 및 출제자에 따라 다양한 시험지를 제공할 수 있다.
채점정보 데이터베이스(13)는 시험지 풀이 및 채점용 단말기의 채점정보 저장부를 통하여 전달된 답안에 대한 정오(정답 또는 오답) 정보, 오답에 대한 첨삭 정보 등의 채점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다.
오답 데이터베이스(14)는 채점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채점정보를 전달받아 오답률, 오답유형, 오답설명 등의 오답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다. 즉, 응시자별, 문제별, 오답유형별로 데이터가 구축되어 차후 시험문제 출제나 학습자에게 개인별 오답노트를 체계적으로 제공한다.
시험지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코드의 개수가 일정 개수 이상인 경우, 시험지 풀이 및 채점용 단말기(30)에서 직접 채점하지 않고, 시험지 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관리서버의 채점부에서 채점 후에 정오 및 첨삭 결과를 시험지 풀이 및 채점용 단말기(30)로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정오 및 첨삭 결과가 표시된 시험지를 제공할 수 있다.
시험지 생성용 단말기(20)는 시험지 생성부(21), 식별코드 생성부(22), 시험지 저장부(23)을 포함한다. 시험지 생성용 단말기(20)는 출제자가 출제한 문제를 이용하여 시험지를 생성하고 식별코드를 생성시킨 후 이를 저장할 수 있는 장치로서 퍼스널컴퓨터(PC)나 스마트 단말기, PDA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에서 나타나는 것과 같이 시험지 생성부(21)는 관리서버(10)의 문제 데이터베이스(11)로부터 불러온 문제를 배열하여 시험지를 생성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서버에 출제자로부터 출제된 문제가 저장된 문제 데이터베이스에서 시험문제를 선택한 후 배열된 시험지를 완성한다.
식별코드 생성부(22)는 시험문제가 배열된 시험지로부터 해당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식별코드가 삽입되도록 한다. 식별코드는 QR코드, 바코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QR코드로 구성된다.
도 10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식별코드 생성부(22)는 시험지 생성부(21)을 통해 생성된 시험지에 ⅰ) 시험지정보, 응시자정보 및 답안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1식별코드(61), 객관식정보 및 답안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2식별코드(62) 및 단답형정보 및 답안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3식별코드(63)를 선택적으로 생성하고, ⅱ) 제2식별코드(62) 생성 시 객관식정보 추출부(64) 및 풀이기입란(66)을 포함하는 답안위치를 선택적으로 생성하고, 제3식별코드(63) 생성 시 단답형정보 추출부(65) 및 풀이기입란(66)을 포함하는 답안위치를 선택적으로 생성한다.
제1식별코드(61)는 시험지 상부 일측에 구성되는 것으로 시험의 종류나 과목 등을 포함하는 시험지정보, 시험에 응시하는 응시자정보, 그리고 시험지의 해당하는 부분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답안 위치정보를 포함한다.
제2식별코드(62)는 해당 문항의 정답 및 해설 등의 정보와 더불어 다지선다형의 객관식정보 및 응시자가 문제를 푼 후에 선택하는 답안의 위치정보를 포함한다.
제3식별코드(63)는 단답을 요구하는 해당 문항의 단답형정보와 응시자가 문제를 푼 후에 기입하는 답안위치정보를 포함한다.
답안위치에 관한 정보는 시험지정보와 각 문제의 문항 이미지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문항 일측에 마커(67)를 표시하여 문제의 위치나 답안위치 등을 표시 및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1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제2식별코드(62)와 제3식별코드(63)는 좌측 상단 모서리에 마킹된 사각형(ⓐ)은 5지선다형의 답안의 위치를 찾는 기준이 되고, 내측의 점(ⓑ)들은 정답 및 문항 관련 정보가 표시된다.
시험지 저장부(23)은 상기 시험지 생성부(21) 및 식별코드 생성부(22)에 의해 문제, 식별코드 및 답안위치 정보가 생성된 시험지(60)를 상기 관리서버(10)의 시험지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한다.
시험지 채점용 단말기(40)는 시험지 인식부(41), 시험지 정보 추출부(42), 시험지 채점부(43), 채점정보 저장부(44)를 포함한다. 시험지 채점용 단말기는 통신망을 통해 관리서버로부터 시험지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아 채점할 수 있는 것으로 퍼스널컴퓨터(PC), 스마트 단말기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 도 8에서 나타나는 것과 같이 시험지 인식부(41)는 시험 응시자가 작성한 시험지를 촬영, 스캔 등의 방법으로 인식하고, 시험지 정보 추출부(42)는 시험지에 생성된 식별코드로부터 시험정보(시험지정보, 응시자정보, 객관식정보, 단답형정보 및 답안위치정보 등)를 추출하며, 시험지 채점부(43)는 추출된 시험정보와 식별코드에 포함된 시험지정보를 비교하여 채점한 후에 정오(정답 및 오답)와 첨삭을 시험지에 표시하고, 채점정보 저장부(44)는 상기 정오와 첨삭이 표시된 시험지를 관리서버(10)의 채점정보 데이터베이스(13)에 저장한다.
한편, 시험지 생성용 단말기(20), 시험지 채점용 단말기(40), 관리서버(10)는 각각 인쇄신호 송수신부(5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쇄신호 송수신부(51)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인쇄기(50)로 인쇄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인쇄기(50)는 도 9에 나타난 것과 같이 시험지 생성용 단말기(20)로부터 생성된 시험지 및 상기 시험지 채점용 단말기(40)로부터 생성된 정오와 첨삭이 표시된 시험지, 상기 관리서버(10)의 오답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된 오답노트를 인쇄할 수 있다.
인쇄된 시험지, 정오와 첨삭이 표시된 시험지, 오답노트는 시험 응시자에게 배포되어 답안을 작성하고 정오와 첨삭정보, 오답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인 자동채점 및 오답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시험지의 자동채점 및 오답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ⅰ) 관리서버의 문제 데이터베이스에 학습 영역별, 학습 난이도별로 데이터베이스화된 문제를 시험지 생성용 단말기의 시험지 생성부를 통해 전송받아 문제 배열 후 식별코드를 생성시킴으로서 시험지를 생성한다. ⅱ) 생성된 시험지는 시험지 생성용 단말기의 시험지 저장부를 통해 관리서버의 시험지 데이터베이스에 시험 응시자 및 시험 출제자에 따른 시험지가 저장된다. 저장된 시험지는 인쇄신호 송수신부로 연결된 출력장치로 인쇄되어 시험 응시자에 의하여 시험지와 답안지가 일체로 형성된 답안이 작성된다. ⅲ) 답안이 작성된 시험지는 시험지 채점용 단말기의 시험지 인식부를 통해 촬영, 스캔 등의 방법으로 인식되고, 시험지의 식별코드 및 시험 응시자가 작성한 답안정보가 관리서버의 문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답안과 비교하여 채점 후 정오 및 첨삭 정보가 표시된 시험지를 채점정보 저장부를 통해 관리서버의 채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ⅳ) 저장된 채점정보는 오답 데이터베이스로 전달되어 오답률, 오답유형, 오답설명정보로 저장되고 시험 응시자 및 출제자에게 응시자별, 문제별, 오답 유형별로 오답노트를 체계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 따르면 객관식 문제는 물론 주관식 문제도 자동으로 채점되어 채점결과를 응시자가 즉각적으로 알 수 있게 해주고, 출제자의 채점 부담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시스템을 통해 시험 응시자가 답안을 시험지에 바로 표시할 수 있는 시험지를 제공함으로써 시험 응시자의 집중력을 향상시켜 답안의 오기 표시를 최소화할 수 있고, 식별코드가 생성된 시험지를 제공함으로써 시험지 정보 및 답안 정보를 추출하여 빠른 시간 내에 채점이 가능하다.
또한, 응시자가 틀린 문제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작성하여 교습자 및 학습자에 오답 및 이에 대한 해설 및 첨삭내용을 제공함으로써 학습능률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관리서버
11 : 문제 DB 12 : 시험지 DB 13 : 채점정보 DB 14 : 오답정보 DB
20 : 시험지 생성용 단말기
21 : 시험지 생성부 22 : 식별코드 생성부 23 : 시험지 저장부
30 : 시험지 풀이 및 채점용 단말기
31 : 시험지 수신부 32 : 시험지 입력부 33 : 시험지 정보추출부
34 : 시험지 채점부 35 : 채점정보 저장부
40 : 시험지 채점용 단말기
41 : 시험지 인식부 42 : 시험지 정보 추출부 43 : 시험지 채점부
44 : 채점정보 저장부
50 : 인쇄기
51 : 인쇄신호 송수신부
60 : 시험지
61 : 제1식별코드 62 : 제2식별코드 63 : 제3식별코드
64 : 객관식 정보 추출부 65 : 단답형 정보 추출부 66 : 풀이기입란
67 : 마커

Claims (5)

  1. 시험지의 자동채점 및 오답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a) 시험지 생성부, 식별코드 생성부, 및 시험지 저장부를 포함하는 시험지 생성용 단말기;
    (b-1) 시험지 풀이 및 채점용 단말기 또는 (b-2) 시험지 채점용 단말기; 및
    (c) 문제정보가 저장된 문제 데이터베이스, 시험지 데이터베이스, 채점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오답정보가 저장된 오답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시험지 생성용 단말기, 시험지 풀이 및 채점용 단말기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a) 시험지 생성용 단말기의 시험지 생성부는 상기 관리서버의 문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불러온 문제를 배열하여 시험지를 생성하고,
    상기 (a) 시험지 생성용 단말기의 식별코드 생성부는 상기 생성된 시험지에 ⅰ) 시험지정보, 응시자정보 및 답안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1식별코드, 객관식정보 및 답안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2식별코드 및 단답형정보 및 답안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3식별코드를 선택적으로 생성하고, ⅱ) 제2식별코드 생성 시 객관식정보 추출부 및 풀이기입란을 포함하는 답안위치를 선택적으로 생성하고, 제3식별코드 생성 시 단답형정보 추출부 및 풀이기입란을 포함하는 답안위치를 선택적으로 생성하며,
    상기 제1식별코드의 답안위치정보는 시험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2식별코드 및 제3식별코드의 답안위치정보는 응시자가 문제를 푼 후에 선택 및 기입하는 답안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a) 시험지 생성용 단말기의 시험지 저장부는 상기 시험지 생성부 및 식별코드 생성부에 의해 문제, 식별코드, 답안위치가 생성된 시험지를 상기 관리서버의 시험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b-2) 시험지 채점용 단말기는 시험지 인식부, 시험지 정보 추출부, 시험지 채점부, 채점정보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험지 인식부는 시험 응시자가 작성한 시험지를 촬영 또는 스캔하여 인식하고,
    상기 시험지 정보 추출부는 시험지에 생성된 식별코드의 시험정보, 답안위치정보를 통해 답안위치에 기재된 답안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시험지 채점부는 추출된 시험정보와 식별코드에 포함된 시험지정보를 비교하여 채점한 후에 정오와 첨삭을 시험지에 생성하고,
    상기 채점정보 저장부는 상기 정오와 첨삭이 생성된 시험지를 상기 관리서버의 채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c) 관리서버는 시험지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코드의 개수가 일정 개수 이상인 경우 상기 시험지 채점용 단말기로부터 시험지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관리서버에서 채점 후에 정오 및 첨삭 결과를 상기 시험지 채점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채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답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채점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채점정보를 전달받아 오답률, 오답유형 및 오답설명을 포함하는 오답정보를 저장하고, 시험 응시자 및 출제자에게 응시자별, 문제별, 오답 유형별로 오답노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지의 자동채점 및 오답데이터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답안위치정보는 상기 시험지정보와 각 문제의 문항이미지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지의 자동채점 및 오답데이터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1) 시험지 풀이 및 채점용 단말기는 시험지 수신부, 시험지 입력부, 시험지 정보 추출부, 시험지 채점부, 채점정보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험지 수신부는 상기 관리서버의 시험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시험지를 선택하여 수신하고,
    상기 시험지 입력부는 상기 수신한 시험지에 답안을 입력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시험지 정보 추출부는 시험지에 생성된 식별코드의 시험정보 및 답안위치에 기재된 답안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시험지 채점부는 추출된 답안정보와 문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답정보를 비교하여 채점한 후에 정오와 첨삭을 시험지에 생성하고,
    상기 채점정보 저장부는 상기 정오와 첨삭이 생성된 시험지를 상기 관리서버의 채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지의 자동채점 및 오답데이터 관리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시험지 생성용 단말기, (b-2) 시험지 채점용 단말기, (c) 관리서버는 인쇄신호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d) 인쇄기를 더 포함하는 시험지의 자동채점 및 오답데이터 관리 시스템.

KR20140054091A 2014-05-07 2014-05-07 시험지의 자동채점 및 오답데이터 관리 시스템 KR101481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54091A KR101481498B1 (ko) 2014-05-07 2014-05-07 시험지의 자동채점 및 오답데이터 관리 시스템
PCT/KR2015/002171 WO2015170822A1 (ko) 2014-05-07 2015-03-06 시험지의 채점 및 오답데이터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54091A KR101481498B1 (ko) 2014-05-07 2014-05-07 시험지의 자동채점 및 오답데이터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1498B1 true KR101481498B1 (ko) 2015-01-13

Family

ID=52588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54091A KR101481498B1 (ko) 2014-05-07 2014-05-07 시험지의 자동채점 및 오답데이터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81498B1 (ko)
WO (1) WO2015170822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9054B1 (ko) * 2016-03-03 2017-12-14 오종현 채점결과 연동 문제제공 시스템
KR20180083730A (ko) 2017-01-13 2018-07-23 전대권 모의시험 자동채점 시스템
KR102126834B1 (ko) * 2019-02-19 2020-06-25 김도남 큐알코드를 이용한 자동 채점 시스템
CN111666423A (zh) * 2020-06-08 2020-09-15 上海乂学教育科技有限公司 知识图谱构建方法及系统
KR102430505B1 (ko) * 2021-12-17 2022-08-08 멘토알고 주식회사 문제 채점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바이스
KR20240020415A (ko) 2022-08-08 2024-02-15 이응달 서술형 답안의 진단 및 처방 결과 제공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64201A (zh) * 2018-06-06 2018-11-06 宁波宁大教育设备有限公司 一种智能批改方法
CN109003491A (zh) * 2018-07-06 2018-12-14 合肥明高软件技术有限公司 一种网上考试智能组卷系统
CN109886851B (zh) * 2019-02-22 2023-04-07 科大讯飞股份有限公司 数学题批改方法及装置
CN110929582A (zh) * 2019-10-25 2020-03-27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口算题自动批改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
CN111753767A (zh) * 2020-06-29 2020-10-09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作业自动批改的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3688201A (zh) * 2021-08-06 2021-11-23 上海汉图科技有限公司 作业生成方法及服务端
CN114331292A (zh) * 2022-01-05 2022-04-12 成都以专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研究生招生考试试卷分拣的管理信息系统
CN114550181B (zh) * 2022-02-10 2023-01-10 珠海读书郎软件科技有限公司 一种小题识别方法、装置及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465B1 (ko) * 2006-09-08 2008-01-28 (주)드림투리얼리티 출판용 학습자료를 문제풀이가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하는학습데이터생성시스템 및 그 생성방법
KR20120088261A (ko) * 2011-01-31 2012-08-08 김정원 바코드를 이용한 시험지 채점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92421A (ko) * 2011-02-11 2012-08-21 이형곤 관계형 문항을 이용한 학습 능력 향상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1180383B1 (ko) 2011-03-03 2012-09-10 조권현 온라인과 오프라인 학습 연계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735B1 (ko) * 2002-03-23 2004-11-17 주식회사 아이오시스 학습과정을 통한 개인 맞춤교재 제작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465B1 (ko) * 2006-09-08 2008-01-28 (주)드림투리얼리티 출판용 학습자료를 문제풀이가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하는학습데이터생성시스템 및 그 생성방법
KR20120088261A (ko) * 2011-01-31 2012-08-08 김정원 바코드를 이용한 시험지 채점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92421A (ko) * 2011-02-11 2012-08-21 이형곤 관계형 문항을 이용한 학습 능력 향상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1180383B1 (ko) 2011-03-03 2012-09-10 조권현 온라인과 오프라인 학습 연계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9054B1 (ko) * 2016-03-03 2017-12-14 오종현 채점결과 연동 문제제공 시스템
KR20180083730A (ko) 2017-01-13 2018-07-23 전대권 모의시험 자동채점 시스템
KR102126834B1 (ko) * 2019-02-19 2020-06-25 김도남 큐알코드를 이용한 자동 채점 시스템
WO2020171283A1 (ko) * 2019-02-19 2020-08-27 진대성 큐알코드를 이용한 자동 채점 시스템
CN111666423A (zh) * 2020-06-08 2020-09-15 上海乂学教育科技有限公司 知识图谱构建方法及系统
CN111666423B (zh) * 2020-06-08 2024-04-05 上海松鼠课堂人工智能科技有限公司 知识图谱构建方法及系统
KR102430505B1 (ko) * 2021-12-17 2022-08-08 멘토알고 주식회사 문제 채점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바이스
KR20240020415A (ko) 2022-08-08 2024-02-15 이응달 서술형 답안의 진단 및 처방 결과 제공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70822A1 (ko) 2015-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1498B1 (ko) 시험지의 자동채점 및 오답데이터 관리 시스템
US9754500B2 (en) Curriculum assessment
US4425099A (en) Educational aid for use with workbook
US20030180703A1 (en) Student assessment system
CN108764201A (zh) 一种智能批改方法
CN108229361A (zh) 一种电子阅卷方法
US4760246A (en) Mark-reading apparatus for use with answer sheets
CN103886302A (zh) 试卷识别分析实现方法及装置
KR101956714B1 (ko) 정답체크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52410A (ko) 답안 일체형 시험지 및 답안 일체형 교재를 이용하는 자동 채점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70048718A1 (en) System and Method for Test Creation, Verification, and Evaluation
CN112183143A (zh) 批阅方法及教学系统
KR20130021684A (ko) 답안지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4045884A (en) Teaching device for the correction of reading, spelling and writing learning disabilities
JP6454962B2 (ja) ドキュメントを編集する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3204581A (zh) 基于大数据的题目推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2396897A (zh) 一种教学系统
US5017763A (en) Scanning apparatus storing both processed and unprocessed scan data signals for separate read-out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KR101479444B1 (ko) 답안 일체형 시험지 채점 방법
KR20050049098A (ko) 개인별 보충 및 심화 학습 자료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126834B1 (ko) 큐알코드를 이용한 자동 채점 시스템
CN114757152A (zh) 一种用于教学场景的错题采集及打印的方法
KR20050049461A (ko) 시험답안지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35113B1 (ko) 스마트 펜을 이용한 시험지 자동 채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채점방법
KR101240428B1 (ko) 이미지코드를 구비한 omr카드, 이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6